KR102655583B1 - 쿠션 장치 및 쿠션재 - Google Patents

쿠션 장치 및 쿠션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5583B1
KR102655583B1 KR1020207030258A KR20207030258A KR102655583B1 KR 102655583 B1 KR102655583 B1 KR 102655583B1 KR 1020207030258 A KR1020207030258 A KR 1020207030258A KR 20207030258 A KR20207030258 A KR 20207030258A KR 102655583 B1 KR102655583 B1 KR 1026555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
layer
cable
user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02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16512A (ko
Inventor
니치무 이나다
츠요시 마츠시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엠티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8105617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9208699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8153831A external-priority patent/JP2020028313A/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엠티지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엠티지
Publication of KR202100165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65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55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55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14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 A47C27/15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01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several cushions, mattresses or the like, to be put together in one cov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02Mattress or cushion tickings or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14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 A47C27/142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with projections, depressions or cavities
    • A47C27/144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with projections, depressions or cavities inside the mattress or cush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14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 A47C27/18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in combination with inflatable bodies

Landscapes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쿠션 장치의 일례인 매트 본체(10)는 사용자의 지지면을 가지는 쿠션재인 우레탄층(17)과, 쿠션재를 지지면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굴곡시키기 위한 기구에 포함되는 에어셀(31)을 구비하고, 우레탄층(17)은 면내 방향에서의 제1 방향의 일례인 Y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제1 부분(산부(18A))과, 복수개의 제1 부분 사이에서 제1 부분과 일체로 형성되며 제1 부분보다도 변형되기 쉬운 제2 부분(홈부(18B))을 가진다.

Description

쿠션 장치 및 쿠션재
본 개시는 쿠션 장치 및 쿠션재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2018년 5월 31일 출원된 일본 출원 제2018-105617호, 및 2018년 8월 20일 출원된 일본 출원 제2018-153831호에 기초하는 우선권을 주장하고, 상기 일본 출원에 기재된 모든 기재 내용을 원용한다.
특허문헌 1에는 매트형 마사지기로서, 사용자의 신장방향을 따라 늘어서는 복수개의 분할체를 포함하는 매트 본체와, 분할체 각각에 마련된 에어셀을 가지는 마사지기가 개시되어 있다. 이 마사지기는 복수개의 에어셀의 팽창이 독립적으로 제어됨으로써, 마사지기에 눕는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를 들어 올리는 동작을 실시한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17-143939호
특허문헌 1에 나타내진 바와 같은 매트형 마사지기에서, 에어셀의 팽창이 매트를 통해 사용자에게 적절히 전해지지 않으면 사용자의 신체에 의도한 동작을 시킬 수 없다. 특히, 사용자의 신체에 복잡한 움직임을 시키는 경우, 에어셀 등의 매트를 들어 올리는 기구에 의한 들어 올리는 동작을 보다 효과적으로 사용자의 신체에 전달하는 것이 중요하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쿠션 장치는 사용자의 지지면을 가지는 쿠션재와, 쿠션재를 지지면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굴곡시키기 위한 기구를 구비하고, 쿠션재는 지지면의 면내 방향에서의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제1 부분과, 복수개의 제1 부분 사이에서 제1 부분과 일체로 형성되며 제1 부분보다도 변형되기 쉬운 제2 부분을 가진다.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쿠션재는 사용자의 지지면을 가지는 쿠션재로서, 지지면의 면내 방향에서의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제1 부분과, 복수개의 제1 부분 사이에서 제1 부분과 일체로 형성되며 제1 부분보다도 변형되기 쉬운 제2 부분을 가진다.
한층 더한 상세는 후술할 실시형태로서 설명된다.
도 1은 실시형태에 따른 수면 장치의 구성의 개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수면 장치의 구성의 개략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수면 장치에 포함되는 매트리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매트리스에서의 에어셀의 배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매트리스를 구성하는 우레탄층의 일부의 개략도이다.
도 6은 수면 장치의 제어 유닛에 포함되는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스트레치 코스의 구체예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우레탄층에 마련된 라인의, 우레탄층의 변형에 대한 영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우레탄층에 마련된 라인의, 우레탄층의 변형에 대한 영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비교예에 따른 매트리스의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0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매트리스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1은 우레탄층의 구조의 다른 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2는 우레탄층의 구조의 다른 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3은 우레탄층의 구조의 다른 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4는 우레탄층의 구조의 다른 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5는 실시형태에 따른 수면 장치의 외관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16은 수면 장치의 커버를 벗긴 상태의 외관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17은 수면 장치의 구성의 개략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8A는 수면 장치에 포함되는 커넥터 박스의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8B는 연출(延出)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는 제3 매트부로부터 커넥터 박스를 떼어낸 상태의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0은 제3 매트부와 커넥터 박스의 접합 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A는 수면 장치에 포함되는 통신 박스의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1B는 연출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는 커버의 통과 구멍의 제1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3은 커버의 통과 구멍의 제2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4는 연출부의 구성의 다른 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5는 연출부의 구성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1. 쿠션 장치 및 쿠션재의 개요]
(1) 본 실시형태에 포함되는 쿠션 장치는 사용자의 지지면을 가지는 쿠션재와, 쿠션재를 지지면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굴곡시키기 위한 기구를 구비하고, 쿠션재는 지지면의 면내 방향에서의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제1 부분과, 복수개의 제1 부분 사이에서 제1 부분과 일체로 형성되며 제1 부분보다도 변형되기 쉬운 제2 부분을 가진다.
쿠션 장치는 쿠션을 가지는 장치로서, 여기서는 사용자의 지지면을 가지는 쿠션재를 포함하는 쿠션을 가지는 장치이다. 이 쿠션 장치는 예를 들면, 매트리스, 간호용 침대, 마사지 체어, 의자, 차량의 좌석 등이다.
쿠션재를 지지면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굴곡시키기 위한 기구는, 지지면이 윗면인 경우, 예를 들면, 쿠션재를 밀어 올리기 위한 기구이다. 쿠션재를 밀어 올리기 위한 기구는 예를 들면, 에어셀을 포함한다. 에어셀 대신에 액추에이터나 액체 등의 유체를 충전하는 셀(유체 셀)이어도 된다. 액추에이터는 예를 들면, 모터 구동 액추에이터, 에어실린더 또는 유압실린더 등의 유체 액추에이터이다.
쿠션재의 윗면에 제1 부분과 제2 부분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에는 쿠션재를 지지면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굴곡시키기 위한 기구에 의해 밀려 올라가는 힘이 제2 부분에 흡수되어 전파되기 어렵다. 그 때문에, 밀려 올라가는 힘이 작용하는 범위를 제2 방향으로는 국소적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제1 방향에는 제1 부분이 밀려 올라가는 힘을 전파하는 리브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밀려 올라가는 힘이 작용하는 범위는 광범위하게 이른다. 즉, 제1 방향과 제2 방향에서 쿠션재가 밀려 올라가는 범위를 다르게 할 수 있다. 이로써, 쿠션재의 윗면의 사용자에 대하여, 예를 들면 "허리 비틀기"나 "상반신 일으키기" 등을 효과적으로 실시시킬 수 있다.
(2) 바람직하게는, 제2 부분은 복수개의 상기 제1 부분 사이에 형성된 홈이다. 쿠션재의 윗면에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부 및 산부(山部)(라인)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쿠션재 윗면에 지지되는 사용자를 에어셀의 팽창 등에 의해 밀어 올릴 때에 라인이 밀어 올림에 따라 변형된다.
(3) 바람직하게는, 제1 부분은 상기 제1 방향에 직교하는 절단면이 삼각형상이다. 이로써, 라인이 밀어 올림에 따라 변형되는 쿠션재의 윗면에 지지되는 사용자에 접하는 면의 각도가 변화된다. 이 때문에, 사용자는 쿠션재의 밀어 올림을 쿠션재와 접촉된 감각에서도 실감할 수 있다.
(4) 바람직하게는, 쿠션재는 제1 방향에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분할되어 있다. 이로써, 쿠션재의 접힘성, 운반성이 향상될뿐만 아니라, 상기 기구에 의한 밀어 올리는 힘의 제1 방향에 대한 전파가 분단된다. 이로써, 밀어 올리는 기구의 힘을 효과적으로 사용자에게 작용시킬 수 있다.
(5) 바람직하게는, 제1 방향은 지지면에 지지되는 사용자의 신장방향이다. 이로써, 신장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는 쿠션재를 굴곡시키기 위한 기구에 의해 밀려 올라가는 힘이 라인의 홈 부분에 흡수되어서 전파되기 어렵다. 그 때문에, 밀려 올라가는 힘이 작용하는 범위를 신장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는 국소적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신장방향에는 라인이 밀려 올라가는 힘을 전파하는 리브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밀려 올라가는 힘이 작용하는 범위는 광범위하게 이른다. 즉, 신장방향과 그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매트리스가 밀려 올라가는 범위를 다르게 할 수 있다. 이로써, 매트리스의 윗면 사용자에 대하여, 예를 들면 "허리 비틀기"나 "상반신 일으키기" 등을 효과적으로 실시시킬 수 있다.
(6) 바람직하게는, 쿠션재는 지지면을 구성하는 제1 층과, 제1 층의 소재보다도 단단한 소재로 성형된 지지면의 이면 측을 구성하는 제2 층을 포함하는 적층 구조이다. 제1 층을 부드러운 소재로 성형함으로써, 제1 층에 의한 사용자에 대한 쿠션성을 확보할 수 있다. 제1 층의 하방(下方)에 그보다도 단단한 소재로 성형된 제2 층을 마련함으로써, 아래에 있는 밀어 올리는 기구에 의해 밀려 올라가는 범위는 제2 층이 없는 경우보다도 넓어진다. 그 결과, 제1 층에 가해지는 단위 면적당 압력이 작아지고, 제1 층의 소재가 찌부러지기 어려워진다. 이로써, 밀어 올리는 기구의 힘을 효과적으로 사용자에게 작용시킬 수 있다. 또한, 쿠션재를 부드러운 소재의 제1 층만으로 구성한 경우, 제1 층이 지나치게 가라앉아 사용자가 바닥감을 받는 경우가 있다. 바닥감은 부드러운 층을 통해 받는, 바닥이나, 수지판, 밀어 올림 기구 등의 접촉감이다. 바닥감은 비교적 단단한 제2 층을 마련함으로써 경감된다.
(7) 바람직하게는,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은 제1 층에 마련되어 있다. 이로써, 쿠션재를 굴곡시키기 위한 기구의 힘을 효과적으로 사용자에게 작용시킬 수 있다.
(8) 본 실시형태에 포함되는 쿠션재는 사용자의 지지면을 가지는 쿠션재로서, 지지면의 면내 방향에서의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제1 부분과, 복수개의 제1 부분 사이에서 제1 부분과 일체로 형성되며 제1 부분보다도 변형되기 쉬운 제2 부분을 가진다. 이 쿠션재는 예를 들면, 쿠션재를 지지면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굴곡시키기 위한 기구를 가지는 쿠션 장치용이다. 즉, 이 쿠션재는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쿠션 장치용이다. 그 때문에, 이와 같이 이용됨으로써, 쿠션재는 (1) 내지 (7)에 기재된 쿠션 장치와 동일한 효과를 발휘한다.
[2. 쿠션 장치 및 쿠션재의 예]
[제1 실시형태]
<수면 장치의 구성>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수면 장치(100)의 구성의 개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수면 장치(100)의 구성의 개략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한편, 연직방향(상하방향)을 Z방향으로 하고, Z방향에 수직한 한 방향(좌우방향)을 X방향으로 하며, Z방향 및 X방향에 수직한 방향(전후방향)을 Y방향으로 한다. 각 방향에서 + 측을 향하는 방향을 +방향, - 측을 향하는 방향을 -방향이라고 칭한다.
도면을 참조하여, 수면 장치(100)는 신체 지지부로서, 매트리스인 매트 본체(10)와 수면 장치(100)를 제어하는 제어 유닛(40)을 포함한다. 도 3은 매트 본체(10)의 분해 사시도이다. 매트 본체(10)는 쿠션 장치의 일례이다.
매트 본체(10)는 상하 면이 수평이 되고, 긴 쪽 방향이 Y방향과 일치하도록 바닥면 등에 설치된다. +Z방향의 면을 윗면, 그 이면(-Z방향의 면)을 아랫면으로 한다. 매트 본체(10)는 윗면에 눕는 사용자(P)를 지지한다. 매트 본체(10)는 우레탄층(17)과, 에어셀(31)과, 우레탄층(17) 및 에어셀(31)의 지지 부재인 수지층(16)과, 표면 부재인 커버층(60)을 가지며, 그들이 적층되어 있다. 매트 본체(10) 중 우레탄층(17)은 쿠션재이다. 우레탄층(17)의 윗면, 즉, 매트 본체(10)의 윗면은 사용자의 지지면이다. 지지면은 상기 면에 직접 사용자가 지지되는 것에만 한정되지 않고, 매트 본체(10)에 지지된 사용자 측의 면인 것을 의미하고 있다. 쿠션재는 예를 들면, 쿠션성을 가지는 발포 수지이다. 발포 수지는 예를 들면, 우레탄폼으로서, 우레탄층(17)은 우레탄폼으로 이루어진다. 에어셀(31) 및 수지층(16)은 우레탄층(17)을 밀어 올리기 위한 기구이다. 우레탄층(17)을 밀어 올리는 것은 우레탄층(17)을 지지면인 윗면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굴곡시키는 것을 가리킨다. 윗면에 교차하는 방향은 +Z방향, 및 대체로 +Z방향을 포함한다.
매트 본체(10)는 Y방향으로 제1 매트부(11), 제2 매트부(12), 및 제3 매트부(13)의 3개 부분이 순서대로 늘어서도록, X방향으로 분할되어 있다. 매트 본체(10)의 윗면에 발을 +Y방향, 머리를 그 반대 방향(-Y방향)으로 하여 사용자(P)가 누웠을 때에, 제1 매트부(11)는 사용자(P)의 머리와 어깨를 지지하고, 제2 매트부(12)는 동체를 지지하며, 제3 매트부(13)는 발을 지지하는 것이 상정되어 있다.
제1 매트부(11)와 제2 매트부(12)의 접합면의 아랫면 측에는 컷아웃(cutout) 구조의 연결부(1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 매트부(12)와 제3 매트부(13)의 접합면의 윗면 측에는 동일한 연결부(15)가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매트 본체(10)는 3개로 접을 수 있게 되어 있다.
제3 매트부(13)는 수지층(16F)과 우레탄층(17F)과 표면 부재인 커버층(60)이 적층된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레탄층(17F)과 커버층(60) 사이에 제3 매트부(13)용 커버층이 추가로 적층되어 있어도 된다. 이는 다른 매트부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수지층(16F)과 우레탄층(17F) 사이에 2개의 에어셀(31C, 31To)이 배치되어 있다.
제2 매트부(12)는 수지층(16B)과 우레탄층(17B)과 커버층(60)이 적층된 것이다. 수지층(16B)과 우레탄층(17B) 사이에 4개의 에어셀(31HiL, 31HiR, 31L, 31Th)이 배치되어 있다. X방향으로 병렬하는 에어셀(31HiL, 31HiR)을 대표시켜 에어셀(31Hi)이라고도 칭한다.
제1 매트부(11)는 수지층(16H)과 우레탄층(17H)과 커버층(60)이 적층된 것이다. 수지층(16H)과 우레탄층(17H) 사이에 5개의 에어셀(31HeL, 31HeR, 31SL, 31SR, 31B)이 배치되어 있다. X방향으로 병렬하는 에어셀(31HeL, 31HeR)을 대표시켜 에어셀(31He), 에어셀(31SL, 31SR)을 대표시켜 에어셀(31S)이라고 칭한다.
에어셀(31)은 에어 튜브(33) 및 전자(電磁) 밸브(34)를 통해 외부에 배치된 펌프 박스(32)와 연결되어 있다. 일례로서, 제3 매트부(13)의 Y방향의 단부(端部)에는 커넥터 박스(35)가 마련되어 있다. 커넥터 박스(35)는 펌프 박스(32)로부터 연장되는 에어 튜브(33)를 접속하기 위한 접속구를 가지며, 접속구를 통해 펌프 박스(32)로부터 연장되는 에어 튜브(33)를 매트 본체(10) 내부의 에어 튜브(33)와 연결한다. 펌프 박스(32)에는 도시하지 않은 펌프가 내장되어 있다. 펌프 박스(32)부터 커넥터 박스(35)에는 에어 튜브(33)에 추가로, 전자 밸브(34)나 제어 유닛(40)에 전력 공급하기 위한 배전선도 접속되어 있다.
도 4는 매트 본체(10)에서의 에어셀(31)의 배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여, 매트 본체(10)의 윗면에 사용자(P)가 위를 향해 누웠을 때에, 에어셀(31HeL, 31HeR)은 사용자(P)의 두부의 좌우에, 에어셀(31SL, 31SR)은 좌우 어깨부 아래에, 에어셀(31B)은 등 아래에, 에어셀(31HiL, 31HiR)은 좌우의 요부(腰部)에, 에어셀(31L)은 요부 중앙 아래에, 에어셀(31Th)은 둔부 아래에, 에어셀(31C)은 양 무릎 뒤쪽 아래에, 에어셀(31To)은 양 장딴지 아래에 배치되는 것이 상정되어 있다.
제어 유닛(40)은 일례로서, 제3 매트부(13)의 Y방향의 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제어 유닛(40)은 도시하지 않은 CPU(Central Processing Unit) 및 메모리(20)를 포함하고, 수면 장치(100) 전체를 제어한다. 메모리(20)에는 CPU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이 기억되어 있음과 함께, 스트레치 코스에 관한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스트레치 코스의 구체예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제어 유닛(40)은 펌프 박스(32)에 내장된 펌프의 구동 및 전자 밸브(34)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43)를 가진다. 제어부(43)가 전자 밸브(34)를 개방하면서 펌프 박스(32)를 구동시킴으로써, 복수개의 에어셀(31) 중 해방된 전자 밸브(34)에 접속되어 있는 에어셀(31)이 팽창하고, 우레탄층(17) 중 팽창된 에어셀(31)에 겹치는 부분이 밀려 올라간다. 이로써, 매트 본체(10)의 윗면에 누워 있던 사용자(P)의, 상기 부분에 접해 있던 신체의 일부가 들린다. 제어부(43)가 펌프를 계속해서 구동함으로써 에어셀(31)의 최대 팽창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3)가 그 후에 펌프의 구동을 정지하면서 전자 밸브(34)를 폐쇄함으로써 상기 에어셀(31)의 팽창 상태가 유지되고, 그 결과 사용자(P)의 신체의 일부가 들린 상태가 유지된다.
제어부(43)가 펌프의 구동을 정지한 상태에서 전자 밸브(34)를 개방함으로써, 복수개의 에어셀(31) 중 해방된 전자 밸브(34)에 접속되어 있는 에어셀(31) 내의 공기가 배기되고, 팽창이 수축한다. 이로써, 우레탄층(17) 중 이 에어셀(31)에 겹치는 부분으로서, 밀려 올라가 있던 부분이 원위치로 되돌아간다. 그 결과, 사용자(P)의 들린 신체의 일부가 원위치로 되돌아간다.
제어 유닛(40)은 스마트폰(56)과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을 가능하게 하는 송수신부(44)를 가진다. 송수신부(44)는 일례로서 스마트폰(56)과 무선 통신을 실시한다. 송수신부(44)와 스마트폰(56)의 통신은 유선에 의한 통신이어도 된다. 스마트폰(56)은 사용자(P)에 의한 제어 유닛(40)에 대한 입력 조작을 받아들이는 장치의 일례이며, 다른 예로서 리모컨(50) 등이어도 된다. 리모컨(50)과의 통신은 스마트폰(56)과의 통신과 마찬가지로 무선 통신이어도 되고 유선에 의한 통신이어도 된다. 유선에 의한 통신의 경우, 일례로서 제1 매트부(11)의 -Y방향의 단부에는 통신 박스(51)가 마련되어 있다. 통신 박스(51)는 리모컨(50) 등의 외부 장치와의 사이에서 통신 케이블을 접속하기 위한 접속구를 가지며, 접속구를 통해 제어 유닛(40)과의 통신을 중계한다.
<우레탄층의 구조>
도 5는 우레탄층(17)의 일부의 개략도로서, 수평으로 놓인 우레탄층(17)을 상방(上方)에서 내려다본 상태에서 나타내고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우레탄층(17)은 윗면 측의 제1 층(17a)과 아랫면 측의 제2 층(17b)으로 이루어지는 2층 구조이다. 제1 층(17a)은 매트 본체(10)의 윗면에 누운 사용자(P)를 향하는 측의 층이며, 제2 층(17b)은 에어셀(31)에 접하는 측의 층이다.
제1 층(17a)의 윗면에는 매트 본체(10)의 윗면의 수평방향인 면내 방향에서의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제1 부분과, 복수개의 제1 부분 사이에서 제1 부분과 일체로 형성되며 제1 부분보다도 변형되기 쉬운 제2 부분을 가진다. 도 5의 예에서는, 상기 면내 방향은 XY 평면 내의 임의의 방향이다. 제1 방향과 매트 본체(10)가 분할되는 방향은 직교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매트 본체(10)가 분할되는 방향은 X방향이고, 제1 방향은 Y방향이며(도 5), 제1 부분은 Y방향으로 연장되는 산부(18A), 제2 부분은 인접하는 산부(18A)에 끼인 홈부(18B)이다.
바람직하게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부(18B)는 X방향으로 평행하여 복수개 마련되어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한 쌍 이상의 산부(18A) 및 홈부(18B)가 교대로 배치된 형상을 라인이라고도 부른다. 제1 층(17a)의 윗면에 라인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매트 본체(10)의 윗면에 누운 사용자(P)를 에어셀(31)의 팽창에 의해 들어 올릴 때에 라인이 에어셀(31)의 팽창에 따라 변형되고, 그로써 제1 층(17a)의 사용자(P)에 접촉하는 위치가 변화된다. 산부(18A)는 XZ 평면과 평행한 절단면은 삼각형상이기 때문에, 제1 층(17a)의 사용자(P)에 접촉하는 위치가 변화되면 사용자(P)에 접하는 면의 각도가 변화된다. 이 때문에, 사용자(P)는 매트 본체(10)의 밀어 올림을 매트 본체(10)와 접촉한 감각에서도 실감할 수 있다.
제1 층(17a)과 제2 층(17b)은 각각, 우레탄폼 등의 발포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제1 층(17a)과 제2 층(17b)에서는 예를 들면, 소재 또는 밀도가 다르다. 제2 층(17b)의 소재는 제1 층(17a)의 소재보다도 단단하다. 제1 층(17a)을 부드러운 소재로 성형함으로써, 제1 층(17a)에 의한 사용자(P)에 대한 쿠션성을 확보할 수 있다. 그 한편으로, 제2 층(17b)이 없고, 부드러운 소재로 성형된 제1 층(17a)만으로 하면, 아래에 있는 에어셀(31)의 팽창에 의해 제1 층(17a)의 소재가 찌부러지고, 매트 본체(10)의 윗면에 누운 사용자(P)를 밀어 올리기에 이르지 않는 경우가 있다. 또한, 제1 층(17a)에 라인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제1 층(17a)의 소재가 찌부러지면 사용자(P)에 라인이 아닌 면에서 접촉하기 때문에, 사용자(P)에 대한 압박감이 커지는 경우가 있다.
그 점에 대해서는, 제1 층(17a)의 하방에 그보다도 단단한 소재로 성형된 제2 층(17b)을 마련함으로써, 아래에 있는 에어셀(31)의 팽창에 의해 밀려 올라가는 범위는 제2 층(17b)이 없는 경우보다도 넓어진다. 그 결과, 에어셀(31)의 팽창에 의해 제1 층(17a)에 가해지는 단위 면적당 압력이 작아지고, 제1 층(17a)의 소재가 찌부러지기 어려워진다. 이로써, 에어셀(31)의 거동을 효과적으로 사용자(P)에게 작용시킬 수 있다.
<제어 유닛에 의한 제어>
제어 유닛(40)의 제어부(43)는 메모리(20)에 기억되어 있는 스트레치 코스에 따라 펌프의 구동 및 전자 밸브(34)의 개폐를 제어한다. 도 6은 메모리(20)에 기억되어 있는 스트레치 코스의 구체예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스트레치 코스 중 "허리 비틀기", "크로스 비틀기", 및 "상반신 일으키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은 왼쪽부터 오른쪽을 향해 시간 경과를 나타내고, 왼쪽에서 순서대로, 시간(t1, t2, t3, …)으로 한다. 한편, 도면에서, 해칭된 에어셀은 팽창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해칭되어 있지 않은 에어셀은 팽창되어 있지 않은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면을 참조하여, "허리 비틀기"에서 제어부(43)는 시간(t1)에 좌우 허리 및 허리 중앙 아래의 에어셀(31)을 팽창시키고, 시간(t2)에 왼쪽 허리 및 허리 중앙 아래의 에어셀(31)을 팽창시키며, 시간(t3)에 오른쪽 허리 및 허리 중앙 아래의 에어셀(31)을 팽창시키고, 시간(t4)에 왼쪽 허리 허리 중앙 아래의 에어셀(31)을 팽창시키며, 시간(t5)에 오른쪽 허리 및 허리 중앙 아래의 에어셀(31)을 팽창시킨다. 시간(t2~t5)의 제어에 의해, 사용자(P)에게는 요부가 좌우로 비틀어지는 스트레치가 실행된다. 한편, 시각(t1)의 제어에 의해, 사용자(P)는 요부가 에어셀(31)에 의해 들린 위치에 일치하도록 매트 본체(10) 윗면에서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여, "크로스 비틀기"에서 제어부(43)는 시간(t1)에 좌우 어깨 및 좌우 허리 아래의 에어셀(31)을 팽창시키고, 시간(t2)에 왼쪽 어깨 및 오른쪽 허리 아래의 에어셀(31)을 팽창시키며, 시간(t3)에 오른쪽 어깨 및 왼쪽 허리 아래의 에어셀(31)을 팽창시키고, 시간(t4)에 왼쪽 어깨 및 오른쪽 허리 아래의 에어셀(31)을 팽창시키며, 시간(t5)에 오른쪽 어깨 및 왼쪽 허리 아래의 에어셀(31)을 팽창시킨다. 시간(t2~t5)의 제어에 의해, 사용자(P)에게는 요부와 어깨부가 서로 반대 측으로 좌우로 비틀어지는 스트레치가 실행된다. 한편, 시각(t1)의 제어에 의해, 사용자(P)는 좌우 어깨 및 좌우 요부가 에어셀(31)에 의해 들린 위치에 일치하도록 매트 본체(10) 윗면에서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여, "상반신 일으키기"에서 제어부(43)는 두부 좌우, 좌우 어깨, 및 등 아래의 에어셀(31)을 팽창시킨다. 이 제어에 의해, 사용자(P)에게는 상반신이 들리는 방향의 힘이 작용한다.
<실시형태의 효과>
본 실시형태에 따른 수면 장치(100)에 포함되는 매트 본체(10)에서는 쿠션재인 우레탄층(17)의 제1 층(17a)에 1개 이상의 Y방향으로 연장되는 라인이 형성되어 있다. 도 7 및 도 8은 우레탄층(17)에 마련된 라인의, 우레탄층(17)의 변형에 대한 영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우레탄층(17)의 XZ 평면에 평행한 절단면, 도 8은 우레탄층(17)의 YZ 평면에 평행한 절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7은 제1 매트부(11)의 우레탄층(17H)과, 그 하방에 배치된, X방향으로 병렬한 에어셀(31HeL, 31HeR)을 예로, 이들 에어셀(31HeL, 31HeR)의 거동과 우레탄층(17H)의 변형을 설명하는 것이다. 도 7을 참조하여, X방향으로 병렬한 에어셀(31HeL) 및 에어셀(31HeR) 중 한쪽 에어셀(도 7의 예의 경우에는 에어셀(31HeL))만이 팽창하고, 다른 쪽 에어셀(도 7의 예에서는 에어셀(31HeR))이 팽창되어 있지 않은 경우, 우레탄층(17)의 에어셀(31HeL, 31HeR) 바로 위의 위치를 포함하는 XZ 평면에 평행한 절단면에서는, 에어셀(31HeL) 바로 위의 우레탄층(17)은 에어셀(31HeL)의 팽창에 따라 밀려 올라간다. 한편, 에어셀(31HeL)의 팽창에 의한 밀어 올리는 힘은 X방향으로는 라인의 홈부(18B)에 흡수되어 전파되기 어렵다. 그 때문에, 밀려 올라가는 범위를 X방향으로는 국소적으로 할 수 있다.
도 8은 제1 매트부(11)의 우레탄층(17H)과, 그 하방에 배치된, Y방향으로 병렬한 에어셀(31HeR, 31SR)을 예로, 이들 에어셀(31HeR, 31SR)의 거동과 우레탄층(17H)의 변형을 설명하는 것이다. 도 8을 참조하여, Y방향으로 병렬한 에어셀(31HeR) 및 에어셀(31SR) 중 한쪽 에어셀(도 8의 예의 경우에는 에어셀(31HeR))만이 팽창하고, 다른 쪽 에어셀(도 8의 예에서는 에어셀(31SR))이 팽창되어 있지 않은 경우, 우레탄층(17)의 에어셀(31HeR, 31SR) 바로 위의 위치를 포함하는 YZ 평면에 평행한 절단면에서는, 에어셀(31HeR) 바로 위의 우레탄층(17)은 에어셀(31HeR)의 팽창에 따라 밀려 올라간다. 또한, 라인의 산부(18A)가 에어셀(31HeR)의 팽창에 의해 밀어 올리는 힘을 전파하는 리브로서 기능하고, Y방향으로 전파한다. 그 결과, 밀려 올라가는 범위가 Y방향으로는 광범위해진다.
한편, 에어셀(31)에 의해 밀려 올라가는 범위를 X방향에 국소적으로 하고, Y방향에는 광범위로 하는 구성의 비교예로서, 도 9의 구성을 들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비교예에 따른 구성은 X방향으로 2분할되고 Y방향으로 3분할되어, Y방향으로 늘어서는 매트부(11R, 12R, 13R) 및 이들에 X방향으로 병렬하는 매트부(11L, 12L, 13L)로 이루어진다. 각 매트부에는 에어셀(31)이 배치되어 있다.
매트 본체(10)를 도 9에 도시된 비교예의 구성으로 함으로써, X방향으로도 Y방향으로도 에어셀(31)의 팽창에 의한 밀어 올리는 힘의 전파를 분단할 수 있다. 즉, 매트부별로 에어셀(31)의 팽창에 의해 밀려 올라가고, 인접하는 매트부에 밀어 올리는 힘이 전파되지 않는다.
매트 본체(10)를 이와 같은 구조로 해도,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매트리스와 마찬가지로 에어셀(31)의 팽창에 의한 밀어 올리는 힘의 전파를 제어할 수 있는 것 같다고도 생각된다. 그러나 도 9의 구성에서는 매트 본체(10)의 접힘성, 운반성이 뒤떨어진다. 그 때문에, 접힘성이나 운반성을 더 고려하여, 본 실시형태에 따른 매트 본체(10)는 도 1~도 5에 도시된 구성으로 한다.
에어셀(31)의 팽창에 의한 밀어 올리는 힘이 X방향에 광범위하게 작용하면, 도 6에 도시된 "허리 비틀기" 등에서 우레탄층(17)이 X방향으로 전체적으로 밀려 올라가는 경우가 있다. 그 결과, 효과적으로 사용자(P)를 좌우 상이한 자세로 시킬 수 없다.
이에 반해, 에어셀(31)의 팽창에 의한 밀어 올리는 힘이 X방향에 국소적으로 됨으로써(도 7), 도 6에 도시된 "허리 비틀기" 등에서 효과적으로 사용자(P)를 좌우 상이한 자세로 시킬 수 있다. 즉, 시간(t2)에서는 왼쪽 허리 및 허리 중앙을 들어 올림과 함께, 오른쪽 허리를 들어 올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시간(t3)에서는 오른쪽 허리 및 허리 중앙을 들어 올림과 함께, 왼쪽 허리를 들어 올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것이 반복됨으로써, 효과적인 허리 비틀기가 실현된다.
또한, 에어셀(31)의 팽창에 의한 밀어 올리는 힘이 Y방향에 국소적으로 되면, 도 6에 도시된 "상반신 일으키기" 등에서 우레탄층(17)이 Y방향에 에어셀(31) 바로 위 부근밖에 밀려 올라가지 않는 경우가 있다. 그 결과, 효과적으로 사용자(P)를 신장방향으로 들어 올릴 수 없다.
이에 반해, 에어셀(31)의 팽창에 의한 밀어 올리는 힘이 Y방향에는 광범위로 됨으로써(도 8), 도 6에 도시된 "상반신 일으키기" 등에서 효과적으로 사용자(P)를 신장방향으로 들어 올릴 수 있다.
더욱이, 매트 본체(10)가 라인이 연장되는 방향(Y방향)과 직교하는 방향(X방향)으로 분할되어 있음으로써, 매트 본체(10)의 접힘성, 운반성이 향상될뿐만 아니라, 에어셀(31)의 팽창에 의한 밀어 올리는 힘의 Y방향에 대한 전파가 분단된다. 이로써, 도 6에 도시된 "크로스 비틀기" 등에서 효과적으로 사용자(P)를 좌우 및 상하 상이한 자세로 시킬 수 있다.
즉, 시간(t2)에서는 왼쪽 어깨를 들어 올림과 함께 오른쪽 어깨를 들어 올리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면서, 오른쪽 허리를 들어 올림과 함께 왼쪽 허리를 들어 올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더욱이, 왼쪽 어깨를 들어 올림과 함께 왼쪽 허리를 들어 올리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면서, 오른쪽 허리를 들어 올림과 함께 오른쪽 어깨를 들어 올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시간(t3)에서는 오른쪽 어깨를 들어 올림과 함께 왼쪽 어깨를 들어 올리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면서, 왼쪽 허리를 들어 올림과 함께 오른쪽 허리를 들어 올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더욱이, 오른쪽 어깨를 들어 올림과 함께 오른쪽 허리를 들어 올리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면서, 왼쪽 허리를 들어 올림과 함께 왼쪽 어깨를 들어 올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것이 반복됨으로써, 효과적인 크로스 비틀기가 실현된다.
[제2 실시형태]
라인이 연장되는 방향(제1 방향), 및 라인이 연장되는 방향에 직교하는, 매트 본체(10)를 분할하는 방향(제2 방향)은 각각 Y방향 및 X방향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방향이어도 된다. 다른 예로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인이 연장되는 방향(제1 방향)이 X방향, 라인이 연장되는 방향에 직교하는, 매트 본체(10)를 분할하는 방향(제2 방향)이 Y방향이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에어셀(31)의 팽창에 의한 밀어 올리는 힘이 Y방향에는 국소적으로 작용함과 함께, X방향에는 광범위하게 작용한다. 이와 같이 작용시키기 위한 구조는 우레탄층(17)의 제1 층(17a)에 형성되는 라인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3 실시형태]
제1 실시형태, 및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매트 본체(10)에서는 제1 층(17a)의 윗면의 제1 부분과 제2 부분이 제1 층(17a) 윗면의 형상에 따라, 각각 산부(18A) 및 홈부(18B)로서 실현되어 있다. 제1 부분과 제2 부분은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도 11~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른 예이어도 된다. 도 11~도 14는 매트 본체(10)의 제1 층(17a)의 구조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매트 본체(10)의 XZ 평면의 절단면 개략도이다.
도 11에 예시된 제1 층(17a)의 구조는 제1 부분(19A)과 제2 부분(19B)이 교대로 배치되어 제2 부분(19B)이 제1 부분(19A)보다도 변형되기 쉬운 소재로 성형되어 있다. 또는 제1 부분(19A)과 제2 부분(19B)이 동일한 소재이며, 제2 부분(19B)이 제1 부분(19A)보다도 낮은 밀도의 소재로 성형되어 있다.
또는 제1 부분과 제2 부분은, 두께가 다른 단차(段差) 형상으로 실현되어도 된다. 두꺼운 쪽이 제1 부분, 얇은 쪽이 제2 부분이 된다.
도 12에 예시된 제1 층(17a)의 구조는 제1 층(17a) 윗면이 직사각형파 형상으로 성형되어 있다. 도 12의 제1 층(17a)의 구조는 제1 층(17a)의 윗면에, 윗면과 평행한 산부(21A)와 골부(谷部)(21B)가 교대로 나타나고, 산부(21A)와 골부(21B) 사이는 제1 층(17a) 윗면에 직교하는 평면(21C)에서 이어진 형상이다. 이 경우, 두꺼운 쪽의 산부(21A)가 제1 부분, 및 얇은 쪽의 골부(21B)가 제2 부분이 된다.
도 13에 예시된 제1 층(17a)의 구조는 제1 층(17a) 윗면이 사다리꼴파 형상으로 성형되어 있다. 도 13의 제1 층(17a)의 구조는 제1 층(17a)의 윗면에, 윗면과 평행한 산부(22A)와 골부(22B)가 교대로 나타나고, 산부(22A)부터 골부(22B)는 경사면(22C), 골부(22B)부터 산부(22A)는 경사면(22C)에 대칭인 경사면(22D)에서 이어진 형상이다. 이 경우, 두꺼운 쪽의 산부(22A)가 제1 부분, 및 얇은 쪽의 골부(22B)가 제2 부분이 된다.
도 14에 예시된 제1 층(17a)의 구조는 제1 층(17a)의 상부의 절단면이 삼각형이고 하부의 절단면이 직사각형 절단면의 형상으로 성형되어 있다. 도 14의 제1 층(17a)의 구조는 제1 층(17a)의 윗면에 점(23A)을 정점으로 하여 마주 보는 경사면(23B, 23C)으로 구성되는 삼각부(23D)와, 경사면(23C)과 경사면(23B)을 잇는 윗면과 평행한 골부(23E)가 교대로 나타나는 형상이다. 이 경우, 두꺼운 쪽의 삼각부(23D)가 제1 부분, 및 얇은 쪽의 골부(23E)가 제2 부분이 된다.
도 11~도 14에 예시된 바와 같은 제3 실시형태에 나타내진 매트 본체(10)도, 제1 실시형태, 및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매트 본체(10)와 동일한 효과를 초래한다. 즉, 제3 실시형태에 나타내진 매트 본체(10)도, 에어셀(31)에 의해 밀려 올라가는 범위를 X방향에는 국소적으로 하고, Y방향에는 광범위로 할 수 있다.
[제4 실시형태]
쿠션 장치는 매트리스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예로서 예를 들면, 마사지 체어, 의자, 차량의 좌석, 간호용 침대 등을 포함한다.
[제5 실시형태]
쿠션재를 지지면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굴곡시키기 위한 기구의 배치는 쿠션재인 우레탄층의 아랫면 측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예로서, 우레탄층의 내부에 배치되고, 그 위치에서 팽창함으로써 상기 기구보다도 윗면 측에 있는 우레탄층을 들어 올려도 된다.
<부기>
한편, 본 실시형태의 다른 국면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쿠션 장치가 포함된다. 즉, 소정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쿠션 장치는 사용자의 지지면을 가지는 쿠션재와, 쿠션재를 지지면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굴곡시키기 위한 기구를 구비하고 지지면을 구성하는 제1 층과, 제1 층의 소재보다도 단단한 소재로 성형된 지지면의 이면 측을 구성하는 제2 층을 포함하는 적층 구조이다.
[3. 거치형 장치의 개요]
(1) 본 실시형태에 포함되는 거치형 장치는 케이블이 접속되는 거치형 장치로서, 제1 측면과, 제1 측면에 모서리부를 통해 인접하는 제2 측면을 가지는 장치 본체와, 장치 본체에 마련된 케이블이 연출되는 연출부를 구비하고, 모서리부는 연출부로부터 제1 측면 및 제2 측면 중 어느 것에도 케이블을 연출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거치형이란, 거실의 내면에 고정하여 설치되는 것이고, 내면은 예를 들면 바닥면이며, 다른 예로서 벽면, 천장면이어도 된다. 거치형 장치는 예를 들면, 후술할 수면 장치이다. 또한, 다른 예로서 냉장고, 거치형 조리기, 세탁기, TV, 에어컨, 조명 기구, 대형 컴퓨터, 복사기, 팩시밀리 송수신기, 각종 공작 기기, 거치형 놀이 기기 등이다.
케이블이 연출되는 것은 장치 본체로부터 연장되는 케이블을 외부 단자에 연결하는 것, 및 외부로부터 연장된 케이블을 장치 본체에 구비된 단자에 연결하는 것 어느 쪽도 포함한다. 연출부는 장치 본체와 케이블의 연결 부분으로서, 장치 본체로부터 연장되는 케이블을 외부 단자에 연결하는 경우에는 장치 본체에 대하여 케이블이 접합되어 있는 부분을 가리키고, 외부로부터 연장된 케이블을 장치 본체에 구비된 단자에 연결하는 경우에는 단자가 마련되어 있는 부분을 가리킨다. 연출부가 장치 본체에 내장되어 있는 것은, 연출부가 장치 본체의, 제1 측면 및 제2 측면 중 어느 것으로부터도 장치 본체 내방(內方)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가리킨다.
모서리부가 연출부로부터 제1 측면 및 제2 측면 중 어느 것에도 케이블을 연출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음으로써, 어느 한쪽 측면 측이 벽면에 접하도록 장치 본체를 설치해도, 다른 쪽 측면 측으로부터 케이블을 연출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케이블의 연출방향에 의한 장치 본체의 설치 제약을 경감할 수 있고, 거실 레이아웃의 자유도를 현격히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제1 측면 및 제2 측면 중 어느 것에도 케이블이 연출될 수 있는 모서리부의 구성의 일례는 이하에 나타내진다.
(2) 바람직하게는 모서리부의 높이방향의 적어도 일부는 컷아웃이 구성되고, 연출부는 컷아웃 내에 마련되어 있다. 컷아웃이 구성되어 있는 것은 거치형 장치가 모서리부를 컷아웃하는 제조법에 의해 제조된 것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모서리부의 높이방향의 적어도 일부가 컷아웃된 상태인 것을 의미하고 있다. 컷아웃은 컷아웃된 내측 면도 가리킨다. 이로써, 케이블은 제1 측면 및 제2 측면 중 어느 것에도 연출 가능하게 된다.
(3) 바람직하게는, 장치 본체는 제1 측면 및 제2 측면을 끼우는 윗면 및 아랫면을 가지며, 높이방향의 적어도 일부의 컷아웃은 윗면에서 아랫면까지의 모서리부의 높이방향의 전체 범위 중 윗면 및 아랫면을 제외한 범위의 컷아웃을 포함한다. 이로써, 윗면을 포함하는 윗면 부재 및 아랫면을 포함하는 아랫면 부재는 연출면부터 교차부까지의 범위에서 제1 측면 및 제2 측면과 인접하지 않고 돌출되어 있다. 그 때문에, 연출부는 윗면 부재 및 아랫면 부재에 끼인 구성이 된다. 그 결과, 장치 본체 내의 케이블 및 장치 본체에 대한 연결 부분이 보호된다.
(4) 바람직하게는, 장치 본체는 제1 측면 및 제2 측면을 끼우는 윗면 및 아랫면을 가지며, 높이방향의 적어도 일부의 컷아웃은 윗면부터 아랫면까지의 모서리부의 높이방향의 전체 범위 중 윗면 및 아랫면 중 어느 한쪽 면을 제외한 범위의 컷아웃을 포함한다. 이로써, 윗면 및 아랫면 중 한쪽 면을 포함하는 부재는 연출면부터 모서리부까지의 범위에서, 제1 측면 및 제2 측면과 인접하지 않고 돌출되며, 윗면 및 아랫면 중 다른 쪽 면은 교차부까지 컷아웃되어 있다. 이로써, 케이블을 용이하게 연출시킬 수 있음과 함께 교차부까지 돌출된 부재에 의해 장치 본체 내의 케이블 및 장치 본체에 대한 연결 부분이 보호된다.
(5) 바람직하게는 연출부로부터의 케이블의 연출방향과, 제1 측면 및 제2 측면 각각과 이루는 각도가 대체로 동일하다. 모서리부가 90도인 경우, 연출면의 제1 측면 및 제2 측면 각각과 이루는 각도는 대체로 45도이다. 이로써, 어느 측면 측으로부터도 케이블을 용이하게 연출시킬 수 있다.
(6) 바람직하게는 모서리부를 복수개 구비하고, 복수개의 모서리부 중 제1 모서리부는 제1 측면 및 제2 측면 중 어느 것에도 제1 케이블을 연출할 수 있게 구성되며, 복수개의 모서리부 중 제2 모서리부는 제2 측면과, 제2 측면에 대하여 제2 모서리부를 통해 인접하는 제3 측면 중 어느 것에도 제2 케이블을 연출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이로써, 제2 측면 이외의 어느 측면도 벽면에 접하도록 설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때문에, 이들 케이블의 연출방향에 따른 장치의 설치 제약을 경감할 수 있고, 거실 레이아웃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제1 케이블과 제2 케이블은 다른 케이블이어도 되고, 동일한 케이블이어도 된다.
(7) 바람직하게는, 장치 본체는 매트 본체와, 모서리부를 구성하고 매트 본체에 착탈이 자유로우며 연출부를 구비하는 착탈 부재를 가지며, 착탈 부재는 제1 커넥터를 가지며, 매트 본체는 제1 커넥터가 접속되는 제2 커넥터를 가진다. 이로써, 매트 본체와 착탈 부재를 별개로 제조할 수 있다.
(8) 바람직하게는, 매트 본체 및 착탈 부재는 제1 측면 및 제2 측면 중 어느 것과도 각도를 가지는 접합면을 가지며, 복수개의 접합면 중 한쪽에는 오목부, 다른 쪽에는 볼록부가 마련되고, 오목부 및 볼록부가 감합되어 매트 본체 및 착탈 부재가 접합면에서 접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기구에 의해, 매트 본체에 대한 착탈 부재의 접합을 확실하게 할 수 있다.
(9) 바람직하게는 매트 본체를 덮고, 연출부로부터 연출되는 케이블이 통과 가능한 통과 구멍을 가지는 커버를 추가로 구비한다. 통과 구멍이 마련됨으로써, 매트 본체에 커버를 장착한 상태에서 연출부로부터 케이블을 연출할 수 있다.
(10) 바람직하게는, 통과 구멍의 사이즈는 착탈 부재보다도 크다. 이 때문에, 커버 장착 시에 통과 구멍이 착탈 부재를 덮지 않는다. 이로써, 커버를 장착한 상태에서 매트 본체에 대하여 착탈 부재를 착탈 가능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커버는 통과 구멍의 둘레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에, 장치 본체에 대한 장착 시에 매트 본체와 착탈 부재의 접합면에 끼워지는 끼움대를 가진다. 이로써, 매트 본체에 대한 착탈 부재 장착 시에 끼움대가 끼워진다. 이로써, 착탈 부재 장착 후에 커버의 어긋남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4. 거치형 장치의 예]
[제1 실시형태]
<수면 장치의 구성>
본 실시형태에 따른 수면 장치(100)는 거치형 장치의 일례이다. 도 15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수면 장치(100)의 외관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16은 수면 장치(100)의 커버(60)를 벗긴 상태의 외관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한편, 연직방향(상하방향)을 Z방향으로 하고, Z방향에 수직인 한 방향(좌우방향)을 X방향으로 하며, Z방향 및 X방향에 수직인 방향(전후방향)을 Y방향으로 한다. 각 방향에서 + 측을 향하는 방향을 +방향, - 측을 향하는 방향을 -방향이라고 칭한다. 도면을 참조하여, 수면 장치(100)는 신체 지지부로서, 예를 들면 매트리스인 매트 본체(10)와, 매트 본체(10)에 대하여 착탈 가능한 착탈 부재인, 후술할 커넥터 박스(35) 및 통신 박스(51)를 포함한다.
매트 본체(10)는 상하면이 수평이 되고, 긴 쪽 방향이 Y방향과 일치하도록 바닥면 등에 설치된다. +Z방향 면을 윗면, 그 이면(-Z방향 면)을 아랫면으로 한다. 매트 본체(10)는 XZ 평면에 평행하고 +Y 측인 제1 측면(10a)(도 15의 우측 면), YZ 평면에 평행하고 +X 측인 제2 측면(10b)(도 15 앞쪽 면), XZ 평면에 평행하고 -Y 측인 제3 측면(10e)(도 15의 좌측 면), 및 YZ 평면에 평행하고 -X 측인 제4 측면(10f)(도 15의 뒤쪽 면)으로 이루어지는 4 측면과, 윗면(10c)과, 아랫면(10d)을 가지는 직사각형 형상이다. 제1 측면(10a)과 제2 측면(10b)은 교차부(36)를 통해 인접하고, 제2 측면(10b)과 제3 측면(10e)은 교차부(52)를 통해 인접하고 있다.
매트 본체(10)는 윗면(10c)에 눕는 사용자(P)를 지지한다. 매트 본체(10)는 Y방향에 제1 매트부(11), 제2 매트부(12), 및 제3 매트부(13)의 순서로 3개로 분할되어 있다. 매트 본체(10)의 윗면에 발을 +Y방향, 머리를 그 반대 방향(-Y방향)으로 하여 사용자(P)가 누웠을 때에 제1 매트부(11)는 사용자(P)의 머리와 어깨를 지지하고, 제2 매트부(12)는 동체를 지지하며, 제3 매트부(13)는 발을 지지하는 것이 상정되어 있다.
수면 장치(100)는 매트 본체(10)를 덮는 커버(60)를 포함한다. 커버(60)는 매트 본체(10)의 적어도 윗면(10c) 및 측면(10a, b, e, f)을 덮는다. 또한, 커버(60)는 아랫면(10d)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다. 커버(60)는 예를 들면, 이른바 박스형 시트이다.
매트 본체(10)의 내부에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에어셀(31)이 배치되어 있다. 에어셀(31)에는 에어 튜브(33)가 접속되어, 에어셀(31) 내의 공기의 배기, 또는 에어셀(31)에 대한 외부 공기의 공급이 이루어진다. 그 때문에, 수면 장치(100)로부터는 케이블의 일례로서의 에어 튜브(33)가 연출된다. 각 에어셀(31)은 에어 튜브(33), 및 전자 밸브(34)(도 17 참조)를 통해 외부의 펌프 박스(32)와 연결되어 있다. 또한, 수면 장치(100)로부터는 케이블의 일례로서의 통신 케이블(57)이 연출된다.
제1 매트부(11)의 교차부(52)를 포함하는 범위인 모서리부(52A)에는 통신 케이블(57)을 연출하는 연출부를 가지는 통신 박스(51)가 마련되어 있다. 제3 매트부(13)의 교차부(36)를 포함하는 범위인 모서리부(36A)에는 에어 튜브(33)를 연출하는 연출부를 가지는 커넥터 박스(35)가 마련되어 있다.
커버(60)의, 매트 본체(10)에 장착했을 때에 모서리부(36A) 및 모서리부(52A)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통과 구멍(61, 65)이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매트 본체(10)에 커버(60)를 장착했을 때에, 커넥터 박스(35)가 통과 구멍(61)으로부터, 통신 박스(51)가 통과 구멍(65)으로부터 노출된다. 그 때문에, 커버(60)를 매트 본체(10)에 장착한 상태에서 에어 튜브(33)와 접속된 커넥터 박스(35)의 착탈이 가능해진다. 또한, 커버(60)를 매트 본체(10)에 장착한 상태에서 통신 케이블(57)과 접속된 통신 박스(51)의 착탈이 가능해진다.
커넥터 박스(35)는 펌프 박스(32)로부터 연장되는 에어 튜브(33)를 접속하기 위한 연출부(37a)(도 18A)를 가지며, 연출부(37a)를 통해 펌프 박스(32)로부터 연장되는 에어 튜브(33)를 매트 본체(10) 내부의 에어 튜브(33)와 연결한다. 펌프 박스(32)에는 도시하지 않은 펌프가 내장되어 있다. 펌프 박스(32)로부터 커넥터 박스(35)에는 에어 튜브(33)에 추가로, 전자 밸브(34)나 제어 유닛(40)에 전력 공급하기 위한 배전선도 접속되어 있다.
도 17은 수면 장치(100)의 장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개략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제어 유닛(40)은 도시하지 않은 CPU 및 메모리(20)를 포함하고, 수면 장치(100) 전체를 제어한다. 메모리(20)에는 CPU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이 기억되어 있음과 함께, 스트레치 코스 등의, 제어 프로그램에서 필요한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제어 유닛(40)은 펌프 박스(32)에 내장된 펌프의 구동 및 전자 밸브(34)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43)를 가진다. 제어부(43)가 전자 밸브(34)를 개방하면서 펌프를 구동시킴으로써, 복수개의 에어셀(31) 중 개방된 전자 밸브(34)에 접속되어 있는 에어셀(31)이 팽창하고, 매트 본체(10)의 에어셀(31)에 겹치는 부분이 밀려 올라간다. 이로써, 매트 본체(10)의 윗면(10c)에 누워 있던 사용자(P)의, 상기 부분에 접해 있던 신체의 일부가 들린다. 제어부(43)가 펌프를 계속해서 구동함으로써 에어셀(31)의 최대 팽창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3)가 그 후에 펌프의 구동을 정지하면서, 전자 밸브(34)를 폐쇄함으로써 상기 에어셀(31)의 팽창 상태가 유지되고, 그 결과, 사용자(P)의 신체의 일부가 들린 상태가 유지된다.
제어부(43)가 펌프의 구동을 정지한 상태에서 전자 밸브(34)를 개방함으로써, 복수개의 에어셀(31) 중 개방된 전자 밸브(34)에 접속되어 있는 에어셀(31) 내의 공기가 배기되고, 팽창이 수축한다. 이로써, 매트 본체(10)의 이 에어셀(31)에 겹치는 부분으로서, 밀려 올라가 있던 부분이 원위치로 되돌아간다. 그 결과, 사용자(P)의 들린 신체의 일부가 원위치로 되돌아간다.
제어 유닛(40)은 스마트폰(56)과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을 가능하게 하는 송수신부(44)를 가진다. 송수신부(44)는 일례로서 스마트폰(56)과 무선 통신을 실시한다. 송수신부(44)와 스마트폰(56)의 통신은 유선에 의한 통신이어도 된다. 스마트폰(56)은 사용자(P)에 의한 제어 유닛(40)에 대한 입력 조작을 받아들이는 장치의 일례이며, 다른 예로서 리모컨(50) 등이어도 된다. 리모컨(50)과의 통신은 스마트폰(56)과의 통신과 마찬가지로, 무선 통신이어도 되고 유선에 의한 통신이어도 된다.
송수신부(44)가 유선에 의한 통신인 경우, 일례로서, 제1 매트부(11)의 Y방향의 단부에는 통신 박스(51)가 마련되어 있다. 통신 박스(51)는 리모컨(50) 등의 외부 장치와의 사이에서 케이블의 일례인 통신 케이블(57)을 접속하기 위한 연출부(54a)(도 21A)를 가져서, 연출부(54a)를 통해 제어 유닛(40)과의 통신을 중계한다.
<커넥터 박스의 구조>
도 18A는 커넥터 박스(35)의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커넥터 박스(35)는 제3 매트부(13)의 Y방향의 단부로서, 매트 본체(10)의 모서리부(36A)에 배치된 삼각 기둥 형상의 박스이며, 도 18A는 상방에서 내려다본(-Z방향으로 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커넥터 박스(35)는 교차부(36)를 통해 인접하는, XZ 평면과 평행한 제1 측면(35a), 및 YZ 평면과 평행한 제2 측면(35b)을 가진다. 제1 측면(35a) 및 제2 측면(35b)은 각각, 교차부(36)를 통해 인접하는, 제3 매트부(13)의 XZ 평면과 평행한 제1 측면(13a), 및 YZ 평면과 평행한 제2 측면(13b)과 연속한다. 따라서, 제1 측면(35a) 및 제1 측면(13a)이 매트 본체(10)의 XZ 평면과 평행한 제1 측면(10a)에 포함되고, 제2 측면(35b) 및 제2 측면(13b)이 매트 본체(10)의 YZ 평면과 평행한 제2 측면(10b)에 포함되어 있다. 한편, 커넥터 박스(35)는 제3 매트부(13)와 일체이어도 된다.
커넥터 박스(35)는 더욱이, 제1 측면(35a) 및 제2 측면(35b)을 끼우는, 제3 매트부(13)의 상하 면(13c, 13d)과 평행한 +Z 측 면(도면의 윗면)(35c), 및 제3 매트부(13)의 상하 면(13c, 13d)과 평행한 -Z 측 면(도면의 아랫면)(35d)을 가진다. 윗면(35c)은 제3 매트부(13)의 XY 평면과 평행한 윗면(13c)과 연속한다.
제3 매트부(13)는 모서리부(36A)에 커넥터 박스(35)를 접합하기 위한 받침판(13e)을 가진다. 받침판(13e)의 아랫면(13f)은 제3 매트부(13)의 아랫면(13d)과 연속한다. 받침판(13e)의 윗면(13g)은 제3 매트부(13)에 접속된 커넥터 박스(35)의 아랫면(35d)과 접한다. 따라서, 윗면(35c) 및 윗면(13c)이 매트 본체(10)의 XY 평면과 평행한 윗면(10c)에 포함되고, 받침판(13e)의 아랫면(13f) 및 아랫면(13d)이 아랫면(10d)에 포함되어 있다.
교차부(36)의 높이방향(Z방향)의 일부로서 윗면(35c)으로부터 소정 두께의 부분(35e)(후술할 가림부(庇部)(35e)), 및 받침판(13e)을 제외한 범위는 컷아웃을 구성하고 있다. 즉, 교차부(36)의 높이방향의, 윗면(35c)으로부터 소정 두께의 부분(35e) 및 받침판(13e)을 제외한 범위가 면(37A)에 의해 컷아웃되어 있다. 면(37A)은 일례로서 평면(37A)이다. 면(37A)은 곡면이어도 된다. 따라서, 교차부(36)는 윗면(35c) 측의 상방 교차부(36a)와, 받침판(13e) 측의 하방 교차부(36b)로 이루어진다. 평면(37A)은 연출면(37)을 포함하는 면이다. 바꿔 말하면, 받침판(13e)은 연출면(37)으로부터 하방 교차부(36b)까지의 범위에서, 제1 측면(35a) 및 제2 측면(35b)과 인접하지 않고 돌출되어 있다. 또한, 윗면(35c)으로부터 소정 두께의 부분(35e)은 가림부(35e)를 구성하고 있다. 가림부(35e)는 연출면(37)으로부터 상방 교차부(36a)까지의 범위에서 제1 측면(35a) 및 제2 측면(35b)과 인접하지 않고 돌출되어 있다. 받침판(13e)과 가림부(35e)는 연출면(37)을 끼고 대향하고 있다.
도 18B는 연출면(37)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매트 본체(10)를 상방에서 내려다본(-Z방향으로 본) 개략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교차부(36)는 제1 측면(35a)에 대하여 각도(θ1), 제2 측면(35b)에 대하여 각도(θ2)를 가지는 평면(37A)에 의해 컷아웃되어 있다. 평면(37A)의 제1 측면(35a) 및 제2 측면(35b)에서 끼워지는 범위가 연출면(37)을 구성한다. 바꿔 말하면, 연출면(37)은 교차부(36)보다, 직사각형의 매트 본체(10)의 교차부(36)의 대각을 향하는 방향에 위치하고 있다. 제1 측면(35a)에는 평면(37A)에 컷아웃된 제1 개구(38a)가 형성되고, 제2 측면(35b)에는 평면(37A)에 컷아웃된 제2 개구(38b)가 형성되며, 그들은 교차부(36)를 끼고 연속한 하나의 개구(38)를 이룬다.
한편, 교차부(36)의 높이방향의 적어도 일부가 컷아웃되어 있는 것은 컷아웃하는 제조법에 의해 연출면(37)이 제조되어 있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닌, 연출면(37)이 컷아웃된 형상인 것을 의미하고 있다. 컷아웃된 면, 즉, 연출면(37)을 컷아웃이라고도 칭한다.
컷아웃 내, 즉, 연출면(37)에는 도시하지 않은 에어 튜브(33)의 연출부(37a)가 배치되어 있다. 연출부(37a)는 예를 들면, 커넥터 박스(35) 내로부터 연장되는 에어 튜브(33)가 통과하는 개구이고, 연출부(37a)로부터 커넥터 박스(35)의 외부를 향해 에어 튜브(33)가 연출된다. 제1 개구(38a)와 제2 개구(38b)는 모두 연출부(37a)로부터 연출되는 에어 튜브(33)가 통과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각도(θ1, θ2)는 0~90도이다. 이로써, 연출면(37)은 각 측면(35a, 35b)에 대한 각도를 이룬다. 바람직하게는, 각도(θ1, θ2)는 45도, 또는 대체로 45도의 각도이다. 이는 연출부(37a)로부터의 에어 튜브(33)의 연출방향이 제1 측면(35a) 및 제2 측면(35b)에 대하여 이루는 각도가 0~90도, 바람직하게는 45도인 것에 상당한다. 이로써, 측면(35a, 35b) 중 어느 것으로부터 에어 튜브(33)를 접속하는 경우이어도 에어 튜브(33)의 곡률을 크게 할 수 있고, 에어 튜브(33)에 대한 부담을 억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연출면(37)은 제1 개구(38a)의 둘레 가장자리(39a)에서 제1 측면(35a)과 연속하면서, 제2 개구(38b)의 둘레 가장자리(39b)에서 제2 측면(35b)과 연속한다. 즉, 연출면(37)은 양 둘레 가장자리(39a, 39b)에 단차가 없이 연속한다. 바람직하게는, 연출면(37)은 양 측면(35a, 35b)과 일체 성형되어 있다. 이로써, 측면(35a, 35b) 중 어느 측으로부터도 에어 튜브(33)를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음과 함께, 성형이 용이해진다.
커넥터 박스(35)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트 본체(10)에 대하여 착탈 가능한 착탈 부재이다. 커넥터 박스(35)를 매트 본체(10)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함으로써, 커넥터 박스(35)와 매트 본체(10)를 각각 별개로 제조할 수 있다.
도 19는 제3 매트부(13)로부터 커넥터 박스(35)를 떼어낸 상태의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커넥터 박스(35)는 상방 교차부(36a) 및 개구(38A)를 구비한다. 커넥터 박스(35)의 제3 매트부(13)와의 접합면(41)에는 볼록부(42)가 형성되고, 볼록부(42)의 제3 매트부(13) 측의 면에는 제1 커넥터(45)가 마련된다.
제3 매트부(13)의 커넥터 박스(35)와의 접합면(81)에는 볼록부(42)에 대응한 오목부(18)가 형성되고, 오목부(18)의 커넥터 박스(35) 측의 면에는 제1 커넥터(45)와 접합 가능한 제2 커넥터(19)가 마련된다. 바람직하게는, 에어 튜브(33)는 전력 공급용 케이블을 포함하고, 제1 커넥터(45) 및 제2 커넥터(19) 각각, 에어 튜브(33)용 커넥터와 전력 공급용 케이블용 커넥터를 포함한다.
도 20은 제3 매트부(13)와 커넥터 박스(35)의 접합 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설명을 위해 제3 매트부(13)는 높이방향의 대체로 중앙 부근의 수평면에서의 절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커넥터 박스(35)는 상방에서 본 도면이 나타내져 있다.
도면을 참조하여, 제3 매트부(13)의 오목부(18)에는 양 측부에 돌기(18a)가 마련되어 있다. 돌기(18a)는 스프링 구조를 가져서, 세게 눌리면 제3 매트부(13) 내에 저장되고, 누르는 힘이 제거되면 스프링에 의해 오목부(18) 측면으로부터 돌출된 상태로 복귀한다. 커넥터 박스(35)의 양 측면의, 제3 매트부(13)와 결합했을 때에 돌기(18a)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덩이(42a)가 마련되어 있다.
커넥터 박스(35)는 받침판(13e)의 윗면(13g)에 아랫면(35d)이 접한 상태에서 볼록부(42)를 제3 매트부(13)의 오목부(18)에 삽입하면, 오목부(18)의 양 측면에 볼록부(42)의 양 측면이 접한다. 그대로, 양 측면을 접한 상태에서 볼록부(42)를 오목부(18)에, 이들이 감합될 때까지 삽입함으로써, 제1 커넥터(45)와 제2 커넥터(19)가 결합되도록 가이드된다.
제1 커넥터(45)와 제2 커넥터(19)가 결합되는 위치에서 돌기(18a)가 구덩이(42a)에 감합되고, 스프링에 의해 돌기(18a)가 구덩이(42a)에 감합된 상태가 유지된다. 이로써, 제3 매트부(13)와 커넥터 박스(35)의 접합을 확실하게 할 수 있다.
<통신 박스의 구조>
도 21A는 통신 박스(51)의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통신 박스(51)는 제1 매트부(11)의 Y방향의 단부로서, 매트 본체(10)의 모서리부(52A)에 배치된 삼각 기둥 형상의 박스이고, 도 21A는 상방에서 내려다본(-Z방향으로 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통신 박스(51)는 교차부(52)를 통해 인접하는, YZ 평면과 평행한 제1 측면(51a), 및 XZ 평면과 평행한 제2 측면(51b)을 가진다. 제1 측면(51a) 및 제2 측면(51b)은 각각, 제1 매트부(11)의 YZ 평면과 평행한 제1 측면(11a), 및 XZ 평면과 평행한 제2 측면(11b)과 연속한다. 따라서, 제1 측면(51a) 및 제1 측면(11a)이 매트 본체(10)의 YZ 평면과 평행한 제2 측면(10b)에 포함되고, 제2 측면(51b) 및 제2 측면(11b)이 매트 본체(10)의 XZ 평면과 평행한 제3 측면(10e)에 포함되어 있다. 한편, 통신 박스(51)는 제1 매트부(11)와 일체이어도 된다.
통신 박스(51)는 더욱이, 제1 측면(51a) 및 제2 측면(51b)을 끼우는, 제1 매트부(11)의 윗면(11c)과 연속하는 윗면(51c), 및 제1 매트부(11)의 아랫면(11d)과 연속하는 아랫면(51d)을 가진다. 따라서, 윗면(51c) 및 윗면(11c)이 매트 본체(10)의 XY 평면과 평행한 윗면(10c)에 포함되고, 아랫면(51d) 및 아랫면(11d)이 아랫면(10d)에 포함되어 있다.
교차부(52)의 높이방향(Z방향)의 일부이며 윗면(51c)으로부터 소정 두께의 부분(51e)을 제외한 범위는 컷아웃을 구성하고 있다. 즉, 교차부(52)의 높이방향의 윗면(51c)으로부터 소정 두께의 부분(51e)을 제외한 범위가 면(54A)에서 컷아웃되어 있다. 면(54A)은 일례로서, 평면(54A)이다. 면(54A)은 곡면이어도 된다. 평면(54A)은 연출면(54)을 포함하는 면이다. 바꿔 말하면, 윗면(51c)으로부터 소정 두께의 부분(51e)은 가림부(51e)를 구성하고 있다. 가림부(51e)는 연출면(54)부터 교차부(52)까지의 범위에서 제1 측면(51a) 및 제2 측면(51b)과 인접하지 않고 돌출되어 있다.
도 21B는 연출면(54)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매트 본체(10)를 상방에서 내려다본(-Z방향으로 본) 개략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교차부(52)는 제1 측면(51a)에 대하여 각도(θ1), 제2 측면(51b)에 대하여 각도(θ2)를 가지는 평면(54A)에 의해 컷아웃되어 있다. 평면(54A)의 제1 측면(51a) 및 제2 측면(51b)에서 끼이는 범위가 연출면(54)을 구성한다. 바꿔 말하면, 연출면(54)은 교차부(52)보다, 직사각형의 매트 본체(10)의 교차부(52)의 대각을 향하는 방향에 위치하고 있다. 제1 측면(51a)에는 평면(54A)에 컷아웃된 제1 개구(53a)가 형성되고, 제2 측면(51b)에는 평면(54A)에 컷아웃된 제2 개구(53b)가 형성되며, 그들은 교차부(52)를 끼고 연속한 하나의 개구(53)를 이룬다.
한편, 교차부(52)의 높이방향의 적어도 일부가 컷아웃되어 있는 것은, 컷아웃하는 제조법에 의해 연출면(54)이 제조되어 있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닌, 연출면(54)이 컷아웃된 형상인 것을 의미하고 있다. 컷아웃된 면, 즉, 연출면(54)을 컷아웃이라고도 칭한다.
컷아웃 내, 즉, 연출면(54)에는 통신 케이블(57)의 연출부(54a)가 배치되어 있다. 연출부(54a)는 예를 들면, 통신 케이블(57)의 단자(57a)를 착탈 가능한 커넥터이다. 제1 개구(53a)와 제2 개구(53b)는 모두, 연출부(54a)로부터 연출되는 통신 케이블(57)이 통과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각도(θ1, θ2)는 0~90도이다. 이로써, 연출면(54)은 각 측면(51a, 51b)에 대하여 각도를 이룬다. 바람직하게는, 각도(θ1, θ2)는 45도, 또는 대체로 45도의 각도이다. 이는, 연출부(54a)로부터의 통신 케이블(57)의 연출방향이 제1 측면(51a) 및 제2 측면(51b)에 대하여 이루는 각도가 0~90도, 바람직하게는 45도인 것에 상당한다. 이로써, 측면(51a, 51b) 중 어느 것으로부터 통신 케이블(57)을 접속하는 경우이어도 통신 케이블(57)의 곡률을 크게 할 수 있고, 통신 케이블(57)에 대한 부담을 억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연출면(54)은 제1 개구(53a)의 둘레 가장자리(55a)에서 제1 측면(51a)과 연속하면서, 제2 개구(53b)의 둘레 가장자리(55b)에서 제2 측면(51b)과 연속한다. 즉, 연출면(54)은 양 둘레 가장자리(55a, 55b)에 단차가 없이 연속한다. 바람직하게는, 연출면(54)은 양 측면(51a, 51b)과 일체 성형되어 있다. 이로써, 측면(51a, 51b) 중 어느 측으로부터도 통신 케이블(57)을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음과 함께, 성형이 용이해진다.
<커넥터 박스와 통신 박스의 관계>
매트 본체(10)에 커넥터 박스(35)와 통신 박스(51)인 2개의 박스가 마련되는 경우, 그들은 매트 본체(10)의 동일한 측면의 양 측방에 인접하는 두 측면과의 사이에 2개의 모서리부 각각의 부근에 배치된다. 즉, 도 15를 참조하여, 커넥터 박스(35)는 제2 측면(10b)의 +Y 측에 인접하는 제1 측면(10a)과의 사이의 모서리부(36A)에 배치되고, 통신 박스(51)는 -Y 측에 인접하는 제3 측면(10e)과의 사이의 모서리부(52A)에 배치된다. 한편, 이 예에서는 각각 다른 2개의 케이블을 연출하는 2개의 연출부가 동일한 매트 본체(10)에 마련된다고 하고 있는데, 동일한 케이블을 연출하는 2개의 연출부가 동일한 매트 본체(10)에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커버의 구조>
도 22는 커버(60)의 통과 구멍(61)의 제1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커버(60)가 장착되고, 커넥터 박스(35)를 떼어낸 모서리부(36A)의 개략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통과 구멍(61)은 커버(60)를 매트 본체(10)에 장착한 상태에서, 제3 매트부(13)의 커넥터 박스(35)와의 접합면(81)의 둘레 가장자리부(81a)에 둘레 가장자리부(61a)가 겹치지 않는 범위에 커버(60)에 마련된 개구이다. 즉, 통과 구멍(61)의 사이즈는 커넥터 박스(35)보다도 크다. 그 때문에, 연출부(37a)로부터 연출된 에어 튜브(33)가 통과 가능하다. 이로써, 커넥터 박스(35) 장착 시에 커버(60)를 끼워 넣지 않고 커넥터 박스(35)의 제3 매트부(13)에 대한 착탈이 용이해진다.
도 23은 커버(60)의 통과 구멍(61)의 제2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제2 예에서는 통과 구멍(61)에, 커버(60)를 매트 본체(10)에 장착한 상태에서 제3 매트부(13)의 접합면(81)의 둘레 가장자리부(81a)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된 끼움대(62)가 마련되어 있다. 끼움대(62)는 접합면(81)의 둘레 가장자리부(81a)부터 오목부(18)의 둘레 가장자리부(18b)까지의 사이에 존재한다. 바람직하게는, 끼움대(62)는 접합면(81)의 양 측방으로부터 둘레 가장자리부(81a)보다 내측(좌측, 및 우측)에 돌출된 측방 끼움대(62a, 62b)와, 상방으로부터 둘레 가장자리부(81a)보다 내측(하측)에 돌출된 상방 끼움대(62c)를 가진다. 이로써, 커넥터 박스(35) 장착 시에 끼움대(62)가 제3 매트부(13)와 커넥터 박스(35) 사이에 끼워진다. 이로써, 커넥터 박스(35) 장착 후에 커버(60)의 어긋남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한편, 통신 박스(51)가 착탈 부재인 경우, 교차부(52)에 상당하는 위치에 마련된 커버(60)의 통과 구멍(65)(도 15 참조)도, 도 22 및 도 23에 도시된 구성과 동일하게 한다.
한편, 커버(60)는 이른바 박스형에 한정되지 않고, 자루 형상으로 매트 본체(10)를 내포하는 형상이어도 된다. 이 경우, 커버(60)의 측면에는 전체 둘레에 걸쳐 슬라이드 파스너(slide fastener)가 마련된다. 이로써, 커버(60)의 매트 본체(10)에 대한 장착이 용이해진다.
매트 본체(10)의 제2 측면(10b)의 양 단부에는 커넥터 박스(35)와 통신 박스(51)가 각각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게는 전체 둘레에 걸치는 슬라이드 파스너는 커버(60)의 제2 측면(10b)과, 제1 측면(10a), 제3 측면(10e), 및 제4 측면(10f)으로 분할된다. 이로써, 커넥터 박스(35) 및 통신 박스(51) 각각에 케이블이 접속된 상태이어도, 커버(60)의 매트 본체(10)에 대한 장착이 용이해진다.
<실시형태의 효과>
거치형 장치의 일례인 본 실시형태에 따른 수면 장치(100)는 교차부를 끼우는 제1 측면과 제2 측면 중 어느 것에 대하여도 연출부로부터 케이블이 연출 가능하게 구성된 모서리부를 가진다. 구체적으로는 매트 본체(10)의 모서리부의 높이방향의 적어도 일부가 제1 측면 및 제2 측면 양쪽에 대하여 각도를 가지는 평면에 의해 컷아웃되고, 모서리부를 컷아웃한 평면의 제1 측면과 제2 측면에 끼워진 범위의, 매트 본체(10)의 바깥둘레 측의 면이 연출면을 구성하고, 연출부는 연출면에 마련되어 있다. 이로써, 연출부를 연출부(37a) 하나만 가지는 경우이어도, 제1 측면과 제2 측면 중 어느 것에 대하여도 케이블이 연출 가능해진다.
커넥터 박스(35)의 경우, 도 18A를 참조하여, 제1 측면(35a)으로부터는 제1 개구(38a)에 에어 튜브(33)를 삽입통과함으로써, 제2 측면(35b)으로부터는 제2 개구(38b)에 에어 튜브(33)를 삽입통과함으로써, 개구인 연출부(37a)에 에어 튜브(33)를 삽입통과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박스(51)의 경우, 도 21A를 참조하여, 제1 측면(51a)으로부터는 제1 개구(53a)에 통신 케이블(57)을 삽입통과함으로써, 제2 측면(51b)으로부터는 제2 개구(53b)에 통신 케이블(57)을 삽입통과함으로써, 커넥터인 연출부(54a)에 통신 케이블(57)의 단자(57a)를 접속할 수 있다.
어느 측면 측으로부터도 케이블을 연출 가능하게 됨으로써, 어느 한쪽 측면 측이 벽면에 접하도록 매트 본체(10)를 설치해도, 다른 쪽 측면 측으로부터 케이블을 연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케이블의 연출방향에 의한 매트 본체(10)의 설치 제약을 경감할 수 있고, 거실 레이아웃의 자유도를 현격히 향상시킬 수 있다.
연출면(37)이, 연출면(37)을 포함하는 평면이 양 측면(35a, 35b) 각각을 포함하는 두 평면 중 어느 것에도 교차하는 각도에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측면(35a, 35b) 중 어느 측에 에어 튜브(33)를 삽입통과한 경우이어도, 연출부(37a)로부터 연출되는 에어 튜브(33)의 곡률을 크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에어 튜브(33)에 대한 부담을 억제할 수 있다. 이는 통신 박스(51)도 마찬가지이다. 특히, 에어 튜브(33)는 경도가 있고, 또한 내압이 높은 경우가 있기 때문에, 곡률이 작아지면 접속하기 어려워진다. 더욱이, 에어 튜브(33) 내에 전력선이 포함되는 경우에는 에어 튜브(33)의 사이즈가 커지기 때문에, 곡률이 작아지면 접속하기 어려워진다. 그 때문에, 케이블이 에어 튜브(33)인 경우, 보다 효과적이다.
도 1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림부(35e) 및 받침판(13e)이 교차부(36)를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됨으로써, 돌출된 가림부(35e) 및 받침판(13e) 사이에 연출부(37a)가 끼워진다. 이로써, 커넥터 박스(35) 내의 에어 튜브(33) 및 연출부(37a)에 대한 연결 부분이 보호된다. 한편, 도 2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림부(51e)만이 교차부(52)를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아랫면(11d)까지 컷아웃되어 있어도 된다. 이로써, 개구가 형성된 아랫면(11d) 측으로부터도 통신 케이블(57)을 용이하게 연출시킬 수 있다. 한편,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윗면(51c) 및 아랫면(51d) 중 윗면(51c) 측의 가림부(51e)를 돌출한 형상으로 한다. 이로써, 매트 본체(10)의 윗면(10c)에 사용자(P)가 누워 상방으로부터 가중된 경우에도, 연출부(54a)에 대한 직접 가중을 방지할 수 있다. 그로써, 연출부(54a)로부터 연출된 통신 케이블(57)에 대한 데미지를 억제할 수 있다.
한편, 2개의 케이블 각각을 연출하는 2개의 연출부(37a, 54a)가 동일한 매트 본체(10)에 마련되는 경우, 연출부(37a, 54a)를 동일한 측면(10b)의 양 측방에 인접하는 두 측면과의 사이의 2개의 모서리부(36A, 52A) 각각의 부근에 형성함으로써, 측면(10b) 부근 이외의 측면(10a, 10e, 10f) 모두 벽면에 접하도록 설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때문에, 2개의 연출부(37a, 54a)가 마련되는 경우이어도 케이블의 연출방향에 따른 매트 본체(10)의 설치 제약을 경감할 수 있고, 거실 레이아웃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제1 실시형태에서는 매트 본체(10)에 외부로부터 연장되는 케이블을 접속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예를 들면, 리모컨(50)으로부터 연장되는 통신 케이블(57)을 통신 박스(51)에 내장된 연출부(54a)에 접속하는 것 등이 상정되어 있다. 실시형태에 따른 거치형 장치는 일례로서, 외부로부터 연장된 케이블이 접속 가능한 장치이다.
다른 형태로서, 매트 본체(10)로부터 연출한 케이블을 외부 단자에 접속하는 형태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커넥터 박스(35)에 내장된 연출부(37a)로부터 에어 튜브(33)가 연출되고, 연출된 에어 튜브(33)의 반대 측 단부에 마련된 잭을 펌프 박스(32)에 접속하는 형태이어도 된다. 즉, 본체로부터 케이블이 연출되고, 그 케이블을 외부에 접속하는 장치도 포함한다. 따라서, 장치로부터 연출된 케이블은 본체로부터 연장되는 케이블, 및 외부로부터 본체에 접속된 케이블을 포함한다.
[제3 실시형태]
제1 및 제2 실시형태는 거치형 장치의 일례가 수면 장치(100)인 것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거치형 장치는 수면 장치(100)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거치는 바닥면에 대한 설치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벽면, 천장면 등, 어느 하나의 내면에 고정한 설치를 가리킨다. 거치형 장치는 다른 예로서, 냉장고, 거치형 조리기(가스 또는 전기 풍로, 오븐, 전자레인지 등), 세탁기, TV, 에어컨, 조명 기구, 대형 컴퓨터, 복사기, 팩시밀리 송수신기, 각종 공작 기기, 거치형 놀이 기기 등을 들 수 있다.
거치형 장치가 위와 같은 장치이어도, 케이블의 연출부가 모서리부 부근에 내장되면서, 양 측면의 모서리부 부근에 개구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연출부에 어느 측면 측으로부터도 접속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케이블의 연출방향에 따른 장치의 설치 제약을 경감할 수 있고, 레이아웃의 자유도를 현격히 향상시킬 수 있다.
[제4 실시형태]
모서리부를 끼우는 제1 측면 및 제2 측면 중 어느 것에도 케이블을 연출할 수 있는 연출부의 구성은 제1 실시형태에 나타내진, 모서리부의 높이방향의 적어도 일부를 제1 측면 및 제2 측면 양쪽에 대하여 각도를 가지는 평면에 의해 컷아웃한 구성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측면 및 제2 측면 중 어느 것에도 케이블을 연출할 수 있으면 다른 구성이어도 된다.
도 24는 연출부의 구성의 다른 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4는 제4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 박스(51A)의 개략을 나타내고 있다. 도 24를 참조하여, 통신 박스(51A)는 제1 매트부(11)에 마련된 내공(內空)(11H) 내에 Z축과 평행한 축(71)을 중심으로 하여 A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원통 형상의 회전체이다. 원통 형상의, 내공(11H)보다 외측에 위치하고 있는 외주면(外周面)(72)에 연출부(54a)가 마련되어 있다. 연출부(54a)는 예를 들면, 통신 케이블(57)의 단자(57a)를 착탈할 수 있는 커넥터이다. 이로써, 연출부(54a)는 통신 박스(51A)의 A방향의 회전에 따라 제1 측면(11a) 측으로도 제2 측면(11b) 측으로도 향한다. 그 결과, 제1 측면(11a) 및 제2 측면(11b) 중 어느 것에도 통신 케이블(57)을 연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연출부의 구성의 또 다른 예로서, 도 25에 개략이 도시된 구성이어도 된다. 도 25는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 박스(35A)의 개략을 나타내고 있다. 도 25를 참조하여, 커넥터 박스(35A)는 제1 측면(35a) 및 제2 측면(35b) 각각에 연출부(37a, 37b)가 배치되어 있다. 커넥터 박스(35A)에 마련된 연출부(37a, 37b)는 예를 들면, 에어 튜브(33)의 단자(33a)를 착탈할 수 있는 커넥터이다.
커넥터 박스(35A)의 제1 측면(35a)에 연출부(37a), 및 제2 측면(35b)에 연출부(37b)가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제1 측면(35a) 및 제2 측면(35b) 중 어느 것에도 에어 튜브(33)의 단자(33a)를 착탈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용이한 구성으로, 케이블을 어느 측면 측에도 연출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부기>
한편, 본 실시형태의 소정의 국면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거치형 장치가 포함된다. 즉,
(1) 케이블이 접속되는 거치형 장치로서,
제1 측면과, 상기 제1 측면에 모서리부를 통해 인접하는 제2 측면을 가지는 장치 본체와,
상기 장치 본체에 마련된 상기 케이블이 연출되는 연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모서리부는 상기 연출부로부터 상기 제1 측면 및 상기 제2 측면 중 어느 것에도 상기 케이블을 연출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는 거치형 장치.
(2) (1)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부의 높이방향의 적어도 일부에 컷아웃이 구성되고,
상기 연출부는 상기 컷아웃 내에 마련되는 거치형 장치.
(3) (2)에 있어서,
상기 장치 본체는 상기 제1 측면 및 상기 제2 측면을 끼우는 윗면 및 아랫면을 가지며,
상기 높이방향의 적어도 일부의 컷아웃은 상기 윗면으로부터 상기 아랫면까지의 상기 모서리부의 높이방향의 전체 범위 중 상기 윗면 및 상기 아랫면을 제외한 범위의 컷아웃을 포함하는 거치형 장치.
(4) (2)에 있어서,
상기 장치 본체는 상기 제1 측면 및 상기 제2 측면을 끼우는 윗면 및 아랫면을 가지며,
상기 높이방향의 적어도 일부의 컷아웃은 상기 윗면에서 상기 아랫면까지의 상기 모서리부의 높이방향의 전체 범위 중 상기 윗면 및 상기 아랫면 중 어느 한쪽의 면을 제외한 범위의 컷아웃을 포함하는 거치형 장치.
(5) (2)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연출부로부터의 상기 케이블의 연출방향과, 상기 제1 측면 및 상기 제2 측면 각각이 이루는 각도가 대체로 동일한 거치형 장치.
(6)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부를 복수개 구비하고,
상기 복수개의 모서리부 중 제1 모서리부는 상기 제1 측면 및 상기 제2 측면 중 어느 것에도 제1 케이블을 연출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복수개의 모서리부 중 제2 모서리부는 상기 제2 측면과, 상기 제2 측면에 대하여 상기 제2 모서리부를 통해 인접하는 제3 측면 중 어느 것에도 제2 케이블을 연출 가능하게 구성되는 거치형 장치.
(7)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장치 본체는 매트 본체와, 상기 모서리부를 구성하고 상기 매트 본체에 착탈이 자유롭고 상기 연출부를 구비하는 착탈 부재를 가지며,
상기 착탈 부재는 상기 제1 커넥터를 가지며,
상기 매트 본체는 상기 제1 커넥터가 접속되는 제2 커넥터를 가지는 거치형 장치.
(8) (7)에 있어서,
상기 매트 본체 및 상기 착탈 부재는 상기 제1 측면 및 상기 제2 측면 중 어느 것과도 각도를 이루는 접합면을 가지며,
복수개의 상기 접합면 중 한쪽에는 오목부, 다른 쪽에는 볼록부가 마련되고,
상기 오목부 및 상기 볼록부가 감합되어 상기 매트 본체 및 상기 착탈 부재가 상기 접합면에서 접합하도록 구성되는 거치형 장치.
(9) (7) 또는 (8)에 있어서,
상기 매트 본체를 덮고, 상기 연출부로부터 연출되는 상기 케이블이 통과 가능한 통과 구멍을 가지는 커버를 추가로 구비하는 거치형 장치.
(10) (9)에 있어서,
상기 통과 구멍의 사이즈는 상기 착탈 부재보다도 큰 거치형 장치.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10: 매트 본체 10a: 제1 측면
10b: 제2 측면 10c: 윗면
10d: 아랫면 10e: 제3 측면
10f: 제4 측면 11: 제1 매트부
11H: 내공 11L: 매트부
11R: 매트부 11a: 제1 측면
11b: 제2 측면 11c: 윗면
11d: 아랫면 12: 제2 매트부
12L: 매트부 12R: 매트부
13: 제3 매트부 13L: 매트부
13R: 매트부 13a: 제1 측면
13b: 제2 측면 13c: 윗면
13d: 아랫면 13e: 받침판
13f: 아랫면 13g: 윗면
14: 연결부 15: 연결부
16: 수지층 16B: 수지층
16F: 수지층 16H: 수지층
17: 우레탄층 17B: 우레탄층
17F: 우레탄층 17H: 우레탄층
17a: 제1 층 17b: 제2 층
18: 오목부 18A: 산부
18B: 홈부 18a: 돌기
18b: 둘레 가장자리부 19: 제2 커넥터
19A: 제1 부분 19B: 제2 부분
20: 메모리 21A: 산부
21B: 골부 21C: 평면
22A: 산부 22B: 골부
22C: 경사면 22D: 경사면
23B: 경사면 23C: 경사면
23D: 삼각부 23E: 골부
31: 에어셀 31B: 에어셀
31C: 에어셀 31He: 에어셀
31HeL: 에어셀 31HeR: 에어셀
31Hi: 에어셀 31HiL: 에어셀
31HiR: 에어셀 31L: 에어셀
31S: 에어셀 31SL: 에어셀
31SR: 에어셀 31Th: 에어셀
31To: 에어셀 32: 펌프 박스
33: 에어 튜브 33a: 단자
34: 전자 밸브 35: 커넥터 박스
35A: 커넥터 박스 35a: 제1 측면
35b: 제2 측면 35c: 윗면
35d: 아랫면 35e: 가림부
36: 교차부 36A: 모서리부
36a: 상방 교차부 36b: 하방 교차부
37: 연출면 37A: 평면
37a: 연출부 37b: 연출부
38: 개구 38A: 개구
38a: 제1 개구 38b: 제2 개구
39a: 둘레 가장자리 39b: 둘레 가장자리
40: 제어 유닛 41: 접합면
42: 볼록부 42a: 구덩이
43: 제어부 44: 송수신부
45: 제1 커넥터 50: 리모컨
51: 통신 박스 51A: 통신 박스
51a: 제1 측면 5lb: 제2 측면
51c: 윗면 51d: 아랫면
51e: 가림부 52: 교차부
52A: 모서리부 53: 개구
53a: 제1 개구 53b: 제2 개구
54: 연출면 54A: 평면
54a: 연출부 55a: 둘레 가장자리
55b: 둘레 가장자리 56: 스마트폰
57: 통신 케이블 57a: 단자
60: 커버 61: 통과 구멍
61a: 둘레 가장자리부 62: 끼움대
62a: 측방 끼움대 62b: 측방 끼움대
62c: 상방 끼움대 65: 통과 구멍
71: 축 72: 외주면
81: 접합면 81a: 둘레 가장자리부
100: 수면 장치 P: 사용자
θ1: 각도 θ2: 각도

Claims (8)

  1. 쿠션재와,
    상기 쿠션재를 사용자가 지지되는 측의 면인 윗면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굴곡시키기 위한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쿠션재는 상기 윗면의 면내 방향에서의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제1 부분과, 복수개의 상기 제1 부분 사이에서 상기 제1 부분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1 부분보다도 변형되기 쉬운 복수개의 제2 부분을 가지며,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쿠션재의 상기 윗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산부이고,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쿠션재의 상기 윗면에 형성되며 인접하는 상기 산부에 끼인 홈부이며,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윗면에 지지되는 사용자의 신장방향이고,
    상기 산부 및 상기 홈부는 상기 윗면에서 상기 제1 방향에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복수개가 반복 배치되며,
    상기 기구는 상기 쿠션재를 밀어 올리도록 상기 쿠션재의 아랫면 측에 배치되고,
    상기 쿠션재에서 상기 기구에 의해 밀려 올라가는 범위는 상기 제2 방향으로 복수개가 반복 배치된 상기 산부 및 상기 홈부 중 일부인 복수개의 산부 및 복수개의 홈부이고,
    상기 기구에 의해 밀려 올라가는 범위에서의 상기 복수개의 홈부 각각은, 상기 기구에 의해 밀려 올라감으로써 변형되는, 쿠션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제1 방향에 직교하는 절단면이 삼각형상인, 쿠션 장치.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재는 상기 제1 방향에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분할되는, 쿠션 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재는 상기 윗면을 구성하는 제1 층과, 상기 제1 층의 소재보다도 단단한 소재로 성형된 상기 윗면의 이면 측을 구성하는 제2 층을 포함하는 적층 구조인, 쿠션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1 층에 마련되는, 쿠션 장치.
  8. 삭제
KR1020207030258A 2018-05-31 2019-05-30 쿠션 장치 및 쿠션재 KR1026555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105617A JP2019208699A (ja) 2018-05-31 2018-05-31 クッション装置及びクッション材
JPJP-P-2018-105617 2018-05-31
JP2018153831A JP2020028313A (ja) 2018-08-20 2018-08-20 据置型装置
JPJP-P-2018-153831 2018-08-20
PCT/JP2019/021461 WO2019230865A1 (ja) 2018-05-31 2019-05-30 クッション装置及びクッション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6512A KR20210016512A (ko) 2021-02-16
KR102655583B1 true KR102655583B1 (ko) 2024-04-09

Family

ID=68696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0258A KR102655583B1 (ko) 2018-05-31 2019-05-30 쿠션 장치 및 쿠션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102655583B1 (ko)
CN (1) CN112004442A (ko)
TW (1) TW202002856A (ko)
WO (1) WO2019230865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8795B2 (ja) * 1997-09-11 2000-04-04 株式会社佐竹製作所 粉粒体の混合装置
JP3101827B2 (ja) * 1991-04-18 2000-10-23 バラン ジャン−ピエール 歯の付着物及び汚れの除去用器具
JP2007014415A (ja) * 2005-07-05 2007-01-25 Atex Co Ltd エアーマッサージベッド
JP2011516117A (ja) * 2008-03-28 2011-05-26 ネガース,ヨハネス・コーネリス・マリア 波形に支持表面を適合させるためのアセンブリ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300C (zh) * 1990-12-19 1999-05-12 黄英俊 具单面凹穴与立体支撑架构之缓冲护件及其组合结构
JP3028795U (ja) * 1996-03-06 1996-09-13 六之丈 石田 ロール可能な波形クッション
JP3101827U (ja) * 2003-11-21 2004-06-24 株式会社アテックス ベッドの就寝枠
JP5030393B2 (ja) * 2004-05-28 2012-09-19 株式会社シーエンジ ベッド用クッション及びその製造方法
JP4531453B2 (ja) * 2004-06-16 2010-08-25 アキレス株式会社 上半身受け用クッションマット
CN2870903Y (zh) * 2006-02-21 2007-02-21 青岛康顿钢塑制品发展有限公司 健身运动垫
CN102784040A (zh) * 2012-08-10 2012-11-21 李双喜 自动翻身褥疮垫
JP2017093549A (ja) * 2015-11-19 2017-06-01 株式会社ナム 多目的布製品
JP2017143939A (ja) 2016-02-16 2017-08-24 ファミリーイナダ株式会社 マッサージ機
CN107411428A (zh) * 2017-08-25 2017-12-01 上海右辟贸易有限公司 一种多功能充气床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1827B2 (ja) * 1991-04-18 2000-10-23 バラン ジャン−ピエール 歯の付着物及び汚れの除去用器具
JP3028795B2 (ja) * 1997-09-11 2000-04-04 株式会社佐竹製作所 粉粒体の混合装置
JP2007014415A (ja) * 2005-07-05 2007-01-25 Atex Co Ltd エアーマッサージベッド
JP2011516117A (ja) * 2008-03-28 2011-05-26 ネガース,ヨハネス・コーネリス・マリア 波形に支持表面を適合させるためのアセンブリ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230865A1 (ja) 2019-12-05
KR20210016512A (ko) 2021-02-16
CN112004442A (zh) 2020-11-27
TW202002856A (zh) 2020-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74861B (zh) 一種包括間隔織物的床墊及其相關方法
CA2538916C (en) Pillow
EP2422656A1 (en) Mattress
KR100795430B1 (ko) 침대용 매트리스
KR102655583B1 (ko) 쿠션 장치 및 쿠션재
JP2001161505A (ja) マットレス芯及びマットレス
KR20070091271A (ko) 가구에 손잡이를 형성하는 시스템 및 방법
JP2023086928A (ja) クッション装置及びクッション材
KR101818091B1 (ko) 매트리스 구조체
KR101603949B1 (ko) 하이브리드 쿠션 어셈블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859136B1 (ko) 쿠션시트를 이용한 침대매트리스
KR20170000971U (ko) 발포소재 접이식 매트리스
JP2019213653A (ja) クッション装置及びクッションの表面部材
US20190254447A1 (en) Pillow apparatus and system
KR102397410B1 (ko) 개인 맞춤형 수면 환경 조절이 가능한 매트리스 코어
KR101761157B1 (ko) 체압 분산 매트
JP2020028313A (ja) 据置型装置
JP3003113B2 (ja) クッションマット
JP3537402B2 (ja) スプリング装置
JP2010017522A (ja) マットレス装置
KR200388949Y1 (ko) 침대 매트리스용 지압부재
KR101942469B1 (ko) 전동침대용 메트리스
JP3003112B2 (ja) クッションマット
KR20040076967A (ko) 침대용 매트리스
JP2017143939A (ja) マッサージ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