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5573B1 - 피스톤 시스템 및 피스톤 시스템을 이용한 고압 균질기 - Google Patents

피스톤 시스템 및 피스톤 시스템을 이용한 고압 균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5573B1
KR102655573B1 KR1020207016183A KR20207016183A KR102655573B1 KR 102655573 B1 KR102655573 B1 KR 102655573B1 KR 1020207016183 A KR1020207016183 A KR 1020207016183A KR 20207016183 A KR20207016183 A KR 20207016183A KR 102655573 B1 KR102655573 B1 KR 1026555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elastomeric
particles
slurry
particle siz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61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4022A (ko
Inventor
데인 페라리스
리차드 레그
아흐메드 아보엘페투 요셉
베른 로리
Original Assignee
사빅 글로벌 테크놀러지스 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빅 글로벌 테크놀러지스 비.브이. filed Critical 사빅 글로벌 테크놀러지스 비.브이.
Publication of KR202000840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40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55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55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79/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monomers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as defined in group C08F36/00
    • C08F279/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monomers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as defined in group C08F36/00 on to polymers of conjugated die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15/00Pumps adapted to handle specific fluids, e.g. by 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for pumps or pump parts
    • F04B15/02Pumps adapted to handle specific fluids, e.g. by 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for pumps or pump parts the fluids being viscous or non-homogeneo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5/00Flow mixers; Mixers for falling materials, e.g. solid particles
    • B01F25/40Static mixers
    • B01F25/44Mixers in which the components are pressed through sl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5/00Flow mixers; Mixers for falling materials, e.g. solid particles
    • B01F25/40Static mixers
    • B01F25/45Mixers in which the materials to be mixed are pressed together through orifices or interstitial spaces, e.g. between beads
    • B01F25/451Mixers in which the materials to be mixed are pressed together through orifices or interstitial spaces, e.g. between beads characterised by means for moving the materials to be mixed or the mixture
    • B01F25/4512Mixers in which the materials to be mixed are pressed together through orifices or interstitial spaces, e.g. between beads characterised by means for moving the materials to be mixed or the mixture with reciprocating pist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53/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23/00 or F04B39/00 - F04B47/00
    • F04B53/08Cooling; Heating; Preventing freez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53/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23/00 or F04B39/00 - F04B47/00
    • F04B53/16Casings; Cylinders; Cylinder liners or heads; Fluid connections
    • F04B53/162Adaptations of cylin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53/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23/00 or F04B39/00 - F04B47/00
    • F04B53/18Lubric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2805Mixing plastics, polymer material ingredients, monomers or oligo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215/00Auxiliary or complementary information in relation with mixing
    • B01F2215/04Technical information in relation with mixing
    • B01F2215/0413Numerical information
    • B01F2215/0418Geometrical information
    • B01F2215/0431Numerical size values, e.g. diameter of a hole or conduit, area, volume, length, width, or ratio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ubricants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 Reciprocating Pumps (AREA)
  • Accessories For Mix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균질기에 사용하기 위한 피스톤 시스템(1)에 관한 것으로, 상기 피스톤 시스템(1)은 피스톤 시스템의 사용 시에 왕복 움직임을 하도록 구성 및 배열된 피스톤(2), 피스톤의 적어도 제1 부분을 수용 및 가이딩 하도록 구성 및 배열된 실린더(3), 사용 시에 실린더 내부에 배열되어 있는 피스톤의 제1 부분의 일부(10)에 윤활 매체(9)를 공급하도록 구성 및 배열된 제1 공급 채널(8), 및 사용 시에 실린더의 외부에 있는 피스톤의 제2 부분에 냉각 매체(14)를 공급하도록 구성 및 배열된 제2 공급 채널(13)을 포함한다. 탄성중합체 응집체 조성물을 생산하기 위한 공정이 또한 개시되어 있으며, 이때 상기 공정은 피스톤 시스템을 이용하여 개구부를 통해 탄성중합체 입자를 포함하는 슬러리를 밀어 넣어 탄성중합체 응집체 조성물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피스톤 시스템 및 피스톤 시스템을 이용한 고압 균질기
본 발명은 피스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 같은 피스톤 시스템을 이용하여 탄성중합체 응집체 조성물을 생산하기 위한 공정에 관한 것이다.
열가소성 공중합체의 분야에서, 하나 이상의 탄성중합체 상(들) 및 하나 이상의 열가소성 상(들)을 포함하는 특정 공중합체는 상당한 상업적 및 기술적 가치를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같은 다중 상의 존재로 인해 각각의 상에 존재하는 재료의 바람직한 물성을 단일 중합체 시스템에 도입하기 위한 수단이 제공된다. 이 같은 공중합체는 매우 바람직한 물성 균형을 갖출 수 있어서, 이들은 매우 다양한 응용으로의 변환에 유용하게 된다. 예를 들어, 이 같은 공중합체는 재료 물성, 예를 들어 바람직한 충격 강도, 인장 강도 및 굴곡 탄성율을 비롯한 기계적 물성; 열변형 온도와 같은 열적 물성; 사출 성형을 통한 성형성과 같은 가공 물성; 및 표면 광택 및 내스크래치성과 같은 광학 물성의 바람직한 균형을 나타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탄성중합체 상(들) 및 하나 이상의 열가소성 상(들)을 포함하는 이 같은 공중합체는, 예를 들어 코어-쉘 공중합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문맥에서, 코어-쉘 공중합체는 열가소성 재료의 매트릭스에 분산되어 있는 탄성중합체 입자를 포함하는 공중합체, 특히 열가소성 재료의 특정 일부가 탄성중합체 입자의 표면에 화학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열가소성 재료의 매트릭스에 분산되어 있는 탄성중합체 입자를 포함하는 공중합체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 같은 코어-쉘 공중합체는, 예를 들어 특정 탄성중합체 입자를 특정 단량체와 반응시킴으로써 생산될 수 있으며, 이때 단량체 둘 모두는 서로 반응하여 열가소성 재료를 형성할 뿐만 아니라 탄성중합체 입자와 반응하여 탄성중합체 입자에 화학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열가소성 재료의 중합체 구조를 형성한다. 이는, 열가소성 상을 형성하는 열가소성 재료가 탄성중합체 상과 상용성임을 보장한다. 이 같은 상용성은 탄성중합체 상(들) 및 열가소성 상(들)의 상 분리가 일어나지 않으면서도 용융 가공을 가능케 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탄성중합체 입자를 이용하여 생산될 수 있는 잘 알려져 있는 유형의 코어-쉘 공중합체는 추가로 ABS 공중합체로도 지칭되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이다. 이 같은 ABS 공중합체는, 예를 들어 폴리부타디엔 입자가 탄성중합체 입자로서 작용하는 유화 중합 공정에 의해 생산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탄성중합체 입자는 단량체(스티렌 및 아크릴로니트릴을 포함함)를 포함하는 혼합물과 반응하여 ABS 공중합체를 형성할 수 있다.
이 같은 코어-쉘 공중합체의 기타 예로는 메타크릴레이트 부타디엔 스티렌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 스티렌 부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및 스티렌 부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이 같은 코어-쉘 공중합체의 재료 물성의 목적하는 균형을 구현하기 위해, 코어-쉘 공중합체의 생산 공정에서 사용되는 탄성중합체 입자가 특정 평균 입자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예를 들어 폴리부타디엔, 폴리(스티렌-부타디엔),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및 폴리(부틸 아크릴레이트)와 같은 탄성중합체의 생산 공정에 의해 흔히 이 같은 목적하는 평균 입자 크기보다 작은 평균 입자 크기를 갖는 탄성중합체 입자가 얻어진다.
따라서, ABS 공중합체와 같은 코어-쉘 공중합체의 생산에서 사용하기에 바람직한 평균 입자 크기를 갖는 탄성중합체 입자를 수득하기 위해, 평균 입자 크기를 증가시키는 방식으로 이 같은 탄성중합체 입자를 생산하기 위한 공정으로부터 수득된 탄성중합체 입자를 개질할 필요성이 있다.
DE 10 2014 104 050는 입자 크기의 감소에 관한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균질화 단위, 및 균질화 단위에 연결되어 장치의 특히 신뢰 가능한 작동을 가능케 하기 위한 피스톤 펌프 장치를 갖는 유체 물질용 균질화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균질화된 생성물 내의 입자는 출발 생성물에서보다 작다. 균질화된 생성물은 냉각용으로 사용된다.
이 같은 탄성중합체 입자의 평균 입자 크기를 증가시키는 몇몇 방법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탄성중합체 입자에는 초기 탄성중합체 입자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었던 단량체(들)를 이용한 추가적인 중합 단계가 적용될 수 있다. 이는 직접 성장 접근법으로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방법의 단점은, 본 발명에 따른 코어-쉘 공중합체의 생산에 사용하는데 요구되는 평균 입자 크기를 갖는 탄성중합체 입자를 생산하는데 필요한 중합 시간이 상당히 더 길다는 것이다.
또 다른 방법은, 초기 탄성중합체 입자를 화학물질(예를 들어, 아크릴산)과 반응시켜 화학적으로 응집된 탄성중합체 입자를 생산하는 것과 같은 화학적 응집에 의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의 단점은, 이러한 방법에 의해 코어-쉘 공중합체의 최종 물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불순물이 도입될 수 있다는 것이다.
목적하는 평균 입자 크기를 갖는 탄성중합체 입자를 구현하기 위한 세 번째 방법은, 입자가 융합하여 탄성중합체성 응집체 조성물을 형성하려는 이 같은 특성의 압력이 초기 탄성중합체 입자에 적용되는 가압 응집에 의한 것이다. 이 같은 방법은 비교적 빠를 수 있으며, 이 같은 방법에 의해 어떠한 추가적인 불순물도 탄성중합체 입자 내로 도입되지 않는 것이다. 따라서, 이는,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코어-쉘 공중합체, 예를 들어 ABS 공중합체의 생산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탄성중합체 입자를 제공할 목적으로 탄성중합체 입자의 평균 입자 크기를 증가시키기 위한 바람직한 방법이다.
가압 응집 방법은 개구부를 통해 탄성중합체 입자를 포함하는 콜로이드성 분산액(슬러리도로 지칭됨)을 밀어 넣는 단계를 포함한다. 개구부를 통해 슬러리를 밀어 넣기 위해서는 전형적으로 피스톤 시스템이 사용된다. 피스톤 시스템의 피스톤의 왕복 운동에 의해 마찰이 야기되며, 이로 인해 피스톤 시스템의 구성성분, 예를 들어 패킹 너트(packing nut), 패킹 링(packing ring) 및 탄성 요소(예를 들어, 압축 링)의 마모를 초래하며, 이로 인해 이들 구성성분의 주기적인 교환이 요구된다. 상술한 구성성분의 교환 빈도를 줄이기 위해, 기존의 피스톤 시스템은 피스톤 시스템을 사용하는 동안에 피스톤을 냉각시키기 위해 피스톤에 임의의 적합한 냉각 매체, 예를 들어 물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 채널을 갖는다. 이 같은 피스톤 시스템이 일부 상황에서 만족스러울지라도, 당업계에서는 빈번한 유지보수가 불필요한 피스톤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도 1은 물이 냉각제 및 윤활유 둘 모두로서 사용되는 가압 응집용 피스톤 시스템의 일례에 대한 모식도이다.
도 2는 가압 응집용 피스톤 시스템의 다른 일례에 대한 모식도이다.
도 3은 피스톤의 왕복 움직임을 시작하기 이전의 도 2의 피스톤 시스템의 모식도이다.
도 4는 피스톤의 왕복 움직임이 시작되고 냉각 매체가 적용될 때의 도 2의 피스톤 시스템의 모식도이다.
도 5는 개구부를 통해 슬러리를 밀러 넣을 때 피스톤 행정에 의한 작동 중인 도 2의 피스톤 시스템의 모식도이다.
본원에는 균질기(예를 들어, 고압 균질기)에서 사용하기 위한 피스톤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으며, 이때 상기 피스톤 시스템은,
- 피스톤 시스템의 사용 시에 왕복 움직임을 하도록 구성 및 배열된 피스톤,
- 피스톤의 적어도 제1 부분을 수용 및 가이딩 하도록 구성 및 배열된 실린더,
- 사용 시에 실린더 내부에 배열되어 있는 피스톤의 제1 부분의 일부에 윤활 매체를 공급하도록 구성 및 배열된 제1 공급 채널, 및
- 사용 시에 실린더의 외부에 있는 피스톤의 제2 부분에 냉각 매체를 공급하도록 구성 및 배열된 제2 공급 채널을 포함한다.
탄성중합체 응집체 조성물을 생산하기 위한 공정이 또한 개시되어 있으며, 이때 상기 공정은 피스톤 시스템 또는 고압 균질기를 이용하여 개구부를 통해 (바람직하게는 수중의) 탄성중합체 입자를 포함하는 슬러리를 밀어 넣어 탄성중합체 응집체 조성물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공정은 연속 공정이다.
피스톤 시스템은 사용 시에 실린더 내부에 배열되어 있는 피스톤의 제1 부분의 일부에 윤활 매체, 예를 들어 그리스(grease)를 공급하도록 구성 및 배열된 제1 공급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피스톤 시스템은 또한 사용 시에 피스톤의 제2 부분이 실린더의 외부에 있을 때 피스톤의 제2 부분에 냉각 매체, 예를 들어 물을 공급하도록 구성 및 배열된 제2 공급 채널을 포함한다.
피스톤 시스템 및 방법에서는 탄성중합체 응집체 조성물을 생산하는 분야에서 특히 심각한 문제가 해결된다. 탄성중합체 응집체 조성물을 생산하기 위한 공정에서, 소량의 슬러리가 작동 중에 피스톤과 압축 링 사이의 작은 간극 내로 들어간다. 피스톤에 의해 이동하는 슬러리는, 예를 들어 우유와는 달리 점착성이 있다(예를 들어, 이는 응집한다). 슬러리의 점착 특성으로 인해 이는 간극 내에 남아 있게 된다. 이로 인해 피스톤 시스템의 구성성분, 특히 압축 링과 같은 탄성 구성성분의 마찰 및 보다 빠른 열화가 야기된다. 또한, 시스템의 플러깅(plugging) 및 점착성 슬러리의 증강에 의해 생산율의 감소가 야기된다. 이는, 공정이 수중의 탄성중합체 입자를 포함하는 슬러리가 개구부를 통해 연속적으로 밀려들어가는 연속 공정인 경우에 특히 심각한 문제이다. 공정이 중단될 수 있으며, 장기간의 고장 시간을 겪을 수 있다. 따라서 본원에 개시되어 있는 피스톤 시스템은 탄성중합체 응집체 조성물, 예를 들어 점착성 슬러리를 생산하는데 특히 유용하다.
윤활 매체는 마찰을 감소시킨다. 윤활 매체가 실린더 밖으로 이동함에 따라 피스톤의 왕복 운동은 윤활 매체를 회수하여 피스톤의 길이(제1 부분, 제2 부분 및 제3 부분) 전체에 윤활 매체를 적용한다. 윤활 매체를 피스톤에 적용할 수 있다. 피스톤의 제2 부분이 실린더 밖으로 이동하여 슬러리 챔버로부터 멀어짐에 따라(도 3 및 도 4 참조), 이는 슬러리 윤활 매체를 챔버로부터 멀어지게 견인한다. 피스톤이 챔버에 다시 들어감에 따라 윤활 매체는 피스톤의 제2 부분에 적용된다.
냉각 매체, 예를 들어 물은 왕복 운동의 마찰로 인해 가열되었던 피스톤을 냉각시킨다. 적용 가능한 냉각 매체의 양은 냉각 매체가 피스톤의 제2 부분에만 적용되기 때문에 제한되지 않는다. 사용 시에, 피스톤 시스템의 제2 부분은 실린더 밖으로 나갔다가 실린더에 다시 들어간다.
냉각 매체는 피스톤으로부터의 특정 거리에서 제2 공급 채널의 유출구로부터 적용된다. 제2 공급 채널의 유출구는 실린더 외부에 위치하며, 따라서 냉각 매체는 실린더 외부에 있는 제2 공급 채널을 빠져 나간다. 이로 인해, 냉각 매체는 실린더 외부에 있는 피스톤의 일부에 적용된다. 이로 인해 열 분산이 개선되며, 피스톤이 왕복 운동을 할 때마다 피스톤 시스템의 실린더에 다시 들어감에 따라 피스톤이 항상 냉각된다는 것이 보장된다.
윤활 매체의 공급은 일정하거나 간헐적일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제1 공급 채널은 적어도 2개의 유입 분기(inlet branch)를 포함한다. 적어도 2개의 유입 분기 중 제1 유입 분기는 윤활 매체의 수동 공급을 가능케 하도록 구성 및 배열된 제1 윤활유 공급 시스템과 연결될 수 있다. 윤활 매체의 수동 공급은 피스톤의 왕복 움직임을 시작하기 이전에 충분한 양의 윤활 매체가 이용 가능하다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적어도 2개의 유입 분기 중의 제2 유입 분기는 윤활 매체의 자동 공급을 가능케 하도록 구성 및 배열된 제2 윤활유 공급 시스템과 연결될 수 있다.
고압이 사용될지라도 어떠한 윤활 매체도 생성물 내로 들어가지 않는다는 것이 보장된다. 이로 인해 윤활 매체가 반대 방향으로 밀려날 때 생성물이 오염되는 것이 방지된다.
본 발명은 도 2 내지 도 5에 예시된 실시형태를 참고하여 추가로 설명된다. 도 2 내지 도 5는 피스톤 시스템(1)의 예시적이고 비제한적인 실시형태의 단면도를 보여준다. 피스톤 시스템(1)은 실린더(3) 내에서의 피스톤 시스템(1)의 사용 시에 왕복 움직임을 하도록 구성 및 배열된 피스톤(2)을 포함하며, 이때 상기 실린더(3)는 피스톤(2)의 적어도 제1 부분(15)을 수용 및 가이딩 하도록 구성 및 배열되어 있다. 실린더(3)에는 피스톤(2)의 제1 부분(15)을 꼭 맞게 수용하도록 구성 및 배열된 패킹 너트(4)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실린더(3)에는 피스톤(2)의 제1 부분(15) 및 제3 부분(17)을 꼭 맞게 수용하도록 구성 및 배열된 2개(또는 그 이상)의 패킹 링(5 및 6)이 구비되어 있다. 압축 링으로서 작용하는 탄성 요소(7)는 2개의 패킹 링(5 및 6) 사이에 배열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피스톤 시스템(1)은 또한 사용 시에 실린더(3) 내부에 배열되어 있는 피스톤(2)의 제1 부분(15)의 일부(10)에 윤활 매체(9), 예를 들어 그리스를 공급하도록 구성 및 배열된 제1 공급 채널(8)을 포함한다. 제1 공급 채널(8)은 2개의 유입 분기(11 및 12)를 포함한다. 제1 유입 분기(11)는 윤활 매체(9)의 수동 공급을 가능케 하도록 구성 및 배열된 제1 윤활유 공급 시스템(미도시)과 연결되어 있다. 제2 유입 분기(12)는 윤활 매체(9)의 자동 공급을 가능케 하도록 구성 및 배열된 제2 윤활유 공급 시스템(미도시)과 연결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피스톤 시스템(1)은 또한 피스톤 시스템의 사용 시에 실린더(3) 밖으로 이동했다가 실린더에 다시 들어가는 피스톤(2)의 제2 부분(16)에 냉각 매체(14), 예를 들어 물을 공급하도록 구성 및 배열된 제2 공급 채널(13)을 포함한다. 다시 말해, 실린더는 블록 전체 밖으로 이동하며, 냉각 매체는 피스톤(2) 상에 적용(예를 들어, 분무)된다. 바람직하게는, 냉각 매체는 폐쇄 시스템의 일부, 예를 들어 냉각 블록의 일부가 아니다. 슬러리는 냉각 매체로서 사용되지 않는다. 냉각 매체 및 슬러리는 서로 다른 것이다.
도 2는 사용되지 않는 피스톤 시스템(1)의 단면도를 보여준다.
도 3은 피스톤(2)의 왕복 움직임을 시작하기 이전의 피스톤 시스템(1)의 단면도를 보여준다. 윤활 매체(9)는 제1 공급 채널(8)의 제1 유입 분기(11)를 통해 수동으로 공급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피스톤(2)의 왕복 움직임을 시작하기 이전에 충분한 양의 윤활 매체(9)가 이용 가능하다는 것이 보장된다. 윤활 매체(9)는 실린더(3) 내부에 배열되어 있는 피스톤(2)의 제1 부분의 일부(10)에 제공된다.
또한, 냉각 매체(14)는, 예를 들어 피스톤(2)의 제2 부분(16)이 실린더(3) 외부에 있는 경우에 피스톤(2)의 제2 부분(16)에 공급된다. 이는 수동 또는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는 피스톤(2)의 왕복 움직임에 의해 피스톤이 실린더(3) 내로 다시 이동하기 시작할 때의 피스톤 시스템(1)의 단면도를 보여준다. 제2 공급 채널(13)에 의해 공급되는 냉각 매체(14)는 패킹 너트(4)를 빠져 나오고/나오거나 패킹 너트(4)를 지나서 실린더(3)에 다시 들어갈 때 피스톤(2)의 제2 부분(16) 위로 유동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피스톤(2)은 작동 중에 마찰에 의해 발생한 열로부터 냉각된다. 냉각 매체(14)는 제거될 필요가 있는 열의 양에 따라 연속적 또는 간헐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윤활 매체(9)는 제1 공급 채널(8)의 제2 유입 분기(12)를 통해 자동으로 공급될 수 있다. 윤활 매체(9)는 필요로 하는 윤활 정도에 따라 연속적 또는 간헐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게다가, 도 3 및 도 4는 피스톤(2)의 제1 부분(15)의 일부(10)에 제공되는 윤활 매체(9)가 패킹 너트(4)의 방향으로, 즉 탄성중합체 응집체 조성물로부터 멀어지게 피스톤(2)의 표면 상으로 확산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는,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도 4에서의 윤활 매체(9)를 포함하는 영역에 대한 도 3에서의 윤활 매체(9)를 포함하는 영역으로 나타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윤활 매체(9)에 의한 탄성중합체 응집체 조성물의 오염을 피할 수 있다.
도 5는 작동 중인 피스톤 시스템(1)의 단면도를 보여준다. 냉각 매체(14)는 패킹 너트(4)를 빠져 나와 작동 중에 마찰에 의해 발생한 열을 제거할 때 피스톤(2)의 제2 부분(16) 위로 유동한다.
윤활 매체(9)는 제1 공급 채널(8)의 제2 유입 분기(12)를 통해 자동으로 공급된다. 윤활 매체(9)는 필요로 하는 윤활 정도에 따라 연속적 또는 간헐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게다가, 도 5는 윤활 매체(9)가 피스톤(2)의 표면을 가로질러 확산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러나, 제2 패킹 링(6)에서 탄성중합체 응집체 조성물과 접촉하는 피스톤(2)의 말단 부분까지 연장되어 있는 피스톤(2)의 표면에는 실질적으로 윤활 매체(9)가 남아 있지 않다. 이로 인해, 윤활 매체(9)에 의한 탄성중합체 응집체 조성물의 오염을 피할 수 있다. 또한, 윤활 매체가 그리스인 경우, 이는 피스톤에 걸쳐져 있어 오염을 억제한다.
탄성중합체 입자의 입자 크기를 증가시키기 위한 공정은 (a) 수중의 탄성중합체 입자를 포함하는 슬러리를 제공하는 단계, 및 (b) 개구부를 통해 슬러리를 밀어 넣어 탄성중합체 응집체 조성물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시 말해, 슬러리 공급장치(19)는 바람직하게는 피스톤의 제2 부분(16)이 실린더를 빠져 나감에 따라 슬러리 챔버(18)에 슬러리(20)를 공급한다. 피스톤이 왕복 운동을 함에 따라 피스톤의 제2 부분(16)은 실린더에 다시 들어가고, 피스톤의 제3 부분(17)은 슬러리 챔버에 다시 들어가서, 슬러리(20)을 가압하여 슬러리를 슬러리 챔버(화살표 21) 밖으로 밀어낸다. 슬러리(21)은 균질기(23)(예를 들어, 고압 균질기) 내의 개구부(22)를 통해 밀려들어가 슬러리 챔버에 들어가 있는 슬러리 내의 탄성중합체 입자보다 큰 입자 크기를 갖는 탄성중합체 응집체 조성물을 형성할 수 있다.
슬러리 (예를 들어, 콜로이드성 분산액)
공정에서 사용되는 탄성중합체 입자는 폴리부타디엔 입자, 폴리(스티렌부타디엔) 입자,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입자, 폴리부틸아크레이트 입자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또는 이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스티렌부타디엔) 입자는 부타디엔에서 유래하는 단위를 적어도 50 중량%, 적어도 60 중량%, 적어도 70 중량%, 적어도 80 중량% 또는 적어도 90 중량%로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탄성중합체 입자는 폴리부타디엔 입자, 부타디엔에서 유래하는 단위를 적어도 50 중량%로 포함하는 폴리(스티렌부타디엔) 입자,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입자, 폴리부틸아크레이트 입자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또는 이들로 이루어져 있다). 탄성중합체 입자가 폴리(스티렌부타디엔) 입자를 포함하는 경우, 폴리(스티렌부타디엔) 입자는 바람직하게는 부타디엔에서 유래하는 단위를 적어도 60 중량%, 적어도 70 중량%, 적어도 80 중량% 또는 적어도 90 중량%로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탄성중합체 입자는 폴리부타디엔 입자이다.
균질화 이전의 탄성중합체 입자는 바람직하게는 최대 150 ㎚, 보다 바람직하게는 최대 130 ㎚ 또는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최대 120 ㎚, 예를 들어 80 ㎚ 내지 120 ㎚의 평균 입자 크기를 갖는다. 이 같은 탄성중합체 입자를 사용하면 탄성중합체 입자를 수득하기 위해 단량체의 장기간 중합에 대한 요구가 불필요하다는 이점이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평균 입자 크기는 ISO 9276-2:2014에 따라 측정할 때 D50 입자 크기인 것으로 이해된다.
탄성중합체 입자의 입자 크기 분포가 중요한 것은 아니지만, 전형적으로 슬러리 내에서 214 ㎚보다 작은 입자 크기를 갖는 입자의 부피 분율은 적어도 90%이다.
슬러리는 슬러리의 총 중량에 대해 탄성중합체 입자를 적어도 20 중량%,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0 중량% 및 최대 7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0 중량% 및 최대 60 중량%,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0 중량% 및 최대 5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슬러리는 슬러리의 총 중량에 대해 탄성중합체 입자를 적어도 20 중량%,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0 중량% 및 최대 7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0 중량% 및 최대 60 중량%,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0 중량% 및 최대 50 중량%로 포함하며, 이때 탄성중합체 입자는 폴리부타디엔 입자로 이루어져 있다.
슬러리는 바람직하게는 수성 유화액이다. 슬러리는 슬러리가 수성 유화액의 형태임을 보장하기 위한 유화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 같은 수성 유화액은 또한 라텍스로도 지칭될 수 있다. 의심의 여지를 없애기 위해, 본원에서는 유화제를 화학 응집제로서 고려하지 않는다.
유화제의 양은, 예를 들어 슬러리의 총 중량에 대해 0.05 중량% 내지 15%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중량% 내지 10 중량%, 0.2 중량% 내지 5 중량% 또는 0.5 중량% 내지 3 중량%일 수 있다.
가능한 유화제의 예로는 당업자에게 알려져 있는 이들 유화제가 있고, 이들은 흔히 수성 유화 중합의 문맥에서 분산제로서 이용되며; 이 같은 유화제는, 예를 들어 문헌[Houben-Weyl, Methoden der organischen Chemie, Volume XIV/1, Makromolekulare Stoffe [Macromolecular substances], Georg-Thieme-Verlag, Stuttgart, 1961, pp. 411~420]에 기술되어 있다. 음이온성, 양이온성 및 비이온성 유화제가 가능하다. 음이온성 유화제의 사용이 바람직하며, 특히 비누의 사용이 바람직하다. 음이온성 유화제(E)의 예로는, 예를 들어 알칼리 금속(예를 들어, Na 및 K), 암모늄, 휘발성 아민(예를 들어, 트리에틸아민 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모르폴린 등) 및 2가 및 3가 양이온(예를 들어, 칼슘, 마그네슘, 알루미늄 등)을 갖는 C8-C18 지방산의 염이 있다. 추가적인 음이온성 유화제의 예로는 알킬설페이트(알킬: C8-C22), 에톡실화 알칸올(EO 단위: 2개 내지 50개, 알킬: C12-C18) 및 에톡실화 알킬페놀(EO 단위: 3개 내지 50개, 알킬: C4-C9)을 갖는 황산 모노에스테르, 알킬설폰산(알킬: C12-C18) 및 알킬아릴설폰산(알킬: C9-C18)의 알칼리 금속 및 암모늄 염이 있다. 부가적인 유화제는 문헌[Houben-Weyl, 인용한 텍스트에서의 pp. 192~208]에 제시되어 있다. 바람직한 유화제로는 팔미트산, 마르가린산, 스테아르산, 팔미톨레산 및 올레산의 나트륨 또는 칼륨 비누, 및 수지 비누(수지산염(resinate)), 예를 들어 리시놀산, 아비에트산 및 피마르산의 나트륨 및 칼륨 염 등이 있다. 우지 지방산의 칼륨 염 또는 올레산칼륨이 바람직한 유화제로 사용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슬러리는 화학 응집제를 포함한다. 슬러리 내에 화학 응집제가 존재하면 응집체의 크기 증가가 조장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슬러리에는 실질적으로 화학 응집제가 없다. 이로 인해 탄성중합체 응집체 조성물로 만들어진 코어-쉘 공중합체의 최종 물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불순물이 없어지게 된다. 이들의 경우, 바람직하게는 화학 응집제의 양은 슬러리 및 임의의 화학 응집제 내의 고형물 함량의 총합에 대해 0.01 중량% 미만이다.
본원에서 "화학 응집제"란 용어는 친수성 단량체에 기반을 둔 일반적으로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 중합체, 예를 들어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메타크릴아미드, C1-C18 카르복실산의 폴리비닐 에스테르(이의 예로는 폴리비닐 포르메이트,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폴리비닐 프로피오네이트, 폴리비닐 n-부티레이트, 폴리비닐 라우레이트 및 폴리비닐 스테아레이트가 있음), 폴리에테르(예를 들어, 폴리알킬렌글리콜) 및 이들의 조합으로서 의미한다.
슬러리 온도
단계 (b)에서 개구부를 통해 밀려들어갈 단계 (a)에서 제공된 슬러리는 0℃ 초과 및 100℃ 미만, 전형적으로 10℃ 내지 90℃의 온도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단계 (b)에서 개구부를 통해 밀려들어갈 단계 (a)에서 제공된 슬러리는 40℃ 내지 80℃,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80℃,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70℃의 온도를 갖는다.
이 같은 비교적 높은 온도를 갖는 슬러리의 사용에 의해 탄성중합체 응집체 조성물로 만들어진 코어-쉘 공중합체의 최종 물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화학 응집제 및 불순물의 사용을 피하는 바람직한 입자 크기 분포를 갖는 가압 응집 방법이 제공된다. 놀랍게도, 40℃ 내지 80℃의 온도를 갖는 슬러리의 사용으로 인해 바람직한 입자 크기 분포를 갖는 탄성중합체 응집체 조성물을 수득하기 위한 공정의 광범위한 작동 범위(operating window)가 허용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공정
탄성중합체 입자를 포함하는 슬러리는 개구부를 통해 밀려들어간다. 개구부를 통과함으로써 탄성중합체 입자는 응집하여 탄성중합체 응집체를 포함하는 탄성중합체 응집체 조성물을 제공한다.
개구부는 밸브 조립체에서 서로 마주보고 배열되어 있는 밸브 및 시트에 의해 제공되는 슬러리용 유동 채널 내에 포함된다. 개구부는 밸브 조립체의 단면도에서 밸브의 축방향 중심선에 대해 예각으로 배열되어 있다.
슬러리는 특정 압력에서 개구부를 통해 밀려들어간다. 예를 들어, 슬러리는 적어도 400 bar, 예를 들어 적어도 500 bar, 적어도 600 bar, 적어도 700 bar 또는 적어도 800 bar의 압력에서 개구부를 통해 밀려들어갈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슬러리는 적어도 850 bar, 예를 들어 400 bar 내지 1,500 bar 또는 700 bar 내지 1,200 bar 또는 850 bar 내지 1,000 bar의 압력에서 개구부를 통해 밀려들어간다.
슬러리는 적어도 초 당 3 미터(m/초), 예를 들어 5 m/초 내지 15 m/초의 유동 속도로 개구부를 통해 밀려들어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슬러리는 적어도 500 m/초,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600 m/초,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700 m/초, 예를 들어 적어도 500 m/초 및 최대 1,000 m/초 또는 적어도 700 m/초 및 최대 1,000 m/초의 유동 속도로 개구부를 통해 밀려들어간다.
탄성중합체 응집체 조성물
최종 코어-쉘 공중합체의 균형 잡힌 유동/충격 및 기타 물성을 구현하기 위해, 탄성중합체 응집체 조성물은 매우 작은 입자의 상대적으로 작은 부분 및 매우 큰 입자의 상대적으로 작은 부분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탄성중합체 응집체 조성물 내에서 214 나노미터(㎚)보다 작은 입자 크기를 갖는 입자의 부피 분율은 바람직하게는 상대적으로 작다. 예를 들어, 탄성중합체 응집체 조성물 내에서 214 ㎚보다 작은 입자 크기를 갖는 입자의 부피 분율은 최대 50%, 보다 바람직하게는 최대 40%,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최대 30%, 예를 들어 10% 내지 30% 또는 20% 내지 30%이다. 그 결과, 탄성중합체 응집체 조성물을 이용하여 만들어진 그래프트 공중합체의 충격 강도가 보다 양호하게 된다. 이로 인해 그래프트 공중합체의 가공 안정성이 추가로 개선된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입자 크기 분포는 ISO 13320에 따라 벡크만 쿨터(Beckman Coulter)의 다중 파장 레이저 회절 입자 크기 분석기 유형 LS 13320에 의해 측정된다.
예를 들어, 탄성중합체 응집체 조성물 내에서 868 ㎚보다 큰 입자 크기를 갖는 입자의 부피 분율은 바람직하게는 상대적으로 작다. 예를 들어, 탄성중합체 응집체 조성물 내에서 868 ㎚보다 큰 입자 크기를 갖는 입자의 부피 분율은 최대 15%, 보다 바람직하게는 최대 10%이다. 그 결과, 탄성중합체 응집체를 이용하여 만들어진 그래프트 공중합체의 용융 유동이 바람직하게 된다. 이로 인해 그래프트 공중합체의 불투명도(opacity)에 미치는 악 영향이 또한 방지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탄성중합체 응집체 조성물 내에서 214 ㎚보다 작은 입자 크기를 갖는 입자의 부피 분율은 10% 내지 30% 또는 20% 내지 30%이고, 탄성중합체 응집체 조성물 내에서 868 ㎚보다 큰 입자 크기를 갖는 입자의 부피 분율은 최대 10%이다. 이 같은 조성물은 탄성중합체 응집체를 이용하여 생성된 그래프트 공중합체에 목적하는 재료 물성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목적하는 가공성 물성을 제공하는데 유리한, 바람직하고 좁은 입자 크기 분포를 보여준다.
바람직하게는, 탄성중합체 응집체 조성물 내의 탄성중합체 응집체는 적어도 150 ㎚ 또는 적어도 250 ㎚, 예를 들어 적어도 150 ㎚ 및 최대 1,000 ㎚ 또는 적어도 250 ㎚ 및 최대 1,000 ㎚의 평균 입자 크기를 갖는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성중합체 입자는 적어도 200 ㎚ 및 최대 500 ㎚ 또는 적어도 250 ㎚ 및 최대 400 ㎚의 평균 입자 크기를 갖는다. 이 같은 조성물은 탄성중합체 응집체를 이용하여 생산된 그래프트 공중합체에 목적하는 재료 물성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목적하는 가공성 물성을 제공하는데 유리하다.
도 1의 피스톤 및 도 2 내지 도 5의 피스톤은 개구부를 통해 폴리부타디엔 입자를 포함하는 슬러리를 밀어 넣음으로써 탄성중합체 응집체 조성물을 생산하기 위한 공정에 사용되었다. 도 1의 피스톤 시스템의 유지보수는 작동 2일 내지 3일 이후에 요구되었다. 이에 반해, 도 2 내지 도 5의 피스톤 시스템의 유지보수는 작동 14일 내지 21일 이후에 요구되었다.
본 발명이 본원에 개시된 특징부의 모든 가능한 조합에 관한 것일지도 청구범위에서 있는 특징부의 이들 조합이 특히 바람직하다는 것을 주지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과 관련이 있는 특징부의 모든 조합; 본 발명에 따른 공정과 관련이 있는 특징부의 모든 조합; 및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과 관련이 있는 특징부 및 본 발명에 따른 공정과 관련이 있는 특징부의 모든 조합이 본원에 기술되어 있는 것으로 인지될 것이다. "포함하는"이란 용어는 기타 구성요소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는 것을 추가로 주지한다. 그러나 특성 구성성분을 포함하는 생성물/조성물에 대한 설명에 또한 이들 구성성분으로 이루어져 있는 생성물/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는 것으로 또한 이해되어야 한다. 이들 구성성분으로 이루어져 있는 생성물/조성물은 생성물/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보다 단순하고 보다 경제적인 공정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유리할 수 있다. 유사하게, 특정 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에 대한 설명에 또한 이들 단계로 이루어져 있는 공정이 개시되어 있는 것으로 또한 이해되어야 한다. 이들 단계로 이루어져 있는 공정은 보다 단순하고 보다 경제적인 공정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유리할 수 있다.
매개변수의 하한 및 상한에 대한 값이 언급되는 경우, 하한 값과 상한 값의 조합에 의해 만들어진 범위가 또한 개시되어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본원에 개시되어 있는 피스톤 시스템, 균질기 및 방법에 대한 몇몇 양태가 하기에 개시된다.
제1 양태: 균질기(바람직하게는 고압 균질기)에 사용하기 위한 피스톤 시스템으로서,
피스톤 시스템의 사용 시에 왕복 움직임을 하도록 구성 및 배열된 피스톤, 피스톤의 적어도 제1 부분을 수용 및 가이딩 하도록 구성 및 배열된 실린더, 사용 시에 실린더 내부에 배열되어 있는 피스톤의 제1 부분의 일부에 윤활 매체를 공급하도록 구성 및 배열된 제1 공급 채널, 및 사용 시에 피스톤의 제2 부분이 실린더의 외부에 있는 동안에 피스톤의 제2 부분에 냉각 매체를 공급하도록 구성 및 배열된 제2 공급 채널을 포함하는 것인 균질기에 사용하기 위한 피스톤 시스템.
제2 양태: 제1 양태에 있어서, 피스톤의 제3 부분과 연통하는 피스톤 시스템의 챔버에 탄성중합체 입자를 공급하도록 구성 및 배열된 공급장치를 추가로 포함하며, 이때 사용 시에 피스톤의 챔버 내로의 움직임에 의해 챔버 밖으로 슬러리가 밀려나가게 되는 것인 피스톤 시스템.
제3 양태: 제2 양태에 있어서, 탄성중합체 입자는 폴리부타디엔 입자, 폴리(스티렌부타디엔) 입자,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입자, 폴리부틸아크레이트 입자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바람직하게는 탄성중합체 입자는 폴리부타디엔 입자를 포함하는 것인 피스톤 시스템.
제4 양태: 제2 양태 또는 제3 양태에 있어서, 슬러리는 슬러리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탄성중합체 입자를 적어도 20 중량%,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0 중량% 및 최대 7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0 중량% 및 최대 60 중량%,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0 중량% 및 최대 50 중량%로 포함하는 것인 피스톤 시스템.
제5 양태: 제2 양태 내지 제4 양태 중 어느 한 양태에 있어서, 탄성중합체 입자는 최대 150 ㎚, 바람직하게는 최대 130 ㎚,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 내지 120 ㎚의 평균 입자 크기를 가지며, 이때 평균 입자 크기(D50)는 ISO 9276-2:2014에 따라 측정되는 것인 피스톤 시스템.
제6 양태: 제1 양태 내지 제5 양태 중 어느 한 양태에 있어서, 제1 공급 채널은 적어도 2개의 유입 분기를 포함하고, 적어도 2개의 유입 분기 중 제1 유입 분기는 윤활 매체의 수동 공급을 가능케 하도록 구성 및 배열된 제1 윤활유 공급 시스템과 연결되어 있는 것인 피스톤 시스템.
제7 양태: 제6 양태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유입 분기 중 제2 유입 분기는 윤활 매체의 자동 공급을 가능케 하도록 구성 및 배열된 제2 윤활유 공급 시스템과 연결되어 있는 것인 피스톤 시스템.
제8 양태: 제1 양태 내지 제7 양태 중 어느 한 양태에 있어서, 윤활유는 그리스를 포함하는 것인 피스톤 시스템.
제9 양태: 제1 양태 내지 제8 양태 중 어느 한 양태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피스톤 시스템을 포함하는 균질기(바람직하게는 고압 균질기).
제10 양태: 제9 양태에 있어서, 균질기는 평균 입자 크기를 증가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인 고압 균질기.
제11 양태: 탄성중합체 응집체 조성물을 형성하기 위한 제1 양태 내지 제8 양태 중 어느 한 양태에 따른 피스톤의 용도.
제12 양태: 탄성중합체 응집체 조성물을 생산하기 위한 공정으로서,
제1 양태 내지 제8 양태 중 어느 한 양태에 따른 피스톤 시스템 내의 슬러리 챔버에 탄성중합체 입자를 포함하는 슬러리를 도입하는 단계, 및 개구부를 통해 슬러리를 밀어 넣어 탄성중합체 응집체 조성물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탄성중합체 응집체 조성물을 생성하기 위한 공정.
제13 양태: 제12 양태에 있어서, 공정은 연속 공정인 것인 공정.
제14 양태: 제12 양태 또는 제13 양태에 있어서, 탄성중합체 입자는 ISO 9276-2:2014에 따라 측정할 때 평균 입자 크기(D50)를 갖고, 탄성중합체 응집체 조성물은 탄성중합체 입자의 평균 입자 크기보다 큰 평균 입자 크기를 갖는 응집체를 갖는 것인 공정.
제15 양태: 제12 양태 내지 제14 양태 중 어느 한 양태에 있어서, 슬러리는 슬러리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탄성중합체 입자를 적어도 20 중량%,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0 중량% 및 최대 7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0 중량% 및 최대 60 중량%,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0 중량% 및 최대 50 중량%로 포함하는 것인 공정.
제16 양태: 제12 양태 내지 제15 양태 중 어느 한 양태에 있어서, 탄성중합체 입자는 최대 150 ㎚, 바람직하게는 최대 130 ㎚,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 내지 120 ㎚의 평균 입자 크기를 가지며, 이때 평균 입자 크기(D50)는 ISO 9276-2:2014에 따라 측정되는 것인 공정.
제17 양태: 제12 양태 내지 제16 양태 중 어느 한 양태에 있어서, 실린더 내에 있는 동안에는 윤활 매체로 피스톤을 윤활시키고 실린더 외부에서 적용되는 냉각 매체로 시스템을 냉각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공정.
제18 양태: 제17 양태에 있어서, 윤활 매체는 냉각 매체와는 상이한 것인 공정.
제19 양태: 제17 양태 또는 제18 양태에 있어서, 윤활 매체는 그리스이고, 냉각 매체는 물을 포함하는 것인 공정.
본원에 달리 지정되거나 내용에 의해 명백히 모순되지 않는 한, "하나" 및 "일"이란 용어는 양의 제한을 의미하지 않으며, 단수 및 복수 둘 모두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될 것이다. 본원에 달리 명백히 지정되지 않는 한, "또는"은 "및/또는"을 의미한다.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원에서 사용된 기술 및 과학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한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자에 의해 흔히 이해되는 바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조합"은 블렌드, 혼합물, 합금, 반응 생성물 등 포함한다. "상기 중 하나 이상"은 나열된 재료들 중 적어도 하나를 의미한다. 모든 양의 총합은 100 중량%가 된다. 본원에 개시되어 있는 모든 범위는 종료점을 포함하며, 종료점은 독립적으로 서로 조합 가능하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고압"은 평방 인치 당 4,500 파운드(psi) 초과, 예를 들어 4,500 psi 내지 10,500 psi(310 bar 내지 724 bar)의 압력을 지칭한다.
본원에서 달리 규명하지 않는 한, 모든 시험 표준은 본 출원의 출원일 현재로 실시되는 가장 최근의 표준이거나, 우선권 주장이 있는 경우에는 시험 표준이 나타나 있는 가장 빠른 우선권 출원의 출원일이다.
인용된 모든 특허, 특허 출원(임의의 우선권 출원을 포함함) 및 기타 참고문헌은 그 전체가 본원에서 참고로 포함된다. 그러나, 본 출원에서의 용어가 본원에 포함된 참고문헌에서의 용어와 상반 또는 상충되는 경우, 본원에 포함된 참고문헌의 상충되는 용어보다 본 출원의 용어가 우선한다. 본 출원은 유럽 특허 출원 제1,720,372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의 전문은 본원에서 참고로 포함된다.

Claims (15)

  1. 균질기에 사용하기 위한 피스톤 시스템으로서,
    상기 피스톤 시스템의 사용 시에 왕복 움직임을 하도록 구성 및 배열된 피스톤;
    상기 피스톤의 적어도 제1 부분을 수용 및 가이딩 하도록 구성 및 배열된 실린더;
    사용 시에 상기 실린더 내부에 배열되어 있는 상기 피스톤의 제1 부분의 일부에 윤활 매체를 공급하도록 구성 및 배열된 제1 공급 채널; 및
    사용 시에 상기 피스톤의 제2 부분이 상기 실린더의 외부에 있는 동안에 상기 피스톤의 제2 부분에 냉각 매체를 공급하도록 구성 및 배열된 제2 공급 채널
    을 포함하는, 피스톤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의 제3 부분과 연통하는 상기 피스톤 시스템의 슬러리 챔버에 탄성중합체 입자를 포함하는 슬러리를 공급하도록 구성 및 배열된 공급장치를 추가로 포함하며,
    이때 사용 시에 상기 피스톤의 상기 챔버 내로의 움직임에 의해 상기 챔버로부터 균질기의 개구부로 슬러리가 밀려나가게 되는 것인, 피스톤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중합체 입자는 폴리부타디엔 입자, 폴리(스티렌부타디엔) 입자,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입자, 폴리부틸아크레이트 입자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피스톤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리는, 상기 슬러리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탄성중합체 입자를 적어도 20 중량%로 포함하는 것인, 피스톤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중합체 입자는 최대 150 ㎚의 평균 입자 크기를 가지며, 이때 상기 평균 입자 크기(D50)는 ISO 9276-2:2014에 따라 측정되는 것인, 피스톤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급 채널은 적어도 2개의 유입 분기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유입 분기 중 제1 유입 분기는 상기 윤활 매체의 수동 공급을 가능케 하도록 구성 및 배열된 제1 윤활유 공급 시스템과 연결되어 있는 것인, 피스톤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유입 분기 중 제2 유입 분기는 상기 윤활 매체의 자동 공급을 가능케 하도록 구성 및 배열된 제2 윤활유 공급 시스템과 연결되어 있는 것인, 피스톤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윤활 매체는 그리스(grease)를 포함하는 것인, 피스톤 시스템.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피스톤 시스템을 포함하는, 고압 균질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균질기는 평균 입자 크기를 증가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인, 고압 균질기.
  11. 탄성중합체 응집체 조성물을 생성하기 위한 공정으로서,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상기 피스톤 시스템 내의 슬러리 챔버에 탄성중합체 입자를 포함하는 슬러리를 도입하는 단계; 및
    균질기의 개구부를 통해 상기 슬러리를 밀어 넣어 탄성중합체 응집체 조성물을 수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탄성중합체 응집체 조성물을 생성하기 위한 공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은 연속 공정인, 탄성중합체 응집체 조성물을 생성하기 위한 공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중합체 입자는 ISO 9276-2:2014에 따라 측정되는 평균 입자 크기(D50)을 갖고, 상기 탄성중합체 응집체 조성물은 상기 탄성중합체 입자의 평균 입자 크기보다 큰 평균 입자 크기를 갖는 응집체를 갖는 것인, 탄성중합체 응집체 조성물을 생성하기 위한 공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리는, 상기 슬러리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탄성중합체 입자를 적어도 20 중량%로 포함하고; 상기 탄성중합체 입자는 최대 150 ㎚의 평균 입자 크기를 가지며, 이때 상기 평균 입자 크기(D50)는 ISO 9276-2:2014에 따라 측정되는 것인, 탄성중합체 응집체 조성물을 생성하기 위한 공정.
  15. 삭제
KR1020207016183A 2017-11-07 2018-11-07 피스톤 시스템 및 피스톤 시스템을 이용한 고압 균질기 KR1026555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7200372.5 2017-11-07
EP17200372 2017-11-07
PCT/EP2018/080476 WO2019092020A1 (en) 2017-11-07 2018-11-07 Piston system and high pressure homogenizer using the piston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4022A KR20200084022A (ko) 2020-07-09
KR102655573B1 true KR102655573B1 (ko) 2024-04-08

Family

ID=60452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6183A KR102655573B1 (ko) 2017-11-07 2018-11-07 피스톤 시스템 및 피스톤 시스템을 이용한 고압 균질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1447592B2 (ko)
EP (1) EP3706891B1 (ko)
JP (1) JP7206270B2 (ko)
KR (1) KR102655573B1 (ko)
CN (1) CN111246932B (ko)
WO (1) WO201909202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0003401A1 (de) * 2020-06-05 2021-12-09 Netzsch-Feinmahltechnik Gmbh Hochdruckhomogenisato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32616A (ja) 2006-04-04 2009-09-10 プッツマイスター コンクレーテ プンプス ゲーエムベーハー 濃厚物質のためのピストンポンプ
DE102014104050A1 (de) 2014-03-24 2015-09-24 Netzsch-Feinmahltechnik Gmbh Homogenisiereinrichtung mit einer Hochdruck- und einer Niederdruckkammer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73246A (en) 1968-03-06 1971-03-30 Int Synthetic Rubber Process of modifying synthetic rubber latices
US3749529A (en) * 1971-02-16 1973-07-31 Armco Steel Corp Plunger packing wash system
US3742822A (en) * 1971-08-03 1973-07-03 Union Carbide Corp Close clearance viscous fluid seal system
JPS51136503U (ko) * 1975-04-25 1976-11-04
US4086029A (en) * 1976-12-06 1978-04-25 United States Ste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flushing the plunger of a positive displacement pump
JPS53103902U (ko) * 1977-01-27 1978-08-22
JPS60250057A (ja) * 1984-05-25 1985-12-10 Denki Kagaku Kogyo Kk 熱可塑性樹脂組成物
US6630016B2 (en) * 2002-01-31 2003-10-07 Koslow Technologies Corp. Microporous filter media, filtration systems containing same,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US7219594B2 (en) 2003-06-06 2007-05-22 S.P.M. Flow Control, Inc. Coolant system for piston and liner of reciprocating pumps
JP2006311460A (ja) 2005-05-02 2006-11-09 Ntt Docomo Inc 移動通信方法及び無線回線制御局
US7794215B2 (en) * 2007-02-12 2010-09-14 Regency Technologies Llc High pressure slurry plunger pump with clean fluid valve arrangement
US20110271831A1 (en) * 2010-05-06 2011-11-10 Gee Jr Occie Leon Water deflector for a mud pump
ITTO20111029A1 (it) * 2011-11-08 2013-05-09 Soilmec Spa Pompa ad alta pressione per iniettare miscele cementizie
JP2015081549A (ja) * 2013-10-22 2015-04-27 日工株式会社 コンクリートポンプのコンクリートシリンダ用ピストン
EP2886291A1 (en) * 2013-12-23 2015-06-24 Omya International AG Polymer composition by continuous filler slurry extrusion
MX361729B (es) * 2014-03-31 2018-12-14 Saudi Basic Ind Corp Proceso para la preparacion de un copolimero de etileno en un reactor tubular.
KR102497648B1 (ko) * 2016-12-09 2023-02-07 사빅 글로벌 테크놀러지스 비.브이. 탄성중합체 응집체 조성물을 생산하기 위한 공정
EP3694635B1 (en) * 2017-10-13 2022-12-28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A process for production of elastomer agglomerate composition, elastomer agglomerate composition and its use
EP3694893B1 (en) * 2017-10-13 2023-04-05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Process for production of elastomer agglomerate composi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32616A (ja) 2006-04-04 2009-09-10 プッツマイスター コンクレーテ プンプス ゲーエムベーハー 濃厚物質のためのピストンポンプ
DE102014104050A1 (de) 2014-03-24 2015-09-24 Netzsch-Feinmahltechnik Gmbh Homogenisiereinrichtung mit einer Hochdruck- und einer Niederdruckkamm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246932B (zh) 2022-06-24
KR20200084022A (ko) 2020-07-09
US11447592B2 (en) 2022-09-20
WO2019092020A1 (en) 2019-05-16
JP7206270B2 (ja) 2023-01-17
EP3706891A1 (en) 2020-09-16
JP2021501677A (ja) 2021-01-21
EP3706891B1 (en) 2022-06-22
CN111246932A (zh) 2020-06-05
US20210032390A1 (en) 2021-02-04
US20220370969A1 (en) 2022-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370969A1 (en) Piston system and high pressure homogenizer using the piston system
JP2023099061A (ja) エラストマー凝集体組成物の製造プロセス、エラストマー凝集体組成物及びその使用
DE60208843T2 (de) Koagulation vom PTFE latex
EP0814103A2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niedrigviskoser, wässriger Polymerisatdispersionen mit Polymervolumenkozentrationen von wenigstens 50 vol.-%
CN107614550A (zh) 有机聚合物微粒
JP2021501677A5 (ko)
EP3694893B1 (en) Process for production of elastomer agglomerate composition
JP2020537001A5 (ko)
CN105623162A (zh) 一种高压电力电缆保护用pvc管生产工艺
JP2020537000A5 (ko)
CN108611165A (zh) 一种高温原位成膜金属拉丝粉及其制备方法
JP6713263B2 (ja) タイヤ内面用離型剤
JP7046945B2 (ja) エラストマー凝集体組成物の製造方法
CN109014026A (zh) 脱模剂组合物及其制备方法
RU2819288C1 (ru) Способ выделения эластомеров растворной полимеризации
CN108026345A (zh) 聚氯乙烯树脂组合物以及成形体
DE19757700A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olymerdispersionsschäumen
DE19816026C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Cyanurchlorid-Formlingen
KR20220065815A (ko) 저분자량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미세분말의 제조를 위한 압출 방법
RU2357831C2 (ru) Смазочно-охлаждающая жидкость для литейно-ковочных машин
JP2008174685A (ja) 酸化防止剤分散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DE7819928U1 (de) Ramextruder zur herstellung von formkoerpern aus hochmolekularem niederdruckpolyaethylen
EP2396108A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dispersion und vorrichtung hierzu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