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5062B1 - 덤프트럭 수동 엔진룸 소화장치 - Google Patents

덤프트럭 수동 엔진룸 소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5062B1
KR102655062B1 KR1020230143204A KR20230143204A KR102655062B1 KR 102655062 B1 KR102655062 B1 KR 102655062B1 KR 1020230143204 A KR1020230143204 A KR 1020230143204A KR 20230143204 A KR20230143204 A KR 20230143204A KR 102655062 B1 KR102655062 B1 KR 1026550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engine room
fire extinguishing
supply pipe
sp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43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근용
서종호
Original Assignee
스틸로지스 주식회사
서종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틸로지스 주식회사, 서종호 filed Critical 스틸로지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1432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50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50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50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7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vehicles, e.g. in road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62C31/05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with two or more outle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02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 A62C35/023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the extinguishing material being expelled by compressed gas, taken from storage tanks, or by generating a pressure ga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05B1/20Arrangements of several outlets along elongated bodies, e.g. perforated pipes or troughs, e.g. spray booms; Outlet elemen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50Arrangements for cleaning; Arrangements for preventing deposits, drying-out or blockage; Arrangements for detecting improper discharge caused by the presence of foreign matt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인 덤프트럭의 엔진룸에 분사관을 설치하고 분사관과 연결되게 엔진룸의 외부인 차량의 적재함에 설치된 소화기로 구성하여서, 운전탑이 엔진룸상에서 회동되는 차량인 덤프트럭의 엔진룸에 화재발생시, 화재난 엔진룸의 화재를 진압하기 위해 운전탑을 회동시켜 엔진룸을 개방하지 않고 엔진룸의 화재시 즉시 소화기를 작동하여 엔진룸의 화재를 신속하게 진압하도록한 덤프트럭 수동 엔진룸 소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덤프트럭 수동 엔진룸 소화장치{Manual engine room fire extinguishing device for vehicles}
본 발명은 덤프트럭 수동 엔진룸 소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엔진룸의 화재시 운전탑을 회동시켜 엔진룸을 개방하지 않는 상태에서 엔진룸에 설치된 소화기를 수동으로 작동하여 엔진룸의 화재를 신속하게 진압하도록한 덤프트럭 수동 엔진룸 소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보급이 확대됨에 따라 자동차에 탑승하고 있는 사람이나 화물 특히 사람을 보호하기 위한 수단은 갈수록 발전하고 다양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엔진룸은 엔진의 작동으로 높은 열이 발생하고 있고, 또한 각종 부품을 작동시키기위한 전기배선이 설치되어 있고 엔진의 높은 열은 엔진 주변의 전기배선이나 인화물질을 가열시킴으로써, 전기배선이나 인화물질이 발화되어 화재가 발생 하고 있었고, 또한 전기배선의 합선으로 화재가 날 우려가 있었던 것이다.
종래의 자동차 엔진룸소화장치는 다양한 장치가 제안되었다.
종래의 자동차 엔진룸소화장치인 실용신안 공개번호 제2009-0001822호는 '자동차 또는 선박의 엔진룸이나 보일러실에 다수 배치된 온도감지수단과, 상기 온도감지수단으로 부터 전달된 과열신호를 감지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작동신호에 따라 개방되는 자동개폐장치와, 상기 자동개폐장치의 개방과 동시에 개방되며 소화용액을 배출하는 소화탱크와, 상기 자동개폐장치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엔진룸에 배치되는 분사노즐에 연결되는 분사관을 포함는 자동 소화장치'로 구성되어 있었다.
또 다른 본 발명의 소화 장치는 발명특허 공개번호 2021-0132034는 '소화 약제가 충전된 약제 용기(21)와, 약제 용기(21) 내를 가압하기 위한 가스가 충전된 가압 용기(22)와, 약제 용기(21)의 방출구를 개방하기 위한 전동 밸브(21a)와, 가압 용기(22)의 방출구를 개방하기 위한 이니시에이터(22a)와, 엔진 룸(13) 내에 설치되는 노즐(24)과, 약제 용기(21)의 방출구와 노즐(24)과 연락시키는 배관(27)과, 엔진 룸(13) 내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25)와, 온도 센서(25)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온도 센서(25)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적어도 이니시에이터(22a)를 작동시키는 제어 수단(23)을 포함하고, 이니시에이터(22a)가 작동한 후전동밸브가 시간차를 갖고 동작하고, 약제 용기(21)의 방출구가 개방될때까지의 동안, 가압 용기(22)로부터 공급되는 가스의 압력이 약제 용기(21) 내에 축적되도록 구성되는 소화 장치.'가 제안되었다.
그러나 위와같은 소화장치는 센서에 의해 온도 등을 감지에 의하여 자동으로 소화액을 분사하여 소화는 구성이었다.
화물을 차량의 종류인 덤프트럭은 운전탑과 적재함으로 구성되고 운전탑의 하부에는 차량의 구동원인 엔진이 설치된 엔진룸이 설치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엔진룸은 과부하 또는 여러가지 요인으로 화재가 발생하는데, 운전탑과 엔진룸 사이에는 요커가 덮혀 있어 덤프트럭의 운전자가 엔진룸의 화재를 인지하고 엔진룸에 대한 화재를 진압하기 위해서 외부에서 소화기를 분사하여도 엔진까지 소화액이 도달하지 못해 외부에서 불을 소화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덤프트럭의 운전자가 엔진룸의 화재를 인지하고 엔진룸에 대한 화재를 진압하기 위해서 차량 운전자는 운전탑을 전방으로 회동시켜서 엔진룸을 개방시키는 시간이 3∼5분이 소용되어 동안에 엔진룸을 화재진압할 수 있는 골든타임을 노쳐서 엔진룸이 전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차량인 덤프트럭의 엔진룸에 분사관을 설치하고 분사관과 연결되게 엔진룸의 외부인 차량의 적재함에 설치된 소화기로 구성하여, 운전탑이 엔진룸상에서 회동되는 차량인 덤프트럭의 엔진룸에 화재발생시, 화재난 엔진룸의 화재를 진압하기 위해 운전탑을 회동시켜 엔진룸을 개방하지 않고 엔진룸의 화재시 즉시 소화기를 작동하여 엔진룸의 화재를 신속하게 진압하도록한 새로운 덤프트럭 수동 엔진룸 소화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분사관에 소화기이외에 에어탱크를 연결하여 설치되어서 분사관에 소화기 또는 에어탱크가 선택적으로 연결되게 하여서, 차량에 구비된 운전탑을 회동시켜 엔진룸을 개방하지 않고 엔진룸을 에어탱크에서 공급되는 에어로 분사노즐을 청소하여 분사노즐이 막하지 않으므로 화제발생시 소화액이 용이하게 분사되도록한 새로운 덤프트럭 수동 엔진룸 소화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차량(10)의 적재프레임(11)의 전방에 설치된 엔진룸(20)의 상부 둘레에 절곡되어 설치되고 다수개의 분사절개선(a3)이 서로 이격되어 구비된 제1,2 분사관(a1, a2)과; 차량(10)의 외부에 고정수단(30)으로 고정설치되고, 소화분말을 수용한 용기(41)와, 용기(41)의 상부에 설치되어 용기(41)내의 소화분말을 분사하는 분사노즐(42a)을 구비한 분사부(42)와, 분사노즐(42a)을 개방하여 개방된 분사노즐(42a)에서 용기(41)내에 수용된 소화분말을 외부로 분사하도록 분사부(42)에 설치된 손잡이(43)로 구성된 제1 소화기(40a)와, 소화분말을 수용한 용기(41)와, 용기(41)의 상부에 설치되어 용기(41)내의 소화분말을 분사하는 분사노즐(42a)을 구비한 분사부(42)와, 분사노즐(42a)을 개방하여 개방된 분사노즐(42a)에서 용기(41)내에 수용된 소화분말을 외부로 분사하도록 분사부(42)에 설치된 손잡이(43)로 구성된 제2 소화기(40b)으로 된 분말소화관(40); 제1 소화기(40a)의 분사부(42)가 상부타측에 연결 설치되고, 하부는 제1 분사관(a1)과 연결되어 구비된 제1 "Y"자형 연결관(b1)과, 제2 소화기(40b)의 분사부(42)에 상부타측이 연결 설치되고, 하부는 제2 분사관(a2)과 연결되어 구비된 제2 "Y"자형 연결관(b2)으로 된 연결관(b)과; 제 1 "Y"자형 연결관(b1)의 일측 상부에 연결되어 설치된 제1 개폐밸브(c1)와; 제 2 "Y"자형 연결관(b1)의 일측 상부에 연결되어 설치된 제2 개폐밸브(c2)와; 제1 개폐밸브(c1)와 연결되어 설치된 제1공급관(d1)과; 제2 개폐밸브(c2)와 연결되어 설치된 제2공급관(d2)과; 제1공급관(d1)이 하부 일측에 연결되고, 제2공급관(d2)을 하부 타측에 연결되며, 상부에는 제3공급관(d3)을 구비한 "ㅗ"자형 연결관(50)과; 제3공급관(d3)이 전방에 연결되어 설치되고 후방에 제4공급관(d4)이 연결설치되며, 타측에 제5공급관(d5)이 연결설치되어 구비된 "ㅜ"자형 연결관(60)과; 제 4공급관(d4)과 연결설치된 제1 에어탱크(70a)와; 제 5공급관(d5)과 연결설치된 제2 에어탱크(70b)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고정수단(30)은 차량(10)의 적재프레임(11) 상부면에 설치된 고정본체(35)와, 고정본체(35)의 상부면에 서로 이격되어 수직으로 설치된 제1,2 하부지지대(31a,31b)와, 제1,2 하부지지대(31a,31b)의 상부면에 서로 이격되어 수평으로 설치된 제1,2 상부지지대(32a,32b)와, 제1,2 하부지지대(32a,32b)의 후방과 연결되어 차량(10)의 적재프레임(11)의 상부면에 고정설치된 후방 지지대(33)로 구비되고; 제1,2 상부지지대(31a,31b)의 일측 상부면에 수직으로 안착된 제1 소화기(40a)와, 제1 소화기(40a)의 외측둘레에 전,후방에 서로 이격되어 감압된 제1,2감압고정부(34a,34b)와, 제1감압고정부(34a)의 일측은 제1 상부지지대(31a)의 전방일측에 고정되고, 제1감압고정부(34a)의 타측은 제1 상부지지대(31a)의 전방타측에 고정되며, 제2감압고정부(34b)의 일측은 제2 상부지지대(31b)의 전방일측에 고정되고, 제2감압고정부(34b)의 타측은 제2 상부지지대(31b)의 전방타측에 고정되며; 제2 소화기(40b)의 외측둘레에 전,후방에 서로 이격되어 감압된 제1,2감압고정부(34a,34b)와, 제1감압고정부(34a)의 일측은 제1 상부지지대(31a)의 전방일측에 고정되고, 제1감압고정부(34a)의 타측은 제1 상부지지대(31a)의 전방타측에 고정되며, 제2감압고정부(34b)의 일측은 제2 상부지지대(31b)의 전방일측에 고정되고, 제2감압고정부(34b)의 타측은 제2 상부지지대(31b)의 전방타측에 고정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2 하부지지대(31a,31b)는 수직지지대(e1)가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고 양 수직지대(e1)의 상부를 연결하는 상부판(e2)으로 구성되고, 양 수직지지대(e1)의 사이와 상부판(e2)의 하부에 홈부(e3)가 형성되며, 홈부(e3)의 내부에 위치되어 상부판(e2)의 하부에 상부로 수직으로 다수개의 볼트(f)가 관통결합되고, 이 볼트(f)는 결합부(f1)와 머리부(f2)로 구성되어서 머리부(f2)는 차량(10)의 적재함(11)상부면을 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엔진룸(20)은 트럭(10)의 운전탑(12) 하부에 설치되고, 차량(10)의 엔진룸(20) 상부에서 운전탑(12)이 승강되어 전,후로 회동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차량인 덤프트럭의 엔진룸에 분사관을 설치하고 분사관과 연결되게 엔진룸의 외부인 차량의 적재함에 설치된 소화기로 구성하여서, 운전탑이 엔진룸상에서 회동되는 차량인 덤프트럭의 엔진룸에 화재발생시, 화재난 엔진룸의 화재를 진압하기 위해 운전탑을 회동시켜 엔진룸을 개방하지 않고 엔진룸의 화재시 즉시 소화기를 작동하여 엔진룸의 화재를 신속하게 진압하는 새로운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분사관에 소화기이외에 에어탱크를 연결하여 설치되어서 분사관에 소화기 또는 에어탱크가 선택적으로 연결되게 하여서, 차량에 구비된 운전탑을 회동시켜 엔진룸을 개방하지 않고 엔진룸을 에어탱크에서 공급되는 에어로 청소하는 새로운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2 소화기와 고정수단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2 소화기와 고정수단을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2 소화기와 고정수단을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분사관의 개략도.
도 5 및 도 6 본 발명에 따른 설치예시도.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안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2 소화기와 고정수단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2 소화기와 고정수단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2 소화기와 고정수단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분사관의 개략도이고, 도 5 및 도 6 본 발명에 따른 설치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덤프트럭 수동 엔진룸 소화장치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것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덤프트럭 수동 엔진룸 소화장치는 제1,2 분사관(a1,a2)으로 된분사관(a)과, 제1,2 소화기(40a, 40b)으로 된 소화기(40)와, 제1 "Y"자형 연결관(b1)과, 제2 "Y"자형 연결관(b2)로 된 "Y"자형 연결관(b)과, 제1,2 개폐밸브(c)와, 공급관(d)과, " ㅗ"자형 연결관(50)과, "ㅜ"자형 연결관(60)과, 제에어탱크(70)로 구성된다.
분사관(a)은 제1,2 분사관(a1,a2)으로 구성되어 소화기 소화물질과 고압에어를 분사관(a)로 안내유도하여 앤진룸에 설치한 분사절개선(a3)로 소화물질과 고압에어를 분출하기 위한 것으로 제1 분사관(a1)은 차량(10)의 적재프레임(11)의 전방에 설치된 엔진룸(20)의 상부 둘레에 절곡되어 설치되고 다수개의 분사절개선(a3)이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어 구성된다.
즉, 제1 분사관(a1)은 엔진룸(20)의 후방과 측면둘레에 설치되어 구성된다.
또한, 분사절개선(a3)은 제1,2 소화기(40a,40b)에서 공급되는 소화분말 압력 또는 제1,2 에어탱크(70a,70b)에서 공급되는 에어압력으로 인해 벌어지도록 구성되어서, 이러하게 벌어진 분사절개선(a3)으로 엔진룸(20)에 소화분말 또는 에어를 분사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분사절개선(a3)은 일자형, 십자형으로 형성될수 있다.
제2 분사관(a2)은 차량(10)의 적재프레임(11)의 전방에 설치된 엔진룸(20)의 상부 둘레에 절곡되어 설치되고 다수개의 분사절개선(a3)이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어 구성된다.
즉, 제2 분사관(a1)은 엔진룸(20)의 전방과 측면둘레에 설치되어 구성된다.
또한, 분사절개선(a3)은 제1,2 소화기(40a,40b)에서 공급되는 소화분말 압력 또는 제1,2 에어탱크(70a,70b)에서 공급되는 에어압력으로 인해 벌어지도록 구성되어서, 이러하게 벌어진 분사절개선(a3)으로 엔진룸(20)에 소화분말 또는 에어를 분사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분사절개선(a3)은 일자형, 십자형으로 형성될수 있다.
분사관(a)에 소화물질과 고압에어를 분출하기 위해 분사절개선(a3)으로 구성하는 것은 공지의 홀을 형상한 분사노즐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홀의 크기가 고정되는 분사노즐이 엔진에 설치되어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덤프트럭 운행중에 발생하는 먼지 흙 등으로 인해 분사노즐이 막혀 소화물질과 고압에어가 분출되지 못하는 경우가 있어 금속으로된 분사관(a)을 절개하여 고압에어를 송풍하지 않을시는 분사절개선(a3)이 접촉되어 먼지 등이 분사관(a)으로 들어기지 못하고 고압의 공기를 송풍할시는 절개되어 있는 분사관(a)가 벌어져 벌어진사이로 소화물질이 분출하게 되어 블을 소화하게 된다.
또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연결관(b)의 개폐밸브(c)를 작동하여 분사절개선(a3)을 벌려 분사절개선(a3)의먼지 등을 제거한다.
소화기(40)는 하나 이상의 소화기를 구비하고 분말소화기 등다양한 소화기를 사용할 수 있다.
소화기(40)의 일시예는 제1,2 소화기(40a, 40b)를 구비되고 고정수단(30)으로 차량에 고장설치된다.
제1 소화기(40a)는 차량(10)의 외부에 고정수단(30)으로 고정설치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제1 소화기(40a)는 고정수단(30)의 일측에 설치되어 구성된다.
한편, 제1 소화기(40a)는 소화분말을 수용한 용기(41)로 구성된다.
또한, 용기(41)의 상부에 설치되어 용기(41)내의 소화분말을 분사하는 분사노즐(42a)을 구비한 분사부(42)로 구성된다.
그리고 분사노즐(42a)을 개방하여 개방된 분사노즐(42a)에서 용기(41)내에 수용된 소화분말을 외부로 분사하도록 분사부(42)에 설치된 손잡이(43)로 구성된다.
또한, 분사부(42)에는 용기(41)의 소화분말용액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게이지(45)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제2 소화기(40b)는 차량(10)의 외부에 고정수단(30)으로 고정설치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제2 소화기(40b)는 고정수단(30)의 타측에 설치되어 구성된다.
한편, 제2소화기(40b)는 소화분말을 수용한 용기(41)로 구성된다.
이러한 제2 소화기(40a)는 소화분말을 수용한 용기(41)로 구성된다.
또한, 용기(41)의 상부에 설치되어 용기(41)내의 소화분말을 분사하는 분사노즐(42a)을 구비한 분사부(42)로 구성된다.
그리고 분사노즐(42a)을 개방하여 개방된 분사노즐(42a)에서 용기(41)내에 수용된 소화분말을 외부로 분사하도록 분사부(42)에 설치된 손잡이(43)로 구성된다.
또한, 분사부(42)에는 용기(41)의 소화분말용액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게이지(45)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한편, 제1,2 소화기(40a,40b)를 적재함(11)에 고정시킨 고정수단(30)은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고정수단(30)은 차량(10)의 적재프레임(11)에 설치된 고정본체(35)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고정본체(35)는 제1,2 하부지지대(31a,31b), 제1,2 상부지지대(32a,32b) 및 후방 지지대(33)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고정본체(35)의 상부면에 서로 이격되어 수직으로 설치된 제1,2 하부지지대(31a,31b)로 구성된다.
이러한 제1,2 하부지지대(31a,31b)의 상부면에 서로 이격되어 수평으로 설치된 제1,2 상부지지대(32a,32b)로 구성된다.
또한, 제1,2 하부지지대(31a,31b)와 제1,2 상부지지대(32a,32b)의 후방과 연결되어 차량(10)의 적재프레임(11)의 상부면에 고정설치된 후방 지지대(33)로 구비되어 구성된다.
아울러 제1,2 상부지지대(31a,31b)의 일측 상부면에 수직으로 안착된 제1 소화기(40a)로 구성된다.
제1 소화기(40a)의 외측둘레에 전,후방에 서로 이격되어 감압된 제1,2감압고정부(34a,34b)로 제1,2 상부지지대(32a,32b)에 소화기를 고정설치한다.
이러한 제1감압고정부(34a)의 일측은 제1 상부지지대(31a)의 전방일측에 고정되어 구성된다.
또한, 제1감압고정부(34a)의 타측은 제1 상부지지대(31a)의 전방타측에 고정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제2감압고정부(34b)의 일측은 제2 상부지지대(31b)의 전방일측에 고정되어 구성된다.
제2감압고정부(34b)의 타측은 제2 상부지지대(31b)의 전방타측에 고정되어 구성된다.
한편, 제2 소화기(40b)의 외측둘레에 전,후방에 서로 이격되어 감압된 제1,2감압고정부(34a,34b)로 제1,2 상부지지대(32a,32b)에 소화기가 고정설치 된다.
이러한 제1감압고정부(34a)의 일측은 제1 상부지지대(31a)의 전방일측에 고정되어 구성된다.
또한, 제1감압고정부(34a)의 타측은 제1 상부지지대(31a)의 전방타측에 고정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제2감압고정부(34b)의 일측은 제2 상부지지대(31b)의 전방일측에 고정되어 구성된다.
아울러 제2감압고정부(34b)의 타측은 제2 상부지지대(31b)의 전방타측에 고정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1,2 하부지지대(31a,31b)는 'ㄷ'자로 절곡하여 수직지지대(e1)와 볼트홀을 형성한 상부판(e2)의 하부에 형성된 홈부(e3)의 내부에 위치되어 상부판(e2)의 하부에 상부로 수직으로 관통결합되는 다수개의 볼트(f)로 고정설치된 고정본체(35)에 기밀하게 밀착결합하게 구성된다.
또한, 제1,2 하부지지대(31a,31b)는 'ㄷ'자로 절곡하여 수직지지대(e1)가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고 양 수직지대(e1)의 상부를 연결하는 상부판(e2)으로 구성된다.
양 수직지지대(e1)의 사이와 상부판(e2)에는 다수개의 볼트홀을 형성하고 하부에 홈부(e3)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홈부(e3)의 내부에 위치되어 상부판(e2)의 볼트홀에는 하부에 상부로 수직으로 다수개의 볼트(f)가 관통결합되어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볼트(f)는 결합부(f1)와 머리부(f2)로 구성되어서 머리부(f2)는 고정본체(35)의 상부면을 향하도록 구비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볼트(f)의 머리부(f2)는 상부판(e2)에서 하부로 하강되어 적재함(11)의 상부면에 고정설치된 고정본체(35)의 상부면에 기밀하게 밀착결합되어 상부판(e2)을 갖는 제1,2 하부지지대(31a,31b)를 고정본체(35)의 상부면에 유동되지 않게 고정되어 지면, 제1,2하부지지대(31a,31b)의 상부에 구비된 제1,2 상부지지대(32a,32b)의 상부면에 설치된 제1,2 소화기(40a,40b)도 유동없이 안정적으로 제1,2 상부지지대(32a,32b)의 상부면에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제1,2 하부지지대(31a,31b)와, 제1,2 상부지지대(32a,32b)와, 후방지지대(33)로 구성된 고정수단(30)으로 제1,2 소화기(40a,40b)를 고정하는 것은, 제1,2 소화기(40a,40b)가 주로 이동되는 차량(10)의 특성상으로 인해 적재함(11)의 고정수단(30)으로 제1,2 소화기(40a,40b)가 유동없이 안정적으로 고정되게 하여 엔진룸(20)의 화재발생시 제1,2 소화기(40a,40b)의 분사부(42)의 분사노즐(42a)에서 분말소화액을 안정적으로 분사하여 엔진룸(20)에서 발생한 화재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진화하기 위함이다.
"Y"자형 연결관(b)은 소화기(40)의 분사부(42)와 분사관(a)과 연결되어 구비되어 구성된다.
제1 "Y"자형 연결관(b1)은 제1 소화기(40a)의 분사부(42)가 상부타측에 연결 설치되고, 하부는 제1 분사관(a1)과 연결되어 구비되어 구성된다.
제2 "Y"자형 연결관(b2)은 제2 소화기(40b)의 분사부(42)에 상부타측이 연결 설치되고, 하부는 제2 분사관(a2)과 연결되어 구비되어 구성된다.
상기 "Y"자형 연결관(b)에는 개폐밸브(c)가 설치되어 고압공기를 분사관으로 송풍하기 위한 것이다.
제1 개폐밸브(c1)는 제 1 "Y"자형 연결관(b1)의 일측 상부에 연결설치되어 구성된다.
제2 개폐밸브(c2)는 제 2 "Y"자형 연결관(b2)의 일측 상부에 연결설치되어 구성된다.
제1공급관(d1)은 제1 개폐밸브(c1)와 연결설치되어 구성된다.
제2공급관(d2)은 제2 개폐밸브(c2)와 연결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ㅗ"자형 연결관(50)은 에어탱크의 고압의 공기를 Y자형 연결관(b)를 통해 소화기의 분말과 같이 분사관(a)으로 브로우하기 위한 것으로 제1공급관(d1). 제2공급관(d2) 및 제3공급관(d3)을 조립설치한다.
상기 "ㅗ"자형 연결관(50)의 하부일측에 제1공급관(d1)이 연결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ㅗ"자형 연결관(50)의 하부 타측에 제2공급관(d2)이 연결설치되어 구성된다.
"ㅗ"자형 연결관(50)의 상부에 제3공급관(d3)이 연결설치되어 상기 제3공급관(d3)의 단부에는 "ㅜ"자형 연결관(60)를 조립설치 구성된다.
"ㅜ"자형 연결관(60)는 에어탱크(70)의 공기를 제3공급관(d3)로 보내기 위한 것으로 에어탱크(70)와 연결되는 제4공급관(d4), 제5공급관(d5) 및 "ㅗ"자형 연결관(50)을 연결되는 제3공급관(d3)를 조립설치한다.
"ㅜ"자형 연결관(60)의 전방에 제3공급관(d3)이 연결설치되어 구성된다.
또한, "ㅜ"자형 연결관(60)의 후방에 제4공급관(d4)이 연결설치되어 구성된다.
"ㅜ"자형 연결관(60)의 타측에 제5공급관(d5)이 연결설치되어 구성된다.
에어탱크(70)는 차량으로부터 발생되는 고압의 공기를 고압으로 브로우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에 설치되어 기존의 에어탱크를 사용한다.
제 1에어탱크(70a)는 제 4공급관(d4)과 연결설치되어 구성된다.
제 2에어탱크(70b)는 제 5공급관(d5)과 연결설치되어 구성된다.
또한, 엔진룸(20)은 트럭(10)의 운전탑(12) 하부에 설치되고, 차량(10)의 엔진룸(20) 상부에서 운전탑(12)이 승강되어 전,후로 회동되게 설치되어 구성된다.
즉, 본원 발명의 차량은 트럭(10)중에 덤프트럭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는 차량의 종류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상술하는 본 발명은 차량(10)인 덤프트럭의 엔진룸(20)에 제1,2 분사관(a1,a2)을 설치하고 제1,2 분사관(a1,a2)과 연결되게 엔진룸(20)의 외부인 차량(10)의 적재함(11)에 설치된 제1,2 소화기(40a,40b)로 구성하여서, 운전탑(12)이 엔진룸(20)상에서 회동되는 차량(10)인 덤프트럭의 엔진룸(20)에 화재발생시, 화재난 엔진룸(20)의 화재를 진압하기 위해 운전탑(12)을 회동시켜 엔진룸(20)을 개방하지 않고 엔진룸(20)의 화재시 즉시 제1,2 소화기(40a,40b)를 작동하여 엔진룸(20)의 화재를 신속하게 진압하기 위함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차량 11 : 적재프레임
12 : 운전탑 20 : 엔진룸
30 : 고정수단 31a : 제1 하부지지대
31b : 제2 하부지지대 32a : 제1 상부지지대
32b : 제2 상부지지대 33 : 후방지지대
34a : 제1 감압고정부 34b : 제2 감압고정부
35 : 고정본체 40 : 소화기
42 : 분사부 42a : 분사노즐
43 : 손잡이 50 : "ㅗ"자형 연결관
60 : "ㅜ"자형 연결관 70 : 에어탱크
a : 제2 분사관 a3 : 분사절개선
b : Y자형 연결관 c : 개폐밸브
d : 공급관 e1 : 수직지지대
e2 : 상부판 e3 : 홈부
f : 볼트

Claims (5)

  1. 차량(10)의 적재프레임(11)의 전방에 설치된 엔진룸(20)의 상부 둘레에 절곡되어 설치되고 다수개의 분사절개선(a3)이 서로 이격되어 구비된 제1,2 분사관(a1, a2)으로된 분사관(a)과; 차량(10)의 외부에 고정수단(30)으로 고정설치되고, 소화분말을 수용한 용기(41)와, 용기(41)의 상부에 설치되어 용기(41)내의 소화분말을 분사하는 분사노즐(42a)을 구비한 분사부(42)와, 분사노즐(42a)을 개방하여 개방된 분사노즐(42a)에서 용기(41)내에 수용된 소화분말을 외부로 분사하도록 분사부(42)에 설치된 손잡이(43)로 구성된 제1 소화기(40a)와, 소화분말을 수용한 용기(41)와, 용기(41)의 상부에 설치되어 용기(41)내의 소화분말을 분사하는 분사노즐(42a)을 구비한 분사부(42)와, 분사노즐(42a)을 개방하여 개방된 분사노즐(42a)에서 용기(41)내에 수용된 소화분말을 외부로 분사하도록 분사부(42)에 설치된 손잡이(43)로 구성된 제2 소화기(40b)으로 된 분말소화기(40);
    제1 소화기(40a)의 분사부(42)가 상부타측에 연결 설치되고, 하부는 제1 분사관(a1)과 연결되어 구비된 제1 "Y"자형 연결관(b1)과, 제2 소화기(40b)의 분사부(42)에 상부타측이 연결 설치되고, 하부는 제2 분사관(a2)과 연결되어 구비된 제2 "Y"자형 연결관(b2)으로 된 연결관(b)과; 제 1 "Y"자형 연결관(b1)의 일측 상부에 연결되어 설치된 제1 개폐밸브(c1)와, 제 2 "Y"자형 연결관(b2)의 일측 상부에 연결되어 설치된 제2 개폐밸브(c2)로 된 개폐밸브(b)와; 제1 개폐밸브(c1)와 연결되어 설치된 제1공급관(d1)과, 제2 개폐밸브(c2)와 연결되어 설치된 제2공급관(d2)으로 된 공급관(d)과; 제1공급관(d1). 제2공급관(d2)및 제3공급관(d3)을 조립설치하기위한 "ㅗ"자형 연결관(50)과; 제3공급관(d3)이 전방에 연결되어 설치되고 후방에 제4공급관(d4)과 제5공급관(d5)이 연결설치는 "ㅜ"자형 연결관(60)과; 제 4공급관(d4)과 연결설치된 제1 에어탱크(70a)와, 제 5공급관(d5)과 연결설치된 제2 에어탱크(70b)로 된 에어탱크(7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덤프트럭 수동 엔진룸 소화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고정수단(30)은 차량(10)의 적재프레임(11)에 설치된 고정본체(35)와, 고정본체(35)의 상부면에 서로 이격되어 수직으로 설치된 제1,2 하부지지대(31a,31b)와, 제1,2 하부지지대(31a,31b)의 상부면에 서로 이격되어 수평으로 설치된 제1,2 상부지지대(32a,32b)와, 제1,2 하부지지대(32a,32b)의 후방과 연결되어 차량(10)의 적재프레임(11)의 상부면에 고정설치된 후방 지지대(33)로 구비되고; 제1,2 상부지지대(31a,31b)의 일측 상부면에 수직으로 안착된 제1 소화기(40a)와, 제1 소화기(40a)의 외측둘레에 전,후방에 서로 이격되어 감압된 제1,2감압고정부(34a,34b)와, 제1감압고정부(34a)의 일측은 제1 상부지지대(31a)의 전방일측에 고정되고, 제1감압고정부(34a)의 타측은 제1 상부지지대(31a)의 전방타측에 고정되며, 제2감압고정부(34b)의 일측은 제2 상부지지대(31b)의 전방일측에 고정되고, 제2감압고정부(34b)의 타측은 제2 상부지지대(31b)의 전방타측에 고정되며; 제2 소화기(40b)의 외측둘레에 전,후방에 서로 이격되어 감압된 제1,2감압고정부(34a,34b)와, 제1감압고정부(34a)의 일측은 제1 상부지지대(31a)의 전방일측에 고정되고, 제1감압고정부(34a)의 타측은 제1 상부지지대(31a)의 전방타측에 고정되며, 제2감압고정부(34b)의 일측은 제2 상부지지대(31b)의 전방일측에 고정되고, 제2감압고정부(34b)의 타측은 제2 상부지지대(31b)의 전방타측에 고정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덤프트럭 수동 엔진룸 소화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제1,2 하부지지대(31a,31b)는 수직지지대(e1)가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고 양 수직지대(e1)의 상부를 연결하는 상부판(e2)으로 구성되고, 양 수직지지대(e1)의 사이와 상부판(e2)의 하부에 홈부(e3)가 형성되며, 홈부(e3)의 내부에 위치되어 상부판(e2)의 하부에 상부로 수직으로 다수개의 볼트(f)가 관통결합되고, 이 볼트(f)는 결합부(f1)와 머리부(f2)로 구성되어서 머리부(f2)는 차량(10)의 적재함(11)상부면을 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덤프트럭 수동 엔진룸 소화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분사절개선(a3)은 제1,2 소화기(40a,40b)에서 공급되는 소화분말 압력 또는 제1,2 에어탱크(70a,70b)에서 공급되는 에어압력으로 인해 벌어지도록 구성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덤프트럭 수동 엔진룸 소화장치.
  5. 삭제
KR1020230143204A 2023-10-24 2023-10-24 덤프트럭 수동 엔진룸 소화장치 KR1026550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43204A KR102655062B1 (ko) 2023-10-24 2023-10-24 덤프트럭 수동 엔진룸 소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43204A KR102655062B1 (ko) 2023-10-24 2023-10-24 덤프트럭 수동 엔진룸 소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5062B1 true KR102655062B1 (ko) 2024-04-08

Family

ID=90715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43204A KR102655062B1 (ko) 2023-10-24 2023-10-24 덤프트럭 수동 엔진룸 소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506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25857A (ja) * 2001-04-27 2002-11-12 Miyata Ind Co Ltd 4台以上の定置粉末消火装置からなる消火設備
KR20180000859U (ko) * 2016-09-20 2018-03-2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 엔진룸의 소화 수 배관 제어시스템의 공압 리모트 자동 개폐밸브의 수동제어 장치
KR101998280B1 (ko) * 2018-12-04 2019-07-09 주식회사 창성에이스산업 전기자동차의 소화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25857A (ja) * 2001-04-27 2002-11-12 Miyata Ind Co Ltd 4台以上の定置粉末消火装置からなる消火設備
KR20180000859U (ko) * 2016-09-20 2018-03-2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 엔진룸의 소화 수 배관 제어시스템의 공압 리모트 자동 개폐밸브의 수동제어 장치
KR101998280B1 (ko) * 2018-12-04 2019-07-09 주식회사 창성에이스산업 전기자동차의 소화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14614B1 (ko) 차량의화재위험자동감지및화재예방/소화방법및장치
CA2221361C (en) A fire extinguisher for closed spaces
JP2009502376A (ja) 自動車における安全システム
KR102655062B1 (ko) 덤프트럭 수동 엔진룸 소화장치
US11992717B2 (en) Close proximity nozzle system
CN213789715U (zh) 带泡沫消防装置的罐车
CN2822690Y (zh) 汽车快速灭火装置
JP3286952B2 (ja) 駐車場の消火設備
KR102478484B1 (ko) 자동차의 화재진압시스템
CN218636514U (zh) 一种自动化充电站消防设备
JP3634254B2 (ja) 塵芥収集車
CN212631498U (zh) 一种危化品装卸站台
JP2003026303A (ja) 塵芥収集車の消火システム
CN216824564U (zh) 一种分体式客舱喷淋灭火系统
KR19980023219A (ko) 차량 엔진룸 화재 소화장치
JP3256915B2 (ja) 駐車場の消火設備
KR102632466B1 (ko) 주차장 전기자동차 화재 소화설비
CN220327836U (zh) 高压细水雾灭火装置和高压细水雾灭火系统
KR20210088774A (ko) 자동차의 대시 패널에 장착하는 화재진압 장치
JPH01256406A (ja) 塵埃収集車
CN219836064U (zh) 一种用于汽车生产线的智慧消防设备
CN211158271U (zh) 车辆轮胎油箱区灭火装置
USRE24869E (en) donehue
CN202920865U (zh) 车载消防安全灭火系统
JPH11276612A (ja) 給油所の消火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