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3697B1 - 두피 및 탈모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두피 및 탈모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3697B1
KR102653697B1 KR1020240002614A KR20240002614A KR102653697B1 KR 102653697 B1 KR102653697 B1 KR 102653697B1 KR 1020240002614 A KR1020240002614 A KR 1020240002614A KR 20240002614 A KR20240002614 A KR 20240002614A KR 102653697 B1 KR102653697 B1 KR 1026536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gent
weight
parts
mixing
pd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00026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스코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스코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스코스
Priority to KR10202400026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36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36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36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1Encapsulated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8/447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sulfu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0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1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five membered rings, e.g. pyrrolidone carboxyl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more than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46Imidazole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e.g. benzimidazo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6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species other than mammals or bi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12Preparations containing hair conditio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Zo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펩타이드, 성장인자 및 아미노산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모발과 두피의 건강을 개선할 수 있는 두피 및 탈모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모발보호제를 포함하는 A제를 교반하며 1차 가열용해하는 단계; 상기 가열용해된 A제에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B제를 혼합하여 2차 가열용해하는 단계; 및 2차 가열용해가 완료된 이후 냉각하고 펩타이드 및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컨디셔닝제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두피 및 탈모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두피 및 탈모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Composition for improving scalp and hair loss and manufacturing thereof}
본 발명은 두피 및 탈모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펩타이드, 성장인자 및 아미노산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모발과 두피의 건강을 개선할 수 있는 두피 및 탈모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남성의 신체적 특징에 있어서 정상적인 측면에 해당하는 골격근 증가, 생식기발달, 정자형성, 성적욕구등은 테스토스테론이 관여하고, 부정적인 측면에 해당하는 여드름, 피지증가, 탈모, 및 전립선 비대증은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이 해당 조직에 관여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중에서도 남성에게 많이 발생되는 탈모에 대해서는 오랜기간 연구가 이루어져 왔으나 아직까지 탈모 및 발모의 기전에 대해서 정확하게 밝혀져 있지 않다. 하지만 외모를 중시하는 현대사회에서는 점점 그 예방 및 치료의 필요성이 절실해지고 있다.
모발은 성장기, 퇴행기, 휴지기의 주기적인 변화를 규칙적으로 반복하는 하나의 생명체로 모발 하나 하나가 독립적인 생성과 소멸을 반복하기에, 항상 일정한 모발수를 유지하게 된다. 모발의 숫자는 출생에서부터 결정되지만 사춘기 이후 성호르몬의 영향으로 인한 모발의 성모화과정을 수의 증가로 착각하는 경우가 많다. 성장기는 모낭의 활동과 세포분열이 활발해 모발이 성장하는 시기로 약 2-6년 정도의 기간을 유지하게 되며 전체 머리카락의 약 85%가 이에 해당된다. 성장기에 모구 세포는 기질세포로 된 모유두에 둘러싸여 원형형태를 띠고 있으며, 새로운 모발의 생성을 위한 세포분열이 활발한 시기이다. 퇴행기는 모낭의 성장활동이 정지되고 급속 도로 위축되는 시기이며 이때의 털의 모양은 곤봉과 유사한 모습이다. 휴지기는 약 2-3주 정도 진행되며 전체 모발의 약5%가 이에 해당된다. 휴지기는 모낭의 세포활동이 완전히 소멸된 시기로 2-3개월의 기간을 거치는 동안 휴지기 모발의 기저부에서 새로이 자라게 되는 성장기 모발에 의해 밀려 나빠지게 되거나 빗질이나 머리를 감는 등의 기계적 작용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빠지게 된다. 일반적으로 탈모증이라 함은 이러한 주기중에 성장기의 모발비율이 짧아지고 퇴행기 또는 휴지기의 모발이 많아져 비정상적으로 모발이 탈락되는 숫자가 많아지는 것을 일컫는다.
두피로부터 모발이 탈락하는 이러한 탈모증이 발생 원인은 다양하며, 크게 나누어 남성호르몬의 작용, 정신적 스트레스, 두피에서의 과산화지질 축적, 약물 부작용, 백혈병 또는 결핵 등의 만성 질환, 방사선 요법에 의한 부작용, 영양 결핍 등이 있다. 또한, 최근에는 남성의 고민이라고 알려져왔던 탈모가 여성 탈모, 젊은 층의 탈모에 대한 예방 및 치료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다.
현재 모발성장 및 양모제로서 사용되는 약물로는 크게 두피에 충분한 혈액을 순환시키기 위한 혈관 확장제, 남성 호르몬의 작용을 억제하기 위한 여성 호르몬제, 테스토스테론을 5-DHT(5-dihydrotesteone)로 변환시키는 5α-리덕타제를 억제하는 남성 호르몬 활성 억제제가 있다. 상기 혈관확장제로는 염화카프로니움, 미녹시딜, 및 각종 식물 추출물 등이 있고, 여성 호르몬제로는 에스트로겐, 에스트라디올, 프로게스테론 등이 있으며, 남성호르몬 활성 억제제로는 피나스테라이드, 펜타데칸산 등이 있다.
그러나, 상기 탈모 치료제는 충분하지 않은 효과나 부작용 등으로 인해 보다 효과적이고 안전한 탈모 치료 또는 육모를 위한 약물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국소용 또는 경구용으로 투여되는 미녹시딜의 경우는 두피의 홍반, 염증, 감염, 자극 또는 동통 등 피부에 자극이 있으며, 혈압강하 효과가 있으므로 혈압강하제를 투여 중인 환자를 포함한 고혈압 환자에게는 신중한 투여를 요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피나스테라이드는 남성 호르몬 활성 억제 효과로 인해 발기부전, 성적욕구의 감소 등의 단점이 있다.
한편 샴푸는 두피 및 모발의 오염을 제거하고 모발을 청결하고 아름답게 유지하기위해 사용되는 세발용 화장품으로서, 세정을 위한 목적 이외에 빗질의 용이성, 부드러움, 매끄러움, 윤기부여 및 모발 표면의 마찰 저하, 정전기 방지, 모발보호 등의 부가적인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최근 들어 잦은 퍼머와 염색, 헤어 드라이의 사용, 자외선 등에 의해 손상된 모발과 두피를 가진 인구가 증가하면서 손상모발에 유효성분을 공급하여 손상 모발을 회복하고자 하는 시도와 함께 샴푸에 있어서도 그 효과에 대한 기대가 증대되고 있다. 이들 샴푸의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실리콘, 탄화수소유, 지방 에스테르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 같은 컨디셔닝제와 혼합하고, 음이온성 세제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다만 기존에 사용되는 샴푸의 경우 모발의 세정에만 효과를 집중하고 있으며, 기능성 성분을 함유하는 경우에도 그 효과가 제한적이므로 기능성이 향상된 샴푸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000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2-0075131호 (0002)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120955호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펩타이드, 성장인자 및 아미노산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모발과 두피의 건강을 개선할 수 있는 두피 및 탈모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모발보호제를 포함하는 A제를 교반하며 1차 가열용해하는 단계; 상기 가열용해된 A제에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B제를 혼합하여 2차 가열용해하는 단계; 및 2차 가열용해가 완료된 이후 냉각하고 펩타이드 및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컨디셔닝제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두피 및 탈모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두피 및 탈모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모발보호제를 포함하는 A제를 교반하며, 60~100℃로 가열하여 1차 가열용해하는 단계; 상기 A제가 완전히 용해된 이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B제를 혼합하고 60~100℃로 가열하여 2차 가열용해하여 조성물 베이스를 준비하는 단계; 20~30rpm으로 회전하는 교반기를 사용하여 상기 조성물 베이스를 유화시키는 단계; 상기 유화가 완료된 이후 상기 조성물 베이스를 30~50℃로 냉각시키는 단계; 및 상기 냉각이 완료된 조성물 베이스에 펩타이드 및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컨디셔닝제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A제는 용제, 금속이온봉쇄제, 모발보호제, pH조절제 및 방부제를 포함하며, 상기 B제는 폼 형성제 및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며, 상기 컨디셔닝제는 아세틸헥사펩타이드-8, 카퍼트리펩타이드-1, 아세틸옥타펩타이드-3, 트리펩타이드-32, 아세틸데카펩타이드-3, 바이오티노일트리펩타이드-1, 아세틸테트라펩타이드-9, 테트라펩타이드-30, 헥사펩타이드-10, 노나펩타이드-1, 올리고펩타이드-2, 팔미토일펜타펩타이드-4, 팔미토일테트라펩타이드-20 아마이드, 에스에이치-올리고펩타이드-1, 에스에이치-폴리펩타이드-1, 에스에이치-올리고펩타이드-2, 에스에이치-폴리펩타이드-11, 글리신, 세린, 글루타믹산, 아스파틱산, 류신, 알라닌, 라이신, 아르기닌, 티로신, 페닐알라닌, 트레오닌, 프롤린, 발린, 이소류신, 히스티딘, 메티오닌 및 시스테인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두피 및 탈모 개선용 조성물 제조방법은 제1제를 제조하는 단계; 및 제2제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제를 제조하는 단계는, 모발보호제를 포함하는 A제를 교반하며, 60~100℃로 가열하여 1차 가열용해하는 단계; 상기 A제가 완전히 용해된 이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B제를 혼합하고 60~100℃로 가열하여 2차 가열용해하여 조성물 베이스를 준비하는 단계; 20~30rpm으로 회전하는 교반기를 사용하여 상기 조성물 베이스를 유화시키는 단계; 상기 유화가 완료된 이후 상기 조성물 베이스를 30~50℃로 냉각시키는 단계; 및 상기 냉각이 완료된 조성물 베이스에 펩타이드 및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컨디셔닝제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제2제를 제조하는 단계는 성숙된 송어 수컷 개체에서 정액을 채취하는 단계; 상기 채취된 정액을 세척한 다음, 버퍼 용액과 혼합하고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제거하는 것으로, 펠렛화된 정자세포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펠렛화된 정자세포에 용해 버퍼, 프로테아제 및 RNA분해효소(RNase)를 혼합하여 단백질 및 RNA를 제거하는 것으로 PDRN전구체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PDRN전구체를 필터에 여과하고 유리에 흡착시켜 PDRN을 수득하는 단계; 상기 제조된 PDRN에 온도의존성 오일을 혼합하여 유화처리하는 단계; 피막물질이 용해된 피막용제에 상기 유화처리된 용액을 투입하여 상기 PDRN과 상기 온도의존성 오일이 상기 피막물질에 피막되어 미세입자로 캡슐화되도록 처리하여, PDRN 마이크로 캡슐을 수득하는 단계 송어의 난소를 채취한 다음, 세척하는 단계; 상기 세척된 난소에서 난체를 분리하는 단계; 상기 분리된 난체에 파파인 효소를 혼합하는 단계; 상기 파파인 효소와 혼합된 난체에 인산염 화합물을 혼합하여 탈검하는 단계; 상기 탈검이 완료된 이후 염기성물질을 혼합하여 탈산하는 단계; 상기 탈산이 완료된 이후 산성백토를 혼합하고 정제하여 난포액을 수득하는 단계; 상기 제조된 난포액에 온도의존성 오일을 혼합하여 유화처리하는 단계; 피막물질이 용해된 피막용제에 상기 유화처리된 용액을 투입하여 상기 난포액과 상기 온도의존성 오일이 상기 피막물질에 피막되어 미세입자로 캡슐화되도록 처리하여 난포액 마이크로 캡슐을 수득하는 단계; 및 물 100중량부 대비 증점제 1~5중량부, 상기 PDRN 마이크로 캡슐 1~5중량부, 상기 난포액 마이크로 캡슐 1~5중량부 및 보존제 0.1~1중량부를 혼합하여, 제2제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되며, 상기 제1제 및 상기 제2제는 사용 직전 혼합되며, 상기 제1제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계면활성제에 의하여 상기 PDRN마이크로캡슐 및 상기 난포액 마이크로 캡슐이 용해되어 내부의 상기 PDRN 및 상기 난포액이 유출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두피 및 탈모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두피의 청결한 관리와 동시에 두피의 환경을 개선하여 모발의 생장을 촉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두피 및 탈모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모발의 생성환경을 개선하고 모발의 탈락을 개선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모발과 두피의 건강을 근본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기술되는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 방법 또는 제조 방법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 방법을 이루는 각 과정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은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과정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여기서 설명되는 구현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단지, 여기서 소개되는 구현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기술의 기술적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각 장치의 구성요소를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상기 구성요소의 폭이나 두께 등의 크기를 다소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전체적으로 도면 설명시 관찰자 시점에서 설명하였고, 일 요소가 다른 요소 위에 위치하는 것으로 언급되는 경우, 이는 상기 일 요소가 다른 요소 위에 바로 위치하거나 또는 그들 요소들 사이에 추가적인 요소가 개재될 수 있다는 의미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사상을 다양한 다른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복수의 도면들 상에서 동일 부호는 실질적으로 서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는, 'A', 'B', 또는 'A와 B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모발보호제를 포함하는 A제를 교반하며 1차 가열용해하는 단계; 상기 가열용해된 A제에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B제를 혼합하여 2차 가열용해하는 단계; 및 2차 가열용해가 완료된 이후 냉각하고 펩타이드 및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컨디셔닝제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두피 및 탈모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A제는 모발보호제를 포함하는 성분으로 구체적으로는 정제수 100중량부 대비 디소듐이디티에이 0.01~0.1중량부, 구아하이드록시프로필트리암모늄클로라이드 0.1~0.2중량부, 폴리쿼터늄-10 0.5~1중량부, 시트릭산 0.25~0.6중량부, 프로필렌글리콜 5~10중량부 및 소듐벤조에이트 0.1~0.2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준비된 A제는 60~100℃로 가열하며 교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가열을 통하여 상기 정제수에 나머지 성분들이 용해 및 혼합될 수 있다. 이때 60℃미만으로 가열하는 경우 각 성분의 용해가 원활하지 않아 후술할 단계에서의 혼합 및 유화가 어려울 수 있으며, 100℃를 초과하는 온도로 가열하는 경우 기포가 발생하여 불량품이 생길 수 있다.
상기와 같이 A제의 용해가 완료된 이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B제를 혼합하고 60~100℃로 가열하여 2차 가열용해하여 조성물 베이스를 준비할 수 있다.
상기 B제는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성분으로 본 발명의 경우 상기 정제수 100중량부 대비 코카마이드메틸엠이에이 4~8중량부,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 2.5~6중량부 및 소듐C14-16올레핀설포네이트 7~15중량부의 비율로 혼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A제는 상기와 같이 60~100℃로 가열을 지속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A제 및 상기 B제의 비율이 상기 범위 이내인 경우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되는 조성물이 높은 세척효과를 가질 수 있지만,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세척효과가 떨어지거나 피부의 자극이 발생될 수 있다.
20~30rpm으로 회전하는 교반기를 사용하여 상기 조성물 베이스를 유화시킬 수 있다.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A제 및 상기 B제는 다양한 성분들이 혼합되어 있으며, 이를 단순히 혼합하는 경우 상분리가 일어날 수 있다. 다만 상기 B제의 경우 다량의 계면활성제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상기와 같이 교반기를 사용하여 혼합하는 경우 용이하게 유화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교반지가 20rpm미만으로 회전하는 경우 유화 및 혼합이 용이하지 않으며, 30rpm을 초과하여 회전하는 경우 내부에 기포가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유화가 완료된 조성물 베이스는 30~50℃로 냉각시킬 수 있다. 후술할 단계에서는 펩타이드 및 아미노산을 혼합하게 되므로 상기와 같이 가열된 상태로 혼합하게 되면 열에 의하여 변성이 일어날 수 있다. 또한 30℃미만으로 냉각시키는 경우에는 점도가 높아져 혼합이 어려우므로 30~50℃로 냉각시킨 다음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냉각이 완료된 조성물 베이스에 펩타이드 및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컨디셔닝제를 혼합할 수 있다.
상기 펩타이드는 1종 이상의 아미노산이 펩타이드 결합에 의하여 결합된 생성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경우 상기 펩타이드로서 아세틸헥사펩타이드-8, 카퍼트리펩타이드-1, 아세틸옥타펩타이드-3, 트리펩타이드-32, 아세틸데카펩타이드-3, 바이오티노일트리펩타이드-1, 아세틸테트라펩타이드-9, 테트라펩타이드-30, 헥사펩타이드-10, 노나펩타이드-1, 올리고펩타이드-2, 팔미토일펜타펩타이드-4, 팔미토일테트라펩타이드-20 아마이드, 에스에이치-올리고펩타이드-1, 에스에이치-폴리펩타이드-1, 에스에이치-올리고펩타이드-2 및 에스에이치-폴리펩타이드-11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펩타이드는 투피에 사용되는 경우 두피와 모낭의 재생을 촉진할 수 있으며, 모발의 영양분을 공급할 수 있으므로, 두피와 모발의 상태를 개선할 수 있다.
상기 아미노산은 단백질을 구성하는 기본단위를 말하는 것으로 글리신, 세린, 글루타믹산, 아스파틱산, 류신, 알라닌, 라이신, 아르기닌, 티로신, 페닐알라닌, 트레오닌, 프롤린, 발린, 이소류신, 히스티딘, 메티오닌 및 시스테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미노산의 경우 상기 펩타이드보다 작은 분자량을 가지고 있으므로, 모발에 직접적으로 영양을 공급할 수 있으며, 아울러 두피내로 침투되어 두피에 영양분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두피 및 탈모 개선용 조성물 제조방법은 제1제를 제조하는 단계; 및 제2제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제는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이므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2제는 상기 제1제와는 별도로 공급되는 성분으로 PDRN을 주성분으로 포함하고 있으며, 또한 영양을 공급할 수 있는 난포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PDRN"은 폴리디옥시리보뉴클레오티드(polydeoxyribonucleotide)를 지칭하는 것으로, 짧은 디옥시리보뉴클레오타이드(short deoxyribonucleotide)의 혼합물(mixture)이다. 즉, DNA 사슬을 일정 크기로 분획화하여 만든 저분자량 DNA 중합체(Low molecular weight DNA complex)이다.
상기 PDRN은 인간의 태반, 송어 정자, 연자 정자 또는 기타 어류의 조직에서 추출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경우 송어의 정소에서 추출하는 것으로 후술할 난포액과 혼합되어 사용되는 경우에도 혼합에 의한 활성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송어의 수컷은 상기 암컷에서 난소를 채취하는 과정과는 달리 배를 가르지 않고 채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상기 송어의 정자와 난자의 크기에 따른 것으로 상기 난소내의 난체의 경우 직경이 3~5mm에 달하는 크기를 가짐에 따라 난소 전체를 채취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상기 정자의 경우 현미경으로 관찰할 수 있는 크기를 가지게 되므로, 정소 전체를 채취하지 않더라도 손상 없이 정자를 채취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송어의 정소에는 성숙되어 배출되는 정자이외에 더 많은 양의 미성숙된 정원세포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이를 사람 융모 성선자극호르몬(human chorionicgonadotropin,HCG)을 이용하여 재성숙시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HCG에 의한 자극으로 재성숙되는 정자의 경우 수정능력을 가지지 못할 수 있지만 성숙된 정자와 동일한 DNA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상기 성숙된 정자와 혼합되어 PDRN의 제조에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성숙된 송어 수컷 개체에서 정액을 채취하는 단계는, 송어의 정소에서 정액을 분리하는 단계; 상기 정액이 분리된 정소를 인공 정장액 하에서 마쇄 및 희석하여 정소 희석액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정소 희석액에 사람 융모 성선자극 호르몬을 25~20IU/g의 비율로 첨가하고 10~30분간 동안 보관하여 정소내의 미성숙된 정자를 활성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활성화된 정자를 분리하여 상기 송어에서 분리된 정액에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성숙된 송어 수컷 개체는 11~12월에 성숙어를 선별하여 채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PDRN의 경우 생식세포의 핵에 존재하는 DNA를 가공한 것이므로 난체에서도 채취가 가능하지만, 난체의 경우 영양성분을 다량함유하고 있으므로, 상기 PDRN의 비율이 낮아 영양성분의 비율이 낮고 핵의 비율이 높은 정액에서 채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액은 정소와 분리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정소의 내부에는 다량의 정액이 존재할 수 있지만, 미성숙된 정액 및 정원세포 역시 다량을 포함하게 된다. 이러한 미성숙된 정액 및 정원세포의 경우 정액에 포함되어 있는 정자와 동일한 DNA를 포함하고 있지만 아직 미성숙된 단계이므로 수정능력은 가지지 못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PDRN의 경우 생식세포의 DNA를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므로 이를 가공하여 사용하는 경우 상기 정액만을 이용하여 가공하는 경우에 비하여 높은 수율로 PDRN을 획득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정소 희석액을 준비하는 단계는 상기 정액과 분리된 정소를 마쇄하고 하기의 정장액(seminal plasma)을 사용하여 희석한다. 상기 마쇄의 과정은 정소를 가위로 잘게 자르면 정소의 정세포 등을 감싸고 있는 막을 벗겨 낼 수 있는데, 이 막을 벗겨낸 이후 세포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장갑을 낀 손으로 부드럽게 으깨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정장액의 조성은 80mM NaCl, 40mM KCl, 1mM CaCl2, 20mM Tris-HCl로 이루어지며, 구체적으로 sodium (Na) 159.26±8.84mM, potassium (K) 33.72±2.01mM, chlorine (Cl)133.04±5.96 mM, calcium (Ca) 1.68± 0.2 mM 및 magnesium (Mg) 0.988±0.13 mM을 포함할 수 있다(Hatef A, et. al., 2007. Aquaculture Research 38, 1175-1181 참조). 유기 성분은 총 단백질 0.75±0.14 mg/100mL, 콜레스테롤 2.86±0.58 mg/L 및 포도당 3.81±1.04 mM/L 일 수 있다.
상기 정자와 분리된 정소는 성숙정도가 다른 부분을 구분하여 분리함으로써 0.7% 이상의 정자 활성도를 나타내는 성숙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부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HCG 처리는 25-200IU/g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HCG가 20IU/g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 상기 미성숙된 정자의 활성화가 떨어져 PDRN을 추출량이 감소될 수 있으며, 200IU/g를 초과하는 비율로 첨가되는 경우 더 이상의 효과 증대는 없으면서 고가의 HCG를 사용함에 따라 비경제적이다.
본 발명에서 용어 HCG (human chorionic gonadotropin)는 사람 융모성 성선(性腺) 자극 호르몬으로, 임신부의 뇨에 섞여 나오는 호르몬이다.
상기와 같이 HCG처리를 통하여 미성숙된 정자를 활성화시킨 다음, 이를 분리하여 상기 채취된 정액에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활성화된 정자를 분리하는 방법은 원심분리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액은 이송을 위하여 액체질소를 이용한 급속 냉동을 수행할 수 있다.상기 정액에 포함되어 있는 정자의 경우 상기 난자의 외피를 통과하기 위한 단백질 분해효소를 가지고 있으므로 장기간 실온에 보관하는 경우 쉽게 변질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채취된 정액은 가공시까지 냉동되어 보관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냉동에 의한 DNA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액체질소를 이용한 급속냉동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와 같이 급속 냉동된 정액은 -60℃이하 바람직하게는 -80℃에서 보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냉동된 정액은 생리식염수로 세척하여 혈액과 잔해물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액의 체취과정에서 상기 송어의 혈액이 혼입될 수 있으며, 어류의 구조상 정액을 제외한 분변이 혼입될 수 있으므로 이를 세척하여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세척된 정액은 버퍼용액과 혼합될 수 있다. 상기 버퍼용액은 상기 버퍼용액은 pH가 7~9인 5~15mM Tris-HCl 및 0.1~2mM EDTA의 조성을 가지는 버퍼용액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버퍼용액과 상기 정액의 혼합시 부피비는 2:1~4:1일 수 있으며,바람직하게는 3:1의 부피비로 혼합될 수 있다.이때 부피비가 2:1 미만인 경우 버퍼의 양이 충분하지 않아 정액에서 정자 펠렛을 분리하기 어려우며, 4:1을 초과하는 경우 많은 양의 버퍼용액을 사용하게 되므로 비효율적이다.
상기와 같이 버퍼용액와 혼합된 정액은 원심분리를 통하여 상층액을 제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정자의 경우 상기 상층액과 분리되어 펠렛화되어 회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높은 비율로 PDRN의 추출이 가능하다. 이때 사용되는 원심분리기는 산업적으로 사용되는 원심분리기라면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퍼 용액 혼합과정 및 원심분리 과정은 2~5회 반복될 수 있다. 이 과정을 통하여 상기 정액에 포함되어 있는 정자를 제외한 다른 성분들이 상기 버퍼용액과 혼합되어 제거될 수 있으며, 더욱 순수한 PDRN을 수득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펠렛화되어 회수된 정자세포는 분해과정을 거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펠렛화된 정자세포에 용해 버퍼, 프로테아제 및 RNA분해효소(RNase)를 혼합하여 단백질 및 RNA를 제거하는 것으로 PDRN전구체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용해버퍼는 상기 정자 분해시 분해효소들이 용이하게 활동할 수 있도록 첨가되는 것으로 pH가 7~8인30~60 mM Tris-HCl, 20~30mM EDTA, 300~400mM NaCl의 용액에 소듐도데실설페이트(SDS)를 0.2~1중량% 혼합한 용액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범위내의 용해버퍼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정자의 분해과정이 용이하게 진행될 수 있지만,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용해버퍼를 사용하는 경우 PDRN이 분해되어 효과가 떨어지거나 정자의 분해가 완료되지 못하여 PDRN의 함량이 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용해버퍼에는 단백질을 분해할 수 있는 프로테아제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프로테아제는 상기 정자의 단백질을 분해하는 것으로 상기 정자 내부에 위치하는 DNA를 용출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로테아제는 상기 버퍼용액에 3~10mg/ml의 비율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로테아제가 3mg/ml미만의 비율로 포함되는 경우 상기 정자의 단백질 분해가 용이하지 않으며, 10mg/ml를 초과하는 비율로 포함되는 경우 고가의 프로테아제를 과량 사용함에 따라 비효율적이다.
상기 RNA분해효소는 정자의 핵속에 포함되어 있는 RNA를 분해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RNA가 DNA와 혼합되어 분리되는 현상을 막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RNA분해효소는 상기 버퍼용액에 3~10mg/ml의 비율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RNA분해효소가 3mg/ml 미만의 비율로 포함되는 경우 상기 정자의 RNA 분해가 용이하지 않으며, 10mg/ml를 초과하는 비율로 포함되는 경우 고가의 RNA분해효소를 과량 사용함에 따라 비효율적이다.
상기와 같이 정자 펠렛에 용해 버퍼, 프로테아제 및 RNA분해효소(RNase)를 혼합한 다음, 50~60℃의 온도에서 5~10시간 동안 보관하여 각 효소의 반응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정자를 구성하고 있는 단백질이 분해되어 핵 내부의 물질이 외부로 용출될 수 있으며, RNA는 분해되어 뉴클레오티드상태로 존재할 수 있다.이때 상기 온도 미만이거나 상기 시간 미만으로 보관하는 경우 정자의 분해가 불완전할 수 있으며, 상기 온도를 초과하는 온도에서는 상기 효소들의 활성이 떨어져 정자의 분해가 오히려 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시간을 초과하는 시간동안 보관하는 경우 고온으로 인하여 상기 PDRN전구체가 변질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PDRN전구체는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될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필터는 상기 난포액 제조과정에서 사용된 필터와 동일한 필터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필터에 의한 여과가 완료된 이후 PDRN을 수집할 수 있다. 상기 PDRN의 수집은 상기 여과가 완료된 PDRN전구체를 원심분리하여 고형분을 수집하는 단계; 상기 고형분에 에탄올을 주입하여 세척하는 단계; 유리막대 또는 유리판의 표면에 PDRN을 흡착시켜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PDRN의 경우 DNA의 일종에 해당하므로 유리표면에 용이하게 흡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PDRN전구체 용액을 에탄올을 이용하여 세척한 다음, 상기 유리막대 또는 유리판을 침지하게 되면 상기 유리막대 또는 유리판의 표면에 상기 PDRN이 응집되어 분리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분리된 PDRN은 캡슐화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경우 사용시 까지 장기간 보관될 필요가 있으며, 또한 후술할 바와 같이 난포액의 제조에는 파파인이라는 단백질 분해효소가 사용되고 있어 PDRN의 변질이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PDRN 및 후술할 난포액을 캡슐화하는 것으로 보존기간을 늘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변질을 막을 수 있다.
아울러 기존의 샴푸는 1액형으로 제조되고 있지만, 본 발명의 경우 이러한 캡슐이 온도의존성 오일을 사용하여 제조되므로 상기 샴푸에 포함되는 계면활성제에 의하여 분해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제1제와 제2제로 분리되어 공급되며, 이는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PDRN 마이크로 캡슐을 제조하는 방법은 상기 제조된 PDRN에 온도의존성 오일을 혼합하여 유화처리하는 단계; 피막물질이 용해된 피막용제에 상기 유화처리된 용액을 투입하여 상기 PDRN과 상기 온도의존성 오일이 상기 피막물질에 피막되어 미세입자로 캡슐화되도록 처리하여, PDRN 마이크로 캡슐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PDRN에 온도의존성 오일을 혼합하여 유화처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온도 의존성 오일은 코코넛 오일, 트리글리세리드류, 지방산, 또는 그 혼합물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화장품 및 샴푸등에 많이 사용되는 코코넛 오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PDRN은 상기와 같은 온도의존성 오일과의 혼합이 용이하도록 물과 혼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코코넛 오일은 필리핀,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등 널리 열대지방의 해안에 자생하는 야자나무 열매의 핵에서 채취되는 지방으로 일명 코프라 오일(copra oil)이라고도 하며 녹는점은 23 내지 28℃ 이고, C10, C12, C14의 포화지방산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코코넛 오일은 다나산(dynasan), 위텝졸(witepsol) 또는 콤프리톨(compritol)과 같은 준중합 지질(semisynthetic lipid)과 비교하여 더 높은 생분해성과 낮은 생체 내 독성을 가지고 있다.
다음은 이러한 PDRN과 온도 의존성 오일이 혼합된 용액을 유화되도록 하기 위한 유화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유화처리는 진동, 교반, 초음파 처리 등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유화처리가 완료된 다음, 피막물질이 용해된 피막용제를 상기 유화처리된 용액에 투입하여 상기 PDRN과 상기 온도의존성 오일이 상기 피막물질에 피막되어 미세입자로 캡슐화되도록 처리하여, 마이크로 캡슐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피막물질은 바람직하게는 보관조건에서는 고형상으로 존재하여 보관하는 동안 입자의 물리적인 안정성을 증가시키고, 입자내에 함유된 약물의 화학적인 안정성을 증대시키며, 후술할 제1제와의 접촉에 의하여 용해되거나 또는 체온부근에서 액상으로 녹고나 인체의 움직임에 따라 파괴되어 효과적으로 약물을 방출할 수 있는 감응성 물질이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피막물질로는 다양한 물질이 사용될 수 있지만, 인지질계 피막 또는 젤라틴계 피막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인지질계 피막 또는 젤라틴계 피막의 경우 피막이 형성된 이후에는 높은 안정성을 가질 수 있지만, 계면활성제와 접촉하는 경우 용이하게 용해될 수 있으며, 이후에는 내부의 물질이 용출될 수 있다.
상기 피막물질은 상기 피막용제의 용매에 대해 1.5wt% 내지 3.0wt%의 농도가 되도록 첨가될 수 있다. 상기 피막물질이 1.5wt%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마이크로 캡슐의 피막 생성이 어려울 수 있으며, 3.0wt%를 초과하는 농도로 포함되는 경우 마이크로 캡슐이 피막이 두꺼워져 마이크로캡슐의 파괴가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피막용제는 알코올 더욱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을 사용할 수 있다.
이후 상기 피막물질이 상기 유화용액내에서 균일하게 분산될 수 있도록 분산처리할 수 있다. 상기 분산처리는 피막물질이 유화용액을 포획하여 마이크로입자 크기로 균일하게 캡슐화할 수 있도록 처리하는 것으로 초음파처리, 교반, 진동 등과 같은 방법에 의해 처리할 수 있다.이를 통하여 상기 피막물질은 마이크로 캡슐을 형성하며, 상기 마이크로 캡슐의 내부에는 PDRN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온도 의존성 오일 : PDRN : 피막물질의 무게비는 9:1:4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율에서는 적절한 마이크로 캡슐의 생성이 가능하지만 상기 비를 벗어나는 경우 마이크로 캡슐의 생성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PDRN이외에도 난포액을 포함할 수 있다. 기존의 송어 관련 화장료의 경우 송어 정소에서 채취되는 PDRN을 주재로 하여 제조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PDRN을 주재로 하는 화장품의 경우 PDRN으로 인한 피부 재생효과 및 모발 강화 효과는 뛰어날 수 있지만, 항산화 효과에 의한 모발의 강화는 기대하기 어려워 각종 첨가물이 추가되어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항산화 효과에 의한 모발의 강화효과를 가지는 성분을 송어의 난소에서 분리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기존의 조성물에 비하여 각 성분간의 상성이 뛰어나며, 혼합에 의한 효능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는 조성물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송어의 난소를 채취한 다음, 세척하는 단계; 상기 세척된 난소에서 난체를 분리하는 단계; 상기 분리된 난체에 파파인 효소를 혼합하는 단계; 상기 파파인효소와 혼합된 난체에 인산염 화합물을 혼합하여 탈검하는 단계;상기 탈검이 완료된 이후 염기성물질을 혼합하여 탈산하는 단계; 상기 탈산이 완료된 이후 산성백토를 혼합하고 정제하여 난포액을 수득하는 단계; 상기 제조된 난포액에 온도의존성 오일을 혼합하여 유화처리하는 단계; 피막물질이 용해된 피막용제에 상기 유화처리된 용액을 투입하여 상기 난포액과 상기 온도의존성 오일이 상기 피막물질에 피막되어 미세입자로 캡슐화되도록 처리하여 난포액 마이크로 캡슐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어의 난소를 채취하는 단계는 성숙왼 송어의 암컷에서 산소를 채취하여 이를 가공하는 단계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송어의 난소를 채취한 다음, 세척하는 단계는, 11~12월에 성숙된 송어중 암컷 개체를 선별하는 단계; 상기 선별된 암컷 개체의 복부를 절개하여 난소를 채취하는 단계; 및 상기 난소의 표면을 0.5~2중량%의 식염수로 세척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송어는 11~12월에 난소 및 정소가 성숙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 시기에 산란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11월 내지 12월에 성숙된 송어를 채집하는 경우 난소의 비율이 높으며 성숙도가 높은 난소의 채취가 가능할 것이다. 또한 상기 송어는 암컷과 수컷을 분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송어의 암컷의 경우 난소를 채취하여 난포액을 제조할 수 있으며, 수컷의 경우 상기와 같이 정소를 채취하여 PDRN의 원료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송어의 경우 자연상태에서도 산란이 완료된 이후 폐사하게 되므로, 상기와 같이 난소 및 정소가 채취된 이후 식품용이나 사료용으로 가공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채취된 난소 즉 송어의 알집은 채취시 표면에 체액이나 혈액이 남아 있을 수 있으므로, 이를 세척하는 것에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세척에는 0.5~2중량%의 식염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식염수의 경우 일반적인 생리식염수에 비하여 높은 비율의 소금을 포함하게 되는데 이러한 식염수를 사용하는 경우 삼투압작용에 의하여 상기 송어 난소 표면의 체액이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송어 난소의 표면을 구성하는 알집이 탈수되어 단단해지므로 후술할 공정까지의 이송이 원활해질 수 있으며, 난소의 표면에 남아 있을 수 있는 미생물에 대한 살균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식염수는 0.5~2중량%의 소금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5중량%의 소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염수가 0.5중량% 미만의 소금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식염수에 의한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우며, 2중량%를 초과하는 소금을 포함하는 경우 과도한 삼투압이 발생하여 유효성분까지 용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세척이 완료된 난소는 표면의 알집이 제거되어 난체가 분리될 수 있다. 상기 난체는 상기 송어의 난자 즉 알을 의미하는 것으로 하나의 세포로 구성되어 있어 정자와 결합되어 수정되는 경우 송어 개체로 발생될 수 있는 부분이다. 상기 난체에는 난자를 구성하는 성분인 DNA를 비롯하여 단백질과 영양분으로 사용되는 다량의 지방산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경우 상기 단백질 및 지방산이 포함된 난포액을 사용하는 것으로 상기 조성물에 다량의 단백질 및 지방산을 유효성분으로서 포함시킬 수 있다.
상기 난소의 내부에는 상기 난체 이외에도 체액이나 혈액이 포함될 수 있으므로 상기 난체가 분리된 이후 이를 세척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세척을 식염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식염수는 0.7~1중량%의 소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난체의 세척이 상기 난소의 세척과 같이 높은 염도를 가지는 식염수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난체 내부의 수분이 용출되면서 유효성분까지 용출될 수 있으므로 상기 난체의 세척에는 생리식염수와 유사한 농도의 식염수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식염수의 농도가 0.7중량% 미만인 경우 세척이 난체 내부로 수분이 유입되어 난체가 터져 내용물이 유출될 수 있으며, 1중량%를 초과하는 소금을 포함하는 경우 난체 내부의 수분이 용출되어 난체가 수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난체는 외피에 둘러싸여 있을 뿐만 아니라 구형을 유지하기 위하여 콜라겐과 같은 구조단백질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이러한 구조 단백질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난체에 포함되는 단백질의 경우 고분자를 구성하고 있으므로 이를 아미노산으로 분리하여 상기 난포액이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난체에 단백질 분해효소를 혼합하는 것으로 상기 외피 및 구조단백질 등을 분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사용하는 단백질분해효소는 단백질분해효과가 뛰어나며, 인체에 해를 주지 않는 파파인 또는 브로멜린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분리된 난체에 파파인 또는 브로멜린 효소를 혼합하는 단계는 상기 분리된 난체 100중량부 대비 3~10중량부의 파파인 또는 브로멜린 효소 및 50~200중량부의 물을 혼합하는 단계; 상기 파파인 또는 브로멜린 효소와 혼합된 난체를50~60℃의 온도에서 5~10시간동안 보관하여 단백질을 분해하는 단계; 상기 단백질이 분해된 난체를90~100℃로 1~3시간동안 가열하여 파파인 또는 브로멜린 효소를 불활성화시키는 단계; 및 40~50㎛의 기공크기를 가지는 필터로 여과하여 추출물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파인은 단백질 분해효소의 일종으로, 파파야에 포함되어 있어 과일의 내부로 침입하는 해충을 막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상기 파파야즙을 연육제로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 파파야에서 분리된 파파인을 상기 난체의 단백질을 분해하는 단백질 분해효소로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브로벨린은 파인애플에 포함되어 있는 단백질 분해효소로. 상기 파파인과 유사한 효과를 가지는 효소이다.
상기 분리된 난체의 단백질 분해를 위하여 상기 파파인 또는 브로멜린 효소와 혼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100중량부 대비 3~10중량부의 파파인 또는 브로멜린 효소 및 50~200중량부의 물을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파파인 또는 브로멜린 효소가 3중량부 미만으로 혼합되는 경우 상기 난체의 단백질 분해가 어려울 수 있으며, 10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하는 경우 과도한 단백질 분해로 인하여 유효성분이 분해되어 효과가 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물은 상기 난체와 상기 단백질 분해효소를 혼합하기 위하여 첨가되는 것으로 50중량부 미만으로 혼합되는 경우 상기 파파인 또는 브로멜린 효소가 고르게 분산되지 못할 수 있으며, 20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제조되는 난포액의 농도가 낮아져 효과가 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파파인 또는 브로멜린 효소와 혼합된 난체는 50~60℃의 온도에서 5~10시간동안 보관하여 단백질을 분해할 수 있다.이는 상기 파파인 또는 브로멜린 효소의 활성을 높이기 위하여 수행되는 것으로 50℃미만의 온도 또는 5시간 미만동안 보관하는 경우 단백질 분해가 원활하지 않으며, 60℃를 초과하는 온도에서는 파파인 또는 브로멜린 효소의 활성이 떨어질 수 있다.또한 10시간 이상 보관하는 경우 더 이상의 효과가 없어 비경제적이다.
상기와 같이 파파인 또는 브로멜린에 의한 단백질 분해가 완료되면 상기 난체의 외피가 분해되어 난체 내부의 성분이 용출될 수 있다. 또한 이 과정에서 난체 내부의 구조단백질이 분해되어 상기 물과 용이하게 혼합되며, 난체 내부의 단백질 역시 아미노산으로 분해되어 물과 혼합될 수 있다. 즉 상기 단백질 분해과정을 거친 이후 난체의 단백질은 대부분 아미노산으로 분해되어 물과 혼합되며, 난체 내부의 영양성분인 지방산역시 용출되어 물과 혼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단백질 분해가 완료된 이후 상기 파파인 또는 브로멜린을 불활성화 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파파인 또는 브로멜린의 경우 단백질을 지속적으로 분해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난포액에 포함되는 단백질 및 아미노산을 과도하게 분해하여 효과를 떨어트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사용한 조성물에 포함되는 경우 펩타이드 및 아미노산을 분해하여 효과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파파인 또는 브로멜린을 불활성화 하여 단백질 및 아미노산의 과도한 분해를 막을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단백질이 분해된 난체를 90~100℃로 1~3시간 동안 가열하여 파파인 또는 브로멜린 효소를 불활성화 시킬 수 있다. 상기 파파인 또는 브로멜린 효소의 경우 고온에서 불활성화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따라서 상기 단백질이 분해된 난체를 가열하는 경우 상기 파파인 또는 브로멜린 효소를 용이하게 불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온도가 90℃ 미만이거나 1시간 미만으로 가열하는 경우 상기 파파인 또는 브로멜린 효소의 불활성화가 완전하지 않을 수 있으며, 100℃를 초과하는 온도 또는 3시간을 초과하는 시간동안 가열하는 경우 상기 난포액에서 추출된 아미노산과 지방산이 열변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가열하여 파파인 또는 브로멜린을 불활성화시킨 다음,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40~50㎛의 기공크기를 가지는 필터로 여과하여 추출물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파파인 또는 브로멜린을 이용하여 단백질을 분해하였지만 미 분해된 난체의 외피 및 상기 난체의 구성성분의 일부는 상기 추출물에 부유물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파인 또는 브로멜린에 의하여 분해되지 못한 단백질의 경우 상기 파파인 또는 브로멜린을 불활성화하는 과정에서 열에 의하여 경화되어 부유물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파파인 또는 브로멜린을 불활성화한 다음 이 추출물을 여과하여 상기 부유물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필터는 40~50㎛의 기공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공의 크기가 40㎛미만인 경우 필터의 여과속도가 느려져 비효율적이며, 5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부유물이 여과되지 않아 불순물이 늘어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부유물을 분리한 추출물에 인산염화합물을 혼합하여 탈검할 수 있다. 상기 탈검은 상기 난체에 포함되어 있는 콜라겐과 같은 구조단백질을 제거하는 단계로 인산염화합물을 첨가하는 경우 상기 구조 단백질이 응집되어 겔(Gel) 또는 검(Gum)을 형성하게 되므로 이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인산염화합물은 인산을 포함하는 화합물이라면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지만, 단백질 결착제로 널리 사용되는 인산나트륨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인산염 화합물은 상기 추출물 100중량부 대비 0.01~0.2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인산염화합물이 0.01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상기 인산염에 의한 응집효과가 나타나지 않을 수 있으며, 0.2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 아미노산이 응집되거나 분산성을 나타낼 수 있어 난포액의 분리가 어려울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인산염화합물을 혼합하여 구조단백질을 갤화시킨 다음, 염기성 물질을 첨가하여 탈산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탈산과정에서 상기 인산염 화합물 및 지방산의 용출로 인한 산성을 중화할 수 있으며, 용출된 유효성분에 금속염 작용기를 첨가하여 물에 용이하게 용해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과정에서 유리지방산이 제거될 수 있다. 상기 수산화나트륨을 이용하여 유리지방산을 중화시키게 되면, 지방산 나트륨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지방산나트륨은 색소를 비롯한 불순물을 강하게 흡착할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염기성물질은 수산화나트륨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탈검된 추출물 100중량부 대비 2~5중량%의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80~120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산화나트륨이 2중량%미만의 농도를 가지거나 80중량부 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 탈산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우며, 5중량%를 초과하는 농도 또는 120중량부를 초과하는 비율로 첨가되는 경우 과도한 수산화나트륨으로 인하여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의 사용시 피부에 자극을 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탈산 처리가 완료된 이후 산성백토를 첨가하여 상기 난포액에서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산성백토는 유문암 또는 응회암이 변질되어 생기는 점토의 일종으로 일명 벤토나이트라고 불린다. 이러한 산성백토는 높은 활성과 흡착력을 가지고 있으므로 상기 난포액에 혼합하는 경우 산성백토의 흡착력으로 인하여 탈수, 탈색 및 탈취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산성백토가 혼합되어 불순물을 분리한 다음, 상기 PDRN의 부유물의 제거할 때 사용한 필터와 동일한 필터를 시용하여 여과하는 것으로 산성백토 및 응집된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추출된 난포액은 그대로 화장료에 포함되거나 분말화되어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경우 송어의 정소에서 채취한 PDRN과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난포액은 잔류하는 파파인 또는 브로멜린 성분에 의하여 상기 PDRN 또는 송어 정소 추출물이 분해되거나 변질될 수 있으며, 상기 난포액 자체도 외부에 노출되는 경우 변질될 수 있으므로, 상기 난포액을 마이크로 캡슐화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난포액의 마이크로 캡슐화 방법은 상기 PDRN의 캡슐화방법과 동일하므로 이를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PDRN마이크로 캡슐 및 난포액 마이크로 캡슐이 준비된 이후 물 100중량부 대비 증점제 1~5중량부, 상기 PDRN 마이크로 캡슐 1~5중량부, 상기 난포액 마이크로 캡슐 1~5중량부 및 보존제 0.1~1중량부를 혼합하여, 제2제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1제의 경우 샴푸로 사용되는 것에 적절한 점도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마이크로 캡슐의 경우 상기 제1제에 포함되어 보관 및 판매될 수 있지만 이 경우 제1제에 포함되어 있는 계면활성제에 의하여 마이크로 캡슐의 내용물이 유출될 수 있으며, 또한 보관시 변질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경우 상기와 같이 마이크로 캡슐을 포함하는 제2제를 제조하되 이를 사용전에 혼합사용하도록 하는 것으로 마이크로 캡슐 내부의 내용물의 유출을 막을 수 있다. 물론 사용전의 혼합에 의하여 상기 마이크로캡슐을 구성하는 피막물질 및 운도의존성 오일이 계면활성제에 의하여 용해될 수 있으며, 이렇게 용해된 피막물질 및 온도의존성 오일 역시 두피에 사용되는 영양물질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두피와 모발에 충분한 영양을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제1제 및 제2제로 제조된 두피 및 탈모 개선용 조성물은 상기한 바와 같이 사용전에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1제 및 상기 제2제는 각각의 용기에 보관되어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지만,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용기에 설치되는 각각의 공간에 보관된 다음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제1제 및 제2제가 동시에 배출되어 자연스럽게 섞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마이크로캡슐의 함량을 상기 제2제에 혼합되는 물의 양에 따라 조절될 수 있으며,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배출이후 혼합되면 제1제의 계면활성제에 의하여 마이크로캡슐이 용해되면서 유효성분인 PDRN 및 난포액이 유출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에 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확대 또는 축소 또는 단순화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이러한 상세 사항들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실시예 1
1) 송어 난포액 추출
송어 알에 붙어 있는 혈액이나 이물질을 증류수로 2~3번 세척한 후, 알을 0.2cm 이하 크기로 세절하였다. 이후 세절된 알에 파파인 효소 5%(w/v)를 처리한 후 밤새 55℃에서 반응시켰다. 이 후 95℃에서 2시간 반응시켜 효소를 불활성화 시켰다. 이후, 0.45μm 여과지로 여과하여 1차 추출물을 획득하였다.
이후, 1차 추출물에 0.1% 인산염(phosphate)를 처리하여 탈검한 후 70℃의 DW로 세척하였으며, 세척된 1차 추출물에 2.5% NaOH를 1:1(v/w)의 비율로 처리하여 탈산 과정을 거친 후 다시 70℃ DW로 세척하였다.
상기 탈산 과정을 거친 후 세척된 추출물에 5%(w/v)의 산성 백토를 처리하여 탈수, 탈색, 탈취과정을 거친 후 100℃에서 교반 가열하여 2차 정제된 추출물을 획득하였다. 상기 2차 정제된 추출물에 0.45μm 여과지를 이용하거나 감압 여과를 실시하여 정제된 송어 난포액을 수득하였다.
2) 송어 정액에서 PDRN 추출
2.1) 정액(semen)에서 정자 세포 분리
정액은 번식계절인 11~12월에 성숙어를 선별하여 복부마사지를 통하여 채정하였다, 상기 채정이 완료된 이후 성숙어의 정소를 채취하고, 채취된 정소를 손을 이용하여 마쇄하였으며, 정장액을 이용하여 희석하였다.
이때, 상기 정장액의 조성은 80mM NaCl, 40mM KCl, 1mM CaCl2, 20mM Tris-HCl로 이루어지며, 구체적으로 sodium (Na) 159.26±8.84mM, potassium (K) 33.72±2.01mM, chlorine (Cl) 133.04±5.96 mM, calcium (Ca) 1.68± 0.2 mM 및 magnesium (Mg) 0.988±0.13 mM을 포함할 수 있다(Hatef A, et. al., 2007. Aquaculture Research 38, 1175-1181 참조). 유기 성분은 총 단백질 0.75±0.14 mg/100mL, 콜레스테롤 2.86±0.58 mg/L 및 포도당 3.81±1.04 mM/L이다.
상기와 같이 정장액에 희석된 정소 마쇄물에 사람 융모성 성선 자극 호르몬 100IU/g를 첨가한 다음 30분동안 30℃의 온도에서 보관하여 미성숙된 정소의 세포를 인위적으로 정자로 성성숙시켰다.
상기 인위적으로 성숙된 정자를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분리한 다음, 상기 채취된 정액과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상기 혼합된 정액을, 50ml Falcon 튜브에 분주한 후 즉시 액체질소로 급속 동결을(-196℃) 실시한 후 실험실로 가져와 -80℃ 초저온 냉동고에 보관하였다가 PDRN을 추출하는데 사용하였다. 냉동된 정액 덩어리는 생리식염수로 씻어 혈액과 잔해물(debris)을 제거한 후, 3X 볼륨 TE 버퍼 (10mM Tris-HCl, 1mM EDTA pH 8.0)를 추가하고 실온(약 21℃)에서 1500g에서 15 분간 원심분리(centrifuge)한 후 상층액을 제거하였다. 다시 3X 볼륨 TE 버퍼를 추가하고 실온(약 21℃)에서 1500g에서 15 분간 원심분리(centrifuge)하였다. 이후 상층액을 제거하고 남은 펠렛화 된 정자 세포를 취하였고, 이를 새로운 15 mL의 코니컬 튜브에 옮겨담았다.
2.2) 정자 세포 용해물 제조
상기 2.1에서 얻은 정자 펠렛(pellet)에 용해(lysis) 버퍼를 1:100(w/v)의 비율로 혼합하였다.
용해 버퍼 (pH 7.5)의 조성은 아래와 같다.
Tris-HCl (pH 8.0, 50mM)
EDTA (pH 8.0, 25mM)
NaCl (350mM)
SDS (0.5 %)
다음으로, 정자 펠렛(pellet)에 Protease K + RNase A (10mg/ml)을 추가하고, 세포 용해물을 밤새 55 ℃에서 반응시켜 핵산 이외에 단백질과 RNA를 제거하였다.
2.3) 정자 세포 용해물에서 DNA 분리
상기 2.2에서 배양한 세포 용해물을 23℃로 식혔다. 이후, 정자 세포 용해물을 필터(autoclaved cheese clothes)로 여과하여 DNA fibers를 수집하였다. 이 후, 10,000×g에서 10분 동안 원심 분리한 후, 상층액을 버렸다. 이후 시료 대비 2~2.5배 볼륨의 차가운 에탄올(95%)을 넣고 1 시간 동안 냉장 보관하였다. 유리 막대를 사용하여 DNA를 수집하고 차가운 에탄올(70%)로 두 번 세척하였다. 에탄올을 증발시키고 장기 보존을 위해 DNA를 TE 버퍼를 이용하여 액상을 분리하여 PDRN을 수득하였다.
3) 마이크로 캡슐의 제조
30℃로 가열되어 용해된 코코넛오일 100중량부 대비 상기 PDRN용액 및 난포액을 각각 10중량부 혼합한 다음, 각각의 혼합물을 30분간 교반하여 유중수적형 에멀젼을 수득하였다. 에탄올 100중량부에 액상젤라틴 2중량부의 비율로 혼합한 다음 상기 수중유적형 에멀젼을 혼합하고 냉각하여 마이크로 캡슐의 표면에 젤라틴 피막을 형성하였다. 젤라틴 피막이 형성된 이후 건조하여 에탄올을 증발시켰으며, 여분의 코코넛오일을 제거하기 위하여 필터링을 수행하고 고형분을 분리하여 마이크로 캡슐을 수득하였다.
4) 제2제의 제조
물 100중량부 대비 증점제 3중량부, 상기 PDRN 마이크로 캡슐 2중량부, 상기 난포액 마이크로 캡슐 2중량부 및 보존제 0.5중량부를 혼합하여 제2제를 제조하였다.
5) 제1제의 제조
하기의 표 1과 같이 A제, B제 및 컨디셔닝(C)제를 각각 준비하였다.
구분 성 분 명 함량(%) CAS. No 성분명 Function
A 1 정제수 61.248916 7732-18-5 Water 용제
2 다이소듐이디티에이 0.050000 139-33-3 Disodium EDTA 금속이온봉쇄제
3 구아하이드록시프로필트라이모늄클로라이드 0.100000 65497-29-2 Guar Hydroxypropyltrimonium Chloride 모발보호제
4 폴리쿼터늄-10 0.500000 53568-66-4 Polyquaternium-10 모발보호제
5 시트릭애씨드 0.280000 77-92-9 Citric Acid pH조절제
6 프로필렌글라이콜 5.000000 57-55-6 Propylene Glycol 용제
7 소듐벤조에이트 0.100000 532-32-1 Sodium Benzoate 방부제
B 8 코카마이드메틸엠이에이 4.000000 866889-75-0 Cocamide Methyl MEA 폼부스터
9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 2.800000 97862-59-4 Cocamidopropyl Betaine 계면활성제
10 소듐C14-16올레핀설포네이트 7.000000 68439-57-6 Sodium C14-16 Olefin Sulfonate 계면활성제
C 11 페녹시에탄올 0.300000 122-99-6 Phenoxyethanol 방부제
12 아세틸헥사펩타이드-8 0.000010 616204-22-9 Acetyl Hexapeptide-8 컨디셔닝제
13 카퍼트라이펩타이드-1 0.000010 89030-95-5 Copper Tripeptide-1 컨디셔닝제
14 아세틸옥타펩타이드-3 0.000010 868844-74-0 Acetyl Octapeptide-3 컨디셔닝제
15 트라이펩타이드-32 0.000005 - Tripeptide-32 컨디셔닝제
16 아세틸데카펩타이드-3 0.000005 935288-50-9 Acetyl Decapeptide-3 컨디셔닝제
17 바이오티노일트라이펩타이드-1 0.000005 299157-54-3 Biotinoyl Tripeptide-1 컨디셔닝제
18 아세틸테트라펩타이드-9 0.000005 928006-50-2 Acetyl Tetrapeptide-9 컨디셔닝제
19 테트라펩타이드-30 0.000005 1036207-61-0 Tetrapeptide-30 컨디셔닝제
20 헥사펩타이드-10 0.000005 146439-94-3 Hexapeptide-10 컨디셔닝제
21 노나펩타이드-1 0.000005 15858-45-2 Nonapeptide-1 컨디셔닝제
22 올리고펩타이드-2 0.000005 - Oligopeptide-2 컨디셔닝제
23 팔미토일펜타펩타이드-4 0.000005 214047-00-4 Palmitoyl Pentapeptide-4 컨디셔닝제
24 팔미토일테트라펩타이드-20 아마이드 0.000005 - Palmitoyl Tetrapeptide-20 Amide 컨디셔닝제
25 에스에이치-올리고펩타이드-1 0.000001 62253-63-8 sh-Oligopeptide-1 컨디셔닝제
26 에스에이치-폴리펩타이드-1 0.000001 - sh-Polypeptide-1 컨디셔닝제
27 에스에이치-올리고펩타이드-2 0.000001 - sh-Oligopeptide-2 컨디셔닝제
28 에스에이치-폴리펩타이드-11 0.000001 - sh-Polypeptide-11 컨디셔닝제
29 글라이신 0.002450 56-40-6 Glycine 컨디셔닝제
30 세린 0.001360 56-45-1 Serine 컨디셔닝제
31 글루타믹애씨드 0.001260 56-86-0 Glutamic Acid 컨디셔닝제
32 아스파틱애씨드 0.000790 56-84-8 Aspartic Acid 컨디셔닝제
33 류신 0.000690 61-90-5 Leucine 컨디셔닝제
34 알라닌 0.000440 56-41-7 Alanine 컨디셔닝제
35 라이신 0.000420 56-87-1 Lysine 컨디셔닝제
36 알지닌 0.000380 74-79-3 Arginine 컨디셔닝제
37 타이로신 0.000340 60-18-4 Tyrosine 컨디셔닝제
38 페닐알라닌 0.000320 63-91-2 Phenylalanine 컨디셔닝제
39 트레오닌 0.000300 72-19-5 Threonine 컨디셔닝제
40 프롤린 0.000300 147-85-3 Proline 컨디셔닝제
41 발린 0.000300 72-18-4 Valine 컨디셔닝제
42 아이소류신 0.000270 73-32-5 Isoleucine 컨디셔닝제
43 히스티딘 0.000150 71-00-1 Histidine 컨디셔닝제
44 메티오닌 0.000115 59-51-8 Methionine 컨디셔닝제
45 시스테인 0.000115 52-90-4 Cysteine 컨디셔닝제
상기와 같이 준비된 A제를 교반하며 80℃까지 가열하였다. 상기 A제가 완전히 용해된 것을 확인한 다음, 상기 B제를 혼합하고 80℃까지 가열하였다.
A제와 B제의 혼합물이 80℃에 도달하면 30rpm의 패들교반기를 사용하여 25분간 교반시키며 유화를 수행하였다.
상기 유화가 완료된 이후 40℃까지 냉각하여 상기 C제를 투입하고 교반하였다. 균질하게 혼합이 완료된 이후 실온까지 냉각하였으며, 이를 제1제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컨디셔닝제를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에서 PDRN마이크로 캡슐을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1에서 난포액 마이크로 캡슐을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5
상기 실시예 1에서 PDRN과 난포액을 마이크로캡슐화 하지 않고 제2제에 혼합하여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6
상기 실시예 1에서 제2제를 사용하지 않고 PDRN마이크로 캡슐과 난포액 마이크로 캡슐을 제1제에 혼합하여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7
상기 실시예 1에서 제2제를 사용하지 않고 PDRN과 난포액을 제1제에 혼합하여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8
상기 실시예 1에서 제2제를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험예
상기 실시예 1~8에서 제조된 조성물을 사용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사전에 훈련된 30명의 실험자를 모집하되 남녀 각각 짧은 머리(머리카락 길이 15cm이하) 5명, 단발(머리카락 길이 30cm이하) 5명, 장발(머리카락 길이 30cm이상) 5명을 각 연령대가 혼재하도록 선발하였다(총 30명).
각 실험자에게 실시예 1~8에서 제조된 조성물을 이용하여 아침 7:00에 10분간 샴푸하도록 하였으며 이후 충분하게 세정을 하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은 조성물의 사용을 15일간 지속한 다음, 향, 세정시 감촉, 세정효과, 두피개선정도, 모발개선정도 및 전체적인 기호도를 10점만점으로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의 표 2에 기재하였다.
감촉 세정효과 두피개선 모발개선 기호도
실시예 1 9.1 9.6 9.5 9.4 9.3 9.4
실시예 2 9.0 9.4 9.5 2.6 2.8 6.2
실시예 3 9.2 9.5 9.1 4.5 6.4 7.6
실시예 4 9.1 9.5 9.2 5.2 5.5 7.8
실시예 5 4.6 5.5 8.6 8.4 8.1 7.2
실시예 6 4.7 4.5 4.6 7.5 8.6 6.1
실시예 7 4.2 4.6 5.5 7.1 7.6 5.9
실시예 8 8.4 8.9 8.7 8.6 8.1 8.6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경우 전반적으로 높은 기호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컨디셔닝제를 사용하지 않은 실시예 2의 경우 두피개선 및 모발개선효과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PDRN을 사용하지 않은 실시예 3의 경우에도 두피개선 및 모발개선효과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난포액을 사용하지 않은 실시예 4의 경우에도 동일하였다.
마이크로 캡슐화를 하지 않은 실시예 5의 경우 PDRN 및 난포액 특유의 향이 강하게 나타나 기호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부 실험자의 경우 10일이 경과된 시점에서 제2제에 부취가 심해진다고 보고하였다.
마이크로 캡슐을 직접 제1제에 혼합한 실시예 6의 경우 마이크로 캡슐이 계면활성제에 의하여 용해되어 PDRN 및 난포액을 제1제에 직접 혼합한 실시예 7과 마찬가지로 향, 감촉 및 세정효과가 매우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2제를 사용하지 않은 실시예 8의 경우 전반적으로 높은 기호도가 관찰되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 1에는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 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3)

  1. 모발보호제를 포함하는 A제를 교반하며 1차 가열용해하는 단계;
    상기 가열용해된 A제에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B제를 혼합하여 2차 가열용해하는 단계; 및
    2차 가열용해가 완료된 이후 냉각하고 펩타이드 및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컨디셔닝제를 혼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두피 및 탈모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두피 및 탈모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모발보호제를 포함하는 A제를 교반하며, 80℃로 가열하여 1차 가열용해하는 단계;
    상기 A제가 완전히 용해된 이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B제를 혼합하고 80℃로 가열하여 2차 가열용해하여 조성물 베이스를 준비하는 단계;
    30rpm으로 회전하는 패들 교반기를 25분간 사용하여 상기 조성물 베이스를 유화시키는 단계;
    상기 유화가 완료된 이후 상기 조성물 베이스를 40℃로 냉각시키는 단계; 및
    상기 냉각이 완료된 조성물 베이스에 펩타이드 및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컨디셔닝제를 혼합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A제는 정제수 100중량부 대비 디소듐이디티에이 0.01~0.1중량부, 구아하이드록시프로필트리암모늄클로라이드 0.1~0.2중량부, 폴리쿼터늄-10 0.5~1중량부, 시트릭산 0.25~0.6중량부, 프로필렌글리콜 5~10중량부 및 소듐벤조에이트 0.1~0.2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B제는 정제수 100중량부 대비 코카마이드메틸엠이에이 4~8중량부,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 2.5~6중량부 및 소듐C14-16올레핀설포네이트 7~15중량부의 비율로 혼합되며,
    상기 컨디셔닝제는 아세틸헥사펩타이드-8, 카퍼트리펩타이드-1, 아세틸옥타펩타이드-3, 트리펩타이드-32, 아세틸데카펩타이드-3, 바이오티노일트리펩타이드-1, 아세틸테트라펩타이드-9, 테트라펩타이드-30, 헥사펩타이드-10, 노나펩타이드-1, 올리고펩타이드-2, 팔미토일펜타펩타이드-4, 팔미토일테트라펩타이드-20 아마이드, 에스에이치-올리고펩타이드-1, 에스에이치-폴리펩타이드-1, 에스에이치-올리고펩타이드-2, 에스에이치-폴리펩타이드-11, 글리신, 세린, 글루타믹산, 아스파틱산, 류신, 알라닌, 라이신, 아르기닌, 티로신, 페닐알라닌, 트레오닌, 프롤린, 발린, 이소류신, 히스티딘, 메티오닌 및 시스테인을 포함하며,
    상기 두피 및 탈모 개선용 조성물 제조방법은,
    제1제를 제조하는 단계; 및
    제2제를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제1제를 제조하는 단계는,
    모발보호제를 포함하는 A제를 교반하며, 80℃로 가열하여 1차 가열용해하는 단계;
    상기 A제가 완전히 용해된 이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B제를 혼합하고 80℃로 가열하여 2차 가열용해하여 조성물 베이스를 준비하는 단계;
    30rpm으로 회전하는 패들 교반기를 25분간 사용하여 상기 조성물 베이스를 유화시키는 단계;
    상기 유화가 완료된 이후 상기 조성물 베이스를 40℃로 냉각시키는 단계; 및
    상기 냉각이 완료된 조성물 베이스에 펩타이드 및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컨디셔닝제를 혼합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제2제를 제조하는 단계는;
    성숙된 송어 수컷 개체에서 정액을 채취하는 단계;
    상기 채취된 정액을 세척한 다음, 버퍼 용액과 혼합하고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제거하는 것으로, 펠렛화된 정자세포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펠렛화된 정자세포에 용해 버퍼, 프로테아제 및 RNA분해효소(RNase)를 혼합하여 단백질 및 RNA를 제거하는 것으로 PDRN전구체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PDRN전구체를 필터에 여과하고 유리에 흡착시켜 PDRN을 수득하는 단계;
    코코넛 오일 100 중량부 대비 상기 제조된 PDRN 10중량부를 혼합하여 유화처리하는 단계;
    에탄올 100중량부 대비 젤라틴 2중량부가 혼합된 피막용제에 상기 유화처리된 용액을 투입하여 상기 PDRN과 상기 코코넛 오일이 상기 젤라틴에 피막되어 미세입자로 캡슐화되도록 처리하여, PDRN 마이크로 캡슐을 수득하는 단계;
    송어의 난소를 채취한 다음, 세척하는 단계;
    상기 세척된 난소에서 난체를 분리하는 단계;
    상기 분리된 난체에 파파인 효소를 혼합하는 단계;
    상기 파파인 효소와 혼합된 난체에 인산염 화합물을 혼합하여 탈검하는 단계;
    상기 탈검이 완료된 이후 염기성물질을 혼합하여 탈산하는 단계;
    상기 탈산이 완료된 이후 산성백토를 혼합하고 정제하여 난포액을 수득하는 단계;
    코코넛 오일 100중량부 대비 상기 제조된 난포액 10중량부를 혼합하여 유화처리하는 단계;
    에탄올 100중량부 대비 젤라틴 2중량부가 용해된 피막용제에 상기 유화처리된 용액을 투입하여 상기 난포액과 상기 코코넛 오일이 상기 젤라틴에 피막되어 미세입자로 캡슐화되도록 처리하여 난포액 마이크로 캡슐을 수득하는 단계; 및
    물 100중량부 대비 증점제 3중량부, 상기 PDRN 마이크로 캡슐 2중량부, 상기 난포액 마이크로 캡슐 2중량부 및 보존제 0.5중량부를 혼합하여, 제2제를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되며,
    상기 제1제 및 상기 제2제는 사용 직전 혼합되며,
    상기 제1제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계면활성제에 의하여 상기 PDRN마이크로캡슐 및 상기 난포액 마이크로 캡슐이 용해되어 내부의 상기 PDRN 및 상기 난포액이 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 및 탈모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KR1020240002614A 2024-01-08 2024-01-08 두피 및 탈모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536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02614A KR102653697B1 (ko) 2024-01-08 2024-01-08 두피 및 탈모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02614A KR102653697B1 (ko) 2024-01-08 2024-01-08 두피 및 탈모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3697B1 true KR102653697B1 (ko) 2024-04-03

Family

ID=90662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02614A KR102653697B1 (ko) 2024-01-08 2024-01-08 두피 및 탈모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369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0955A (ko) 2008-05-21 2009-11-2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컨디셔닝 효과가 향상된 비듬 방지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
KR20200070091A (ko) * 2019-10-21 2020-06-17 (주) 바이노텍 생리활성물질 봉입을 위한 나노지질전달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46895B1 (ko) * 2021-05-28 2022-01-04 주식회사 노아바이오텍 Pdrn추출방법
KR20220075131A (ko) 2020-11-27 2022-06-07 주식회사 케이피티 헤어 트리트먼트 비드를 함유한 샴푸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샴푸
KR20230140853A (ko) * 2022-03-30 2023-10-10 주식회사 제이디글로벌 아세틸 헥사펩타이드-8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두피 및 모발 케어 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0955A (ko) 2008-05-21 2009-11-2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컨디셔닝 효과가 향상된 비듬 방지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
KR20200070091A (ko) * 2019-10-21 2020-06-17 (주) 바이노텍 생리활성물질 봉입을 위한 나노지질전달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075131A (ko) 2020-11-27 2022-06-07 주식회사 케이피티 헤어 트리트먼트 비드를 함유한 샴푸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샴푸
KR102346895B1 (ko) * 2021-05-28 2022-01-04 주식회사 노아바이오텍 Pdrn추출방법
KR20230140853A (ko) * 2022-03-30 2023-10-10 주식회사 제이디글로벌 아세틸 헥사펩타이드-8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두피 및 모발 케어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6140B1 (ko) 고순도 콜라겐 입자의 제조 및 이의 용도
US8580320B2 (en) Cosmetic preparation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EP0107885B1 (en) Cosmetic preparations promoting the trophism of the skin and of the related hair follicles
KR101640799B1 (ko) 불가사리 추출물의 제조 방법 및 불가사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A3167224A1 (en) Method for obtaining collagen peptide from starfish, elastic liposome comprising starfish-derived collagen peptide, and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same
CN106821939A (zh) 羊胚胎素的提取方法及含有其提取物的制剂
JP2017114868A (ja) 胎盤由来成分を含有するシワ改善用組成物
KR102346895B1 (ko) Pdrn추출방법
KR100642526B1 (ko) 항염증 및 항산화 활성을 갖는 겨우살이 추출물 및 이를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EP3600351A1 (en) Mitochondrial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ment of skin and hair
KR102653697B1 (ko) 두피 및 탈모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9846804A (zh) 一种提取羊胚胎素的方法及含羊胚胎素的护肤液
CN101791285B (zh) 一种用于清除面部老年斑的黄皮酰胺复合纳米乳及其制备方法
JP2006232693A (ja) 動物由来抽出組成物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化粧料組成物
CN102319267B (zh) 蜂花粉水提物的高效制备方法
KR102151501B1 (ko) 모발 또는 두피 건강 개선용 조성물
KR102258166B1 (ko) 두피 건강 개선용 헤어 샴푸 조성물
KR101618726B1 (ko) 명태껍질로부터 엘라스틴을 포함하는 단백질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
JP2018514588A (ja) 体細胞胚を増加させた植物細胞培養物に由来する抽出物の化粧品としての使用及びこれらの抽出物を含む化粧品組成物
KR102620594B1 (ko) 구연산을 이용한 화장료용 꽃잎의 연화방법
RU2241474C1 (ru) Препарат из плаценты и способ его получения
JP7465014B2 (ja) 発毛及び/又は育毛用組成物
KR102033372B1 (ko) 미역귀를 포함하는 기능성 비누 및 그의 제조 방법
RU2723485C1 (ru) Шампунь для мытья волос
JPH06128141A (ja) 皮膚外用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