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0594B1 - 구연산을 이용한 화장료용 꽃잎의 연화방법 - Google Patents

구연산을 이용한 화장료용 꽃잎의 연화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0594B1
KR102620594B1 KR1020210150809A KR20210150809A KR102620594B1 KR 102620594 B1 KR102620594 B1 KR 102620594B1 KR 1020210150809 A KR1020210150809 A KR 1020210150809A KR 20210150809 A KR20210150809 A KR 20210150809A KR 102620594 B1 KR102620594 B1 KR 1026205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tals
citric acid
softening
flowers
cosmetic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0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65036A (ko
Inventor
장윤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디알생명공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디알생명공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디알생명공학
Priority to KR10202101508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0594B1/ko
Publication of KR202300650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50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05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05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05Corresponding aspects not provided for by any of codes A61K2800/81 - A61K2800/95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연산을 이용한 화장료용 꽃잎의 연화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꽃잎을 구연산 수용액에 함침하여 연화하는 함침단계, 상기 함침단계를 통해 연화된 꽃잎을 세척하는 세척단계 및 상기 세척단계를 통해 세척된 꽃잎을 정제수와 혼합하여 pH를 4.5 내지 6.5로 조절하는 산도조절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과정을 통해 연화된 꽃잎은 식물성 콜라겐이 다량 함유되어 있으면서도 꽃 특유의 색상과 형태가 보존된 상태로 연화되어 상품성이 우수한 화장료용 재료로 활용이 가능하다.

Description

구연산을 이용한 화장료용 꽃잎의 연화방법 {METHOD OF SOFTENING THE PETALS FOR COSMETIC USING CITRIC ACID}
본 발명은 구연산을 이용한 화장료용 꽃잎의 연화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식물성 콜라겐이 다량 함유되어 있으면서도 꽃잎 특유의 색상과 형태가 보존된 상태로 연화되어 상품성이 우수한 화장료용 재료로 활용이 가능한 꽃잎을 제공하는 구연산을 이용한 화장료용 꽃잎의 연화방법에 관한 것이다.
콜라겐은 동물의 몸속에 가장 많이 들어있는 섬유상 단백질로, 피부의 진피층과 결합조직의 주성분이며 또한 뼈를 구성하고 있는 단백질 중 90%는 콜라겐이다 일반적으로 의료용이나 화장품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콜라겐은 동물의 뼈와 피부에서 추출한 것으로 분자량 약 10만 가량의 폴리펩티드 사슬이 3개 모여 나선구조로 이루어진 고분자 단백질이다.
콜라겐의 분자량은 대략 130,000정도이고, 포유동물의 조직(피부, 결합조직 그리고 뼈와 치아의 유기물질들의 주요 구성 요소)에서 1/3을 구성하고 있는 Polypeptide이다. 뼈의 mineral part들을 phosphoric acid를 가지고 용해시켜서 제조한다.
조직으로부터의 분리는 유기용매추출, 산 알칼리처리 후 트립신 히알루로니디아제를작용시켜 불용성 물질인 콜라겐으로 얻는다. 구성 아미노산은 프롤린 옥시프롤린(하이드록시프롤린) 글리신 글루탐산등이며, 그중에서도 다른 단백질에 존재하지 않는 옥시프롤린의 함량이 높다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콜라겐은 영양학적 가치는 1) 건강보조식품, 기능성 음료, 스포츠영양식, 체중조절용 조제 식품 등의 단백질 보강 2) 지방, 설탕, 염분제한 식이 처방에서 효과와 가치부여 3) 유아용 식품, 다류 등의 향인 활성 성분 등의 효과적인 캐리어 역할 4) 퇴행성 관절질환에 이상적인 영양공급으로 관절 보호제 역할 5) 머리카락과 손톱의 영양 공급으로 성장 촉진 6) 결합조직을 강하게 하고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노령인구의 급증으로 노화지연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남녀노소 누구나 할 것 없이 젊음에 대한 갈망은 주체하기 어려울 정도이다. 이런 시대적인 붐을 타고 콜라겐의 효능 및 효과가 대두되면서 콜라겐을 찾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현재 유통되고 있는 콜라겐의 대부분이 소(牛)로부터 원료를 선택하여 제조된 동물성 콜라겐으로서 구제역 및 광우병 등으로 인한 불안감을 안고 있다. 이에 따라 콜라겐의 주성분인 Hydroxy proline, Hydroxy lysine 등이 들어 있는 식물성 단백질(이하 “식물성 콜라겐”이라 칭함)의 개발로 불안감을 안고 사용하던 소(牛)로부터 원료를 선택하여 제조된 동물성 콜라겐의 취약성을 보완할 필요성이 대두 되고 있다.
한국특허공개 제10-2019-0000098호(2019.01.02.) 한국특허공개 제10-2019-0056099호(2019.05.24.)
본 발명의 목적은 식물성 콜라겐이 다량 함유되어 있으면서도 꽃잎 특유의 색상과 형태가 보존된 상태로 연화되어 상품성이 우수한 화장료용 재료로 활용이 가능한 꽃잎을 제공하는 구연산을 이용한 화장료용 꽃잎의 연화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꽃잎을 구연산 수용액에 함침하여 연화하는 함침단계, 상기 함침단계를 통해 연화된 꽃잎을 세척하는 세척단계 및 상기 세척단계를 통해 세척된 꽃잎을 정제수와 혼합하여 pH를 4.5 내지 6.5로 조절하는 산도조절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연산을 이용한 화장료용 꽃잎의 연화방법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특징에 따르면, 상기 함침단계는 꽃잎을 구연산 수용액과 1 내지 24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70 내지 75시간 동안 침지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꽃잎은 금화규 꽃, 허비스커스 꽃, 금어초 꽃, 장미 꽃, 연 꽃, 동백 꽃 및 국화 꽃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구연산 수용액은 질량농도가 4 내지 6%인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세척단계는 상기 함침단계를 통해 연화된 꽃잎을 150 내지 250 메시의 여과망에 투입한 후에 정제수로 세척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산도조절단계는 정제수 100 중량부에 상기 세척단계를 통해 세척된 꽃잎 0.5 내지 2 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화장료는 앰플, 토너, 에센스 및 크림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의 제형인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연산을 이용한 화장료용 꽃잎의 연화방법은 식물성 콜라겐이 다량 함유되어 있으면서도 꽃잎 특유의 색상과 형태가 보존된 상태로 연화되어 상품성이 우수한 화장료용 재료로 활용이 가능한 꽃잎을 제공하는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구연산을 이용한 화장료용 꽃잎의 연화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6을 통해 연화된 금화규 꽃잎을 촬영하여 나타낸 사진이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각 성분의 물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꽃잎의 연화방법은 꽃잎을 구연산 수용액에 함침하여 연화하는 함침단계(S101), 상기 함침단계(S101)를 통해 연화된 꽃잎을 세척하는 세척단계(S103) 및 상기 세척단계(S103)를 통해 세척된 꽃잎을 정제수와 혼합하여 pH를 4.5 내지 6.5로 조절하는 산도조절단계(S105)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꽃잎은 금화규 꽃, 허비스커스 꽃, 금어초 꽃, 장미 꽃, 연 꽃, 동백 꽃 및 국화 꽃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금화규(Aurea helianthus)"란 아욱과에 가을해바라기속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로서 한자로는 금화규(金花葵)로 알려져 있다. 금화규는 생리활성 물질로는 플라본(flavone), 비타민E, 하이페로사이드(hyperoside), 식물성 에스트로겐, 불포화지방산, 우르솔산, 식물성 콜라겐, 페놀화합물, 렉틴(lectin) 등을 함유하며, 항산화 효과를 비롯하여 항멜라닌효과(Kim et al, 2017; Kim et al, 2018), 혈중지방감소, 당뇨병개선, 혈관질환 개선 등에 뛰어난 효과가 있음이 알려져 있다.
상기 함침단계(S101)는 꽃잎을 구연산 수용액에 함침하여 연화하는 단계로, 꽃잎을 구연산 수용액과 혼합하고 1000 내지 2000rpm의 속도로 1 내지 24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교반이 완료된 혼합물을 70 내지 75시간 동안 방치하여 꽃잎이 구연산 수용액에 함침된 상태를 유지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함침단계(S101)에서 꽃잎은 분쇄되거나 분쇄과정없이 원물 그대로 적용될 수 있는데, 적용되는 화장품의 용도에 따라 분쇄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함침시간이 70시간 미만이면 꽃잎에 연화효과가 저하되며, 상기 함침시간이 75시간을 초과하게 되면 꽃잎의 연화가 지나치게 진행되어 꽃잎의 형태가 유지되지 못한다.
또한, 상기 구연산 수용액은 질량농도가 4 내지 6%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구연산 수용액의 질량농도가 4% 미만이면 꽃잎의 연화효과가 저하되며, 구연산 수용액의 질량농도가 6%를 초과하게 되면 꽃잎의 연화가 지나치게 진행되어 꽃잎의 색상이나 형태가 변질될 수 있다.
상기 세척단계(S103)는 상기 함침단계(S101)를 통해 연화된 꽃잎을 세척하는 단계로, 상기 함침단계(S101)를 통해 연화된 꽃잎을 150 내지 250메시의 여과망에 투입한 후에 정제수로 세척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세척과정을 통해 꽃잎의 표면에 잔존하는 구연산 수용액의 제거되어 꽃잎의 지나친 연화를 억제하여 꽃잎의 색상과 형태를 보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세척단계(S103)는 150 내지 250 메시의 여과망을 이용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 세척단계(S103)에서 여과망의 크기가 150 메시 미만이면 꽃잎의 손실이 다량발생하게 되며, 여과망의 크기가 250 메시를 초과하게 되면 꽃잎의 손실은 줄어들지만 세척공정의 효율성이 지나치게 저하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산도조절단계(S105)는 상기 세척단계(S103)를 통해 세척된 꽃잎을 정제수와 혼합하여 pH를 4.5 내지 6.5로 조절하는 단계로, 상기 세척단계(S103)를 통해 세척된 꽃잎을 정제수 100 중량부 대비 0.5 내지 2 중량부의 양으로 혼합하여, 정제수와 꽃잎으로 이루어진 혼합물의 pH가 4.5 내지 6.5로 조절하는 단계다.
상기 세척단계(S103)를 통해 세척된 꽃잎은 구연산 수용액이 스며든 상태로 꽃잎의 표면에 잔존하는 구연산 수용액은 세척과정을 통해 제거되지만, 꽃잎의 내부로 스며든 구연산 수용액은 쉽게 제거되지 않기 때문에, 세척단계를 통해 표면이 세척된 꽃잎을 정제수와 혼합하여 pH를 조절하는 과정이 진행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는 pH측정기를 이용하여 혼합물의 pH를 측정하면서 정제수 대비 꽃잎의 투입량을 결정한다.
이때, 상기 혼합물의 pH가 4.5 미만이면 꽃잎의 연화가 계속적으로 진행되어 일정시간이 지나면 꽃잎의 색이나 형태가 변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산도조절단계(S105)에서는 상기 정제수 100 중량부 대비 알칼리계 중화제 0.5 내지 2 중량부가 더 함유될 수도 있는데, 상기와 같이 알칼리계 중화제가 함유되면 상기 세척단계(S103)를 통해 세척된 꽃잎이 정제수에 투입되는 양을 늘려 꽃잎의 함량이 높은 혼합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알칼리계 중화제는 수산화나트륨, 수산화 칼륨 및 트리에탄올 아민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과정을 통해 연화된 꽃잎은 정제수와 혼합된 상태이며, 앰플, 토너, 에센스 및 크림에 첨가되어 화장료로 사용될 수 있는데, 피부에 도포전에는 꽃잎의 색상이나 형태가 유지되어 있으나, 피부 도포과정에서 발생하는 마찰이나 압력에 의해 쉽게 분해되어 우수한 상품성을 나타낸다.
상기의 과정을 통해 연화된 꽃잎을 앰플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85 내지 95 중량%가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토너에 함유되는 경우에는 85 내지 90 중량%가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에센스로 적용되는 경우에는 75 내지 80 중량%가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크림으로 적용되는 경우에는 60 내지 70 중량%가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구연산을 이용한 화장료용 꽃잎의 연화방법 및 그 연화방법으로 제조된 꽃잎의 물성을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1>
금화규 꽃잎 분쇄물을 질량농도가 4%인 구연산 수용액과 혼합하고 1500rpm의 속도로 12시간 동안 교반하여 혼합물을 제조하고, 제조된 혼합물을 상온에서 72시간 동안 방치하여 금화규 꽃잎 분쇄물이 구연산 수용액에 함침되도록 하고, 함침과정을 통해 연화된 금화규 꽃잎을 건져내어 200 메시의 여과망에 투입하고 정제수로 세척한 후에, 세척된 금화규 꽃잎을 정제수 100 중량부 대비 1 중량부 혼합하는 과정으로 금화규 꽃잎을 연화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금화규 꽃잎 원물을 사용하여 금화규 꽃잎을 연화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질량농도가 5%인 구연산 수용액을 사용하여 금화규 꽃잎을 연화하였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금화규 꽃잎 원물을 사용하여 금화규 꽃잎을 연화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질량농도가 1%인 구연산 수용액을 사용하여 금화규 꽃잎을 연화하였다.
<비교예 2>
상기 비교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금화규 꽃잎 원물을 사용하여 금화규 꽃잎을 연화하였다.
<비교예 3>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질량농도가 2%인 구연산 수용액을 사용하여 금화규 꽃잎을 연화하였다.
<비교예 4>
상기 비교예 3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금화규 꽃잎 원물을 사용하여 금화규 꽃잎을 연화하였다.
<비교예 5>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질량농도가 3%인 구연산 수용액을 사용하여 금화규 꽃잎을 연화하였다.
<비교예 6>
상기 비교예 5와 동일하게 진행하되, 금화규 꽃잎 원물을 사용하여 금화규 꽃잎을 연화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6을 통해 연화된 금화규 꽃잎을 촬영하여 아래 도 2에 나타내었다.
아래 도 2에 나타낸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4를 통해 연화된 금화규 꽃잎의 연화도가 비교예 1 내지 6을 통해 연화된 금화규 꽃잎보다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6을 통해 연화된 금화규 꽃잎의 연화도를 측정하여 아래 표 1 내지 2에 나타내었다.
(단, 연화도는 연화된 금화규 꽃잎을 손등에 놓고 10초 동안 문지른 후에 꽃잎의 뭉개지는 정도를 육안으로 관찰하는 방법을 이용하였다.
×:꽃잎 뭉개지지 않음, △:꽃잎 약간 뭉개짐, ○:꽃잎 잘 뭉개짐, ◎:꽃잎 완전하게 뭉개짐)
<표 1>
<표 2>
상기 표 1 내지 2에 나타낸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4를 통해 제조된 금화규 꽃잎은 비교예 1 내지 6을 통해 제조된 금화규 꽃잎에 비해 연화도가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구연산을 이용한 화장료용 꽃잎의 연화방법은 식물성 콜라겐이 다량 함유되어 있으면서도 꽃잎 특유의 색상과 형태가 보존된 상태로 연화되어 상품성이 우수한 화장료용 재료로 활용이 가능하다.
S101 ; 함침단계
S103 ; 세척단계
S105 ; 산도조절단계

Claims (8)

  1. 꽃잎을 구연산 수용액에 함침하여 연화하는 함침단계;
    상기 함침단계를 통해 연화된 꽃잎을 세척하는 세척단계; 및
    정제수 100 중량부에 상기 세척단계를 통해 세척된 꽃잎 0.5 내지 2 중량부를 혼합하여 pH를 4.5 내지 6.5로 조절하는 산도조절단계;로 이루어지며,
    상기 구연산 수용액은 질량농도가 5 내지 6%이고,
    상기 산도조절단계에서는 상기 정제수 100 중량부 대비 알칼리계 중화제 0.5 내지 2 중량부가 더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연산을 이용한 화장료용 꽃잎의 연화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함침단계는 꽃잎을 구연산 수용액과 1 내지 24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70 내지 75시간 동안 침지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연산을 이용한 화장료용 꽃잎의 연화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꽃잎은 금화규 꽃, 허비스커스 꽃, 금어초 꽃, 장미 꽃, 연 꽃, 동백 꽃 및 국화 꽃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연산을 이용한 화장료용 꽃잎의 연화방법.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세척단계는 연화된 꽃잎을 150 내지 250메시의 여과망에 투입한 후에 정제수로 세척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연산을 이용한 화장료용 꽃잎의 연화방법.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알칼리계 중화제는 수산화나트륨, 수산화 칼륨 및 트리에탄올 아민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연산을 이용한 화장료용 꽃잎의 연화방법.
  8. 청구항 2, 3, 5 및 7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는 앰플, 토너, 에센스 및 크림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의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연산을 이용한 화장료용 꽃잎의 연화방법.
KR1020210150809A 2021-11-04 2021-11-04 구연산을 이용한 화장료용 꽃잎의 연화방법 KR1026205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0809A KR102620594B1 (ko) 2021-11-04 2021-11-04 구연산을 이용한 화장료용 꽃잎의 연화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0809A KR102620594B1 (ko) 2021-11-04 2021-11-04 구연산을 이용한 화장료용 꽃잎의 연화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5036A KR20230065036A (ko) 2023-05-11
KR102620594B1 true KR102620594B1 (ko) 2024-01-03

Family

ID=86379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0809A KR102620594B1 (ko) 2021-11-04 2021-11-04 구연산을 이용한 화장료용 꽃잎의 연화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059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9846B1 (ko) * 2021-03-04 2021-09-09 농업회사법인 (주)로가 히비스커스 콜라겐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7785B1 (ko) * 2005-06-30 2011-07-07 (주)아모레퍼시픽 천연 연화 꽃잎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90000098A (ko) 2017-06-22 2019-01-02 주식회사 렛츠 천연 꽃잎이 함유된 천연 꽃잎 화장수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190056099A (ko) 2017-11-16 2019-05-24 (주)아모레퍼시픽 꽃잎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47990B1 (ko) * 2017-11-30 2021-05-04 이범주 연화된 천연식물체를 포함하는 화장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47389B1 (ko) * 2017-11-30 2021-05-03 이범주 경도 측정을 이용한 연화된 천연 식물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KR102331436B1 (ko) * 2020-01-17 2021-11-29 (주)모아캠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조성물과,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및 이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9846B1 (ko) * 2021-03-04 2021-09-09 농업회사법인 (주)로가 히비스커스 콜라겐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5036A (ko) 2023-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512691A (zh) 一种蓝铜肽冻干粉制剂及其制备方法
CN108653013A (zh) 一种植物保湿水润晒后修复霜及其制备方法
CN107245394A (zh) 一种含有鹿油火麻油的多功能冷制手工皂及其制备方法
JP2000229832A (ja) 皮膚外用剤
CN109394619A (zh) 一种抗头皮与头发衰老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3735457A (zh) 一种含有草本成分的爽肤水及其制备方法
DE3246265A1 (de) Dermatotherapeutikum zur anregung und foerderung des haarwuchses
KR102076334B1 (ko) 연어껍질 유래 콜라겐을 이용한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498609B1 (ko) 한방약초농축액을 이용한 천연 한방 바디로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천연 한방 바디로션 조성물
KR102620594B1 (ko) 구연산을 이용한 화장료용 꽃잎의 연화방법
KR102088597B1 (ko) 커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모제 조성물
CN107502490A (zh) 一种驴油肥皂及其制备方法
JP4152102B2 (ja) 毛髪成長促進剤組成物
CN110477397A (zh) 一种制备石斛花提取液的方法及其应用
CN107523446A (zh) 一种驴奶肥皂及其制备方法
CN107802521A (zh) 一种富含山茶籽提取物的免洗型泡沫护肤乳液及其制备方法
KR102103108B1 (ko) 녹차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모제 조성물
CN107412018A (zh) 一种含天然山茶油护肤面膜水的配方及制备方法
KR101397644B1 (ko) 쑥뜸 냄새제거용 설탕 스크럽 제조방법
KR20030000708A (ko) 발모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8467806A (zh) 一种新疆维吾尔药黑种草洗发皂及其生产工艺
RU2639255C2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косметической маски
KR100333441B1 (ko) 유상무취마늘유로부터의알리인-비타민b1성분을함유하는피부미백용비누
KR102373929B1 (ko) 천연물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천연 샴푸 및 에센스 제형의 두피케어용 화장품 조성물
JP2004250395A (ja) 生体活性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