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3163B1 - 의류 건조기 - Google Patents
의류 건조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53163B1 KR102653163B1 KR1020160167931A KR20160167931A KR102653163B1 KR 102653163 B1 KR102653163 B1 KR 102653163B1 KR 1020160167931 A KR1020160167931 A KR 1020160167931A KR 20160167931 A KR20160167931 A KR 20160167931A KR 102653163 B1 KR102653163 B1 KR 10265316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sing
- sound
- ventilation
- sound insulation
- clothes dryer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title 1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5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1
- 239000003507 refrigera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9000011358 absorbing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0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20169 heat gen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542 deterio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021 overhe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33 conden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94 cond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20 evap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6—Heat pump arrangement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의류 건조기는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공간을 외부와 연통시키는 통풍부가 형성된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내에 배치되고, 기류가 순환되는 순환유로 상에 구비된 드럼과, 냉매 배관을 따라 냉매를 순환시키는 압축기를 구비하고, 냉매가 순환되는 과정에서 상기 드럼으로부터 토출된 기류로부터 열을 흡수하고, 상기 흡수된 열을 이용하여 상기 순환유로를 따라 상기 드럼 내로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트펌프와, 상기 케이싱 내에 배치되고, 상기 통풍부를 통해 외기를 상기 케이싱 내로 유입시켜 상기 압축기를 냉각시키는 냉각팬과, 상기 케이싱과 결합되고, 상기 통풍부를 통해 공기가 상기 케이싱 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통풍부로부터 이격되되, 상기 통풍부를 정면에 두고 바라볼 시, 상기 통풍부의 적어도 일부분과 중첩되도록 배치된 차음판이 형성된 차음 커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통풍부를 통해 방출되는 소음을 저감하기 위한 차음 커버를 구비한 의류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 건조기는 젖은 의류가 투입된 드럼 내부로 열풍을 송풍하여 의류를 건조시키는 장치이다. 의류 건조기는 의류를 건조시킨 후 드럼으로부터 토출된 습한 공기를 처리하는 방식에 따라 배기식 건조기와 응축식 건조기로 구분될 수 있다.
배기식 건조기는, 히터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드럼 내로 공급됨으로써 의류가 건조되고, 드럼으로부터 배출된 습한 공기는 건조기 외부로 배기된다. 이러한 방식은 의류로부터 제거된 습기가 공기와 함께 건조기 외부로 배출되기 때문에, 상기 습기를 응축시킬 별도의 수단이 필요치 않다.
응축식 건조기는 히터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드럼을 통과하도록 구성된 순환유로를 따라 순환되며, 이러한 순환과정에서 공기 중에 포함된 습기가 응축 또는 제거된다.
상기 히터(즉, 공기를 가열하는 수단)로써, 드럼에서 배출되는 열을 회수하여 순환 공기를 가열하는 히트펌프가 사용되고 있다. 히트펌프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의류 건조기는 압축기 과열시 이를 식혀주기 위한 냉각팬이 구비된다.
냉각팬은 외기(의류 건조기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것으로, 의류 건조기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싱에는 냉각팬 구동시 외기가 유입되는 통풍구가 형성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의류 건조기는 압축기가 작동하는 과정에서 발생된 소음이 통풍구를 통해서 그대로 외부로 방사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는 첫째, 소음을 줄인 의류 건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둘째, 히트펌프를 구성하는 압축기를 냉각시키기 위한 외기 유입량은 충분히 확보하면서도 소음은 줄인 의류 건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셋째, 의류 건조기의 성능을 저하시키지 않고도, 압축기의 발열 억제 및/또는 소음 개선을 이룰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다.
넷째, 압축기 작동시 발생되는 고주파 소음을 흡수할 수 있는 방음 또는 흡음 구조가 적용된 의류 건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섯째, 흡음재를 압축기 자체에 부착하지 않고, 상기 압축기의 냉각을 위해 형성된 케이싱의 통풍구 측에 구비하되, 상기 흡음재를 설치하더라도, 상기 통풍구를 통해 유입되는 외기의 유량이 충분히 확보되는 의류 건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의류 건조기는 의류가 수용된 드럼을 통과하여 기류가 안내되도록 순환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순환유로를 따라 안내되어 상기 드럼 내로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히트펌프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히트펌프는 냉매 배관을 따라 냉매를 순환시키는 압축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히트펌프는 냉매가 순환되는 과정에서 상기 드럼으로부터 토출된 기류로부터 열을 흡수하고, 상기 흡수된 열을 이용하여 상기 순환유로를 따라 상기 드럼 내로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한다.
상기 드럼과 압축기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싱에는, 상기 공간을 외부와 연통시키는 통풍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싱 내에는 상기 압축기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팬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각팬에 의해 외기가 상기 통풍부를 통해 상기 케이싱 내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케이싱에는 상기 통풍부를 통해 방출된 소음을 일정 부분 차단하면서도, 상기 통풍부를 통한 외기의 유입은 허용하는 차음 커버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차음 커버는, 상기 통풍부로부터 이격되되, 상기 통풍부를 정면에 두고 바라볼 시, 상기 통풍부의 적어도 일부분과 중첩되도록 배치된 차음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의류 건조기는 첫째, 통풍구를 통해 방사되는 소음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소음을 줄이면서도, 통풍구를 통한 외기 유입량은 충분히 확보함으로써, 히트펌프를 구성하는 압축기의 냉각 성능을 종래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의류 건조기의 성능을 저하시키지 않고도, 압축기의 발열 억제 및/또는 소음 개선을 이룰 수 있는 것이다.
셋째, 압축기 작동시 발생되는 고주파 소음을 흡수 또는 저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흡음재를 설치하더라도, 통풍구를 통해 유입되는 외기의 유량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의류 건조기를 배면이 보이도록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를 구성하는 주요부들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차음 커버가 캐비닛에 결합된 상태를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차음 커버와 흡음재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압축기의 회전수를 가변하며 측정한 소음 주파수(X축)에 따른 소음의 크기(Y축)를 도시한 그래프로써, 차음 커버와 흡음재를 적용하지 않은 경우(a)와 적용한 경우(b)의 소음 발생량을 비교하여 보여준다.
도 7은 차음 커버와 흡음재를 적용하지 않은 경우(a)와 적용한 경우(b)의 시간에 따른 압축기의 온도 변화를 비교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의 의류 건조기를 배면이 보이도록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를 구성하는 주요부들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차음 커버가 캐비닛에 결합된 상태를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차음 커버와 흡음재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압축기의 회전수를 가변하며 측정한 소음 주파수(X축)에 따른 소음의 크기(Y축)를 도시한 그래프로써, 차음 커버와 흡음재를 적용하지 않은 경우(a)와 적용한 경우(b)의 소음 발생량을 비교하여 보여준다.
도 7은 차음 커버와 흡음재를 적용하지 않은 경우(a)와 적용한 경우(b)의 시간에 따른 압축기의 온도 변화를 비교하여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의류 건조기를 배면이 보이도록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를 구성하는 주요부들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1)를 설명한다.
케이싱(10)은 의류 건조기(1)의 외관을 형성하는 것이다. 케이싱(10)의 전면에는 의류가 투입되는 투입구가 형성될 수 있고, 케이싱(10)에는 상기 투입구를 여닫는 도어(21)가 회동 가능하게 연될 수 있다.
케이싱(10)은 의류 건조기의 전면, 좌측면, 우측면, 배면을 각각 형성하는 전면 패널(11)과, 우면 패널(12), 좌측 패널(도시되지 않았으나, 우면 패널(12)의 반대쪽에 형성됨.) 및 후면 패널(16)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케이싱(10)은 상기 패널들을 지지하는 수평한 베이스(19)와, 상기 패널들의 상측에 결합되는 수평한 탑 플레이트(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면 패널(11)은 상기 투입구가 형성된 상부 패널(11a)과, 상부 패널(11a)의 하측에 배치되는 하부 패널(11b)을 포함할 수 있다. 도어(21)는 대략 원형이고, 상부 패널(11a)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투입구를 개폐할 수 있다.
전면 패널(11)의 상측에는 컨트롤 패널(14)이 배치될 수 있다. 컨트롤 패널(14)에는 의류 건조기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예를 들어, LCD, LED 패널 등), 사용자로부터 의류 건조기의 작동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예를 들어, 버튼, 다이얼, 터치 스크린 등)가 구비될 수 있다.
컨트롤 패널(14)의 일측에는 물통(15)이 인출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물통(15)에는 건조 과정에서 생성된 응축수가 모인다. 사용자는 물통(15) 인출하고, 그 안에 모인 응축수를 버릴 수 있다.
케이싱(10)에는 내부의 공간을 외부와 연통시키는 통풍부(161)가 형성될 수 있다. 통풍부(161)에는 적어도 하나의 통풍구가 형성될 수 있다. 통풍부(161)는 케이싱(10)의 배면(예를 들어, 후면 패널(16))에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통풍부(161)는 상기 통풍구에 대응하는 다수의 슬롯(161h)이 형성된 그릴의 형태이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통풍부(161)는 케이싱(1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후면 패널(16)에 일체로 형성되었다.
케이싱(10)의 내부에는 드럼(31)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케이싱(10) 내에는 드럼(31)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52)가 배치될 수 있다. 드럼(31)은 전면과 후면이 개구된 원통형으로써, 개구된 전면은 전면 패널(11)에 형성된 투입구와 연통되어 있고, 개구된 후면은 드럼(3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서포터(미도시)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드럼(31)의 내주면에는 전후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리프터(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리프터는 드럼(31) 내측으로 돌출된 형태로써, 드럼(31)의 원주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드럼(31)이 회전되는 중에, 상기 리프터에 의해 의류가 퍼 올려졌다 낙하되는 것이 반복된다.
드럼(31)의 외주면에는 벨트(51)가 감길 수 있다. 모터(52)의 회전축에는 벨트(51)를 거는 풀리(pulley, 미도시)가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드럼(31)을 회전시키는 방법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전면은 개구되고, 후면은 차폐된 형태로 드럼이 구성되고, 모터(52)의 회전축과 드럼(31)의 회전 중심이 동선 상에 배열되도록, 상기 회전축이 드럼(31)의 후면과 결합될 수 있다. 통상 이와 같은 방식은 건조 겸용 세탁기에 적용된다.
케이싱(10) 내에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와, 상기 히터에 의해 가열된 고온의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팬(53)이 배치될 수 있다. 드럼(31)을 통과하여 기류가 순환되도록 안내하는 순환유로(40)가 형성될 수 있다. 송풍팬(53)에 의해 송풍된 공기가 순환유로(40)를 따라 이송된다. 건조덕트(45)는 순환유로(40)의 일부분을 구성하는 것으로써, 케이싱(10)의 후면 패널(16)에 결합될 수 있다. 송풍팬(53)에 의해 송풍된 공기가 건조덕트(45)를 따라 이송하여 드럼(31) 내로 공급된다.
의류 건조기(1)는 히트펌프(60)를 포함할 수 있다. 히트펌프(60)는 냉매가 순환되는 과정에서 드럼(31)으로부터 토출된 기류로부터 열을 흡수하고, 상기 흡수된 열을 이용하여, 드럼(31) 내로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한다. 히트펌프(60)는 작동유체인 냉매가 순환되는 냉매 배관(61)을 통해 연결된 증발기(62), 압축기(64), 팽창밸브(65) 및 응축기(63)를 포함할 수 있다.
증발기(62)는 냉매 배관(61)과 연결된 미세 직경의 튜브와, 상기 튜브와의 사이에 열 전달이 이루어지는 열 전도성의 열전달판들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열교환기이다. 증발기(62)는 순환유로(40) 상에 구비되어, 순환 기류로부터 열을 흡수한다. 증발기(62)는 드럼(31)으로부터 토출된 기류(즉, 드럼(31)내의 의류로부터 습기를 흡수한 후, 드럼(31)으로부터 토출된 공기)로부터 열을 흡수하며, 이렇게 흡수된 열이 상기 튜브 내의 냉매에 전달됨으로써, 냉매의 증발이 이루어진다.
이때, 습한 공기는 증발기(62)를 지나면서 응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순환유로(40)로부터 응축수를 배출하기 위한 응축수 배출기구(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응축수 배출기구를 통해 배출된 응축수는 물통(15)에 모일 수 있다.
압축기(64)는 증발기(62)를 통과한 냉매를 압축한다. 압축기(64)는 회전수(또는, 압축용량) 변경이 가능한 인버터 압축기(inverter compresso)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인버터 압축기는 회전수 제어를 통해 압축 용량을 가변할 수 있고, 따라서, 응축기(63)의 발열량이 제어될 수 있다. 인버터 압축기는 DC 전원를 동력원으로 사용하며, 이를 위해, AC 전원을 DC 전원으로 변환하여 목표한 주파수로 변환하는 드라이버(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케이싱(10) 내에는 압축기(64)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팬(54)이 구비될 수 있다. 냉각팬(54)은 통풍부(161)를 통해 외기가 유입되도록 흡입력을 형성할 수 있다. 압축기(64)와 냉각팬(54)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와, 압축기(64)의 과열을 감지하는 센서(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압축기(64)의 온도를 직접 감지하는 온도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센서는 압축기(64)의 토출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센서일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력 센서의 출력 값을 바탕으로 압축기(64)의 과열 여부를 판단하고, 과열된 것으로 판단되면, 냉각팬(54)이 운전되도록 제어할 수 잇다.
응축기(63)는 실질적으로 증발기(62)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증발기(62)와는 반대로 냉매를 응축시키는 작용을 한다. 즉, 압축기(64)에 의해 압축된 냉매가 응축기(63)를 통과하면서 응축되며, 이 과정에서 주변으로 열이 방출된다.
응축기(63)는 순환유로(40) 상에서 증발기(62)보다 하류측에 위치한다. 증발기(62)를 지나면서 습도가 낮아진 공기가 응축기(63)를 지나면서 이번에는 가열된다. 응축기(63)가 순환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로써 작용하는 것이다.
응축기(63)를 통과하면서 순환 공기에 열을 빼앗긴 냉매가 팽창밸브(65)를 통과하면서 팽창되고, 다시 증발기(62)로 유입됨으로써 냉매의 순환 사이클이 구성된다.
도 4는 차음 커버(70)가 캐비닛(10)에 결합된 상태를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차음 커버(70)와 흡음재(81)를 도시한 것이다.
의류 건조기(1)는 케이싱(10)과 결합되는 차음 커버(70)를 포함할 수 있다. 차음 커버(70)는 후면 패널(16)과 결합될 수 있다. 압축기(64) 등의 작동 과정에서 발생된 소음이 통풍구(161h)를 통해 외부로 방사된 소음이 차음 커버(70)에 의해 차폐됨으로써 소음이 저감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통풍부(161)는 후면 패널(16)에 형성된 것을 예로 든다.
차음 커버(70)는 통풍부(161)를 통해 공기가 케이싱(10) 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통풍부(161)로부터 이격되되, 통풍부(161)를 정면에 두고 바라볼 시, 통풍부(161)의 적어도 일부분과 중첩되도록 배치된 차음판(71)이 형성될 수 있다. 차음판(71)과 통풍부(161) 사이의 이격된 간격을 통해 외기가 유입될 수 있어, 냉각팬(54)에 의한 유입되는 기류의 유량을 확보할 수 있다. 즉, 차음 커버(70)는 통풍구(161h)로 유입되는 유량을 확보되도록 하면서도, 통풍구(161h)를 통해 방출되는 소음도 저감시킨다.
차음 커버(70)는 차음판(71)으로부터 케이싱(10, 예를 들어, 후면 패널(16))을 향해 연장되어, 케이싱(10, 예를 들어, 후면 패널(16))과 결합됨으로써, 차음판(71)을 통풍부(161)와 이격된 위치에 고정시키는 차음판 서포터(7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차음판 서포터(72)는 차음판(71)으로부터 연장된 서포터부(721)와, 서포터부(721)로부터 절곡되어 통풍부(161)가 형성된 케이싱(10)의 일면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결합부(722)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722)는 나사나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 케이싱(10)과 결합될 수 있다.
서포터부(721)의 길이는 차음판(71)이 케이싱(10)과 이격된 거리와 대응하며, 따라서, 서포터부(721)의 길이에 따라 차음판(71)과 케이싱(10) 사이의 간격을 통해 유입되는 유량이 정해진다.
결합부(722)는 서포터부(721)로부터 통풍부(161)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결합부(722)에는 케이싱(10)과 체결되는 체결부재가 통과하는 체결공(722h)이 형성될 수 있다.
차음판(71)과 통풍부(161) 사이에는 흡음재(81)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흡음재(81)는 다공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재질은 합성수지가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흡음재(81)는 다소간의 변형이 가능한 압축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차음판(71)에는 통풍부(161)와 중첩되는 영역에 외기가 통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류 통과공(h11, h12)이 형성될 수 있다. 차음판(71)의 외주부와 케이싱(10) 사이의 외기 유입 면적(즉, 차음판(71)과 후면 패널(16) 사이의 간격에 의해 형성되는 유입 면적)과, 적어도 하나의 기류 통과공(h11, h12)의 면적을 합한 것은 통풍부(161)에 의한 외기 유입 면적의 2배 이상이 바람직하다. 즉, 차음 커버(70)를 설치하더라도, 통풍부(161)로 유입되는 유량을 충분히 확보함으로써, 압축기(64)의 냉각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줄인 것이다.
기류 통과공(h11, h12)은 흡음재(81)에 의해 가려지지 않는 영역에 형성되고, 바람직하게는, 흡음재(81)가 고정되는 영역의 상측에 형성한다.
한편, 적어도 하나의 기류 통과공(h11, h12)의 전체 면적이 넓을수록, 흡입 유량은 증가하나, 차음력은 떨어지기 때문에, 기류 통과공(h11, h12)의 크기를 적절하게 설계할 필요가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체 면적이 평판부(711)의 면적의 절반을 넘지 않는다.
흡음재(81)는 기류 통과공(h11, h12)의 하측에 고정될 수 있다. 차음 커버(70)에는 흡음재(81)를 고정하기 위한 후크(HK21, HK22)가 형성될 수 있다. 후크(HK21, HK22)는 차음판(71)으로부터 통풍부(161)를 수평하게 연장되는 수평부(HP)와, 수평부(HP)로부터 절곡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는 수직부(VP)를 포함할 수 있다. 흡음재(81)는 수직부(VP)와 차음판(7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수평부(HP)는 흡음재(81)의 두께와 대응하는 길이로 연장되어, 흡음재(81)가 수직부(VP)와 차음판(71)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차음판(71)에는 제 1 통공(h21, h22)이 형성될 수 있다. 제 1 통공(h21, h22)의 위치와 형상은, 제 1 통공(h21, h22)을 정면에 두고 바라볼 시, 후크(HK21, HK22)의 수직부(VP) 전부가 제 1 통공(h21, h22)을 통해 보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차음 커버(70)가 사출 성형에 의해 하나의 부재로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 제 1 통공(h21, h22)을 통한 금형의 취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금형의 구성이 용이한 이점을 제공한다.
차음판(71)은 통풍부(161)를 대향하는 일면을 갖는 평판부(711)와, 평판부(711)의 둘레로부터 절곡되어, 통풍부(161)를 향해 연장되는 측면부(712)를 포함할 수 있다. 측면부(712)는 차음판(71)의 전 둘레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흡음재(81)는 평판부(711)와 측면부(712)에 의해 형성된 오목한 공간 내에서 배치될 수 있다. 후크(HK21, HK22)는 평판부(711)에 형성될 수 있다.
차음 커버(70)는 측면부(712)로부터 횡방향으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수평 고정 탭(HT23, HT2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흡음재(81)는 수평 고정 탭(HT23, HT24)과 평판부(711) 사이에 고정될 수 있다. 수평 고정 탭(HT23, HT24)은 후크(HK21, HK22) 보다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수평 고정 탭(HT23, HT24)은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측면부(712)의 외주부 상에서 차음 커버(70)의 좌측면과 우측면을 구성하는 부분에 한 쌍의 수평 고정 탭(HT23, HT24)이 형성되고, 한 쌍의 수평 고정 탭(HT23, HT24)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되었다.
차음 커버(70)에는 차음판(71)의 배면을 정면에 두고 바라볼 시, 수평 고정 탭(HT23, HT24)의 전부가 보이도록 제 2 통공(h23, h24)이 형성될 수 있다. 제 2 통공(h23, h24)은 통풍부(161)를 통해 유입되는 유량을 확보할 뿐만 아니라, 전술한 제 1 통공(h21, h22)과 마찬가지로 수평 고정 탭(HT23, HT24)을 사출 성형하는 과정에서 금형이 취출되는 경로를 구성할 수 있다.
차음 커버(70)는 측면부(712)로부터 상방향으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수직 고정 탭(VT25, 도시되지 않았으나, 도 5에서 방음 커버(70)의 좌측부에도 수직 고정 탭이 더 형성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흡음재(81)는 수직 고정 탭(VT25)과 평판부(711) 사이에 고정될 수 있다. 수직 고정 탭(VT25)은 수평 고정 탭(HT23, HT24) 보다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수직 고정 탭(VT25)은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측면부(712)의 외주부 상에서 차음 커버(70)의 하면을 구성하는 부분에 한 쌍의 수직 고정 탭(VT25)이 형성되었다.
차음 커버(70)에는 차음판(71)의 배면을 정면에 두고 바라볼 시, 수직 고정 탭(VT25)의 전부가 보이도록 제 3 통공(h25, h26)이 형성될 수 있다. 제 3 통공(h25, h26)은 통풍부(161)를 통해 유입되는 유량을 확보할 뿐만 아니라, 전술한 제 1 통공(h21, h22)과 마찬가지로 수직 고정 탭(VT25)을 사출 성형하는 과정에서 금형이 취출되는 경로를 구성할 수 있다.
도 6은 압축기(64)의 회전수를 가변하며 측정한 소음 주파수(X축)에 따른 소음의 크기(Y축)를 도시한 그래프로써, 차음 커버(70)와 흡음재(81)를 적용하지 않은 경우(a)와 적용한 경우(b)의 소음 발생량을 비교하여 보여준다.
도 6을 참조하면, 차음 커버(70)와 흡음재(81)를 적용한 경우(b), 4000hz 이상의 고주파수 영역에서 소음이 대략 0.4dB 내지 2dB 감소한 것을 알 수 있다.
도 7은 차음 커버(70)와 흡음재(81)를 적용하지 않은 경우(a)와 적용한 경우(b)의 압축기(64)의 시간에 따른 온도 변화를 비교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동일한 조건으로 압축기(64)의 최대 온도가 섭씨 110도(안전상 허용되는 최대 온도)를 넘지 않도록 제어하면서 건조를 실시할 때, 차음 커버(70)와 흡음재(81)를 적용한 경우(b)와 적용하지 않은 경우(a)에 있어서, 압축기(64)의 최대 온도가 큰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다.((a)의 경우 96.5도, (b)의 경우 95도). 즉, 도 7의 그래프는 차음 커버(70)와 흡음재(81)를 적용하더라도, 종래에 비해 압축기(64)가 과열되지 않는다는 점을 보여준다.
Claims (21)
-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공간을 외부와 연통시키는 통풍부가 형성된 케이싱;
상기 케이싱 내에 배치되고, 기류가 순환되는 순환유로 상에 구비된 드럼;
냉매 배관을 따라 냉매를 순환시키는 압축기를 구비하고, 냉매가 순환되는 과정에서 상기 드럼으로부터 토출된 기류로부터 열을 흡수하고, 상기 흡수된 열을 이용하여 상기 순환유로를 따라 상기 드럼 내로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트펌프;
상기 케이싱 내에 배치되고, 상기 통풍부를 통해 외기를 상기 케이싱 내로 유입시켜 상기 압축기를 냉각시키는 냉각팬; 및
상기 케이싱과 결합되고, 상기 통풍부를 통해 공기가 상기 케이싱 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통풍부로부터 이격되되, 상기 통풍부를 정면에 두고 바라볼 시, 상기 통풍부의 적어도 일부분과 중첩되도록 배치된 차음판이 형성된 차음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차음 커버는,
상기 차음판으로부터 상기 케이싱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케이싱과 결합됨으로써, 상기 차음판을 상기 통풍부와 이격된 위치에 고정시키는 차음판 서포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차음판 서포터는,
상기 차음판으로부터, 상기 차음판이 상기 케이싱과 이격된 거리에 대응하여 소정 길이로 연장된 서포터부와, 상기 서포터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통풍부가 형성된 케이싱의 일면과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기 케이싱과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의류 건조기. - 삭제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서포터부로부터 상기 통풍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절곡되는 의류 건조기.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에는 상기 케이싱과 체결되는 체결부재가 통과하는 체결공이 형성된 의류 건조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음판과 상기 통풍부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차음 커버에 고정되는 흡음재를 더 포함하는 의류 건조기.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차음판에는 상기 통풍부와 중첩되는 영역에 외기가 통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류 통과공이 형성되고,
상기 흡음재는,
상기 기류 통과공의 하측에 고정되는 의류 건조기. -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공간을 외부와 연통시키는 통풍부가 형성된 케이싱;
상기 케이싱 내에 배치되고, 기류가 순환되는 순환유로 상에 구비된 드럼;
냉매 배관을 따라 냉매를 순환시키는 압축기를 구비하고, 냉매가 순환되는 과정에서 상기 드럼으로부터 토출된 기류로부터 열을 흡수하고, 상기 흡수된 열을 이용하여 상기 순환유로를 따라 상기 드럼 내로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트펌프;
상기 케이싱 내에 배치되고, 상기 통풍부를 통해 외기를 상기 케이싱 내로 유입시켜 상기 압축기를 냉각시키는 냉각팬; 및
상기 케이싱과 결합되고, 상기 통풍부를 통해 공기가 상기 케이싱 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통풍부로부터 이격되되, 상기 통풍부를 정면에 두고 바라볼 시, 상기 통풍부의 적어도 일부분과 중첩되도록 배치된 차음판이 형성된 차음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차음판과 상기 통풍부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차음 커버에 고정되는 흡음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차음판에는 상기 통풍부와 중첩되는 영역에 외기가 통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류 통과공이 형성되고,
상기 흡음재는,
상기 기류 통과공의 하측에 고정되고,
상기 차음 커버는,
상기 차음판의 상기 통풍부를 대향하는 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흡음재를 고정시키는 후크를 더 포함하는 의류 건조기.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는,
상기 차음판으로부터 상기 통풍부를 향해 수평하게 연장되는 수평부; 및
상기 수평부로부터 절곡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는 수직부를 포함하고,
상기 흡음재는,
상기 수직부와 상기 차음판 사이에 배치되는 의류 건조기.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차음판에는 제 1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통공을 정면에 두고 바라볼 시, 상기 후크의 수직부 전부가 상기 제 1 통공을 통해 보이는 의류 건조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음판은,
상기 통풍부를 대향하는 일면을 갖는 평판부; 및
상기 평판부의 둘레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통풍부를 향해 연장되는 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차음 커버는,
다공성의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평판부와 상기 측면부에 의해 형성된 오목한 공간 내에 배치되는 흡음재를 더 포함하는 의류 건조기. -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공간을 외부와 연통시키는 통풍부가 형성된 케이싱;
상기 케이싱 내에 배치되고, 기류가 순환되는 순환유로 상에 구비된 드럼;
냉매 배관을 따라 냉매를 순환시키는 압축기를 구비하고, 냉매가 순환되는 과정에서 상기 드럼으로부터 토출된 기류로부터 열을 흡수하고, 상기 흡수된 열을 이용하여 상기 순환유로를 따라 상기 드럼 내로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트펌프;
상기 케이싱 내에 배치되고, 상기 통풍부를 통해 외기를 상기 케이싱 내로 유입시켜 상기 압축기를 냉각시키는 냉각팬; 및
상기 케이싱과 결합되고, 상기 통풍부를 통해 공기가 상기 케이싱 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통풍부로부터 이격되되, 상기 통풍부를 정면에 두고 바라볼 시, 상기 통풍부의 적어도 일부분과 중첩되도록 배치된 차음판이 형성된 차음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차음판은,
상기 통풍부를 대향하는 일면을 갖는 평판부; 및
상기 평판부의 둘레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통풍부를 향해 연장되는 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차음 커버는,
다공성의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평판부와 상기 측면부에 의해 형성된 오목한 공간 내에 배치되는 흡음재; 및
상기 측면부로부터 횡방향으로 돌출된 수평 고정 탭을 더 포함하고,
상기 흡음재는 상기 수평 고정 탭과 상기 평판부 사이에 고정되는 의류 건조기.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차음 커버에는,
상기 차음판의 배면을 정면에 두고 바라볼 시, 상기 수평 고정 탭의 전부가 보이도록 제 2 통공이 형성된 의류 건조기. -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공간을 외부와 연통시키는 통풍부가 형성된 케이싱;
상기 케이싱 내에 배치되고, 기류가 순환되는 순환유로 상에 구비된 드럼;
냉매 배관을 따라 냉매를 순환시키는 압축기를 구비하고, 냉매가 순환되는 과정에서 상기 드럼으로부터 토출된 기류로부터 열을 흡수하고, 상기 흡수된 열을 이용하여 상기 순환유로를 따라 상기 드럼 내로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트펌프;
상기 케이싱 내에 배치되고, 상기 통풍부를 통해 외기를 상기 케이싱 내로 유입시켜 상기 압축기를 냉각시키는 냉각팬; 및
상기 케이싱과 결합되고, 상기 통풍부를 통해 공기가 상기 케이싱 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통풍부로부터 이격되되, 상기 통풍부를 정면에 두고 바라볼 시, 상기 통풍부의 적어도 일부분과 중첩되도록 배치된 차음판이 형성된 차음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차음판은,
상기 통풍부를 대향하는 일면을 갖는 평판부; 및
상기 평판부의 둘레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통풍부를 향해 연장되는 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차음 커버는,
다공성의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평판부와 상기 측면부에 의해 형성된 오목한 공간 내에 배치되는 흡음재; 및
상기 측면부로부터 상방향으로 돌출된 수직 고정 탭을 더 포함하고,
상기 흡음재는 상기 수직 고정 탭과 상기 평판부 사이에 고정되는 의류 건조기.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차음 커버에는,
상기 차음판의 배면을 정면에 두고 바라볼 시, 상기 수직 고정 탭의 전부가 보이도록 제 3 통공이 형성된 의류 건조기. - 제 13 항 또는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차음 커버는,
상기 평판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흡음재를 고정시키는 후크를 더 포함하는 의류 건조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음판에는 상기 통풍부와 중첩되는 영역에 외기가 통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류 통과공이 형성되는 의류 건조기. -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차음판과 상기 통풍부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차음 커버에 고정되는 흡음재를 더 포함하는 의류 건조기. -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공간을 외부와 연통시키는 통풍부가 형성된 케이싱;
상기 케이싱 내에 배치되고, 기류가 순환되는 순환유로 상에 구비된 드럼;
냉매 배관을 따라 냉매를 순환시키는 압축기를 구비하고, 냉매가 순환되는 과정에서 상기 드럼으로부터 토출된 기류로부터 열을 흡수하고, 상기 흡수된 열을 이용하여 상기 순환유로를 따라 상기 드럼 내로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트펌프;
상기 케이싱 내에 배치되고, 상기 통풍부를 통해 외기를 상기 케이싱 내로 유입시켜 상기 압축기를 냉각시키는 냉각팬; 및
상기 케이싱과 결합되고, 상기 통풍부를 통해 공기가 상기 케이싱 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통풍부로부터 이격되되, 상기 통풍부를 정면에 두고 바라볼 시, 상기 통풍부의 적어도 일부분과 중첩되도록 배치된 차음판이 형성된 차음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차음판은,
상기 통풍부를 대향하는 일면을 갖는 평판부; 및
상기 평판부의 둘레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통풍부를 향해 연장되는 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차음 커버는,
다공성의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평판부와 상기 측면부에 의해 형성된 오목한 공간 내에 배치되는 흡음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차음판에는 상기 통풍부와 중첩되는 영역에 외기가 통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류 통과공이 형성되고,
상기 차음판의 외주부와 상기 케이싱 사이의 외기 유입 면적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류 통과공의 면적을 합한 것은 상기 통풍부의 외기 유입 면적의 2배 내지 2.5 배인 의류 건조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풍부는,
상기 케이싱의 배면에 형성되는 의류 건조기.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67931A KR102653163B1 (ko) | 2016-12-09 | 2016-12-09 | 의류 건조기 |
EP17205863.8A EP3333306B1 (en) | 2016-12-09 | 2017-12-07 | Clothes dryer |
US15/835,730 US10590592B2 (en) | 2016-12-09 | 2017-12-08 | Clothes dry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67931A KR102653163B1 (ko) | 2016-12-09 | 2016-12-09 | 의류 건조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66742A KR20180066742A (ko) | 2018-06-19 |
KR102653163B1 true KR102653163B1 (ko) | 2024-04-01 |
Family
ID=60627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67931A KR102653163B1 (ko) | 2016-12-09 | 2016-12-09 | 의류 건조기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10590592B2 (ko) |
EP (1) | EP3333306B1 (ko) |
KR (1) | KR102653163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718082B2 (en) * | 2017-08-11 | 2020-07-21 | Whirlpool Corporation | Acoustic heat exchanger treatment for a laundry appliance having a heat pump system |
KR102492643B1 (ko) * | 2017-09-29 | 2023-01-2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수건 관리 장치 |
DE102018212844A1 (de) * | 2018-08-01 | 2020-02-06 | BSH Hausgeräte GmbH | Haushaltsgerät mit verbesserter Akustik |
CN114096708A (zh) * | 2019-07-12 | 2022-02-25 | Lg电子株式会社 | 烘干机 |
US20220341084A1 (en) * | 2021-04-27 | 2022-10-27 | Whirlpool Corporation | Insulation panel for back panel of laundry appliance |
CN116536895A (zh) * | 2022-01-25 | 2023-08-04 | 青岛海尔洗涤电器有限公司 | 烘干设备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676901B2 (ja) * | 1997-03-21 | 2005-07-27 | 三菱電機株式会社 | 冷蔵庫の製造方法及び冷蔵庫 |
KR100595760B1 (ko) * | 2004-12-06 | 2006-06-3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증기압축 사이클 시스템을 구비하는 의류 건조기 |
ATE546582T1 (de) * | 2006-06-06 | 2012-03-15 | Electrolux Home Prod Corp | Wäschetrockner mit schallabsorptionssystem |
CA2629470A1 (en) * | 2008-04-18 | 2009-10-18 | Mabe Canada Inc. | Clothes dryer with thermal insulation pad |
DE102008055088A1 (de) * | 2008-12-22 | 2010-06-24 |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 Haushaltsgerät mit einem offenen Luftkanal |
EP2978889A1 (en) * | 2013-03-26 | 2016-02-03 | Arçelik Anonim Sirketi | Heat pump laundry dryer with noise attenuation structure |
-
2016
- 2016-12-09 KR KR1020160167931A patent/KR102653163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7
- 2017-12-07 EP EP17205863.8A patent/EP3333306B1/en active Active
- 2017-12-08 US US15/835,730 patent/US10590592B2/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3333306A1 (en) | 2018-06-13 |
EP3333306B1 (en) | 2019-10-09 |
KR20180066742A (ko) | 2018-06-19 |
US10590592B2 (en) | 2020-03-17 |
US20180163340A1 (en) | 2018-06-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653163B1 (ko) | 의류 건조기 | |
JP6882385B2 (ja) | 乾燥機 | |
KR102613456B1 (ko) | 의류 관리기 | |
US8667702B2 (en) | Domestic appliance with an open air duct | |
KR102100473B1 (ko) | 폐열 회수수단을 갖는 의류처리장치 | |
US20140298671A1 (en) | Clothing dryer | |
EP3015591B1 (en) | Clothes trea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EP3779027B1 (en) | Dual type drying machine | |
JP2014100575A (ja) | ヒートポンプを備えた乾燥機 | |
US20120049705A1 (en) | Laundry Treating Machine with Bottom-Side Air Passage | |
KR20210009694A (ko) | 의류 관리기 및 그 제어 방법 | |
EP2097579B1 (en) | A washer/dryer | |
EP2752518B1 (en) | Laundry dryer | |
US7069669B2 (en) | Clothes dryer | |
JP7319028B2 (ja) | 衣類乾燥機 | |
KR20240086625A (ko) | 의류 처리 장치 | |
KR20200075667A (ko) |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 방법 | |
JP6908632B2 (ja) | 衣類処理装置 | |
JP2015039563A (ja) | 洗濯乾燥機 | |
KR20190128529A (ko) | 의류 처리 장치 | |
JP2016019654A (ja) | 衣類乾燥機 | |
JP2019136287A (ja) | 衣類乾燥機 | |
KR102646289B1 (ko) | 듀얼 타입 건조기 | |
KR102613562B1 (ko) | 듀얼 타입 건조기 | |
KR20190087004A (ko) | 건조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