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6289B1 - 듀얼 타입 건조기 - Google Patents

듀얼 타입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6289B1
KR102646289B1 KR1020160183099A KR20160183099A KR102646289B1 KR 102646289 B1 KR102646289 B1 KR 102646289B1 KR 1020160183099 A KR1020160183099 A KR 1020160183099A KR 20160183099 A KR20160183099 A KR 20160183099A KR 102646289 B1 KR102646289 B1 KR 1026462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ing unit
auxiliary
air
dual
auxiliary dr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30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8082A (ko
Inventor
배상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830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6289B1/ko
Priority to US15/608,080 priority patent/US10738412B2/en
Priority to CN201710500140.9A priority patent/CN108252049B/zh
Priority to AU2017385579A priority patent/AU2017385579B2/en
Priority to PCT/KR2017/009342 priority patent/WO2018124421A1/ko
Priority to EP20199019.9A priority patent/EP3779027B1/en
Priority to EP17201892.1A priority patent/EP3342923B1/en
Publication of KR201800780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80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62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62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2Lint collec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0Drying process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8Air properties
    • D06F2103/36Flow or veloc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56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air ducts, e.g. position of flow divert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26Heat pum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0Blowers

Abstract

상대적으로 대용량을 가지는 주 건조부와 상대적으로 소용량을 가지는 보조 건조부를 포함하는 듀얼 타입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면에 개폐 도어를 구비하는 주 건조부; 상기 주 건조부의 상부에 배치되며 세탁물 수용공간의 상면에 개폐 도어를 구비하는 캐비닛 타입의 보조 건조부; 상기 주 건조부와 상기 보조 건조부의 양 측면을 감싸는 양측의 측판과, 상기 주 건조부와 보조 건조부의 사이를 가로지르며 양측의 측판을 연결하는 중간판을 포함하는 캐비닛; 및 상기 보조 건조부의 전면에 배치되는 조작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중간판은 상기 주 건조부 고내의 가열된 공기가 상기 보조 건조부의 고내로 전달될 수 있도록하는 관통공을 구비하는 듀얼 타입 건조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듀얼 타입 건조기{DUAL TYPE DRYER}
본 발명은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상대적으로 대용량을 가지는 주 건조부와 상대적으로 소용량을 가지는 보조 건조부를 포함하는 듀얼 타입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건조기는 의류를 건조시키는 장치로서 의류에 건조 열풍을 공급하여 의류에서 수분을 제거하는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건조기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열원으로 전기 히터, 가스 히터 그리고 히트펌프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건조기는 열원의 종류에 따라 나눌 수 있다.
또한, 건조기는 공기의 유동 방식을 통해서도 나눌 수 있다. 배기식 건조기는 의류로부터 수분을 제거한 후의 고온 다습 공기를 그대로 외부로 배출하는 건조기이며, 순환식 건조기는 고온 다습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지 않고 순환을 통해 다시 이용하는 건조기라 할 수 있다. 순환식 건조기는 고온 다습 공기에서 수분을 응축한 후 다시 가열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순환식 건조기를 응축식 건조기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응축 방식에 따라서 응축식 건조기는 수냉식 건조기, 공냉식 건조기 그리고 히트펌프식 건조기로 나눌 수 있다.
물론, 최근에는 배기식 건조기와 순환식 건조기가 복합적으로 구현되는 건조기에 대한 기술들이 많이 개시되어 있어서, 배기식 건조기와 순환식 건조기를 명확히 구분하는 것이 쉽지 않을 수 있다.
또한, 건조기는 건조 대상 의류를 수용하는 세탁물 수용부의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나눌 수 있다. 세탁물 수용부가 수평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드럼 형태인 경우를 수평축 드럼 건조기라 할 수 있으며, 수직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드럼 형태인 경우 수직축 드럼 건조기라 할 수 있다. 또한, 캐비닛 내부에 고정된 형태의 세탁물 수용부를 갖는 건조기를 캐비닛 건조기 또는 리프레셔라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는 순환식 드럼 건조기를 많이 사용한다. 종래에는 공기의 가열원으로 전기 히터를 사용하는 히터 건조기를 많이 사용해 왔다. 그러나, 최근에는 냉동사이클을 이용한 히트펌프 건조기의 보급이 늘고 있다.
이하에서는 일반적인 히터 건조기와 히트펌프 건조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히터 건조기의 일례를 간략하게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터 건조기는 드럼(10)과 상기 드럼을 통해 공기를 순환시키는 공기순환부(20)를 포함한다. 상기 공기순환부(20)를 통해 드럼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다시 상기 드럼으로 유입된다. 따라서, 공기가 공기순환부(20)를 통해 순환하게 된다. 이러한 공기의 순환을 위하여 건조팬(50)이 구비된다. 상기 건조팬(50)은 공기순환부(20) 내에 구비되어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킨다.
상기 공기순환부(20)는 별도의 유로(덕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건조기의 베이스에 상기 유로의 일부가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드럼(10) 또한 공기순환부의 일부라 할 수 있다.
드럼(10) 내의 세탁물을 건조하기 위하여, 공기는 히터(60) 즉 전기 히터를 통해 가열된다. 가열된 공기는 드럼(10) 내부로 유입되어 세탁물로부터 수분을 제거한다.
수분을 제거하며 고온 다습하게 된 공기는 드럼에서 배출되어 응축기(40)로 유입된다. 물론, 드럼(10)과 응축기(40) 사이에는 공기 중의 보푸라기와 같은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3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필터를 린트 필터라 할 수 있다.
고온 다습한 공기는 응축기(40)에서 수분이 응축되어 건조 공기로 변하게 된다. 상기 응축기(40)에서는 고온 다습한 공기가 저온의 외부 공기와 열교환하게 되며, 이때, 고온 다습한 공기 내의 수분이 응축되어 제거된다.
응축기(40)에는 외부의 저온 공기의 유입과 유출을 위해 냉각팬(4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각팬(45)은 냉각유로(46)에 구비된다.
상기 냉각 유로는 외부 공기를 상기 응축기(40)로 공급한 후 건조기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비된다고 할 수 있다. 결국, 히터 건조기에서 응축기(40)는 공기순환부(20)와 냉각유로(46)가 교차하기 위한 구성이라 할 수 있다.
응축기(40)에서 배출되는 저온 건조 공기는 히터(60)를 통해 가열되어 고온 건조 공기로 변한다. 이러한 고온 건조 공기가 다시 드럼(10) 내부로 유입된다.
따라서, 드럼(10), 응축기(40), 건조팬(50) 그리고 히터(60)를 통해서 공기가 순환하며, 순환 공기의 가열과 응축 과정을 통해서 건조가 수행된다고 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건조기는 드럼(10)의 후방에서 드럼(10)으로 공기를 불어넣기 때문에 블로워(blower) 타입 건조기라 할 수 있으며, 도시된 드럼(10)을 기준으로 오른쪽이 건조기 전면 그리고 왼쪽이 건조기의 후면에 대응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드럼(10)의 후방으로 건조를 위한 공기가 유입된 후 드럼(10)의 전방으로 배출된다.
도 2는 건조기 베이스(70)를 기준으로 도 1에 도시된 건조기의 주요 구성들의 배치 관계를 간략하게 도시한 평면도라 할 수 있다.
직접적으로 베이스(70)에 장착되지 않는 드럼(10)과 히터(60)는 생략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베이스(70)를 기준으로 상부가 건조기의 후면 그리고 하부가 건조기의 전면에 대응된다고 할 수 있다.
건조기 베이스(70)를 기준으로, 좌측에는 응축기(40)가 구비되며 우측에는 냉각팬(45), 모터(55) 그리고 건조팬(50)이 구비된다. 상기 모터(55)는 상기 건조팬(50)을 구동하기 위해 구비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여기서, 건조팬(50)은 건조기의 전방 그리고 드럼(10)의 하방에 구비될 수 있는데, 이 경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달리 건조팬(50)이 필터(30)와 응축기(40) 사이에 위치된다고 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예에서 건조팬(50)은 드럼(10)의 전방에서 드럼(10) 내의 공기를 흡입하기 때문에 석션(suction) 타입 건조기라 할 수 있다.
즉, 드럼(10)이나 가열기와의 관계에서 건조팬(50)의 위치가 드럼(10) 전단이냐 후단이냐에 따라 석션(suction) 타입 건조기와 블로워(blower) 타입 건조기로 나뉠 수 있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공기의 유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드럼(1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드럼(10) 전방을 통해 배출되면서 하강하여 응축기(40)로 유입된다. 응축기(40)에서 배출된 공기는 상승하여 드럼 후방을 통해 다시 드럼(10) 내부로 유입된다. 이러한 공기의 하강과 상승을 위해 별도의 덕트들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덕트들은 상기 드럼(10) 또는 베이스(70)와 연결되어 전체적인 공기순환부(20)를 이루게 된다.
그리고, 외부 공기는 건조기의 후방에서 냉각유로(46)을 통해 건조기 내부로 유입되어 응축기(40)로 공급된다.
응축기(40)로 공급된 외부 공기는 응축기(40) 내에서 순환 공기와 열교환한 후 건조기의 측방으로 배출된다. 즉, 냉각팬(45)이 구동됨에 따라 냉각유로(46)를 통해 외부 공기가 유입된 후 배출된다. 물론, 열교환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응축기(40)에서의 순환 공기의 유동 방향과 외부 공기의 유동 방향은 수직이 될 수 있다.
도 3은 히트펌프 건조기의 일례를 간략하게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트펌프 건조기는 드럼(10)과 상기 드럼(10)을 통해 공기를 순환시키는 공기순환부(20)를 포함한다. 상기 공기순환부(20)를 통해 드럼(10)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응축과 가열 과정을 거쳐 다시 상기 드럼(10)으로 유입된다. 따라서, 공기가 공기순환부(20)를 통해 순환하게 된다.
이러한 공기의 순환을 위하여 건조팬(50)이 구비된다. 상기 건조팬(50)은 공기순환부(20) 내에 구비되어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킨다.
드럼(10) 내의 의류를 건조하기 위하여, 공기는 히트펌프 시스템(80)을 통해서 가열되고 냉각된다. 상기 히트펌프 시스템(80)은 냉매를 이용한 하나의 냉동 사이클이다. 따라서, 히트펌프 시스템(80)은 냉매 배관(82), 증발 열교환기(81), 압축기(83), 응축 열교환기(84) 그리고 팽창수단(85)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냉매는 냉매 배관(82)을 통해서 증발 열교환기(81), 압축기(83), 응축 열교환기(84) 그리고 팽창수단(85) 순서로 흐르면서 순환하게 된다.
상기 증발 열교환기(81)에서 냉매는 열을 흡수하여 증발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증발 열교환기(81)는 냉매와 순환 공기 사이의 열교환을 통해서, 순환 공기를 냉각시키켜 수분을 응축시킨다. 따라서, 순환 공기 관점에서 상기 증발 열교환기(81)를 히터 건조기의 응축기(40)와 대응되는 응축기라 할 수 있다.
상기 응축 열교환기(84)에서 냉매는 열을 방출하여 응축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응축 열교환기(84)는 냉매와 순환 공기 사이의 열교환을 통해서, 순환 공기를 가열하게 된다. 따라서, 순환 공기 관점에서 상기 응축 열교환기(84)를 히터 건조기의 히터(60)와 대응되는 가열기라 할 수 있다.
따라서, 히트펌프 시스템(80)을 거치면서 순환 공기의 응축 과정과 가열 과정이 수행되며, 이러한 순환 공기는 다시 드럼(10)으로 유입된다. 물론, 드럼(10)과 증발 열교환기(81) 사이에는 공기 중의 보푸라기와 같은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30)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드럼(10)을 기준으로 오른쪽이 건조기 전면 그리고 왼쪽이 건조기의 후면에 대응된다고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3에 도시된 건조기는 드럼(10)의 후방에 건조팬(50)이 위치되어 드럼(10)으로 공기를 불어 넣기 때문에 블로우 타입 건조기라 할 수 있다. 그러나, 도 4에 도시된 건조기는 전술한 바와 같이 석션 타입 건조리라 할 수 있다.
도 4는 건조기 베이스(70)를 기준으로 도 3에 도시된 건조기의 주요 구성들의 배치 관계를 간략하게 도시한 평면도라 할 수 있다. 직접적으로 베이스(70)에 장착되지 않는 드럼(10)은 생략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베이스(70)를 기준으로 상부가 건조기의 후면 그리고 하부가 건조기의 전면에 대응된다고 할 수 있다.
건조기 베이스(70)를 기준으로, 좌측에는 증발 열교환기(81)와 응축 열교환기(84)가 구비되며 우측에는 팽창수단(85), 압축기(83), 모터(55) 그리고 건조팬(50)이 구비된다. 상기 모터(55)는 상기 건조팬(50)을 구동하기 위해 구비된 것이라 할 수 있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공기의 유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건조팬(50)의 흡입력에 의해서 드럼 내부의 공기는 드럼 전방을 통해 드럼에서 유출된다. 유출된 공기는 하강하여 증발 열교환기(81)와 응축 열교환기(84)를 거치면서 수분이 제거되고 가열된다. 이후, 공기는 상승하여 드럼(10) 후방을 통해 드럼 내부로 유입된다.
이러한 히트펌프 건조기는, 히트펌프 시스템(80)을 통해서 순환 공기의 냉각과 가열이 수행되기 때문에, 히터 건조기에서와 같은 냉각팬(45)이나 냉각유로(46)가 구비될 필요가 없게 된다.
이러한 히트펌프 건조기는 전술한 히터 건조기와 순환 공기에 대한 필터링, 응축 그리고 가열 과정이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다만 가열과 응축의 방식이 다르다고 할 수 있다. 히터 건조기의 히터(60)와 응축기(40)는 각각 히트펌프 건조기의 응축 열교환기(84)와 증발 열교환기(81)에 대응된다고 할 수 있다. 상기 히터(60)와 응축 열교환기(84)는 순환 공기를 가열하는 구성이므로 가열기라 할 수 있다. 상기 응축기(40)와 증발 열교환기(81)는 순환 공기를 응축하는 구성이므로 응축기라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히터 건조기와 히트펌프 건조기에서 드럼을 포함하여 공기를 순환시키는 공기순환부(20)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건조를 위한 메커니즘과 구조가 매우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한편, 하나의 세탁기에 두 개의 세탁부를 구비하는 듀얼 타입 세탁기의 보급이 확대되고 있다.
듀얼 타입 세탁기는 대용량 세탁부와, 상대적으로 작은 용량을 가지는 소요량 세탁부가 단일의 세탁기에 구비된 것이다.
듀얼 타입 세탁기는 빨래의 중량에 따라서, 또는 빨래의 종류에 따라서 하나의 세탁부를 사용하거나, 빨래의 종류별로 구분하여 두 개의 세탁부를 동시에 동작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듀얼 타입 세탁기와 쌍을 이루며 사용될 수 있는 듀얼 타입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대적으로 큰 용량을 가지는 주 건조부와, 상대적으로 작은 용량을 가지는 보조 건조부를 구비하는 건조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주 건조부의 동작시에 발생하는 폐열을 상기 보조 건조부로 전달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건조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주 건조부의 가열 공기를 보조 건조부로 공급하여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듀얼 타입 건조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주 건조부와 보조 건조부를 각각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 건조기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면에 개폐 도어를 구비하는 주 건조부; 상기 주 건조부의 상부에 배치되며 세탁물 수용공간의 상면에 개폐 도어를 구비하는 캐비닛 타입의 보조 건조부; 상기 주 건조부와 상기 보조 건조부의 양 측면을 감싸는 양측의 측판과, 상기 주 건조부와 보조 건조부의 사이를 가로지르며 양측의 측판을 연결하는 중간판을 포함하는 캐비닛; 및 상기 보조 건조부의 전면에 배치되는 조작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중간판은 상기 주 건조부 고내의 가열된 공기가 상기 보조 건조부의 고내로 전달될 수 있도록하는 관통공을 구비하는 듀얼 타입 건조기를 제공한다.
상기 보조 건조부는 상기 세탁물 수용공간의 저면에 상기 중간판으로부터 열을 전달받는 흡열판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흡열판은 저면으로 돌출된 흡열핀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보조 건조부는 상기 세탁물 수용공간의 바닥면에 소통홀을 구비하여, 상기 주 건조부의 고내의 공기가 상기 보조 건조부의 고내 또는 세탁물 수용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중간판에 구비되는 관통공과, 상기 세탁물 수용공간의 바닥면에 구비되는 소통홀은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는 주 건조부의 내부 구성이 외부에서 시인되지 않도록 하며, 가열된 공기의 유동시에 발생하는 열전달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세탁물 수용공간의 바닥면은 요철 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요철 돌기의 측면에 소통홀을 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로, 전면에 개폐 도어를 구비하는 주 건조부; 상기 주 건조부의 상부에 배치되며 세탁물 수용공간의 상면에 개폐 도어를 구비하는 캐비닛 타입의 보조 건조부; 상기 주 건조부와 상기 보조 건조부의 양 측면을 감싸는 양측의 측판과, 상기 주 건조부와 보조 건조부의 사이를 가로지르며 양측의 측판을 연결하는 중간판을 포함하는 캐비닛; 및 상기 보조 건조부의 전면에 배치되는 조작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보조 건조부는 상기 세탁물 수용공간의 저면에 상기 중간판으로부터 열을 전달받는 흡열판을 구비하는 듀얼 타입 건조기를 제공한다.
상기 흡열판은 상기 중간판에 접촉하여 전도를 통하여 열을 전달받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흡열판은 저면에서 상기 중간판을 향하여 돌출된 흡열핀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보조 건조부의 개폐 도어는 상기 세탁물 수용부의 후면에 힌지 결합되는 제1 도어와, 상기 제1 도어에 힌지 결합되는 제2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 건조부의 개폐 도어는 상기 세탁물 수용부와의 간격을 밀폐하는 실링 수단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실링 수단은 상기 세탁물 수용공간의 전면 영역 일부에만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보조 건조부는 외기를 상기 세탁물 수용부로 안내하는 유입 유로와, 상기 유입 유로의 내부에 배치되어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는 송풍팬과, 상기 유입 유로의 내부에 구비되는 전기 히터와, 상기 전기 히터에 의하여 가열된 공기를 측온하기 위한 온도 센서와, 상기 세탁물 수용부로 도입되는 외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차단하는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주 건조부와는 별도로 보조 건조부를 독립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송풍팬과, 상기 전기 히터와, 상기 온도 센서와, 상기 필터는 상기 세탁물 수용부 후방의 기계실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사용자의 접근성과 공기 유동을 고려한 것이다.
상기 보조 건조부의 후면은 상기 주 건조부의 후면보다 후방으로 돌출되어 바닥면과 나란한 단차면을 구비하며, 상기 단차면에 상기 세탁물 수용부로 외기를 도입하는 유입 유로의 입구가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건조기의 배면이 벽면에 밀착되는 경우에도 보조 건조부로 외기의 도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유입 유로의 입구는 상기 중간판을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주 건조부의 고내 공기가 유입 유로 입구로 도입되도록 함으로써 주 건조부의 동작시에 발생하는 주 건조부 고내의 열기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는 대용량을 건조하기 위한 주 건조부와, 소용량을 건조하기 보조 건조부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이들을 동시에 또는 각각 동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져온다. 또한 기존의 건조기와 대비하여 조작 패널이 사용자가 접근하고 조작하기 더 편리한 위치에 배치되면서도 보조 건조부를 설치하며 발생하는 보조 건조부의 전방의 공간을 활용하게 되어, 건조기의 전체적인 체적을 크게 늘리지 않으면서도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위치에 조작 패널을 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는 주 건조부는 수평 드럼 타입으로 전면으로 개폐되고, 보조 건조부는 캐비닛 타입으로 상면으로 개폐되도록 함으로써 제한된 공간에 설치되더라도 세탁물의 투입과 인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온다.
이러한 구조는 사용자가 주 건조부와 보조 건조부를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건조 대상 세탁물의 중량에 따라 두 개의 건조부 중에서 건조 대상 세탁물의 중량에 보다 적합한 건조부를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건조 대상물의 특성에 따라서 건조부를 선택할 수 있게 한다. 드럼식 건조가 부적합한 세탁물의 경우 캐비닛식 건조부를 이용할 수 있으며, 대량의 세탁물 건조시 세탁물의 특성에 따라 주 건조부와 보조 건조부로 분리하여 건조를 수행할 수도 있는 효과를 가져온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는 보조 건조부에서 배출되는 습증기가 사용자 측을 향하여 배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사용시의 불쾌감을 느끼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가져온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는 보조 건조부에서 배출되는 습증기가 사용자 측을 향하여 배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사용시의 불쾌감을 느끼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가져온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는 주 건조부의 동작시에 발생하는 폐열을 보조 건조부로 공급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건조기 전체의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져온다.
도 1은 히터 건조기의 공기순환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히터 건조기의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 주변 구성들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히트펌프 건조기의 공기순환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는 히트펌프 건조기의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의 주변 구성들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듀얼 타입 건조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듀얼 타입 건조기의 캐비닛 구조와 보조 유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듀얼 타입 건조기의 열전달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와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듀얼 타입 건조기의 열전달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와 단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듀얼 타입 건조기의 열전달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와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듀얼 타입 건조기의 열전달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와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듀얼 타입 건조기의 열전달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와 단면도이다.
도 15은 본 발명에 따른 듀얼 타입 건조기의 캐비닛 구조와 보조 유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듀얼 타입 건조기의 보조 유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듀얼 타입 건조기의 보조 유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듀얼 타입 건조기의 보조 건조부 자연 배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 및 도 21은 본 발명의 제9실시에에 따른 듀얼 타입 건조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따른 보조 건조부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듀얼 타입 건조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듀얼 타입 건조기(1000)는 상대적으로 큰 용량을 가지는 주 건조부(100)와, 상대적으로 작은 용량을 가지는 보조 건조부(200)와, 상기 주 건조부(100)와 상기 보조 건조부(200)의 외관을 감싸는 캐비닛(400)과, 상기 주 건조부(100)와 상기 보조 건조부(200)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 패널(500)을 포함한다.
상기 주 건조부(100)는 대용량의 세탁물 건조를 위한 것으로, 세탁물의 균일한 건조에 장점을 가지는 드럼 타입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본 발명의 주 건조부가 반드시 드럼 타입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주 건조부(100)는 전면에 개폐 도어(120)를 구비하여, 세탁물의 투입과 배출이 전면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수평축 드럼 타입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드럼의 축의 배치는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훼손하지 않는 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주 건조부(100)는 순환 공기가 후면으로 불어 넣어지는 블로잉 타입일 수도 있고, 순환 공기기가 전면에서 흡입되는 석션 타입일 수도 있다. 물론 순환 공기의 방향은 이와 다를 수도 있다. 즉 순환 공기가 전면에서 후면으로 이동하는 구조 역시 적용 가능할 것이다.
또한, 주 건조부(100)는 가열 수단으로 전기 히터, 히트 펌프 또는 가스식 히터가 적용될 수 있다. 가열 수단의 선택은 건조부의 용량에 따른 에너지 효율을 고려하여 이루어 질 수 있다.
보조 건조부(200)는 상기 주 건조부(100)의 상부에 배치된다.
상기 보조 건조부(200)는 상면에 개폐 도어(220)를 구비하여, 세탁물의 투입과 배출이 상면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구조를 제공한다.
보조 건조부(200)는 상대적으로 작은 용량의 세탁물 건조를 위한 것으로, 캐비닛 타입인 것이 바람직하다.
캐비닛 타입은 내부에 세탁물을 수용한 상태에서, 내부에 가열 공기를 공급하여 세탁물을 건조하는 것으로, 세탁물 수용 공간을 높이가 낮은 박스 형상으로 하면 전체적으로 균일한 건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보조 건조부(200)에는 세탁물을 걸거나 올려 놓을 수 있는 거치대(20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거치대(205)는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두께가 두꺼운 세탁물을 건조하기 위해서는 거치대(205)의 탈착이 필요할 수 있으며, 내부 청소시에도 거치대(205)를 제거하는 것이 편리하기 때문이다. 도시한 실시예의 경우 거치대(205)가 그릴 망 형상을 가지고 있으나, 거치대는 타공판 또는 스크린망의 형태가 될 수도 있다.
또한 거치대(205)는 설치 높이를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보조 건조부 내벽으로부터 약간 돌출된 형태로서 거치대가 놓여질 수 있는 받침대가 상하 방향으로 복수 개 이격 배치된 구조로서 달성될 수도 있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의 레일에 거치대가 안내되며 잠금 수단에 의하여 고정 위치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는 구조일 수도 있다.
보조 건조부(200)의 개폐 도어(220)는 세탁물 수용부(202)의 상부 개구면을 개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개폐 도어(220)는 세탁물 수용부(202)의 후방에 힌지 결합되는 제1 도어(222)와, 상기 제1 도어(222)에 힌지 결합되는 제2 도어(2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두 힌지의 축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제1 도어(222)와 제2 도어(224)가 절첩식으로 위로 젖혀지는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개폐 도어(220) 개방시 전체 높이가 과도하게 높아지지 않으면서, 세탁물 수용부(202)의 개구면을 완전히 개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 때, 적어도 상기 제1 도어(222)는 투명 또는 반투명 소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1 도어(222)를 통하여 내부의 세탁물의 유무를 확인하거나, 건조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주 건조부(100)의 동작시에 발생하게 되는 열을 보조 건조부(200)로 공급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주 건조부(100)가 동작하게 되면, 주 건조부(100)가 수납된 캐비닛(하우징이라고도 한다) 내부의 공기가 가열된다. 캐비닛 내부의 공기를 고내의 공기라고도 한다. 고내의 공기는 주 건조부(100)의 공기 순환부에서 누설되는 공기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주 건조부(100)의 히터가 동작하면 주 건조부(100)의 드럼과 드럼을 감싸는 터브(tub)도 가열된다. 또한, 드럼과 터브 등이 가열됨에 따라 고내의 공기가 전도, 복사 등에 의하여 가열된다.
본 발명은 주 건조부(100)의 동작시에 가열된 고내의 공기를 보조 건조부(200)로 공급하건, 주 건조부(100)의 동작시에 발생된 열을 보조 건조부(200)로 전달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이 때 열의 전달 방식은 대류, 전도, 복사가 모두 가능하다.
주 건조부(100)에 동작시에 발생하는 폐열을 보조 건조부(200)로 공급하도록 함으로써, 건조기의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폐열이라함은 주 건조부(100)의 공기 순환부에서 이용되지 못하는 열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보조 건조부(200)의 독립적인 동작이 가능한 구조를 제공한다. 다시 말해 주 건조부(100)만을 동작하거나, 보조 건조부(200)만을 동작할 수 있으며, 주 건조부(100)와 보조 건조부(200)를 동시에 동작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대량의 세탁물을 건조하기 위하여 주 건조부(100)만을 동작시킬 수 있고, 소량의 세탁물을 건조하기 위하여 보조 건조부(200)만을 동작시킬 수 있으며, 대량의 세탁물 중 일부가 별도로 분리하여 건조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일부의 건조물은 보조 건조부(200)에 투입하고 나머지 세탁물은 주 건조부(100)에 투입한 후, 보조 건조부(200)와 주 건조부(100)를 모두 동작시킬 수 있다.
주 건조부(100)와 보조 건조부(200)와 동작은 조작 패널(500)에 의하여 제어된다.
조작 패널(500)은 건조기(1000)의 전면 상부에 배치된다. 조작 패널(500)이 건조기(1000)의 전면 상부에 배치되면 사용자 접근성이 우수하며, 동작 상태를 보다 쉽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온다.
한편, 조작 패널(500)은 주 건조부(100)와 배선으로 연결되고, 보조 건조부(200)와도 배선으로 연결되어야 한다.
그런데, 주 건조부(100)와 보조 건조부(200)는 모두 동작시에 열이 발생하게 되는 부분이다. 조작 패널(500)의 위치에 따라서 배선의 경로와 배선의 거리가 달라지게 된다.
이러한 점들을 고려하면, 조작 패널(500)은 보조 건조부(200)의 전면측 상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캐비닛(400)은 주 건조부(100)와 보조 건조부(200)의 외관을 형성하며, 전체 건조기(1000)의 구조적인 강성을 확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캐비닛(400)의 전면은 주 건조부(100)의 개폐 도어(120)가 차지하는 면적이 크기 때문에, 기계적인 강성은 측면 패널로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듀얼 타입 건조기의 캐비닛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듀얼 타입 건조기는 하부의 주 건조부(100)와 상부의 보조 건조부(200)가 캐비닛(400)으로 일체화되는 구조를 제공한다.
캐비닛(400)의 구조를 살펴보면, 하부의 주 건조부(100)의 응축기와 건조팬등이 고정되는 베이스(450)와, 주 건조부(100)와 보조 건조부(200)의 양 측면을 감싸는 양 측판(410,420)과, 상기 주 건조부(100)와 보조 건조부(200)의 사이를 가로지르며 양 측판(410,420)을 연결하는 중간판(430)을 포함한다.
주 건조부(100)는 베이스(450)와 양 측판(410,420)과 중간판(430)에 의하여 형성되는 박스 구조로 강성이 확보되며, 보조 건조부(200)는 양 측판(410,420)과 중간판(430)으로 이루어지는 상부로 개구된 ㄷ자 구조에 의하여 구조적인 강성이 확보된다.
한편 양 측판(410,420)은 주 건조부(100)의 측면을 형성하는 하부 측판(410a,420b)과, 보조 건조부(200)의 측면을 형성하는 상부 측판(410b,420b)로 분할 형성될 수 있다.
측판을 상부 측판과 하부 측판으로 분할하면, 제조 공정에 있어서 주 건조부(100)의 제조 공정과, 보조 건조부(200)의 제조 공정을 분리할 수 있고 부품을 공용화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듀얼 타입 건조기는 하부의 주 건조부(100)와 상부의 보조 건조부(200)가 각각 독립적으로 작동하는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주 건조부(100)와 보조 건조부(200)의 일체화는 캐비닛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측판(410,420)을 주 건조부(100)의 측면을 이루는 하부 측판(410a,420a)과 보조 건조부(200)의 측면을 이루는 상부 측판(410a,420a)으로 분리하면, 주 건조부(100)의 조립 공정과, 보조 건조부(200)의 조립 공정을 독자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베이스(450)와 하부 측판(410a,420a)과 중간판(430)을 골격으로 주 건조부(100)를 모듈 형태로 조립 하고, 상부 측판(410b,420b)과 상판을 골격으로 보조 건조부를 모듈 형태로 조립한 후, 조립된 모듈을 결합하는 방식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 때, 건조기의 전면의 외관을 이루는 전면 패널의 경우 디자인과 조립성을 고려하여, 단일 부품이 결합되는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측판의 경우 외관으로 노출이 비교적 적으나, 전면의 경우 주 외관을 형성하는 부분으로 디자인 품질을 고려하면, 전면의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 케이스는 분할되지 않고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유리하다. 물론, 전면 케이스의 경우에도 주 건조부와 보조 건조부를 분할할 수도 있다.
조립의 측면에서 살펴보면, 주 건조부와 보조 건조부를 모듈 형태로 제조하여, 주 건조부와 보조 건조부를 결합한 후 일체형의 전면 패널을 조립하는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듀얼 타입 건조기는 주 건조부(100)에서 발생하는 폐열을 보조 건조부(200)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주 건조부(100)와 보조 건조부(200)의 사이에 배치되는 중간판(430)을 통한 열전달이 중요한 특징이된다.
예를 들어, 중간판(430)가 공기가 소통할 수 있는 소통홀을 형성하여, 주 건조부(100) 고내의 공기가 대류를 통하여 보조 건조부(100) 측으로 이동하며 열이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방식으로는 중간판(430)에 소통홀을 구비하는 대신에 중간판(430)을 경유한 열전도를 촉진할 수도 있다. 물론, 복사를 이용한 열전달은 언제나 이루어지지만, 열전달량이 상대적으로 작으므로 복사를 통한 열전달에 관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듀얼 타입 건조기의 열전달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와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듀얼 타입 건조기는 주 건조부(100)와 보조 건조부(200)의 사이에 중간판(430)이 배치된다.
본 실시예는 중간판(430)에 관통공(432)을 구비하여, 주 건조부(100) 고내의 가열된 공기가 상기 관통공(432)을 통하여 보조 건조부(200)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가열된 공기는 자연 대류에 의하여 상승하여, 보조 건조부(200)의 고내로 유입된다.
보조 건조부(200)의 세탁물 수용부(202)는 바닥면(203)과 측면(204)으로 구획되며, 상부의 개구면은 개폐 도어(220)가 위치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주 건조부(100)의 고내에서 가열된 공기가 중간판(430)의 관통공(432)을 통과하여 보조 건조부(200)의 고내로 유입될 수 있다. 보조 건조부(200)의 고내로 유입된 공기는 세탁물 수용부(202)의 바닥면(203)과 측면을 가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주 건조부(100) 고내의 가열된 공기를 보조 건조부(200)로 전달하여 이용하는 것이므로, 주 건조부(100) 고내의 열기가 캐비닛의 측판으로 유출되는 것을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도시된 바와 같이 양 측판(410,420)의 내부에 단열수단(415,415)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단열 수단은 주 건조부(100)의 측면에 해당하는 부분에만 부착될 수도 있으며, 보조 건조부(200)의 측면에 해당하는 부분까지 부착될 수도 있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듀얼 타입 건조기의 열전달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듀얼 타입 건조기는 보조 건조부(100)의 세탁물 수용부(202) 바닥면(203)에 흡열판(205)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흡열판(209)은 공기와의 접촉면적을 확대하여, 흡열 효과를 향상하기 위한 흡열핀(209a)이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흡열핀(209a)은 중간판(430)을 향하여 돌출된 모양을 가질 수 있다.
주 건조부(100)의 공기순환부는 히터(150)로 공기를 가열하여 건조팬(160)으로 순환시키되, 터브(140) 내부의 드럼(130)으로 가열공기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나, 주 건조부(100)의 고내에는 건조팬(160)과 히터(150) 등 동작시 발열되는 구성요소들이 배치되므로, 주 건조부(100)의 동작시 고내에서 가열된 공기가 중간판(430)의 관통공(432)을 통과하여, 보조 건조부(200)의 고내로 이동하게 되고, 보조 건조부(200)의 고내로 이동한 가열된 공기가 흡열판(209)으로 열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흡열판(209)은 세탁물 수용부(202)의 바닥면(203)에 부착되어, 세탁물 수용부(202)의 바닥면(203)을 가열하게 된다.
도시한 실시예의 경우 세탁물 수용부(202)의 바닥면(203)에만 흡열판이 부착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세탁물 수용부(202)의 측면(204)에도 흡열판이 부착될 수 있다. 또한, 흡열판과 바닥면이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듀얼 타입 건조기의 열전달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듀얼 타입 건조기는 보조 건조부(200)의 바닥면(203)에 소통홀(206a)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소통홀(206a)을 통해서 주 건조부(100)에서 이동한 가열된 공기가 보조 건조부(200)의 세탁물 수용부(202)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소통홀(206a)은 단순한 관통공의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206)의 측면에 배치된 형태가 될 수도 있다. 단순한 관통공의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중간판(430)에 구비된 관통공(432)과 세탁물 수용부(202)의 바닥면(203)에 구비된 소통홀이 서로 어긋나게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통공(432)과 소통홀이 일치하게 배치되면, 주 건조부(100)의 고내의 구성들이 외부에서 시인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보조 건조부(200)의 바닥면(203)에 돌기(206)를 구비하고, 돌기(206)의 측면에 소통홀(206a)을 배치하면 소통홀(206a)의 위치와 크기를 제어하여, 공급되는 가열 공기의 유동을 조절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돌기(206)가 바닥면(203)의 상부로 돌출된 형태로 도시하였으나, 돌기(206)가 중간판(430)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들이 혼재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듀얼 타입 건조기의 열전달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와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보조 건조부(200)의 세탁물 수용부(202) 바닥면(203)과, 중간판(430)의 사이에 흡열판(207)을 배치하되, 흡열판(207)의 양면이 각각 세탁물 수용부(202)의 바닥면(203)과 중간판(430)에 면접촉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는 주 건조부(100)의 고내의 가열된 공기를 이동시키는 것이 아니라, 가열된 중간판(430)의 열이 흡열판(207)을 거쳐, 세탁물 수용부(202) 바닥면(203)으로 전도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 때, 흡열판(207)과 바닥면(203)의 사이 또는 흡열판(207)과 중간판(430)의 사이는, 열전도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열전달 그리스와 같이 점성을 가지며 열전도도가 높은 열전달 유체가 도포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듀얼 타입 건조기의 열전달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와 단면도이다.
본 실시에는 보조 건조부(200)의 바닥면(203)에 요철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보조 건조부(200)의 바닥면이 요철을 가지도록 하면, 주 건조부(100)의 고내의 공기가 보조 건조부(200)의 세탁물 수용부 바닥면(203)에 접촉하는 면적이 확대되어, 열전달 효과를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보조 건조부(200)의 세탁물 수용부(202)의 공간이 구획되는 효과를 가져온다. 그리고, 보조 건조부(200)의 바닥면(203)을 통하여 세탁물 수용부(202)의 내부로 이동하는 열전달의 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져온다. 이는 세탁물 수용부(202) 내부의 공기가 바닥면(203)과 접촉하는 면적이 확대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구조는 세탁물을 바닥면(203)에 면착시켜 수용한 경우 세탁물의 건조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도 가져온다.
한편, 이러한 세탁물 수용부(202) 바닥면(203)의 요철 구조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에도 모두 적용될 수 있다.
후술하는 실시예들에 있어서도, 앞선 설명한 실시예들의 주 건조부(100)의 폐열이 보조 건조부(200)로 전달될 수 있는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다만, 이하의 설명에서는 중복되는 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각각의 실시예들의 다른 특징적인 구성에 관해서만 설명한다.
도 15은 본 발명에 따른 듀얼 타입 건조기의 캐비닛 구조와 보조 유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듀얼 타입 건조기는 하부의 주 건조부(100)와 상부의 보조 건조부(200)가 캐비닛(400)으로 일체화되는 구조를 제공한다.
캐비닛(400)의 구조를 살펴보면, 하부의 주 건조부(100)의 응축기와 건조팬등이 고정되는 베이스(450)와, 주 건조부(100)와 보조 건조부(200)의 양 측면을 감싸는 양 측판(410,420)과, 상기 주 건조부(100)와 보조 건조부(200)의 사이를 가로지르며 양 측판(410,420)을 연결하는 중간판(430)을 포함한다.
주 건조부(100)는 베이스(450)와 양 측판(410,420)과 중간판(430)에 의하여 형성되는 박스 구조로 강성이 확보되며, 보조 건조부(200)는 양 측판(410,420)과 중간판(430)으로 이루어지는 상부로 개구된 ㄷ자 구조에 의하여 구조적인 강성이 확보된다.
한편 양 측판(410,420)은 주 건조부(100)의 측면을 형성하는 하부 측판(410a,420b)과, 보조 건조부(200)의 측면을 형성하는 상부 측판(410b,420b)로 분할 형성될 수 있다.
측판을 상부 측판과 하부 측판으로 분할하면, 제조 공정에 있어서 주 건조부(100)의 제조 공정과, 보조 건조부(200)의 제조 공정을 분리할 수 있고 부품을 공용화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듀얼 타입 건조기는 하부의 주 건조부(100)와 상부의 보조 건조부(200)가 각각 독립적으로 작동하는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주 건조부(100)와 보조 건조부(200)의 일체화는 캐비닛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측판(410,420)을 주 건조부(100)의 측면을 이루는 하부 측판(410a,420a)과 보조 건조부(200)의 측면을 이루는 상부 측판(410a,420a)으로 분리하면, 주 건조부(100)의 조립 공정과, 보조 건조부(200)의 조립 공정을 독자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베이스(450)와 하부 측판(410a,420a)과 중간판(430)을 골격으로 주 건조부(100)를 모듈 형태로 조립 하고, 상부 측판(410b,420b)과 상판을 골격으로 보조 건조부를 모듈 형태로 조립한 후, 조립된 모듈을 결합하는 방식으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듀얼 타입 건조기는 주 건조부(100)의 공기순환부(덕트 등)에서 분기되어 보조 건조부(200)의 세탁물 수용 공간으로 연결되는 보조 유로(250)를 구비한다.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듀얼 타입 건조기의 보조 유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듀얼 타입 건조기는 주 건조부(100)의 공기순환부(20)에서 분기되는 보조 유로(250)를 구비한다. 보조 유로(250)는 일측이 공기순환부(20)에 연결되며, 타측이 세탁물 수용부(202)에 연결된다.
보조 유로(250)는 공기순환부(20)에 연결되는 입측에 유로의 개도율을 조절하는 댐퍼(252)를 구비한다. 댐퍼(252)는 액츄에이터(253)에 연결되어 액츄에이터(253)의 동작에 따라 개도율이 조절된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댐퍼(252)가 보조 유로(250)의 입구를 폐쇄하면, 공기순환부(20)의 가열 공기가 보조 건조부(200)로 유입되지 않으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댐퍼(252)를 개방하면, 공기순환부(20)의 가열공기가 보조 유로(250)를 통하여 보조 건조부(200)의 세탁물 수용부(202)로 공급된다.
또한, 댐퍼(252)의 개도율을 조절하는 것으로, 보조 유로(250)를 통하여 보조 건조부(200)로 유입되는 가열 공기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압력 센서(255)는 보조 유로(250)로 공급되는 가열 공기의 유량을 측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압력 센서(255)에서 측정되는 압력값을 피드백 받아 상기 댐퍼(252)의 개도율이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보조 유로(250)의 내부에 보조 히터(2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 히터(270)는 상기 보조 유로(250)를 통하여 보조 건조기로 공급되는 공기를 추가 가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보조 유로(250)를 통과하는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 센서(2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 유로(250)의 개폐를 조절하여 공기순환부(20)의 가열 공기를 보조 건조부(200)로 공급할 수 있는 구조는, 주 건조부(100)가 건조팬(160)을 후면에 구비하는 블로잉 타입인 경우에만 가능하다.
건조팬이 주 건조부(100)의 전면부에 구비되는 석션 타입에 이러한 구조를 적용하면, 건조팬의 흡입 압력에 의하여 보조 건조부(200) 내부의 공기가 보조 유로(250)를 통하여 주 건조기 내부로 빨려 들어가게 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듀얼 타입 건조기의 보조 유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듀얼 타입 건조기는 주 건조부(100)가 건조팬(160)이 전면부에 배치되는 석션 타입인 경우의 실시예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건조팬(160)이 드럼의 전면에서 순환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순환 구조인 경우에는, 단순히 보조 유로를 개방하는 것만으로는 주 건조부(100)의 가열 공기를 보조 건조부(200)로 공급할 수 없다.
주 건조부(100)가 석션 타입인 경우에는 도시한 바와 같이, 보조 유로(250)의 경로 상에 흡입력을 제공하는 송풍팬(240)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는 송풍팬(240)의 흡입력과 댐퍼(252)의 개도율을 조절하여, 보조 건조부(200) 공급되는 가열 공기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물론, 앞선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보조 유로(250)의 내부에 보조 히터(270)와 온도 센서(280)를 구비하여, 추가적인 가열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9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듀얼 타입 건조기의 보조 건조부 자연 배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세탁물 수용부(202)의 후면에는 주 건조부(100) 에서 공급되는 가열 공기가 토출되는 보조유로 출구(254)가 구비된다.
보조유로 출구(254)는 세탁물 수용부(202)의 후면에 가로 방향 슬릿 형태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탁물 수용부(202)는 높이가 낮고 수평면적이 넓은 박스 형상을 가지기 때문에, 세탁물 수용부(202)의 내부로 가열 공기를 균일하게 공급하기 위해서는, 흡기 출구(254)가 가로 방향의 슬릿 모양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보조 건조부(200)는 세탁물 수용부(202)로 도입된 공기가 자연 배기로 배출되는 구조로, 별도의 배기 유로를 구비하지 않는다.
세탁물 수용부(202)로 가열된 공기가 투입되어, 세탁물 수용부(202) 내부의 압력이 상승하게 되면, 세탁물 수용부(202) 내부의 공기는 세탁물 수용부(202)와 개폐 도어(220) 사이의 틈새 등으로 자연 배기된다. 이 때 전방측으로는 자연 배기가 이루어지지 못하도록 하는 실링 수단(226, 굵은선)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건조기의 전방에 사용자가 있을 경우 사용자에게 뜨거운 공기가 배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공기의 흐름의 측면에서 후방에서 배출된 공기는 관성에 의하여 전방측으로 이동하며 상승하게 되는데, 관성에 의한 수평 속도가 낮아지는 부분에서부터 상승하는 양이 많아지게 된다.
전방 측에서 상승한 공기가 바로 자연 배기로 배출되면, 후방 측으로는 가열된 공기가 원활하게 공급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전방부에 실링 수단(226)을 적용하여, 공기가 세탁물 수용부(202)에 전면에 도달한 후 후방으로 되돌아 오며 배기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전방부는 개폐 도어의 제2 도어(224) 부분이 될 수 있다.
도 20 및 도 21는 본 발명의 제9실시에에 따른 듀얼 타입 건조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듀얼 타입 건조기는 보조 유로(250)를 통해서 주 건조기의 가열 공기를 공급 받을 뿐 아니라,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기계실(M)을 세탁물 수용부(202)의 후방에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듀얼 타입 건조기의 보조 건조부(200)는 세탁물이 수용되는 세탁물 수용부(202)의 후방에 상기 세탁물 수용부(202)로 가열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송풍팬(240M)과 구동 모터(245M)와 흡기 유로(250M)가 배치되는 기계실(M)을 포함한다.
건조기의 설치시에 통상 후면을 벽면 측에 근접하게 설치하게 되므로, 기계실(M)을 세탁물 수용부(202)의 후방에 배치하면 세탁물 수용부(202)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이 용이하게 되며. 디자인의 측면에서도 장점을 가진다.
한편, 보조 건조부(200)의 기계실(M)의 후면은 주 건조부의 후면보다 뒤쪽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해 보조 건조부(200)의 후면이 주 건조부(100)의 후면보다 뒤쪽으로 돌출된 형상이다. 이러한 형상은 기계실(M)의 하부에 단차면(MB)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단차면(MB)은 기계실의 후면이 설치 벽면에 밀착되더라도 바닥면을 향하여 개방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도시한 실시예와 같이 단차면(MB)에 유입 입구(252M)를 배치하면 건조기를 벽면에 밀착하여 설치하더라도 상기 유입 입구(252M)를 통하여 외기가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듀얼 타입 건조기를 설치 벽면에 밀착하여 설치하더라도, 주 건조부(100)의 후면을 설치 벽면에 일정 간격 이격될 수 밖에 없다. 이는 주 건조부(100)의 후면으로의 공기 흐름을 원활하게 하는 효과를 가져온다.
도 21을 참조하면, 기계실(M)의 내부에는 구동 모터(245M)와, 송풍팬(240M)과, 히터(270M)와, 온도 센서(280M)와, 흡기 유로(250M)가 배치된다.
구동 모터(245M)에 의하여 송풍팬(240M)이 회전한다. 송풍팬(240M)은 흡기 유로(250M)의 내부에 배치되어, 흡기 유로(250M) 내부의 공기를 유동 시킨다.
송풍팬(240M)이 회전하면, 흡기 입구(252M)를 통하여 외기가 흡기 유로(250M) 내부로 도입된 후, 흡기 출구(254M)로 배출된다. 흡기 출구(254M)는 세탁물 수용부(202)의 후면에 배치된다. 따라서, 송풍팬(240M)의 동작으로 외기가 흡입되어 세탁물 수용부(202)로 공급된다.
필터(260M)는 흡기 유로(250M) 상에서 흡기 입구(252M) 후단에 배치된다. 필터(260M)는 외부의 공기와 함께 유입되는 이물질을 걸러내는 역할을 수행한다. 필터(260M)는 흡기 입구(252M)보다는 공기의 유동이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송풍팬(240)과 히터(270M)보다는 상류에 배치되어 팬과 히터에 이물질이나 먼지가 부착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필터(260M)는 흡기 유로(250M)의 흡기 입구(252M)와 나란한 방향으로 설치된다.
필터(260M)는 정기적이 청소나 교체 등의 유지보수가 필요하다. 따라서, 유지 보수를 위한 접근성을 고려하면, 필터(260M)는 세탁물 수용부(202)의 후면을 관통하여 탈부착 가능한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흡기 유로(250M)의 내부에는 히터(270M)와 온도 센서(280M)가 배치된다.
히터(270M)는 전기 히터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조 건조부(200)의 비교적 작은 용량의 발열이 요구되는 것으로, 가스식 히터나 히트 펌프보다는 전기 히터를 적용하는 바람직하다. 전기 히터는 구성이 단순하고 크기가 작아 건조기 내에서 차지하는 체적이 컴팩트하면서도 단가가 저렴한 장점을 가진다.
온도 센서(280M)는 히터(270M)에 의하여 가열된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온도 센서(280M)는 공기의 유동 경로 상 상기 히터(270M)의 후방에 배치되어 히터를 지난 공기의 온도를 측정함으로써 이를 히터의 제어를 위한 인자로 활용하고, 히터의 과열 여부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즉 온도 센서(280M)는 흡기 유로(250M)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여 제어부로 전달하게 되며, 제어부는 온도 센서(280M)에서 측정되는 온도에 따라서 히터(270M)의 출력을 조절하여 설정된 온도의 공기가 세탁물 수용부(202)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송풍팬(240M) 또는 구동 모터(245M)의 손상이나 고장에 의하여 흡기 유로(250M) 내부에서 원활한 공기의 흐름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경우에는, 히터(270M)의 과열로 인하여 고장이나 화재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를 대비하기 위하여 상기 온도 센서(280M)에 의하여 측정되는 온도가 기준값을 초과하게 되면, 제어부는 히터(270M)의 전원을 차단하고 에러 메시지를 표시하고 알람 등이 울리도록 하여 시각적 및/또는 청각적으로 이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따른 보조 건조부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보조 건조부(200)는 배기를 안내하는 배기 유로(29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세탁물 수용부(202)의 상면 개구부와 개폐 도어(220)의 사이는 전체적으로 실링 수단(266)으로 밀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열된 공기는 자연 대류에 의하여 상승하는 흐름을 가지게 되어, 상부가 하부보다 높은 온도 분포를 가지게 되는바, 상기 실링 수단(266)은 상부측으로 열기가 배출되는 것을 감소시킴으로써 건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세탁물 수용부(202)의 후방 일측에 유입 출구(254)를 배치하고, 후방 타측에 배기 유로(290)의 배기 입구(292)를 배치할 수 있다.
이러한 배치 구조는 유입 출구(254M)에서 토출된 가열 공기가 세탁물 수용부(202)의 전면에서 선회하여 배기 입구(292)로 배출되는 경로를 가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다만 유입 출구에서 세탁물 수용부(202) 내부로 유입된 가열 공기가 즉시 배기 입구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석션 타입의 공기 유동보다는 블로우 타입의 공기 유동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유입 출구에서 세탁물 수용부에 유입되는 공기의 토출 속도를 빠르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입 출구에서의 공기 토출 속도를 높이고 직진성을 높이기 위해 노즐이나 베인 구조가 유입 출구 부근에 더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시한 도면에서는 배기 유로(290)의 배기 출구(294)가 후면에 배치된 것이나, 배기 출구(294)는 상면으로 배치될 수도 있고, 단차면(MS)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도시한 실시예는 유입 출구(254)와 배기 입구(292)가 배면에서 서로 상하 좌우로 다른 위치(대각선 위치)에 배치된 형태이나, 유입 출구(254M)와 배기 입구(292)가 중앙부에서 상하로 분리된 형태로 배치되거나, 갚은 높이에서 좌우로 분리된 형태로 배치될 수도 있다.
유입 출구(254M)와 배기 입구(292)가 상하로 분할되어 배치되는 경우에 상하의 분할은 거치대(도 5의 105)를 기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내부의 공기의 흐름이 거치대에 거치되는 세탁물의 표면과 보다 효과적으로 접촉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내어질 것이다. 그리고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는 물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 가능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0 : 건조기 100 : 주 건조부
120 : 개폐도어 160 : 건조팬
200 : 보조 건조부 202 : 세탁물 수용부
205 : 거치대 206 : 돌기
206a : 소통홀 207 : 흡열판
209 : 흡열판 209a : 흡열핀
220 : 개폐 도어
222 : 제1 도어 224 : 제2 도어
226 : 실링 수단
240 : 송풍팬 245 : 구동 모터
250 : 보조 유로 252 : 댐퍼
253 : 액츄에이터 254 : 출구
255 : 압력센서
270 : 히터 280 : 온도 센서
M : 기계실 MB : 단차면
240M : 송풍팬 250M : 흡기유로
252M : 흡기 입구 254M : 흡기 출구
260M : 필터 270M : 히터
280M : 온도 센서
290 : 배기 유로 292 : 배기 입구
294 : 배기 출구
400 : 캐비닛 410, 420 : 측판
430 : 중간판 450 : 베이스
1000 : 건조기

Claims (16)

  1. 전면에 개폐 도어를 구비하는 주 건조부;
    상기 주 건조부의 상부에 배치되며 세탁물 수용공간의 상면에 개폐 도어를 구비하는 캐비닛 타입의 보조 건조부;
    상기 주 건조부와 상기 보조 건조부의 양 측면을 감싸는 양측의 측판과, 상기 주 건조부와 보조 건조부의 사이를 가로지르며 양측의 측판을 연결하는 중간판을 포함하는 캐비닛; 및
    상기 보조 건조부의 전면에 배치되는 조작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중간판은 상기 주 건조부 고내의 가열된 공기가 상기 보조 건조부의 고내로 전달될 수 있도록하는 관통공을 구비하고,
    상기 보조 건조부는 상기 세탁물 수용공간의 저면에 상기 중간판으로부터 열을 전달받는 흡열판을 구비하며,
    상기 흡열판은 저면으로 돌출된 흡열핀을 구비하는 듀얼 타입 건조기.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건조부는 상기 세탁물 수용공간의 바닥면에 소통홀을 구비하는 듀얼 타입 건조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판에 구비되는 관통공과, 상기 세탁물 수용공간의 바닥면에 구비되는 소통홀이 서로 어긋나게 배치된 듀얼 타입 건조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물 수용공간의 바닥면은 요철 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요철 돌기의 측면에 소통홀을 구비하는 듀얼 타입 건조기.
  7. 전면에 개폐 도어를 구비하는 주 건조부;
    상기 주 건조부의 상부에 배치되며 세탁물 수용공간의 상면에 개폐 도어를 구비하는 캐비닛 타입의 보조 건조부;
    상기 주 건조부와 상기 보조 건조부의 양 측면을 감싸는 양측의 측판과, 상기 주 건조부와 보조 건조부의 사이를 가로지르며 양측의 측판을 연결하는 중간판을 포함하는 캐비닛; 및
    상기 보조 건조부의 전면에 배치되는 조작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보조 건조부는 상기 세탁물 수용공간의 저면에 상기 중간판으로부터 열을 전달받는 흡열판을 구비하고,
    상기 흡열판은 저면에서 상기 중간판을 향하여 돌출된 흡열핀을 구비하는 듀얼 타입 건조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흡열판은 상기 중간판에 접촉하여 전도를 통하여 열을 전달받는 듀얼 타입 건조기.
  9. 삭제
  10. 제 1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건조부의 개폐 도어는
    상기 세탁물 수용공간의 후면에 힌지 결합되는 제1 도어와,
    상기 제1 도어에 힌지 결합되는 제2 도어를 포함하는 듀얼 타입 건조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건조부의 개폐 도어는
    상기 세탁물 수용공간과의 간격을 밀폐하는 실링 수단을 구비하는 듀얼 타입 건조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 수단은 상기 세탁물 수용공간의 전면 영역 일부에 구비되는 듀얼 타입 건조기.
  13. 제 1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건조부는
    외기를 상기 세탁물 수용공간으로 안내하는 유입 유로와,
    상기 유입 유로의 내부에 배치되어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는 송풍팬과
    상기 유입 유로의 내부에 구비되는 전기 히터와,
    상기 전기 히터에 의하여 가열된 공기를 측온하기 위한 온도 센서와,
    상기 세탁물 수용공간으로 도입되는 외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차단하는 필터를 더 포함하는 듀얼 타입 건조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과, 상기 전기 히터와, 상기 온도 센서와, 상기 필터는
    상기 세탁물 수용공간 후방의 기계실에 배치되는 듀얼 타입 건조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건조부의 후면은 상기 주 건조부의 후면보다 후방으로 돌출되어 바닥면과 나란한 단차면을 구비하며,
    상기 단차면에 상기 세탁물 수용공간으로 외기를 도입하는 유입 유로의 입구가 배치되는 듀얼 타입 건조기.
  16. 삭제
KR1020160183099A 2016-12-29 2016-12-29 듀얼 타입 건조기 KR1026462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3099A KR102646289B1 (ko) 2016-12-29 2016-12-29 듀얼 타입 건조기
US15/608,080 US10738412B2 (en) 2016-12-29 2017-05-30 Dual type drying machine
CN201710500140.9A CN108252049B (zh) 2016-12-29 2017-06-27 复式烘干机
AU2017385579A AU2017385579B2 (en) 2016-12-29 2017-08-25 Dual type dryer
PCT/KR2017/009342 WO2018124421A1 (ko) 2016-12-29 2017-08-25 듀얼 타입 건조기
EP20199019.9A EP3779027B1 (en) 2016-12-29 2017-11-15 Dual type drying machine
EP17201892.1A EP3342923B1 (en) 2016-12-29 2017-11-15 Dual type dry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3099A KR102646289B1 (ko) 2016-12-29 2016-12-29 듀얼 타입 건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8082A KR20180078082A (ko) 2018-07-09
KR102646289B1 true KR102646289B1 (ko) 2024-03-08

Family

ID=62918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3099A KR102646289B1 (ko) 2016-12-29 2016-12-29 듀얼 타입 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62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8486A (ko) * 2019-09-04 2021-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건조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0478B1 (ko) * 2007-04-04 2008-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보조건조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74506A (en) * 1956-05-03 1956-12-18 Miller Laundry Company Door constructions for laundry machinery
KR100662771B1 (ko) * 2001-01-20 2007-01-02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복사형 가열 장치가 구비된 배기식 건조기
ES2327669T3 (es) * 2006-05-09 2009-11-02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Electrodomestico.
KR100808199B1 (ko) * 2006-07-28 2008-0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합 의류 처리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0478B1 (ko) * 2007-04-04 2008-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보조건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8082A (ko) 2018-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9887B1 (ko) 의류건조기
EP3045581B1 (en) Drying machine
CN108252049B (zh) 复式烘干机
EP3045582B1 (en) Drying machine
JP4550747B2 (ja) 衣類乾燥機
KR102613456B1 (ko) 의류 관리기
CN103827385B (zh) 热泵干燥机
KR101809130B1 (ko) 의류건조기
KR102646289B1 (ko) 듀얼 타입 건조기
KR102613562B1 (ko) 듀얼 타입 건조기
JP2016073534A (ja) 衣類乾燥機
JP2019136287A (ja) 衣類乾燥機
JP2016137125A (ja) 衣類乾燥機
JP2020010959A (ja) 衣類乾燥機
JP5873979B2 (ja) 乾燥装置
KR20180078084A (ko) 듀얼 타입 건조기
JP5602802B2 (ja) 乾燥装置
KR101174656B1 (ko) 증기압축 사이클 시스템을 구비하는 의류 건조기
JP2013220138A (ja) 乾燥機
JP2016168361A (ja) 乾燥装置
JP6007415B2 (ja) 乾燥装置
JP2012210513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