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3093B1 - 친환경 처리 파티션 - Google Patents

친환경 처리 파티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3093B1
KR102653093B1 KR1020230179809A KR20230179809A KR102653093B1 KR 102653093 B1 KR102653093 B1 KR 102653093B1 KR 1020230179809 A KR1020230179809 A KR 1020230179809A KR 20230179809 A KR20230179809 A KR 20230179809A KR 102653093 B1 KR102653093 B1 KR 1026530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nding
pair
support
partition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79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지수
Original Assignee
경안건축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안건축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경안건축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1798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30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30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30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 E04B2/7416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free upper edge, e.g. for use as office space dividers
    • E04B2/7433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free upper edge, e.g. for use as office space dividers with panels and support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 E04B2/7453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panels and support posts, extending from floor to ceiling
    • E04B2/745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panels and support posts, extending from floor to ceiling with wallboards attached to the outer faces of the posts, parallel to the part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en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친환경 처리 파티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일정공간을 분할하여 독립적 공간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친환경 소재 등을 이용하여 주변 환경에 쉽게 어울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친환경 처리 파티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친환경 처리 파티션{ECO-FRIENDLY PARTITION}
본 발명은 친환경 처리 파티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일정공간을 분할하여 독립적 공간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친환경 소재 등을 이용하여 주변 환경에 쉽게 어울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친환경 처리 파티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티션(partition)은 업소, 가정, 사무실 또는 오피스텔 등에서 공간의 효율적인 분할을 위해 사용하는 가구를 가리킨다.
이러한 파티션은 실내의 일정공간을 분할하여 사생활 보호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독립적 공간을 제공하여 업소 등에서의 위생관리나 사무실 등에서의 구성원의 업무 집중력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23-0054944호(2023.04.25.)에는 '높낮이 조절식 자동 파티션'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파티션은 인접한 두 개의 테이블 사이에 설치되어 높낮이가 조절되기는 하나 주변 환경과 어울리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23-0054944호(2023.04.25.) '높낮이 조절식 자동 파티션'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일정공간을 분할하여 독립적 공간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친환경 소재 등을 이용하여 주변 환경에 쉽게 어울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친환경 처리 파티션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한 쌍의 세로바와, 상기 한 쌍의 세로바를 연결하는 한 쌍의 가로바를 포함하면서 전후가 개방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되는 가림부; 및 설치대상면으로부터 상기 한 쌍의 세로바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림부는 가림판과, 상기 가림판의 전,후면에 배치되는 한 쌍의 문양구조물로 이루어지는 가림창을 포함하며, 상기 문양구조물은 창틀과, 상기 창틀의 내부에 마련되는 문양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션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지지프레임은 내주면에 상기 가림창이 인입되는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림창은 복수로 이루어져 상기 지지프레임의 내측으로 병렬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홈부를 이루는 양측에 탄성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세로바는 하부가 상기 한 쌍의 가로바보다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하부에 전,후면을 관통하는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부면에 상기 세로바의 하부가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지지판; 상기 중공으로 결합되면서 양단부가 상기 지지판의 상,하부면을 통과하는 지지바; 및 상기 지지바의 양단부로 나사결합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지지부는 상기 세로바의 전,후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바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보호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보호수단은 코일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가림창은 상기 한 쌍의 문양구조물을 결속하는 결속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결속수단은 전,후단부가 개방되면서 상기 창틀을 따라 상기 한 쌍의 문양구조물의 대향되는 면으로 매립되는 한 쌍의 결속부재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결속모듈; 및 양단부가 상기 각 결속모듈의 한 쌍의 결속부재로 인입되는 복수의 결속핀을 포함하며, 상기 결속핀은 양단부 외주면에 결속링이 구비되고, 상기 결속부재는 내주면에 상기 결속링이 인입되는 결속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가림창은 상기 가림판을 지지하는 지지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문양구조물은 대향되는 창틀에 둘레를 따라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한 쌍의 문양구조물의 각 끼움홈으로 결합되면서 상기 가림판의 전,후면 가장자리와 접하는 가압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일정공간을 분할함으로써 독립적 공간이 확보되도록 할 수 있는 효고가 있다.
또한, 친환경 소재 등을 이용함으로써 실내 인테리어에 조화를 이루면서 주변 환경에 쉽게 어울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파티션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파티션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파티션에서 가림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파티션을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파티션에서 결속수단에 의해 한 쌍의 문양구조물이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파티션에서 결속수단을 나타낸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파티션에서 지지수단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파티션에서 세로바가 지지수단에 의해 지지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파티션(100)은 전후가 개방되는 지지프레임(110), 지지프레임(110)의 내측에 설치되는 가림부(120) 및 설치대상면으로부터 지지프레임(110)을 지지하는 지지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설치대상면은 실내 바닥면이나 테이블 예를 들어, 식당, 레스토랑 등을 포함하는 업소의 테이블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파티션(100)은 실내 바닥면으로 안착되면서 일정공간을 분할하여 독립적 공간이 확보되도록 하거나, 이웃하는 두 테이블의 정중앙부로 안착되면서 테이블과 테이블 간을 분할하여 독립적 공간이 확보되도록 할 수 있다.
지지프레임(110)은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친환경 소재인 목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프레임(110)은 한 쌍의 세로바(111) 및 한 쌍의 세로바(111)를 연결하는 한 쌍의 가로바(112)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세로바(111)는 좌우 대향되며, 한 쌍의 가로바(112)는 상하 대향되면서 한 쌍의 지지바(111)의 상,하부를 연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프레임(110)은 사각링 형태를 이루면서 내측으로 가림부(120)가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가림부(120)는 가림판(122) 및 가림판(122)의 전,후면에 배치되는 한 쌍의 문양구조물(123)로 이루어지는 가림창(121)을 포함할 수 있다.
가림부(120)는 친환경 소재 등으로 이루어지면서 주변 환경과 쉽게 어울릴 수 있다.
예를 들면, 가림판(122)은 창호지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필름 등으로 코팅될 수도 있다. 가림판(122)에는 그림 등을 포함하는 디자인이 표현될 수 있다.
문양구조물(123)은 목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창틀(124) 및 창틀(124)의 내부에 마련되는 문양프레임(125)을 포함할 수 있다.
문양프레임(125)은 격자 형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림판(122)은 접착제 등에 의해 문양구조물(123)로 고정될 수 있다.
지지프레임(110)은 내주면에 가림창(121)이 인입되는 홈부(110a)가 형성될 수 있다.
가림창(121)은 가장자리가 홈부(110a)로 결합되면서 지지프레임(110)으로부터 이탈됨이 없이 안정된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가림창(121)은 복수로 이루어져 지지프레임(110)의 내측으로 병렬로 배치될 수 있다.
지지프레임(11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부(110a)를 이루는 양측에 탄성부재(113)가 구비될 수 있다.
탄성부재(113)는 스프링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홈부(110a)를 이루는 양측으로 수용되면서 복수의 가림창(121)을 지지프레임(110)의 정중앙부 방향으로 가압하여 이웃하는 가림창(121) 간이 서로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즉, 탄성부재(113)는 한 쌍의 세로바(111)에 형성되는 홈부로 매립 설치되면서 복수의 가림창(121)을 지지프레임(110)의 정중앙부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세로바(111)는 가로바(112)의 상하 폭에 비해 좌우 폭이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파티션(110)은 이웃하는 가림창(121) 간이 벌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가림창(121)은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문양구조물(123)을 결속하는 결속수단(12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결속수단(126)은 전,후단부가 개방되면서 한 쌍의 문양구조물(123)의 대향되는 면으로 매립되는 한 쌍의 결속부재(127a)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결속모듈(127) 및 양단부가 각 결속모듈(127)의 한 쌍의 결속부재(127a)로 인입되는 복수의 결속핀(128)을 포함할 수 있다.
결속모듈(127)은 창틀(124)의 둘레를 따라 복수 배치될 수 있다.
결속핀(128)은 양단부 외주면에 실리콘이나 고무재질 등으로 이루어지는 결속링(128a)이 구비될 수 있다.
결속부재(127a)는 내주면에 결속링(128a)이 인입되는 결속홈(127b)이 형성될 수 있다.
결속핀(128)은 결속링(128a)이 결속홈(127b)으로 인입되어 결합되면서 한 쌍의 문양구조물(123)을 안정적으로 결속할 수 있다.
결속부재(127a)는 한 쌍의 문양구조물(123)에 대한 결속시, 한 쌍의 문양구조물(123) 중 어느 하나의 문양구조물(123)에 구비된 결속부재로 결합된 상태에서 다른 하나의 문양구조물(123)에 구비된 결속부재로 결합될 수 있다.
가림창(121)은 가림판(122)을 지지하는 지지수단(12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수단(129)은 외력 등에 따른 충격에 의해 가림판(122)이 이동되거나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 쌍의 문양구조물(123)은 대향되는 면 즉, 창틀(124)에 둘레를 따라 끼움홈(124a)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수단(129)은 한 쌍의 문양구조물(123)의 각 끼움홈(124a)으로 결합되면서 가림판(122)의 전,후면 가장자리와 접하는 가압링(129a)을 포함할 수 있다.
가입링(129a)은 실리콘이나 고무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한 쌍의 문양구조물(123)의 각 창틀(124)로 매립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림판(122)은 가압링(129a)에 의해 지지되면서 한 쌍의 문양구조물(123)에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세로바(111)는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가 한 쌍의 가로바(112)보다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하부에 전,후면을 관통하는 중공(111a)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130)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부면에 세로바(111)의 하부가 결합되는 결합홈(131a)이 형성되는 지지판(131), 중공(111a)으로 결합되면서 양단부가 지지판(131)의 상,하부면을 통과하는 지지바(132) 및 지지바(132)의 양단부로 나사결합되는 지지부재(133)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판(131)은 설치대상면으로 안착되면서 파티션(100)이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지지바(132)는 대략 아치 형태를 이루면서 중앙부가 중공(111a)에 위치되는 한편, 양단부가 중공(111a)으로부터 돌출되어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지지판(131)을 통과할 수 있다.
지지바(132)는 양단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재(133)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면서 지지바(132)로 나사결합될 수 있다.
지지부재(133)는 조임 회전에 따라 지지바(132)를 하방향으로 가압하여 세로바(111)에 대한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지지부((130)는 중공(111a)으로 결합되는 부싱(13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부싱(134)은 금속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세로바(111)와 지지바(132) 간의 접촉에 따른 세로바(111)의 변형이나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지지부(130)는 세로바(111)의 전,후방에 위치되도록 지지바(132)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보호수단(13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호수단(135)은 지지바(132)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코일스프링(136)을 포함할 수 있다.
코일스프링(136)은 직경이 지지바(132)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면서 외부 충돌에 따른 충격을 완충할 수 있다.
보호수단(135)은 코일스프링(136)과 지지바(132) 간으로 결합되는 완충폼(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완충폼은 양단부가 개방되는 관 형태를 이룰 수 있다. 또한 완충폼은 일측에 절단선이 형성되면서 지지바(132)의 외측으로 쉽게 결합될 수도 있다.
보호수단(135)은 지지바(132)의 외측으로 결합되면서 사람 등의 외부의 충돌 등으로부터 지지바(132)를 보호하는 한편, 지지바(132)와 충돌하는 사람의 신체 등을 보호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파티션(100)은 일정공간을 분할하여 독립적 공간이 확보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친환경 소재를 이용함으로써 주변 환경에 쉽게 어울릴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파티션을 실시하기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 파티션 110 : 지지프레임
111 : 세로바 112 : 가로바
120 : 가림부 121 : 가림창
122 : 가림판 123 : 문양구조물
130 : 지지수단 131 : 지지판
132 : 지지바 133 : 지지부재

Claims (7)

  1. 한 쌍의 세로바와, 상기 한 쌍의 세로바를 연결하는 한 쌍의 가로바를 포함하면서 전후가 개방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되는 가림부; 및 설치대상면으로부터 상기 한 쌍의 세로바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림부는 가림판과, 상기 가림판의 전,후면에 배치되는 한 쌍의 문양구조물로 이루어지는 가림창을 포함하며,
    상기 문양구조물은 창틀과, 상기 창틀의 내부에 마련되는 문양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세로바는 하부가 상기 한 쌍의 가로바보다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하부에 전,후면을 관통하는 중공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부면에 상기 세로바의 하부가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지지판; 상기 중공으로 결합되면서 양단부가 상기 지지판의 상,하부면을 통과하는 지지바; 및 상기 지지바의 양단부로 나사결합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내주면에 상기 가림창이 인입되는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림창은 복수로 이루어져 상기 지지프레임의 내측으로 병렬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션.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세로바의 전,후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바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보호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보호수단은 코일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션.
  6. 제 1, 2,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림창은 상기 한 쌍의 문양구조물을 결속하는 결속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결속수단은
    전,후단부가 개방되면서 상기 창틀을 따라 상기 한 쌍의 문양구조물의 대향되는 면으로 매립되는 한 쌍의 결속부재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결속모듈; 및
    양단부가 상기 각 결속모듈의 한 쌍의 결속부재로 인입되는 복수의 결속핀을 포함하며,
    상기 결속핀은 양단부 외주면에 결속링이 구비되고,
    상기 결속부재는 내주면에 상기 결속링이 인입되는 결속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션.
  7. 삭제
KR1020230179809A 2023-12-12 2023-12-12 친환경 처리 파티션 KR1026530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79809A KR102653093B1 (ko) 2023-12-12 2023-12-12 친환경 처리 파티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79809A KR102653093B1 (ko) 2023-12-12 2023-12-12 친환경 처리 파티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3093B1 true KR102653093B1 (ko) 2024-04-01

Family

ID=90666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79809A KR102653093B1 (ko) 2023-12-12 2023-12-12 친환경 처리 파티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309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56593A (ja) * 1996-03-26 1997-09-30 Nichiha Corp 壁面化粧材の施工方法
KR200437899Y1 (ko) * 2007-06-07 2008-01-07 강용선 창살무늬를 갖는 이동식 칸막이
JP2009299275A (ja) * 2008-06-10 2009-12-24 Sumitomo Fudosan Kk 移動可能な間仕切り壁
KR20230054944A (ko) 2021-10-18 2023-04-25 서현진 높낮이 조절식 자동 파티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56593A (ja) * 1996-03-26 1997-09-30 Nichiha Corp 壁面化粧材の施工方法
KR200437899Y1 (ko) * 2007-06-07 2008-01-07 강용선 창살무늬를 갖는 이동식 칸막이
JP2009299275A (ja) * 2008-06-10 2009-12-24 Sumitomo Fudosan Kk 移動可能な間仕切り壁
KR20230054944A (ko) 2021-10-18 2023-04-25 서현진 높낮이 조절식 자동 파티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284261B (zh) 扬声器护栅和总成
CA2796997C (en) Modular wall nesting system
US2325003A (en) Venetian blind
KR102653093B1 (ko) 친환경 처리 파티션
KR20210001502U (ko) 가변 파티션
US4360053A (en) Glass fireplace screen
US20220008969A1 (en) Fume hood air channeling device
KR102240372B1 (ko) 사무용 칸막이
JP4911465B2 (ja) テーブルシステム
JP5103093B2 (ja) 移動間仕切装置における間仕切パネル
US20150128508A1 (en) Room-dividing element for an open-plan office
JP2009052254A (ja) 間仕切パネル
ES1305939U (es) Dispositivo de arrastre para paneles deslizantes acristalados
KR200480193Y1 (ko) 책상용 가림판
KR102284220B1 (ko) 흡음 기능을 제공하는 사물함 수납 문
JP7348480B2 (ja) 間仕切り構造
JP2022178386A (ja) 化粧材及びカーテンウォール
CN211598380U (zh) 一种具有除雾结构的防火窗
GB2418936A (en) Fence for ventilation constructed from overlapping "S" shaped slats
KR20240044021A (ko) 차량용 테이블 장치
JP2023065079A (ja) 組立式ブース及びブース組立キット
JP2855431B2 (ja) 防音室及び防音室用扉体
JP6649058B2 (ja) 家具及びその施工方法
KR20230012914A (ko) 비말차단 및 음성전달이 용이한 투명 가림막
CN111441506A (zh) 多功能隔间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