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4944A - 높낮이 조절식 자동 파티션 - Google Patents

높낮이 조절식 자동 파티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4944A
KR20230054944A KR1020210138052A KR20210138052A KR20230054944A KR 20230054944 A KR20230054944 A KR 20230054944A KR 1020210138052 A KR1020210138052 A KR 1020210138052A KR 20210138052 A KR20210138052 A KR 20210138052A KR 20230054944 A KR20230054944 A KR 202300549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tion
unit
screw gear
partition body
elev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80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현진
Original Assignee
서현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현진 filed Critical 서현진
Priority to KR10202101380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54944A/ko
Publication of KR202300549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49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A47B21/02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with vertical adjust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47B13/083Rims for table t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7/00Writing-tables
    • A47B17/04Writing-tables with secret or fireproof compartments ; Trays or the like countersunk in the table top and obturable, e.g. by means of a roller or sliding shut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47B13/083Rims for table tops
    • A47B2013/085Rims for table tops having a mounting web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12Vanity or modesty pan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75Lighting
    • A47B2220/0077Lighting for furniture, e.g. cupboards and racks

Landscapes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접한 두 개의 테이블 사이에 설치되고 높낮이를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필요에 따라 가변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자동 파티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례와 관련된 높낮이 조절식 자동 파티션은, 인접한 두 개의 테이블(2) 사이에 배치되고, 상면에 개방된 개구부가 형성된 파티션 바디(20); 및 상기 파티션 바디(20)에 수용되고,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승강되는 칸막이부(10);를 포함하고, 상기 파티션 바디(20)는, 상기 칸막이부(10)의 승강을 지원하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22); 상기 모터(22)와 연결되어 상기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24);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외주면에 스크류 홈(28)이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동력 전달부(24)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축방향으로 회전하는 스크류 기어(26); 상기 스크류 기어(26)를 상기 파티션 바디(20)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 및 일측은 상기 칸막이부(10)와 결합되고, 상기 스크류 기어(26)가 결합되는 관통홈이 형성된 승강부(30);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길이방향은 상기 파티션 바디(20)의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는 방향이고, 상기 관통홈의 내주면은 상기 스크류 홈(28)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승강부(30)는 상기 스크류 기어(26)의 회전에 대응하여 상기 스크류 기어(26)를 따라 상하로 이동되고, 상기 승강부(30)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칸막이부(10)의 승강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높낮이 조절식 자동 파티션{Automatic partition for adjusting height}
본 발명은 높낮이 조절식 자동 파티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접한 두 개의 테이블 사이에 설치되고 높낮이를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필요에 따라 가변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자동 파티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티션은 소정의 둘러싸인 공간을 가로질러 막는 물건으로서, 통상적으로 독서실이나 사무실의 테이블에 설치되어 사용된다.
일반 식당이나 레스토랑 등의 음식점에서는 다수의 테이블을 배치하고 각 테이블별로 손님들에게 음식을 제공하고 있으나, 손님의 유입이 유동적으로 변화되기 때문에 음식점에서 파티션을 사용하는 것은 불편이 있었다.
음식점 내부의 공간 활용도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테이블을 조밀하게 배치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는 많은 손님이 음식점을 이용하는 상황에서는 다소 불편함을 느끼게 할 수 있었으며 쾌적한 환경을 저해하는 요인이 될 수 있었다.
또한, 일행으로 들어온 손님의 인원수에 맞추어 테이블을 움직여서 함께 식사하도록 해야하는 경우가 종종 있어 불편을 줄 수 있었으며, 다른 손님들의 식사를 방해하거나 불측의 사고를 유발시킬 수 있다는 문제점도 상존하였다.
이에 따라, 쾌적한 음식점 환경을 유지하면서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높낮이 조절식 자동 파티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52877호 한국등록특허 제10-0659560호
본 발명의 과제는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테이블 사이에 설치되고 높낮이를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필요에 따라 가변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자동 파티션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LED 조명을 사용하여 칸막이부의 미적 효과를 증진시키거나 광고 효과를 활용할 수 있으며, 칸막이부의 승강에 따라 자동적으로 모터와 LED 조명의 동작이 조절되도록 구성하여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자동 파티션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칸막이부의 승강을 원격에서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음식점 관리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 파티션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높낮이 조절식 자동 파티션은, 인접한 두 개의 테이블(2) 사이에 배치되고, 상면에 개방된 개구부가 형성된 파티션 바디(20); 및 상기 파티션 바디(20)에 수용되고,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승강되는 칸막이부(10);를 포함하고, 상기 파티션 바디(20)는, 상기 칸막이부(10)의 승강을 지원하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22); 상기 모터(22)와 연결되어 상기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24);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외주면에 스크류 홈(28)이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동력 전달부(24)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축방향으로 회전하는 스크류 기어(26); 상기 스크류 기어(26)를 상기 파티션 바디(20)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 및 일측은 상기 칸막이부(10)와 결합되고, 상기 스크류 기어(26)가 결합되는 관통홈이 형성된 승강부(30);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길이방향은 상기 파티션 바디(20)의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는 방향이고, 상기 관통홈의 내주면은 상기 스크류 홈(28)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승강부(30)는 상기 스크류 기어(26)의 회전에 대응하여 상기 스크류 기어(26)를 따라 상하로 이동되고, 상기 승강부(30)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칸막이부(10)의 승강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파티션 바디(20)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스크류 기어(26)의 상부를 고정시키는 상단 고정바(40); 및 상기 파티션 바디(2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스크류 기어(26)의 하부를 고정시키는 하단 고정바(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티션 바디(20)는, 상기 상단 고정바(40)의 하부에 설치되는 상부 스위치(34); 상기 하단 고정바(42)의 상부에 설치되는 하부 스위치(36); 및 상기 승강부(30)에 결합되어 상기 승강부(30)의 이동과 함께 이동되는 스토퍼(38);를 더 포함하되, 상기 승강부(30)가 상부로 이동되어 상기 스토퍼(38)가 상기 상부 스위치(34)를 누르는 경우, 상기 모터(22)의 동작이 정지되고, 상기 승강부(30)가 하부로 이동되어 상기 스토퍼(38)가 상기 하부 스위치(36)를 누르는 경우, 상기 모터(22)의 동작이 정지된다.
또한, 상기 칸막이부(10)의 하부에 설치되는 LED 조명(32);을 더 포함하되, 상기 승강부(30)가 상부로 이동되어 상기 스토퍼(38)가 상기 상부 스위치(34)를 누르는 경우, 상기 LED 조명(32)이 동작하여 상기 칸막이부(10)에 빛이 조사되고, 상기 승강부(30)가 하부로 이동되면서 상기 상부 스위치(34)에 대한 누름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LED 조명(32)의 동작이 정지된다.
또한, 상기 승강부(30)의 상면에 설치된 제 1 완충 스프링(44); 및 상기 승강부(30)의 상면에 설치된 제 2 완충 스프링(46);을 더 포함하되, 상기 승강부(30)가 상부로 이동되어 상기 제 1 완충 스프링(44)의 상면이 상기 상단 고정바(40)에 접촉되는 경우, 상기 제 1 완충 스프링(44)의 탄성에 의하여 상기 접촉에 따른 충격이 완화되고, 상기 승강부(30)가 하부로 이동되어 상기 제 2 완충 스프링(46)의 하면이 상기 하단 고정바(42)에 접촉되는 경우, 상기 제 2 완충 스프링(46)의 탄성에 의하여 상기 접촉에 따른 충격이 완화된다.
또한, 상기 파티션 바디(20)와 소정 거리 이격된 장소에 설치된 사용자 입력부(52); 및 상기 사용자 입력부(52)에 입력되는 명령에 따라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모터(22)는 상기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동작함으로써 상기 칸막이부(10)의 승강이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테이블 사이에 설치되고 높낮이를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필요에 따라 가변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자동 파티션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LED 조명을 사용하여 칸막이부의 미적 효과를 증진시키거나 광고 효과를 활용할 수 있으며, 칸막이부의 승강에 따라 자동적으로 모터와 LED 조명의 동작이 조절되도록 구성하여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자동 파티션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칸막이부의 승강을 원격에서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음식점 관리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 파티션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높낮이 조절식 자동 파티션의 일 실시례를 나타낸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높낮이 조절식 자동 파티션의 칸막이부가 상승된 일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높낮이 조절식 자동 파티션의 칸막이부가 상승된 일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높낮이 조절식 자동 파티션의 칸막이부가 하강된 일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높낮이 조절식 자동 파티션의 칸막이부가 하강된 일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높낮이 조절식 자동 파티션에 적용될 수 있는 전기 배선도의 일 실시례를 나타낸다.
본문에 게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좌, 우, 상, 하, 전, 후 및 이와 유사한 명칭으로, 각 방향을 지칭하는 단어는 설명의 편의상 도면을 기준으로 한 것이며, 바라보는 방향 또는 구성요소의 배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높낮이 조절식 자동 파티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높낮이 조절식 자동 파티션의 일 실시례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일 실시례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일 실시례의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높낮이 조절식 자동 파티션(100)은 일반 식당이나 카페, 레스토랑 등 음식을 판매, 제공하는 음식점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음식점에서는 다수의 테이블(2)이 배치되며, 본 발명의 높낮이 조절식 자동 파티션(100)은 상기 테이블(2)의 사이에 배치되어 이웃하여 배치된 테이블(2)을 공간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높낮이 조절식 자동 파티션(100)은 크게 칸막이부(10)와 파티션 바디(20)로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파티션 바디(20)의 폭은 테이블(2)의 폭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이웃하는 테이블(2)에 앉은 손님과 분리되는 독립된 공간을 제공할 수 있으며, 식사 시에도 심적 안정감을 줄 수 있다.
파티션 바디(20)의 하면은 바닥면에 접하고 있으며, 파티션 바디(20)의 높이는 대략적으로 테이블(2)의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파티션 바디(20)의 상면에는 개방된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칸막이부(10)가 승강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에서는 칸막이부(10)가 상승된 일례를 도시하였으며, 칸막이부(10)가 하강하는 경우 칸막이부(10)가 파티션 바디(20) 내부에 수용된다.
칸막이부(10)가 하강하면, 이웃하는 테이블(2)에 앉은 손님과 개방된 공간이 형성되기 때문에 일행이 여러 테이블(2)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 칸막이부(10)를 하강시킬 수 있다.
칸막이부(10)는 바람직하게는 아크릴 재질로 이루어지며, 칸막이부(10)의 표면에는 음식점의 로고나 메뉴 등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칸막이부(10)에는 음식점에서 제공되는 음식의 시식법이 표시되어 손님의 편의를 제고할 수도 있으며, 광고가 제공되어 부수적인 광고비를 획득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식 자동 파티션의 세부적인 구성을 살펴본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높낮이 조절식 자동 파티션의 칸막이부가 상승된 일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모터(22)가 역회전하여 스크류 기어(26)가 축방향으로 역회전하게 되면, 승강부(30)가 상부로 이동하면서 칸막이부(10)가 상승하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파티션 바디(20)의 하부에는 모터(22)가 설치될 수 있다. 모터(22)는 칸막이부(10)의 승강을 지원하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는 구성으로서, 정회전과 역회전을 모두 지원하는 AC 모터를 이용할 수 있다.
모터(22)는 동력 전달부(24)와 연결되어 있다. 모터(22)와 동력 전달부(24)는 두 개의 기어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모터(22)의 회전은 동력 전달부(24)의 회전을 유도한다.
동력 전달부(24)는 파티션 바디(20)의 하부에 측방향으로 설치되며, 모터(22)에서 발생된 동력을 스크류 기어(26)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측방향은 파티션 바디(20)의 좌측에서 우측을 향하는 방향(또는 우측에서 좌측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동력 전달부(24)로는 기어 연결축이 사용될 수 있다. 도 2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동력 전달부(24)의 단부에는 제 1 기어(25)가 형성되어 있으며, 스크류 기어(26)의 하단에는 제 2 기어(27)가 형성되어 있다. 동력 전달부(24)로서 타이밍 벨트 및 와이어줄로 구동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사용에 따라 늘어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바벨기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원동력 부와 부동력 부위의 구동을 위해서는 축을 연결하여 구동한다.
상기 제 1 기어(25)와 제 2 기어(27)는 서로 맞물리도록 형성되므로, 동력 전달부(24)는 스크류 기어(26)가 축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지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모터(22)의 동력에 의하여 동력 전달부(24)가 회전하며, 이에 따라 제 1 기어(25)와 제 2 기어(27)가 서로 맞물리면서 회전하게 되므로 스크류 기어(26)의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스크류 기어(26)의 축방향 회전은 모터(22)의 회전에 대응하여 정회전 및 역회전 중 어느 하나가 된다.
파티션 바디(20)의 양측면에는 스크류 기어(26)가 설치되어 있다. 스크류 기어(26)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축방향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길이방향은 파티션 바디(20)의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승강부(30)는 상기 스크류 기어(26)와 칸막이부(10)를 연결한다. 승강부(30)에는 스크류 기어(26)가 관통되면서 승강부(30)와 스크류 기어(26)를 결합시키는 관통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관통홈의 내주면은 스크류 기어(26) 외주면의 스크류 홈(28)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진다. 이에 따라, 스크류 기어(26)의 회전에 대응하여 승강부(30)가 스크류 기어(26)를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승강부(30)의 일측은 칸막이부(10)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승강부(30)가 상하로 이동하면 칸막이부(10)도 함께 상하 이동된다. 이에 따라, 칸막이부(10)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파티션 바디(20)의 하부에는 보조 콘센트(12)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보조 콘센트(12)는 음식점에서 전원을 사용하고자 하는 조리장치에 전원을 제공할 수 있으며, 기타 손님의 휴대전화 충전이나 다른 용도로도 사용 가능하다.
한편,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높낮이 조절식 자동 파티션의 칸막이부가 상승된 일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파티션 바디(20)의 하면은 바닥면에 접하며, 지지대(14)가 더 설치되어 본 발명의 높낮이 조절식 자동 파티션(100)이 바닥면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지지대(14)는 구부러진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일면은 파티션 바디(20)의 하측면에 고정되고, 타면은 바닥면에 고정된다.
또한, 파티션 바디(20)의 하면에는 바퀴(미도시)가 설치되어 본 발명의 높낮이 조절식 자동 파티션(100)에 이동성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바퀴에는 브레이크가 장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높낮이 조절식 자동 파티션(100)을 고정된 장소에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브레이크를 작동하여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파티션 바디(20)의 외부 측면에는 LED 조명 스위치(16)와 상하 선택 스위치(18), PUSH 작동모드 스위치(19)가 형성되어 있다. LED 조명 스위치(16)는 LED 조명(32)의 작동 여부를 수동적으로 결정할 수 있고, 상하 선택 스위치(18)는 칸막이부(10)의 상승 또는 하강을 선택할 수 있으며, PUSH 작동모드 스위치(19)는 상하 선택 스위치(18)에 의하여 선택된 상승 또는 하강에 대응하여 칸막이부(10)의 승강을 수동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도 6의 측면 단면도를 참조하면, 스크류 기어(26)의 외주면에는 스크류 홈(28)이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는 승강부(30)의 관통홈 내주면과 맞물리게 된다.
스크류 기어(26)는 고정부재에 의하여 파티션 바디(20)에 고정되며, 고정부재는 상단 고정바(40)와 하단 고정바(42)로 구성된다. 상단 고정바(40)는 파티션 바디(20)의 상부에 설치되어 스크류 기어(26)의 상부를 고정하며, 하단 고정바(42)는 파티션 바디(20)의 하부에는 설치되어 스크류 기어(26)의 하부를 고정한다.
상단 고정바(40)의 하부에는 상부 스위치 연결부(35)가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부 스위치 연결부(35)의 하부에 상부 스위치(34)가 연결된다.
승강부(30)에는 스토퍼(38)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스토퍼는 스위치(34, 36)을 누를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된다. 스토퍼(38)는 승강부(30)의 이동과 함께 상하로 이동된다.
즉, 승강부(30)가 상부로 이동되는 경우, 도 3b와 같이 스토퍼(38)가 상부 스위치(34)를 누르게 된다. 상부 스위치(34)의 작동에 의하여 모터(22)의 동작이 자동적으로 정지되어 승강부(30)의 이동이 멈추게 된다. 또한, 상부 스위치(34)의 작동에 의하여 LED 조명(32)이 동작하여 칸막이부(10)에 빛이 조사되게 된다.
승강부(30)의 상면에는 제 1 완충 스프링(44)이 더 설치되어 있다. 승강부(30)가 상부로 이동되어 상기 제 1 완충 스프링(44)의 상면이 상단 고정바(40)에 접촉되는 경우, 제 1 완충 스프링(44)의 탄성이 작용하여 상기 접촉에 따른 충격이 완화될 수 있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높낮이 조절식 자동 파티션의 칸막이부가 하강된 일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높낮이 조절식 자동 파티션의 칸막이부가 하강된 일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모터(22)가 정회전하여 스크류 기어(26)가 축방향으로 정회전하게 되면, 승강부(30)가 하부로 이동하면서 칸막이부(10)가 하강하게 된다.
도 8의 측면 단면도를 참조하면, 하단 고정바(42)의 상부에는 하부 스위치 연결부(37)가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하부 스위치 연결부(37)의 상부에 하부 스위치(36)가 연결된다.
승강부(30)가 하부로 이동되는 경우, 도 8과 같이 스토퍼(38)가 하부 스위치(36)를 누르게 된다. 하부 스위치(36)의 작동에 의하여 모터(22)의 동작이 자동적으로 정지되어 승강부(30)의 이동이 멈추게 된다.
또한, 승강부(30)가 하부로 이동하면서 상부 스위치(34)의 누름 상태가 해제되게 되며, 이에 의하여 LED 조명(32)의 동작이 정지되며 칸막이부(10)에 조사되는 빛이 제거된다.
승강부(30)의 하면에는 제 2 완충 스프링(46)이 더 설치되어 있다. 승강부(30)가 하부로 이동되어 상기 제 2 완충 스프링(46)의 하면이 하단 고정바(42)에 접촉되는 경우, 제 2 완충 스프링(46)의 탄성이 작용하여 상기 접촉에 따른 충격이 완화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식 자동 파티션의 전기 배선도를 살펴본다.
도 9는 본 발명의 높낮이 조절식 자동 파티션에 적용될 수 있는 전기 배선도의 일 실시례를 나타낸다.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파티션 바디(20) 외측면에 설치된 LED 조명 스위치(16)가 눌림 상태가 되면, 회로에 전원이 공급된다.
상하 선택 스위치(18)를 이용하여 상부로 이동되도록 설정하고 PUSH 작동모드 스위치(19)를 이용하여 칸막이부(10)를 작동시키는 경우, 모터(22)가 역회전하여 스크류 기어(26)가 축방향으로 역회전하게 되며, 승강부(30)가 상부로 이동하면서 칸막이부(10)가 상승하게 된다.
칸막이부(10)가 상승하면서 스토퍼(38)가 상부 스위치(34)를 누르게 되는 경우, 전원 경로가 바뀌게 되면서 모터(22)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고, LED 조명(32)에 전원이 공급된다.
이에 따라, 모터(22)의 동작이 자동적으로 정지되며, LED 조명(32)의 동작이 수행되어 LED 조명(32)에서 빛이 조사된다.
또한, 상하 선택 스위치(18)를 이용하여 하부로 이동되도록 설정하고 PUSH 작동모드 스위치(19)를 이용하여 칸막이부(10)를 작동시키는 경우, 모터(22)가 정회전하여 스크류 기어(26)가 축방향으로 정회전하게 되며, 승강부(30)가 하부로 이동하면서 칸막이부(10)가 하강하게 된다.
칸막이부(10)가 하강하면서 상부 스위치(34)를 누르던 스토퍼(38)가 상부 스위치(34) 누름을 해제하는 경우, 전원 경로가 바뀌게 되면서 모터(22)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된다. 이에 따라, 모터(22)의 동작이 자동적으로 정지된다.
한편, 원격 조절을 위하여 본 발명의 높낮이 조절식 자동 파티션(100)에 이격된 장소에 사용자 입력부(52)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는 릴레이(54)에 의하여 연결된다. 예를 들어, 음식점의 카운터나 계산대 등에 사용자 입력부(52)가 설치 가능하다.
사용자 입력부(52)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컨텐트들을 선택하는 입력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으며, 방향키,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52)에 입력되는 명령을 수신하며, 모터(22)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52)를 통하여 원하는 칸막이부(10)의 승강에 관한 명령을 입력할 수 있으며, 제어부는 이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제어부의 제어신호를 수신한 모터(22)는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동작되며, 이는 칸막이부(10)를 승강시킬 수 있다.
즉, 음식점에는 통상적으로 다수의 높낮이 조절식 자동 파티션(100)가 설치된다. 손님의 수용에 따라 사용자는 그 중 일부 칸막이부(10)는 상승시키고 일부 칸막이부(10)는 하강시키도록 하는 명령을 사용자 입력부(52)로 입력할 수 있다. 제어부는 상기 명령을 수신하여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며, 이에 따라 다수의 높낮이 조절식 자동 파티션(100)의 칸막이부(10)에 대한 승강을 일괄적으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상기의 실시예 뿐만 아니라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포함되어야 한다.
2: 테이블
10: 칸막이부
12: 보조용 콘센트
14: 지지대
16: LED 조명 스위치
18: 상하 선택 스위치
19: PUSH 작동모드 스위치
20: 파티션 바디
22: 모터
24: 동력 전달부
25: 제 1 기어
26: 스크류 기어
27: 제 2 기어
28: 스크류 홈
30: 승강부
32: LED 조명
34: 상부 스위치
35: 상부 스위치 연결부
36: 하부 스위치
37: 하부 스위치 연결부
38: 스토퍼
40: 상단 고정바
42: 하단 고정바
44: 제 1 완충 스프링
46: 제 2 완충 스프링
48: 전원 케이블
50: 바벨기어 어셈블리
52: 사용자 입력부
54: 릴레이
100: 높낮이 조절식 자동 파티션

Claims (3)

  1. 인접한 두 개의 테이블(2) 사이에 배치되고, 상면에 개방된 개구부가 형성된 파티션 바디(20);
    상기 파티션 바디(20)에 수용되고,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승강되는 칸막이부(10); 및
    상기 칸막이부(10)의 하부에 설치되는 LED 조명(32);을 포함하고,
    상기 파티션 바디(20)는,
    상기 칸막이부(10)의 승강을 지원하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22);
    상기 모터(22)와 연결되어 상기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24);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외주면에 스크류 홈(28)이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동력 전달부(24)로 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축방향으로 회전하는 스크류 기어(26);
    상기 스크류 기어(26)를 상기 파티션 바디(20)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 및
    일측은 상기 칸막이부(10)와 결합되고, 상기 스크류 기어(26)가 결합되는 관통홈이 형성된 승강부(30);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파티션 바디(20)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스크류 기어(26)의 상부를 고정시키는 상단 고정바(40); 및
    상기 파티션 바디(2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스크류 기어(26)의 하부를 고정시키는 하단 고정바(42);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파티션 바디(20)는,
    상기 상단 고정바(40)의 하부에 설치되는 상부 스위치(34);
    상기 하단 고정바(42)의 상부에 설치되는 하부 스위치(36); 및
    상기 승강부(30)에 결합되어 상기 승강부(30)의 이동과 함께 이동되는 스토퍼(38);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길이방향은 상기 파티션 바디(20)의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는 방향이고,
    상기 관통홈의 내주면은 상기 스크류 홈(28)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승강부(30)는 상기 스크류 기어(26)의 회전에 대응하여 상기 스크류 기어(26)를 따라 상하로 이동되고, 상기 승강부(30)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칸막이부(10)의 승강이 가능하며, 상기 승강부(30)가 상부로 이동되어 상기 스토퍼(38)가 상기 상부 스위치(34)를 누르는 경우, 상기 모터(22)의 동작이 정지되고, 상기 LED 조명(32)이 동작하여 상기 칸막이부(10)에 빛이 조사되며, 상기 승강부(30)가 하부로 이동되면서 상기 상부 스위치(34)에 대한 누름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LED 조명(32)의 동작이 정지되고, 상기 승강부(30)가 하부로 이동되어 상기 스토퍼(38)가 상기 하부 스위치(36)를 누르는 경우, 상기 모터(22)의 동작이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식 자동 파티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30)의 상면에 설치된 제 1 완충 스프링(44); 및
    상기 승강부(30)의 상면에 설치된 제 2 완충 스프링(46);을 더 포함하되,
    상기 승강부(30)가 상부로 이동되어 상기 제 1 완충 스프링(44)의 상면이 상기 상단 고정바(40)에 접촉되는 경우, 상기 제 1 완충 스프링(44)의 탄성에 의하여 상기 접촉에 따른 충격이 완화되고,
    상기 승강부(30)가 하부로 이동되어 상기 제 2 완충 스프링(46)의 하면이 상기 하단 고정바(42)에 접촉되는 경우, 상기 제 2 완충 스프링(46)의 탄성에 의하여 상기 접촉에 따른 충격이 완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식 자동 파티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티션 바디(20)와 소정 거리 이격된 장소에 설치된 사용자 입력부(52); 및
    상기 사용자 입력부(52)에 입력되는 명령에 따라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모터(22)는 상기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동작함으로써 상기 칸막이부(10)의 승강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식 자동 파티션.
KR1020210138052A 2021-10-18 2021-10-18 높낮이 조절식 자동 파티션 KR202300549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8052A KR20230054944A (ko) 2021-10-18 2021-10-18 높낮이 조절식 자동 파티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8052A KR20230054944A (ko) 2021-10-18 2021-10-18 높낮이 조절식 자동 파티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4944A true KR20230054944A (ko) 2023-04-25

Family

ID=86101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8052A KR20230054944A (ko) 2021-10-18 2021-10-18 높낮이 조절식 자동 파티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5494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3093B1 (ko) 2023-12-12 2024-04-01 경안건축 주식회사 친환경 처리 파티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9560B1 (ko) 2005-09-27 2006-12-20 노재원 파티션 겸용 책상
KR20110052877A (ko) 2009-11-13 2011-05-19 장수진 칸막이 책상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9560B1 (ko) 2005-09-27 2006-12-20 노재원 파티션 겸용 책상
KR20110052877A (ko) 2009-11-13 2011-05-19 장수진 칸막이 책상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3093B1 (ko) 2023-12-12 2024-04-01 경안건축 주식회사 친환경 처리 파티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77825B2 (en) Modular kitchen system
KR20230054944A (ko) 높낮이 조절식 자동 파티션
JP7020733B1 (ja) 伸縮式スツール
KR200478611Y1 (ko) 음식점용 높낮이 조절식 자동 파티션
CN104389367B (zh) 一种可升降楼板的驱动装置
WO2021103638A1 (zh) 电动升降桌
EP3516286A2 (en) Display screen device
KR20100045154A (ko) 터치형 모니터를 이용한 인텔리전트 주방 시스템
GB2338282A (en) Hand held control device
JP5851291B2 (ja) 住宅設備機器
JP2004521700A (ja) 家具の複数の部分を互いに対して相対的に調節するための、電気モータ式の家具駆動装置
CN106152187B (zh) 一种可升降旋钮
JP2010213967A (ja) 昇降機構およびそれを備えた水周り家具
KR101391423B1 (ko) 터치패드를 구비한 인풋디바이스
US3466411A (en) Foot-operated switch
CN212036593U (zh) 模拟执勤席智能化操作台
KR101484192B1 (ko) 실시간 임의적 변환이 가능한 초가변형 공간 어셈블리 시스템, 그 시스템을 통한 건물 형성 방법 및 공간 변환 방법
CN208510778U (zh) 烹饪器具
CN214103875U (zh) 一种便于使用的伸缩凳
KR200469959Y1 (ko) 높이 조절 싱크대
JP7355324B2 (ja) 呼出しデバイス及び呼出しシステム
CN214711527U (zh) 多功能面板组件及具有多功能面板组件的户外家具
JPH07116033A (ja) 調理台ユニット
CN211862141U (zh) 一种多功能家用智能平台
KR101967685B1 (ko) 자동 출몰형 조명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