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2254B1 - 다목적 실감 교육을 위한 시스템 - Google Patents

다목적 실감 교육을 위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2254B1
KR102652254B1 KR1020220124886A KR20220124886A KR102652254B1 KR 102652254 B1 KR102652254 B1 KR 102652254B1 KR 1020220124886 A KR1020220124886 A KR 1020220124886A KR 20220124886 A KR20220124886 A KR 20220124886A KR 102652254 B1 KR102652254 B1 KR 1026522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ing
firing
launch device
operation terminal
actu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4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승섭
Original Assignee
오승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승섭 filed Critical 오승섭
Priority to KR10202201248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22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22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22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053Computers, e.g. programm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7/00Toy aircraft; Other flying toys
    • A63H27/005Rockets; Missi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7/00Toy aircraft; Other flying toys
    • A63H27/14Starting or launching devices for toy aircraft; Arrangements on toy aircraft for starting or launch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HPRODUCING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H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0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 F16H1/1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 F16H1/1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comprising conical gears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4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a rac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FAPPARATUS FOR LAUNCHING PROJECTILES OR MISSILES FROM BARRELS, e.g. CANNONS; LAUNCHERS FOR ROCKETS OR TORPEDOES; HARPOON GUNS
    • F41F7/00Launching-apparatus for projecting missiles or projectiles otherwise than from barrels, e.g. using spigo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06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 G09B23/0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for statics or dynamics
    • G09B23/1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for statics or dynamics of solid bod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Algebra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기어에 의해 조립되고, 장전과 발사를 위한 공격 알고리즘이 코딩되며, 데미지의 감지와 표출을 위한 입출력모듈이 구비되고, 데미지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통신모듈이 구비된 발사장치 및 상기 데미지정보를 표출하기 위한 표출모듈이 구비되고, 발사장치의 조립과 코딩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졌는지 검사하기 위해 발사장치의 동작을 조작하며, 대전을 위한 포격게임도 제공하는 조작단말기를 포함하는 다목적 실감 교육을 위한 시스템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다목적 실감 교육을 위한 시스템 {system for multi-purpose realistic Education}
본 발명은 다목적 실감 교육을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발사장치와 조작단말기를 통해 조립, 코딩, 검사 및 게임 과정의 시계열적 시나리오로 교육을 제공하는 다목적 실감 교육을 위한 시스템에 관한 기술이다.
근래에 정보 통신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인해, 컴퓨터를 이용한 다양한 게임 프로그램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소니사의 플레이스테이션 시리즈나 마이크로소프트사의 X-Box 시리즈와 같은 콘솔 게임 시장 또한 비약적으로 발전해가고 있다.
또한, 게임 프로그램의 장르도 현재, 역할 수행 게임(RPG: Role-Playing Game), MMORPG(Massively Multiplayer Online Role-Playing Game), 대전 게임, 슈팅 게임, 1인칭 슈팅(FPS: First Person Shooting) 게임 등과 같이 다양해지고 있으며, 기존의 게임 장르와는 별개로 새로운 장르의 게임이나 기존 장르가 혼합된 게임이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컴퓨터 등과 같은 단말기를 이용한 가상 공간상에서의 게임과는 별도로 실제 로봇을 이용한 오프라인상에서의 게임 문화 또한 지속적으로 발전해오고 있다. 예를 들어, 실제 로봇을 이용한 미니 축구 게임이나 로봇들 간의 대전 게임들이 다 방면에서 진행되고 있으며, 센서 기술이나 제어 알고리즘의 발전으로 인해 보다 정밀한 모션이 가능한 로봇들이 등장하면서 많은 이들의 주목을 받고 있다.
이와 같이, 오프라인상에서 실제 로봇을 이용한 게임과, 컴퓨터 등과 같은 단말기를 이용한 가상 공간 즉 온라인상에서의 게임은 서로 각각 장단점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오프라인상에서의 실제 로봇을 이용한 게임은 실제 공간에서 로봇 간의 타격과 같은 현실감이 크게 느껴지는 반면에, 가상 공간상에서의 게임은 그래픽을 통해 타격과 같은 느낌의 표현은 가능하지만 실제 로봇에 의한 타격감을 그대로 느끼기에는 부족한 면이 있다.
한편, 최근 전 세계적으로 아두이노 기반의 코딩(프로그래밍)을 통한 디바이스 제어에 대한 교육 열풍이 불고 있다.
이는 국내에서도 마찬가지로 초등학생부터 고등학생까지 코딩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관심이 급격하게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코딩교육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실질적인 준비는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특히, 코딩교육의 당사자인 어린 학생들은 학원이나 학교에서의 지루한 수업에 관심이나 흥미를 느끼지도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종래기술에 따른 교육용 발사장치의 일 예가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개번호 제20-2016-0001968호(2016년06월09일자 공개, 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함) 등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교육용 발사장치는 단순히 물과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물로켓이 발사되도록 하는 것이고, 교구나 코딩교육용 게임 등에서 작고 둥근 형태의 장난감 포탄 또는 화살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모형 발사체가 상대편 발사장치로 발사되도록 하려면 모형 발사체를 장전하는 과정과 장전 후 발사하는 과정에서 모두 각각의 개별적인 구동 액추에이터에 의해 구동력이 필요한 구조로 마련되기 때문에 제작비용이 증가하게 되고, 잔고장의 발생 가능성도 증가하게 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에는 1인칭 시점의 1인 게임이 대부분이다. 또한 종래에는 조립, 코딩, 검사 및 게임의 순서 등 시계열적 시나리오로 교육을 제공하지 못하여 교육의 질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개번호 제20-2016-0001968호(2016년06월09일자 공개)
본 발명은 조립, 코딩, 검사 및 게임 과정의 시계열적 시나리오로 교육을 제공하는 다목적 실감 교육을 위한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실감 교육을 위한 시스템은, 복수의 기어에 의해 조립되고, 장전과 발사를 위한 공격 알고리즘이 코딩되며, 데미지의 감지와 표출을 위한 입출력모듈이 구비되고, 데미지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통신모듈이 구비된 발사장치(10) 및 상기 데미지정보를 표출하기 위한 표출모듈이 구비되고, 발사장치의 조립과 코딩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졌는지 검사하기 위해 발사장치의 동작을 조작하며, 대전을 위한 포격게임도 제공하는 조작단말기(20)를 포함하고, 조립, 코딩, 검사 및 게임 과정의 시계열적 시나리오로 교육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어는 장전 시 기어의 헛돌림과 발사 시 기어의 역회전이 일어나 기어 음향을 제공하여 실감적 포격게임의 집중도를 증가시키는 기능이 있고, 하나의 전동부에 의해 장전과 발사로 구동되어 전력소모를 감소시키는 기능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발사장치는, 장전 시 전동부(300) 쪽으로 후진하고, 발사 시 전진하는 액추에이터(420); 상기 액추에이터의 일측에 형성되어 장전 시 전동부의 회전력을 탄성 긴장 부재(210)에게 전달하는 베벨 기어(320, 423); 상기 액추에이터의 타측에 형성되어 장전 시 헛돌고, 발사 시 액추에이터를 전진하도록 하는 피니언 기어(421) 및 상기 장전 시 전동부의 회전력에 의해 줄(310)을 감기도록 하고, 발사 시 줄을 풀리게 하는 탄성 긴장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조작단말기는 제1 발사장치(10a)와 1대1 통신을 하는 제1 조작단말기(20a) 및 제2 발사장치(10b)와 1대1 통신을 하는 제2 조작단말기(20b)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조작단말기는 공격조작정보를 제1 발사장치에게 송신하고, 공격시점정보를 제2 조작단말기에게 송신하며, 상기 제2 조작단말기는 제2 발사장치의 데미지 감지여부에 따른 데미지정보를 제1 조작단말기에게 송신하고, 다목적 실감 교육을 위한 시스템은, 상기 발사장치와 조작단말기의 통신 및 조작단말기 간 통신을 제공하여 통신의 충돌을 회피하고, 2인 이상의 대전게임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조립, 코딩, 검사 및 게임 과정의 시계열적 시나리오로 교육을 제공함으로써, 쳬계적인 교육을 실현할 수 있고, 경쟁적 요소를 유발하여 사용자의 교육 몰입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교육용 소형 이동식 발사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장전발사 전동부 및 장전발사 구동 어셈블리의 확대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장전발사 전동부 및 장전발사 구동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장전발사 전동부 및 장전발사 구동 어셈블리를 후방에서 바라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장전발사 전동부 및 장전발사 구동 어셈블리를 위에서 내려다본 평면도,
도 6은 도 4의 장전발사 구동 어셈블리의 장전 동작시 장전발사 전동부로 접근된 상태와 발사 동작시 장전발사 전동부에서 멀어지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실감 교육을 위한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교육용 소형 이동식 발사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평한 판상의 형태로 마련되며 좌우 양측에는 이동바퀴(110)가 구비된 본체 플레이트(100)와, 본체 플레이트(100)의 전방 상부에서 상하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고무줄과 같은 탄성 긴장 부재(21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모형 발사체가 발사되도록 하는 포신부(200)와, 본체 플레이트(100)의 상부에서 포신부(200)의 후방에 구비되어 탄성 긴장 부재(210)에 연결된 줄(310)이 감기거나 풀리도록 하는 장전발사 전동부(300)와, 장전발사 구동 어셈블리(400)를 포함한다.
본체 플레이트(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무판 또는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 판재로 마련되며, 좌우 양측에는 이동바퀴(110)가 구름 동작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부에는 포신부(200), 장전발사 전동부(300) 및 장전발사 구동 어셈블리(400)가 구비된다.
여기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신부(200)는 장전발사 전동부(300) 및 장전발사 구동 어셈블리(400)가 배치된 높이보다 더 높은 상부에 구비되어 장전발사 전동부(300)에 감기거나 풀리는 줄(310)에 의한 모형 발사체의 발사가 포물선을 그리며 상대편 발사장치를 공격하도록 본체 플레이트(100)의 전방 상부에서 추가로 더 높은 위치에 포신부(200)가 배치 및 지지 되게 본체 플레이트(100)의 전방 상부에는 포신부(200)가 더 높은 위치에 장착되어 지지 되도록 하는 포신 플레이트(101)가 이중으로 단차지게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플레이트(100)의 후방 중심부에는 좌우 양측의 이동바퀴(110)보다 약간 작은 크기의 이동바퀴(110)가 더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교육용 소형 이동식 발사장치의 이동 동작이 안정되게 이뤄지도록 할 수 있다.
포신부(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긴장 부재(210)의 일측이 전방에 감기어 고정되도록 전방 상부에 돌출 형성된 걸림부(220)와, 내부에서 포신부(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포신부(200)의 상부로 돌출된 부분의 좌우 양측으로는 탄성 긴장 부재(210)의 타측이 감기어 탄성 긴장 부재(210)가 늘어나며 긴장력이 가해지는 동안에는 후진 되었다가 긴장 해제시 탄성 긴장 부재(21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순간적으로 전진하며 포신부(200)의 내부에 준비되어 있던 모형 발사체를 타격하여 발사되도록 하는 타격 발사부(230)를 포함한다.
이때, 포신부(200)의 상측 면에는 탄성 긴장 부재(210)의 타측이 좌우 양측으로 걸리게 되는 타격 발사부(230)의 상부 돌출 부분이 외부로 노출되고 타격 발사부(230)가 슬라이딩 이동되는 경로를 따라 타격 발사부(230)를 안내하도록 하는 가이드 슬롯(201)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장전발사 전동부(30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전 동작시 장전발사 전동부(300)로 근접되고 발사 동작시 장전발사 전동부(300)로부터 이격 되는 장전발사 구동 어셈블리(400)가 장전 동작시 장전발사 구동 어셈블리(400)의 후술할 제1 베벨 기어(423)가 장전발사 전동부(300)로 근접하게 되면 제1 베벨 기어(423)에 직각으로 교차 되게 맞물리게 되는 제2 베벨 기어(320)를 포함한다.
도 6의 (a)는 장전발사 구동 어셈블리(400)의 장전 동작시 장전발사 전동부(300)로 액추에이터(420)가 접근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의 (b)는 장전발사 구동 어셈블리(400)의 발사 동작시 장전발사 전동부(300)에서 액추에이터(420)가 멀어지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장전발사 구동 어셈블리(40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플레이트(100)의 상부에서 장전발사 전동부의 후방에 가로방향으로 구비되며, 탄성 긴장 부재(210)에 연결된 줄(310)이 감기는 장전 동작시 장전발사 전동부(300)에서 이격 된 위치에서 장전발사 전동부(300)에 맞물리는 위치로 근접되어 장전발사 전동부(300)가 회전되도록 하였다가 탄성 긴장 부재(210)에 연결된 줄(310)이 장전발사 전동부(300)에서 순간적으로 풀리게 되는 발사 동작시 장전발사 전동부(300)에서 이격 되도록 구비되고, 장전 동작과 발사 동작이 하나의 액추에이터(420)에 의해 이뤄지도록 구비된다.
이에 따라, 교구나 코딩교육용 게임 등에서 작고 둥근 형태의 장난감 포탄 또는 화살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모형 발사체가 상대편 발사장치로 발사되도록 하며, 모형 발사체를 장전하고 발사하기 위한 구동력이 모두 하나의 구동 액추에이터에 의해 이뤄지도록 함으로써, 제작비용이 절감되고 잔고장의 발생이 최소화되도록 할 수 있는 교육용 소형 이동식 발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장전발사 구동 어셈블리(400)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플레이트(100)의 상부에서 장전발사 전동부(300)의 후방에 가로방향으로 구비되고 액추에이터(420)의 장전 동작과 발사 동작시의 전후 왕복 이동을 안내하는 왕복 가이드(410)와, 왕복 가이드(410)에 랙 피니언 구조로 맞물려 장전 동작시 장전발사 전동부(300)에 근접되어 장전발사 전동부가 회전되며 탄성 긴장 부재(210)에 연결된 줄(310)이 감기도록 하고 발사 동작시 역회전에 의해 장전발사 전동부(300)로부터 순간적으로 이격 되어 장전발사 전동부(300)가 역회전 되도록 하는 액추에이터(420)와, 왕복 가이드(410)에서 액추에이터(420)가 장전 동작시 최대한 이동되는 위치에 출몰 가능하게 구비되어 장전 동작시에는 액추에이터(420)의 회전축에 구비된 피니언 기어(421)가 계속 헛돌게 하고 발사 동작시에는 역회전 되는 피니언 기어(421)가 맞물려 액추에이터(420)가 장전발사 전동부(300)로부터 멀어지도록 하는 래칫 출몰부(43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모형 발사체를 장전하고 발사하기 위한 구동력이 모두 장전발사 구동 어셈블리(400)의 액추에이터(420) 하나에 의해 이뤄지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왕복 가이드(410)의 중심부는 액추에이터(420)가 끼워져 장전 동작과 발사 동작시 액추에이터(420)의 전후 슬라이딩 왕복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함몰 형성되고, 액추에이터(420)의 좌우 양측에는 왕복 가이드(410)에 끼워져 전후 슬라이딩 왕복시 이탈이 억제되며 전후 왕복이 안내되도록 가이드 물림부(425)가 구비되며, 왕복 가이드(410)의 좌우 양측에는 액추에이터(420)의 피니언 기어(421)가 맞물리는 랙 레일(411)이 구비된다.
한편, 액추에이터(420)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서 정 회전 또는 역회전 구동을 수행하는 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모터에 연결된 다수의 기어 전동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이 좌우 양측으로 관통 구비되고, 상기 회전축의 양단에는 피니언 기어(421)가 구비되되 장전 동작시 장전발사 전동부(300)의 제2 베벨 기어(320)에 맞물리게 되는 부분에는 피니언 기어(421)와 함께 제1 베벨 기어(423)가 일체형으로 구비된다.
이에 따라,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420)의 정 회전 구동시 회전축의 양단에 구비된 피니언 기어(421)가 랙 레일(411)에 맞물리며 액추에이터(420)가 장전발사 전동부(300)를 향해 근접되는 장전 동작이 이뤄지도록 할 수 있으며, 장전 동작을 위해 액추에이터(420)가 장전발사 전동부(300)를 향해 근접하다가 제1 베벨 기어(423)가 제2 베벨 기어(320)에 맞물리게 되는 장전 동작이 실제 이뤄질 수 있는 위치로 최대한 근접하게 되면 피니언 기어(421)가 아무리 회전하더라도 래칫 출몰부(430)에 의해 헛돌게 되며 액추에이터(420)가 더 이상 전진하지 못하도록 억제하고, 장전 동작이 이뤄지는 동안에는 피니언 기어(421) 중 제2 베벨 기어(320)를 향한 피니언 기어(421)와 일체형으로 마련된 제1 베벨 기어(423)가 제2 베벨 기어(320)에 맞물려 제2 베벨 기어(320)를 회전시킴에 의해 탄성 긴장 부재(210)에 연결된 줄(310)이 당겨져 감기도록 하며, 액추에이터(420)의 역회전 구동시에는 피니언 기어(421)가 래칫 출몰부(430)에 걸림에 의해 액추에이터(420)가 후진 되도록 하여 제2 베벨 기어(320)와 제1 베벨 기어(423)의 접촉 해제 및 탄성 긴장 부재(21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제2 베벨 기어(320)가 줄(310)의 권취 반대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되며 발사 동작이 이뤄지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칫 출몰부(430)의 하부에는 스프링 또는 고무 주름판과 같은 탄성 부재가 구비되고, 래칫 출몰부(430)의 상단 중 장전발사 전동부(300)를 향한 측면은 경사면이 형성되게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전 동작시 제1 베벨 기어(423)만 제2 베벨 기어(320)에 맞물려 제2 베벨 기어(320)가 권취 회전되는 동안 피니언 기어(421)는 래칫 출몰부(430)의 상단 경사면에 헛돌게 되어 액추에이터(420)가 더 이상 전진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고,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사 동작시에는 피니언 기어(421)가 역회전 되면서 래칫 출몰부(430)의 상단 수직 부분에 바로 걸리게 되어 액추에이터(420)가 1 ~ 2 mm 정도 후진하면서 제2 베벨 기어(320)를 물고 있던 제1 베벨 기어(423)가 제2 베벨 기어(320)로부터 멀어지며 탄성 긴장 부재(21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제2 베벨 기어(320)가 권취 반대 방향으로 순간적으로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풀어주게 될 수 있다.
액추에이터(420)는 장전 시 전동부(300) 쪽으로 후진하고, 발사 시 전진한다. 베벨 기어(320, 423)는 액추에이터(420)의 일측에 형성되어 장전 시 전동부(300)의 회전력을 탄성 긴장 부재(210)에게 전달한다.
피니언 기어(421)는 액추에이터의 타측에 형성되어 장전 시 헛돌고, 발사 시 액추에이터(420)를 전진하도록 한다. 탄성 긴장 부재(210)는 전동부(300)의 회전력에 의해 줄(310)을 감기도록 하고, 발사 시 줄(310)을 풀리게한다.
피니언 기어(421) 등 기어는 장전 시 기어의 헛돌림과 발사 시 기어의 역회전이 일어나 기어 음향을 제공하여 실감적 포격게임의 집중도를 증가시키는 기능이 있고, 하나의 전동부에 의해 장전과 발사로 구동되어 전력소모를 감소시키는 기능이 있다. 예를 들어 헛돌림 음향은 기어의 헛도는 마찰에 의해 발생하는 “따각따각”소리이고, 역회전 음향은 탄성력이 집약된 상태에서 원래의 상태로 복원하면서 액추에이터가 전진하여 발생하는 “탕”소리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실감 교육을 위한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로서, 다목적 실감 교육을 위한 시스템은 발사장치(10) 및 조작단말기(20)를 포함한다.
발사장치(10)는 복수의 기어에 의해 조립되고, 장전과 발사를 위한 공격 알고리즘이 코딩되며, 데미지의 감지와 표출을 위한 입출력모듈(미도시)이 구비되고, 데미지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통신모듈(미도시)이 구비된다.
코딩에 관한 정보는 USB 등 저장매체에 저장될 수 있고, 발사장치(10)는 저장매체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모듈(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입출력모듈은 충격이나 진동에 대하여 감지하거나 입력받을 수 있고, 소리나 LED를 통하여 데미지를 출력할 수 있는 모듈이다. 입출력모듈 전술한 이외의 다양한 센서나 출력기기를 채용할 수 있고,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통신모듈은 조작단말기(20)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로서, 대표적으로 블루투스일 수 있고, 지그비 등 다양한 근거리 통신모듈을 채용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데미지정보는 상대편으로부터 발사된 발사체를 감지한 정보일 수 있고, 감지여부에 따른 정보도 포함할 수 있다.
조작단말기(20)는 발사장치(10)의 조작을 위한 단말기로서, 대표적으로 스마트폰이다.
조작단말기(10)는 데미지정보를 표출하기 위한 표출모듈(미도시)이 구비되고, 발사장치(10)의 조립과 코딩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졌는지 검사하기 위해 발사장치(10)의 동작을 조작하며, 대전을 위한 포격게임도 제공한다.
표출모듈은 발사장치(10)가 받은 데미지를 표출하기 위한 모듈로서, 대표적으로 디스플레이, 소리 또는 진동이다. 표출모듈은 전술한 이외의 다양한 센서나 출력기기를 채용할 수 있고,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조립, 코딩, 검사 및 게임 과정의 시계열적 시나리오로 교육을 제공함으로써, 쳬계적인 교육을 실현할 수 있고, 경쟁적 요소를 유발하여 사용자의 교육 몰입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조작단말기(20)는 제1 발사장치(10a)와 1대1 통신을 하는 제1 조작단말기(20a) 및 제2 발사장치(10b)와 1대1 통신을 하는 제2 조작단말기(2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조작단말기(20a)는 공격조작정보를 제1 발사장치(10a)에게 송신할 수 있고, 공격시점정보를 제2 조작단말기(20b)에게 송신할 수 있다. 공격조작정보는 전후좌후 이동에 따른 조작정보을 포함할 수 있고, 발사체에 각도 조정에 따른 조작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전동부(300)의 회전 수 등 발사체의 속도에 관한 조작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공격시점정보는 발사체가 발사된 시점의 정보이다.
제2 조작단말기(20b)는 제2 발사장치(10b)의 데미지 감지여부에 따른 데미지정보를 제1 조작단말기(10a)에게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발사장치(10)와 조작단말기(20)의 통신 및 조작단말기 간 통신을 제공하여 통신의 충돌을 회피할 수 있고, 2인 이상의 대전게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조작단말기(20a)와 제2 조작단말기(20b)가 서로 공격조작정보와 데미지정보를 공유하고, 데미지정보를 표출하는 시간이 동기화되어 데미지에 대한 표출 효과를 더욱 증폭시킬 수 있다.
상기에 의해 설명되고 첨부된 도면에서 그 기술적인 면이 기술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은 그 설명을 위한 것이고, 그 제한을 두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적인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을 이하 후술 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발사장치 10a : 제1 발사장치
10b : 제2 발사장치 20 : 조작단말기
20a : 제1 조작단말기 20b : 제2 조작단말기
100 : 본체 플레이트 110 : 이동바퀴
200 : 포신부 210 : 탄성 긴장 부재
220 : 걸림부 230 : 타격 발사부
300 : 장전발사 전동부 310 : 줄
320 : 제2 베벨 기어 400 : 장전발사 구동 어셈블리
410 : 왕복 가이드 411 : 랙 레일
420 : 액추에이터 421 : 피니언 기어
423 : 제1 베벨 기어 425 : 가이드 물림부
430 : 래칫 출몰부

Claims (4)

  1. 복수의 기어에 의해 조립되고, 장전과 발사를 위한 공격 알고리즘이 코딩되며, 데미지의 감지와 표출을 위한 입출력모듈이 구비되고, 데미지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통신모듈이 구비된 발사장치(10) 및
    상기 데미지정보를 표출하기 위한 표출모듈이 구비되고, 발사장치의 조립과 코딩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졌는지 검사하기 위해 발사장치의 동작을 조작하며, 대전을 위한 포격게임도 제공하는 조작단말기(20)를 포함하고,
    조립, 코딩, 검사 및 게임 과정의 시계열적 시나리오로 교육을 제공하며,
    상기 기어는 장전 시 기어의 헛돌림과 발사 시 기어의 역회전이 일어나 기어 음향을 제공하여 실감적 포격게임의 집중도를 증가시키는 기능이 있고, 하나의 전동부에 의해 장전과 발사로 구동되어 전력소모를 감소시키는 기능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실감 교육을 위한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사장치는,
    장전 시 전동부(300) 쪽으로 후진하고, 발사 시 전진하는 액추에이터(420);
    상기 액추에이터의 일측에 형성되어 장전 시 전동부의 회전력을 탄성 긴장 부재(210)에게 전달하는 베벨 기어(320, 423);
    상기 액추에이터의 타측에 형성되어 장전 시 헛돌고, 발사 시 액추에이터를 전진하도록 하는 피니언 기어(421) 및
    상기 장전 시 전동부의 회전력에 의해 줄(310)을 감기도록 하고, 발사 시 줄을 풀리게 하는 탄성 긴장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실감 교육을 위한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단말기는 제1 발사장치(10a)와 1대1 통신을 하는 제1 조작단말기(20a) 및 제2 발사장치(10b)와 1대1 통신을 하는 제2 조작단말기(20b)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조작단말기는 공격조작정보를 제1 발사장치에게 송신하고, 공격시점정보를 제2 조작단말기에게 송신하며,
    상기 제2 조작단말기는 제2 발사장치의 데미지 감지여부에 따른 데미지정보를 제1 조작단말기에게 송신하고,
    상기 발사장치와 조작단말기의 통신 및 조작단말기 간 통신을 제공하여 통신의 충돌을 회피하고, 2인 이상의 대전게임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실감 교육을 위한 시스템.


KR1020220124886A 2022-09-30 2022-09-30 다목적 실감 교육을 위한 시스템 KR1026522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4886A KR102652254B1 (ko) 2022-09-30 2022-09-30 다목적 실감 교육을 위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4886A KR102652254B1 (ko) 2022-09-30 2022-09-30 다목적 실감 교육을 위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2254B1 true KR102652254B1 (ko) 2024-03-27

Family

ID=90480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4886A KR102652254B1 (ko) 2022-09-30 2022-09-30 다목적 실감 교육을 위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225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1968U (ko) 2014-12-01 2016-06-09 허둔가 분실방지를 위한 교육용 로켓발사대
JP2017159111A (ja) * 2017-05-25 2017-09-14 エスゼット ディージェイアイ テクノロジー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Sz Dji Technology Co.,Ltd 方法、システム、および車両
KR20180026714A (ko) * 2018-03-06 2018-03-13 (주)엠알티인터내셔널 코딩 툴 키트
JP2019118485A (ja) * 2017-12-28 2019-07-22 株式会社バンダイナムコアミューズメントラボ 対戦システム及び移動機器
KR20190088787A (ko) * 2018-01-19 2019-07-29 김태권 알고리즘 교육을 위한 작동 모듈이 구비된 조합가능형 로봇 블록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1968U (ko) 2014-12-01 2016-06-09 허둔가 분실방지를 위한 교육용 로켓발사대
JP2017159111A (ja) * 2017-05-25 2017-09-14 エスゼット ディージェイアイ テクノロジー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Sz Dji Technology Co.,Ltd 方法、システム、および車両
JP2019118485A (ja) * 2017-12-28 2019-07-22 株式会社バンダイナムコアミューズメントラボ 対戦システム及び移動機器
KR20190088787A (ko) * 2018-01-19 2019-07-29 김태권 알고리즘 교육을 위한 작동 모듈이 구비된 조합가능형 로봇 블록
KR20180026714A (ko) * 2018-03-06 2018-03-13 (주)엠알티인터내셔널 코딩 툴 키트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26714호(2018.3.13. 공개) 1부.*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19-118485호(2019.7.22. 공개) 1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61950B2 (en) Mutually attachable physical pieces of multiple states transforming digital characters and vehicles
US7131887B2 (en) Card interactive amusement device
US8057276B2 (en) Toy
WO2002026338A1 (en) Card interactive amusement device
JPH048381A (ja) 体感ゲーム機
Berens et al. The rough guide to videogaming
US4556396A (en) Stunt-performing toy vehicle
US5323755A (en) Toy gun
CN105413168A (zh) 智能玩具系统
Metaxas et al. SCORPIODROME: an exploration in mixed reality social gaming for children
Weiss Classic home video games, 1972-1984: A complete reference guide
US9095770B2 (en) Launching toy game
KR102652254B1 (ko) 다목적 실감 교육을 위한 시스템
CN204563582U (zh) 一种陀螺电动发射装置
CN202506122U (zh) 一种可控投弹的遥控玩具直升机
KR102642792B1 (ko) 교육용 소형 이동식 발사장치
CN219630600U (zh) 一种陀螺玩具球
CN202506124U (zh) 一种趣味性强的玩具导弹装置
CN202024649U (zh) 模拟真枪后作力的重锤结构
CN201837309U (zh) 一种玩具手枪
US20140349547A1 (en) Wirelessly controlled action figures
US20200298134A1 (en) Iot interactive magnetic smart modular toy
TWI659770B (zh) 物聯網互動的磁性智能組合玩具
JP3886832B2 (ja) 赤外線発射式戦車戦闘システム
CN210543351U (zh) 一种可健身流星炮玩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