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2083B1 - 리모트 컨트롤러 - Google Patents

리모트 컨트롤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2083B1
KR102652083B1 KR1020190114134A KR20190114134A KR102652083B1 KR 102652083 B1 KR102652083 B1 KR 102652083B1 KR 1020190114134 A KR1020190114134 A KR 1020190114134A KR 20190114134 A KR20190114134 A KR 20190114134A KR 102652083 B1 KR102652083 B1 KR 1026520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substrate
contact
frame
display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4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32738A (ko
Inventor
이선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141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2083B1/ko
Publication of KR202100327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27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20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20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67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damage from electrostatic discharg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FSTATIC ELECTRICITY; NATURALLY-OCCURRING ELECTRICITY
    • H05F3/00Carrying-off electrostatic charges
    • H05F3/02Carrying-off electrostatic charges by means of earthing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러는 제1프레임, 제2프레임, 기판, 디스플레이모듈 및 탄성마운트를 포함한다. 제1프레임은 미리 정해진 크기로 뚫린 표시구를 포함한다. 제2프레임은 제1프레임과 결합해 수용공간을 형성한다. 그리고, 복수 개의 결합구를 포함한다.
기판은 수용공간에 수용되고, 표시구를 향한 일면에 다수 개의 그라운드가 형성된다. 디스플레이모듈은 기판의 전면에 배치되어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표시구를 통해 적어도 일부가 외부로 노출된다.
탄성마운트는 대향되는 두 개의 면을 포함한다. 그리고, 그 중 일면은 그라운드와 타면은 디스플레이모듈과 접해 기판 및 디스플레이모듈 사이에 개재된다. 기판 및 디스플레이모듈은 탄성마운트에 의해 미리 정해진 간격만큼 이격된다. 그리고, 탄성마운트는 그 외측둘레가 도전체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리모트 컨트롤러{REMOTE CONTROLLER}
개시되는 내용은 리모트 컨트롤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신체가 접근 시 발생할 수 있는 정전기를 디스플레이장치와 같이 정전기에 민감한 부품에 손상을 주지 않고 접지시키는 리모트 컨트롤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양한 전자장치들은 사용자로부터 정해진 입력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제어된다. 사용자는 전자장치의 본체에 마련된 UI수단을 이용해 전자장치의 제어를 수행할 수도 있고, 별도로 마련된 리모트 컨트롤러에 마련된 UI수단을 사용할 수도 있다.
리모트 컨트롤러는 무선 또는 유선으로 전자장치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주거나 받는다.
무선 리모트 컨트롤러의 경우 근거리 무선 통신(NFC, near field communication)을 통해 정해진 전자장치와 정보를 주거나 받고, 유선 리모트 컨트롤러의 경우는 전자장치와 적어도 한 방향으로 전원이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연결선을 통해 연결된다.
리모트 컨트롤러에는 사용자의 입력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UI 이외에도 사용자에게 소정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영상표시장치가 구비되기도 한다.
이와 관련된 문헌으로서,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135830호(이하, '관련기술 1'이라 한다.)는 '디스플레이 가능한 리모콘 장치 및 구동방법'을 개시한다.
관련기술 1의 리모콘 장치는 수 개의 키와 액정 디스플레이 수단을 포함한다. 액정 디스플레이 수단은 각 키의 조작정보를 표시해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한다.
액정 디스플레이 수단은 리모콘 장치에 내장되는 기판과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고 정해진 정보를 표시하게 된다.
리모콘 장치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사용하는 것이 보편적인데, 사용자가 리모콘 장치를 조작하기 위해 접근하는 경우에 사용자와 리모콘 장치 사이에는 정전기가 발생하기도 한다.
이때, 관련기술 1과 같이 액정 디스플레이 수단이 포함된 리모콘 장치의 경우에 정전기로 인한 높은 전류가 순간적으로 액정 디스플레이 수단으로 흘러들 수 있고, 이를 통해 액정 디스플레이 수단에 심각한 손상이 가해지기도 하였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5-0026282호(이하, '관련기술 2'라 한다.)는 '카 오디오용 엘시디 기판의 접지 구조체'를 개시한다.
관련기술 2에는 엘시디모듈 및 엘시디기판이 접지 구조체를 통해 결합되는 구성이 개시된다. 접지 구조체는 엘시디모듈 및 엘시디기판에 정전기가 발생해 과전류가 흐를 경우 과전류를 방전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종래에는 엘시디모듈 및 엘시디기판을 납땜(soldering)하여 통전 시키거나, 관련기술 2에 개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접지 구조체를 이용해 엘시디모듈 및 엘시디기판을 연결하여야 했다. 이러한 방식들은 엘시디모듈 및 엘시디기판의 조립을 번거롭게 하였고, 과전류를 방전시키기 위해 별도의 부품들을 필요로 해 생산단가가 높아진다는 단점도 있었다.
전술한 관련기술은 발명자가 개시되는 내용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개시되는 내용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개시되는 내용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개시되는 내용의 일 과제는, 사용자의 접근 시 발생할 수 있는 정전기로 인해 부품의 일부가 손상되기 쉬웠던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다.
개시되는 내용의 다른 과제는, 디스플레이모듈 및 기판의 접지를 위한 부속들이 복잡한 구성을 지님에 따라 생산단가가 높아짐과 아울러 조립도 어려웠던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다.
개시되는 내용의 또 다른 과제는, 생산과정에서 발생하는 가공 오차로 인해 리모트 컨트롤러의 외형을 이루는 케이스와 디스플레이모듈의 표시부가 접하는 부분에 단차가 발생할 수 있었던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다.
개시되는 내용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내용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나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러는 제1프레임, 제2프레임, 기판, 디스플레이모듈 및 탄성마운트를 포함한다. 제1프레임은 미리 정해진 크기로 뚫린 표시구를 포함한다. 제2프레임은 제1프레임과 결합해 수용공간을 형성한다. 그리고, 복수 개의 결합구를 포함한다.
기판은 수용공간에 수용되고, 표시구를 향한 일면에 다수 개의 그라운드가 형성된다. 디스플레이모듈은 기판의 전면에 배치되어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표시구를 통해 적어도 일부가 외부로 노출된다.
탄성마운트는 대향되는 두 개의 면을 포함한다. 그리고, 그 중 일면은 그라운드와 타면은 디스플레이모듈과 접해 기판 및 디스플레이모듈 사이에 개재된다. 기판 및 디스플레이모듈은 탄성마운트에 의해 미리 정해진 간격만큼 이격된다. 그리고, 탄성마운트는 그 외측둘레가 도전체로 이루어진다.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러는 기판 및 제1프레임 사이에 개재되며 탄성변형하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버튼패드를 더 포함하고, 제1프레임은 뚫린 자리로 이루어져 버튼패드의 적어도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다수 개의 버튼홀을 포함한다. 그리고, 기판은 버튼패드와 이격이 유지되나, 버튼패드가 탄성변형하면 버튼패드와 접하는 다수 개의 접점을 포함한다.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러에서 디스플레이모듈은 표시구와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고, 표시구를 통해 노출되는 일면에 정보가 표시되는 표시부 및 표시구로 노출되는 일면을 제외한 표시부의 외측 일부를 감싸는 케이스를 포함한다.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러에서 케이스는 도전체로 이루어지고, 탄성마운트는 일면이 그라운드와 접하며 타면은 케이스와 접한다.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러에서 표시구의 경계를 형성하는 제1프레임의 내측면에 케이스가 접하고, 탄성마운트는 외력에 의해 탄성변형한다.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러에서 표시부는 표시구를 통해 노출된 일면이 사용자의 접촉을 감지하도록 구비된다.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러에서 탄성마운트는 탄성코어, 도전부 및 접착부를 포함한다.
탄성코어는 탄성 변형되는 재질로 이루어져 적어도 한 쌍의 대향되는 양면이 편평하게 형성된다.
도전부는 탄성코어의 대향되는 양면을 포함해 탄성코어의 외측둘레 중 일부를 감싸고, 도전체로 이루어진다.
접착부는 도전부의 외측 일부에 구비되되, 상기 탄성코어의 편평한 일면에 위치한다.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러에서 접착부는 그라운드와 접해 기판 및 탄성마운트를 접착시킨다.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러에서 기판 및 표시구 사이의 거리보다 탄성마운트의 높이가 더 길게 형성된다.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러에서 각각의 그라운드는 기판의 일면에 형성되고, 접착부의 면적보다 넓은 넓이로 이뤄진다.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러는 제1프레임, 제2프레임, 기판, 탄성마운트, 디스플레이모듈 및 연결선을 포함한다. 그리고, 그라운드는 연결선을 통해 접지된다.
개시되는 내용에 의하면, 사용자의 신체와 리모트 컨트롤러 사이에 정전기가 발생하여도, 디스플레이모듈이 기판에 마련된 그라운드와 접지됨으로써, 디스플레이 모듈에 손상없이 과전류가 즉시 방전되는 효과가 있다.
개시되는 내용에 의하면, 기판과 디스플레이모듈 사이에 탄성마운트가 개재되고 탄성마운트는 기판의 그라운드에 접착되도록 구성되어, 부품이 간소화 되는 장점이 있다.
개시되는 내용에 의하면, 기판의 그라운드에 탄성마운트를 접착시키고, 탄성마운트 위에 디스플레이모듈이 올려 놓임으로써 그 조립이 쉽고 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개시되는 내용에 의하면, 기판과 디스플레이모듈 사이에 탄성마운트가 개재되고, 탄성마운트는 디스플레이모듈을 제1프레임 방향으로 탄성 가압함으로써, 제작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가공 오차에도 표시부가 단차없이 표시구에 결합되는 효과가 있다.
개시되는 내용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단면도이다.
도 4는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러에서 탄성마운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러에서 탄성마운트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A-A'사시도로서, 정전기 발생 시 과전류가 그라운드로 접지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A-A'사시도로서, 탄성마운트가 디스플레이모듈이 기판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가압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1의 A-A'사시도로서, 디스플레이모듈의 표시부와 제1프레임의 표시구 사이에 단차가 발생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1의 A-A'사시도로서, 탄성마운트의 탄성력에 의해 디스플레이모듈의 표시부와 제1프레임의 표시구가 단차없이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개시되는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러의 사시도이다.
이하, 개시되는 내용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시되는 내용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보다 상세하게 서술하고자 한다. 상세한 설명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러(1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러(10)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A-A'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러(10)는 제1프레임(100), 제2프레임(200), 기판(300), 버튼패드(400), 디스플레이모듈(500) 및 탄성마운트(600)를 포함한다.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러(10)는 제1프레임(100) 및 제2프레임(200)이 서로 결합하여 그 외형을 이룬다.
제1프레임(100) 및 제2프레임(200)은 그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한다.
제1프레임(100) 및 제2프레임(200)이 형성하는 수용공간에는 기판(300), 버튼패드(400) 및 디스플레이모듈(500)이 배치된다.
도 1에 도시된 바를 기준으로, 또한 사용자가 개시되는 내용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러(10)를 조작할 때 사용자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면, 제1프레임(100)이 전면, 제2프레임(200)이 후면을 이루어 리모트 컨트롤러(10)의 외형을 이룬다.
제1프레임(100)에는 디스플레이모듈(500)의 표시부(510)가 전면을 향해 노출될 수 있도록 개방되는 공간인 표시구(110)가 형성된다.
또한, 제1프레임(100)에는 사용자가 터치 또는 가압해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버튼이 전면을 향해 노출될 수 있도록 개방된 다수 개의 버튼홀(120)이 형성된다.
버튼홀(120)은 개시되는 내용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그 갯수와 형태가 정해질 수 있다.
제2프레임(200)은 내측에 기판(300)이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체결구(210)가 형성될 수 있다.
제2프레임(200)에 형성된 체결구(210)에 기판(300)이 고정될 수 있고, 기판(300)이 체결구(210)와 결합되는 방식은 볼트결합일 수 있으며, 개시되는 내용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의 결합방식이 채택될 수 있을 것이다.
제1프레임(100) 및 제2프레임(200)은 그 외측에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신호 발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기판(300)은 양면이 편평하게 형성된 판상으로 이루어진다.
기판(300)은 적어도 일면에 회로부품(320)들이 결합될 수 있고, 회로부품(320)들이 결합되는 일면에 미리 정해진 경로로 전기신호가 통할 수 있는 전기배선(310)이 형성될 수 있다.
기판(300)은 인쇄회로기판(300)(PCB)으로서, 회로부품(320)들이 접속하는 전기배선(310)을 일련의 경로로 배치한 것일 수 있다. 전기배선(310)은 전기도체로 이루어지고, 전기배선(310)은 에칭등의 공법으로 기판(300)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될 수 있다.
기판(300)은 전술한 내용으로 한정되지 않고, 개시되는 내용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회로부품(320)들이 서로 전기신호를 주거나 받으며 미리 정해진 절차를 수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기판(300)의 일면에는 버튼패드(400)가 배치된다. 버튼패드(400)가 인접한 기판(300)의 일면에는 다수 개의 접점(330)이 형성되고, 접점(330)은 버튼패드(400)의 정해진 부분을 사용자가 터치 또는 가압 시 이를 감지해 전기신호로 입력받도록 구비된다.
기판(300)은 제2프레임(200)의 체결구(210)와 결합되는 결합구(340)가 다수 개 형성된다. 결합구(3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되어 뚫린 형태일 수 있고, 체결구(210)와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며, 체결구(210) 및 결합구(340)의 상호 결합 방식에 따라 그 형상 및 갯수가 결정될 수 있다.
기판(300)은 전면에 버튼패드(400)가 배치되는 구역과 디스플레이모듈(500)이 배치되는 구역이 각기 나뉘어 진다. 버튼패드(400)는 전면을 향해 돌출된 다수 개의 버튼을 포함할 수 있고, 버튼들은 제1프레임(100)에 형성된 버튼홀(120)을 통해 제1프레임(100)을 관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모듈(500)은 제1프레임(100)의 표시구(110)가 형성된 위치와 대응되도록 기판(300)에 결합된다.
기판(300)에는 디스플레이모듈(500)이 배치되는 일면에 적어도 하나의 그라운드(350)가 형성된다.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 개의 그라운드(350)가 형성될 수 있다. 그라운드(350)는 기판(300)의 일면에 형성되고 미리 정해진 크기를 갖는 편평한 면으로 이루어지고, 전기가 흐를 수 있는 도전체로 이뤄진다.
기판(300)에 형성된 그라운드(350)들에는 탄성마운트(600)가 접착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탄성마운트(600)의 배면이 그라운드(350)에 접착되고, 탄성마운트(600)의 전면에 디스플레이모듈(500)이 그 표시부(510)가 전면을 향하도록 안착된다.
도 4는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러(10)에서 탄성마운트(600)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러(10)에서 탄성마운트(600)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서 탄성마운트(600)의 외형은 육면체 일 수 있다. 이는 개시되는 내용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적절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탄성마운트(600)는 적어도 한 쌍의 마주보는 면이 서로 평행한 면으로 이루어진다.
탄성마운트(600)는 탄성코어(610), 도전부(620) 및 접착부(630)를 포함한다.
탄성코어(610)는 탄성변형되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탄성코어(610)는 외력에 의해 그 외형이 변형되나 외력이 제거되면 원래의 형태로 복구될 수 있고, 탄성변형된 상태에서 원래의 형태로 복구하기 위한 탄성력이 작용한다.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서 탄성코어(610)는 육면체로 이루어진다. 그라운드(350)와 접하는 배면 및 디스플레이모듈(500)과 접하는 전면은 편평하게 형성되고, 도전부(620)가 전면과 배면을 둘러서 배치될 수 있다.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서 도전부(620)는 박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탄성코어(610)의 외측둘레를 감싸되, 탄성코어(610)의 편평하게 형성된 배면 및 전면을 지나도록 구비된다.
탄성마운트(600)는 그 배면에 또는 배면과 전면 모두에 접착부(630)가 형성될 수 있다. 접착부(630)는 접착제로 구현될 수도 있고, 박막의 접착필름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다만 접착부(630)는 전기를 통하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또는, 접착부(630)는 탄성마운트(600)의 배면 일부에 마련되고, 접착부(630)를 제외한 탄성마운트(600)의 도전체로 둘러싸인 외측면이 직접 그라운드(350)와 접할수도 있다.
따라서, 탄성마운트(600)는 외력에 의해 탄성변형되는 성질을 갖고, 편평하게 이루어진 전면과 배면이 서로 통전되며, 배면이 기판(300)의 그라운드(350)에 접착될 수 있게 구비된다.
디스플레이모듈(500)은 기판(300)과 연결되어 기판(300)으로부터 전원 및 전기신호를 공급받고 전면에 마련된 표시부(510)를 통해 영상정보를 출력한다. 표시부(510)는 케이스(520)에 수용될 수 있고, 케이스(520)는 표시부(510)의 배면 및 측면들을 둘러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케이스(520)는 도전체로 이루어진다.
또한, 디스플레이모듈(500)의 표시부(510)는 사용자의 접촉을 감지할 수도 있다. 이는 사용자가 표시부(510)를 접촉함으로써 표시부(510)를 통해 미리 정해진 입력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기판(300)에 형성된 그라운드(350) 위에 탄성마운트(600)가 접착되고, 탄성마운트(600)의 위에는 케이스(520)가 접하며 놓여진다.
도 6은 도 1의 A-A'사시도로서, 정전기 발생 시 과전류가 그라운드(350)로 접지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러(10)에 사용자의 신체가 접근함에 따라 정전기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모듈(500)과 사용자의 신체 사이에 정전기가 발생해 과전류가 순간적으로 흐를 경우, 생성된 과전류는 디스플레이모듈(500)의 케이스(520), 탄성마운트(600)의 도전부(620), 접착부(630)를 거쳐 기판(300)의 그라운드(350)로 흘러간다. 기판(300)에 형성된 그라운드(350)는 기판(300) 또는 제1,2프레임(100, 200)에 접지를 위한 구성이 마련되어 과전류를 방전시킬 수 있다.
도 7은 도 1의 A-A'사시도로서, 탄성마운트(600)가 디스플레이모듈(500)이 기판(300)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가압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1의 A-A'사시도로서, 디스플레이모듈(500)의 표시부(510)와 제1프레임(100)의 표시구(110) 사이에 단차가 발생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도 1의 A-A'사시도로서, 탄성마운트(600)의 탄성력에 의해 디스플레이모듈(500)의 표시부(510)와 제1프레임(100)의 표시구(110)가 단차없이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러(10)는 제1프레임(100)에 형성된 표시구(110)로 디스플레이모듈(500)의 표시부(510)가 노출된다.
이때, 디스플레이모듈(500)은 제1프레임(100) 및 제2프레임(200)이 형성하는 수용공간에 수용되고, 표시부(510)가 표시구(110)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되며, 케이스(520)가 표시구(110)와 인접한 제1프레임(100)의 내측면과 접한다.
그리고, 기판(300)과 제1프레임(100)의 표시구(110) 사이의 거리보다, 탄성마운트(600)의 높이가 더 길게 형성된다.
즉, 기판(300)의 그라운드(350)와 접하는 탄성마운트(600)의 배면을 제1면이라 하고, 디스플레이모듈(500)의 케이스(520)와 접하는 탄성마운트(600)의 전면을 제2면이라고 할 경우, 탄성마운트(600)의 제1면과 제2면 사이의 길이는 기판(300)과 제1프레임(100)의 표시구(110) 사이의 간격보다 길게 형성된다.
기판(300)과 제1프레임(100)의 표시구(110) 사이의 거리보다 탄성마운트(600)의 높이가 짧은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프레임(100)의 표시구(110)와 디스플레이모듈(500)의 표시부(510) 사이에 단차가 발생된다. 따라서, 탄성마운트(600)는 기판(300)과 디스플레이모듈(500)의 케이스(520) 사이에 개재되어 디스플레이모듈(500)을 제1프레임(100) 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표시구(110)와 표시부(510) 사이의 단차가 형성되지 않게 한다.
이를 위해, 제1프레임(100) 및 제2프레임(200)이 결합 시 표시구(110)에 표시부(510)가 대응되도록 한 후 표시구(110)와 인접한 제1프레임(100)의 내측면이 케이스(520)를 기판(300) 방향으로 가압하는 상태로 결합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탄성마운트(600)의 탄성력에 의해 표시부(510) 및 표시구(110)는 단차없이 결합된다.
또한, 탄성마운트(600)가 접착되는 그라운드(350)는 탄성마운트(600)가 접하는 면보다 큰 넓이로 형성된다.
도 10은 개시되는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러의 사시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시되는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러(10)는 유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프레임(100) 및 제2프레임(200)의 외측으로 연결선(700)이 연장되어 제어 대상인 장치와 연결될 수 있으며, 연결선(700)은 전원 및/또는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때, 기판(300)에 형성된 그라운드(350)는 연결선(700)과 연결되고, 연결선(700)을 통해 종국적으로 외부 접지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개시되는 내용의 실시예들이 도면과 함께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전술한 실시예들과 도면으로 본 발명이 한정되진 않는다.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개시되는 내용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개시되는 내용의 실시예들을 변형할 수 있음이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개시되는 내용의 구성에 따른 작용이나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지 않았을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들까지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 리모트 컨트롤러
100: 제1프레임 110: 표시구
120: 버튼홀
200: 제2프레임 210: 체결구
300: 기판 310: 전기배선
320: 회로부품 330: 접점
340: 결합구 350: 그라운드
400: 버튼패드
500: 디스플레이모듈 510: 표시부
520: 케이스
600: 탄성마운트 610: 탄성코어
620: 도전부 630: 접착부
700: 연결선

Claims (11)

  1. 미리 정해진 크기로 뚫린 표시구를 포함하는 제1프레임;
    상기 제1프레임과 결합해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복수 개의 결합구를 포함하는 제2프레임;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고, 상기 표시구를 향한 일면에 다수 개의 그라운드가 형성되는 기판;
    상기 기판의 전면에 배치되어 상기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표시구를 통해 적어도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디스플레이모듈; 및
    대향되는 두 개의 면이 서로 평행한 육면체로서, 일면은 상기 그라운드와 접하고 타면은 상기 디스플레이모듈과 접해 상기 기판 및 상기 디스플레이모듈 사이에 개재됨으로써 상기 기판 및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이 미리 정해진 간격만큼 이격 되도록 하며, 상기 그라운드와 접하는 일면은 상기 디스플레이모듈과 접하는 타면과 도전체로 연결되는 탄성마운트;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마운트는,
    서로 대향되는 두 개의 편평한 면이 서로 평행한 육면체로서, 외력에 의해 외형이 변형되고, 외력이 제거되면 원래의 형태로 복구되는 탄성코어;
    상기 그라운드와 접하는 일면과 상기 디스플레이모듈과 접하는 타면을 포함한 상기 탄성코어의 외측둘레 중 일부를 둘러 감싸고, 도전체로 이루어지는 도전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모듈과 접하는 타면에 구비되되, 상기 도전부와 상기 그라운드를 서로 접착시키는 박막의 접착필름으로서 대응되는 상기 그라운드보다 작은 면적으로 형성되는 접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기판 및 상기 표시구 사이의 거리보다 상기 탄성마운트의 높이가 더 길게 형성되어 상기 탄성마운트는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을 상기 제1프레임 방향으로 가압하는,
    리모트 컨트롤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및 상기 제1프레임 사이에 개재되며 탄성변형하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버튼패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프레임은,
    뚫린 자리로 이루어져 상기 버튼패드의 적어도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다수 개의 버튼홀;을 포함하며,
    상기 기판은,
    상기 버튼패드와 이격이 유지되나, 상기 버튼패드가 탄성변형하면 상기 버튼패드와 접하는 다수 개의 접점;을 포함하는,
    리모트 컨트롤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은,
    상기 표시구와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표시구를 통해 노출되는 일면에 정보가 표시되는 표시부; 및
    상기 표시구로 노출되는 일면을 제외한 상기 표시부의 외측 일부를 감싸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리모트 컨트롤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도전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탄성마운트는 일면이 상기 그라운드와 접하며 타면은 상기 케이스와 접하는,
    리모트 컨트롤러.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구의 경계를 형성하는 상기 제1프레임의 내측면에 상기 케이스가 접하고, 상기 탄성마운트는 외력에 의해 탄성변형하는,
    리모트 컨트롤러.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표시구를 통해 노출된 일면이 사용자의 접촉을 감지하도록 구비되는,
    리모트 컨트롤러.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는 상기 그라운드와 접해 상기 기판 및 상기 탄성마운트를 접착시키는,
    리모트 컨트롤러.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90114134A 2019-09-17 2019-09-17 리모트 컨트롤러 KR1026520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4134A KR102652083B1 (ko) 2019-09-17 2019-09-17 리모트 컨트롤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4134A KR102652083B1 (ko) 2019-09-17 2019-09-17 리모트 컨트롤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2738A KR20210032738A (ko) 2021-03-25
KR102652083B1 true KR102652083B1 (ko) 2024-03-27

Family

ID=75222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4134A KR102652083B1 (ko) 2019-09-17 2019-09-17 리모트 컨트롤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208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03450A (ja) * 2004-01-13 2005-07-28 Sony Corp 遠隔操作装置
JP2008141963A (ja) * 2006-12-06 2008-06-26 Matsuyama Plow Mfg Co Ltd 農作業機
KR101884930B1 (ko) * 2018-02-01 2018-08-03 주식회사 이송이엠씨 리플로우 솔더링이 가능한 열/전기 전도성 탄성체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92500A (en) * 1996-08-12 1999-04-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mote controller
KR102588526B1 (ko) * 2016-08-09 2023-10-13 삼성전자주식회사 입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03450A (ja) * 2004-01-13 2005-07-28 Sony Corp 遠隔操作装置
JP2008141963A (ja) * 2006-12-06 2008-06-26 Matsuyama Plow Mfg Co Ltd 農作業機
KR101884930B1 (ko) * 2018-02-01 2018-08-03 주식회사 이송이엠씨 리플로우 솔더링이 가능한 열/전기 전도성 탄성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2738A (ko) 2021-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3257B1 (ko) 유연한 입출력 컴포넌트를 구비한 전자 디바이스
US7710406B2 (en) Touch panel
US20170131809A1 (en) Touch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11099682B2 (en) Binding region connection structure, touch screen and display device
US20140111953A1 (en) Electronic Devices With Components Mounted to Touch Sensor Substrates
US8400177B2 (en) Device and method for testing display panel
CN111919164A (zh) 具有窄下边框的显示面板及电子设备
EP1603114A2 (en) Packaged piezoelectric exciter module
US9337883B1 (en) Protection case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N109634356A (zh) 显示模组及电子设备
JP2014143485A (ja) 電子機器
CN102262480B (zh) 触摸面板及其制造方法
WO2019061815A1 (zh) 阵列基板及阵列基板测试结构
KR102652083B1 (ko) 리모트 컨트롤러
KR100485967B1 (ko) 압착 접속 기판, 액정 장치 및 전자 기기
KR20150045180A (ko) 이동 단말기
TW403979B (en) IC chip, IC structure, liquid crystal device, and electronic unit
TW201513747A (zh) 軟性電路板以及使用該軟性電路板的電子裝置
JP3178772U (ja) 保護ケース及びこれを用いた携帯式電子装置
KR20150088489A (ko) 터치 패널 및 터치 감지 장치
CN107506074B (zh) 触摸显示屏及触控终端
JP3752952B2 (ja) 調理器
JP6242459B2 (ja) 電子機器
CN107833524B (zh) 一种芯片、柔性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05760001A (zh) 触控装置以及采用该触控装置的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