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1924B1 - 단자대 - Google Patents
단자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51924B1 KR102651924B1 KR1020227010953A KR20227010953A KR102651924B1 KR 102651924 B1 KR102651924 B1 KR 102651924B1 KR 1020227010953 A KR1020227010953 A KR 1020227010953A KR 20227010953 A KR20227010953 A KR 20227010953A KR 102651924 B1 KR102651924 B1 KR 10265192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eaf spring
- block
- movable
- wire
- electric wir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9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1000755266 Kathetostoma gigante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WABPQHHGFIMREM-UHFFFAOYSA-N lead(0) Chemical compound [Pb] WABPQHHGFIMRE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807 s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1—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correct or full engagemen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475—Means facilitating correct wiring, e.g. marking plates, identification tag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 H01R4/4809—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using a leaf spring to bias the conductor toward the busbar
- H01R4/4811—Spring details
- H01R4/4814—Self-latching arrangemen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 H01R4/4809—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using a leaf spring to bias the conductor toward the busbar
- H01R4/48185—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using a leaf spring to bias the conductor toward the busbar adapted for axial insertion of a wire end
- H01R4/4819—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using a leaf spring to bias the conductor toward the busbar adapted for axial insertion of a wire end the spring shape allowing insertion of the conductor end when the spring is unbiased
- H01R4/4821—Single-blade spr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 H01R4/4809—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using a leaf spring to bias the conductor toward the busbar
- H01R4/48185—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using a leaf spring to bias the conductor toward the busbar adapted for axial insertion of a wire end
- H01R4/48275—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using a leaf spring to bias the conductor toward the busbar adapted for axial insertion of a wire end with an opening in the housing for insertion of a release tool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416—Means for guiding or retaining wires or cables connected to terminal block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 H01R4/4809—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using a leaf spring to bias the conductor toward the busbar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 H01R4/4809—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using a leaf spring to bias the conductor toward the busbar
- H01R4/484—Spring housing details
- H01R4/4842—Spring housing details the spring housing being provided with a single opening for insertion of a spring-activating tool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 H01R4/4809—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using a leaf spring to bias the conductor toward the busbar
- H01R4/4846—Busbar details
- H01R4/4852—Means for improving the contact with the conductor, e.g. uneven wire-receiving surface
Landscapes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전선의 접속을 용이하게 한다. 단자대(1)는, 하우징(100)에 전선이 삽입되면, 전선의 끝이 가동 부재의 블록부(250)와, 블록부를 개재하여 걸어멈춤 부재의 접촉부(440)를 밀어넣음으로써, 걸어멈춤 부재의 후크부(431)에 의한 판스프링 가동부(330)의 걸어멈춤이 해제되어, 판스프링 가동부에 의해 전선이 고정되고, 블록부에 연동한 가동 부재의 표시부(210)의 위치의 변화에 따라, 창부를 통한 표시부의 시인의 상태가 변화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선을 접속하는 단자대에 관한 것이다.
하우징에 마련된 삽입구로부터, 피복을 제거한 전선을 삽입하면, 내부에 마련된 금속 부품에 전선이 접촉한 상태로 고정되게 되는 기구를 갖는, 전선의 접속을 간편하게 한 푸시 인 접속식의 단자대가 알려져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에서는, 창부에서의 표시에 의해, 전선이 접속되어 있음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외부로부터 인지할 수 있도록 한 단자대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의 단자대에서는, 전선이 삽입될 때에 전선 끝에 눌려 가동 부재가 움직이고, 가동 부재의 일부로서 마련된 표시부가 창부로부터 보이는 위치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는, 전선을 고정하기 위한 판스프링의 가동부를 걸어멈춤하는 기구를 가진 단자대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2의 단자대에서는, 공구의 끝단 등에 의해 하우징 내부의 기구의 일부를 밀어넣으면, 전선의 고정이 해제된 상태에서 판스프링이 걸어멈춤되어, 전선의 분리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푸시 인 접속식의 단자대에서는, 전선을 고정하기 위한 판스프링의 가동부를, 바이어스력에 거슬러 밀어넣으면서 전선을 삽입할 필요가 있어, 전선의 삽입이 원활하게 수행되기 어려운 과제가 있다. 이 문제는,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종래기술의 단자대에도 해당한다.
한편,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종래기술의 단자대에서는, 판스프링의 가동부를 걸어멈춤하는 기구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그 문제는 해소되어 있다. 그러나 전선의 접속시에는, 밀어넣는 감촉을 얻을 수 없는 상태에서 갑자기 걸어멈춤이 벗어나 전선이 고정되기 때문에, 고정에 이르는 전선의 삽입 상태의 감각·감촉을 얻기 어렵다는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의 일 태양은, 고정에 이르는 전선의 삽입 상태의 감각을 얻기 쉽고, 전선의 삽입도 용이한, 푸시 인 접속식의 단자대를 실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하의 구성을 채용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관한 단자대는, 수용부가 마련된 하우징과, 상기 수용부에 배치된 가동 부재, 판스프링과, 걸어멈춤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에는, 창부(窓部)와, 전선을 삽입하기 위한 삽입부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판스프링에는, 고정부와, 상기 하우징에 대해 가동인 판형의 가동부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걸어멈춤 부재에는, 상기 가동부를 걸어멈춤하는 후크부와, 상기 후크부와 연동하는 접촉부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가동 부재에는, 표시부, 상기 표시부와 연동하는 블록부와, 바이어스부가 마련되고, 상기 바이어스부가 상기 블록부에 상기 전선의 삽입 방향과 대략 반대방향의 바이어스력을 부여하며, 상기 삽입부를 통해 상기 하우징에 상기 전선이 삽입되면, 상기 전선의 끝이, 상기 블록부를 밀어넣고, 또한, 상기 블록부를 개재하여 상기 접촉부를 밀어넣음으로써, 상기 후크부에 의한 걸어멈춤이 해제되어, 상기 가동부의 끝이 상기 전선의 측면에 눌려붙여져서 상기 전선이 고정되며, 상기 블록부에 연동한 상기 표시부의 위치의 변화에 따라, 상기 창부를 통한 상기 표시부의 시인(視認)의 상태가 변화하는 구성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관한 단자대에 의하면, 전선의 고정에 이르는 삽입 상태의 감각을 얻기 쉽고, 전선의 삽입도 용이한, 푸시 인 접속식의 단자대를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단자대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단자대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단자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단자대를 나타내는 정면도로서, 전선을 삽입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단자대를 나타내는 정면도로서, 전선이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단자대를 나타내는 정면도로서, 전선의 고정이 해제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단자대를 나타내는 평면도로서, 전선이 고정된 상태와 고정되지 않은 상태를 비교하여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단자대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단자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단자대를 나타내는 정면도로서, 전선을 삽입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단자대를 나타내는 정면도로서, 전선이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단자대를 나타내는 정면도로서, 전선의 고정이 해제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단자대를 나타내는 평면도로서, 전선이 고정된 상태와 고정되지 않은 상태를 비교하여 나타낸다.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일 측면에 관한 실시형태(이하, 「본 실시형태」라고도 표기함)를 설명한다.
§1 적용예
우선, 본 발명이 적용되는 장면의 일례가 설명된다. 본 실시형태의 적용예는, 푸시 인 접속식의 단자대에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적용예에 관한 단자대는, 수용부가 마련된 하우징과, 상기 수용부에 배치된 가동 부재, 판스프링과, 걸어멈춤 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하우징에는, 창부와, 전선을 삽입하기 위한 삽입부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판스프링에는, 상기 하우징에 대해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고정된 고정부(판스프링 고정부)와, 상기 하우징에 대해 가동인 판형의 가동부(판스프링 가동부)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걸어멈춤 부재에는, 상기 가동부를 걸어멈춤하는 후크부와, 상기 후크부와 연동하는 접촉부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가동 부재에는, 표시부, 상기 표시부와 연동하는 블록부와, 바이어스부가 마련되고, 상기 바이어스부가 상기 블록부에 상기 전선의 삽입 방향과 대략 반대방향의 바이어스력을 부여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적용예에 관한 단자대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를 통해 상기 하우징에 상기 전선이 삽입되면, 상기 전선의 끝이, 상기 블록부를 밀어넣는다. 이렇게 하여, 나아가 상기 블록부를 개재하여 상기 접촉부를 밀어넣음으로써, 상기 후크부에 의한 걸어멈춤이 해제되어, 상기 가동부(판스프링 가동부)의 끝이 상기 전선의 측면에 눌려붙여져서 상기 전선이 고정된다.
또한, 상기 블록부에 연동한 상기 표시부의 위치의 변화에 따라, 상기 창부를 통한 상기 표시부의 시인의 상태가 변화한다.
본 실시형태의 적용예에 관한 단자대는, 상기 구성을 구비함으로써, 고정에 이르는 전선의 삽입 상태의 감각을 얻기 쉽고, 전선의 삽입도 용이하다. 또한, 전선이 고정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창부의 표시에 의해, 외부로부터 용이하게 시인할 수 있다.
§2 구성예
도 1~도 7을 이용하여 본 실시형태에서의 단자대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예를 설명한다. 도 1~도 3은, 본 실시형태의 구성예에 관한 단자대(1)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처음에 이들을 참조하여 단자대(1)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은 단자대(1)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단자대(1)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단자대(1)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 및 도 3에서는, 판스프링(300)의 판스프링 가동부(330)가 걸어멈춤된 상태의 단자대(1)가 나타나 있다. 또한, 도 3에는, 걸어멈춤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판스프링 가동부(330)의 개략 위치도 점선으로 나타나 있다.
단자대(1)는, 하우징(100)과, 하우징(100) 내부의 중공부인 수용부(13S)에 배치된, 가동 부재(200), 판스프링(300), 걸어멈춤 부재(400)와, 세로판(500)을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100)은, 수지 등의 절연성의 재료로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의 전체의 외형은, 대략 직육면체이다.
하우징(100)의 상측면, 좌측면, 하측면, 우측면은, 각각, 제1 측면(110), 제2 측면(120), 제3 측면(130), 제4 측면(140)이다. 하우징(100)의 배면측의 측면, 정면측의 측면은 각각, 제5 측면(150), 제6 측면(160)이다.
또, 명세서에 있어서, 도면을 참조하여 사용하는 「상」, 「하」, 「우」, 「좌」, 「정면측」, 「배면측」이라는 방향 등을 나타내는 용어는, 본 개시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편의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이들 용어의 사용은 단자대(1)의 설치 방법을 실질적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단자대(1)는, 수평면 또는 연직면에 대해 어떠한 방향으로도 설치가 가능하며 사용이 가능하다.
하우징(100)의, 제1 측면(110), 제2 측면(120), 제3 측면(130), 제4 측면(140)은, 각각 좁고 긴 대략 직사각형이며, 하우징(100)은 전체적으로 정면측으로부터 배면측에 걸쳐 두께가 얇은, 박형의 대략 직육면체이다.
하우징(100)의 제2 측면(120), 제3 측면(130), 제4 측면(140), 제5 측면(150)에는, 개구는 마련되어 있지 않다. 정면측의 측면인 제5 측면(150) 측에는, 크게 개구가 마련되어 있고, 수용부(13S)를 구성하고 있다.
가동 부재(200), 판스프링(300), 걸어멈춤 부재(400), 세로판(500)은, 상기 개구를 통해 수용부(13S) 내에 조립되어 있다. 하우징(100)의 배면측의 측면인 제5 측면(150)으로부터 정면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소정 두께의 구획벽에 의해, 가동 부재(200), 판스프링(300), 걸어멈춤 부재(400), 세로판(500)이 적절히 장착된다. 또, 하우징(100)의 정면측의 측면인 제6 측면(160)을 덮는 덮개부가 더 마련되어, 수용부(13S)를 폐색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하우징(100)의 제1 측면(110)에는, 각각이 수용부(13S)로 통하는 개구인, 창부(111), 공구용 개구부(112)와, 삽입부(113)가 이 순서로 직렬적으로 나열하여 배치되어 있다. 창부(111)는, 제2 측면(120) 근처에 마련되어 있다. 공구용 개구부(112)는, 창부(111)와 삽입부(113) 사이의 영역에 마련되어 있다.
삽입부(113)는, 단자대(1) 외부로부터, 전선(90)을 삽입하기 위한 개구이다. 삽입부(113)는 제4 측면(140) 근처에 마련되어 있고, 전선(90)은, 제4 측면(140)에 근접하는 위치에서, 삽입되고 빼내어진다. 전선(90)의 삽입 방향은 하향이며, 그 빠짐 방향은 상향이다. 하우징(100)의 삽입부(113) 내부의 주위에는, 전선(90)이 끼워지고 빠지는 방향을 유도하도록 벽면이 마련되어 있다.
판스프링(300)은, 접속시에 전선(90)을 고정하기 위한, 1장의 금속판으로 구성된 열린 U자 형상의 부재이다. 판스프링(300)에는, 판스프링 고정부(310), 판스프링 굴곡부(320), 판스프링 가동부(330)가 마련되어 있다. 판스프링 굴곡부(320)는, 평판형의 판스프링 고정부(310)와 평판형의 판스프링 가동부(330) 사이의, 금속판이 굴곡된 부분이다. 판스프링 가동부(330) 측의 판스프링(300)의 끝은, 판스프링 가동부 끝(331)이다.
판스프링(300)은, 판스프링 굴곡부(320)가 상방이 되도록, 수용부(13S)에 배치되어 있다. 판스프링 고정부(310)는, 제5 측면(150)으로부터의 구획벽에 의해, 하우징(100)에 대해 고정된다. 금속판의 탄성에 의해, 판스프링 고정부(310)와 판스프링 가동부(330) 사이의 개방각이 변화할 수 있음으로써, 판스프링 가동부(330)가 하우징(100)에 대해 가동으로 되어 있다.
평판형의 판스프링 가동부(330)는, 전선(90)의 삽입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다. 도 3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판스프링 가동부(330)가 걸어멈춤 부재(400)에 의해 걸어멈춤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전선(90)이 삽입부(113)로부터 끼워넣어지면 전선 끝(91)이 판스프링 가동부(330)에 충돌하는 위치에 있다. 상방에 배치되는 판스프링 굴곡부(320)는, 전선(90)에 접촉하지 않는 위치에 있다.
세로판(500)은, 제4 측면(140)의 상하 방향 중앙 부근으로부터 하단 부근까지, 제4 측면(140)을 따라 배치된, 상하 방향으로 좁고 긴 금속판이다. 전선(90)이 단자대(1)에 접속되어 있을 때에는, 판스프링 가동부 끝(331)과 세로판(500) 사이에 끼워지도록 하여 전선(90)이 고정된다. 세로판(500)에는, 전선(90)의 고정 시, 미끄러지기 어렵게 하기 위한 작은 돌기(501)가 마련되어 있다.
판스프링(300) 및 세로판(500)은, 전선(90)의 고정 시에 전선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부재이다. 이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도시하지 않은 리드선 등의 배선 부재에 의해, 단자대(1)로부터의 전기 취출이 실현된다.
걸어멈춤 부재(400)는, 판스프링 가동부(330)를 걸어멈춤하기 위한, 1장의 금속판으로 구성된 판스프링 부재이다. 걸어멈춤 부재(400)는, 수용부(13S) 내에서, 판스프링(300)보다 하방의 제3 측면(130)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걸어멈춤 부재(400)에는, 걸어멈춤 부재 고정부(410), 걸어멈춤 부재 굴곡부(420), 걸어멈춤 부재 가동부(430)와, 접촉부(440)가 마련되어 있다.
걸어멈춤 부재 고정부(410)는, 제3 측면(130)의 근방에 배치되며, 하우징(100)에 대해 고정되어 있는 부분이다. 걸어멈춤 부재 굴곡부(420)는, 걸어멈춤 부재 고정부(410)와 걸어멈춤 부재 가동부(430) 사이의, 금속판이 굴곡된 부분이다. 걸어멈춤 부재 가동부(430)는, 하우징(100)에 대해 가동인 부분이다. 걸어멈춤 부재 고정부(410), 걸어멈춤 부재 굴곡부(420), 걸어멈춤 부재 가동부(430)는, 전체적으로 대략 J자 형상이다. 걸어멈춤 부재 고정부(410)는, 걸어멈춤 부재 가동부(430)보다 짧다.
걸어멈춤 부재 가동부(430)는, 걸어멈춤 부재 굴곡부(420)와는 반대측의 단부에 후크부(431)를 가지고 있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부(431)를 판스프링 가동부 끝(331)에 걸어, 판스프링 가동부(330)를 걸어멈춤할 수 있다.
판스프링 부재로서의 걸어멈춤 부재(400)의 바이어스력에 거슬러 걸어멈춤 부재 고정부(410)를 하방향으로 밀어넣도록 하면, 후크부(431)가 판스프링 가동부 끝(331)으로부터 벗어나, 판스프링 가동부(330)의 걸어멈춤이 해제된다. 걸어멈춤 부재 가동부(430)에는, 걸어멈춤 부재 가동부(430)와 연동하는 접촉부(440)가 접속되어 있다. 접촉부(440)는, 걸어멈춤 부재 가동부(430)로부터, 하방 또한 걸어멈춤 부재 굴곡부(420)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가동 부재(200)에는, 표시부(210), 세로 봉부(220), 접속부(230), 가로 봉부(240), 블록부(250)와, 바이어스부(260)가 마련되어 있다. 표시부(210)는 세로 봉부에 의해 접속부(230)에 연결되어 있다. 접속부(230)는 가로 봉부(240)에 의해 블록부(250)에 연결되어 있다. 표시부(210)는 블록부(250)에 연동한다.
수용부(13S) 내에서, 세로 봉부(220)는 제2 측면(120)을 따라, 대략 상하 방향(전선(90)의 삽입 방향에 대략 평행)으로 배치된다. 가로 봉부(240)는, 제3 측면(130)의 근처에, 대략 좌우 방향(전선(90)의 삽입 방향에 대략 수직)으로 배치된다. 표시부(210)로부터 블록부(250)에 이르는 가동 부재(200)의 부분은, 접속부(230)에서 절곡된 전체적으로 대략 L자형의 형상을 가지고 있다.
가로 봉부(240)의 중앙 부근에는, 상향으로 연장되는, 금속 등의 탄성 부재로 이루어지는 바이어스부(260)가 마련되어 있다. 바이어스부(260)의 상단부는, 절곡되어 가동 부재 고정부(261)를 구성하고 있다. 가동 부재 고정부(261)는, 가동 부재(200)에 있어서, 하우징(100)에 대해 고정되어 있는 부분이다.
블록부(250)는, 가동 부재(200)의 우단부에 마련된 블록형상의 부분이다. 블록부(250)는 세로판(500)에 근접하여 배치되며, 전선(90)이 삽입되면, 그 상면이 전선 끝(91)과 접촉하는 위치에 있다. 블록부(250)는, 그 하방에 볼록부(251)를 가지고 있다.
다음에, 도 4~도 7을 참조하여, 단자대(1)에 전선(90)을 접속하고, 또한 분리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함과 아울러, 단자대(1)의 구성에 대해 더욱 보충설명한다. 도 4~도 6은, 단자대(1)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단자대(1)의 초기 상태로서의, 판스프링 가동부(330)가 걸어멈춤 부재(400)에 의해 걸어멈춤되어 있는 상황(도 1, 도 3과도 마찬가지)에 있어서, 전선(90)을 삽입부(113)로부터 도중까지 끼워넣은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삽입부(113)로부터, 단부 부근의 피복이 제거된 전선(90)이 삽입되면, 전선(90)은, 삽입부(113)의 벽면을 따라 하향으로 가이드된다. 판스프링 가동부(330)가 걸어멈춤 부재(400)에 의해 걸어멈춤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전선(90)은 판스프링 가동부(330)에 접촉하지 않는다.
도 4의 상태로부터 전선(90)을 안쪽으로 끼워넣어 가면, 전선 끝(91)이 가동 부재(200)의 블록부(250)의 상면에 접촉한다. 나아가 이 상태로부터 전선(90)을 끼워넣으려면, 가동 부재(200)의 바이어스부(260)에 의해 부여되는 바이어스력에 거슬러, 블록부(250)를 눌러내릴 필요가 있다.
블록부(250)를 눌러내리면서 전선(90)을 안쪽으로 끼워넣어 가면, 블록부(250)의 볼록부(251)가 걸어멈춤 부재(400)의 접촉부(440)를 눌러내린다. 그러면 접촉부(440)와 연동하여 걸어멈춤 부재(400)의 후크부(431)가 눌려내려져서, 판스프링 가동부(330)의 걸어멈춤이 해제된다.
도 5는, 전선(90)의 삽입에 의해, 판스프링 가동부(330)의 걸어멈춤이 해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판스프링 가동부(330)의 걸어멈춤이 해제되면, 판스프링 고정부(310)와 판스프링 가동부(330) 사이의 개방각이 커지도록, 판스프링 가동부(330)가 회전이동(정면측에서 보아 반시계방향)한다. 그러면, 판스프링 가동부 끝(331)이 전선(90)의 측면에 접촉하도록, 판스프링 가동부(330)가, 전선(90)에 대해 경사지게 닿는다.
이 때, 판스프링 가동부(330)는, 판스프링 고정부(310)와 판스프링 가동부(330) 사이의 개방각이 더욱 커지는 방향으로 바이어스되어 있고, 판스프링 가동부 끝(331)은 전선(90)의 측면을 강하게 눌러붙인다. 전선(90)은, 세로판(500)과 판스프링 가동부 끝(331)에 끼워져 고정된다.
세로판(500)에는, 전선(90)의 측면에 접하는 위치에 작은 돌기(501)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전선(90)이 미끄러지기 어렵게 되어 있다. 또한, 고정되어 있는 상태의 전선(90)을 빼려고 해도, 판스프링 가동부(330)가 전선(90)에 대해 경사지게 닿아 있기 때문에 잠금되어 뺄 수 없다. 이렇게 하여, 전선(90)이 세로판(500)과 판스프링 가동부(330) 사이에 확실히 고정된다.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눌려내려간 블록부(250)의 위치의 이동에 연동하여, 표시부(210)가 전선(90)의 방향(대략 우방향)으로 이동한다. 즉, 대략 L자 형상의, 바이어스부(260)를 제외한 가동 부재(200)의 전체가, 바이어스부(260)에 현가(懸架)된 상태에서, 정면측에서 본 시계방향의 회전을 한다.
표시부(210)의 이동에 의해, 표시부(210)의 창부(111)로부터의 시인의 상태가 변화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3에 도시된 초기 상태에서, 창부(111)를 통한 표시부(210)의 시인은 불가능하다. 도 5에 도시된 전선(90)이 고정된 상태에서, 창부(111)를 통해 표시부(210)가 외부로부터 시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이 관계는 반대이어도 상관없다.
도 7은, 표시부(210)의 창부(111)로부터의 시인의 상태를 비교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 있어서, 평면도 1071은, 창부(111)로부터 표시부(210)가 시인할 수 없는 초기 상태를 나타낸다(도 3의 정면도에 대응하는 평면도). 또한, 평면도 1072는, 창부(111)로부터 표시부(210)가 시인할 수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도 5의 정면도에 대응하는 평면도). 전선(90)이 고정된 상태에서 표시부(210)의 창부(111)로부터 시인할 수 있는 부분이, 명확한 색채로 착색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전선(90)의 분리의 작업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공구용 개구부(112)로부터, 작업자가 마이너스 드라이버 등의 봉상(棒狀)의 공구(95)를 삽입한다. 공구(95)는 끼워넣어져 가면 공구용 개구부(112)의 벽면에 의해 가이드되어, 판스프링 가동부(330)에 경사지게 닿는다.
판스프링(300)의 바이어스력에 거슬러, 작업자가 공구(95)를 더욱 밀어넣으면, 판스프링 고정부(310)와 판스프링 가동부(330) 사이의 개방각이 좁아지도록, 판스프링 가동부(330)가 회전이동(정면측에서 보아 시계방향)한다. 그러면 판스프링 가동부 끝(331)이 걸어멈춤 부재(400)의 후크부(431)에 걸려, 판스프링 가동부(330)가 걸어멈춤된다.
판스프링 가동부(330)에 의한 전선(90)의 고정은 해제된 상태에서 보유지지된다. 작업자는 전선(90)을 용이하게 뺄 수 있게 된다. 전선(90)을 빼면, 바이어스부(260)에 의해 가동 부재(200)가 바이어스되어, 블록부(250)는 상방으로, 표시부(210)는, 창부(111)로부터 시인할 수 없는 위치로 이동한다. 가동 부재(200)의 위치는 도 3에 도시된(도 1, 도 4와도 마찬가지) 상태로 되돌아간다. 이렇게 하여, 단자대(1)의 상태는, 도 3에 도시된 초기 상태로 복귀한다.
본 실시형태의 적용예에 의하면, 전선(90)의 분리에 있어서 작업자는, 공구(95)의 삽입과 전선(90)의 빼는 조작을 동시에 수행할 필요가 없다. 단자대(1)에서는, 전선(90)의 고정이 해제된 상태가 유지되기 때문이다.
작업자는 공구용 개구부(112)로부터 공구(95)를 안쪽으로 끼워넣어, 판스프링 가동부(330)를 밀어넣은 감촉을 얻을 수 있으면, 공구(95)를 빼내고, 그 후에 전선(90)을 빼면 된다. 이 때, 판스프링 가동부(330)의 고정은 해제되어 있기 때문에, 전선(90)을 용이하게 뺄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적용예에 관한 단자대(1)에 의하면, 작업자가 전선(90)의 분리의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특허문헌 1 등의 종래기술에서는, 전선의 접속 작업 시, 전선의 삽입 시에, 판스프링 가동부를 전선 끝으로 밀어넣을 필요가 있었다. 단자대의 판스프링은, 전선을 강고하게 고정하기 때문에, 그 바이어스력은 강력하다. 따라서 종래기술에서는, 판스프링에 거슬러 상당한 힘으로 전선을 밀어넣을 필요가 있어, 접속 작업이 용이하지 않았다.
특히, 전선이 세선(細線)을 꼬아 합친 연선(撚線)인 경우에는, 세선이 단단하게 합쳐 있지 않으면, 밀어넣을 때에 풀려 접속 작업에 실패하는 경우가 있었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의 적용예에 의하면, 전선(90)의 삽입 시에, 판스프링 가동부(330)를 전선 끝(91)으로 밀어넣을 필요는 없다. 따라서, 단자대(1)에서는, 전선(90)의 접속 작업이, 용이하게 확실히 실시할 수 있게 된다.
특허문헌 2의 종래기술에서는, 전선의 접속 후에 전선 접속 상태를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사용 중 또는 배선 중 등에 전선이 잡아당겨져 전선이 벗어나 있거나 해도 모른다는 과제가 있었다. 그러나, 단자대(1)에서는, 전선(90)의 접속 시에, 전선(90)이 고정된 것을 창부(111)를 보고 작업자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적용예에 의하면, 전선의 고정의 표시가 가능하며, 또한 전선의 삽입이 용이하여 접속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단자대를 실현할 수 있다.
특허문헌 2의 종래기술에서는, 전선의 접속 작업 시, 전선의 삽입에 따른 반발력을 얻을 수 없으므로 작업자가 전선의 삽입 상황을 파악하기 어려운 상태에서, 갑자기 걸어멈춤이 벗어나 판스프링에 의해 전선이 고정되어 버린다는 과제가 있었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의 적용예에 의하면, 전선(90)의 삽입 시에는, 판스프링 가동부(330)의 걸어멈춤이 해제되어 전선(90)의 고정에 이르기 전에, 작업자는 가동 부재(200)의 바이어스부(260)가 부여하는 바이어스력에 거슬러, 전선 끝(91)으로 블록부(250)를 눌러내리는 것이 필요하다. 그 때문에 작업자가, 전선(90)의 고정에 이르기 전에, 반발의 감촉을 얻을 수 있고, 전선의 삽입의 상황을 파악할 수 있어 접속의 작업의 감각·감촉을 얻기 쉽다.
가동 부재(200)에 의한 바이어스력은, 전선을 고정하기 위한 판스프링의 바이어스력과 같은 강력한 것은 아니고, 적당한 바이어스력이 부여된다. 따라서 단자대(1)에서는, 전선(90)의 접속 작업이, 용이하게 확실히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정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관한 단자대는, 수용부가 마련된 하우징과, 상기 수용부에 배치된 가동 부재, 판스프링과, 걸어멈춤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에는, 창부와, 전선을 삽입하기 위한 삽입부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판스프링에는, 고정부와, 상기 하우징에 대해 가동인 판형의 가동부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걸어멈춤 부재에는, 상기 가동부를 걸어멈춤하는 후크부와, 상기 후크부와 연동하는 접촉부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가동 부재에는, 표시부, 상기 표시부와 연동하는 블록부와, 바이어스부가 마련되고, 상기 바이어스부가 상기 블록부에 상기 전선의 삽입 방향과 대략 반대방향의 바이어스력을 부여하며, 상기 삽입부를 통해 상기 하우징에 상기 전선이 삽입되면, 상기 전선의 끝이, 상기 블록부를 밀어넣고, 또한, 상기 블록부를 개재하여 상기 접촉부를 밀어넣음으로써, 상기 후크부에 의한 걸어멈춤이 해제되어, 상기 가동부의 끝이 상기 전선의 측면에 눌려붙여져서 상기 전선이 고정되며, 상기 블록부에 연동한 상기 표시부의 위치의 변화에 따라, 상기 창부를 통한 상기 표시부의 시인의 상태가 변화하는 구성을 구비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고정에 이르는 전선의 삽입 상태의 감각을 얻기 쉽고, 전선의 삽입도 용이한, 푸시 인 접속식의 단자대를 실현할 수 있다. 또는, 전선이 고정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창부의 표시에 의해, 외부로부터 용이하게 시인할 수 있는, 푸시 인 접속식의 단자대를 실현할 수 있다.
상기 일 측면에 관한 단자대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에는, 상기 하우징에는, 공구용 개구부가 더 마련되어 있고, 상기 공구용 개구부를 통해 봉상의 공구가 삽입되면, 상기 공구의 끝이, 상기 가동부에 경사지게 닿음과 아울러 상기 판스프링의 바이어스력에 거슬러 상기 가동부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가동부에 의한 상기 전선의 고정이 해제되고, 또한, 상기 가동부가 상기 후크부에 의해 걸어멈춤되는 구성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전선의 분리 작업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는 푸시 인 접속식의 단자대를 실현할 수 있다.
상기 일 측면에 관한 단자대에 있어서, 고정이 해제된 상기 전선이 뽑히면, 상기 바이어스부에 의한 바이어스력에 의해, 상기 블록부가 상기 삽입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함과 아울러, 상기 블록부에 연동한 상기 표시부의 위치의 변화에 따라, 상기 창부를 통한 상기 표시부의 시인의 상태가 변화하는 구성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전선의 접속 상태를 외부로부터 시인하여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푸시 인 접속식의 단자대를 실현할 수 있다.
상기 일 측면에 관한 단자대에 있어서, 상기 창부, 상기 공구용 개구부, 상기 삽입부는, 상기 하우징의 제1 측면에, 이 순서로 직렬적으로 나열하여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전선의 접속 또는 분리의 작업 시에, 작업자가 보다 용이하게 전선의 접속 상태를 외부로부터 시인하여 확인할 수 있는 푸시 인 접속식의 단자대를 실현할 수 있다.
상기 일 측면에 관한 단자대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는, 상기 삽입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는 구성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전선이 접속되어 있을 때에, 빼는 힘에 대해 전선이 잠금되어 빠지기 어려운 푸시 인 접속식의 단자대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항에 나타낸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며, 다른 실시형태에 각각 개시된 기술적 수단을 적절히 조합하여 얻어지는 실시형태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1 단자대
100 하우징
110 제1 측면
111 창부
112 공구용 개구부
113 삽입부
120 제2 측면
130 제3 측면
13S 수용부
140 제4 측면
150 제5 측면
160 제6 측면
200 가동 부재
210 표시부
220 세로 봉부
230 접속부
240 가로 봉부
250 블록부
251 볼록부
260 바이어스부
261 가동 부재 고정부
300 판스프링
310 판스프링 고정부(고정부)
320 판스프링 굴곡부
330 판스프링 가동부(가동부)
331 판스프링 가동부 끝
400 걸어멈춤 부재
410 걸어멈춤 부재 고정부
420 걸어멈춤 부재 굴곡부
430 걸어멈춤 부재 가동부
431 후크부
440 접촉부
500 세로판
501 작은 돌기
90 전선
91 전선 끝(전선의 끝)
95 공구
100 하우징
110 제1 측면
111 창부
112 공구용 개구부
113 삽입부
120 제2 측면
130 제3 측면
13S 수용부
140 제4 측면
150 제5 측면
160 제6 측면
200 가동 부재
210 표시부
220 세로 봉부
230 접속부
240 가로 봉부
250 블록부
251 볼록부
260 바이어스부
261 가동 부재 고정부
300 판스프링
310 판스프링 고정부(고정부)
320 판스프링 굴곡부
330 판스프링 가동부(가동부)
331 판스프링 가동부 끝
400 걸어멈춤 부재
410 걸어멈춤 부재 고정부
420 걸어멈춤 부재 굴곡부
430 걸어멈춤 부재 가동부
431 후크부
440 접촉부
500 세로판
501 작은 돌기
90 전선
91 전선 끝(전선의 끝)
95 공구
Claims (5)
- 수용부가 마련된 하우징과,
상기 수용부에 배치된 가동 부재, 판스프링과, 걸어멈춤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에는, 창부와, 전선을 삽입하기 위한 삽입부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판스프링에는, 고정부와, 상기 하우징에 대해 가동인 판형의 가동부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걸어멈춤 부재에는, 상기 가동부를 걸어멈춤하는 후크부와, 상기 후크부와 연동하는 접촉부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가동 부재에는, 표시부, 상기 표시부와 연동하는 블록부와, 바이어스부가 마련되고, 상기 바이어스부가 상기 블록부에 상기 전선의 삽입 방향과 반대방향의 바이어스력을 부여하며,
상기 삽입부를 통해 상기 하우징에 상기 전선이 삽입되면,
상기 전선의 끝이, 상기 블록부를 밀어넣고, 또한, 상기 블록부를 개재하여 상기 접촉부를 밀어넣음으로써, 상기 후크부에 의한 걸어멈춤이 해제되어, 상기 가동부의 끝이 상기 전선의 측면에 눌려붙여져서 상기 전선이 고정되며,
상기 블록부에 연동한 상기 표시부의 위치의 변화에 따라, 상기 창부를 통한 상기 표시부의 시인(視認)의 상태가 변화하는, 단자대.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공구용 개구부가 더 마련되어 있고,
상기 공구용 개구부를 통해 봉상(棒狀)의 공구가 삽입되면,
상기 공구의 끝이, 상기 가동부에 경사지게 닿음과 아울러 상기 판스프링의 바이어스력에 거슬러 상기 가동부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가동부에 의한 상기 전선의 고정이 해제되고, 또한, 상기 가동부가 상기 후크부에 의해 걸어멈춤되는, 단자대. - 청구항 2에 있어서,
고정이 해제된 상기 전선이 뽑히면,
상기 바이어스부에 의한 바이어스력에 의해, 상기 블록부가 상기 삽입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함과 아울러, 상기 블록부에 연동한 상기 표시부의 위치의 변화에 따라, 상기 창부를 통한 상기 표시부의 시인의 상태가 변화하는, 단자대. -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창부, 상기 공구용 개구부, 상기 삽입부는, 상기 하우징의 제1 측면에, 이 순서로 직렬적으로 나열하여 배치되어 있는, 단자대.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는, 상기 삽입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는, 단자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9203970A JP7334583B2 (ja) | 2019-11-11 | 2019-11-11 | 端子台 |
JPJP-P-2019-203970 | 2019-11-11 | ||
PCT/JP2020/041682 WO2021095676A1 (ja) | 2019-11-11 | 2020-11-09 | 端子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57573A KR20220057573A (ko) | 2022-05-09 |
KR102651924B1 true KR102651924B1 (ko) | 2024-03-28 |
Family
ID=75899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7010953A KR102651924B1 (ko) | 2019-11-11 | 2020-11-09 | 단자대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12107374B2 (ko) |
EP (1) | EP4060816B1 (ko) |
JP (1) | JP7334583B2 (ko) |
KR (1) | KR102651924B1 (ko) |
CN (1) | CN114514660B (ko) |
WO (1) | WO2021095676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2022100165A1 (de) | 2022-01-05 | 2023-07-06 | Phoenix Contact Gmbh & Co. Kg | Elektrische Anschlussvorrichtung |
LU501848B1 (de) * | 2022-04-14 | 2023-10-16 | Phoenix Contact Gmbh & Co | Anschlussanordnung |
DE102022118049A1 (de) | 2022-07-19 | 2024-01-25 | Phoenix Contact Gmbh & Co. Kg | Anschlussklemme zum Anschließen einer elektrischen Leitung |
DE102022118560A1 (de) | 2022-07-25 | 2024-01-25 | Phoenix Contact Gmbh & Co. Kg | Anschlussklemme zum Anschließen einer elektrischen Leitung |
DE102022134060A1 (de) * | 2022-12-20 | 2024-06-20 | Phoenix Contact Gmbh & Co. Kg | Anschlussanordnung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9230859A (ja) | 2008-03-19 | 2009-10-08 | Toyo Giken Kk | 端子台 |
EP2768079A1 (de) | 2013-02-19 | 2014-08-20 | Weidmüller Interface GmbH & Co. KG | Federkraftklemme für Leiter |
WO2019176661A1 (ja) | 2018-03-14 | 2019-09-19 | オムロン株式会社 | 端子台 |
Family Cites Families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410914Y2 (ko) | 1973-08-16 | 1979-05-18 | ||
JPH04155784A (ja) * | 1990-10-18 | 1992-05-28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電線接続端子 |
JP3301131B2 (ja) * | 1992-11-30 | 2002-07-15 | 松下電工株式会社 | 端子装置 |
JP3395540B2 (ja) * | 1996-05-28 | 2003-04-14 | 松下電工株式会社 | 電線接続端子 |
JP4074022B2 (ja) * | 1999-01-26 | 2008-04-09 | ソニー株式会社 | シールドコネクタ |
JP4289230B2 (ja) | 2004-06-25 | 2009-07-01 |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 速結端子装置 |
JP2008130337A (ja) * | 2006-11-20 | 2008-06-05 | Kasuga Electric Works Ltd | ねじ無し端子台 |
DE102008049236B3 (de) * | 2008-09-26 | 2010-06-02 |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 Federkraftklemme und Klemmenbauelement |
DE102010010262B9 (de) * | 2010-03-03 | 2014-10-23 |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 Steckverbinder |
DE102010024809B4 (de) * | 2010-06-23 | 2013-07-18 |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 Anschlussklemme |
CN202189924U (zh) * | 2011-08-15 | 2012-04-11 | 浙江正泰建筑电器有限公司 | 无螺纹接线端子装置 |
CN102969592B (zh) * | 2012-11-14 | 2016-05-18 | 中航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簧片式锁线机构及使用该机构的快速压线电连接器 |
JP6801516B2 (ja) * | 2017-02-28 | 2020-12-16 | オムロン株式会社 | 端子台 |
CN208368737U (zh) * | 2018-07-30 | 2019-01-11 | 浙江京红电器有限公司 | 一种带操作手柄的接线端子 |
CN209298369U (zh) * | 2018-10-31 | 2019-08-23 | 三门联捷电子有限公司 | 二进二出弹性接线端子 |
-
2019
- 2019-11-11 JP JP2019203970A patent/JP7334583B2/ja active Active
-
2020
- 2020-11-09 EP EP20886570.9A patent/EP4060816B1/en active Active
- 2020-11-09 WO PCT/JP2020/041682 patent/WO2021095676A1/ja unknown
- 2020-11-09 CN CN202080070075.0A patent/CN114514660B/zh active Active
- 2020-11-09 KR KR1020227010953A patent/KR102651924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0-11-09 US US17/769,334 patent/US12107374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9230859A (ja) | 2008-03-19 | 2009-10-08 | Toyo Giken Kk | 端子台 |
EP2768079A1 (de) | 2013-02-19 | 2014-08-20 | Weidmüller Interface GmbH & Co. KG | Federkraftklemme für Leiter |
WO2019176661A1 (ja) | 2018-03-14 | 2019-09-19 | オムロン株式会社 | 端子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4060816B1 (en) | 2024-09-04 |
KR20220057573A (ko) | 2022-05-09 |
US20230282993A1 (en) | 2023-09-07 |
JP2021077538A (ja) | 2021-05-20 |
CN114514660B (zh) | 2024-06-28 |
CN114514660A (zh) | 2022-05-17 |
EP4060816A1 (en) | 2022-09-21 |
JP7334583B2 (ja) | 2023-08-29 |
US12107374B2 (en) | 2024-10-01 |
WO2021095676A1 (ja) | 2021-05-20 |
EP4060816A4 (en) | 2023-12-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651924B1 (ko) | 단자대 | |
US7252556B2 (en) | Electrical connector having locking claw | |
JP6675004B2 (ja) | 接続機器 | |
EP1701417B1 (en) | A joint connector and method of assembling it | |
US6254407B1 (en) | Mechanical assist cam slide device | |
JP4562545B2 (ja) | プラグインアダプタ | |
US20200259273A1 (en) | Electrical connector | |
JP5286166B2 (ja) | ロック解除構造 | |
KR100446796B1 (ko) | 커넥터 | |
KR102591645B1 (ko) | 커넥터 어셈블리 | |
KR101939072B1 (ko) | 레버타입 커넥터 | |
JP4116159B2 (ja) | 端子台 | |
JP6814618B2 (ja) | コンセントの速結端子 | |
JP4770697B2 (ja) | 速結端子装置 | |
US6139353A (en) | Electrical connection arrangement medical use | |
US7458841B2 (en) | Wire cover and a locking construction therefor | |
KR20130022229A (ko) | 커넥터조립체 | |
JP4293068B2 (ja) | 速結端子装置 | |
JP4396652B2 (ja) | コネクタ | |
KR20130098446A (ko) | 커넥터 | |
EP4113567A1 (en) | Auxiliary contact unit | |
JP5550766B2 (ja) | ロックアーム付き収容体 | |
KR20230000705A (ko) | 클립 및 이를 가진 커넥터 | |
JP3963148B2 (ja) | モジュラジャック | |
JP4049062B2 (ja) | コンセントの扉構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