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1811B1 - 차량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차량용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1811B1
KR102651811B1 KR1020190176092A KR20190176092A KR102651811B1 KR 102651811 B1 KR102651811 B1 KR 102651811B1 KR 1020190176092 A KR1020190176092 A KR 1020190176092A KR 20190176092 A KR20190176092 A KR 20190176092A KR 102651811 B1 KR102651811 B1 KR 1026518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mounting member
vehicle
contact
limi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60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83621A (ko
Inventor
이수찬
김세진
조성복
박재홍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760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1811B1/ko
Publication of KR202100836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36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18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18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내 설치된 전자기기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제1커넥터; 상기 제1커넥터에 결합되기 위한 제2커넥터; 상기 제1커넥터와 상기 제2커넥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제1컨택트; 상기 제1커넥터와 상기 제2커넥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제2컨택트; 및 상기 제1컨택트와 상기 제2컨택트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제한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커넥터{Connecto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 내 설치된 전자기기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차량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넥터(Connector)는 전기적 연결을 위해 각종 전자기기에 마련된다. 예컨대, 커넥터는 휴대폰,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등과 같은 전자기기에 설치되어서, 전자기기 내에 설치된 각종 부품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차량용 커넥터는, 차량 내 설치된 전자기기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커넥터이다.
도 1(a) 및 1(b) 각각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커넥터의 사시도와 분해 사시도이다.
도 1(a) 및 1(b)를 참고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커넥터(100)는 인쇄회로기판(PCB : Printed Ciruit Board)(110), 하우징(120), 커넥터(130), 커넥터고정부(140), 및 리드 와이어(Lead Wire)(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110)에는 차량 내 전자기기의 전기 신호 전송을 위한 전도성패턴(111)이 형성된다. 상기 전도성패턴(111)은 상기 인쇄회로기판(110)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110)에는 전기 신호의 on/off 기능을 담당하는 스위치(100A)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20)은 상기 인쇄회로기판(110)을 수용하는 것이다. 상기 하우징(120)은 상기 인쇄회로기판(110)의 타측을 수용할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110)은 상기 하우징(120)에 형성된 수용홈(121)에 수용되어서 상기 하우징(120)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20)은 절연성을 가진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130)는 상기 전도성패턴(111)에 접속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커넥터(130)는 상기 인쇄회로기판(110)의 일측에서 상기 전도성패턴(111)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130)가 상기 전도성패턴(111)에 접속됨에 따라 차량 내 전자기기들은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130)는 전도성을 가진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고정부(140)는 상기 커넥터(130)를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커넥터고정부(140)에는 복수개의 커넥터(130)가 각각 삽입될 수 있는 복수개의 삽입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고정부(140)가 상기 인쇄회로기판(110)의 일측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커넥터(130)는 상기 전도성패턴(111)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리드 와이어(미도시)는 차량 내 설치된 전자기기들 간에 전기적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리드 와이어는 상기 커넥터(130)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커넥터(100)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첫째,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커넥터(100)는 상기 인쇄회로기판(110), 상기 하우징(120), 상기 커넥터(130), 상기 커넥터고정부(140), 및 상기 리드 와이어를 포함하는 대체적으로 복잡한 구조로 구현된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커넥터는 상기 전도성패턴(111)을 형성하기 위한 상기 인쇄회로기판(110)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커넥터는 제조에 필요한 부품수를 증대시킴으로써, 제조에 대한 공정비용을 상승시키는 문제가 있다.
둘째,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커넥터(100)는 상기 전도성패턴(111)과 상기 커넥터(130)가 상기 인쇄회로기판(110)의 동일한 면 상에서 접촉되도록 구현된다. 이에 따라,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커넥터(100)는 전기적 단락의 발생 가능성을 증대시킴으로써, 상기 전도성패턴(111)과 상기 커넥터(130)의 유지보수비용을 증대시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제조에 필요한 부품수를 감소시킬 수 있는 차량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커넥터의 전기적 단락의 발생 가능성을 저감시켜 줄 수 있는 차량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하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커넥터는 차량 내 설치된 전자기기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제1커넥터; 상기 제1커넥터에 결합되기 위한 제2커넥터; 상기 제1커넥터와 상기 제2커넥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제1컨택트; 상기 제1커넥터와 상기 제2커넥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제2컨택트; 및 상기 제1컨택트와 상기 제2컨택트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제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커넥터는 상기 제2커넥터가 결합되는 제1본체, 및 전기 신호 전송을 위하여 상기 제1본체에 형성된 제1회로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회로패턴은 전도성 금속을 이용한 MID 공정으로 상기 제1본체의 일면(一面)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커넥터는 상기 제1본체의 타면(他面) 쪽에서 상기 제1커넥터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커넥터의 제조에 필요한 부품수를 감소시킴으로써, 제조에 대한 공정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커넥터의 전기적 단락의 발생 가능성을 감소시킴으로써, 차량 내 설치된 전자기기의 유지보수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커넥터 간의 전기적 연결의 안정성을 확보함으로써, 차량 내 설치된 전자기기들 간의 신호 전송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a)는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커넥터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1(b)는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커넥터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커넥터에 대한 정면사시도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커넥터에 대한 후면사시도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커넥터에 있어서 제1컨택트와 제2컨택트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커넥터에 대한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커넥터에 대한 개략적인 일부 정면도
도 7(a)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커넥터에 있어서 실장부재가 걸림공에 삽입되기 전의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정면사시도
도 7(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커넥터에 있어서 실장부재가 걸림공에 삽입되기 전의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평면도
도 8(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커넥터에 있어서 실장부재가 걸림공에 삽입되고 있는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정면사시도
도 8(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커넥터에 있어서 실장부재가 걸림공에 삽입되고 있는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평면도
도 9(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커넥터에 있어서 실장부재가 걸림공에 삽입된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정면사시도
도 9(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커넥터에 있어서 실장부재가 걸림공에 삽입된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평면도
도 10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커넥터에 있어서 실장부재가 제한공에 삽입되기 전의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정면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커넥터에 있어서 실장부재가 제한공에 삽입되고 있는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정면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커넥터에 있어서 실장부재가 제한공에 삽입된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정면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커넥터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커넥터(1)는 차량에 설치되어서 차량 내 전자기기(미도시)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커넥터(1)는 차량의 도어(Door)에 설치되어서 도어를 개폐하는데 필요한 전기 신호를 전송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커넥터(1)는 Sedan, SUV 등과 같은 차량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커넥터(1)는 트랙터, 콤바인 등과 같은 농업용 차량, 장갑차, 탱크 등과 같은 군용 차량, 또는 건설용 차량, 토목용 차량 등에 설치될 수도 있다.
도 2 및 도 3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커넥터(1)는 차량 내 설치된 전자기기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제1커넥터(2), 상기 제1커넥터(2)에 결합되기 위한 제2커넥터(3), 상기 제1커넥터(2)와 상기 제2커넥터(3)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제1컨택트(4), 상기 제1커넥터(2)와 상기 제2커넥터(3)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제2컨택트(5), 및 상기 제1컨택트(4)와 상기 제2컨택트(5)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제한부(6)를 포함한다. 상기 제1커넥터(2)는 상기 제2커넥터(3)가 결합되는 제1본체(21), 및 전기 신호 전송을 위하여 상기 제1본체(21)에 형성된 제1회로패턴(22)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커넥터(1)는 상기 제1회로패턴(22)이 전도성 금속을 이용한 MID(Molded Interconnection Device) 공정으로 상기 제1본체(21)의 일면(一面)(21a)에 형성되도록 구현됨과 아울러 상기 제2커넥터(3)가 상기 제1본체(21)의 타면(他面)(21b) 쪽에서 상기 제1커넥터(2)에 결합되도록 구현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커넥터(1)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커넥터(1)는 회로를 구성하기 위한 PCB(Printed Ciruit Board) 기판과 같은 부품 없이도, MID 공정으로 전기 신호 전송을 위한 상기 제1회로패턴(22)을 상기 제1본체(21)에 직접 구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커넥터(1)는 각종 소자들이 본체에 직접 실장되어, 종래에 각종 소자들을 실장하기 위해 필요했던 기판을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커넥터(1)는 기판이 제거됨에 따라 종래에 사용하던 외부기기와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와는 다른, 종래에 비해 단순화된 구조의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커넥터(1)는 제조에 필요한 부품수를 감소시킴으로써, 제조에 대한 공정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커넥터(1)는 상기 제1회로패턴(22)이 형성되지 않는 상기 제1본체(21)의 타면(21b) 쪽에서 상기 제2커넥터(3)가 결합되도록 구현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커넥터(1)는 상기 제1회로패턴(22)과 상기 제2커넥터(3)가 서로 다른 면 상에서 형성됨에 따라 전기적 단락의 발생 가능성을 감소시킴으로써, 차량 내 설치된 전자기기의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제1회로패턴(22)과 상기 제1커넥터(2)가 같은 면 상에 형성이 되면, 상기 제2커넥터(3)가 상기 제1커넥터(2)에 결합시 상기 제1회로패턴(22)에 부딪혀 접촉할 가능성이 증가되므로 단락의 위험성이 존재하게 되며, 상기 제2커넥터(3)가 상기 제1회로패턴(22)에 부딪힐 경우 상기 제1회로패턴(22)에 파손을 발생시킬 가능성이 증가되어 단선의 위험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커넥터(1)는 상기 제한부(6)를 통해 상기 컨택트들(4, 5)의 이동을 제한함으로써 상기 제1커넥터(2)와 상기 제2커넥터(3) 간의 전기적 연결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커넥터(1)는 상기 제한부(6)가 상기 컨택트들(4, 5)에 전해지는 진동 등의 외력을 흡수할 수 있으므로, 상기 컨택트들(4, 5)에 전달되는 외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커넥터(1)는 차량 내 설치된 전자기기들 간의 신호 전송의 안정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전자기기들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1커넥터(2), 상기 제2커넥터(3), 상기 제1컨택트(4), 상기 제2컨택트(5), 및 상기 제한부(6)에 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 도 3, 및 도 5 내지 도 12을 참고하면, 상기 제1커넥터(2)는 차량 내 설치된 전자기기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상기 제1커넥터(2)는 상기 제2커넥터(3)에 결합되어서 전기적으로 연결됨에 따라 차량 내 설치된 전자기기에 전기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전기 신호는 전원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일 수 있다. 상기 제1커넥터(2)는 상기 제2커넥터(3)에 대해 차량 외부 쪽에 가깝게 위치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커넥터(1)가 차량의 도어를 개폐하는데 필요한 전기 신호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경우, 상기 제1커넥터(2)는 차량의 도어에 설치된 조작스위치(10, 도 2에 도시됨)에 연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2커넥터(3)가 전후방향(X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커넥터(2)에 결합 또는 분리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상기 제1커넥터(2)가 상기 전후방향(X축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상기 제1커넥터(2)와 상기 제2커넥터(3)가 동시에 상기 전후방향(X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전후방향(X축 방향)은 특정방향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고, 상기 제2커넥터(3)와 상기 제1커넥터(2)가 결합되는 일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전후방향(X축 방향)은 차량 내에서 상기 제1커넥터(2)와 상기 제2커넥터(3)가 이격된 방향에 대해 평행한 방향에 해당할 수 있다.
도 2, 도 3, 도 5 내지 도 12을 참고하면, 상기 제1커넥터(2)는 제1본체(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본체(21)는 상기 제2커넥터(3)가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제1본체(21)는 상기 제1커넥터(2)의 본체로서 기능할 수 있다. 상기 제1본체(21)는 전체적으로 직방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본체(21)는 절연성(絶緣性)을 가진 재질로 형성되어서 상기 패턴들과 상기 컨택트들(4, 5)로부터 절연될 수 있다.
상기 제1본체(21)는 고 내열성(耐熱性) 소재로 구성되어야 한다. 예컨대, 상기 제1본체(21)는 PEI(Polyetherimide), PPA(Polyphtalamide), LCP(Liquid Crystal Polymer) 또는 PA(Polyamide) 계열의 수지가 이용될 수 있으며, 대략 280℃ 이상의 고온에도 견딜 수 있는 수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도 6 내지 도 12을 참고하면, 상기 제1커넥터(2)는 제1회로패턴(22), 및 제2회로패턴(2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회로패턴(22)은 상기 제1본체(21)에 형성된다. 상기 제1회로패턴(22)은 차량 내 전자기기들 간에 전기 신호 전송을 위한 것이다. 상기 제1회로패턴(22)은 상기 제1본체(21)의 일면(21a)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본체(21)의 일면(21a)은 상기 제2커넥터(3)를 향하지 않는 상기 제1본체(21)의 면에 해당함과 아울러 상기 제1본체(21)의 타면(21b)의 반대면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제1본체(21)의 일면(21a)은 평행한 평면(平面)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회로패턴(22)은 전도성(傳導性)을 가진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회로패턴(22)은 상기 조작스위치(1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회로패턴(23)은 상기 제1회로패턴(22)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1본체(21)에 형성된다. 상기 제2회로패턴(23)은 차량 내 전자기기들 간에 전기 신호 전송을 위한 것이다. 상기 제2회로패턴(23)은 상기 제1회로패턴(22)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1본체(21)의 일면(21a)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회로패턴(23)은 전도성을 가진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회로패턴(23)은 상기 조작스위치(10)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커넥터(1)가 차량의 도어를 개폐하는데 필요한 전기 신호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2회로패턴(23)과 상기 제1회로패턴(22)을 이용한 전기 신호 전송의 일 실시예를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조작자가 차량의 도어를 개방하기 위해서 상기 조작스위치(10)를 1회 조작하면, 개방신호는 제1회로패턴(22), 상기 제2커넥터(3), 전자기기, 제2회로패턴(23) 순으로 이동하여 차량의 도어를 잠금 해제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조작자가 차량의 도어를 잠그기 위하여 상기 조작스위치(10)를 1회 더 조작하면, 잠금신호는 제2회로패턴(23), 전자기기, 상기 제2커넥터(3), 상기 제1회로패턴(22) 순으로 이동하여 차량의 도어를 잠금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상기 제2회로패턴(23)과 상기 제1회로패턴(22)은 전도성 금속을 이용한 MID 공정으로 상기 제1본체(21)의 일면(21a)에 형성될 수 있다. MID공정은 플라스틱 사출물의 표면 또는 내측에 패턴을 생성하여 회로를 구현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커넥터(1)는 회로를 구성하기 위한 PCB(Printed Ciruit Board) 기판과 같은 부품 없이도, MID 공정으로 전기 신호 전송을 위한 상기 회로패턴들(22, 23)을 상기 제1본체(21)에 직접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커넥터(1)는 제조에 필요한 부품수를 감소시킴으로써, 제조에 대한 공정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상기 제1본체(21)에 상기 회로패턴들(22, 23)을 구현하는 방법으로는 Laser Direct Structuring(LDS), Laser Masking(LDAT/Modat), Physical Vapor Deposition(PVD) 등의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제2회로패턴(23)과 상기 제1회로패턴(22)은 상기 제1본체(21)의 일면(21a)에 금속화가 가능한 패턴을 형성한 후, 무전해 또는 전해 도금을 이용하여 박막의 도전성 물질을 도금함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제2커넥터(3)는 상기 제1커넥터(2)에 결합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2커넥터(3)는 상기 제1본체(21)가 갖는 결합홈(20, 도 3에 도시됨)에 삽입되어서 상기 제1커넥터(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커넥터(3)는 상기 제1본체(21)의 타면(21b) 쪽에서 상기 제1커넥터(2)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커넥터(1)는 상기 회로패턴들(22, 23)과 상기 제2커넥터(3)가 동일한 면 상에서 접촉됨에 따른 전기적 단락의 발생 가능성을 감소시킴으로써, 차량 내 설치된 전자기기의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상기 제1본체(21)의 타면(21b)은 상기 제2커넥터(3)를 향하는 상기 제1본체(21)의 면에 해당함과 아울러 상기 제1본체(21)의 일면(21a)의 반대면에 해당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제2커넥터(3)는 제2본체(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본체(31)는 상기 제1커넥터(2)에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제2본체(31)는 상기 제2커넥터(3)의 본체로 기능할 수 있다. 상기 제2본체(31)는 전체적으로 직방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본체(31)는 절연성을 가진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본체(31)는 고 내열성 소재로 구성되어야 한다. 예컨대, 상기 제2본체(31)는 PEI(Polyetherimide), PPA(Polyphtalamide), LCP(Liquid Crystal Polymer) 또는 PA(Polyamide) 계열의 수지가 이용될 수 있으며, 대략 280℃ 이상의 고온에도 견딜 수 있는 수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제2커넥터(3)는 결합공(3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공(32)은 상기 제1컨택트(4)가 삽입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결합공(32)은 상기 제2본체(31)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공(32)은 상기 컨택트들(4, 5)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상기 제2본체(31)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커넥터(1)가 2개의 컨택트(4, 5)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2본체(31)에는 2개의 결합공(32)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삽입공(24)들은 서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어서 상기 컨택트들(4, 5)이 각각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결합공(32)은 상기 제1커넥터(2)를 향하는 상기 제2본체(31)의 일면으로부터 소정 깊이 홈을 가공하는 작업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컨택트(4)와 상기 제2컨택트(5)가 상기 결합공(32)에 각각 삽입되면, 상기 제1커넥터(2)와 상기 제2커넥터(3)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제2커넥터(3)는 삽입유도면(3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삽입유도면(33)은 상기 제1컨택트(4)가 상기 결합공(32)으로 삽입되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상기 삽입유도면(33)은 곡면으로 형성되어서 상기 제1컨택트(4)가 상기 결합공(32)을 삽입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컨택트(4)의 위치가 상하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소정 범위 내에서 오정렬된 경우라도, 상기 제1컨택트(4)는 상기 삽입유도면(33)에 접촉된 후에 상기 상하방향(Y축 방향)을 따라 이동하여서 상기 결합공(32)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커넥터(1)는 상기 제1커넥터(2) 및 상기 제2커넥터(3)를 연결시키는 작업에 대한 정확성 및 용이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삽입유도면(33)은 상기 결합공(32)을 향하는 상기 제2본체(31)의 면일 수 있다. 상기 상하방향(Y축 방향)은 상기 전후방향(X축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에 해당함과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커넥터(1)의 전체적인 높이가 높아지거나 낮아지는 방향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커넥터(1)가 2개의 컨택트(4, 5)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삽입유도면(33)은 상기 제2컨택트(5)가 상기 결합공(32)으로 삽입되도록 유도할 수도 있다.
도 2 내지 도 12을 참고하면, 상기 제1컨택트(4)는 상기 제1커넥터(2)와 상기 제2커넥터(3)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컨택트(4)는 상기 제1회로패턴(22)에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결합공(32)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1컨택트(4)는 제1본체(2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컨택트(4)는 상기 제1본체(21)의 일면(21a)과 타면(21b)을 관통하도록 상기 제1본체(21)에 결합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제1컨택트(4)는 제1실장부재(41), 및 제1접속부재(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실장부재(41)는 상기 제1회로패턴(2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실장부재(41)는 상기 제1회로패턴(22)에 실장될 수 있다. 상기 제1실장부재(41)는 상기 제1컨택트(4)의 일부로, 상기 제1회로패턴(22)에 실장되는 부분에 해당한다. 상기 제1실장부재(41)는 상기 전후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본체(21)의 일면(21a)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실장부재(41)는 전도성을 가진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실장부재(41)는 상기 제1회로패턴(22)과 상기 제한부(6) 사이의 이격거리에 비해 더 큰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회로패턴(22)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한부(6)로부터 이격된 채로 상기 제1실장부재(41)에 연결될 수 있는데, 상기 제1실장부재(41)는 상기 제1회로패턴(22)과 상기 제한부(6) 사이의 이격거리에 비해 더 큰 길이를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회로패턴(22)에 충분히 실장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1실장부재(41)는 상기 제1본체(21)의 일면(21a)에 대해 평행한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커넥터(1)는 상기 제1실장부재(41)가 상기 제1회로패턴(22)에 실장되는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회로패턴(22)이 상기 상하방향(Y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된 경우, 상기 제1컨택트(4)는 상기 상하방향(Y축 방향)을 따라 연장됨으로써 상기 제1회로패턴(22)에 실장되는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커넥터(1)는 상기 제1회로패턴(22)과 상기 제1컨택트(4)의 연결 신뢰성 및 안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제1본체(21)의 일면(21a)에 대해 평행한 방향은, 상기 상하방향(Y축 방향)과 좌우방향(Z축 방향) 각각에 대해 평행한 방향일 수 있다. 상기 좌우방향(Z축 방향)은 상기 전후방향(X축 방향)과 상기 상하방향(Y축 방향) 각각에 대해 수직한 방향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제1접속부재(42)는 상기 제2커넥터(3)에 접속되는 것이다. 상기 제1접속부재(42)는 상기 제1컨택트(4)의 일부로, 상기 제2커넥터(3)에 접속되는 부분에 해당한다. 상기 제1접속부재(42)에 접속된 상기 제2커넥터(3)는, 상기 제1실장부재(41)를 통해 상기 제1회로패턴(22)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속부재(42)는 전도성을 가진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속부재(42)는 상기 전후방향(X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접속부재(42)는 상기 제2커넥터(3) 쪽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접속부재(42)는 대략적으로 상기 제1실장부재(41)와 90도의 각을 이루며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속부재(42)는 상기 제1실장부재(41)의 상측에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속부재(42)는 상기 전후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본체(21)의 타면(21b)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속부재(42)는 제1연결부재(미도시)를 통해 상기 제1실장부재(41)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부재는 상기 제1접속부재(42)와 상기 제1실장부재(41) 사이에 위치하여서 상기 제1접속부재(42)와 상기 제1실장부재(41) 각각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부재는 전도성을 가진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속부재(42), 상기 제1연결부재, 및 상기 제1실장부재(41)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 내지 도 12을 참고하면, 상기 제2컨택트(5)는 상기 제1커넥터(2)와 상기 제2커넥터(3)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2컨택트(5)는 상기 제2회로패턴(23)에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결합공(32)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2컨택트(5)는 제1본체(2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컨택트(5)는 상기 제1본체(21)의 일면(21a)과 타면(21b)을 관통하여서 상기 제1본체(2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컨택트(5)는 상기 제1컨택트(4)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제2컨택트(5)와 상기 제1컨택트(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우방향(Z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컨택트(5)는 상기 제1컨택트(4)에 대해 상기 조작스위치(10)로부터 더 먼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회로패턴(23)은 상기 제1회로패턴(22)에 비해 더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제2컨택트(5)는 제2실장부재(51), 및 제2접속부재(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실장부재(51)는 상기 제2회로패턴(23)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2실장부재(51)는 상기 제2회로패턴(23)에 실장될 수 있다. 상기 제2실장부재(51)는 상기 제2컨택트(5)의 일부로, 상기 제2회로패턴(23)에 실장되는 부분에 해당한다. 상기 제2실장부재(51)는 상기 전후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본체(21)의 일면(21a)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2실장부재(51)는 전도성을 가진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실장부재(51)는 상기 제1본체(21)의 일면(21a)에 대해 평행한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커넥터(1)는 상기 제2실장부재(51)가 상기 제2회로패턴(23)에 실장되는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제2실장부재(51)는 상기 제2회로패턴(23)과 상기 제한부(6) 사이의 이격거리에 비해 더 큰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접속부재(52)는 상기 제2커넥터(3)에 접속되는 것이다. 상기 제2접속부재(52)는 상기 제2컨택트(5)의 일부로, 상기 제2커넥터(3)에 접속되는 부분에 해당한다. 상기 제2접속부재(52)에 접속된 상기 제2커넥터(3)는, 상기 제2실장부재(51)를 통해 상기 제2회로패턴(23)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접속부재(52)는 전도성을 가진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접속부재(52)는 상기 전후방향(X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접속부재(52)는 상기 제2커넥터(3) 쪽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접속부재(52)는 대략적으로 상기 제2실장부재(51)와 90도의 각을 이루며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접속부재(52)는 상기 제2실장부재(51)의 상측에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접속부재(52)는 상기 전후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본체(21)의 타면(21b)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2접속부재(52)는 제2연결부재(미도시)를 통해 상기 제2실장부재(51)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부재는 상기 제2접속부재(52)와 상기 제2실장부재(51) 사이에 위치하여서 상기 제2접속부재(52)와 상기 제2실장부재(51) 각각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부재는 전도성을 가진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접속부재(52), 상기 제2연결부재, 및 상기 제2실장부재(51)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 도 5 내지 도 12을 참고하면, 상기 제한부(6)는 상기 제1컨택트(4)와 상기 제2컨택트(5)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커넥터(1)는 상기 제한부(6)를 통해 상기 컨택트들(4, 5)의 이동을 제한함으로써 상기 제1커넥터(2)와 상기 제2커넥터(3) 간의 전기적 연결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커넥터(1)는 차량 내 설치된 전자기기들 간의 신호 전송의 안정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전자기기들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한부(6)는 상기 제1본체(2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한부(6)는 상기 제1본체(21)의 일면(21a)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한부(6)는 상기 제1컨택트(4)와 상기 제2컨택트(5)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Stopper)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상기 제한부(6)는 MID 공정을 이용하여 상기 제1본체(2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종래에는 회로를 구성하기 위한 PCB 기판의 특성상, PCB 기판 상에 제한부(6)를 설치하기가 어렵게 구현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커넥터(1)는 사출물인 상기 제1본체(21)와 상기 제한부(6)를 일체형으로 제조할 수 있도록 구현됨으로써, 종래에 비해 단순화된 구조의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커넥터(1)에 있어서 상기 제한부(6)가 상기 컨택트들(4, 5)의 이동 가능한 거리를 제한하는 2가지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실시예>
도 6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제한부(6)는 제한부재(61), 걸림공(62), 및 걸림부재(6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를 참고하면, 상기 제한부재(61)는 상기 제1본체(21)에 결합된다. 상기 제한부재(61)는 상기 제1본체(21)의 일면(21a)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한부재(61)는 상기 제1본체(21)의 일면(21a)으로부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은 상기 제1본체(21)의 일면(21a)에서 상기 제1컨택트(4)를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상기 제한부재(61)는 전체적으로 직방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한부재(61)는 상기 제1본체(21)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7(a), 및 도 7(b)를 참고하면, 상기 걸림공(62)은 상기 제1실장부재(41)가 삽입되는 것이다. 상기 걸림공(62)은 상기 제한부재(61)와 상기 걸림부재(63)를 사이에 두고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공(62)에 상기 제1실장부재(41)가 삽입되면, 상기 제1실장부재(41)의 일면과 타면은 상기 제한부재(61)와 걸림부재(63)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1실장부재(41)의 일면과 타면은 상기 좌우방향(Z축 방향)을 향하는 상기 제1실장부재(41)의 면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걸림공(62)은 상기 제1실장부재(41)가 삽입되도록 상기 제1실장부재(41)의 일부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를 참고하면, 상기 걸림부재(63)는 상기 제한부재(61) 쪽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서 상기 걸림공(62)에 삽입된 제1컨택트(4)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걸림부재(63)는 상기 제한부재(61)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재(63)는 상기 좌우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한부재(61)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재(63)는 상기 제1본체(21)에 탄성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걸림부재(63)는 상기 제1컨택트(4)가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한부재(6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및 상기 제한부재(61)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각각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은 상기 전후방향(X축 방향)에 대해 평행한 방향에 해당함과 아울러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과 반대방향일 수 있다. 상기 걸림부재(63)는 상기 제1본체(21)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걸림부재(63)는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실장부재(41)가 상기 걸림공(62)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제한부재(6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걸림공(62)의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제1실장부재(41)는 상기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걸림부재(63)에 접촉된 후에 상기 걸림부재(63)를 상기 제한부재(6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제1실장부재(41)가 상기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 쪽으로 더 이동하여서 상기 걸림공(62)에 삽입되면, 상기 걸림부재(63)는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력에 의한 복원력으로 상기 제한부재(61) 쪽으로 이동하여 상기 걸림공(62)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커넥터(1)는 상기 제1실장부재(41)를 상기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으로만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제1실장부재(41)가 상기 걸림공(62)에 삽입될 수 있도록 구현된다.
상기 걸림부재(63)는 상기 제1실장부재(41)가 상기 걸림공(62)에 삽입되면, 탄성력에 의한 복원력으로 상기 제1실장부재(41)를 상기 제1회로패턴(22) 쪽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커넥터(1)는 상기 제1실장부재(41)와 상기 제1회로패턴(22)의 연결 신뢰성 및 안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걸림부재(63)는 상기 제1실장부재(41)를 상기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 쪽으로 가압할 수 있다.
상기 제한부(6)가 상기 제한부재(61), 상기 걸림공(62), 및 상기 걸림부재(63)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1본체(21)에는 삽입공(24, 도 7(a)에 도시됨)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공(24)은 상기 제1접속부재(42)가 삽입되는 것이다. 상기 삽입공(24)은 상기 전후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본체(21)의 일면(21a)과 타면(21b)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공(24)은 상기 제1접속부재(42)의 일부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9(a), 및 도 9(b)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커넥터(1)는 상기 삽입공(24)을 통해 상기 제1접속부재(42)를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제한부(6)를 통해 상기 제1실장부재(41)를 지지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즉, 상기 제1접속부재(42)는 상기 삽입공(24)에 삽입되어서 상기 제1본체(21)에 지지됨에 따라 상기 상하방향(Y축 방향) 쪽으로 이동 가능한 거리 및 상기 좌우방향(Z축 방향) 쪽으로 이동 가능한 거리가 제한된다. 또한, 상기 제1실장부재(41)는 상기 걸림공(62)에 삽입되어서 상기 제한부재(61)와 상기 걸림부재(63)에 지지됨에 따라 상기 전후방향(X축 방향) 쪽으로 이동 가능한 거리 및 상기 좌우방향(Z축 방향) 쪽으로 이동 가능한 거리가 제한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커넥터(1)는 상기 제1본체(21)와 상기 제한부(6)가 상기 제1컨택트(4)의 서로 다른 부분을 지지하도록 구현됨으로써, 상기 제1컨택트(4)를 지지하는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걸림부재(63)는 걸림유도면(63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림유도면(631)은 상기 제1실장부재(41)가 상기 걸림공(62)에 삽입되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상기 걸림유도면(631)은 상기 제1실장부재(41)가 상기 걸림공(62)으로 삽입되는 방향을 따라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컨택트(4)의 위치가 상기 좌우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소정 범위 내에서 오정렬된 경우라도, 상기 제1실장부재(41)는 상기 좌우방향(Z축 방향)을 따라 이동하여서 상기 걸림공(62)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커넥터(1)는 상기 제1실장부재(41)를 상기 걸림공(62)에 삽입시키는 작업에 대한 정확성 및 용이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걸림부재(63)는 제1걸림면(632), 및 제2걸림면(63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걸림면(632)은 상기 걸림공(62)에 삽입된 상기 제1실장부재(41)를 지지한다. 상기 제1걸림면(632)은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을 향하는 상기 제1실장부재(41)의 전방면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1걸림면(632)은 상기 걸림공(62) 쪽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걸림면(632)은 상기 걸림유도면(631)과 상기 제2걸림면(633) 사이에서 상기 걸림유도면(631)과 상기 제2걸림면(633) 각각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걸림면(633)은 상기 제1걸림면(632)에 연결된다. 상기 제2걸림면(633)은 상기 제1실장부재(41)의 일면을 지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한부재(61)는 상기 제1실장부재(41)의 타면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2걸림면(633)은 상기 걸림공(62)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걸림면(633)은 상기 제1걸림면(632)과 상기 제1본체(21)의 일면(21a)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걸림면(633)과 상기 제1걸림면(632) 사이의 끼인각(θ)은 90도 이하를 이룰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커넥터(1)는 상기 제2걸림면(633)과 상기 제1걸림면(632) 사이의 끼인각(θ)이 90도를 초과하는 예와 대비하여 볼 때, 상기 제1실장부재(41)가 상기 걸림공(62)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실장부재(41)에 대한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 쪽으로의 이동을 더욱 제한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커넥터(1)가 상기 제1컨택트(4)의 이동을 제한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로부터 상기 제2컨택트(5)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한부(6)와 삽입공(24)을 도출하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 자명할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커넥터(1)가 2개의 컨택트(4, 5)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한부(6)는 하나의 제한부재(61), 상기 컨택트들(4, 5)의 각각의 실장부재(41, 51)가 삽입되는 2개의 걸림공(62), 및 상기 컨택트들(4, 5)의 각각의 실장부재(41, 51)를 지지하기 위한 2개의 걸림부재(63)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2개의 걸림공(62)과 상기 2개의 걸림부재(63)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우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한부재(61)를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본체(21)에는 컨택트(4, 5)들 각각의 접속부재(42, 52)가 삽입되는 2개의 삽입공(24)이 형성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커넥터(1)에 있어서 상기 제1커넥터(2)는 위치식별구(2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치식별구(2A)는 상기 제2커넥터(3)가 상기 제1커넥터(2)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2커넥터(3)의 위치를 식별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커넥터(1)는 작업자가 상기 위치식별구(2A)를 통해 상기 제2커넥터(3)의 위치를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구현됨으로써, 상기 제2커넥터(3)에 대한 결합작업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위치식별구(2A)는 상기 제2커넥터(3)가 상기 결합홈(20)에 삽입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상기 제1본체(21)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위치식별구(2A)는 상기 제1본체(21)의 일면(21a)에서 타면(21b)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위치식별구(2A)는 상기 삽입공(24)으로부터 상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위치식별구(2A)는 전체적으로 직방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상기 제2커넥터(3)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는 한 원통 형태 등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2실시예>
도 10 내지 도 12을 참고하면, 상기 제한부(6)는 제한부재(61), 제한공(64), 지지부재(65), 및 전방가림부재(66)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커넥터(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65)는, 상기 제1본체(21)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점을 제외하고 상기 제1실시예에서 서술한 상기 걸림부재(63)와 대략적으로 동일하게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 서술할 제2실시예는 상기 걸림부재(63)가 상기 지지부재(65)로 구현된 것을 기준으로 한 것이다.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제한부재(61)는 상기 제1본체(21)에 결합된다. 상기 제한부재(61)는 상기 제1본체(21)의 일면(21a)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한부재(61)는 상기 제1본체(21)의 일면(21a)으로부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은 상기 제1본체(21)의 일면(21a)에서 상기 제1컨택트(4)를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상기 제한부재(61)는 전체적으로 직방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한부재(61)는 상기 제1본체(21)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제한공(64)은 상기 전방가림부재(66), 상기 지지부재(65), 및 상기 제한부재(61)를 외측에 두고 형성되어서 상기 제1실장부재(41)가 삽입되는 것이다. 상기 제한공(64)은 상기 상하방향(Y축 방향)을 따라 상기 제한부(6)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한공(64)에 상기 제1실장부재(41)가 삽입되면, 상기 제1실장부재(41)는 상기 전방가림부재(66)에 지지됨에 따라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됨과 아울러 상기 지지부재(65)와 상기 제한부재(61)에 지지됨에 따라 상기 좌우방향(Z축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상기 제한공(64)은 상기 제1실장부재(41)가 삽입되도록 상기 제1실장부재(41)의 일부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이 개방된 제1실시예의 상기 걸림공(62)과는 달리, 상기 제한공(64)은 상기 제한부재(61)와 상기 지지부재(65) 각각에 결합된 전방가림부재(66)에 의해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이 폐쇄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고하면, 상기 지지부재(65)는 상기 제한부재(61)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제1본체(21)에 결합된 것이다. 상기 지지부재(65)는 상기 제한부재(61)로부터 상기 좌우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65)는 상기 제한공(64)의 측면을 가리도록 상기 제1본체(2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좌우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지지부재(65)와 상기 제한부재(61)의 사이에는 상기 제한공(64)이 배치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고하면, 상기 전방가림부재(66)는 상기 지지부재(65)와 상기 제한부재(61) 각각에 결합된 것이다. 상기 전방가림부재(66)는 상기 제한공(64)의 전방을 가리도록 상기 지지부재(65)와 상기 제한부재(61) 각각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전방은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과 동일한 방향에 해당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점선은 상기 전방가림부재(66)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전방가림부재(66), 상기 지지부재(65), 및 상기 제한부재(61)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한부(6)가 상기 제한부재(61), 상기 제한공(64), 상기 지지부재(65), 및 상기 전방가림부재(66)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1본체(21)에는 삽입홈(25, 도 10에 도시됨)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홈(25)은 상기 제1접속부재(42)가 삽입되는 것이다. 상기 삽입홈(25)은 상기 전후방향(X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홈(25)은 상기 제1접속부재(42)의 일부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2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커넥터(1)는 상기 삽입홈(25)을 통해 상기 제1접속부재(42)를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제한부(6)를 통해 상기 제1실장부재(41)를 지지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즉, 상기 제1접속부재(42)는 상기 삽입홈(25)에 삽입되어서 상기 제1본체(21)에 지지됨에 따라 상기 좌우방향(Z축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된다. 또한, 상기 제1실장부재(41)는 상기 제한공(64)에 삽입되어서 상기 전방가림부재(66)에 지지됨에 따라 상기 전후방향(X축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됨과 아울러 상기 지지부재(65)와 상기 제한부재(61)에 지지됨에 따라 상기 좌우방향(Z축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커넥터(1)는 상기 제1본체(21)와 상기 제한부(6)가 상기 제1컨택트(4)의 서로 다른 부분을 지지하도록 구현됨으로써, 상기 제1컨택트(4)를 지지하는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고하면, 상기 제한부(6)는 진동흡수부재(6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동흡수부재(67)는 상기 제한부재(61)의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제한부재(61)에 결합된다. 상기 진동흡수부재(67)는 상기 제1컨택트(4)의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진동흡수부재(67)는 상기 제1컨택트(4)의 측면에 배치되어서 상기 제1컨택트(4)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진동흡수부재(67)는 상기 제한부재(61)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진동흡수부재(67)는 전체적으로 직방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진동흡수부재(67)는 상기 제1접속부재(42)에 가해지는 외력을 흡수하도록 상기 삽입홈(25)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커넥터(1)는 상기 제1컨택트(4)를 지지하는 지지력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상기 제1컨택트(4)에 전달되는 외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커넥터(1)는 차량 내 설치된 전자기기들 간의 신호 전송의 안정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전자기기들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커넥터(1)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실장부재(41)를 상기 전후방향(X축 방향)을 따라 상기 제한공(64)에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시킨 다음,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실장부재(41)를 상기 상하방향(Y축 방향)을 따라 이동시켜서 상기 제한공(64)에 삽입시킬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커넥터(1)는 제1실시예와 달리, 상기 제1실장부재(41)를 상기 제한공(64)에 삽입시키기 위해 2개의 방향으로 상기 제1실장부재(41)를 이동시키는 작업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커넥터(2)는 연통공(2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통공(26)은 상기 삽입홈(25)에 연통된다. 상기 연통공(26)은 상기 제1접속부재(42)가 상기 상하방향(Y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공간이 확보되도록 상기 상하방향(Y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통공(26)이 형성되지 않는 비교예는 상기 제한공(64)에 상기 제1실장부재(41)가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1접속부재(42)가 상기 제1본체(21)의 일면(21a) 쪽으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1본체(21)에 부딪히는 등의 간섭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커넥터(1)는 상기 제1실장부재(41)를 상기 제한공(64)에 삽입시키는 작업 및 상기 제1접속부재(42)를 상기 삽입홈(25)에 삽입시키는 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연통공(26)은 상기 삽입홈(25)의 상측에서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연통공(26)은 상기 전후방향(X축 방향)을 따라 상기 제1본체(21)의 일면(21a) 및 타면(21b)을 관통하도록 상기 제1본체(21)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통공(2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커넥터(1)에 있어서 상기 위치식별구(2A)가 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커넥터(1)가 상기 제1컨택트(4)의 이동을 제한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로부터 상기 제2컨택트(5)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한부(6)와 삽입홈(25)을 도출하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 자명할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커넥터(1)가 2개의 컨택트(4, 5)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한부(6)는 하나의 제한부재(61), 상기 컨택트들(4, 5)의 각각의 실장부재(41, 51)가 삽입되는 2개의 제한공(64), 상기 제한부재(61)를 사이에 두고 이격되도록 상기 제1본체(21)에 결합된 2개의 지지부재(65), 상기 컨택트들(4, 5)의 각각의 실장부재(41, 51)의 전방을 가리는 2개의 전방가림부재(66), 및 상기 컨택트들(4, 5) 각각의 접속부재들(42, 52)의 외력을 흡수하는 하나의 진동흡수부재(67)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2개의 제한공(64)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우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본체(21)에는 상기 컨택트들(4, 5) 각각의 접속부재(42, 52)가 삽입되는 2개의 삽입홈(25), 및 상기 2개의 삽입홈(25) 모두에 연통되는 하나의 연통공(26)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2개의 삽입홈(25)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우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2, 도 5, 도 6, 도 8, 도 12을 참고하면, 상기 제한부(6)는 상기 제1실장부재(41)와 상기 제2실장부재(51)의 일부를 가리도록 상기 제1본체(21)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커넥터(1)에 있어서 상기 제한부(6)는 상기 제1실장부재(41)와 상기 제2실장부재(51) 각각의 일면과 타면을 가릴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커넥터(1)에 있어서 상기 제한부(6)는 상기 제1실장부재(41)와 상기 제2실장부재(51) 각각의 일면, 타면, 및 전방면을 가릴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회로패턴(22)과 상기 제2회로패턴(23)은 상기 제1실장부재(41)와 상기 제2실장부재(51) 각각에 연결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회로패턴(22)은 제1회피라인(221, 도 6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회피라인(221)은 상기 제한부(6)를 회피하여서 상기 제1실장부재(41)에 연결되도록 상기 상하방향(Y축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회피라인(221)은 상기 제1실장부재(41)에 직접 연결될 수 있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회로패턴(22)에 포함된 일부 라인을 통해 상기 제1실장부재(41)에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제1회피라인(221)은 상기 제1회로패턴(22)에 포함된 제1연결라인(222)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라인(222)은 상기 조작스위치(10)와 상기 제1회피라인(221) 각각에 연결된 상기 제1회로패턴(22)의 일부 라인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연결라인(222)은 상기 좌우방향(Z축 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회로패턴(23)은 제2회피라인(231, 도 6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회피라인(231)은 상기 제한부(6)를 회피하여서 상기 제2실장부재(51)에 연결되도록 상기 상하방향(Y축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상기 제2회피라인(231)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실장부재(51)에 직접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제2회로패턴(23)에 포함된 일부 라인을 통해 상기 제2실장부재(51)에 실장될 수도 있다. 상기 제2회피라인(231)은 상기 제2회로패턴(23)에 포함된 제2연결라인(232)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라인(232)은 상기 조작스위치(10)와 상기 제2회피라인(231) 각각에 연결된 상기 제2회로패턴(23)의 일부 라인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연결라인(232)은 상기 좌우방향(Z축 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 : 차량용 커넥터 2 : 제1커넥터
3 : 제2커넥터 4 : 제1컨택트
5 : 제2컨택트 6 : 제한부
21 : 제1본체 22 : 제1회로패턴
23 : 제2회로패턴 24 : 삽입공
25 : 삽입홈 26 : 연통공
31 : 제2본체 32 : 결합공
41 : 제1실장부재 42 : 제1접속부재
51 : 제2실장부재 52 : 제2접속부재
61 : 제한부재 62 : 걸림공
63 : 걸림부재 64 : 제한공
631 : 걸림유도면 632 : 제1걸림면
633 : 제2걸림면

Claims (13)

  1. 차량 내 설치된 전자기기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제1커넥터(2);
    상기 제1커넥터(2)에 결합되기 위한 제2커넥터(3);
    상기 제1커넥터(2)와 상기 제2커넥터(3)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제1컨택트(4);
    상기 제1커넥터(2)와 상기 제2커넥터(3)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제2컨택트(5); 및
    상기 제1컨택트(4)와 상기 제2컨택트(5)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제한부(6)를 포함하고,
    상기 제1커넥터(2)는 상기 제2커넥터(3)가 결합되는 제1본체(21), 및 전기 신호 전송을 위하여 상기 제1본체(21)에 형성된 제1회로패턴(22)을 포함하며,
    상기 제1회로패턴(22)은 전도성 금속을 이용한 MID 공정으로 상기 제1본체(21)의 일면(一面)(21a)에 형성되고,
    상기 제2커넥터(3)는 상기 제1본체(21)의 타면(他面)(21b) 쪽에서 상기 제1커넥터(2)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컨택트(4)는 상기 제1회로패턴(2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제1실장부재(41)를 포함하고,
    상기 제1회로패턴(22)은 상기 제한부(6)로부터 이격된 채로 상기 제1실장부재(41)에 연결되며,
    상기 제1실장부재(41)는 상기 제1회로패턴(22)과 상기 제한부(6) 사이의 이격거리에 비해 더 큰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커넥터(3)는 상기 제1컨택트(4)가 삽입되기 위한 결합공(32), 및 곡면으로 형성되어서 상기 제1컨택트(4)가 상기 결합공(32)으로 삽입되도록 유도하는 삽입유도면(3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컨택트(4)는 상기 제1회로패턴(2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제1실장부재(41), 및 상기 제2커넥터(3)에 접속되기 위한 제1접속부재(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커넥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부(6)는
    상기 제1본체(21)에 결합된 제한부재(61);
    상기 제한부재(61) 쪽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서 상기 제1컨택트(4)의 제1실장부재(41)를 지지하기 위한 걸림부재(63); 및
    상기 제한부재(61)와 상기 걸림부재(63)를 사이에 두고 형성되어 상기 제1실장부재(41)가 삽입되는 걸림공(6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커넥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63)는 상기 제1실장부재(41)가 상기 걸림공(62)에 삽입되도록 유도하는 걸림유도면(631)을 포함하고,
    상기 걸림유도면(631)은 상기 제1실장부재(41)가 상기 걸림공(62)으로 삽입되는 방향을 따라 경사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커넥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63)는 상기 걸림공(62)에 삽입된 상기 제1실장부재(41)를 지지하도록 상기 걸림공(62) 쪽으로 돌출된 제1걸림면(632), 및 상기 제1걸림면(632)에 연결된 제2걸림면(633)을 포함하고,
    상기 제2걸림면(633)과 상기 제1걸림면(632) 사이의 끼인각(θ)은 90도 이하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커넥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63)는 상기 제1본체(21)에 탄성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제1실장부재(41)가 상기 걸림공(62)에 삽입되면 탄성력에 의한 복원력으로 상기 제1실장부재(41)를 상기 제1회로패턴(22) 쪽으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커넥터.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본체(21)에는 상기 제1컨택트(4)의 제1접속부재(42)가 삽입되는 삽입공(24)이 형성되고,
    상기 제1실장부재(41)는 상기 걸림공(62)에 삽입되어서 상기 제한부재(61)와 상기 걸림부재(63)에 지지됨에 따라 이동이 제한되며,
    상기 제1접속부재(42)는 상기 삽입공(24)에 삽입되어서 상기 제1본체(21)에 지지됨에 따라 이동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커넥터.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부(6)는
    상기 걸림부재(63)와 상기 제한부재(61) 각각에 결합된 전방가림부재(66); 및
    상기 전방가림부재(66), 상기 걸림부재(63), 및 상기 제한부재(61)를 외측에 두고 형성되어서 상기 제1실장부재(41)가 삽입되는 제한공(6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커넥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본체(21)에는 상기 제1컨택트(4)의 제1접속부재(42)가 삽입되는 삽입홈(25)이 형성되고,
    상기 제1실장부재(41)는 상기 제한공(64)에 삽입되어서 상기 전방가림부재(66)에 지지됨에 따라 이동이 제한되며,
    제1접속부재(42)는 상기 삽입홈(25)에 삽입되어서 상기 제1본체(21)에 지지됨에 따라 이동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커넥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본체(21)에는 상기 제1컨택트(4)의 제1접속부재(42)가 삽입되는 삽입홈(25)이 형성되고,
    상기 제1커넥터(2)는 상기 삽입홈(25)에 연통된 연통공(26)을 포함하며,
    상기 연통공(26)은 상기 제1접속부재(42)가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공간이 확보되도록 상기 상하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커넥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컨택트(4)는 상기 제1회로패턴(22)에 실장되기 위한 제1실장부재(41)를 포함하고,
    상기 제한부(6)는 상기 제1실장부재(41)의 일부를 가리도록 상기 제1본체(21)에 결합되며,
    상기 제1회로패턴(22)은 상기 제한부(6)를 회피하여서 상기 제1실장부재(41)에 연결되도록 상하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1회피라인(22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커넥터.
KR1020190176092A 2019-12-27 2019-12-27 차량용 커넥터 KR1026518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6092A KR102651811B1 (ko) 2019-12-27 2019-12-27 차량용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6092A KR102651811B1 (ko) 2019-12-27 2019-12-27 차량용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3621A KR20210083621A (ko) 2021-07-07
KR102651811B1 true KR102651811B1 (ko) 2024-03-26

Family

ID=76861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6092A KR102651811B1 (ko) 2019-12-27 2019-12-27 차량용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181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33161A (ja) 2000-07-17 2002-01-31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基板用シールドコネクタの接続構造
JP2008273232A (ja) 2007-04-25 2008-11-13 Ichikoh Ind Ltd 車両用前照灯のレベリング装置
JP2013020873A (ja) 2011-07-13 2013-01-31 Yazaki Corp 端子及びそれを備えたコネクタ
JP2015153595A (ja) 2014-02-14 2015-08-24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車載用電気機器および車載用電気機器の製造方法
JP2016062682A (ja) 2014-09-16 2016-04-25 株式会社日本自動車部品総合研究所 コネクタ構造
KR101818613B1 (ko) 2016-11-30 2018-01-17 (주)티에이치엔 일체형 조인트 커넥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2883A (ko) * 2007-07-04 2009-01-09 양주웅 내장형 pcb 안테나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33161A (ja) 2000-07-17 2002-01-31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基板用シールドコネクタの接続構造
JP2008273232A (ja) 2007-04-25 2008-11-13 Ichikoh Ind Ltd 車両用前照灯のレベリング装置
JP2013020873A (ja) 2011-07-13 2013-01-31 Yazaki Corp 端子及びそれを備えたコネクタ
JP2015153595A (ja) 2014-02-14 2015-08-24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車載用電気機器および車載用電気機器の製造方法
JP2016062682A (ja) 2014-09-16 2016-04-25 株式会社日本自動車部品総合研究所 コネクタ構造
KR101818613B1 (ko) 2016-11-30 2018-01-17 (주)티에이치엔 일체형 조인트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3621A (ko) 2021-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28092B2 (en) Robust, miniaturized electrical connector
US5876248A (en) Matable electrical connectors having signal and power terminals
CN109891676A (zh) 压装的电连接器
US8790121B2 (en)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2002313498A (ja) 差動及びシングルエンド伝送用途のための高速度、高密度相互接続システム
EP4024624A1 (en) Connector, connection assembly and backplane interconnection system
JP7228117B2 (ja) 基板用コネクタ、及び機器
KR20170134150A (ko) 커넥터
US11114789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rotationally restricted cover member
KR20080082882A (ko) 커넥터
CN111916925A (zh) 主连接器及具备该主连接器的插座组件
US20140199890A1 (en) Plug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KR102651811B1 (ko) 차량용 커넥터
US10992072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rotatably mounted cover member
US11038296B2 (en) Electric connector with rotatably mounted cover member
TW202127078A (zh) 電纜連接器以及板連接器
KR100941887B1 (ko) 케이블용 커넥터
EP3561967B1 (en) Electrical shielding member for a network connector
JP2011154834A (ja) コネクタ用カバー部材
JP2016024863A (ja) コネクタ
KR20220127724A (ko) 커넥터
EP3514973B1 (en) Small form-factor pluggable transceiver
WO2023286578A1 (ja) 基板用コネクタおよび機器
WO2023090114A1 (ja) 基板用コネクタ装置
KR102633838B1 (ko) 플로팅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