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1887B1 - 케이블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케이블용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1887B1
KR100941887B1 KR1020080034453A KR20080034453A KR100941887B1 KR 100941887 B1 KR100941887 B1 KR 100941887B1 KR 1020080034453 A KR1020080034453 A KR 1020080034453A KR 20080034453 A KR20080034453 A KR 20080034453A KR 100941887 B1 KR100941887 B1 KR 1009418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insulator
pattern
electronic component
circuit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4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6288A (ko
Inventor
나오키 다카하시
히로시 하시다
Original Assignee
교우세라 에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우세라 에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교우세라 에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862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62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18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1887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FPC)이나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FFC) 등의 케이블을 회로 기판과 전기적으로 도통시키기 위한 케이블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인슐레이터;
상기 인슐레이터에 지지되어 회로 기판의 패턴과 케이블을 전기적으로 도통시키는 컨택트;
상기 회로 기판에 실장된 상기 컨택트로부터 상기 패턴으로 흐르는 신호의 전기 특성을 조정하기 위한 전자 부품; 및
상기 전자 부품을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인슐레이터에 형성된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라, 원하는 전기적 특성의 정밀도가 매우 높아지고 생산성이 우수해진다.
케이블용 커넥터,인슐레이터, 컨택트

Description

케이블용 커넥터{Connector for cable}
본 발명은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FPC)이나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FFC) 등의 케이블을 회로 기판과 전기적으로 도통시키기 위한 케이블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케이블(FPC, FFC, 전선 등)과 접속하는 컨택트를 상기 회로 기판에 실장한 커넥터에 있어서 회로 기판에 신호의 전기 특성을 조정하기 위한 전자 부품이 내부에 탑재된 커넥터는 종래부터 알려져 있다.
이러한 기술의 일예로서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05-72383호의 커넥터가 알려져 있다. 상기 커넥터는 커넥터의 일부를 이루는 입체 성형 회로 기판(2)의 표면에 서로 연속하는 도통 패턴(3), 접촉체(8), 및 단자체(16)를 설치하고, 입체 성형 회로 기판(2)의 상면에 형성된 도통 패턴(3)에 전자 부품(4)을 실장하며, 단자체(16)를 모(母) 기판(14)의 배선 패턴(15)에 접속시키고 있다. 그리고, 입체 성형 회로 기판(2)에 상대형 커넥터(6)를 접합해서 상대형 커넥터(6)의 컨택트(접촉 단자부)(7)를 입체 성형 회로 기판(2)의 도통 패턴(3)에 접촉시킴으로써 상대형 커넥터(6)의 컨택트(7)와 모 기판(14)의 배선 패턴(15)을 도통시키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커넥터는 입체 성형 회로 기판(2)의 표면에 상대형 커넥터(6)의 컨택트(7)와의 접촉부로부터 모 기판(14)의 배선 패턴(15)과의 접촉부까지 연장되고, 전자 부품(4)과도 접속하는 회로(도통 패턴(3), 접촉체(8), 및 단자체(16))를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이 회로가 길게 또한 3차원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회로에 외부 노이즈가 들어가거나 이 회로 자신이 발생시키는 노이즈가 다른 신호선에 영향을 주기 쉬워서, 전자 부품(4)에 의해 조정된 신호의 전기 특성이 흐트러지기 쉽다. 그 때문에, 커넥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안정도를 유지하는 것이 어렵고, 의도하는 정확한 전기 특성을 얻는 것도 어렵다. 최근 커넥터에 대한 고속 전송화의 요구가 많아지고 있지만, 고속 전송화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신호의 전기 특성을 안정시켜야 하므로 종래와 같은 커넥터의 경우에는 이러한 요구를 따르는 것이 어렵다.
또한, 종래의 커넥터는 입체 성형 회로 기판(2)의 표면에 입체 형성 회로(도통 패턴(3), 접촉체(8), 및 단자체(16))를 형성하는 공정과, 그 회로에 전기 부품(4)을 실장(접합?도통)시키는 공정이 요구된다. 이와 같이 복수의 복잡한 제조 공정을 필요로 하므로 종래의 커넥터는 생산성이나 제조 비용의 면에서 불리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생산성이 우수함과 아울러 제조 비용이 낮고, 의도하는 전기적 특성을 정확하게 얻을 수 있으며, 신호의 안정도를 매우 높게 할 수 있는 전자 부품을 내장한 타입의 케이블용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케이블용 커넥터는 인슐레이터와, 상기 인슐레이터에 지지되어 회로 기판의 패턴과 케이블을 전기적으로 도통시키는 컨택트와, 상기 회로 기판에 실장된 상기 컨택트로부터 상기 패턴으로 흐르는 신호의 전기 특성을 조정하기 위한 전자 부품과, 상기 전자 부품을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인슐레이터에 형성된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자 부품과 상기 컨택트를 접촉시켜도 된다.
이 경우는 상기 전자 부품과 상기 컨택트를 직접 전기적으로 도통시켜도 된다.
상기 전자 부품과 상기 컨택트를 상기 회로 기판 상의 공통의 패턴에 실장해도 된다.
이 경우는 상기 패턴은 상기 공통의 패턴인 제 1 패턴과, 그 제 1 패턴과 분리된 제 2 패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자 부품의 입력 단자는 상기 제 1 패턴에 실장되며, 상기 전자 부품의 출력 단자는 상기 제 2 패턴에 실장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회로 기판에는 복수의 상기 패턴이 등간격으로 해서 일방향으로 나열되게 형성되고, 상기 패턴과 같은 간격으로 나열된 복수의 상기 컨택트는 상기 각 패턴에 각각 실장되며, 상기 전자 부품에 상기 패턴과 같은 간격으로 상기 복수의 단자가 상기 일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되고, 각 단자는 상기 각 패턴에 각각 실장되도 된다.
한편, 상기 인슐레이터는 단일로 이루어져 상기 컨택트 및 상기 전자 부품을 지지해도 된다.
또한, 상기 인슐레이터는 상기 컨택트를 유지하는 컨택트용 인슐레이터와, 상기 전자 부품을 유지하는 전자 부품용 인슐레이터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컨택트용 인슐레이터 및 전자 부품용 인슐레이터에 공통의 실드 부재를 장착되고, 상기 실드 부재가 상기 회로 기판의 접지 패턴에 실장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케이블이 FPC 또는 FFC일 경우, 상기 인슐레이터에 그 인슐레이터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며, 소정의 록 위치로 이동했을 때에 상기 컨택트를 가압해서 상기 컨택트와 상기 케이블의 접촉압을 높이는 액츄에이터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자 부품으로서는 필터, 콘덴서, 다이오드 또는 저항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컨택트 뿐만 아니라 전자 부품도 인슐레이터로 지지되고 있으므로 컨택트와 전자 부품의 거리를 매우 가깝게 할 수 있게 된다. 그 때문에, 컨택트와 전자 부품 사이의 신호의 유로(예를 들면 패턴)를 짧게 할 수 있으므로 유로에 외부 노이즈가 들어가거나, 또는 이 유로로부터 노이즈가 외부에 누설되는 것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케이블이 FPC나 FFC일 경우(청구항 10)나 전선일 경우라도 전자 부품(필터, 콘덴서, 다이오드, 저항 등)에 의해 의도하는 전기적 특성을 정확하게 얻을 수 있고, 신호의 안정도를 매우 높게 할 수 있 다.
또한, 전자 부품을 인슐레이터로 지지하므로 컨택트와 전자 부품을 회로 기판에 동시에 설치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전자 부품과 커넥터를 별개 또는 복수회로 나누어서 회로 기판에 실장하는 경우에 비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기판 상의 실장 면적도 저감시킬 수 있다.
청구항 2, 3에 기재된 바와 같이 하면, 회로 기판 상의 신호의 유로를 없애거나 또는 매우 짧게 할 수 있으므로, 전자 부품에 의해 의도하는 전기적 특성을 더 정확하게 얻을 수 있고, 신호의 안정도를 보다 높게 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전자 부품과 컨택트의 유로를 매우 짧게할(또는 거의 없앨) 수 있게 되고, 전자 부품과 컨택트를 공통의 패턴에 동시 실장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전자 부품과 컨택트의 실장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커넥터, 전자 부품의 단자, 패턴이 모두 같은 간격으로 되므로 보다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부품수를 삭감할 수 있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전자 부품용 인슐레이터는 전자 부품용 지지부를 구비하지 않는 통상 타입의 인슐레이터에 접속시킬 수 있으므로 기존의 케이블용 커넥터를 이용해서 본 발명을 구현화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전기적 특성의 출력 신호를 얻고 싶다는 요구가 있을 경우에는 전자 부품용 인슐레이터만을 각종 준비하면 되므로 비용이나 설비 투자 등을 억제 하면서 대응할 수 있다.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컨택트용 인슐레이터와 전자 부품용 인슐레이터를 간단하게 견고하게 일체화할 수 있음과 아울러 실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제 일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 중의 전후의 방향은 도면 중의 화살표의 방향을 기준으로 하고 있다.
제1실시예의 커넥터(10)는 예를 들면 비디오 카메라와 같은 전자기기 내의 회로 기판(CB)에 실장 가능하며, 컨택트용 인슐레이터(20), 시그널 컨택트(30S), 그라운드 컨택트(30G), 회전식 액츄에이터(40), 금구(金具)(45), 전자 부품용 인슐레이터(50), 노이즈 필터(60)(이하, 필터라고 한다) 및 실드 부재(70)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 컨택트용 인슐레이터(20)는 절연성 합성 수지료를 사출 성형한 것이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컨택트용 인슐레이터(20)의 전부에는 삽입용 오목부(21)가 형성되어 있고, 컨택트용 인슐레이터(20)의 후부(삽입용 오목부(21)의 바로 뒤에 위치하는 부분) 및 삽입용 오목부(21)의 저면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컨택트 부착홈(22)이 등간격으로 좌우 방향으로 나열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컨택트용 인슐레이터(20)의 전부의 좌우 양 측부에는 한쌍의 액츄에이터 지지용 오목부(23)가 형성되어 있고, 컨택트용 인슐레이터(20)의 후부의 상면에는 하방을 향해 서 연장되는 끼워맞춤 구멍(24)이 좌우 한쌍으로 해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컨택트용 인슐레이터(20)의 앞면의 좌우 양 측부에는 한쌍의 금구용 오목부(2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시그널 컨택트(30S)와 그라운드 컨택트(30G)는 모두 스프링 탄성을 갖춘 동 합금(예를 들면 인 청동, 베릴륨 동, 티탄 동)이나 코르손계 동 합금의 박판을 도시된 형상으로 순차 이송 금형(stamping)에 의해 성형 가공한 것이며, 표면에 니켈 도금으로 하지(下地)를 형성한 후에 금 도금을 실시하고 있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그널 컨택트(30S) 및 그라운드 컨택트(30G)는 서로 평행을 이루는 상부 암(31)과 하부 암(32) 및 테일부(33)를 구비하고 있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시그널 컨택트(30S)와 그라운드 컨택트(30G)는 컨택트용 인슐레이터(20)의 각 컨택트 부착홈(22)에 끼워맞춰져 고정되어 있다. 시그널 컨택트(30S)와 그라운드 컨택트(30G)를 컨택트용 인슐레이터(20)에 고정시키면, 시그널 컨택트(30S) 및 그라운드 컨택트(30G)의 테일부(33)가 컨택트용 인슐레이터(20)의 저부에 형성된 개구부로부터 컨택트용 인슐레이터(20)의 하방으로 돌출된다(도 4, 도 6, 도 7 참조). 제1실시예에서는 시그널 컨택트(30S)와 그라운드 컨택트(30G)는 동일 형상이지만, 필요에 따라 양쪽의 형상을 바꾸어도 된다.
회전식 액츄에이터(40)는 합성 수지 재료를 사출 성형한 것이고, 좌우 한쌍의 회전 지지축(41)과, 좌우 방향에 늘어선 다수의 관통 구멍(42)을 갖고 있다. 회전식 액츄에이터(40)는 좌우의 회전 지지축(41)을 컨택트용 인슐레이터(20)의 좌우의 액츄에이터지지용 오목부(23)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맞춤으로써, 컨택트용 인슐 레이터(20)에 회전 지지축(41)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회전식 액츄에이터(40)는 시그널 컨택트(30S) 및 그라운드 컨택트(30G)의 상부 암(31)을 하방으로 가압하는 대략 수평 상태의 록 위치(도 1, 도 6~도 8의 위치. 이 때 각 시그널 컨택트(30S) 및 그라운드 컨택트(30G)의 상부 암(31)이 회전식 액츄에이터(40)가 대응되는 관통 구멍(42)에 끼워맞춰진다)와, 상부 암(31)으로부터 이간되는 대략 수직 상태의 언록 위치(도 6의 가상 선의 위치) 사이를 회전할 수 있다.
좌우 한쌍의 금구(45)는 후방을 향해서 연장되는 삽입편(46)을 갖고 있다. 금구(45)는 그 삽입편(46)을 좌우의 금구용 오목부(25)에 삽입함(끼워맞춤)으로써 컨택트용 인슐레이터(20)의 좌우 양 측부에 부착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컨택트용 인슐레이터(20), 시그널 컨택트(30S), 그라운드 컨택트(30G), 회전식 액츄에이터(40) 및 금구(45)로 구성된 부분은 필터(60)를 내장하지 않는 통상 타입의 FPC 커넥터와 동일한 구조이다.
컨택트용 인슐레이터(20)의 바로 뒤에 위치하는 부재인 전자 부품용 인슐레이터(50)는 절연성의 합성 수지료를 사출 성형한 것이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자 부품용 인슐레이터(50)의 전부에는 좌우 한쌍의 접촉부(51)가 돌출되어 있고, 좌우 접촉부(51)의 사이는 앞측 오목부(52)로 되어 있다. 전자 부품용 인슐레이터(50)의 하면에는 전자 부품용 인슐레이터(50)의 앞면으로부터 뒷면까지 연장되는 4개의 끼워맞춤 오목부(지지부)(53)가 좌우 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자 부품용 인슐레이터(50)의 뒷면의 좌우 양 측부에는 좌우 한쌍의 테일부용 오목부(54)가 형성되어 있고, 전자 부품용 인슐레이터(50)의 상면의 좌우 양 측부에 는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끼워맞춤 구멍(55)이 한쌍으로 해서 형성되어 있다.
필터(60)는 끼워맞춤 오목부(53)와 대략 동일 형상의 직육면체형상이며, 그 둘레 가장자리부에 단면 ㄷ자형을 이루는 합계 10개의 신호 단자(61)와 신호 단자(62)와 그라운드 단자(63)가 장착되어 있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4개의 필터(60)가 전자 부품용 인슐레이터(50)의 각 끼워맞춤 오목부(53)에 끼워맞춰져 고정되어 있다. 신호 단자(61)와 신호 단자(62)는 좌우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되도록 배치되어 있고, 양쪽의 배치 간격은 컨택트 부착홈(22)(시그널 컨택트(30S), 그라운드 컨택트(30G))의 배치 간격과 동일하다.
시그널 컨택트(30S), 그라운드 컨택트(30G), 회전식 액츄에이터(40) 및 금구(45)를 지지한 컨택트용 인슐레이터(20)와, 필터(60)와 일체화된 전자 부품용 인슐레이터(50)는 평면으로 봤을 때 직사각형을 이루는 회로 기판(CB)의 상면에 실장된다.
컨택트용 인슐레이터(20)와 전자 부품용 인슐레이터(50)를 회로 기판(CB) 상에 적재하기 전에 컨택트용 인슐레이터(20) 및 전자 부품용 인슐레이터(50)에 금속제 실드 부재(70)를 장착한다.
이 실드 부재(70)는 그 좌우 양 측부에 각각 한쌍의 전측 끼워맞춤편(71), 후측 끼워맞춤편(72) 및 테일부(73)를 갖고 있고, 그 상면에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창 구멍(74)이 뚫려 있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드 부재(70)는 그 하면을 컨택트용 인슐레이터(20) 및 전자 부품용 인슐레이터(50)의 상면에 씌우고, 좌우의 전측 끼워맞춤편(71)을 컨택트용 인슐레이터(20)의 좌우의 끼워맞춤 구멍(24)에 끼 워맞추며, 좌우의 후측 끼워맞춤편(72)을 전자 부품용 인슐레이터(50)의 좌우의 끼워맞춤 구멍(55)에 끼워맞추고, 좌우의 테일부(73)를 전자 부품용 인슐레이터(50)의 테일부용 오목부(54) 내에 위치시킴으로써 컨택트용 인슐레이터(20) 및 전자 부품용 인슐레이터(50)와 일체화된다.
또한, 실드 부재(70)의 창 구멍(74)은 평면으로 봤을 때에 각 컨택트의 테일부(33)와, 필터(60)의 신호 단자(62)가 보이도록 개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회로 패턴(SP1) 상에 테일부(33)와 신호 단자(62)를 납땜했을 때 화상 인식에 의한 실장 검사가 가능해진다.
도 1, 도 2, 도 3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로 기판(CB)의 상면에는 도전성 접지 패턴(GP)과, 회로 패턴(제 1 패턴)(SP1)과, 회로 패턴(제 2 패턴)(SP2)이 형성되어 있다(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실시예의 접지 패턴(GP), 회로 패턴(SP1), 회로 패턴(SP2)은 좌우 대칭 형상이다). 접지 패턴(GP)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과,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으로부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과,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의 양 단부에 연속되는 L자형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패턴이다. 회로 패턴(SP1)은 접지 패턴(GP)의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의 바로 앞에 좌우 방향으로 나열되어 형성된 패턴이고, 회로 패턴(SP2)은 접지 패턴(GP)의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의 바로 뒤에 좌우 방향으로 나열되어 형성된 패턴이며, 회로 패턴(SP1)과 회로 패턴(SP2)은 서로 비연속으로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있다. 또한, 회로 패턴(SP1)과 회로 패턴(SP2)은 등간격으로 되도록 배치되어 있고, 또 양 쪽의 배치 간격은 신호 단자(61) 및 신호 단자(62)의 배치 간격과 동일하다.
컨택트용 인슐레이터(20)는 각 시그널 컨택트(30S)의 테일부(33)가 대응하는 회로 패턴(SP1)의 전반부에 탑재되고, 각 그라운드 컨택트(30G)의 테일부(33)가 대응하는 접지 패턴(GP)(회로 패턴(SP1)의 사이에 위치하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에 탑재되도록 회로 기판(CB) 상에 적재된다.
한편, 전자 부품용 인슐레이터(50)는 각 필터(60)의 전측에 위치하는 신호 단자(입력 단자)(62)의 하단부가 대응하는 회로 패턴(SP1)의 후반부에 탑재되고, 각 필터(60)의 후측에 위치하는 신호 단자(출력 단자)(61)의 하단부가 대응하는 회로 패턴(SP2)에 탑재되며, 각 필터(60)의 좌우 양 측부에 위치하는 그라운드 단자(63)의 하단부가 접지 패턴(GP)(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에 탑재되도록 회로 기판(CB) 상에 적재된다. 전자 부품용 인슐레이터(50)의 한쌍의 접촉부(51)의 앞면과, 컨택트용 인슐레이터(20)의 뒷면의 좌우 양 측부의 위치 관계는 이와 같이 해서 전자 부품용 인슐레이터(50)를 회로 기판(CB)에 적재할 수 있도록 설정된다(필터(60)의 신호 단자(62)를 대응하는 시그널 컨택트(30S)의 후측 끝면에 접촉시켜도 되고, 약간의 클리어런스를 형성시킬 수도 있다. 도 1 및 도 5 참조).
그리고, 이 상태에서 각 시그널 컨택트(30S)의 테일부(33)와 대응하는 회로 패턴(SP1)의 납땜, 각 그라운드 컨택트(30G)의 테일부(33)와 대응하는 접지 패턴(GP)의 납땜, 및 좌우 테일부(73)의 하단부와 접지 패턴(GP)의 좌우 양 단부(L자형 부분)의 납땜을 동시에 행하면, 컨택트용 인슐레이터(20), 전자 부품용 인슐레이터(50) 및 실드 부재(70)가 회로 기판(CB)에 실장되고, 전자 부품용 인슐레이 터(50)에 의해 유지된 각 필터(60)의 신호 단자(62)와 회로 패턴(SP1)의 접속 상태, 신호 단자(61)와 회로 패턴(SP2)의 접속 상태, 및 그라운드 단자(63)와 접지 패턴(GP)의 접속 상태가 유지된다.
이상 구성의 FPC용 커넥터(10)의 회전식 액츄에이터(40)를 언록 위치(도 6의 가상 선의 위치)까지 회전시켜서, 접속 대상물인 FPC(플렉시블 프린트 기판)(80)를 컨택트용 인슐레이터(20)의 전방으로부터 각 시그널 컨택트(30S) 및 그라운드 컨택트(30G)의 상부 암(31)과 하부 암(32) 사이에 삽입하고, 이 상태에서 FPC(80)를 록 위치까지 회전시키면 FPC(80)에 의해 각 시그널 컨택트(30S) 및 그라운드 컨택트(30G)의 상부 암(31)이 하방으로 가압되므로, FPC(80)의 하면에 형성된 패턴과 각 시그널 컨택트(30S) 및 그라운드 컨택트(30G)의 하부 암(32)의 접촉 압력이 높아져, FPC(80)의 하면에 형성된 패턴과 각 시그널 컨택트(30S) 및 그라운드 컨택트(30G)의 하부 암(32)이 전기적으로 도통한다.
가령 각 시그널 컨택트(30S)와 필터(60)의 간극이 크고, 이들을 연결하는 전송로(패턴)가 길면, 이 전송로에 대량의 외부 노이즈가 들어가거나 또는 상기 전송로로부터 대량의 노이즈가 외부로 누설되어서 다른 전송로에 영향을 미쳐버리므로, 필터(60)에 의해 전기 신호의 전기 특성을 조정해도 출력되는 전기 신호를 정밀도 좋게 원하는 특성으로 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그러나, 제1실시예에서는 컨택트용 인슐레이터(20) 및 전자 부품용 인슐레이터(50)로 이루어지는 인슐레이터에 의해 시그널 컨택트(30S), 그라운드 컨택트(30G) 및 필터(60)를 접근시킨 상태로 지지 함으로써, 대응하는 시그널 컨택트(30S)의 테일부(33)와 필터(60)의 신호 단자(62) 를 공통의 회로 패턴(SP1)에 접속시키고 있다. 그 때문에, 시그널 컨택트(30S)의 테일부(33)와 신호 단자(62)의 하단부 사이에 존재하는 전기 신호의 유로(회로 패턴(SP1)에 있어서의 시그널 컨택트(30S)의 테일부(33)와 신호 단자(62)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가 매우 짧게 되어 있으므로, 그 유로에 외부 노이즈가 들어가거나 또는 그 유로로부터 노이즈가 외부에 누설될 우려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필터(60)로부터 출력된 전기 신호는 안정도가 매우 높고, 그 전기적 특성은 의도한 것으로 된다.
또한, 시그널 컨택트(30S), 그라운드 컨택트(30G) 및 필터(60)를 회로 기판(CB)에 동시, 즉 1회로 실장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시그널 컨택트(30S), 그라운드 컨택트(30G)와 필터(60)의 거리를 가깝게 할 수 있으므로 회로 기판(CB)의 실장면의 면적, 즉 회로 기판(CB)의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컨택트용 인슐레이터(20), 시그널 컨택트(30), 그라운드 컨택트(30G), 회전식 액츄에이터(40) 및 금구(45)로 구성된 부분은 필터(60)를 내장하지 않는 통상 타입의 FPC 커넥터와 동일한 구조이므로, 제1실시예의 FPC용 커넥터(10)는 기존의 FPC 커넥터(컨택트용 인슐레이터(20), 시그널 컨택트(30S) 및 그라운드 컨택트(30G), 회전식 액츄에이터(40), 금구(45))에 전자 부품용 인슐레이터(50), 필터(60) 및 실드 부재(70)를 조합한 구조라고 말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다양한 전기적 특성의 출력 신호를 얻고 싶다는 요구가 있을 경우는 (컨택트용 인슐레이터(20)는 공용화하면서) 전자 부품용 인슐레이터(50)만을 각종 준비하면 되므로, 이러한 요구에 대하여 비용이나 설비 투자 등을 억제하면서 대응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도 9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제 1 실시예와는 동일한 부재를 첨부하는데 그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실시예의 FPC용 커넥터(100)의 특징은 시그널 컨택트(30S), 그라운드 컨택트(30G), 및 필터(60)를 단일의 인슐레이터(110)로 지지한 점이다.
인슐레이터(110)는 절연성 합성 수지료를 사출 성형한 것이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슐레이터(110)의 전반부에는 삽입용 오목부(111)가 형성되어 있고, 인슐레이터(110)의 후부에는 인슐레이터(110)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긴 관통 구멍(112)이 형성되어 있다. 인슐레이터(110)의 후부벽(긴 관통 구멍(112)의 바로 뒤에 위치하는 부분)의 하면에는 4개의 끼워맞춤 오목부(지지부)(113)가 좌우 방향으로 나열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인슐레이터(110)의 중앙벽(긴 관통 구멍(112)의 바로 앞에 위치하는 부분) 및 삽입용 오목부(111)의 저면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컨택트 부착홈(11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인슐레이터(110)의 좌우 양 측부에는 함께 인슐레이터(110)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시키는 끼워맞춤 구멍(115)과 테일부 삽입 통과 구멍(116)이 앞뒤로 나열되어 형성되어 있다.
금속제 실드 부재(120)의 좌우 양 측부에는 끼워맞춤편(121)과 테일부(122)가 모두 한쌍으로 되어서 돌출되어 있다.
제1실시예의 인슐레이터(110)는 인슐레이터(110)의 각 컨택트 부착홈(114)에 시그널 컨택트(30S)와 그라운드 컨택트(30G)를 부착하고, 각 끼워맞춤 오목부(113)에 필터(60)를 끼워맞춤 고정하며, 좌우의 액츄에이터 지지용 오목부(23)에 회전식 액츄에이터(40)의 좌우의 회전 지지축(41)을 회전 가능하게 끼워맞추고, 좌우의 금구용 오목부(25)에 금구(45)의 삽입편(46)을 삽입하며, 실드 부재(120)를 인슐레이터(110)의 상면에 씌워서 끼워맞춤편(121)을 끼워맞춤 구멍(115)에 끼워맞추고, 테일부(122)를 테일부 삽입 통과 구멍(116)에 삽입하는 것으로 조립한다.
그리고, 이렇게 해서 조립된 FPC용 커넥터(100)를 회로 기판(CB)(도시 생략)의 상면에 적재하면,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각 필터(60)의 전측에 위치하는 신호 단자(62)의 하단부가 대응하는 회로 패턴(SP1)의 후반부에 탑재되고, 각 필터(60)의 후측에 위치하는 신호 단자(61)의 하단부가 대응하는 회로 패턴(SP2)에 탑재되며, 각 필터(60)의 좌우 양 측부에 위치하는 그라운드 단자(63)의 하단부가 접지 패턴(GP)(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부분)에 탑재되고, 실드 부재(120)의 좌우의 테일부(122)의 하단부가 접지 패턴(GP)의 좌우 양 단부(L자형 부분)에 탑재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각 시그널 컨택트(30S)의 테일부(33)와 대응하는 회로 패턴(SP1)의 납땜, 각 그라운드 컨택트(30G)의 테일부(33)와 대응하는 접지 패턴(GP)의 납땜, 및 좌우의 테일부(122)의 하단부와 접지 패턴(GP)의 좌우 양 단부의 납땜을 동시에 행하면 시그널 컨택트(30S), 그라운드 컨택트(30G), 및 실드 부재(120)가 회로 기판(CB)에 실장되고, 인슐레이터(110)에 의해 유지된 각 필터(60)의 신호 단자(62)와 회로 패턴(SP1)의 접속 상태, 신호 단자(61)와 회로 패턴(SP2)의 접속 상태, 및 그라운드 단자(63)와 접지 패턴(GP)의 접속 상태가 유지된다.
이상 설명한 제 2 실시예의 FPC용 커넥터(100)에서는, 단일의 인슐레이터(110)에 의해 시그널 컨택트(30S), 그라운드 컨택트(30G) 뿐만 아니라 필터(60)도 지지되고 있으므로, 제 1 실시예에 비해서 부품수를 적게 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제 1 및 제 2 실시예에 기초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형을 실시하면서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접속 대상물은 FPC 이외의 케이블, 예를 들면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FFC)이여도 된다. 또한, 회전식 액츄에이터(40) 대신에 슬라이드식 액츄에이터를 채용하거나, 액츄에이터를 생략해서 실시해도 된다.
또한, 케이블로서 전선(일단을 컨택트에 접속시킨다)을 채용해도 된다(이 경우는 액츄에이터는 필요없게 된다).
또한, 각 필터(60)의 신호 단자(62)와 회로 패턴(SP1), 신호 단자(61)와 회로 패턴(SP2), 그라운드 단자(63)와 접지 패턴(GP)을 각각 납땜해도 된다.
또한, 시그널 컨택트(30S)의 테일부(33)와 신호 단자(62)의 하단부를 공통의 패턴(회로 패턴(SP1))에 접속시키지 않고, 그 대신 시그널 컨택트(30S)의 테일부(33)와 신호 단자(62)를 직접 접촉시켜 양 쪽을 도통시켜도 된다. 이렇게 하면, 시그널 컨택트(30S)의 테일부(33)로부터 필터(60)로 전기 신호가 흐르는 동안에 외부 노이즈가 침입하거나 또는 외부로 노이즈가 누설될 우려가 거의 없어지므로, 필터(60)로부터 출력된 전기 신호는 안정도가 매우 높고, 그 전기적 특성은 의도한 것으로 된다.
또한, 전기 신호의 전기 특성을 조정하기 위한 전자 부품으로서는 필터(60) 이외에도 콘덴서나 다이오드나 저항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FPC 커넥터의 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2는 FPC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회로 기판에 대한 시그널 컨택트와 필터의 실장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4는 회로 기판을 생략해서 나타내는 FPC 커넥터의 하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5는 FPC 커넥터의 평면도,
도 6은 도 5의 Ⅵ-Ⅵ 선에 따른 단면도,
도 7은 도 5의 Ⅶ-Ⅶ 선에 따른 단면도,
도 8은 도 5의 Ⅷ-Ⅷ 선에 따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FPC 커넥터의 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10은 FPC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
도 11은 회로 기판을 생략해서 나타내는 FPC 커넥터의 하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12는 FPC 커넥터의 평면도,
도 13은 도 12의 ⅩⅢ-ⅩⅢ 선에 따른 단면도,
도 14는 도 12의 ⅩⅣ-ⅩⅣ 선에 따른 단면도,
도 15는 도 12의 ⅩⅤ-ⅩⅤ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00 : FPC용 커넥터(케이블용 커넥터) 20 : 컨택트용 인슐레이터
21, 111 : 삽입용 오목부 22, 114 : 컨택트 부착홈
23 : 액츄에이터 지지용 오목부 24, 55, 115 : 끼워맞춤 구멍
25 : 금구용 오목부 30S : 시그널 컨택트
30G : 그라운드 컨택트 31 : 상부 암
32 : 하부 암 33 : 테일부
40 : 회전식 액츄에이터 41 : 회전 지지축
42 : 관통 구멍 45 : 금구
46 : 삽입편 50 : 전자 부품용 인슐레이터
51 : 접촉부 52 : 전측 오목부
53, 113 : 끼워맞춤 오목부(지지부) 54 : 테일부용 오목부
60 : 필터(전자 부품) 61, 62 : 신호 단자
63 : 그라운드 단자 70, 120 : 실드 부재
71 : 전측 끼워맞춤편 72 : 후측 끼워맞춤편
73, 122 : 테일부 74 : 창 구멍
80 : FPC(플렉시블 프린트 기판) 110 : 인슐레이터
112 : 긴 관통 구멍 116 : 테일부 삽입 통과 구멍
121 : 끼워맞춤편 CB : 회로 기판
GP : 접지 패턴 SP1 : 회로 패턴(제 1 패턴)
SP2 : 회로 패턴(제 2 패턴)

Claims (11)

  1. 인슐레이터;
    상기 인슐레이터에 지지되어 회로 기판의 패턴과 케이블을 전기적으로 도통시키는 컨택트;
    상기 회로 기판에 실장된 상기 컨택트로부터 상기 패턴으로 흐르는 신호의 전기 특성을 조정하기 위한 전자 부품; 및
    상기 전자 부품과 상기 컨택트가 상기 회로기판 상의 공통 패턴에 실장되도록 하고, 상기 전자 부품을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인슐레이터에 형성된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은 FPC 또는 FFC이며, 상기 인슐레이터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하면서 소정의 록 위치로 이동했을 때에 상기 컨택트를 가압하여 상기 컨택트와 상기 케이블의 접촉압을 높이는 액츄에이터가 상기 인슐레이터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용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부품과 상기 컨택트가 접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용 커넥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부품과 상기 컨택트가 직접 전기적으로 도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용 커넥터.
  4. 삭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이 상기 공통의 패턴인 제 1 패턴과, 상기 제 1 패턴과 분리된 제 2 패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자 부품의 입력 단자는 상기 제 1 패턴에 실장되고, 상기 전자 부품의 출력 단자는 상기 제 2 패턴에 실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용 커넥터.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기판에는 복수의 상기 패턴이 등간격으로 일방향으로 나열되게 형성되고,
    상기 패턴과 같은 간격으로 나열된 복수의 상기 컨택트가 상기 각 패턴에 각각 실장되며,
    상기 전자 부품에 상기 패턴과 같은 간격으로 복수의 단자가 상기 일방향으로 나열되어 설치되고,
    각 단자가 상기 각 패턴에 각각 실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용 커넥터.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슐레이터가 단일로 이루어진 상태로 상기 컨택트 및 상기 전자 부품 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용 커넥터.
  8.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슐레이터는 상기 컨택트를 유지하는 컨택트용 인슐레이터와, 상기 전자 부품을 유지하는 전자 부품용 인슐레이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용 커넥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컨택트용 인슐레이터 및 전자 부품용 인슐레이터에는 공통의 실드 부재가 장착되고,
    상기 실드 부재는 상기 회로 기판의 접지 패턴에 실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용 커넥터.
  10. 삭제
  11.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부품은 필터, 콘덴서, 다이오드 또는 저항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용 커넥터.
KR1020080034453A 2008-02-07 2008-04-15 케이블용 커넥터 KR1009418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00027227 2008-02-07
JP2008027227A JP2009187809A (ja) 2008-02-07 2008-02-07 ケーブル用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6288A KR20090086288A (ko) 2009-08-12
KR100941887B1 true KR100941887B1 (ko) 2010-02-16

Family

ID=41070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4453A KR100941887B1 (ko) 2008-02-07 2008-04-15 케이블용 커넥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9187809A (ko)
KR (1) KR1009418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56066A (ja) * 2008-07-29 2010-03-11 Yamaichi Electronics Co Ltd ケーブル用コネクタ
KR101294782B1 (ko) * 2011-11-23 2013-08-08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커넥터 조립체
CN105977672A (zh) * 2016-04-28 2016-09-28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连接器和连接器中的器件分布方法
CN109038115A (zh) * 2018-08-28 2018-12-18 温州意华接插件股份有限公司 连接件模组
KR20210146058A (ko) 2020-05-26 2021-12-03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Rf 커넥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36219A (ja) * 1994-12-14 1996-09-13 Whitaker Corp:The フィルタ型電気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40209522A1 (en) 2003-04-17 2004-10-21 Chih-Kai Chang Connector
JP2005072383A (ja) 2003-08-26 2005-03-1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679010D1 (de) * 1985-07-26 1991-06-06 Amp Inc Uebergangsspannungsunterdrueckungseinrichtung.
JPH02131279U (ko) * 1989-04-07 1990-10-31
JPH0620746A (ja) * 1992-07-03 1994-01-28 Murata Mfg Co Ltd 表面実装型コネクタ
US5865648A (en) * 1997-01-16 1999-02-02 Elco U.S.A. Inc. Multifunction electronic connector
US6142831A (en) * 1999-02-01 2000-11-07 Aux Corporation Multifunction connector assembly
DE19941690C2 (de) * 1999-09-01 2001-12-06 Siemens Ag Steuergerät und Lötverfahren
US6459042B1 (en) * 1999-12-17 2002-10-01 Autoliv Asp, Inc. Electrical connector with an electrical component holder
US6699076B2 (en) * 2001-10-09 2004-03-02 Siemens Vdo Automotive Corporation Connector assembly with metal oxide varistor
US6773272B2 (en) * 2002-04-22 2004-08-10 Molex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and module incorporating the same
JP3785163B2 (ja) * 2003-06-26 2006-06-14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4553306B2 (ja) * 2004-11-18 2010-09-29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36219A (ja) * 1994-12-14 1996-09-13 Whitaker Corp:The フィルタ型電気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40209522A1 (en) 2003-04-17 2004-10-21 Chih-Kai Chang Connector
JP2005072383A (ja) 2003-08-26 2005-03-1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9187809A (ja) 2009-08-20
KR20090086288A (ko) 2009-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31500B2 (en) Electrical connector system
US7967637B2 (en) Electrical connector system
US8157591B2 (en) Electrical connector system
KR101171610B1 (ko) 커넥터 장치
JP4565673B2 (ja) 一体化されたpcbアセンブリを有するコネクタ
US8187034B2 (en) Electrical connector system
US20090104800A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3831333B2 (ja) 電気コネクタ
TWI519011B (zh) 電氣連接器系統
WO2011102215A1 (ja) 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組立体
KR100941887B1 (ko) 케이블용 커넥터
JP2009520329A (ja) ケーブルコネクタアセンブリに対する基板装着型ヘッダー
JP4832259B2 (ja) 電気コネクタ
WO2012052845A2 (en) High speed flexible printed circuit connector
CN110854572B (zh) 连接器
US20090212802A1 (en) Test system with high frequency interposer
JP2010212017A (ja) 電気コネクタ
WO2011086857A1 (ja) 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組立体
WO2014061202A1 (ja) コネクタ
JP2011154834A (ja) コネクタ用カバー部材
KR102565933B1 (ko) 케이블용 커넥터
JP2000307285A (ja) 回路基板用中間枠
JP2010034077A (ja) コネクタ
WO2010042420A2 (en) Board cable connection structure
TWI505579B (zh) 電氣連接器系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