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1176B1 - 강재 말뚝 기초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강재 말뚝 기초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1176B1
KR102651176B1 KR1020230051828A KR20230051828A KR102651176B1 KR 102651176 B1 KR102651176 B1 KR 102651176B1 KR 1020230051828 A KR1020230051828 A KR 1020230051828A KR 20230051828 A KR20230051828 A KR 20230051828A KR 102651176 B1 KR102651176 B1 KR 1026511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plate
ground
piles
vertical
lower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518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미
박승규
윤영민
Original Assignee
김영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미 filed Critical 김영미
Priority to KR10202300518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11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11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11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4Prefabricated piles
    • E02D5/28Prefabricated piles made of steel or other meta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23Cast, i.e. in situ or in a mold or other formwork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재 말뚝 기초로서,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지반에 설치되는 것으로 내부가 빈 몸통부; 상기 몸통부의 상면에 결합되는 하부베이스판;
지반에 수직으로 삽입되는 수직말뚝을 가이드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하부베이스판에서 하측으로 연장 설치된 수직가이드관; 지반에 경사지게 삽입되는 경사말뚝들을 가이드하기 위한 것으로 일측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면서 상기 몸통부의 둘레를 따라 돌아가면서 균형되게 배치되고 상기 몸통부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경사가이드관들; 상기 수직가이드관의 내부를 통해 지반에 수직으로 삽입 설치되는 수직말뚝; 상기 경사가이드관들의 내부를 통해 지반에 경사지게 삽입 설치되는 경사말뚝들;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말뚝은 상기 경사말뚝들보다 먼저 삽입 설치되어 상기 경사말뚝들의 타격 삽입시 상기 몸통부의 수평이동이나 경사짐이 억제되게 하고, 상기 경사말뚝들은 상기 몸통부의 둘레에 균형되게 배치되어 상기 구조물로부터 작용하는 하중을 안정되게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강재 말뚝 기초 및 그 시공방법{Steel pile foundation and its construction method}
본 발명은 강재 말뚝 기초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말뚝 기초를 콘크리트가 아닌 강재로 형성하여 시공 및 철거가 용이하고 환경친화적인 강재 말뚝 기초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소규모 건축물, 데크, 데크로드, 태양광 시설, 농막, 조경시설물, 인도교, 자전거도로 등 각종 구조물을 시공하기 위해 기초를 먼저 시공하게 된다.
통상적으로 기초는 지반을 굴착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이 타설된 콘크리트 기초 상면에 구조물, 특히 구조물의 기둥 등을 설치하여 왔다. 이러한 콘크리트 기초는 하중 능력이 우수하고 시공이 비교적 용이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법이다.
그러나, 콘크리트 기초는 지반이 견고하지 않은 지역과 같이 차량이나 시공장비가 진입하기 어려운 경우 시공이 용이하지 아니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콘크리트 기초는 구조물이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 제거하기가 어려워 그대로 방치됨으로써 환경에 악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의 일례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08-0114529, '간이기초 및 그를 이용한 기초공사방법(도 1 참조)'이 개시되어 있다. 이 종래기술은 피지지체를 지지하기 위한 금속제의 간이기초로서, 토양 중에 경사진 상태로 박혀지는 1 이상의 박힘 말뚝과, 상기 박힘 말뚝이 삽입되고, 상기 피지지체를 상부에서 부착시키기 위한 지지부를 갖추어 이루어지되, 상기 지지부는, 중공으로서, 상기 피지지체를 부착시키는 부분으로부터 상기 박힘 말뚝이 삽입되는 부분을 향해 사발모양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기초(청구항 1 참조)로서, 될 수 있는 한, 콘크리트를 사용하지 않고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고, 또한 장기간의 사용에도 견딜 수 있는 저비용인 간이기초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박힘 말뚝의 시공시 지지부가 회전, 이동, 기울어짐 등이 발생할 수 있어 피지지체인 기둥 등을 정확한 위치에 정확한 방향으로 설치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은 지지부가 경사지게 설치된 경우 피지지체를 정확한 방향으로 설치하기 위한 보정 방법이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다른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506953, '목재 데크로드의 기둥결속을 위한 기초철물(도 2 참조)'이 개시되어 있다. 이 종래기술은 지면에 설치되어 목재 데크로드의 기둥부재가 직립되게 고정설치되는 평판플레이트; 상기 평판플레이트의 일측면에 상호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외향 경사지게 돌출형성되는 다수개의 중공형 가이드구; 상기 가이드구 내측으로 삽입되어 지중에 하향 경사지게 박히는 파일부재; 상기 평판플레이트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지중에 박히도록 설치되는 메인포스트;로 구성되되 지중에 위치하는 상기 메인포스트의 일측은 타측방향으로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 벌려져 지중에 박히도록 구성되어 상기 평판플레이트의 설치상태를 견고히 하고, 상기 메인포스트는, 상기 평판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지중에 매설되고, 내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된 중공형 가이드 파이프와, 상기 가이드파이프에 삽입되어 나사결합되고, 길이방향 양측이 상기 가이드파이프의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되는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된 회전봉과, 상기 회전봉의 일측에 설치되어 지중에 매설된 상태에서 그 회전봉의 타측방향으로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 벌려지는 박힘부로 구성되며, 상기 박힘부는, 상기 회전봉 일측단에 결합되되 그 회전봉의 직경보다는 큰 직경을 갖는 쐐기와, 폭단면상 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쐐기의 단부에 가장자리를 따라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회전봉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다수개의 토압형성편으로 구성되되 상기 토압형성편의 일측단에는 상기 회전봉에 의해 상기 박힘부가 상기 평판플레이트 방향으로 올려지는 경우, 상기 회전봉과 토압형성편 사이 공간으로 토양이 용이하게 유입되어 그 토압형성편의 벌림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데크로드의 기둥결속을 위한 기초철물(청구항 1 참조)로서, 목재 데크로드의 기둥부재를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기초철물의 구조가 간단하면서 설치가 간편하도록 하고, 그 기초철물 중 평판플레이트가 지중에 박히는 상기 파일부재 및 메인포스트, 상기 평판플레이트와의 사이에 토압이 형성되도록 하는 상기 메인포스트의 박힘부에 의해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수평된 상태가 원활히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목재 데크로드의 기둥결속을 위한 기초철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 역시 파일부재를 지중에 삽입하는 경우 평판플레이트가 회전하거나 기울어지게 되고, 이는 상측에 설치되는 목재 데크로드의 기둥이 정확한 위치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은 평판플레이트가 경사지게 설치된 경우 목재 데크로드의 기둥을 정확한 방향으로 설치하기 위한 보정 방법이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른 종래기술로 미국 특허 특허번호 5039256 '핀으로 고정된 기초 시스템(도 3a, 3b 참조)'이 개시되어 있다. 이 종래기술은, 주변 토양에 말뚝을 박고 구조물을 지지하는 방식으로 제자리에 고정하는 방법에 의한 구조물 기초의 제조에 사용하기 위한 안내 장치로서, (a)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 상기 말뚝을 지지하고 인장 플레이트 수단 및 시멘트 재료를 수용하도록 개조된 형태 수단, (b) 상기 형태 수단에 대해 미리 결정된 각도로 말뚝을 주변 토양으로 수용하고 유도하기 위한 슬리브 수단, 그리고 (c) 상기 슬리브 수단을 상기 소정 각도의 수직 및 횡방향 하중 하에서 유지하기 위한 인장 플레이트 수단, 여기서, 상기 인장 플레이트 수단은 상기 구조물과 관련된 상기 수직 및 횡방향 하중의 지지를 허용하기 위해 상기 다른 슬리브 수단과 실질적으로 상이한 토양 내 방향으로 각각 배치되는 적어도 3개의 슬리브 수단을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 플레이트 수단을 포함한다(청구항 1 참조).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 역시 말뚝을 지중에 삽입하는 경우 형태 수단이 회전하거나 기울어지게 되고, 이는 상측에 설치되는 구조물이 정확한 위치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은 형태 수단이 경사지게 설치된 경우 구조물을 정확한 방향으로 설치하기 위한 보정 방법이 없는 문제점이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의 종래기술들 모두 강재 기초를 매우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기초의 방향이나 기초의 경사를 정확하게 시공하기 어렵고, 당초 설계에서 오차가 발생하는 경우 이를 보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강재 기초를 정확하게 시공하고, 또한 오차가 발생하는 경우 이를 정확하게 보정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요청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08-0114529(공개일 2008년12월31일)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506953(등록일 2015년03월24일) 미국 특허 특허번호 5039256(특허일 1991년 08월 13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강재 말뚝 기초의 구조를 개선하여, 시공과정에서 몸체부의 수평 이동이나 회전 이동 및 경사짐 등을 방지하여 구조물을 정확한 위치에 정확한 방향으로 시공할 수 있게 하고, 또한 구조물을 의도적으로 경사지게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쉽게 경사지게 설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시공과정에 시공오차로 몸체부가 경사지게 설치되는 경우 이를 쉽게 보정할 수 있는 강재 말뚝 기초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 일례에 따른 강재 말뚝 기초는,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지반에 설치되는 것으로 내부가 빈 몸통부; 상기 몸통부의 상면에 결합되는 하부베이스판; 지반에 수직으로 삽입되는 수직말뚝을 가이드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하부베이스판에서 하측으로 연장 설치된 수직가이드관; 지반에 경사지게 삽입되는 경사말뚝들을 가이드하기 위한 것으로 일측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면서 상기 몸통부의 둘레를 따라 돌아가면서 균형되게 배치되고 상기 몸통부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경사가이드관들; 상기 수직가이드관의 내부를 통해 지반에 수직으로 삽입 설치되는 수직말뚝; 상기 경사가이드관들의 내부를 통해 지반에 경사지게 삽입 설치되는 경사말뚝들;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말뚝은 상기 경사말뚝들보다 먼저 삽입 설치되어 상기 경사말뚝들의 타격 삽입시 상기 몸통부의 수평이동이나 경사짐이 억제되게 하고, 상기 경사말뚝들은 상기 몸통부의 둘레에 균형되게 배치되어 상기 구조물로부터 작용하는 하중을 안정되게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몸통부의 하면에 둘레방향을 따라 이격되면서 하향으로 돌출 설치되는 고정쐐기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쐐기들은 지반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수직말뚝을 지반에 타격 삽입시 상기 몸통부의 유동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경사말뚝들을 지반에 타격 삽입시 상기 몸통부의 회전 이동이 억제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하부베이스판의 상측에 이격 설치되는 상부베이스판과, 상기 상부베이스판을 하부베이스판에서 이격되게 지지하는 지지구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구조는 상기 하부베이스판과 상부베이스판의 둘레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볼트들과 상기 볼트들에 체결되어 상기 하부베이스판과 상부베이스판을 상기 볼트들에 고정하는 너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상부베이스판과 그 상측 및 하측에 설치되는 너트들 사이에 설치되는 경사와셔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경사와셔들은 그 사이에 설치되는 상기 상부베이스판과 그 상측 및 하측에 설치되는 너트들과 면접촉하여 상기 상부베이스판을 견고하게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수직말뚝은 상면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하부베이스판에 대해 경사지게 설치된 상기 상부베이스판의 하면에 면접촉하여 상기 상부베이스판을 견고하게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몸통부의 내부에 충진재가 충진되어 상기 몸통부 하부의 교란지반을 안정화시키고,
상기 경사가이드관들 중 하나 이상에 관통 형성되는 충진재타설홀과, 상기 몸통부에 관통 형성되는 에어홀과, 상기 충진재타설홀 하측을 임시로 막는 임시막음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충진재는 상기 경사가이드관의 상측, 내부, 상기 충진재타설홀을 통해 상기 몸통부 내부에 충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강재 말뚝 기초 시공방법은,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지반에 설치되는 것으로 내부가 빈 몸통부, 상기 몸통부의 상면에 결합되는 하부베이스판, 지반에 수직으로 삽입되는 수직말뚝을 가이드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하부베이스판에서 하측으로 연장 설치된 수직가이드관, 지반에 경사지게 삽입되는 경사말뚝들을 가이드하기 위한 것으로 일측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면서 상기 몸통부의 둘레를 따라 돌아가면서 균형되게 배치되고 상기 몸통부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경사가이드관들, 상기 수직가이드관의 내부를 통해 지반에 수직으로 삽입 설치되는 수직말뚝, 상기 경사가이드관들의 내부를 통해 지반에 경사지게 삽입 설치되는 경사말뚝들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하부베이스판, 수직가이드관, 경사가이드관들이 설치된 상기 몸통부를 지반에 설치하는 단계; 상기 수직가이드관을 통해 수직말뚝을 지반에 타격 삽입하는 단계; 상기 경사가이드관들을 통해 경사말뚝들을 지반에 타격 삽입하는 단계;순으로 시공함으로써, 상기 수직말뚝은 상기 경사말뚝들의 타격 삽입시 상기 몸통부의 수평이동이나 경사짐을 억제되게 하고, 상기 경사말뚝들은 상기 몸통부의 둘레에 균형되게 배치되어 상기 구조물로부터 작용하는 하중을 안정되게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몸통부의 하면에 둘레방향을 따라 이격되면서 하향으로 돌출 설치되는 고정쐐기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몸통부를 지반에 설치하는 단계에서 상기 고정쐐기들이 지반에 삽입 설치되게 하여 상기 수직말뚝을 지반에 타격 삽입시 상기 몸통부의 유동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경사말뚝들을 지반에 타격 삽입시 상기 몸통부의 수평 이동이나 회전 이동이 억제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하부베이스판의 상측에 이격 설치되는 상부베이스판과, 상기 상부베이스판을 하부베이스판에서 이격되게 지지하는 지지구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구조는 상기 하부베이스판과 상부베이스판의 둘레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볼트들과 상기 볼트들에 체결되어 상기 하부베이스판과 상부베이스판을 상기 볼트들에 고정하는 너트들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베이스판 상측에 상기 구조물이 지지되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몸통부를 지반에 설치하는 단계 이후 상기 몸통부의 내부에 충진재를 충진하여 상기 몸통부 하부의 교란지반을 안정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경사말뚝들 중 하나 이상에 관통 형성되는 충진재타설홀과, 상기 몸통부에 관통 형성되는 에어홀과, 상기 충진재타설홀 하측을 임시로 막는 임시막음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충진재 충진은 상기 경사말뚝의 상측, 내부, 상기 충진재타설홀을 통해 상기 몸통부 내부에 충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강재 말뚝 기초의 구조를 개선하여, 시공과정에서 몸체부의 수평 이동이나 회전 이동 및 경사짐 등을 방지하여 구조물을 정확한 위치에 정확한 방향으로 시공할 수 있게 하고, 또한 구조물을 의도적으로 경사지게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쉽게 경사지게 설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시공과정에 시공오차로 몸체부가 경사지게 설치되는 경우 이를 쉽게 보정할 수 있다.
도 1 내지 3은 종래기술의 도면들
도 4는 본 발명의 하부베이스판에 수직가이드관이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몸통부에 경사가이드관들의 삽입구멍이 형성됨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경사가이드관들이 몸통부 내부에 배치되는 형상과 경사가이드관에 충진재 타설홀 및 임시막음판이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몸통부에 경사가이드관들이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몸통부 상면에 하부베이스판이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몸통부 하측에 고정쐐기들이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몸통부를 지반에 설치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수직가이드관을 통해 수직말뚝을 타격 삽입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경사가이드관을 통해 충진재를 몸통부내에 충진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경사가이드관을 통해 경사말뚝들을 타격 삽입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상부베이스판을 결합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15는 도 14의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경사와셔의 사시도 및 측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수직말뚝의 상면이 경사지게 절단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상부베이스판이 하부베이스판에 대해 경사지게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19는 도 18의 부분 확대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강재 말뚝 기초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하부베이스판에 수직가이드관이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몸통부에 경사가이드관들의 삽입구멍이 형성됨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경사가이드관들이 몸통부 내부에 배치되는 형상과 경사가이드관에 충진재 타설홀 및 임시막음판이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몸통부에 경사가이드관들이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몸통부 상면에 하부베이스판이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몸통부 하측에 고정쐐기들이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몸통부를 지반에 설치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수직가이드관을 통해 수직말뚝을 타격 삽입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경사가이드관을 통해 충진재를 몸통부내에 충진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경사가이드관을 통해 경사말뚝들을 타격 삽입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상부베이스판을 결합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5는 도 14의 사시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경사와셔의 사시도 및 측면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수직말뚝의 상면이 경사지게 절단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상부베이스판이 하부베이스판에 대해 경사지게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9는 도 18의 부분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강재 말뚝 기초는,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지반에 설치되는 것으로 내부가 빈 몸통부(10); 상기 몸통부(10)의 상면에 결합되는 하부베이스판(20); 지반에 수직으로 삽입되는 수직말뚝(50)을 가이드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하부베이스판(20)에서 하측으로 연장 설치된 수직가이드관(30); 지반에 경사지게 삽입되는 경사말뚝(60)들을 가이드하기 위한 것으로 일측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면서 상기 몸통부(10)의 둘레를 따라 돌아가면서 균형되게 배치되고 상기 몸통부(10)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경사가이드관(40)들; 상기 수직가이드관(30)의 내부를 통해 지반에 수직으로 삽입 설치되는 수직말뚝(50); 상기 경사가이드관(40)들의 내부를 통해 지반에 경사지게 삽입 설치되는 경사말뚝(60)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강재 말뚝 기초는 소규모 건축물, 데크, 데크로드, 태양광 시설, 농막, 조경시설물, 인도교, 자전거도로 등 각종 구조물을 지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구조물들의 기둥 등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몸통부(10)는 상측과 하측이 개방되고 내부가 빈 것으로, 수평 단면은 사각형, 원형 등일 수 있다. 몸통부(10)의 재질은 강재일 수 있다.
상기 하부베이스판(20)은 판 형상의 강재로 몸통부(10)의 상면에 용접 등으로 결합될 수 있다. 하부베이스판(20)은 몸통부(1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몸통부(10)의 상면을 완전히 덮는 사각판, 원판 등일 수 있다. 하부베이스판(20)은 후술하는 볼트(82) 등을 결합할 수 있는 여유폭이 형성될 수 있도록 몸통부(10)의 단면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하부베이스판(20)은 후술하는 경사말뚝(60)들을 타격 삽입함에 방해가 되지 않는 정도의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직가이드관(30)은 내부가 빈 원형, 사각형 등의 강재 파이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수직가이드관(30)은 지반에 수직으로 삽입되는 수직말뚝(50)을 가이드하기 위한 것으로 하부베이스판(20) 하측에 용접 등으로 결합되고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수직가이드관(30)이 결합된 하부베이스판(20)에는 수직가이드관(30)의 내경과 동일한 크기의 구멍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수직말뚝(50)을 지반에 타격 삽입할 때 사용될 수 있다. 수직은 반드시 연직 방향을 의미하지는 아니한다. 즉, 수직은 시공 지반면에 대해 수직을 의미한다 할 수 있다.
상기 경사가이드관(40)들은 지반에 경사지게 삽입되는 경사말뚝(60)들을 가이드하기 위한 것으로 일측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면서 상기 몸통부(10)의 둘레를 따라 돌아가면서 균형되게 배치되고 상기 몸통부(10)를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
일측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다는 의미는 경사가이드관(40)들이 나란한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다는 것이고, 이는 몸통부(10)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경사가이드관(40)들이 서로 엇갈리거나 교차하지 아니하는 것을 의미한다 할 수 있다.
균형되게 배치된다는 의미는 일례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면서 동일한 각도로 경사진다는 의미일 수 있다. 예컨데, 몸통부(10)의 평면이 정사각형인 경우 몸통부(10)의 각 측면의 동일한 위치에서 마주보는 측면의 동일한 위치로 배치되는 의미일 수 있다. 이는 경사가이드관(40)들을 통해 삽입된 경사말뚝(60)들이 상측에서 작용하는 구조물의 하중을 일측으로 기울어지는 등의 현상 없이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을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수직말뚝(50)은 수직가이드관(30)의 내부를 통해 지반에 수직으로 타격 삽입될 수 있다. 이후 수직말뚝(50)은 하부베이스판(20) 등에 용접 등으로 결합될 수 있다. 수직말뚝(50)은 경사말뚝(60)들보다 먼저 삽입 설치됨으로써, 경사말뚝(60)들의 타격 삽입시 몸통부(10)의 수평이동이나 경사짐 등이 억제되게 할 수 있다. 이는 상측에 설치되는 구조물의 기둥을 정확한 위치에 정확한 방향으로 설치되게 할 수 있다.
상기 경사말뚝(60)들은 상기 몸통부(10)의 둘레에 균형되게 배치되어 구조물로부터 작용하는 하중을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다. 이는 균형되게 배치된 경사가이드관(40)들에 의해 일차적으로 달성 가능하나, 추가적으로는 경사말뚝(60)들의 삽입길이를 동일하게 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다만 지반의 지지력이 상이한 경우, 예컨데 일측 지반이 연약한 경우 연약한 지반쪽의 경사말뚝(60)의 길이를 더 길게 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상기 경사말뚝(60)들은 둘레에 링 형상의 돌부나 요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돌부나 요부는 지반에 삽입된 경사말뚝(60)들이 지반과의 마찰력을 증가시켜 경사말뚝(60)들이 압입되거나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구조물에 대한 안정된 지지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몸통부(10)의 하면에 둘레방향을 따라 이격되면서 하향으로 돌출 설치되는 고정쐐기(12)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데 몸통부(10)가 사각형인 경우 고정쐐기(12)는 사각형의 네 모서리 또는 각 변의 중앙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쐐기(12)들은 지반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수직말뚝(50)을 지반에 타격 삽입시 상기 몸통부(10)의 유동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경사말뚝(60)들을 지반에 타격 삽입시 몸통부(10)의 회전 이동이 억제되게 할 수 있다. 몸통부(10)의 유동이나 회전 이동 억제는 상측에 설치되는 구조물의 위치와 방향을 정확하게 설치되게 할 수 있다.
상기 하부베이스판(20)의 상측에 이격 설치되는 상부베이스판(70)과, 상기 상부베이스판(70)을 하부베이스판(20)에서 이격되게 지지하는 지지구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구조는 상기 하부베이스판(20)과 상부베이스판(70)의 둘레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볼트(82)들과 상기 볼트(82)들에 체결되어 상기 하부베이스판(20)과 상부베이스판(70)을 상기 볼트(82)들에 고정하는 너트(84)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베이스판(70)은 상측에 설치되는 구조물을 정확하게 설계대로 설치되게 할 수 있다. 즉, 수직말뚝(50)의 타격 삽입과 경사말뚝(60)들의 타격 삽입에 의해 몸통부(10)와 몸통부(10)에 결합된 하부베이스판(20)은 회전 이동, 경사 등이 발생할 수 있고, 이는 상측에 설치되는 구조물이 정확한 방향, 정확한 경사로 설치되지 못하게 할 수 있다. 이는 구조물의 시공을 어렵게 하거나 시공을 하더라고 구조물의 지지력을 감소시키거나 구조물의 안정성을 훼손할 수 있다. 상부베이스판(70)은 하부베이스판(20)이 가지는 경사 등을 보정하여 상측의 구조물을 설계한데로 정확하게 설치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부베이스판(70)을 의도적으로 하부베이스판(20)에 대해 경사지게 설치함으로써, 구조물의 경사진 기둥을 지지할 수 있다. 즉, 경사 기둥을 지지해야 하는 경우 하부베이스판(20)이 결합된 몸통부(10)는 지반에 수직으로 설치하되 상부베이스판(70)을 경사 기둥과 직각되게 설치함으로써 경사 기둥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강재 말뚝 기초를 부득히 경사지게 설치해야 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예컨데 지반 자체의 경사나 지반 하측에 구조물 등으로 인하여 몸통부(10)를 경사지게 설치하는 경우, 경사지게 설치된 하부베이스판(20)에 대해 상부베이스판(70)을 경사지게 설치하여 수평으로 설치할 수 있다.
또한, 하부베이스판(20)이 설계 높이와 달리 너무 높게 설치되거나 너무 낮게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부베이스판(70)을 하부베이스판(20)에 대해 좀 더 낮추거나 좀 더 높임으로써 상부 구조물을 정확하게 지지할 수 있다.
상부베이스판(70)이 하부베이스판(20)에 대해 경사지게 설치되는 경우, 경사지게 설치된 상부베이스판(70)과 그 상측과 하측에 설치된 너트(84)의 각도가 상이하게 되어 면 접촉이 되지 아니하여 구조물의 하중이 작용하는 상부베이스판(70)에 대한 지지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고자, 상기 상부베이스판(70)과 그 상측 및 하측에 설치되는 너트(84)들 사이에 설치되는 경사와셔(86)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사와셔(86)들은 두께가 경사지게 형성되어 그 사이에 설치되는 상기 상부베이스판(70)과 그 상측 및 하측에 설치되는 너트(84)들과 면접촉되게 하여 상기 상부베이스판(70)을 견고하게 지지하게 할 수 있다. 예컨데, 하부베이스판(20)에 대해 상부베이스판(70)이 좌상향으로 경사진 경우, 상부베이스판(70) 상측에 위치하는 경사와셔(86)는 우측이 두꺼운 것으로 선택하고, 상부베이스판(70) 하측에 위치하는 경사와셔(86)는 좌측이 두꺼운 것을 선택하여 결합할 수 있다. 경사와셔(86)는 다양한 경사를 미리 준비하였다가 상부베이스판(70)의 경사에 맞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경사가 동일한 경사와셔(86)를 여러 개 준비하였다가 경사도에 따라 그 개수를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수직말뚝(50)은 상면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하부베이스판(20)에 대해 경사지게 설치된 상기 상부베이스판(70)의 하면에 면접촉되게 하여 상부베이스판(70)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즉, 수직말뚝(50)은 상부베이스판(70)의 중앙부를 지지하게 되는데 상부베이스판(70)이 경사진 경우 밀접히 면접촉될 수 있도록 상면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수직말뚝(50) 상면의 경사는 미리 설계에 맞게 형성하거나, 현장에서 절단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몸통부(10)의 내부에 충진재(90)가 충진되어 상기 몸통부(10) 하부의 교란지반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충진재(90)는 콘크리트, 모르타르, 특히 무수축 모르타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충진재(90) 충진을 위해 상기 경사가이드관(40)들 중 하나 이상에 관통 형성되는 충진재타설홀(42)과, 상기 몸통부(10)에 관통 형성되는 에어홀(14)과, 상기 충진재타설홀(42) 하측의 경사가이드관(40)을 임시로 막는 임시막음판(4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진재(90)는 호스 등을 경사가이드관(40)의 상측, 내부, 충진재타설홀(42)을 통해 삽입하여 몸통부(10) 내부에 충진할 수 있다. 임시막음판(44)은 경사가이드관(40)으로 삽입되는 호스가 경사가이드관(40)의 하부가 아닌 몸통부(10) 내부로 삽입되게 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임시박음판은 경사말뚝(60)을 타격 삽입할 때 지반속으로 밀려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충진재(90)는 경사가이드관(40)의 상측 입구에서 바로 주입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충진재(90)가 경사가이드관(40) 내부에 남아있지 않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후에 경사말뚝(60)의 타격 삽입에 방해가 되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에어홀(14)은 충진재(90)의 충진시 공기를 배출되게 하여 충진재(90)가 용이하게 충진되게 하고, 또한, 충진재(90)가 적정량 충진되었는지 점검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충진재(90)는 몸통부(10) 하부의 교란지반을 안정화시킬 뿐 아니라, 하측 지반을 통해 몸통부(10) 내부에 불필요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몸통부(10)와 수직가이드관(30)과 경사가이드관(40)의 일체성을 높여 기초의 구조적 안정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강재 말뚝 기초 시공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강재 말뚝 기초 시공방법은,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지반에 설치되는 것으로 내부가 빈 몸통부(10)와, 상기 몸통부(10)의 상면에 결합되는 하부베이스판(20)과, 지반에 수직으로 삽입되는 수직말뚝(50)을 가이드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하부베이스판(20)에서 하측으로 연장 설치된 수직가이드관(30)과, 지반에 경사지게 삽입되는 경사말뚝(60)들을 가이드하기 위한 것으로 일측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면서 상기 몸통부(10)의 둘레를 따라 돌아가면서 균형되게 배치되고 상기 몸통부(10)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경사가이드관(40)들, 상기 수직가이드관(30)의 내부를 통해 지반에 수직으로 삽입 설치되는 수직말뚝(50)과, 상기 경사가이드관(40)들의 내부를 통해 지반에 경사지게 삽입 설치되는 경사말뚝(60)들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하부베이스판(20), 수직가이드관(30), 경사가이드관(40)들이 설치된 상기 몸통부(10)를 지반에 설치하는 단계; 상기 수직가이드관(30)을 통해 수직말뚝(50)을 지반에 타격 삽입하는 단계; 상기 경사가이드관(40)들을 통해 경사말뚝(60)들을 지반에 타격 삽입하는 단계;순으로 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전술한 강재 말뚝 기초의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포함한다.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고, 생략된 부분은 전술한 실시예가 참조될 수 있다.
준비하는 단계는, 먼저 하부베이스판(20)의 중앙에 수직말뚝(50)이 삽입되는 구멍과 둘레에 볼트(82)가 삽입되는 구멍들을 형성할 수 있다. 이후 수직가이드관(30)을 하부베이스판(20)의 하측에 용접 결합할 수 있다. 수직가이드관(30)은 수직말뚝(50)의 삽입을 고려하여 하부베이스판(20)의 구멍에 맞추어 용접하게된다.
다음으로 하부베이스판(20)을 준비된 몸통부(10) 상면에 용접 결합할 수 있다. 다음으로 경사가이드관(40)들을 몸통부(10)에 삽입하고 용접 결합할 수 있다. 다만 경사가이드관(40)들을 먼저 몸통부(10)에 결합한 후 하부베이스판(20)을 용접 결합하는 것도 무방하다.
이후, 수직말뚝(50), 경사말뚝(60)들도 준비한다. 경사말뚝(60)들은 통상 동일한 길이로 준비하나, 지반의 상태를 고려하여 길이가 상이하게 준비할 수 있다. 또한 경사말뚝(60)들은 삽입이나 인출이 방지되게 하기 위해 둘레에 링 형상의 돌부나 요부를 포함한 말뚝들을 준비할 수 있다. 이 돌부나 요부는 지반에 삽입된 경사말뚝(60)들이 지반과의 마찰력을 증가시켜 경사말뚝(60)들이 압입되거나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구조물에 대한 안정된 지지력을 가질 수 있다. 링 형상의 돌부나 요부는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설치하는 단계는, 상기 하부베이스판(20), 수직가이드관(30), 경사가이드관(40)들이 결합된 상기 몸통부(10)를 지반에 설치하는 단계이다. 지반은 필요한 경우 일부 굴착할 수 있다. 이는 상측의 연약부를 제거하는 의미도 있고, 또한 설계 높이를 고려하여 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수직가이드관(30)을 통해 수직말뚝(50)을 지반에 타격 삽입한다. 수직말뚝(50)은 수직 방향으로 조정하면서 타격 삽입한다. 수직말뚝(50)은 경사말뚝(60)보다 먼저 타격 삽입함으로써, 경사말뚝(60)들의 타격 삽입시 몸통부(10)의 수평이동이나 경사짐을 억제되게 할 수 있다.
다음으로, 경사말뚝(60)들을 타격 삽입한다. 경사말뚝(60)들의 타격 순서는 돌아가면서 순차로 하거나, 또는 대각선에 위치한 것을 먼저 타격 삽입하고, 다른 대각선에 위치한 것을 타격 삽입할 수 있다. 또한 모든 경사말뚝(60)들을 완전히 타격 삽입하기 보다는 일부만 타격 삽입한 후 점차 더 깊게 순차로 타격 삽입할 수 있다. 이는 몸통부(10)가 가능한 회전하거나 경사지지 않게 할 수 있다.
상기 경사말뚝(60)들은 상기 수직말뚝(50)의 둘레에 균형되게 배치되어 상기 구조물로부터 작용하는 하중을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다. 즉, 예컨데 경사말뚝(60)들은 몸통부(10)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면서 일측 방향으로 동일한 각도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정 간격이면서 동일한 각도록 경사지게 설치됨으로써, 삽입되는 경사말뚝(60)들은 지반에 균형되게 배치되고 이는 상측 구조물을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게 한다.
상기 몸통부(10)의 하면에 둘레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하향으로 돌출 설치되는 고정쐐기(12)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통부(10)를 지반에 설치하는 단계에서 고정쐐기(12)들이 지반에 삽입 설치되게 하여 상기 수직말뚝(50)을 지반에 타격 삽입시 몸통부(10)의 유동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경사말뚝(60)들을 지반에 타격 삽입시 몸통부(10)의 수평 이동이나 회전 이동이 억제되게 할 수 있다.
상기 하부베이스판(20)의 상측에 이격 설치되는 상부베이스판(70)과, 상기 상부베이스판(70)을 하부베이스판(20)에서 이격되게 지지하는 지지구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구조물의 기둥 등은 상부베이스판(70)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지지구조는 상기 하부베이스판(20)과 상부베이스판(70)의 둘레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볼트(82)들과 상기 볼트(82)들에 체결되어 상기 하부베이스판(20)과 상부베이스판(70)을 상기 볼트(82)들에 고정하는 너트(84)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하부베이스판(20)에 대해 상부베이스판(7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하부베이스판(20)에 대해 상부베이스판(70)의 경사를 달리함으로써, 하부베이스판(20)의 시공오차를 보정하거나, 경사진 상부 구조물의 기둥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몸통부(10)를 지반에 설치하는 단계 이후 상기 몸통부(10)의 내부에 충진재(90)를 충진하여 상기 몸통부(10) 하부의 교란지반을 안정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경사말뚝(60)들 중 하나 이상에 관통 형성되는 충진재타설홀(42)과, 상기 몸통부(10)에 관통 형성되는 에어홀(14)과, 상기 충진재타설홀(42) 하측을 임시로 막는 임시막음판(4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진재(90) 충진은 상기 경사말뚝(60)의 상측, 내부, 상기 충진재타설홀(42)을 통해 상기 몸통부(10) 내부에 충진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구성되거나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몸통부
12: 고정쐐기
14: 에어홀
20: 하부베이스판
30: 수직가이드관
40: 경사가이드관
42: 충진재타설홀
44: 임시막음판
50: 수직말뚝
60: 경사말뚝
70: 상부베이스판
82: 볼트
84: 너트
86: 경사와셔
90: 충진재

Claims (10)

  1.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지반에 설치되는 것으로 내부가 빈 몸통부;
    상기 몸통부의 상면에 결합되는 하부베이스판;
    지반에 수직으로 삽입되는 수직말뚝을 가이드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하부베이스판에서 하측으로 연장 설치된 수직가이드관;
    지반에 경사지게 삽입되는 경사말뚝들을 가이드하기 위한 것으로 일측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면서 상기 몸통부의 둘레를 따라 돌아가면서 균형되게 배치되고 상기 몸통부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경사가이드관들;
    상기 수직가이드관의 내부를 통해 지반에 수직으로 삽입 설치되는 수직말뚝;
    상기 경사가이드관들의 내부를 통해 지반에 경사지게 삽입 설치되는 경사말뚝들;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말뚝은 상기 경사말뚝들보다 먼저 삽입 설치되어 상기 경사말뚝들의 타격 삽입시 상기 몸통부의 수평이동이나 경사짐이 억제되게 하고,
    상기 경사말뚝들은 상기 몸통부의 둘레에 균형되게 배치되어 상기 구조물로부터 작용하는 하중을 안정되게 지지하고,
    상기 몸통부의 하면에 둘레방향을 따라 이격되면서 하향으로 돌출 설치되는 고정쐐기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쐐기들은 지반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수직말뚝을 지반에 타격 삽입시 상기 몸통부의 유동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경사말뚝들을 지반에 타격 삽입시 상기 몸통부의 회전 이동이 억제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 말뚝 기초.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베이스판의 상측에 이격 설치되는 상부베이스판과, 상기 상부베이스판을 하부베이스판에서 이격되게 지지하는 지지구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구조는 상기 하부베이스판과 상부베이스판의 둘레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볼트들과 상기 볼트들에 체결되어 상기 하부베이스판과 상부베이스판을 상기 볼트들에 고정하는 너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 말뚝 기초.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상부베이스판과 그 상측 및 하측에 설치되는 너트들 사이에 설치되는 경사와셔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경사와셔들은 그 사이에 설치되는 상기 상부베이스판과 그 상측 및 하측에 설치되는 너트들과 면접촉하여 상기 상부베이스판을 견고하게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 말뚝 기초.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수직말뚝은 상면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하부베이스판에 대해 경사지게 설치된 상기 상부베이스판의 하면에 면접촉하여 상기 상부베이스판을 견고하게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 말뚝 기초.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의 내부에 충진재가 충진되어 상기 몸통부 하부의 교란지반을 안정화시키고,
    상기 경사가이드관들 중 하나 이상에 관통 형성되는 충진재타설홀과, 상기 몸통부에 관통 형성되는 에어홀과, 상기 충진재타설홀 하측을 임시로 막는 임시막음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충진재는 상기 경사가이드관의 상측, 내부, 상기 충진재타설홀을 통해 상기 몸통부 내부에 충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 말뚝 기초.
  7.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지반에 설치되는 것으로 내부가 빈 몸통부, 상기 몸통부의 상면에 결합되는 하부베이스판, 지반에 수직으로 삽입되는 수직말뚝을 가이드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하부베이스판에서 하측으로 연장 설치된 수직가이드관, 지반에 경사지게 삽입되는 경사말뚝들을 가이드하기 위한 것으로 일측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면서 상기 몸통부의 둘레를 따라 돌아가면서 균형되게 배치되고 상기 몸통부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경사가이드관들, 상기 수직가이드관의 내부를 통해 지반에 수직으로 삽입 설치되는 수직말뚝, 상기 경사가이드관들의 내부를 통해 지반에 경사지게 삽입 설치되는 경사말뚝들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하부베이스판, 수직가이드관, 경사가이드관들이 설치된 상기 몸통부를 지반에 설치하는 단계;
    상기 수직가이드관을 통해 수직말뚝을 지반에 타격 삽입하는 단계;
    상기 경사가이드관들을 통해 경사말뚝들을 지반에 타격 삽입하는 단계;순으로 시공함으로써,
    상기 수직말뚝은 상기 경사말뚝들의 타격 삽입시 상기 몸통부의 수평이동이나 경사짐을 억제되게 하고,
    상기 경사말뚝들은 상기 몸통부의 둘레에 균형되게 배치되어 상기 구조물로부터 작용하는 하중을 안정되게 지지하고,
    상기 하부베이스판의 상측에 이격 설치되는 상부베이스판과, 상기 상부베이스판을 하부베이스판에서 이격되게 지지하는 지지구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구조는 상기 하부베이스판과 상부베이스판의 둘레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볼트들과 상기 볼트들에 체결되어 상기 하부베이스판과 상부베이스판을 상기 볼트들에 고정하는 너트들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베이스판 상측에 상기 구조물이 지지되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 말뚝 기초 시공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의 하면에 둘레방향을 따라 이격되면서 하향으로 돌출 설치되는 고정쐐기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몸통부를 지반에 설치하는 단계에서 상기 고정쐐기들이 지반에 삽입 설치되게 하여 상기 수직말뚝을 지반에 타격 삽입시 상기 몸통부의 유동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경사말뚝들을 지반에 타격 삽입시 상기 몸통부의 수평 이동이나 회전 이동이 억제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 말뚝 기초 시공방법.
  9. 삭제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를 지반에 설치하는 단계 이후 상기 몸통부의 내부에 충진재를 충진하여 상기 몸통부 하부의 교란지반을 안정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경사말뚝들 중 하나 이상에 관통 형성되는 충진재타설홀과, 상기 몸통부에 관통 형성되는 에어홀과, 상기 충진재타설홀 하측을 임시로 막는 임시막음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충진재 충진은 상기 경사말뚝의 상측, 내부, 상기 충진재타설홀을 통해 상기 몸통부 내부에 충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 말뚝 기초 시공방법.
KR1020230051828A 2023-04-20 2023-04-20 강재 말뚝 기초 및 그 시공방법 KR1026511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1828A KR102651176B1 (ko) 2023-04-20 2023-04-20 강재 말뚝 기초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1828A KR102651176B1 (ko) 2023-04-20 2023-04-20 강재 말뚝 기초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1176B1 true KR102651176B1 (ko) 2024-03-26

Family

ID=90472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1828A KR102651176B1 (ko) 2023-04-20 2023-04-20 강재 말뚝 기초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117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39256A (en) * 1990-03-15 1991-08-13 Richard Gagliano Pinned foundation system
KR20080114529A (ko) 2007-06-26 2008-12-31 미로모쿠루 산교오 가부시키가이샤 간이기초 및 그를 이용한 기초공사방법
KR101506953B1 (ko) 2014-07-24 2015-03-30 동아에스텍 주식회사 목재 데크로드의 기둥결속을 위한 기초철물
KR200478187Y1 (ko) * 2015-05-13 2015-09-07 윤석진 그라운드 리벳 구조
KR102014125B1 (ko) * 2019-06-03 2019-08-26 (주)효창이엔지 3축 내진 말뚝 구조 및 공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39256A (en) * 1990-03-15 1991-08-13 Richard Gagliano Pinned foundation system
KR20080114529A (ko) 2007-06-26 2008-12-31 미로모쿠루 산교오 가부시키가이샤 간이기초 및 그를 이용한 기초공사방법
KR101506953B1 (ko) 2014-07-24 2015-03-30 동아에스텍 주식회사 목재 데크로드의 기둥결속을 위한 기초철물
KR200478187Y1 (ko) * 2015-05-13 2015-09-07 윤석진 그라운드 리벳 구조
KR102014125B1 (ko) * 2019-06-03 2019-08-26 (주)효창이엔지 3축 내진 말뚝 구조 및 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09057B2 (en) Tower foundation system
WO2006030893A1 (ja) 鉄塔の基礎構造
CN110761297B (zh) 一种土木桥梁施工用支护装置
JP2004183266A (ja) 杭と建造物との接合構造及び接合方法
US20120014754A1 (en) Circular Pile Head For Underpinning A Slab
US20110299937A1 (en) Pre-stressed concrete foundation for a marine building structure
US20170268235A1 (en) Rebar Centralizer for Use in a Drilled Shaft/Bore Hole
CN112982472B (zh) 一种适用于未见基岩地区的输电塔基础结构及施工方法
KR102651176B1 (ko) 강재 말뚝 기초 및 그 시공방법
JP3831737B2 (ja) 鉄塔の基礎構造
JP3129676B2 (ja) 杭を柱に利用した建築構造物に於ける杭柱の建込み方法
JPH10299005A (ja) 傾斜杭束を備えた基礎およびその施工方法
JP3518308B2 (ja) 筒型塔状構造物の基礎構造
KR102091212B1 (ko) 파일을 이용한 기초구조를 갖는 방음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JP3219579U (ja) コンクリート塀の施工構造
US20020148174A1 (en) Method and system for emplacing prefabricated buildings
JP7102062B2 (ja) 建築物の接合構造
JP2858997B2 (ja) 逆打工法に使用する仮設対応支柱
JP6999282B2 (ja) 杭基礎構造およびその構築方法
KR102270977B1 (ko) 태양광발전장치의 연약지반용 프레임조립체
KR100593182B1 (ko) 건축용 기초말뚝의 보강구조
KR102604871B1 (ko) 차수벽과 어스앵커를 이용한 토류벽 형성방법
KR102652376B1 (ko) 지지력이 증대되도록 구성되는 차수벽과 어스앵커를 이용한 토류벽 형성방법
JP7284621B2 (ja) 建築物の基礎構造
KR102383597B1 (ko) 토목공사용 지하 흙막이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