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1000B1 - 나노급 분지를 갖는 동물피혁 섬유 번들, 얀, 코어 스펀 얀 및 제품 - Google Patents

나노급 분지를 갖는 동물피혁 섬유 번들, 얀, 코어 스펀 얀 및 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1000B1
KR102651000B1 KR1020217010734A KR20217010734A KR102651000B1 KR 102651000 B1 KR102651000 B1 KR 102651000B1 KR 1020217010734 A KR1020217010734 A KR 1020217010734A KR 20217010734 A KR20217010734 A KR 20217010734A KR 102651000 B1 KR102651000 B1 KR 1026510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nches
animal skin
nano
skin fiber
fiber bu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0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45120A (ko
Inventor
리원 쟝
Original Assignee
광동 우위안 뉴 머티리얼 테크놀로지 그룹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동 우위안 뉴 머티리얼 테크놀로지 그룹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우위안 뉴 머티리얼 테크놀로지 그룹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1451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51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10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10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0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by the materials from which they are made
    • D02G3/04Blended or other yarns or threads containing components made from different material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BMECHANICAL TREATMENT OF NATURAL FIBROUS OR FILAMENTARY MATERIAL TO OBTAIN FIBRES OF FILAMENTS, e.g. FOR SPINNING
    • D01B9/00Other mechanical treatment of natural fibrous or filamentary material to obtain fibres or filament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0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by the materials from which they are made
    • D02G3/10Yarns or threads formed from collagenous materials, e.g. catgut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32Elastic yarns or threads ; Production of plied or cored yarns, one of which is elastic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32Elastic yarns or threads ; Production of plied or cored yarns, one of which is elastic
    • D02G3/328Elastic yarns or threads ; Production of plied or cored yarns, one of which is elastic containing elastane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36Cored or coated yarns or thread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44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D02G3/449Yarns or threads with antibacteri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40/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3/00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 D06N3/0002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ubstrate
    • D06N3/0015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ubstrate using fibres of specified chemical or physical nature, e.g. natural silk
    • D06N3/0018Collagen fibres or collagen on fibr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211/00Protein-based fibres, e.g. animal fibres
    • D10B2211/01Natural animal fibres, e.g. keratin fibres
    • D10B2211/06Collagen fibr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6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63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high strength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3Physical properties anti-allergenic or anti-bacterial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20Physical properties optic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 And Processing Of Natural Fur Or Leather (AREA)
  •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Fibers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 Synthetic Leather, Interior Materials Or Flexible Sheet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나노급 분지(102)를 갖는 동물피혁 섬유 번들(3), 얀, 코어 스펀 얀 및 제품에 관한 것이다. 나노급 분지(102)를 갖는 동물피혁 섬유 번들(3)은 동물피혁 섬유 주체(100)를 포함하고, 동물피혁 섬유 주체(100)는 가방성 동물피혁 섬유 주체(100)이며 나노급 분지(102)가 존재하며, 얀은 나노급 분지(102)를 갖는 동물피혁 섬유 번들(3)로 형성되며, 코어 스펀 얀은 코어 얀(21) 및 피층을 포함하고, 피층은 나노급 분지(102)를 갖는 동물피혁 섬유 번들(3)을 포함하며, 제품은 상기 임의의 하나로 제조된다. 상기 동물피혁 섬유 번들(3)은 독립적이고, 분리된 나노급 분지를 가지며, 항균효과가 우수하고 역학성능이 향상된 특징을 나타낸다.

Description

나노급 분지를 갖는 동물피혁 섬유 번들, 얀, 코어 스펀 얀 및 제품
본 발명은 동물피혁 섬유 번들, 얀 및 코어 스펀 얀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나노급 분지를 갖는 동물피혁 섬유 번들, 얀 및 코어 스펀 얀에 관한 것이다.
중국의 피혁 산업은 경공업의 일부로서, 제혁, 모피 및 피혁 제품 3개의 자연 분야를 포함한다. 제혁한 완제품을 피혁이라고 부르며 피혁은 털이 제거된 동물의 가죽 제품이며; 모피는 이중면 피혁 또는 퍼(fur)라고도 하며 털이 있는 동물의 가죽 제품이며; 피혁 제품은 피혁 또는 모피를 심층 가공한 제품이며 예를 들어 가죽 신발, 가죽 옷, 가죽 물건 등이다.
제혁은 일련의 물리 가공 및 화학 처리를 거쳐 생피의 성질과 외관을 변화시켜 피혁을 얻는 과정을 의미한다.
생피는 동물체로부터 박리된 것으로 표피층, 진피층 및 피하조직을 포함한다. 여기서, 진피층는 표피층의 하부에 위치하고 그 중량과 두께는 각각 생피의 90% 이상을 차지하며, 생피의 주된 부분을 이룬다. 진피층은 주로 긴밀하게 편직(編織)되고 하나로 연결된 콜라겐 섬유, 탄성 섬유 및 망상 섬유로 이루어진다. 또한, 진피층은 모낭, 혈관, 땀샘, 지질선, 지방세포, 근육, 혈관, 림프관 및 섬유간질 등과 같은 일부 비 섬유 성분을 더 포함한다.
앞서 언급한 콜라겐 섬유는 진피 내의 주된 섬유로서 생피의 주체를 이루며, 콜라겐 섬유계 콜라겐으로 이루어지며, 진피의 섬유 총 중량의 95%-98%를 차지한다.
콜라겐 섬유는 갈라지지 않고 다발 모양으로 집결되어 있다. 그 형성된 구조는 다음과 같다.
트로포콜라겐 분자→프로토피브릴(직경:1.2~1.7nm)→서브피브릴(직경:3~5nm)→피브릴(일반적인 직경:20nm)→미세 섬유(직경:2~5μm)→콜라겐 섬유(직경:20~150μm). 트로포콜라겐 분자는 3개의 왼손 나선 콜라겐 펩타이드 체인에 의해 형성된 오른손 복합 나선구조이며, 콜라겐 펩타이드 체인은 나선형 체인 및 이와 연결된 비나선형 텔로펩타이드로 이루어지며, 나선형 체인과 비나선형 텔로펩타이드는 모두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다. 콜라겐의 아미노산 조성과 서열은 비록 출처 및 콜라겐 유형에 따라 일정한 차이가 있지만 몇 가지 주된 아미노산의 조성, 즉 글리신, 알라닌, 프롤린 및 하이드로옥시프롤린은 대체로 동일하다.
트로포콜라겐 분자→프로토피브릴(직경:1.2~1.7nm)→서브피브릴(직경:3~5nm)→피브릴(일반적인 직경:20nm)→미세 섬유(직경:2~5μm)→콜라겐 섬유(직경:20~150μm)는 콜라겐 섬유의 형성 과정이다. 그러나 콜라겐 섬유가 동물 가죽 또는 피혁 등 제품에 존재하는 상태에서는 독립 분리된, 나노급 분지를 갖는 콜라겐 섬유 번들이 존재하지 않는다.
제혁의 원료인 “생피”는 가공 전에 다음과 같은 성질이 있다.
(1)동물체에서 박리된 가죽은 젖은 상태이고, 이를 건조하면 딱딱하게 되어 굴곡성 및 유연성이 없어져 만곡시 쉽게 끊어진다.
(2)젖은 생피는 습열 조건에서 빠르게 부식되고 탈모되며 악취를 풍긴다.
(3)생피는 65℃ 이상의 더운 물속에서 수축되고 온도가 높으면 높을수록 수축 정도가 더 크다.
(4)생피는 투기성 및 투수-투기성이 모두 좋지 않으므로 위생성도 좋지 않다.
(5)생피는 화학 약품의 작용에 의해 쉽게 손상된다.
생피는 상기 성질을 가지므로 생활용품으로 바로 제작하여 사람들에게 사용하도록 제공할 수 없다. 따라서, 사람들은 일련의 물리 및 화학 처리를 통해 생피를 피혁으로 제작한다. 비록 피혁은 생피의 물리 및 화학적 처리를 통해 얻게 되나, 피혁 내의 콜라겐 섬유 번들의 형태 및 구조는 생피 내의 콜라겐 섬유 번들의 형태 및 구조와 거의 동일하다.
생피를 처리하여 얻은 피혁은 딱딱한 취성 소재로 변하지 않고, 부식 및 수축되지 않고, 투기성 및 투수-투기성이 우수하고, 화학 내구성이 좋은 장점이 있어 사용자들에게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피혁을 이용하여 피혁제품을 만들 때 많은 자투리가 생기는데, 통계의 의하면 중국은 매년 제혁 및 제혁 제품 업계에서만 대략 140만톤에 달하는 피혁 자투리가 생산되고, 인도는 15만톤에 달하는 피혁 자투리가 생산되고, 미국은 매년 크롬 함유 피혁 폐기물(leather waste)만 해도 6만톤에 달한다. 이러한 피혁 자투리는 피혁 공업 오염을 초래하는 하나의 중요한 요인이다.
대량의 피혁 자투리가 생성됨에 따라 80년대부터 선진국들의 친환경 법규의 강화 및 피혁 자투리의 매립 장소의 감소, 그리고 오염 처리 비용의 증가 등의 이유로, 선진국들은, 한편으로 그 오염성 산업을 발전도상 나라로 이전하고, 다른 한편으로 피혁 자투리의 재활용에 대한 연구 및 응용을 추진해 왔다. 특히, 90년대부터 자원, 환경 등 글로벌 생태이슈가 날로 심각해짐에 따라 피혁 산업의 발전은 “지속가능한 발전” 전략의 도전에 직면하게 되었다. 따라서, 피혁 자투리의 자원화는 이미 국내외에서 주목하는 중요한 과제가 되었다.
피혁 자투리의 회수 이용은 이미 오랜 세월 지속되어 왔으나 업계 내외 인사들의 보편적인 관심을 끌지 못했다. 최근 20년, 분자 생물학의 발전 및 콜라겐 및 그 성질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이 깊어짐에 따라 그 응용분야도 더 광범위해 지고 있다. 따라서, 피혁 자투리의 자원화는 더 이상 폐기된 피혁 자투리를 이용하여 재생 피혁 등과 같은 저 부가가치의 제품을 생산하는 데에 그치지 않으며 고 부가가치로의 전환을 목표로 한다. 콜라겐 섬유가 동물체의 중요한 기능 물질이며 기타 합성 고분자 소재와 비교할 수 없는 생체적합성(biocompatibility) 및 생물분해성을 가진다. 따라서, 콜라겐 섬유(즉, 동물 피혁 섬유)는 천연 바이오메스 자원으로서 식품, 의약, 화장품, 사료, 비료 등 활용에 있어서 그 중요성 및 경제적 지위가 날로 두드러지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 의해, 발명인은 피혁 자투리의 재활용에 관한 연구를 심도 있게 진행하였으며 중국과 해외에 특허를 출원했을 뿐만 아니라 실제 생산에도 투입하였다. 예를 들어 중국특허 출원번호 제200410034435.4호, 제200410090255.8호, 제200410097268.8호, 제200410097268.8호, 제200510036778.9호, 제200710003092.9호, 제200710090(21)9.5호, 제201010(21)1811.8호, 제2010202369(21).5호, 제2016(21)302339.8호 등의 출원은 콜라겐 섬유에 관한 것이다. 발명인이 연구한 상기 콜라겐 섬유는 액체 플루퍼(fluffer)의 수리 작용 하에 피혁 자투리 또는 피혁 내의 콜라겐 섬유가 편직 상태에서 점차 풀어져 얻어진 것이다. 그러나 이전의 연구 및 구현에서는 다만 피혁 자투리 또는 피혁 내의 콜라겐 섬유를 풀어 주체 및 분지를 갖는 피혁 섬유를 형성한다. 연구에 의해면 나노급 소재가 비나노급 동일 소재의 고유한 성능을 일으킬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그러므로 독립 분리된 나노급 동물피혁 섬유 분지 및 그 가공 방법을 연구하고 구현하는 것은 중요한 의미가 있다.
이를 위해 일부 사람들은 천연 나노 섬유에 대한 연구를 시작했다. 예를 들어, 중국특허 출원번호 제200510086251.7호, 공개일 2006년2월8일인 특허문헌에는 천연 나노 섬유의 제조 방법을 개시하였고, 구체적으로 다음 단계를 개시하였다.
(1)천연 생물 소재를 일정한 용매의 용기에 침지하다.
(2)일정한 주파수 및 일정한 파워를 갖는 초음파 장치를 가동하여 초음파 발사 프로브를 천연 생물 소재 용액이 담긴 용기에 넣어 일정 시간동안 초음파 해리를 진행하여 천연 나노 섬유를 얻는다. 상기 천연 생물 소재는 거미 명주(spider silk), 누에실, 야잠사, 양털, 물고기 비늘, 대섬유, 뼈 콜라겐 섬유, 나무 섬유를 포함한다.
상기 문헌은 뼈 콜라겐 섬유를 통해 천연 나노 섬유를 얻을 수 있다고 개시하였으나 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은 뼈 콜라겐 섬유가 뼈 조직 내에 분포되고 뼈 콜라겐 섬유를 이루는 단백질이 Ⅰ형 콜라겐임을 알고 있다. Ⅰ형 콜라겐은 뼈 콜라겐을 이루고, 뼈 Ⅰ형 콜라겐은 총 3000개 정도의 아미노산을 가지며, 분자량이 95,000이고, 화학 구조적으로 결합 조직은 Ⅰ형 콜라겐과 상이하다. 뼈 Ⅰ형 콜라겐은 가교 부위가 적고, 가교는 G알데히드기 라이신(lysine)가 붕소수소화 소듐(sodium borohydride)에 의해 환원되어 형성된 구조이다. 뼈 Ⅰ형 콜라겐 프론트 N단 확장 펩타이드가 인산화되고, 결합조직에서는 번역후 변형(Posttranslational modification)된 프로 콜라겐이 발견되지 않았다. 아미노산 조성을 볼 때 뼈 콜라겐 또한 연골 콜라겐과 다르며 이는 2가지 특수 아미노산인 세린(serine) 및 글리신을 포함하며, 대량의 세린은 인산 세린염의 형태로 존재하므로 광화(Mineralization) 과정에 인산염과 뼈 콜라겐의 결합이 매우 중요하다. 골기질(bone matrix) 광화 과정에서 수산화인회석(hydroxyapatite)은 뼈 콜라겐과 결합하여 정상적인 골질을 형성한다. 뼈의 Ⅰ형 콜라겐 사이는 서로 가교되어 골기질 프레임을 형성한다. 뼈 콜라겐의 질량 및 수량도 광화와 관련이 있어 일정한 침적 비율을 유지하게 된다. 광화 과정에는 골기질 중의 비 콜라겐, 즉 오스테오칼신(osteocalcin), 기질 단백 등이 참여해야 한다. Ⅰ형 콜라겐은 오스테오칼신에 구조적 장소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오스테오칼신 등 비 콜라겐과 결합하여 네트워크 스캐폴드(network scaffold)를 형성하고 골광화를 위해 기본적인 조건을 제공한다.
연구과정에 비탈회 골 초박절편 상에서 수산화인회석결정(hydroxyapatite crystal)이 콜라겐 섬유의 장축으로 분포되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뼈 콜라겐 섬유는 내압성 및 탄성이 약하고 수산화인회석결정은 쉽게 뿌셔지지만 이 둘을 하나로 결합할 경우 매우 강한 구조 강도를 가지므로 골조직이 강한 기계적 성능을 갖게 된다.
피혁 내의 콜라겐 섬유도 콜라겐으로 이루어졌으나 뼈 콜라겐 섬유 내의 콜라겐과 달리 우수한 내압성 및 탄성을 갖는다. 이는 피혁 내의 콜라겐 섬유가 조성 및 성능 면에서 뼈 콜라겐 섬유와 현저하게 상이함을 설명한다.
따라서, 피혁으로부터 나노급 분지를 갖는 동물 피혁 콜라겐 섬유 번들을 분리하여 분리된 동물 피혁 섬유 번들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은 큰 의미가 있다.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나노급 분지를 갖는 동물피혁 섬유 번들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동물피혁 섬유 번들 구조에서, 동물피혁 섬유 번들은 독립 분리되어 동물피혁 섬유 주체에 의착된 나노급 분지를 가지며 항균효과 및 흡착성능이 우수하고 역학성능이 향상된 특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나노급 분지를 갖는 동물피혁 섬유 번들 얀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얀 구조에서, 동물피혁 섬유 번들은 독립 분리되어 동물피혁 섬유 주체에 연결된 나노급 분지를 가지며 항균효과 및 흡착성능이 우수하고 역학성능이 향상된 특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제3 목적은 나노급 분지를 갖는 동물피혁 섬유 번들 코어 스펀 얀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코어 스펀 얀 구조에서, 동물피혁 섬유 번들은 독립 분리되어 동물피혁 섬유 주체에 연결된 나노급 분지를 가지며 항균효과 및 흡착성능이 우수하고 역학성능이 향상된 특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제4 목적은 나노급 분지를 갖는 동물피혁 섬유 번들 제품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제품 내에서 동물피혁 섬유 번들은 독립 분리되어 동물피혁 섬유 주체에 연결된 나노급 분지를 가지며 항균효과 및 흡착성능이 우수하고 역학성능이 향상된 특성을 나타낸다.
상기 제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동물피혁 섬유 주체를 포함하고 동물피혁 섬유 주체가 가방성 동물피혁 섬유 주체이고, 동물피혁 섬유 주체에 나노급 분지를 갖는, 나노급 분지를 갖는 동물피혁 섬유 번들을 제공한다.
더 나아가, 나노급 분지는 직경이 200nm이하인 나노급 분지를 포함한다.
나노급 분지를 갖는 동물피혁 섬유 번들은, 동물피혁에 대해 액체 해섬, 오프닝 및 카딩 등 여러 공정을 수행하여 얻은 나노급 분지를 갖는 가방성 섬유 번들로서, 콜라겐 섬유 형성 과정 중의 프로토피브릴, 서브피브릴, 피브릴에 비해 상기 나노급 분지가 독립 분리되어 동물피혁 섬유 주체에 의착되고, 이는 단위 길이에 존재하는 개수로 볼 때 프로토피브릴, 서브피브릴, 피브릴의 형태 구조와 현저하게 구별된다. 나노급 분지를 갖는 동물피혁 섬유 번들에 있어서, 나노급 분지의 비표면적이 현저하게 증가하여 상기 동물피혁 섬유 번들에 자체의 역할 외에 새로운 기능인 최대 흡착 기능이 생긴다. 상기 흡착 기능의 생성은, 독립 분리되어 동물피혁 섬유 주체에 의착된 나노급 분지를 생성하는 요인이 된다. 동물피혁 섬유 번들은 아미노산 서열에 의해 펩타이드 체인을 형성한 후 펩타이드 체인에 의해 콜라겐 분자를 형성하며, 동물피혁 섬유 번들 내의 이러한 특수 성분은 상기 동물피혁 섬유 번들이 광학 성능적으로 “청색 편이” 현상을 갖게 하므로 자외선에 대한 흡수 능력이 더욱 강하다. 나노급 분지를 갖는 동물피혁 섬유 번들은 자외선에 대한 흡수 능력이 향상되고, 측정한 결과에 의하면 항균효과가 매우 우수하고 멸균율이 95% 이상에 달하여 기존 섬유재료 고유의 항균성능을 월등히 초과했다.
액체 해섬은 액체 해섬 장치의 회전자의 기계적 작용과 회전자의 회전에 의한 수리전단 작용에 의해 피혁 또는 피혁 자투리 내의 동물피혁 섬유 번들을 추출한다. 구체적으로, 액체 해섬 장치의 회전자는 회전과정에서 한편으로 회전자 상의 블레이드가 피혁 또는 피혁 자투리와 작용하여 피혁 또는 피혁 자투리와 회전자 사이에 마찰력 등 작용력이 생기게 하며, 다른 한편으로, 회전자로 인해 강력한 소용돌이가 생겨 회전자 주변에 속도가 빠른 급류 구역을 형성하되 각 구역 액체의 유속이 다르므로 피혁 또는 피혁 자투리가 서로 마찰하여 최종적으로 피혁 섬유 번들을 추출한다.
한편, 콜라겐 분자는 3개의 좌선성 α-체인이 서로 감겨져서 이루어진 트로포 콜라겐의 오른손 복합 나선으로서, 즉 콜라겐 나선이다. 이 콜라겐 나선은 콜라겐의 2급 구조이다. 콜라겐 2급 구조의 높은 안정성은 주로 체인 사이의 수소 결합과 분자내 및 분자간의 체인 사이의 공유 가교에 의해 비롯된 것이며, 지금까지 먼저 확인된 가교 구조는 주로 Schiff염기 가교, β-알돌 가교 및 알돌 히스티딘 가교 등이 있다. 나노급 분지를 갖는 동물피혁 섬유 번들에 있어서, 나노급 분지는 표면 원자수의 증가, 원자 배위(Atomic coordination)의 부족 및 높은 표면 에너지로 인해 이러한 표면 원자가 높은 활성을 가져 극히 불안정하여 다른 원자와 결합하기 매우 쉽다. 체인 사이의 공유 가교 작용에 의해, 나노급 분지는 동물 피혁 섬유 및 기타 나노급 분지와 쉽게 결합하는 동시에 나노급 분지는 동물피혁 섬유 주체에 의착되고, 동물피혁 섬유 주체는 상대적으로 강한 기계적 힘을 동물피혁 섬유 번들에 제공한다. 또한 동물피혁 섬유 주체들 사이, 나노급 분지들 사이, 동물피혁 섬유 주체와 나노급 분지 사이가 쉽게 교직(交織)됨으로써 동물피혁 섬유 번들의 강도 등 역학성능을 향상시켰다.
상기 제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나노급 분지를 갖는 동물피혁 섬유 번들을 포함하고, 나노급 분지를 갖는 동물피혁 섬유 번들이 동물피혁 섬유 주체를 포함하고, 동물피혁 섬유 주체가 가방성 동물피혁 섬유 주체이며, 동물피혁 섬유 주체에 분지 및 나노급 분지가 있으며, 동물피혁 섬유 주체, 분지와 나노급 분지가 상호 교차하고 종방향으로 배열되어 하나로 꼬아서 합쳐진, 나노급 분지를 갖는 동물피혁 섬유 번들을 제공한다.
더 나아가, 나노급 분지는 직경이 200nm이하인 나노급 분지를 포함한다.
더 나아가, 나노급 분지를 갖는 동물피혁 섬유 번들 얀은 나노급 분지를 갖는 동물피혁 섬유 번들 이외의 기타 방직 섬유를 더 포함한다.
나노급 분지를 갖는 동물피혁 섬유 번들 얀은 나노급 분지를 갖는 동물피혁 섬유 번들을 꼬아서 합쳐진 것이며, 동물피혁 섬유 주체, 분지 및 나노급 분지들이 상호 교차 교직되게 하고 종방향으로 배열하여 하나로 꼬이도록 한다. 나노급 분지를 갖는 동물피혁 섬유 번들은 액체 해섬, 오프닝 및 카딩 등 여러 공정을 이용하여 형성된 가방성 섬유 번들로서, 콜라겐 섬유 형성 과정 중의 프로토피브릴, 서브피브릴, 피브릴에 비해 상기 나노급 분지가 독립 분리되어 동물피혁 섬유 주체에 의착되고, 이는 프로토피브릴, 서브피브릴, 피브릴의 형태 및 구조와 현저하게 구별된다. 나노급 분지를 갖는 동물피혁 섬유 번들에 있어서, 나노급 분지의 비표면적이 현저하게 증가하여 상기 동물피혁 섬유에 자체의 역할 외에 새로운 기능인 최대 흡착 기능이 생긴다. 상기 흡착 기능의 생성은 독립 분리되어 동물피혁 섬유 주체에 의착된 나노급 분지를 생성하는 요인이 된다. 동물피혁 섬유 번들은 아미노산 서열에 의해 펩타이드 체인을 형성한 후 펩타이드 체인에 의해 콜라겐 분자를 형성하며, 동물피혁 섬유 번들 내의 이러한 특수 성분은 상기 동물피혁 섬유 번들이 광학 성능적으로 “청색 편이” 현상을 갖게 하므로 자외선에 대한 흡수 능력이 더욱 강하다. 나노급 분지를 갖는 동물피혁 섬유 번들은 자외선에 대한 흡수 능력이 향상되고, 측정 결과에 의하면 항균효과가 매우 우수하고 멸균율이 95% 이상에 달하여 기존 섬유재료 고유의 항균성능을 월등히 초과했다.
액체 해섬은 액체 해섬 장치의 회전자의 기계적 작용과 회전자의 회전에 의한 수리전단 작용에 의해 피혁 또는 피혁 자투리 내의 동물피혁 섬유 번들을 추출한다. 구체적으로, 액체 해섬 장치의 회전자는 회전과정에서 한편으로 회전자 상의 블레이드가 피혁 또는 피혁 자투리와 작용하여 피혁 또는 피혁 자투리와 회전자 사이에 마찰력 등 작용력이 생기게 하며, 다른 한편으로, 회전자로 인해 강력한 소용돌이가 생겨 회전자 주변에 속도가 빠른 급류 구역을 형성하되 각 구역 액체의 유속이 다르므로 피혁 또는 피혁 자투리가 서로 마찰하여 최종적으로 피혁 섬유 번들을 추출한다.
한편, 콜라겐 분자는 3개의 좌선성 α-체인이 서로 감겨져서 이루어진 트로포 콜라겐의 오른손 복합 나선으로서, 즉 콜라겐 나선이며, 이 콜라겐 나선은 콜라겐의 2급 구조이다. 콜라겐 2급 구조의 높은 안정성은 주로 체인 사이의 수소 결합과 분자내 및 분자간의 체인 사이의 공유 가교 결합에 의해 비롯된 것이며, 지금까지 먼저 확인된 가교 구조는 주로 Schiff염기 가교, β-알돌 가교 및 알돌 히스티딘 가교 등이 있다. 나노급 분지를 갖는 동물피혁 섬유 번들에 있어서, 나노급 분지는 표면 원자수의 증가, 원자 배외(Atomic coordination)의 부족 및 높은 표면 에너지로 인해 이러한 표면 원자가 높은 활성을 가져 극히 불안정하여 다른 원자와 결합하기 매우 쉽다. 체인 사이의 공유 가교 작용에 의해, 꼬임 공정을 이용하여 나노급 분지를 갖는 동물피혁 섬유를 하나로 교직시킨 후 나노급 분지는 동물 피혁 섬유 주체, 그 분지 및 기타 나노급 분지와 쉽게 결합하는 동시에 나노급 분지는 동물피혁 섬유 주체에 의착되고, 동물피혁 섬유 주체는 상대적으로 강한 기계적 힘을 동물피혁 섬유 번들에 제공한다. 또한, 동물피혁 섬유 주체들 사이, 나노급 분지들 사이, 동물피혁 섬유 주체와 나노급 분지 사이가 쉽게 교직됨으로써 얀의 강도 등 역학성능을 향상시켰다.
상기 제3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코어 얀을 포함하고 코어 얀의 외부에 나노급 분지를 갖는 동물피혁 섬유 번들이 꼬아져서 형성된 피층이 피복되어 있고, 나노급 분지를 갖는 동물피혁 섬유 번들이 동물피혁 섬유 주체를 포함하고, 동물피혁 섬유 주체가 가방성 동물피혁 섬유 주체이며, 동물피혁 섬유 주체에 분지와 나노급 분지가 있으며, 동물피혁 섬유 주체, 분지와 나노급 분지가 상호 교차하고 종방향으로 배열되어 하나로 꼬아서 합쳐진 나노급 분지를 갖는 동물피혁 섬유 번들 코어 스펀 얀을 제공한다.
더 나아가, 나노급 분지는 직경이 200nm이하인 나노급 분지를 포함한다.
더 나아가, 피층에 나노급 분지를 갖는 동물피혁 섬유 번들 이외의 기타 방직 섬유를 더 포함한다.
더 나아가, 상기 코어 얀은 탄력 코어 얀이다.
나노급 분지를 갖는 동물피혁 섬유 번들 코어 스펀 얀은 나노급 분지를 갖는 동물피혁 섬유 번들을 꼬아서 합치는 동시에 종방향으로 배열하여 피층을 이루어 동물피혁 섬유 주체, 분지 및 나노급 분지가 상호 교차 교직되게 하고, 피층은 코어 얀 외부에 피복되어 있다.
본 발명의 나노급 분지를 갖는 동물피혁 섬유 번들을 카딩할 때, 충분히 카딩할 수록 나노급 분지의 동물피혁 섬유 번들이 더 많이 분열되고, 분지 및 나노급 분지가 더 많아지며; 동물피혁 섬유 주체가 가늘수록 분지도 더 가늘게 된다. 비록 카딩 후 나노급 분지의 동물피혁 섬유 번들의 길이가 짧아지지만 더 많은 분지가 생성되므로 스피닝의 트위스팅 공정을 통해 나노급 분지의 동물피혁 섬유 번들 및 그 분지가 인접된 나노급 분지의 동물피혁 섬유 번들 및 그 분지와 상호 교차 감기고 꼬아서 합쳐지면서 종방향으로 배열된 망상 구조를 형성한다. 분지와 나노급 분지가 많을수록 망상 구조도 더 복잡하게 되고, 나노급 분지의 동물피혁 섬유 번들의 비표면적이 클수록 서로 사이의 마찰력이 더 커지게 되고, 응집력(cohesive force)이 클수록 피층 자체의 인장강도 및 내마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동일한 올 수의 얀은, 나노급 분지의 동물피혁 섬유 번들 및 그 분지의 개수가 증가하여 엉킴 교직점도 많아져 얀의 균제도가 더 좋아지고, 품질 및 성능이 더 우수하게 된다. 이는 나노급 분지의 동물피혁 섬유 번들이라는 천연 독특한 구조적 특징을 충분히 이용하였다. 코어 얀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나노급 분지의 동물피혁 섬유 번들이 짧은 나노급 분지의 동물피혁 섬유 번들로 카딩되더라도 코어 스펀 얀의 인장강도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이 피혁으로부터 동물피혁 섬유 번들을 추출하여 바로 스피닝할 경우 기본적인 인장강도에 미달하는 문제, 파인(fine) 얀을 가공하기 매우 어렵거나 실질적으로 가공할 수 없는 결함을 해결하였다.
나노급 분지를 갖는 동물피혁 섬유 번들은 액체 해섬, 오프닝 및 카딩 등 여러 공정을 이용하여 형성된 가방성 섬유 번들로서, 콜라겐 섬유 형성 과정 중의 프로토피브릴, 서브피브릴, 피브릴에 비해 상기 나노급 분지는 독립 분리하여 존재하므로, 프로토피브릴, 서브피브릴, 피브릴의 형태 및 구조와 현저하게 구별된다. 나노급 분지를 갖는 동물피혁 섬유 번들에 있어서, 나노급 분지의 비표면적이 현저하게 증가하여 상기 동물피혁 섬유에 자체의 역할 외에 새로운 기능인 최대 흡착 기능이 생긴다. 상기 흡착 성능의 생성은, 독립 분리된 나노급 분지를 생성하는 요인이 된다. 동물피혁 섬유 번들은 아미노산 서열에 의해 펩타이드 체인을 형성한 후 펩타이드 체인에 의해 콜라겐 분자를 형성하며, 동물피혁 섬유 번들 중의 이러한 특수 성분은 상기 동물피혁 섬유 번들이 광학 성능적으로 “청색 편이” 현상을 갖게 하므로 자외선에 대한 흡수 능력이 더욱 강하다. 나노급 분지를 갖는 동물피혁 섬유 번들은 자외선에 대한 흡착 능력이 향상되고, 측정 결과에 의하면 항균효과가 매우 우수하고 멸균율이 95% 이상에 달하여 기존 섬유재료 고유의 항균성능을 월등히 초과했다.
액체 해섬은 액체 해섬 장치의 회전자의 기계적 작용과 회전자의 회전에 의한 수리전단 작용에 의해 피혁 또는 피혁 자투리 내의 동물피혁 섬유 번들을 추출한다. 구체적으로, 액체 해섬 장치의 회전자는 회전과정에서 한편으로 회전자 상의 블레이드가 피혁 또는 피혁 자투리와 작용하여 피혁 또는 피혁 자투리와 회전자 사이에 마찰력 등 작용력이 생기게 하며, 다른 한편으로, 회전자로 인해 강력한 소용돌이가 생겨 회전자 주변에 속도가 빠른 급류 구역을 형성하되 각 구역 액체의 유속이 다르므로 피혁 또는 피혁 자투리가 서로 마찰하여 최종적으로 피혁 섬유 번들을 추출한다.
한편, 콜라겐 분자는 3개의 좌선성 α-체인이 서로 감겨져서 이루어진 트로포 콜라겐의 오른손 복합 나선으로서, 즉 콜라겐 나선이다. 이 콜라겐 나선은 콜라겐의 2급 구조이다. 콜라겐 2급 구조의 높은 안정성은 주로 체인 사이의 수소 결합과 분자내 및 분자간의 체인 사이의 공유 가교 결합에 의해 비롯된 것이며, 지금까지 먼저 확인된 가교 구조는 주로 Schiff염기 가교, β-알돌 가교 및 알돌 히스티딘 가교 등이 있다. 나노급 분지를 갖는 동물피혁 섬유 번들에 있어서, 나노급 분지는 표면 원자수의 증가, 원자 배외(Atomic coordination)의 부족 및 높은 표면 에너지로 인해 이러한 표면 원자가 높은 활성을 가져 극히 불안정하여 다른 원자와 결합하기 매우 쉽다. 체인 사이의 공유 가교 작용에 의해, 꼬임 공정을 이용하여 나노급 분지를 갖는 동물피혁 섬유를 하나로 교직시켜 피층을 형성한 후 나노급 분지는 동물 피혁 섬유, 그 분지 및 기타 나노급 분지와 쉽게 결합하는 동시에 나노급 분지는 동물피혁 섬유 주체에 의착되고, 동물피혁 섬유 주체는 상대적으로 강한 기계적 힘을 동물피혁 섬유 번들에 제공한다. 또한, 동물피혁 섬유 주체들 사이, 나노급 분지들 사이, 동물피혁 섬유 주체와 나노급 분지 사이가 쉽게 교직됨으로써 얀의 강도 등 역학성능을 향상시켰다.
상기 제4 목적을 달성하는 첫번째 기술수단은 상기 나노급 분지를 갖는 동물피혁 섬유 번들을 포함하는, 나노급 분지를 갖는 동물피혁 섬유 번들 제품이다.
더 나아가, 나노급 분지를 갖는 동물피혁 섬유 번들 이외의 기타 방직 섬유를 포함한다.
상기 제4 목적의 두번째 기술수단은 상기 나노급 분지를 갖는 동물피혁 섬유 번들 얀을 포함하는, 나노급 분지를 갖는 동물피혁 섬유 번들 제품이다.
상기 제4 목적의 세번째 기술수단은 상기 나노급 분지를 갖는 동물피혁 섬유 번들 코어 스펀 얀을 포함하는, 나노급 분지를 갖는 동물피혁 섬유 번들 제품이다.
도 1은 나노급 분지를 갖는 동물피혁 섬유 번들이다.
도 2는 카딩 전 동물피혁 섬유 번들의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도 3은 카딩 후 동물피혁 섬유 번들에 나노급 분지가 있는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도 4는 동물피혁 섬유 번들에 나노급 분지가 있는 다른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도 5는 나노급 분지를 갖는 동물피혁 섬유 번들의 세번째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도 6은 나노급 분지를 갖는 동물피혁 섬유 번들 얀의 개략도이다.
도 7은 나노급 분지를 갖는 동물피혁 섬유 번들 코어 스펀 얀의 개략도이다.
도 8은 나노급 분지를 갖는 동물피혁 섬유 번들 코어 스펀 얀에서 나노급 분지를 갖는 동물피혁 섬유 번들을 코어 얀으로부터 박리한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 및 구체적인 실시방식을 결합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1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노급 분지를 갖는 동물피혁 섬유 번들은 동물피혁 섬유 주체(100)를 포함하고, 동물피혁 섬유 주체는 가방성 동물피혁 섬유 주체이고 동물피혁 섬유 주체에 분지(101) 및 나노급 분지(102)가 있다. 나노급 분지는 직경이 200nm이하인 나노급 분지이다.
나노급 분지를 갖는 동물피혁 섬유 번들은 동물피혁에 대해 액체 해섬, 오프닝 및 카딩 등 여러 공정을 수행하여 얻은 나노급 분지를 갖는 가방성 섬유 번들이며 콜라겐 섬유 형성과정 중의 프로토피브릴, 서브피브릴, 피브릴에 비해 상기 나노급 분지가 독립 분리되어 동물피혁 섬유 주체에 의착되고, 프로토피브릴, 서브피브릴, 피브릴의 형태 및 구조와 현저하게 구별된다. 나노급 분지를 갖는 동물피혁 섬유 번들에 있어서, 나노급 분지의 비표면적이 현저하게 증가하여 상기 동물피혁 섬유 번들에 그 자체의 역할 외에 새로운 기능인 최대 흡착 기능이 생긴다. 상기 흡착 기능의 생성은, 독립 분리되어 동물피혁 섬유 주체에 의착된 나노급 분지를 생성하는 요인이 된다. 동물피혁 섬유 번들은 아미노산 서열에 의해 펩타이드 체인을 형성한 후 펩타이드 체인에 의해 콜라겐 분자를 형성하며, 동물피혁 섬유 번들 내의 이러한 특수 성분은 상기 동물피혁 섬유 번들이 광학 성능적으로 “청색 편이” 현상을 갖게 하므로 자외선에 대한 흡수 능력이 더욱 강하다. 나노급 분지를 갖는 동물피혁 섬유 번들은 자외선에 대한 흡수 능력이 향상되고, 측정한 결과에 의하면, 항균효과가 매우 우수하고 멸균율이 95% 이상에 달하여 기존 섬유재료 고유의 항균성능을 월등히 초과했다.
액체 해섬은 액체 해섬 장치의 회전자의 기계적 작용과 회전자의 회전에 의한 수리전단 작용에 의해 피혁 또는 피혁 자투리 내의 동물피혁 섬유 번들을 추출한다. 구체적으로, 액체 해섬 장치의 회전자는 회전과정에서 한편으로 회전자 상의 블레이드가 피혁 또는 피혁 자투리와 작용하여 피혁 또는 피혁 자투리와 회전자 사이에 마찰력 등 작용력이 생기게 하며, 다른 한편으로, 회전자로 인해 강력한 소용돌이가 생겨 회전자 주변에 속도가 빠른 급류 구역을 형성하되 각 구역 액체의 유속이 다르므로 피혁 또는 피혁 자투리가 서로 마찰하여 최종적으로 피혁 섬유 번들을 추출한다.
도 2로부터 카딩 전에 동물 피혁 섬유가 액체 해섬 및 오픈된 후 굵은 섬유 번들 구조를 기본적으로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딩 후에 나노급의 동물 피혁 섬유 분지가 나타났으며 전자 현미경 사진으로부터 도 3에 195.3nm의 나노급 분지, 도 4에 139.6nm의 나노급 분지, 도 5에 117.7nm의 나노급 분지가 관찰되었다.
한편, 콜라겐 분자는 3개의 좌선성 α-체인이 서로 감겨져서 이루어진 트로포 콜라겐의 오른손 복합 나선으로서, 즉 콜라겐 나선이다. 이 콜라겐 나선은 콜라겐의 2급 구조이다. 콜라겐 2급 구조의 높은 안정성은 주로 체인 사이의 수소 결합과 분자내 및 분자간의 체인 사이의 공유 가교에 의해 비롯된 것이며, 지금까지 먼저 확인된 가교 구조는 주로 Schiff염기 가교, β-알돌 가교 및 알돌 히스티딘 가교 등이 있다. 나노급 분지를 갖는 동물피혁 섬유 번들에 있어서, 나노급 분지는 표면 원자수의 증가, 원자 배위(Atomic coordination)의 부족 및 높은 표면 에너지로 인해 이러한 표면 원자가 높은 활성을 가져 극히 불안정하여 다른 원자와 결합하기 매우 쉽다. 체인 사이의 공유 가교 작용에 의해, 나노급 분지는 동물 피혁 섬유 및 기타 나노급 분지와 쉽게 결합하는 동시에 나노급 분지는 동물피혁 섬유 주체에 의착되고, 동물피혁 섬유 주체는 상대적으로 강한 계기적 힘을 동물피혁 섬유 번들에 제공한다. 게다가 동물피혁 섬유 주체 사이, 나노급 분지 사이, 동물피혁 섬유 주체와 나노급 분지 사이가 쉽게 교직됨으로써 동물피혁 섬유 번들의 강도 등 역학성능을 향상시켰다.
실시예2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노급 분지를 갖는 동물피혁 섬유 번들 얀은 나노급 분지를 갖는 동물피혁 섬유 번들(3)을 포함하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노급 분지를 갖는 동물피혁 섬유 번들(3)은 동물피혁 섬유 주체(100)를 포함하고, 동물피혁 섬유 주체는 가방성 동물피혁 섬유 주체이며, 동물피혁 섬유 주체(100)에 분지(101) 및 나노급 분지(102)가 있으며, 동물피혁 섬유 주체(100), 분지(101) 및 나노급 분지(102)는 상호 교차하고 종방향으로 배열되어 하나로 꼬아서 합쳐진다. 나노급 분지는 직경이 200nm이하인 나노급 분지를 포함한다. 물론, 나노급 분지를 갖는 동물피혁 섬유 번들 얀은 나노급 분지를 갖는 동물피혁 섬유 번들 이외의 기타 방직 섬유를 추가할 수도 있다.
나노급 분지를 갖는 동물피혁 섬유 번들 얀은 나노급 분지를 갖는 동물피혁 섬유 번들을 꼬아져서 합쳐진 것이며, 동물피혁 섬유 주체, 분지 및 나노급 분지가 상호 교차 교직되게 하고 종방향으로 배열하여 하나로 꼬이도록 한다. 나노급 분지를 갖는 동물피혁 섬유 번들은 액체 해섬, 오프닝 및 카딩 등 여러 공정을 이용하여 형성된 가방성 섬유 번들로서, 콜라겐 섬유 형성 과정 중의 프로토피브릴, 서브피브릴, 피브릴에 비해 상기 나노급 분지가 독립 분리되어 동물피혁 섬유 주체에 의착되고, 이는 프로토피브릴, 서브피브릴, 피브릴의 형태 및 구조와 현저하게 구별된다. 나노급 분지를 갖는 동물피혁 섬유 번들에 있어서, 나노급 분지의 비표면적이 현저하게 증가하여 상기 동물피혁 섬유에 자체의 역할 외에 새로운 기능인 최대 흡착 성능이 생긴다. 상기 흡착 기능의 생성은 독립 분리되어 동물피혁 섬유 주체에 의착된 나노급 분지를 생성하는 요인이 된다. 동물피혁 섬유 번들은 아미노산 서열에 의해 펩타이드 체인을 형성한 후 펩타이드 체인에 의해 콜라겐 분자를 형성하며 동물피혁 섬유 번들 내의 이러한 특수 성분은 상기 동물피혁 섬유 번들이 광학 성능적으로 “청색 편이” 현상을 갖게 하므로 자외선에 대한 흡수 능력이 더욱 강하다. 나노급 분지를 갖는 동물피혁 섬유 번들은 자외선에 대한 흡수 능력이 향상되고 측정 결과에 의하면, 항균효과가 매우 우수하고 멸균율이 95% 이상에 달하여 기존 섬유재료 고유의 항균성능을 월등히 초과했다.
액체 해섬은 액체 해섬 장치의 회전자의 기계적 작용과 회전자의 회전에 의한 수리전단 작용에 의해 피혁 또는 피혁 자투리 내의 동물피혁 섬유 번들을 추출한다. 구체적으로, 액체 해섬 장치의 회전자는 회전과정에서 한편으로 회전자 상의 블레이드가 피혁 또는 피혁 자투리와 작용하여 피혁 또는 피혁 자투리와 회전자 사이에 마찰력 등 작용력이 생기게 하며, 다른 한편으로, 회전자로 인해 강력한 소용돌이가 생겨 회전자 주변에 속도가 빠른 급류 구역을 형성하되 각 구역 액체의 유속이 다르므로 피혁 또는 피혁 자투리가 서로 마찰하여 최종적으로 피혁 섬유 번들을 추출한다.
한편, 콜라겐 분자는 3개의 좌선성 α-체인이 서로 감겨져서 이루어진 트로포 콜라겐의 오른손 복합 나선으로서, 즉 콜라겐 나선이며, 이 콜라겐 나선은 콜라겐의 2급 구조이다. 콜라겐 2급 구조의 높은 안정성은 주로 체인 사이의 수소 결합과 분자내 및 분자간의 체인 사이의 공유 가교 결합에 의해 비롯된 것이며, 지금까지 먼저 확인된 가교 구조는 주로 Schiff염기 가교, β-알돌 가교 및 알돌 히스티딘 가교 등이 있다. 나노급 분지를 갖는 동물피혁 섬유 번들에 있어서, 나노급 분지는 표면 원자수의 증가, 원자 배위(Atomic coordination)의 부족 및 높은 표면 에너지로 인해 이러한 표면 원자가 높은 활성을 가져 극히 불안정하여 다른 원자와 결합하기 매우 쉽다. 체인 사이의 공유 가교 작용에 의해, 꼬임 공정을 이용하여 나노급 분지를 갖는 동물피혁 섬유를 하나로 교직시킨 후 나노급 분지는 동물 피혁 섬유 주체, 그 분지 및 기타 나노급 분지와 쉽게 결합하는 동시에 나노급 분지는 동물피혁 섬유 주체에 의착되고 동물피혁 섬유 주체는 상대적으로 강한 기계적 힘을 동물피혁 섬유 번들에 제공한다. 게다가 동물피혁 섬유 주체들 사이, 나노급 분지들 사이, 동물피혁 섬유 주체와 나노급 분지 사이가 쉽게 교직됨으로써 얀의 강도 등 역학성능을 향상시켰다.
실시예3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노급 분지를 갖는 동물피혁 섬유 번들 코어 스펀 얀은 코어 얀(21)을 포함하고, 코어 얀(21)의 외부에는 나노급 분지를 갖는 동물피혁 섬유 번들(3)이 꼬아져서 형성된 피층이 피복되어 있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노급 분지를 갖는 동물피혁 섬유 번들은 동물피혁 섬유 주체(100)를 포함하고, 동물피혁 섬유 주체(100)는 가방성 동물피혁 섬유 주체이며, 동물피혁 섬유 주체에 분지(101) 및 나노급 분지(102)가 있으며, 동물피혁 섬유 주체(100), 분지(101) 및 나노급 분지(102)는 상호 교차하고 종방향으로 배열되어 하나로 꼬아서 합쳐진다. 본 실시예에서 코어 얀은 탄력 코어 얀일 수 있으며, 이렇게 제작된 코어 스펀 얀은 탄력을 가진다. 나노급 분지는 직경이 200nm이하인 나노급 분지이다. 물론, 피층에 나노급 분지를 갖는 동물피혁 섬유 번들 이외의 기타 방직 섬유를 추가할 수도 있다.
나노급 분지를 갖는 동물피혁 섬유 번들 코어 스펀 얀은, 나노급 분지를 갖는 동물피혁 섬유 번들을 꼬아서 피층을 형성하여 동물피혁 섬유 주체, 분지 및 나노급 분지를 상호 교차 교직시켜 종방향으로 배열하고, 피층은 코어 얀 외부에 피복되어 있다.
본 발명의 나노급 분지를 갖는 동물피혁 섬유 번들을 카딩할 때, 충분히 카딩할수록 나노급 분지의 동물피혁 섬유 번들이 더 많이 분열되고, 분지 및 나노급 분지가 더 많아지며; 동물피혁 섬유 주체가 가늘수록 분지도 더 가늘게 된다. 비록 카딩 후 나노급 분지의 동물피혁 섬유 번들의 길이가 짧아지지만 더 많은 분지가 생성되므로 스피닝의 트위스팅 공정을 통해 나노급 분지의 동물피혁 섬유 번들 및 그 분지가 인접된 나노급 분지의 동물피혁 섬유 번들 및 그 분지와 상호 교차 감기고 꼬아서 합쳐지면서 망상 구조를 형성한다. 분지와 나노급 분지가 많을수록 망상 구조도 더 복잡하게 되고, 나노급 분지의 동물피혁 섬유 번들의 비표면적이 클수록 서로 사이의 마찰력이 더 커지게 되고, 응집력(cohesive force)이 클수록 피층 자체의 인장강도 및 내마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동일한 올 수의 얀은, 나노급 분지의 동물피혁 섬유 번들 및 그 분지의 개수가 증가하여 교직점도 많아져 얀의 균제도가 더 좋아지고, 품질 및 성능이 더 우수하게 된다. 나노급 분지의 동물피혁 섬유 번들이라는 천연 독특한 구조적 특징을 충분히 이용하였다. 코어 얀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나노급 분지의 동물피혁 섬유 번들이 짧은 나노급 분지의 동물피혁 섬유 번들로 카딩되더라도 코어 스펀 얀의 인장강도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이 피혁으로부터 동물피혁 섬유 번들을 추출하여 바로 스피닝할 경우 기본적인 인장강도에 미달하는 문제, 파인(fine) 얀을 가공하기 매우 어렵거나 실질적으로 가공할 수 없는 결함을 해결하였다.
나노급 분지를 갖는 동물피혁 섬유 번들은 액체 해섬, 오프닝 및 카딩 등 여러 공정을 이용하여 형성된 가방성 섬유 번들로서, 콜라겐 섬유 형성 과정 중의 프로토피브릴, 서브피브릴, 피브릴에 비해 상기 나노급 분지는 독립 분리되어 동물피혁 섬유 주체에 의착되어 있어 프로토피브릴, 서브피브릴, 피브릴의 형태 및 구조와 현저하게 구별된다. 나노급 분지를 갖는 동물피혁 섬유 번들에 있어서, 나노급 분지의 비표면적이 현저하게 증가하여 상기 동물피혁 섬유에 자체의 역할 외에 새로운 기능인 최대 흡착 성능이 생긴다. 상기 흡착 성능의 생성은, 독립 분리되어 동물피혁 섬유 주체에 의착된 나노급 분지를 생성하는 요인이 된다. 동물피혁 섬유 번들은 아미노산 서열에 의해 펩타이드 체인을 형성한 후 펩타이드 체인에 의해 콜라겐 분자를 형성하며 동물피혁 섬유 번들 중의 이러한 특수 성분은 상기 동물피혁 섬유 번들이 광학 성능적으로 “청색 편이” 현상을 갖게 하므로 자외선에 대한 흡수 능력이 더욱 강하다. 나노급 분지를 갖는 동물피혁 섬유 번들은 자외선에 대한 흡수 능력이 향상되고, 측정 결과에 의하면 항균효과가 매우 우수하고 멸균율이 95% 이상에 달하여 기존 섬유재료 고유의 항균성능을 월등히 초과했다.
액체 해섬은 액체 해섬 장치의 회전자의 기계적 작용과 회전자의 회전에 의한 수리전단 작용에 의해 피혁 또는 피혁 자투리 내의 동물피혁 섬유 번들을 추출한다. 구체적으로, 액체 해섬 장치의 회전자는 회전과정에서 한편으로 회전자 상의 블레이드가 피혁 또는 피혁 자투리와 작용하여 피혁 또는 피혁 자투리와 회전자 사이에 마찰력 등 작용력이 생기게 하며, 다른 한편으로, 회전자로 인해 강력한 소용돌이가 생겨 회전자 주변에 속도가 빠른 급류 구역을 형성하되 각 구역 액체의 유속이 다르므로 피혁 또는 피혁 자투리가 서로 마찰하여 최종적으로 피혁 섬유 번들을 추출한다.
한편, 콜라겐 분자는 3개의 좌선성 α-체인이 서로 감겨져서 이루어진 트로포 콜라겐의 오른손 복합 나선으로서, 즉 콜라겐 나선이다. 이 콜라겐 나선은 콜라겐의 2급 구조이다. 콜라겐 2급 구조의 높은 안정성은 주로 체인 사이의 수소 결합과 분자내 및 분자간의 체인 사이의 공유 가교 결합에 의해 비롯된 것이며, 지금까지 먼저 확인된 가교 구조는 주로 Schiff염기 가교, β-알돌 가교 및 알돌 히스티딘 가교 등이 있다. 나노급 분지를 갖는 동물피혁 섬유 번들에 있어서, 나노급 분지는 표면 원자수의 증가, 원자 배위(Atomic coordination)의 부족 및 높은 표면 에너지로 인해 이러한 표면 원자가 높은 활성을 가져 극히 불안정하여 다른 원자와 결합하기 매우 쉽다. 체인 사이의 공유 가교 작용에 의해, 꼬임 공정을 이용하여 나노급 분지를 갖는 동물피혁 섬유를 하나로 교직시킨 후 나노급 분지는 동물 피혁 섬유 주체, 그 분지 및 기타 나노급 분지와 쉽게 결합하는 동시에 나노급 분지는 동물피혁 섬유 주체에 의착되고 동물피혁 섬유 주체는 상대적으로 강한 기계적 힘을 동물피혁 섬유 번들에 제공한다. 또한, 동물피혁 섬유 주체들 사이, 나노급 분지들 사이, 동물피혁 섬유 주체와 나노급 분지 사이가 쉽게 교직됨으로써 얀의 강도 등 역학성능을 향상시켰다.
실시예4
실시예1에 따른 상기 나노급 분지를 갖는 동물피혁 섬유 번들로 제조된 나노급 분지를 갖는 동물피혁 섬유 번들 제품이다.
실시예5
실시예2에 따른 상기 나노급 분지를 갖는 동물피혁 섬유 번들 얀으로 제조된 나노급 분지를 갖는 동물피혁 섬유 번들 제품이다.
실시예6
실시예3에 따른 나노급 분지를 갖는 동물피혁 섬유 번들 코어 스펀 얀으로 제조된 나노급 분지를 갖는 동물피혁 섬유 번들 제품이다.
위 제품은 의류, 모자, 신발, 양말, 장갑 등 착용품일 수 있으며 침대용품, 장식재료 등이 될 수도 있다.
아래는 Guangdong Textile Testing and Measuring Technology Co.,Ltd가 출원인의 의뢰를 받고 2019년 4월 8일에 작성한 항균 측정 보고서이다. 이 보고서는 2019년 4월 18일에 발부되었고, 코드번호(NO.)가 19F02538이며, 위조방지 번호: VBTU-IN1L-S8이며, 보고서 위조 방지 조사 사이트는 report.gztzs.com이다. 측정을 통해 보고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검사 보고서에 의하면 나노급 분지를 갖는 동물피혁 섬유 번들, 얀 등의 항균효과가 매우 우수하다.

Claims (16)

  1. 나노급 분지를 갖는 동물피혁 섬유 번들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동물피혁에 대해 액체 해섬, 오프닝 및 카딩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나노급 분지를 갖는 동물피혁 섬유 번들은 가방성 동물피혁 섬유 주체를 포함하며,
    상기 동물피혁 섬유 주체는 독립 분리되어 동물피혁 섬유 주체에 연결된 나노급 분지를 가지고, 나노급 분지는 직경이 200nm이하인 나노급 분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급 분지를 갖는 동물피혁 섬유 번들의 제조방법.
  2. 삭제
  3. 청구항 1에 따라 제조된 나노급 분지를 갖는 동물피혁 섬유 번들을 포함하고, 나노급 분지를 갖는 동물피혁 섬유 번들은 동물피혁 섬유 주체를 포함하고, 동물피혁 섬유 주체에 분지 및 독립 분리되어 동물피혁 섬유 주체에 연결된 나노급 분지가 있으며, 동물피혁 섬유 주체, 분지와 나노급 분지는 상호 교차하고 종방향으로 배열되어 하나로 꼬아서 합쳐진 것이고, 나노급 분지는 직경이 200nm이하인 나노급 분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급 분지를 갖는 동물피혁 섬유 번들 얀.
  4. 청구항 3에 있어서,
    동물피혁 섬유 주체는 가방성 동물피혁 섬유 주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급 분지를 갖는 동물피혁 섬유 번들 얀..
  5. 청구항 3에 있어서,
    나노급 분지를 갖는 동물피혁 섬유 번들 얀은, 나노급 분지를 갖는 동물피혁 섬유 번들 이외의 기타 방직 섬유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급 분지를 갖는 동물피혁 섬유 번들 얀.
  6. 코어 얀을 포함하고 나노급 분지를 갖는 동물피혁 섬유 번들 코어 스펀 얀에 있어서,
    코어 얀의 외부에는 청구항 1에 따라 제조된 나노급 분지를 갖는 동물피혁 섬유 번들이 꼬아져서 형성된 피층이 피복되어 있고, 나노급 분지를 갖는 동물피혁 섬유 번들은 동물피혁 섬유 주체를 포함하고, 동물피혁 섬유 주체에 분지 및 독립 분리되어 동물피혁 섬유 주체에 연결된 나노급 분지가 있으며, 동물피혁 섬유 주체, 분지와 나노급 분지는 상호 교차하고 종방향으로 배열되어 하나로 꼬아서 합쳐진 것이고, 나노급 분지는 직경이 200nm이하인 나노급 분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급 분지를 갖는 동물피혁 섬유 번들 코어 스펀 얀.
  7. 청구항 6에 있어서,
    동물피혁 섬유 주체는 가방성 동물피혁 섬유 주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급 분지를 갖는 동물피혁 섬유 번들 코어 스펀 얀.
  8. 청구항 6에 있어서,
    피층에는 나노급 분지를 갖는 동물피혁 섬유 번들 이외의 기타 방직 섬유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급 분지를 갖는 동물피혁 섬유 번들 코어 스펀 얀.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코어 얀은 탄력 코어 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급 분지를 갖는 동물피혁 섬유 번들 코어 스펀 얀.
  10. 청구항 1에 따라 제조된 나노급 분지를 갖는 동물피혁 섬유 번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급 분지를 갖는 동물피혁 섬유 번들 제품.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나노급 분지를 갖는 동물피혁 섬유 번들 이외의 기타 방직 섬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급 분지를 갖는 동물피혁 섬유 번들 제품.
  12.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나노급 분지를 갖는 동물피혁 섬유 번들 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급 분지를 갖는 동물피혁 섬유 번들 제품.
  13. 청구항 6 내지 청구항 9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나노급 분지를 갖는 동물피혁 섬유 번들 코어 스펀 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급 분지를 갖는 동물피혁 섬유 번들 제품.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KR1020217010734A 2019-05-27 2020-05-29 나노급 분지를 갖는 동물피혁 섬유 번들, 얀, 코어 스펀 얀 및 제품 KR1026510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0446876 2019-05-27
CN202010441933.X 2020-05-22
CN202010441933.XA CN111455516A (zh) 2019-05-27 2020-05-22 具有纳米级分支的动物皮革纤维束、纱线、包芯纱及制品
PCT/CN2020/093506 WO2020239113A1 (zh) 2019-05-27 2020-05-29 具有纳米级分支的动物皮革纤维束、纱线、包芯纱及制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5120A KR20210145120A (ko) 2021-12-01
KR102651000B1 true KR102651000B1 (ko) 2024-03-25

Family

ID=71677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0734A KR102651000B1 (ko) 2019-05-27 2020-05-29 나노급 분지를 갖는 동물피혁 섬유 번들, 얀, 코어 스펀 얀 및 제품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1613828B2 (ko)
EP (1) EP3819412B1 (ko)
JP (1) JP2022500572A (ko)
KR (1) KR102651000B1 (ko)
CN (5) CN113106592B (ko)
AU (2) AU2020282482A1 (ko)
BR (1) BR112021023876A2 (ko)
EA (1) EA202190223A1 (ko)
SG (1) SG11202113096YA (ko)
WO (1) WO202023911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06592B (zh) * 2019-05-27 2021-12-07 广东五源新材料科技集团有限公司 具有纳米级分支的动物皮革纤维束、纱线、包芯纱及制品
CN112210882B (zh) * 2020-09-04 2022-08-12 广东五源新材料科技集团有限公司 基于动物皮革纤维束缠绕织物层的基布匀整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701881Y (zh) * 2004-05-04 2005-05-25 张立文 动物皮或皮革纤维束纱线
KR100680887B1 (ko) 2006-05-25 2007-02-08 김수복 신축성을 가진 샤넬 사
CN101235579A (zh) 2007-01-31 2008-08-06 张立文 一种水刺布及其加工方法
CN106592042A (zh) * 2016-04-07 2017-04-26 张立文 一种以胶原纤维束作为皮层的包芯纱及其加工方法
WO2020073602A1 (zh) 2018-10-09 2020-04-16 广州五源新材料有限公司 一种胶原纤维束形成网状结构的新型织物及全新皮革产品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44606A (ja) * 1983-02-01 1984-08-18 Kazuo Kawasumi 鞣されているコラーゲン繊維の製造方法
DK0388854T3 (da) * 1989-03-23 1995-02-06 Daicel Chem Plade af collagenfibre
CN1105795C (zh) 1998-06-11 2003-04-16 清水庆彦 胶原材料及其制造方法
JP2003155349A (ja) * 2001-11-19 2003-05-27 Seibutsu Kankyo System Kogaku Kenkyusho:Kk 天然有機繊維からのナノ・メーター単位の超微細化繊維
AU2003299954B2 (en) * 2002-10-04 2009-08-13 Organogenesis, Inc. Sealants for skin and other tissues
US20050048274A1 (en) * 2003-08-26 2005-03-03 Rabolt John F. Production of nanowebs by an electrostatic spinning apparatus and method
CN1263908C (zh) * 2004-04-10 2006-07-12 张立文 动物皮革胶原纤维纱线及其生产方法
US20060005735A1 (en) 2004-07-07 2006-01-12 Industrial Design Laboratories Inc. Electromagnetic moving toy system
CN1766188A (zh) * 2004-10-29 2006-05-03 张立文 纺纱用纤维条及其加工方法
CN1779002B (zh) * 2004-11-20 2010-04-07 张立文 胶原纤维还原革基布及其加工方法
CN2787691Y (zh) * 2005-03-28 2006-06-14 常熟市新力无纺设备有限公司 一种皮革纤维分离机
CN100545329C (zh) * 2006-04-30 2009-09-30 张立文 一种液体开松机
JP2008002037A (ja) * 2006-06-26 2008-01-10 Kuraray Co Ltd エチレン−ビニルアルコール系共重合体ナノ繊維を含む繊維状構造物
CN101050602A (zh) * 2007-02-03 2007-10-10 张立文 一种胶原纤维制造的纸及其加工方法
US20100075143A1 (en) 2007-03-07 2010-03-25 Toray Industries, Inc. Fiber structure and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JP2009150005A (ja) * 2007-12-19 2009-07-09 Kuraray Co Ltd 繊維状構造物およびその用途ならびに製造方法
CN102076280B (zh) * 2008-06-24 2014-08-27 生物活性外科公司 掺入有干细胞或其它生物活性物质的外科缝合线
CN101736478A (zh) 2008-11-10 2010-06-16 丁晨妍 一种复合纤维生成的织物及制法
CN101597865A (zh) * 2009-07-05 2009-12-09 韩仕银 一种真皮纤维革及其制造工艺
US20120295505A1 (en) * 2010-01-16 2012-11-22 Zhejiang Hongzhan New Materials Co., Ltd. Reducing leather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CN106591982B (zh) * 2010-09-23 2020-10-27 英威达纺织(英国)有限公司 阻燃性纤维、纱线和由其制造的织物
US20130012694A1 (en) * 2011-07-05 2013-01-10 Nanjingjinsirui Science & Technology Biology Corp. Monumental adornment
TWM444383U (zh) * 2012-06-27 2013-01-01 Hong Yan 具有膠原蛋白分子的紡織物件
CN104032423B (zh) 2014-06-20 2018-04-06 东华大学 一种静电纺纳米纤维包芯纱的装置及其应用
CN104894695B (zh) * 2015-05-07 2016-05-25 徐琦 可直接纺纱用胶原纤维的制备方法及真皮纤维革
WO2017053433A1 (en) 2015-09-21 2017-03-30 Modern Meadow, Inc. Fiber reinforced tissue composites
US10519285B2 (en) * 2016-02-15 2019-12-31 Modern Meadow, Inc. Method for biofabricating composite material
CN206337353U (zh) * 2016-04-07 2017-07-18 张立文 一种以胶原纤维束作为皮层的包芯纱及制条梳理机
CN106012295A (zh) * 2016-08-03 2016-10-12 江苏盛纺纳米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纳米纤维热风亲水非织造材料及制备方法
CN107059142B (zh) * 2017-04-01 2018-02-13 顾勇杰 一种超长牛皮胶原纤维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2511304B1 (ko) * 2017-07-10 2023-03-17 주식회사 아모라이프사이언스 세포배양 지지체용 혼섬사 제조방법, 이를 통해 구현된 세포배양 지지체용 혼섬사 및 이를 포함하는 원단
CN108251905B (zh) * 2018-01-19 2019-05-28 嘉兴奥克兰特种牛皮科技有限公司 牛皮胶原纤维的制备方法及其制得的牛皮胶原纤维和应用
CN109098004A (zh) * 2018-11-01 2018-12-28 广州五源新材料有限公司 基于人造粒面层形成的皮革材料、人造粒面层及加工方法
CN213804142U (zh) 2019-05-27 2021-07-27 广东五源新材料科技集团有限公司 具有纳米级分支的动物皮革纤维束包缠纱、面料及制品
CN113106592B (zh) * 2019-05-27 2021-12-07 广东五源新材料科技集团有限公司 具有纳米级分支的动物皮革纤维束、纱线、包芯纱及制品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701881Y (zh) * 2004-05-04 2005-05-25 张立文 动物皮或皮革纤维束纱线
KR100680887B1 (ko) 2006-05-25 2007-02-08 김수복 신축성을 가진 샤넬 사
CN101235579A (zh) 2007-01-31 2008-08-06 张立文 一种水刺布及其加工方法
CN106592042A (zh) * 2016-04-07 2017-04-26 张立文 一种以胶原纤维束作为皮层的包芯纱及其加工方法
WO2020073602A1 (zh) 2018-10-09 2020-04-16 广州五源新材料有限公司 一种胶原纤维束形成网状结构的新型织物及全新皮革产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455516A (zh) 2020-07-28
CN213013243U (zh) 2021-04-20
SG11202113096YA (en) 2021-12-30
CN113106594A (zh) 2021-07-13
WO2020239113A1 (zh) 2020-12-03
JP2022500572A (ja) 2022-01-04
EP3819412A1 (en) 2021-05-12
CN113106592A (zh) 2021-07-13
BR112021023876A2 (pt) 2022-01-18
AU2020282482A1 (en) 2021-11-25
CN114427134A (zh) 2022-05-03
CN113106594B (zh) 2022-03-25
CN114427134B (zh) 2023-10-31
US20210324546A1 (en) 2021-10-21
EA202190223A1 (ru) 2021-11-17
EP3819412A4 (en) 2021-10-20
EP3819412B1 (en) 2024-03-20
CN113106592B (zh) 2021-12-07
KR20210145120A (ko) 2021-12-01
AU2023222857A1 (en) 2023-09-14
US11613828B2 (en) 2023-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83665C2 (ru) Пряжа из коллагенового волокна животной кожи и способ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ES2966981T3 (es) Filamento e hilo producidos en base a una proteína natural
KR102651000B1 (ko) 나노급 분지를 갖는 동물피혁 섬유 번들, 얀, 코어 스펀 얀 및 제품
CN113330057A (zh) 蛋白质涂覆的材料
CN213804142U (zh) 具有纳米级分支的动物皮革纤维束包缠纱、面料及制品
CN104894695A (zh) 一种可直接纺纱用胶原纤维及由其制备的真皮纤维革
CN2777005Y (zh) 皮革纤维基布
Ahmed et al. Introduction to natural fibres and textiles
CN1779002B (zh) 胶原纤维还原革基布及其加工方法
CN213013330U (zh) 一种由具有纳米级分支的动物皮革纤维束形成的热熔棉
EA042458B1 (ru) Пучок волокон кожи животного, пряжа, армированная пряжа и изделие с наноответвлениями
TR2021018632T2 (tr) Hayvansal deri̇ li̇f demetleri̇, i̇pli̇kler, çeki̇rdekli̇ eğri̇lmi̇ş i̇pli̇kler ve nano ölçekli̇ dallara sahi̇p ürünler
Skyba et al. A new modern theoretical view of the structural model of the structure of natural leather
CN207619583U (zh) 一种生物质喷气涡流混纺纱
RU2113568C1 (ru) Мех на трикотажной основе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Shukhratov et al. The choice of raw materials for the production of bicomponent yarn
CA1161209A (en) Method of making collagen fibers for surgical u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