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0889B1 - 침구류용 진공 압축 포장장치 - Google Patents

침구류용 진공 압축 포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0889B1
KR102650889B1 KR1020230156981A KR20230156981A KR102650889B1 KR 102650889 B1 KR102650889 B1 KR 102650889B1 KR 1020230156981 A KR1020230156981 A KR 1020230156981A KR 20230156981 A KR20230156981 A KR 20230156981A KR 102650889 B1 KR102650889 B1 KR 1026508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bedding
compression
work tabl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569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호성
Original Assignee
(주)대흥돌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흥돌핀 filed Critical (주)대흥돌핀
Priority to KR10202301569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08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08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08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1/00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der special atmospheric or gaseous conditions; Adding propellants to aerosol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10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 B65B51/14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by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members
    • B65B51/146Closing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3/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 B65B63/02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for compressing or compacting articles or materials prior to wrapping or insertion in containers or recepta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uxiliary Devices For And Details Of Packaging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침구류용 진공 압축 포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포장지에 내용물이 담긴 압축 대상물이 안착되는 작업대(101)가 형성된 본체(10); 상기 작업대(101) 상측에 설치되어 수직으로 승강하는 가압판(201)으로 압축 대상물을 가압하여 압축하는 가압부(20); 상기 본체(10)와 가압부(20)의 전방에 설치되어 가압부(20)에 의한 압축 과정에서 내부 공기가 배출된 포장지의 개구부를 히팅수단(303a)을 구비한 실링바로 열접합하여 밀봉하는 실링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부피가 큰 침구류나 의류의 부피를 크게 줄여 신속하고 견고하게 진공 포장함으로써 부피가 큰 침구류나 의류의 보관에 필요한 공간 활용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용물이 압축 포장된 포장지의 개구부는 열접합에 의해 밀봉됨으로써 개구부를 통한 기밀 누설이 방지되어 취급 및 장기간 보관 중에도 압축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침구류용 진공 압축 포장장치{Vacuum compression packaging device for bedding}
본 발명은 침구류용 진공 압축 포장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부피가 큰 침구류나 의류의 부피를 크게 줄여 신속하고 견고하게 진공 포장할 수 있는 침구류용 진공 압축 포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겨울용 침구류나 방한 의류 등은 큰 부피로 인하여 옷장이나 붙박이장 등과 같이 크기가 제한적인 수납시설 내에 다량으로 보관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우리나라는 사계절이 뚜렷하여 겨울용 침구류나 방한 의류 등은 겨울을 제외하면 거의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수납시설 내에 장기간 보관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러한 장기 보관 과정에서 수납시설 내 온, 습도 조절이 원활하지 않을 경우에 발생하는 습기나 곰팡이 등으로 인해 겨울용 침구류나 방한 의류 등이 손상되거나, 약취가 발생되는 등의 문제점도 있었다.
위와 같은 겨울용 침구류나 방한 의류 등의 보관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겨울용 침구류나 방한 의류 등을 압축하여 보관할 수 있는 비닐 소재의 압축팩이 개발된 바 있다.
이러한 압축팩은 일측이 개폐 가능한 파우치 형태로 되며, 일측면에 밸브가 형성됨으로써 사용자는 압축팩에 의류나 침구류 등을 넣고 입구를 폐쇄한 뒤, 밸브를 이용하여 압축팩 내부의 공기를 배출함으로써 의류나 침구류를 압축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압축팩은 사용자가 직접 압축팩을 눌러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거나, 청소기를 밸브에 연결하여 압축팩 내부의 공기를 배출해야 함으로써 사용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압축팩은 압축 과정에서 사용자가 직접 압축팩에 담긴 의류나 침구류를 가압하면서 압축해야 함으로써 압축이 균일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충분한 압축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단점이 있고, 수동식으로 이루어지는 압축 과정에서 압축팩의 입구나 밸브가 개방되면서 압축이 풀어지거나, 압축팩이 손상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종래의 압축팩은 개폐 가능한 입구가 슬라이드 형태의 집(zip)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압축된 압축팩의 취급 중 입구가 임의로 개방되거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입구가 서서히 개방되어 압축이 풀려버리는 문제점으로 인해 압축된 압축팩의 취급 시 주의를 필요로 하는 번거로움도 있었다.
등록특허 제10-2511534호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부피가 큰 침구류나 의류의 부피를 크게 줄여 신속하고 견고하게 진공 포장할 수 있는 침구류용 진공 압축 포장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의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의 침구류용 진공 압축 포장장치는,
포장지에 내용물이 담긴 압축 대상물이 안착되는 작업대(101)가 형성된 본체(10);
상기 작업대(101) 상측에 설치되어 수직으로 승강하는 가압판(201)으로 압축 대상물을 가압하여 압축하는 가압부(20);
상기 본체(10)와 가압부(20)의 전방에 설치되어 가압부(20)에 의한 압축 과정에서 내부 공기가 배출된 포장지의 개구부를 히팅수단(303a)을 구비한 실링바로 열접합하여 밀봉하는 실링부(30);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본체(10)는,
압축 대상물이 상면에 안착되는 작업대(101);
상기 작업대(101)에 수직 상방으로 설치된 복수 개의 지지봉(102a)에 의해 지지되는 상판(102);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가압부(20)는,
상기 본체(10)의 지지봉(102a)을 따라 승강하게 설치된 가압판(201);
상기 본체(10)의 상판(102) 중앙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피스톤로드가 가압판(201)의 상면 중앙에 결합되어 가압판(201)을 승강시키는 압축액추에이터(20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가압부(20)는,
상기 가압판(201)과 압축액추에이터(202)의 피스톤로드 간에 설치되는 조인트부재(203);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조인트부재(203)는 플로팅 조인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실링부(30)는,
상기 가압부(20)의 가압판(201) 전면에 수직으로 설치된 승강실린더(301);
상기 승강실린더(301)의 피스톤로드에 연결되게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상부실린더에 의해 승강하는 상부실링바(302);
상기 본체(10)의 작업대(101) 전면에 설치되고, 상면이 히팅수단(303a)이 구비되어 상부실링바(302)에 의해 가압되는 포장지의 개구부가 열접합되게 하는 하부실링바(30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본체(10)는,
압축 대상물이 안착되는 안착홈(103a)이 상면에 형성되어 작업대(101)의 상면에 설치되는 안착부재(103);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안착부재(103)는 탄성을 가진 소재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안착부재(103)는 측면에 복수 개의 공기배출홈(103b); 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가압부(20)는,
압축 대상물이 투입되는 요입홈(204a)이 저면에 형성되어 가압판(201)의 저면에 설치되는 가압부재(204);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가압부재(204)는 탄성을 가진 소재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본 발명의 침구류용 진공 압축 포장장치는,
상기 가압판(201)의 수평을 유지하는 수평유지수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수평유지수단은,
하단부가 가압판(201)의 상면에 고정되고 상단부가 본체(10)의 상판(102)을 수직으로 관통하게 설치되며, 외표면에는 래크기어(401a)가 형성된 복수 개의 수직암(401);
상기 본체(10)의 상판(102) 저면에 설치되어 각 수직암(401)의 래크기어(401a)와 치합되는 복수 개의 피니언(402);
상기 피니언(402) 간을 연결하게 형성된 복수 개의 수평암(403);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부피가 큰 침구류나 의류의 부피를 크게 줄여 신속하고 견고하게 진공 포장함으로써 부피가 큰 침구류나 의류의 보관에 필요한 공간 활용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용물이 압축 포장된 포장지의 개구부는 열접합에 의해 밀봉됨으로써 개구부를 통한 기밀 누설이 방지되어 취급 및 장기간 보관 중에도 압축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가압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실링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안착부재를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가압부재를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수평유지수단을 나타낸 측면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수평유지수단을 나타낸 평면 예시도.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함에 있어서 바람직한 실시 예를 기준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이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이나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및 효과는 특정 실시 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는 별도로 정의되지 않는 한, 사전적 의미 및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관련 기술의 문맥상 보편적으로 이해되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침구류용 진공 압축 포장장치의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가압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실링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의 침구류용 진공 압축 포장장치 본체(10), 가압부(20), 실링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10)는 포장지에 내용물이 담긴 압축 대상물이 안착되며 작업대(101), 상판(10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작업대(101)는 함체형으로 되어 비닐류로 된 포장지에 내용물이 담긴 압축 대상물이 작업대(101)의 상면에 안착된다.
이때 내용물이 담긴 포장지의 개구부는 작업대(101)의 전면에 서서 작업하는 작업자를 향하게 하며, 포장지는 비닐류로 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님을 미리 밝혀둔다.
한편, 포장지에 담기는 내용물은 자유로운 상태일 때 부피가 큰 침구류나 패딩 등의 보온성 의류인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님을 미리 밝혀둔다.
상기 상판(102)은 판형으로 되어 작업대(101)에 수직 상방으로 설치된 복수 개의 지지봉(102a)에 의해 지지된다.
상판(102)의 크기나 형상은 한정하지 않으나 평면상 작업대(101)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봉(102a)은 봉체로 되어 하단부가 작업대(101)의 상면에 고정되며, 상단부가 상판(102)의 저면에 고정되되, 작업대(101)의 평면 형상이 사각형인 경우에 평면 상 각 코너 부분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압부(20)는 본체(10)의 상측에 설치되어 작업대(101)에 안착된 압축 대상물을 가압하여 압축하며 가압판(201), 가압액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판(201)은 판형으로 되어 본체(10)의 지지봉(102a)을 따라 승강하게 설치된다.
가압판(201)의 정밀한 승강을 위하여 지지봉(102a)이 관통하는 가압판(201)의 관통부에는 지지봉(102a)을 따라 이동하는 볼부시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압축액추에이터(202)는 본체(10)의 상판(102) 중앙에 수직으로 설치되되, 피스톤로드가 상판(102) 중앙을 관통하여 피스톤로드의 하단부가 가압판(201)의 상면 중앙에 결합됨으로써 피스톤로드의 스트로크에 의해 가압판(201)이 상하로 승강하게 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가압부(20)는 조인트부재(20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인트부재(203)는 가압판(201)의 상면과 압축액추에이터(202)의 피스톤로드의 하단부 간에 설치되며, 플로팅 조인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플로팅 조인트는 가압판(201)과 압축액추에이터(202)의 피스톤로드 간에 설치되어 피스톤로드가 수직으로 직선 하강하면서 가압판(201)에 의해 압축 대상물이 압축되는 과정에서 가압판(201)의 저면에 접촉되는 압축 대상물에 의해 상방으로 작용하는 불균일한 압력으로 인해 피스톤로드에 가해지는 편심이나 편각을 흡수 완화함으로써 피스톤로드와 가압판(201)의 수직 승강이 보다 정밀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피스톤로드의 파손이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압축액추에이터(202)의 사용 수명도 연장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실링부(30)는 본체(10)와 가압부(20)의 전방에 설치되어 가압부(20)에 의한 압축 과정에서 내부 공기가 배출된 포장지의 개구부를 열접합하여 밀봉하며, 승강실린더(301), 상부실링바(302), 하부실링바(303)를 포함한다.
상기 승강실린더(301)는 가압부(20)의 가압판(201) 전면에 수직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설치된다.
상기 상부실링바(302)는 수직으로 설치된 승강실린더(301)의 피스톤로드에 연결되게 횡방향으로 설치됨으로써 피스톤로드의 스트로크에 의해 상부실링바(302)가 상하로 승강하며, 포장지의 단부를 하방으로 가압하게 된다.
상기 하부실링바(303)는 본체(10)의 작업대(101) 전면에 횡방향으로 설치되고, 상면에는 하부실링바(30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열선과 같은 히팅수단(303a)이 구비된다.
상기 히팅수단(303a)은 하부실링바(303)와 상부실링바(302)의 근접 시 동작하게 되며, 히팅수단(303a)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하부실링바(303)의 일측에는 상부실링바(302)의 근접을 감지하는 센서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히팅수단(303a)의 온도 제어를 위한 제어수단 및 냉각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침구류용 진공 압축 포장장치는 작업자가 본체(10)의 전방에 위치한 상태에서 내용물이 담긴 압축 대상물을 본체(10)의 작업대(101) 상면에 안착시킨 후, 비닐류로 된 포장지의 개구부가 형성된 단부를 하부실링바(303)의 전방으로 돌출시킨 상태에서 안전스위치 조작을 통해 압축액추에이터(202)를 동작시키면, 가압판(201)이 미리 설정된 높이까지 수직 하방으로 하강하면서 압축 대상물을 눌러 납작하게 압축하게 되며, 압축 과정에서 포장지 및 내용물 내부의 공기는 포장지의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미리 설정된 높이까지 가압판(201)의 하강이 완료되면, 이어서 승강실린더(301)에 의해 상부실링바(302)가 하강함에 따라 포장지의 개구부가 형성된 단부가 상부실링바(302)에 의해 가압되면서 상부실링바(302)와 하부실링바(303)에 의해 납작하게 눌리는데, 이때 하부실링바(303)의 히팅수단(303a)이 동작함에 따라 포장지의 개구부가 열접합되면서 포장지의 밀봉이 이루어짐으로써 압축 대상물의 압축 진공 포장이 완료된다.
이상과 같이 제1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의 침구류용 진공 압축 포장장치는 부피가 큰 침구류나 의류의 부피를 크게 줄여 신속하고 견고하게 진공 포장함으로써 부피가 큰 침구류나 의류의 보관에 필요한 공간 활용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용물이 압축 포장된 포장지의 개구부는 열접합에 의해 밀봉됨으로써 개구부를 통한 기밀 누설이 방지되어 취급 및 장기간 보관 중에도 압축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안착부재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전술한 실시 예와 중복되는 구성 및 동일부호를 갖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의 침구류용 진공 압축 포장장치는 안착부재(10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착부재(103)는 본체(10)의 작업대(101) 상면에 설치되되, 하방으로 오목한 안착홈(103a)이 상면에 형성됨으로써 안착홈(103a) 내부에 압축 대상물이 안착된다.
또한, 안착부재(103)의 정면에는 안착홈(103a) 내에 안착되는 압축 대상물의 포장지 단부가 노출되도록 개구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착홈(103a)의 평면 형상이나, 단면 형상 및 깊이는 한정하지 않음을 미리 밝혀둔다.
따라서 압축 대상물을 안착홈(103a) 내에 투입하여 안착시킴으로써 압축 대상물을 일정한 위치에 안착시킬 수 있게 되고, 그로 인해 압축 대상물의 압축 후 형태를 안착홈(103a) 형태로 균일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안착부재(103)는 스펀지나 고무 등의 탄성을 가진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가압판(201)에 의하여 압축 대상물이 압축되는 과정에서 탄성 소재로 된 안착부재(103)가 함께 탄성에 의해 압축됨으로써 압축 대상물을 더 납작하게 압축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안착부재(103)는 측면에 복수 개의 공기배출홈(103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압축 대상물이 안착홈(103a) 내에 안착된 후 가압판(201)의 하강에 의해 압축 대상물이 압축되는 과정에서 안착홈(103a) 내의 공기가 공기배출홈(103b)을 통해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됨으로써 압축 대상물의 압축이 더욱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가압부재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전술한 실시 예와 중복되는 구성 및 동일부호를 갖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3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의 침구류용 진공 압축 포장장치는 가압부재(20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재(204)는 가압판(201)의 저면에 설치되되, 상방으로 오목한 요입홈(204a)이 저면에 형성된다.
또한, 가압부재(204)의 정면에는 요입홈(204a) 내부에 삽입되게 압축되는 압축 대상물의 포장지 단부가 노출되도록 개구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요입홈(204a)의 저면 형상이나, 단면 형상 및 깊이는 한정하지 않음을 미리 밝혀둔다.
따라서 본체(10)의 작업대(101) 상면에 압축 대상물이 안착된 상태에서 가압판(201)이 하강하여 압축 대상물을 압축하는 과정에서 압축 대상물이 요입홈(204a) 내부로 투입되면서 가압부재(204)에 접촉하여 압축됨으로써 압축 대상물의 압축 후 형태를 요입홈(204a) 형태로 균일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압부재(204)는 스펀지나 고무 등의 탄성을 가진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유연성을 가진 비닐류의 포장지 내에 유연성을 가진 섬유 소재의 침구류나 의류 등이 투입되는 과정에서 포장지 내부에는 불규칙한 빈 곳이 형성되며 그로 인해 압축 대상물의 표면은 울퉁불퉁한 요철이 형성되는데, 가압판(201)의 저면에 설치된 가압부재(204)와 압축 대상물이 접촉되면서 압축 대상물의 압축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탄성을 가진 가압부재(204)가 압축 대상물의 울퉁불퉁한 표면 요철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변형되면서 압축 대상물에 대한 압축이 이루어짐으로써 압축 대상물 내부의 공기 배출은 더욱 원활하게 되고, 그로 인해 더 높은 압축률로 압축 대상물을 압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수평유지수단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전술한 실시 예와 중복되는 구성 및 동일부호를 갖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4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의 침구류용 진공 압축 포장장치는 가압판(201)의 수평을 유지하는 수평유지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평유지수단은 가압판(201)의 수평 유지를 위하여 수직암(401), 피니언(402), 수평암(403)을 포함한다.
상기 수직암(401)은 하단부가 가압판(201)의 상면에 고정되고 상단부가 본체(10)의 상판(102)을 수직으로 관통하며 외표면에는 래크기어(401a)가 형성되어 가압판(201)의 상면 네 구석(코너)에 설치된다.
상기 피니언(402)은 본체(10)의 상판(102) 저면 네 구석(코너)에 설치되어 각 수직암(401)의 래크기어(401a)와 치합된다.
이때, 각 수직암(401)에는 2개의 피니언(402)이 평면상 직각을 이루게 치합된다.
상기 수평암(403)은 서로 다른 수직암(401)에 각각 치합된 2개의 피니언(402) 간을 상호 연결하게 형성된다.
즉, 수평암(403)의 양단부는 피니언(402)의 중심에 고정되며, 평면상 수평암(403)은 가압판(201)의 중심을 기준으로 사방으로 설치된다.
한편, 수평암(403)은 고강도의 금속재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압축액추에이터(202)에 의해 가압판(201)이 승강하는 과정에서 가압판(201)의 저면에 설치된 피니언(402)은 수직암(401)의 래크기어(401a)와의 치합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이때, 가압판(201)의 중심을 기준으로 사방으로 설치된 각 수평암(403)의 양단부가 피니언(402)의 중심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수평암(403)의 양단부에 고정된 두 피니언(402)은 수평암(403)에 의해 회전수와 회전속도가 동일하게 유지됨으로써 모든 피니언(402)은 동일한 회전수와 회전속도로 회전함에 따라 가압판(201)이 승강하는 과정에서 뒤틀림에 의한 편심이나 편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청구범위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변경 및 수정은 균등물들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A: 압축 대상물 10: 본체
101: 작업대 102: 상판
103: 안착부재 103a: 안착홈
103b: 공기배출홈 20: 가압부
201: 가압판 202: 압축액추에이터
203: 조인트부재 204: 가압부재
204a: 요입홈 30: 실링부
301: 승강실린더 302: 상부실링바
303: 하부실링바 303a: 히팅수단
401: 수직암 401a: 래크기어
402: 피니언 403: 수평암

Claims (5)

  1. 포장지에 내용물이 담긴 압축 대상물이 안착되는 작업대(101)가 형성된 본체(10);
    상기 작업대(101) 상측에 설치되어 수직으로 승강하는 가압판(201)으로 압축 대상물을 가압하여 압축하는 가압부(20);
    상기 본체(10)와 가압부(20)의 전방에 설치되어 가압부(20)에 의한 압축 과정에서 내부 공기가 배출된 포장지의 개구부를 히팅수단(303a)을 구비한 실링바로 열접합하여 밀봉하는 실링부(30); 및,
    상기 가압판(201)의 수평을 유지하는 수평유지수단;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본체(10)는,
    압축 대상물이 상면에 안착되는 작업대(101);
    상기 작업대(101)에 수직 상방으로 설치된 복수 개의 지지봉(102a)에 의해 지지되는 상판(102); 을 포함하고,
    상기 수평유지수단은,
    하단부가 가압판(201)의 상면에 고정되고 상단부가 본체(10)의 상판(102)을 수직으로 관통하게 설치되며, 외표면에는 래크기어(401a)가 형성된 복수 개의 수직암(401);
    상기 본체(10)의 상판(102) 저면에 설치되어 각 수직암(401)의 래크기어(401a)와 치합되는 복수 개의 피니언(402);
    상기 피니언(402) 간을 연결하게 형성된 복수 개의 수평암(403);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구류용 진공 압축 포장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30)는,
    상기 가압부(20)의 가압판(201) 전면에 수직으로 설치된 승강실린더(301);
    상기 승강실린더(301)의 피스톤로드에 연결되게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상부실린더에 의해 승강하는 상부실링바(302);
    상기 본체(10)의 작업대(101) 전면에 설치되고, 상면이 히팅수단(303a)이 구비되어 상부실링바(302)에 의해 가압되는 포장지의 개구부가 열접합되게 하는 하부실링바(30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구류용 진공 압축 포장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는,
    압축 대상물이 안착되는 안착홈(103a)이 상면에 형성되어 작업대(101)의 상면에 설치되는 안착부재(103);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구류용 진공 압축 포장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20)는,
    압축 대상물이 투입되는 요입홈(204a)이 저면에 형성되어 가압판(201)의 저면에 설치되는 가압부재(204);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구류용 진공 압축 포장장치.
KR1020230156981A 2023-11-14 2023-11-14 침구류용 진공 압축 포장장치 KR1026508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56981A KR102650889B1 (ko) 2023-11-14 2023-11-14 침구류용 진공 압축 포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56981A KR102650889B1 (ko) 2023-11-14 2023-11-14 침구류용 진공 압축 포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0889B1 true KR102650889B1 (ko) 2024-03-26

Family

ID=90472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56981A KR102650889B1 (ko) 2023-11-14 2023-11-14 침구류용 진공 압축 포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088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8915B1 (ko) * 2009-12-24 2012-05-25 (주)대흥돌핀 이불 포장기
KR102511534B1 (ko) 2022-10-06 2023-03-16 신승철 의류 및 침구류의 진공 압축 포장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8915B1 (ko) * 2009-12-24 2012-05-25 (주)대흥돌핀 이불 포장기
KR102511534B1 (ko) 2022-10-06 2023-03-16 신승철 의류 및 침구류의 진공 압축 포장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262316A (ja) 皿形パックの昇降運搬装置
EP0281450B1 (fr) Machine pour le thermoformage d'un film étanche à l'intérieur d'un conteneur en carton pour l'emballage d'une denrée à conserver et pour l'operculage du conteneur
KR102650889B1 (ko) 침구류용 진공 압축 포장장치
KR102334737B1 (ko) 침구류 자동포장기
CN207917315U (zh) 用于内切膜包装机的切膜封膜装置
KR20130031519A (ko) 다중 히터를 갖는 진공포장기
US5199186A (en) Vacuum-operated veneer dryer
CN110294161B (zh) 一种馒头包装机以及包装方法
CN208393665U (zh) 一种用于保温材料的五面快速封装机构
US2858655A (en) Machine and process for evacuating, gassing, and sealing flexible containers
CN208699241U (zh) 一种被子压缩包装机
KR102128346B1 (ko) 휴대형 음식물 용기의 포장장치
CN109368040B (zh) 蛋真空包装机
CN207403999U (zh) 一种中药饮片用真空包装机
KR101215348B1 (ko) 비닐포장기의 승강실링판
CN221091397U (zh) 一种真空包装机
CN217945795U (zh) 一种真空整形装置
CN214002160U (zh) 一种食品生产用真空封装机
CN213566796U (zh) 白茶包装用脚踏封口机
CN211108221U (zh) 一种物料真空与充气包装装置
JP3232240U (ja) 布団圧縮収納装置
KR20130002830A (ko) 커팅기능을 갖는 진공포장기
CN210708082U (zh) 一种乳胶枕真空包装机
CN215323477U (zh) 一种抽包装袋的真空装置
CN219838746U (zh) 一种真空包装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