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0836B1 - 자동차 부품 운반 대차용 자동문 및 이를 구비한 대차 - Google Patents

자동차 부품 운반 대차용 자동문 및 이를 구비한 대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0836B1
KR102650836B1 KR1020230155412A KR20230155412A KR102650836B1 KR 102650836 B1 KR102650836 B1 KR 102650836B1 KR 1020230155412 A KR1020230155412 A KR 1020230155412A KR 20230155412 A KR20230155412 A KR 20230155412A KR 102650836 B1 KR102650836 B1 KR 1026508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rotating member
automatic door
automobile parts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554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찬범
Original Assignee
한찬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찬범 filed Critical 한찬범
Priority to KR10202301554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08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08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08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0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a rectangular shape, involving sidewalls or racks
    • B62B3/004Details of doors or cover lid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58Guid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60Spring drums operated only by closure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24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58Guiding devices
    • E06B2009/587Mounting of guiding devices to supporting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열리게 할 수 있고, 스크래퍼를 구비하여 커버에 이물질이 묻어 회전부재의 회전에 장애를 방지할 수 있으며, 완충 스토퍼를 스크래퍼 두께만큼 커버로부터 이격시켜 완충 스토퍼와 스크래퍼의 상호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 부품 운반 대차용 자동문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 부품 운반 대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부품 운반 대차용 자동문은 길이 방향 일면이 전부 개방되고 내부에 홀을 구비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홀에 수용되어 회전하면서 그 외주면에 커버를 감거나 펼칠 수 있는 중공형 형상의 회전부재, 상기 회전부재의 내부에 위치하면서 회전부재와 함께 회전하면서 탄성력을 축적 또는 발산하는 탄성부재, 상기 탄성부재 내부에 위치하며 탄성부재가 탄성력을 축적 또는 발산할 수 있는 고정되는 고정부재 및 상기 커버의 충격을 방지하는 완충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하 또는 좌우로만 감거나 펼쳐질 수 있고,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에 형성된 걸림부들은 상기 회전부재의 내주면에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걸림홈에 맞물려 끼워지고, 타단은 상기 고정부재의 외주면에 고정된다.

Description

자동차 부품 운반 대차용 자동문 및 이를 구비한 대차{A Vehicle Auto Dooor to Transport Acuto Parts and a Vehicle with them}
본 발명은 자동차 부품을 운반하기 위한 자동차 부품용 운반 대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리트랙터(retractor) 구조의 자동문을 닫을 때 레일에 끼인 이물질을 자동으로 외부로 배출함과 아울러 탄성 복원력에 의해 도어가 손상되지 않도록 완충 스토퍼 기능을 갖는 자동차 부품용 운반 대차의 자동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메이커에서 자동차 완제품을 출고하기까지는 모든 양산라인에서 수 많은 부품을 조립하거나 용접하는 공정을 거치게 된다. 이러한 자동차 조립 라인 등의 현장에서는 외주업체로부터 들어온 다양한 부품들을 운반하기 위해 부품 운반용 대차를 사용하게 된다.
통상 자동차 부품 운반용 대차는 부품을 보관하면서 이와 동시에 부품을 정해진 장소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가질 수 있고, 이를 위해 운반 대차는 이동이 가능한 사각 격자 형상의 베이스 프레임과 측면 프레임의 내측 공간에 팔레트 또는 적재 선반으로 부품 적재 공간을 형성한 후 이물질이 부품 적재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커버나 도어를 구비하고 있다. 즉, 먼지와 같은 공기 중에 부유하는 이물질이 운반 대차의 적재 공간 내부에 들어와 자동차 부품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운반 대차에는 개폐 가능한 커버나 도어가 장착되어 있다.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특허공보에 등록번호 제10-1709211호로 공고된 '부품 운반 대차용 대차 커버 및 이를 가진 부품 운반 대차'(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함)는 운반 대차의 한쪽 면에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는 밀폐면과, 밀폐 면의 측면 테두리 및 아래쪽 테두리에 각각 형성된 제1 부착 스트립 및 제2 부착 스트립과, 제1, 2 부착 스트립에 분리되어 형성되는 고정 자성 부분을 포함하고, 고정 자성 부분은 운반 대차의 금속 프레임과의 자성에 의하여 분리 가능하도록 부착된 것이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청 공개특허공보에 공개번호 제10-2017-0045158호로 공개된 '자동차 부품용 운반 대차'(이하 '특허문헌 2'라 함)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며 복수개의 수직 프레임과 상기 수직 프레임을 상호 연결하는 수평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프레임 본체와, 수직 프레임과 선택적으로 하측의 수평 프레임에 나란하게 고정되는 것으로서 자성에 의하여 대차 커버를 부착시키는 자력 고정판, 및 프레임 본체의 상면을 덮은 뒤 수직 아래로 절곡되어 정면을 덮도록 하는 것으로 자력 고정판의 자력에 의하여 부착 또는 탈착되는 부착 부재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특허공보에 등록번호 제10-2414281호로 공고된 '자석 결합 구조의 대차 커버'(이하 '특허문헌 3'이라 함)는 합성수지 소재의 커버 몸체와, 커버 몸체의 둘레 면에 형성된 결합 테두리와, 결합 테두리에 서로 분리되어 배치된 다수 개의 자석과, 다수 개의 자석을 정해진 위치에 고정시키는 접착 테이프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종래의 기술은 모두 자석의 자성을 이용한 것으로, 자성이 다한 경우 자석을 교체하여야 하며, 사람이 커버를 들어 올려서 말거나 펼쳐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KR 10-1709211 B1 KR 10-2017-0045158 A KR 10-2414281 B1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의 자동차 부품 운반 대차는 커버나 도어가 자석에 의해 접착되어 부품 적재 공간을 밀폐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의 자동차 부품 운반 대차는 부품을 적재하거나 꺼낼 때 커버를 열고 닫기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을 이용하여 도어를 자동으로 감을 수 있는 리트랙터 구조를 이용한 자동차 부품용 운반 대차의 자동문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리트랙터 구조의 자동문을 닫을 때 레일에 끼인 이물질을 자동으로 외부로 배출함과 아울러 탄성복원력에 의해 도어가 손상되지 않도록 완충 스토퍼 기능을 갖는 자동차 부품 운반용 대차의 자동문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는 길이 방향 일면이 전부 개방되고 내부에 홀을 구비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홀에 수용되어 회전하면서 그 외주면에 커버를 감거나 펼칠 수 있는 중공형 형상의 회전부재, 상기 회전부재의 내부에 위치하면서 회전부재와 함께 회전하면서 탄성력을 축적 또는 발산하는 탄성부재, 상기 탄성부재 내부에 위치하며 탄성부재가 탄성력을 축적 또는 발산할 수 있는 고정되는 고정부재 및 상기 커버의 충격을 방지하는 완충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하 또는 좌우로만 감거나 펼쳐질 수 있고,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에 형성된 걸림부들은 상기 회전부재의 내주면에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걸림홈에 맞물려 끼워지고, 타단은 상기 고정부재의 외주면에 고정된 자동차 부품 운반 대차용 자동문을 제공하여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자동차 부품 운반 대차용 자동문은 상기 커버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일면에 스크래퍼를 구비할 수 있다.
삭제
삭제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는 상기 자동문을 구비한 자동차 부품 운반용 대차를 제공하여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부품 운반 대차용 자동문은 탄성력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열리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부품 운반 대차용 자동문은 스크래퍼를 구비하여 커버에 이물질이 묻어 회전부재의 회전에 장애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부품 운반 대차용 자동문은 완충 스토퍼를 스크래퍼 두께만큼 커버로부터 이격시켜 완충 스토퍼와 스크래퍼의 상호 간섭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부품 운반 대차용 자동문의 열림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부품 운반 대차용 자동문의 닫힘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부품 운반 대차용 자동문의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부품 운반 대차용 자동문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부품 운반 대차용 자동문의 회전부재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부품 운반 대차용 자동문의 회전부재와 탄성부재의 체결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부품 운반용 대차용 자동문의 상측 및 하측 완충 스토퍼의 위치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과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달성되는 기술적 과제는 다음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하여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다음의 실시예들은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부품 운반 대차용 자동문은 탄성력을 이용하여 커버을 자동으로 열리도록 한 것으로,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일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홀을 구비한 하우징(10)과, 상기 홀에 수용되어 회전하면서 그 외주면에 커버(25)을 감거나 펼칠 수 있는 중공형 형상의 회전부재(20)와, 상기 회전부재의 내부에 위치하면서 회전부재(20)와 와 함께 회전하면서 탄성력을 축적 또는 발산하는 탄성부재(30)와, 상기 탄성부재 내부에 위치하며 탄성부재가 탄성력을 축적 또는 발산할 수 있도록 고정되는 고정부재(40) 및 상기 커버(25)이 빠른 속도로 열릴 때 충격을 방지하는 완충 스토퍼(50a, 50b)를 포함한다.
도 1은 자동차 부품 운반용 대차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자동차는 2만 가지 이상의 부품을 조립하여 완성이 되고 각 부품별로 협력사가 지정되어 있다. 각 부품별 협력사는 각각의 부품을 대차(1)를 이용하여 완성차 업체로 운반하는데, 상기 대차 내부에는 여러 단의 거치대(2)가 형성되어 있어 거치대 위에 부품들을 적재한다.
상기 대차 내부의 거치대(2)에 부품들을 적재하거나 하차할 때, 대차의 전면에 설치된 자동문을 열고 닫아야 하는데 상기 자동문(100)에는 커버(25)가 설치되어 있다.
도 1과 2는 각각 상기 자동문(100)이 열림 또는 닫힘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동문(100)은 대차의 상부 및 하부에 가로 방향으로 설치된 레일(r)을 따라서 열리거나 닫힐 수 있다. 물론 자동차 부품이 큰 경우 자동문은 좌우보다는 상하로 열리고 닫히는 것이 편리하기 때문에 상기 자동문(100)의 레일(r)은 대차(1)의 좌측 및 우측에 세로로 설치될 수도 있다.
도 3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동문의 하우징(10)은 일면이 개방되어 있고, 내부에 홀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하우징(10)의 내부 홀에는 중공형의 회전부재(20)가 구비되고, 커버(25)의 일단은 상기 회전부재(20)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커버(25)의 타단이 펼쳐지거나 감기면 상기 회전부재(20)에 고정된 커버의 일단이 회전부재의 외주면에서 펼쳐지거나 감기게 된다.
상기 탄성부재(30)는 상기 중공형 회전부재(20)의 내부에 위치하면서 회전부재(20)와 함께 회전하면서 탄성력을 축적 또는 발산할 수 있도록 토션 스프링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부재(20)의 내주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걸림홈(21a, 21b, 21c)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탄성부재(30)의 일단의 외주면에는 걸림부(31a, 31b, 31c)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회전부재(20)의 내주면의 걸림홈(21a, 21b, 21c)과 상기 탄성부재(30)의 일단의 외주면에 형성된 걸림부(31a, 31b, 31c)가 체결되는 구조이다.
도 1과 같이 상기 탄성부재(30)는 상기 회전부재(20)에 상기 커버(25)가 완전히 감긴 상태(즉, 자동문이 완전히 열린 상태)는 탄성력이 없는 상태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회전부재(20)에 감긴 상기 커버(25)를 당기면 회전부재(20)가 회전하면서 상기 탄성부재(30)가 회전하면서 탄성력을 축적하게 된다.
도 1의 열림 상태에서 도 2의 닫힘 상태로 가기 위해서는 도 2의 열림 상태에서 축적된 상기 탄성부재(30)의 탄성력이 발산되면서 상기 회전부재(20)가 회전하면서 상기 커버(25)를 당기게 되어 자동문이 닫히게 되는 구조이다.
한편 도 4와 같이 상기 탄성부재(30) 내부에는 탄성부재가 탄성력을 축적 또는 발산할 수 있도록 고정되는 탄성부재의 타단이 고정되는 축인 고정부재(40)가 구비될 수 있다.
즉 탄성부재(30)가 탄성력을 축적 또는 발산하기 위하여 상기 탄성부재(30)의 일단의 외주면에 형성된 걸림부(31a, 31b, 31c)는 상기 회전부재(20)의내주면에 형성된 걸림홈(21a, 21b, 21c)에 고정되고, 타단은 고정부재(40)에 고정되는 구조이다.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부재(30)에 축적된 탄성력이 큰 경우 자동문이 열릴 때 큰 충격을 줄 수 있으므로 상기 커버(25)가 빠른 속도로 열릴 때 충격을 방지하는 완충 스토퍼(50a, 50b)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완충 스토퍼(50a. 50b)는 손잡이(60)의 상하에 구비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와 같이 손잡이(60)는 상측 및 하측 이동부재(61a, 61b)를 구비하고 상기 이동부재(61a, 61b)의 측면에는 고정걸림부(62)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 걸림부(62)는 레일(r)의 좌측 끝에 형성된 홀에 끼워져 상기 손잡이(60)가 고정되면 커버(25)는 펼쳐진 상태가 되어 자동문이 도 2와 같은 닫힘 상태가 된다. 상기 손잡이(60)가 레일에 끼워져 고정되는 구조는 공지된 구조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과 같이 상기 하우징(10)의 개방된 일면에는 스크래퍼(11)를 구비하여 상기 커버(25)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작업 중 또는 비 등으로 인하여 커버에 이물질이 묻을 수 있고 상기 커버(25)가 감기면서 상기 이물질이 회전부재(20)에 붙게 되면 자동문이 고장이 나거나 오작동을 하게 되는데, 상기 스크래퍼(11)는 상기 커버(25)가 감기거나 풀리면서 커버(25)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한편 하우징에 스크래퍼를 커버에 밀착되도록 설치하면서 완충 스토퍼(50a, 50b)와 서로 간섭되어 자동문이 완전히 열리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부품을 하차하는 과정에서 부품과 자동문이 부딪쳐서 부품을 땅에 떨어트리는 문제가 발생될 수도 있다. 이러한 문제점 해결을 위하여 상기 하우징(10)의 끝단에 구비된 스크래퍼(11)와 손잡이에 구비된 완충 스토퍼(50a, 50b)가 간섭하지 안도록 완충 스토퍼(50a, 50b)는 스크래퍼(11)의 두께만큼 상기 커버(25)로부터 이격되어 자동문이 열림 상태에서 도 7의 확대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완충 스토퍼(50a, 50b)와 스크래퍼(11)는 적층된 구조가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 대차 10: 하우징
11: 스크래퍼 20: 회전부재
21a, 21b, 21c: 걸림홈
31a, 31b, 31c: 걸림부
25: 커버 30: 탄성부재
40: 고정부재 50a, 50b: 완충 스토퍼
60: 손잡이
61a, 61b: 좌측 및 우측 이동부재
62: 고정걸림부 자동문 100

Claims (5)

  1. 길이 방향 일면이 전부 개방되고 내부에 홀을 구비한 하우징(10);
    상기 하우징(10)의 홀에 수용되어 회전하면서 그 외주면에 커버(25)를 감거나 펼칠 수 있는 중공형 형상의 회전부재(20);
    상기 회전부재의 내부에 위치하면서 회전부재(20)와 함께 회전하면서 탄성력을 축적 또는 발산하는 탄성부재(30);
    상기 탄성부재 내부에 위치하며 탄성부재가 탄성력을 축적 또는 발산할 수 있도록 고정되는 고정부재(40); 및
    상기 커버(25)의 충격을 방지하는 완충 스토퍼(50a, 50b);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25)는 상하 또는 좌우로만 감거나 펼쳐질 수 있고,
    상기 탄성부재(30)의 일단에 형성된 걸림부들(31a, 31b, 31c)은 상기 회전부재(20)의 내주면에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걸림홈들(21a, 21b, 21c)에 맞물려 끼워지고, 타단은 상기 고정부재(40)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부품 운반 대차용 자동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25)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10)의 개방된 일면에 스크래퍼(11)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부품 운반 대차용 자동문.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 또는 2 중 어느 한 항의 자동문을 구비한 자동차 부품 운반용 대차.
KR1020230155412A 2023-11-10 2023-11-10 자동차 부품 운반 대차용 자동문 및 이를 구비한 대차 KR1026508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55412A KR102650836B1 (ko) 2023-11-10 2023-11-10 자동차 부품 운반 대차용 자동문 및 이를 구비한 대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55412A KR102650836B1 (ko) 2023-11-10 2023-11-10 자동차 부품 운반 대차용 자동문 및 이를 구비한 대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0836B1 true KR102650836B1 (ko) 2024-03-22

Family

ID=90480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55412A KR102650836B1 (ko) 2023-11-10 2023-11-10 자동차 부품 운반 대차용 자동문 및 이를 구비한 대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083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2896B1 (ko) * 2012-03-30 2013-07-05 신상민 소프트 탑 타입의 차량 적재함용 커버 장치
KR101709211B1 (ko) 2015-03-04 2017-02-22 김재봉 부품 운반 대차용 대차 커버 및 이를 가진 부품 운반 대차
KR20170045158A (ko) 2017-04-07 2017-04-26 주식회사 세명오토테크 자동차 부품용 운반 대차
KR101912838B1 (ko) * 2018-07-12 2018-10-29 이흥주 승강기 도어의 손끼임 방지용 안전장치
KR102414281B1 (ko) 2019-09-05 2022-06-28 김재봉 자석 결합 구조의 대차 커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2896B1 (ko) * 2012-03-30 2013-07-05 신상민 소프트 탑 타입의 차량 적재함용 커버 장치
KR101709211B1 (ko) 2015-03-04 2017-02-22 김재봉 부품 운반 대차용 대차 커버 및 이를 가진 부품 운반 대차
KR20170045158A (ko) 2017-04-07 2017-04-26 주식회사 세명오토테크 자동차 부품용 운반 대차
KR101912838B1 (ko) * 2018-07-12 2018-10-29 이흥주 승강기 도어의 손끼임 방지용 안전장치
KR102414281B1 (ko) 2019-09-05 2022-06-28 김재봉 자석 결합 구조의 대차 커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17675B2 (ja) 小型トラック用貨物保護システム
KR102499561B1 (ko) 방수 시트를 부착하기 위한 시스템
US8523268B2 (en) Luggage space arrangement for stowing away a retractable tonneau cover assembly
CA2954432A1 (en) Folding, storing tonneau cover
US20120181810A1 (en) Truck Bedliner Assembly
CN1112715A (zh) 磁带盒的容器盒
US20020135199A1 (en) Reliable retractable protective cover assembly
JP6012023B2 (ja) 車両の輸送のためのコンテナ
KR102650836B1 (ko) 자동차 부품 운반 대차용 자동문 및 이를 구비한 대차
US5501503A (en) Vehicular door
US10035633B2 (en) Reusable container
KR101550235B1 (ko) 광학 필름 보관 상자
US20090033121A1 (en) Disposable bed bag
KR101789277B1 (ko) 윙바디 트럭의 도어 고정장치
KR200422486Y1 (ko) 화물 수송용 화차 3단 도어장치
KR101796246B1 (ko) 윙바디 트럭의 도어 개폐장치
JP7245512B2 (ja) 収納庫兼用運搬車
JPH0737962Y2 (ja) 車両用テ−ルゲ−トカバ−構造
KR200488150Y1 (ko) 운반 대차의 프레임 손상 방지용 보조구
KR200302777Y1 (ko) 상부개방형 화물차에 장착되는 적재함구조
KR102025383B1 (ko) 컨테이너
KR200362677Y1 (ko) 픽업차량의 적재함 덮개 조립체
KR101603613B1 (ko) 롤 전용 접이식 파렛트
KR101727990B1 (ko) 트럭용 적재함 커버
KR100400872B1 (ko) 와이어 권취 보빈 포장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