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2896B1 - 소프트 탑 타입의 차량 적재함용 커버 장치 - Google Patents

소프트 탑 타입의 차량 적재함용 커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2896B1
KR101282896B1 KR1020120033614A KR20120033614A KR101282896B1 KR 101282896 B1 KR101282896 B1 KR 101282896B1 KR 1020120033614 A KR1020120033614 A KR 1020120033614A KR 20120033614 A KR20120033614 A KR 20120033614A KR 101282896 B1 KR101282896 B1 KR 1012828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loading box
winding
top type
soft to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36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상민
Original Assignee
신상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상민 filed Critical 신상민
Priority to KR10201200336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28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28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28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 B60R5/0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 B60R5/04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luggage covering means, e.g. parcel she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2Covering of l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2Platforms; Open load compart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적재함용 커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장착 후 고정되는 구조물의 부피가 작으면서 중량에 대한 부담이 적고(연비 증가 최소화) 원가 및 설치 비용을 크게 낮출 수 있는 차량 적재함용 커버 장치를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차량 적재함의 상측에서 전후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차량 적재함의 상면을 개폐하는 소프트 탑 타입의 커버와; 상기 커버의 측단부가 결합된 상태로 차량 적재함의 좌우 양 측면부를 따라 전후로 길게 설치되어 커버의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과; 차량 적재함의 전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커버의 전단부가 감겨진 상태로 커버를 인출 및 탄력적으로 권취하는 권취장치;를 포함하는 소프트 탑 타입의 차량 적재함용 커버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소프트 탑 타입의 차량 적재함용 커버 장치{Soft top type cover apparatus for carrying box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 적재함용 커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외관을 저해하지 않으면서 개폐 및 화물 적재가 용이하고, 원가 및 설치 비용이 절감되며, 전체 중량 및 구조물 부피가 축소될 수 있는 차량 적재함용 커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사람들의 생활수준이 높아지면서 레저 및 여가활동에 대한 관심이 크게 늘어나고 있으며, 이러한 현상은 우리 생활에 밀접하게 관련되어 없어서는 안 될 필수품으로 자리 잡은 자동차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이전의 경우 자동차가 단순 이동용 또는 화물 운송용으로만 그 용도가 한정되어 있었으나, 최근에는 세단과 같은 일반 승용 차량 외에 경제성과 활동성이 좀더 부각되는 다인승 레저용 차량(Recreational Vehicle,RV)들이 인기를 끌고 있다.
이러한 레저용 차량으로는 비포장 도로나 험한 도로에서 주행성능이 뛰어나고 각종 스포츠 용도에 적합한 스포츠 유틸리티 차량(Sports Utility Vehicle,SUV), 다목적 용도가 강화된 웨건형의 다목적 차량(Multi Purpose Vehicle,MPV), 기존 SUV 차량의 뒷부분을 트럭의 적재함처럼 만든 스포츠 유틸리티 트럭(Sports Utility Vehicle,SUV), 그 밖에 이들의 혼합된 형태인 크로스오버 유틸리티 차량(Crossover Utility Vehicle, CUV) 등을 들 수 있다.
오늘날 소비자 욕구의 다변화, 실용성과 편의성을 함께 추구하려는 소비 경향으로 인해 이들 차량에 대한 관심이 크게 늘고 있으며, 차량의 판매량도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 중에서 스포츠 유틸리티 트럭(이하, 'SUT'라 칭함)은 순수 화물 운송용으로만 사용되던 기존의 대형 상용 트럭과는 구분되는 차량 형태로(예를 들면, 쌍용자동차의 무쏘 스포츠, 액티언 스포츠, 코란도 스포츠 등), 안락하고 충분한 승용 공간을 확보하고 있으면서도 넓은 적재 공간을 동시에 가지는 이점 때문에 승용, 업무용, 레저용의 구분 없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SUT 뿐만 아니라 소형 픽업 트럭의 적재함은 일반 상용 트럭과 마찬가지로 화물 적재의 용이함을 위해 상면이 개방된 공간 형태로 마련된다.
상기와 같이 적재함에 적재된 화물이 외부로 노출될 경우 차량 외관을 크게 저해하는 요인이 되며, 주행 중 소형 화물이 떨어질 경우 타 차량의 안전을 크게 위협하는 요소가 된다.
이에 따라, 차량(1)의 적재함에 컨버터블 차량의 하드 탑(hard top)과 같은 커버(9)를 설치하기도 하나, 종래의 하드 탑 타입의 커버(9)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구적인 특성상 제한된 높이까지만 개방될 수 있거나(도 1의 (a) 참조), 힌지를 중심으로 적재함 일부에 대해서만 개방이 이루어지는 구조로 되어 있는바(도 1의 (b) 참조), 화물을 적재하고 하차하는데 불편함이 있다.
특히, 화물의 중량으로 인해 적재함 상측에서 크레인이나 기타 장비를 이용하여 수직 하방으로 화물을 적재해야 할 필요가 있는 경우, 기존 하드 탑 커버의 제한된 개폐 구조로 인해 장비의 이용이 사실상 불가능하다.
또한 일부가 개방되기는 하나, 단단한 재질로 이루어진 고 중량의 커버 구조물이 장착된 상태로 차량이 운행되어야 하므로, 일단 장착되고 나면 차량의 전체 중량을 크게 증가시켜 연비를 악화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또한 원가 및 설치 비용이 높고, 적재함 전체 공간을 완전히 열어둘 수 없으며, 적재함을 최대한 개방한 상태라 하더라도 설치된 구조물 부피가 축소되지 못하고 운전자 후방 시야를 가리게 되면서 안전운행을 저해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개폐 자체가 불편하고, 개폐에 큰 힘이 필요하여 여성이나 고령자 등이 적재함을 개폐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서, 장착 후 고정되는 구조물의 부피가 작으면서 중량에 대한 부담이 적고(연비 증가 최소화) 원가 및 설치 비용을 크게 낮출 수 있는 소프트 탑 타입의 차량 적재함용 커버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적재함 전체를 개방하는 것이 가능하여 화물 적재가 보다 용이하고, 화물 적재시 크레인 등의 다양한 장비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한 소프트 탑 타입의 차량 적재함용 커버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적재함의 전체 공간을 완전히 열어둔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여 고정 설치된 구조물로 인한 외관 저하나 운전자 후방 시야 차단 등의 문제가 해소될 수 있고, 여성이나 고령자 등 노약자의 경우에도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소프트 탑 타입의 차량 적재함용 커버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 적재함의 상측에서 전후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차량 적재함의 상면을 개폐하는 소프트 탑 타입의 커버와; 상기 커버의 측단부가 결합된 상태로 차량 적재함의 좌우 양 측면부를 따라 전후로 길게 설치되어 커버의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과; 차량 적재함의 전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커버의 전단부가 감겨진 상태로 커버를 인출 및 탄력적으로 권취하는 권취장치;를 포함하는 소프트 탑 타입의 차량 적재함용 커버 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커버는 상기 권취장치에 의해 권취될 수 있는 시트재와; 상기 시트재의 내측면에 커버의 전후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도록 고정되는 지지바;를 포함하며, 상기 시트재에 복수개의 지지바가 나란히 배열되도록 설치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레일에는 커버의 좌우 양 측단부가 삽입되어 이동되는 부분인 측단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측단삽입부의 하부면을 따라서는 커버 내측면과 접촉하는 패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 레일에서 측단삽입부의 상부면을 따라서는 커버와의 간극으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실링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 레일에서 측단삽입부의 하측으로는 커버와 측단삽입부 사이로 유입된 물을 배출하기 위한 물통로부가 형성되고, 상기 물통로부는 상측의 측단삽입부와 연통된 구조로 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물통로부는 내부로 유입된 물이 가이드 레일 후단 쪽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 레일 후단으로 가면서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물통로부가 하향으로 경사지도록 물통로부가 형성된 상기 가이드 레일 전체가 후단으로 가면서 하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 후단부에는 엔드부재가 고정 설치되고, 상기 엔드부재에 커버를 완전 닫힘 상태로 위치 고정하기 위한 커버고정기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권취장치는 원형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차량 적재함의 전단부에 좌우 횡방향으로 길게 배치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커버의 전단부가 고정되어 회전시 상기 커버를 권취하는 권취관과; 상기 커버가 탄력적으로 권취될 수 있도록 권취관을 탄력적으로 복원 회전시키는 스프링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운팅 브라켓은 내부공간에 권취관의 외주상에 권취된 커버의 측단부가 넣어지도록 일 측면이 개구된 케이스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마운팅 브라켓의 후면에는 내부에 넣어진 커버를 후방으로 인출시키는 인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인출구에서 커버가 원활히 인출될 수 있도록 마운팅 브라켓 내 인출구 하단에는 하측으로 연장된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커버를 인출구로 안내하는 커버 가이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권취관과 고정축 사이에 권취관을 탄력적으로 복원 회전시키는 스프링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스프링부재가 고정축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일단부가 고정축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권취관에 연결되는 코일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적재함용 커버 장치는 소프트 타입의 커버를 권취장치로부터 인출 또는 인입하여 차량 적재함을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부피 축소, 경량화, 원가 및 설치 비용 절감 등 여러 이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커버 장치에서는 적재함 전체를 개방하는 것이 가능하여 화물 적재가 보다 용이하고, 화물 적재시 크레인 등의 다양한 장비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외관 저하나 운전자 후방 시야 차단 등의 문제가 해소될 수 있고, 개폐 조작이 용이하여 여성이나 고령자 등 노약자의 경우에도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하드 탑 타입 커버가 가지는 문제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프트 탑 타입의 커버 장치를 장착한 차량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 장치를 커버 프레임 및 상부 커버와 더불어 어셈블리 형태로 도시한 조립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 장치에서 커버 프레임의 측면부에 설치된 장치 구성 및 커버 닫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 장치에서 가이드 레일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 장치에서 커버고정기구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 장치에서 마운팅 브라켓 및 커버 권취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 장치에서 마운팅 브라켓과 가이드 레일, 하부 커버의 조립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 장치를 도시한 조립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커버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차량 적재함에 설치되는 커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하드 탑 타입의 커버가 가지는 여러 문제점들을 모두 해소할 수 있는 소프트 탑(soft top) 개념의 커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커버 장치는 차량 출고 후 사용자가 개별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며, 차량 뒷부분에 적재함을 구비한 차량, 예컨대 스포츠 유틸리티 트럭(SUT)이나, 적재함에 덮개가 없는 픽업 트럭 등에 설치하여 널리 이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의 커버 장치가 장착될 수 있는 SUT나 픽업 트럭 등을 차량으로 통칭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프트 탑 타입의 커버 장치를 장착한 차량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 장치를 커버 프레임 및 상부 커버와 더불어 어셈블리 형태로 도시한 조립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 장치에서 커버 프레임의 측면부에 설치된 장치 구성 및 커버 닫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레일의 단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SUT나 픽업 트럭 등의 차량(1)에는 뒷부분에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적재함이 구비되고, 적재함 후미의 차체에는 통상적으로 상하로 열고 닫을 수 있는 플랩(3)이 설치된다.
상기 차량(1)은 최초 출고시 적재함에 어떠한 커버나 덮개도 설치되지 않은 상태로 출고되는데, 차량 출고 후 본 발명의 커버 장치를 차량 적재함에 직접 설치할 수도 있으나, 적재함의 차체 부분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적재함 상측의 커버 프레임(4)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차량 적재함의 상측에 도시된 바와 같은 커버 프레임(4)이 고정 장착된 상태에서, 커버 프레임에 가이드 레일(200), 권취장치(300) 등의 구성부를 설치하는 것이며, 이때 본 발명의 커버 장치는 이들 구성부와, 이들 구성부의 차체 장착을 위한 커버 프레임이 조합된 어셈블리 형태로 제공된다.
상기 커버 프레임(4)은 차량 적재함의 좌우 측면부 상측 영역에 걸쳐 설치될 수 있는 프레임 구조물로 제공되는데, 커버 프레임이 적재함 상측에 장착된 상태에서 커버 프레임의 측면부가 적재함의 측면부를 이루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커버 장치는, 소프트한 커버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적재함 상면을 열거나 닫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한 커버 프레임(4)과 더불어, 차량 적재함의 상측에서 전후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적재함 상면을 개폐하는 소프트 탑 타입의 커버(100)와, 차량 적재함의 좌우 양 측면부에 설치되어 상기 커버의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200)과, 차량 적재함의 전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커버의 전단부가 감겨진 상태로 커버를 인출 및 탄력적으로 권취하는 권취장치(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커버(100)의 재질로는 권취장치(300)에 의해 권취될 수 있는 소프트한 시트(sheet) 재질이면 사용 가능한데, 천, 비닐과 같은 연질의 고분자 시트, 가죽 등의 시트재가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고, 그 밖에 권취장치의 권취롤(권취관)(310)에 쉽게 감길 수 있으면서 빗물 등의 수분 차단이 가능한 시트 재질이라면 본 발명에서 특정하게 한정하지는 않는다.
이 중 천은 직조된 직물이거나 직조되지 않은 부직물이 될 수 있고, 빗물 등의 수분 차단을 위해 직물과 부직물이 겹쳐진 이중 또는 다중 천 구조의 적용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권취장치(300)는 적재함 전단부에 설치되는바, 이에 소프트한 커버(100)는 전단부의 권취장치로부터 후방으로 인출(적재함 개방)되거나, 반대로 권취장치로 전방 인입(적재함 닫음)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적재함 개폐시에 커버(100)는 대략 수평으로 전후 슬라이드 이동을 하도록 구비되는데, 커버 후단부에는 커버 완전 닫힘 상태에서 플랩(3)과의 공간을 밀폐하는 엔드부재(110)가 일체로 설치된다.
상기 엔드부재(110)는 소프트한 시트 재질의 커버와 달리 경질의 재질로 제작된 구조물로, 성형이 용이한 재질, 예컨대 플라스틱과 같은 고분자 수지나 금속 등의 재질로 성형 제작되어 커버 후단부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엔드부재(110)가 커버 후단부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엔드부재를 전후로 밀거나 당기는 경우, 커버(100)가 권취장치(300)로부터 인출 또는 인입되면서 가이드 레일(200)을 따라 전후 이동되고, 따라서 적재함이 개폐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엔드부재(110)를 밀고 당기는 조작에 의해 커버(100) 이동량 및 개폐 정도의 조절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적재함 상면이 완전히 닫히도록 엔드부재(110)와 커버(100)를 후방으로 최대한 당겨주게 되면, 엔드부재(110)가 플랩(3) 상단부까지 이동되어 안착될 수 있으며, 이 상태에서는 적재함 전체가 개방됨 없이 상기 커버(100)에 의해 완전히 밀폐된 상태가 된다.
또한 커버(100)의 완전 닫힘시에 엔드부재(110)가 플랩(3)까지의 적재함 후단부 상면을 완전히 덮는 동시에 커버(100)와 플랩(3) 사이를 밀폐하게 되면서, 빗물 등의 수분 유입을 차단하게 되고, 적재함 내에 적재된 화물을 임의로 꺼낼 수 없게 해준다.
상기 엔드부재(110)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은 뒤 전후로 밀고 당길 수 있는 손잡이(111)가 설치될 수 있으며, 더불어 커버(100)를 완전 닫힘 상태로 고정하기 위한 커버고정기구(120)와, 커버의 완전 닫힘 상태에서 커버고정기구의 조작을 금지하기 위한 잠금기구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커버고정기구와 잠금기구에 대해서는 뒤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커버(100)의 시트재(101)가 권취 가능한 소프트한 재질로 되어 있으므로, 이 시트재(101)를 지지하기 위한 바(bar, 이하, '지지바'라 칭함)가 시트재(101) 내측면(커버 내측면)에 고정 설치되는데, 상기 지지바(102)는 시트재(101) 내측면에 커버 전후방향에 대해 그 횡방향으로 길게 설치된다.
이때, 커버(100)의 유연한 성질 및 권취 가능한 특성이 유지되도록 하면서도 커버(시트재)에 대한 충분한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전후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는 복수개의 지지바(102)들이 시트재(101) 내측면에 나란히 설치된다.
상기 지지바는 소정 두께의 판 형상으로 제작되어 사용될 수 있는데, 이는 금속으로 제작되거나 플라스틱 등의 고분자 수지로 제작될 수 있고, 금속재인 경우 경량의 합금 재질, 예컨대 알루미늄 합금을 사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커버 내측면에 지지바를 설치함에 있어서, 지지바를 접착제 등과 같은 접착수단으로 커버 내측면에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는 금속이 아닌 경질의 수지로 제작된 경우라면 지지바를 커버 내측면에 융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시트가 이중으로 겹쳐진 이중 시트 구조의 커버를 적용하는 경우라면, 외측과 내측의 시트재 사이에 지지바를 삽입한 상태에서, 외측과 내측의 시트재를 접착제로 서로 접합하거나, 각각의 정해진 위치에서 지지바가 고정될 수 있도록 외측과 내측의 시트재(천 등인 경우)를 실 등으로 박음질하는 방식이 적용 가능하다.
그 밖에 소프트한 시트재(101)에 경질의 지지바(102)를 고정할 수 있는 구조나 방법이라면 채택이 가능한데, 지지바에 끼움 구조를 형성하여 시트재 내측면 부분을 끼우거나, 스크류 또는 피스 등을 박아 고정하는 방법들이 적용될 수도 있다.
상기 지지바(102)는, 소프트한 시트재(101)로 이루어진 커버(100)의 개폐 동안, 또는 커버의 완전 닫힘 상태에서, 커버의 국부적인 처짐(자중 또는 빗물 등에 의한 처짐)을 방지하고, 커버 전체가 적재함 상면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할 때 커버 형상, 및 적재함 상면을 밀폐하고 있는 커버 형상을 유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결국, 지지바(102)가 설치될 경우 커버(100)가 처짐 없이 보다 안정적으로 개폐될 수 있으며, 특히 커버 닫힘 상태에서 지지바가 커버에 충분한 지지력 및 강성을 제공하므로 적재함 내 화물을 타인이 임의로 꺼낼 수 없도록 막는 도난 방지 효과가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커버(100)는 적재함 상면을 개방할 때 권취장치(300) 내부의 권취롤(후술하는 권취관)(310)에 탄력적으로 권취되고, 반대로 적재함 상면을 닫을 때 사용자의 당김에 의해 권취장치로부터 인출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커버(100)는 적재함 측면부 위치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200)을 따라 안내되어 적재함 상면을 개폐하게 되는데, 가이드 레일은 적재함 양 측면부 내측면,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재함에 설치된 커버 프레임(4)의 양 측면부 내측면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 레일(200)에는 커버(100)의 좌우 양 측단부와 더불어 커버 후단부에 설치된 엔드부재(110)의 좌우 양단부가 결합되어 안내되는데, 이때 엔드부재(110)의 양단부에 설치된 롤러(112)가 가이드 레일(200) 내측에 구름 이동될 수 있게 결합된 구성이 바람직하다.
즉, 엔드부재(110)의 롤러(112)가 가이드 레일(200) 내측을 따라 구름 이동하면서 커버(100)가 전후로 슬라이드 이동, 즉 적재함을 개폐하기 위한 전후 이동을 하는 것이며, 엔드부재의 롤러가 가이드 레일을 따라 구름 이동하는 구조가 적용되는 경우 사용자가 커버를 보다 부드럽게 열고 닫을 수 있게 된다.
가이드 레일에 대해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도 6은 가이드 레일의 단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시된 바의 단면 구조를 갖는 가이드 레일(200)이 커버 프레임(4)의 양 측면부 내측면에 차체 전후방향을 따라 길게 설치된다(도 5 참조).
이러한 구조에서는, 커버(100)가 적재함 상면 위치를 따라 전후로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차량 적재함을 개폐하는 동안, 커버 전단부의 롤러(112), 즉 커버 전단부의 엔드부재(110)에 설치된 롤러(112)가 가이드 레일(200)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로 이동된다.
이때, 롤러(112)가 가이드 레일(200)의 하부에 설치된 롤러지지부(210)에서 구름 이동을 하게 되는데, 롤러지지부(210)는 가이드 레일(200)의 하부에 롤러(112)가 안착된 상태로 구름 이동할 수 있도록 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설치된다.
또한 가이드 레일(200)의 타측, 예컨대 가이드 레일의 상부에는 커버(100)의 좌우 양 측단부가 삽입되어 이동되는 부분인 측단삽입부(220)가 요홈 구조로 형성되며, 이 측단삽입부 역시 롤러지지부와 마찬가지로 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상기 측단삽입부(220)에는 커버(100)의 좌우 양 측단부뿐만 아니라 커버 내측면(시트재 내측면)에 고정 설치된 지지바(102)의 양단부가 삽입되며, 커버(100)의 개폐 이동시 커버 양 측단부 및 지지바 양단부가 측단삽입부(220) 내측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측단삽입부(220) 내측의 하부면에는 지지바(102)가 저마찰 상태로 보다 부드럽게 이동할 수 있도록 패드(221)가 설치되며, 상기 패드(221)는 하측의 지지바(102)가 접촉하는 부재가 된다.
상기 지지바(102)가 가이드 레일(200)의 측단삽입부(220) 하부면에 직접 접촉하여 슬라이딩 되면, 접촉 부분의 마모 및 소음이 발생할 수 있는바, 지지바(102)가 접촉하는 가이드 레일(200)의 내측면, 즉 측단삽입부(220)의 하부면에 상기 패드(221)를 설치하여 이러한 문제가 해소될 수 있도록 한다.
패드의 재질로는 금속이나 플라스틱 재질과 접촉하였을 때 소음 및 마찰을 줄일 수 있는 재질이라면 본 발명에서 특정하게 한정하지 않는다.
아울러, 측단삽입부(220) 상부면에는 커버(100) 측단부와의 사이에 발생하는 간극을 없애 빗물 등 물의 유입을 차단해주는 실링부재(222)를 설치함이 바람직한데, 실링부재(222)는 플록킹(flocking) 부재가 될 수 있다.
상기 플록킹 부재(222)는 커버(100)와 가이드 레일(200) 사이의 간극을 통해 물이 유입되는 것을 막아주는 수밀 역할을 하는 것으로, 빗물 등이 적재함 내부로 흘러내리는 것을 1차적으로 차단하게 된다.
또한 상기 플록킹 부재(222)는 커버와의 충격을 완화시키고, 소음 발생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패드(221)와 플록킹 부재(222)는 가이드 레일(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설치되며, 고정을 위해 설치면에 접착제 등의 접착수단으로 접착하는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수밀 구조가 제공됨에도 커버(100) 상면에서 상기 간극, 즉 커버(100)와 측단삽입부(220) 사이의 간극으로 빗물이 유입될 수 있으며, 유입된 빗물이 적재함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측단삽입부(220)로 유입된 빗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 구조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가이드 레일(200)에서 측단삽입부(220) 하측을 따라 커버(100)와 측단삽입부(220) 사이로 유입된 빗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물통로부(230)가 형성되는데, 이 물통로부(230)는 측단삽입부(220)와 연통된 구조로 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설치된다.
상기 물통로부(230)는 물을 가이드 레일(200)의 후단 쪽으로 이동시켜 차체 외부로 최종 배출하기 위해 구비되는 통로로서, 물이 가이드 레일(200)의 후단 쪽으로 이동된 뒤 배출될 수 있게 상기 물통로부(230)가 적재함 후단 및 가이드 레일(200) 후단 쪽으로 가면서 아래로 경사지도록, 즉 후단 쪽으로 가면서 물통로부(230)의 높이가 낮아지도록 형성된다.
이때, 물통로부(230)만 하향 경사지게 형성할 수 있으나, 커버 프레임(4) 내측면에 가이드 레일(200) 자체를 후단으로 가면서 하향 경사지게 설치하는 것도 적용 가능하다.
이로써 물통로부(230)에 의해 커버(100)와 가이드 레일(200) 사이로 유입된 빗물이 물통로부의 후단부로 이동하여 외부로 최종 배출될 수 있게 되는데, 물통로부의 후단부로 이동한 물을 차량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통로가 설치되어야 한다.
즉, 물 배출이 가능하도록 추가적인 통로수단이 물통로부의 후단부로부터 차체 하부로 연장 설치되는 것이며, 이 추가적인 통로수단에 대해서는 도시를 생략하였으나, 물통로부에서 배출되는 물이 차체 하부로 흘러내릴 수 있도록 연결되는 다양한 형상 및 구조의 통로수단, 예컨대 호스나 파이프, 기타 물 배출 유도가 가능한 구조물을 연결 설치하는 것으로 실시 가능하다.
한편, 커버(100)를 후방으로 최대한 이동시켜 적재함을 완전히 닫았을 때 커버(100)의 이동을 구속하여 그 닫힘 상태를 유지하는 커버고정기구(120)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커버고정기구(120)는 엔드부재(110)에 설치되며, 엔드부재 외측면에 설치된 손잡이(111)의 회전 조작에 연동하여 커버(100)를 완전 닫힘 위치에서 가이드 레일(200)에 록킹 또는 해제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커버고정기구(120)는 엔드부재(110) 내측에 좌우방향으로 전후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전진 이동시에 엔드부재(110) 끝단으로부터 돌출 작동하여 가이드 레일(200) 후단부에 형성된 록킹홀(201)에 록킹되는 록킹로드(121)와, 엔드부재(110) 내측에서 손잡이(111)와 일체 회전되도록 설치되는 회전바(123)와, 상기 회전바(123)의 회전력을 전후진 이동력으로 변환하여 록킹로드(121)를 록킹 또는 해제 위치로 이동시키는 링크(1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 장치에서 커버고정기구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손잡이(111)는 엔드부재(110) 외측면에 고정 설치된 브라켓(125)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엔드부재(110) 내부로 관통하도록 손잡이(111)에 일체로 설치된 축(126)에 상기 회전바(123)가 고정 결합된다.
또한 회전바(123)의 양단부에 각 링크(124)의 일단부가 힌지 결합되고, 각 링크(124)의 타단부에는 록킹로드(121)가 힌지 결합되는바, 손잡이(111)의 회전 조작으로 회전바(123)가 일체 회전되면, 상기 링크(124)가 동작되면서 록킹로드(121)를 중앙으로 당기거나 측방으로 밀어주게 있다.
이에 좌우 두 록킹로드(121)가 동시에 전진 또는 후진하게 되는데, 손잡이(111)를 회전시켜 좌우 두 록킹로드(121)가 측방으로 전진할 경우, 엔드부재(110)에서 각 록킹로드(121)가 동시에 측방 돌출되면서 가이드 레일(200) 후단부(또는 커버 프레임 측면부) 내측면에 형성된 록킹홀(201)에 삽입되어 록킹된다.
이 상태에서는 엔드부재(110)의 록킹로드(121)가 가이드 레일(200) 후단부의 록킹홀(201)에 걸려 있는 상태이므로 엔드부재(110)는 물론 커버(100) 전체의 위치가 닫힘 위치로 고정된다.
또한 손잡이(111)를 반대로 회전시켜 회전바(123)가 반대로 일체 회전되면, 회전바(123)가 링크(124)를 당겨주게 되어, 각 록킹로드(121)가 동시에 엔드부재(110)에서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록킹홀(201)로부터 빠져나오게 되고, 이로써 록킹이 해제된다.
이때, 엔드부재(110)와 가이드 레일(200) 간의 록킹이 해제된 상태가 되므로 사용자가 손잡이(111)를 잡고 전방으로 밀어줄 경우 커버(100)가 열릴 수 있게 된다.
상기 록킹로드(121)은 엔드부재(110) 내측면에서 마운팅 부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축 방향으로 전후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손잡이(111)에는 키 조작에 따라 그 회전 조작을 잠금 또는 해제하는 잠금장치가 구비될 수 있는데, 이 잠금장치는 키를 손잡이(111)의 키 홀(111a)에 삽입한 뒤 회전 조작함에 따라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손잡이(111)와 고정 설치된 브라켓(125) 간을 선택적으로 잠금/해제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진다.
상기 잠금장치는 키를 삽입하여 회전요소의 회전 조작을 금하거나 해제하는 통상의 키뭉치를 내장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키를 키 홀(111a)에 삽입 조작하는 것에 의해 회전요소를 선택적으로 구속/해제하는 키뭉치, 및 이를 이용한 잠금장치의 구성에 대해서는 공지의 기술적 사항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 4에서 도면부호 240은 커버의 최대 개방 위치를 설정하고 규제하기 위한 스토퍼로서, 좌우 양측 가이드 레일(200)의 전단부 내측면에 돌출되도록 설치되며, 커버(100)가 최대로 열리어 미리 설정된 위치(최대 개방 위치, 즉 최대로 전방 이동된 위치)에 도달하면, 엔드부재(110) 내측단이 스토퍼(240)에 부딪히면서 걸리도록 되어 있는바, 이때 커버(100)가 더 이상 전방 이동(열리는 방향으로 이동)되지 않고 멈추게 된다.
이로써 커버(100)가 권취장치(300)에 규정량 이상 과도하게 감겨 들어가지 않도록 규제될 수 있으며, 또한 손잡이(111)가 설치된 엔드부재(110)가 전방으로 깊이 들어가지 않게 규제되므로 커버를 다시 닫을 때 손잡이의 사용이 편해지게 된다.
커버(100)가 열린 상태에서 손잡이(111)가 전방으로 너무 깊게 들어가 있으면 커버를 다시 닫을 때 사용자가 손잡이를 잡는데 어려움이 있으므로, 스토퍼(240)를 이용하여 커버의 최대 개방 위치를 전방으로 너무 들어가지 않은 적절한 위치로 설정해둔다.
한편, 권취장치(300)는 소프트한 시트재(101)로 이루어진 커버(100)를 탄력적으로 권취하여 인입하기 위한 장치로서, 사용자가 손잡이(111)를 잡고 후방으로, 즉 적재함 후단부 쪽으로 당겨줄 경우 커버(100)를 풀어주어 인출시키고, 반면 손잡이(111)를 잡고 전방으로 밀어 이동시킬 때 커버(100)를 탄력적으로 감아주어 인입시키게 된다.
상기 권취장치(300)는 커버(100)의 개폐 조작, 특히 적재함 개방시에 적은 힘으로도 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해주며, 적재함이 개방된 상태에서 불필요한 커버 부분(적재함을 덮고 있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커버 부분)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도록 수납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에 커버가 어느 위치에 있든 실제 적재함을 덮고 있는 커버 부분만이 외부로 노출되어 외관 저하가 방지될 수 있고, 커버를 탄력적으로 권취하므로 불필요한 커버 부분의 취부 및 수납이 용이해진다.
본 발명에서는 구성의 간단화, 부피의 최소화, 중량 저감이라는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술한 커버뿐만 아니라 권취장치에 대해서도 컴팩트하고 경량화될 수 있는 구조를 제시한다.
그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권취장치(300)는 차량 적재함의 전단부, 바람직하게는 커버 프레임(4)의 전단부에 좌우 횡방향으로 길게 배치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커버(100)의 전단부가 고정되어 회전시 커버(100)를 권취하도록 된 권취롤과, 커버(100)가 탄력적으로 권취될 수 있도록 상기 권취롤을 탄력적으로 복원 회전시키는 스프링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권취롤로는 원형의 관(110)(이하, '권취관'이라 칭함)이 사용되며, 이 권취관(310)은 적재함 좌우 내측면(바람직하게는 커버 프레임 좌우 내측면)에 고정 설치된 마운팅 브라켓(320) 및 고정축(33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권취관(310)은 알루미늄 합금 등의 금속이나 플라스틱 등으로 성형 제작될 수 있는데, 일측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돌출된 구조의 돌출부(311)가 길게 형성되며, 권취관(310)의 외주면에서 상기 돌출부(311)가 형성된 부분은 내측으로 요입된 홈 부분(312)이 된다.
이 홈 부분(312)은 커버(100)의 전단부가 고정되는 부분으로, 권취관(310)에 커버(100)의 전단부가 고정되는 구조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다.
즉, 커버(100)의 전단부(시트재 부분임)를 곡면판(313)에 감아 준 뒤, 커버 전단부가 감긴 곡면판(313)을 권취관(310)의 외주상에서 홈 부분(312) 내측으로 삽입하고, 커버(100)의 전단부와 곡면판(313), 권취관(310)을 피스, 스크류 등의 체결수단으로 함께 체결하게 된다.
이때, 곡면판(313)과 이에 감긴 커버 부분, 그리고 상기 체결수단이 모두 홈 부분(312) 내측에 위치하게 되고, 또한 홈 부분(312) 내측에서 커버(100)와 권취관(310) 사이의 고정이 이루어지므로, 권취관 외주상에서 커버 전단부의 체결로 인해 돌출되는 부분은 없게 된다.
따라서, 커버(100)가 권취관(310) 외주상에서 국부적으로 돌출된 부분 없이 가능한 한 원형으로 감겨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권취관(310)은 회전 가능한 구조가 될 수 있도록 커버 프레임(4)의 좌우 측면부(적재함의 좌우 측면부) 사이를 연결하는 고정축(330) 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설치되는데, 상기 고정축(330)은 권취관(310) 내부를 통과하여 커버 프레임(4) 측면부에 장착된 좌우 양측의 마운팅 브라켓(320) 사이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권취관(310)이 고정축(330) 상에 베어링(331)을 개재한 상태로 설치된다.
보다 상세히는, 권취관(310) 내부에 좌우 양측으로 원형의 관지지부(333)가 고정 설치되며, 관지지부(333)와 고정축(330) 사이에 베어링(331)이 개재된다.
이때, 관지지부(333)의 원주상에 요입홈(334)이 형성되는데, 이 요입홈(334)에 권취관(310) 내주상의 돌출부(311)가 끼워져 결합됨으로써, 상기 권취관(310)과 관지지부(333)가 일체 회전될 수 있게 서로 고정된다.
그리고, 마운팅 브라켓(320)은 일 측면이 개구된 케이스 형상으로 제작되고, 가이드 레일(200) 후측에 위치되도록 적재함의 좌우 각 측면부(커버 프레임의 측면부)에 체결 고정되며, 내부공간에는 권취관(310)의 외주상에 권취된 커버(100)의 측단부가 넣어지게 된다.
또한 마운팅 브라켓(320)의 후면에는 커버(100)의 닫힘시에 내부에 넣어진 커버(100)가 후방으로 인출되도록 하는 인출구(321)가 형성되며, 마운팅 브라켓(320)의 후면에서 이 인출구(321)의 높이는 커버(100)의 측단부가 규정된 높이에서 인출되어 가이드 레일(200)의 측단삽입부(220) 내측으로 원활히 삽입될 수 있는 높이로 적절히 설정된다.
커버 닫힘시에 커버(100)의 측단부가 마운팅 브라켓(320)의 인출구(321)를 빠져나와 보다 원활히 측단삽입부(220)로 진행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출구(321)가 가이드 레일(200)의 측단삽입부(220) 높이와 대략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운팅 브라켓(320)에서 커버 프레임(4)의 측면부에 접합 체결되는 측면에는 고정축(330)의 단부가 회전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도록 삽입되는 축삽입홀(322)이 형성된다.
또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마운팅 브라켓(320)의 인출구(321) 하단에는 인출구(321)를 통해 인출되는 커버(100)를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히 커버(100)에 설치된 지지바(102)가 인출구(321)를 통해 빠져나갈 때 인출구(321)에 걸리지 않도록 하는 커버 가이드(323)가 설치된다.
상기 커버 가이드(323)는 마운팅 브라켓(320) 내에서 인출구(321) 하단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판상 구조로 설치될 수 있는데, 예시된 바와 같이 인출구(321) 하단에서 마운팅 브라켓(320) 저면으로 연장되는 곡면판 구조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커버 가이드(323)는 커버(100)의 측단부가 인출구(321)를 통해 인출될 때 특히 지지바(102)를 인출구(321) 쪽으로 가이드하여 지지바(102)가 인출구(321) 하단에 걸리지 않고 원활히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해준다.
만약, 커버 가이드(323)가 설치되지 않은 경우라면, 마운팅 브라켓(320) 내측에서 지지바(102)가 인출구(321)를 통해 빠져나갈 때, 인출구(321) 하측으로 처져 있는 지지바(102)들이 인출구(321) 하단에 걸리면서 인출이 잘 되지 않거나, 계속해서 소음(지지바가 인출구 하부 끝단에 걸리면서 부딪히는 소음)을 발생시키면서 인출된다.
따라서, 커버 가이드(323)를 설치하여 지지바(102)를 포함한 커버(100)가 인출구(321)를 통해 원활히 인출될 수 있도록 하고, 소음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 장치에서 마운팅 브라켓과 가이드 레일, 하부 커버의 조립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운팅 브라켓(320)의 후면, 예컨대 마운팅 브라켓(320) 후면의 인출구(321) 하측으로는 가이드 레일(200)의 물통로부(230)가 연결되는 배수홀(324)이 형성된다.
상기 배수홀(324)에는 물통로부(230)의 전단이 연결되어, 물통로부(230)의 내부공간(물이 흐르는 배수 유로가 됨)과 마운팅 브라켓(320)의 안쪽 공간이 서로 연통되도록 한다.
이는 차량이 내리막 도로를 주행하거나 내리막 도로에서 차량 앞쪽이 아래를 향하도록 주차된 경우에서 물통로부(230)로 유입된 물이 전방으로 이동하여 배수홀(324)을 통해 마운팅 브라켓(320) 안쪽 공간으로 배수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마운팅 브라켓(320)의 하측에는 권취장치(300)의 하측을 덮는 하부 커버(6)가 설치되는데, 상기 하부 커버(6)는 좌우 양측의 두 마운팅 브라켓(320) 사이에 연결 설치된다.
이러한 하부 커버(6)는 물받이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커버(100) 상측에서 유입된 빗물과 물통로부(230)에서 마운팅 브라켓(320) 안쪽 공간으로 흘러들어온 물을 차량 하부(적재함 외부)로 유도 및 배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하부 커버(6)의 바닥면 전단 끝은 승용 공간을 형성하는 차체 부분과 후측의 적재함 사이의 간극 상측에 위치되는바, 하부 커버(6)로 이동된 물은 승용 공간의 차체 부분과 적재함 사이의 간극을 통해 차체 하부로 최종 배출되게 된다(통상 승용 공간의 차체 부분 후면과 적재함 전면은 일체로 연결되어 있지 않고 이격되어 간극이 존재함).
또한 마운팅 브라켓(320)의 바닥면 전단에도 슬릿(325)을 형성하여 마운팅 브라켓(320) 안쪽 공간으로 유입된 물이 마운팅 브라켓(320)에서 직접 상기 승용 공간의 차체 부분과 적재함 사이의 간극을 통해 배수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부재는 고정축(330)과 권취관(310) 사이에 설치되어 권취관(310)을 커버(100) 열림 방향, 즉 커버(100)를 감아주는 방향으로 탄력 회전시키는 탄성복원력을 제공한다.
상기 권취관(310)이 안정적으로 탄력 회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스프링부재의 탄성복원력이 권취관(310) 좌우 양단에 어느 한쪽으로의 치우침 없이 균형적으로 작용되어야 한다.
또한 권취롤이 실축(實軸) 구조가 아닌 관(권취관)으로 구비됨을 고려하여 스프링부재의 설치 구조, 스프링부재와 권취관의 연결 구조, 커버 프레임이나 마운팅 브라켓 등의 고정요소와의 스프링부재의 연결 구조 등이 적절히 설계되어야 하고, 스프링부재의 중량이 과하게 커지지 않도록 하는 것도 필요하다.
이를 위해, 스프링부재를 고정축(330) 상에 설치되는 코일스프링(340)으로 하되, 권취관(310)의 좌우 양단에 균형적으로 탄성복원력이 작용될 수 있도록 코일스프링(340)을 고정축(330)의 중앙부에 설치한다.
그리고, 고정축(330) 상에 원판 형상의 제1스프링지지부(341)를 일체로 고정 설치하고, 권취관(310)과 일체 회전되도록 권취관(310)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원판 형상의 제2스프링지지부(342)를 상기 고정축(330)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다.
이때, 권취관(310)과 제2스프링지지부(342)가 일체 회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2스프링지지부(342)의 원주상에 요입홈(343)을 형성하고, 이 요입홈(343)에 권취관(310)의 돌출부(311)가 삽입되도록 결합한다.
또한 제1스프링지지부(341)와 제2스프링지지부(342) 사이의 고정축(330) 외주상으로 코일스프링(340)을 장착하는데, 코일스프링(340)의 일단부가 제1스프링지지부(341)에 고정되고, 코일스프링(340)의 타단부가 제2스프링지지부(342)에 고정된다.
이로써 커버(100)의 인출시(커버 닫힘시)에 권취관(310)이 회전될 때 제2스프링지지부(342)가 일체로 회전되면서 이에 고정된 코일스프링(340)이 변형되고, 커버(100)의 인입시(커버 열림시)에는 코일스프링(34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제2스프링지지부(342) 및 권취관(310)이 역방향으로 회전되면서 권취관(310)에 커버(100)가 탄력적으로 감겨지게 된다.
물론, 커버(100)가 권취관(310)에 감겨질 때 지지바(102)도 커버(100)에 고정된 상태로 함께 감겨지게 된다.
이러한 권취장치(300)의 작동시 고정축(330), 제1스프링지지부(341)는 회전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로 있게 되며, 코일스프링(340)의 변형 및 복원시에 제2스프링지지부(342)와 권취관(310)만이 회전되게 된다.
또한 제2스프링지지부(342)를 통해 권취관(310)의 중앙부로 코일스프링(340)의 탄성복원력이 인가되며, 커버(100)를 권취하려는 힘, 즉 탄성복원력이 권취관(310) 좌우 양단의 치우침 없이 균형적으로 가해질 수 있는바, 커버(100)의 권취시뿐만 아니라 인출시에도 안정적인 동작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하여, 권취장치를 포함한 커버 장치 전체의 구성 및 작동상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는바, 사용자가 권취장치로부터 커버를 후방으로 인출시킴으로써 적재함 상면을 덮을 수 있으며, 화물 적재나 하차시에는 커버를 전방으로 밀면서 인입시킴으로써 적재함 상면을 개방할 수 있게 된다.
도 3 및 도 4에서 도면부호 5는 커버 프레임(4)의 전단부에 권취장치(300)의 상측을 덮을 수 있도록 설치되는 추가적인 커버, 즉 상부 커버를 나타내며, 이 상부 커버(5)는 빗물이 권취장치(300) 쪽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 장치를 도시한 도면으로, 이는 상술한 커버 구성, 즉 천이나 비닐 등의 소프트한 시트재에 지지바를 부착한 커버 형태 대신, 복수개의 바(bar)(103)를 연결하여 구성한 커버(100)를 사용한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바(103)의 재질은 경량의 알루미늄 합금 등 금속 재질이 될 수 있으며, 횡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금속 바(103)들을 힌지 구조로 서로 연접되게 연결하여 권취가 가능한 판상의 커버 구조물을 구성한다.
이렇게 구성된 커버 역시 권취장치의 권취관에 동일하게 감겨질 수 있는 구조가 되며, 이러한 커버를 제외한 나머지 다른 구성부에 대해서는 앞서 설명한 도 3 및 도 4의 실시예와 비교할 때 차이가 없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는바,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1 : 차량 3 : 플랩
4 : 커버 프레임 5 : 상부 커버
6 : 하부 커버
100 : 커버 101 : 시트재
102 : 지지바 103 : 바
110 : 엔드부재 111 : 손잡이
111a : 키 홀 112 : 롤러
120 : 커버고정기구 121 : 록킹로드
123 : 회전바 124 : 링크
125 : 브라켓 126 : 축
200 : 가이드 레일 201 : 록킹홀
210 : 롤러지지부 220 : 측단삽입부
221 : 패드 222 : 플록킹 부재
230 : 물통로부 240 : 스토퍼
300 : 권취장치 310 : 권취관
320 : 마운팅 브라켓 330 : 고정축
311 : 돌출부 312 : 홈 부분
313 : 곡면판 321 : 인출구
322 : 축삽입홀 323 : 커버 가이드
324 : 배수홀 325 : 슬릿
331 : 베어링 333 : 관지지부
334 : 요입홈 340 : 코일스프링
341 : 제1스프링지지부 342 : 제2스프링지지부
343 : 요입홈

Claims (26)

  1. 차량 적재함의 상측에서 전후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차량 적재함의 상면을 개폐하는 소프트 탑 타입의 커버(100);
    상기 커버(100)의 측단부가 결합된 상태로 차량 적재함의 좌우 양 측면부를 따라 전후로 길게 설치되어 커버(100)의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200);
    차량 적재함의 전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커버(100)의 전단부가 감겨진 상태로 커버(100)를 인출 및 탄력적으로 권취하는 권취장치(300);
    를 포함하며,
    상기 권취장치(300)는 원형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차량 적재함의 전단부에 좌우 횡방향으로 길게 배치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커버(100)의 전단부가 고정되어 회전시 상기 커버(100)를 권취하는 권취관(310)과, 상기 커버(100)가 탄력적으로 권취될 수 있도록 권취관(310)을 탄력적으로 복원 회전시키는 스프링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차량 적재함의 좌우 내측면에 각각 마운팅 브라켓(320)이 고정 설치되고, 상기 권취관(310)의 내부를 통과하여 상기 좌우측 마운팅 브라켓(320) 사이를 연결하도록 고정되는 고정축(330)이 설치되며, 상기 권취관(310)이 고정축(330) 상에 베어링(331)을 개재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마운팅 브라켓(320) 후면에는 배수홀(324)이 형성되고,
    가이드 레일(200)에는 측단삽입부(220)의 하측으로 커버(100)와 측단삽입부(220) 사이로 유입된 물을 배출하기 위한 물통로부(230)가 형성되며,
    상기 물통로부(230)가 상측의 측단삽입부(220)와 연통된 구조로 가이드 레일(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고,
    상기 물통로부(230)의 전단이 상기 마운팅 브라켓(320)의 배수홀(324)에 연결되어,
    상기 물통로부(230)의 물이 마운팅 브라켓(320)의 안쪽 공간을 통해 배수되도록 물통로부(230)와 마운팅 브라켓(320)의 안쪽 공간이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 탑 타입의 차량 적재함용 커버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100)는
    상기 권취장치(300)에 의해 권취될 수 있는 시트재(101)와;
    상기 시트재(101)의 내측면에 커버(100)의 전후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도록 고정되는 지지바(102);
    를 포함하며, 상기 시트재(101)에 복수개의 지지바(102)가 나란히 배열되도록 설치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 탑 타입의 차량 적재함용 커버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시트재(101)는 직조되거나 직조되지 않은 천 또는 가죽 또는 권취 가능한 고분자 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 탑 타입의 차량 적재함용 커버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 후단부에 엔드부재(110)가 고정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200)에 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롤러지지부(210)가 형성되며, 상기 엔드부재(110)의 양단부에 상기 롤러지지부(210)를 따라 구름 이동하는 롤러(112)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 탑 타입의 차량 적재함용 커버 장치.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200)에는 커버(100)의 좌우 양 측단부가 삽입되어 이동되는 부분인 측단삽입부(220)가 형성되고, 상기 측단삽입부(220)의 하부면을 따라서는 커버 내측면과 접촉하는 패드(221)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 탑 타입의 차량 적재함용 커버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200)에서 측단삽입부(220)의 상부면을 따라서는 커버(100)와의 간극으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실링부재(222)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 탑 타입의 차량 적재함용 커버 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200)에서 측단삽입부(220)의 하측으로는 커버(100)와 측단삽입부(220) 사이로 유입된 물을 배출하기 위한 물통로부(230)가 형성되고, 상기 물통로부(230)는 상측의 측단삽입부(220)와 연통된 구조로 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 탑 타입의 차량 적재함용 커버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물통로부(230)는 내부로 유입된 물이 가이드 레일(200) 후단 쪽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 레일(200) 후단으로 가면서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 탑 타입의 차량 적재함용 커버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물통로부(230)가 하향으로 경사지도록 물통로부(230)가 형성된 상기 가이드 레일(200) 전체가 후단으로 가면서 하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 탑 타입의 차량 적재함용 커버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 후단부에는 엔드부재(110)가 고정 설치되고, 상기 엔드부재(110)에 커버(100)를 완전 닫힘 상태로 위치 고정하기 위한 커버고정기구(12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 탑 타입의 차량 적재함용 커버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커버고정기구(120)는 엔드부재(110) 외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손잡이(111)의 회전 조작에 연동하여 상기 커버(100)를 닫힘 상태로 록킹 또는 해제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엔드부재(110) 내측에 좌우방향으로 전후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전진 이동시에 엔드부재(110) 끝단으로부터 돌출 작동하여 가이드 레일(200) 후단부에 형성된 록킹홀(201)에 록킹되는 록킹로드(121)와;
    상기 손잡이(111)에 엔드부재(110)를 관통하도록 설치된 축(126)에 고정되어 엔드부재(110) 내측에서 손잡이(111)와 일체 회전되는 회전바(123)와;
    상기 회전바(123)의 회전력을 전후진 이동력으로 변환하여 록킹로드(121)를 록킹 또는 해제 위치로 이동시키는 링크(124);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 탑 타입의 차량 적재함용 커버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111)가 엔드부재(110) 외측면에 고정 설치된 브라켓(125)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손잡이(111)에 키 조작에 따라 손잡이(111)의 회전 조작을 잠금 또는 해제해주는 잠금장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 탑 타입의 차량 적재함용 커버 장치.
  13. 삭제
  14. 삭제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권취관(310) 내부에 원형의 관지지부(333)가 고정 설치되고, 상기 관지지부(333)와 고정축(330) 사이에 베어링(331)이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 탑 타입의 차량 적재함용 커버 장치.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관지지부(333)의 원주상에 요입홈(334)이 형성되고, 상기 권취관(310)은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고 내측으로 돌출된 돌출부(311)를 가지며, 상기 요입홈(334)에 상기 돌출부(311)가 결합됨으로써 상기 관지지부(333)가 권취관(310)에 일체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 탑 타입의 차량 적재함용 커버 장치.
  1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브라켓(320)은 내부공간에 권취관(310)의 외주상에 권취된 커버(100)의 측단부가 넣어지도록 일 측면이 개구된 케이스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마운팅 브라켓(320)의 후면에는 내부에 넣어진 커버(100)를 후방으로 인출시키는 인출구(321)가 형성되며,
    상기 인출구(321)에서 커버(100)가 원활히 인출될 수 있도록 마운팅 브라켓(320) 내 인출구(321) 하단에는 하측으로 연장된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커버(100)를 인출구(321)로 안내하는 커버 가이드(323)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 탑 타입의 차량 적재함용 커버 장치.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커버 가이드(323)가 인출구(321) 하단에서 마운팅 브라켓(320) 저면으로 연장되는 곡면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 탑 타입의 차량 적재함용 커버 장치.
  1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권취관(310)과 고정축(330) 사이에 권취관(310)을 탄력적으로 복원 회전시키는 스프링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스프링부재가 고정축(330)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일단부가 고정축(330)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권취관(310)에 연결되는 코일스프링(3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 탑 타입의 차량 적재함용 커버 장치.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권취관(310) 내측의 고정축(330) 상에 제1스프링지지부(341)가 고정 설치되고,
    상기 권취관(310) 내측의 고정축(330) 상에 제2스프링지지부(342)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2스프링지지부(342)가 권취관(310)에 일체 회전되도록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코일스프링(340)의 일단부가 제1스프링지지부(341)에, 상기 코일스프링(340)의 타단부가 제2스프링지지부(342)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 탑 타입의 차량 적재함용 커버 장치.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제2스프링지지부(342)의 원주상에 요입홈(343)이 형성되고, 상기 권취관(310)은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고 내측으로 돌출된 돌출부(311)를 가지며, 상기 요입홈(343)에 돌출부(311)가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2스프링지지부(342)가 권취관(310)에 일체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 탑 타입의 차량 적재함용 커버 장치.
  2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권취관(310)은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고 내측으로 요입된 홈 부분(312)을 가지며, 커버 전단부가 감겨진 곡면판(313)이 권취관(310)의 홈 부분(312) 내측에 체결 고정됨으로써 커버 전단부가 권취관(310)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 탑 타입의 차량 적재함용 커버 장치.
  2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적재함의 상측에 커버 프레임(4)이 장착되어 커버 프레임(4)의 측면부가 차량 적재함의 측면부를 이루면서, 상기 커버 프레임(4)의 측면부에 상기 가이드 레일(200)과 권취장치(300)가 지지되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 탑 타입의 차량 적재함용 커버 장치.
  2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100)가 횡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바(bar)(103)들을 힌지 구조로 서로 연접되게 연결하여 권취 가능한 판상 구조물로 제작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 탑 타입의 차량 적재함용 커버 장치.
  25. 삭제
  2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브라켓(320)의 하측에는 권취장치(300)의 하측을 덮도록 하부 커버(6)가 설치되어, 권취장치(300)로 유입된 빗물과 물통로부(230)에서 마운팅 브라켓(320)의 안쪽 공간으로 유입된 물이 상기 하부 커버(6)를 통해 적재함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 탑 타입의 적재함용 커버 장치.
KR1020120033614A 2012-03-30 2012-03-30 소프트 탑 타입의 차량 적재함용 커버 장치 KR1012828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3614A KR101282896B1 (ko) 2012-03-30 2012-03-30 소프트 탑 타입의 차량 적재함용 커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3614A KR101282896B1 (ko) 2012-03-30 2012-03-30 소프트 탑 타입의 차량 적재함용 커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2896B1 true KR101282896B1 (ko) 2013-07-05

Family

ID=48996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3614A KR101282896B1 (ko) 2012-03-30 2012-03-30 소프트 탑 타입의 차량 적재함용 커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289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1046U (ko) 2018-11-15 2020-05-25 이기봉 지프형 픽업 차량의 적재함 덮개장치
KR102248678B1 (ko) * 2020-10-15 2021-05-06 (주)우보텍 자동차 부품 이송용 파렛트의 천정 개폐장치
CN113815518A (zh) * 2020-06-18 2021-12-21 瑞维安知识产权控股有限责任公司 用于车辆的可展开车厢盖以及相关联的展开方法
KR102650836B1 (ko) * 2023-11-10 2024-03-22 한찬범 자동차 부품 운반 대차용 자동문 및 이를 구비한 대차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2183A (ko) * 1993-06-30 1995-01-04 윤종용 자동이득 제어회로
KR20020049580A (ko) * 2000-12-19 2002-06-26 류정열 차량 글로브박스의 잠금장치
KR100385917B1 (ko) * 2001-06-27 2003-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온 주입 시스템의 진공 펌핑 장치
KR100453425B1 (ko) * 1997-01-30 2005-05-24 휴렛-팩커드 컴퍼니(델라웨어주법인) 교체가능한잉크저장용기와그삽입방법
KR20060012090A (ko) * 2004-08-02 2006-0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트럭 적재함의 커버 설치구조
JP2007075336A (ja) * 2005-09-14 2007-03-29 Modern Plastic:Kk オープンショーケース用ナイトカバー巻取り装置
KR20090105215A (ko) * 2008-04-02 2009-10-07 문종녕 차량 적재함의 자동커버장치
KR101032768B1 (ko) * 2010-11-29 2011-05-06 김용규 덤프트럭 적재함의 덮개 자동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2183A (ko) * 1993-06-30 1995-01-04 윤종용 자동이득 제어회로
KR100453425B1 (ko) * 1997-01-30 2005-05-24 휴렛-팩커드 컴퍼니(델라웨어주법인) 교체가능한잉크저장용기와그삽입방법
KR20020049580A (ko) * 2000-12-19 2002-06-26 류정열 차량 글로브박스의 잠금장치
KR100385917B1 (ko) * 2001-06-27 2003-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온 주입 시스템의 진공 펌핑 장치
KR20060012090A (ko) * 2004-08-02 2006-0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트럭 적재함의 커버 설치구조
JP2007075336A (ja) * 2005-09-14 2007-03-29 Modern Plastic:Kk オープンショーケース用ナイトカバー巻取り装置
KR20090105215A (ko) * 2008-04-02 2009-10-07 문종녕 차량 적재함의 자동커버장치
KR101032768B1 (ko) * 2010-11-29 2011-05-06 김용규 덤프트럭 적재함의 덮개 자동 개폐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1046U (ko) 2018-11-15 2020-05-25 이기봉 지프형 픽업 차량의 적재함 덮개장치
CN113815518A (zh) * 2020-06-18 2021-12-21 瑞维安知识产权控股有限责任公司 用于车辆的可展开车厢盖以及相关联的展开方法
CN113815518B (zh) * 2020-06-18 2024-05-24 瑞维安知识产权控股有限责任公司 用于车辆的可展开车厢盖以及相关联的展开方法
KR102248678B1 (ko) * 2020-10-15 2021-05-06 (주)우보텍 자동차 부품 이송용 파렛트의 천정 개폐장치
KR102650836B1 (ko) * 2023-11-10 2024-03-22 한찬범 자동차 부품 운반 대차용 자동문 및 이를 구비한 대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31989B2 (en) Tonneau cover access panel
CN106564354B (zh) 一种皮卡型货车的可折叠车厢盖
KR101282896B1 (ko) 소프트 탑 타입의 차량 적재함용 커버 장치
US10363801B2 (en) Tonneau cover access panel
US9132786B2 (en) Collapsible automotive storage container
US9944233B2 (en) Roof rack assembly and a vehicle
US6672643B1 (en) Retractable vehicle cover
US7159918B2 (en) Sliding bed extender arrangement
US8424132B2 (en) Retractable bunk
US7621586B2 (en) Sliding door roller bracket track extension with interlock
US20140103682A1 (en) Sliding / folding soft top assembly for suv
US6851741B1 (en) Vehicle with extendable cargo and/or passenger area
US20150175033A1 (en) Apparatus for mounting to a vehicle
US20060065687A1 (en) Cargo carriage for a pickup truck
US20170088057A1 (en) Cargo cover assembly with gap-hiding panels
US20110156440A1 (en) Pick-up style utility vehicle with expandable cargo bed
US20070080185A1 (en) Load carrier for vehicle roof
US20060118149A1 (en) Slide out pressure washer system
JP5223417B2 (ja) 自動車のトノカバー装置
JP2001191855A (ja) カバー装置
JP3221410U (ja) 車両用ボディカバー装置
CN215826605U (zh) 遮物帘和具有它的车辆
FR3079188A1 (fr) Dispositif d'amenagement interieur d'un habitacle de vehicule automobile et ensemble d'habitacle associe
US20230391265A1 (en) Gear trench for storing equipment and gear in a vehicle
US11661121B2 (en) Cargo management system for a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