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3613B1 - 롤 전용 접이식 파렛트 - Google Patents

롤 전용 접이식 파렛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3613B1
KR101603613B1 KR1020140061537A KR20140061537A KR101603613B1 KR 101603613 B1 KR101603613 B1 KR 101603613B1 KR 1020140061537 A KR1020140061537 A KR 1020140061537A KR 20140061537 A KR20140061537 A KR 20140061537A KR 101603613 B1 KR101603613 B1 KR 1016036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walls
side walls
folded
roll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15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4600A (ko
Inventor
장병섭
천주홍
Original Assignee
장병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병섭 filed Critical 장병섭
Priority to KR10201400615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3613B1/ko
Publication of KR201501346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46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36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36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02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 B65D19/06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with bodies formed by uni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components
    • B65D19/08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with bodies formed by uni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 B65D19/12Collapsible pal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009Materials
    • B65D2519/00014Materials for the load supporting surface
    • B65D2519/00024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009Materials
    • B65D2519/00049Materials for the base surface
    • B65D2519/00059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009Materials
    • B65D2519/00154Materials for the side walls
    • B65D2519/00164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547Connections
    • B65D2519/00577Connections structures connecting side walls, including corner posts, to each other
    • B65D2519/00582Connections structures connecting side walls, including corner posts, to each other structures intended to be disassembled, i.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 B65D2519/00587Connections structures connecting side walls, including corner posts, to each other structures intended to be disassembled, i.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side walls directly connected to each other
    • B65D2519/00592Connections structures connecting side walls, including corner posts, to each other structures intended to be disassembled, i.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side walls direct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means of hin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736Details
    • B65D2519/00865Collapsible, i.e. at least two constitutive elements remaining hingedly connec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llets (AREA)

Abstract

롤 전용 접이식 파렛트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롤 전용 접이식 파렛트는 베이스 프레임의 각 코너에 마련된 각각의 지지기둥에 하단부 양쪽이 축 결합되되, 양쪽의 각 지지기둥 사이에 서로 마주보도록 각각 배치되어 축 결합되는 한 쌍의 제1,2 측벽; 및 수평방향으로 분할되어 하부측벽과 상부측벽으로 구분되고, 상기 하부측벽과 상부측벽은 외측으로 접혀지거나 펼침이 가능하도록 힌지로 연결되며, 상기 하부측벽들의 마주보는 내측면에는 롤 제품의 코어 양단부가 안착되어 지지되는 코어 안착부가 각각 구비되고, 서로 마주보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각 하단부가 각각 축 결합되어, 상기 제1,2 측벽과 함께 롤 제품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한 쌍의 제3,4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롤 제품을 보관하거나 운반할 경우에는, 상기 제1,2 측벽을 수직으로 세워 제1 잠금수단으로 수직상태를 유지시키고, 상기 제3,4 측벽을 펼친 후 수직으로 세워 제2 잠금수단으로 수직상태를 유지시켜, 상기 롤 제품의 코어 양단부가 양쪽의 상기 코어 안착부에 안착되도록 하고, 상기 롤 제품을 보관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제2 잠금수단을 잠금 해제하여 각 상기 상부측벽을 각각 외측으로 1차로 접은 후 상기 제3,4 측벽들을 상기 베이스프레임 상면 방향으로 회동시켜 접고, 상기 제1 잠금수단을 잠금 해제하여 상기 제1,2 측벽들을 이미 접혀진 상기 제3,4 측벽 방향으로 회동시켜 접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롤 형태의 금속 박판 제품이나 롤 필름 제품 등의 코어 양단부가 안착되고 이탈방지장치로 고정되므로 롤 제품의 안정된 적재 및 보관, 운송이 가능하고, 롤 제품을 적재하지 않을 때에는 각각의 측벽들을 접어 부피를 줄일 수 있음으로써, 파레트의 보관은 물론, 운송의 편의성이 제공될 수 있고, 파렛트의 보관비용이나 운송비용 등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롤 전용 접이식 파렛트{FOLDING TYPE PALLET FOR ONLY ROLL}
본 발명은 롤 전용 접이식 파렛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롤 필름이나 금속 스트립 코일 등과 같은 롤 형태의 중량물을 안정되게 안착시켜 운반할 수 있고, 롤 운반이 완료된 후에는 접어 보관하도록 함으로써,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한 롤 전용 접이식 파렛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양한 필름, 금속 박판, 알루미늄 박판 또는 코일 형태의 제품 등은 코어에 권취하여 롤 상태로 거래되므로 매우 무겁고 쉽게 손상되며 또한 고가이므로 포장이나 운반시 상당한 주의를 요하고 있다.
이러한 롤이나 코일 형태의 제품들은 고객에게 인도될 때까지 생산 공장에서 보관, 상,하역 차량에 의한 이동 등 많은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이때 외부로부터의 물리적인 충격이나, 눈, 비, 태양광 등의 자극에 의해 손상이 예상되므로 취급시 상당한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롤 필름이나 금속박판 등의 롤 또는 코일 형태의 제품들은 대부분 나무상자나 견고한 금속상자에 적재하여 운반 보관토록 하고 있다.
종래에는 대부분 목재를 이용하여 롤 전용 파렛트를 제작하고 있었으나, 목재형 파렛트는 재활용이 불가능하여 사용후 폐기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공개실용신안 제20-2010-001934호(공개일자 : 2010년02월23일)에는 롤필름 전용 파렛트가 개시되어 있다. 이 롤필름 전용 파렛트는, 좌우로 긴 지지틀과 사방 판넬 및 뚜껑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지지틀 상부 양측에 2개의 걸림홈을 가진 받침대용 브라켓을 고정 형성하여, 드럼형 코어를 사용하는 롤필름 파렛트의 받침대간격이 조정되게 구성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파렛트는, 각각의 사방 판넬이 분리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었기 때문에 파렛트의 사용이 완료된 후에는, 사방 판넬의 보관이 곤란하였고, 각 사방 판넬을 결합시킨 상태에서 보관할 경우에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한편,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공개실용신안 제20-1998-064957호(공개일자 : 1998년11월25일)에는 롤 폴리에틸렌 필름 전용 파렛트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롤 폴리에틸렌 필림 전용 파렛트는, 고정형으로 구성됨으로써 보관시에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이로 인하여 보관 및 운송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유발되었던 것이다.
대한민국공개실용신안 제20-2010-001934호(공개일자 : 2010년02월23일) 대한민국공개실용신안 제20-1998-064957호(공개일자 : 1998년11월25일)
본 발명의 목적은, 롤 형태의 금속 박판 제품이나 롤 필름 제품 등의 코어 양단부를 안정되게 적재하여 보관 및 운송할 수 있고, 제품의 보관시 비, 바람, 태양광, 분진 등으로부터 제품을 보호할 수 있으며, 제품을 적재하지 않을 때에는 부피가 최소화되도록 접을 수 있음으로써 보관 및 운송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고, 보관비용이나 운송비용 등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베이스 프레임의 각 코너에 마련된 각각의 지지기둥에 하단부 양쪽이 축 결합되되, 양쪽의 각 지지기둥 사이에 서로 마주보도록 각각 배치되어 축 결합되는 한 쌍의 제1,2 측벽; 및 수평방향으로 분할되어 하부측벽과 상부측벽으로 구분되고, 상기 하부측벽과 상부측벽은 외측으로 접혀지거나 펼침이 가능하도록 힌지로 연결되며, 상기 하부측벽들의 마주보는 내측면에는 롤 제품의 코어 양단부가 안착되어 지지되는 코어 안착부가 각각 구비되고, 서로 마주보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각 하단부가 각각 축 결합되어, 상기 제1,2 측벽과 함께 롤 제품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한 쌍의 제3,4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롤 제품을 보관하거나 운반할 경우에는, 상기 제1,2 측벽을 수직으로 세워 제1 잠금수단으로 수직상태를 유지시키고, 상기 제3,4 측벽을 펼친 후 수직으로 세워 제2 잠금수단으로 수직상태를 유지시켜, 상기 롤 제품의 코어 양단부가 양쪽의 상기 코어 안착부에 안착되도록 하고, 상기 롤 제품을 보관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제2 잠금수단을 잠금 해제하여 각 상기 상부측벽을 각각 외측으로 1차로 접은 후 상기 제3,4 측벽들을 상기 베이스프레임 상면 방향으로 회동시켜 접고, 상기 제1 잠금수단을 잠금 해제하여 상기 제1,2 측벽들을 이미 접혀진 상기 제3,4 측벽 방향으로 회동시켜 접어 상기 지지기둥들보다 낮게 수납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전용 접이식 파렛트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각 코너에 지지기둥들이 수직방향으로 마련된 베이스 프레임; 상기 각각의 지지기둥에 하단부 양쪽이 축 결합되되, 양쪽의 각 지지기둥 사이에 서로 마주보도록 각각 배치되어 축 결합되고, 제1 잠금수단에 의해 상기 축을 중심으로 수직으로 세워져 고정되거나 수평방향으로 눕혀지도록 된 한 쌍의 제1,2 측벽; 및 수평방향으로 분할되어 하부측벽과 상부측벽으로 구분되고, 상기 하부측벽과 상부측벽은 외측으로 접혀지거나 펼침이 가능하도록 힌지로 연결되며, 상기 하부측벽들의 마주보는 내측면에는 롤 제품의 코어 양단부가 안착되어 지지되는 코어 안착부가 각각 구비되고, 서로 마주보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각 하단부가 각각 축 결합되며, 수직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제1,2 측벽에 결합되어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거나 접힘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2 잠금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1,2 측벽과 함께 롤 제품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한 쌍의 제3,4 측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전용 접이식 파렛트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제1,2,3,4 측벽들이 펼쳐져 공간을 형성한 경우에, 상기 제1,2,3,4 측벽들의 상단부에 안착되어 상기 공간을 커버하거나, 상기 제1,2,3,4 측벽들이 접혀졌을 때 접혀진 상기 제3,4 측벽의 상면에 안착되기 위한 커버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는, 가장자리에 하향으로 연장된 날개부가 형성되고, 각 코너에는 기둥 회피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측벽의 내측면에는, 상기 코어 안착부에 안착된 코어 양단부가 상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코어 안착부는, 상기 상부측벽 또는 하부측벽의 내측면에 형성되거나, 상기 제3,4 측벽들과는 별개로 제작되어 상부측벽 또는 하부측벽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안착블럭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잠금수단은, 상기 제1,2 측벽이 축으로 결합되는 지지기둥의 상면에 마련되는 안착홈; 상기 안착홈의 하부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제1,2 측벽에 고정되는 축이 관통 설치되는 축 장공; 및 상기 축과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여 상기 제1,2 측벽에 고정되고, 상기 제1,2 측벽이 세워질 때는 상기 안착홈에 안착되어 상기 제1,2 측벽의 세워진 상태를 유지시키고, 상기 제1,2 측벽이 접혀질 때는 상기 안착홈으로부터 이탈되는 고정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축 장공은, 상기 제1,2 측벽이 접혀질 때 상기 축이 상향으로 이동한 후 상기 제1,2 측벽이 접혀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광하협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1,2 측벽이 접혀지는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잠금수단은, 상기 제1,2 측벽의 하부 영역에 접한 상기 하부측벽의 양쪽 영역에, 상기 제1,2 측벽의 하부 영역에 형성되는 하부 잠금부 쪽으로 이동하여 걸리도록 이동가능하게 각각 마련되는 한 쌍의 하부 잠금부재; 및 상기 제1,2 측벽의 상부 영역에 접한 상기 상부측벽의 양쪽 영역에, 상기 제1,2 측벽의 상부 영역에 형성되는 상부 잠금부 쪽으로 이동하여 걸리도록 이동가능하게 각각 마련되는 한 쌍의 상부 잠금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잠금부 또는 상부 잠금부는, 상기 하부 잠금부재 또는 상부 잠금부재의 단부가 삽입되어 걸리거나 빠지도록 상기 제1,2 측벽에 형성되는 잠금공으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하부 잠금부재 또는 상부 잠금부재의 단부가 "┏"형상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걸림단이 끼워져 걸리도록 "┏"형상의 걸림홈을 구비하여 상기 제1,2 측벽에 결합되는 고정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롤 형태의 금속 박판 제품이나 롤 필름 제품 등의 코어 양단부가 안착되고 이탈방지장치로 고정되므로 롤 제품의 안정된 적재 및 보관, 운송이 가능하고, 롤 제품을 적재하지 않을 때에는 각각의 측벽들을 접어 부피를 줄일 수 있음으로써, 파레트의 보관은 물론, 운송의 편의성이 제공될 수 있고, 파렛트의 보관비용이나 운송비용 등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특히, 각각의 측벽이 각 지지기둥보다 낮도록 베이스 프레임의 내측 상면에 마련되는 벽체 수납공간으로 접혀 수납됨으로써, 사용이 완료된 파렛트의 부피가 현저하게 줄어들게 되고, 이로 인하여 파렛트의 보관비용이나 운송비용 등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롤 전용 접이식 파렛트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롤 전용 접이식 파렛트의 결합상태 사시도이다.
도 3a,3b는 도 1에 도시된 롤 전용 접이식 파렛트의 결합상태 단면도 및 제1,2 측벽이 제1 잠금수단의 해제로 접혀지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롤 전용 접이식 파렛트의 접히는 상태를 도시한 작동상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잠금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일부확대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롤 전용 접이식 파렛트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a,3b는 도 1에 도시된 롤 전용 접이식 파렛트의 결합상태 단면도 및 제1,2 측벽이 제1 잠금수단의 해제로 접혀지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며, 도 3a,3b는 도 2의 A-A선 및 B-B선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롤 전용 접이식 파렛트는, 각 코너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각 지지기둥(12)들이 마련된 사각판 형상의 베이스프레임(10)과, 각각의 지지기둥(12)에 하단부 양쪽이 축(22) 결합되되, 양쪽의 각 지지기둥(12) 사이에 서로 마주보도록 각각 배치되어 축(22)으로 결합되는 한 쌍의 제1,2 측벽(20A,20B)과, 수평방향으로 분할되어 하부측벽(32A)과 상부측벽(32B)으로 구분되고, 하부측벽(32A)과 상부측벽(32B)은 외측으로 접혀지거나 펼침이 가능하도록 힌지 또는 경첩(34)로 연결되며, 하부측벽(32A)들의 마주보는 내측면에는 롤 제품의 코어 양단부(100)가 안착되어 지지되는 코어 안착부(36)가 각각 구비되고, 서로 마주보도록 베이스프레임(10)에 각 하단부가 각각 축 또는 경첩 등으로 접힘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제3,4 측벽(30A,30B)과, 제1,2 측벽(20A,20B), 제3,4 측벽(30A,30B)들이 펼쳐져 베이스프레임(10)의 상부 영역에 롤 제품이 수용되기 위한 공간(S)을 형성한 경우에, 제1,2,3,4 측벽(20A,20B,30A,30B)들의 상단부에 안착되어 공간(S)을 커버하거나, 제1,2,3,4 측벽(20A,20B,30A,30B)들이 접혀졌을 때 접혀진 제3,4 측벽(30A,30B)의 상면에 안착되기 위한 커버부재(40)를 포함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베이스프레임(10)은, 파렛트의 바닥을 이루고, 저면에는 지게차의 포크가 삽입될 수 있는 구조를 갖으며, 각 코너에는 지면과 베이스프레임(10)이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받침부(12A)를 갖는 지지기둥(12)들이 각각 수직으로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베이스프레임(10)은 벽체 수납공간을 갖는다. 즉, 베이스프레임(10)의 가장자리들이 바닥보다 소정 높이로 높게 형성되어 있어서 제1,2,3,4 측벽(20A,20B,30A,30B)들이 접혀졌을 때, 베이스프레임(10)의 가장자리 상면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것이다. 다시 설명하면, 제1,2,3,4 측벽(20A,20B,30A,30B)들이 접혀졌을 때, 그 높이가 베이스프레임(10)의 가장자리 높이보다 높지 않은 것이다. 물론, 제1,2,3,4 측벽(20A,20B,30A,30B)들이 접혀졌을 때 그 높이는 각 지지기둥(12)보다 낮음은 당연하다. 이러한 구조는 각 제1,2,3,4 측벽(20A,20B,30A,30B)들이 접혀졌을 때 부피(접혀진 측벽들의 전체 두께)가 최소화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각 지지기둥(12)의 상부 영역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배치된 "┗"형상의 지지부(12B)가 형성되어 있고, 지지부(12B)의 단부에는 안착홈(12C)이 형성된다. 안착홈(12C)의 일측에는 고정축(24)이 안내되기 위한 만곡부(12D)가 형성된다. 이때, 안착홈(12C)과 만곡부(12D)는 제1,2 측벽(20A,20B)이 접혀지는 방향에 위치하는 지지부(12B)에 형성된다. 그리고 안착홈(12C)과 수직방향으로 소정거리 유지한 지지부(12B)의 하부 영역에는 제1,2 측벽(20A,20B)의 축(22)이 지지되기 위한 축 장공(12E)이 각각 형성된다. 이 축 장공(12E)은 제1,2 측벽(20A,20B)이 접혀질 때 축(22)이 상향으로 이동한 후 제1,2 측벽(20A.20B)이 접혀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광하협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1,2 측벽(20A,20B)이 접혀지는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12F)이 형성된다. 즉, 이 경사면(12F)은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한편, 제1,2 측벽(20A,20B)은, 제1 잠금수단에 의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데, 제1 잠금수단은, 전술한 안착홈(12C)과, 안착홈(12C)의 하부 영역에 축(22)이 관통 설치되도록 형성되는 전술한 축 장공(12E)과, 축(22)과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여 제1,2 측벽(20A,20B)에 고정되고, 제1,2 측벽(20A,20B)이 세워질 때는 안착홈(12C)에 안착되어 제1,2 측벽(20A,20B)의 세워진 상태를 유지시키고, 제1,2 측벽(20A,20B)이 접혀질 때는 안착홈(12C)으로부터 이탈되는 고정축(24)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즉, 고정축(24)이 안착홈(12C)에 삽입되면 제1,2 측벽(20A,20B)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고, 고정축(24)이 안착홈(12C)에서 이탈되면 제1,2 측벽(20A,20B)이 눕혀질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안착홈(12C)과 축 장공(12E)의 거리와 축(22)과 고정축(24)의 거리는 같다.
제1,2 측벽(20A,20B)은, 하단부가 쌍을 이루는 양쪽의 지지기둥(12)의 축 장공(12E)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2 측벽(20A,20B)의 각 프레임기둥에는 격판이 결합된 구조를 갖으며, 제1,2 측벽(20A,20B)의 상부 영역, 즉 각 프레임기둥의 상부 영역에는 제2 잠금수단을 이루는 상부 잠금부(28)가 형성된다.
제3,4 측벽(30A,30B)은, 양쪽의 제1,2 측벽(20A,20B)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수평방향으로 분할되어 하부측벽(32A)과 상부측벽(32B)으로 구분되고, 하부측벽(32A)과 상부측벽(32b)은 외측으로 접혀지거나 펼침이 가능하도록 힌지나 경접으로 연결되며, 하부측벽(32A)들의 마주보는 내측면에는 롤 제품의 코어 양단부(100)가 안착되어 지지되는 코어 안착부(36)가 각각 구비되고, 서로 마주보도록 베이스 프레임(10)에 각 하단부가 각각 축이나 경접으로 결합된다. 이와 같은 제3,4 측벽(30A,30B)은 제1,2 측벽(20A,20B)과 함께 롤 제품이 수용되는 공간(S)을 형성한다.
상부측벽(32B)의 내측면에는, 코어 안착부(36)에 안착된 코어 양단부(100)가 상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부재(35)가 마련된다. 이 이탈방지부재(35)는 코어 안착부(36)에 안착된 코어 양단부(100)의 상단을 가압하여 코어 양단부(100)가 유동되거나 상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전술한 코어 안착부(36)는, 상부측벽(32B) 또는 하부측벽(32A)의 내측면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제3,4 측벽(30A,30B)들과는 별개로 제작되어 상부측벽(32B) 또는 하부측벽(32A)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안착블럭의 상면에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안착블럭은 경질의 합성수지재로 구성된다.
제3,4 측벽(30A,30B)은, 제2 잠금수단에 의해 상부측벽(32B)과 하부측벽(32A)은 수직으로 펼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제2 잠금수단은, 제1,2 측벽(20A,20B)의 하부 영역에 접한 하부측벽(30A)의 양쪽 영역에, 제1,2 측벽(20A,20B)의 하부 영역에 형성되는 하부 잠금부(29) 쪽으로 이동하여 걸리도록 이동가능하게 각각 마련되는 한 쌍의 하부 잠금부재(38A)와, 제1,2 측벽(20A,20B)의 상부 영역에 접한 상부측벽(32B)의 양쪽 영역에, 제1,2 측벽(20A,20B)의 상부 영역에 형성되는 상부 잠금부(28) 쪽으로 이동하여 걸리도록 이동가능하게 각각 마련되는 한 쌍의 상부 잠금부재(38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부 잠금부(29) 또는 상부 잠금부(28)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잠금부재(38A) 또는 상부 잠금부재(38B)의 단부가 삽입되어 걸리거나 빠지도록 제1,2 측벽(20A,20B)에 형성되는 잠금공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잠금공을 구비한 고정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잠금공이나 고정구는 제1,2 측벽(20A,20B)을 이루는 양쪽의 기둥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하부 잠금부(29) 또는 상부 잠금부(28)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잠금부재(38A) 또는 상부 잠금부재(38B)의 단부가 "┏"형상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걸림단(39)이 끼워져 걸리도록 "┏"형상의 걸림홈(27A)을 구비하여 제1,2 측벽(20A,20B)에 결합되는 고정부재(27)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부 잠금부재(38A)와 상부 잠금부재(38B)는, 한 쌍의 안내부재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게 설치되고 손잡이가 마련된 구조를 갖으며, 손잡이를 취부할 때 소정각도로 회전되도록 설치된다.
한편, 제1,2,3,4 측벽(20A,20B,30A,30B)들이 펼쳐져 공간(S)을 형성한 경우에, 제1,2,3,4 측벽(20A,20B,30A,30B)들의 상단부에 안착되어 공간(S)을 커버하거나, 제1,2,3,4 측벽(20A,20B,30A,30B)들이 접혀졌을 때 접혀진 제3,4 측벽(30A,30B)의 상면에 안착되기 위한 커버부재(40)가 구비된다.
커버부재(40)는, 가장자리에 하향으로 연장된 날개부(42)가 형성되고, 각 코너에는 제1,2 측벽(20A,20B)을 구성하는 프레임기둥을 회피하기 위한 기둥 회피홈(44)이 형성된다. 날개부(42)는 접혀진 상태의 제3,4 측벽(30A,30B)이나 제1,2,3,4 측벽(20A,20B,30A,30B)들에 의해 형성된 공간(S)을 보다 안정적으로 커버하기 위한 것이고, 기둥 회피홈(44)은 안정된 결합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날개부(42)는, 하향으로 연장 절곡되어 형성됨으로써 외부 이물질이 접혀진 상태의 제3,4 측벽(30A,30B)의 상면이나, 제1,2,3,4 측벽(20A,20B,30A,30B)들에 의해 형성된 공간(S)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고, 기둥 회피홈(44)들에 제1,2 측벽(20A,20B)의 프레임기둥이 위치하게 되므로 커버부재(40)가 파렛트에 안정되게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롤 전용 접이식 파렛트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2에는 제1,2 측벽(20A,20B)들과 제3,4 측벽(30A,30B)들이 제1,2 잠금수단들의 잠금으로 수직으로 세워져 그 사이에 롤 제품이 수용되기 위한 공간(S)이 형성된 상태의 파렛트가 도시되어 있다.
즉, 제1,2 측벽(20A,20B)들은 고정축(24)이 안착홈(12C)에 삽입되므로, 수직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고정축(24)은 제1,2 측벽(20A,20B)들의 자중에 의해 안착홈(12C)에 삽입된다. 그리고 제3,4 측벽(30A,30B)들은 하부 잠금부재(38A)의 단부가 하부 잠금부(29)에 삽입되고, 상부 잠금부재(38B)의 단부가 상부 잠금부(28)에 삽입되어 걸림으로써, 상부측벽(32B)과 하부측벽(32A)가 펼쳐진 상태로 세워지게 된다.
이와 같은 롤 전용 접이식 파렛트를 이용하여 롤 제품을 수용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상부측벽(32B)들을 펼치기 전에,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 안착부(36)에 코어 양단부(100)를 안착시킨 후에, 상부측벽(32B)을 세운 후 제2 잠금수단의 상부 잠금부재(38B)의 단부를 상부 잠금부(28)에 삽입한다. 이 과정으로 제3,4 측벽(30A,30B)들은 펼쳐진 상태로 세워져 고정되고, 이탈방지부재(35)가 코어 양단부(100)의 상부 영역을 가압하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롤 제품은 안정되게 고정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파렛트의 상부에 커버부재(40)를 결합시킴으로써 롤 제품이 수용된 공간(S)은 외부와 차단되어 이물질이나 빗물 등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한편, 사용이 완료된 본 발명에 따른 롤 전용 접이식 파렛트를 접어 보관하기 위해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순서에 따른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공간(S)을 커버하는 커버부재(40)를 분리시킨다.(a 단계)
이어서, 상부 잠금부재(38B)들을 후퇴시켜 상부 잠금부재(38B)들의 단부가 상부 잠금부(28)로부터 이탈되도로고 한 후, 양쪽의 상부측벽(32B)들을 외측으로 접는다.(b 단계) 이러한 작업은 이탈방지부재(35)가 코어 양단부(100)를 가압하는 상태를 해제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부측벽(32B)들이 각각 외측으로 접혀지면, 롤 제품을 제거한 후, 하부 잠금부재(38A)들 후퇴시켜 하부측벽(32A)의 잠금상태를 해제한다. 즉, 하부 잠금부재(38A)의 단부가 하부 잠금부(29)로부터 빠지도록 하부 잠금부재(38A)를 최초 이동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이동시켜 하부측벽(32A)의 잠금상태를 해제하는 것이다.
하부 측벽(32A)의 잠금상태가 해제되면, 서로 겹쳐지게 접혀진 상부측벽(32B)과 하부측벽(32A)을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접는다.(c 단계)
이때, 제3,4 측벽(30A,30B)은 각각 상부측벽(32B)과 하부측벽(32A)이 경첩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서로 겹쳐지게 접혀진다. 따라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접혀지더라도 서로 간섭되지 않게 된다.
이어서, 제1,2 측벽(20A,20B)을 접기 위해서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중에 의해 안착홈(12C)에 삽입된 고정축(24)이 이탈되도록 제1,2 측벽(20A,20B)를 들어 올린 후 이미 접혀진 제3,4 측벽(30A,30B) 쪽으로 이동시킨다.(d 단계)
이때, 축(22)은 축 장공(12E)의 경사면(12F)에 안내되면서 제1,2 측벽(20A,20B)이 눕혀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고정축(24)은 만곡부(12D)에 안내되므로 제1,2 측벽(20A,20B)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접혀질 수 있다.(e 단계)
이와 같은 과정으로 롤 제품이 수용되는 공간(S)을 형성하는 제1,2 측벽(20A,20B)들과 제3,4 측벽(30A,30B)들이 지지기둥(12)의 높이보다 낮게 접혀지게 된다. 이와 같이 제1,2 측벽(20A,20B)들과 제3,4 측벽(30A,30B)들이 접혀지면, 접혀진 제1,2 측벽(20A,20B)들 상면을 커버하도록 커버부재(40)를 결합한다.(f 단계)
전술한 바와 같이, 롤 전용 접이식 파렛트는 롤 제품을 안정되게 보관하거나 운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이 완료되면, 제1,2 측벽(20A,20B)들과 제3,4 측벽(30A,30B)들을 서로 겹쳐지게 접어 지지기둥(12)들의 높이보다 낮도록, 특히 베이스프레임(10)의 가장자리의 높이보다 낮도록 수납됨으로써, 파렛트의 부피가 현저하게 줄어들어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고, 보관비용이 절감될 수 있게 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베이스프레임 12 : 지지기둥
12A : 받침부 12B : 지지부
12C : 안착홈 12D : 만곡부
12E : 축 장공 12F : 경사면
20A,20B : 제1,2 측벽 22 : 축
24 : 고정축 27 : 고정부재
27A : 걸림홈 28 : 상부 잠금부
29 : 하부 잠금부
30A,30B : 제3,4 측벽 32A : 하부측벽
32B : 상부측벽 34 : 경첩
35 : 이탈방지부재 36 : 코어 안착부
38A : 하부 잠금부재 38B : 상부 잠금부재
39 : 걸림단 40 : 커버부재
42 : 날개부 44 : 기둥 회피홈
100 : 코어 양단부

Claims (10)

  1. 베이스 프레임의 각 코너에 마련된 각각의 지지기둥에 하단부 양쪽이 축 결합되되, 양쪽의 각 지지기둥 사이에 서로 마주보도록 각각 배치되어 축 결합되는 한 쌍의 제1,2 측벽;
    수평방향으로 분할되어 하부측벽과 상부측벽으로 구분되고, 상기 하부측벽과 상부측벽은 외측으로 접혀지거나 펼침이 가능하도록 힌지로 연결되며, 상기 하부측벽들의 마주보는 내측면에는 롤 제품의 코어 양단부가 안착되어 지지되는 코어 안착부가 각각 구비되고, 서로 마주보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각 하단부가 각각 축 결합되어, 상기 제1,2 측벽과 함께 롤 제품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한 쌍의 제3,4 측벽;
    가장자리에 하향으로 연장된 날개부가 형성되고, 각 코너에는 기둥 회피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1,2,3,4 측벽들이 펼쳐져 공간을 형성한 경우에, 상기 제1,2,3,4 측벽들의 상단부에 안착되어 상기 공간을 커버하거나, 상기 제1,2,3,4 측벽들이 접혀졌을 때 접혀진 상기 제3,4 측벽의 상면에 안착되기 위한 커버부재; 및
    상기 제3,4 측벽들이 펼쳐져 세워지면 상기 코어 안착부에 안착된 코어 양단부의 상부를 가압하여 상기 코어 양단부가 상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상부측벽의 내측면에 마련되는 이탈방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롤 제품을 보관하거나 운반할 경우에는, 상기 제1,2 측벽을 수직으로 세워 제1 잠금수단으로 수직상태를 유지시키고, 상기 제3,4 측벽을 펼친 후 수직으로 세워 제2 잠금수단으로 수직상태를 유지시켜, 상기 롤 제품의 코어 양단부가 양쪽의 상기 코어 안착부에 안착되도록 하며,
    상기 롤 제품을 보관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제2 잠금수단을 잠금 해제하여 각 상기 상부측벽을 각각 외측으로 1차로 접은 후 상기 제3,4 측벽들을 상기 베이스프레임 상면 방향으로 회동시켜 접고, 상기 제1 잠금수단을 잠금 해제하여 상기 제1,2 측벽들을 이미 접혀진 상기 제3,4 측벽 방향으로 회동시켜 접어 상기 지지기둥들보다 낮게 수납되도록 하고,
    상기 제1 잠금수단은,
    상기 제1,2 측벽이 축으로 결합되는 지지기둥의 상면에 마련되는 안착홈; 상기 안착홈의 일측에 형성되는 만곡부; 상기 안착홈의 하부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제1,2 측벽에 고정되는 축이 관통 설치되며, 상기 제1,2 측벽이 접혀질 때 상기 축이 상향으로 이동한 후 상기 제1,2 측벽이 접혀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광하협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1,2 측벽이 접혀지는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되는 축 장공; 및 상기 축과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여 상기 제1,2 측벽에 고정되고, 상기 제1,2 측벽이 세워질 때는 상기 안착홈에 안착되어 상기 제1,2 측벽의 세워진 상태를 유지시키고, 상기 제1,2 측벽이 접혀질 때는 상기 안착홈으로부터 이탈되며, 상기 안착홈에 안착되거나 상기 안착홈으로부터 이탈될 때 상기 만곡부에 안내되는 고정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잠금수단은,
    상기 제1,2 측벽의 하부 영역에 접한 상기 하부측벽의 양쪽 영역에, 상기 제1,2 측벽의 하부 영역에 형성되는 하부 잠금부 쪽으로 이동하여 걸리도록 이동가능하게 각각 마련되는 한 쌍의 하부 잠금부재; 및 상기 제1,2 측벽의 상부 영역에 접한 상기 상부측벽의 양쪽 영역에, 상기 제1,2 측벽의 상부 영역에 형성되는 상부 잠금부 쪽으로 이동하여 걸리도록 이동가능하게 각각 마련되는 한 쌍의 상부 잠금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전용 접이식 파렛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잠금부 또는 상부 잠금부는,
    상기 하부 잠금부재 또는 상부 잠금부재의 단부가 삽입되어 걸리거나 빠지도록 상기 제1,2 측벽에 형성되는 잠금공으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하부 잠금부재 또는 상부 잠금부재의 단부가 "┏"형상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걸림단이 끼워져 걸리도록 "┏"형상의 걸림홈을 구비하여 상기 제1,2 측벽에 결합되는 고정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전용 접이식 파렛트.


KR1020140061537A 2014-05-22 2014-05-22 롤 전용 접이식 파렛트 KR1016036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1537A KR101603613B1 (ko) 2014-05-22 2014-05-22 롤 전용 접이식 파렛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1537A KR101603613B1 (ko) 2014-05-22 2014-05-22 롤 전용 접이식 파렛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4600A KR20150134600A (ko) 2015-12-02
KR101603613B1 true KR101603613B1 (ko) 2016-03-15

Family

ID=54883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1537A KR101603613B1 (ko) 2014-05-22 2014-05-22 롤 전용 접이식 파렛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36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5420Y1 (ko) * 2017-06-07 2018-01-30 강명완 롤 타입 화물 운송용 거치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15864A (ja) * 2006-10-05 2007-01-25 Konica Minolta Holdings Inc フィルムロール包装体搬送用架台
JP2009286424A (ja) * 2008-05-28 2009-12-10 Sefuto Green Engineering Kk ボックスパレット
KR100987869B1 (ko) * 2010-03-11 2010-10-13 현기훈 접철식 컨테이너형 파레트
JP2011219109A (ja) * 2010-04-06 2011-11-04 Ito Seisakusho:Kk かご型パレット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4957A (ko) 1998-06-09 1998-10-07 배종섭 차량의 사고 기록장치
KR20100001934U (ko) 2010-02-03 2010-02-23 주식회사 코리아코프 롤필름 전용 파렛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15864A (ja) * 2006-10-05 2007-01-25 Konica Minolta Holdings Inc フィルムロール包装体搬送用架台
JP2009286424A (ja) * 2008-05-28 2009-12-10 Sefuto Green Engineering Kk ボックスパレット
KR100987869B1 (ko) * 2010-03-11 2010-10-13 현기훈 접철식 컨테이너형 파레트
JP2011219109A (ja) * 2010-04-06 2011-11-04 Ito Seisakusho:Kk かご型パレ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4600A (ko) 2015-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76168B2 (en) Collapsible container
US7802526B2 (en) Modular and customizable returnable rack system
HU212530B (en) Foldable transport tank respectively container
JP6416395B2 (ja) 運搬用組立箱
US2525838A (en) Collapsible box construction
KR101603613B1 (ko) 롤 전용 접이식 파렛트
US2709547A (en) Containers
JP3993934B2 (ja) コンテナ
US20130327680A1 (en) Combination bulk container and pallet
JP2002145368A (ja) 通い箱
KR102150318B1 (ko) 골판지에 종이 보강대를 이용한 포장박스의 보강구조
JP5047836B2 (ja) ボックスパレット
EP3590862B1 (en) Folding container
KR20100001934U (ko) 롤필름 전용 파렛트
JP2006001637A (ja) ロール製品輸送用コンテナ
JP6753172B2 (ja) 折り畳み式ラック
JPH0966938A (ja) ガラス板用コンテナパレット
KR101815280B1 (ko) 물품 포장박스
EP3730419A1 (en) Container
JP2006347617A (ja) 箱状コンテナの壁面構造
WO2019207491A1 (en) Stillage box
US2717716A (en) Collapsible tote box
KR102016346B1 (ko) 가변형 롤 파레트
AU718750B2 (en) Reusable crate for film rolls
JP3172930U (ja) 組み立て式コンテ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