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0489B1 - 음료 유체 분사 헤드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음료 유체 분사 헤드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0489B1
KR102650489B1 KR1020207019545A KR20207019545A KR102650489B1 KR 102650489 B1 KR102650489 B1 KR 102650489B1 KR 1020207019545 A KR1020207019545 A KR 1020207019545A KR 20207019545 A KR20207019545 A KR 20207019545A KR 102650489 B1 KR102650489 B1 KR 1026504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beverage
fluid
beverage fluid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95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6035A (ko
Inventor
로딘 엔네 브루인스마
조에케 노오르드후이스
조하네스 로지어 드 브린드
티즈스 젤레 페엔스트라
헤르브란트 크리스티안 드 그라프
니콜라스 앤드류 한센
해리슨 로이드 우달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케 도우베 에그베르츠 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케 도우베 에그베르츠 비.브이. filed Critical 코닌클리케 도우베 에그베르츠 비.브이.
Publication of KR202001060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60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04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04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A47J31/461Valves, e.g. drain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A47J31/468Pump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A47J31/469Details of hydraulic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음료 유체 분사 헤드가 하우징; 및 적어도 부분적으로 하우징 내측에 배열되는 유체 트랙을 포함한다. 유체 트랙은 음료 장치로부터, 커피와 같은 음료 유체를 받아들이도록 배열되는 입구 채널; 입구 채널로부터 음료 유체를 받아들이기 위해 입구 채널에 유체적으로 연결되는 수집 챔버; 및 적어도 하나의 출구 채널을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출구 채널은 수집 챔버로부터 음료 유체를 받아들이기 위해 수집 챔버에 유체적으로 연결된다. 적어도 하나의 출구 채널의 하류 부분이 설상 유동 가이드로서 형성되고, 설상 유동 가이드는 사용 시에 (i) 음료 유체를 안내하고 (ii) 분사를 위한 통합 유체 빔의 형태로, 음료 유체를 설상 유동 가이드로부터 공급하기 위해 아래로 지향된다.

Description

음료 유체 분사 헤드 및 시스템
본 발명은 음료 유체 분사 헤드(beverage fluid dispensing head) 및 음료 장치와 그러한 분사 헤드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분사 헤드는 하우징(housing) 및 유체 트랙(fluid track)을 포함한다. 유체 트랙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하우징 내측에 배열된다. 유체 트랙은 음료 장치로부터, 커피와 같은 음료 유체를 받아들이도록 배열되는 입구 채널(inlet channel)을 포함한다. 유체 트랙은 입구로부터 음료 유체를 받아들이기 위해 입구에 유체적으로(fluidly) 연결되는 수집 챔버(collection chamber)를 추가로 포함한다. 유체 트랙은 또한 적어도 하나의 출구 채널(outlet channel)을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출구 채널은 수집 챔버로부터 음료 유체를 받아들이기 위해 수집 챔버에 유체적으로 연결된다.
커피 장치와 같은 기존 음료 장치에서, 음료가 음료 제조 유닛(beverage preparation unit)에 의해 제공된다. 음료는 일반적으로 분사 헤드의 적어도 하나의 출구 채널을 통해 음료 리셉터클(beverage receptacle)에 전달된다. 기존 1인용 에스프레소 기구의 음료 제조 유닛은 예를 들어 0.4 내지 6 ml/s 이상의 유동률로 커피를 제공할 것이다. 유동은 적어도 하나의 출구 채널을 통해 출구 스트림(outlet stream)의 형태로 적어도 하나의 음료 리셉터클로 공급된다. 전형적으로, 유동 출구 스트림이 음료 리셉터클로 공급될 때 15 cm 넘는 길이로 공급되지는 않는다. 30 내지 100 ml사이에서 양이 변하는 음료는 일반적으로 기존 음료 장치에서 10 내지 45초의 분사 기간에 걸쳐 분사된다.
문제는, 기존 음료 장치가 때때로 스트림의 일부가 방울 방울 찔끔찔끔 나오는 것과 같이 막힘 현상을 이유로 멈춤 현상이 발생한다는 점에서 불연속적인 출구 스트림을 겪는다는 것이다. 연속성은 유체 빔(fluid beam)으로서의 출구 스트림의 통합 특성(integral nature)을 나타낸다. 음료가 완전히 분사되기 전에 유체 빔이 길이 방향의 일부분에 대해 유체 빔의 끊김 현상이 일어나는 것은 불연속성으로 간주된다. 출구로부터의 출구 스트림의 공급 중단과 같은, 분사 중의 임의의 다른 형태의 중단 또한 불연속성으로 간주된다. 기존 장치에서, 출구 채널의 기하학적 구조는 낮은 유량(예: 어디든 2 ml/s 미만)을 갖는 출구 스트림이 불연속적일 수 있다. 불연속적인 출구 스트림이 음료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고, 사용자에게 바람직하지 않은 경험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은 출구 스트림들이 0.4 내지 6 ml,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6 ml/s와 같은 낮은 유동률에서 불연속적이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분사 헤드 및 그러한 분사 헤드와 음료 장치를 가진 시스템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 중 하나 이상에 한정된 바와 같은 음료 유체 분사 헤드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시스템은 커피, 우유, 초콜릿, 차, 또는 물을 생성하는 데 적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출구 채널의 하류 부분이 설상(舌狀) 유동 가이드(tongue-shaped flow guide)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유체 분사 헤드가 제공된다. 혀처럼 생긴 부분은 사람이 혀를 내민 모습(extended human tongue)과 유사할 수 있다. 특히, 혀 부위가 유체 유동을 안내하기 위한 상부 표면을 포함하는 슈트(chute)로서 간주될 수 있고, 상부 표면은 적어도 유체 유동의 방향으로 제1 표면 곡률 및 제1 표면 곡률에 직교하는 제2 표면 곡률을 포함하고, 제1 표면 곡률은 볼록하고, 제2 표면 곡률은 오목하고, 슈트의 하류 단부가 팁(tip)을 형성할 수 있다. 설상 유동 가이드는 사용 시에 (i) 들어오는 음료 유체를 안내하고 (ii) 들어오는 음료 유체를 분사를 위한 통합 유체 빔(integral fluid beam)의 형태로 공급하기 위해 아래로 지향된다.
선택적으로, 하우징과 유체 트랙은 별개의 부분들로부터 형성된다. 이는 제조 작업을 단순화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부분들은 분사 헤드를 형성하도록 조립되기에 적합하다. 이와 같이, 분사 헤드는 전체 분사 헤드를 교체하지 않고서 유체 트랙의 교체를 허용하는 모듈형 구조(modular structure)를 갖는다. 따라서, 유지보수 비용을 감소시킨다.
선택적으로, 유동 가이드는 사용 시에 음료 유체를 유량들의 범위 내의 평균 유량으로 받아들이도록 배열된다. 여기서 평균 유량은 음료의 분사 시간에 걸친 음료의 용량을 출구 채널들의 수로 나눈 것일 수 있다. 유량률의 범위는 0.4 내지 6 ml/s,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6 ml/s,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 ml/s이다. 이로 인해, 음료 리셉터클 내에서 임팩트 영역(impact area)을 갖는 얇은 유체 빔이 형성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는 플런지 버블(plunge bubble)이 원치 않게 형성되는 것과 분사된 음료 상에 형성될 수 있는 거품 층(foam layer)의 색이 날아가는 것을 방지한다.
선택적으로, 설상 유동 가이드는 제1 및 제2 직립 에지(upstanding edge)를 갖는다. 적어도 부분적으로 직립 에지들은 모두 설상 유동 가이드의 원단부를 향해 테이퍼링된다(taper). 테이퍼 형성은 직립 에지들의 폭을 설상 유동 가이드의 원단부를 향해 감소시키는 것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전방 방향으로의 혀의 전체 폭이 또한 설상 유동 가이드의 원단부를 향해 감소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설상 유동 가이드는 제1 및 제2 직립 에지를 갖는다. 직립 에지들 각각은 설상 유동 가이드의 원단부를 향해 기울어지거나(beveled) 구부러질(kinked) 수 있다. 이로 인해, 직립 벽(upstanding wall)이 상류 유체 유동을 공기 변위와 같은 환경적 영향으로부터 보호함으로써, 통과하는 유체 내의 교란을 감소시킨다는 장점이 있다.
선택적으로, 설상 유동 가이드는 제1 및 제2 직립 에지를 갖는다. 직립 에지들은 설상 유동 가이드의 원단부를 향해 수렴할 수 있다. 설상 유동 가이드의 이러한 원단부는 단일 팁(single tip)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스트림이 단일 지점에서 모이도록 허용한다는 것이다.
선택적으로, 설상 유동 가이드는, 제1 수평 단면에서 볼 때 오목한 제1 유체 가이드 표면을 갖는데, 이는 바람직하게는 제1 유체 가이드 표면의 수평 곡률에 있어서 단 하나의 최소치를 가질 것이다. 여기서 오목한 것은 제1 유체 가이드 표면의 내향 곡률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출구 스트림이 방출되는 접점에서 물방울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적어도 실질적으로 감소시키는 장점이 있다.
선택적으로, 설상 유동 가이드는 제1 유체 가이드 표면의 하류에서 병합되는 제1 및 제2 직립 에지를 갖는다. 직립 에지들은 볼록한 제2 유체 가이드 표면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볼록한 것은 제2 유체 가이드 표면의 외향 팽출(bulging)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의도한 바대로 사용할 경우에 볼록한 형상은 혀처럼 생긴 부분의 하류 단부의 후방이 축축해지게 만든다. 이는 출구 스트림이 혀처럼 생긴 부분으로부터 방출되는 각도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유체 가이드 표면은 제2 유체 가이드 표면에 네스팅된다(nested).
선택적으로, 제1 유체 가이드 표면은 설상 유동 가이드의 음료 유체 가이드면 상의 단일 지점으로 수렴한다. 단일 지점은 설상 유동 가이드의 원단부의 상류에 있다. 이는 예비수렴된 유체 유동이 스트림으로서 분사되기 위해 설상 유동 가이드의 원단부까지 도달하도록 한다. 이는 출구 스트림 일부를 방울 방울 찔끔찔끔 나오는 것과 같이 막힘 현상을 일으킬 수 있는, 유동 내의 교란을 감소시킨다.
선택적으로, 설상 유동 가이드는 제1 및 제2 직립 에지를 갖는다. 직립 에지들 각각은 설상 유동 가이드의 길이를 따라 이어지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 유체 가이드 표면에 대해 비수직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로 인해, 설상 유동 가이드 상의 유체 유동이 환경적 영향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선택적으로, 하우징에는 하우징의 저부 내에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가 위치한다. 적어도 하나의 설상 유동 가이드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를 통해 연장된다.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와 설상 유동 가이드의 원단부 사이의 최단 거리는 3 내지 15 mm,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1 mm, 더욱 바람직하게는 5 mm이다. 개구부는 하우징의 저부 내의 개구부 에지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개구부 에지는 거리 측정 가능한 표면을 둘러싼다.
선택적으로, 제1 유체 가이드 표면은 전방 방향으로 수직으로부터 0 내지 10도, 바람직하게는 0도의 각도로 종단된다(terminate). 이로 인해, 전방 또는 비수직 속도 성분이 출구 스트림 내로 도입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한 속도 성분은 음료 유체와 일부의 설상 유동 가이드 사이의 표면 상호작용 효과에 의해 도입되는 것과 같이, 반대 속도 성분을 상쇄하거나 스트림을 조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2 유체 가이드 표면은 예컨대 전방 방향과 반대로, 수직으로부터 0 내지 10도의 각도로 종단된다. 이로 인해, 표면 상호작용을 통해 출구 스트림의 전방 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선택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출구 채널은 설상 유동 가이드와 통합된다. 이것이 성분들 사이의 영향을 방지하고, 출구 스트림에서의 교란을 감소시키는 장점이 있다.
선택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출구 채널의 일부는 설상 유동 가이드를 향해 하향 곡률을 갖는 슈트로서 형성된다. 또한 바람직하게 적어도 하나의 출구 채널은 적어도 하나의 출구 채널의 유동 방향을 횡단하는 적어도 하나의 출구 채널의 단면에서 만곡된다.
선택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출구 채널은 제1 유동 제한부(flow restriction)를 포함한다. 제1 유동 제한부는 제1 관통 유동 개구부(through flow opening)를 포함한다. 이는, 분배기(distributor)가 음료 공급을 안정화시키는 완충 영역(buffer area)으로서 작용하도록 하여, 교란을 감소시키고 분사 시간에 걸쳐 유량률의 변동이 작게 만드는 장점이 있다. 선택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출구 채널은 제1 및 제2 출구 채널을 포함한다. 이는 별개의 컵 안으로의 병행 분사(parallel dispensing)를 더 허용한다. 이러한 경우에, 제1 유동 제한부는 출구 채널들에 걸쳐 음료를 더욱 균등하게 분배한다.
선택적으로, 제1 유동 제한부는 유동 방향을 횡단하여 연장되는 제1 직립 벽이고, 바람직하게는 들어오는 음료 유체 유동에 대면하는 제1 직립 분리 벽의 외부 표면이 수직으로부터 2 내지 5도로 경사를 이루고, 바람직하게는 제1 관통 유동 개구부의 윤곽의 적어도 일부분이 제1 유동 제한부에 의해 규정된다. 이는 복수의 출구 채널들에 걸친 음료의 더욱 균등한 분배를 허용한다. 다른 이점은 이것이 유체 유동 내의 교란을 감소시킨다는 것이다.
선택적으로, 제1 관통 유동 개구부는 2.0 내지 6.0 mm 범위 내의 폭을 갖는 슬릿(slit) 모양이고, 바람직하게는 제1 관통 유동 개구부는 제1 유동 제한부의 저부 에지로부터 위로 연장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제1 관통 유동 개구부는 제1 유동 제한부의 상부 에지까지 연장된다. 이는 수집 챔버 내에서의 음료 유체의 체류 시간을 더 오래 허용하고, 이로 인해 음료 유체에서의 교란이 감소되고 복수의 출구 채널들에 걸친 음료가 더욱 균등하게 분배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제1 관통 유동 개구부의 폭은 위로 갈수록 2.0 내지 3.0 mm에서 5.0 내지 6.0 mm으로 증가한다. 이로 인해, 유동 저항이 음료 유동률에 대해 선형으로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고, 막히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선택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출구 채널은 제2 유동 제한부를 포함하고, 제2 유동 제한부는 관통 유동 개구부를 포함하고, 제2 유동 제한부는 바람직하게는 제1 유동 제한부의 하류에 배열된다. 이로 인해, 출구 스트림에서의 교란을 감소시키기 위해 제1 유동 제한부에서 넘치는 현상이 출구 채널 내에서 완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선택적으로, 제2 유동 제한부는 유동 방향을 횡단하여 연장되는 제2 직립 벽이고, 들어오는 음료 유체 유동에 대면하는 제2 직립 분리 벽의 외부 표면이 바람직하게는 수직으로부터 2 내지 5도로 경사를 이루고, 바람직하게는 제2 관통 유동 개구부의 윤곽의 적어도 일부분이 제2 유동 제한부에 의해 규정된다. 선택적으로, 제2 관통 유동 개구부는 2.0 내지 6.0 mm 범위 내의 폭을 갖는 슬릿 모양이고, 바람직하게는 제2 관통 유동 개구부는 제2 유동 제한부의 저부 에지로부터 위로 연장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관통 유동 개구부는 제2 유동 제한부의 상부 에지까지 연장된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제1 관통 유동 개구부의 폭은 위로 갈수록 2.0 내지 3.0 mm부터 5.0 내지 6.0 mm로 증가한다.
선택적으로, 설상 유동 가이드는 추가 유동 제한부를 포함하고, 추가 유동 제한부는 추가 관통 유동 개구부를 포함한다. 이는 출구 채널을 통한 유체 유동의 전방 또는 비수직 속도를 감소시킨다. 이는 출구 스트림이 설상 유동 가이드로부터 아치형으로 되는 것을 방지한다.
선택적으로, 추가 유동 제한부는 유동 방향을 횡단하여 연장되는 추가 직립 벽이다. 들어오는 음료 유체 유동에 대면하는 추가 직립 분리 벽의 외부 표면이 선택적으로 수직으로부터 0 내지 10도로 경사를 이룬다. 선택적으로, 추가 관통 유동 개구부는 1.2 내지 1.8 mm 범위 내의 폭을 갖는 슬릿 모양이다. 바람직하게는, 추가 관통 유동 개구부의 윤곽의 적어도 일부분이 추가 유동 제한부에 의해 규정된다. 선택적으로, 추가 관통 유동 개구부는 추가 유동 제한부의 저부 에지로부터 위로 연장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관통 유동 개구부는 추가 유동 제한부의 상부 에지까지 연장된다.
선택적으로, 하우징에는 하우징으로부터 외향으로 연장되는 그리고 설상 유동 가이드 주위에 배열되는, 직립 에지에 의해 형성되는 것과 같은 스커트 요소(skirt element)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스커트 요소는 설상 유동 가이드의 원단부 아래까지 연장된다. 설상 유동 가이드가 외부 영향으로부터 보호되는 장점이 있다. 바람직하게는, 스커트는 하우징과 통합되고 동일한 재료로 제조된다.
선택적으로, 스커트 요소의 내부 표면과 설상 유동 가이드는 예컨대 유체적으로 분리되도록 이격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설상 유동 가이드의 길이를 따라 이어지는 에지들은, 음료 유체가 유동 가이드로부터 스커트 요소까지 우발적으로 브리징(bridging)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스커트 요소로부터 떨어져 최소 거리만큼 이격된다. 이로 인해, 분사 중에 유체 빔의 방향의 급격하고 반복적으로 변화하는 것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급격한 변화는 유체가 유동 가이드로부터 스커트 요소로 브리징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태양에 따르면, 시스템이 제공된다. 시스템은 본 발명에 따른 분사 헤드, 및 커피와 같은 음료 유체를 분사 헤드에 제공하기 위한 음료 제조 유닛을 가진 커피 장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음료 제조 유닛은 대기압보다 약 0.7 내지 3 바(bar) 높은 압력에서 커피를 브루잉(brewing)하기 위한 커피 패드(coffee pad)를 수용하도록 배열되거나, 음료 제조 유닛은 대기압보다 약 1 내지 20 바 높은 압력에서 커피를 브루잉하기 위한 커피 캡슐(coffee capsule)을 수용하도록 배열된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유체 분사 헤드의 각각 정면도, 측면도 및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a 내지 도 1c에 따른 분사 헤드의 상세 사시도이고,
도 3a는 도 1a 내지 도 1c 및 도 2에 따른 출구 채널의 혀처럼 생긴 부분의 상세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1a 내지 도 1c, 도 2 및 도 3a에 따른 출구 채널의 혀처럼 생긴 부분의 상세 저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 분사 헤드를 가진 시스템의 개략도이고,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음료 유체 분사 헤드의 각각 정면도, 측면도 및 평면도이고,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음료 유체 분사 헤드의 각각 정면도, 측면도 및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음료 유체 분사 헤드의 상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음료 유체 분사 헤드의 상세 사시도이고,
도 9는 시험 결과를 가진 그래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음료 유체 분사 헤드의 상세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음료 유체 분사 헤드의 상세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에 따른 분사 헤드의 추가 상세 사시도이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유체 분사 헤드(1)의 각각 정면도, 측면도 및 평면도를 도시한다. 분사 헤드(1)는 하우징(3) 및 유체 트랙(5)을 포함한다. 하우징(3)은 PE, PET, HDPE, LDPE, PP, POM 및 다른 중합체-유형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 같은 견고한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유체 트랙(5)은 또한 이 같은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유체 트랙(5)은 분사 헤드(1)의 평면도를 도시하는 도 1c에 도시된다. 유체 트랙(5)은 하우징(3) 내측에 배열된다. 하우징(3)과 유체 트랙(5)은 바람직하게는 별개의 부분으로서 형성된다. 그러나, 하우징(3)과 유체 트랙(5)은 대안적으로 통합되는 부분으로서 형성될 수도 있다. 유체 트랙(5)은 (도 4에 도시된) 음료 장치(9)로부터, 커피와 같은 음료 유체를 받아들이도록 배열된 입구 채널(7)을 포함한다. 유체 트랙(5)은 입구 채널(7)로부터 음료 유체를 받아들이기 위해 입구 채널(7)에 유체적으로 연결된 수집 챔버(11)를 추가로 포함한다. 수집 챔버(11)에서 유체가 분배될 수 있다. 유체 트랙(5)은 또한 제1 출구 채널(13) 및 제2 출구 채널(15)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출구 채널을 추가로 포함한다. 각각의 출구 채널(13, 15)은 수집 챔버(11)로부터 음료 유체를 받아들이기 위해 수집 챔버(11)에 유체적으로 연결된다. 각각의 출구 채널(13, 15)은 하우징(3)을 통해 밖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례에서, 하우징에는 각각의 출구 채널(13, 15)을 위한 개구부(16, 18)가 위치할 수 있다. 출구 채널들(13, 15) 각각은 해당 하류 단부에, 음료 유체를 안내하고, 분사를 위해 음료 유체를 해당 출구 채널로부터 예컨대 음료 리셉터클(도시되지 않지만, 통상적임) 안으로 공급하기 위한 설상(舌狀) 유동 가이드(17)를 포함한다. 각각의 출구 채널(13, 15)의 설상 유동 가이드(17)가 하우징(3)의 저부(20)를 통해 아래로 그리고 외부로 연장될 수 있도록, 하우징의 저부(20) 내의 개구부(16, 18)가 하우징(3)에 위치할 수 있다. 저부 내의 각각의 개구부(16, 18)는 저부(20) 내의 개구부 에지(14)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설상 유동 가이드(17)는 사람이 혀를 내민 모양과 유사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1c에 따른 설상 유동 가이드(17)의 상세 사시도가 도 3a에 도시된다. 개구부(16, 18)와 이에 대응하는 설상 유동 가이드(17)의 원단부(21) 사이의, 도 1a에 도시된 최단 거리(A)는 5 mm 이다. 그러나, 이 또한 3 내지 15 mm의 범위 또는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1 mm의 범위 내일 수 있다. 설상 유동 가이드(17)는 제1 및 제2 직립 에지(8, 10)를 갖는다. 2개의 직립 에지(8, 10)는 모두, 적어도 부분적으로, 설상 유동 가이드(17)의 원단부(21)를 향해 테이퍼링된다. 직립 에지(8, 10)의 폭(W)이 설상 유동 가이드(17)의 원단부(21)를 향해 감소한다는 점에서 이러한 테이퍼 형성을 이해할 수 있다. 직립 에지(8, 10)는 설상 유동 가이드(17)의 원단부(21)를 향해 수렴할 수 있다. 설상 유동 가이드(17)의 원단부(21)는 단일 팁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설상 유동 가이드(17)는 도 3a에 도시된, 제1 수평 단면 A-A에서 볼 때, 오목한 제1 유체 가이드 표면(23)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유체 가이드 표면(23)은 임의의 수평 단면에서 볼 때, 그의 수평 곡률에 대해 단 하나의 최소치를 갖는다. 직립 에지(8, 10)와 제1 수평 표면 사이의 변이는 매끄러울 수 있다. 제1 및 제2 직립 에지(8, 10)는 제1 유체 가이드 표면(23)의 하류에서 병합되어, 바람직하게는 설상 유동 가이드(17)의 원단부(21)를 형성할 수 있다. 직립 에지(8, 10)는 또한 도 3b에 도시된, 제1 수평 단면으로부터 하류에 있는 제2 수평 단면 B-B에서 볼 때, 볼록한 제2 유체 가이드 표면(24)을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3a로부터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유체 가이드 표면(23)은 제2 유체 가이드 표면(24)에 네스팅된다. 제1 유체 가이드 표면(23)은 설상 유동 가이드(17)의 음료 유체 가이드면(22) 상의 단일 지점(26)으로 수렴할 수 있다. 단일 지점(26)은 설상 유동 가이드(17)의 원단부(21)의 상류에 있다. 제1 유체 가이드 표면(23)은 예컨대 전방 방향(F)으로, 수직으로부터 0 내지 10도, 바람직하게는 0도의 각도로 하류에서 종단될 수 있다. 제2 유체 가이드 표면은 예컨대 전방 방향(F)과 반대로, 수직으로부터 0 내지 10도의 각도로 하류에서 종단된다.
도 2는 도 1a 내지 도 1c에 따른 분사 헤드(1)의 상세 사시도를 도시한다. 바람직하게는, 유체 트랙(5) 및 하우징(3)은 PET, HDPE, LDPE, PS, POM 또는 PP 와 같은 식품 등급 플라스틱 또는 임의의 다른 식품 등급 중합체 또는 식품 등급 중합체의 복합물로 형성된다. 유체 트랙(5) 및 하우징(3)은 열 성형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유체 트랙(5)과 하우징(3)은 공통 구조체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다. 대안적으로, 유체 트랙(5)과 하우징(3)은 분사 헤드(1)를 형성하도록 서로 연결될 수 있는 별개의 구조체이다. 도 3a에 도시된 설상 유동 가이드(17)는 각각의 출구 채널(13, 15)과 통합된다. 제1 및 제2 출구 채널(13, 15) 각각의 일부는 설상 유동 가이드(17)를 향한 하향 곡률을 갖는 슈트(30)로서 형성된다. 또한, 출구 채널들(13, 15) 각각은 바람직하게는 그 내부의 음료 유체의 유동 방향을 횡단하는 그의 단면에서 만곡된다. 유체 트랙(5) 내의, 커피와 같은 음료 유체는 단지 중력의 영향 하에서 유동한다. 출구 채널들(13, 15) 각각은 제1 유동 제한부(25)를 포함하고, 여기서 제1 유동 제한부는 제1 관통 유동 개구부(27)를 포함한다. 제1 유동 제한부(25)는 유체 트랙(5)과 통합될 수 있다. 제1 유동 제한부(25)는 대응하는 출구 채널(13, 15) 내에서 유동 방향을 횡단하여 연장되는 제1 직립 벽일 수 있다. 들어오는 음료 유체 유동에 대면하는 제1 직립 분리 벽의 외부 표면은 의도된 사용 시에 수직으로부터 2 내지 5도로 경사를 이룬다. 제1 관통 유동 개구부(27)의 윤곽은 제1 관통 유동 개구부(27)가 1.2 내지 1.8 mm 범위 내의 폭을 갖는 슬릿 모양이 되도록 제1 유동 제한부(25)에 의해 규정된다. 제1 관통 유동 개구부(27)의 폭은 위로 갈수록 증가한다. 또한, 제1 관통 유동 개구부(27)는 제1 유동 제한부의 저부 에지로부터 제1 유동 제한부의 상부 에지까지 위로 연장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도 4는 커피 또는 따뜻한 물과 같은 음료 유체를 분사 헤드(1)에 제공하기 위한 음료 제조 유닛(33)을 가진 커피 장치(9)를 포함하는 시스템(100)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특히, 커피 장치(9)는 음료 유체를 입구 채널(7)로 전달하도록 배열된다. 이를 위해, 음료 제조 유닛(33)과 분사 헤드(1)는 유체적으로 연결된다. 음료 제조 유닛(9)은 대기압보다 약 0.7 내지 3 바 높은 압력에서 커피를 브루잉하기 위한 커피 패드를 수용하도록 배열될 수 있거나, 이 같은 음료 제조 유닛은 대기압보다 약 1 내지 20 바 높은 압력에서 커피를 브루잉하기 위한 커피 캡슐을 수용하도록 배열된다. 이를 위해, 음료 제조 기계(9)는 커피 기계의 통상적인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분사 헤드(1)와 커피 장치(9)는 서로 탈착가능하게 연결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음료 제조 기계(9)는 분사를 위해 기설정된 시간 동안 작동하도록 마련된 시간 제어식 음료 제조 기계일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는 도 1a 내지 도 1c에 따른 음료 장치의 분사 헤드(1')의 다른 실시예의 정면도, 측면도 및 평면도를 도시한다. 전술한 도면 및 도 5a 내지 도 5c에서, 서로 대응되는 요소에는 동일한 도면 부호가 주어진다. 이하에서는, 도 1a 내지 도 1c의 분사 헤드(1)와 도 5a 내지 도 5c의 분사 헤드(1') 사이의 차이만을 논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직립 에지들(8, 10) 각각은 설상 유동 가이드(17)의 원단부(21)를 향해 기울어지거나 구부러진다. 직립 에지들(8, 10) 각각은 설상 유동 가이드(17)의 길이를 따라 이어지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 유체 가이드 표면(23)에 대해, 전방 방향(F)과 같이 비수직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2 유체 가이드 표면(24)이 직립 에지(8, 10)에 의해 형성되지 않는다.
도 6a 내지 도 6c는 도 1a 내지 도 1c에 따른 음료 장치의 분사 헤드(1")의 다른 실시예의 정면도, 측면도 및 평면도를 도시한다. 전술한 도면 및 도 6a 내지 도 6c에서, 서로 대응되는 요소에는 동일한 도면 부호가 주어진다. 이하에서는, 도 1a 내지 도 1c의 분사 헤드(1)와 도 6a 내지 도 6c의 분사 헤드(1") 사이의 차이만을 논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직립 에지들(8, 10) 각각은 설상 유동 가이드(17)의 길이를 따라 이어지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 유체 가이드 표면(23)에 대해, 전방 방향(F)과 같은 비수직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2 유체 가이드 표면(24)이 직립 에지(8, 10)에 의해 형성되지 않는다. 제1 유체 가이드 표면은 수평 단면에서 실질적으로 V-형상이 될 수 있다. 개구부(16, 18)와 설상 유동 가이드(21)의 원단부 사이의 최단 거리(A)는 11 mm 이다.
도 7은 도 1a 내지 도 1c에 따른 음료 장치의 분사 헤드(1"')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전술한 도면 및 도 7에서, 서로 대응되는 요소에는 동일한 도면 부호가 주어진다. 이하에서는, 도 1a 내지 도 1c의 분사 헤드(1)와 도 7의 분사 헤드(1"') 사이의 차이만을 논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출구 채널들(13, 15) 각각은 추가 유동 제한부(37)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 유동 제한부(37)는 추가 관통 유동 개구부(39)를 포함한다. 추가 유동 제한부(37)는 각각의 출구 채널(13, 15) 내에서 유동 방향을 횡단하여 연장되는 추가 직립 벽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들어오는 음료 유체 유동에 대면하는 추가 직립 분리 벽의 외부 표면은 수직으로부터 0 내지 10도로 경사를 이룬다. 추가 관통 유동 개구부(39)는 1.2 내지 1.8 mm 범위 내의 폭을 갖는 슬릿 모양이다. 추가 관통 유동 개구부의 폭은 위로 갈수록 증가한다. 추가 관통 유동 개구부는 추가 유동 제한부(37)의 저부 에지로부터 위로 연장될 수 있다. 관통 유동 개구부(39)는 또한 추가 유동 제한부(37)의 상부 에지까지 연장될 수 있다. 제1 유체 가이드 표면(23)은 그의 하류 단부에 리세스(recess)(4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유체 가이드 표면(24)이 직립 에지(8, 10)에 의해 형성되지 않는다.
도 8은 도 1a 내지 도 1c에 따른 음료 장치의 분사 헤드(1"")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전술한 도면 및 도 8에서, 서로 대응되는 요소에는 동일한 도면 부호가 주어진다. 이하에서는, 도 1a 내지 도 1c의 분사 헤드(1)와 도 8의 분사 헤드(1"") 사이의 차이만을 논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출구 채널들(13, 15) 각각은 제2 유동 제한부(4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유동 제한부(43)는 관통 유동 개구부(45)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유동 제한부(43)는 제1 유동 제한부(25)의 하류에 배열될 수 있다. 제2 유동 제한부(43)는 추가 유동 제한부(37)의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다. 제2 유동 제한부(43)는 각각의 출구 채널 내에서 유동 방향을 횡단하여 연장되는 제2 직립 벽일 수 있다. 들어오는 음료 유체 유동에 대면하는 제2 직립 분리 벽의 외부 표면이 수직으로부터 2 내지 5도로 경사질 수 있다. 제2 관통 유동 개구부의 윤곽은 제2 관통 유동 개구부가 1.2 내지 1.8 mm 범위 내의 폭을 갖는 슬릿 모양일 수 있도록 제2 유동 제한부에 의해 규정된다. 제2 관통 유동 개구부는 제2 유동 제한부의 저부 에지로부터 위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관통 유동 개구부의 폭은 위로 갈수록 증가한다. 관통 유동 개구부는 제2 유동 제한부(43)의 상부 에지까지 연장될 수 있다. 제2 유동 제한부는 임의의 전술한 실시예와 조합될 수 있다.
도 9는 도 1a 내지 도 1c의 분사 헤드(1)의 사용을 반영하는 시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를 도시한다. 이러한 시험에서, 60 ml의 커피 음료가 도 1a 내지 도 1c의 분사 헤드(1)를 사용하여 분사되었다. 분사 중에 출구 스트림이 5 내지 15 cm일 수 있도록, 음료 분사 헤드 바로 아래에 배치된 음료 리셉터클 내로 음료를 분사하였다. y축의 좌측에, 음료가 분사된 시간이 초단위로 도시된다. y축의 우측에, 각각의 출구 스트림의 유량률이 도시된다. 실험 결과는 기호 ◇에 의해 표시된다. 분사 중에 드립핑(dripping)을 나타낸 실험은 "X"로 표시되었다.
도 10은 도 1a 내지 도 1c에 따른 음료 장치의 분사 헤드(1"'")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전술한 도면 및 도 10에서, 서로 대응되는 요소에는 동일한 도면 부호가 주어진다. 이하에서는, 도 1a 내지 도 1c의 분사 헤드(1)와 도 10의 분사 헤드(1'"") 사이의 차이만을 논한다. 도 10에서, 제1 유동 제한부(25)는 제1 관통 유동 개구부(27)가 슬릿 모양이 되도록 제1 관통 유동 개구부(27)의 윤곽을 규정하며, 여기서 제1 관통 유동 개구부(27)의 폭은 2.5 mm의 제1 폭으로부터 5.4 mm의 제2 폭까지 위로 갈수록 증가한다. 유사하게, 제2 관통 유동 개구부(45) 및/또는 추가 관통 유동 개구부(39)는 또한 슬릿 모양으로서 규정될 수 있고, 여기서 제1 관통 유동 개구부(27)의 폭은 2.5 mm의 제1 폭으로부터 5.4 mm의 제2 폭까지 위로 갈수록 증가한다.
도 11 및 도 12는 도 1a 내지 도 1c에 따른 음료 장치의 분사 헤드(1""")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전술한 도면 및 도 11과 도 12에서, 서로 대응되는 요소에는 동일한 도면 부호가 주어진다. 이하에서는, 도 1a 내지 도 1c의 분사 헤드(1)와 도 11 및 도 12의 분사 헤드(1""") 사이의 차이만을 논한다. 도 11에서, 하우징(3)에는 하우징(3)과 통합되는 직립 에지(49)에 의해 형성된 스커트 요소(47)가 제공된다. 스커트 요소는 각각의 설상 유동 가이드(17) 주위에 제공되고, 하우징(3)으로부터 그의 각각의 설상 유동 가이드(17)의 원단부(21) 아래까지 아래로 연장된다. 특히, 스커트 요소(47)는, 하우징(30)(상기 하우징을 통해 설상 유동 가이드(17)가 연장됨)의 저부(20) 내의 개구부(16, 18)의 윤곽을 규정한다.
분사 헤드(1""")의 부분 단면도를 또한 제공하는 도 12에서, 스커트 요소(47)의 내부 표면과 설상 유동 가이드(17)가 예컨대 유체적으로 분리되도록 이격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설상 유동 가이드(17)의 길이를 따라 이어지는 직립 에지들(8, 10) 각각은, 음료 유체가 유동 가이드(17)로부터 스커트 요소(47)까지 우발적으로 브리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스커트 요소(47)로부터 떨어져 최소 거리(51)로 이격된다. 본 발명은 위에 언급된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출구 채널들(13, 15) 각각에 관련된 특징이 언급되는 어느 경우에도, 이는 적어도 하나의 출구 채널에 적용가능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명료하고 간결한 설명을 목적으로, 특징이 동일하거나 개별적인 실시예의 일부로서 본 명세서에 기술되지만, 본 발명의 범주가 본 출원 전체에 걸쳐 기술된 특징들 중 전부 또는 일부의 조합을 갖는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본 발명이 본 명세서에 기술된 임의의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 내에 있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는 변형 가능성은 당업자에게 분명하게 드러날 것이다. 당업자의 이해의 범위 내에서의 추가, 삭제 및 변형은 일반적으로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서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37)

  1. 음료 유체 분사 헤드(beverage fluid dispensing head)에 있어서,
    하우징(housing); 및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하우징 내측에 배열되는 유체 트랙(fluid track)을 포함하고,
    상기 유체 트랙은:
    음료 장치로부터, 커피와 같은 음료 유체를 받아들이도록 배열되는 입구 채널(inlet channel);
    상기 입구 채널로부터 상기 음료 유체를 받아들이기 위해 상기 입구 채널에 유체적으로(fluidly) 연결되는 수집 챔버(collection chamber); 및
    적어도 하나의 출구 채널(outlet channel)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출구 채널은 상기 수집 챔버로부터 상기 음료 유체를 받아들이기 위해 상기 수집 챔버에 유체적으로 연결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출구 채널의 하류 부분이 설상(舌狀) 유동 가이드(tongue-shaped flow guide)로서 형성되고, 상기 설상 유동 가이드는 사용 시에 (i) 상기 음료 유체를 안내하고 (ii) 분사를 위한 통합 유체 빔(integral fluid beam)의 형태로, 상기 음료 유체를 상기 설상 유동 가이드로부터 공급하기 위해 아래로 지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유체 분사 헤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상 유동 가이드는 사용 시에 상기 음료 유체를 유동률 범위(A) 내의 평균 유동률로 받아들이도록 배열되고, 상기 유동률 범위(A)는 0.4 내지 6 ml/s인, 음료 유체 분사 헤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상 유동 가이드는 제1 및 제2 직립 에지(upstanding edge)를 갖되, 상기 직립 에지들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설상 유동 가이드의 원단부를 향해 테이퍼링되는(taper), 음료 유체 분사 헤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설상 유동 가이드는 제1 및 제2 직립 에지를 갖고, 상기 직립 에지들 각각은 상기 설상 유동 가이드의 원단부를 향해 기울어지거나(beveled) 구부러지는(kinked), 음료 유체 분사 헤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설상 유동 가이드는 제1 및 제2 직립 에지를 갖고, 상기 직립 에지들은 상기 설상 유동 가이드의 원단부를 향해 수렴하는, 음료 유체 분사 헤드.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설상 유동 가이드의 원단부는 단일 팁(single tip)으로서 형성되는, 음료 유체 분사 헤드.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설상 유동 가이드는 제1 유체 가이드 표면을 갖고, 상기 제1 유체 가이드 표면은 제1 수평 단면에서 볼 때 내향 곡률을 형성하고, 상기 제1 유체 가이드 표면의 수평 곡률의 단 하나의 최소치를 가진 내향 곡률을 형성하는, 음료 유체 분사 헤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설상 유동 가이드는 상기 제1 유체 가이드 표면의 하류에서 병합되는 제1 및 제2 직립 에지를 갖고, 상기 직립 에지들은 외향 팽출(bulging)을 형성하는 제2 유체 가이드 표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1 유체 가이드 표면은 상기 제2 유체 가이드 표면에 네스팅되는(nested), 음료 유체 분사 헤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체 가이드 표면은 상기 설상 유동 가이드의 음료 유체 가이드면 상의 단일 지점으로 수렴하고, 상기 단일 지점은 상기 설상 유동 가이드의 원단부의 상류에 있는, 음료 유체 분사 헤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설상 유동 가이드는 제1 및 제2 직립 에지를 갖고, 상기 직립 에지들 각각은 상기 설상 유동 가이드의 길이를 따라 이어지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제1 유체 가이드 표면에 대해 비수직 방향으로 확장되는, 음료 유체 분사 헤드.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하우징의 저부 내에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가 위치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설상 유동 가이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를 통해 확장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와 상기 설상 유동 가이드의 원단부 사이의 최단 거리는 3 내지 15 mm인, 음료 유체 분사 헤드.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체 가이드 표면은 예컨대 전방 방향으로, 수직으로부터 0 내지 10도의 각도로 종단되는(terminate), 음료 유체 분사 헤드.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체 가이드 표면은 예컨대 전방 방향과 반대로, 수직으로부터 0 내지 10도의 각도로 종단되는, 음료 유체 분사 헤드.
  1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출구 채널은 상기 설상 유동 가이드와 통합된, 음료 유체 분사 헤드.
  1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출구 채널의 일부는 상기 설상 유동 가이드를 향하는 하향 곡률을 갖는 슈트(chute)로서 형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출구 채널은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출구 채널의 유동 방향을 횡단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출구 채널의 단면에서 만곡되는, 음료 유체 분사 헤드.
  1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출구 채널은 제1 유동 제한부(flow restriction)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유동 제한부는 제1 관통 유동 개구부(through flow opening)를 포함하는, 음료 유체 분사 헤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동 제한부는 유동 방향을 횡단하여 확장되는 제1 직립 벽(upstanding wall)인, 음료 유체 분사 헤드.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관통 유동 개구부는 2.0 내지 6.0 mm 범위 내의 폭을 갖는 슬릿(slit) 모양이고, 상기 제1 관통 유동 개구부는 상기 제1 유동 제한부의 저부 에지에서부터 위로 확장되는, 음료 유체 분사 헤드.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출구 채널은 제2 유동 제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유동 제한부는 관통 유동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유동 제한부는 상기 제1 유동 제한부의 하류에 배열되는, 음료 유체 분사 헤드.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동 제한부는 유동 방향을 횡단하여 확장되는 제2 직립 벽이고, 들어오는 음료 유체 유동에 대면하는 상기 제2 직립 벽의 외부 표면이 수직으로부터 2 내지 5도의 경사를 이루고, 제2 관통 유동 개구부는 2.0 내지 6.0 mm 범위 내의 폭을 갖는 슬릿 모양이고, 상기 제2 관통 유동 개구부의 윤곽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2 직립 벽의 적어도 일부분에 의해 규정되고, 상기 제2 관통 유동 개구부는 상기 제2 유동 제한부의 저부 에지에서부터 위로 확장되는, 음료 유체 분사 헤드.
  2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설상 유동 가이드는 추가 유동 제한부를 포함하고, 상기 추가 유동 제한부는 추가 관통 유동 개구부를 포함하는, 음료 유체 분사 헤드.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유동 제한부는 유동 방향을 횡단하여 확장되는 추가 직립 벽이고, 상기 추가 직립 분리 벽은 수직으로부터 0 내지 10도의 경사를 이루고, 상기 추가 관통 유동 개구부는 1.2 내지 1.8 mm 범위 내의 폭을 갖는 슬릿 모양이고, 상기 추가 관통 유동 개구부는 상기 추가 유동 제한부의 저부 에지에서부터 위로 확장되는, 음료 유체 분사 헤드.
  2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아래로 확장되고 상기 설상 유동 가이드 주위에 배열되는 스커트 요소(skirt element)가 상기 하우징에 위치하는, 음료 유체 분사 헤드.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스커트 요소의 내부 표면과 상기 설상 유동 가이드는 예컨대 유체적으로 분리되도록 이격되어 있는, 음료 유체 분사 헤드.
  25.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음료 유체 분사 헤드 및 커피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커피 장치는, 커피와 같은 음료 유체를 상기 음료 유체 분사 헤드에 제공하기 위한 음료 제조 유닛(beverage preparation unit)을 가지는 시스템.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 제조 유닛은 대기압보다 0.7 내지 3 바(bar) 높은 압력에서 커피를 브루잉(brewing)하기 위한 커피 패드(coffee pad)를 수용하도록 배열되거나, 상기 음료 제조 유닛은 대기압보다 1 내지 20 바 높은 압력에서 커피를 브루잉하기 위한 커피 캡슐(coffee capsule)을 수용하도록 배열되는, 시스템.
  2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률 범위(A)는 0.5 내지 6 ml/s인, 음료 유체 분사 헤드.
  2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률 범위(A)는 0.5 내지 2 ml/s인, 음료 유체 분사 헤드.
  2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와 상기 설상 유동 가이드의 상기 원단부 사이의 최단 거리는 5 내지 11 mm인, 음료 유체 분사 헤드.
  3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와 상기 설상 유동 가이드의 상기 원단부 사이의 최단 거리는 5 mm인, 음료 유체 분사 헤드.
  31.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체 가이드 표면은 예컨대 전방 방향으로, 수직으로부터 0도의 각도로 종단되는(terminate), 음료 유체 분사 헤드.
  3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관통 유동 개구부는 상기 제1 유동 제한부의 상부 에지까지 확장되고, 상기 제1 관통 유동 개구부의 상기 폭은 2.0 내지 3.0 mm의 폭으로부터 5.0 내지 6.0 mm의 폭까지 위로 갈수록 증가하는, 음료 유체 분사 헤드.
  3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유동 개구부는 상기 제2 유동 제한부의 상부 에지까지 확장되고, 상기 제2 관통 유동 개구부의 상기 폭은 2.0 내지 3.0 mm의 폭으로부터 5.0 내지 6.0 mm의 폭까지 위로 갈수록 증가하는, 음료 유체 분사 헤드.
  3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유동 개구부는 상기 추가 유동 제한부의 상부 에지까지 확장되는, 음료 유체 분사 헤드.
  35. 제17항에 있어서,
    들어오는 음료 유체 유동에 대면하는 상기 제1 직립 벽의 외부 표면이 수직으로부터 2 내지 5도의 경사를 이루는, 음료 유체 분사 헤드.
  36.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관통 유동 개구부의 윤곽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1 직립 벽의 적어도 일부분에 의해 규정되는, 음료 유체 분사 헤드.
  37.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스커트 요소는 상기 설상 유동 가이드의 원단부 아래까지 확장되는, 음료 유체 분사 헤드.
KR1020207019545A 2017-12-07 2018-12-07 음료 유체 분사 헤드 및 시스템 KR1026504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2020038 2017-12-07
NL2020038 2017-12-07
PCT/NL2018/050822 WO2019112434A1 (en) 2017-12-07 2018-12-07 A beverage fluid dispensing head and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6035A KR20200106035A (ko) 2020-09-10
KR102650489B1 true KR102650489B1 (ko) 2024-03-22

Family

ID=61628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9545A KR102650489B1 (ko) 2017-12-07 2018-12-07 음료 유체 분사 헤드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11786069B2 (ko)
EP (1) EP3720324A1 (ko)
JP (1) JP7377799B2 (ko)
KR (1) KR102650489B1 (ko)
CN (1) CN111432696B (ko)
AU (1) AU2018379584B2 (ko)
BR (1) BR112020011406A2 (ko)
CA (1) CA3084659A1 (ko)
IL (1) IL275194B1 (ko)
MX (1) MX2020005870A (ko)
NL (1) NL2022152B1 (ko)
WO (1) WO20191124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1900012198A1 (it) * 2019-07-17 2021-01-17 De Longhi Appliances Srl Erogatore di liquidi per bevand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60121A1 (en) 2003-01-06 2004-07-22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Container receiving unit with even distribution of beverage
WO2011048485A2 (en) 2009-10-23 2011-04-28 La Marzocco S.R.L. Improved portafilter for espresso coffee machines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338027A1 (fr) 1976-01-14 1977-08-12 Seb Sa Repartiteur de liquide, notamment pour distributeur de boisson
DE4037673A1 (de) * 1990-11-27 1992-06-11 Leifheit Ag Ausgusstuelle fuer kaffee-, tee- oder isolierkannen
JP2005078552A (ja) 2003-09-03 2005-03-24 Fuji Electric Retail Systems Co Ltd 飲料抽出装置
JP4155195B2 (ja) 2004-01-07 2008-09-24 富士電機リテイ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飲料抽出装置
CN1980851A (zh) 2004-04-05 2007-06-13 智封私人有限责任公司 用来减少液体流出物中溶解的气体损失的分配装置及其使用方法
PT2091859E (pt) * 2006-11-20 2012-09-04 Mccormick & Co Inc Obturador de bocal que não goteja
EP1929905B1 (en) 2006-12-06 2012-02-08 RHEAVENDORS SERVICES S.p.A. Beverage dispensing machine and operating method
JP5219776B2 (ja) 2008-12-17 2013-06-26 ホシザキ電機株式会社 飲料ディスペンサ
PL2367736T3 (pl) 2009-06-17 2013-10-31 Douwe Egberts Bv Układ i sposób do przygotowywania z góry określonej ilości napoju
WO2015006244A1 (en) 2013-07-06 2015-01-15 Adager Corporation (The) Portafilter and grounds weighing platform system and methods of use
EP2543289A1 (en) 2011-07-08 2013-01-09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Device for preparing a beverage
EP2633789A1 (en) 2012-02-28 2013-09-04 Nestec S.A.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with drop management
CN103767544B (zh) 2012-10-18 2018-03-06 苏州工业园区咖乐美电器有限公司 一种咖啡机出口的分流结构
CN203662563U (zh) 2013-12-05 2014-06-25 佛山市顺德区美的饮水机制造有限公司 饮料饮水机
CN204445431U (zh) 2015-01-06 2015-07-08 广东新宝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咖啡机以及导流结构
DE102015109921A1 (de) * 2015-06-22 2016-12-22 Melitta Professional Coffee Solutions GmbH & Co. KG Verfahren zum Erzeugen eines Kaffeegetränks
US10646065B2 (en) * 2016-03-14 2020-05-12 Bunn-O-Matic Corporation Funnel assembly for making powdered beverag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60121A1 (en) 2003-01-06 2004-07-22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Container receiving unit with even distribution of beverage
WO2011048485A2 (en) 2009-10-23 2011-04-28 La Marzocco S.R.L. Improved portafilter for espresso coffee machin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1505256A (ja) 2021-02-18
NL2022152B1 (en) 2019-09-13
RU2020122246A3 (ko) 2022-03-01
MX2020005870A (es) 2020-08-13
US20210315412A1 (en) 2021-10-14
IL275194A (en) 2020-07-30
AU2018379584B2 (en) 2024-01-25
JP7377799B2 (ja) 2023-11-10
RU2020122246A (ru) 2022-01-10
AU2018379584A1 (en) 2020-06-25
CA3084659A1 (en) 2019-06-13
CN111432696B (zh) 2022-07-15
EP3720324A1 (en) 2020-10-14
BR112020011406A2 (pt) 2020-11-24
IL275194B1 (en) 2024-01-01
NL2022152A (en) 2019-06-13
KR20200106035A (ko) 2020-09-10
US11786069B2 (en) 2023-10-17
CN111432696A (zh) 2020-07-17
WO2019112434A1 (en) 2019-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16796B1 (en) Steam frothing device with froth flow regulation system
EP1460921B1 (en) Beverage device for making a beverage with a foam layer on top
JP2005512715A5 (ko)
KR20120087926A (ko) 음료의 준비를 위한 카트리지
KR102650489B1 (ko) 음료 유체 분사 헤드 및 시스템
US8549990B2 (en) Coffeemaker comprising a foam-making device
RU2779717C2 (ru) Головка и система для выдачи текучей среды напитка
US8607693B2 (en) Device and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a frothy liquid for human consumption
EP2767198B1 (en) A filter holder for an espresso coffee machine
WO2019013622A2 (en) BEVERAGE APPARATUS HAVING A BEVERAGE PREPARATION UNIT FOR SUPPLYING A BEVER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