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9423B1 - 도금용 비자성체 조각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도금용 비자성체 조각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9423B1
KR102649423B1 KR1020230131588A KR20230131588A KR102649423B1 KR 102649423 B1 KR102649423 B1 KR 102649423B1 KR 1020230131588 A KR1020230131588 A KR 1020230131588A KR 20230131588 A KR20230131588 A KR 20230131588A KR 102649423 B1 KR102649423 B1 KR 1026494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ing
copper plate
response
frame
guid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315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중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피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피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피코리아
Priority to KR10202301315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94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94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94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17/007Current directing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17/02Tanks; Installation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3/00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 C25D3/02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from solutions
    • C25D3/12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from solutions of nickel or cobalt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3/00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 C25D3/02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from solutions
    • C25D3/50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from solutions of platinum group met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plating Methods And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금용 비자성체 조각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니켈이 도금된 동판의 산화를 방지하기 위해 팔라듐(Pd)이 저장된 도금조에 침지시켜 팔라듐도금시, 떨어져 나온 동판 조각들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제거가능하도록 구성하여, 동판에 도금된 니켈로부터 팔라듐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도금용 비자성체 조각 제거장치{Non-magnetic fragment removal device for plating}
본 발명은 도금용 비자성체 조각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니켈이 도금된 동판의 산화를 방지하기 위해 팔라듐(Pd)이 저장된 도금조에 침지시켜 팔라듐도금시, 떨어져 나온 동판 조각들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제거가능하도록 구성하여, 동판에 도금된 니켈로부터 팔라듐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도금용 비자성체 조각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금이란 피전해물의 표면에 금속 또는 합금의 얇은 막을 입히는 조작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장식적인 미화(美化), 방식(防蝕), 내마모성 향상, 접촉저항의 개선, 침탄(浸炭) 방지 등의 다양한 분야에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도금은, 그 방법이나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구분될 수 있지만 오늘날에는 특히, 전기도금이 중요한 위치에 있으며, 흔히 도금이라 하면 전기도금을 의미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여기서, 전기도금의 원리를 간단히 설명하면, 전기도금은 도금하고자 하는 대상물(피전해물)을 캐소드전극(음극)으로 하고, 전착(電着)시키고자 하는 금속(도금용 금속)을 애노드전극(양극)으로 하여, 전착시키고자 하는 금속이온을 함유한 전해액 속에 상기 피전해물과 상기 도금용 금속을 넣고, 두 전극을 통전(通電)하여 전리시킴으로써 상기 금속이온이 피전해물의 표면에 금속이온을 침적시키는 현상을 이용하는 것이다.
상기한 전기도금은, 통상적으로 대상물을 캐리어에 고정해서 아래로 수직강하시켜, 도금조의 중앙으로 도금액속으로 침수시키고, 대상물의 양쪽 수직방향에는 소정의 거리에 애노드 금속판이 설치된다.
그러면, 금속판으로부터 중앙의 대상물 사이에 전계가 형성 즉, 애노드와 캐소드 사이에는 전기력선이 형성된다.
도금조 속의 이온화된 금속이온, 예를 들어 양의 금이온은 전기력선의 방향으로 이동해서 대상물 위에 도금이 진행된다.
그런데, 대상물의 각 위치에 따라 공급되는 전기량이 서로 동일하지 않으므로, 대상물 상의 도금 두께에 있어 편차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특허출원번호 10-2022-0053480호에 전기도금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살펴보면 종래의 일반적인 전기도금장치는, 도금액을 저장가능하게 상부가 개구되어 구비되는 도금조와, 상기 도금조의 양내측면에 서로에 대하여 이격되게 한 쌍으로 설치되어 양극으로 작용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2도금전극셀과, 동판을 고정시켜 상기 도금조에 내설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2도금전극셀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동판에 (-)전기를 대전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동판고정용 지그부와, 상기 도금조의 일측면 내부에 일단이 배관되고, 타단은 도금액공급부에 연결되어 도금액저장부에 저장된 도금액을 상기 도금조 내측으로 도금액을 공급가능하게 구비되는 도금액공급관과, 상기 도금조의 타측면 내부에 일단이 배관되고, 타단은 여과부를 통하여 도금액저장부와 연결되어 구비되는 도금액 여과순환관과, 상기 도금조 내부에 설치되어 제어부의 제어에 대응되게 전원이 인가되는 것에 의해 상기 도금조에 저장된 도금액을 가열가능하게 구비되는 도금액 가열히터와, 상기 도금조에 저장된 도금액의 온도를 측정하여 이를 상기 제어부측으로 송출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도금액 가열히터가 제어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온도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2도금전극셀은, 상기 도금조의 상면에 안착되어 (+)전기가 인가되게 구비되는 제1,2도금전극셀용 바와, 상기 제1,2도금전극셀용 바에 각 일단이 걸림 고정되는 것에 의해 서로에 대하여 이격되게 구비되는 한 쌍의 제1,2도금전극셀용 걸이부와, 상기 제1,2도금전극셀용 걸이부의 각 타단에 일단이 각각 고정되는 것에 의해 상기 도금조의 양내측면 중앙부에 서로에 대하여 이격되어 수직되게 구비되는 한 쌍의 제1,2도금전극셀용 수직망과, 상기 제1,2도금전극셀용 수직망의 각 전면 중간부와 하단에 제1,2고정연결부재를 매개로 수평되게 각각 설치되어 동판의 각 위치에 균일한 전류가 공급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제1,2도금전극셀용 수평망으로 구성되고, 상기 동판고정용 지그부는, 상기 도금조의 상면에 안착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2도금전극셀 사이에 위치되어 (-)전기가 인가되게 구비되는 동판고정지그용 바와, 상기 동판고정지그용 바의 중간부에 걸 수 있도록 일단에는 걸이부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동판을 걸림시키면서 (-)전기가 인가가능하게 고정걸이부가 형성되어 구비되는 동판고정대로 구성되며, 상기 한 쌍의 제1도금전극셀용 수직망 사이의 간격과 제2도금전극셀용 수직망 사이의 간격은, 동판에 팔라듐도금시 편차가 발생하지 않고 균일한 두께로 도금이 이루어지도록 6㎝~10㎝ 간격으로 고정 연결되게 구비됨과 아울러, 상기 한 쌍의 제1도금전극셀용 수평망은 제1도금전극셀용 수직망의 전면에 대하여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제2도금전극셀용 수평망은 제2도금전극셀용 수직망의 전면에 대하여 15㎝~3㎝ 간격으로 각각 고정 설치되는 것에 의해 동판에 팔라듐도금시 편차가 발생하지 않고 균일한 두께로 도금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일반적인 전기도금장치는, 상기한 구성들로 인해 동판 전체에 균일한 두께로 팔라듐도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표면 광택 효과와 함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는 있으나, 팔라듐도금시, 동판으로부터 떨어져 나온 동판 조각들을 신속하게 제거하기가 곤란하여 시간경과에 따른 동판에 도금된 니켈이 녹아 팔라듐이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출원번호 10-2022-0053480호, 출원일; 2022년04월29일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니켈이 도금된 동판의 산화를 방지하기 위해 팔라듐(Pd)이 저장된 도금조에 침지시켜 팔라듐도금시, 떨어져 나온 동판 조각들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제거가능하도록 구성하여, 동판에 도금된 니켈로부터 팔라듐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도금용 비자성체 조각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기술이 진행되면서 명확해질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원을 인가시킨 후 작동버튼의 조작에 대응되게 구동하여 팔라듐이 저장된 전기도금장치의 도금조(A)에 떨어진 니켈이 도금된 동판 조각(B)을 제거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도금용 비자성체 조각 제거장치로서, 다각 형상의 프레임(110)과, 상기 프레임(110)의 상면 좌,우측에 설치되어, 작동버튼의 조작에 대응되게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전,후진이동용 엘엠가이드부(120)와, 상기 전,후진이동용 엘엠가이드부(120)에 각 일단이 연결되어 상기 작동버튼의 조작에 대응되게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좌,우이동용 엘엠가이드부(130)와, 상기 좌,우이동용 엘엠가이드부(130)에 일단이 고정 설치되어 상기 작동버튼의 조작에 대응되게 타단이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승강수단(140)과, 상기 승강수단(140)의 타단에 일단이 고정 연결되어 구비되는 연결부재(150)의 타단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수단(140)이 구동하는 것에 대응되게 도금조(A) 내측으로 하강하여 바닥에 떨어진 동판 조각(B)을 진공흡착시켜 제거가능하게 구비되는 동판조각제거부재(1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프레임(110)의 저면 모서리부에는 도금용 비자성체 조각 제거장치(100)의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브레이크가 부설된 케스터(17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프레임(110)은, 좌측과 우측에 서로 이격되게 구비되는 전,후단용 수직바(111,112)와, 상기 전,후단용 수직바(111,112)를 서로 고정 연결시켜 사각 틀 형상으로 만들기 위해 구비되는 상,하단용 수평바(113,11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한 동판조각제거부재(160)는, 상기 승강수단(140)의 타단에 일단이 고정 연결되어 구비되는 연결부재(150)의 타단을 일단 내측으로 수용시켜 고정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원기둥 단면 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된 수용고정부(161)와, 상기 수용고정부(161)의 타단으로부터 외향 경사진 후, 꺾임되어 내측방향으로 경사져 수축 및 복원이 탄성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형성된 탄성부(162)와, 상기 탄성부(162)의 선단으로부터 외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도금조(A) 바닥면에 떨어지 동판 조각(B)을 진공흡착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흡착부(16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금용 비자성체 조각 제거장치에 따르면, 니켈이 도금된 동판의 산화를 방지하기 위해 팔라듐(Pd)이 저장된 도금조에 침지시켜 팔라듐도금시, 떨어져 나온 동판 조각들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어서, 동판에 도금된 니켈로부터 팔라듐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금용 비자성체 조각 제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도금용 비자성체 조각 제거장치의 동판조각제거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금용 비자성체 조각 제거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도금용 비자성체 조각 제거장치의 일실시 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금용 비자성체 조각 제거장치는, 도금조에 떨어진 니켈이 도금된 동판 조각을 신속하면서도 용이하게 제거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한 본 발명은 전원을 인가시킨 후 작동버튼의 조작에 대응되게 구동하여 팔라듐이 저장된 전기도금장치의 도금조(A)에 떨어진 니켈이 도금된 동판 조각(B)을 제거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도금용 비자성체 조각 제거장치(100)로서, 다각 형상의 프레임(110)과, 상기 프레임(110)의 상면 좌,우측에 설치되어, 작동버튼(미도시함)의 조작에 대응되게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전,후진이동용 엘엠가이드부(120)와, 상기 전,후진이동용 엘엠가이드부(120)에 각 일단이 연결되어 상기 작동버튼의 조작에 대응되게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좌,우이동용 엘엠가이드부(130)와, 상기 좌,우이동용 엘엠가이드부(130)에 일단이 고정 설치되어 상기 작동버튼의 조작에 대응되게 타단이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승강수단(140)과, 상기 승강수단(140)의 타단에 일단이 고정 연결되어 구비되는 연결부재(150)의 타단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수단(140)이 구동하는 것에 대응되게 도금조(A) 내측으로 하강하여 바닥에 떨어진 동판 조각(B)을 진공흡착시켜 제거가능하게 구비되는 동판조각제거부재(1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한 프레임(110)의 저면 모서리부에는 도금용 비자성체 조각 제거장치(100)의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브레이크가 부설된 캐스터(170)가 더 구비된다.
이하에서,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도금용 비자성체 조각 제거장치를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도금용 비자성체 조각 제거장치의 프레임(110)은, 전,후진이동용 엘엠가이드부(120)와, 좌,우이동용 엘엠가이드부(130) 그리고 이동수단(140)을 설치시켜 팔라듐이 저장된 도금조(A)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한 프레임(110)은 좌측과 우측에 서로 이격되게 구비되는 전,후단용 수직바(111,112)와, 상기 전,후단용 수직바(111,112)를 서로 고정 연결시켜 사각 틀 형상으로 만들기 위해 구비되는 상,하단용 수평바(113,114)로 구성된다.
상기 전,후진이동용 엘엠가이드부(120)는 상기 프레임(110)의 상면 좌,우측에 설치되어, 작동버튼의 조작에 대응되게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된다.
즉, 상기한 전,후진이동용 엘엠가이드(120)는 상기 프레임(110)의 상단용 수평바(113)의 상단면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작동버튼의 조작에 대응되게 상기 좌,우이동용 엘엠가이드부(113)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기한 좌,우이동용 엘엠가이드부(130)는 상기 전,후진이동용 엘엠가이드부(120)에 각 일단이 연결되어 상기 작동버튼의 조작에 대응되게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된다.
즉, 상기한 좌,우이동용 엘엠가이드부(130)는, 상기 전,후진이동용 엘엠가이드부(120)에 일단이 고정 연결되어 상기 작동버튼의 조작에 대응되게 상기 승강수단(140)을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기한 승강수단(140)은, 상기 좌,우이동용 엘엠가이드부(130)에 일단이 고정 설치되어 상기 작동버튼의 조작에 대응되게 타단이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된다.
즉, 상기한 승강수단(140)은 상기 좌,우이동용 엘엠가이드부(130)에 일단이 고정 설치되어 상기 작동버튼의 조작에 대응되게 피스톤이 승,하강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전동실린더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한 승강수단(140)은 전동실린더로 구성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유압 또는 공압실린더로 구성할 수도 있고, 서보모터와, 상기 서보모터에 일단이 고정 설치된 승강용 볼스크류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한 동판조각제거부재(160)는 상기 승강수단(140)의 타단에 일단이 고정 연결되어 구비되는 연결부재(150)의 타단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수단(140)이 구동하는 것에 대응되게 도금조(A) 내측으로 하강하여 바닥에 떨어진 동판 조각(B)을 진공흡착시켜 제거가능하게 구비된다.
즉, 상기한 동판조각제거부재(160)는 상기 승강수단(140)의 타단에 일단이 고정 연결되어 구비되는 연결부재(150)의 타단을 일단 내측으로 수용시켜 고정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원기둥 단면 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된 수용고정부(161)와, 상기 수용고정부(161)의 타단으로부터 외향 경사진 후, 꺾임되어 내측방향으로 경사져 수축 및 복원이 탄성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형성된 탄성부(162)와, 상기 탄성부(162)의 선단으로부터 외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도금조(A) 바닥면에 떨어지 동판 조각(B)을 진공흡착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흡착부(163)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한 수용고정부(161)는 상기 연결부재(150)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1.5mm~2mm의 두께로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162)는 수축 및 복원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0.8mm~1.2mm의 두께로 형성되며, 상기 흡착부(163)는 동판 조각(B)을 직접적으로 접촉하여 흡착시킬 수 있도록 0.3mm~0.6mm의 두께로 형성되어 구비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도금용 비자성체 조각 제거장치를 이용하여 팔라듐이 저장된 도금조 바닥면 중앙 전방에 떨어진 동판 조각을 제거하고자 할 경우,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프레임(110)의 전,후단용 수직바(111,112) 사이에 팔라듐이 저장된 도금조가 위치되게 도금용 비자성체 조각 제거장치를 이동시킨 후, 전원을 인가시킨다.
상기와 같이 도금용 비자성체 조각 제거장치가 설치되면, 작동버튼 중 전,후진이동용 엘엠가이드부(120)에 대응되는 버튼을 누름시켜 전,후진이동용 엘엠가이드부(120)를 도금조(A)의 전방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전,후진이동용 엘엠가이드부(120)가 도금조(A)의 전방으로 이동되면, 작동버튼 중 좌,우이동용 엘엠가이드부(130)에 대응되는 버튼을 누름시켜, 상기 좌,우이동용 엘엠가이드부(130)를 도금조(A)의 중앙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좌,우이동용 엘엠가이드부(130)가 도금조(A)의 중앙으로 이동되면, 전동실린더로 구성된 승강수단의 구동을 위해 또 다른 작동버튼을 누름시킨다.
상기 작동버튼의 누름으로 전동실린더가 구동하는 것에 대응되게 피스톤이 도금조(A) 바닥면에 떨어진 동판 조각(B)측으로 하강하게 된다.
이후, 상기 피스톤에 연결부재(150)를 매개로 고정 설치된 동판조각제거부재(160)의 탄성부(162)가 탄성적으로 수축되면서 흡착부(163)가 도금조(A) 바닥면에 떨어진 동판 조각(B)을 진공흡착하게 된다.
이후, 전동실린더의 피스톤을 승강시키는 것에 의해 도금조(A) 바닥면에 떨어진 동판 조각(B)을 신속하게 그리고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A ; 도금조 B ; 동판 조각
100 ; 도금용 비자성체 조각 제거장치 110 ; 프레임
120 ; 전,후진이동용 엘엠가이드부 130 ; 좌,우이동용 엘엠가이드부
140 ; 승강수단 150 ; 연결부재
160 ; 동판조각제거부재 170 ; 케스터

Claims (5)

  1. 전원을 인가시킨 후 작동버튼의 조작에 대응되게 구동하여 팔라듐이 저장된 전기도금장치의 도금조(A)에 떨어진 니켈이 도금된 동판 조각(B)을 제거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도금용 비자성체 조각 제거장치에 있어서,
    다각 형상의 프레임(110)과;
    상기 프레임(110)의 상면 좌,우측에 설치되어, 작동버튼의 조작에 대응되게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전,후진이동용 엘엠가이드부(120)와;
    상기 전,후진이동용 엘엠가이드부(120)에 각 일단이 연결되어 상기 작동버튼의 조작에 대응되게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좌,우이동용 엘엠가이드부(130)와;
    상기 좌,우이동용 엘엠가이드부(130)에 일단이 고정 설치되어 상기 작동버튼의 조작에 대응되게 타단이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승강수단(140)과;
    상기 승강수단(140)의 타단에 일단이 고정 연결되어 구비되는 연결부재(150)의 타단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수단(140)이 구동하는 것에 대응되게 도금조(A) 내측으로 하강하여 바닥에 떨어진 동판 조각(B)을 진공흡착시켜 제거가능하게 구비되는 동판조각제거부재(160)를 포함하되,
    상기 동판조각제거부재(160)는, 상기 승강수단(140)의 타단에 일단이 고정 연결되어 구비되는 연결부재(150)의 타단을 일단 내측으로 수용시켜 고정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원기둥 단면 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된 수용고정부(161)와, 상기 수용고정부(161)의 타단으로부터 외향 경사진 후, 꺾임되어 내측방향으로 경사져 수축 및 복원이 탄성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형성된 탄성부(162)와, 상기 탄성부(162)의 선단으로부터 외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도금조(A) 바닥면에 떨어지 동판 조각(B)을 진공흡착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흡착부(163)로 구성되고,
    상기 수용고정부(161)는, 상기 연결부재(150)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1.5mm~2mm의 두께로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162)는 수축 및 복원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0.8mm~1.2mm의 두께로 형성되며, 상기 흡착부(163)는 동판 조각(B)을 직접적으로 접촉하여 흡착시킬 수 있도록 0.3mm~0.6mm의 두께로 형성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용 비자성체 조각 제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10)의 저면 모서리부에는 도금용 비자성체 조각 제거장치(100)의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브레이크가 부설된 캐스터(17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용 비자성체 조각 제거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10)은, 좌측과 우측에 서로 이격되게 구비되는 전,후단용 수직바(111,112)와, 상기 전,후단용 수직바(111,112)를 서로 고정 연결시켜 사각 틀 형상으로 만들기 위해 구비되는 상,하단용 수평바(113,11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용 비자성체 조각 제거장치.
  4. 삭제
  5. 삭제
KR1020230131588A 2023-10-04 2023-10-04 도금용 비자성체 조각 제거장치 KR1026494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31588A KR102649423B1 (ko) 2023-10-04 2023-10-04 도금용 비자성체 조각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31588A KR102649423B1 (ko) 2023-10-04 2023-10-04 도금용 비자성체 조각 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9423B1 true KR102649423B1 (ko) 2024-03-20

Family

ID=90483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31588A KR102649423B1 (ko) 2023-10-04 2023-10-04 도금용 비자성체 조각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942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59409B2 (ja) * 1994-09-07 1999-10-06 日本鋼管株式会社 めっき浴のドロス除去装置
JP2001335910A (ja) * 2000-03-24 2001-12-07 Kawasaki Steel Corp 溶融亜鉛めっきにおけるボトムドロス回収方法
JP2016044316A (ja) * 2014-08-20 2016-04-04 和光工業株式会社 メッキ処理用ハンガー掛け装置
KR20180067913A (ko) * 2016-12-13 2018-06-21 주식회사 포스코 전기도금 강판의 이물질 제거 장치
KR20220053480A (ko) 2020-10-22 2022-04-29 쿠팡 주식회사 상담원 지원 방법 및 그 연산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59409B2 (ja) * 1994-09-07 1999-10-06 日本鋼管株式会社 めっき浴のドロス除去装置
JP2001335910A (ja) * 2000-03-24 2001-12-07 Kawasaki Steel Corp 溶融亜鉛めっきにおけるボトムドロス回収方法
JP2016044316A (ja) * 2014-08-20 2016-04-04 和光工業株式会社 メッキ処理用ハンガー掛け装置
KR20180067913A (ko) * 2016-12-13 2018-06-21 주식회사 포스코 전기도금 강판의 이물질 제거 장치
KR20220053480A (ko) 2020-10-22 2022-04-29 쿠팡 주식회사 상담원 지원 방법 및 그 연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75910B2 (ja) 装置およびフォームの電気めっき方法
US975889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lating metal parts
US3300396A (en) Electroplating techniques and anode assemblies therefor
CA1110577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electrolytic etching
US7767065B2 (en) Device and method for electrolytically treating an at least superficially electrically conducting work piece
JP2020117764A (ja) ワーク保持治具及び電気めっき装置
TWI567252B (zh) Sn alloy electrolytic plating method
KR102649423B1 (ko) 도금용 비자성체 조각 제거장치
KR100699745B1 (ko) 음극으로부터 금속석출물을 분리하는 기구
CN101962795B (zh) 设置在电镀槽内且侧边带孔的浮架
CN1839221B (zh) 用于电化学处理的设备中的电源设备
US4381982A (en) Rotogravure cylinder plating and de-plating apparatus
CN101445951A (zh) 电镀装置中的供电方法及其供电装置
KR200482168Y1 (ko) 주화 도금장치
US4272351A (en) Apparatus for electrolytic etching
US2766194A (en) Method of plating
KR20160080490A (ko) 주화 도금장치
JP6166492B1 (ja) 電気メッキ装置と電気メッキ方法
CN113913875B (zh) 一种铝合金电解设备及方法
KR102419332B1 (ko) 전기도금장치
CN117144448B (zh) 一种光伏线缆表面覆层电解处理装置
CN209873161U (zh) 一种电镀槽
US3297559A (en) Conductive mold rack for electrocleaning mold parts
CN215328419U (zh) 一种五金电镀机
CN210030923U (zh) 一种铝盘加工处理用工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