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7699B1 - 차량의 내부 구조물 - Google Patents

차량의 내부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7699B1
KR102647699B1 KR1020210133672A KR20210133672A KR102647699B1 KR 102647699 B1 KR102647699 B1 KR 102647699B1 KR 1020210133672 A KR1020210133672 A KR 1020210133672A KR 20210133672 A KR20210133672 A KR 20210133672A KR 102647699 B1 KR102647699 B1 KR 1026476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vibration reduction
touch
generating device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36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50600A (ko
Inventor
이동섭
박순
봉필성
Original Assignee
(주)라이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라이빅 filed Critical (주)라이빅
Priority to KR10202101336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7699B1/ko
Publication of KR202300506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06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76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76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B60K35/10
    • B60K35/25
    • B60K35/6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7Touch pads, in which fingers can move on a su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Abstract

차량의 내부 구조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내부 구조물은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일부분에 위치되어 사용자와 접촉되는 터치부를 포함하는 몸체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 부재는, 상기 베이스부에서 진동 발생 장치의 주변에 라인 형상을 이루면서 상기 베이스부의 내부로 일정 깊이 인입되고, 상기 진동 발생 장치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주변으로 전달되는 것을 저감하는 진동 저감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의 내부 구조물{Vehicle interior structure}
본 발명은 차량의 내부에 설치되는 차량의 내부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차량은 내비게이션 기능, 전화 기능, 오디오 기능, 라디오 기능, 방송 기능, 문자 메시지 서비스 기능, 인터넷 기능 등을 수행하고, 최근에는 보다 다양하고 복잡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소프트웨어가 함께 내장되어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스위치 장치들이 차량의 스티어링 휠에 집약되고 있는데, 차량에 장착되는 장치들의 개수가 증가함에 따라 스티어링 휠에 장착되는 스위치류들도 증가하여 사용자가 스위치를 조작하기 위하여 차량의 스티어링 휠에 주의력이 분산되는 모순을 유발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차량의 대시보드와 같은 내부 구조물 등에 터치 버튼을 설치하고, 터치 버튼의 내측에는 진동 발생 장치를 설치하여 사용되고 있다. 사용자가 터치 버튼을 조작하면, 진동 발생 장치가 동작되면서 터치 영역에서 진동이 발생된다. 사용자는 진동을 느끼면서 터치 버튼이 접촉을 인식하였음을 인지할 수 있다.
이러한 진동 발생 장치는 대시보드 뿐만 아니라, 차량의 다양한 내부 구조물에 설치될 수 있다. 진동 발생 장치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내부 구조물에 설치되는 경우, 진동 발생 장치에서 발생된 진동이 주변으로 전달됨으로써, 사용자가 터치하지 않은 영역까지 진동될 수 있다.
미국 특허출원공개공보 US2020/0004337호(2020.01.02.)
본 발명은 사용자가 터치한 부분이 진동될 수 있는 차량의 내부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차량의 내부 구조물은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일부분에 위치되어 사용자와 접촉되는 터치부를 포함하는 몸체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 부재는, 상기 베이스부에서 진동 발생 장치의 주변에 라인 형상을 이루면서 상기 베이스부의 내부로 일정 깊이 인입되고, 상기 진동 발생 장치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주변으로 전달되는 것을 저감하는 진동 저감부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진동 저감부가 상기 베이스부에 인입된 단면의 형상은 다각형 또는 반원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차량의 내부 구조물은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일부분에 위치되어 사용자와 접촉되는 터치부를 포함하는 몸체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 부재는, 상기 베이스부에서 진동 발생 장치의 주변에 라인 형상을 이루면서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진동 발생 장치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주변으로 전달되는 것을 저감하는 진동 저감부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진동 저감부는 상기 베이스부와 동일한 소재이면서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진동 저감부는 상기 베이스부와 상이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진동 저감부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열융착 방법에 의해 상기 베이스부와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진동 저감부는,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베이스부와 결합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의 내부에 위치되고, 금속 소재로 이루어진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중량부는 방진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진동 저감부의 단면 형상은 다각형 또는 반원형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진동 저감부는 복수개이고, 상기 복수의 진동 저감부는 서로 이격되게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내부 구조물은 진동 저감부를 포함함으로써, 진동 발생 장치에서 발생된 진동이 주변의 베이스부로 전달되는 것을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터치한 영역에만 진동이 강하게 발생될 수 있으므로, 인접한 터치센서가 터치된 것으로 오인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내부 구조물이 적용된 차량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차량의 내부 구조물 및 이에 결합된 진동 발생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진동 저감부의 다양한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진동 저감부가 몸체 부재에 복수개 형성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내부 구조물 및 이에 결합된 진동 발생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은 진동 저감부의 다양한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진동 저감부가 몸체 부재에 복수개 형성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진동 저감부의 제1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진동 저감부의 제2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내부 구조물 및 비교예에 따른 차량의 내부 구조물의 각 영역에서의 진동 특성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의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내부 구조물이 적용된 차량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차량의 내부 구조물 및 이에 결합된 진동 발생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내부 구조물(100)은 몸체 부재(110)를 포함한다.
몸체 부재(110)는 베이스부(120)와, 상기 베이스부(120)의 일부분에 위치되어 사용자와 접촉되는 터치부(130)를 포함한다. 여기서, 몸체 부재(110)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대시보드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나, 몸체 부재(110)가 반드시 대시보드인 것으로 한정하지는 않으며, 차량에 설치되는 다양한 구조물일 수 있다.
한편, 몸체 부재(110)의 일면은 차량의 실내에 노출되고, 타면은 차량의 실내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터치센서(20)는 몸체 부재(110)에서 차량의 실내로 노출되는 면 즉, 사용자를 향하는 면에 설치될 수 있다. 터치센서(20)는 사용자의 접촉에 의하여 해당 영역에 할당된 기능이 구현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터치센서(20)는 네비게이션, 공기 조화 시스템(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HVAC), 운전자 보조 시스템(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 ADAS) 등과 같은 기능을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게 한다. 다만,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는 상기의 예에 한정되지 않고 차량 내에서 사용자가 촉각을 감지하는 햅틱 기술이 적용될 수 있는 모든 전자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터치센서(20)는 일례로 정전식 터치센서나 저항식 터치센서일 수 있다. 이러한 터치센서는 사용자의 접촉을 감지하는데 사용되는 일반적인 터치센서일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터치부(130)에서 사용자를 향하는 면에는 해당 기능을 외부로 알리는 도형 또는 텍스트가 마킹될 수 있다. 터치센서(20)는 이러한 도형이나 텍스트가 외부로 보일 수 있도록 투명 도전막으로 이루어진 투명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투명 도전막은 일례로 금속 산화막 도전체의 일종인 인듐 주석 산화물(ITO: indium tin oxide) 또는 탄소나노튜브(CNT: carbon nanotube)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몇몇 실시예에 따라, 터치부(130)는 복수의 터치 영역(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각각의 터치 영역은 특정 동작에 대응되는 아이콘 또는 텍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진동 발생 장치(10)는 터치부(130)에서 차량의 실내 공간에 노출되지 않는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사용자가 특정 기능을 실행하기 위하여 도형이나 텍스트를 터치하면, 상기 도형이나 텍스트와 대응되는 터치센서(20)의 투명 도전막은 제어부(미도시)로 터치 감지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제어부는 터치 감지 신호에 대응하는 동작 신호를 진동 발생 장치(10)로 전송하고, 진동 발생 장치(10)는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진동은 사용자의 터치가 정상적으로 인식되어서 해당 기능이 실시된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라, 진동 발생 장치(10)는 복수의 터치 영역에 대응되는 진동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진동 발생 장치(10)에 대응되는 3개의 터치 영역(아이콘)이 있는 경우, 각각의 터치 영역에 서로 다른 진동을 생성하도록 제어부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라, 진동 발생 장치(10)는 터치부(130)의 하단이 아닌 터치부(130)와 터치부(130) 사이 영역의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몸체 부재(110)에 설치될 수 있는 진동 발생 장치(10)는 일례로, 프레임, 고정자, 진동자 및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은 진동 발생 장치(10)의 몸체가 될 수 있다. 후술할 고정자, 진동자 및 탄성부재가 프레임에 설치될 수 있다.
고정자는 전원이 인가되는 코일을 포함한다. 고정자는 프레임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코일은 기판을 통해 외부로부터 전류를 인가받고, 이에 기초하여 자기장이 생성될 수 있다. 기판은 프레임에 설치될 수 있다. 기판은 코일의 양끝단과 연결될 수 있고,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류가 코일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진동자는 상기 코일과 인접하게 위치되고, 하나 이상의 영구자석을 포함하여 고정자와의 자력 변화에 의하여 진동 운동할 수 있다. 진동자는 고정자에 대해 상하 또는 좌우방향으로 대향되도록 배치되고, 코일과의 자기적 상호작용에 따라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선형 진동될 수 있다.
탄성부재는 상기 진동자와 상기 프레임을 연결하고, 상기 진동자를 탄성 지지할 수 있다. 탄성부재는 복수의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스프링의 일단은 영구자석에 연결되고, 타단은 프레임에 연결될 수 있다. 영구자석이 고정자의 자력에 의해 이동되는 경우, 탄성부재는 영구자석이 초기 위치로 복원되도록 하는 힘을 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진동 발생 장치(10)의 동작을 설명한다. 기판을 통해 외부로부터 코일로 전달되는 전류에 의해 발생한 자기장과 진동자의 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진동자가 일방향으로 선형 진동할 수 있다. 그리고, 진동이 터치센서(20)로 전달되어 햅틱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일정시간동안 진동한 진동자는 탄성부재에 의하여 진동이 정지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내부 구조물(100)이 반드시 상기와 같은 진동 발생 장치(10)가 설치되는 것으로 한정하지는 않는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술한 몸체 부재(110)는 진동 저감부(140)를 포함한다.
진동 저감부(140)는 진동 발생 장치(10)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저감시켜서 진동이 주변의 다른 터치부(130)에 전달되는 진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를 위한 진동 저감부(140)는 상기 베이스부(120)에서 진동 발생 장치(10)의 주변에 라인 형상으로 상기 베이스부(120)의 내부로 일정 깊이 인입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저감부(140)는 도랑 형상의 홈일 수 있다. 이러한 진동 저감부(140)는 직선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서로 인접한 두 개의 터치부(13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진동 저감부(140)는 진동 발생 장치(10)의 주변을 따라서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진동 발생 장치(10)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진동 저감부(140)를 지나면서 일정량 저감되어 주변으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내부 구조물(100)은 사용자 본인이 터치한 터치센서(20) 영역에만 진동이 발생되게 함으로써, 인접한 터치센서(20)가 터치된 것으로 사용자가 오인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진동 저감부의 다양한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진동 저감부(140)가 상기 베이스부(120)에 인입된 형상은 일례로 다각형 또는 반원형일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 저감부(140A)의 형상은 삼각형일 수 있다. 이와 다르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 저감부(140B)의 형상은 반원형일 수 있다.
도 5는 진동 저감부가 몸체 부재에 복수개 형성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진동 저감부(140)는 복수개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진동 저감부(140)는 서로 이격되게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저감부(140)는 3개일 수 있고, 3개의 진동 저감부(140)는 일정 간격마다 위치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3개의 진동 저감부(140)는 서로 상이한 간격을 이루면서 이격되게 위치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진동 발생 장치(10)에서 생성된 진동은 복수의 진동 저감부(140)를 거치면서 지속적으로 저감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내부 구조물 및 이에 결합된 진동 발생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내부 구조물(200)에 포함되는 몸체 부재(110)는 베이스부(120), 터치부(130) 및 진동 저감부(240)를 포함한다. 여기서, 베이스부(120)와 터치부(130)는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내부 구조물(100)에서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진동 저감부(240)는 상기 베이스부(120)에서 진동 발생 장치(10)의 주변에 라인 형상을 이루면서 상기 베이스부(12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저감부(240)는 직선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서로 인접한 두 개의 터치부(13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진동 저감부(240)는 진동 발생 장치(10)의 외경보다 큰 내경으로 이루어진 링 형상의 부재일 수 있다.
이러한 진동 저감부(240)는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내부 구조물(100, 도 2 참조)에 포함된 진동 저감부(140, 도 2 참조)에서와 같이 베이스부(120) 내부로 인입된 형상이 아니라 외부로 돌출된 형상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진동 저감부(240)는 일례로 상기 베이스부(120)와 동일한 소재이면서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내부 구조물(200)은 베이스부(120)를 제조함과 동시에 진동 저감부(240)도 같이 제조할 수 있으므로, 별도로 제조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전체적인 제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은 진동 저감부의 다양한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을 참조하면, 진동 저감부(240)의 단면 형상은 일례로 다각형 또는 반원형일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 저감부(240A)의 형상은 삼각형일 수 있다. 이와 다르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 저감부(240B)의 형상은 반원형일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 저감부(240C)의 형상은 멀어질수록 폭이 감소되는 사다리꼴 형상일 수 있다.
도 10은 진동 저감부가 몸체 부재에 복수개 형성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진동 저감부(240)는 복수개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진동 저감부(240)는 일정 간격 마다 이격될 수 있다. 링 형상의 진동 저감부(240)는 중심에서 멀어지게 배치될수록 내경이 점차 커지면서 인접한 다른 진동 저감부(240)와 이격되게 위치될 수 있다.
어느 하나의 진동 발생 장치(10)에서 발생되는 진동은 복수의 진동 저감부(240)를 거치면서 저감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개의 진동 저감부(240)를 포함하는 몸체 부재(110)는 하나의 진동 저감부(240)를 포함하는 전술한 몸체 부재(110)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진동 저감 성능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도 11은 진동 저감부의 제1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1 변형예에 따른 진동 저감부(340)에서 베이스부(120)와 진동 저감부(340)는 일체형이 아닌 서로 각각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베이스부(120)와 진동 저감부(340)가 각각 제조된 이후에 별도의 결합 방법에 의해 서로 결합되도록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이를 위한 상기 진동 저감부(340)와 베이스부(120)의 결합 방법은 진동 저감부(340)를 링 형상으로 제조한 이후에, 열융착 방법에 의해 상기 베이스부(120)와 결합될 수 있다.
열융착 방법은 대상물의 용융 온도보다 약간 높은 온도로 가열하여 표면이 일정량만큼 녹았을 때 서로 가압한 후 굳을 때까지 냉각시키는 방법이다. 진동 저감부(340)와 베이스부(120)가 열융착 방법에 의해 결합되는 경우, 차량의 주행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진동이 발생되더다도 진동 저감부(340)와 베이스부(120)가 서로 안정적으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진동 저감부(340)가 베이스부(120)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2는 진동 저감부의 제2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2 변형예에 따른 진동 저감부(440)는 결합부(441)와 중량부(442)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441)는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베이스부(120)와 결합될 수 있다. 결합부(441)는 접착 물질, 접착 테이프 및 열융착 등 다양한 방법에 의해 베이스부(120)와 결합될 수 있다.
중량부(442)는 상기 결합부(441)의 내부에 위치되고, 금속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중량부(442)는 결합부(441)보다는 상대적으로 무게가 있는 것으로, 결합부(441)보다 진동을 잘 흡수할 수 있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중량부(442)의 소재는 일례로 방진 합금일 수 있다. 방진 합금은 소음, 진동 등 외력이 강판에 가해질 때 진동에너지를 열에너지로 전환시킴으로써 진동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러한 중량부(442)는 진동 발생 장치(10)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내부 구조물(100, 200)이 종래의 차량의 내부 구조물과 비교하여 사용자가 터치한 터치부(130) 주변으로 진동의 전달이 저감된다는 것은 다음의 실험 결과를 통하여 확인될 수 있다.
실시예1에 따른 차량의 내부 구조물은 도 2에 도시된 차량의 내부 구조물이고, 실시예2에 따른 차량의 내부 구조물은 도 6에 도시된 차량의 내부 구조물이다. 그리고, 비교예에 따른 차량의 내부 구조물은 진동 저감부를 포함하지 않는 종래의 차량의 내부 구조물이다.
도 12은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내부 구조물 및 비교예에 따른 차량의 내부 구조물의 각 영역에서의 진동 특성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그래프에서 가로축은 몸체 부재를 A영역, B영역, C영역으로 구분한 것이다. 가로축에서 A영역은 진동 발생 장치가 동작되는 영역이고, B영역 및 C영역은 A영역의 주변 영역이다. 그래프에서 세로축은 각 영역에서의 피크 가속도 값(GPP: peak to peak gravities)을 나타낸다.
그래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1 및 실시예2에 따른 차량의 내부 구조물은 비교예에 따른 차량의 내부 구조물보다 B영역 및 C영역에서의 피크 가속도 값이 상대적으로 낮게 측정되었다. 이와 같이, 실시예1 및 실시예2에 따른 차량의 내부 구조물은 진동 저감부에 의하여 진동이 크게 저감된 이후에 B영역 및 C영역으로 전달됨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비교예에 따른 차량의 내부 구조물은 진동 저감부를 포함하고 있지 않으므로, 진동이 크게 저감되지 않은 상태로B영역 및 C영역에 전달됨으로써, 피크 가속도 값이 실시예1 및 실시예2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측정되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내부 구조물은 진동 저감부를 포함함으로써, 진동 발생 장치에서 발생된 진동이 주변의 베이스부로 전달되는 것을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터치한 영역에만 진동이 강하게 발생될 수 있으므로, 인접한 터치센서가 터치된 것으로 오인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 둔다.
10: 진동 발생 장치
20: 터치센서
100, 200: 차량의 내부 구조물
110: 몸체 부재
120: 베이스부
130: 터치부
140, 240, 340, 440: 진동 저감부
441: 결합부
442: 중량부

Claims (10)

  1.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일부분에 위치되어 사용자와 접촉되는 터치부를 포함하는 몸체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 부재는,
    상기 베이스부에서 진동 발생 장치의 주변에 라인 형상을 이루면서 상기 베이스부의 내부로 일정 깊이 인입되고, 상기 진동 발생 장치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일정량 저감하여 주변으로 전달하는 진동 저감부를 포함하되,
    상기 터치부는,
    복수 개의 터치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몸체 부재는,
    복수 개의 진동 저감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진동 저감부는,
    상기 복수 개의 터치 영역 간 위치하여 상기 복수 개의 터치 영역을 각각 구획하며,
    상기 복수 개의 진동 저감부는,
    인접한 상기 터치 영역 사이에 복수 개가 형성되되, 발생되는 진동을 지속적으로 저감시키기 위해 서로 상이한 간격으로 이격되고,
    상기 복수 개의 진동 저감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의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결합부보다 중량비가 높은 소재로 구비되는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는,
    상기 베이스부와 동일한 소재이면서 일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 개의 진동 저감부가 상기 베이스부에 인입된 형상은 각각, 삼각형, 사다리꼴 또는 반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내부 구조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 부재는 차량의 대시보드이고,
    상기 복수 개의 터치 영역의 일면에는 각각, 네비게이션, 공기 조화 시스템(HVAC) 및 운전자 보조 시스템(ADAS)을 포함하는 특정 기능을 나타내는 도형 또는 텍스트가 마킹되며,
    상기 복수 개의 터치 영역의 타면에는 각각, 상기 진동 발생 장치가 형성되고,
    사용자가 상기 복수 개의 터치 영역 중 어느 하나를 터치하면, 터치된 상기 복수 개의 터치 영역 중 어느 하나의 타면에 형성된 상기 진동 발생 장치가 진동을 발생시키며, 상기 진동은 복수 개의 진동 저감부의 형상에 따라 일정량 저감되어 주변의 터치 영역으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내부 구조물.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210133672A 2021-10-08 2021-10-08 차량의 내부 구조물 KR1026476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3672A KR102647699B1 (ko) 2021-10-08 2021-10-08 차량의 내부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3672A KR102647699B1 (ko) 2021-10-08 2021-10-08 차량의 내부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0600A KR20230050600A (ko) 2023-04-17
KR102647699B1 true KR102647699B1 (ko) 2024-03-14

Family

ID=86133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3672A KR102647699B1 (ko) 2021-10-08 2021-10-08 차량의 내부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769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6336Y1 (ko) 2004-01-06 2004-03-30 주식회사 엘지화학 건축물용 방음패널 어셈블리
KR200405634Y1 (ko) 2005-10-07 2006-01-10 (주)삼세대시공 공기주머니를 갖는 방진단열바닥재
KR100720609B1 (ko) 2005-10-17 2007-05-21 김성훈 재활용 섬유를 이용한 방음 벽지의 제조방법
KR101549070B1 (ko) 2014-08-01 2015-09-01 갑을메탈 주식회사 차량용 팬어셈블리
JP2018005781A (ja) 2016-07-07 2018-01-11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操作装置
US20200004337A1 (en) * 2018-06-29 2020-01-02 Apple Inc. Laptop computing device with discrete haptic region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101669A1 (de) * 2017-01-27 2018-08-02 Trw Automotive Electronics & Components Gmbh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Mensch-Maschinen-Schnittstelle sowie Mensch-Maschinen-Schnittstelle
CN110289844B (zh) * 2018-03-19 2021-01-29 华为技术有限公司 触压按键组件、振动传感器组件和电子设备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6336Y1 (ko) 2004-01-06 2004-03-30 주식회사 엘지화학 건축물용 방음패널 어셈블리
KR200405634Y1 (ko) 2005-10-07 2006-01-10 (주)삼세대시공 공기주머니를 갖는 방진단열바닥재
KR100720609B1 (ko) 2005-10-17 2007-05-21 김성훈 재활용 섬유를 이용한 방음 벽지의 제조방법
KR101549070B1 (ko) 2014-08-01 2015-09-01 갑을메탈 주식회사 차량용 팬어셈블리
JP2018005781A (ja) 2016-07-07 2018-01-11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操作装置
US20200004337A1 (en) * 2018-06-29 2020-01-02 Apple Inc. Laptop computing device with discrete haptic region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김종헌 외 2인. 방진합금기술의 특허동향. 한국주조공학회지, 제32권6호, 305-312 페이지. 2012년12월.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0600A (ko) 2023-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57058B2 (ja) 電子機器
US9436341B2 (en) Haptic feedback devices
US20150137627A1 (en) Vibration actuator and mobile information terminal
US20080024440A1 (en)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Resistive and Vibrotactile Effects
JP6292186B2 (ja) 操作装置
JP2013540328A (ja) 触覚フィードバック接触感知式インタフェースモジュール
JP6664691B2 (ja) 振動発生装置及び電子機器
JP2011123739A (ja) 入力装置
KR101831930B1 (ko) 선형 진동 발생장치.
US20170060271A1 (en) Input device
JP2018538594A (ja) タクト・インターフェースモジュールのアクチュエータ、タクト・インターフェースモジュール、及び触覚フィードバックを生成する方法
KR102647699B1 (ko) 차량의 내부 구조물
JP2022173461A (ja) 振動発生装置及び電子機器
KR102386694B1 (ko) 진동 발생 장치
JP6418642B2 (ja) 入力装置
JP7407290B2 (ja) 車両システム及び振動発生装置
JP5287680B2 (ja) 回転入力装置および携帯機器
KR102360110B1 (ko) 포스 센서를 포함하는 진동 발생 장치
JP6839970B2 (ja) 振動発生装置及び電子機器
WO2020044631A1 (ja) 操作装置及び振動発生装置
JP7346677B2 (ja) 電子機器
CN218750739U (zh) 一种结合电路板的触碰震动反馈微型电磁铁装置
CN214151645U (zh) 一种反馈装置
JP2019079410A (ja) 入力装置
CN115432000A (zh) 一种结合电路板的触碰震动反馈微型电磁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