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9070B1 - 차량용 팬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차량용 팬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9070B1
KR101549070B1 KR1020140099093A KR20140099093A KR101549070B1 KR 101549070 B1 KR101549070 B1 KR 101549070B1 KR 1020140099093 A KR1020140099093 A KR 1020140099093A KR 20140099093 A KR20140099093 A KR 20140099093A KR 101549070 B1 KR101549070 B1 KR 1015490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case
fastening
blowing fan
support member
coupling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9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욱
Original Assignee
갑을메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갑을메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갑을메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990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90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90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90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6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72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 A47C7/74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시트 등에 장착되어 모터의 회전에 의해 바람을 형성하는 차량용 팬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팬어셈블리는,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공기의 유동을 생성하는 송풍팬(100)과; 상기 송풍팬(100)의 상측에 구비되며, 상부 외관을 형성하는 상부케이스(200)와; 상기 송풍팬(100)의 하측에 구비되며, 하부 외관을 형성하는 하부케이스(300)와; 상기 송풍팬(100)의 일측에 구비되며, 송풍팬(100)을 지지하는 지지부재(400)와; 원형의 링(ring) 형상을 가지며, 상기 하부케이스(300)에 장착되어 송풍팬(100)에 의해 생성되는 진동을 감소시키는 완충부재(500)를 포함하며; 상기 완충부재(500)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부재(400)는 상기 하부케이스(300)에 원터치 회전에 의해 결합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의 팬어셈블리에서 발생되는 진동과 소음이 줄어드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팬어셈블리{Fan assembly in the vehicle}
본 발명은 팬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의 시트 등에 장착되어 모터의 회전에 의해 바람을 형성하는 차량용 팬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팬어셈블리는 모터 등의 동력을 이용하여 회전함으로써 회전날개를 이용하여 바람의 유동을 발생시키는 장치를 일컫는다.
그리고, 차량의 고급화에 따라 근래에는 차량의 좌석(시트)에도 팬어셈블리가 구비되어, 차량 시트의 탑승자의 엉덩이가 놓여지는 부분과 등받이 부분에 시원한 바람이나 온풍이 나오도록 하고 있다. 즉, 한국 공개번호 10-2011-0012936(차량용 시트 공조장치)에서와 같이 좌석과 등받이에 각각 송풍기가 구비되어 바람을 내보내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차량용 팬어셈블리에서는 팬과 케이스의 결합을 위해 별도의 체결볼트 등을 이용하므로 조립이 어려워 작업능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팬어셈블리에서는 딱딱한 재질의 팬과 지지부재 및 케이스가 서로 결합함으로 인하여, 팬의 회전에 의한 진동이 발생하여 부품의 내구성을 저하시키는 한편, 소음으로 인한 소비자의 불만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특허공개번호 제10-2011-0012936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송풍팬의 외경과 대응되는 완충부재의 설치로 인하여 송풍팬에서 발생되는 진동과 소음이 방지되는 차량용 팬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송풍팬을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하부케이스에 원터치에 의해 체결되는 구성을 가지는 차량용 팬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팬어셈블리는,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공기의 유동을 생성하는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의 상측에 구비되며, 상부 외관을 형성하는 상부케이스와; 상기 송풍팬의 하측에 구비되며, 하부 외관을 형성하는 하부케이스와; 상기 송풍팬의 일측에 구비되며, 송풍팬을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원형의 링(ring) 형상을 가지며, 상기 하부케이스에 장착되어 송풍팬에 의해 생성되는 진동을 감소시키는 완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하부케이스에 원터치 회전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케이스는, 내측에는 상하로 관통되는 몸체홀이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몸체홀에 형성되며 원형의 링(ring) 형상을 가지는 체결링을 포함하며; 상기 체결링과 하부케이스 사이에는, 상기 완충부재가 안착되는 완충홀부가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케이스와 지지부재에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성형되어 결합되는 결합단과 체결단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단과 체결단에는 상기 지지부재 또는 하부케이스의 일방향 회전에 의해 결합되는 체결돌기와 돌기홀이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단은, 상기 하부케이스의 체결링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체결단은, 상기 지지부재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안착편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체결단은 상기 안착편의 끝단으로부터 하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되며, 상기 체결돌기는 상기 체결단의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직삼각형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완충부재에는, 하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되어 상기 하부케이스의 완충홀부에 안착되는 함몰홈부가 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함몰홈부에는,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완충부재의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리브가 다수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팬어셈블리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팬어셈블리에서는, 하부케이스에 원형의 완충홀부가 형성되며 송풍팬의 외경과 대응되는 고무재질의 완충부재가 더 설치된다. 따라서, 완충부재에 의해 송풍팬에서 생성되는 진동이 줄어들어 소음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고무재질의 완충부재에 보강리브가 더 형성된다. 즉, 하부케이스의 완충홀부에 안착되는 함몰홈부에 다수의 보강리브가 더 형성된다. 따라서, 완충부재의 강도가 향상되어 송풍팬의 지지가 견고해지는 한편, 송풍팬의 상하 유동이 차단되어 진동과 소음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하부케이스와 지지부재에 서로 대응되는 결합단과 체결단이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시계방향의 회전에 의해 원터치로 지지부재가 하부케이스에 결합되며, 체결돌기와 돌기홈에 의해 지지부재의 결합 상태가 유지되므로 조립작업이 편리해지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팬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외관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팬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하부케이스의 상세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완충부재의 상세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지지부재의 상세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결합단과 체결단의 결합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팬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팬어셈블리의 일 실시예가 사시도와 분해사시도로 각각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팬어셈블리는,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공기의 유동을 생성하는 송풍팬(100)과, 상기 송풍팬(100)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부 외관을 형성하는 상부케이스(200)와, 상기 송풍팬(100)의 하측에 구비되어 하부 외관을 형성하는 하부케이스(300)와, 상기 송풍팬(1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송풍팬(100)을 지지하는 지지부재(400)와, 상기 하부케이스(300)에 장착되어 송풍팬(100)에 의해 생성되는 진동을 감소시키는 완충부재(50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송풍팬(100)은, 자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회전하는 모터(도시되지 않음)의 회전력을 받아 회전하게 된다.
상기 상부케이스(2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송풍팬(100)의 상측에 구비되어, 송풍팬(100) 등의 부품 상측을 감싸게 된다.
상기 하부케이스(300)는, 상기 상부케이스(200)와 더불어 전체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상부케이스(200)와는 반대로 송풍팬(100) 등의 부품들 하부를 감싸게 된다.
상기 지지부재(400)는, 상기 송풍팬(100)을 하측에서 지지하는 것으로, 상기 하부케이스(300)에 장착된다.
상기 완충부재(500)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져 자체 탄성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400)는, 상기 하부케이스(300)에 원터치 회전에 의해 결합되는데, 이러한 원터치 결합에 관한 구성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에는 상기 하부케이스(300)의 구성이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케이스(300)는, 내측에는 상하로 관통되는 몸체홀(312)이 형성되는 몸체(310)와, 상기 몸체(310)의 몸체홀(312)에 형성되며 원형의 링(ring) 형상을 가지는 체결링(320) 등으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몸체(310)는 바닥으로부터 테두리가 상측으로 돌출되어 내부에 안착되는 송풍팬(100) 등의 하부와 측방을 감싸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송풍팬(100)의 내측 중앙부에는 상하로 관통되는 몸체홀(312)이 형성되고, 이러한 몸체홀(312)에는 원형의 체결링(320)이 구비된다.
상기 원형의 체결링(320)은 상기 몸체(310)에 고정되는데, 이를 위해 상기 체결링(320)과 몸체(310) 사이에는 다수의 연결대(322)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링(320)과 하부케이스(300) 사이에는, 상기 완충부재(500)가 안착되는 완충홀부(330)가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즉, 상기 체결링(320)은 상기 하부케이스(300)의 내측에 하부케이스(300)와 소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된다. 따라서, 이러한 체결링(320)과 하부케이스(300) 사이에는 소정 크기의 틈새인 완충홀부(330)가 형성되어, 상기 완충부재(500)가 안착되도록 하고 있다.
상기 체결링(320)에는 상기 지지부재(400)가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재(400)에 결합되는 송풍팬(100)의 상하 진동이 완충되는 효과가 있다. 즉, 상기 체결링(320)이 상기 몸체(310)와 이격되어 연결대(322)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체결링(320)은 상하 유동이 보다 자유롭게 되며, 이러한 체결링(320)에 상기 송풍팬(100)과 지지부재(400)가 결합되므로 송풍팬(100)의 진동에 의해 상기 체결링(320)이 상하로 유동하더라도 상기 몸체(310)로 전달되는 진동은 크지 않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체결링(320)의 상면에는 다수의 결합단(340)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단(34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링(320)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ㄱ'자 형상(몸체홀의 중앙에서 볼 경우)의 단면을 가진다.
상기 결합단(340)의 상면에는 상하로 관통되는 돌기홀(342)이 더 형성된다. 상기 돌기홀(342)은 아래에서 설명할 지지부재(400)의 체결돌기(432)가 삽입되는 부분으로, 직사각 형상의 단면(위에서 볼 경우)을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체결링(320)과 몸체(310)에는 다수의 끼움돌기(350)가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이러한 끼움돌기(350)는 상기 완충부재(500)에 형성되는 끼움홀(520)에 삽입된다.
상기 몸체(310)에는 위치홈(360)이 더 형성된다. 즉, 상기 완충홀부(330)의 우측단(도 3에서)에는 하측으로 함몰된 위치홈(360)이 형성되며, 이러한 위치홈(360)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완충부재(500)의 위치돌기(530)가 삽입된다.
상기 몸체(310)의 좌측(도 3에서) 부분에는 지지돌기(362)가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지지돌기(362)도 상기 위치홈(360) 및 위치돌기(530)와 같이, 상기 완충부재(500)가 하부케이스(300)에 결합되는 위치를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완충부재(500)에는 상기 지지돌기(362)가 삽입되는 지지커버(도 4의 532)가 형성된다.
도 4에는 상기 완충부재(500)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완충부재(500)는 고무와 같은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며, 전체적으로 원형의 링(ring) 형상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완충부재(500)에는, 하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되어 상기 하부케이스(300)의 완충홀부(330)에 안착되는 함몰홈부(510)가 원형으로 형성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링(ring) 형상의 상기 완충부재(500)의 중앙부에는 링(ring) 형상의 함몰홈부(510)가 더 형성된다.
상기 함몰홈부(510)는 전체적으로 아래로 라운드지게 함몰된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하부케이스(300)의 완충홀부(330)에 상측으로부터 안착되어 밀착된다.
상기 함몰홈부(510)에는,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완충부재(500)의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리브(512)가 다수 형성된다. 즉, 상기 함몰홈부(510)에는 함몰홈부(510)를 가로지르는 다수의 보강리브(512)가 더 형성되며, 이러한 보강리브(512)는 고무재질의 완충부재(500)가 보다 견고한 힘을 가지도록 강도를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함몰홈부(510)의 내외에는 다수의 끼움홀(520)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끼움홀(520)은 상기 하부케이스(300)의 끼움돌기(350)가 삽입되는 부분이다.
한편, 상기 완충부재(500)의 좌우에는 상기 위치홈(360)과 지지돌기(362)에 대응되는 위치돌기(530) 및 지지커버(532)가 형성된다. 즉, 상기 완충부재(500)의 우측단에는 하부로 돌출된 위치돌기(530)가 형성되며, 이러한 위치돌기(530)는 상기 위치홈(360)에 삽입되어 완충부재(500)가 하부케이스(300)에 정위치에 결합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완충부재(500)의 좌측단 부근에는 지지커버(532)가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이러한 지지커버(532)의 내측에는 상기 지지돌기(362)가 하측으로부터 삽입된다.
이와 같이, 상기 위치돌기(530)와 위치홈(360) 그리고, 상기 지지돌기(362)와 지지커버(532)는 상기 완충부재(500)가 하부케이스(300)의 상면에 용이하게 정위치에 결합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도 5에는 상기 지지부재(400)의 상세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400)는 원판 형상의 바닥판(410)과, 상기 바닥판(410)의 중앙부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어 축(shaft)을 감싸는 축부(420) 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400)의 외측에는 안착편(420)이 더 형성된다. 즉, 상기 지지부재(400)를 구성하는 바닥판(410)의 외측으로는 다수의 안착편(420)이 더 형성된다.
상기 안착편(420)은, 상기 바닥판(410)의 테두리로부터 외측으로 더 돌출되며, 바닥판(410)의 테두리보다 더 높은 위치를 가지도록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안착편(420)의 측방(시계방향)에는 체결단(430)이 연장 형성된다. 즉, 상기 체결단(430)은 상기 지지부재(400)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안착편(420)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안착편(420)의 끝단으로부터 하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된다.
이처럼 상기 체결단(430)은 안착편(420)의 측방(시계방향)에 일체로 형성되는데, 모든 안착편(420)에 체결단(430)이 형성될 필요는 없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6개의 안착편(420) 중 3개에만 체결단(430)이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체결단(430)에는 체결돌기(432)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돌기(432)는, 상기 체결단(430)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직삼각형 형상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즉, 상면이 시계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높이가 낮아지도록 형성되어, 톱니형상을 가지게 된다. 이는 상기 지지부재(400)가 하부케이스(300)에 밀착된 상태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체결돌기(432)가 상기 결합단(340)의 돌기홀(342)에 쉽게 삽입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상기 하부케이스(300)와 지지부재(400)에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성형되어 결합되는 결합단(340)과 체결단(430)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단(340)과 체결단(430)에는 상기 지지부재(400) 또는 하부케이스(300)의 일방향 회전에 의해 결합되는 체결돌기(432)와 돌기홀(342)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단(340)은 상기 하부케이스(300)의 체결링(320)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체결단(430)은 상기 지지부재(400)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안착편(420)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지지부재(400)는 상기 하부케이스(300)에 원터치 회전(시계방향 회전)에 의해 결합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팬어셈블리의 작용에 대해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먼저 상기 하부케이스(300)와 완충부재(500)의 결합을 살펴보면, 상기 완충부재(500)를 상기 하부케이스(300)의 상방으로부터 결합시킨다. 이렇게 되면, 상기 완충부재(500)의 위치돌기(530)는 상기 하부케이스(300)의 위치홈(360)에 삽입되고, 상기 완충부재(500)의 지지커버(532)에는 상기 하부케이스(300)의 지지돌기(362)가 하방으로부터 삽입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완충부재(500)를 누르게 되면, 상기 함몰홈부(510)가 상기 하부케이스(300)의 완충홀부(330)에 놓여지고, 상기 하부케이스(300)의 끼움돌기(350)가 상기 완충부재(500)의 끼움홀(520)에 삽입되어, 상기 완충부재(500)가 하부케이스(300)에 결합된다.
그런 다음, 상기 지지부재(400)를 상기 하부케이스(300) 상측으로부터 밀착시킨다. 이렇게 되면, 상기 지지부재(400)의 테두리가 상기 하부케이스(300)의 체결링(320) 및 완충부재(500)에 밀착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재(40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렇게 되면, 상기 지지부재(400)의 체결단(430)이 상기 체결링(320)과 결합단(340) 사이에 들어가게 된다. 즉, 도 6의 (a)와 같이 상기 체결단(430)의 우측단이 상기 결합단(340)의 하측으로 미끄러져 들어간다.
상기 지지부재(400)를 계속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지지부재(400)의 체결단(430) 체결돌기(432)가 상기 체결링(320)과 결합단(340) 사이에 삽입되며, 이때 상기 결합단(340)의 좌측(도 6에서)이 상측으로 들리게 된다.
계속하여 상기 체결돌기(432)가 상기 결합단(340)의 돌기홀(342)에 삽입되면 도 6의 (b)와 같은 상태가 되어 체결이 완료되며, 이때 상기 체결돌기(43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삼각형 형상(톱니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지지부재(400)는 하부케이스(300)에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는 상기 송풍팬(100)과 모터(도시되지 않음)을 장착하고, 상기 하부케이스(300)와 상부케이스(200)를 서로 결합시킨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지부재(400)에 체결단(430)과 체결돌기(432)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케이스(300)에 결합단(340)과 돌기홀(342)이 형성되는 구성을 예시하고 있으나, 이러한 구성은 변경 가능하다. 즉, 상기 지지부재(400)에 결합단(340)과 돌기홀(342)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하부케이스(300)에 체결단(430)과 체결돌기(432)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100. 송풍팬 200. 상부케이스
300. 하부케이스 310. 몸체
320. 체결링 330. 완충홀부
340. 결합단 350. 끼움돌기
360. 위치홈 400. 지지부재
410. 바닥판 420. 안착편
430. 체결단 500. 완충부재
510. 함몰홈부 520. 끼움홀
530. 위치돌기

Claims (5)

  1.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공기의 유동을 생성하는 송풍팬(100)과;
    상기 송풍팬(100)의 상측에 구비되며, 상부 외관을 형성하는 상부케이스(200)와;
    상기 송풍팬(100)의 하측에 구비되며, 하부 외관을 형성하는 하부케이스(300)와;
    상기 송풍팬(100)의 일측에 구비되며, 송풍팬(100)을 지지하는 지지부재(400)와;
    원형의 링(ring) 형상을 가지며, 상기 하부케이스(300)에 장착되어 송풍팬(100)에 의해 생성되는 진동을 감소시키는 완충부재(500)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케이스(300)는,
    내측에는 상하로 관통되는 몸체홀(312)이 형성되는 몸체(310)와, 상기 몸체(310)의 몸체홀(312)에 형성되며 원형의 링(ring) 형상을 가지는 체결링(320)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고;
    상기 체결링(320)과 하부케이스(300) 사이에는, 상기 완충부재(500)가 안착되는 완충홀부(330)가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재(400)는, 상기 하부케이스(300)에 원터치 회전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완충부재(500)에는,
    하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되어 상기 하부케이스(300)의 완충홀부(330)에 안착되는 함몰홈부(510)가 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함몰홈부(510)에는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완충부재(500)의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리브(512)가 다수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팬어셈블리.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300)와 지지부재(400)에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성형되어 결합되는 결합단(340)과 체결단(430)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단(340)과 체결단(430)에는 상기 지지부재(400) 또는 하부케이스(300)의 일방향 회전에 의해 결합되는 돌기홀(342)과 체결돌기(432)가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팬어셈블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단(340)은, 상기 하부케이스(300)의 체결링(320)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체결단(430)은, 상기 지지부재(400)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안착편(420)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체결단(430)은 상기 안착편(420)의 끝단으로부터 하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되며, 상기 체결돌기(432)는 상기 체결단(430)의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직삼각형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팬어셈블리.
  5. 삭제
KR1020140099093A 2014-08-01 2014-08-01 차량용 팬어셈블리 KR1015490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9093A KR101549070B1 (ko) 2014-08-01 2014-08-01 차량용 팬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9093A KR101549070B1 (ko) 2014-08-01 2014-08-01 차량용 팬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9070B1 true KR101549070B1 (ko) 2015-09-01

Family

ID=54246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9093A KR101549070B1 (ko) 2014-08-01 2014-08-01 차량용 팬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90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0600A (ko) * 2021-10-08 2023-04-17 (주)라이빅 차량의 내부 구조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59199A (ja) * 2009-04-23 2010-11-11 Valeo Thermal Systems Japan Corp 駆動モー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59199A (ja) * 2009-04-23 2010-11-11 Valeo Thermal Systems Japan Corp 駆動モータ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0600A (ko) * 2021-10-08 2023-04-17 (주)라이빅 차량의 내부 구조물
KR102647699B1 (ko) 2021-10-08 2024-03-14 (주)라이빅 차량의 내부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7426B1 (ko) 식품 가공기 댐퍼닝 시스템
CN103216456B (zh) 风扇
US7794308B2 (en) Hand-held power tool
US8246023B2 (en) Vibration damper, particularly for supporting compressors, pumps, electric motors and the like
US11000159B2 (en) Food processor dampen system
EP1294219A3 (en) Duct fan unit
JP2002525004A (ja) 外側回転子形駆動電動機を有するアキシャル送風機
JP2006060997A (ja) ブロワ用モータの振動吸収手段を備えた支持体
US9816516B2 (en) Fan assembly having an improved support arrangement
KR101549070B1 (ko) 차량용 팬어셈블리
US10113562B2 (en) Air mover circuitry and compliant member
KR102396076B1 (ko) 로봇 청소기 팬 조립체 및 로봇 청소기
CN106415021B (zh) 用于电动机,特别是车辆空调单元的风扇的电动机承载装置
CN107314521B (zh) 空调室内机的电机安装结构和空调室内机
US11927194B2 (en) Ceiling fan and mounting assembly for ceiling fan
CN107725439B (zh) 风扇
JP2019049210A (ja) 送風装置
JP2007192039A (ja) 換気扇、送風扇、撹拌扇等の農畜産用扇
KR101558891B1 (ko) 차량용 팬어셈블리 조립장치
CN111980976A (zh) 网罩结构及具有其的电扇
JP4370815B2 (ja) モータ取付構造
CN217216808U (zh) 机器设备及喇叭减震机构
CN219974724U (zh) 一种低噪音吸奶器的主机和吸奶器
WO2019042073A1 (zh) 电机及其轴承座安装组件
CN210829816U (zh) 一种带减震结构的风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