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7561B1 - 차량용 시트 슬라이딩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시트 슬라이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7561B1
KR102647561B1 KR1020210167126A KR20210167126A KR102647561B1 KR 102647561 B1 KR102647561 B1 KR 102647561B1 KR 1020210167126 A KR1020210167126 A KR 1020210167126A KR 20210167126 A KR20210167126 A KR 20210167126A KR 102647561 B1 KR102647561 B1 KR 1026475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rail
receiving
transfer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7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79906A (ko
Inventor
배지성
김태성
김상현
문지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유에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유에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유에이텍
Priority to KR10202101671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7561B1/ko
Priority to PCT/KR2022/010962 priority patent/WO2023096071A1/ko
Publication of KR202300799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99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75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75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46Electric motors therefor
    • B60N2/02253Electric moto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between the electric motor and the seat or seat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0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interconverting rotary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25/1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interconverting rotary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with adjustable throw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9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detection or optimisation of position, e.g. align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 슬라이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차체에 장착되는 레일부와, 레일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시트부를 지지하는 이송유닛과, 이송유닛과 연결되고, 구동력을 생성하여 이송유닛을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구동유닛과, 차체에 장착되고,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부 및 전력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구동유닛에 무선으로 전달하는 무선전달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시트 슬라이딩 장치{SEAT SLIDING APPARATUS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 슬라이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 전력 전달 수단이 구비되는 차량용 시트 슬라이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시트는 시트백과 시트쿠션을 포함하고, 시트 슬라이딩 장치에 의해 차체의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된다. 이러한 시트 슬라이딩 장치는 프론트 시트와 같이 상대적으로 작은 전후 이동거리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것이 널리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승용차보다 상대적으로 차체가 긴 플로워 패널을 가지는 RV차량, 승합차 등의 보급에 의해 시트의 전후 이동 거리 조정 폭이 큰 롱 슬라이드 장치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시트 슬라이딩 장치는 작동방식에 따라 수동식 또는 전동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전동식 시트 슬라이딩 장치는 플로어 패널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레일과, 상기 고정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결합되고 시트쿠션이 연결 설치되는 이송레일로 구성되어 있으며, 2개의 이송레일이 모터에 의해 구동된다. 대부분의 경우 DC 전동모터가 구동원이 되므로 모터의 구동을 위한 전력은 와이어링을 통해 차체측 배터리로부터 공급받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파워 슬라이딩 장치는 와이어링의 자체적인 길이의 한계로 인해 시트의 전후 자유로운 움직임이 제한되고, 차량의 실내공간 활용 측면에서 장애로 작용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제10-1598718호(2014.11.28 등록, 발명의 명칭: 차량용 시트의 슬라이드 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시트의 슬라이드 동작을 위한 전력을 무선으로 공급할 수 있는 차량용 시트 슬라이딩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 슬라이딩 장치는: 차체에 장착되는 레일부; 상기 레일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시트부를 지지하는 이송유닛; 상기 이송유닛과 연결되고, 구동력을 생성하여 상기 이송유닛을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구동유닛; 상기 차체에 장착되고,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부; 및 상기 전력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상기 구동유닛에 무선으로 전달하는 무선전달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무선전달유닛은, 상기 전력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제1변환부; 상기 제1변환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변환부로부터 변환된 교류 전력을 전송하는 송신모듈; 상기 송신모듈로부터 전송된 교류 전력을 수신하고, 상기 이송유닛과 함께 이동되며 상기 송신모듈에 대한 상대 위치가 가변되는 수신모듈; 및 상기 수신모듈로부터 수신된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상기 구동유닛으로 전달하는 제2변환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송신모듈은, 상기 레일부의 일측에 장착되고, 상기 레일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송신바디부; 및 상기 송신바디부에 설치되고, 상기 송신바디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변환부로부터 교류 전력을 전달받는 복수개의 송신코일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수신모듈은, 상기 송신바디부와 상기 이송유닛의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송신바디부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마주보게 배치되는 수신바디부; 상기 수신바디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이송유닛과 연결되는 연결부; 및 상기 수신바디부에 설치되고, 상기 송신코일부와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상기 송신코일부로부터 전송되는 교류 전력을 수신하는 수신코일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수신바디부의 길이는 상기 송신바디부의 길이보다 짧고, 상기 송신코일부의 개수는 상기 수신코일부의 개수보다 많다.
또한, 상기 송신바디부에 대한 상기 수신바디부의 상대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부; 및 상기 위치감지부로부터 감지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각각의 상기 송신코일부로의 교류 전력 전달 여부를 조절하는 공급조절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공급조절부는 복수개의 상기 송신코일부 중 상기 수신바디부와 마주보게 배치되는 상기 송신코일부로 교류 전력이 전달되는 것을 허용한다.
또한,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레일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시트부와 연결되며, 상기 구동유닛의 구동력에 연동되어 상기 레일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이송본체; 및 상기 이송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레일부에 구름 접촉되어 상기 이송본체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이동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레일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레일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리드스크류; 상기 리드스크류를 감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이송유닛과 연결되며, 상기 무선전달유닛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재; 및 상기 구동부재와 상기 리드스크류의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구동부재로부터 발생되는 회전력에 연동되어 상기 구동부재를 상기 리드스크류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 왕복 운동시키는 너트스크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구동부재는 BLDC 모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 슬라이딩 장치는 무선전달유닛에 의해 전력공급부로부터 발생되는 전력을 구동유닛에 무선으로 전달함에 따라 이송유닛의 이동 과정에서 발생되는 케이블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시트부의 가동 범위를 보다 확장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 슬라이딩 장치는 위치감지부 및 공급조절부에 의해 복수개의 송신코일부 중 무선 전력 전송이 실질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송신코일부로 교류 전력이 전달되는 것을 제한함으로써 과도한 전력 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 슬라이딩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 슬라이딩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확대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 슬라이딩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유닛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유닛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방지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방지부의 설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유닛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유닛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달유닛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달유닛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감지부와 공급조절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 슬라이딩 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또는 접속)"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또는 접속)"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또는 접속)"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또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할 수 있다. 동일한 참조 부호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들은 특정 도면에서 언급 또는 설명되지 않았더라도, 그 부호들은 다른 도면을 토대로 설명될 수 있다. 또한, 특정 도면에 참조 부호가 표시되지 않은 부분이 있더라도, 그 부분은 다른 도면들을 토대로 설명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도면들에 포함된 세부 구성요소들의 개수, 형상, 크기 및 크기의 상대적인 차이 등은 이해의 편의를 위해 설정된 것으로서, 실시예들을 제한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 슬라이딩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 슬라이딩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확대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 슬라이딩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 슬라이딩 장치(1)는 레일부(100), 이송유닛(200), 유동방지부(300), 구동유닛(400), 전력공급부(500), 무선전달유닛(600)를 포함한다.
레일부(100)는 차체에 고정되고, 후술하는 이송유닛(200)의 이동 경로를 제공한다. 레일부(100)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차체의 폭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부(100)는 레일본체(110), 제1수용부(120), 제2수용부(130), 제3수용부(140)를 포함한다.
레일본체(110)는 레일부(100)의 개략적인 외관을 형성한다. 레일본체(110)는 내부가 비어있도록 형성되어 내부에 후술하는 제1수용부(120), 제2수용부(130), 제3수용부(140)가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한다. 레일본체(110)는 시트부(2)의 하방에 배치된 차체 플로어 패널의 내부에 매립되고, 볼팅 결합 등에 의해 차체 플로어 패널 상에서 고정된다. 레일본체(110)는 일측이 개구되어 있도록 형성되고, 개구된 측이 시트부(2)의 하측과 마주보게 배치된다.
제1수용부(120)는 레일본체(110)의 내부에 후술하는 이송유닛(200)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수용부(120)는 레일본체(110)의 내부를 수평하게 관통하는 홀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수용부(120)는 길이 방향이 레일본체(110)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1수용부(120)의 단면적의 크기는 후술하는 이송유닛(200)의 크기 등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제2수용부(130)는 제1수용부(120)와 이격되게 배치되고, 레일본체(110)의 내부에 후술하는 무선전달유닛(600)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수용부(130)는 레일본체(110)의 내부를 수평하게 관통하는 홀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수용부(130)는 길이 방향이 레일본체(110)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2수용부(130)는 제1수용부(120)와 레일본체(110)의 폭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된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수용부(120)와 제2수용부(130)는 레일본체(110)의 좌우 양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수용부(130)는 한 쌍의 제1격벽(131)에 의해 레일본체(110)의 내부에서 제1수용부(120)와 구획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격벽(131)은 각각 레일본체(110)의 상측면과 하측면으로부터 레일본체(11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한 쌍의 제1격벽(131)은 단부가 소정 간격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수용부(130)는 한 쌍의 제1격벽(131)의 사이를 통해 제1수용부(120)와 연통된다.
제3수용부(140)는 레일본체(110)의 내부에 후술하는 유동방지부(300)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수용부(140)는 레일본체(110)의 내부를 수평하게 관통하는 홀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3수용부(140)는 길이 방향이 레일본체(110)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3수용부(140)는 제1수용부(120)와 레일본체(110)의 높이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된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수용부(140)와 제1수용부(120)는 레일본체(110)의 상하 양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3수용부(140)는 한 쌍의 제2격벽(141)에 의해 레일본체(110)의 내부에서 제1수용부(120)와 구획될 수 있다. 한 쌍의 제2격벽(132)은 각각 레일본체(110)의 내측면과, 레일본체(110)의 상측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격벽(131)으로부터 레일본체(110)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한 쌍의 제2격벽(141)은 단부가 소정 간격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3수용부(140)는 한 쌍의 제2격벽(141)의 사이를 통해 제1수용부(120)와 연통된다.
이송유닛(200)은 레일부(100)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시트부(2)를 지지한다. 이송유닛(200)은 후술하는 구동유닛(400)의 구동력에 의해 레일부(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로 슬라이드 왕복 이동되며 시트부(2)의 위치를 가변시킨다. 이송유닛(200)은 한 쌍으로 구비되어 한 쌍의 레일부(100)에 각각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유닛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유닛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유닛(200)은 이송본체(210), 이동부재(220)를 포함한다.
이송본체(210)는 이송유닛(200)의 개략적인 외관을 형성하고, 레일부(100)의 내부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본체(210)는 대략 "ㄷ"자 형상의 브라켓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 제1수용부(120)의 내부에 배치된다. 이송본체(210)의 폭은 제1수용부(120)의 폭보다 좁게 형성된다. 이송본체(210)는 개구된 측이 레일본체(110)의 바닥면과 마주보게 배치된다. 이송본체(210)는 상단부가 레일부(100)의 개구된 측을 통해 레일부(100)의 상방으로 돌출된다. 이송본체(210)의 상단부는 볼팅 결합 등에 의해 시트부(2)의 하측과 일체로 연결된다. 이송본체(210)의 내부에는 후술하는 구동유닛(400)의 구동부재(420)가 배치되고, 이송본체(210)는 볼팅 등에 의해 구동부재(420)와 일체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이송본체(210)는 구동유닛(400)의 동작 시 구동부재(420)와 함께 제1수용부(120)의 내부에서 레일부(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왕복 이동될 수 있다.
이송본체(210)에는 후술하는 유동방지부(300)가 설치되는 장착부(211)가 구비된다. 장착부(211)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이송본체(210)의 양측에 대칭되게 배치된다. 복수개의 장착부(211)는 이송본체(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착부(211)는 이송본체(210)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장착홀부(212)와, 장착홀부(212)의 하측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장착돌기부(21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부재(220)는 이송본체(2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레일부(100)에 구름 접촉되어 레일부(100)에 대해 이송본체(210)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이동부재(220)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이송본체(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부재(220)는 휠부(221), 샤프트부(222), 간섭방지부(223)를 포함한다.
휠부(221)는 대략 원형의 바퀴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휠부(221)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이송본체(210)의 좌우 양측에 각각 배치된다. 한 쌍의 휠부(221)는 중심축이 동축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휠부(221)의 하단부는 이송본체(210)의 하단부로부터 돌출된다. 휠부(221)의 하단부는 이송본체(210)가 제1수용부(120)의 내부에 수용된 경우, 레일본체(110)의 바닥면에 구름 접촉된다.
샤프트부(222)는 한 쌍의 휠부(221)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샤프트부(222)는 이송본체(210)의 내부에 배치되고, 길이 방향이 이송본체(210)의 폭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샤프트부(222)의 양단부는 이송본체(210)를 관통하여 이송본체(210)의 좌우 양측으로 돌출된다. 샤프트부(222)는 용접 등에 의해 이송본체(210)와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샤프트부(222)는 양단부가 각각 한 쌍의 휠부(221)와 연결된다. 이 경우, 한 쌍의 휠부(221)는 코킹 공정에 의해 샤프트부(222)의 양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샤프트부(222)는 휠부(221)의 코킹 공정 시 유격의 발생이 감소될 수 있도록 사각형의 단면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간섭방지부(223)는 샤프트부(222)에 구비되고, 샤프트부(222)가 구동유닛(400)과 간섭되는 것을 방지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간섭방지부(223)는 샤프트부(222)의 일측에 후술하는 리드스크류(410)가 관통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섭방지부(223)는 샤프트부(222)의 상측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오목하게 함몰 형성되는 홈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간섭방지부(223)는 대략 반원 형태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유동방지부(300)는 이송유닛(200)에 연결되고, 레일부(100)와 접촉되어 이송유닛이 레일부(100)의 내부에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유동방지부(300)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이송유닛(200), 보다 구체적으로 이송본체(210)의 양측에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유동방지부(300)는 이송본체(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방지부(300)는 제3수용부(140)의 내부에 배치되고, 이송본체(210)에 구비되는 장착부(211)에 장착되어 지지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유동방지부(300)는 장착홀부(212)의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하측면이 장착돌기부(213)에 끼움 결합됨에 따라 제3수용부(140)의 내부에서 지지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방지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확대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방지부의 설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방지부(300)는 제1유동방지부재(310), 제2유동방지부재(320)를 포함한다.
제1유동방지부재(310)는 유동방지부(300)의 일측 외관을 형성하고, 레일부(100)의 일측에 접촉되어 이송유닛(200)의 좌우 방향 유동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유동방지부재(310)는 대략 호 형태의 단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장착부(211)로부터 레일부(100)의 폭 방향을 향해 수평하게 돌출된다. 이송본체(210)를 기준으로 일측(도 8 기준 우측)에 배치된 유동방지부(300)에 구비되는 제1유동방지부재(310)는 단부면이 제1격벽(131)의 내측면에 접촉되어 지지된다. 이송본체(210)를 기준으로 타측(도 8 기준 좌측)에 배치된 유동방지부(300)에 구비되는 제1유동방지부재(310)는 단부면이 레일본체(110)의 내측면에 접촉되어 지지된다. 제1유동방지부재(310)는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유동방지부재(310)는 이송유닛(200)이 레일부(100)의 내부에서 좌우 방향으로 유동되는 경우, 탄성 변형에 의해 이송유닛(200)을 정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다.
제2유동방지부재(320)는 유동방지부(300)의 타측 외관을 형성하고, 레일부(100)의 타측에 접촉되어 이송유닛(200)의 상하 방향 유동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유동방지부재(320)는 대략 호 형태의 단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장착부(211)로부터 레일부(100)의 개구된 측 즉, 상방을 향해 수직하게 돌출된다. 제2유동방지부재(320)는 단부면이 레일본체(110)의 상부 내측면에 접촉되어 지지된다. 제2유동방지부재(320)는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유동방지부재(320)는 이송유닛(200)이 레일부(100)의 내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유동되는 경우, 탄성 변형에 의해 이송유닛(200)을 정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다.
구동유닛(400)은 이송유닛(200)과 연결되고, 구동력을 생성하여 이송유닛(200)을 레일부(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시킨다. 구동유닛(400)은 후술하는 무선전달유닛(600)을 통해 전력공급부(500)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전달받아 구동력을 생성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유닛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유닛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유닛(400)은 리드스크류(410), 구동부재(420), 너트스크류(430)를 포함한다.
리드스크류(410)는 레일부(100)의 내부에 배치되고, 레일부(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드스크류(410)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길이 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연장 형성되는 볼트스크류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리드스크류(410)는 제1수용부(120)의 내부에 설치되고, 길이 방향이 레일부(100)의 길이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된다. 리드스크류(410)는 레일본체(110)의 바닥면과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리드스크류(410)는 양단부가 각각 레일본체(110)에 볼팅 결합되는 별도의 브라켓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 경우, 리드스크류(410)는 중심축을 축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된다. 리드스크류(410)의 일부 구간은 이송본체(210)의 내부에 배치된다. 이 경우, 리드스크류(410)는 샤프트부(222)의 상측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오목하게 함몰 형성되는 간섭방지부(223)에 의해 샤프트부(222)와의 간섭이 방지될 수 있다.
구동부재(420)는 리드스크류(410)를 감싸도록 배치되고, 후술하는 무선전달유닛(600)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회전력을 발생시킨다. 구동부재(420)는 후술하는 너트스크류(430)를 매개로 리드스크류(410)와 연결된다. 구동부재(420)는 회전력을 발생시킴에 따라 리드스크류(4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 왕복 이동된다. 이 경우, 구동부재(420)가 직선 이동되는 방향은 구동부재(420)로부터 발생되는 회전력의 방향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구동부재(420)는 이송유닛(200)과 일체로 연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구동부재(420)는 이송본체(210) 내부에 배치되고, 볼팅 결합 등에 의해 이송본체(210)의 내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동부재(420)는 리드스크류(4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 왕복 이동되며 이송유닛(200)을 레일부(100) 상에서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재(420)는 스테이터 및 로터로 구성되어 회전 구동력을 생성하는 중공형의 BLDC 모터와, 사용자의 시트 스위치 조작에 따라 BLDC 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전자제어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너트스크류(430)는 구동부재(420)와 리드스크류(410)의 사이에 구비되고, 구동부재(420)로부터 발생되는 회전력에 연동되어 구동부재(420)를 리드스크류(4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 왕복 운동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너트스크류(430)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구비된 중공형의 원통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너트스크류(430)는 구동부재(420)의 내주면 즉, BLDC 모터의 로터 내주면에 삽입 고정된다. 너트스크류(430)는 내주면에 구비된 나사산을 매개로 리드스크류(410)의 외주면에 나사 결합된다. 이에 따라 너트스크류(430)는 구동부재(420)로부터 발생되는 회전력에 의해 중심축을 축으로 회전되며 구동부재(420)를 리드스크류(4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시킬 수 있다.
전력공급부(500)는 차체에 장착되고,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공급부(500)는 직류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배터리로 예시될 수 있다. 전력공급부(500)는 한 쌍의 레일부(100)의 사이에 배치되고, 차체 플로어 패널의 내부에 매립되어 지지될 수 있다.
무선전달유닛(600)은 전력공급부(500)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구동유닛(400)에 무선으로 전달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무선전달유닛(600)은 전력공급부(500)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전자기 유도 현상에 기초한 유도결합 방식 또는 자기공진 방식을 통하여 구동유닛(400)에 무선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에 따라 무선전달유닛(600)은 기존 전력 공급이 유선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이송유닛(200)의 이동 과정에서 발생되는 케이블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시트부(2)의 가동 범위를 확장시킬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달유닛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달유닛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달유닛(600)은 제1변환부(610), 송신모듈(620), 수신모듈(630), 제2변환부(640), 위치감지부(650), 공급조절부(660)를 포함한다.
제1변환부(610)는 전력공급부(500)로부터 공급되는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변환부(610)는 전력공급부(5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전력공급부(500)로부터 공급되는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후술하는 송신모듈(620)로 전달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인버터로 예시될 수 있다. 제1변환부(610)는 한 쌍의 레일부(100)의 사이에 배치되고, 차체 플로어 패널에 매립되어 지지될 수 있다.
송신모듈(620)은 제1변환부(610)와 연결되고, 제1변환부(610)로부터 변환된 교류 전력을 전송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송신모듈(620)은 후술하는 수신모듈(630)과의 전자기 유도 현상에 기초한 유도결합 방식 또는 자기공진 방식을 통하여 제1변환부(610)로부터 전달받은 교류전력을 무선으로 송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모듈(620)은 송신바디부(621), 송신코일부(622)를 포함한다.
송신바디부(621)는 송신모듈(620)의 개략적인 외관을 형성하고, 레일부(100)의 일측에 장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바디부(621)는 대략 직사각형의 단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제2수용부(13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송신바디부(621)는 레일부(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송신바디부(621)는 이송본체(210)의 일측면(도 12 기준 우측면)과 수평하게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송신바디부(621)는 후술하는 송신코일부(622)가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할 수 있도록 내부가 비어있도록 형성된다. 송신바디부(621)는 레일본체(110)와 볼팅 결합되어 제2수용부(130)의 내부에서 위치 고정될 수 있다.
송신코일부(622)는 송신바디부(621)에 설치되고, 제1변환부(610)로부터 교류 전력을 전달받는다. 송신코일부(622)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송신바디부(6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코일부(622)는 일정 길이를 갖는 도전성부재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복수 회 권선되는 평판형 코일일 수 있다. 이 경우, 송신코일부(622)는 원형, 타원형, 사각형 및 이들이 상호 조합된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송신코일부(622)는 중심축이 레일부(100)의 폭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된다. 복수개의 송신코일부(622)는 페라이트 등의 자성 재질의 시트(미도시)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송신코일부(622)의 개수는 후술하는 수신코일부(633)의 개수보다 많게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송신코일부(622)는 제1변환부(610)로부터 교류 전력을 개별적으로 전달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송신코일부(622)는 후술하는 공급조절부(660)에 의해 교류 전력의 전달 여부가 독립적으로 제한 또는 허용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모듈(620)은 풀브리지 회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수신모듈(630)은 송신모듈(620)과 이격되게 배치되고, 송신모듈(620)로부터 무선으로 전송된 교류 전력을 수신한다. 수신모듈(630)은 이송유닛(200)과 함께 이동되며 송신모듈(620)에 대한 상대 위치가 가변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모듈(630)은 수신바디부(631), 연결부(632), 수신코일부(633)를 포함한다.
수신바디부(631)는 송신바디부(621)와 이송유닛(200)의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송신바디부(621)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마주보게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바디부(631)는 대략 직사각형의 단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제2수용부(13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수신바디부(631)는 송신바디부(621) 및 이송본체(210)의 사이에 배치되고, 송신바디부(621)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송신바디부(621)와 평행하게 마주보게 배치된다. 수신바디부(631)는 레일부(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수신바디부(631)의 길이는 송신바디부(621)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수신바디부(631)는 후술하는 수신코일부(633)가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할 수 있도록 내부가 비어있도록 형성된다. 수신바디부(631)는 제2수용부(130)의 내부에서 레일부(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 경우, 수신바디부(631)는 후술하는 연결부(632)에 의해 제2수용부(130)의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연결부(632)는 수신바디부(631)로부터 연장되고, 이송유닛(200)과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632)는 대략 "ㄷ"자 형태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632)는 중앙부가 한 쌍의 제1격벽(131)의 단부 사이를 관통하고, 양측이 각각 제1수용부(120)와 제2수용부(130)의 내부에 배치된다. 연결부(632)는 양측이 각각 볼팅 결합 등에 의해 수신바디부(631)와 이송본체(210)가 상호 마주보는 면에 결합되어 지지된다. 연결부(632)는 이송유닛(200)이 레일부(100)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됨에 따라, 수신바디부(631)를 제2수용부(130)의 내부에서 슬라이드 이동시킨다.
수신코일부(633)는 수신바디부(631)에 설치되고, 송신코일부(622)와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송신코일부(622)로부터 전송되는 교류 전력을 무선으로 수신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코일부(633)는 일정 길이를 갖는 도전성부재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복수 회 권선되는 평판형 코일일 수 있다. 이 경우, 수신코일부(633)는 원형, 타원형, 사각형 및 이들이 상호 조합된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수신코일부(633)의 구체적인 개수는 어느 하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수신바디부(631)의 길이 등에 따라 송신코일부(622)의 개수보다 적은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수신코일부(633)는 중심축이 레일부(100)의 폭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된다. 수신코일부(633)는 페라이트 등의 자성 재질의 시트(미도시)상에 배치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모듈(630)은 정류 회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2변환부(640)는 수신모듈(630)로부터 수신된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한다. 제2변환부(640)는 변환된 직류 전력을 구동유닛(400), 보다 구체적으로 구동부재(420)의 전자제어유닛에 전달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변환부(640)는 수신모듈(630)로부터 수신된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구동유닛(400)으로 전달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컨버터로 예시될 수 있다. 제2변환부(640)는 레이아웃 조건 등에 따라 자유롭게 형상이 가변될 수 있는 FFC(Flexible Flat Cable) 케이블을 매개로 수신모듈(630)과 연결될 수 있다. 제2변환부(640)는 제2변환부(640)는 시트부(2)의 하측 프레임에 설치되어 시트부(2)와 함께 이동될 수 있다.
위치감지부(650)는 송신바디부(621)에 대한 수신바디부(631)의 상대 위치를 감지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감지부와 공급조절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감지부(650)는 광센서, 초음파센서 등 다양한 종류의 위치 센서로 예시될 수 있다. 위치감지부(650)는 복수개의 송신코일부(622)와 대응되는 개수로 구비되고, 복수개의 송신코일부(622)와 인접한 위치에 개별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송신코일부(622)와 인접한 위치는 송신바디부(621)와 수신바디부(631)의 사이 등, 송신바디부(621)에 대한 수신바디부(631)의 상대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위치의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위치감지부(650)는 송신바디부(621)에 직접 결합되어 지지될 수 있고, 별도의 고정 수단에 의해 송신바디부(621)와 이격된 위치에서 지지되는 것도 가능하다.
공급조절부(660)는 위치감지부(650)로부터 감지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각각의 송신코일부(622)로의 교류 전력 전달 여부를 조절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공급조절부(660) 이송유닛(200)의 이동에 의한 수신바디부(631)의 위치 변경 시, 복수개의 송신코일부(622) 중 수신바디부(631)와 마주보게 배치되는 송신코일부(622)로 교류 전력이 전달되는 것을 허용하고, 나머지 송신코일부(622)로 교류 전력이 전달되는 것을 차단한다. 이에 따라 공급조절부(660)는 무선 전력 전송이 실질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송신코일부(622)로 교류 전력이 전달되는 것을 제한함으로써 과도한 전력 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급조절부(660)는 각각의 송신코일부(622)로의 교류 전력 전달 여부를 독립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스위치모듈과, 위치감지부(650)로부터 수신바디부(631)의 위치 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전달받아 스위치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스위치제어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급조절부(660)는 제1변환부(61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고, 제1변환부(610)로부터 송신코일부(622)로 전력이 공급되는 경로에 별도로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 슬라이딩 장치(1)의 작동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우선 전력공급부(500)로부터 발생된 직류 전력은 제1변환부(610)에 의해 교류 전력으로 변환되어 송신코일부(622)로 전달된다.
송신코일부(622)로 전달된 교류 전력은 수신코일부(623)와의 전자기 유도 현상에 기초한 유도결합 방식 또는 자기공진 방식에 의해 수신코일부(623)로 무선 전송된다.
수신코일부(623)로 전송된 교류 전력은 제2변환부(640)에 의해 다시 직류 전력으로 변환되어 구동유닛(400), 보다 구체적으로 구동부재(420)의 전자제어유닛으로 전달된다.
이후, 사용자가 시트 스위치를 조작함에 따라, 구동부재(420)는 무선전달유닛(600)으로부터 전달받은 전력을 통해 회전력을 발생시킨다.
구동부재(420)로부터 발생되는 회전력에 의해 리드스크류(410)와 나사 결합된 너트스크류(430)는 중심축을 축으로 회전되고, 구동부재(420)를 리드스크류(4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시킨다.
구동부재(420)가 리드스크류(4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됨에 따라, 구동부재(420)와 일체로 연결된 이송유닛(200)은 레일부(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며 시트부(2)의 위치를 조절한다.
이송유닛(200)이 레일부(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 과정에서, 이송유닛(200)과 일체로 연결된 수신모듈(630)은 송신모듈(620)에 대해 상대 이동된다.
수신바디부(631)가 복수개의 송신코일부(622) 중 어느 하나의 송신코일부(622)와 마주보게 배치됨에 따라, 해당 송신코일부(622)와 인접한 위치에 설치된 위치감지부(650)는 수신바디부(631)의 위치를 감지한다.
공급조절부(660)는 위치감지부(650)로부터 감지된 수신바디부(631)의 위치 에 대한 데이터를 전달받고, 각각의 송신코일부(622)로의 교류 전력 전달 여부를 조절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공급조절부(660)는 제1변환부(610)로부터 변환된 교류 전력이 수신바디부(631)와 마주보게 배치되는 송신코일부(622)로 전달되는 것을 허용하고, 나머지 송신코일부(622)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차량용 시트 슬라이딩 장치 2 : 시트부
100 : 레일부 110 : 레일본체
120 : 제1수용부 130 : 제2수용부
131 : 제1격벽 140 : 제3수용부
141 : 제2격벽 200 : 이송유닛
210 : 이송본체 220 : 이동부재
221 : 휠부 222 : 샤프트부
223 : 간섭방지부 300 : 유동방지부
310 : 제1유동방지부재 320 : 제2유동방지부재
400 : 구동유닛 410 : 리드스크류
420 : 구동부재 430 : 너트스크류
500 : 전력공급부 600 : 무선전달유닛
610 : 제1변환부 620 : 송신모듈
621 : 송신바디부 622 : 송신코일부
630 : 수신모듈 631 : 수신바디부
632 : 연결부 633 : 수신코일부
640 : 제2변환부 650 : 위치감지부
660 : 공급조절부

Claims (10)

  1. 차체에 장착되는 레일부;
    상기 레일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시트부를 지지하는 이송유닛;
    상기 이송유닛과 연결되고, 구동력을 생성하여 상기 이송유닛을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구동유닛;
    상기 차체에 장착되고,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부; 및
    상기 전력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상기 구동유닛에 무선으로 전달하는 무선전달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레일부는,
    레일본체;
    상기 레일본체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이송유닛을 수용하는 제1수용부;
    상기 레일본체의 내부에서 상기 제1수용부와 이격되고, 상기 무선전달유닛을 수용하는 제2수용부; 및
    상기 레일본체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1수용부와 상기 제2수용부를 구획하는 한 쌍의 제1격벽;을 포함하고,
    상기 무선전달유닛은,
    상기 전력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제1변환부;
    상기 제1변환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변환부로부터 변환된 교류 전력을 전송하는 송신모듈;
    상기 송신모듈로부터 전송된 교류 전력을 수신하고, 상기 이송유닛과 함께 이동되며 상기 송신모듈에 대한 상대 위치가 가변되는 수신모듈; 및
    상기 수신모듈로부터 수신된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상기 구동유닛으로 전달하는 제2변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송신모듈은,
    상기 제2수용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레일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송신바디부; 및
    상기 송신바디부에 설치되고, 상기 송신바디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변환부로부터 교류 전력을 전달받는 복수개의 송신코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모듈은,
    상기 제2수용부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송신바디부와 상기 이송유닛의 사이에 배치되는 수신바디부;
    상기 수신바디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이송유닛과 연결되는 연결부; 및
    상기 수신바디부에 설치되고, 상기 송신코일부와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상기 송신코일부로부터 전송되는 교류 전력을 수신하는 수신코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수용부와 상기 제2수용부는 상기 레일본체의 폭 방향으로 이격되고,
    한 쌍의 상기 제1격벽은 각각 상기 레일본체의 상측면 및 하측면으로부터 상기 레일본체의 높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한 쌍의 상기 제1격벽은 단부가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연결부는 한 쌍의 상기 제1격벽의 단부 사이를 관통하고, 양측이 각각 상기 제1수용부와 상기 제2수용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슬라이딩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바디부의 길이는 상기 송신바디부의 길이보다 짧고, 상기 송신코일부의 개수는 상기 수신코일부의 개수보다 많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슬라이딩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바디부에 대한 상기 수신바디부의 상대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부; 및
    상기 위치감지부로부터 감지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각각의 상기 송신코일부로의 교류 전력 전달 여부를 조절하는 공급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슬라이딩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조절부는 복수개의 상기 송신코일부 중 상기 수신바디부와 마주보게 배치되는 상기 송신코일부로 교류 전력이 전달되는 것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슬라이딩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레일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시트부와 연결되며, 상기 구동유닛의 구동력에 연동되어 상기 레일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이송본체; 및
    상기 이송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레일부에 구름 접촉되어 상기 이송본체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이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슬라이딩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레일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레일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리드스크류;
    상기 리드스크류를 감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이송유닛과 연결되며, 상기 무선전달유닛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재; 및
    상기 구동부재와 상기 리드스크류의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구동부재로부터 발생되는 회전력에 연동되어 상기 구동부재를 상기 리드스크류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 왕복 운동시키는 너트스크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슬라이딩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재는 BLDC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슬라이딩 장치.
KR1020210167126A 2021-11-29 2021-11-29 차량용 시트 슬라이딩 장치 KR1026475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7126A KR102647561B1 (ko) 2021-11-29 2021-11-29 차량용 시트 슬라이딩 장치
PCT/KR2022/010962 WO2023096071A1 (ko) 2021-11-29 2022-07-26 차량용 시트 슬라이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7126A KR102647561B1 (ko) 2021-11-29 2021-11-29 차량용 시트 슬라이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9906A KR20230079906A (ko) 2023-06-07
KR102647561B1 true KR102647561B1 (ko) 2024-03-15

Family

ID=86539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7126A KR102647561B1 (ko) 2021-11-29 2021-11-29 차량용 시트 슬라이딩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647561B1 (ko)
WO (1) WO2023096071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8647B1 (ko) 2013-12-29 2015-05-11 현대다이모스(주) 차량용 파워시트 전원 공급장치
KR101997869B1 (ko) * 2017-12-28 2019-07-08 주식회사 디에스시동탄 시트용 무선 스위블 장치
JP2019525696A (ja) 2017-05-31 2019-09-05 デチャン シート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ドンタン シート用の無線電力伝送装置
CN211508726U (zh) * 2020-03-17 2020-09-15 深圳赫兹创新技术有限公司 一种移动座椅充电系统及汽车
KR102164948B1 (ko) 2019-10-30 2020-10-13 주식회사다스 자동차 시트 파워 슬라이딩 장치의 중공형 bldc 모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1256B1 (ko) * 2017-10-31 2019-06-21 주식회사 다스 자동차 시트의 전후 이동 장치와 그 제어 방법
JP6969315B2 (ja) * 2017-11-22 2021-11-24 株式会社アイシン 無線送電システム
KR102629793B1 (ko) * 2019-02-07 2024-01-26 주식회사 아모텍 무선 전력 공급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8647B1 (ko) 2013-12-29 2015-05-11 현대다이모스(주) 차량용 파워시트 전원 공급장치
JP2019525696A (ja) 2017-05-31 2019-09-05 デチャン シート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ドンタン シート用の無線電力伝送装置
KR101997869B1 (ko) * 2017-12-28 2019-07-08 주식회사 디에스시동탄 시트용 무선 스위블 장치
KR102164948B1 (ko) 2019-10-30 2020-10-13 주식회사다스 자동차 시트 파워 슬라이딩 장치의 중공형 bldc 모터
CN211508726U (zh) * 2020-03-17 2020-09-15 深圳赫兹创新技术有限公司 一种移动座椅充电系统及汽车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96071A1 (ko) 2023-06-01
KR20230079906A (ko) 2023-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328423B (zh) 座椅用无线电力传输装置
KR101991256B1 (ko) 자동차 시트의 전후 이동 장치와 그 제어 방법
KR101219277B1 (ko) 차량용 전동 시트트랙의 구조
JP5736307B2 (ja) シート調整装置
US11211822B2 (en) Power supply device
CN104512283A (zh) 交通工具座椅
US20200269784A1 (en) Inductive power coupler for a vehicle seat and vehicle seat
US20200223378A1 (en) Power feeding device for seats
KR100875945B1 (ko) 최적 공극제어 선형전동기 및 비접촉 급전시스템을 이용한철도차량시스템
KR102647561B1 (ko) 차량용 시트 슬라이딩 장치
CN103538497A (zh) 一种座椅调节装置及汽车座椅
JP4161062B2 (ja) 複数かごエレベータ給電装置
US7478597B2 (en) Multi-axis gantry system
CN113226840B (zh) 电动滑轨及具有电动滑轨的交通工具用座椅
CN110770156A (zh) 包括两个驱动机构的直线电机装置
KR20110066139A (ko) 도어용 구동 시스템
US11159049B2 (en) Power supply system
KR101468617B1 (ko) 듀얼 모터 타입의 차량용 전동 시트트랙 장치
KR20240022801A (ko) 실내 커스터마이징 장치
KR20240022153A (ko) 실내 커스터마이징 장치
WO2020230535A1 (ja) 無線電力伝送装置、車両用シート、送電モジュール、および受電モジュール
CN210337758U (zh) 汽车、副仪表板及副仪表板的安装结构
CN215929058U (zh) 一种汽车内饰件的输送装置
KR20230094771A (ko) 차량용 시트 슬라이딩 장치
CN112469596A (zh) 线路组件、构件组件和工作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