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1256B1 - 자동차 시트의 전후 이동 장치와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 시트의 전후 이동 장치와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1256B1
KR101991256B1 KR1020170143338A KR20170143338A KR101991256B1 KR 101991256 B1 KR101991256 B1 KR 101991256B1 KR 1020170143338 A KR1020170143338 A KR 1020170143338A KR 20170143338 A KR20170143338 A KR 20170143338A KR 101991256 B1 KR101991256 B1 KR 1019912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drive motor
seat
forth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33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8406A (ko
Inventor
이재환
김승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스
Priority to KR10201701433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1256B1/ko
Publication of KR201900484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84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12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12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46Electric motors therefor
    • B60N2/023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46Electric motors therefor
    • B60N2/02253Electric moto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between the electric motor and the seat or seat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67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by linear actuators, e.g. linear screw mechanisms
    • B60N2002/0236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시트의 전후 이동 장치에 관한 것으로, 양측 슬라이드레일(10)의 내부에 각각 구동모터(30)가 설치되어 해당 어퍼레일(12)을 전후 이동시킨다. 슬라이드레일(10)의 외부에 모터의 설치와 동력 전달을 위한 부품들을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되어 시트의 하부공간을 넓게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 시트의 전후 이동 장치와 그 제어 방법{Device for longitudinal movement of car seat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자동차 시트의 전후 이동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시트와 플로어 사이에 설치되어 시트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된 자동차 시트의 전후 이동 장치와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시트는 탑승자가 자신의 신체 조건에 맞게 시트의 전후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시트의 전후 이동은 기본적으로 슬라이드레일을 이용하는데, 슬라이드레일의 로워레일은 차량 실내의 플로어에 고정되고, 어퍼레일에 시트의 쿠션프레임이 고정됨으로써 로워레일을 따라 전후 이동하는 어퍼레일과 함께 시트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시트의 전후 이동 기능을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전후 이동 장치를 모터에 의해 구동하고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모터 구동 방식의 시트 전후 이동 장치는 양측 레일에 리드스크류를 따라 이동하는 기어박스를 설치하고, 그 기어박스를 어퍼레일에 고정하며, 양측 어퍼레일을 연결하는 브라켓을 설치하고, 그 브라켓에 구동모터(구동축이 양쪽 방향으로 돌출된 타입의 모터임)를 설치하며, 구동모터의 양쪽 회전축과 양측 레일의 기어박스를 플렉시블샤프트로 연결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구동모터에는 전선이 연결되고, 상기 기어박스는 웜샤프트와 웜휠을 구비하여 웜샤프트에 상기 플렉시블샤프트가 연결되고, 웜휠의 내부에 리드너트가 형성되어 상기 리드스크류와 나사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구동모터가 작동되면 플렉시블샤프트에 의해 웜샤프트가 회전되고, 이에 웜휠이 회전됨으로써 리드스크류와 리드너트의 작용에 의해 기어박스가 리드스크류를 따라 이동하게 되며, 기어박스와 어퍼레일이 결합되어 있으므로 어퍼레일의 상부에 설치된 시트가 전후 이동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시트 전후 이동 장치는 시트의 하부 공간을 횡으로 가로지르는 브라켓과, 그에 설치된 모터 및 플렉시블샤프트 등에 의해 시트의 하부 공간이 점유되어 그 공간을 다른 용도로 활용할 수 없었다. 예를 들어 다른 필요한 장치를 설치할 수 없으며, 시트쿠션의 스프링 변형 공간을 확보하기 용이하지 않으며, 또한 시트 자체의 높이를 낮추는 것도 불가하였다.
또한, 플렉시블샤프트와 웜샤프트, 웜샤프트와 웜휠 등 구동력을 전달하는 기계적인 연결 부분이 많아서 다양한 원인에 의해 진동(떨림)과 소음(노이즈) 및 마모가 발생하여 장치의 사용 감성 및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98718호(2016.02.23.)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시트의 하부 공간을 확보하여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고, 기어박스 사용으로 인한 진동 및 소음 문제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자동차 시트의 전후 이동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자동차 시트의 전후 이동 장치의 작동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시트의 전후 이동 장치는, 차량 실내의 플로어에 장착되는 로워레일과 그 로워레일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부에 시트가 장착되는 어퍼레일을 포함하는 슬라이드레일과, 상기 슬라이드레일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어퍼레일을 전후로 이동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모터는 로워레일에 장착된 리드스크류를 따라 전후 이동되고, 구동모터에 어퍼레일이 고정된다.
반대로, 상기 구동모터는 로워레일에 고정되고, 상기 어퍼레일에 리드스크류가 고정되며, 상기 리드스크류는 구동모터에 의해 전후 이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는 중공형 로터를 구비한 BLDC모터일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의 로터 내부에 로터와 일체로 회전되는 리드너트가 구비되며, 그 리드너트에 상기 리드스크류가 삽입되어 나사 결합된다.
상기 구동모터에 회전속도를 감지하는 복수의 홀센서가 구비되고, 홀센서의 감지신호는 전자제어유니트로 전달되며, 전자제어유니트는 양측 슬라이드레일의 각 구동모터를 그 회전속도에 따라 개별 제어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시트의 전후 이동 장치 제어방법은, 시트의 양측 슬라이드레일에 각각 구비된 구동모터를 각각 제어하는 자동차 시트의 전후 이동 장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양측 구동모터의 회전수를 비교하여, 양측 구동모터의 회전수가 동일하면 그 상태를 유지하고, 일측 구동모터의 회전수가 타측 구동모터의 회전수보다 크면 일측 구동모터의 회전수를 감소 제어하여, 양측 모터의 회전수를 동기화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구동모터가 슬라이드레일의 내부에 설치되고, 시트의 하부 공간을 가로지르는 브라켓, 플렉시블샤프트 등이 존재하지 않게 되므로 시트의 하부 공간을 확보하여 다른 용도로 활용할 수 있게 되며, 롱레일, 낮은 시트 등 차량의 고급화 및 미래화에 적용하기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기어박스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플렉시블샤프트와 웜샤프트, 웜샤프트와 웜휠 등의 연결부 및 이들의 지지부에서 발생하는 각종 진동과 소음 및 마모 문제가 해결되어 시트 전후 이동 장치 작동시 진동과 소음이 크게 개선되고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구동모터로서 BLDC모터를 사용하므로 소음 성능은 더욱 개선된다.
또한, 양쪽 슬라이드레일의 각 구동모터의 회전 속도를 항상 동기되도록 제어하는 것에 의해 시트의 전후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시트의 전후 이동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부 구성으로서 슬라이드레일 내부에 설치되는 리드스크류와 구동모터의 조립 상태 사시도.
도 3은 상기 구동모터의 정단면도.
도 4는 상기 구동모터의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시트의 전후 이동장치 제어방법의 순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시트의 전후 이동 장치는 시트를 플로어에 장착시키는 슬라이드레일(10)의 내부에 슬라이드레일(10)의 어퍼레일(12)을 전후 이동시키는 구동모터(30)가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슬라이드레일(10)은 상호 길이 방향으로 결합되어 상대 직선 이동 가능한 로워레일(11)과 어퍼레일(12) 및 로워레일(11)과 어퍼레일(12)의 사이에 개재되어 원활한 상대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볼, 롤러 등의 구름부재(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로워레일(11)은 차량 실내의 플로어에 장착되고, 상기 어퍼레일(12)에 시트의 쿠션프레임이 장착된다. 따라서 위치 고정된 로워레일(11)에 대해 어퍼레일(12)이 전후 이동됨으로써 시트의 전후 위치가 조절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로워레일(11)의 내측 바닥면에는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리드스크류(20)가 장착된다. 로워레일(11)의 전후 양단 바닥면에는 L자형으로 절곡된 스크류마운팅브라켓(22,24)이 장착되고, 그 스크류마운팅브라켓(22,24)의 절곡단부에 리드스크류(20)의 양단이 각각 고정된다. 리드스크류(20)는 스크류마운팅브라켓(22,24)에 대해 회전이 불가한 상태로 고정된다.
상기 구동모터(30)는 중공형 BLDC모터로서 회전자 즉, 로터의 내부에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리드스크류(20)가 상기 로터를 관통하는 상태로 리드스크류(20)와 구동모터(30)가 조립된다.
로워레일(11)에 리드스크류(20)를 먼저 설치하면 상기와 같이 구동모터(30)를 설치하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리드스크류(20)와 구동모터(30)는 선조립되고, 이후 리드스크류와 구동모터 어셈블리가 로워레일(11)에 조립된다.
상기 리드스크류(20)와 구동모터(30)는 시트의 양쪽 슬라이드레일(10)에 동일하게 설치된다.
각각의 구동모터(30)에는 전원 공급과 제어신호 전달을 위한 전선들이 묶여진 케이블(40)이 연결되고, 그 케이블(40)은 제어유니트(50)와 연결된다.
상기 구동모터(30)는 중공형 BLDC모터(Brushless DC motor)로서, BLDC모터는 DC모터에서 브러시, 정류자 등 기계적인 접촉부를 없애고 대신 전자적인 정류 기구로 대체한 모터를 말한다. 브러시와 정류자의 마찰이 없으므로 노이즈가 적고, 전기자 코일이 외부에 위치하여 발열성이 좋으며, 기동 토크가 크고 가속성이 좋고 전압 변화에 대한 반응이 선형적이어서 제어용 모터로 적절하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구동모터(30)의 구성 및 리드스크류(20)와의 결합 구조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구동모터(30)는 메인케이스(31)의 내부에 코일(32a)을 구비한 코어(32)(고정자)와 자석(34a)을 구비한 로터(34)(회전자)가 설치된다.
상기 메인케이스(31)의 상면에 어퍼레일(12)이 볼트 등의 체결수단이나 용접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코어(32)는 내주면에 코일(32a)이 설치되며 메인케이스(31)에 형성된 원형홀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로터(34)는 외주면에 복수의 자석(34a)이 부착되어 있으며 자석(34a)들은 이웃하는 자석간에 반대의 극성을 가지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즉, 원주방향으로 N극과 S극이 반복된다. 코일(32a)과 자석(34a)의 사이에는 미세한 간극(33)이 존재한다.
상기 로터(34)의 내주면에는 봉 형상의 리드너트(34b)가 삽입 고정되어 있으며, 리드너트(34b)의 내부 나사홀에 상기 리드스크류(20)가 삽입되어 나사 체결된다.
메인케이스(31)의 양측에는 사이드케이스(35)가 결합되며, 양측 사이드케이스(35)에는 베어링(36)이 구비되어 리드너트(34b)의 양단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일측 사이드케이스(35)에는 모터 구동회로와 정류회로 등이 구성된 PCB(37)가 설치되며, 그 PCB(37)에는 상기 로터(34)의 회전속도 감지를 위한 복수의 홀센서(38)가 설치된다. 홀센서(38)는 홀 효과(Hall effect)를 이용한 자기-전기 변환기로서 BLDC모터의 속도센서로 이용된다. 홀센서(38)에서 감지된 구동모터 회전속도 신호는 상기 제어유니트(50)로 전달되어 구동모터(30)의 속도 제어에 이용된다.
한편, 시트의 전후 이동을 조작하기 위한 스위치는 사용자가 조작하기 용이하도록 도어암레스트의 스위치패널이나 시트쿠션의 일측면에 설치될 수 있으며, 스위치 조작 신호는 상기 제어유니트(50)로 전달되고, 제어유니트(50)는 스위치 조작 방향에 따라 구동모터(30)의 회전 방향을 달리하여 구동모터(30)를 리드스크류(20)상에서 전진 또는 후진 시킴으로써 시트를 전진 또는 후진 이동시킨다.
사용자가 상기 스위치를 조작하면, 제어유니트(50)에 의해 코일(32a)에 전류가 공급되고 그 전류와 자석(34a)에 의해 형성된 자기장의 작용에 의해 고정되지 않은 로터(34)가 회전된다. 로터(34)가 회전되면 그 내부의 리드너트(34b)가 함께 회전되며, 리드너트(34b)와 나사 결합된 리드스크류(20)가 회전 불가한 상태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리드너트(34b)는 리드스크류(20)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리드너트(34b)와 함께 구동모터(30) 전체가 리드스크류(20)를 따라 이동하게 되므로 구동모터(30)와 연결된 어퍼레일(12)이 로워레일(11)에 안내되면서 이동하고, 이에 어퍼레일(12)에 장착된 시트가 이동된다.
사용자의 스위치 조작 방향 전환에 따라 구동모터(30)에 공급되는 전류의 방향이 전환되므로 구동모터(30)의 회전 방향이 전환되어 시트의 전진 또는 후진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 리드스크류(20)가 로워레일(11)에 고정되고 구동모터(30)는 어퍼레일(12)에 고정되는 구조를 설명하였으나, 반대 구조로서 리드스크류(20)가 어퍼레일(12)에 고정되고 구동모터(30)가 로워레일(11)에 고정되는 구조도 가능하다.
이 경우, 구동모터(30)는 로워레일(11)에 장착되어 일정 위치에 고정되어 있게 되므로 구동모터(30)가 작동되어 리드너트(34b)가 회전되면 리드스크류(20)가 위치 고정된 구동모터(30)에 대해 전후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리드스크류(20)와 고정된 어퍼레일(12)이 전후 이동하게 되므로 시트의 전후 위치가 조절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트 전후 이동 장치는 구동모터(30)가 각각의 슬라이드레일(10)에 내장되어 해당 어퍼레일(12)을 독립적으로 구동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양측 어퍼레일(12)을 브라켓으로 연결하고, 브라켓에 모터를 설치하며, 모터의 양측 회전축과 각 어퍼레일에 구비된 기어박스를 플렉시블샤프트로 연결할 필요가 없어진다.
따라서 시트의 하부공간에 상기 브라켓, 모터, 플렉시블샤프트 등이 존재하지 않게 되어 시트의 하부공간이 간섭 구조물 없이 넓게 확보된다(케이블(40) 및 제어유니트(50)는 시트쿠션 하부에 장착하여 시트 하부 공간을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시트 하부공간이 확보되면 그 공간을 다른 장치들의 설치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음은 물론 시트의 높이를 더욱 낮출 수 있게 되고 슬라이드레일을 롱레일 타입으로 변경하기 용이해짐으로써 차량의 고급화 및 미래화 경향에 부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양측 슬라이드레일에 기어박스가 적용되지 않으므로 플렉시블샤프트와의 연결부 및 기어박스 내 여러 마찰 회전 부위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진동, 소음, 마모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됨으로써 시트 전후 이동 장치의 작동이 보다 부드럽고 조용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고장 없이 오래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구동모터(30)는 BLDC모터로서 BLDC모터의 특성에 의해 기본적으로 소음이 작다. 또한, 상기 리드스크류(20)와 리드너트(34b)의 기어비가 1 : 1이므로 구동모터(30)는 종래의 경우보다 낮은 회전속도를 가져도 시트를 동일한 속도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정격 조건에서 종래의 구동모터는 2800rpm의 회전속도를 가지지만 본 발명의 구동모터(30)는 460rpm을 가지므로 회전속도가 감소되어 그만큼 소음이 작게 발생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양측 슬라이드레일(10)의 어퍼레일(12)이 브라켓, 플렉시블샤프트와 구동모터로 연결되지 않으므로 양측 슬라이드레일(10)이 동일한 높이에 위치될 필요가 없게 된다. 즉, 차량 플로어의 레이아웃을 보다 다양하게 설계할 수 있으며, 그에 맞추어 보다 자유롭게 양측 슬라이드레일(10)의 높이를 차등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양측 슬라이드레일(10)이 상호 연결되지 않으므로 슬라이드레일(10)을 플로어의 내부로 매립 설치하는 것이 한층 용이해지는 장점도 있다. 이는 시트의 높이를 낮추는데 일조한다.
한편, 상기 제어유니트(50)는 시트 전후 이동 장치 전용의 것으로 별도 구성할 수 있고, 또는 차량에 기 구비되어 있는 IMS(Intelligent memory system) ECU를 공용하거나 스위치박스에 IC칩의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양측 슬라이드레일(30)은 각각에 따로 구동모터(30)가 구비되어 서로 독립적으로 작동된다. 양측 구동모터(30)는 개별 부품의 특성에 의해 회전속도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양측 슬라이드레일(10)의 작동속도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양측 슬라이드레일(10)(정확하게는 어퍼레일(12))의 작동 속도에 차이가 발생하면 시트의 전후 이동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일측 구동모터에 과부하가 발생할 수 있으며 전체적인 작동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시트 전후 이동장치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어방법에 의해 구동모터(30)의 작동이 제어된다. 구동모터 제어의 목표는 양측 구동모터가 같은 속도로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양측 어퍼레일의 이동속도를 같게 하여 시트의 전/후진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편의상 일측 구동모터를 모터1, 타측 구동모터를 모터2로 지칭하기로 한다.
양측 구동모터 즉, 모터1과 모터2는 사용자의 스위치 조작에 의해 동시에 작동 개시, 방향 전환, 작동 중지된다.
모터1,2가 작동 개시되면, 타이머 인터럽트(Timer interrupt)에 의해 일정 시간마다 모터1과 모터2의 회전속도가 비교된다. 모터1과 모터2의 회전속도 정보는 각각의 모터에 설치된 복수의 홀센서(38)로부터 제어유니트(50)로 전달되고, 제어유니트(50)는 입력된 정보에 의해 모터1과 모터2의 회전수를 산출한 후 이를 비교한다.
모터1과 모터2의 회전수가 동일한 경우는, 제어 목표에 부합하는 경우로서 그와 같은 작동 상태를 그대로 유지한다.
모터1의 회전수가 모터2의 회전수보다 큰 경우, 제어유니트(50)는 모터1의 공급 전류를 제어하여 모터1의 회전수를 감소시킨다.
모터2의 회전수가 모터1의 회전수보다 큰 경우, 제어유니트(50)는 모터2의 공급 전류를 제어하여 모터2의 회전수를 감소시킨다.
상기와 같은 제어로직이 지속적으로 반복 실시되면서 모터1과 모터2의 회전수는 동일하게 제어된다.
따라서, 양측 구동모터(30)의 회전 속도가 동일해지므로 양측 어퍼레일(12)의 이동 속도가 같게 되고, 이에 시트의 전후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슬라이드레일 11 : 로워레일
12 : 어퍼레일 20 : 리드스크류
22,24 : 스크류마운팅브라켓 30 : 구동모터
31 : 메인케이스 32 : 코어
32a : 코일 33 : 간극
34 : 로터 34a : 자석
34b : 리드너트 35 : 사이드케이스
36 : 베어링 37 : PCB(Printed Circuit Board)
38 : 홀센서 40 : 케이블
50 : 제어유니트

Claims (7)

  1. 차량 실내의 플로어에 장착되는 로워레일과 그 로워레일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부에 시트가 장착되는 어퍼레일을 포함하는 슬라이드레일과,
    상기 슬라이드레일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어퍼레일을 전후로 이동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모터를 구비한 슬라이드레일이 시트의 하부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구동모터에 회전속도를 감지하는 복수의 홀센서가 구비되고, 홀센서의 감지신호는 전자제어유니트로 전달되며, 전자제어유니트는 양측 슬라이드레일의 각 구동모터를 그 회전속도에 따라 개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의 전후 이동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는 로워레일에 장착된 리드스크류를 따라 전후 이동되고, 구동모터에 어퍼레일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는 자동차 시트의 전후 이동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는 로워레일에 고정되고, 상기 어퍼레일에 리드스크류가 고정되며, 상기 리드스크류는 구동모터에 의해 전후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는 자동차 시트의 전후 이동 장치.
  4. 청구항 2 또는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는 중공형 로터를 구비한 BLDC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의 전후 이동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의 로터 내부에 로터와 일체로 회전되는 리드너트가 구비되며, 그 리드너트에 상기 리드스크류가 삽입되어 나사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의 전후 이동 장치.
  6. 삭제
  7. 시트의 양측 슬라이드레일에 각각 구비된 구동모터를 개별 제어하는 자동차 시트의 전후 이동 장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양측 구동모터의 회전수를 비교하여, 양측 구동모터의 회전수가 동일하면 그 상태를 유지하고, 일측 구동모터의 회전수가 타측 구동모터의 회전수보다 크면 일측 구동모터의 회전수를 감소 제어하여, 양측 모터의 회전수를 동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의 전후 이동 장치 제어 방법.
KR1020170143338A 2017-10-31 2017-10-31 자동차 시트의 전후 이동 장치와 그 제어 방법 KR1019912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3338A KR101991256B1 (ko) 2017-10-31 2017-10-31 자동차 시트의 전후 이동 장치와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3338A KR101991256B1 (ko) 2017-10-31 2017-10-31 자동차 시트의 전후 이동 장치와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8406A KR20190048406A (ko) 2019-05-09
KR101991256B1 true KR101991256B1 (ko) 2019-06-21

Family

ID=66546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3338A KR101991256B1 (ko) 2017-10-31 2017-10-31 자동차 시트의 전후 이동 장치와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1256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5856B1 (ko) 2019-10-29 2020-09-15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자동차용 시트의 이동 레일 구조체
KR102164948B1 (ko) 2019-10-30 2020-10-13 주식회사다스 자동차 시트 파워 슬라이딩 장치의 중공형 bldc 모터
KR102277069B1 (ko) 2021-04-07 2021-07-14 대원정밀공업(주) 자동차 시트용 롱 슬라이드 레일 시스템
KR20220000625A (ko) 2020-06-26 2022-01-04 주식회사다스 자동차의 시트 슬라이딩 장치용 모터
KR102352950B1 (ko) 2021-10-14 2022-01-19 대원정밀공업(주) 자동차 시트용 롱 슬라이드 레일 시스템
WO2023113234A1 (ko) * 2021-12-13 2023-06-22 주식회사 아모텍 전동시트 구동장치
KR20240050120A (ko) 2022-10-11 2024-04-18 주식회사다스 슬라이드 레일용 기어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2137B1 (ko) * 2019-10-30 2022-02-11 주식회사다스 Bldc 모터 시스템 및 구동 장치
KR102284693B1 (ko) * 2019-11-21 2021-08-02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차량용 시트의 이동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406273B1 (ko) * 2019-12-09 2022-06-08 주식회사 아모텍 차량용 전동시트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535831B1 (ko) * 2020-03-11 2023-05-23 주식회사 아모텍 전기모터
KR102647561B1 (ko) * 2021-11-29 2024-03-15 주식회사 대유에이텍 차량용 시트 슬라이딩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63212A (ja) * 2013-09-25 2015-04-09 トヨタ紡織株式会社 乗物用シート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53575Y2 (ja) * 1991-04-05 1997-11-05 株式会社今仙電機製作所 パワーシートスライド装置
KR101598718B1 (ko) 2014-11-28 2016-02-29 주식회사다스 차량용 시트의 슬라이드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63212A (ja) * 2013-09-25 2015-04-09 トヨタ紡織株式会社 乗物用シート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5856B1 (ko) 2019-10-29 2020-09-15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자동차용 시트의 이동 레일 구조체
KR102164948B1 (ko) 2019-10-30 2020-10-13 주식회사다스 자동차 시트 파워 슬라이딩 장치의 중공형 bldc 모터
US11370327B2 (en) 2019-10-30 2022-06-28 Das Co., Ltd. Hollow-type BLDC motor of power sliding device of vehicle seat
KR20220000625A (ko) 2020-06-26 2022-01-04 주식회사다스 자동차의 시트 슬라이딩 장치용 모터
US11539277B2 (en) 2020-06-26 2022-12-27 Das Co., Ltd. Motor for seat sliding device of vehicle
KR102277069B1 (ko) 2021-04-07 2021-07-14 대원정밀공업(주) 자동차 시트용 롱 슬라이드 레일 시스템
KR102352950B1 (ko) 2021-10-14 2022-01-19 대원정밀공업(주) 자동차 시트용 롱 슬라이드 레일 시스템
WO2023113234A1 (ko) * 2021-12-13 2023-06-22 주식회사 아모텍 전동시트 구동장치
KR20240050120A (ko) 2022-10-11 2024-04-18 주식회사다스 슬라이드 레일용 기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8406A (ko) 2019-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1256B1 (ko) 자동차 시트의 전후 이동 장치와 그 제어 방법
JP6316467B2 (ja) ワイパ装置
EP2475079B1 (en) Wiper motor
EP2785618B1 (en) Conveyor drive with integrated controller
EP2698277A1 (en) Headrest system and method of adjusting a headrest
US6055877A (en) Power seat track motor assembly
US9929624B2 (en) Brushless motor and wiper apparatus
US20230387749A1 (en) Driving motor equipped with bldc motor, and actuator using same
US8593097B2 (en) Seat adjusting device
JP2006311658A (ja) 移動体電動制御装置
US10439468B2 (en) Motor including bearing seating unit
CN108602459A (zh) 利用直接驱动装置调节头枕位置的调节设备
JP2013198188A (ja) ブラシレスモータ及びワイパ装置
CN103563222A (zh) 手动力矩调节器
JP6640586B2 (ja) ブラシレスモータ
CN106195032B (zh) 联接器和具有该联接器的马达
JP5575418B2 (ja) ミキサドラム駆動制御装置
CN114845904B (zh) 车辆用电动座椅控制装置及其控制方法
US8106551B2 (en) Direct drive motor for vehicle wiper system
CN105916702B (zh) 遥控车辆
KR200247121Y1 (ko) 차량용 파워시트 이송장치
JP6854310B2 (ja) 車両スライド扉の動力スライド装置
CN217804423U (zh) 车辆座椅位置调整装置及装有该位置调整装置的车辆座椅
CN214189388U (zh) 座椅电动滑轨以及座椅
KR20230079906A (ko) 차량용 시트 슬라이딩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