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6740B1 - 수용성 점착 드레싱재 - Google Patents

수용성 점착 드레싱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6740B1
KR102646740B1 KR1020210137779A KR20210137779A KR102646740B1 KR 102646740 B1 KR102646740 B1 KR 102646740B1 KR 1020210137779 A KR1020210137779 A KR 1020210137779A KR 20210137779 A KR20210137779 A KR 20210137779A KR 102646740 B1 KR102646740 B1 KR 1026467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eight
parts
adhesive layer
solu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7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54144A (ko
Inventor
이상협
박재영
정하림
김태호
홍순화
박민수
김민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영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영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영우
Priority to KR10202101377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6740B1/ko
Publication of KR202300541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41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67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67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plasters or dressings
    • A61F13/0246Adhesive plaster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the skin adhering layer
    • A61F13/0253Adhesive plaster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the skin adhering layer characterized by the adhesiv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0051Accessories for dressings
    • A61F13/00063Accessories for dressings comprising medicaments or additives, e.g. odor control, PH control, debriding, antimicrob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plasters or dressings
    • A61F13/023Adhesive plasters or dressings wound covering film layers without a fluid handling lay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44Medica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46Deodorants or malodour counteractants, e.g. to inhibit the formation of ammonia or 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58Adhes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655Plasters adhesive
    • A61F2013/00659Plasters adhesive polymeric base
    • A61F2013/00663Plasters adhesive polymeric base acryl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902Plasters containing means
    • A61F2013/0091Plasters containing means with disinfecting or anaesthetics means, e.g. anti-mycrobic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피부와의 점착력이 우수하면서도 피착면인 피부로 전이가 되지 않으며, 점착층 구성물질의 혼합상태가 우수하고, 또한 피부재생 효과와 항균 효과가 우수한 수용성 점착 드레싱재에 관한 것이다.
개시된 내용은 기재층; 및 상기 기재층 상에 적층되는 점착층을 포함하는 수용성 점착 드레싱재에서, 상기 점착층은 수용성 아크릴 수지, 기능성 첨가제, 경화제 및 용매를 포함하는 수용성 점착 드레싱재를 일 실시예로 제시한다.

Description

수용성 점착 드레싱재{Water-soluble adhesive dressing material}
개시된 내용은 수용성 점착 드레싱재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식별항목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식별항목에 기재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피부란 인체를 외부 자극으로부터 보호하며 수분의 손실을 막아주고 체온 조절, 세균 침입 방지 등 중요한 생명 보호 기능을 수행하는 신체기관으로 피부가 각종 외상에 의해서 피부의 기능을 상실하면 수분 손실 등에 따른 여러 가지 부작용과 외부로부터의 세균 감염 등을 일으켜 환부의 치료를 어렵게 하거나, 이차적인 기능장애 등 추가적인 부작용을 초래하게 되어 심한 경우에는 생명연장에도 영향을 주게 된다. 따라서 피부에 발생한 상처의 치유를 신속하게 하고 이차적인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드레싱을 이용한 상처 치유가 수행되어야 한다.
상처 치유의 방법은 종래 건조 환경의 거즈(gauze) 방법을 이용하였으나, 현재는 습윤 환경의 드레싱 방법이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상처 치유를 위한 드레싱의 이상적인 요건은 습윤환경유지, 감염방지, 보호작용, 투습성, 시인성, 무자극성, 사용 용이성 등이 있다.
이러한 드레싱의 점착층이 용제형 아크릴로 이루어지는 경우, 우수한 내수성, 내열성 및 점착력 등의 장점으로 인해 수용성 아크릴 점착제에 비해 많이 사용되고 있었으나, 용제 사용으로 인한 휘발성 유기화합물(VOC)의 방출로 인해 환경보호와 사용자의 상처보호 측면에서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고 있는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자극적인 용제의 사용을 배재하고 접착력 등 접착물성을 개선시키면서도, 혼합상태가 우수한 수용성 아크릴 점착제를 드레싱재에 적용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특허문헌 1 : 한국 특허등록 제10-1349848호 특허문헌 2 : 한국 특허공개 제10-2018-0060542호
개시된 발명은 피부와의 점착력이 우수하면서도 피착면인 피부로 전이가 되지 않으며, 점착층 구성물질의 혼합상태가 우수한 수용성 점착 드레싱재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피부재생 효과와 항균 효과가 우수한 수용성 점착 드레싱재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개시된 내용은 기재층; 및 상기 기재층 상에 적층되는 점착층을 포함하는 수용성 점착 드레싱재에서, 상기 점착층은 수용성 아크릴 수지, 기능성 첨가제, 경화제 및 용매를 포함하는 수용성 점착 드레싱재를 일 실시예로 제시한다.
개시된 내용의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점착층에서 상기 수용성 아크릴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경화제 0.2~0.8 중량부, 상기 용매 80~12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성 아크릴 수지는 n-부틸아크릴레이트 60 중량부 및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30~5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성 아크릴 수지의 중량평균 분자량이 600,000~800,000 g/mol인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능성 첨가제는 PDRN, 황련추출물, 보르네올, 리모넨, 아시아 페니워트 허브, 차나무유, 멘톨, 라벤더유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점착층은 하나 이상의 층으로 적층되는 것일 수 있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용성 점착 드레싱재에 의하면, 피부와의 점착력이 우수하면서도 피착면인 피부로 전이가 되지 않으며, 점착층 구성물질의 혼합상태가 우수하고, 또한 피부재생 효과와 항균 효과가 우수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수용성 점착 드레싱재는 기재층; 및 상기 기재층 상에 적층되는 점착층을 포함하는 수용성 점착 드레싱재로, 상기 점착층은 수용성 아크릴 수지, 기능성 첨가제, 경화제 및 용매를 포함한다. 상기 수용성 점착 드레싱재는 피부와의 점착력이 우수하면서도 피착면인 피부로 전이가 되지 않으며, 점착층 구성물질의 혼합상태가 우수하고, 피부재생 효과와 항균 효과가 우수한 특징을 가진다.
이하, 상기 수용성 점착 드레싱재에 포함되는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1) 기재층
기재층은 상기 드레싱재의 지지 모체로서 사용된다. 상기 기재층에는 종이 등의 종이계 기재; 천, 부직포, 네트 등의 섬유계 기재; 금속박, 금속판 등의 금속계 기재; 플라스틱 필름이나 시트 등의 플라스틱계 기재; 고무 시트 등의 고무계 기재; 발포 시트 등의 발포체나, 이들의 적층체(특히, 플라스틱계 기재와 다른 기재와의 적층체나, 플라스틱 필름(또는 시트)끼리의 적층체 등) 등의 적절한 박엽체를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필름이나 시트 등의 플라스틱계 기재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플라스틱 필름이나 시트에서의 소재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EVA), 폴리우레탄(PU),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염화비닐(PVC); 폴리페닐렌술피드(PPS), 폴리아미드(나일론), 전체 방향족 폴리아미드(아라미드),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소재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탄성 신장회복률 등의 특성의 관점에서 폴리우레탄(PU)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기재층에는 자외선 차단 기능을 부가하기 위한 자외선 차단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차단제로는 그 종류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나, 알부틴, 산화아연, 산화티타늄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혼합물으로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재층에는 추가적인 기능을 부여하기 위한 추가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2) 점착층
점착층은 피착면인 피부와 직접 부착하는 층으로 상기 기재층 상에 적층되며, 수용성 아크릴 수지, 기능성 첨가제, 경화제 및 용매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함량은 상기 수용성 아크릴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경화제는 0.2~0.8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는데, 0.2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기계적 강도와 화학적 안정성을 부여하는 효과가 미비하며, 0.8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에는 점착층 구성물의 혼합 상태가 양호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성 아크릴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용매는 80~12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는데, 80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점착층이 균질한 물성을 나타내도록 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으며, 120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에는 점착층 구성물의 혼합 상태가 양호하지 않을 수 있다. 반면 기능성 첨가제의 함량은 기능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점착층은 하나 이상의 층으로 적층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재층이 부착되는 면과 반대되는 면에 적층되며, 적층되는 점착층의 두께, 개수 및 구성은 필요에 따라 당업자가 선택할 수 있는 것은 어느 것이든 가능하나, 동일한 두께와 구성을 가지는 두 개의 층이 적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상기 점착층에 포함되는 구성에 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3) 수용성 아크릴 수지
상기 수용성 아크릴 수지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나,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n-프로필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아크릴레이트, n-부틸아크릴레이트, t-부틸아크릴레이트, sec-부틸아크릴레이트, 펜틸아크릴레이트, 옥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2-에틸부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아크릴산 및 메타크릴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n-부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및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더 바람직하게는 n-부틸아크릴레이트 또는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수용성 아크릴 수지는 n-부틸아크릴레이트 60 중량부에 대해,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30~50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치범위에 따를 때, 혼합상태가 우수하며 코팅물의 외관이 양호한 점착층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수용성 아크릴 수지는 중량평균 분자량이 600,000~800,000g/mol일 수 있으며, 상기 범위의 중량평균 분자량의 범위에서 상기 수용성 아크릴 수지의 응집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4) 기능성 첨가제
상기 기능성 첨가제는 상처 치유, 조직 재생, 여드름 케어 및 방지, 가려움 방지, 항균, 항염증, 흡수력 증가 등을 제공하기 위해 첨가하는 성분이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기능을 부여하기 위해 첨가될 수 있는 성분이다. 또한 상기 점착층에 첨가되는 기능성 첨가제의 중량은 기능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첨가제는 PDRN, 황련추출물, 보르네올, 리모넨, 아시아 페니워트(asiatic pennywort) 허브, 차나무유, 멘톨, 피페린, 라벤더유, 스파이크(spike) 정유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첨가제는 바람직하게는 PDRN 및 황련추출물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PDRN(Polydeoxyribonucleotide; 폴리디옥시리보뉴클레오티드)은 DNA사슬을 일정 크기로 분획화하여 만든 저분자량 DNA 복합체로, 짧은 디옥시리보뉴클 레오타이드(short deoxyribonucleotide)의 혼합물(mixture)이다. 상기 PDRN은 줄기세포, 섬유아세포, 연골세포 등의 세포 분화를 촉진시키므로 화상이나 만성창상 등에 효과적인 물질이며, 인체의 유전자와의 높은 유사성으로 안전성이 우수하고, 부수적인 항염증, 혈전용해, 성장인자 촉진 작용 등의 효능을 가지는 물질이다. 상기 PDRN은 비엔피코리아에서 생산되는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황련(Coptis chinensis)추출물은 여러해살이 초본식물로서, 주성분으로는 베르베린(berberine), 팔마틴(palmatine), 콥티신(coptisine), 마그노플로린(magnoflorine), 에피베린(epiberine) 등이 있다. 황련은 항균 작용, 항산화 작용, 멜라닌 생성억제 작용, 암세포 억제작용 등 많은 약리적 활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물질이다. 상기 황련추출물 바른한약에서 생산되는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보르네올, 멘톨 및 라벤더유는 시그마알드리치(SigmaAldrich)에서 생산되는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아시아 페니워트 허브 및 차나무유는 엘긴에서 생산되는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리모넨은 시노팜에서 생산되는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기능성 성분 외에도 상기 드레싱재에 부여하고자 하는 기능에 따라 기타 첨가제 수분 흡수제, 항미생물제, 창상 치유제 등을 추가로 첨가할 수 있다.
(5) 경화제
상기 경화제는 상기 수용성 아크릴 수지가 경화되도록 하여 경도 및 탄력성 등의 기계적 강도와 화학적 안정성을 부여하기 위한 첨가제로 종류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면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 에폭시계 경화제, 멜라민계 경화제, 과산화물계 가교제 외에, 요소계 경화제, 금속 알콕시드계 경화제, 금속 킬레이트계 경화제, 금속염계 경화제, 카르보디이미드계 경화제, 옥사졸린계 경화제, 아지리딘계 경화제, 아민계 경화제 등을 들수 있으며,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 에폭시계 경화제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로서는, 예를 들면 1,2-에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4-부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6-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저급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류; 시클로펜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시클로헥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 첨가 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 첨가 크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지환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류; 2,4-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2,6-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류 등을 들수 있다. 상기 에폭시계 경화제로서는, 예를 들면 N,N,N', N'-테트라글리시딜-m-크실렌디아민, 디글리시딜아닐린, 1,3-비스(N,N-글리시딜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 1,6-헥산디올 디글리시딜에테르, 네오펜틸글리콜 디글리시딜에테르, 에틸렌글리콜 디글리시딜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 디글리시딜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디글리시딜에테르,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디글리시딜에테르, 소르비톨 폴리글리시딜에테르, 글리세롤 폴리글리시딜에테르, 펜타에리트리톨 폴리글리시딜에테르, 폴리글리세롤 폴리글리시딜에테르, 소르비탄 폴리글리시딜에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 폴리글리시딜에테르, 아디프산 디글리시딜에스테르, o-프탈산 디글리시딜에스테르, 트리글리시딜-트리스(2-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레조르신 디글리시딜에테르, 비스페놀-S-디글리시딜에테르 외에, 분자 내에 에폭시기를 2개 이상 갖는 에폭시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5) 용매
상기 용매는 균질한 물성을 나타내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성분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물,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및 아세톤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일 수 있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잘 이해될 수 있으며,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 목적을 위한 것이며,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의하여 한정하거나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수용성 아크릴 수지(n-부틸아크릴레이트 60 중량부,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40 중량부를 에탄올 용매하에서 중합하여 이루어지며, GPC 중량평균 분자량이 700,000) 100 중량부, PDRN(Polydeoxyribonucleotide, 비엔피코리아) 0.5 중량부, 경화제(에폭시) 0.5 중량부 및 용매(에탄올) 100 중량부를 혼합한다.
상기 혼합물을 50 마이크로미터 두께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이형층 면에 올려놓고 콤마 코팅 방식으로 100 마이크로미터 두께로 코팅한 후 120℃에서 건조하여 점착층을 형성하였다. 그 후 점착층 상면에 20 마이크로미터의 폴리우레탄인 기재층을 합지하여 수용성 점착 드래싱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PDRN을 황련추출물(바른한약) 5중량부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드레싱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서 PDRN에 실시예2의 황련추출물(바른한약) 5중량부로 추가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드레싱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1에서 PDRN을 라벤더유(시그마알드리치) 2 중량부, 차나무유(엘긴) 2 중량부, 멘톨(시그마알드리치) 1 중량부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드레싱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실시예 1에서 차나무유(엘긴) 2 중량부를 추가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드레싱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실시예 3에서 소듐 크로스카르멜로스(에프엠씨) 10 중량부를 추가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드레싱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7]
실시예 3에서 점착층을 2장 겹쳐 점착층을 200㎛으로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드레싱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지용성 아크릴 수지(n-부틸아크릴레이트 95 중량부, 아크릴산 5 중량부를 에틸아세테이트 용매하에서 중합하여 이루어지며, GPC 중량평균 분자량이 700,000) 100 중량부, PDRN 0.5 중량부, 경화제(에폭시) 0.5 중량부 및 용매(에탄올) 100 중량부를 혼합한다.
상기 혼합물을 50 마이크로미터 두께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이형층 면에 올려놓고 콤마 코팅 방식으로 100 마이크로미터 두께로 코팅한 후 120℃에서 건조하여 점착층을 형성하였다. 그 후 점착층 상면에 20 마이크로미터의 폴리우레탄인 기재층을 합지하여 수용성 점착 드래싱재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혼합상태 평가
실시예와 비교예의 방법으로 제조된 혼합액(조성물)을 50mL 크기의 투명 바이엘에 넣고 상온 1시간 방치 후 상태를 평가하였다. 혼합물이 잘 혼합된 형태는 양호, 혼합물 층분리 형태는 불량이라고 표기하였다.
[실험예 2] 코팅물 외관 평가
코팅 후 외관에 핀홀이 없을 시 양호, 핀홀이 발생 시 불량으로 표기하였다.
[실험예 3] 점착력 평가
시료를 25mm X 200mm로 자른 후 ASTM D3330 규격으로 평가를 진행하였다.
[실험예 4] 전이율 평가
시료를 100mm X 100 mm 크기로 절단 하고 PET에 부착하고 10분 후 제거하여 전체 면적에 잔류하는 양을 측정하였다.
(전이율(%) = 잔류량/전체 면적 X 100)
항목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혼합 상태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코팅물 외관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점착력(gf/25mm) 870 870 870 810
전이율(%) 0 0 0 0
항목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비교예 1
혼합 상태 양호 양호 양호 불량
코팅물 외관 양호 양호 양호 불량
점착력(gf/25mm) 800 770 930 620
전이율(%) 0 0 0 30
상기 표 1 및 표2에 따른 실험결과를 살펴보면, 수용성 아크릴 수지를 사용하는 실시예 1 내지 7에서는 혼합 상태와 코팅물 외관이 양호하고 전이율이 0%인 반면, 지용성 아크릴 수지를 사용하는 비교예 1에서는 혼합 상태와 코팅물 외관이 불량하고 전이율이 30%에 해당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7 중에서 점착층을 2개의 층으로 적층한 실시예 7의 점착력이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개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6)

  1.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지고 20 ㎛의 두께를 가지는 기재층과,
    상기 기재층 상에 적층되며, 수용성 아크릴 수지, 기능성 첨가제, 경화제 및 에탄올로 이루어진 점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수용성 아크릴 수지는 n-부틸아크릴레이트 60 중량부와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40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점착층은 상기 수용성 아크릴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경화제 0.5 중량부와 상기 에탄올 100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능성 첨가제는 PDRN이고,
    상기 점착층은 100 ㎛의 두께를 가지는,
    수용성 점착 드레싱재.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아크릴 수지의 중량평균 분자량이 600,000~800,000 g/mol인 수용성 점착 드레싱재.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은 하나 이상의 층으로 적층되는 것인 수용성 점착 드레싱재.

KR1020210137779A 2021-10-15 2021-10-15 수용성 점착 드레싱재 KR1026467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7779A KR102646740B1 (ko) 2021-10-15 2021-10-15 수용성 점착 드레싱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7779A KR102646740B1 (ko) 2021-10-15 2021-10-15 수용성 점착 드레싱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4144A KR20230054144A (ko) 2023-04-24
KR102646740B1 true KR102646740B1 (ko) 2024-03-13

Family

ID=86141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7779A KR102646740B1 (ko) 2021-10-15 2021-10-15 수용성 점착 드레싱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674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22223A (ja) * 2014-07-22 2016-02-08 トイメディカル株式会社 医療用保護フィルム材料ならびに製品
JP2018517801A (ja) * 2016-02-23 2018-07-05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粘着テープ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13432B2 (ja) * 2002-08-28 2009-01-21 久光製薬株式会社 貼付剤
KR101349848B1 (ko) 2012-05-17 2014-01-10 한국신발피혁연구원 고성능 수성 아크릴 점착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180060542A (ko) 2016-11-29 2018-06-07 (주)웰빙해피팜 키토산하이드로겔 및 pdrn을 함유하는 조직재생력이 강화된 창상피복재 및 그 도포제
KR102130119B1 (ko) * 2018-08-29 2020-07-03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창상피복재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22223A (ja) * 2014-07-22 2016-02-08 トイメディカル株式会社 医療用保護フィルム材料ならびに製品
JP2018517801A (ja) * 2016-02-23 2018-07-05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粘着テープ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4144A (ko) 2023-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57446B2 (ja) 貼付材
US20080220251A1 (en) Ultra Violet-Cur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or Film Without Supporting Substrate
DE10330971A1 (de) Haut- oder Wundauflage mit verkapselten, wundheilungsfördernden und/oder hautpflegenden Substanzen
KR102203153B1 (ko) 은행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식품용 포장재 및 그 제조방법
KR102646740B1 (ko) 수용성 점착 드레싱재
EP2599630A1 (en) Supporting film for tape material and tape material
CN101669924B (zh) 贴剂和贴剂制剂
KR102115303B1 (ko) 체온감응형 점착시트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점착시트.
CN105078651A (zh) 多功能湿性医用伤口敷料及其制备方法
KR102633741B1 (ko) 부착성과 흡수성이 우수한 드레싱재
US20050031860A1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CN111166929A (zh) 一种湿性创口敷料及其制备方法
KR20170102225A (ko) 첩부재
KR20110118439A (ko) 자외선 차단막을 갖는 창상피복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933486B1 (ko) 항균성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재 및 이의 제조방법
CN105477677A (zh) 辣木抗菌创可贴
KR20050043663A (ko) 의료용 점착 시이트류 및 그 제조방법
CN101669923A (zh) 用于保护和治疗病毒性皮肤病变的粘性贴剂
JP6948327B2 (ja) テープ材用支持フィルムおよびテープ材
KR101858835B1 (ko) 에어로졸 제형의 스프레이 밴드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223780B1 (ko) 드레싱 필름용 조성물 및 드레싱 필름
KR20170083463A (ko) 난용성 약물의 효율적인 피부 전달을 위한 주름 개선 하이드로콜로이드 패치
KR20150039168A (ko) 오배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창상치료용 의약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드레싱 제제
KR20090123814A (ko) 의료용 재료 또는 위생 재료용 겔 조성물, 그 성형품 및 이것을 사용한 점착 재료 또는 점착 제제
KR20150014806A (ko) 오배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창상치료용 의약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드레싱 제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