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3463A - 난용성 약물의 효율적인 피부 전달을 위한 주름 개선 하이드로콜로이드 패치 - Google Patents

난용성 약물의 효율적인 피부 전달을 위한 주름 개선 하이드로콜로이드 패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3463A
KR20170083463A KR1020160048789A KR20160048789A KR20170083463A KR 20170083463 A KR20170083463 A KR 20170083463A KR 1020160048789 A KR1020160048789 A KR 1020160048789A KR 20160048789 A KR20160048789 A KR 20160048789A KR 20170083463 A KR20170083463 A KR 201700834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ch
poorly soluble
skin
hydrocolloid
soluble dr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87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선화
심우선
강내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ublication of KR201700834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34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2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08Tissues; Wipes; Pa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6-membered ring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e.g. couma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07Drug-containing films, membranes or she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6/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wound dressings or bandages in liquid, gel or powder form
    • A61L26/0061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26/008Hydrogels or hydrocollo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난용성 약물의 효율적인 피부 전달을 위한 패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난용성 약물 전달용 패치를 이용하여 패치에 포함된 난용성 약물을 간단하면서도 효과적으로 피부 내로 전달할 수 있다.

Description

난용성 약물의 효율적인 피부 전달을 위한 주름 개선 하이드로콜로이드 패치{The anti-aging hydrocolloid patch for effective transdermal delivery of poorly soluble drugs}
본 발명은 난용성 약물의 효율적인 피부 전달을 위한 패치에 관한 것이다.
제니스테인(Genistein)과 다이드제인(Daidzein)은 이소플라본계 화합물에 속하는 피토에스트로겐으로서 다양한 암, 심혈관계 및 골다공증과 같은 질병의 예방 및 치료에 효과가 있으며, 항산화, 항염에도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각질 세포가 광에 의해 손상되었을 때, 자유 라디칼 스캐빈저(free radical scavenger) 역할을 하기도 한다. 이러한 우수한 효능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이와 같은 약물들은 물에 거의 녹지 않아 경피용이나 국소 피부 전달용으로 이용하는데 많은 제약을 받아왔다. 이러한 난용성 약물의 용해성 및 피부 전달률을 높이고자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하이드로콜로이드(hydrocolloid)는 약한 화상, 급성, 만성 상처에 상처 보호 및 피부 재생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드레싱제의 하나로, 다른 드레싱제인 하이드로겔(hydrogel), 폼(foam), 필름(film) 보다 더 넓게 사용되고 있다. 시판되고 있는 대표적인 하이드로콜로이드가 포함된 제품으로는 컨바텍(Convatec)사의 아쿠아셀TM(Aquacel), 칼라플라스트(Colaplast)사의 컴필TM(Comfeel), 3M사의 테가솝TM(Tegasorb) 등을 들 수 있다.
하이드로콜로이드는 상처부위 부착 시, 삼출물과 반응하여 겔(Gel) 형태의 습한 환경을 제공하여 창상의 상피화를 촉진시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하이드로겔에 비해 보관 안정성이 높으며, 자체 점착력을 지니고 있어 다른 제형과 달리 2차 드레싱제가 필요하지 않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약물을 효율적으로 경피 전달하기 위해서, 연고나 크림 형태의 바르는 유형 뿐만 아니라 다양한 효능을 가진 성분을 함유한 패치 시스템이 연구되고 있으나, 난용성 약물을 효과적으로 피부 내로 전달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더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25024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난용성 약물을 간편하면서도 효과적으로 피부 내로 전달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이드로콜로이드 및 난용성 약물을 포함하는 점착층을 포함하는 난용성 약물 전달용 패치를 제공하며, 바람직하게 보호 필름층을 더 포함하는 난용성 약물 전달용 패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종래 난용성 약물의 경우, 우수한 효과가 있으나 물에 거의 녹지 않아 경피 흡수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화장료 조성물에 함유시켜 피부에 적용하더라도 그 효능을 피부 내에서 발휘하기 어려웠다. 따라서, 난용성 약물을 간편하면서도 효과적으로 피부 내로 전달하기 위하여 연구를 거듭하던 중, 하이드로콜로이드가 포함된 점착층을 포함하는 패치를 피부에 적용하는 경우 난용성 약물이 피부 내로 효과적으로 전달되는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하, 본 발명을 자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패치"는 난용성 약물이 포함된 피부에 부착할 수 있는 시트형 적용 수단을 의미한다. 상기 난용성 약물이 본 발명의 패치에 함유될 수 있는 형태로는 i) 피부에 적용하는 시트 면에 난용성 약물을 도포하거나, ii) 시트 내에 난용성 약물을 함침하는 형태 즉, 시트를 구성하는 물질과 함께 난용성 약물을 포함하여 제조된 형태(패치 내에 난용성 약물이 분산된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난용성 약물 전달용 패치는 바람직하게는 난용성 약물을 시트 내에 난용성 약물이 함침된 형태이다.
상기 패치는 특정한 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피부에 흡수될 난용성 약물의 양 또는 부착 부위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패치의 두께는 0.02 ~ 2 mm 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1 ~ 1 mm 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패치에 포함된 점착층의 두께는 0.01 ~ 1 mm 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1 ~ 0.8 mm 일 수 있다.
상기 난용성 약물은 다이드제인(Daidzein), 제니스테인(Genistein), 글리시테인(Glycitein), 폴리다틴(Polydatin), 레티놀(Retinol), 세드롤(Cedrol), 아시아티코사이드(Asiaticoside), 알부틴(Arbutin), 메이스리그난(Macelignan), 아세틸피토스핑고신(Acetylphytosphingosine), 코르티코스테로이드(Corticosteroids), 레티노이드(Retinoids), 큐커비타신(Cucurbitacin) 및 프란게니딘(Prangenidin)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다이드제인 또는 제니스테인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다이드제인일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다이드제인을 패치에 포함하여 수중유형 크림에 다이드제인이 포함된 것에 비하여 현저하게 피부를 투과한 것을 확인하였으며, 난용성 약물인 다이드제인이 피부를 투과하여 우수한 피부 주름 개선 효과를 발휘하는 것도 실험적으로 확인하였다. 이는 하이드로콜로이드가 포함된 패치를 피부에 부착시키는 경우 피부의 수화가 촉진되어 난용성 약물의 확산이 향상된 것으로 판단되나 이러한 이론적 근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종래 일반적인 화장료 제형으로 적용하는 경우에는 피부를 투과하지 못하여 효과 발휘를 못하는 것과 비교하여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상기 난용성 약물은 패치 전체 중량 대비 0.01 내지 10 중량%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5 중량% 포함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3 중량% 포함될 수 있다. 난용성 약물이 0.01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난용성 약물의 효과가 유효하게 발휘되기 어려우며, 10 중량%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 패치의 점착력 감소 등의 물성 및 내구성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하이드로콜로이드(hydrocolloid)"는 친수콜로이드라고도 하며, 콜로이드 중 분산매가 물인 상태 또는 물질을 말한다. 상기 하이드로콜로이드는 소수성 고분자, 친수성 고분자, 점착 부여제, 오일, 산화방지제, 습윤제(wetting agent) 또는 이들 중 2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소수성 고분자, 친수성 고분자 및 오일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수성 고분자는 일반적인 하이드로콜로이드에 사용되는 소수성 고분자일 수 있다.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소수성 고분자는 하이드로콜로이드의 점착제 역할을 담당하며, 감압성 점착제 물질,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점착 부여제,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이 선택될 수 있다.
적합한 감압성 점착제 물질로는 천연 고무, 실리콘 고무, 아크릴로니트릴 고무, 폴리우레탄 고무, 폴리이소부틸렌, 폴리이소프렌 등과 같은 각종 천연 또는 합성 점성 또는 탄성체 물질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이소프렌 및/또는 폴리이소부틸렌이 선택될 수 있다.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폴리이소프렌, 폴리이소부틸렌, 이소부틸렌 고무, 폴리에틸렌-프로필렌 고무, 폴리에틸렌-프로필렌 디엔-개질 고무,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고분자 및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 고분자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점착 부여제는 분자량 300 내지 3000 범위의 열가소성 물질로서, 석유 수지계는 지방족 C5, 방향족 C9, C5/C9, 및 수첨 DCPD(Dicyclopentadiene) 수지, 로진(Rosin)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친수성 고분자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폴리아크릴산, 폴리비닐피롤리돈, 히드록시알킬 셀룰로오스, 카보머, 폴리비닐알코올, 키토산, 키닌, 알지네이트류,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폴리헥사메틸렌바이구아나이드, 카라기난,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사카라이드, 콜라겐, 젤라틴, 히알루론산, 잔탄 고무, 아카시아 고무, 구아 고무, 아르긴산, 한천, 젤라틴, 아라비아 고무, 트라간트, 카라야 고무, 펙틴, 덱스트란 및 녹말 또는 이들의 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소듐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이드로콜로이드는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오일, 산화 방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오일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하이드로콜로이드 매트릭스 내 유연성 및 가공성을 부여해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파라핀계 오일 또는 나프텐계 오일이 주로 사용되며, 바람직하게는 파라핀계 오일이 사용될 수 있다. 산화 방지제는 고온에서의 점착제 산화를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BHT(Butylated hydroxytoluene), 불카녹스 BKF(Vulkanox BKF), 란세스(Lanxess), 이르가녹스 1076, 1010, 565(Irganox 1076, 1010, 565), 시바 스페셜티 케미컬(Ciba Specialty Chemicals)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하이드로콜로이드는 소수성 고분자, 친수성 고분자 및 오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소수성 고분자는 하이드로콜로이드 총 중량 대비 40 내지 80 중량%, 상기 친수성 고분자는 하이드로콜로이드 총 중량 대비 20 내지 50 중량%, 상기 오일은 하이드로콜로이드 총 중량 대비 0.1 내지 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소수성 고분자, 친수성 고분자 및 오일의 중량비는 15 내지 45 : 10 내지 25 : 1(소수성 고분자 : 친수성 고분자 : 오일) 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35 : 12 내지 20 : 1 일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난용성 약물 전달용 패치는 보호 필름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어, "보호 필름층"은 어느 재질에 한정되지 않는 필름 형태로 제조되어 점착층에 부착되어 패치가 피부에 적용되는 반대편 층을 의미한다.
상기 보호 필름층을 더 포함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난용성 약물 전달용 패치는 피부 위를 밀폐시킴으로써 각질층의 수화를 촉진시켜 난용성 약물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으며, 피부 표면에 패치를 적용하기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보호 필름층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폴리우레탄,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폴리우레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난용성 약물 전달용 패치를 이용하여 패치에 포함된 난용성 약물을 간단하면서도 효과적으로 피부 내로 전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한 발명의 내용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패치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패치의 약물 방출 거동을 평가하기 위한 Franz diffusion cell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실시예 1 및 실시예 2 패치의 단위 면적당 유효성분의 함량을 확인한 결과를 보여준다.
도 4는 다이드제인 함유 패치(실시예 1)와 다이드제인 함유 크림(비교예 1)의 돼지 피부 및 acceptor solution 내 다이드제인 함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칼세인 피부 투과 정도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6은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주름 개선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제조예 1: 제니스테인( Genistein ) 및 다이드제인(Daidzein)이 함침된 하이드 로콜로이드의 제조(실시예의 제조)
1) 하이드로콜로이드 패치의 제조: 오일,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공중합체 고분자와 폴리이소부틸렌 고무를 혼합하여 30분 동안 150℃에서 녹였다. 온도를 120℃ 정도로 내린 후, 이소부틸렌 고무와 점착 부여제(rosin) 및 PEG400에 2% (w/w) 농도로 녹인 약물(다이드제인(실시예 1) 또는 제니스테인(실시예 2))을 각각 패치 구성 물질에 대해 5% (w/w) 혼합하여 첨가한 후 30분 동안 교반하며 녹였다. 마지막으로 온도를 100℃로 낮추고 소듐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sodium carboxymethylcellulose) 파우더를 넣고 20분간 잘 분산되도록 교반하였다. 이 혼합된 용액을 열 압축기를 이용하여 균일한 두께를 가진 평평한 모양으로 이형지에 도포하고 상온에서 식혀서 약물을 함침한 하이드로콜로이드 패치를 얻었다.
실시예 성분(중량%)
난용성 약물 소수성 고분자 친수성 고분자 오일 전체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공중합체 폴리이소부틸렌 이소부틸렌 고무 로진 소듐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PEG400 파라핀계 오일
1 다이드제인 0.1 50 8 4 1 30 4.9 2 100
2 제니스테인 0.1 50 8 4 1 30 4.9 2 100
2) 하이드로콜로이드 패치 내 유효성분의 함량: 본 발명자들은 패치의 단위 면적당 유효성분의 함량을 확인하기 위해 1 cm2의 패치를 잘라 4 mL 메탄올에 넣은 후 48시간 교반한 후 적절한 희석 과정을 거쳐 HPLC로 정량하였다. 컬럼은 SUPELCOSILTM LC-18을 사용하였으며, 컬럼 온도: 30℃, 이동상은 60% (w/w) 아세토니트릴(Acetonitrile)을 사용하였고, 이때 유속은 1.0 mL/min 이었다. 검출기로는 UV-Vis spectrophotometer를 사용하였으며, 다이드제인과 제니스테인의 측정 파장은 각각 248nm, 260nm 이었다.
그 결과, 다이드제인과 제니스테인 함량은 각각 25.15±0.74 ㎍/cm2, 15.22±0.52 ㎍/cm2로 확인되었다.
제조예 2: 다이드제인 함유 수중유화제형 (Oil-in-Water) 크림의 제조( 비교예 의 제조)
본 발명자들은 상기 하이드로콜로이드에 함침된 난용성 약물의 피부 투과량을 비교하기 위하여, 일반적인 수중유화제형의 크림(비교예 1)으로서 하기 표 2의 조성을 갖는 크림과 비교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C14-22알코올, C12-20알킬글루코사이드
(혼합물 C14-22알코올:C12-20알킬글루코사이드 = 80:20 중량비)
1.5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피이지-100스테아레이트
(혼합물 50:50 중량비)
1.2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0.9
세테아릴알코올 1.5
폴리글리세릴-3메틸글루코오스디스테아레이트 1.5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 4.5
사이클로헥사실록산 3.5
카보머 0.2
트로메타민 0.2
글리세린 3.0
디프로필렌글리콜 5.0
1,2-헥산디올 2.0
다이드제인(Daidzein) 0.1
정제수 잔여량(To 100)
실험예 1: 약물의 피부투과 방출 거동
본 발명자들은 약물의 피부투과 방출 거동을 확인하기 위하여, Franz diffusion cell을 이용하여, 시간에 따른 돼지 피부 조직 및 어셉터 솔루션(acceptor solution)의 약물 함량을 상기와 같은 조건으로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돼지 피부에 다이드제인 크림(비교예 1)을 도포하거나, 다이드제인이 함침된 하이드로콜로이드 패치(실시예 1)를 부착하여 시간에 따른 다이드제인의 피부 투과량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다이드제인을 포함한 크림(비교예 1)은 피부를 통해 투과되는 양이 약 1.2㎍ 정도로 그 양이 미미하였으나, 하이드로콜로이드 패치(실시예 1)에 함침된 다이드제인은 피부층을 밀폐하여 수화시킴으로써 그 투과량이 12㎍ 이상으로 약 10배 이상 크림 대비 높은 피부 투과량을 나타내었다.
실험예 2: 칼세인(Calcein)의 피부 투과 실험
본 발명자들은 칼세인의 피부 투과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하이드로콜로이드 패치에 칼세인 25 mM 용액 1% (w/w)를 함침하여 제조하였다. 칼세인이 함침된 하이드로콜로이드 패치를 돼지 피부에 부착하여, 시간에 따른 형광 물질의 피부 투과를 confocal microscopy(Nikon, Japan)를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대조군으로 칼세인 25 mM 용액 1% (w/w)를 포함하는 크림을 제조하여, 돼지 피부에 도포한 후 같은 방법으로 시간에 따른 형광 물질의 피부 투과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림을 도포한 경우 각질 및 표피 상부에만 흡수되었으나, 하이드로콜로이드 패치를 부착한 경우, 패치에서 형광 물질이 확산되어 피부로 더 잘 흡수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약 100 ㎛ 이상 깊이의 진피층까지도 흡수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패치의 밀폐 효과(occlusive effect)에 의해 수화된 피부 내로 더 잘 흡수된 것으로 판단된다.
실험예 3: 주름 개선 효과 확인
본 발명자들은 실시예 및 비교예의 주름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다이드제인 함유 크림(비교예 1) 및 다이드제인이 함침된 하이드로콜로이드 패치(실시예 1)를 눈가 주름에 12주간 매일 처리하여, 주름 개선 정도를 실리콘 모사판(silicone replica) 및 주름 영상 분석 방법을 통해 확인하였다. (N=20)
그 결과,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교예 1에 비해 실시예 1에서 5배 이상 우수한 개선효과를 보였으며, 이는 다이드제인이 하이드로콜로이드 패치 시스템에 의해 피부 내로 효과적으로 침투하여, 주름 개선 효과가 높게 나타난 것을 확인하였다.

Claims (4)

  1. 하이드로콜로이드 및 난용성 약물을 포함하는 점착층을 포함하는 난용성 약물 전달용 패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난용성 약물은 다이드제인(Daidzein) 또는 제니스테인(Genistein)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용성 약물 전달용 패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난용성 약물은 패치 전체 중량 대비 0.01 내지 10 중량%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용성 약물 전달용 패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로콜로이드는 소수성 고분자, 친수성 고분자, 점착 부여제, 오일, 산화방지제, 습윤제 또는 이들 중 2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용성 약물 전달용 패치.
KR1020160048789A 2016-01-08 2016-04-21 난용성 약물의 효율적인 피부 전달을 위한 주름 개선 하이드로콜로이드 패치 KR2017008346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2861 2016-01-08
KR20160002861 2016-01-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3463A true KR20170083463A (ko) 2017-07-18

Family

ID=59442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8789A KR20170083463A (ko) 2016-01-08 2016-04-21 난용성 약물의 효율적인 피부 전달을 위한 주름 개선 하이드로콜로이드 패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8346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5989A (ko) 2017-11-16 2019-05-24 조현미 격자구조를 포함하는 패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5989A (ko) 2017-11-16 2019-05-24 조현미 격자구조를 포함하는 패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40581B1 (en) Wound dressing with multiple adhesive layers
CA2931174C (en) No-emitting medical dressing comprising an no-generating module and a radiation-emitting module
AU2003208303B2 (en) A wound care device
WO2009107189A1 (ja) ハイドロゲル創傷被覆材
US20210178009A1 (en) Wound care products comprising alexidine
US20150196515A1 (en) Multi-Layer Drug Delivery System
WO2008094002A1 (en) Hydrogel formulations comprising active drugs for treating wounds
KR20180058641A (ko) 보습력이 우수한 하이드로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트
WO2023198086A1 (zh) 一种抗菌促愈合功能化敷料及其制备方法
US10076586B2 (en) Wound dressings
KR100979597B1 (ko) 의료용 비가교 점착제 조성물, 이를 사용한 의료용 부착시트, 및 의료용 비가교 점착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170083463A (ko) 난용성 약물의 효율적인 피부 전달을 위한 주름 개선 하이드로콜로이드 패치
JP5147207B2 (ja) ハイドロゲル創傷被覆材
KR20110109250A (ko) 수성/비수성 약물전달에 적용 가능한 고분자 혼합물을 이용한 고분자 수성 혼합용액으로 만들어진 필름 형성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651574B1 (ko) 활성 약물을 함유하는 하이드로콜로이드
KR20180041848A (ko) 에어로졸 제형의 스프레이 밴드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30088121A (ko) 양친매성 고분자 점착제를 포함하는 경피 패치 제조용 하이드로겔 조성물
Dias et al. Supercritical Solvent Impregnation of Natural Bioactive Compounds in N-Carboxybutylchitosan and Agarose Membranes for the Development of Topical Wound Healing Applications
KR20230088122A (ko) 양친매성 고분자 점착제를 포함하는 경피 패치
KR20100070696A (ko) 방사선으로 가교된 약물 비함유 수화겔층을 포함하는 국소마취용 패치제
KR20050022156A (ko) 손 발톱용 패취제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