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4806A - 오배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창상치료용 의약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드레싱 제제 - Google Patents
오배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창상치료용 의약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드레싱 제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14806A KR20150014806A KR1020130090496A KR20130090496A KR20150014806A KR 20150014806 A KR20150014806 A KR 20150014806A KR 1020130090496 A KR1020130090496 A KR 1020130090496A KR 20130090496 A KR20130090496 A KR 20130090496A KR 20150014806 A KR20150014806 A KR 2015001480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xtract
- present
- rhizome extract
- extraction
- solven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0051—Accessories for dressings
- A61F13/00063—Accessories for dressings comprising medicaments or additives, e.g. odor control, PH control, debriding, antimicrobic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2—Anacardiaceae (Sumac family), e.g. smoketree, sumac or poison oak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2—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treating wounds, ulcers, burns, scars, keloids, or the lik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50—Methods involving additional extraction steps
- A61K2236/51—Concentration or drying of the extract, e.g. Lyophilisation, freeze-drying or spray-dry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배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창상치료용 의약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드레싱 제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오배자 추출물은 각질세포와 섬유아세포의 증식률을 증가시켜 창상의 치료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며, 오배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본 발명의 드레싱 제제는 약물인 오배자 추출물이 흡수층에 균일하게 분포되어 상처부위에 약물을 지속적이고 효과적으로 전달하며, 치료된 창상 부위의 조직이 조밀하고 균일하게 수복되어 창상 부위의 흉터가 적게 생기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오배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창상치료용 의약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드레싱 제제에 관한 것이다.
상처치유는 손상된 조직이 정상적으로 복구되기 위한 일련의 순차적인 과정, 즉, 염증기(inflammatory stage), 증식기(proliferation stage) 및 리모델링기(remodeling stage)로 이루어진다(Kokane DD, Evaluation of wound healing activity of root Mimosa pudica, J Ethnopharmacol , 2009, 124(2),311-315).
상처가 시작된 직후 정상적인 조직의 항상성을 회복하기 위해 혈관이 수축되고 염증매개물질을 방출함으로서 염증기가 시작된다. 증식기는 주로 섬유아세포에 의해 형성된 육아조직(granulation tissue)이 증식되고 혈관형성(angiogenesis)이 이루어지는 과정으로 정의되며, 마지막으로 리모델링기는 인장력(tensile strength)을 증가시키는 콜라겐 섬유질(collagen fibre)을 구성하는 성분들이 재구성(reformulation)되고 개선(improvement)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Wang JP, In vitro and in vivo evaluation of the wound healing properties of Siegesbeckia pubescens, J Ethnopharmacol , 2011, 134(3),1033-1038).
창상치유제의 역할은 파괴된 조직의 빠른 재생과 재생된 조직의 흉터(scar) 크기를 최소화하는 것이다. 의약품의 발달과 함께 상처치유의 회복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계속적인 연구로 인해 창상치료제가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특히 합성화합물을 사용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잠재적인 부작용으로 인해, 약용식물을 창상치료제에 사용하는 경우가 증가하는 추세이다(Jettanacheawchankit S, Acemannan stimulates gingival fibroblast proliferation; Expressions of keratinocyte growth factor-1,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and type 1 collagen; and wound healing, J Pharmacol, 2009, 109.525-531). 여러 종류의 식물 및 허브가 상처치유를 증진시키기 위해 사용되고 있으며, 또한 더 나은 전통의학 치료 및 약용식물 탐색이 진행 중이다 (Lodhi S, Wound healing potential of Tephrosia purpurea(Linn.) Pers. in rats, J Ethnopharmacol , 2006, 108(2),204-210; Majumdar M, Evaluation of Tectona grandis leaves for wound healing activity, Pak J Pharm Sci, 2007, 20(2),120-124).
오배자(Galla Rhois)는 옻나무과의 붉나무(Rhus javanica L.) 또는 동속 식물의 잎에 솜진딧물과의 오배자 진딧물(Melaphis chinensis Bell)의 자상(刺傷)에 의하여 생긴 벌레집을 말하며, 목부자, 염부목, 염부엽상구자, 홍부양, 문합, 백충창이라고도 불린다. 오배자는 불규칙적인 주머니 모양으로 사람의 귀 모양을 닮은 것이 많으며, 속은 비어 있고, 맛이 매우 시다. 한방에서는 수렴(收斂) ·지혈 ·해독 ·항균의 효력이 있어, 설사 ·탈항 ·위궤양 ·십이지장궤양 ·도한 ·유정(遺精) ·혈변 ·혈뇨 ·구내염 등에 처방한다. 오배자는 주로 타닌 성분을 50∼60% 함유하고 있어 타닌제를 비롯하여 염모제(染毛劑)나 잉크의 원료로 사용되고 있다(두산백과 doopedia, 한방약재 오배자篇).
본 발명자들은 창상치유효과를 갖는 약용식물을 확인하던 중 오배자 추출물이 각질세포 및 섬유아세포의 증식률을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오배자 추출물을 쥐의 창상모델에 적용하여 창상 치유효과를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세포 재생효과가 우수한 오배자 추출물을 함유함으로써 창상 치료효과가 우수한 창상 치료용 의약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세포 재생효과가 우수한 오배자 추출물을 함유함으로써 창상 부위에 부착시 세포 재생효과가 우수하면서 창상 부위의 조직이 조밀하고 균일하게 수복되어 흉터가 적게 생기는 창상 치료용 드레싱 제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오배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창상치료용 의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오배자 추출물은, 건조된 오배자를 세절하여 용매에 침지시킨 후 오배자 추출액을 수득하는 추출단계; 및 수득한 추출액을 여과하여 얻은 여과액을 감압 농축 및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오배자 추출물을 제조할 때 상기 오배자에 용매를 가하여 추출하는 추출단계를 1~5회 반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오배자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한 추출용매로는 C1~C4의 유기용매, 특히 C1~C4의 알코올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오배자 추출물을 추출할 때 추출용매는, 바람직하게는 오배자의 건조 중량의 10~20배를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오배자 추출액을 추출하는 단계에서 추출은 바람직하게는 20-100℃의 온도에서 행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오배자 추출액을 추출하는 단계에서 추출은 바람직하게는 12~36시간 동안 행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의약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오배자 추출물을 1~99 중량% 함유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오배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창상치료용 드레싱 제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드레싱 제제는 오배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흡수층과, 보호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상기 오배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흡수층은 오배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발포조성액과 프리폴리머가 2:1 내지 1:2의 비율로 혼합되어 제조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프리폴리머는 바람직하게는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이다.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는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Isocyanate)를 반응시켜 만든다. 상기 프리폴리머로, 바람직하게는 친수기가 도입된 친수성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를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발포조성액은 오배자 추출물과 물을 포함하며, 필요에 따라 계면활성제, 가교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보호층은, 바람직하게는 투습성과 방수성을 동시에 갖는 투습방수성의 필름으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투습방수성의 폴리우레탄 필름을 보호층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오배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창상치료용 의약조성물은 기존의 다른 창상치료용 조성물에 비해 세포 재생 효과가 우수하며 그에 따라 창상 치료효과가 우수하다. 또한 오배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본 발명의 드레싱 제제는 약물인 오배자 추출물이 흡수층에 균일하게 분포되어 상처부위에 약물을 지속적이고 효과적으로 전달하므로, 치료된 창상 부위의 조직이 조밀하고 균일하게 수복되어 창상 부위의 흉터가 적게 생기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오배자 추출물의 피부재생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의 A는 각질세포에서 각 농도에 따른 오배자 추출물의 피부재생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1의 B는 섬유아세포에서 각 농도에 따른 오배자 추출물의 피부재생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오배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드레싱 제제의 모식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의 A는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 제제의 모식도이고, 도 2의 B는 실제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 제제의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오배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드레싱 제제, 대조군 및 비교군에 대한 창상모델에서의 상처변화를 육안으로 관찰한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오배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드레싱 제제, 대조군 및 비교군에 대한 창상모델에서의 상처변화를 조직학적으로 관찰한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4에서 *는 상처 부위, **는 표피, ***는 진피, ****는 근육층을 나타내며, 기준 자(Scale bars)는 200 micron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오배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드레싱 제제의 모식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의 A는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 제제의 모식도이고, 도 2의 B는 실제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 제제의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오배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드레싱 제제, 대조군 및 비교군에 대한 창상모델에서의 상처변화를 육안으로 관찰한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오배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드레싱 제제, 대조군 및 비교군에 대한 창상모델에서의 상처변화를 조직학적으로 관찰한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4에서 *는 상처 부위, **는 표피, ***는 진피, ****는 근육층을 나타내며, 기준 자(Scale bars)는 200 micron이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와 같은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이나 단계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단계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는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오배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창상치료용 의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먼저, 본 발명의 오배자 추출물은 다음과 같이 제조한다.
1. 추출단계
건조된 오배자를 세절하여 용매에 침지시킨 후 오배자 추출액을 추출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오배자의 건조 중량의 10~20배의 용매에 20-100℃, 보다 바람직하게는 50~80℃에서 12~36 시간, 특히 바람직하게는 60℃ 정도에서 약 24시간 동안 침지시킨 후 실온에서 오배자 추출액을 수득한다. 그러나 추출방법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생약분야에서 이용 가능한 다른 추출방법, 예를 들어, 냉침법; 온침법; 퍼콜레이션법 등을 이용한 엑스제 및 유동엑스제, 한약 제조에 사용하는 전제, 침제 등의 방법이 모두 가능하다.
이때 용매로는 C1~C4의 유기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C1~C4의 알코올을 사용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을 사용하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75% 에탄올, 프레타놀A™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오배자 추출액을 수득한 오배자에 다시 용매를 가하여 추출하는 과정을 1~5회 반복하여 추출액을 수득할 수도 있으며, 3회 정도 반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감압농축 및 건조단계
상기 단계에서 수득한 추출액 또는 수득한 추출액들의 혼합액을 여과하고, 여과하여 얻어진 여과액을 감압 회전농축기(Vaccum rotary evaporator)를 사용하여 용매를 증발시키는 감압 농축 및 건조단계를 거쳐 본 발명의 오배자 추출물을 수득한다.
상기 오배자 추출물은 용매에 용해시켜 농도를 조절하여 사용한다. 이때 용매로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하고 오배자 추출물을 용해시킬 수 있는 용매면 모두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DMSO(dimethyl sulfoxide)를 사용하였다.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오배자 추출물을 1~99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0~90 중량%로 함유한다.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은 통상의 방법에 따라 외용제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제, 스프레이제, 연고제, 크림, 로션 등의 형태로 제형화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통상 사용하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필요에 따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창상 치료효과가 있는 다른 약물, 통증 완화제, 진통제, 항염증제, 항알러지제, 항생제, 항균제, 소독제, 피부보호제, 습윤제 등을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오배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창상 치료용 드레싱 제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드레싱 제제는 오배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흡수층과, 보호층을 포함하며, 다음과 같이 제조한다.
1. 흡수층
흡수층은, 오배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발포조성액과, 프리폴리머를 반응시켜 제조한다. 바람직하게는 발포조성액과 프리폴리머를 1:2 내지 2:1의 비율로 반응시키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1:1의 비율로 반응시킨다.
상기 프리폴리머는 바람직하게는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이며,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를 반응시켜 제조한다.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는 공지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먼저 폴리올을 반응기에 넣고 이소시아네이트(Isocyanate)를 투입하여 질소 분위기하에서 NCO 함량(%)이 이론치에 도달할 때까지 반응시켜 얻을 수 있다.
상기 폴리올로는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글리콜; 폴리에틸렌옥사이드글리콜; 폴리테트라메틸렌에테르글리콜; 에틸렌옥사이드/프로필렌옥사이드 공중합체; 폴리테트라하이드로퓨란/에틸렌옥사이드 공중합체; 폴리테트라하이드로퓨란/프로필렌옥사이드 공중합체; 폴리부틸렌카보네이트글리콜; 폴리헥사메틸렌카보네이트글리콜; 폴리카프로락톤글리콜; 폴리에틸렌아디페이트; 폴리부틸렌아디페이트; 폴리네오펜틸아디페이트; 폴리헥사메틸렌아디페이트 등이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같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이소시아네이트로는 방향족, 지방족 및 치환족 이소시아네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2,4-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2,6-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메틸렌디페닐디이소시아네이트; 1,5-나프탈렌디이소시아네이트; 토리딘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1,6-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시렌디이소시아네이트; 시클로헥실렌-1,4-디이소시아네이트; 리신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메틸렌-크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를 단독 또는 2종 이상 같이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2,4-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2,6-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메틸렌디페닐이소시아네이트 등을 사용한다.
상기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는 바람직하게는 친수기가 도입된 친수성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이다. 친수성 부여에는 친수성 그룹인 에틸렌옥사이드의 함량이 중요한데, 이것은 “Journal of Cellular Plastics 1976; 12; 285” “Journal of Cellular Plastics 1983; 19; 259”, 미국 특허 제4,008,189호(1975.11.4) 등에 공지된 기술을 참고로 할 수 있다.
이밖에도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의 제조에는 알려진 공지의 첨가제가 공지의 방법으로 부가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에는 특히 산화방지제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발포조성액은 상기 프리폴리머를 발포시키는 발포제로서, 상기 오배자 추출물과 물을 포함하며, 필요에 따라 계면활성제, 가교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포조성액에서 오배자 추출물은 10~200㎎/㎖의 농도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0~100㎎/㎖로 포함될 수 있다.
물은 탈이온수가 바람직하며, 오배자 추출물 중의 수분함량을 포함하여 발포조성물 중 총 수분함량은 60~95 중량% 정도가 바람직하다.
계면활성제로는 공지의 계면활성제가 알려진 용도와 방법에 따라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틸렌옥사이드/프로필렌옥사이드 블록 공중합체인 바스프사의 F-68; F-87; F-88; F-108; F-127과, 실리콘계 계면활성제로 L-580; L-603; L-688; L-5420; SZ-1703; L-6900; L-3150; Y-7931; L-1580; L-5340; L-5333; L-6701; L-5740M; L-3002; L-626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가교제는 폴리우레탄 폼 형성시 가교 반응을 통해 폼의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는데, 글리세린; 트리메틸올프로판; 1,2,4-부탄트리올; 솔비톨 등의 공지의 가교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이밖에도 발포조성액은 필요에 따라 안료, 다른 약물, 보습제, 흡수보조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와 발포 조성액을 1:2 내지 2:1의 비율로 혼합하고 교반하면 발포가 시작되면서 폴리우레탄 폼을 형성하게 된다. 미세기공이 형성된 폴리우레탄 폼으로 이루어진 흡수층은 상처면에 직접 접촉하게 되고, 삼출물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며, 상처면 비부착 특성을 갖는다. 흡수층은 원하는 두께로 형성할 수 있으며, 통상 1~30㎜ 범위 내에서 형성한다.
2. 보호층의 제조
보호층은 상처면과 접하는 흡수층을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역할, 특히 외부로부터의 박테리아(Bacteria) 및 세균 등의 침입을 방지하는 역할, 삼출물의 외부 누출을 방지하고 상처면에 습윤환경(Moisture Environment)을 조성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보호층으로 투습성과 방수성을 동시에 갖는 투습방수성 필름을 사용하며, 바람직한 실시예로 투습방수성의 폴리우레탄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폴리우레탄 필름은 공지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 수지와 용매를 혼합하고 교반한 다음 기포를 제거하고 이형지에 도포하여 무공형의 방수성 폴리우레탄 필름을 만들 수 있다. 이때 폴리우레탄 수지로 투습성과 방수성을 동시에 갖는 폴리우레탄 수지, 즉 주사슬에 친수기가 도입된 폴리우레탄 수지를 사용하면 투습성과 방수성을 동시에 갖는 투습방수성의 폴리우레탄 필름을 얻을 수 있다.
3. 드레싱 제제의 제조
공지의 방법에 따라 상기 흡수층과 보호층을 합지하여 드레싱 제제를 만들 수 있다. 합지에는 공지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압력을 가해 라미네이팅 하는 방법, 접착제를 사용하여 합지하는 방법 등이 모두 이용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흡수층이 완전히 경화되기 전의 택(tack)성이 있는 상태에서 보호층을 라미네이팅시켜 합지할 수도 있다.
[
실시예
]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실시예 1>
오배자 추출물의 제조
(주)휴먼허브(http://www.humanherb.co.kr/)에서 구입한 오배자(100.2 g)를 75% 에탄올에 60℃에서 24시간 침지시킨 후 실온에서 추출액을 수득하고, 다시 75% 에탄올 1,500ml를 가하여 2회 더 추출하여 추출액들을 수득하였다. 상기 각 추출액을 여과한 여과액을 감압 회전농축기(일본 Nihon Seiko사, VR-205c)를 사용하여 용매를 증발시키는 감압 농축 및 건조과정을 거쳐 오배자 75% 에탄올 추출물 62.9 g(수율 : 62.8%)을 수득하였다.
<실험예 1>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오배자 추출물의 세포 증식 활성에 대한 효과를 하기와 같이 MTS 어세이법에 의하여 확인하였다.
1. 시료의 준비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오배자 추출물을 DMSO 용매에 녹여 최종농도 25㎍/㎖, 50㎍/㎖, 100㎍/㎖인 오배자 추출물 시료를 제조하였다.
2. 세포배양
각질형성세포(keratinocyte)주인 HaCaT와 섬유아세포(human skin fibroblast)주인 CCD-986SK를 10% FBS, 100U/ml 페니실린(penicillin), 100㎍/ml 스트렙토마이신(streptomycin)을 포함한 DMEM (Hyclone, Logan, UT, USA) 배지에서 37℃, 5% CO2 조건 하에서 배양하였다.
3. 세포 증식활성 측정(
MTS
assay
)
96 웰 플레이트(96 well plate)에 5 X 105 cells/㎖ 농도의 각질세포 및 섬유아세포를 각 웰 당 100㎕ 시딩(seeding)하여 24시간 동안 안정화시킨 후, 오배자 추출물을 농도별(25㎍/㎖, 50㎍/㎖, 100㎍/㎖)로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된 세포에 MTS용액(Promega, WI, USA)을 처리하여 1시간 뒤 49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본 실험의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의 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오배자 추출물을 각질세포에 25㎍/㎖, 50㎍/㎖, 100㎍/㎖의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각각 41%, 30%, 36%의 세포 증식률을 나타내어, 오배자 추출물이 각질세포의 재생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1의 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오배자 추출물을 섬유아세포에 25㎍/㎖, 50㎍/㎖, 100㎍/㎖의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각각 31%, 33%, 58%의 세포 증식률을 나타내어, 오배자 추출물이 섬유아세포의 재생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
드레싱 제제의 제조
(1) 에틸렌옥사이드/프로필렌옥사이드 폴리올과 2,4-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를 반응시켜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를 합성하였다.
(2) 상기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와 오배자 추출물을 50㎎/㎖의 농도로 함유하는 발포조성액을 1:1의 비율로 반응시켜 약 5mm 두께의 폴리우레탄 폼으로 이루어진 보호층을 제조하였다.
(3) 폴리우레탄 수지 100 중량부에 메틸에틸케톤 50 중량부, 디메틸포름아미드 15 중량부를 혼합, 교반하여 폴리우레탄 혼합액을 만든 후, 이 폴리우레탄 혼합액을 이형지에 일정한 두께로 도포하고, 건조시켜 폴리우레탄 필름을 형성하였다. 그런 다음 이형지를 제거하여 두께 20㎛ 정도의 폴리우레탄 필름을 얻었다.
(4) 상기 (2)에서 제조한 흡수층이 완전히 경화되기 전의 택(tack)성이 있는 상태에서 상기(3)에서 얻은 폴리우레탄 필름을 라미네이팅시켜 본 발명의 드레싱 제제를 만들었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의 오배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드레싱 제제의 모식도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의 A는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 제제의 간단한 모식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의 B는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 제제의 실제 모식도를 나타낸 것이다.
<실험예 2>
실시예 2에서 제조된 본 발명의 드레싱 제제의 효능을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1.
창상모델
유발
생후 8주령의 Sprague-Dawly 래트를 사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먼저 럼푼과 졸래틸을 사용하여 래트를 전신마취시킨 후, 복부를 소독하여 옆구리 등 부위를 삭모하고, 제모기를 이용하여 털을 완전히 제거한 후 수술부위를 포비돈과 알코올로 소독하였다. 소독한 옆구리 등의 부위에 메스와 수술용 가위를 이용하여 진피까지 직경 약 2 cm 크기로 피부 전층 창상을 만들었다.
2. 오배자 추출물을 함유한
드래싱
제제의 효능평가
창상부위보다 약 1 cm 넓게 실시예 2의 드레싱 제제를 부착하고 거즈를 2장 덮은 후, 드레싱 제제가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몸통에 탄력붕대로 가볍게 고정하였다. 드레싱 후 5 일째 드레싱 교환을 하며, 드레싱 교환 시 피부결손 부위의 상피화 형성 정도 및 창상치유 효과를 측정하였다. 11일째 쥐를 희생시켜 창상부위 피부를 적출하고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포르말린에 고정한 후 파라핀 블록에 포매하여 조직을 5㎛ 두께의 연속절편으로 제작한 후 헤마톡실린-에오신 염색(hematoxylin eosin stain)을 하여 조직학적으로 관찰을 진행하였다.
대조군(control)으로는 아무런 치료를 하지 않고 자연치유과정으로 치유되는 창상모델을 사용하여 평가하였고, 비교군으로는 M사 제품을 사용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효능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도 3 및 4에 나타내었다.
상처변화를 육안으로 관찰한 결과,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대조군 및 비교군에 비해, 본 발명의 오배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드레싱 제제로 처리한 군에서 5일째 상처 크기(wound size)의 반경이 줄고 넓이가 현저히 감소되는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11일째에는 대부분의 창상이 치유되었다.
또한, 조직학적으로 관찰한 결과,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대조군 및 비교군인 M사에서 제조된 드레싱 제제의 경우 상처가 치유된 진피(dermis)층에 마크로파지(macrophage)(화살표로 표시함)가 많이 남아있고 콜라겐 및 섬유아세포로 구성된 조직에 빈 공간이 많이 관찰되었다. 반면, 본 발명의 오배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드레싱 제제로 처리한 군의 진피층에는 상처가 치유된 부위에 마크로파지가 거의 발견되지 않았고, 콜라겐과 섬유아세포로 채워진 진피층의 조직이 조밀하고 균일하게 수복된 결과를 저배율 현미경 사진으로 관찰하였다.
Claims (14)
- 오배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창상치료용 의약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배자 추출물은,
건조된 오배자를 세절하여 용매에 침지시킨 후 오배자 추출액을 수득하는 추출단계; 및
수득한 추출액을 여과하여 얻은 여과액을 감압 농축 및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상치료용 의약 조성물.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배자에 용매를 가하여 추출하는 추출단계를 1~5회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상치료용 의약 조성물.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용매로는 C1~C4의 알코올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상치료용 의약 조성물.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용매는 오배자의 건조 중량의 10~20배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상치료용 의약 조성물.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은 20-100℃의 온도에서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상치료용 의약 조성물.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은 12~36 시간 동안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상치료용 의약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약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오배자 추출물을 1~99 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상치료용 의약 조성물. - 오배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창상치료용 드레싱 제제.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싱 제제는 오배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흡수층과, 보호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상치료용 드레싱 제제.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오배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흡수층은 오배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발포조성액과 프리폴리머를 2:1 내지 1:2의 비율로 반응시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상치료용 드레싱 제제.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폴리머는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Isocyanate)를 반응시켜 만든 것을 특징으로하는 창상치료용 드레싱 제제.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조성액은 오배자 추출물과 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상치료용 드레싱 제제.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으로는 투습방수성의 폴리우레탄 필름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상치료용 드레싱 제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90496A KR20150014806A (ko) | 2013-07-30 | 2013-07-30 | 오배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창상치료용 의약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드레싱 제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90496A KR20150014806A (ko) | 2013-07-30 | 2013-07-30 | 오배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창상치료용 의약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드레싱 제제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50028043A Division KR20150039168A (ko) | 2015-02-27 | 2015-02-27 | 오배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창상치료용 의약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드레싱 제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14806A true KR20150014806A (ko) | 2015-02-09 |
Family
ID=52571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90496A KR20150014806A (ko) | 2013-07-30 | 2013-07-30 | 오배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창상치료용 의약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드레싱 제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50014806A (ko) |
-
2013
- 2013-07-30 KR KR1020130090496A patent/KR20150014806A/ko active Application Fil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705888B2 (ja) | 抗菌ドレッシング材及びその製造方法 | |
Dias et al. | Development of natural-based wound dressings impregnated with bioactive compounds and using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 |
KR100676937B1 (ko) | 피부미용 및 상처치료용 수용성 필름 및 그 제조방법 | |
DE602005006387T2 (de) | Medizinische polyurethanschaumstoffe | |
EP0651635B1 (de) | Wirkstoffpflaster für niedrigschmelzende und/oder flüchtige wirkstoffe | |
KR100780846B1 (ko) | 약물함유층을 갖는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재 및 그의제조방법 | |
IT8224839A1 (it) | Polimeri reattivi per la cura di affezioni cutanee | |
KR100745050B1 (ko) |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재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 |
TW201023917A (en) | Wound dressing comprising a polyurethane foam layer and a covering layer of thermoplastic polymer | |
KR20090027838A (ko) | 수분 감응성 피브리드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
CN110038157B (zh) | 基于聚氨酯的喷射型光固化水凝胶敷料前驱液及制备方法 | |
KR101440318B1 (ko) | 피부용 패치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용 패치의 제조방법 | |
WO2023198086A1 (zh) | 一种抗菌促愈合功能化敷料及其制备方法 | |
CN101069753A (zh) | 一种创面速愈贴及其制造方法 | |
KR101879643B1 (ko) | 스프레이형 연질 폴리우레탄 폼 창상피복재 및 그 제조방법 | |
KR100808552B1 (ko) | 수분 증발 방지막이 함유된 아토피 피부염 치료용 수화겔 | |
JP2000167036A (ja) | 傷治療用医薬材料 | |
CN105078651A (zh) | 多功能湿性医用伤口敷料及其制备方法 | |
KR102333779B1 (ko) | 산화질소 플라즈마를 이용한 돌출형 폴리우레탄 드레싱폼 및 그 제조 방법 | |
KR20240015691A (ko) | 자외선 차단 기능성을 갖는 아웃도어용 투명 패치 및 이의 제조방법 | |
KR20150014806A (ko) | 오배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창상치료용 의약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드레싱 제제 | |
KR20150039168A (ko) | 오배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창상치료용 의약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드레싱 제제 | |
KR101933486B1 (ko) | 항균성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재 및 이의 제조방법 | |
CN101530402A (zh) | 丝素蛋白复层膜及其制备方法 | |
CN111818903A (zh) | 化妆料或医疗材料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