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6425B1 - 선도유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선도유지 방법 - Google Patents

선도유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선도유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6425B1
KR102646425B1 KR1020210071446A KR20210071446A KR102646425B1 KR 102646425 B1 KR102646425 B1 KR 102646425B1 KR 1020210071446 A KR1020210071446 A KR 1020210071446A KR 20210071446 A KR20210071446 A KR 20210071446A KR 102646425 B1 KR102646425 B1 KR 1026464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shness
separator
space
main body
mainta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14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63050A (ko
Inventor
이지현
양해조
홍윤표
임수연
최지원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2100714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6425B1/ko
Priority to PCT/KR2021/014740 priority patent/WO2022255559A1/ko
Publication of KR202201630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30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64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64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5/00Floral handling
    • A01G5/06Devices for preserving flow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도유지 장치는, 대상물에 제공되는 액체를 내부에 유지하도록 구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단부에 위치하는 뚜껑과 상기 본체의 내부를 공간적으로 분리하도록 구성된 분리막을 포함하고, 상기 분리막은 상기 대상물이 관통하도록 구성된 관통구와 상기 액체가 통과할 수 있는 통로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선도유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선도유지 방법{A freshness maintaining device and a method for maintaining freshnes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선도유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선도유지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예시적으로 절화류 유통 시 장치에 삽입된 절단부를 외부와 밀폐하고 내부에 막을 구비하여 기울어진 상태에도 지속적으로 장치 내 액체를 절화에 공급할 수 있는 선도유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선도유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절화류는 수확 후 물과 양분을 공급받지 못하면 시들음이 발생하며 절화의 수명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어 물, 선도유지제 등의 액체가 담긴 용기에 절화의 끝 부분이 잠기도록 하여 유통하고 있으나, 이 또한 유통 시 외부 환경에 의해 흔들려 액체가 새어나가는 문제가 있다.
이에,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물대롱과 같은 장치가 개발되어, 낱개로 절화를 해당 장치에 꽂아 유통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물대롱은 눕혀서 포장하는 절화류 유통 시 수분의 흡수가 이루어짐에 따라 물대롱 내부의 상부부터 공기층을 형성하고, 줄기 끝부분이 물에 닿지 않게 되면 빠른 시간 내 시들어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전술한 문제 및 이와 연관된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명세서의 일 예시적 목적은, 장치 내부에 별도의 막을 구비하여 하부의 액체가 상부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함과 동시에 상부의 액체가 하부로 이동 가능하도록 하여 지속적으로 절화에 액체를 공급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선도유지 장치 및 방법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도유지 장치는, 대상물에 제공되는 액체를 내부에 유지하도록 구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일단부에 위치하는 뚜껑; 및 상기 본체의 내부를 공간적으로 분리하도록 구성된 분리막을 포함하고, 상기 분리막은 상기 대상물이 관통하도록 구성된 관통구와 상기 액체가 통과할 수 있는 통로를 포함한다.
상기 선도유지 장치의 분리막은 상기 본체의 내부를 제1 공간과 제2 공간으로 분리하도록 구성되고, 제1 공간에서의 음압 발생시 제2 공간에 존재하는 유체가 상기 분리막의 통로를 통하여 제1 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요성 소재로 구성된다.
상기 분리막의 통로는 액체의 일방향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홈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홈 형상은 V 형 단면을 갖도록 구성된다.
상기 선도유지 장치의 분리막은 상기 본체의 내면에 안착 또는 밀착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선도유지 장치의 분리막은 상기 본체의 내면의 형상에 매칭되도록 구성된 연장부를 포함한다.
상기 선도유지 장치는, 상기 뚜껑이 가요성 소재로 구성되며 상기 대상물을 관통 및 유지하도록 구성된 제1 관통구를 포함한다.
상기 선도유지 장치는, 상기 뚜껑에 결합되도록 구성된 실링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대상물은 절화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도유지 장치는, 내부에 액체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본체; 및 상기 본체의 내부를 제1 공간과 제2 공간으로 분리하도록 구성된 분리막을 포함하고, 대상물이 삽입된 상태에서 대상물의 말단이 위치되는 제1 공간에서 발생하는 음압에 의하여 제2 공간에 존재하는 액체가 상기 제1 공간으로 이동하도록 유도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도유지 방법은, 상기 선도유지 장치 중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물의 말단에 액체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도유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선도유지 방법은 아래와 같은 효과를 가진다.
장치의 상부에 가요성 재질의 뚜껑이 배치되어 절화 삽입 시 용기 내부를 밀폐하여 장치 내부의 액체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장치 내부에 액체의 일 방향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통로를 포함하는 막을 구비하여 장치 상부의 액체는 하부로 이동할 수 있지만 장치 하부의 액체는 상부로 이동할 수 없도록 하여, 절화가 눕혀진 상태로 운반되더라도 지속적으로 절화에 수분을 공급할 수 있다.
다만,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도유지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2 (a) 및 도 2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도유지 장치의 뚜껑의 평면도 및 측면 단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도유지 장치의 분리막을 나타낸다.
도 4는 도 3의 분리막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도유지 장치의 실링부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 1, 제 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결합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 또는 결합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 또는 결합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부'로 표현되는 구성요소는 2개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또는 하나의 구성요소가 보다 세분화된 기능별로 2개 이상으로 분화될 수도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할 구성요소 각각은 자신이 담당하는 주기능 이외에도 다른 구성요소가 담당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구성요소 각각이 담당하는 주기능 중 일부 기능이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전담되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사용된 "제 1", "제 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절화류 유통을 위한 선도유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선도유지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도유지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도유지 장치(100)는 한 쪽 끝이 막힌 기둥의 형태를 가지는 본체(110), 본체(110)의 개방된 부분을 여닫을 수 있는 뚜껑(120) 및 본체(110) 내부 공간을 분리하는 분리막(130)을 포함한다.
먼저 본체(110)는 절화와 같이 삽입되는 대상물에 제공되는 액상의 선도유지제를 내부에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본체(110)는 유통시 가해지는 외부 힘에 의해 쉽게 변형 내지 파손되지 않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절화를 위한 선도유지제에 의해 변질되지 않는 어떠한 재질도 무방하다.
도 2 (a) 및 도 2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도유지 장치의 뚜껑(120)의 평면도 및 측면 단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본체(110)의 개방된 말단부에는 뚜껑(120)이 체결되며, 스크류 방식, 끼워 넣는 방식 등 통상의 밀폐를 위해 체결되는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본체(110)의 개방된 말단부는 스크류 형태, 민무늬 형태 등 뚜껑(120)의 체결 방식에 따라 적절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뚜껑(120)은 고무, 실리콘과 같은 탄성이 있는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뚜껑(120)의 상면에는 뚜껑(120)을 수직으로 관통하는 제1 관통구(121)를 포함한다. 절화의 줄기는 제1 관통구(121)를 관통함으로써 선도유지 장치 내부에 유지되는 액상의 선도유지제와 접촉할 수 있다. 뚜껑(120)의 재질이 가요성 소재이므로 제1 관통구(121)의 크기는 삽입되는 절화 줄기의 직경보다 같거나 작도록 형성되어, 절화 줄기를 제1 관통구(121)에 삽입할 때 제1 관통구(121)와 줄기 사이의 틈이 생기지 않아 선도유지 장치의 내부가 실질적으로 밀폐되어 절화와 선도유지 장치가 눕혀지거나 뒤집어지더라도 선도유지제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는다.
또한, 도 2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120)은 내부 단면이 테이퍼 형상으로 구성되어, 운반 중 외부의 충격에 의해 절화가 부러지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으며, 절화의 줄기를 삽입할 때 원활히 삽입될 수 있도록 하면서 쉽게 뽑히지 않아 운반 시 상품의 품질 유지에 기여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도유지 장치의 분리막(130)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분리막(130)은 선도유지 장치(100)의 본체(110)를 공간적으로 상부와 하부로 분리하는 막의 형태로 구비된다. 분리막(130)은 뚜껑(120)의 제1 관통구(121)로 삽입된 절화 줄기의 단부가 하부 공간으로 관통 연장될 수 있도록 제2 관통구(131)를 포함한다.
분리막(130) 또한 뚜껑(120)과 같이 고무, 실리콘과 같은 탄성이 있는 소재로 구성되어, 절화의 줄기가 제2 관통구(131)를 관통하면 절화의 줄기와 제2 관통구(131) 사이에 틈이 생기지 않아 선도유지 장치(100)가 눕혀지거나 뒤집어지더라도 하부 공간에 존재하는 액상의 선도유지제가 상부 공간으로 이동하지 못한다.
이러한 분리막(13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통로를 포함하고 이는 예시적으로 절개홈(132)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절개홈(132)은 절화가 삽입된 상태에서 선도유지 장치(100)의 본체(110)가 눕혀지거나 뒤집어지더라도 분리막(130) 하부에 있는 액상의 선도유지제가 상부로 이동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특히, 본체(110) 내부를 제1 공간(하부)과 제2 공간(상부)으로 구분하는 분리막(130)에 형성된 다양한 형태/수의 통로는, 절화와 같은 대상물이 본체에 삽입된 상태에서 대상물의 말단이 존재하는 제1 공간에서 발생하는 음압에 의하여 제2 공간에 존재하는 액체가 제1 공간으로 이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즉, 분리막(130)에 형성된 통로는, 절화가 선도유지 장치(100)에 결합되어 운반되는 동안 선도유지제를 흡수함에 따라 선도유지 장치(100)의 하부 공간에 음압이 발생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부 공간에 존재하던 액상의 선도유지제가 절개홈(132)과 같은 통로를 통해 하부 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결과적으로, 시간이 경과하더라도 분리막(130) 하부 공간에는 일정량의 액상의 선도유지제가 존재할 수 있게 되어 절화에 지속적인 수분 공급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절개홈(132) 형태는 분리막(130) 하부 공간에서의 음압 발생시 선도유지제와 같은 액체가 통과할 수 있도록 해주는 통로의 일 예시에 불과함을 유의해야 한다.
예시적인 절개홈(132)은 바람직하게는 분리막(130) 상면의 절개 두께가 하면의 절개 두께보다 크도록 v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일 방향 개폐와 같은 동일 유사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홈의 형태라면 반드시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즉, 본 실시예에서의 분리막은, 본체의 내부를 제1 공간과 제2 공간으로 분리하고, 제1 공간에서의 음압 발생시 제2 공간에 존재하는 유체가 분리막에 형성된 통로를 통하여 제1 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면 족하다.
앞서 설명한 선도유지 장치의 분리막(130)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되어 본체(110)에 결합될 수 있으며, 그 예시가 도 4 (a) 및 (b)에 각각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막(130)은 본체(110)의 내면에 여러 가지 방법으로 고정 장착될 수 있다.
분리막(130)을 본체(110)의 내면에 고정하는 방법으로서, 먼저 본체(110) 상부 내면의 직경이 하부 내면의 직경보다 크도록 구성하여 본체(110)의 상부와 하부 사이의 경계에 단차(111)를 형성한다. 그리고, 분리막(130)의 직경을 본체(110) 하부 내면의 직경보다 크도록 구성하되, 상부 내면의 직경과 같거나 작도록 구성하여 분리막이 단차(111)에 안착 또는 본체 내면에 밀착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분리막 고정 방법의 다른 실시예로서, 분리막(230)의 가장자리에 분리막(230) 결합시 본체(210) 내면의 형상에 매칭되도록 구성된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연장부(240)가 구비될 수 있다. 연장부(240)는 본체(210)와의 결합 이전부터 본체(210)의 내면의 형상과 대응하도록 구성될 수 있지만, 연장부(240)가 탄성이 있는 소재로 구성될 때에는, 본체(210)로 삽입 시 연장부(240)의 형태가 본체(210) 내면의 형상과 같이 변형되어 밀착 결합되도록 할 수도 있다.
앞서 설명한 방법들 외에도 분리막(130)이 본체(110)의 내면에 고정될 수 있다면 특정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도유지 장치의 일부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도유지 장치(300)는, 뚜껑(320)의 상부와 결합 또는 접촉하도록 구비되어 탈부착 가능한 실링부(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링부(350)는 뚜껑(320)의 상부에 결합 또는 부착되어, 절화 줄기를 본체에 삽입하기 직전 실링부(350)를 제거한 후 절화 줄기를 삽입할 수 있다. 가령, 유통 대상물인 꽃은 그 종류에 따라 선도유지를 위한 성분이 다르므로 선도유지제의 종류도 다양한데, 선도유지 장치(300)를 제조할 때 실링부(350)를 적용하면 꽃을 삽입하기 전에도 선도유지 장치(300) 내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어 적절한 선도유지제를 미리 채운 상태에서 납품될 수 있기 때문에 고객이 따로 선도유지제를 준비하고 채울 필요가 없어 사용이 용이하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개시가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할 수 있는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그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명세서에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야 한다.
100, 200, 300: 선도유지 장치
110, 210, 210: 본체
111: 단차
120, 220, 320: 뚜껑
121: 제1 관통구
130, 230: 분리막
131: 제2 관통구
132: 절개홈
240: 연장부
350: 실링부

Claims (11)

  1. 대상물에 대한 선도유지 장치로서,
    대상물에 제공되는 액체를 내부에 유지하도록 구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일단부에 위치하는 뚜껑; 및
    상기 본체의 내부를 공간적으로 서로 분리하도록 구성된 분리막
    을 포함하고, 상기 분리막은 상기 대상물이 관통하도록 구성된 관통구와 상기 액체가 통과할 수 있는 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내부는, 상기 분리막 아래의 제1 공간 및 상기 뚜껑과 상기 분리막 사이의 제2 공간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2 공간들 모두에는 액체가 각각 서로 분리된 상태로 유지 저장되어 있도록 구성된,
    선도유지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막은, 상기 제1 공간에서의 음압 발생시 상기 제2 공간에 존재하는 유체가 상기 분리막의 통로를 통하여 제1 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요성 소재로 구성되는,
    선도유지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막의 통로는 홈 형상으로 구성되는,
    선도유지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홈 형상은 V 형 단면을 갖는,
    선도유지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막은 상기 본체의 내면에 안착 또는 밀착 결합되는,
    선도유지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막은 상기 본체의 내면의 형상에 매칭되도록 구성된 연장부를 포함하는,
    선도유지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가요성 소재로 구성되며 상기 대상물을 관통 및 유지하도록 구성된 제1 관통구를 포함하는,
    선도유지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에 결합되도록 구성된 실링부를 더 포함하는,
    선도유지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물은 절화를 포함하는,
    선도유지 장치.
  10. 대상물에 대한 선도유지 장치로서,
    일단부에 결합되는 뚜껑을 포함하고, 내부에 액체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본체; 및
    본체의 내부를 제1 공간과 제2 공간으로 별도로 분리하도록 구성된 분리막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2 공간들 모두에는 액체가 각각 서로 분리된 상태로 유지 저장되어 있도록 구성되며,
    대상물이 삽입된 상태에서 대상물의 말단이 존재하는 제1 공간에서 발생하는 음압에 의하여 제2 공간에 존재하는 액체가 상기 제1 공간으로 이동하도록 유도되는,
    선도유지 장치.
  11. 대상물에 대한 선도유지 방법으로서,
    제1 항 내지 제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선도유지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물의 말단에 액체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선도유지 방법.
KR1020210071446A 2021-06-02 2021-06-02 선도유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선도유지 방법 KR1026464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1446A KR102646425B1 (ko) 2021-06-02 2021-06-02 선도유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선도유지 방법
PCT/KR2021/014740 WO2022255559A1 (ko) 2021-06-02 2021-10-20 선도유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선도유지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1446A KR102646425B1 (ko) 2021-06-02 2021-06-02 선도유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선도유지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3050A KR20220163050A (ko) 2022-12-09
KR102646425B1 true KR102646425B1 (ko) 2024-03-12

Family

ID=84323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1446A KR102646425B1 (ko) 2021-06-02 2021-06-02 선도유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선도유지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646425B1 (ko)
WO (1) WO2022255559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7165Y1 (ko) * 2002-03-20 2002-05-30 이삼무 꽃꽂이 장치
US20140096444A1 (en) 2012-10-09 2014-04-10 Wayne Castleberry Cut flower shipping container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18260A (en) * 1970-04-02 1971-11-09 Robert T Convey Jr Weed-inhibiting and watering attachment device for potted plants
JPH061272U (ja) * 1992-01-17 1994-01-11 凸版印刷株式会社 切花用容器
JPH0585236U (ja) * 1992-04-21 1993-11-19 野村商事株式会社 切花鮮度保持容器
KR200284197Y1 (ko) * 2002-05-04 2002-07-31 조보성 휴대용 화병
KR20120012605A (ko) * 2010-08-02 2012-02-10 유경숙 식물 건조방지 캡과 캡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7165Y1 (ko) * 2002-03-20 2002-05-30 이삼무 꽃꽂이 장치
US20140096444A1 (en) 2012-10-09 2014-04-10 Wayne Castleberry Cut flower shipping contai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55559A1 (ko) 2022-12-08
KR20220163050A (ko) 2022-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838198B (zh) 用于气瓶密封的方法和设备
MX167791B (es) Recipiente de aplicacion inequivoca desde el fondocon una valvula auto-selladora
CZ286544B6 (cs) Elastomerní zátka pro nádobu obsahující tekutinu
RU2015143861A (ru) Регулируемое неклассифицированное наполня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NO322369B1 (no) Innretning for innforing av en fastlagt mengde tilsetningsstoffer i en avlukket vaeskemengde
BRPI0607233A2 (pt) fechamento de recipiente com parte de agulha penetrável e termicamente revedável sobrejacente, e parte subjacente compatìvel com produto lìquido contendo gordura, e método relacionado
CA2436468A1 (en) A system for packaging, storing & transporting agricultural produce
AU2009294295A8 (en) Overfill prevention control for fluid storage container
CN103210247A (zh) 用于压力驱动式分配容器的弹性关闭件
US2005013886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ackaging horticultural products
KR102646425B1 (ko) 선도유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선도유지 방법
US9919850B2 (en) Vented fitment for flexible pouch
CN209366870U (zh) 一种塑料坛
RU2746419C2 (ru) Емкость с углублением в стенке емкости
CN207497265U (zh) 无人机机载容器防外溅阀盖
KR20180026283A (ko) 가스 배출 조절기능을 갖는 김치포장용기
KR101415854B1 (ko) 공기유입 차단 기능을 갖는 액상용기
KR20230072802A (ko) 선도유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선도유지 방법
CZ125499A3 (cs) Plnicí ventil pro sáčky, pytle nebo podobné zásobníky
KR102112837B1 (ko) 발효식품용 포장용기
CN107848651A (zh) 对包装的或部分包装的或部分密封的消耗品进行杀菌的方法以及存储容器及其外包装件
KR200480748Y1 (ko) 에어 통기부를 구비한 저장용기
JP7122148B2 (ja) 蓋付き容器
KR102609079B1 (ko) 과일 숙성도 조절 캡슐
KR101784000B1 (ko) 생화용 포장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