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0748Y1 - 에어 통기부를 구비한 저장용기 - Google Patents

에어 통기부를 구비한 저장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0748Y1
KR200480748Y1 KR2020160000885U KR20160000885U KR200480748Y1 KR 200480748 Y1 KR200480748 Y1 KR 200480748Y1 KR 2020160000885 U KR2020160000885 U KR 2020160000885U KR 20160000885 U KR20160000885 U KR 20160000885U KR 200480748 Y1 KR200480748 Y1 KR 2004807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container
injection port
air
air vent
inner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08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범조
Original Assignee
박범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범조 filed Critical 박범조
Priority to KR20201600008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074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07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074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8Devices for discharg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8Handles
    • B65D25/2882Integral handles
    • B65D25/2894Integral handles provided on the top or upper w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8Devices for discharging contents
    • B65D25/40Nozzles or spouts
    • B65D25/42Integral or attached nozzles or spo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1/00Hoses, i.e. flexible pipes
    • F16L11/04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ubber or flexible plastics
    • F16L11/11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ubber or flexible plastics with corrugated w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 B65D2205/02Venting h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13/00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 B65D2313/10Adhesive or cohesive means for holding the contents attached to the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에어 통기부를 구비한 저장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액상의 내용물을 담기 위한 통체 형상으로, 상부에 주입구(11) 및 주입구에 나사체결으로 체결되는 마개(12)가 구비되고, 상부 일측에 손잡이(13)가 적용된 저장용기(10)에 있어서, 상기 저장용기(10)의 주입구(11) 내경에는 내용물의 토출시 외부로부터 공기를 저장용기(10)의 내부로 유입시켜 저장용기의 내부 압력이 낮아짐을 방지하는 에어 통기부재(20)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바, 저장용기에 주입구와 별도로 에어 공급을 위한 기존의 방식에 비해 개별 제작성과 이들의 간단한 조합으로써, 하나의 주입구에서 내용물은 배출되고, 공기는 에어 통기부재를 통해 저장용기의 내부로 진입하는 구조로서 저장용기 내부압력이 순간적으로 낮아지는 것을 방지케 함으로써, 제품의 제작, 조합, 사용부분에서도 유용하며, 특히 주입구측 마개의 밀폐에 의해 저장용기를 밀봉시킬 수 있기 때문에 주입구 외에 기밀부분 추가에 따른 기존방식에서 나타나는 불량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에어 통기부를 구비한 저장용기{A storage container having an air vent}
본 고안은 액상의 내용물을 저장 및 보관하기 위한 저장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내용물을 주입하는 입구부에 에어 통기부를 마련하여 액체의 주입 저장시 또는 배출시 용기 내부의 압력차로 인해 급격히 내용물이 토출되는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에어 통기부를 구비한 저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체의 내용물을 담아서 보관하거나 운반할 수 있는 저장용기는 플라스틱 계열의 합성수지로 성형 제작되거나 혹은 금속판을 깡통형태로 제작되어 사용되고 있다.
비교적 큰 용량의 액체를 담을 수 있도록 한 저장용기는 그 외형적으로 주입구 일측에 손잡이부가 구비된 형상을 가진다.
저장되는 액체는 물, 기름, 간장 및 각종 액상 소스, 액상 화학약품 등의 내용물을 담을 수 있고, 운반에 있어 쉽게 파손되지 않는 두께로 제작되어 사용된다.
상기의 저장용기는 내용물을 따르기 위해 저장용기를 들어 주입구 측을 기울이면, 내용물이 주입구를 통하여 배출되는데, 주입구측으로 몰려 배출되는 내용물은 주입구를 모두 차단하기 때문에 외부의 공기가 물통 내로 유입되지 못하여 내부의 압력이 점점 낮아지는 상태가 된다.
상대적으로 내용물이 일부 주입구를 통해 토출되면서 저장용기의 주입구를 통해 외부공기가 유입되면, 외부의 공기압으로 인하여 공기가 내용물의 압력을 극복하면서 유입되어 저장용기 내부의 압력이 순간적으로 높아져 내용물이 계속하여 토출구를 통해 토출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외부공기가 저장용기의 내부로 내용물를 뚫고 유입될 때 유입되는 공기의 체적 크기만큼 저장용기 내부의 내용물이 순간적으로 토출됨으로써 내용물의 토출량이 크게 줄었다 다시 다량으로 토출 됨을 반복하여 벌컥거림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내용물의 토출이 일정하지 않아 많은 양의 내용물이 토출될 때는 내용물을 옮겨 담는 용기에 정확하게 옮길 수 없었으며 내용물이 강하게 토출될 때는 내용물이 다른 용기주변을 오염시키며 내용물을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점을 해소하기 위해 내용물이 주입되는 주입구 외에 저장용기의 상부 일측에는 별도의 공기 유입을 위한 공기유입구 및 공기유입구의 미사용시에는 공기유입구를 막는 마개를 더 구비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저장용기의 내부압력에 미치는 차이를 줄여줌으로써, 내용물이 벌컥거리지 않고 토출될 수 있도록 한 저장용기가 있다.
상기와 같은 예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13047호(명칭: 에어 캡 및 이를 구비하는 용기, 등록일자: 2012년 12월 11일)가 특허문헌으로 개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특허문헌과 같이 공기유입구의 추가적인 형성, 에어 캡의 별도제작에 따른 비용상승은 물론, 에어 캡의 결합부분에 대한 누수부분에도 2차적으로 신경을 써야하고, 이러한 부분이 많아질수록 저장용기의 운반, 취급에 있어 상기 공기유입구 측으로 액체가 새어나올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제반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내용물을 주입하는 입구부에 에어 통기부를 마련하여 액체의 주입 저장시 또는 배출시 용기 내부의 압력차로 인해 급격히 내용물이 토출되는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에어 통기부를 구비한 저장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하면, 액상의 내용물을 담기 위한 통체 형상으로 상부에 주입구 및 주입구에 나사체결으로 체결되는 마개가 구비되고, 상부 일측에 손잡이가 적용된 저장용기에 있어서, 상기 저장용기의 주입구 내경에는 내용물의 토출시 외부로부터 공기를 저장용기의 내부로 유입시켜 저장용기의 내부 압력이 낮아짐을 방지하는 에어 통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주입구의 내경에는 에어 통기부재를 내경에 밀착 고정하기 위한 지지돌부가 대향되게 형성되고, 상기 에어 통기부재가 위치되는 내경에는 요홈이 형성되며, 상기 에어 통기부재는 주입구의 내경에 일치되는 호 형상으로, 상부 양측은 상기 지지돌부에 양측이 지지되고, 내경과 밀착되는 일측에는 상기 요홈에 안내되는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된 고정부 및 고정부의 하부에는 수직으로 연장되며 단부가 라운드 형상으로 굽어진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한편, 고정부의 상부로부터 가이드부의 단부를 관통하는 통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통공부에는 연질의 에어공급관이 관통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에어통기부재는 주입구의 상부에 안착되는 원형의 걸림턱 및 주입구의 내경에 삽입되는 관부가 형성되고, 관부의 내경 일측에는 하부에는 수직으로 연장되며 단부가 라운드 형상으로 굽어진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한편, 관부의 내경에는상부로부터 가이드부의 단부를 관통하는 통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통공부에는 연질의 에어공급관이 관통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관부의 하단 양측에는 주입구가 형성되는 저장용기의 내측 경계부위에 걸려 관부를 지지하는 'ㄴ'자 형의 걸림편이 절곡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저장용기는, 저장용기에 주입구와 별도로 에어 공급을 위한 기존의 방식에 비해 개별 제작성과 이들의 간단한 조합으로써, 하나의 주입구에서 내용물은 배출되고, 공기는 에어 통기부재를 통해 저장용기의 내부로 진입하는 구조로서 저장용기 내부압력이 순간적으로 낮아지는 것을 방지케 함으로써, 제품의 제작, 조합, 사용부분에서도 유용하며, 특히 주입구측 마개의 밀폐에 의해 저장용기를 밀봉시킬 수 있기 때문에 주입구 외에 기밀부분 추가에 따른 기존방식에서 나타나는 불량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인 저장용기 및 에어 통기부재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에어 통기부재가 적용된 저장용기를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저장용기를 기울여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시키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에어 통기부재를 저장용기에 적용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도 5에서 에어 통기부재가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의 에어 통기부재를 저장용기에 적용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8은 도 7에서 에어 통기부재가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고안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을 첨부된 도 1 내지 4를 참고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액상의 내용물을 담기 위한 통체 형상으로, 상부에 주입구(11) 및 주입구에 나사체결으로 체결되는 마개(12)가 구비되고, 상부 일측에 손잡이(13)가 적용된 저장용기(10)에 있어서,
상기 저장용기(10)의 주입구(11) 내경에는 내용물의 토출시 외부로부터 공기를 저장용기(10)의 내부로 유입시켜 저장용기의 내부 압력이 낮아짐을 방지하는 에어 통기부재(20)가 결합된다.
상기 주입구(11)의 내경에는 에어 통기부재(12)를 내경에 밀착 고정하기 위한 지지돌부(11a)가 대향되게 형성되고, 상기 에어 통기부재(20)가 위치되는 내경에는 요홈(11b)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돌부는 반구형의 단면형상으로 1.5~2mm로 돌출 형성되도록 한다. 이는 상기 에어 통기부재의 양측 단부를 주입구의 내경에서 강압적으로 결합하기 위함이다.
상기 에어 통기부재(20)는 주입구(11)의 내경에 일치되도록 일측은 평평한 면을 갖고, 다른 일측은 호 형상의 고정부(21)와 가이드부(22)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부(21)의 양측은 상기 지지돌부(11a)에 양측이 지지되고, 내경과 밀착되는 일측에는 상기 요홈(11b)에 안내되는 결합돌기(21a)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부(22)는 고정부(21)의 하부에 수직으로 연장되며, 그 단부가 라운드 형상으로 굽어진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부(22)의 굽어진 단부는 후술하는 에어공급관(24)이 가이드부(22)를 관통하여 경사진 상태로 위치시키기 위함이다. 상기 에어공급관(24)이 경사진 상태로 가이드부(22)를 관통한 이유는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에어 통기부재(20)는 고정부(21)의 상부로부터 가이드부(22)의 단부를 관통하는 통공부(23)가 형성되고, 상기 통공부(23)에는 연질의 에어공급관(24)이 관통 설치된다. 상기 에어공급관(24)은 무독성 실리콘 혹은 PE, PP소재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에어 통기부재(20)는, 첨부된 도 5 및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저장용기(10)의 주입구(11) 상부에 안착되는 원형의 걸림턱(25a) 및 주입구(11)의 내경에 삽입되는 관부(25)가 형성되고, 관부(25)의 내경 일측에는 하부에는 수직으로 연장되며 단부가 라운드 형상으로 굽어진 가이드부(22)가 형성되는 한편, 관부(25)의 내경에는 상부로부터 가이드부(22)의 단부를 관통하는 통공부(23)가 형성되고, 상기 통공부(23)에는 연질의 에어공급관(24)이 관통 설치된다.
한편, 첨부된 도 7 및 8은 또 다른 에어 통기부재를 나타낸 것으로, 이는 상기 관부(25)의 하단 양측에는 주입구(11)가 형성되는 저장용기의 내측 경계부위에 걸려 관부(25)를 지지하는 'ㄴ'자 형의 걸림편(25b)이 절곡 형성됨으로써, 주입구의 내경에 대한 에어 통기부재의 장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도면 중 부호 "W"는 내용물로 표기하기로 하고, 부호 10a는 저장용기의 내측 상부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에어 통기부를 구비한 저장용기의 작용을 기술하기로 한다.
저장용기(10)의 주입구(11)에 구비된 에어 통기부재(20)는 제작된 저장용기에 부착한 상태에서 액상의 내용물 포장, 운송, 판매 및 내용물(W)을 완전히 토출하기 이전까지 사용한다.
각각 제작된 저장용기(10)에 대해 에어 통기부재(20)는 쉽게 저장용기의 주입구(11)에 고정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에어 통기부재(20)는 통공부(23)에 연질의 에어공급관(24)을 삽입하되, 에어공급관(24)의 단부는 에어 통기부재(20)를 이루는 가이드부(22)의 라운드 진 단부측로부터 관통시켜주고, 선단측은 상기 고정부(21)의 통공부(23)에 일치되는 형태에서 고정한다. 여기서 에어공급관(24)의 고정이 느슨한 경우라면, 간단히 접착제를 이용하여 부착 고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준비된 에어 통기부재(20)는 가이드부(22)를 관통하고 있는 에어공급관(24)의 단부를 저장용기(10)의 주입구(11) 내경을 통해 진입시키되, 주입구의 내경에 마련된 지지돌부(11a)에는 고정부(21)의 양단이 걸려지는 형태가 되게 안내시켜 조합한다.
여기서 상기 주입구(11)의 내경측 요홈(11b)에는 고정부(21)의 결합돌기(21a)가 안내됨으로써 주입구(11)의 내경에 일측이 호 형상으로 된 고정부(21)가 밀착된 상태로 상기 요홈(11b), 결합돌기(21a) 및 지지돌부(11a)의 상호 유기적인 밀착 결합으로써, 에어 통기부재(20)를 주입구(11)에 간단히 조합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에어 통기부재(20)가 구비된 저장용기(10)는 내용물(W)이 채워진 상태로 제품 출시가 이루어지며, 사용상에 있어 마개(12)를 주입구(11)로부터 풀어 개방한 다음, 통상적으로 저장용기(10)의 손잡이(13)를 잡고 저장용기(10)를 들어 기울여 주면, 주입구(11)를 통해 내용물(W)을 토출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주입구(11)에 구비된 에어 통기부재(20)는 외부로부터 공기가 고정부(21)측의 통기부(23)에 관통 지지된 에어공급관(24)을 통해 공기가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토출되는 내용물(W)에 의해 저장용기의 주입구(11)가 순간 막힘으로써 발생하는 진공상태를 해제시켜 내부압력이 낮아지는 점을 방지하여 준다.
즉, 상기와 같은 점은 에어공급관(24)을 통해 들어온 공기는 기울어진 저장용기(10)의 내측 상부에 위치하여 저장용기를 첨부된 도 3과 같이 서서히 기울이는 각도부터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주입구가 하향으로 위치되는 각도까지 에어공급관(24)의 단부는 저장용기(10)의 내측 상부(10a)에 위치되어 공기를 유입되게 한다.
상기 에어공급관(24)은 가이드부(22)의 라운드진 단부를 관통하기 때문에 도면에서와 같은 각도를 유지하여 저장용기(10)의 내측 상부(10a)에 항상 위치되어 저장용기(10)가 기울어지는 만큼 저장용기의 빈공간에 공기를 유입시켜 잔존하는 공기의 압력이 내용물의 토출시 주입구(11)의 순간 막힘으로 인해 낮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는 내용물(W)의 토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 내용물 토출시 벌컥거림 현상을 없애 내용물이 불필요하게 주입구로부터 튀어나가 주변으로 퍼져 쏟아지는 사례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첨부된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에어 통기부재(20)를 저장용기(10)에 적용한 형태로써, 이는 일반적인 저장용기(10)의 주입구(11)와 같이 형성됨에 있어, 에어 통기부재(20)를 구성하는 걸림턱(25a)이 주입구(11)의 상단에 걸쳐질 수 있게 하고, 관부(25)는 주입구(11)의 내경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한 형태이다.
상기 관부(25)의 하부측 가이드부(22)는 상술한 바와 같이 통공부(23)를 통해 에어공급관(24)이 관통 설치된 것으로, 도 6에서와 같이 결합된다.
첨부된 도 7 및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관부(25)의 하단 양측에는 마련된 'ㄴ'자 형의 걸림편(25b)은 주입구(11)가 형성되는 저장용기의 내측 경계부위에 걸려 관부(25)를 지지하는 형태로도 조합이 가능하다.
상기 'ㄴ'자 형의 걸림편(25b)은 도 7에서와 같이 양측을 오므려 주입구에 삽입하면서 'ㄴ'자 형의 걸림편(25b)이 저정용기의 내측에서 걸려지도록 한 것으로, 간단히 에어 통기부재(20)의 설치 및 해체가 가능한 타입이다.
상기와 같이 도 5 및 도 7에서 실시된 모든 에어 통기부재(20)는 저장용기(10)의 주입구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한 것으로써, 첨부된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저장용기를 기울였을 때 에어공급관(24)을 통해 외부에서 공기가 저장용기로 유입되게 함으로써, 저장용기의 내부압력이 낮아짐을 방지시켜 내용물의 토출이 순간적으로 주입구로부터 막혔다 개방되는 형태로 쏟아지는 사례를 방지하면서 안정적으로 토출시킬 수 있게 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고안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고안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고안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저장용기 11: 주입구
11a: 지지돌부 11b: 요홈
12: 마개 20: 에어 통기부재
21: 고정부 21a: 결합돌기
22: 가이드부 23: 통공부
24: 에어공급관 25: 관부
25a: 걸림턱 25b: 걸림편
W: 내용물

Claims (4)

  1. 액상의 내용물을 담기 위한 통체 형상으로, 상부에 주입구(11) 및 주입구에 나사체결으로 체결되는 마개(12)가 구비되고, 상부 일측에 손잡이(13)가 적용된 저장용기(10)에 있어서,
    상기 저장용기(10)의 주입구(11) 내경에는 내용물의 토출시 외부로부터 공기를 저장용기(10)의 내부로 유입시켜 저장용기의 내부 압력이 낮아짐을 방지하는 에어 통기부재(20)를 포함하고,
    상기 주입구(11)의 내경에는 에어 통기부재(12)를 내경에 밀착 고정하기 위한 지지돌부(11a)가 대향되게 형성되고, 상기 에어 통기부재(20)가 위치되는 내경에는 요홈(11b)이 형성되며,
    상기 에어 통기부재(20)는 주입구(11)의 내경에 일치되는 호 형상으로, 상부 양측은 상기 지지돌부(11a)에 양측이 지지되고, 내경과 밀착되는 일측에는 상기 요홈(11b)에 안내되는 결합돌기(21a)가 돌출 형성된 고정부(21) 및 고정부(21)의 하부에는 수직으로 연장되며 단부가 라운드 형상으로 굽어진 가이드부(22)가 형성되는 한편, 고정부(21)의 상부로부터 가이드부(22)의 단부를 관통하는 통공부(23)가 형성되고, 상기 통공부(23)에는 연질의 에어공급관(24)이 관통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통기부를 구비한 저장용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통기부재(20)는, 주입구(11)의 상부에 안착되는 원형의 걸림턱(25a) 및 주입구(11)의 내경에 삽입되는 관부(25)가 형성되고, 관부(25)의 내경 일측에는 하부에는 수직으로 연장되며 단부가 라운드 형상으로 굽어진 가이드부(22)가 형성되는 한편, 관부(25)의 내경에는 상부로부터 가이드부(22)의 단부를 관통하는 통공부(23)가 형성되고, 상기 통공부(23)에는 연질의 에어공급관(24)이 관통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통기부를 구비한 저장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관부(25)의 하단 양측에는 주입구(11)가 형성되는 저장용기의 내측 경계부위에 걸려 관부(25)를 지지하는 'ㄴ'자 형의 걸림편(25b)이 절곡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통기부를 구비한 저장용기.
KR2020160000885U 2016-02-19 2016-02-19 에어 통기부를 구비한 저장용기 KR2004807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0885U KR200480748Y1 (ko) 2016-02-19 2016-02-19 에어 통기부를 구비한 저장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0885U KR200480748Y1 (ko) 2016-02-19 2016-02-19 에어 통기부를 구비한 저장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0748Y1 true KR200480748Y1 (ko) 2016-07-04

Family

ID=56499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0885U KR200480748Y1 (ko) 2016-02-19 2016-02-19 에어 통기부를 구비한 저장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074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1449U (ko) * 2016-11-07 2018-05-16 양수만 결합이 용이하면서 액체가 배출될 때 임의로 분리되지 않게 결합되는 액체용기용 공기순환 패킹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0093U (ko) * 2012-06-28 2014-01-07 양수만 내용물의 배출을 용이토록 하는 액체용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0093U (ko) * 2012-06-28 2014-01-07 양수만 내용물의 배출을 용이토록 하는 액체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1449U (ko) * 2016-11-07 2018-05-16 양수만 결합이 용이하면서 액체가 배출될 때 임의로 분리되지 않게 결합되는 액체용기용 공기순환 패킹
KR200487158Y1 (ko) * 2016-11-07 2018-08-14 양수만 결합이 용이하면서 액체가 배출될 때 임의로 분리되지 않게 결합되는 액체용기용 공기순환 패킹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32546B1 (en) Air deodorizer
RU2680419C2 (ru) Емкость и набор преформ для формования емкости
JP5410661B2 (ja) 骨セメント混合装置
US6568427B2 (en) Connector for fluid container
KR20070080563A (ko) 용기에서 타이어 밀봉재를 꺼내는 장치
RU2014102230A (ru) Укупорочное средство емкости, содержащее средство для введения добавки в содержимое емкости
JP2018503032A (ja) 液体ガスボトルの接続具と充填方法
KR200480748Y1 (ko) 에어 통기부를 구비한 저장용기
US20140226922A1 (en) Vented fitment for flexible pouch
RU2678671C1 (ru) Крышка с вентиляционной системой
KR101504428B1 (ko) 용기 마개
ES2275047T3 (es) Dispositivo de cierre para depositos de combustible.
KR200497215Y1 (ko) 액상 내용물 포장 용기용 마개
KR200400170Y1 (ko) 수목의 밀폐 압력식 수간주입기
CN104859934A (zh) 可伸缩侧划口吸嘴盖
FR2655955A1 (fr) Valve pour bouteilles a gaz sous pression non rechargeable et emballage equipe d'une telle valve.
KR20140002121U (ko) 공기제어형진공뚜껑
KR101622129B1 (ko) 충진밸브 어셈블리
KR20140037589A (ko) 내용물 산화방지용 마개
CN209476488U (zh) 一种喷射阀的液体流道组件
KR200413393Y1 (ko) 개폐 가능한 통기구멍이 구비된 용기
JP2017158555A (ja) ココナツを提供する方法及びココナツ製品
KR200487158Y1 (ko) 결합이 용이하면서 액체가 배출될 때 임의로 분리되지 않게 결합되는 액체용기용 공기순환 패킹
JP6401734B2 (ja) 空気栓および空気袋製品
TWM535594U (zh) 尿素注液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