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7165Y1 - 꽃꽂이 장치 - Google Patents
꽃꽂이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77165Y1 KR200277165Y1 KR2020020008296U KR20020008296U KR200277165Y1 KR 200277165 Y1 KR200277165 Y1 KR 200277165Y1 KR 2020020008296 U KR2020020008296 U KR 2020020008296U KR 20020008296 U KR20020008296 U KR 20020008296U KR 200277165 Y1 KR200277165 Y1 KR 200277165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ucket
- water
- stem
- flower
- absorbent material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줄기가 짧은 꽃송이를 오래 보관하기 위해 줄기가 물통에 잠겨 있도록 하고 물이 모자랄 경우 물을 뿌려주면 물통으로 물이 스며들어 물을 보충하는데 시간이 많이 걸리지 않으며 특히 꽃꽂이할 때 짧은 줄기를 길게 연장시켜 줄 수 있는 줄기연장막대를 마련하여 물통이 줄기연장막대에 꼽혀 세워지도록 함으로써, 줄기가 짧은 꽃송이의 활용성이 향상되어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는 꽃꽂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꽃송이의 줄기가 꼽히는 물통과 물통에 내장되어 줄기를 잡아주는 흡수재를 갖는 꽃꽂이 장치에 있어서, 흡수재와 물통 사이에 끼워져 물이 흡수재를 통해 물통 내부로 흘러 들어갈 때 물통 내부의 공기가 배기 되어 물이 원활히 흘러들도록 안내하는 배기구가 구비되고, 물통의 외주면을 잡아주는 한쌍의 탄성편을 갖는 줄기연장막대가 구비되어 줄기연장막대를 수반에 꼽으면 꽃송이를 원하는 높이와 위치로 배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꽃꽂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꽃송이의 줄기를별도의 물통에 꼽아 꽃이 시들지 않고 오래 보존되도록 하고 또한 물통이 끼워지는 줄기연장막대를 마련함으로써, 꽃꽂이할 때 줄기연장막대가 꽃송이의 줄기 역할을 하게되어 줄기가 짧은 꽃송이를 수반(꽃꽂이용 물 쟁반)으로부터 높게 장식할 수 있는 꽃꽂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꽃을 꺾어 유통시킬 때 꽃송이가 시들지 않도록 줄기부분을 물통에 담가 주었다. 그러나 유통기간이 길어질 경우 물이 줄어들어 꽃송이가 시들게 됨으로 줄기를 물통에서 뽑은 뒤 물을 재충전해야 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물이 줄어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물통을 크게 할 경우 외관상 좋지 않으며 장기간 보관할 경우 물이 썩어 꽃이 쉽게 시드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꽃을 대량으로 유통시키는 경우 꽃송이마다 물통의 물을 갈아주는데 시간이 많이 걸림으로 물통을 크게 하는 것만으로는 문제를 해결할 수 없었다.
그리고 줄기가 짧은 꽃송이는 꽃꽂이를 하는데 제약이 따랐다. 줄기가 짧기 때문에 꽃송이를 수반에서 높게 올려 줄 수 없으며 꽃송이의 높이가 한정됨으로 다양한 형태의 꽃꽂이를 할 수 없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자는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꽃송이 부분만을 따로 포장할 수 있으며 포장된 꽃송이로 물을 공급하여 꽃송이가 시들지 않고 오래 보관되도록 한 꽃 포장 케이스를 실용신안등록 제183113호로 등록한 바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선 등록된 꽃 포장 케이스의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서, 줄기가 짧은 꽃송이를 오래 보관하기 위해 줄기가 물통에 잠겨 있도록 하고 물이 모자랄 경우 물을 뿌려주면 물통으로 물이 스며들어 물을 보충하는데 시간이 많이 걸리지 않으며 특히 꽃꽂이할 때 짧은 줄기를 길게 연장시켜 줄 수 있는 줄기연장막대를 마련하여 물통이 줄기연장막대에 꼽혀 세워지도록 함으로써, 줄기가 짧은 꽃송이의 활용성이 향상되어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는 꽃꽂이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 꽃꽂이 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2a,b는 본 고안 꽃꽂이용 물통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 줄기연장막대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 꽃꽂이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 꽃송이 2 : 줄기
3 : 물통 4 : 흡수재
5 : 배기구 6 : 줄기연장막대
7 : 탄성편 8 : 수반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꽃송이의 줄기가 꼽히는 물통과 물통에 내장되어 줄기를 잡아주는 흡수재를 갖는 꽃꽂이 장치에 있어서, 흡수재와 물통 사이에 끼워져 물이 흡수재를 통해 물통 내부로 흘러 들어갈 때 물통 내부의 공기가 배기 되어 물이 원활히 흘러들도록 안내하는 배기구가 구비되고, 물통의 외주면을 잡아주는 한쌍의 탄성편을 갖는 줄기연장막대가 구비되어 줄기연장막대를 수반에 꼽으면 꽃송이를 원하는 높이와 위치로 배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 꽃꽂이 장치의 분리 사시도 이고, 도 2a는 본 고안 꽃꽂이용 물통의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꽃꽂이장치는 꽃송이(1)의 줄기(2)가 꼽히는 물통(3)이 구비된다. 물통(3)은 줄기(2)의 대부분이 꼽히도록 깊게 형성되며 입구는 넓고 바닥은 좁은 원추형 통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물통(3)의 중간 부분에는 물 흡수능력이 우수한 솜 또는 스폰지 등으로 구성된 흡수재(4)가 구비된다.
줄기(2)는 흡수재(4)를 뚫고 물통(3)의 바닥에 닿는다. 물통(3)은 흡수재(4)에 의해 그 내부 바닥이 막힌 상태가 되어 물의 자연증발을 막는다. 그리고 흡수재(4)와 물통(3)의 내주면 사이에 작은 직경의 배기구(5)가 마련된다. 배기구(5)는 물통(3)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켜 물이 흡수재(4)를 통하여 물통(3) 내부로 원활히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기능을 갖는다. 배기구(5)는 직경이 작기 때문에 물은 통과하지 못함으로 물통(3)을 뒤집어도 물이 빠져 나오지 못한다.
도 2b는 본 고안 다른 실시예의 꽃꽂이용 물통의 단면도로서, 물통(3)의 외주면에 작은 직경의 배기구멍(5a)이 형성된다. 이 배기구멍(5a)은 직경이 작기 때문에 물은 빠져나가지 못하고 공기만 배기되도록 형성된 것이며 흡수재(4) 직하부에 위치된다. 따라서 별도의 배기구(5)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물통의 물이 흡수재(4)를 통하여 물통(3) 내부로 유입된다.
도 3은 본 고안 줄기연장막대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줄기(2)가 짧은 꽃을 꽃꽂이하기 위해 줄기연장막대(6)가 구비된다. 줄기연장막대(6)는 줄기(2)가 담긴 물통(3)을 잡아주기 위해 평단면이 삼각형 또는 원형을 이루는 한쌍의 탄성편(7)이 구비된다. 이들 탄성편(7)은 줄기연장막대(6)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탄성편(7)의 사이로 물통(3)을 끼우면 꽃송이(1)의 줄기(2)가 연장된다.
이처럼 구성된 본 고안은 물통(3)의 중간에 흡수재(4)를 끼운 뒤 줄기(2)를 물통(3)에 꼽거나 또는 줄기(2)에 흡수재(4)를 감은 뒤 줄기(2)를 물통(3)에 꼽아 흡수재(4)가 물통(3)에 장착되도록 해준다. 그리고 흡수재(4)와 물통(3)의 사이에 배기구(5)를 연결하여 물통(3)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해준다.
물통(3)에 흡수재(4)와 줄기(2)를 꼽은 뒤 물을 주입하면 물통(3) 상부의 물이 흡수재(4)를 통하여 물통(3) 내부로 흘러들어 줄기(2)가 물에 잠긴다. 물통(3) 내부로 물이 흘러드는 동안 물통(3) 내부의 공기는 배기구(5)를 통해 외부로 배기 됨으로 물이 물통(3) 내부로 원활하게 흘러든다.
꽃송이(1)를 다량으로 유통시키는 과정에서 물통(3) 내부의 물이 전부 소모되면 꽃송이(1)들로 물을 뿌려준다. 이때 물은 꽃송이(1)와 줄기(2)를 타고 물통(3) 상부로 모인 뒤 흡수재(4)를 통하여 물통(3) 내부로 들어감으로 많은 량의 물통(3)을 동시에 급수할 수 있다.
도 4는 꽃꽂이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줄기연장막대(6)의 탄성편(7) 사이로 물통(3)을 밀어 넣어 줄기연장막대(6)와 물통(3)이 서로 연결되도록 해준다. 탄성편(7)이 휨변형된 상태로 물통(3)을 잡고 있기 때문에 줄기연장막대(6)와 물통(3)이 서로 연결되며 줄기연장막대(6)의 하단을 수반(8)에 꼽아주면 원하는 방향과 높이로 꽃송이(1)를 배치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물통 내부에 흡수재를 장착하고 줄기가 흡수재를 관통하여 물통에 꼽히도록 해주면 줄기가 짧은 꽃송이를 물통에 꼽아 보관 유통시킬 수 있다. 그리고 물이 줄어들면 분무기 같은 것으로 물을 살수하여 물이 꽃송이와 줄기를 타고 물통에 고이도록 해준다. 이처럼 고인 물은 흡수재를 타고 물통 내부로 들어가 줄기가 물을 빨아들일 수 있게 됨으로 다량의 꽃에 급수를신속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물통에 줄기연장막대를 연결해 주면 꽃송이의 줄기가 길어지게 됨으로 꽃꽂이할 때 원하는 높이와 위치로 꽃송이를 배치할 수 있어서 줄기가 짧은 꽃송이의 활용성을 높일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1)
- 꽃송이(1)의 줄기(2)가 꼽히는 물통(3)과 물통(3)에 내장되어 줄기(2)를 잡아주는 흡수재(4)를 갖는 꽃꽂이 장치에 있어서,흡수재(4)와 물통(3) 사이에 끼워져 물이 흡수재(4)를 통해 물통(3) 내부로 흘러 들어갈 때 물통(3) 내부의 공기가 배기 되어 물이 원활히 흘러들도록 안내하는 배기구(5)가 구비되고,물통(3)의 외주면을 잡아주는 한쌍의 탄성편(7)을 갖는 줄기연장막대(6)가 구비되어 줄기연장막대(6)를 수반(8)에 꼽으면 꽃송이(1)를 원하는 높이와 위치로 배치할 수 있는 꽃꽂이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20008296U KR200277165Y1 (ko) | 2002-03-20 | 2002-03-20 | 꽃꽂이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20008296U KR200277165Y1 (ko) | 2002-03-20 | 2002-03-20 | 꽃꽂이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77165Y1 true KR200277165Y1 (ko) | 2002-05-30 |
Family
ID=73119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20008296U KR200277165Y1 (ko) | 2002-03-20 | 2002-03-20 | 꽃꽂이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77165Y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74274Y1 (ko) * | 2013-02-25 | 2014-09-02 | 김성환 | 꽃꽂이대 |
WO2022255559A1 (ko) * | 2021-06-02 | 2022-12-08 |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 선도유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선도유지 방법 |
KR20220002910U (ko) | 2021-06-03 | 2022-12-12 | 강현규 | 꽃꽂이 받침대 |
-
2002
- 2002-03-20 KR KR2020020008296U patent/KR200277165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74274Y1 (ko) * | 2013-02-25 | 2014-09-02 | 김성환 | 꽃꽂이대 |
WO2022255559A1 (ko) * | 2021-06-02 | 2022-12-08 |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 선도유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선도유지 방법 |
KR20220163050A (ko) * | 2021-06-02 | 2022-12-09 |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 선도유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선도유지 방법 |
KR102646425B1 (ko) * | 2021-06-02 | 2024-03-12 | 대한민국 | 선도유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선도유지 방법 |
KR20220002910U (ko) | 2021-06-03 | 2022-12-12 | 강현규 | 꽃꽂이 받침대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3816444B2 (ja) | 植物の栽培状態を改善するための成形体 | |
US4030664A (en) | Spraying and watering can | |
KR200277165Y1 (ko) | 꽃꽂이 장치 | |
CN209824534U (zh) | 一种可拆卸的陶瓷花盆 | |
KR20160120123A (ko) | 화분용 급수장치 | |
KR200481721Y1 (ko) | 수분증발을 이용한 수분공급화분 | |
KR102207404B1 (ko) | 이중 화분 | |
US20080052993A1 (en) | Flowerpot Having Automatic Water Feed Function | |
KR101851158B1 (ko) | 급수 기능을 갖는 난초 재배용 화분 | |
KR200461692Y1 (ko) | 가습기능이 구비된 화분받침대 | |
KR200246644Y1 (ko) | 화분 | |
JP3167907U (ja) | 植木鉢および栽培セット | |
KR200251469Y1 (ko) | 저수조가 내장된 화분 | |
JPH11168982A (ja) | 植木鉢 | |
KR200457473Y1 (ko) | 화분 | |
JP3143518U (ja) | 二重植木鉢及び二重植木鉢用外鉢 | |
KR20200013181A (ko) | 화분 포트 | |
CN217905329U (zh) | 一种花盆 | |
KR200445407Y1 (ko) | 화초에 물주는 것이 용이한 물컵 | |
JP3055023U (ja) | 植木鉢の給水具 | |
JP3236838U (ja) | 吸水鉢 | |
KR200180078Y1 (ko) | 물받이통을 갖는 화분 장식용기 | |
KR200324585Y1 (ko) | 난분용 수분공급유닛 | |
KR200278197Y1 (ko) | 식물재배용 화분용기 | |
CN210470406U (zh) | 一种免浇水的陶瓷花盆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60119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