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6276B1 - 새로운 사람을 소개해주는 영상통화의 통화시간을 공평하게 과금하는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새로운 사람을 소개해주는 영상통화의 통화시간을 공평하게 과금하는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6276B1
KR102646276B1 KR1020190135193A KR20190135193A KR102646276B1 KR 102646276 B1 KR102646276 B1 KR 102646276B1 KR 1020190135193 A KR1020190135193 A KR 1020190135193A KR 20190135193 A KR20190135193 A KR 20190135193A KR 102646276 B1 KR102646276 B1 KR 1026462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call
terminal
user
information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51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0765A (ko
Inventor
최지선
유동근
Original Assignee
라인플러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인플러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라인플러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351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6276B1/ko
Priority to US17/078,662 priority patent/US11558721B2/en
Priority to JP2020180499A priority patent/JP2021072625A/ja
Publication of KR202100507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07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62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62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4Accounting or bi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82Criteria or parameters used for performing billing operations
    • H04M15/8207Time based data metric aspects, e.g. VoIP or circuit switched packet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06V40/168Feature extraction; Face represent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41Billing record details, i.e. parameters, identifiers, structure of call data record [CD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56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for VoIP commun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59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based on real ti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66Policy and charging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70Administration or customization aspects; Counter-checking correct charges
    • H04M15/72Administration or customization aspects; Counter-checking correct charges by the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70Administration or customization aspects; Counter-checking correct charges
    • H04M15/72Administration or customization aspects; Counter-checking correct charges by the user
    • H04M15/721Administration or customization aspects; Counter-checking correct charges by the user using the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70Administration or customization aspects; Counter-checking correct charges
    • H04M15/745Customizing according to wishes of subscriber, e.g. friends or fami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80Rating or billing plans; Tariff determination aspects
    • H04M15/8066According to the number of recipients
    • H04M15/8072Group, conference or multi-party cal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82Criteria or parameters used for performing billing op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82Criteria or parameters used for performing billing operations
    • H04M15/8278Event bas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83Notification asp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7Communication arrangements, e.g. identifying the communication as a video-communication, intermediate storage of th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15/00Metering arrangements; Time controlling arrangements; Time indicating arrangements
    • H04M2215/01Details of billing arrangements
    • H04M2215/0168On line or real-time flexible customization or negotiation according to wishes of subscrib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15/00Metering arrangements; Time controlling arrangements; Time indicating arrangements
    • H04M2215/01Details of billing arrangements
    • H04M2215/018On-line real-time billing, able to see billing information while in communication, e.g. via the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15/00Metering arrangements; Time controlling arrangements; Time indicating arrangements
    • H04M2215/01Details of billing arrangements
    • H04M2215/0188Network monitoring; statistics on usage on called/calling numb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15/00Metering arrangements; Time controlling arrangements; Time indicating arrangements
    • H04M2215/14Billing aspects relating to the actual charge
    • H04M2215/143Non communication time, i.e. billing the user for the actual time used by the service, not for the time awaiting responses due to network problems; Billing the user when there is a satisfied Q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15/00Metering arrangements; Time controlling arrangements; Time indicating arrangements
    • H04M2215/74Rating aspects, e.g. rating parameters or tariff determination apects
    • H04M2215/7478According to the number of recipients
    • H04M2215/7485Group call; Conference call; Multi Party Cal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15/00Metering arrangements; Time controlling arrangements; Time indicating arrangements
    • H04M2215/78Metric asp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Meter Arrangement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로 구현되는 과금 방법은, 영상통화가 연결된 상대방 단말과 관련된 영상 데이터를 영상통화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영상통화 화면에 표시된 상대방 단말과 관련된 영상 데이터를 통하여 상기 상대방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반응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 및 기 설정된 과금 정책에 기반하여 상기 인식된 상대방 단말의 반응 정보에 대한 과금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새로운 사람을 소개해주는 영상통화의 통화시간을 공평하게 과금하는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TO CHARGE THE TALK TIME OF VIDEO CALL FAIRLY THAT INTRODUCES NEW PERSON}
아래의 설명은 영상통화의 통화시간에 따라 과금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통신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휴대폰 등과 같은 휴대형 통신 기기뿐만 아니라 TV와 같은 대형 전자 기기들에도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영상 통화 서비스는 발신 단말로부터 영상 통화 호가 시도되면, 기지국/기지국 제어기를 통해 교환기로 호 시도 메시지가 전송되며, 교환기는 홈 위치 등록기를 통해 착신 단말로의 라우팅 정보를 획득하여 착신측 교환기를 통해 착신 단말과 세션 설정을 수행한다. 이러한 과정에 따라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은 오디오 및 영상의 송수신을 통해 서로 상대방의 얼굴을 보면서 영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온라인에서 만남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새로운 사람을 만나는 빈도가 점점 증가하고 있다. 온라인에서 새로운 사람을 만나기 위하여 영상통화를 수행할 때, 통화 시간당 과금이 부가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영상통화 중 상대방의 반응이 없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통화 시간당 과금되기 때문에 과금이 부과되는 유저들에게 불공평한 점이 존재한다.
새로운 사람을 소개해주는 영상통화의 통화시간을 공평하게 과금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영상통화 중에 인식된 상대방 단말의 반응 정보에 기초하여 과금 데이터의 생성을 중단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컴퓨터로 구현되는 과금 방법은, 영상통화가 연결된 상대방 단말과 관련된 영상 데이터를 영상통화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영상통화 화면에 표시된 상대방 단말과 관련된 영상 데이터를 통하여 상기 상대방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반응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 및 기 설정된 과금 정책에 기반하여 상기 인식된 상대방 단말의 반응 정보에 대한 과금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금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대방 단말의 반응 정보에 따라 과금 데이터를 부가하기 위한 과금 정책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금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상대방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반응 정보가 부재하거나 기 설정된 시간 미만 인식되는 경우, 상기 설정된 과금 정책에 기초하여 부과되는 과금 데이터의 생성을 중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금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상대방 단말의 반응 정보가 인식된 시간 정보를 카운트하고, 상기 설정된 과금 정책에 따라 상기 카운트된 시간 정보에 대한 과금 데이터의 생성 또는 중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통화 화면에 표시되는 상대방 단말과 관련된 영상 데이터를 통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에 인식되는 상대방 사용자의 얼굴 정보, 상대방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 또는 상대방 사용자의 텍스트 데이터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상대방 단말의 반응 정보에 대한 인식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상대방 사용자의 얼굴 정보가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얼굴 인식이 감지되지 않을 경우, 상기 상대방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에 대한 음성 인식을 수행하고, 상기 상대방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가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음성 인식이 감지되지 않을 경우, 상기 상대방 사용자의 텍스트 데이터에 대한 텍스트 입력 인식을 수행하고, 상기 상대방 사용자의 텍스트 데이터가 기 설정된 시간 이상 텍스트 입력 인식이 감지되지 않을 경우, 상기 상대방 사용자의 반응 정보의 부재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상대방 사용자의 얼굴 정보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영역 정보의 비율 정보에 따라 상대방 사용자의 얼굴 정보에 대한 반응 정보를 인식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통화 중에 발생하는 음성 데이터로부터 상대방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를 구분하여 상대방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에 대한 반응 정보가 입력된 것으로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통화 화면에 메시지를 입력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되는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대방 사용자의 텍스트 데이터가 입력된 것으로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금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통화 화면에 표시된 단말의 사용자의 반응 정보가 인식되고, 상기 영상통화 화면에 표시된 상대방 단말의 반응 정보가 미인식될 경우, 상기 상대방 단말의 반응 정보가 인식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여 과금 데이터의 생성을 중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통화의 연결 요청에 탐색된 상대방 단말과 영상통화로 연결됨에 따라 상기 영상통화 화면에 상기 영상통화가 연결된 상대방 단말과 관련된 영상 데이터를 일정시간 동안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통화로 연결된 상대방 단말의 상대방 사용자가 확인됨에 따라 상기 영상통화 중에 아이템을 이용하여 상기 상대방 단말과의 영상통화 시간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통화 중에 사용된 아이템에 설정된 영상통화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상대방 단말의 반응 정보의 인식을 수행한 결과 정보에 따라 상대방 단말과의 영상통화 연결 시간을 카운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상대방 단말과의 영상통화가 연결됨에 따라 영상통화 모드가 동작하고, 상기 동작되는 영상통화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상대방 단말과 관련된 영상 데이터를 영상통화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상대방 단말과의 영상통화가 연결됨에 따라 동작되는 영상통화 모드가 보이스 모드로 전환될 경우, 상기 영상통화 화면을 종료하여 상기 보이스 모드로 전환된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과금 데이터의 생성을 중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과금 방법을 상기 컴퓨터 시스템에 실행시키기 위해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로 구현되는 과금 시스템은, 영상통화가 연결된 상대방 단말과 관련된 영상 데이터를 영상통화 화면에 표시하는 영상통화 표시부; 상기 영상통화 화면에 표시된 상대방 단말과 관련된 영상 데이터를 통하여 상기 상대방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반응 정보를 인식하는 반응 인식부; 및 기 설정된 과금 정책에 기반하여 상기 인식된 상대방 단말의 반응 정보에 대한 과금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금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금 생성부는, 상대방 단말의 반응 정보에 따라 과금 데이터를 부가하기 위한 과금 정책을 설정하고, 상기 상대방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반응 정보가 부재하거나 기 설정된 시간 미만 인식되는 경우, 상기 설정된 과금 정책에 기초하여 부과되는 과금 데이터의 생성을 중단할 수 있다.
상기 반응 인식부는, 상기 영상통화 화면에 표시되는 상대방 단말과 관련된 영상 데이터를 통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에 인식되는 상대방 사용자의 얼굴 정보, 상대방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 또는 상대방 사용자의 텍스트 데이터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상대방 단말의 반응 정보에 대한 인식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영상통화 표시부는, 상기 영상통화로 연결된 상대방 단말의 상대방 사용자가 확인됨에 따라 상기 영상통화 중에 아이템을 이용하여 상기 상대방 단말과의 영상통화 시간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과금 생성부는, 상기 영상통화 중에 사용된 아이템에 설정된 영상통화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상대방 단말의 반응 정보의 인식을 수행한 결과 정보에 따라 상대방 단말과의 영상통화 연결 시간을 카운트할 수 있다.
영상통화 화면에 표시되는 상대방 단말과 관련된 영상 데이터를 통하여 상대방 단말의 반응 정보를 인식하여 실질적으로 영상통화가 발생한 시간을 공평하게 과금할 수 있다.
영상통화가 연결된 상대방의 반응 정보를 인식함에 따라 과금 데이터를 생성 또는 중단함으로써 사용자의 만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전자 기기 및 서버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프로세서가 포함할 수 있는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가 수행할 수 있는 과금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간 영상통화가 수행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에서 아이템을 사용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에서 상대방 단말의 반응 정보를 인식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에서 상대방 단말의 반응 정보에 기초하여 과금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의 네트워크 환경은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 복수의 서버들(150, 160) 및 네트워크(170)를 포함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도 1은 발명의 설명을 위한 일례로 전자 기기의 수나 서버의 수가 도 1과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은 컴퓨터 시스템으로 구현되는 고정형 단말이거나 이동형 단말일 수 있다.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의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 phone), 휴대폰, 내비게이션, 컴퓨터, 노트북, 디지털방송용 단말,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PC, 게임 콘솔(game console),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IoT(internet of things) 디바이스, VR(virtual reality) 디바이스, AR(augmented reality) 디바이스 등이 있다. 일례로 도 1에서는 전자 기기(110)의 예로 스마트폰의 형상을 나타내고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전자 기기(110)는 실질적으로 무선 또는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네트워크(170)를 통해 다른 전자 기기들(120, 130, 140) 및/또는 서버(150, 160)와 통신할 수 있는 다양한 물리적인 컴퓨터 시스템들 중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통신 방식은 제한되지 않으며, 네트워크(170)가 포함할 수 있는 통신망(일례로, 이동통신망,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방송망, 위성망 등)을 활용하는 통신 방식뿐만 아니라 기기들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역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170)는, PAN(personal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CAN(campus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BBN(broadband network),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중 하나 이상의 임의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170)는 버스 네트워크, 스타 네트워크, 링 네트워크, 메쉬 네트워크, 스타-버스 네트워크, 트리 또는 계층적(hierarchical) 네트워크 등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토폴로지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서버(150, 160) 각각은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과 네트워크(170)를 통해 통신하여 명령, 코드, 파일, 컨텐츠,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컴퓨터 장치 또는 복수의 컴퓨터 장치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50)는 네트워크(170)를 통해 접속한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로 제1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일 수 있으며, 서버(160) 역시 네트워크(170)를 통해 접속한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로 제2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서버(150)는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목적하는 서비스(일례로, 메시징 서비스 등)를 제1 서비스로서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로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서버(160)는 상술한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및 구동을 위한 파일을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로 배포하는 서비스를 제2 서비스로서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전자 기기 및 서버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에서는 전자 기기에 대한 예로서 전자 기기(110), 그리고 서버(150)의 내부 구성을 설명한다. 또한, 다른 전자 기기들(120, 130, 140)이나 서버(160) 역시 상술한 전자 기기(110) 또는 서버(150)와 동일한 또는 유사한 내부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전자 기기(110)와 서버(150)는 메모리(211, 221), 프로세서(212, 222), 통신 모듈(213, 223) 그리고 입출력 인터페이스(214, 224)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11, 221)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로서,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디스크 드라이브, SSD(solid state drive),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저장 장치(permanent mass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ROM, SSD, 플래시 메모리, 디스크 드라이브 등과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저장 장치는 메모리(211, 221)와는 구분되는 별도의 영구 저장 장치로서 전자 기기(110)나 서버(150)에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211, 221)에는 운영체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일례로 전자 기기(110)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브라우저나 특정 서비스의 제공을 위해 전자 기기(11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등을 위한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메모리(211, 221)와는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로부터 로딩될 수 있다. 이러한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는 플로피 드라이브, 디스크, 테이프, DVD/CD-ROM 드라이브, 메모리 카드 등의 컴퓨터에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컴퓨터에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가 아닌 통신 모듈(213, 223)을 통해 메모리(211, 221)에 로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개발자들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파일을 배포하는 파일 배포 시스템(일례로, 상술한 서버(160))이 네트워크(170)를 통해 제공하는 파일들에 의해 설치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일례로 상술한 어플리케이션)에 기반하여 메모리(211, 221)에 로딩될 수 있다.
프로세서(212, 222)는 기본적인 산술, 로직 및 입출력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명령은 메모리(211, 221) 또는 통신 모듈(213, 223)에 의해 프로세서(212, 222)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12, 222)는 메모리(211, 221)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수신되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 모듈(213, 223)은 네트워크(170)를 통해 전자 기기(110)와 서버(150)가 서로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전자 기기(110) 및/또는 서버(150)가 다른 전자 기기(일례로 전자 기기(120)) 또는 다른 서버(일례로 서버(160))와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전자 기기(110)의 프로세서(212)가 메모리(211)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생성한 요청이 통신 모듈(213)의 제어에 따라 네트워크(170)를 통해 서버(150)로 전달될 수 있다. 역으로, 서버(150)의 프로세서(222)의 제어에 따라 제공되는 제어 신호나 명령, 컨텐츠, 파일 등이 통신 모듈(223)과 네트워크(170)를 거쳐 전자 기기(110)의 통신 모듈(213)을 통해 전자 기기(110)로 수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모듈(213)을 통해 수신된 서버(150)의 제어 신호나 명령, 컨텐츠, 파일 등은 프로세서(212)나 메모리(211)로 전달될 수 있고, 컨텐츠나 파일 등은 전자 기기(110)가 더 포함할 수 있는 저장 매체(상술한 영구 저장 장치)로 저장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14)는 입출력 장치(215)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장치는 키보드, 마우스, 마이크로폰, 카메라 등의 장치를, 그리고 출력 장치는 디스플레이, 스피커, 햅틱 피드백 디바이스(haptic feedback device) 등과 같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입출력 인터페이스(214)는 터치스크린과 같이 입력과 출력을 위한 기능이 하나로 통합된 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도 있다. 입출력 장치(215)는 전자 기기(110)와 하나의 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서버(150)의 입출력 인터페이스(224)는 서버(150)와 연결되거나 서버(150)가 포함할 수 있는 입력 또는 출력을 위한 장치(미도시)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전자 기기(110)의 프로세서(212)가 메모리(211)에 로딩된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함에 있어서 서버(150)나 전자 기기(120)가 제공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구성되는 서비스 화면이나 컨텐츠가 입출력 인터페이스(214)를 통해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들에서 전자 기기(110) 및 서버(150)는 도 2의 구성요소들보다 더 많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종래기술적 구성요소들을 명확하게 도시할 필요성은 없다. 예를 들어, 전자 기기(110)는 상술한 입출력 장치(215)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도록 구현되거나 또는 트랜시버(transceiver),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카메라, 각종 센서, 데이터베이스 등과 같은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전자 기기(110)가 스마트폰인 경우,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이 포함하고 있는 가속도 센서나 자이로 센서, 카메라 모듈, 각종 물리적인 버튼, 터치패널을 이용한 버튼, 입출력 포트, 진동을 위한 진동기 등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이 전자 기기(110)에 더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전자 기기(110)는 컴퓨터로 구현된 과금 시스템이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과금 시스템은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프로그램 형태로 구현되거나, 혹은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인-앱(in-app)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동작이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 서버(150)와의 연동을 통해 과금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프로세서가 포함할 수 있는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가 수행할 수 있는 과금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전자 기기의 프로세서(212)는 영상통화 표시부(310), 반응 인식부(320) 및 과금 생성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서(212)의 구성요소들은 전자 기기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가 제공하는 제어 명령에 따라 프로세서(212)에 의해 수행되는 서로 다른 기능들(different functions)의 표현들일 수 있다. 프로세서(212) 및 프로세서(212)의 구성요소들은 도 4의 과금 방법이 포함하는 단계들(S410 내지 S430)을 수행하도록 전자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212) 및 프로세서(212)의 구성요소들은 메모리가 포함하는 운영체제의 코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의 코드에 따른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212)는 과금 방법을 위한 프로그램의 파일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를 메모리에 로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기기에서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프로세서는 운영체제의 제어에 따라 프로그램의 파일로부터 프로그램 코드를 메모리에 로딩하도록 전자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212) 및 프로세서(212)가 포함하는 영상통화 표시부(310), 반응 인식부(320) 및 과금 생성부(330) 각각은 메모리에 로딩된 프로그램 코드 중 대응하는 부분의 명령을 실행하여 이후 단계들(S410 내지 S430)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세서(212)의 서로 다른 기능적 표현들일 수 있다.
단계(S410)에서 영상통화 표시부(310)는 영상통화가 연결된 상대방 단말과 관련된 영상 데이터를 영상통화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영상통화 표시부(310)는 영상통화의 연결 요청에 기반하여 탐색된 상대방 단말과 영상통화가 연결됨에 따라 영상통화 화면에 영상통화가 연결된 상대방 단말과 관련된 영상 데이터를 일정시간 동안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영상통화가 연결되는 시간이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통화 표시부(310)는 영상통화의 연결 요청에 기반하여 탐색된 상대방 단말과의 영상통화 연결 여부를 질의하는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상대방 단말과의 영상통화 연결 여부에 대한 응답이 입력됨에 따라 상대방 단말과 영상통화가 연결 또는 비연결될 수 있다. 만약, 상대방 단말과의 영상통화를 비연결할 것으로 응답됨에 따라 또 다른 상대방 단말이 탐색되어 영상통화가 연결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상대방 단말에도 동일하게 상대방 사용자로부터 단말과의 영상통화 연결 여부에 대한 응답이 입력됨에 따라 단말과의 영상통화가 연결 또는 비연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단말 및 상대방 단말로부터 영상통화를 연결할 것으로 응답됨에 따라 단말간 영상통화가 일정시간 동안 연결될 수 있다. 또는, 영상통화 표시부(310)는 상대방 단말과의 영상통화가 연결됨에 따라 영상통화 모드가 동작하고, 동작되는 영상통화 모드에 기초하여 상대방 단말과 관련된 영상 데이터를 영상통화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각각의 단말에 전방 카메라를 실행하는 전방 카메라 모드 및 후방 카메라를 실행하는 후방 카메라 모드가 제공될 수 있다. 각각의 단말에 영상통화가 연결됨에 따라 영상통화 모드로 전환되어 전방 카메라 모드가 실행될 수 있다. 영상통화 표시부(310)는 영상통화로 연결된 상대방 단말의 상대방 사용자가 확인됨에 따라 영상통화 중에 아이템을 이용하여 상대방 단말과의 영상통화 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단계(S420)에서 반응 인식부(320)는 영상통화 화면에 표시된 상대방 단말과 관련된 영상 데이터를 통하여 상대방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반응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반응 인식부(320)는 영상통화 화면에 표시되는 상대방 단말과 관련된 영상 데이터를 통하여 영상 데이터에 인식되는 상대방 사용자의 얼굴 정보, 상대방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 또는 상대방 사용자의 텍스트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상대방 단말의 반응 정보의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반응 인식부(320)는 상대방 사용자의 얼굴 정보가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얼굴 인식이 감지되지 않을 경우, 상대방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에 대한 음성 인식을 수행하고, 상대방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가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음성 인식이 감지되지 않을 경우, 상대방 사용자의 텍스트 데이터에 대한 텍스트 입력 인식을 수행하고, 상대방 사용자의 텍스트 데이터가 기 설정된 시간 이상 텍스트 입력 인식이 감지되지 않을 경우, 상대방 사용자의 반응 정보의 부재로 판단할 수 있다.
일례로, 반응 인식부(320)는 영상통화 화면에 표시된 단말의 사용자의 반응 정보가 인식되고, 영상통화 화면에 표시된 상대방 단말의 반응 정보가 미인식될 경우, 상대방 단말의 반응 정보가 인식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반응 인식부(320)는 영상통화 화면에 표시된 단말의 사용자의 반응 정보가 인식되지 않고, 영상통화 화면에 표시된 상대방 단말의 반응 정보가 인식될 경우, 상대방 단말의 반응 정보가 인식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외에도 상대방 단말의 반응 정보를 인식한 것으로 판단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존재할 수 있다.
또한, 반응 인식부(320)는 상대방 단말의 상대방 사용자의 얼굴이 아닌 인형, 다른 사용자 등이 대체되어 인식될 경우, 상대방 사용자의 반응 정보가 인식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응 인식부(320)는 상대방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 이외의 다른 음성 데이터로 판단될 경우, 상대방 사용자의 반응 정보가 인식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전에 상대방 사용자의 얼굴 정보가 저장될 수 있으며, 저장된 얼굴 정보와 영상통화 화면에 입력된 얼굴 정보의 비교를 통하여 상대방 사용자의 반응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사전에 상대방 사용자의 음성 정보가 저장될 수 있으며, 저장된 음성 정보와 영상통화 중에 입력된 음성 데이터의 비교를 통하여 상대방 사용자의 반응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단계(S430)에서 과금 생성부(330)는 기 설정된 과금 정책에 기반하여 인식된 상대방 단말의 반응 정보에 대한 과금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과금 생성부(330)는 상대방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반응 정보가 부재하거나 기 설정된 시간 미만 인식되는 경우, 설정된 과금 정책에 기초하여 부과되는 과금 데이터의 생성을 중단할 수 있다. 과금 생성부(330)는 상대방 단말의 반응 정보에 따라 과금 데이터를 부가하기 위한 과금 정책을 설정하고, 인식된 상대방 단말의 반응 정보를 설정된 과금 정책에 기초하여 카운트할 수 있다. 이때, 과금 정책이란 간단하게는 상대방 단말의 반응 정보가 인식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정책을 포함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상대방 단말의 반응 정보가 인식됨에 따라 영상통화가 수행된 시간만큼 과금 데이터를 부과하기 위하여 설정된 정책을 의미할 수 있다. 과금 생성부(330)는 상대방 단말의 반응 정보가 인식된 시간 정보를 카운트하고, 카운트된 시간 정보를 설정된 과금 정책에 기초하여 과금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일례로, 과금 생성부(330)는 영상통화 중에 사용된 아이템에 설정된 영상통화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대방 단말의 반응 정보의 인식을 수행한 결과 정보에 따라 상대방 단말과의 영상통화 연결 시간을 카운트할 수 있고, 카운트된 영상통화 연결 시간에 기초하여 과금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과금 생성부(330)는 영상통화 화면에 표시된 단말의 사용자의 반응 정보가 인식되고, 영상통화 화면에 표시된 상대방 단말의 반응 정보가 미인식될 경우, 상대방 단말의 반응 정보가 인식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여 과금 데이터의 생성을 중단할 수 있다. 또는, 과금 생성부(330)는 영상통화 화면에 표시된 단말의 사용자의 반응 정보가 미인식되고, 영상통화 화면에 표시된 상대방 단말의 반응 정보가 인식될 경우, 상대방 단말의 반응 정보가 인식되는 것으로 판단하여 과금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간 영상통화가 수행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이다.
전자 기기(110a, 110b)간 영상통화가 수행되는 것을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전자 기기(110a, 110b)를 제1 전자 기기(예를 들면, 발신 단말)(110a) 및 제2 전자 기기(예를 들면, 수신 단말)(110b)로 구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전자 기기(110a, 110b)에 영상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으며, 별도의 앱을 설치하여 영상통화 서비스가 이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별도의 앱을 설치하여 영상통화 서비스가 이용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전자 기기(110a, 110b)에 설치되는 앱은 영상통화 서비스뿐만 아니라 다양한 서비스도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를 모르는 상대방 사용자와 매칭하여 상대방 사용자와의 영상통화를 연결해줌으로써 온라인 만남을 제공하는 친목 도모 서비스라고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친목 도모 서비스는 상대방 사용자와의 만남을 연결해주기 위하여 영상통화 기능, 메시징 기능, 카메라 기능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각각의 사용자는 전자 기기(110a, 110b)를 통하여 친목 도모 서비스에 가입 시, 별도의 SNS 서비스, 검색 서비스 등을 선택하여 사용자 정보를 연동함으로써 친목 도모 서비스에 가입할 수 있고, 또는, 회원가입을 통하여 사용자 식별 정보를 입력함으로써 서비스에 가입할 수 있다. 이때, 별도의 서비스에 저장된 성별 정보가 연동될 수 있고, 별도로 친목 도모 서비스에 성별을 선택함으로써 성별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사용자는 만나고 싶은 상대방 사용자의 성별, 지역 정보(글로벌 또는 나의 국가 내), 관심사 등을 포함하는 조건 정보가 선택할 수 있다.
전자 기기(110a, 110b)에서 친목 도모 서비스가 실행될 수 있다. 제1 전자 기기(110a)에서 영상통화 연결을 요청할 수 있다. 제1 전자 기기(110a)에서 영상통화 연결이 요청됨에 따라 서버는 제1 전자 기기(110a)에서 선택된 조건 정보에 기초하여 친목 도모 서비스에 등록된 사용자 계정으로부터 상대방 사용자를 탐색할 수 있다. 제1 전자 기기(110a)에 서버로부터 탐색된 상대방 사용자에 대한 제2 전자 기기(110b)와 영상통화가 연결될 수 있다. 제1 전자 기기(110a)와 제2 전자 기기(110b)가 영상통화를 수행하게 된다. 이때, 제1 전자 기기(110a)와 제2 전자 기기(110b)간 영상통화가 연결되는 시간이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제1 전자 기기(110a)와 제2 전자 기기(110b)에 설정된 시간에 기초하여 영상통화가 연결된 후, 상기 시간이 초과된 후에는 각각의 전자 기기에 다른 상대방이 영상통화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전자 기기(110a)의 영상통화 화면(510)에 제2 전자 기기(110b)의 상대방 사용자가 표시될 수 있고, 제2 전자 기기(110b)의 영상통화 화면(520)에 제1 전자 기기(110a)의 사용자가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전자 기기(110a)와 제2 전자 기기(110b)가 서로의 모습을 보면서 음성 데이터, 텍스트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대화를 할 수 있다. 또한, 제1 전자 기기(110a)의 영상통화 화면(510)에 제2 전자 기기(110a)의 상대방 사용자의 얼굴뿐만 아니라 제1 전자 기기(110a)의 사용자의 얼굴도 함께 표시될 수 있고, 제2 전자 기기(110b)의 영상통화 화면에 제1 전자 기기(110a)의 사용자의 얼굴뿐만 아니라 제2 전자 기기(110b)의 사용자의 얼굴도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각각의 영상통화 화면(510, 520)은 상대방 얼굴을 표시하는 영역 및 자신의 얼굴을 표시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대방 얼굴을 표시하는 영역이 주 영역, 자신의 얼굴을 표시하는 영역이 부 영역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주 영역의 크기가 부 영역의 크기보다 크게 설정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에서 아이템을 사용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이다.
제1 전자 기기(110a)의 사용자는 제2 전자 기기(110b)에 대한 상대방 사용자를 확인함에 따라 사용자는 상대방 전자 기기와 영상통화가 연결되는 시간 이상으로 더 많은 시간을 영상통화 하기를 원할 수 있다. 제1 전자 기기(110a)는 제2 전자 기기(110b)의 상대방 사용자와 영상통화 중에 아이템(610)을 사용하여 제2 전자 기기(110b)와의 영상통화 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전자 기기(110a)는 사전에 아이템(610)을 구매해놓았을 수 있고, 또는, 영상통화 화면에 표시되는 아이템 정보로부터 아이템(610)을 구매할 수 있다. 영상통화 시간을 제어하는 아이템(610)이란, 친목 도모 서비스에서 설정된 사용자 간 영상통화를 수행하는 시간 이외에 상대방 사용자와 영상통화를 추가로 수행할 수 있는 아이템일 수 있다. 이때, 아이템(610)은 영상통화가 가능한 시간에 따라 금액이 다를 수 있다. 제1 전자 기기(110a)의 사용자가 아이템(610)을 사용할 경우, 제2 전자 기기(110b)의 상대방 사용자는 영상통화를 중단하지 못하며, 사용자의 아이템(610)에 설정된 영상통화 시간 동안 영상통화를 추가로 수행하여야 한다. 다시 말해서, 제2 전자 기기(110b)의 영상통화 화면이 잠김 상태로 전환되어, 제1 전자 기기(110a)에서 사용된 아이템에 설정된 시간 동안 제1 전자 기기(110a)는 제2 전자 기기(110b)와의 영상통화 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제1 전자 기기(110a)는 영상통화 중에 사용된 아이템에 설정된 영상통화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전자 기기(110b)의 반응 정보의 인식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전자 기기(110a)는 영상통화 화면에 표시되는 제2 전자 기기(110b)와 관련된 영상 데이터를 통하여 영상 데이터에 인식되는 상대방 사용자의 얼굴 정보, 상대방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 또는 상대방 사용자의 텍스트 데이터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제2 전자 기기(110b)의 반응 정보에 대한 인식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제1 전자 기기(110a)는 제2 전자 기기(110b)의 반응 정보의 인식을 수행함에 따라 획득된 결과 정보에 따라 제2 전자 기기(110b)와의 영상통화 연결 시간을 카운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전자 기기(110a)에서 제2 전자 기기(110b)와의 영상통화 중에 5초짜리 아이템을 사용함에 따라 영상통화로 주어진 시간 이외에 5초 동안 영상통화를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제2 전자 기기(110b)의 상대방 사용자는 제1 전자 기기(110a)의 사용자와 영상통화를 중단하지 못하기 때문에 영상통화 화면에 반응을 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전자 기기(110a)는 별도로 구매한 아이템을 제대로 사용하지 못한 채로 아이템에 설정된 시간이 종료될 수 있다. 제1 전자 기기(110a)는 제1 전자 기기(110a)에서 아이템이 사용된 시간 동안 제2 전자 기기(110b)의 상대방 사용자의 반응 정보가 인식되지 않을 경우, 제2 전자 기기(110b)의 상대방 사용자의 반응 정보가 인식되지 않은 시간을 카운트할 수 있다. 제1 전자 기기(110a)는 카운트된 시간 정보에 대한 과금 데이터의 생성을 중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전자 기기(110a)는 제2 전자 기기(110b)의 상대방 사용자의 반응 정보가 인식되지 않은 시간 정보만큼 아이템에 설정된 시간을 되돌려주거나, 추가로 시간을 부여할 수 잇다. 또는, 제1 전자 기기(110a)는 영상통화 시간에 따라 부과되는 과금 데이터에 대하여 제2 전자 기기(110b)의 상대방 사용자의 반응 정보가 인식되지 않은 시간 정보에 대한 과금 데이터의 생성을 중단하여 제1 전자 기기(110a)에 부과되는 요금을 감면해줄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에서 상대방 단말의 반응 정보를 인식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이다.
제1 전자 기기(110a)와 제2 전자 기기(110b)는 영상통화 중에 각각의 영상통화 화면(510)에 표시된 서로의 얼굴을 마주하며 대화가 수행될 수 있다. 제1 전자 기기(110a)는 영상통화 화면(510)에 표시된 제2 전자 기기(110b)와 관련된 영상 데이터를 통하여 제2 전자 기기(110b)로부터 입력되는 반응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이때, 반응 정보란, 영상통화 중에 사용자간 상호작용이 수행되는 것을 인식하기 위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전자 기기(110a)는 영상통화 화면(510)에 표시되는 상대방 단말과 관련된 영상 데이터를 통하여 영상 데이터에 인식되는 상대방 사용자의 얼굴 정보, 상대방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 또는 상대방 사용자의 텍스트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상대방 단말의 반응 정보의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도 7(a)를 참고하면, 제1 전자 기기(110a)는 제1 전자 기기(110b)의 영상통화 화면(510)에 표시된 제2 전자 기기(110b)의 상대방 사용자(710)를 확인함으로써 상대방 사용자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전자 기기(110a)는 제1 전자 기기(110b)의 영상통화 화면에 제2 전자 기기(110b)의 상대방 사용자(710)의 얼굴을 인식할 수 있다. 이때, 제1 전자 기기(110a)는 제2 전자 기기(110b)의 상대방 사용자(710)의 얼굴 정보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예를 들면, 눈, 코, 입 등)을 포함하는 영역 정보의 비율 정보에 따라 상대방 사용자(710)의 얼굴 정보에 대한 반응 정보의 인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전자 기기(110a)는 영상통화 화면(510)에 상대방 사용자(710)의 얼굴 정보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영역 정보의 비율이 얼굴의 50%를 차지하는 것으로 판단됨에 따라 상대방 사용자(710)의 얼굴 정보가 존재하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에, 상대방 사용자의 반응 정보가 입력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는, 제1 전자 기기(110a)는 영상통화 화면(510)에 상대방 사용자(710)의 얼굴 정보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예를 들면, 눈, 코, 입 등)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함에 따라 상대방 사용자(710)의 얼굴 정보가 존재하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제1 전자 기기(110a)는 제2 전자 기기(110b)와 상대방 사용자(710)와 영상통화 하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도 7(b)를 참고하면, 제1 전자 기기(110a)는 영상통화 중에 제2 전자 기기(110b)의 상대방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를 수신함으로써 상대방 사용자의 반응 정보의 인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전자 기기(110a)의 영상통화 화면(510)에 제2 전자 기기의 상대방 사용자가 표시되지 않았지만, 음성 데이터만 수신되더라도 상대방 사용자와 영상통화 하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는, 제1 전자 기기(110a)의 영상통화 화면(510)에 제2 전자 기기의 상대방 사용자가 표시됨과 동시에 상대방 사용자의 얼굴을 보면서 음성 데이터를 수신할 경우, 상대방 사용자와 영상통화 하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도 7(c)를 참고하면, 제1 전자 기기(110a)는 영상통화 중에 제2 전자 기기(110b)의 상대방 사용자와 텍스트 데이터를 송수신함으로써 상대방 사용자의 반응 정보의 인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1 전자 기기(110a)와 제2 전자 기기(110b)의 영상통화 중에 이용 가능한 메신저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메시지를 입력하는 유저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 있고, 제1 전자 기기(110a)와 제2 전자 기기(110b)는 제공된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메시지를 송수신함으로써 대화를 수행할 수 있다. 제1 전자 기기(110a)는 제2 전자 기기(110b)로부터 입력된 텍스트 데이터를 수신함으로써 상대방 사용자와 영상통화 하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제1 전자 기기(110a)는 상대방 사용자의 얼굴 정보, 상대방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 상대방 사용자의 텍스트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2 전자 기기(110b)의 반응 정보의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상대방 사용자의 반응 정보의 유무를 판단하기 위한 순서가 설정될 수 있으며, 설정된 순서에 따라 제2 전자 기기(110b)의 반응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에서 상대방 단말의 반응 정보에 기초하여 과금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의 흐름도를 설명하기 위하여 전자 기기를 단말 및 상대방 단말로 구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단계(S810)에서 단말은 새로운 사람(상대방 단말)과 영상통화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말은 서버로부터 랜덤으로 선택된 새로운 사람과 영상통화가 시작될 수 있다. 이때, 새로운 사람과 영상통화가 연결되는 시간이 설정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설정된 시간이 초과될 경우 다시 새로운 사람과 영상통화가 연결될 수 있다.
단계(S820)에서 단말은 영상통화 화면에 표시된 상대방 단말과 관련된 영상 데이터에 n초(n은 자연수)간 상대방 사용자의 얼굴이 인식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말은 상대방 사용자의 얼굴이 인식될 경우, 기 설정된 시간 이후에 새로운 사람과 통화를 시작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상대방 사용자의 얼굴이 인식되지 않을 경우, 상대방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를 인식할 수 있다.
단계(S830)에서 단말은 영상통화 화면에 표시된 상대방 단말과 관련된 영상 데이터에 상대방 사용자의 얼굴이 인식됨에 따라 m초(m은 자연수)간 음성 데이터가 인식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말은 상대방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가 인식되지 않을 경우, 상대방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텍스트 데이터를 인식할 수 있다. 단말은 상대방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가 인식될 경우, 기 설정된 시간 이후에 새로운 사람과 영상통화를 시작할 수 있다.
단계(S840)에서 단말은 영상통화 화면에 표시된 상대방 단말과 관련된 영상 데이터에 상대방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가 인식됨에 따라 p(p는 자연수)간 텍스트 데이터의 입력이 인식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말은 영상통화 화면에 메시지를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고, 제공된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메시지가 입력되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단말은 영상통화 화면에 상대방 단말로부터 메시지가 입력되는 것이 인식됨에 따라 기 설정된 시간 이후에 새로운 사람과 영상통화를 시작할 수 있다. 단말은 영상통화 화면에 상대방 단말로부터 메시지가 입력되는 것이 인식되지 않을 경우, 상대방 사용자의 반응이 없는 것으로 간주하여 과금 데이터의 생성을 중지할 수 있다. 이때, 과금 데이터는 영상통화 시간의 사용량을 의미할 수 있으며, 앞서 설명한 단계 S810 내지 S840을 통하여 상대방 사용자의 반응이 없는 것으로 판단됨에 따라 과금 데이터가 생성되는 것이 중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생성 또는 중단된 과금 데이터는 추후에 서버에 의하여 영상통화 시간에 대한 단위 시간 당 설정되어 있는 요금 정보에 기초하여 영상통화 시간에 대한 사용량이 계산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대방 사용자의 반응 정보를 인식하기 위한 순서 정보가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단말은 상대방 사용자의 얼굴 정보, 음성 데이터 및 텍스트 데이터 순으로 상대방 사용자의 반응 정보를 인식할 것으로 순서를 설정해놓았으나, 이러한 순서 정보는 변경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각각의 상대방 사용자의 반응 정보를 인식하기 위하여 설정된 시간(예를 들면, n초, m초, p초)는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대방 사용자의 얼굴 정보를 인식하기 위하여 설정된 시간은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 및 텍스트 데이터를 인식하기 위하여 설정된 시간보다 짧거나 길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단말은 상대방 단말과의 영상통화가 연결됨에 따라 영상통화 모드가 동작할 수 있다. 단말에 동작되는 영상통화 모드에 기초하여 상대방 단말과 관련된 영상 데이터를 영상통화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단말은 영상통화 모드가 보이스 모드로 전환됨에 따라 영상통화 화면을 종료하여 보이스 모드로 전환된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과금 데이터의 생성을 중단할 수 있다. 이때, 영상통화 모드란 전자 기기의 카메라가 동작함으로써 상대방 단말과 관련된 영상(예를 들면, 얼굴)을 보여주면서 통화를 수행하는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영상통화 모드가 동작함에 따라 전자 기기의 전방 카메라를 실행하는 전방 카메라 모드 또는 후방 카메라를 실행하는 후방 카메라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또한, 보이스 모드란 일반적인 통화를 수행하는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단말은 단말 또는 상대방 단말 중 어느 하나의 전자 기기에서 보이스 모드로 전환될 경우, 사용자의 얼굴이 인식되지 않기 때문에 영상통화가 종료/중단된 것으로 판단하여 과금 데이터의 생성을 중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에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20)

  1. 컴퓨터로 구현되는 과금 시스템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과금 방법에 있어서,
    영상통화가 연결된 상대방 단말과 관련된 영상 데이터를 영상통화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영상통화 화면에 표시된 상대방 단말과 관련된 영상 데이터를 통하여 상기 상대방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반응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 및
    기 설정된 과금 정책에 기반하여 상기 인식된 상대방 단말의 반응 정보에 대한 과금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과금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대방 단말의 반응 정보에 따라 과금 데이터를 부가하기 위한 과금 정책을 설정하고, 상기 상대방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반응 정보가 부재하거나 기 설정된 시간 미만 인식되는 경우, 상기 상대방 단말의 반응 정보를 미인식으로 판단하여 상기 설정된 과금 정책에 기초하여 부과되는 과금 데이터의 생성을 중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과금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과금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상대방 단말의 반응 정보가 인식된 시간 정보를 카운트하고, 상기 설정된 과금 정책에 따라 상기 카운트된 시간 정보에 대한 과금 데이터를 생성 또는 중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과금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통화 화면에 표시되는 상대방 단말과 관련된 영상 데이터를 통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에 인식되는 상대방 사용자의 얼굴 정보, 상대방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 또는 상대방 사용자의 텍스트 데이터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상대방 단말의 반응 정보에 대한 인식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과금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상대방 사용자의 얼굴 정보가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얼굴 인식이 감지되지 않을 경우, 상기 상대방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에 대한 음성 인식을 수행하고, 상기 상대방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가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음성 인식이 감지되지 않을 경우, 상기 상대방 사용자의 텍스트 데이터에 대한 텍스트 입력 인식을 수행하고, 상기 상대방 사용자의 텍스트 데이터가 기 설정된 시간 이상 텍스트 입력 인식이 감지되지 않을 경우, 상기 상대방 사용자의 반응 정보의 부재로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과금 방법.
  7. 컴퓨터로 구현되는 과금 시스템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과금 방법에 있어서,
    영상통화가 연결된 상대방 단말과 관련된 영상 데이터를 영상통화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영상통화 화면에 표시된 상대방 단말과 관련된 영상 데이터를 통하여 상기 상대방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반응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 및
    기 설정된 과금 정책에 기반하여 상기 인식된 상대방 단말의 반응 정보에 대한 과금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통화 화면에 표시되는 상대방 단말과 관련된 영상 데이터를 통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에 인식되는 상대방 사용자의 얼굴 정보, 상대방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 또는 상대방 사용자의 텍스트 데이터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상대방 단말의 반응 정보에 대한 인식 유무를 판단하고, 상기 상대방 사용자의 얼굴 정보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영역 정보의 비율 정보에 따라 상대방 사용자의 얼굴 정보에 대한 반응 정보를 인식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과금 방법.
  8. 컴퓨터로 구현되는 과금 시스템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과금 방법에 있어서,
    영상통화가 연결된 상대방 단말과 관련된 영상 데이터를 영상통화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영상통화 화면에 표시된 상대방 단말과 관련된 영상 데이터를 통하여 상기 상대방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반응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 및
    기 설정된 과금 정책에 기반하여 상기 인식된 상대방 단말의 반응 정보에 대한 과금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통화 화면에 표시되는 상대방 단말과 관련된 영상 데이터를 통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에 인식되는 상대방 사용자의 얼굴 정보, 상대방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 또는 상대방 사용자의 텍스트 데이터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상대방 단말의 반응 정보에 대한 인식 유무를 판단하고, 상기 영상통화 중에 발생하는 음성 데이터로부터 상대방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를 구분하여 상대방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에 대한 반응 정보가 입력된 것으로 인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과금 방법.
  9. 컴퓨터로 구현되는 과금 시스템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과금 방법에 있어서,
    영상통화가 연결된 상대방 단말과 관련된 영상 데이터를 영상통화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영상통화 화면에 표시된 상대방 단말과 관련된 영상 데이터를 통하여 상기 상대방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반응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 및
    기 설정된 과금 정책에 기반하여 상기 인식된 상대방 단말의 반응 정보에 대한 과금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통화 화면에 표시되는 상대방 단말과 관련된 영상 데이터를 통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에 인식되는 상대방 사용자의 얼굴 정보, 상대방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 또는 상대방 사용자의 텍스트 데이터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상대방 단말의 반응 정보에 대한 인식 유무를 판단하고, 상기 영상통화 화면에 메시지를 입력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되는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대방 사용자의 텍스트 데이터가 입력된 것으로 인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과금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과금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통화 화면에 표시된 단말의 사용자의 반응 정보가 인식되고, 상기 영상통화 화면에 표시된 상대방 단말의 반응 정보가 미인식될 경우, 상기 상대방 단말의 반응 정보가 인식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여 과금 데이터의 생성을 중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과금 방법.
  11. 제1항,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통화의 연결 요청에 탐색된 상대방 단말과 영상통화로 연결됨에 따라 상기 영상통화 화면에 상기 영상통화가 연결된 상대방 단말과 관련된 영상 데이터를 일정시간 동안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과금 방법.
  12. 제1항,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통화로 연결된 상대방 단말의 상대방 사용자가 확인됨에 따라 상기 영상통화 중에 아이템을 이용하여 상기 상대방 단말과의 영상통화 시간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과금 방법.
  13. 제1항,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통화 중에 사용된 아이템에 설정된 영상통화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상대방 단말의 반응 정보의 인식을 수행한 결과 정보에 따라 상대방 단말과의 영상통화 연결 시간을 카운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과금 방법.
  14. 제1항,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상대방 단말과의 영상통화가 연결됨에 따라 영상통화 모드가 동작하고, 상기 동작되는 영상통화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상대방 단말과 관련된 영상 데이터를 영상통화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과금 방법.
  15. 제1항,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상대방 단말과의 영상통화가 연결됨에 따라 동작되는 영상통화 모드가 보이스 모드로 전환될 경우, 상기 영상통화 화면을 종료하여 상기 보이스 모드로 전환된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과금 데이터의 생성을 중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과금 방법.
  16. 제1항, 제4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과금 방법을 상기 과금 시스템에 실행시키기 위해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17. 컴퓨터로 구현되는 과금 시스템에 있어서,
    영상통화가 연결된 상대방 단말과 관련된 영상 데이터를 영상통화 화면에 표시하는 영상통화 표시부;
    상기 영상통화 화면에 표시된 상대방 단말과 관련된 영상 데이터를 통하여 상기 상대방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반응 정보를 인식하는 반응 인식부; 및
    기 설정된 과금 정책에 기반하여 상기 인식된 상대방 단말의 반응 정보에 대한 과금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금 생성부
    를 포함하고,
    상기 과금 생성부는,
    상대방 단말의 반응 정보에 따라 과금 데이터를 부가하기 위한 과금 정책을 설정하고, 상기 상대방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반응 정보가 부재하거나 기 설정된 시간 미만 인식되는 경우, 상기 상대방 단말의 반응 정보를 미인식으로 판단하여 상기 설정된 과금 정책에 기초하여 부과되는 과금 데이터의 생성을 중단하는
    과금 시스템.
  18. 삭제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 인식부는,
    상기 영상통화 화면에 표시되는 상대방 단말과 관련된 영상 데이터를 통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에 인식되는 상대방 사용자의 얼굴 정보, 상대방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 또는 상대방 사용자의 텍스트 데이터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상대방 단말의 반응 정보에 대한 인식 유무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금 시스템.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통화 표시부는,
    상기 영상통화로 연결된 상대방 단말의 상대방 사용자가 확인됨에 따라 상기 영상통화 중에 아이템을 이용하여 상기 상대방 단말과의 영상통화 시간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과금 생성부는,
    상기 영상통화 중에 사용된 아이템에 설정된 영상통화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상대방 단말의 반응 정보의 인식을 수행한 결과 정보에 따라 상대방 단말과의 영상통화 연결 시간을 카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금 시스템.
KR1020190135193A 2019-10-29 2019-10-29 새로운 사람을 소개해주는 영상통화의 통화시간을 공평하게 과금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26462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5193A KR102646276B1 (ko) 2019-10-29 2019-10-29 새로운 사람을 소개해주는 영상통화의 통화시간을 공평하게 과금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17/078,662 US11558721B2 (en) 2019-10-29 2020-10-23 Method and system for fairly charging talk time of video call that introduces new person
JP2020180499A JP2021072625A (ja) 2019-10-29 2020-10-28 新しい人を紹介するビデオ通話の通話時間による課金を公平に行う方法およびシステ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5193A KR102646276B1 (ko) 2019-10-29 2019-10-29 새로운 사람을 소개해주는 영상통화의 통화시간을 공평하게 과금하는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0765A KR20210050765A (ko) 2021-05-10
KR102646276B1 true KR102646276B1 (ko) 2024-03-11

Family

ID=75586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5193A KR102646276B1 (ko) 2019-10-29 2019-10-29 새로운 사람을 소개해주는 영상통화의 통화시간을 공평하게 과금하는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558721B2 (ko)
JP (1) JP2021072625A (ko)
KR (1) KR1026462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981586A (zh) 2021-04-22 2023-10-31 阿尔卑斯阿尔派株式会社 显示装置
US20240028842A1 (en) * 2022-07-25 2024-01-25 Xiang Sheng Yan Secure language interpreting service
JP7233787B1 (ja) * 2022-12-01 2023-03-07 Hubbit株式会社 ビデオ通話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ビデオ通話システ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3686B1 (ko) * 2018-07-24 2019-06-04 전우호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전자 장치 및 서버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1816B1 (ko) * 2007-10-08 2009-08-1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영상 통화 과금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84774B1 (ko) * 2008-11-21 2011-11-21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영상 통화를 이용한 쿠폰 거래 시스템 및 방법
KR101873762B1 (ko) * 2012-08-01 2018-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108247B1 (ko) * 2013-08-30 2020-05-07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그룹 영상통화의 과금 방법 및 장치
KR20170091913A (ko) * 2016-02-02 2017-08-10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125735B1 (ko) * 2018-03-26 2020-06-23 주식회사 하이퍼커넥트 영상 통화를 제공하는 방법 및 영상 통화 제공 시스템
EP3779825A4 (en) * 2018-05-03 2021-04-21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DEVICE AND TERMINAL FOR PAYMENT BASED ON FACIAL RECOGNI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3686B1 (ko) * 2018-07-24 2019-06-04 전우호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전자 장치 및 서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1072625A (ja) 2021-05-06
US20210127239A1 (en) 2021-04-29
US11558721B2 (en) 2023-01-17
KR20210050765A (ko) 2021-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46276B1 (ko) 새로운 사람을 소개해주는 영상통화의 통화시간을 공평하게 과금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2590492B1 (ko) 영상 채팅에 이용 가능한 평판 뱃지를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108882B1 (ko) 정보 업데이트 방법 및 장치, 그리고 서버
KR20190115652A (ko) 송금 기능이 탑재된 메신저에서 메시지 내용을 인식하여 송금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2638580B1 (ko) 하나의 대화방에서 다수의 그룹통화를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KR101928481B1 (ko) 메시지와 대응되는 태스크를 생성, 처리, 관리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및 전자 기기
KR20200131478A (ko) 위치를 기반으로 대화방의 가입을 제어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TWI778757B (zh) 提供聊天室嵌入內容的方法、電腦系統及電腦可讀取記錄媒體
JP2017204271A (ja) 互いに異なるユーザ識別体系を利用して登録されたユーザを識別するサーバ間のサービス連動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20210102698A (ko) 영상 통화 봇을 이용한 커뮤니케이션을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CN112118115A (zh) 自动生成聊天室的方法、计算机可读介质及计算机装置
KR20200064148A (ko) 메시징 서비스 환경에서의 사용자 상황 감지 및 사용자 상황에 기반한 메시징 서비스와의 인터랙션
US20220300144A1 (en)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record medium for providing chatroom in 3d form
CN110134480B (zh) 用户触发操作的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KR20190095568A (ko) 소셜 네트워크에서의 인기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과 시스템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WO2020096072A1 (ko) 디앱에서 요구하는 높은 트랜잭션 처리량을 효율적으로 블록체인에서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2277691B1 (ko) 얼굴 이미지와 메신저 계정의 연동에 기반한 이미지 관리 방법 및 시스템
JP2020177655A (ja) イベントメッセージを管理するための方法、システム、および非一時的な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2020109643A (ja) メッセンジャー基盤の銀行口座取引履歴に関連するユーザが使いやすいインタフェースを提供する方法、システム、および非一時的な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US11770356B2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location based avatar messenger service
KR102612067B1 (ko) 멀티 디바이스 환경에서 알림을 제공하는 방법과 시스템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220105017A (ko) 관심 컨텐츠를 표시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637796B1 (ko) 사용 정도에 기초하여 대화방을 처리하는 방법과 시스템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KR20200133965A (ko) 오픈톡에서 하위 채팅방을 생성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2600688B1 (ko) 메신저 상에서 자동 응답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