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5529B1 - 신호 차폐를 이용한 연속 스캐닝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신호 차폐를 이용한 연속 스캐닝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45529B1 KR102645529B1 KR1020190164476A KR20190164476A KR102645529B1 KR 102645529 B1 KR102645529 B1 KR 102645529B1 KR 1020190164476 A KR1020190164476 A KR 1020190164476A KR 20190164476 A KR20190164476 A KR 20190164476A KR 102645529 B1 KR102645529 B1 KR 10264552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ignal
- solenoid coil
- magnet
- detected
- magnetic field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3
- 230000005291 magnetic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8
- 230000005284 excit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35945 sensitivity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9000006249 magnetic particl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7274 generation of a signal involved in cell-cell signa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0523 samp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7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29920006395 saturated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2489 doughnu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0354 integ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302 ferromagne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384 imag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54 sign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01F7/20—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without armatur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7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12—Measuring magnetic properties of articles or specimens of solids or fluids
- G01R33/1276—Measuring magnetic properties of articles or specimens of solids or fluids of magnetic particles, e.g. imaging of magnetic nanoparticl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2—Permanent magnets [PM]
- H01F7/0273—Magnetic circuits with PM for magnetic field generation
- H01F7/0294—Detection, inspection, magnetic treat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Nanotechnology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Magnetic Means (AREA)
Abstract
신호 차폐를 이용한 연속 스캐닝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속 스캐닝 방법은 여기 솔레노이드 코일로 신호를 인가하여 연속적으로 입력되는 시료들에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자석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을 이용하여 디퍼런셜 코일인 검출 솔레노이드 코일에서 하나의 하모닉 피크만 검출되도록 일부 영역의 신호 검출을 차단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 솔레노이드 코일을 기반으로 상기 시료들에서 검출되는 하나의 하모닉 피크를 순차적으로 검출하고, 검출된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시료들 각각에 대한 나노 마그네틱 파티클 스캐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신호 차폐를 이용하여 연속 스캐닝을 수행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석으로 디퍼런셜 코일에서 하나의 하모닉 피크 신호만 검출되도록 일부 영역의 신호 검출을 차단함으로써 연속적으로 입력되는 시료들에 대한 스캐닝을 수행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나노 마그네틱 파티클(Nano Magnetic Particle, NMP)은 자화(magnetization)될 때 비선형적으로 자화되는 특성이 존재한다. 구체적으로 강자성 물질이 100nm 이하의 작은 단위의 물질로 분리되어 존재할 경우, super-para magnetic 특성을 갖는다고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특성을 이용하여 나노 마그네틱 파티클의 양을 측정하는 연구가 다수 진행되었으며, 제품이 개발된 사례도 존재한다.
한편, 극소량의 나노 마그네틱 파티클을 검출하기 위해서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검출 솔레노이드 코일(DETECTION SOLENOID COIL)(120)에 디퍼런셜 코일(DIFFERENTIAL COIL)을 주로 사용한다. 이러한 디퍼런셜 코일은 전류의 방향이 바뀌는 중심 지점과 양쪽 끝의 중간에 해당하는 두 군데의 지점에서 하모닉 피크(HARMONIC PEAK)가 발생한다. 이와 같은 이유로 디퍼런셜 코일을 사용하는 검출 솔레노이드 코일(120)의 경우, 하모닉 피크가 발생하는 두 곳 중 어느 한 곳에 시료를 위치시켜서 나노 마그네틱 파티클의 양을 측정하는 스펙트로미터 용도로만 사용 가능하다는 제약이 있다. 하지만, 디퍼런셜 코일은 수신 신호를 높은 감도로 측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존재하므로 극소량의 물질을 측정하고자 하는 시스템에는 반드시 포함 될 수 밖에 없다.
즉,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종래의 나노 마그네틱 파티클 분석용 스펙트로미터에서는 Signal generator에서 여기 솔레노이드 코일(EXCITATION SOLENOID COIL)(110)에 AC신호를 인가하면, 자기장이 발생하게 되고, 시료 홀더(SAMPLE HOLDER)(100)가 비어있는 상태에서 검출 솔레노이드 코일(120)의 신호를 측정하여 zeroing 신호로 사용한다. 이후, 시료 홀더(100)에 나노 마그네틱 파티클이 포함된 시료(101, 102)를 삽입하면, 자기장에 의해 자화된 시료(101, 102)가 추가로 생성하는 자기장 신호가 검출 솔레노이드 코일(120)에서 검출된다. 이와 같이 검출된 신호를 DAQ로 측정하여 나노 마그네틱 파티클의 특성을 분석하는데 사용한다.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종래 기술은 스펙트로미터 기술로는 활용이 가능하지만 샘플의 공간적인 분포를 형상화하거나, 연속된 형태의 샘플이 입력될 경우에는 2 군데에서 발생한 하모닉 피크가 서로 상쇄되거나 혹은 증폭되어 올바른 값을 복원하기가 쉽지 않다. 예를 들어, 도 2를 참조하면, A지점과 B지점이 각각 하모닉 피크(210, 220)가 발생하는 2 군데의 지점이라고 가정할 때, 검출 솔레노이드 코일에서는 B지점에 위치하는 샘플의 의한 신호 값과 A지점에 진입한 샘플에 의한 신호 값이 합해져서 검출되기 때문에 각각의 샘플에 대한 값을 분리하기가 쉽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디퍼런셜 코일을 신호 검출에 사용하는 고감도 스펙트로미터의 제약을 극복하고 기능을 확장하여 영상 스캐닝이 가능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디퍼런셜 코일에서 검출되는 두 개의 피크(PEAK) 중 한 개의 피크만 유효하게 검출함으로써 샘플에 대한 스캐닝을 수행하거나 액체 형태의 연속된 샘플에서 측정 대상의 양을 측정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신호 차폐를 이용한 연속 스캐닝 방법은 여기 솔레노이드 코일(EXCITATION SOLENOID COIL)로 신호를 인가하여 연속적으로 입력되는 시료들에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자석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을 이용하여 디퍼런셜 코일(DIFFERENTIAL COIL)인 검출 솔레노이드 코일(DETECTION SOLENOID COIL)에서 하나의 하모닉 피크(HARMONIC PEAK)만 검출되도록 일부 영역의 신호 검출을 차단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 솔레노이드 코일을 기반으로 상기 시료들에서 검출되는 하나의 하모닉 피크를 순차적으로 검출하고, 검출된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시료들 각각에 대한 나노 마그네틱 파티클(NANO MAGNETIC PARTICLE) 스캐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때, 적어도 하나의 자석은 상기 디퍼런셜 코일에 상응하게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감긴 두 개의 코일들 중 어느 하나의 코일에서 신호가 검출되는 영역의 자기장을 포화(SATURATION)시킬 수 있다.
이 때, 적어도 하나의 자석은 상기 검출 솔레노이드 코일을 둘러싸는 도넛 형태의 디스크 원반 자석에 상응할 수 있다.
이 때, 검출 솔레노이드 코일에 상응하는 제로 크로싱 포인트(ZERO CROSSING POING)는 상기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감긴 두 개의 코일들 중 상기 하나의 하모닉 피크를 검출하는 나머지 하나의 코일과 가까운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나노 마그네틱 파티클 스캐닝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검출된 신호의 주파수 영역을 기반으로 상기 시료들 각각에 대한 스캐닝 결과를 생성하고, 상기 스캐닝 결과를 영상화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적어도 하나의 자석의 위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자석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의 세기에 의해 변화하는 상기 나머지 하나의 코일의 감도(SENSITIVITY)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 때, 여기 솔레노이드 코일은 상기 검출 솔레노이드 코일의 바깥쪽에 위치하고, 상기 검출 솔레노이드 코일의 내부에 위치하는 시료 홀더(SAMPLE HOLDER)에 상응하는 영역에 자기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호 차폐를 이용한 연속 스캐닝 장치는, 연속적으로 입력되는 시료들에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여기 솔레노이드 코일(EXCITATION SOLENOID COIL); 상기 시료들에서 발생하는 신호를 검출하는 디퍼런셜 코일(DIFFERENTIAL COIL) 형태의 검출 솔레노이드 코일(DETECTION SOLENOID COIL); 상기 검출 솔레노이드 코일에서 하나의 하모닉 피크(HARMONIC PEAK)만 검출되도록 일부 영역의 신호 검출을 차단하는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자석; 상기 여기 솔레노이드 코일로 신호를 인가하는 신호 생성모듈; 및 상기 검출 솔레노이드 코일에서 상기 시료들에 상응하게 순차적으로 검출되는 하나의 하모닉 피크를 기반으로 상기 시료들 각각에 대한 나노 마그네틱 파티클(NANO MAGNETIC PARTICLE) 스캐닝을 수행하는 처리 모듈을 포함한다.
이 때, 적어도 하나의 자석은 상기 디퍼런셜 코일에 상응하게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감긴 두 개의 코일들 중 어느 하나의 코일에서 신호가 검출되는 영역의 자기장을 포화(SATURATION)시킬 수 있다.
이 때, 적어도 하나의 자석은 상기 검출 솔레노이드 코일을 둘러싸는 도넛 형태의 디스크 원반 자석에 상응할 수 있다.
이 때, 검출 솔레노이드 코일에 상응하는 제로 크로싱 포인트(ZERO CROSSING POING)는 상기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감긴 두 개의 코일들 중 상기 하나의 하모닉 피크를 검출하는 나머지 하나의 코일과 가까운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처리 모듈은 상기 검출된 신호의 주파수 영역을 기반으로 상기 시료들 각각에 대한 스캐닝 결과를 생성하고, 상기 스캐닝 결과를 영상화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 때, 적어도 하나의 자석의 위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자석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의 세기에 의해 변화하는 상기 나머지 하나의 코일의 감도(SENSITIVITY)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 때, 여기 솔레노이드 코일은 상기 검출 솔레노이드 코일의 바깥쪽에 위치하고, 상기 검출 솔레노이드 코일의 내부에 위치하는 시료 홀더(SAMPLE HOLDER)에 상응하는 영역에 자기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디퍼런셜 코일을 신호 검출에 사용하는 고감도 스펙트로미터의 제약을 극복하고 기능을 확장하여 영상 스캐닝이 가능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디퍼런셜 코일에서 검출되는 두 개의 피크(PEAK) 중 한 개의 피크만 유효하게 검출함으로써 샘플에 대한 스캐닝을 수행하거나 액체 형태의 연속된 샘플에서 측정 대상의 양을 측정할 수 있다.
도 1은 디퍼런셜 코일을 활용한 종래의 나노 마그네틱 파티클 분석용 스펙트로 미터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펙트로 미터에서 피크가 검출되는 지점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호 차폐를 이용한 연속 스캐닝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호 차폐를 이용한 연속 스캐닝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석과 자석의 자성 특성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디퍼런셜 코일을 활용한 종래의 나노 마그네틱 파티클 분석용 스펙트로 미터에 의한 스캔결과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나노 마그네틱 파티클의 스캔 결과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펙트로 미터에서 피크가 검출되는 지점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호 차폐를 이용한 연속 스캐닝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호 차폐를 이용한 연속 스캐닝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석과 자석의 자성 특성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디퍼런셜 코일을 활용한 종래의 나노 마그네틱 파티클 분석용 스펙트로 미터에 의한 스캔결과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나노 마그네틱 파티클의 스캔 결과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호 차폐를 이용한 연속 스캐닝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디퍼런셜 코일(DIFFERENTIAL COIL)을 시료에서 발생하는 신호를 검출하는 검출 솔레노이드 코일(DETECTION SOLENOID COIL)로 사용하는 스펙트로미터의 제약을 해결하기 위해서, 하모닉 피크가 발생하는 2군데의 지점 중 한 군데에서 신호가 하모닉 피크가 검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연속적으로 입력되는 시료에 포함된 나노 마그네틱 파티클을 스캐닝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호 차폐를 이용한 연속 스캐닝 방법은 여기 솔레노이드 코일(EXCITATION SOLENOID COIL)로 신호를 인가하여 연속적으로 입력되는 시료들에 자기장을 발생시킨다(S310).
이 때, 여기 솔레노이드 코일은 검출 솔레노이드 코일의 바깥쪽에 위치하고, 검출 솔레노이드 코일의 내부에 위치하는 시료 홀더(SAMPLE HOLDER)에 상응하는 영역에 자기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속 스캐닝 장치는 시료(401)가 통과하는 시료 홀더(400)를 둘러싸는 형태로 검출 솔레노이드 코일(420)이 위치하고, 검출 솔레노이드 코일(420)의 바깥쪽에서 검출 솔레노이드 코일(420)을 둘러싸는 형태로 여기 솔레노이드 코일(410)이 위치할 수 있다.
이 때, 도 4에는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여기 솔레노이드 코일(410)은 별도의 신호 생성모듈로부터 신호를 인가 받아 자기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 때, 여기 솔레노이드 코일(410)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은 시료(401)가 이동하는 시료 홀더(400)에 상응하는 영역까지 생성됨으로써 시료(401)에 자기장이 인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호 차폐를 이용한 연속 스캐닝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자석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을 이용하여 디퍼런셜 코일(DIFFERENTIAL COIL)인 검출 솔레노이드 코일(DETECTION SOLENOID COIL)에서 하나의 하모닉 피크(HARMONIC PEAK)만 검출되도록 일부 영역의 신호 검출을 차단한다(S320).
예를 들어, 종래의 스펙트로미터에서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A 지점과 B 지점에 시료가 연속적으로 위치하는 경우, 검출 솔레노이드 코일(420)에서 검출되는 값은 A 지점과 B 지점에서의 측정 감도 s(x)와 x에 존재하는 나노 마그네틱 파티클의 양인 p(x)의 곱을 적분한 ∑p(x)s(x)에 상응할 수 있다. 따라서, A 지점과 B 지점에 각각 나노 마그네틱 파티클이 포함된 시료가 위치하는 경우, 두 지점에서 검출된 신호의 값을 분리하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전자석이나 영구자석을 활용하여 시료가 스캐닝되는 방향(도 4의 x축)으로 자기장을 발생시켜줌으로써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한 군데에서만 하모닉 피크(450)가 검출되도록 일부 영역의 신호 검출을 차단할 수 있다. 즉, 도 4를 참조하면, 검출 솔레노이드 코일(420)의 주변에 자석(431, 432)을 구비하고, 자석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에 의해 B 지점에서 하모닉 피크가 검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적어도 하나의 자석은 디퍼런셜 코일에 상응하게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감긴 두 개의 코일들 중 어느 하나의 코일에서 신호가 검출되는 영역의 자기장을 포화(SATURATION)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적어도 하나의 자석(431, 432)을 배치하면, 자석의 자기장 세기(440)에 의해 B 지점에 해당하는 영역의 자기장이 포화되고, 이로 인해 B 지점에서는 시료에 의한 하모닉 피크가 검출되지 않을 수 있다. 즉, 디퍼런셜 코일에 의해 두 군데에서 검출되는 하모닉 피크 신호 중 한 군데의 하모닉 피크 신호만 유효하게 만들어서 연속적으로 입력되는 형태의 시료들에 대해서도 스캐닝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검출 솔레노이드 코일에 상응하는 제로 크로싱 포인트(ZERO CROSSING POING)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감긴 두 개의 코일들 중 하나의 하모닉 피크를 검출하는 나머지 하나의 코일과 가까운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하모닉 피크가 검출되는 A 지점과 가까운 위치에 제로 크로싱 포인트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도 4에 도시된 그래프처럼 자석(431, 432)에 의해 자기장이 포화된 영역을 제외한 영역의 신호만 검출될 수 있다. 즉 자석의 자기장 세기(440)가 큰 B 지점에서는 신호가 검출되지 않고, 자석의 자기장 세기(440)가 0에 가까운 A 지점의 신호들만 검출될 수 있다.
이 때, 적어도 하나의 자석은 검출 솔레노이드 코일을 둘러싸는 도넛 형태의 디스크 원반 자석에 상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자석은 샘플 홀더의 투입 위치 등을 고려하여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은 도넛 모양의 원반 자석에 상응할 수 있다.
이 때, 적어도 하나의 자석의 위치는 적어도 하나의 자석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의 세기에 의해 변화하는 나머지 하나의 코일의 감도(SENSITIVITY)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도넛 형태의 자석(500)의 특성은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나타낼 수 있다. 즉, 도넛 형태의 가운데 홀(hole) 부분을 자석으로 생각하여 같은 극성(N극 혹은 S극)을 마주보게 설치하고, 일정 거리만큼 띄워서 자석에 의한 자기장의 기울기(gradient)를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자석의 자력 세기와 거리 조절을 통해서 원하는 [T/m] 단위의 기울기(gradient)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 때 자석에 의한 발생하는 자기장의 기울기(gradient) 값이 클수록 검출 솔레노이드 코일의 감도(sensitivity)가 더 sharp하게 설정될 수 있다.
만약,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속 스캐닝 장치가 소형의 측정 probe 형태라고 가정한다면, 하나의 원반 자석만으로도 제로 크로싱 포인트(zero crossing point)를 구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과 같이 도넛 형태인 자석(700)의 홀(hole)의 센터에서부터 거리에 따른 자력, 즉 자석의 자성 특성(710)을 측정하면, 도 7의 왼쪽에 도시된 그래프처럼 나타낼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그래프를 살펴보면, 홀(hole)의 센터에서부터 55mm 떨어진 위치에서 상하 비대칭인 제로 크로싱 포인트(zero crossing point)가 생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위는 4mT, 아래는 최대 22mT로서 약 0.33[T/m](=(22-4)/55)의 기울기(gradient)가 발생되는데, 이 값은 대부분의 나노 마그네틱 파티클을 측정하는데 활용 가능한 값에 해당할 수 있다.
이 때, 하나의 자석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두 개의 자석들을 이용하는 경우에 비해서 절반 이하의 gradient slope를 얻을 수 있으므로, 적용하려는 연속 스캐닝 장치의 크기나 연속 스캐닝 장치를 통해 스캐닝하기 위한 샘플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자석을 배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자석이나 영구자석을 활용하여 높은 기울기(gradient)의 제로 크로싱 포인트(zero crossing point)를 생성함으로써 두 곳에서 관측되는 하모닉 피크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서만 유효한 하모닉 피크가 검출되도록 일부 영역에서의 신호 검출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호 차폐를 이용한 연속 스캐닝 방법은 검출 솔레노이드 코일을 기반으로 시료들에서 검출되는 하나의 하모닉 피크를 순차적으로 검출하고, 검출된 신호를 기반으로 시료들 각각에 대한 나노 마그네틱 파티클(NANO MAGNETIC PARTICLE) 스캐닝을 수행한다(S330).
즉, 종래의 기술에서는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두 개의 지점에서 하모닉 피크가 관측되므로, 연속적으로 삽입되는 시료에 의해 신호가 중첩되는 문제가 발생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하나의 지점에서만 하모닉 피크가 관측되므로 액체 형태와 같이 연속적인 시료에 대한 스캔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도 8 내지 도 9에서 X축은 스캐닝 시간을 의미할 수 있고, Y축은 스펙트로미터의 측정값(MicroV)를 의미할 수 있다.
이 때, 검출된 신호의 주파수 영역을 기반으로 시료들 각각에 대한 스캐닝 결과를 생성하고, 스캐닝 결과를 영상화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호 차폐를 이용한 연속 스캐닝 방법은 별도의 스테이지 모듈이나 나사 등으로 적어도 하나의 자석을 미세하게 이동 가능하게 함으로써 도 4에 도시된 연속 스캐닝 장치의 스캐닝 위치 중 정확한 지점에 위치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도 3에는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호 차폐를 이용한 연속 스캐닝 방법은 상술한 연속 스캐닝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정보를 별도의 저장 모듈에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신호 차폐를 이용한 연속 스캐닝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디퍼런셜 코일을 신호 검출에 사용하는 고감도 스펙트로미터의 제약을 극복하고 기능을 확장하여 영상 스캐닝이 가능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디퍼런셜 코일에서 검출되는 두 개의 피크(PEAK) 중 한 개의 피크만 유효하게 검출함으로써 샘플에 대한 스캐닝을 수행하거나 액체 형태의 연속된 샘플에서 측정 대상의 양을 측정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호 차폐를 이용한 연속 스캐닝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호 차폐를 이용한 연속 스캐닝 장치는 여기 솔레노이드 코일(410), 검출 솔레노이드 코일(420), 시료 홀더(400), 적어도 하나의 자석(431, 432)을 포함한다.
이 때, 도 4에는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호 차폐를 이용한 연속 스캐닝 장치는 신호 생성모듈 및 처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신호 생성모듈이 여기 솔레노이드 코일(410)로 신호를 인가하여 연속적으로 입력되는 시료들에 자기장을 발생시킨다.
이 때, 여기 솔레노이드 코일(410)은 검출 솔레노이드 코일(420)의 바깥쪽에 위치하고, 검출 솔레노이드 코일(420)의 내부에 위치하는 시료 홀더(SAMPLE HOLDER)(400)에 상응하는 영역에 자기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속 스캐닝 장치는 시료(401)가 통과하는 시료 홀더(400)를 둘러싸는 형태로 검출 솔레노이드 코일(420)이 위치하고, 검출 솔레노이드 코일(420)의 바깥쪽에서 검출 솔레노이드 코일(420)을 둘러싸는 형태로 여기 솔레노이드 코일(410)이 위치할 수 있다.
이 때, 도 4에는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여기 솔레노이드 코일(410)은 별도의 신호 생성모듈로부터 신호를 인가 받아 자기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 때, 여기 솔레노이드 코일(410)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은 시료(401)가 이동하는 시료 홀더(400)에 상응하는 영역까지 생성됨으로써 시료(401)에 자기장이 인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자석(431, 432)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을 이용하여 디퍼런셜 코일(DIFFERENTIAL COIL)인 검출 솔레노이드 코일(DETECTION SOLENOID COIL)(420)에서 하나의 하모닉 피크(HARMONIC PEAK)만 검출되도록 일부 영역의 신호 검출을 차단한다.
예를 들어, 종래의 스펙트로미터에서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A 지점과 B 지점에 시료가 연속적으로 위치하는 경우, 검출 솔레노이드 코일(420)에서 검출되는 값은 A 지점과 B 지점에서의 측정 감도 s(x)와 x에 존재하는 나노 마그네틱 파티클의 양인 p(x)의 곱을 적분한 ∑p(x)s(x)에 상응할 수 있다. 따라서, A 지점과 B 지점에 각각 나노 마그네틱 파티클이 포함된 시료가 위치하는 경우, 두 지점에서 검출된 신호의 값을 분리하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전자석이나 영구자석을 활용하여 시료가 스캐닝되는 방향(도 4의 x축)으로 자기장을 발생시켜줌으로써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한 군데에서만 하모닉 피크(450)가 검출되도록 일부 영역의 신호 검출을 차단할 수 있다. 즉, 도 4를 참조하면, 검출 솔레노이드 코일(420)의 주변에 자석(431, 432)을 구비하고, 자석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에 의해 B 지점에서 하모닉 피크가 검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적어도 하나의 자석은 디퍼런셜 코일에 상응하게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감긴 두 개의 코일들 중 어느 하나의 코일에서 신호가 검출되는 영역의 자기장을 포화(SATURATION)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적어도 하나의 자석(431, 432)을 배치하면, 자석의 자기장 세기(440)에 의해 B 지점에 해당하는 영역의 자기장이 포화되고, 이로 인해 B 지점에서는 시료에 의한 하모닉 피크가 검출되지 않을 수 있다. 즉, 디퍼런셜 코일에 의해 두 군데에서 검출되는 하모닉 피크 신호 중 한 군데의 하모닉 피크 신호만 유효하게 만들어서 연속적으로 입력되는 형태의 시료들에 대해서도 스캐닝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검출 솔레노이드 코일에 상응하는 제로 크로싱 포인트(ZERO CROSSING POING)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감긴 두 개의 코일들 중 하나의 하모닉 피크를 검출하는 나머지 하나의 코일과 가까운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하모닉 피크가 검출되는 A 지점과 가까운 위치에 제로 크로싱 포인트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도 4에 도시된 그래프처럼 자석(431, 432)에 의해 자기장이 포화된 영역을 제외한 영역의 신호만 검출될 수 있다. 즉 자석의 자기장 세기(440)가 큰 B 지점에서는 신호가 검출되지 않고, 자석의 자기장 세기(440)가 0에 가까운 A 지점의 신호들만 검출될 수 있다.
이 때, 적어도 하나의 자석은 검출 솔레노이드 코일을 둘러싸는 도넛 형태의 디스크 원반 자석에 상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자석은 샘플 홀더의 투입 위치 등을 고려하여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은 도넛 모양의 원반 자석에 상응할 수 있다.
이 때, 적어도 하나의 자석의 위치는 적어도 하나의 자석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의 세기에 의해 변화하는 나머지 하나의 코일의 감도(SENSITIVITY)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도넛 형태의 자석(500)의 특성은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나타낼 수 있다. 즉, 도넛 형태의 가운데 홀(hole) 부분을 자석으로 생각하여 같은 극성(N극 혹은 S극)을 마주보게 설치하고, 일정 거리만큼 띄워서 자석에 의한 자기장의 기울기(gradient)를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자석의 자력 세기와 거리 조절을 통해서 원하는 [T/m] 단위의 기울기(gradient)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 때 자석에 의한 발생하는 자기장의 기울기(gradient) 값이 클수록 검출 솔레노이드 코일의 감도(sensitivity)가 더 sharp하게 설정될 수 있다.
만약,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속 스캐닝 장치가 소형의 측정 probe 형태라고 가정한다면, 하나의 원반 자석만으로도 제로 크로싱 포인트(zero crossing point)를 구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과 같이 도넛 형태인 자석(700)의 홀(hole)의 센터에서부터 거리에 따른 자력, 즉 자석의 자성 특성(710)을 측정하면, 도 7의 왼쪽에 도시된 그래프처럼 나타낼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그래프를 살펴보면, 홀(hole)의 센터에서부터 55mm 떨어진 위치에서 상하 비대칭인 제로 크로싱 포인트(zero crossing point)가 생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위는 4mT, 아래는 최대 22mT로서 약 0.33[T/m](=(22-4)/55)의 기울기(gradient)가 발생되는데, 이 값은 대부분의 나노 마그네틱 파티클을 측정하는데 활용 가능한 값에 해당할 수 있다.
이 때, 하나의 자석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두 개의 자석들을 이용하는 경우에 비해서 절반 이하의 gradient slope를 얻을 수 있으므로, 적용하려는 연속 스캐닝 장치의 크기나 연속 스캐닝 장치를 통해 스캐닝하기 위한 샘플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자석을 배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자석이나 영구자석을 활용하여 높은 기울기(gradient)의 제로 크로싱 포인트(zero crossing point)를 생성함으로써 두 곳에서 관측되는 하모닉 피크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서만 유효한 하모닉 피크가 검출되도록 일부 영역에서의 신호 검출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처리모듈에서 검출 솔레노이드 코일(420)을 기반으로 시료들에서 검출되는 하나의 하모닉 피크를 순차적으로 검출하고, 검출된 신호를 기반으로 시료들 각각에 대한 나노 마그네틱 파티클(NANO MAGNETIC PARTICLE) 스캐닝을 수행한다.
즉, 종래의 기술에서는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두 개의 지점에서 하모닉 피크가 관측되므로, 연속적으로 삽입되는 시료에 의해 신호가 중첩되는 문제가 발생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하나의 지점에서만 하모닉 피크가 관측되므로 액체 형태와 같이 연속적인 시료에 대한 스캔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도 8 내지 도 9에서 X축은 스캐닝 시간을 의미할 수 있고, Y축은 스펙트로미터의 측정값(MicroV)를 의미할 수 있다.
이 때, 검출된 신호의 주파수 영역을 기반으로 시료들 각각에 대한 스캐닝 결과를 생성하고, 스캐닝 결과를 영상화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는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호 차폐를 이용한 연속 스캐닝 장치는 별도의 스테이지 모듈이나 나사 등으로 적어도 하나의 자석을 미세하게 이동 가능하게 함으로써 도 4에 도시된 연속 스캐닝 장치의 스캐닝 위치 중 정확한 지점에 위치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신호 차폐를 이용한 연속 스캐닝 장치를 통해 디퍼런셜 코일을 신호 검출에 사용하는 고감도 스펙트로미터의 제약을 극복하고 기능을 확장하여 영상 스캐닝이 가능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디퍼런셜 코일에서 검출되는 두 개의 피크(PEAK) 중 한 개의 피크만 유효하게 검출함으로써 샘플에 대한 스캐닝을 수행하거나 액체 형태의 연속된 샘플에서 측정 대상의 양을 측정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신호 차폐를 이용한 연속 스캐닝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400: 시료 홀더
101, 102, 401: 시료
110, 410: 여기 솔레노이드 코일
120, 420: 검출 솔레노이드 코일
210, 220, 450: 하모닉 피크
431, 432, 500, 700: 자석
440: 자석의 자기장 세기
610, 620, 710: 자석의 자성 특성
101, 102, 401: 시료
110, 410: 여기 솔레노이드 코일
120, 420: 검출 솔레노이드 코일
210, 220, 450: 하모닉 피크
431, 432, 500, 700: 자석
440: 자석의 자기장 세기
610, 620, 710: 자석의 자성 특성
Claims (14)
- 여기 솔레노이드 코일(EXCITATION SOLENOID COIL)로 신호를 인가하여 연속적으로 입력되는 시료들에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자석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을 이용하여 디퍼런셜 코일(DIFFERENTIAL COIL)인 검출 솔레노이드 코일(DETECTION SOLENOID COIL)에서 하나의 하모닉 피크(HARMONIC PEAK)만 검출되도록 일부 영역의 신호 검출을 차단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 솔레노이드 코일을 기반으로 상기 시료들에서 검출되는 하나의 하모닉 피크를 순차적으로 검출하고, 검출된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시료들 각각에 대한 나노 마그네틱 파티클(NANO MAGNETIC PARTICLE) 스캐닝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차폐를 이용한 연속 스캐닝 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자석은
상기 디퍼런셜 코일에 상응하게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감긴 두 개의 코일들 중 어느 하나의 코일에서 신호가 검출되는 영역의 자기장을 포화(SATURATION)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차폐를 이용한 연속 스캐닝 방법.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자석은
상기 검출 솔레노이드 코일을 둘러싸는 도넛 형태의 디스크 원반 자석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차폐를 이용한 연속 스캐닝 방법.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검출 솔레노이드 코일에 상응하는 제로 크로싱 포인트(ZERO CROSSING POING)는 상기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감긴 두 개의 코일들 중 상기 하나의 하모닉 피크를 검출하는 나머지 하나의 코일과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차폐를 이용한 연속 스캐닝 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나노 마그네틱 파티클 스캐닝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검출된 신호의 주파수 영역을 기반으로 상기 시료들 각각에 대한 스캐닝 결과를 생성하고, 상기 스캐닝 결과를 영상화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차폐를 이용한 연속 스캐닝 방법.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자석의 위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자석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의 세기에 의해 변화하는 상기 나머지 하나의 코일의 감도(SENSITIVITY)를 고려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차폐를 이용한 연속 스캐닝 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여기 솔레노이드 코일은
상기 검출 솔레노이드 코일의 바깥쪽에 위치하고, 상기 검출 솔레노이드 코일의 내부에 위치하는 시료 홀더(SAMPLE HOLDER)에 상응하는 영역에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차폐를 이용한 연속 스캐닝 방법. - 연속적으로 입력되는 시료들에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여기 솔레노이드 코일(EXCITATION SOLENOID COIL);
상기 시료들에서 발생하는 신호를 검출하는 디퍼런셜 코일(DIFFERENTIAL COIL) 형태의 검출 솔레노이드 코일(DETECTION SOLENOID COIL);
상기 검출 솔레노이드 코일에서 하나의 하모닉 피크(HARMONIC PEAK)만 검출되도록 일부 영역의 신호 검출을 차단하는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자석;
상기 여기 솔레노이드 코일로 신호를 인가하는 신호 생성모듈; 및
상기 검출 솔레노이드 코일에서 상기 시료들에 상응하게 순차적으로 검출되는 하나의 하모닉 피크를 기반으로 상기 시료들 각각에 대한 나노 마그네틱 파티클(NANO MAGNETIC PARTICLE) 스캐닝을 수행하는 처리 모듈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차폐를 이용한 연속 스캐닝 장치. -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자석은
상기 디퍼런셜 코일에 상응하게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감긴 두 개의 코일들 중 어느 하나의 코일에서 신호가 검출되는 영역의 자기장을 포화(SATURATION)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차폐를 이용한 연속 스캐닝 장치.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자석은
상기 검출 솔레노이드 코일을 둘러싸는 도넛 형태의 디스크 원반 자석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차폐를 이용한 연속 스캐닝 장치.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검출 솔레노이드 코일에 상응하는 제로 크로싱 포인트(ZERO CROSSING POING)는 상기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감긴 두 개의 코일들 중 상기 하나의 하모닉 피크를 검출하는 나머지 하나의 코일과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차폐를 이용한 연속 스캐닝 장치. -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처리 모듈은
상기 검출된 신호의 주파수 영역을 기반으로 상기 시료들 각각에 대한 스캐닝 결과를 생성하고, 상기 스캐닝 결과를 영상화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차폐를 이용한 연속 스캐닝 장치. -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자석의 위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자석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의 세기에 의해 변화하는 상기 나머지 하나의 코일의 감도(SENSITIVITY)를 고려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차폐를 이용한 연속 스캐닝 장치. -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여기 솔레노이드 코일은
상기 검출 솔레노이드 코일의 바깥쪽에 위치하고, 상기 검출 솔레노이드 코일의 내부에 위치하는 시료 홀더(SAMPLE HOLDER)에 상응하는 영역에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차폐를 이용한 연속 스캐닝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16/734,217 US11391798B2 (en) | 2019-01-03 | 2020-01-03 | Continuous scanning method using signal shielding and apparatus for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0000872 | 2019-01-03 | ||
KR1020190000872 | 2019-01-03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84786A KR20200084786A (ko) | 2020-07-13 |
KR102645529B1 true KR102645529B1 (ko) | 2024-03-11 |
Family
ID=71570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64476A KR102645529B1 (ko) | 2019-01-03 | 2019-12-11 | 신호 차폐를 이용한 연속 스캐닝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45529B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267867B2 (en) * | 2016-10-12 | 2019-04-23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 Signal transmission/reception method for signal analysis in FMMD technology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126175A (ko) * | 2016-05-09 | 2017-11-17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단일 검출 코일 기반의 마그네틱 파티클 이미지 검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
-
2019
- 2019-12-11 KR KR1020190164476A patent/KR10264552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267867B2 (en) * | 2016-10-12 | 2019-04-23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 Signal transmission/reception method for signal analysis in FMMD technology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84786A (ko) | 2020-07-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060278B2 (ja) | 鋼板の内部欠陥検出装置及び方法 | |
US9274085B2 (en) | Eddy current inspection device, eddy current inspection probe, and eddy current inspection method | |
JP6149542B2 (ja) | 磁気検査装置および磁気検査方法 | |
Zhou et al. | Imaging damage in steel using a diamond magnetometer | |
KR102645529B1 (ko) | 신호 차폐를 이용한 연속 스캐닝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
Tsukada et al. | Integrated magnetic sensor probe and excitation wire for nondestructive detection of submillimeter defects | |
US11391798B2 (en) | Continuous scanning method using signal shielding and apparatus for the same | |
Ortega-Labra et al. | What does a Barkhausen surface coil actually measure? | |
Liang et al. | A real time high sensitivity high spatial resolution quantum well hall effect magnetovision camera | |
Hartmann et al. | A system for measurement of AC Barkhausen noise in electrical steels | |
KR20150036941A (ko) | 하모닉 피크들의 패턴 분석을 이용한 물질 분석 방법 및 장치 | |
JPH06294850A (ja) | 微弱磁気測定方法及びその装置並びにそれを用いた非破壊検査方法 | |
KR101230423B1 (ko) | 자기저항센서를 이용한 검체의 신호검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검출방법 | |
JP7523675B2 (ja) | 磁気微粒子イメージング装置 | |
EP3081932A1 (en) | Apparatus and method of inspecting defect of steel plate | |
KR101235846B1 (ko) | 자기저항센서를 이용한 비접촉식 검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검출방법 | |
Choi | Metal Detection Sensor Utilizing Magneto‐Impedance Magnetometer | |
JP3786790B2 (ja) | 磁性体粉の検出方法及び検出装置 | |
Wang et al. | Detection of a rectangular crack in martensitic stainless steel using a magnetoreactance sensing system | |
Lugovskoy et al. | Investigation of welds by the method of the magneto-optical eddy current flaw detection | |
Amiri et al. | Point Probes: a new generation of magnetic sensors for the measurement of local magnetic fields | |
JP3412002B2 (ja) | 粒子線磁気モーメント分析装置 | |
US11955278B2 (en) | Magnetizing device with reduced stray field | |
Krajnak | Advanced detection in Lorentz microscopy: Pixelated detection in differential phase contrast scanning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 |
Uhlig et al. | Recording of single-particle hysteresis loops with differential phase contrast microscop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