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5019B1 - 하악 전진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하악 전진 장치 - Google Patents

하악 전진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하악 전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5019B1
KR102645019B1 KR1020200102510A KR20200102510A KR102645019B1 KR 102645019 B1 KR102645019 B1 KR 102645019B1 KR 1020200102510 A KR1020200102510 A KR 1020200102510A KR 20200102510 A KR20200102510 A KR 20200102510A KR 102645019 B1 KR102645019 B1 KR 1026450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tooth seating
frame
processing
sea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2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21663A (ko
Inventor
신현우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025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5019B1/ko
Priority to EP21856104.1A priority patent/EP4197500A4/en
Priority to PCT/KR2021/009848 priority patent/WO2022035098A1/ko
Priority to US18/021,259 priority patent/US20240033123A1/en
Publication of KR202200216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16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50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50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56Devices for preventing snoring
    • A61F5/566Intra-oral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007Dental splints; teeth or jaw immobilisation devices; stabilizing retainers bonded to teeth after orthodontic treat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rsing (AREA)
  • Pulmon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악 전진 프레임을 개시한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구강내 장치의 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와 연결되되, 상기 지지부에 대해 미리 설정된 각도로 경사진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와 상기 연결부 중 적어도 하나에는 복수개의 관통홀이 구비한 하악 전진 프레임을 개시한다.

Description

하악 전진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하악 전진 장치{Mandibular advancement frame and mandibular advancement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장치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하악 전진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하악 전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면무호흡증은 수면 중 상기도의 폐쇄로 인해 호흡정지가 발생하는 수면호흡장애의 한 종류로 국내 유병율이 남성에서는 27%, 여성에서는 16%에 이를 정도로 매우 흔한 질환이다. 이러한 수면무호흡증을 치료하기 위해, 기도의 공간을 넓힐 수 있는 하악 전방 이동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하악 전방 이동장치는 마우스피스(mouthpiece)처럼 상부와 하부 치아에 장착하게 되며, 하악을 강제로 정해진 길이만큼 전방, 즉 기도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바로 누운 자세에서 혀나 기도 부위의 조직을 앞으로 잡아당겨 기도공간을 늘리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구강내 장치에 구동력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하악 전진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악 전진 프레임은, 구강내 장치부의 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와 연결되되, 상기 지지부에 대해 미리 설정된 각도로 경사진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와 상기 연결부 중 적어도 하나에는 복수개의 관통홀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저면은 상기 지지부의 저면과 동일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두께는 상기 지지부가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두께는 상기 지지부의 중심으로부터 외곽으로 갈수록 줄어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지지부에 대해 90°로 경사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개의 상기 관통홀은 상기 지지부와 상기 연결부의 표면 전체에 걸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개의 상기 관통홀은 서로 다른 크기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악 전진 장치는, 사용자의 윗니가 안착되는 윗니 안착부와, 상기 사용자의 아랫니가 안착되는 아랫니 안착부와, 상기 윗니 안착부 또는 상기 아랫니 안착부에 연결되는 하악 전진 프레임과, 상기 하악 전진 프레임과 연결되어, 상기 윗니 안착부에 대한 상기 아랫니 안착부의 상대적인 위치를 변화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악 전진 프레임은 상기 윗니 안착부 또는 상기 아랫니 안착부의 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와 연결되되, 상기 지지부에 대해 미리 설정된 각도로 경사진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와 상기 연결부 중 적어도 하나에는 복수개의 관통홀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하악 전진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하악은, 전진 장치는, 복수개의 관통홀을 구비함으로써 하악 전진 프레임의 무게를 최소화할 수 있고, 복수개의 관통홀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하악 전진 프레임의 무게중심이 일 방향으로 편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와 연결부가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로 연결됨으로써 하악 전진 프레임의 부피를 최소화하면서 구강내 장치부로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악 전진 프레임에 윗니 안착부가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악 전진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악 전진 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하악 전진 프레임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하악 전진 프레임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하악 전진 프레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악 전진 프레임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각 구성요소의 설명에 있어서, 상(on)에 또는 하(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on)과 하(under)는 직접 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개재하여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하며, 상(on) 및 하(under)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악 전진 프레임에 윗니 안착부가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악 전진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하악 전진 장치(1)는 윗니 안착부(20)와, 아랫니 안착부(30)와, 하악 전진 프레임(10)과, 구동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윗니 안착부(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윗니가 안착될 수 있다. 윗니 안착부(20)는 사용자의 윗니가 삽입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윗니 안착부(20)는 윗니가 안착될 때 이물감 또는 불편함을 최소화하기 위해, 사용자의 치열에 따라 맞춤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윗니 안착부(20)는 윗니에 착용될 때 윗니를 감싸며 윗니에 밀착될 수 있다.
아랫니 안착부(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아랫니가 안착될 수 있다. 아랫니 안착부(30)는 아랫니 안착부(30)는 아랫니가 안착될 때 이물감 또는 불편함을 최소화하기 위해, 사용자의 치열에 따라 맞춤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아랫니 안착부(30)는 아랫니에 착용될 때 아랫니를 감싸며 아랫니에 밀착될 수 있다.
하악 전진 프레임(10)은 윗니 안착부(20) 또는 아랫니 안착부(30)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윗니 안착부(20) 및 아랫니 안착부(30)는 하악 전진 프레임(1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하악 전진 프레임(10)은 한쌍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일 실시예로서, 한쌍의 하악 전진 프레임(10) 중 어느 하나(이하, 제1 프레임)는 윗니 안착부(20)에 연결되어 윗니 안착부(20)를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한쌍의 하악 전진 프레임(10) 중 다른 하나(이하, 제2 프레임)는 아랫니 안착부(30)에 연결되어 아랫니 안착부(30)를 지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프레임은 제1 프레임의 지지부(100)의 일 표면이 윗니 안착부(20)의 외표면과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일 실시예로서 지지부(100)와 윗니 안착부(20)는 접착제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로서, 지지부(100)의 적어도 일부가 윗니 안착부(20) 내에 매몰되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지지부(100)에 구비된 복수개의 제1 관통홀(h1) 내에 윗니 안착부(20)의 일부가 삽입되어 고정됨으로써, 제1 프레임과 윗니 안착부(20)가 보다 견고히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제2 프레임은 제2 프레임의 지지부(100)의 일 표면이 아랫니 안착부(30)의 외표면과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일 실시예로서 지지부(100)와 아랫니 안착부(30)는 접착제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로서, 지지부(100)의 적어도 일부가 아랫니 안착부(30) 내에 매몰되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지지부(100)에 구비된 복수개의 제1 관통홀 내에 아랫니 안착부(30)의 일부가 삽입되어 고정됨으로써, 제1 프레임과 아랫니 안착부(30)가 보다 견고히 결합될 수 있다.
제1 프레임이 윗니 안착부(20)에, 그리고 제2 프레임 아랫니 안착부(30)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은 서로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어 구동부(4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 구동부(40)에 의해 제1 프레임 또는 제2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이 A방향을 따라 이동할 때,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이 서로의 움직임을 간섭 또는 방해하지 않을 수 있다.
구동부(40)는 윗니 안착부(20) 및 아랫니 안착부(30)와 연결되어, 윗니 안착부(20)에 대한 아랫니 안착부(30)의 상대적인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다. 구동부(40)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부(미도시)와, 동력부로부터 생성된 구동력을 윗니 안착부(20) 또는 아랫니 안착부(30)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동력부는 구동력을 생성하기 위한 어떠한 수단이든 적용 가능하다. 일 예로, 동력부는 모터(motor), 액츄에이터(actuator) 및 펌프(pump)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구동력을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동력부는 전자석 또는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하여 구동력을 생성할 수도 있다.
동력전달부는 동력부의 종류에 대응한 전달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동력부가 모터 또는 액츄에이터인 경우, 동력전달부는 모터 또는 액츄에이터로부터 생성되는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기어(gear)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동력부가 펌프인 경우, 동력전달부는 펌프로부터 생성되는 공기의 유동을 전달하기 위한 실린더 및 피스톤을 포함할 수 있다.
하악 전진 장치(1)는 사용자의 수면 상태(예를 들어, 수면시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또는 수면 자세에 따라, 아랫니 안착부(30)를 도 2의 A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수면시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이 발생되면, 하악 전진 장치(1)는 구동부(40)를 구동하여 아랫니 안착부(30)가 하악이 돌출되도록 전진 이동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사용자가 양와위 수면 자세인 경우, 하악 전진 장치(1)는 구동부(40)를 구동하여 아랫니 안착부(30)를 전진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후 사용자가 양와위 자세에서 측와위 또는 배와위 자세로 수면 자세를 변경하는 경우, 하악 전진 장치(1)는 구동부를 구동하여 아랫니 안착부(30)를 윗니 안착부(20)에 대해 초기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이처럼 전진 이동된 아랫니 안착부(30)에 의해 인두 부근의 기도를 개방 상태로 유지하여 기도를 확장시킴으로써, 기도 내의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수면시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악 전진 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하악 전진 프레임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하악 전진 프레임을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6은 도 3의 하악 전진 프레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하악 전진 프레임(10)은 하악 전진 장치(1)에 구비된 구강내 장치부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프레임일 수 있다. 이때, 하악 전진 프레임(10)은 지지부(100)와, 연결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100)와 연결부(200)는 하나로 연결된 구조로서 일체형 프레임으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악 전진 프레임(10)은 스테인리스 합금, 티타늄, 티타늄 합금, 텅스텐 합금, 코발트 크롬계 합금 등으로 형성된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지지부(100)와 연결부(200)를 형성하고, 지지부(100)에 대하여 연결부(200)를 구부려 일체로 연결된 구조로서 제조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하악 전진 프레임(10)은 스테인리스 합금, 티타늄, 티타늄 합금, 텅스텐 합금, 코발트 크롬계 합금 등의 금속분말을 이용하여 사출성형함으로써, 일체형 프레임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하악 전진 프레임(10)은 별도로 제조된 지지부(100)와 연결부(200)를 접합시켜 하나의 프레임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구체적으로 각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삭제
지지부(100)는 구강내 장치부, 예를 들어 윗니 안착부(20) 또는 아랫니 안착부(30)를 지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부(100)는 윗니 안착부(20) 또는 아랫니 안착부(30)의 측면에 연결되어, 윗니 안착부(20) 또는 아랫니 안착부(30)를 지지할 수 있다.
지지부(100)는 플레이트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지지부(100)는 소정의 곡률로 만곡된 플레이트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지지부(100)는 지지부(100)의 양 끝단을 연결한 가상의 선(예를 들어, 도 4의 X축 방향과 평행한 선)에 수직하고, 지지부(100)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중심선(C)을 중심으로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100)에는 제1 관통홀(h1)이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제1 관통홀(h1)은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복수개의 제1 관통홀(h1)은 지지부(100)를 관통하고, 지지부(100)의 길이 전체에 걸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처럼 지지부(100)에 복수개의 제1 관통홀(h1)이 형성됨으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악 전진 프레임(10)은 관통홀이 없는 동일한 부피 및 형상의 플레이트와 비교하여, 지지부(100)의 무게를 줄일 수 있다.
복수개의 제1 관통홀(h1)들은, 복수개의 제1 관통홀(h1) 중 상기한 중심선(C)이 통과하도록 지지부(100)의 중심에 배치된 중심 관통홀을 중심으로 대칭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하악 전진 프레임(10)은 지지부(100)의 무게중심이 어느 한쪽으로 편항되지 않을 수 있다.
복수개의 제1 관통홀(h1)은 서로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동일한 직경을 갖는 복수개의 제1 관통홀(h1)이 지지부(100) 상에, 상기한 중심 관통홀을 중심으로 대칭되도록 배치됨으로써 지지부(100) 및 이를 포함하는 하악 전진 프레임(10)의 무게중심이 어느 한 방향으로 편향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개의 제1 관통홀(h1)은 서로 다른 직경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지지부(100)가 지지부(100)의 중심을 기준으로 비대칭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도, 제1 관통홀(h1)의 크기를 서로 다르게 조절하여 형성함으로써 지지부(100)의 전체 무게중심이 어느 한 방향으로 편향되지 않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악 전진 프레임(10)은 지지부(100)의 중심을 기준으로, 더 긴 길이로 형성된 부분에 큰 지경의 제1 관통홀(h1)들을 배치하여, 양측의 무게를 동일하게 조절함으로써, 무게중심을 조절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하악 전진 프레임(10)은 지지부(100)의 양 끝단이 동일 선상에 위치하지 않거나, 지지부(100)의 어느 특정 부분의 두께를 다른 부분과 다르게 형성할 필요가 있는 경우, 복수개의 제1 관통홀(h1)들의 크기 서로 다르게 조절하여, 지지부(100) 및 하악 전진 프레임(10)의 무게중심이 지지부(100) 및 하악 전진 프레임(10)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지지부(100)의 두께는 일 실시예로서, 지지부(100)가 연장되는 방향(R1방향 및 R2방향)을 따라 변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지지부(100)의 중심의 두께[이하, 제1 두께(d1)]는, 지지부(100)의 끝단의 두께[이하, 제2 두께(d2)]와 상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부(100)는 지지부(100)의 중심에서 최대 두께[즉, 제1 두께(d1)]를 갖고, 지지부(100)의 중심에서 R1방향을 따라 외곽으로 갈수록, 그리고 지지부(100)의 중심에서 R2방향을 따라 외곽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차 감소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부(100)는 지지부(100)의 양 끝단에서 최소 두께[즉, 제2 두께(d2)]를 가질 수 있다.
이처럼, 하악 전진 프레임(10)은 연결부(200)가 연결되는 지지부(100)의 중심에서 두께가 최대가 됨으로써, 구동부(40)에서 생성된 구동력에 의해 구동력에 의해 지지부(100)가 휘거나 비틀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구동력을 지지부(100)에 안정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200)가 직접 연결되지 않은 지지부(100)의 외곽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형성되어, 하악 전진 프레임(10)의 무게 및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실시예로서, 지지부(100)는 지지부(100)의 중심부터 양 끝단까지, 즉 지지부(100)의 길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지지부(100)는 가공부(13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가공부(130)는 지지부(100)의 하부면에 배치되어, 지지부(100)의 하부면에서 지지부(100)의 상부면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가공부(130)는 지지부(100)와 연결부(200)가 연결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가공부(130)는 지지부(100)로부터 연결부(200)를 절곡시키는 과정에서 연결부(200)의 절곡 용이성을 위해 커팅과 같은 가공에 의해 형성된 부분일 수 있다.
가공부(130)는 지지부(100)의 하부면의 가운데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공부(130)는 상기한 중심선(C)을 중심으로 대칭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지지부(100)의 무게중심은, 가공부(130)가 구비되는 경우에도 지지부(100)의 중심에 위치할 수 있다.
연결부(200)는 구동부(40)에서 생성된 구동력을 지지부(100)에 전달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구동력이 지지부(100)에 결합된 윗니 안착부(20) 및 아랫니 안착부(30)에 전달될 수 있다. 이때 연결부(200)는 원기둥, 다각면체 등 다양한 형상일 수 있으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연결부(200)가 직육면체 형상의 플레이트인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연결부(200)는 그 일단이 지지부(100)에 연결되고, 타단은 지지부(100)의 외측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연결부(200)는 지지부(100)에 대해 미리 설정된 각도(θ)로 경사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부(200)의 일단은 지지부(100)에 연결되고, 연결부(200)의 타단은 지지부(100)의 폭 방향(예를 들어, Z축 방향)에 대해 미리 설정된 각도(θ)로 경사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각도(θ)가 80 내지 100°로 형성되어, 연결부(200)가 지지부(100)의 폭 방향(Z축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하악 전진 프레임(10)은 하악 전진 프레임(10)의 높이 방향(Z축 방향)에서의 부피를 줄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연결부(200)는 지지부(100)에 구비된 가공부(13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연결부(200)의 일단은 가공부(130)의 내부에 연결되고, 연결부(200)의 타단은 지지부(100)의 외측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연결부(200)의 Z축 방향 두께는, 가공부(130)의 Z축 방향 깊이와 동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부(200)의 저면(201)과 지지부(100)의 저면(101)은, 동일평면 상에 위치하여, 연결부(200)의 저면(201)이 가공부(130)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의해, 하악 전진 프레임(10)의 높이 방향(Z축 방향)에서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다.
연결부(200)에는 제2 관통홀(h2)이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제2 관통홀(h2)은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복수개의 제2 관통홀(h2)은 연결부(200)을 관통하고, 연결부(200)의 길이 전체에 걸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처럼 하악 전진 프레임(10)은 연결부(200)에 복수개의 제2 관통홀(h2)이 형성됨으로써, 관통홀이 없는 동일한 부피 및 형상의 플레이트에 비해, 연결부(200)의 무게를 줄일 수 있다.
복수개의 제2 관통홀(h2)은 연결부(200) 상에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개의 제2 관통홀(h2)은 연결부(200)의 중심선(C)을 따라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연결부(200)의 무게중심이 어느 한쪽으로 편향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일 실시예로서, 복수개의 제2 관통홀(h2)의 직경이 서로 동일하거나, 다른 실시예로서, 복수개의 제2 관통홀(h2)의 직경이 서로 상이할 수 있음은 전술한 제1 관통홀(h1)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지지부(100) 및 연결부(200)에 제1 관통홀(h1) 및 제2 관통홀(h2)이 형성됨으로써, 하악 전진 프레임(10)의 전체적인 형상은 유지하면서, 하악 전진 프레임(10)의 무게는 최소화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악 전진 프레임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하악 전진 프레임(10-2)은 지지부(100-2)와, 연결부(200-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연결부(200-2)의 구체적인 특징은 전술한 바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고, 전술한 실시예와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지지부(100-2)는 윗니 안착부(20) 또는 아랫니 안착부(30)의 측면에 연결되어, 윗니 안착부(20) 또는 아랫니 안착부(30)를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지지부(100-2)는 직선부(110-2)와, 만곡부(120-2)를 포함할 수 있다.
직선부(110-2)는 지지부(100-2)의 가운데에 배치되며, 연결부(200-2)의 폭 방향(X축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직선부(110-2)에는 연결부(200-2)가 연결되고, 직선부(110-2)의 중심은 지지부(100-2)의 중심과 일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부(200-2)는 직선부(110-2)의 일단과 연결되고, 직선부(110-2)의 중심을 지나며 직선부(110-2)의 길이 방향(X축 방향)에 수직한 중심선(C)과 평행하게 Y축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직선부(110-2) 또는 지지부(100-2)는 연결부(200-2)를 중심으로 대칭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연결부(200-2)는 연결부(200-2)의 중심선(C)이 지지부(100-2)의 무게중심을 통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직선부(110-2)는, 도 5에서 설명한 실시예[즉, 하악 전진 프레임(10)]와 마찬가지로 가공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가공부는 직선부(110-2)의 하부면에 배치되어, 직선부(110-2)의 하부면에서 직선부(110-2)의 상부면을 향해 오목할 수 있다. 이때, XZ평면에서 바라본 가공부의 단면 형상은 직사각형 형상이며, 가공부에 연결부(200-2)가 연결될 수 있음 전술한 바와 동일하다.
만곡부(120-2)는 직선부(110-2)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만곡부(120-2)는 한쌍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한쌍의 만곡부(120-2)는 직선부(110-2)의 양 끝단에 각각 연결되고, 직선부(110-2)를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한쌍의 만곡부(120-2) 중 어느 하나는 직선부(110-2)의 일단과 연결되어, 상기한 직선부(110-2)의 일단으로부터 R1방향을 따라 만곡되게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한쌍의 만곡부(120-2) 중 나머지 하나는 직선부(110-2)의 타단과 연결되어, 상기한 직선부(110-2)의 타단으로부터 R2방향을 따라 만곡되게 연장될 수 있다. 이때, 한쌍의 만곡부(120-2)의 곡률 반경은 동일할 수 있다.
직선부(110-2)는 직선부(110-2)의 길이방향(X축 방향)을 따라 동일한 제1 두께(d1)를 가질 수 있다. 이때, 만곡부(120-2)의 단부들 중 직선부(110-2)와 연결된 단부에서 직선부(110-2)와 동일한 제1 두께(d1)로 형성되고, 직선부(110-2)로부터 R1방향을 따라, 그리고 직선부(110-2)로부터 R2방향을 따라 두께가 점차 감소하여, 만곡부(120-2)의 양 끝단에서는 제1 두께(d1)보다 얇은 제2 두께(d2)를 가질 수 있다. 즉, 지지부(100-2)는 직선부(110-2) 및 이러한 직선부(110-2)와 연결된 만곡부(120-2)의 단부에서 최대 두께[즉, 제1 두께(d1)]를 가지며, 만곡부(120-2)의 끝단에서 최소 두께[즉, 제2 두께(d2)]를 가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경우, 연결부(200-2)와 연결되는 직선부(110-2)는 그 길이방향(X축 방향)을 따라 최대 두께(d1)를 가짐으로써, 구동부(40)에서 생성된 구동력을 지지부(100-2)에 안정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200-2)가 연결되지 않는 만곡부(120-2)는 그 연장 방향(R1방향 및 R2방향)을 따라 두께가 감소함으로써, 지지부(100-2)의 부피 및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하악 전진 프레임(10, 10-2) 및 이를 포함하는 하악 전진 장치(1)는, 복수개의 관통홀(h1, h2)을 구비함으로써 하악 전진 프레임(10, 10-2)의 무게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복수개의 관통홀(h1, h2)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하악 전진 프레임(10, 10-2)의 무게중심이 일 방향으로 편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100, 100-2)와 연결부(200, 200-2)가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로 연결됨으로써 하악 전진 프레임(10, 10-2)의 부피를 최소화하면서, 구강내 장비부로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상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10-2: 하악 전진 프레임
100, 100-2: 지지부
110-2: 직선부
120-2: 만곡부
130: 가공부
200, 200-2: 연결부
h1: 제1 관통홀
h2: 제2 관통홀
20: 윗니 안착부
30: 아랫니 안착부
40: 구동부

Claims (8)

  1. 구강내 장치부의 측면을 커버하도록 곡률을 갖는 만곡된 판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구강내 장치부의 측면과 면접촉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구강내 장치부의 측면을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일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되는 가공부; 및
    상기 지지부와 일체를 이루도록 상기 가공부에 연결되되, 상기 지지부에 대해 미리 설정된 각도로 경사진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공부의 높이와 상기 연결부의 두께는 같게 형성되고,
    상기 가공부의 폭은 상기 연결부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와 상기 연결부 중 적어도 하나에는 복수개의 관통홀이 구비되고,
    한 쌍의 상기 지지부는 서로 상하로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가공부는 상기 지지부로부터 상기 연결부를 절곡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연결부의 절곡 용이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커팅 가공에 의해 형성되는, 하악 전진 프레임.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저면은 상기 지지부의 저면과 동일평면 상에 배치되는, 하악 전진 프레임.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두께는 상기 지지부가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변하는, 하악 전진 프레임.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지지부에 대해 80° 내지 100°중 선택된 각도로 경사진, 하악 전진 프레임.
  6. 제1 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상기 관통홀은 상기 지지부와 상기 연결부의 표면 전체에 걸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하악 전진 프레임.
  7. 제1 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상기 관통홀은 서로 다른 크기의 직경을 갖는, 하악 전진 프레임.
  8. 사용자의 윗니가 안착되는 윗니 안착부;
    상기 사용자의 아랫니가 안착되는 아랫니 안착부;
    상기 윗니 안착부와 상기 아랫니 안착부에 연결되는 하악 전진 프레임; 및
    상기 하악 전진 프레임과 연결되어, 상기 윗니 안착부에 대한 상기 아랫니 안착부의 상대적인 위치를 변화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악 전진 프레임은,
    상기 윗니 안착부와 상기 아랫니 안착부의 측면을 커버하도록 곡률을 갖는 만곡된 판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윗니 안착부와 상기 아랫니 안착부의 측면과 면접촉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윗니 안착부와 상기 아랫니 안착부의 측면을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일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되는 가공부 및 상기 지지부와 일체를 이루도록 상기 가공부에 연결되되, 상기 지지부에 대해 미리 설정된 각도로 경사진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공부의 높이와 상기 연결부의 두께는 같게 형성되고,
    상기 가공부의 폭은 상기 연결부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와 상기 연결부 중 적어도 하나에는 복수개의 관통홀이 구비되고,
    한 쌍의 상기 지지부는 서로 상하로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가공부는 상기 지지부로부터 상기 연결부를 절곡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연결부의 절곡 용이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커팅 가공에 의해 형성되는, 하악 전진 장치.
KR1020200102510A 2020-08-14 2020-08-14 하악 전진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하악 전진 장치 KR1026450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2510A KR102645019B1 (ko) 2020-08-14 2020-08-14 하악 전진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하악 전진 장치
EP21856104.1A EP4197500A4 (en) 2020-08-14 2021-07-29 MANDIBULAR ADVANCE FRAME AND MANDIBULAR ADVANCE DEVICE THEREFOR
PCT/KR2021/009848 WO2022035098A1 (ko) 2020-08-14 2021-07-29 하악 전진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하악 전진 장치
US18/021,259 US20240033123A1 (en) 2020-08-14 2021-07-29 Mandibular Advancement Frame and Mandibular Advancement Apparatus Compri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2510A KR102645019B1 (ko) 2020-08-14 2020-08-14 하악 전진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하악 전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1663A KR20220021663A (ko) 2022-02-22
KR102645019B1 true KR102645019B1 (ko) 2024-03-07

Family

ID=80247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2510A KR102645019B1 (ko) 2020-08-14 2020-08-14 하악 전진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하악 전진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40033123A1 (ko)
EP (1) EP4197500A4 (ko)
KR (1) KR102645019B1 (ko)
WO (1) WO2022035098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70485B1 (en) * 1999-11-10 2001-01-09 Anthony J. Orrico Anti-snoring device
US20110005526A1 (en) 2009-07-07 2011-01-13 Charles Garabadian Therapeutic mouthpiece for treating sleep disorders
JP2012528698A (ja) * 2009-06-05 2012-11-15 ゼットエスティー ホールディング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下顎突出関連適用のための装具および方法
KR101235888B1 (ko) * 2012-07-24 2013-02-21 김희윤 코골이 방지부재
JP2017086591A (ja) * 2015-11-12 2017-05-25 高島産業株式会社 気道確保装置用の調整器具および気道確保装置
CN108670533A (zh) 2018-07-25 2018-10-19 湖南省天骑医学新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金属止鼾牙套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1991B1 (ko) * 2010-05-13 2012-11-15 이영찬 코골이 방지 장치
WO2015131222A1 (en) * 2014-03-03 2015-09-11 Sleep Innovations Pty Ltd Device and method for sleep apnoea treatment
KR101784416B1 (ko) * 2016-12-15 2017-11-06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 치료장치
CN110996863A (zh) * 2017-06-22 2020-04-10 学校法人久留米大学 护齿
CA3117315A1 (en) * 2017-11-13 2019-05-16 Reza Radmand Provisional oral sleep appliance and jig for mak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70485B1 (en) * 1999-11-10 2001-01-09 Anthony J. Orrico Anti-snoring device
JP2012528698A (ja) * 2009-06-05 2012-11-15 ゼットエスティー ホールディング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下顎突出関連適用のための装具および方法
US20110005526A1 (en) 2009-07-07 2011-01-13 Charles Garabadian Therapeutic mouthpiece for treating sleep disorders
KR101235888B1 (ko) * 2012-07-24 2013-02-21 김희윤 코골이 방지부재
JP2017086591A (ja) * 2015-11-12 2017-05-25 高島産業株式会社 気道確保装置用の調整器具および気道確保装置
CN108670533A (zh) 2018-07-25 2018-10-19 湖南省天骑医学新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金属止鼾牙套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033123A1 (en) 2024-02-01
WO2022035098A1 (ko) 2022-02-17
KR20220021663A (ko) 2022-02-22
EP4197500A1 (en) 2023-06-21
EP4197500A4 (en) 2024-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10757B2 (en) Orthodontic appliance with snap fitted, non-sliding archwire
JP6270478B2 (ja) 自動調節クッションを備える患者インターフェース装置
JP6157583B2 (ja) 咬合スプリント装置
EP3016621B1 (en) Dental appliance for treatment of bruxism
JP6023711B2 (ja) 二重y支持構造を有するフレーム組立体を備える患者インターフェース装置
JP2022043202A (ja) マウスピース
JP6522879B2 (ja) 顎位矯正装置
US20170304107A1 (en) Oral appliance fixed to lower teeth
KR101782093B1 (ko) 코골이 및 이갈이 방지기구
JP2006506109A (ja) 額支持装置を有する患者界面材
JP2009539559A (ja) いびきおよび睡眠時無呼吸の処置のための口腔装置
US9999483B2 (en) Orthodontic arch wire bracket with interchangeable locks including variable tooth positioning control and method of using same
KR102645019B1 (ko) 하악 전진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하악 전진 장치
KR102058104B1 (ko) 하악의 유동성과 치아의 고정성을 개선한 구강 장치
KR101572127B1 (ko) 수면 호흡장애 치료용 구강장치
TWM603345U (zh) 下頜骨位移調整裝置
KR102548934B1 (ko) 수면장애 완화용 구강장치
CN219461455U (zh) 壳状矫治器、壳状牙科器械以及矫治系统
CN220213112U (zh) 一种儿童颌关节调整装置
KR200475488Y1 (ko) 엎드린 자세용 베개
KR102264878B1 (ko) 하악거상 밴드를 구비한 양압기
JP2019162555A (ja) 頭部載置具および椅子
CN216754656U (zh) 一种主动式托槽
EP4173601A1 (en) Oral appliance
JP3775637B2 (ja) 義歯及び人工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