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4118B1 - 고정 이동 플랫폼 및 공급운반장치용 세정장치 - Google Patents

고정 이동 플랫폼 및 공급운반장치용 세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4118B1
KR102644118B1 KR1020237013502A KR20237013502A KR102644118B1 KR 102644118 B1 KR102644118 B1 KR 102644118B1 KR 1020237013502 A KR1020237013502 A KR 1020237013502A KR 20237013502 A KR20237013502 A KR 20237013502A KR 102644118 B1 KR102644118 B1 KR 1026441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base
base assembly
base
wheel
c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35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58186A (ko
Inventor
제프리 처치바라
아더 엘. 주니어. 벨루타토
예핌 구드블레트
블라디슬라브 구드블레트
Original Assignee
밸테크 어소시에이츠,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5/637,059 external-priority patent/US11555576B2/en
Application filed by 밸테크 어소시에이츠, 인크. filed Critical 밸테크 어소시에이츠, 인크.
Priority to KR10202470070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5634A/ko
Publication of KR202300581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81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41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41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 B62B3/025Foldable roll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006Bumpers; Safety devices
    • B62B5/0009Stops for moving parts, e.g. rubber elements to eliminate stop noi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2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0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a rectangular shape, involving sidewalls or racks
    • B62B3/005Details of storage means, e.g. drawers, bins or r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083Wheeled supports connected to the transported object
    • B62B5/0093Flat dollys without hand moving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6Hand moving equipment, e.g. handle b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ype or characteristics of transported articles
    • B62B2202/90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3/00Grasping, holding, supporting the objects
    • B62B2203/70Comprising means for facilitating loading or unloading
    • B62B2203/74Comprising means for facilitating loading or unloading rolling means, e.g.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5/00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 B62B2205/006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dismoun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5/00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 B62B2205/20Catches; Locking or releasing an artic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 Pallets (AREA)

Abstract

공급운반장치를 지지하기 위한 고정 플랫폼이 제공된다. 고정 플랫폼은 적어도 두 개의 길이방향 측부들과, 제1 단부와 제2 대향하는 단부, 및 상부면과 저부면, 그리고 프레임 위에 공급운반장치를 지지하기 위하여 프레임의 저부면으로부터 연장하는 복수의 다리들을 포함한다. 공급운반장치는 프레임의 상부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된다. 공급운반장치로부터 먼지와 부스러기를 제거하기 위하여, 또는 공급운반장치를 멸균하기 위하여, 공급운반장치의 저부면에 접촉하기 위한 세정장치를 갖은 휠 베이스 조립체가 또한 제공된다.

Description

고정 이동 플랫폼 및 공급운반장치용 세정장치{STATIONARY TRANSFER PLATFORM AND CLEANING DEVICE FOR SUPPLY TRANSPORT DEVICE}
관련 출원들
본 출원은 2014년 12월 24일 출원된 미국 임시출원 제62/096,648호와 2015년 1월 30일 출원된 62/109,873호의 이익을 청구하는 2015년 12월 22일 출원된 미국 특허출원 제14/979,330호의 일부 계속 출원인 2016년 6월 23일 출원된 미국 특허출원 제15/190,682호의 일부 계속 출원이다. 이들 출원들의 전체 내용은 참조를 위하여 여기 포함된다.
본 발명은 클린룸 장비의 분야에 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비멸균 환경으로부터 멸균 환경으로 및 그 역으로 물품들을 운반하고 임시로 유지하거나 보관하기 위한 장비에 대한 것이다.
통제된 환경(클린룸과 같은)은, 오염 물질 또는 입자의 레벨이 실내로 들어오는 공기로부터 미립자 물질을 필터링하는 것에 의한 바와 같이 통제된 영역 또는 환경이다. 통제된 환경은 낮은 레벨의 오염 물질 또는 입자를 가지며, 특정 제품을 제조하고 연구를 수행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통제된 환경은 외부 환경으로부터 유기 및 무기 오염 물질이 제조 또는 이용되는 상품 또는 장비를 손상시키지 않도록 보장하는데 사용된다. 그러나 통제된 환경을 오염시키지 않거나 또는 그 외에 통제된 환경 내로 입자를 도입함이 없이 제조를 지원하도록 통제된 환경에서 필요로 하는 다양한 물품(소모품, 원자재 등과 같은)을 통제된 환경으로 운반하는 것은 어려울 수 있다.
클린룸은 또한 정압(positive pressure) 및 습도 조절과 같은 기능을 사용하여 설계된 작업 환경을 최적화할 수 있다. 클린룸은 다양한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진입 지점 외부에 형성된 에어록(airlock) 또는 집결 영역(staging area)을 가질 수 있다. 에어록 또는 집결 영역은 외부 환경으로부터 클린룸 내부의 공기를 격리한다. 클린룸은 주어진 공기량에서 허용되는 입자의 수와 크기를 검사하는 여과 기준을 사용하여 현재 분류된다. 미국에서 공지된 클린룸 표준은 US FED 209E류, ISO 14644-1류 및 ISO 14644-2류를 포함한다. 다른 국가에서는 별도의 표준 또는 가이드라인을 사용할 수 있다.
가압 멸균(autoclaving)은 통제된 환경 내로 운반되는 상품 및 장비를 세정하기 위한 하나의 기술이다. 가압 멸균 처리기(autoclave)는 증기 또는 과열된 물의 형태로 압력 및/또는 열의 사용을 통해 상품 및 장비를 멸균하는데 사용되는 디바이스이다. 가압 멸균은 또한 진공 상태에서 수행될 수 있다. 멸균 처리기는 멸균될 매체에 의존하여 다양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멸균 처리기에 있는 상품 및 장비가 높은 레벨의 열, 압력, 및 습기에서 처리되기 때문에, 이러한 처리를 받는 어떠한 매체도 이 모두를 견딜 수 있어야만 한다.
클린룸 직원은 클린룸으로/으로부터 물품을 운반하도록 종종 카트를 사용할 것이다. 그러나, 카트는 휠들이 클린룸 내로 불필요한 입자들을 도입하는 먼지를 끌어들이기 때문에 클린룸에 들어갈 수 없다. 결과적으로, 직원은 클린룸 입구 지점(또는 집결 영역 내부) 밖에서 카트를 정지시키고, 그런 다음 수동으로 카트로부터 멸균 환경 내로 트레이 및/또는 상품을 수동으로 운반하여야만 한다. 제2 카트가 때때로 클린룸 내부에 제공될 수 있으며, 상품은 클린룸 내부에 위치된 카트로/로부터 클린룸 외부에 위치된 카트로/로부터 운반될 수 있다. 이러한 운반은 세정된 환경 밖에 위치된 카트가 멸균된 세정 클린룸에 진입하지 않아서 이를 오염시키지 않는 것을 보장하는데 필요하다. 그러나, 환경 사이에서 이러한 종래의 수동 운반은, (1) 상품이 낙하하거나 또는 유출될 가능성; (2) 상품의 우연한 취급이 멸균을 오염시킬 가능성; (3) 상품의 이동 및 운반을 돕도록 추가의 인원의 필요성; 및 (4) 시간 소모적이고 노동 집약적인 것을 포함하는 다수의 위험성과 어려움을 수반한다.
더욱이, 카트들의 이동은 그것들이 사용되지 않을 때 클린룸 환경의 내부 또는 외부에서 카트들을 보관하는 수단이 있을 것을 요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일 작업자에 의해 상품 및 장비를 운반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운반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미통제된 환경(예를 들어, 클린룸 외부)로부터 통제된 환경(예를 들어, 클린룸) 내부로 움직여, 미통제된 환경으로부터 클린룸 환경 내부로 상품을 운반할 수 있는 운반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품 또는 장비가 미통제된 환경과 통제된 환경 사이에서 운반됨에 따라서, 단일 작업자가 미멸균 휠 베이스를 멸균 휠 베이스로 교체하는 한편, 미멸균 휠 베이스가 통제된 환경으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탈착 가능한 휠 베이스를 가지는 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표준 산업 멸균 처리기의 열 및 압력을 완전히 견딜 수 있는 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사용되지 않을 때 클린룸 내부 또는 외부에 공급운반장치를 보관하거나 지지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 카트와 같은 공급운반장치용 고정 플랫폼과 같은 보관/지지 수단에 대한 것이다.
따라서, 공급운반장치 지지용 고정 플랫폼이 제공된다. 고정 플랫폼은, 적어도 두 개의 길이방향 측부들, 제1 단부와 제2 대향하는 단부, 및 상부면과 저부면, 그리고 프레임 위에 공급운반장치를 지지하기 위하여 프레임의 저부면으로부터 연장하는 복수의 다리들을 포함한다. 공급운반장치는 프레임의 상부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된다.
본 발명은 또한 공급운반장치, 고정 플랫폼, 및 휠 베이스 조립체를 포함하는 보관 및 운반 시스템을 제공한다. 고정 플랫폼은 적어도 두 개의 길이방향 측부들, 제1 단부와 제2 대향하는 단부, 상부면과 저부면, 및 프레임 위에 공급운반장치를 지지하기 위하여 프레임의 저부면으로부터 연장하는 복수의 다리들을 포함한다. 공급운반장치는 프레임의 상부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된다. 휠 베이스 조립체는 플랫폼과 거기에 부착된 복수의 휠들을 포함하고 고정 플랫폼으로 공급운반장치를 운반하도록 구성된다. 공급운반장치는 임시 유지 또는 보관을 위하여 휠 베이스 조립체로부터 고정 플랫폼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제거된다.
본 발명은 또한 공급운반장치 운반용 휠 베이스 조립체에 대한 것이다. 휠 베이스 조립체는 공급운반장치를 지지하는 상부면, 저부면, 및 두 개의 대향하는 단부들을 갖는 휠 베이스와, 휠 베이스의 저부면에 결합된 복수의 휠들, 휠 베이스의 두 개의 대향하는 단부들의 적어도 하나에 결합된 여물통(trough)-형상의 베이스, 및 여물통-형상 베이스 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세정장치를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세정장치는 휠 베이스의 상부면 위로 수직으로 연장한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목적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의도된 많은 이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취해진 다음의 설명을 참조할 때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더욱 완전한 이해 및 본 발명의 동반된 많은 이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고려될 때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는 것에 의해 용이하게 얻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휠 베이스가 제거된 카트 프레임의 사시도;
도 2a는 탈착 가능한 휠 베이스가 부착된 카트의 정면도;
도 2b는 탈착 가능한 휠 베이스가 부착된 카트의 측면도;
도 2c는 탈착 가능한 휠 베이스가 부착된 카트의 평면도;
도 3은 도 1의 휠 베이스 휠 조립체의 확대 사시도;
도 4a는 록킹 메커니즘이 록킹 위치에 있는 도 2c의 선 Z-Z를 따라서 취한, 카트의 상측 후방 모서리 부분 및 후방 휠 베이스 록킹 메커니즘의 측면도;
도 4b는 록킹 메커니즘이 미록킹 위치에 있는 도 4a의 후방 휠 베이스 휠 조립체의 측면도;
도 5a는 미통제된 환경에 있는 카트가 통제된 환경에 위치된 휠 베이스 조립체에 접근할 때의 평면도;
도 5b는 카트가 미통제된 환경과 통제된 환경 사이에서 움직이고 그 미멸균 휠 베이스를 멸균 휠 베이스로 교체할 때의 평면도;
도 5c는 그 미멸균 휠 베이스를 멸균 휠 베이스로 교체한 후에 통제된 환경 내에 완전히 있는 카트의 평면도;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휠 베이스 조립체들을 운반하도록 사용된 랙(rack)의 측면 사시도;
도 6b는 도 6a의 랙의 평면도;
도 6c는 도 6a의 랙의 측면도;
도 7a는 본 발명의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른 랙의 사시도;
도 7b는 도 7a의 랙의 정면도; 및
도 7c는 도 7a의 랙의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른 공급 카트의 정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카트의 정면 사시도;
도 10a는 종래기술의 브레이킹 메커니즘의 정면 사시도;
도 10b는 도 10a에 예시된 브레이킹 메커니즘을 갖는 예시적인 휠 베이스의 절개된 정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거가능한 휠 베이스를 갖는 카트와 같이 사용되는 고정 플랫폼의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고정 플랫폼의 사시도;
도 13은 휠 베이스로부터 고정 플랫폼 위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제거되는 도 11의 카트의 사시도;
도 14a는 부착된 세정장치를 갖는 도 3의 휠 베이스 조립체의 사시도;
도 14b는 부착된 세정장치를 갖는 도 14a의 휠 베이스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도 15a는 도 14a에 예시된 세정장치의 사시도; 및
도 15b는 도 15a의 세정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특정 용어는 명료함을 위해 사용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그렇게 선택된 특정 용어에 한정되도록 의도되지 않으며, 각각의 특정 용어가 유사한 목적을 달성하도록 유사한 방식으로 작동하는 모든 기술적 등가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몇몇 바람직한 실시예는 설명의 목적으로 설명되었으며, 본 발명이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않은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 한다.
도 1 및 도 2는 비제한적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카트(10)와 같은 운반 디바이스를 도시한다. 카트(10)는 일반적으로 본체 또는 프레임(100), 휠 위에서 하역 조립체(200), 및 본체(100)를 휠 위에서 하역 조립체(200)에 해제 가능하게 록킹하기 위한 록킹 메커니즘(300)을 포함한다. 카트(10)는 대체로 연장된(elongated)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프레임(100), 휠 위에서 하역(200) 및 록킹 메커니즘(300)을 포함하는 전체 카트(10)는 전체 카트(10)가 멸균 처리될 수 있는데 필요한 수분, 열 및 압력을 견딜 수 있는 재료로 만들어진다. 이러한 재료는 니켈,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리스강과 같은 금속 및 금속 합금,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탄성 플라스틱 및 파이렉스형 유리(Pyrex type glass)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주 프레임(100)
도시된 바와 같이, 주 프레임 또는 본체(100)는 전방 폭 방향 측부 또는 단부(102), 후방 폭 방향 측부 또는 단부(104) 및 2개의 길이 방향 측부(106, 108)들을 한정하는 직사각형의 일체형 부분이다. 본체(100)는 4개의 수직 지지 포스트(120)에 각각 연결되고 이러한 것들에 의해 지지되는 하나 이상의 수평 연장 선반을 포함한다. 저부 선반(112), 중앙 선반(114), 및 상부 선반(116)을 포함하는 3개의 선반이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공된다. 각각의 선반(112, 114, 116)은 상품 및/또는 장비와 같은 다양한 물품들을 지지한다. 그러나, 바람직하게 적어도 하나의 저부 선반(112)이 제공될지라도, 본 발명의 이 실시예 및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가변적인 수의 선반 및 지지 포스트(120)를 가질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선반(112, 114, 116)들의 각각은 선반(112, 114, 116)들을 위한 추가의 지지를 제공하는 측벽(118)들을 형성하는 아래로 꺾인(downwardly-turned) 가장자리들을 가질 수 있다. 선반(112, 114, 116)들은 또한 운반될 물품들이 선반으로부터 슬라이딩하는 것을 방지하는 위로 꺾인(upward turned) 측부들을 가질 수 있다.
본체(100)는 또한 세장형 카트 핸들(130)을 포함한다. 카트 핸들(130)은 카트(10)의 전체 폭을 끝내는 둥근 세장형 튜브일 수 있다. 카트 핸들(130)은 2개의 외측부(106, 108)에서 지지체들에 의해 카트(10)의 후방 단부(104)에서 연결된다. 카트 핸들(130)은 후방 단부(104)로부터 이격되고, 카트(10)의 카트 핸들(130)과 후방 단부(104) 사이에 갭(132)을 형성하도록 후방 단부(104)에 평행하다. 카트 핸들(130)은 실질적으로 카트(10)의 상부에 있을 수 있으며, 상부 선반(116)과 수평을 이루거나 또는 이로부터 상승된 레벨에 있을 수 있다(지지체들에 의해).
가이드 휠 조립체(140)들은 저부 선반(112)의 아래로 꺾인 측벽(118)들을 따라 위치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가이드 휠 조립체(140)는 서로 이격된 길이 방향 측벽(118)들을 따라서 위치된다. 도 3을 참조하여, 휠 조립체들은 휠(142) 및 차축(144)을 가진다. 차축(144)은, 측벽(118)에 있는 개구를 통해 연장하고 볼트 등에 의한 것과 같이 벽(118)의 반대편 측부에서 측벽(118)에 체결되는 로드(rod)일 수 있다. 또는, 차축(144)은 하나의 차축(144)이 카트(10)의 양측부(118)들에 고정된 2개의 휠(142)을 가지도록 카트(10)의 전체 폭을 넓게 만들 수 있다. 가이드 휠(142)은 상대적으로 넓으며, 가이드 휠(142)이 차축(144)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차축(144)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가이드 휠(142)들은 측벽(118)의 아래로 약간 연장하여서, 이것들은 휠 베이스 조립체(20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될 때 본체(100)의 중량을 지지한다. 휠(142)들은 본체(100)의 길이 방향 축에 평행한 방향, 즉 전/후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러므로, 가이드 휠(142)들은 본체(100)가 휠 베이스 조립체(20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되어 이로부터 제거될 때 회전한다. 각각의 롤링 휠(142)들에 대한 회전축은 측벽(118) 및 차축(144)에 직각이다. 4개의 가이드 휠 조립체(140)가 도시되어 있을지라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임의의 적절한 수의 가이드 휠 조립체들이 이용될 수 있다.
휠 베이스 조립체(200)
도 1 및 도 2에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휠 베이스 조립체(200)는 휠 조립체(210)들, 2개의 평행한 길이 방향 가이드 레일(220), 휠 베이스(200)의 양단부에 위치된 록킹 개구(230), 및 플랫폼(240)을 포함한다. 휠 조립체(210)들은 휠 프레임 및 휠 프레임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휠를 포함한다. 휠 프레임은 플랫폼(240)의 저부에 연결되어서, 휠 조립체(210)는 카트(10)가 사용자에 의해 쉽게 밀리고 당겨질 수 있도록 카트(10)의 4개의 모서리의 각각에 제공된다. 휠 조립체(210)들 중 적어도 하나는 카트(10)의 움직임을 방지하는 휠 록킹 메커니즘(250)(도 4a)를 가진다. 한 실시예에서, 휠 조립체(210)들 중 하나 이상은 스위블 장착되어서, 각각의 휠 조립체(210)는 카트(10)가 어느 방향으로도 밀리거나 또는 당겨질 수 있도록 그 길이 방향 축을 중심으로 360도(360°) 회전할 수 있다.
플랫폼(240)은 본체(100)를 협동적으로 수용하고 이와 짝맞춤될 수 있는 크기 및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플랫폼(240)은 가로 후방 단부(242), 가로 전방 단부(244) 및 2개의 길이 방향 측부(246, 248)를 가지는 평탄한 직사각형의 연장된 얇은 시트이다. 플랫폼(240)은 단일의 연속 시트인 평탄 상부면(241)을 가진다. 그러나, 플랫폼(240)은 전방 단부(244)로부터 후방 단부(242)까지 휠 베이스 조립체(200)의 전체 길이를 길게 하는 하나 이상의 연장된 널빤지들로 구성될 수 있다. 플랫폼(240) 및 휠 베이스 조립체(200)는 본체(100)가 고정될 수 있는 안정한 베이스를 제공하도록 지면에 대해 상대적으로 낮다(휠의 크기에 따라 3-8 인치). 따라서, 휠 베이스 조립체(200)는 그 높이를 증가시킬 수 있는 어떠한 불필요한 요소도 포함하지 않는다. 그래서, 휠 베이스 조립체(200)는 본질적으로 휠들과 플랫폼(240)을 가지며, 휠들은 플랫폼(240)의 저부면 또는 표면에 부착된다.
가이드 레일(220)들은 휠 베이스 조립체(200)의 길이 방향 측부(246, 248)들의 각각에 제공되고, 휠 베이스 조립체(200)의 전체 길이를 길게 하는 세장형 부재들이다. 가이드 레일(220)들은 도 3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다. 각각의 가이드 레일(220)은 직립 부분(222), 안쪽으로 꺾인 부재(224), 및 내부 가이드 가장자리(226)를 가진다. 직립 부분(222)은 평탄 상부면(241)으로부터 직각으로 위쪽으로 연장하며, 가이드 레일(220)의 외부 가장자리뿐만 아니라 길이 방향 측부(246, 248)들의 최외측 가장자리를 형성한다. 안쪽으로 꺾인 부분(224)이 플랫폼(240)의 상부면(241)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이로부터 이격되도록, 안쪽으로 꺾인 부재(224)는 휠 베이스 조립체(200)에 대해 직각으로 안쪽으로 연장한다. 상부면(241), 직립 부분(222) 및 안쪽으로 꺾인 부분(224)은 그 측면에서 꺽인 대체로 U자 형상을 형성하는 금속(강과 같은) 벽들이다. 채널(227)은 안쪽으로 꺾인 부재(224)와 플랫폼의 상부면(241) 사이에 형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직립 부분(222)은 가이드 가장자리(226)가 본체(100)의 측벽(118)에 부착된 롤링 휠 가이드 조립체(140)들의 상부에 정렬되도록 플랫폼(240)의 상부면(241)으로부터 이격된 안쪽으로 꺾인 부분(224)을 이격시킨다. 가이드 휠(142)들은 휠(142)이 회전함에 따라서 가이드 레일(220)을 따라서(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한다. 롤링 휠 가이드(140)들은 플랫폼(240)을 따라서 슬라이딩하도록 본체(100)를 지지, 운반 및 가이드하며, 휠 베이스 조립체(200)가 본체(100) 밑에서 슬라이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롤링 휠 가이드(140)들은 본체(100)가 길이 방향으로 휠 베이스 조립체(20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을 허용한다. 그러나, 본체(100)와 휠 베이스 조립체(200)는, 상기 본체(100)가 가로 방향으로 측부끼리 휠 베이스 조립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가이드 휠 조립체(140)들은 사용 동안 본체(100)가 휠 베이스 조립체(200)를 떠나 오는 것을 방지하고, 휠 베이스 조립체(20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되거나 또는 이로부터 제거될 때 본체(100)를 가이드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휠(142)들은 측벽(118)의 저부 아래에서 약간 아래로 연장한다. 따라서, 휠(142)들은 휠 베이스 조립체(200)의 상부면(242) 상에서 슬라이딩한다. 휠(142)들은 상부의 안쪽으로 꺾인 부분(224)과 플랫폼(240)의 상부면(242) 사이에 형성된 채널(227)에 추가로 수용된다. 상부 부재(224)는 휠(142)들이 자유롭게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가로대(ledge)를 형성한다. 상부 부재(224)는 채널(227)에서 휠(142)들을 보유하고, 휠(142)들은 오직 플랫폼의 상부면(242) 상에서 전방 및 후방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체(100)는 카트(10)가 사용자에 의해 전해지거나 또는 들어올려지는 것처럼 휠 베이스 조립체(200)에 대해 위쪽으로 들어올려지는 것에 의해 휠 베이스 조립체(200)로부터 자유롭게 움직일 수 없다. 오히려, 본체(100)는 휠들(142)이 채널(227)들의 단부로부터 나올 수 있도록 록킹 메커니즘(300)의 록킹 해제하고 본체(100)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딩시키는 것에 의해 휠 베이스 조립체(2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220)들이 아래로 꺾인 측부(118)들와 정렬될 필요가 없고, 대신 본체(100)의 수직 포스트(120)들을 협동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는 것을 유념하여야 한다. 가이드 레일(220)들은 예를 들어 플랫폼(240)의 측부(246, 248)들을 굽히는것에 의해 형성될 수 있어서, 가이드 레일들은 플랫폼(240)과 일체이다. 가이드 레일(220)의 전방 및 후방 모서리(228)들은 본체(100)가 초기에 휠 베이스 조립체(200) 상으로 슬라이딩함에 따라서 2개의 가이드 레일(220)들의 내부 가장자리(226)들 사이로 본체(100)를 안쪽으로 가이드하도록 경사진다. 아울러, 휠(142)들은 본체(100)의 중량을 지지할 필요가 없고, 오히려 측벽(118)들의 저부 가장자리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측벽(118)들은 플랫폼(240)의 상부면(242) 상에서 슬라이딩할 것이며, 휠(142)들은 본체(100)를 가이드하고 본체(100)가 휠 베이스 조립체(20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지금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록킹 메커니즘(300)의 추가의 상세가 도시된다. 록킹 메커니즘(300)은 수직 로드(302), 해제 노브(304), 상부 스토퍼(306), 하부 스토퍼(308), 스프링(310), 및 상부 가이드 구멍(124)을 포함한다. 수직 로드(302)는 본체(100)의 전체 높이를 길게 한다. 노브(304)와 같은 핸들은 로드(302)의 근위 단부에 위치된다. 수직 로드(302)는 카트(10)의 후방 단부(104)에서 카트(10)의 본체(100)와 결합된다. 로드(302)는 상부 지지 부재(320)와 하부 지지 부재(330)에 의해 본체(10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체결된다. 상부 지지 부재(320)는 본체(100)의 상부 부분에 고정적으로 부착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부 지지 부재(320)는 상부 선반(116)(상부 선반(116)의 측벽(118)과 같은)에 고정되고, 또한 카트 핸들(130)의 내부에 체결될 수 있다. 상부 지지 부재(320)는 카트 핸들(130)과 상부 선반(116) 사이의 갭(132)에 위치될 수 있다. 하부 지지 부재(330)는 본체(100)의 저부 부분에 고정적으로 부착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하부 지지 부재(330)는 하부 선반(112)의 측벽(118)과 같은 하부 선반(112)에 체결된다.
상부 지지 부재(320)는 중앙 개구 또는 상부 관통 구멍(322)을 가지며, 하부 지지 부재(330)는 중앙 개구 또는 하부 관통 구멍(332)을 가진다. 상부 및 하부 관통 구멍(322, 332)들은 로드(302)가 구멍(322, 332)들에 꼭 맞게 끼워지도록 로드(302)의 지름보다 약간 크다. 따라서, 로드(302)는 상부 및 하부 관통 구멍(322, 332)들에 수용된다. 구멍(332, 332)들은 로드(302)가 구멍(322, 332) 내에서 위아래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충분히 크지만, 로드(302)가 흔들리도록 너무 크지 않아야 한다.
상부 스토퍼 부재(306)는 로드(302)의 상부 부분 주위에 제공되고, 로드(302)에 고정적으로 부착된다. 상부 스토퍼 부재(306)는 스프링(310)이 상부 스토퍼 부재(306)와 상부 지지 부재(320) 사이에 제공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충분한 거리에서 상부 지지 부재(320) 아래에 위치된다. 따라서, 스프링(310)은 상부 지지 부재(320)의 저부면과 상부 스토퍼 부재(306)의 상부면 사이에서 로드(302) 주위에 위치된다. 스프링(310)은 상부 구멍(322)의 지름보다 크지만 상부 스토퍼 부재(320)의 폭보다 작은 지름을 가진다. 스프링(310)의 지름은 또한 상부 스토퍼 부재(306)의 지름보다 작다. 스프링(310)은 약간 압축되어서, 상부 지지 부재(320)의 저부면 및 상부 스토퍼 부재(306)의 상부면에 기대어 바깥쪽으로 민다.
그러므로, 상부 스토퍼(306)는 로드(302)에 고정되고, 로드(302)는 본체(100)에 고정적으로 부착된 상부 지지 부재(320) 내에서 슬라이딩한다. 바깥쪽으로 편향된 스프링(310)은 로드(302)를 아래로 밀어서(로드(302)에 고정된 상부 스토퍼 부재(306)에서 아래로 민다는 사실에 의해), 로드(302)의 원위 단부 부분(312)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휠 베이스 조립체(200)의 록킹 개구(230) 내로 결합되도록 아래로 강제된다. 하부 스토퍼 부재(308)는 로드(302)의 저부 부분에서 로드(302)에 고정적으로 결합되고, 로드(302)가 개구(332, 230)들 내에서 너무 멀리 아래로 연장하여 지면 또는 다른 것이 카트(10)의 작동을 간섭하는 것을 방지한다.
로드(302)가 휠 베이스 조립체(200)의 록킹 개구(230)에 수용될 때, 카트(10)는 록킹 위치에 있으며, 이에 의해, 휠 베이스 조립체(200)는 본체(100)에 록킹된다. 록킹 위치에서, 본체(100)는 록킹 개구(230)에서 록킹 메커니즘(300)의 협동적인 결합에 의해서 뿐만 아니라 가이드 레일 부재(220)들 사이에 위치된 저부 부분(저부 선반(112) 및/또는 지지 포스트(120)들)에 의해 휠 베이스 조립체(200)에 고정 유지된다. 따라서, 휠 베이스 조립체(200)는 사용자가 카트 핸들(130)을 밀고/당김에 따라서 본체(100)와 함께 움직일 것이다.
로드(302)의 근위 단부 및 노브(304)는 상부 선반(116) 및 카트 핸들(130)의 상부면 위로 연장한다. 노브(304)는 카트(100)의 작업자가 용이하게 도달하도록 위치되어, 여전히 카트 핸들(130)을 파지하는 동안 휠 베이스 록킹 메커니즘(300)을 작동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310)의 편향에 대항하여 노브(304)를 방향(Y)으로 들어올릴 수 있다. 이러한 작용은 로드(302)의 원위 단부 부분(312)이 휠 베이스 조립체(200)의 록킹 구멍(230)으로부터 빠지도록 한다. 이러한 위치에서, 카트(10)는 록킹 해제 상태 또는 위치에 있으며, 이에 의해, 휠 베이스 조립체(200)는 더 이상 본체(100)에 록킹되지 않는다. 가이드 레일(220)들은 여전히 본체(100)가 휠 베이스 조립체(200)에 대해 폭 방향으로 또는 측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본체(100)는 길이 방향(X)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다(도 1, 도 4b). 보다 구체적으로, 저부 선반(112)의 저부면은 플랫폼(240)의 상부면(241)을 따라서 슬라이딩한다. 양 표면이 매끄러운 금속이기 때문에, 물품이 선반(112, 114, 116)에 적재될 때에도, 본체(100)는 큰 어려움없이 슬라이딩할 수 있다. 그러므로, 요소(112)가 선반으로서 지칭될지라도, 요소는 본체(100)가 플랫폼(240) 상에서 슬라이딩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충분히 강성인 편평하고 견고한 플레이트이다. 플랫폼(240)은 또한 본체(100)가 그 상부면(241) 상에서 슬라이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충분히 강성인 평평하고 견고한 플레이트이다.
로드(302)는 원위 단부 부분(312)이 하부 지지 부재(330)에 있는 개구(332)에서 나올 정도로 충분히 높게 당겨질 수 없다. 로드(302)는 스프링(310)이 상부 스토퍼 부재(306)와 상부 지지 부재(320) 사이에서 완전히 압축될 때 위로 움직이는 것이 방지된다. 아울러, 하부 지지 부재(330)는 더 높게 만들어질 수 있거나, 또는 로드(302)의 상향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추가의 스토퍼 부재가 로드(302) 상에(예를 들어, 원위 단부(312)에서와 같은) 선택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여전히 또한, 로드(302)를 수용하는 관통 구멍을 구비한 또 다른 지지 부재는 하부 스토퍼 부재(208) 또는 다른 스토퍼 부재(도시되지 않음)의 상향 움직임을 방지하도록 본체(100)(예를 들어, 중간 선반(114)과 같은)에 부착될 수 있다.
카트(10)의 작동
도 5a, 도 5b 및 도 5c를 참조하여, 카트(10)의 작동이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비제한적인 실시예에서, 카트(10)는 단일 작업자에 의해 미통제된 환경(5)(예를 들어, 클린룸 외부)으로부터 통제된 환경(7)(예를 들어, 클린룸 내부)로 움직인다. 접경 또는 경계(9)는 통제된 환경(7)과 미통제된 환경(5)을 분리하도록 도시되어 있다. 경계(9)는 예를 들어, 클린룸 외부에 위치된 에어록에 대한 입구일 수 있다. 또는, 경계(9)는 에어록의 내부와 클린룸에 대한 입구 외부에 있을 수 있다. 또는, 경계(9)는 상이한 미립자 레벨을 가지는 2개의 클린룸 사이에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카트(10)는 ISO 14644-1류 클린룸으로부터 ISO 14644-2류 클린룸으로 움직일 수 있다. 물품(상품, 제품 및/또는 장비와 같은)은 카트(10)의 선반(110)들 상에서 운반될 수 있다. 이러한 물목들은 멸균되어, 자루들과 같은 밀봉된 포장재 내에 노출되거나 밀봉될 수 있다. 또한, 도 5a 내지 도 5c는 작업자가 물품 또는 통제된 환경에 대한 오염없이 클린룸 또는 다른 통제된 환경으로 이러한 물품들을 운반하는 것을 도시한다.
도 5a로 시작하여, 카트(10)는 미통제된 환경(5)에 위치되며, 경계(9)로 보내진다. 카트(10)는 도 2a 내지 도 2c의 완전히 조립된 실시예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와 제1 휠 베이스 조립체(2001) 모두를 포함한다. 동시에, 제2 휠 베이스 조립체(2002)는 통제된 환경(7) 내부에서, 경계(9)의 다른 측부에 위치된다. 따라서, 미통제된 환경(5)에서 본체(100)에 부착되는 제1 조립체(2001)와 그 자체가 통제된 환경(7)에 있는 제2 조립체(2002)의 2개의 휠 베이스 조립체(200)가 존재한다. 제2 휠 베이스 조립체(2002) 상의 휠(210)들은 제2 휠 베이스 조립체(2002)가 움직일 수 없도록 록킹 위치에 있다.
이 지점에서, 작업자가 카트 핸들(130)을 사용하여 경계선(9)까지 카트(10)를 밀어서, 제1 휠 베이스 조립체(2001)는 제2 휠 베이스 조립체(2002)와 접촉하게 된다. 그런 다음, 사용자는 제1 휠 베이스 조립체(2001)가 움직일 수 없도록 제1 휠 베이스 조립체(2001)의 휠(210)들을 록킹한다. 제1 및 제2 휠 베이스 조립체(2001, 2002)들이 동일하여서, 그 각각의 플랫폼(2401, 2402)은 서로 동일한 높이이다. 사용자는 측부(246, 248)들이 실질적으로 서로 정렬되도록 제1 휠 베이스 조립체(2001)를 제2 휠 베이스 조립체(2002)와 정렬시킨다. 가이드 부재는 사용자가 제1 휠 베이스 조립체(2001)를 제2 휠 베이스 조립체(2002)와 정렬하는 것을 돕도록 제1 휠 베이스 조립체(2001)의 전단 단부(244) 및/또는 제2 휠 베이스 조립체의 후방 단부(242) 상에 선택적으로 제공된다(개별적으로 또는 공동으로).
따라서, 제1 휠 베이스 조립체(2001)는 제2 휠 베이스 조립체(2002)와 정렬되고, 본체(100)(운반하고 있는 임의의 물품들과 함께)는 제1 휠 베이스 조립체(2001)로부터 제2 휠 베이스 조립체(2002)로 움직일 준비가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스프링(310)의 힘에 대항하여 록킹 메커니즘(300)(도 4a)의 노브(304)를 들어올리며, 이러한 것은 제1 록킹 개구(2301)로부터 원위 단부 부분(312)을 빼내며, 이에 의해 제1 휠 베이스 조립체(2001)로부터 본체(100)를 록킹 해제한다. 작업자가 노브(304)를 들어올릴 수 있는 범위는 상부 스토퍼(306)에 의해 제한되며, 상부 스토퍼는 상부 스토퍼(306)와 상부 가이드 구멍(322)을 둘러싸는 상부 지지 부재(320)의 표면 사이에서 그 기계적 제한까지 스프링(310)을 압축한다.
록킹 해제 위치에서, 사용자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가 제1 휠 베이스 조립체(2001)의 플랫폼(240)의 상부면(2411)을 따라서 제2 휠 베이스 조립체(2002)의 플랫폼(240)의 상부면(2412) 상으로 슬라이딩하도록 카트 핸들(130)을 밀 수 있다. 본체(100)가 제2 휠 베이스 조립체(2002) 상으로 슬라이딩함으로써, 제1 및 제2 가이드 레일(2201, 2202)들은 길이 방향(X)(도 4b)으로 본체(100)를 가이드한다. 지지 포스트(120)들은 제2 가이드 레일(2202)의 경사진 모서리(228)들과 접촉할 수 있으며, 경사진 모서리(228)들은 본체(100)가 제2 가이드 레일(2202)들 내에 오도록 유도한다. 본체(100)가 제1 휠 베이스 조립체(2001)로부터 약간 밀리면, 로드(302)가 록킹 개구(230)와 더 이상 정렬되지 않아서, 사용자는 노브(304)를 해제할 수 있다. 원위 단부(312)는 스프링(310)의 힘에 의해 아래로 다시 밀릴 것이고, 각각의 플랫폼(240)의 상부면(2411, 2412)을 따라서 갈 것이다. 걸쇠(catch)가 직립 위치에서 노브를 홀딩하도록 선택적으로 제공될 수 있어서, 사용자는 노브를 홀딩할 필요가 없다.
사용자는 본체(100)가 통제된 환경(7) 내부에 있는 제2 휠 베이스 조립체(2002) 상에 완전히 위치될 때까지 카트 핸들(130)을 계속해서 민다. 제2 휠 베이스 조립체(2002) 상의 휠들이 록킹되기 때문에, 휠 베이스 조립체(2002)는 정지하고 있으며, 본체가 그 위에서 슬라이딩함에 따라서 움직이지 않는다. 여기에서, 제1 및 제2 휠 베이스(2001, 2002)들이 록킹될지라도, 제2 휠 베이스(2002)만 록킹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유념하여야 한다. 그러나, 제1 휠 베이스(2001)는 운반 작업 동안 제1 휠 베이스(2001)의 움직임을 더욱 방지하도록 록킹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휠 베이스(2001)는 그런 다음 록킹될 것이며, 사용자가 통제된 환경(7)을 떠날 때 다시 본체(100)를 수용할 준비가 된다. 본체(100)가 제2 휠 베이스 조립체(2002) 상에 완전히 수용되면, 로드(302)는 록킹 개구(2302)와 정렬될 것이며(가이드 레일(2202)의 내부 가장자리(226)에 의해), 스프링(210)의 외향(하향)력 하에서 록킹 개구(2302)에 자동으로 진입할 것이다.
이 지점에서, 본체(100)는 통제된 환경(7) 내부에 있는 제2 휠 베이스 조립체(2002)(멸균 휠를 구비한)에 록킹되고, 제1 휠 베이스 조립체(2001)(미멸균 휠를 구비한)는 미통제된 환경(5)에 남아있다.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휠 베이스 조립체(2002)의 휠들은 그런 다음 사용자에 의해 록킹 해제될 수 있으며, 카트(10)(본체(100)와 제2 휠 베이스 조립체(2002)를 구비한)는 클린룸(7) 내부에서 조종될 수 있어서, 물품들은 클린룸(7) 내부의 적절한 위치로 전달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의 전달 작동 동안, 물품들은 카트(10)의 선반(112, 114, 116)들 상에 남아있고, 제거될 필요가 없다는 것을 유념하여야 한다. 아울러, 본체(100)는 결코 지면을 건드리지 않고, 대신 제1 플랫폼 표면(2401)으로부터 제2 플랫폼 표면(2402)으로 직접 움직인다.
설명된 프로세스는 역으로, 즉 카트(10)가 통제된 환경(7)으로부터 미통제된 환경(5)으로 움직일 때 동일하게 실행될 수 있다. 그러나, 언제나 멸균 및 미멸균 휠 베이스들은 그 각각의 환경에서 격리되어 있으며, 카트(10)가 이러한 환경 사이에서 움직이는 동안 미립자 물질의 어떠한 교차 오염도 방지한다. 휠 베이스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하여서 상호 교환 가능하며, 프레임(100)은 본체(100)를 재구성하지 않고도 하나의 휠 베이스 조립체로부터 다른 휠 베이스 조립체로 용이하게 움직일 수 있다. 아울러, 개구(230)들은 휠 베이스 조립체(200)들의 전방 단부(244) 및 후방 단부(242) 모두에 위치되어서, 본체(100)는 어느 한 방향으로부터 휠 베이스 조립체(2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므로, 카트(10)는 물품이 선반(112, 114, 116)들 상에서 운반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물품들은 카트(10)가 미통제된 환경과 통제된 환경 사이에서 움직일 때 선반(112, 114, 116)들 상에 남아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는 클린룸 외부에 카트를 놓아둔 동안 클림룸 내로 물품을 가져오도록 카트로부터 물품을 수동으로 제거할 필요가 없다. 그리고, 미통제된 환경에서 사용된 휠들은 통제된 환경에 들어 가지 않는다. 오히려, 통제된 환경에서 사용된 휠들은 통제된 환경 안에 남아 있으며, 통제된 환경을 떠나지 않는다. 따라서, 카트 휠들은 통제된 환경 내로 입자를 진입시키지 않는다.
상기되고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 상에 대부분 위치되는 단일의 록킹 메커니즘(300)이 제공되며, 단지 개구(230)만이 휠 베이스 조립체(200)에 필요하다. 그러나, 임의의 적절한 수 및 구성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 프레임(100)의 하나 이상의 측부(106, 108) 또는 단부(102, 104)들에 위치된 다수의 록킹 메커니즘들이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록킹 메커니즘은 본체(100) 상의 록킹 메커니즘을 협동적으로 결합하는 휠 베이스 조립체 상의 체결구 또는 짝맞춤(mating) 록킹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여전히 또한, 록킹 메커니즘(300)은 긴 로드(302)를 가질 필요는 없지만, 사용자가 노브를 들어 올리기 위해 아래로 굽혀야만 하도록 저부 선반(112) 바로 위의 노브를 갖는 짧은 로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선반(112) 상의 어떠한 물품도 새로운 휠 베이스 조립체 상으로 움직이도록 플랫폼(240)의 상부면(241) 상에서 슬라이딩하는 저부 선반(112)을 갖는 것으로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다른 변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이, 플랫폼(240)은 널빤지 등일 수 있다. 그리고, 저부 선반(112) 대신에, 포스트(120)들이 휠을 가질 수 있다. 또는, 세장형 길이 방향 지지체들은 휠 베이스 조립체 상의 짝맞춤 롤러 베어링들을 결합하는 롤러 베어링들을 구비할 수 있다(예를 들어, 가이드 레일들이 필요하지 않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전체 카트(10)가 멸균 처리될 수 있는 재료로 만들어진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전체 카트(10)와 운반되는 모든 물품은 멸균 처리기에 배치되어 멸균될 수 있다. 여전히, 카트(10)의 추가의 변형예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이 본체(100)와 완전히 별개인 휠 베이스 조립체(200)를 가지는 것으로서 설명되었을지라도,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이 본 발명에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100)는 다수 세트의 교환 가능한 휠들을 가질 수 있어서, 한 세트의 휠이 깨끗한 환경에서 사용되고, 한 세트의 휠은 깨끗한 환경 외부에서 사용된다. 휠들은 각각의 휠이 한 번에 하나씩 교체될 수 있도록 개별적으로 제거될 수 있거나, 또는 2개의 전방 휠과 2개의 후방 휠이 각각 서로 결합될 수 있어서, 전방 휠들이 한번에 교체될 수 있고 후방 휠들이 한번에 교체될 수 있다. 또는 휠들은 본체에 고정되어 있을 수 있으며, 한 세트의 휠들을 상승시키고 다른 세트의 휠들을 하강시키도록 레버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휠 조립체는 하강하는 휠들 중 하나와 상승된 다른 휠 사이에서 선회하는 선회 플레이트에 각각 고정된 2개의 휠를 가질 수 있다.
저장/운반 카트 또는 랙(600, 700)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이 도 6a 내지 도 6c에 도시되어 있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멸균 처리기에 하나 이상의 휠 베이스 조립체(200)를 저장 및/또는 운반하는데 사용되고 멸균 처리기에서 남을 수 있는 휠 베이스 운송 카트 또는 랙(600)을 포함한다. 랙(600)은 일반적으로 저부 부분(602) 및 적어도 하나의 핸들 조립체(604)로 형성된다. 저부 부분(602)은 상부면(606) 및 저부면(608)을 가지는 편평한 직사각형의 연장된 플레이트로 형성될 수 있다. 랙(600)의 저부 부분(602)은 다수의 휠 베이스 조립체(200)를 수용하고 멸균 처리기 내에 끼워지는 것이 가능한 크기 및 구성이다. 핸들 조립체(604)는 기둥 또는 로드(612)들과 랙 핸들(610)로 형성될 수 있다. 기둥(612)들은 저부 부분(602)의 단부(610)의 상부면(606)으로부터 직각으로(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는 일정 각도로 연장할 수 있다. 기둥(612)들과 랙 핸들(610)은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서로 부착된다.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랙 핸들(610)은 기둥(612)들과 일체로 형성되고, 기둥(612)들의 상부로부터 일정 각도로 연장한다. 랙 핸들(610)은 사용자가 랙(600)을 미는 것을 허용한다.
한 실시예에 따라서, 저부 부분(602) 및 핸들 조립체(604)(랙 핸들(610) 및 기둥(612)들을 포함하는)는 니켈,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리스강과 같은 금속 및 금속 합금,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탄성 플라스틱 및 파이렉스형 유리(Pyrex type glass)(즉, 저 열팽창 붕규산염 유리)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멸균 처리될 수 있는 재료로 형성된다. 그러므로, 전체 랙(600)(및 랙(600)에 의해 홀딩되는 임의의 휠 베이스 조립체(200))은 멸균 처리될 수 있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랙(600)은 랙(600)의 저부 부분(602)의 상부면(606)으로부터 위로 연장하는 다수의 기둥 또는 포스트(614)를 포함한다. 포스트들은 랙(600)의 저부 부분(602)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핀, 스크루 등에 의해 저부 부분(602)의 상부면(606)에 결합될 수 있다. 포스트(614)들은 원형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거나, 또는 포스트들이 휠 베이스 조립체(200)를 고정적으로 홀딩하고 정사각형, 타원형 또는 팔각형 단면 형상과 같은 가이드 레일(220)들의 채널(227) 내에 끼워지는 것을 허용하는 임의의 다른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포스트(614)들은 랙(600)의 저부 부분(602)의 길이(L1)를 따르는 쌍으로 구성되며, 각각의 쌍은 랙(600)을 가로질러 폭 방향으로 연장하는 열에 있다. 상기 쌍의 각각의 포스트(614)는 다른 포스트(614)로부터 이격되어서, 상기 쌍의 제1 포스트(614)는 하나의 길이 방향 측부(246) 상의 휠 베이스 조립체(200)의 가이드 레일(220)의 채널(227)과 결합하는 한편, 상기 쌍의 포스트(614)들 중 다른 것은 휠 베이스 조립체(200)의 다른 길이 방향 측부(248) 상의 가이드 레일(200)의 채널(227)과 결합한다. 포스트(614)들은 휠 베이스 조립체(200)의 길이(L2)의 적어도 절반과 같이 적소에서 휠 베이스 조립체(200)들을 고정적으로 홀딩하는데 충분한 높이를 가진다.
도 6a가 6개의 휠 베이스 조립체(200)를 수용하도록 총 12개의 포스트(614)를 도시하지만, 본 발명은 임의의 수의 포스트(614)들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랙(600)은 한번에 다수의 휠 베이스 조립체(200)의 가압 멸균을 허용하도록 설계되어서, 다수의 포스트(614)들이 바람직하다. 랙(600)의 저부 부분(602) 및 핸들 조립체(604)와 마찬가지로, 포스트(614)들은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멸균 처리될 수 있는 재료로 형성된다.
포스트(614)들은 각각의 휠 베이스 조립체(200)들을 랙(600) 상의 수직 위치에 홀딩하도록 구성된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스트(614)들은 휠 베이스 조립체(200)의 평탄 상부면(241)(도 1 참조)이 랙(600)의 저부 부분(602)에서 직각으로 배향되도록 휠 베이스 조립체(200)의 어느 하나의 길이 방향 측부(246, 248)의 길이 방향 가이드 레일(220)들의 채널(227)들 내에 위치된다. 포스트(614)들은 휠 베이스 조립체(200)들을 포스트(614)들 내로 아래로 강제하여야만 할 필요없이 휠 베이스 조립체(200)들을 적소에 고정하도록 포스트들이 채널(227)들 내에 꼭맞게 끼워지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단면 크기 및 형상을 가진다. 휠 베이스 조립체(200)들은 전도되거나 낙하함이 없이 랙(600) 주위로 움직일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고정하여야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가이드 레일(200)은, 포스트(614)들과 결합하고 휠 베이스 조립체(200)가 랙(600) 상에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안쪽으로 꺾인 부재(224), 및 포스트(614)를 결합하고 휠 베이스 조립체(200)가 랙(600) 상에서 좌우로(side-to-side)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직립 부분(222)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휠 베이스 조립체(200)들은 자유롭게 움직이지 않도록 랙(600) 상에서 전방 또는 후방 또는 좌우로 움직이는 것이 방지된다.
휠 베이스 조립체(200)들은 사용자에 의해 쉽게 움직이거나 또는 멸균 처리기에 끼워지기에는 너무 큰 랙(600)을 요구함이 없이 랙(600)이 다수의 휠 베이스 조립체(200)들(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은)을 수용할 수 있도록 랙(600) 상에서 수직으로 배열된다. 휠 베이스 조립체(200)들은 적층 관계로 서로 평행하게 랙(600) 상에 위치된다. 작동 시에, 사용자는 각각의 길이 방향 측부(246, 248) 상의 가이드 레일(220)들의 채널(227)의 개구를 2개의 인접한 포스트(614)와 정렬시키는 것에 의하여 각각의 휠 베이스 조립체(200)를 랙(600) 상으로 슬라이딩시킬 것이다. 포스트(614)들은 가이드 레일(220)들의 경사진 전방 및 후방 모서리(228)들(도 3 참조)에 의해 채널(227)들 내로 아래로 가이드될 수 있다. 포스트(614)들의 상부는 또한 휠 베이스 조립체(200)를 포스트(614)들 상으로 더욱 가이드하도록 둥글거나 테이퍼질 수 있다.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휠 베이스 조립체(200)의 휠(210)들은 랙의 핸들 조립체(604)와 마주할 할 수 있지만, 반대 방향으로 향하도록 배향될 수 있다.
랙(600)은, 랙(600)이 외부 환경으로부터 멸균 처리기 또는 클린룸 환경으로와 같이 하나의 위치로부터 다른 위치로 물리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저부 부분(602)의 저부면(608)에 결합된 다수의 휠(616)들을 포함할 수 있다. 휠(616)들은 랙(600)의 안정성을 보장하도록 저부 부분(602)의 저부면(602)의 각각의 모서리에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랙(600)은 다수의 휠 베이스 조립체(200)를 동시에 효율적으로 멸균 처리하도록 다수의 휠 베이스 조립체(200)를 동시에 저장, 홀딩 및 운반하는 크기 및 구성이다. 그러나, 랙(600)은 동시에 가압 멸균을 위해 다른 디바이스들을 운반하는 크기 및 구성이다.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른 랙(700)이 도시되어 있다. 카트 또는 랙(700)은 하나 이상의 휠 베이스 조립체(200)를 멸균 처리기에 저장 및/또는 운반하고 멸균 처리기에 남도록 사용될 수 있다. 랙(700)은 다수의 휠 베이스 조립체(200)를 수용하고 멸균 처리기 내에 끼울 수 있는 크기 및 구성이다. 한 실시예에 따라서, 전체 랙(700)은 니켈,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리스강과 같은 금속 및 금속 합금,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탄성 플라스틱 및 파이렉스형 유리(Pyrex type glass)(즉, 저 열팽창 붕규산염 유리)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멸균 처리될 수 있는 재료로 형성된다. 그러므로, 전체 랙(700)은 랙(700)에 의해 홀딩되는 임의의 휠 베이스 조립체(200)와 함께 멸균 처리될 수 있다.
랙(700)은 베이스 프레임 부분(702), 상부 프레임 부분(704), 및 4개의 측부 지지 기둥(706)들을 구비한 프레임을 가진다. 저부 및 상부 프레임 부분(702, 704)들은 개방된 중앙을 가지는 정사각형으로 서로 연결된 4개의 세장형 지지 부재들에 의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부 프레임 부분(704)은 전방 지지 부재(704a), 후방 지지 부재(704c) 및 측부 지지 부재(704b, 704d)들을 가진다. 대안적으로, 하부 및/또는 상부 프레임 부분(702, 704)들은 실축형 플레이트(solid plate)일 수 있다.
도 7c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프레임 부분(704)은 저부 프레임 부분(702)보다 작을 수 있고, 측부 지지 기둥(706)들은 저부 프레임 부분(702)의 각각의 모서리를 상부 프레임 부분(704)의 각각의 모서리에 연결하도록 수직으로 위쪽으로 상당히 그리고 안쪽으로 약간 각이 지게 연장할 수 있다. 보다 넓은 베이스 프레임 부분(702)은 더욱 큰 안정성을 제공하고, 보다 작은 상부 프레임 부분(704)은 휠 베이스 조립체(200)들의 더욱 용이한 삽입 및 제거를 가능하게 한다. 지지 기둥(706)들은 전방 개구(707a) 및 후방 개구(707b)를 가지는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훅(710)이 제공된다. 훅(710)들은 상부 프레임 부분(704)의 저부에 결합된다. 한 실시예에서, 다수의 훅(710)은 전방 및 후방 지지 부재(704a, c)들에 결합되고, 서로 이격되어서, 휠 베이스 조립체(200)는 이웃하는 훅(710)들 사이에 끼워질 수 있다. 전방 지지 부재(704a) 상의 각각의 훅(710)은 각각의 쌍을 형성하도록 후방 지지 부재(704c) 상의 각각의 훅(710)과 정렬된다. 훅(710)들은 지지체(704a, 704c)들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하고 그런 다음 위쪽으로 만곡되어 대체로 J자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위로 꺾인 립(712)을 형성한다. 훅(710)들은 전방 및 후방 지지체(704a, 704c)들의 중앙 길이 방향 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하나 이상의 휠 베이스 조립체(200)들은 각각의 쌍의 훅들(710) 상에서 각각의 횔 베이스 조립체를 매다는 것에 의해 카트(700)와 해제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훅(710)들은 휠 베이스 조립체(200)의 가이드 레일(220)들 중 하나를 해제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어서, 조립체(200)는 수직으로 비스듬히 매달린다. 훅(710)들이 안쪽으로 꺾인 상부 부재(224) 상에 걸려서, 내부 가이드 가장자리(226)는 훅(710) 상에 놓인다. 휠 베이스 조립체(200)가 훅(710) 상에 위치될 때, 훅 립(712)이 가이드 채널(227) 내로 위쪽으로 연장하여서, 휠 베이스 조립체(200)는 사용자가 립(712)을 넘어서 휠 베이스 조립체를 들어올리지 않고는 제거될 수 없다.
그러므로, 랙(700)은 한 번에 다수의 휠 베이스 조립체(200)들을 홀딩하고, 휠 베이스 조립체(200)들은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하게, 저부 프레임 부분에 대해 랙 상에서 수직으로 길게 한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휠 베이스 조립체(200)들은 랙(700)의 2개의 측부들 사이에 있다.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휠 베이스 조립체(200)들이 카트(700)의 전방 및 후방 너머로 연장하여서, 조립체(200)들은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어 상기 훅(710)에 용이하게 매달리고 이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작동 시에, 사용자는 가이드 레일(220) 주위에서 조립체(200)를 붙잡고, 채널(227) 내로 그의 손가락을 삽입할 수 있다. 사용자는 각각의 전방 또는 후방 지지 기둥(706)들 사이에서 랙의 전방 또는 후방 개구(707a, b)를 통해 조립체(200)를 삽입한 다음, 조립체(200)를 립(712) 위로 들어올리고, 조립체를 훅(710) 상으로 내려 놓는다. 프로세스는 랙(700)으로부터 조립체(200)를 제거하도록 역전된다.
랙(700)은, 랙(700)이 외부 환경으로부터 멸균 처리기 또는 클린룸 환경으로와 같이 하나의 위치로부터 다른 위치로 물리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저부 프레임 부분(702)의 저부면에 결합된 다수의 휠(716)들을 포함할 수 있다. 휠(716)들은 랙(700)의 안정성을 보장하도록 저부 프레임 부분(702)의 각각의 모서리에 위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지지 부재(704a, b, c, d) 중 하나를 붙잡는 것에 의해 랙(700)을 당기고 및/또는 밀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랙(700)은 다수의 휠 베이스 조립체(200)를 동시에 저장, 홀딩 및 운반하여 다수의 휠 베이스 조립체(200)를 동시에 효율적으로 멸균 처리하는 크기 및 구성이다. 그러나, 랙(700)은 동시에 가압 멸균을 위해 다른 디바이스들을 운반할 수 있는 크기 및 구성일 수 있다.
공급 운반/보관 카트(800)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이 도 8에 예시된다. 이 실시예에서, 공급 운반/보관 카트(800)("공급 카트(800)")는 클린룸 환경으로 그리고 그로부터 캔, 병, 또는 다른 부피가 크거나 또는 독특하게 형상화된 물품들을 운반하고 보관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공급 카트(800)는 하나의 위치로부터 또 다른 위치로 조립체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여기 설치된 휠 베이스 조립체(200)를 이용할 수 있으나, 공급 카트(800)의 본체는 도 1 및 2a-c에 예시된 실시예들과 다르다.
공급 카트(800)의 주 본체(802)는 프레임을 형성하도록 전방의 횡방향(transverse) 측부 또는 단부(804), 후방의 횡방향 측부 또는 단부(806) 및 두 개의 대향하는 길이방향(longitudinal) 측부(808, 810)들을 형성하는 직사각형 단일 부재이다. 많은 수의 지지 포스트(812)들이 사용될 수 있지만, 본체(802)는 휠 베이스 조립체(200)로부터 위로 연장하는 네 개의 코너의 수직 지지 포스트(812)들을 가진다. 일 실시예에서, 수직 지지 포스트(812)들은 본체(802)의 저부면(813)으로부터 위로 연장한다. 저부면(813)은 각각의 수직 지지 포스트(812)들 사이로 연장하는 실질적으로 평탄면일 수 있다. 여전히 다른 실시예에서, 본체(802)는 다른 저부면(813)을 가질 수 있으므로, 이하 설명되는 바와 같이, 수평 가로부재들에 의하여 연결된 수직 지지 포스트(812)들을 가지는 프레임으로 단순히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주 본체(802)는 추가로 주 본체(802)의 베이스에서, 주 본체(802)가 휠 베이스 조립체(20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고 제거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 휠 조립체(140)와 같은, 가이드 휠 조립체(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한다. 본체(802)가 저부면(813)을 포함하는 일 실시예에서, 가이드 휠 조립체들은 저부면(813)의 외측 에지(도시되지 않음)를 따라 정렬될 수 있다. 본체(802)가 저부면(813)을 포함하지 않는 실시예에서, 가이드 휠 조립체들은 전방 단부(804)에서 후방 단부(806)로 수직 지지 포스트(812)들 사이로 연장하는 바닥 가로 바(도시되지 않음)들에 결합될 수 있다.
공급 카트(800)는 카트(10)와 같이 그리고 도 5a-c에 예시된 바와 같이, 휠 베이스 조립체(200) 위에 배치되고 그로부터 제거된다. 이 실시예에서, 본체(802)는 카트(10)에 대해 여기서 설명된 바와 같은, 휠 베이스 조립체(200)에 본체(802)를 해제가능하게 체결하는 록킹 메커니즘(300)을 포함하는 기구를 통해, 휠 베이스 조립체(200)를 협동하여 배치하고 합치하도록 크기가 형성되고 형상화된다. 본체(802)가 저부면(813)을 포함하면, 저부면(813)은 휠 베이스 조립체(200)의 플랫폼(240)의 상부면(24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된다. 그렇지 않으면, 바닥 가로바들이 충분히 튼튼해서 그들이 휠 베이스 조립체(200)의 플랫폼(240)의 상부면(241) 위로 슬라이딩하고 공급 카트(800)를 위에 지지된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공급 카트(800)의 본체(802)는 휠 베이스 조립체(200)에 일체로 형성된다.
주 본체(802)는 추가로 측부 레일들을 형성하기 위하여 다른 높이들에서 각각의 수직 지지 포스트(812)들 사이로 연장하는 복수의 수평 가로 바(814)들을 포함한다. 도 8에 예시된 바와 같이, 특정 수의 수평 가로 부재(814)들이 특정 용도에 사용될 수 있지만, 본체(802)는 전체 12개의 수평 가로 부재(814)들을 가진다. 이 실시예에서, 4개의 수평 가로 부재(814a)들이 4개의 수직 지지 포스트(812)들 사이로 연장하여 휠 베이스 조립체(200) 바로 위에 직사각형 형상을 형성한다. 또 다른 4개의 수평 가로 부재(814b)들이 4개의 수직 지지 포스트(812)들 사이로 연장하여 4개의 수평 가로 부재(814a)들 바로 위에 또 다른 직사각형 형상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캔들, 병들, 또는 다른 물품들이 공급 카트(800)의 본체(802) 저부면(813)에 배치될 수 있고 수평 가로 부재(814a, 814b)들에 의하여 제 위치에 유지되므로 물품들은 공급 카트(800)로부터 탈락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도 8에 예시된 바와 같이, 수평 가로 부재(814a, 814b)들은 공급 카트(800)의 후방 단부(806)에서 힌지 도어(도시되지 않음)를 형성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힌지 도어는 전방 단부(804) 또는 측부(808, 810)들에 형성될 수 있다.
4개의 수평 가로 부재(814c, 814d)들이 두 개의 수직 지지 포스트(812)들 사이로 연장하므로 가로부재(814d)는 가로 부재(814c) 바로 위에 있다. 이와 같이, 캔, 병, 및 다른 물품들이 공급 카트(800)의 전방 횡방향 단부(804) 및 후방 횡방향 단부(806)로부터 낙하하지 않고 휠 베이스 조립체(200) 위에 유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캔들은, 예컨대, 제 위치에 유지하기 위하여 가로부재(814c, 814d)들에 연결될 수 있다. 핸들(130)에 유사한 핸들이 공급 카트(800)를 사용자가 밀 수 있도록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도 10b와 관련해서, 이하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핸들(1026)에 의하여 공급 카트(800)를 밀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수평 가로 부재(814c, 814d)들을 사용하여 공급 카트(800)를 밀거나 당길 수 있다.
전체 공급 카트(800)가 멸균되기에 필요한 수분, 열, 및 압력을 견딜 수 있는 소재로 공급 카트(800)는 바람직하게 형성된다. 그러한 소재는 한정되는 것이 아니지만, 파이렉스형의 유리,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탄성 플라스틱, 및 스테인레스 강 또는 알루미늄, 니켈과 같은 금속 및 금속 합금을 포함한다.
트레이 운반/보관 카트(900)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이 도 9에 예시된다. 이 실시예에서, 트레이 운반/보관 카트(900)("트레이 카트(900)")는 클린룸 환경으로 그리고 그로부터 평탄한 트레이들을 운반하거나 또는 클린룸 내측 또는 외측에 평평한 트레이들을 보관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트레이 카트(900)는 일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이동될 수 있도록 여기 설명되는 휠 베이스 조립체(200)를 이용할 수 있으나, 트레이 카트(900)의 본체는 도 1, 2a-2c 및 8에 예시된 이들 실시예들과 다르다.
트레이 카트(900)의 주 본체(902)는 프레임을 형성하도록 전방 횡방향 측부 또는 단부(904), 후방 횡방향 측부 또는 단부(906) 및 두 개의 대향하는 길이방향 측부(908, 910)들을 형성하는 직사각형의 단일 부재이다. 일 실시예에서, 주 본체(902)는 길이방향 측부(908, 910)들의 베이스를 따라 연장하는 가로 부재들을 포함한다. 이들 가로 부재들 각각은 주 본체(902)가 휠 베이스 조립체(20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고 그로부터 제거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 휠 조립체(140)와 같은 가이드 휠 조립체(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주 본체(902)는 저부면(913)을 포함한다. 저부면(913)은 전방 단부(904)로부터 본체(902)의 후방 단부(906)로 연장하는 실질적으로 평탄한 표면일 수 있다.
트레이 카트(900)는 카트(10)와 같이 그리고 도 5a-c에 예시된 바와 같이 휠 베이스 조립체(200) 위에 배치되고 그리고 그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와 같이, 본체(902)는 카트(10)에 대해 여기서 설명된 바와 같은, 휠 베이스 조립체(200)에 본체(902)를 해제가능하게 체결하는 록킹 메커니즘(300)을 포함하는 메커니즘을 통해 휠 베이스 조립체(200)를 협력하여 배치하고 합치하도록 크기가 형성되고 형상화된다. 본체(902)가 저부면(913)을 포함하면, 저부면(913)은 휠 베이스 조립체(200)의 플랫폼(240)의 상부면(24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된다. 본체(902)가 저부면(913)을 포함하지 않는 일 실시예에서, 가로 부재들은 충분히 튼튼하므로 그들은 휠 베이스 조립체(200)의 플랫폼(240)의 상부면(241) 위로 슬라이딩하여 그 위의 트레이 카트(900)를 지지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트레이 카트(900)의 본체(902)는 휠 베이스 조립체(200)와 일체로 형성된다.
본체(902)는 일반적으로 각각의 길이방향 측부(908, 910)들 사이로 휠 베이스 조립체(200)로부터 위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길다란 트레이-배치 구조물(912)로 형성된다. 본체(902)가 저부면(913)을 포함하면, 각각의 트레이-배치 구조물(912)은 저부면(913)으로부터 위로 수직으로 연장하여 거기에서 결합된다. 일 실시예에서, 주 본체(902)는 바람직하게 적어도 세 개의 길다란 트레이-배치 구조물(912)을 포함한다. 도 9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트레이-배치 구조물(912)은 직사각형 형상을 가진다. 각각의 트레이-배치 구조물(912)은 직사각형 상부 결합 부재(911)에 의하여 결합되므로, 각각의 트레이-배치 구조물(912)은 같이 고정된다. 본체(902)가 저부면(913)을 포함하면, 각각의 트레이-배치 구조물(912)은 또한 저부면(913)에서 같이 고정된다. 저부면(913)이 없으면, 각각의 트레이-배치 구조물(912)은 직사각형 바닥 결합 구조물에 의하여 추가로 결합될 수 있다.
트레이-배치 구조물(912)은, 트레이 지지물로 기능하는 복수의 대향하는 수직으로 연장하는 립(916)들을 포함한다. 각각의 대향하는 립(916)은 트레이-배치 구조물(912)의 높이를 따라 동일한 높이에서 배치되므로 대향하는 돌출부 또는 립(916)들의 각각에 설치된 때, 트레이들은 평평하게 배치되고 일반적으로 지면에 평행하다. 이와 같이, 대향하는 립(916)들의 각각의 세트는 배치될 트레이용 슬롯(914)을 형성한다. 트레이들은 슬롯(914) 내에 유지될 수 있으므로 트레이들은 트레이 카트(900)를 통해 보관되거나 운반될 수 있다. 도 9에 예시된 바와 같이, 대향하는 립(916)들은 복수의 적층된 슬롯(914)들을 형성하도록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트레이-배치 구조물(912)의 각각이 적어도 8개의 슬롯(914)들을 가지므로, 전체 트레이 카트(900)는 한 번에 적어도 24개의 트레이들을 유지할 수 있으나, 특별한 크기의 트레이 카트(900)의 경우 특정 수의 트레이-배치 구조물(912)들과 슬롯(914)들이 사용될 수 있다.
핸들(130)에 유사한 핸들이 사용자가 트레이 카트(900)를 밀수 있도록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도 10b와 관련해서 이하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핸들(1026)에 의하여 트레이 카트(900)를 밀 수 있다. 여전히 또 다른 실시예에서, 트레이 카트(900)는 후방 단부(906)(도 9에 예시된 바와 같이) 또는 전방 단부(904)에서 핸들(917)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급 카트(800)와 유사하게, 트레이 카트(900)는 바람직하게 전체 공급 카트(800)를 멸균하기에 필요한 수분, 열 및 압력을 견딜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된다. 그러한 소재는 한정되는 것이 아니지만, 파이렉스형의 유리,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탄성 플라스틱, 및 스테인레스 강 또는 알루미늄, 니켈과 같은 금속 및 금속 합금을 포함한다.
공급 카트(800)와 트레이 카트(900)의 각각은 휠 베이스 조립체(200)와 같이 사용될 수 있는 카트 유형들의 예들이다. 각각의 이들 디자인 사이의 공통 특징은 각각 바람직하게 휠 베이스 조립체(200)의 플랫폼(240)의 상부면(24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는 저부면(813, 913)을 포함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휠 베이스 조립체(200)는 다양한 다른 유형의 카트들을 운반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고 카트들은 다른 유형틔 카트들로 용이하게 교체되거나 교환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다른 주 본체 디자인을 가지는 다른 유형의 카트들은 또한 본 발명의 휠 베이스 조립체(200)를 이용할 수 있다. 더욱이 핀, 스크류, 및 다른 공지의 커플링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휠 베이스 조립체(200)에 카트들을 고정하기 위한 다른 메커니즘들이 이용될 수 있음이 고려된다.
브레이킹 메커니즘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이 도 10a-b에 예시된다. 휠 및 브레이킹 메커니즘(1000)("브레이킹 메커니즘(1000)")은 카트(10)(도 1), 공급 카트(800)(도 8) 및 트레이 카트(900)(도 9)를 포함하는 여기 개시된 유형의 소정의 카트들과 같이, 또는 휠 베이스 운반 카트 또는 랙(600)과 같이 사용하도록 휠 베이스 조립체(200)에 같이 합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브레이킹 메커니즘(1000)은 도 1-9의 본 발명에서 분리된 다른 유형의 카트들과 같이 사용될 수 있다.
브레이킹 메커니즘(1000)은 휠 베이스 조립체(200) 또는 휠 베이스 운반 랙(600)과 같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의 제조 후에 휠 베이스 조립체(200) 또는 휠 베이스 운반 랙(600)에 고정될 수 있다. 후자의 방법이 사용되면, 브레이킹 메커니즘(1000)은 휠 조립체(210) 또는 휠(616)들 각각 대신에 휠 베이스 조립체(200) 또는 휠 베이스 운반 랙(600)에 결합될 수 있다. 도 10a-b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도 4a의 휠 록 메커니즘(250)과 같이 또는 그 대신에 사용될 수 있다.
도 10a(종래 기술)에 예시된 바와 같이, 브레이킹 메커니즘(1000)은 일반적으로 휠(1002), 선회 캐스터(1004), 플랫폼(1006), 정지 브레이크(1008)를 포함한다. 휠(1002)은 선회 캐스터(1004)에 결합되고, 이것은 다시 플랫폼의 상부면을 거쳐 휠 베이스 조립체(200) 또는 휠 베이스 운반 랙(600)에 결합될 수 있다.
정지 브레이크(1008)는 제1 단부(1020)와 제2 대향하는 단부(1022)를 갖는 L-형상의 본체로 형성된다.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제1 단부(1020)는 플랫폼(1006)에 평행이며, 제2 단부(1022)는 플랫폼(1006)의 상부면(1007)에 수직이다. 정지 브레이크(1008)가 "폐쇄 위치"로 회전되면, 정지 브레이크(1008)의 제2 단부(1022)는 마찰력과 같이 휠(1002)이 회전할 수 없도록 정지시키기 위하여 휠(1002)에 대항하여 힘을 가하는 정지 메커니즘(도시되지 않음)을 작동시킨다. 따라서,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정지 브레이크(1008)는 휠(1002)을 제 위치에 고정하기 위하여 회전하는 것을 제한하거나 방지하고, 따라서 휠 베이스 조립체(200) 또는 휠 베이스 운반 랙(600)은 추가적인 운동이 정지된다. 정지 브레이크가 그의 개방 위치로 회전되면, 제2 단부(1022)는 휠(1002)이 자유로이 회전하도록 정지 메커니즘(도시되지 않음)을 정지시키며, 이로써 휠 베이스 조립체(200) 또는 휠 베이스 운반 랙(600)은 다시 이동될 수 있다.
정지 브레이크(1008)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제어 또는 작동 메커니즘(1010)이, 도 10b의 절개부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공된다. 이 도면에서, 브레이킹 메커니즘(1000)은 휠 베이스 조립체(200)와 같이 사용되는 것으로 예시되지만, 브레이킹 메커니즘(1000)은 휠베이스 조립체, 카트, 또는 여기 개시된 랙, 또는 휠 조립체를 갖는 운반 장치 또는 소정의 카트와 같이 사용될 수 있다. 작동 메커니즘(1010)은 일반적으로 수평 바(1024)와 역전된 U-형상의 핸들(1026)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수평 바(1024)는 일반적으로 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진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핸들(1026)은 U-형상일 필요가 없으나,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소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수평 바(1024)는 휠 베이스 조립체(200)의 단부(횡방향 후방 단부(242) 또는 횡방향 전방 단부(244))에 위치되고 휠 베이스 조립체(200)의 각 측부(길이방향 측부(246, 248)들과 같은)들 사이로 연장한다. U-형상의 핸들(1026)은 수평바(1024)의 표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위로 바람직하게 사용자가 휠 베이스 조립체(200)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핸들(1026)을 잡을 수 있는 편안한 높이로 연장하나, 사용자가 본체 프레임(100)으로 카트(10)를 잡아 당기거나/미는 것을 방해하도록 너무 높지는 않다. 바람직하게는 본체 프레임(100)을 잡고 브레이킹만을 위하여 핸들(1026)을 사용할 수 있지만, 사용자는 카트(10)를 당기거나/밀기 위하여 선택적으로 핸들(1026)을 잡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U-형상의 핸들(1026)은 수평 바(1024)와 일체로 형성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핸들(1026)은 용접에 의하거나 또는 볼트 또는 스크류에 의하는 것과 같은 공지의 부착 방법을 사용하여 수평 바(1024)에 결합된다.
수평 바(1024)는 도 10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정지 브레이크(1008)의 제1 단부(1020)에 결합된다. 일 실시예에서, 수평 바(1024)는 정지 브레이크(1008)의 제1 단부(1020)에 용접된다. 수평 바(1024)는 선형이며 실질적으로 휠 베이스 조립체(200)의 후방 단부(242)의 단부에 실질적으로 평행이며, 후방 단부(242)로부터 복귀하도록 설정되므로 바(1024)의 회전은 방지되지 않는다. 작동시, 사용자가 플로어를 향하여 핸들(1026)을 하강하면, 이로써 수평바(1024)가 정지 브레이크(1008)를 위에 설명된 바와 같은 개방 및 폐쇄 위치들 사이에서 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핸들(1026)이 하강되면, 휠(1002)이 회전하는 것을 정지시키도록 휠(1002)에 대항하여 힘을 가하는 정지 메커니즘을 정지 브레이크(1008)의 제2 단부(1022)는 작동시킨다. 핸들(1026)이 다시 상승될 때, 정지 브레이크(1008)의 제2 단부(1022)는 정지 메커니즘을 중단시켜 휠(1002)을 다시 자유로이 회전시킬 수 있다.
위에 설명된 바와 같이, 브레이킹 메커니즘(1000)은 여기 개시된 소정의 카트들이나 랙들과 같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예컨대, 휠 베이스 조립체(200)에 이미- 존재하는 휠들은, 휠과 브레이킹 메커니즘(1000)에 의하여 교체될 수 있다. 더욱이, 브레이킹 메커니즘(1000)은 별도의 휠 베이스 조립체(200)를 구비하지 않은 단일-부재의 카트와 같은 소정의 종래 카트와 같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여전히 추가적인 실시예에서, 브레이킹 메커니즘(핸들(1026)을 포함)은 베이스(200)에 부착된 것으로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대신에 프레임(100)에 부착될 수 있다.
도 8을 추가로 참조하면, 록킹 메커니즘(300)은 카트(10)의 일 단부에 위치되고 핸들(1026)은 카트(10)의 대향하는 단부에 위치된다. 그러나, 록킹 메커니즘(300)과 핸들(1026)은 서로 같이 동일한 단부에 위치되거나, 이들의 어느 하나 또는 양자 모두가 카트의 네 측부들의 임의의 측부에 위치될 수 있다.
고정 플랫폼(Stationary Platform)
고정 플랫폼(1100)은 카트(10)의 주 본체(100), 랙(600), 랙(700), 공급 카트(800), 및/또는 트레이 카트(900), 그리고 여기 개시된 휠 베이스 조립체(200)와 같은 공급운반장치와 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도 1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카트(10)의 주 본체(100)에 유사한 공급운반장치(1101)(여기서, "운반 장치(1101)")가 사용된다. 이 실시예에서, 운반 장치(1101)는 임시 유지 또는 보관을 위하여 휠 베이스 조립체(200)로부터 고정 플랫폼(1100) 위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제거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고정 플랫폼(1100)(이하 "플랫폼(1100)")은, 특별한 용도에 유용하거나 또는 특별한 카트의 형상에 대응하는 소정의 형상이 사용될 수 있더라도, 일반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을 가진다. 플랫폼(1100)은 그 위에 운반 장치(1101)가 설치되는 상부면(1103)을 가지는 프레임(1102)으로 형성된다.
도 12에 설명된 바와 같이, 특별한 용도의 경우 일정한 수의 측부들이 사용될 수 있지만, 프레임(1102)은 두 개의 길이방향 측부(1104 및 1106)들과 대향하는 두 개의 단부(1108 및 1110)들을 가진다. 운반 장치(1101)에 대해 추가적인 지지를 제공하도록 프레임(1102)의 부품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가로 부재(1112)가 제공될 수 있다. 가로 부재(1112)는 바람직하게 길이방향 측부(1104 및 1106)들의 각각 사이로 수직으로 연장하는 바-형상의 부재이다. 예시되지는 않았지만, 추가적인 지지를 제공하기 위하여 대향하는 단부(1108 및 1110)들 각각 사이로 추가적인 가로 부재들이 수직으로 연장할 수 있다. 길이방향 측부(1104 및 1106)들, 대향하는 단부 (1108 및 1110)들, 및 가로 부재(들)(1112)가 그 내부에 형성된 구멍(1105)들을 가지는 직사각형 구조물을 이와 같이 형성한다. 멸균 장치의 내측에 배치된 바와 같이, 세정 공정 동안, 구멍(1105)들은 운반 장치(1101)의 더 큰 접촉 표면 노출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운반 장치(1101)가 멸균 장치의 플랫폼(1100) 위에 배치될 때, 그 표면적의 대다수는 더욱 양호한 멸균을 제공하기 위하여 노출된다.
프레임(1102)은 일반적으로 복수의 다리(1114)들에 의하여 지지된다. 도 12에서, 특별한 크기 및 유형의 카트를 지지하기 위하여 필요로 되거나 또는 특별한 용도에 대해 유용한 소정 수의 다리들이 사용될 수 있지만, 프레임(1102)은 6개의 다리(1114)들에 의하여 지지된다. 예컨대, 프레임(1102)은 각 코너에서 4개의 다리(1114)들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도 12에서, 하나의 다리(1114)는 각각의 길이방향 측부(1104 및 1106)들의 대향하는 단부들에서 프레임(1102)의 각 코너에 각각 위치된다. 두 개의 추가적인 다리(1114)들이 추가적인 지지를 제공하기 위하여 가로부재(1112)의 대향하는 단부들에 위치된다. 복수의 다리(1114)들의 각각은 길이방향 측부(1104, 1106)들 및/또는 대향하는 단부(1108, 1110)들의 하나에 연결되고, 플로어에 결합하도록 프레임(1102)의 저부면(1116)으로부터 아래로 연장한다. 다리(1114)들은 무거운 물체에 대해 양호한 지지를 제공하도록 공지의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12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다리(1114)들은 일반적으로 정사각형 단면 형상을 가진다. 그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다리(1114)들은 약12인치 정도, 바람직하게는 약10인치 정도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이로써 플랫폼(1100)은 지면 위에 있는 먼지나 부스러기에 의하여 오염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지면으로부터 충분히 떨어지게 상승된다. 프레임(1102)은 추가로 길이방향 측부(1104 및 1106)들의 각각을 따라 연장하는 적어도 두 개의 측부 레일(1118)들을 포함한다. 측부 레일(1118)들은 각각 직립부(1120), 안쪽으로 꺾인 부재(1122) 및 내측 가이드 에지(1124)를 가진다. 직립부(1120)는 프레임(1102)의 상부면(1103)으로부터 수직으로 위로 연장하고 측부 레일(1118)들의 외측 에지를 형성한다. 안쪽으로 꺾인 부재(1122)는 직립부(1120)에 대해 수직으로 내측으로 연장하므로, 안쪽으로 꺾인 부재(1122)는 프레임(1102)의 상부면(1103)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그로부터 이격된다. 이와 같이, 안쪽으로 꺾인 부재(1122)와 프레임(1102)의 상부면(1103) 사이에 채널(1126)이 형성된다.
도시와 같이, 직립부(1120)는 프레임(1102)의 상부면(1103)으로부터 안쪽으로 꺾인 부재(1122)를 이격시키므로, 내측 가이드 에지(1124)는 운반 장치(1101)의 주 본체에 부착될 수 있는 회전 휠 가이드 조립체(도 1의 휠 가이드 조립체(140)와 같은)와 정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내측 가이드 에지(1124)에 의하여 운반 장치(1101)는 휠 베이스 조립체(200)로부터 플랫폼(1100) 위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제거될 수 있다. 내측 가이드 에지(1124)는 또한 플랫폼(1100) 위에 일단 배치되면, 플랫폼(1100)으로부터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프레임(1102)의 측부(1104 및 1106)들에 대해 수평으로 슬라이딩하지 않도록 유지된다. 추가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정지 탭(1128)이 프레임(1102)의 일 단부(1110)에 배치될 수 있으므로 플랫폼(1100) 위에 일단 설치된 운반 장치(1101)가 추가로 전방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정지시킨다. 대안적으로, 프레임(1102)은 정지 탭(1128)이 없도록 구성될 수 있으므로, 운반 장치(1101)는 일 단부(1108)에서 플랫폼(1100) 위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이동(하고/하거나) 상기 플랫폼(1100)으로부터 슬라이딩 가능하게 제거될 수 있고 단부(1110)에서 플랫폼(1100)으로부터 슬라이딩 가능하게 제거(되고/되거나) 상기 플랫폼(110) 위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이동할 수 있다.
프레임(1102)의 대향 단부(1108 및 1110)들의 적어도 하나는 바람직하게 홀(1130)을 포함한다. 홀(1130)은 플랫폼(1100)에 운반 장치(1101)를 분리가능하게 체결하기 위하여 록킹 메커니즘(300)(도 1 참조)와 같은 카트 위의 록킹 메커니즘에 결합한다. 구체적으로, 도 4a를 참조하면, 록킹 메커니즘(300)은 로킹 로드(302)를 포함한다. 플랫폼(1100) 위에 일단 설치되면, 로킹 로드(302)는 해제 노브(304)를 사용하여 하강되므로, 로킹 로드(302)의 말단부(312)는 홀(1130)에 결합하여, 운반장치(1101)를 제 위치에 체결한다. 이로써 운반장치(1101)는 플랫폼(1100) 위에 제 위치에 확실히 유지될 수 있다.
사용시, 도 1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운반 장치(1101)는 휠 베이스 조립체(200)를 사용하여 플랫폼(1100)의 일 단부(1108)에 운반된다. 휠 베이스 조립체(200)의 횡방향 전방 단부(244)는 플랫폼(1100)의 단부(1108)에 정렬되므로 그들은 접촉한다. 운반 장치(1101)가 휠 베이스 조립체(200)로부터 일단 해제되면, 그것은 휠 베이스 조립체(200)로부터 플랫폼(1100) 위로 술라이드된다. 운반 장치(1100)의 단부가 정지 탭(1128)(들)에 일단 결합하면, 해제 노브(304)는 하강되어, 로킹 로드(302)를 홀(1130) 내로 하강시켜 운방 장치(1101)를 플랫폼(1100) 위에 체결할 수 있다. 휠 베이스 조립체(200)는 이어서 추가적인 사용을 위하여 플랫폼으로부터 멀리 운반될 수 있다.
다시 도 12를 참조하면, 플랫폼(1100)의 프레임(1102) 위의 측부 레일(1118)들은 휠 베이스 조립체(200)로부터 슬라이딩 가능하게 제거될 때 플랫폼(1100) 위로 운반 장치(1101)를 안내하도록 지원한다. 예로서 도 1과 3을 참조하면, 핸들(130)을 사용하여 휠 베이스 조립체(200)로부터 운반 장치(1101)가 제거될 때, 운반 장치(1101)의 가이드 휠(142)들은 휠 베이스 조립체(200)의 가이드 레일(220)을 따라 회전한다. 가이드 휠 조립체(140)는 휠 베이스 조립체(200)의 플랫폼(240)을 따라 슬라이딩함에 따라 운반 장치(1101)를 지지하고, 운반하고, 그리고 안내하며, 휠 베이스 조립체(200)가 운반 장치(1101) 아래에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한다. 운반 장치(1101)가 플랫폼(1100) 위로 슬라이딩함에 따라, 가이드 휠(142)들은 측부 레일(1118)들의 내측 가이드 에지(1124)에 결합한다.
구체적으로, 가이드 휠(142)들은 채널(1126)에 위치되므로 운반 장치(1101)는 플랫폼(1100)에 조심되어 제 위치에 유지된다. 운반 장치(1101)가 일단 플랫폼(1100) 위로 계속해서 슬라이딩하고 단부(1110)에 정렬되면, 운반 장치(1101)의 단부는 정지 탭(1128)에 접촉되므로 운반 장치(1101)는 확실히 단부(1110)를 지나 더 이상 밀리지 않는다. 위에 상세하게 설명된 바와 같이, 이어서 록킹 메커니즘(300)이 가동되어 운반 장치(1101)를 제 위치에 체결하기 위하여 홀(1130)에 결합한다. 유사하게, 정지 탭이 휠 베이스 조립체(200)의 상부면에 제공될 수 있으므로 운반 장치(1101)가 휠 베이스 조립체(200)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4a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정지 탭은 핸들에 가장 인접한 근접 횡방향 단부의 후방 에지를 따라 상부면에 구비된다. 도시된 일 실시예에서, 정지 탭은 길이방향 측부에 근접해서 또는 후방 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후방 에지를 따라 하나 이상의 정지 탭이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운반 장치(1101)는 휠 베이스 조립체(200)의 상부면 위로 슬라이딩할 수 있고 정지 탭에 접촉되어 운반 장치(1101)가 더 이상 휠 베이스 조립체(200)의 후방 에지를 지나 밀리지 않도록 유지한다.
작동시, 플랫폼(1100)은 고정된다. 또한 벽이나 플로어에 부착될 수 있다. 휠 베이스 조립체(200)에 결합된, 운반 장치(1101)는 플랫폼(1100)으로 굴러 회전한다. 이어서 운반 장치(1101)는 휠 베이스 조립체(200)로부터 플랫폼(1100) 위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제거된다. 휠 베이스 조립체(200)는 이어서 추가적인 사용을 위하여 멀리 굴러 이동된다.
플랫폼(1100)은 운반 장치(1101)와 같은 다양한 카트를 임시로 유지 및/또는 보관하기 위하여 클린룸 환경 내에 또는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플랫폼(1100)과 휠 베이스 조립체(200)는 환경에서 여러 카트들을 임시로 유지하고 보관하며, 지지하고, 운반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휠 베이스 조립체용 세정장치
도 14a-b 및 도 15a-b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휠 베이스 조립체(200)와 같은 여기 개시된 바와 같은 휠 베이스 조립체 위에서 사용하기 위한 세정장치(1400)와 같은 세정 장치에 대한 것이다. 세정장치(1400)는 운반장치(1101)로부터 오염물을 긁어 내거나 제거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거나 및/또는 운반 장치(1101)에 알코올과 같은 멸균제를 적용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세정장치(1400)는 휠 베이스 조립체(200)에서 고정 플랫폼(1100)으로 또는 역으로 이동될 때 운반장치(1101)가 가로질러 슬라이딩하는 표면을 제공한다. 세정장치(1400)는 운반 장치(1101)의 바닥에 접촉하고 운반장치(1101)의 바닥으로부터 먼지 또는 부스러기를 제거하거나, 또는 휠 베이스 조립체(200) 위로 또는 그로부터 이동됨에 따라 운반장치(1101)의 바닥을 멸균한다. 이와 같이, 클린룸 환경의 오염은 최소화될 수 있다.
도 14a-b를 참조하면, 세정장치(1400)는 바람직하게 휠 베이스 조립체(200)의 전방 단부(244) 또는 후방 단부(242)에 부착된다. 세정장치(1400)는 휠 베이스 조립체(200)의 핸들에 대향하는 휠 베이스 조립체(200)의 단부에 부착되어야 하므로, 휠 베이스 조립체(200) 위로 이동됨에 따라 운반 장치(1101)에 결합한다. 도면들에 예시된 바와 같이, 세정장치(1400)는 휠 베이스 조립체(200)의 전방 단부(244)에 부착된다. 휠 베이스 조립체(200)의 전방 단부(244)는 세정장치(1400)가 거기에 부착되는 아래로 돌출하는 가로 부재(1402)를 포함한다. 가로 부재(1402)는 휠 베이스 조립체(200)의 두 개의 길이방향 측부(246, 248)들 사이로 연장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가로 부재(1402)는 계속 가이드레일(220)들에 인접해서 그 위로 측부(246, 248)들 사이로 연장한다. 이와 같이, 운반 장치(1101)의 전체 저부면은 휠 베이스 조립체(200) 위로 그리고 그로부터 슬라이딩 가능하게 이동됨에 따라 벗겨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세정장치(1400)는 못, 스크류, 볼트, 또는 유사한 기계적인 장착 수단에 의하여 가로 부재(1402)에 반영구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도 14b에서, 세정장치(1400)는 스크류(1404)들을 사용하여 가로 부재(1402)에 부착된다. 네 개의 스크류(1404)들이 예시되지만, 세정장치(1400)를 가로 부재(1402)에 부착하기 위하여 여러 개의 스크류(1404)들이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세정장치(1400)는 용접, 접합, 및 다른 더욱 영구적인 접착 수단에 의하여 가로 부재(1402)에 부착될 수 있다. 여전히 또 다른 실시예에서, 세정장치(1400)는 가로 부재(1402)에 제거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세정장치(1400)의 부품들을 세정할 수 있다.
세정장치(1400)는 도 15a-b에 예시된다. 이 실시예에서, 세정장치(1400)는 베이스 부재(1406)와 두 개의 세정 컨택(1408)들로 형성된다. 그러나, 세정장치(1400)는 여러 개의 베이스 부재(1406)들과 세정 컨택(1408)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세정장치(1400)는 하나의 베이스 부재(1406)와 하나의 세정 컨택(1408), 또는 하나의 베이스 부재(1406)와 둘 이상의 세정 컨택(1408)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세정장치(1400)는 하나의 세정 컨택(1408)을 같이 보유하는 하나 이상의 베이스 부재(1406)를 가질 수 있거나, 또는 세정장치(1400)는 각각 하나의 세정 컨택(1408)을 보유하는 하나 이상의 베이스 부재(1406)를 가질 수 있다. 여전히 또 다른 실시예에서, 세정장치(1400)는 베이스 부재(1406)를 가지지 않을 수 있으며, 세정 컨택(들)(1408)은 직접 가로 부재(1402)에 결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세정 컨택(들)(1408)은 베이스 부재(1406)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그들은 모두 하나의 단일 부재이다.
베이스 부재(1406)는 각각의 세정 컨택(1408)을 제 위치에 유지하도록 기능한다. 베이스 부재(1406)는 각각의 세정 컨택(1408)을 제 위치에 충분히 유지하기 위하여 저부면(1410)과 두 개의 상향으로 연장하는 측부(1412, 1414)들을 갖는 여물통 형상을 가진다. 세정 컨택(1408)(들)은 저부면(1410)과 측부(1412, 1414)들 각각에 의하여 지지되어 베이스 부재(1406) 내에 안착한다. 바람직하게, 세정 컨택(들)(1408)들은 측부(1412, 1414)들 각각 위로 직각으로 연장하므로 둥근 컨택 부분(1416)은 각각의 세정 컨택(1408)의 상부면에서 노출된다. 운반 장치(1101)가 그를 가로질러 슬라이딩함에 따라 그로부터 먼지와 부스러기를 제거하기 위하여 컨택 부분(1416)은 운반 장치(1101)의 저부면에 접촉한다. 컨택 부분(1416)이 둥근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예시되지만, 운반 장치(1101)의 바닥을 충분히 긁어내는 어떤 형상도 사용될 수 있다.
베이스 부재(1406)와 세정 컨택(1408)의 각각은 스크류(1404)를 배치하는 그의 수평 두께를 관통하여 연장하는 관통 홀(1420)들을 가진다. 이들 관통홀(1420)들에 의하여 전체 세정장치(1400)는 휠 베이스 조립체(200)에 고정될 수 있다. 사용시, 스크류(1404)들은 관통 홀(1420)들에 위치되고 베이스 부재(1406)와 각각의 세정 컨택(1408)들을 관통하여 가로 부재(1402) 내로 연장한다. 스크류(1404)들은 각각의 세정 컨택(1408)들을 베이스 부재(1406)(들)에, 그리고 결합된 베이스 부재(1406)와 세정 컨택(1408)들을 가로 부재(1402)에 유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베이스 부재(1406)는 바람직하게 스테인레스강과 같은, 휠 베이스 조립체(200)의 나머지 부분과 같은 소재로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세정 컨택(들)(1408)은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소재로 형성되므로, 세정 컨택은 운반 장치(1101)의 저부면에 충분히 접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예컨대, 세정 컨택(들)(1408)은 폴리에스테르 스폰지와 같은 어플리케이터의 형태일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스폰지는 그의 사용 전에 알코올과 같은 세정제/멸균제로 적셔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운반 장치(1101)가 폴리에스테르 스폰지 위로 슬라이딩하면, 운반 장치(1101)의 바닥은 멸균될 수 있다. 여전히 또 다른 실시예에서, 세정 컨택(들)(1408)은 운반 장치(1101)가 세정 컨택(들)(1408)에 결합함에 따라 운반 장치(1101)의 바닥에서 먼지나 부스러기를 제거하기 위하여 실리콘이나 고무와 같은 더욱 단단한 소재로 형성된 스크레이퍼 또는 스크래핑 장치로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세정장치(1400)는 같이 사용된 스크래퍼와 어플리케이터(예컨대, 폴리에스테르 스폰지)와 같은, 하나 이상의 세정 컨택(1408)을 가질 수 있다.
세정장치(1400)는 바람직하게 휠 베이스 조립체(200)의 평평한 상부면(241) 위로 수직으로 연장하므로, 운반 장치(1101)가 세정장치(1400) 위로 슬라이딩할 때, 세정장치(1400)에 의하여 충분한 힘이 운반 장치(1101)의 저부면에 가해져서 저부면에 고착될 수 있는 먼지나 부스러기를 제거하거나, 또는 운반장치(1101)를 멸균할 수 있다. 그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세정장치(1400)는 휠 베이스 조립체(200)의 평평한 상부면(241) 위로 수직으로 적어도 약 0.5인치 연장할 수 있다. 베이스 부재(1406)는 휠 베이스 조립체(200)의 상부면(241) 아래 있거나 같은 평면에 있을 수 있다. 운반 장치(1101)가 휠 베이스 조립체(200)의 상부면(241) 위에 배치될 때, 세정 컨택(1408)에 필요하지 않은 압력을 가하지 않도록 세정 컨택(1408)에 의해 더 이상 지지되지 않는다. 이로써 운반 장치(1101)가 휠 베이스 조립체(200)의 상부면(241) 위에 배치될 때 사용자는 세정 컨택(1408)을 보수할 수 있다(세정 컨택(1408)이 더욱 단단한 소재로 형성되면 알콜 와이프에 의해서 세정하는 것과 같이). 대안적으로, 베이스 부재(1406) 및/또는 세정 컨택(1408)은 가로 부재(1402)에 신속하게 해제시킬 수 있도록 제거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어서 세정 또는 교체를 위하여 제거될 수 있다.
여전히 또 다른 실시예에서, 세정장치(1400)가 휠 베이스 조립체(200)에 부착된 바와 동일한 방식으로 세정장치(1400)는 또한 고정 플랫폼(1100)에 부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운반 장치(1101)가 휠 베이스 조립체(200)로부터 슬라이딩 가능하게 제거되고, 그리고 다시 운반 장치(1101)가 고정 플랫폼(1100) 위로 슬라이이드가능하게 이동될 때, 운반 장치(1101)의 저부면의 먼지와 부스러기는 제거될 수 있거나, 또는 운반 장치(1101)는 멸균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설명과 도면들은 본 발명의 원리의 단지 예시로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상 및 크기로서 구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하여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많은 적용들이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을 개시된 구체적인 예들이나 도시되고 설명된 정확한 구성과 작동에 한정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오히려, 본 발명의 범위 내에 모든 적절한 수정들과 균등물이 속할 수 있다.

Claims (18)

  1. 공급운반장치를 운반하기 위한 휠 베이스 조립체로서:
    상기 공급운반장치를 지지하는 상부면, 저부면, 및 두 개의 대향하는 단부들을 가지는 휠 베이스;
    상기 휠 베이스의 저부면에 결합된 복수의 휠들;
    상기 휠 베이스의 두 개의 대향하는 단부들의 적어도 하나에 결합된 베이스 부재;
    상기 베이스 부재에 대향하는 상기 휠 베이스의 일단에 결합되며 상기 상부면 위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정지 탭으로서, 상기 공급운반장치가 상기 정지 탭을 지나 슬라이딩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정지 탭; 및
    상기 베이스 부재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세정 컨택;
    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세정 컨택은 상기 휠 베이스의 상부면 위로 수직으로 연장되며, 상기 공급운반장치가 상기 휠 베이스 위에서 하역될 때 상기 공급운반장치의 표면을 세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베이스 조립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적어도 두 개의 세정 컨택들을 포함하는 휠 베이스 조립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세정 컨택은 폴리에스테르 스폰지로 형성되는 휠 베이스 조립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휠 베이스의 일 단부에 위치되고 상기 휠 베이스의 두 개의 길이방향 측부들 사이로 연장되는 아래로-연장하는 가로 부재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부재는 상기 아래로-연장하는 가로 부재에 결합되는 휠 베이스 조립체.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세정 컨택은 상기 휠 베이스에 나사 결합되는 휠 베이스 조립체.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세정 컨택은 상기 공급운반장치의 저부면에 결합하는 둥근 접촉 부분을 포함하는 휠 베이스 조립체.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세정 컨택은 상기 공급운반장치의 저부면을 긁어내는 스크래핑 장치를 구비하는 휠 베이스 조립체.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휠 베이스의 제1 단부에 결합되는 핸들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정지 탭은 상기 제1 단부에 결합되는 휠 베이스 조립체.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급운반장치는 저부면을 가지며, 상기 공급운반장치가 상기 휠 베이스 위에서 하역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세정 컨택은 상기 공급운반장치의 저부면을 세정하는 휠 베이스 조립체.
  10. 공급운반장치를 운반하기 위한 베이스 조립체로서:
    상기 공급운반장치를 지지하는 상부면, 저부면, 및 두 개의 대향하는 단부들을 가지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2개의 대향하는 단부들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되는 베이스 부재;
    상기 베이스 부재에 대향하는 상기 베이스의 일단에 결합되며 상기 상부면 위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정지 탭으로서, 상기 공급운반장치가 상기 정지 탭을 지나 슬라이딩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정지 탭; 및
    상기 베이스 부재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세정 컨택;
    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세정 컨택은 상기 베이스의 상부면 위로 수직으로 연장되며, 상기 공급운반장치가 상기 베이스 위에서 하역될 때 상기 공급운반장치의 표면을 세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스 조립체.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적어도 두 개의 세정 컨택들을 포함하는 베이스 조립체.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세정 컨택은 폴리에스테르 스폰지로 형성되는 베이스 조립체.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일 단부에 위치되고 상기 베이스의 두 개의 길이방향 측부들 사이로 연장되는 아래로-연장하는 가로 부재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부재는 상기 아래로-연장하는 가로 부재에 결합되는 베이스 조립체.
  14.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세정 컨택은 상기 베이스에 나사 결합되는 베이스 조립체.
  15.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세정 컨택은 상기 공급운반장치의 저부면에 결합하는 둥근 접촉 부분을 포함하는 베이스 조립체.
  16.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세정 컨택은 상기 공급운반장치의 저부면을 긁어내는 스크래핑 장치를 구비하는 베이스 조립체.
  17.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제1 단부에 결합되는 핸들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정지 탭은 상기 제1 단부에 결합되는 베이스 조립체.
  18.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공급운반장치는 저부면을 가지며, 상기 공급운반장치가 상기 베이스 위에서 하역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세정 컨택은 상기 공급운반장치의 저부면을 세정하는 베이스 조립체.


KR1020237013502A 2017-06-29 2018-06-21 고정 이동 플랫폼 및 공급운반장치용 세정장치 KR1026441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7007062A KR20240035634A (ko) 2017-06-29 2018-06-21 고정 이동 플랫폼 및 공급운반장치용 세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637,059 2017-06-29
US15/637,059 US11555576B2 (en) 2014-12-24 2017-06-29 Stationary transfer platform and cleaning device for supply transport device
KR1020207000518A KR102525932B1 (ko) 2017-06-29 2018-06-21 고정 이동 플랫폼 및 공급운반장치용 세정장치
PCT/US2018/038712 WO2019005572A1 (en) 2017-06-29 2018-06-21 FIXED TRANSFER PLATFORM AND CLEANING DEVICE FOR MERCHANDISE TRANSPORT DEVIC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0518A Division KR102525932B1 (ko) 2017-06-29 2018-06-21 고정 이동 플랫폼 및 공급운반장치용 세정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7062A Division KR20240035634A (ko) 2017-06-29 2018-06-21 고정 이동 플랫폼 및 공급운반장치용 세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8186A KR20230058186A (ko) 2023-05-02
KR102644118B1 true KR102644118B1 (ko) 2024-03-07

Family

ID=64742593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0518A KR102525932B1 (ko) 2017-06-29 2018-06-21 고정 이동 플랫폼 및 공급운반장치용 세정장치
KR1020237013502A KR102644118B1 (ko) 2017-06-29 2018-06-21 고정 이동 플랫폼 및 공급운반장치용 세정장치
KR1020247007062A KR20240035634A (ko) 2017-06-29 2018-06-21 고정 이동 플랫폼 및 공급운반장치용 세정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0518A KR102525932B1 (ko) 2017-06-29 2018-06-21 고정 이동 플랫폼 및 공급운반장치용 세정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7062A KR20240035634A (ko) 2017-06-29 2018-06-21 고정 이동 플랫폼 및 공급운반장치용 세정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3645932A4 (ko)
JP (2) JP7126272B2 (ko)
KR (3) KR102525932B1 (ko)
CN (2) CN114735058B (ko)
AU (1) AU2018292136B2 (ko)
CA (1) CA3067845A1 (ko)
WO (1) WO201900557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0111725A1 (de) * 2020-04-29 2021-11-04 Alfred Kärcher SE & Co. KG Reinigungssystem mit mindestens einem handgeführten Reinigungswagen und zwei oder mehr Funktionseinrichtungen
DE202021106941U1 (de) * 2021-12-21 2023-03-22 Wanzl GmbH & Co. KGaA Verkaufstisch-und Transportbehälter sowie Nachrüstsatz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72518A1 (en) * 2003-12-01 2007-11-29 Gaarden Kjell A Pre-Scraper for a Conveyor Belt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759549A (en) * 1954-04-21 1956-10-17 Ifa Forschungs Und Entwicklung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pushing and pulling machines for use with freight trucks
CH454648A (de) * 1965-12-22 1968-04-15 Wuester Heinrich Vorrichtung zum automatischen Reinigen von Kraftfahrzeugen
US3521568A (en) * 1967-08-22 1970-07-21 Sanki Eng Co Ltd Cable tow conveyor
US3869052A (en) * 1973-09-14 1975-03-04 Beatrice Foods Co Truck for loading oven compartments
JPS51146077A (en) * 1975-06-06 1976-12-15 Amajin Kk Method of and apparatus for removing matter attached to beltconveyor
JPS6032006Y2 (ja) * 1977-06-07 1985-09-25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立体倉庫における搬送装置
US4687404A (en) * 1985-02-22 1987-08-18 Seiz Corporation Load transfer apparatus for push-in flow racks
GB8523904D0 (en) * 1985-09-27 1985-10-30 Alfa Laval Cheese Systems Packaging blocks of cheese
US5312004A (en) * 1992-04-30 1994-05-17 John V. R. Krummell Push-back retrofit system for a storage rack assembly
US5419444A (en) 1993-11-12 1995-05-30 Inca Metal Products Corporation Low profile push-back rack assembly
US6027190A (en) * 1995-09-07 2000-02-22 Stewart; Edward C. High density linear motion storage system
JPH0988952A (ja) * 1995-09-27 1997-03-31 Ntn Corp スライド機構用ガイドローラ
US6224072B1 (en) * 1998-02-23 2001-05-01 David Weck Household cart
US20060119080A1 (en) * 1998-11-06 2006-06-08 Tony Damron Extendable trailer
US6394743B1 (en) * 1999-12-20 2002-05-28 Cymer, Inc. Cart for module replacement
DE10065375B4 (de) * 2000-12-27 2011-01-27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Reinigungsvorrichtung mit einer Basisstation auf Rädern
JP2006117396A (ja) 2004-10-22 2006-05-11 Yoko:Kk ベルトコンベアのベルトクリーナ
CN2837167Y (zh) * 2005-09-09 2006-11-15 梁美华 万向轮的定向系统
JP2007137254A (ja) 2005-11-18 2007-06-07 Yaskawa Electric Corp 走行台車搭載ロボットの搬送台車
CA2581957A1 (en) * 2006-03-16 2007-09-16 Wenger Corporation Convertible cart
US8042829B2 (en) * 2007-04-24 2011-10-25 Magline, Inc. Cart for loads
JP2012500147A (ja) * 2008-08-13 2012-01-05 ディバーシー・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調整可能な清掃用カート及び方法
US8851488B2 (en) * 2012-06-15 2014-10-07 Iscar Gse Corp. Modular cargo dolly
DE202013102199U1 (de) * 2013-05-21 2013-06-06 Lr Intralogistik Gmbh Trailerzuganhänger
US10150612B2 (en) * 2013-08-09 2018-12-11 Schlumberger Technolog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y of oilfield materials
CN103448771A (zh) * 2013-08-13 2013-12-18 南京爱洁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可固定式线盘推车
CN116424406A (zh) * 2014-12-24 2023-07-14 威尔泰克联合股份有限公司 具有可拆卸轮座的推车
US9994244B2 (en) 2014-12-24 2018-06-12 Veltek Associates, Inc. Cart with removable wheel bas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72518A1 (en) * 2003-12-01 2007-11-29 Gaarden Kjell A Pre-Scraper for a Conveyor Bel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735058A (zh) 2022-07-12
CA3067845A1 (en) 2019-01-03
KR20240035634A (ko) 2024-03-15
CN110809690B (zh) 2022-01-18
CN110809690A (zh) 2020-02-18
KR20230058186A (ko) 2023-05-02
CN114735058B (zh) 2024-03-29
JP2022161937A (ja) 2022-10-21
EP3645932A4 (en) 2021-06-09
JP7126272B2 (ja) 2022-08-26
AU2018292136A1 (en) 2019-12-12
AU2018292136B2 (en) 2024-05-02
JP2020525731A (ja) 2020-08-27
KR102525932B1 (ko) 2023-04-25
JP7357970B2 (ja) 2023-10-10
EP3645932A1 (en) 2020-05-06
WO2019005572A1 (en) 2019-01-03
KR20200024216A (ko) 2020-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73719B2 (en) Stationary transfer platform and cleaning device for supply transport device
US9994244B2 (en) Cart with removable wheel base
KR101996740B1 (ko) 탈착 가능한 휠 베이스를 구비한 카트
JP7357970B2 (ja) 固定された搬送プラットフォームおよび供給品搬送装置のためのクリーニング装置
AU2023200231A1 (en) Cart with removable wheel base
EP3475145B1 (en) Cart with removable wheel base
NZ789423A (en) Cart with removable wheel base
NZ789460A (en) Cart with removable wheel ba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