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3767B1 - 몰로키아 효소처리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장벽 기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몰로키아 효소처리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장벽 기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3767B1
KR102643767B1 KR1020230046996A KR20230046996A KR102643767B1 KR 102643767 B1 KR102643767 B1 KR 102643767B1 KR 1020230046996 A KR1020230046996 A KR 1020230046996A KR 20230046996 A KR20230046996 A KR 20230046996A KR 102643767 B1 KR102643767 B1 KR 1026437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ochia
cosmetic composition
enzyme
weight
lo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6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혜원
김주경
이경주
김유아
Original Assignee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콜마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469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37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37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37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05Corresponding aspects not provided for by any of codes A61K2800/81 - A61K2800/95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몰로키아 효소처리물 또는 이의 다당류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의한 몰로키아 효소처리물 또는 이의 다당류는 피부 구성 단백질인 로리크린(Loricrin), 케라틴-1(Keratin-1) 및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1(Transglutaminase-1, TGM-1)의 발현을 촉진하여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뛰어난 피부장벽 개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Description

몰로키아 효소처리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장벽 기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A COSMETIC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BARRIER FUNCTION CONTAINING ENZYME TREATED MOLOCHIA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몰로키아 효소처리물 또는 이의 다당류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연 지향적이고 환경 친화적인 소비추세에 따라 천연 소재, 친환경 소재를 테마로 한 다양한 산업이 관심을 받고 있으며, 천연 화장품 소재 시장 또한 꾸준히 성장하면서 화장품에 들어가는 유효성분도 식물 또는 동물 유래의 천연물이 그 기능성을 기반으로 하여 여러 가지 형태로 배합되어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천연물 소재의 추출물은 물론 이들의 효능, 효과를 극대화시키는 방법으로 추출효율을 높이거나 기존에 추출되기 힘든 유효성분을 추출해내는 기술 등이 각광을 받고 있다.
피부 표피(epidermis)의 가장 중요한 기능은 외부로부터의 자극에 대한 방어와 피부를 통한 체내 수분의 과도한 외부 유출을 막는 보호기능이다. 이러한 보호기능은 각질층(stratum corneum, horney layer)이 정상적으로 형성되어 있을 때만 그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각질층은 각질형성세포로부터 형성되며, 분화가 완결된 각질 세포와 그를 둘러싼 지질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질형성 세포는 각화과정 중 천연보습인자와 세포간 지방질을 생성하면서 각질층을 형성하여, 이로인해 각질층이 견고함과 유연성을 가지게 하여 피부장벽(skin barrier)으로서의 기능을 보유하게 한다.
그러나, 이러한 각질층은 과도한 세안이나, 목욕 등의 생활 습관적 요인, 건조한 대기, 오염물질 등의 환경적인 요인 또는 아토피성 피부나 노인성 피부 같은 내인성 요인 등으로 인해 쉽게 그 기능이 손실될 수 있다. 실제로 현대 사회에 들어서 공해 물질 등의 여러 요인들로 성인 아토피, 건조 피부 질환 및 이로 인한 제반 장해를 호소하는 사람들이 점점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적절한 피부 수분을 유지하기 위하여 수분 공급량을 증가시키거나, 체내로부터의 수분 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어 왔으며, 실제로 수분보유능력이 있는 여러 종류의 보습제(moisturizer)가 개발되고 있다.
몰로키아는 다당류의 일종인 mucilage가 다량 함유되어 있어 잎을 자르면 미끈거리며, 칼륨, 칼슘, 철과 같은 미네랄이 풍부하고 비타민C, 비타민E, 베타카로틴과 루테인 같은 항산화 성분이 함유되어 있으며 성인병과 노화방지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몰로키아는 다른 채소들과 성분을 비교해 볼 때 칼륨, 칼슘, 철, 베타카로틴, 비타민 등의 영양소를 골고루 지니고 있어 성인병과 노화를 방지하며, 아름다움을 지켜 주는 마시는 화장품으로 주목받고 있다.
한편, 다당류(polysaccharide)란 단당(monosaccharide)이 복수로 결합된 소재라고 정의할 수 있으며, 건강기능식품, 의약품, 화장품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특히, 미용, 의료분야에 주로 활용되고 있으며 해조류 다당류는 육상생물과는 다른 생리활성 물질을 함유하고 있고, 새로운 다당류를 포함한 생리활성 물질로서 항종양성, 항바이러스성, 항혈액응고 및 면역력 증가 등의 다양한 생리활성 기능을 갖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본 발명은 기존의 추출 시 문제되는 인체 독성, 낮은 추출 수율 및 낮은 당량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피부장벽 기능 개선 효과가 우수한 몰로키아 효소처리물 또는 이의 다당류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몰로키아 효소처리물 또는 이의 다당류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장벽 기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몰로키아 효소처리물 또는 이의 다당류는 피부 구성 단백질인 로리크린(Loricrin), 케라틴-1(Keratin-1) 및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1(Transglutaminase-1)의 발현을 촉진하여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뛰어난 피부장벽 개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몰로키아 효소처리물의 세포독성 측정 시험(CCK-8 assay)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몰로키아 효소처리물의 농도에 따른 피부장벽 관련 유전자 로리크린(Loricrin)의 발현량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몰로키아 효소처리물의 농도에 따른 피부장벽 관련 유전자 케라틴 1(keratin 1)의 발현량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몰로키아 효소처리물의 농도에 따른 피부장벽 관련 유전자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1(Transglutaminase-1, TGM-1)의 발현량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몰로키아 효소처리물 또는 이의 다당류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장벽 기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일 수 있다.
상기 몰로키아 효소처리물은, 건조된 몰로키아 잎에 증류수 및 효소를 첨가하여 반응시킴으로써 획득된 것일 수 있다.
이때, 일 구현 예에 따르면, 효소 반응 시 pH 5 내지 8 조건 하에서 반응시킨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효소 반응 시의 pH는 5 이상, 5.3 이상, 5.5 이상, 5.7 이상, 6 이상, 6.3 이상, 6.5 이상, 6.7 이상, 7 이상, 7.2 이상, 7.5 이상, 7.7 이상 또는 8 이상일 수 있고, 또한, 8 이하, 7.5 이하, 7 이하, 6.7 이하, 6.5 이하, 6.2 이하, 6 이하, 5.7 이하, 5.5 이하, 5.3 이하 또는 5 이하일 수 있다.
일 구현 예에 따르면, 상기 효소 반응은 50 내지 90℃의 온도 조건 하에서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효소 반응은 50℃ 이상, 55℃ 이상, 60℃ 이상, 65℃ 이상, 70℃ 이상, 75℃ 이상, 80℃ 이상, 85℃ 이상 또는 90℃ 이상의 온도 조건 하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또한, 90℃ 이하, 85℃ 이하, 80℃ 이하, 75℃ 이하, 70℃ 이하, 65℃ 이하, 60℃ 이하, 55℃ 이하 또는 50℃ 이하의 온도 조건 하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일 구현 예에 따르면, 상기 효소 반응은 1 내지 18 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1 시간 이상, 3 시간 이상, 5 시간 이상, 7 시간 이상, 9 시간 이상, 12 시간 이상, 14 시간 이상, 16 시간 이상 또는 18 시간 이상 동안 수행될 수 있으며, 또한, 18 시간 이하, 16 시간 이하, 14 시간 이하, 12 시간 이하, 9 시간 이하, 7 시간 이하, 5 시간 이하, 3 시간 이하 또는 1 시간 이하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일 구현 예에 따르면, 상기 효소는 상기 건조된 몰로키아 잎과 증류수를 포함하는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5%(v/w)의 비율로 첨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효소는 상기 건조된 몰로키아 잎과 증류수를 포함하는 중량에 대하여 0.1% 이상, 0.5% 이상, 1.0% 이상, 1.5% 이상, 2% 이상, 2.5% 이상, 3% 이상, 3.5% 이상, 4% 이상, 4.5% 이상 또는 5% 이상의 비율로 첨가될 수 있으며, 또한, 5% 이하, 4.5% 이하, 4% 이하, 3.5% 이하, 3% 이하, 2.5% 이하, 2% 이하 1.5% 이하, 1% 이하, 0.5% 이하 또는 0.1% 이하의 비율로 첨가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1%의 비율로 첨가될 수 있다.
일 구현 예에 따르면, 상기 효소 반응은 온도를 95 내지 100℃로 높이거나, 에탄올 최종 함량 기준 40 내지 70%가 되도록 첨가함으로써 중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효소 반응은 온도를 95℃ 이상, 96℃ 이상 또는 98℃ 이상으로, 또한, 100℃ 이하, 98℃이하 또는 96℃ 이하로 높임으로써 중단시킬 수 있다.
일 구현 예에 따르면, 상기 효소는 당 분해효소 일 수 있다.
다른 구현 예에 따르면, 상기 당 분해효소는, 아밀로글루코시다아제(Amylo glucosidase, AMG), 셀루클라스트(Celluclast), 테르마밀(Termamyl), 울트라플로(Ultraflo) 및 비스코자임(Viscozym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테르마밀(Termamyl)일 수 있다.
일 구현 예에 따르면, 상기 몰로키아 효소처리물의 다당류는 푸코스(Fucose), 람노스(Rhamnose), 갈락토스(galactose), 글루코스(glucose), 만노스(Mannose), 자일로스(Xylose) 및 아라비노스(Arabinose)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단당류로 구성될 수 있다.
일 구현 예에 다르면, 상기 몰로키아 효소처리물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01 내지 5 중량%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몰로키아 효소처리물의 상기 건조된 몰로키아 잎 중량 대비 함량은 0.0001 중량% 이상, 0.0005 중량% 이상, 0.001 중량% 이상, 0.005 중량% 이상, 0.01 중량% 이상, 0.05 중량% 이상, 0.1 중량% 이상, 0.5 중량% 이상, 1.0 중량% 이상, 1.5 중량% 이상, 2.0 중량% 이상, 2.5 중량% 이상, 3.0 중량% 이상, 3.5 중량% 이상, 4.0 중량% 이상, 4.5 중량% 또는 5.0 중량% 이상일 수 있으며, 또한, 5.0 중량% 이하, 4.5 중량% 이하, 4.0 중량% 이하, 3.5 중량% 이하, 3.0 중량% 이하, 2.5 중량% 이하, 2.0 중량% 이하, 1.5 중량% 이하, 1.0 중량% 이하, 0.5 중량% 이하, 0.1 중량% 이하, 0.05 중량% 이하, 0.01 중량% 이하, 0.005 중량% 이하, 0.001 중량% 이하, 0.0005 중량% 이하 또는 0.0001 중량% 이하일 수 있다.
일 구현 예에 다르면, 상기 몰로키아 효소처리물의 다당류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005 내지 2.5 중량%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몰로키아 효소처리물의 다당류의 상기 건조된 몰로키아 잎 중량 대비 함량은 0.00005 중량% 이상, 0.0001 중량% 이상, 0.0005 중량% 이상, 0.001 중량% 이상, 0.005 중량% 이상, 0.01 중량% 이상, 0.05 중량% 이상, 0.1 중량% 이상, 0.5 중량% 이상, 1.0 중량% 이상, 1.5 중량% 이상, 2.0 중량% 이상 또는 2.5 중량% 이상일 수 있으며, 또한, 2.5 중량% 이하, 2.0 중량% 이하, 1.5 중량% 이하, 1.0 중량% 이하, 0.5 중량% 이하, 0.1 중량% 이하, 0.05 중량% 이하, 0.01 중량% 이하, 0.005 중량% 이하, 0.001 중량% 이하, 0.0005 중량% 이하, 0.0001 중량% 이하 또는 0.00005 중량%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매질 또는 기제를 함유할 수 있다. 이는 국소적용에 적합한 모든 제형으로, 예를 들면, 용액, 겔, 고체, 반죽 무수 생성물,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현탁액, 마이크로에멀젼, 마이크로캡슐, 미세과립구 또는, 이온형(리포좀) 및 비이온형의 소낭 분산제의 형태로, 또는 크림, 스킨, 로션, 파우더, 연고, 스프레이 또는 콘실 스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들 조성물은 당해 분야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또한 포말(foam)의 형태로 압축된 추진제를 더 함유한 에어로졸 조성물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는 바가 없으며, 목적하는 바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수분크림,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앰플, 젤, 아이크림, 스프레이,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클렌징워터, 파우더, 바디로션, 바디크림, 바디오일, 바디클렌저 또는 바디에센스 등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 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의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는 상기 몰로키아 효소처리물 또는 이의 다당류 이외에 기능성 첨가물 및 일반적인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첨가물로는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엑기스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에는 또한, 상기 기능성 첨가물과 더불어 필요에 따라 일반적인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을 배합해도 된다. 이외에 포함되는 배합 성분으로서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절제, 알코올,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정제수 등을 들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재료 및 실험방법>
하기에서 몰로키아 효소처리물 및 이의 다당류를 제조하는 일반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다.
건조된 몰로키아 잎(원산지: 이집트, 수입원: 주진상사, 소분/판매원: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두손애약초) 10 g 및 증류수 250 g을 혼합하고, 테르마밀(Termamyl) 효소를 건조된 몰로키아 잎과 증류수를 포함한 중량 대비 1%를 처리하였다. 80℃의 수조(water bath)에서 4시간 동안 열수 추출 및 효소 반응 이후 380㎛ 메쉬(mesh)로 반응물을 체과하였다. 그 이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취하고, 상층액에 최종 함량이 60%가 되도록 에탄올을 첨가한 후 1일 동안 방치하였다.
침전물 및 부유물을 수득하여 건조함으로써 다당류를 포함하는 몰로키아 효소처리물을 획득하였다.
<제조예 1> 효소 선정
건조된 몰로키아 잎 10 g 및 증류수 250 g을 혼합하고, 효소를 미첨가(control), 테르마밀(Termamyl, Novo Nordisk, Bagsavaerd, Denmark), 셀루클라스트(Celluclast, Novo Nordisk, Bagsavaerd, Denmark) 또는 비스코자임(Viscozyme, Novo Nordisk, Bagsavaerd, Denmark)으로 조건을 달리하여 건조된 몰로키아 잎과 증류수를 포함한 중량 대비 1 중량%로 처리하였다. 테르마밀의 경우 80 ℃의 수조(water bath)에서 4시간, 셀루클라스트 및 비스코자임의 경우 50 ℃의 수조에서 4시간 동안 열수 추출 및 효소를 반응을 시켰다. 이후 95 ℃의 수조에서 10분 동안 가온하여 효소 반응을 중단 시키고, 380 ㎛ 메쉬(mesh)로 반응물을 체과하였다. 그 이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취하고, 상층액에 최종 함량이 60%가 되도록 에탄올을 첨가한 후 1일 동안 방치하였다.
침전물 및 부유물을 수득하여 건조함으로써 다당류를 포함하는 몰로키아 효소처리물을 획득하였다.
분해 효소 종류에 따른 몰로키아 효소처리물의 총 당 함량( % )
효소 종류 몰로키아 효소처리물
수율(%) 총 당 함량(%)
Control - 50℃, 4hr 1.5 14.29
Celluclast - 50℃, 4hr 4.4 12.32
Viscozyme - 50℃, 4hr 3.9 35.23
Control - 80℃, 4hr 4.5 34.24
Termamyl - 80℃, 4hr 5.4 49.04
상기 [표 1]에서와 같이 Termamyl 효소를 사용한 경우 효소를 사용하지 않은 것과 비교하여 총 당 함량이 143 % 증가하였다.
<제조예 2> 효소 반응 온도 설정
건조된 몰로키아 잎 10 g 및 증류수 250 g을 혼합하고, Termamyl 효소를 건조된 몰로키아 잎과 증류수를 포함한 중량 대비 1%를 처리하였다. 열수 추출의 온도를 50℃, 60℃, 70℃ 또는 80℃로 조건을 달리하여 수조(water bath)에서 4시간 동안 열수 추출 및 효소 반응 이후 380㎛ 메쉬(mesh)로 반응물을 체과하였다. 그 이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취하고, 상층액에 최종 함량이 60%가 되도록 에탄올을 첨가한 후 1일 동안 방치하였다.
침전물 및 부유물을 수득하여 건조함으로써 다당류를 포함하는 몰로키아 효소처리물을 획득하였다.
열수 추출시 온도 조건에 따른 몰로키아 효소처리물의 수율( % ) 및 총 당 함량(%) 비교
추출 온도(℃) 몰로키아 효소처리물
수율(%) 총 당 함량(%)
50 2.5 21.67
60 2.6 25.80
70 3.4 27.75
80 5.4 49.04
상기 [표 2]에서와 같이 열수 추출 온도가 50℃와 비교하여 80℃에서 총 당 함량이 226 % 증가하였다.
<제조예 3> Termamyl 효소 처리 후 첨가 에탄올(EtOH) 함량 결정
건조된 몰로키아 잎 10 g 및 증류수 250 g을 혼합하고, Termamyl 효소를 건조된 몰로키아 잎과 증류수를 포함한 중량 대비 1%를 처리하였다. 80℃의 수조(water bath)에서 4시간 동안 열수 추출 및 효소 반응 이후 380㎛ 메쉬(mesh)로 반응물을 체과하였다. 그 이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취하고, 상층액의 최종 에탄올(EtOH)의 함량(%)을 40%(몰로키아 상층액 60% + 에탄올 40%), 50%(몰로키아 상층액 50% + 에탄올 50%), 60%(몰로키아 상층액 40% + 에탄올 60%) 또는 70%(몰로키아 상층액 30% + 에탄올 70%)로 조건을 달리한 후 1일 동안 방치하였다.
침전물 및 부유물을 수득하여 건조함으로써 다당류를 포함하는 몰로키아 효소처리물을 획득하였다.
최종 에탄올 함량에 따른 몰로키아 효소처리물의 수율 및 총 당 함량 비교
최종 에탄올 함량(%) 수율(%) 총 당 함량(%)
40 3.5 22.18
50 5.2 34.91
60 6.5 42.79
70 6.9 35.17
상기 [표 3]에서와 같이 최종 에탄올의 함량이 40%인 경우와 비교하여 60 %에서 총 당 함량이 192 % 증가하였다.
<제조예 4> Termamyl 효소 농도
건조된 몰로키아 잎 10 g 및 증류수 250 g을 혼합하고, termamyl 효소의 농도를 건조된 몰로키아 잎과 증류수를 포함한 중량 대비 0 %, 0.1 % 또는 1 %로 조건을 달리하여 처리하였다. 80℃의 수조(water bath)에서 4시간 동안 열수 추출 및 효소 반응을 시켰다. 이후 95℃의 수조에서 10분 동안 가온하여 효소 반응을 중단 시키고, 380 ㎛ 메쉬(mesh)로 반응물을 체과하였다. 그 이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취하고, 상층액에 최종 함량이 60%가 되도록 에탄올을 첨가한 후 1일 동안 방치하였다.
침전물 및 부유물을 수득하여 건조함으로써 다당류를 포함하는 몰로키아 효소처리물을 획득하였다.
Termamyl 효소 농도에 따른 몰로키아 효소처리물 수율( % ) 및 총 당 함량( % )
Termamyl 몰로키아 효소처리물
수율(%) 총 당 함량(%)
Control (0%) 4.5 34.24
0.1 % 5.0 36.90
1 % 5.4 49.04
상기 [표 4]에서와 같이 Termamyl 효소 농도를 1% 사용한 경우 효소 농도에 의존적으로 몰로키아 효소처리물의 수율과 총 당 함량이 상승하였다.
<실험예 1> 몰로키아 효소처리물의 세포독성 측정 시험(CCK-8 assay)
몰로키아 효소처리물의 세포독성을 측정하기 위해 인간각질형성세포주인 HaCaT(human keratinocyte cell)세포에서 CCK-8 assay를 실시하였고, 구체적인 실험방법은 다음과 같다.
HaCaT 세포는 10% Fetal Bovine Serum(FBS), 1% Penicillin/Streptomycin이 포함된 Iscove’s Modified Dulbecco’s Medium(IMDM)배지를 이용하여 96 well plate에 5 × 103 cells/well이 되도록 100㎕ 분주하고 37℃, 5% CO2 인큐베이터 조건 하에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된 세포에 몰로키아 효소처리물을 0μg/mL, 0.39μg/mL, 0.78μg/mL, 1.56μg/mL, 3.13μg/mL, 6.25μg/mL, 12.5μg/mL 또는 25μg/mL로 처리하고 37℃, 5% CO2 인큐베이터 조건 하에 24시간 배양하였다. CCK-8 용액 10㎕를 넣고 2시간 후 4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세포 생존율은 (실험군 흡광도/대조군 흡광도) × 100 식으로 도출하였다.
그 결과는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몰로키아 효소처리물은 25μg/mL 농도 이하에서 세포 생존률(cell viability)이 80% 이상으로 측정되어 세포 독성을 나타내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2> 몰로키아 효소처리물의 피부장벽 효능시험 (qRT-PCR assay)
몰로키아 효소처리물의 피부장벽 개선 효농을 확인하기 위해 인간각질형성세포주인 HaCaT 세포를 이용하여 qRT-PCR assay를 실시하였고, 구체적인 실험방법은 다음과 같다.
HaCaT세포는 10% Fetal Bovine Serum(FBS), 1% Penicillin/Streptomycin이 포함된 Iscove’s Modified Dulbecco’s Medium(IMDM)배지를 이용하여 5 × 104 cells/mL의 농도로 60mm dish에 분주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지를 제거한 후, FBS가 포함되지 않은 IMDM 배지로 교체하고 24시간 배양하였다. 80% 이상 성장하였을 때 (80% of Visual Confluency)에 몰로키아 효소처리물을 1.25μg/mL, 2.5μg/mL 또는 5μg/mL 농도로 24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이 후 배양액을 제거한 후, plate 상의 세포를 PBS (Phosphate-buffered saline)로 3회 세척하였다. 수집된 세포에서 RNA를 정제한 후 cDNA를 합성하였으며, 실시간 중합효소연쇄반응(qRT-PCR)을 이용하여 유전자 정량분석을 수행하였다.
도 2 내지 4는 몰로키아 효소처리물의 농도에 따른 피부 장벽 관련 유전자 로리크린(Loricrin), 케라틴 1(keratin 1) 및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1(Transglutaminase-1, TGM-1)의 발현량을 확인한 결과이다.
인간 각질형성세포주인 HaCaT세포에 몰로키아 효소처리물을 1.25μg/mL, 2.5μg/mL 또는 5μg/mL 농도로 처리한 결과, 도 2 내지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로리크린, 케라틴 1 및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1 유전자 발현이 증가됨을 확인하였다. 상기 유전자들의 발현 증가를 통해 표피에 존재하는 다양한 구조 단백질의 결합을 촉진하고, 피부장벽의 강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Claims (14)

  1. 몰로키아 당 분해효소 처리물로부터 획득한 다당류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상기 당 분해효소는 셀루클라스트(Celluclast), 테르마밀(Termamyl) 및 비스코자임(Viscozym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피부장벽 기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당류는 푸코스(Fucose), 람노스(Rhamnose), 갈락토스(galactose), 글루코스(glucose), 만노스(Mannose), 자일로스(Xylose) 및 아라비노스(Arabinos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단당류로 구성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몰로키아 당 분해효소 처리물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01 내지 5 중량%의 양으로 포함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당류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005 내지 2.5 중량%의 양으로 포함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몰로키아 당 분해효소 처리물은 건조된 몰로키아 잎에 증류수 및 당 분해효소를 첨가하여 반응시켜 제조된 것인,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당류는 몰로키아 당 분해효소 처리물에 에탄올을 첨가한 후 몰로키아 다당류를 수득 및 건조하여 획득한 것인, 화장료 조성물.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된 몰로키아 잎 및 증류수는 1:25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인, 화장료 조성물.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당 분해효소는 상기 건조된 몰로키아 잎과 증류수를 포함하는 중량 대비 0.1 내지 5 중량%로 첨가하여 반응시키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당 분해효소는 pH 5 내지 8 조건 하에서 반응시키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당 분해효소의 반응 온도는 50℃ 내지 90℃인 것인, 화장료 조성물.
  12. 제7항에 있어서,
    몰로키아 당 분해효소 처리물에 첨가된 에탄올의 함량은 40 중량% 내지 70 중량%인, 화장료 조성물.
  13.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수분크림,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앰플, 젤, 아이크림, 스프레이,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클렌징워터, 파우더, 바디로션, 바디크림, 바디오일, 바디클렌저 및 바디에센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제형화된, 화장료 조성물.
  14. 삭제
KR1020230046996A 2023-04-10 2023-04-10 몰로키아 효소처리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장벽 기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6437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6996A KR102643767B1 (ko) 2023-04-10 2023-04-10 몰로키아 효소처리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장벽 기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6996A KR102643767B1 (ko) 2023-04-10 2023-04-10 몰로키아 효소처리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장벽 기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3767B1 true KR102643767B1 (ko) 2024-03-06

Family

ID=90239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6996A KR102643767B1 (ko) 2023-04-10 2023-04-10 몰로키아 효소처리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장벽 기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376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2230B1 (ko) * 2018-12-04 2020-01-03 주식회사 지엠플랜트 비타민 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진정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084158B1 (ko) * 2019-08-16 2020-03-03 (주)엔비바이오컴퍼니 천연소재의 맞춤형 추출공법에 의한 피부상태 개선 및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095087A (ko) * 2019-01-31 2020-08-10 (주)아모레퍼시픽 톳 효소 추출물 또는 그의 다당류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2230B1 (ko) * 2018-12-04 2020-01-03 주식회사 지엠플랜트 비타민 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진정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95087A (ko) * 2019-01-31 2020-08-10 (주)아모레퍼시픽 톳 효소 추출물 또는 그의 다당류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84158B1 (ko) * 2019-08-16 2020-03-03 (주)엔비바이오컴퍼니 천연소재의 맞춤형 추출공법에 의한 피부상태 개선 및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 Soc. Cosmet. Sci. Korea, 2017, 43(3), pp. 223-230* *
인터넷 홈페이지(https://girlbehindglasses.wordpress.com/2022/01/23/107-avocado-cuddle-sheet-mask-everyday-plump-hydro-cream-review/)에 게재된 발명(2022.01.23. 공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6469B1 (ko) 철피석곡 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08018448A1 (fr) Activateur comprenant un bio-tensioactif comme ingrédient actif, un mannosyl érythritol lipide et son procédé de préparation
KR102126470B1 (ko) 용안육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80119550A (ko) 침향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85195B1 (ko) 목서 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30107386A (ko) 달팽이 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화장료
KR20180090122A (ko) 이소사쿠라네틴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67922B1 (ko) 무궁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35683B1 (ko) 해당화 추출물 및 곰보배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643767B1 (ko) 몰로키아 효소처리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장벽 기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45830B1 (ko) 밀싹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08485B1 (ko) 침향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220162666A (ko) 닥나무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보습, 피부 장벽 강화, 피부 재생 촉진 및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1997881B1 (ko) 타임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021114A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항염, 피지 분비 억제용, 또는 여드름 개선용 조성물
JP6521211B2 (ja) セロビオースリピッドを有効成分とする賦活化剤
KR20180082058A (ko) 천연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각질 박리용 화장료 조성물
KR20220077991A (ko)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1926179B1 (ko) 해녀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CN112584820A (zh) 含有百里香复合提取物作为有效成分的皮肤保湿用化妆品组合物
KR102326086B1 (ko) 닥나무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주름개선, 보습, 및 피부장벽 강화용 조성물
KR20190047629A (ko) 홍화의 상황버섯 발효물을 함유하는 피부개선 조성물
KR20150116504A (ko) 티트리 추출물 및 소금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73041B1 (ko) 매생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KR102605467B1 (ko) 자주개자리씨 유래 당단백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