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3590B1 -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3590B1
KR102643590B1 KR1020190003228A KR20190003228A KR102643590B1 KR 102643590 B1 KR102643590 B1 KR 102643590B1 KR 1020190003228 A KR1020190003228 A KR 1020190003228A KR 20190003228 A KR20190003228 A KR 20190003228A KR 102643590 B1 KR102643590 B1 KR 1026435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outdoor unit
antenna
air conditioner
out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3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6890A (ko
Inventor
이경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032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3590B1/ko
Priority to DE112020000390.6T priority patent/DE112020000390T5/de
Priority to US17/421,784 priority patent/US11965661B2/en
Priority to PCT/KR2020/000483 priority patent/WO2020145731A1/ko
Publication of KR202000868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68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35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35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20Electric components for separate outdoor units
    • F24F1/22Arrangement or mounting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56Casing or covers of separate outdoor units, e.g. fan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08Compressors specially adapted for separate outdoor units
    • F24F1/10Arrangement or mounting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46Component arrangements in separate outdoor units
    • F24F1/48Component arrangements in separate outdoor units characterised by air airflow, e.g. inlet or outlet airflow
    • F24F1/50Component arrangements in separate outdoor units characterised by air airflow, e.g. inlet or outlet airflow with outlet air in upward dir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59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 F24F1/006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by the mounting or arrangement of the heat 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46Component arrangements in separate outdoor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고, 공기조화기의 각종 부품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 상기 컨트롤러와 연결되어 상기 컨트롤러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열하는 방열부재 및 상기 방열부재와 결합하여 상기 방열부재의 위치를 고정하고, 상기 방열부재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방열부재는 상기 지지부재를 기준으로 상기 컨트롤러와 대향되게 배치되고, 적어도 상기 방열부재의 일부 영역은 상기 삽입홀을 관통하여 상기 컨트롤러와 접촉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로 컨트롤러의 열을 방열하는 구조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실외기{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안테나를 실외기의 케이스의 일면에 설치한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압축기, 실외 열교환기(30), 팽창밸브 및 실내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냉동 사이클을 이용하여 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시키는 장치이다. 즉 실내를 냉방시키는 냉방기, 실내를 난방시키는 난방기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시키는 냉난방 겸용 공기조화기로 구성될 수도 있다.
공기조화기는 크게 일체형(window type)과 분리형(seperate type 또는 split type)으로 구분된다. 일체형과 분리형은 기능적으로는 같지만 일체형은 냉각 방열의 기능을 일체화하여 가옥의 벽에 구멍을 뚫거나 창에 장치를 걸어서 직접 설치한 것이고, 분리형은 실내 측에 실내 열교환기가 구비되는 실내기를 설치하고 실외 측에 압축기 및 실외 열교환기(30)가 구비되는 실외기를 설치하여 서로 분리된 두 장치간을 냉매 배관으로 연결시킨 것이다.
이러한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는 원격제어기에 의해 제어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공기조화기의 실외기가 원격제어기에 의해 제어되기 위해서는 원격제어기와 무선통신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실외기는 원격 제어기와 통신하는 안테나가 실외기의 외부로 노출되어 미감상 좋지 않고, 실외기의 설치 또는 이동 중에 안테나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실외기는 안테나가 실외기의 외부로 돌출되게 되면, 안테나의 설치 위치에 제한이 따라고, 실외기 설치 시에 더 넓은 공간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원격제어기기와 통신을 주고받는 안테나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고 송수신 감도가 우수한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 무선신호를 송수신하고 상기 케이스에 배치되는 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는 절연 재질의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에 배치되는 도전성 재질의 송수신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는 금속 재질일 수 있다.
상기 케이스는, 서로 마주보는 바닥면과 상부면 및 바닥면과 상부면을 연결하는 적어도 4개의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는 상기 케이스의 측면 들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는 상기 케이스의 측면에서 상기 케이스의 상부면과 인접한 상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는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는, 서로 마주보는 바닥면과 상부면 및 바닥면과 상부면을 연결하는 적어도 4개의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는 서로 인접한 상기 케이스의 측면들을 연결하는 코너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는 상기 케이스에 접착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는 상기 케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는 상기 베이스가 수용되는 수용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의 높이는 수용홈의 높이 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상기 베이스는, 서로 마주보는 하면과 상면, 상기 상면과 하면을 연결하고, 상기 상면 및 상기 하면 보다 작은 면적의 사이드 면들을 포함하고, 상기 하면은 상기 케이스의 일면과 접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어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냉매와 실외 공기를 열교환하는 실외 열교환기; 및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어 공기에 유동력을 제공하는 토출팬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는 상기 토출팬과 수평적으로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안테나와 연결되어 원격제어기와 통신하는 통신모듈과 통신모듈에서 전달되는 데이터를 바탕으로 상기 실외기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본 발명은 안테나가 실외기의 케이스 내부에 위치되어서, 실외기의 설치 시에 파손의 염려가 없고 실외기의 설치공간이 늘어나는 것을 방지한다.
둘째, 본 발명은 안테나가 절연 재질의 베이스에 송수신 부재가 배치되고, 베이스를 케이스의 내면에 부착하여서, 케이스가 금속 재질이더라도, 원격제어기기와 송수신 감도를 좋게 유지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안테나가 케이스의 내부에서 다른 구성품과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어서, 케이스의 크기 및 케이스 내에 구성품의 배치에 제한을 주지 않는 이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b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블럭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의 측단면도이다.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실외기와 안테나의 배치를 보여주는 평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외기와 안테나의 결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외기와 안테나의 결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외기와 안테나의 결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외기와 안테나의 결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종래기술에 따른 안테나의 방사패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의 방패패턴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의하여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를 설명하기 위해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a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a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20), 실외에 설치되어 냉매를 실외 공기와 열교환하는 실외 열교환기(30), 실내에 설치되어 냉매를 실내 공기와 열교환하는 실내 열교환기(40), 압축기(20)에서 토출된 냉매를 냉방운전시 실외 열교환기(30)로 안내하고, 난방운전시 실내 열교환기(40)를 안내하는 절환밸브(80)를 포함한다.
공기조화기(1)는 실외에 배치되는 실외기와 실내에 배치되는 실내기를 포함하며, 실내기와 실외기는 서로 연결된다. 실외기는 압축기(20), 실외 열교환기(30), 실외 팽창밸브(50) 및 기액분리기(70)를 포함한다. 실내기는 실내 열교환기(40) 및 실내 팽창밸브(60)를 포함한다.
압축기(20)는 실외기에 설치되며 유입되는 저온, 저압의 냉매를 고온, 고압의 냉매로 압축시킨다. 압축기(20)는 다양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으며, 실린더 및 피스톤을 이용한 왕복운동 압축기(20), 선회스크롤 및 고정 스크롤을 이용한 스크롤 압축기(20), 희망하는 실내온도를 설정하면 실제 실내온도, 실제 실외온도, 실내기의 운전대수 등에 기초하여 냉매의 압축량을 조절하는 인버터 압축기(20)일 수도 있다. 압축기(20)는 하나 또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압축기(20)가 구비된다.
압축기(20)는 절환밸브(80), 기액분리기(70)와 연결된다. 압축기(20)는 냉방운전시 실내 열교환기(40)에서 증발된 냉매가 유입되거나 난방운전시 실외 열교환기(30)에서 증발된 냉매가 유입되는 유입포트(21)와 압축된 냉매가 토출되는 토출포트(23)를 포함한다.
압축기(20)는 유입포트(21)로 유입된 냉매를 압축실에서 압축한다. 압축기(20)는 냉매를 압축하여 토출포트(23)로 토출시킨다. 토출포트(23)에서 토출된 냉매는 절환밸브(80)로 유동한다.
절환밸브(80)는 냉난방 절환을 위한 유로 절환밸브(80)로서, 압축기(20)에서 압축된 냉매를 냉방운전시 실외 열교환기(30)로 안내하고 난방운전시 실내 열교환기(40)로 안내한다. 즉 절환밸브(80)는 압축기(20)에서 압축된 냉매를 응축기로 안내하는 기능을 한다.
절환밸브(80)는 압축기(20)의 토출포트(23) 및 기액분리기(70)와 연결되고, 실내 열교환기(40) 및 실외 열교환기(30)와 연결된다. 절환밸브(80)는 냉방운전시 압축기(20)의 토출포트(23)와 실외 열교환기(30)를 연결하고, 실내 열교환기(40) 및 기액분리기(70)와 연결된다. 다만, 실시예에 따라 절환밸브(80)는 냉방운전시 실내 열교환기(40) 및 압축기(20)의 유입포트(21)와 연결될 수도 있다.
절환밸브(80)는 난방운전시 압축기(20)의 토출포트(23) 및 실내 열교환기(40)를 연결하고, 실외 열교환기(30) 및 기액분리기(70)를 연결한다. 다만, 실시예에 따라 절환밸브(80)는 난방운전시 실외 열교환기(30) 및 압축기(20)의 유입포트(21)를 연결할 수도 있다.
절환밸브(80)는 서로 다른 유로를 연결할 수 있는 다양한 모듈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사방밸브로 이루어진다. 다만, 실시예에 따라 절환밸브(80)는 삼방밸브 2개의 조합 등 다양한 밸브 또는 그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실외 열교환기(30)는 실외 공간에 배치된 실외기 내에 배치되며, 실외 열교환기(30)를 통과하는 냉매를 실외 공기와 열교환시킨다. 실외 열교환기(30)는 냉방운전시 냉매를 응축하는 응축기로 작용하고, 난방운전시 냉매를 증발하는 증발기로 작용한다.
실외 열교환기(30)는 절환밸브(80) 및 실외 팽창밸브(50)와 연결된다. 냉방운전시 압축기(20)에서 압축되어 압축기(20)의 토출포트(23) 및 절환밸브(80)를 통과하한 냉매는 실외 열교환기(30)로 유입된 후 응축되어 실외 팽창밸브(50)로 유동된다. 난방운전시 실외 팽창밸브(50)에서 팽창된 냉매는 실외 열교환기(30)로 유동된 후 증발되어 절환밸브(80)로 유동된다.
실외 팽창밸브(50)는 냉방운전시 완전 개방되어 냉매를 통과시키고, 난방운전시 개도가 조절되어 냉매를 팽창시킨다. 실외 팽창밸브(50)는 실외 열교환기(30) 및 인젝션 모듈(90) 사이에 구비된다.
실외 팽창밸브(50)는 냉방운전시 실외 열교환기(30)로부터 유입되는 냉매를 통과시켜 인젝션 모듈(90)로 안내한다. 실외 팽창밸브(50)는 난방운전시 인젝션 모듈(90)에서 열교환되어 냉매를 팽창시켜 실외 열교환기(30)로 안내할 수 있다.
실내 열교환기(40)는 실내 공간에 배치된 실내기 내에 배치되고, 실내 열교환기(40)를 통과한 냉매를 실내공기와 열교환시킨다. 실내 열교환기(40)는 냉방운전시 냉매를 증발하는 증발기로 작용하고, 난방운전시 냉매를 응축하는 응축기로 작용한다.
실내 열교환기(40)는 절환밸브(80) 및 실내 팽창밸브(60)와 연결된다. 냉방운전시 실내 팽창밸브(60)에서 팽창된 냉매는 실내 열교환기(40)로 유입된 후 증발되어 절환밸브(80)로 유동된다. 난방운전시 압축기(20)에서 압축되어 압축기(20)의 토출포트(23) 및 절환밸브(80)를 통과한 냉매는 실내 열교환기(40)로 유입된 후 응축되어 실내 팽창밸브(60)로 유동된다.
실내 팽창밸브(60)는 냉방운전시 개도가 조절되어 냉매를 팽창하고, 난방운전시 완전 개방되어 냉매를 통과시킨다. 실내 팽창밸브(60)는 실내 열교환기(40) 및 인젝션 모듈(90) 사이에 구비된다.
실내 팽창밸브(60)는 냉방운전시 실내 열교환기(40)로 유동되는 냉매를 팽창시킨다. 실내 팽창밸브(60)는 난방운전시 실내 열교환기(40)로부터 유입되는 냉매를 통과시켜 인젝션 모듈(90)로 안내한다.
인젝션 모듈(90)은 실외 열교환기(30) 및 실내 열교환기(40) 사이에 구비되고 실외 열교환기(30)와 실내 열교환기(40) 사이를 유동하는 냉매의 일부를 압축기(20)로 인젝션한다. 즉, 응축기(30, 40)에서 팽창밸브로 유동하는 냉매의 일부를 압축기(20)로 인젝션할 수 있다. 인젝션 모듈(90)은 실외 팽창밸브(50) 및 실내 팽창밸브(60)와 연결된다.
인젝션 모듈(90)은 실외 열교환기(30)와 실내 열교환기(40) 사이를 유동하는 냉매의 일부를 팽창하는 인젝션 팽창밸브(91) 및 실내 열교환기(40)와 실외 열교환기(30) 사이를 유동하는 냉매의 다른 일부를 인젝션 팽창밸브(91)에서 팽창된 냉매와 열교환하는 인젝션 열교환기(92)를 포함한다. 인젝션 열교환기(92)는 열교환되어 증발된 냉매를 압축기(20)의 인젝션포트(22)로 안내한다. 다만 실시예에 따라 인젝션 모듈(90)은 공기조화기(1)의 구성으로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다.
기액분리기(70)는 절환밸브(80)와 압축기(20)의 유입포트(21) 사이에 구비된다. 기액분리기(70)는 절환밸브(80) 및 압축기(20)의 유입포트(21)와 연결된다. 기액분리기(70)는 냉방운전시 실내 열교환기(40)에서 증발된 냉매 또는 난방운전시 실외 열교환기(30)에서 증발된 냉매에서 기상 냉매와 액상 냉매를 분리하여 기상 냉매를 압축기(20)의 유입포트(21)로 안내한다. 즉 기액분리기(70)는 증발기(30, 40)에서 증발된 냉매에서 기상냉매와 액상냉매를 분리하여 기상 냉매를 압축기(20)의 유입포트(21)로 안내한다.
기액분리기(70)는 실외 열교환기(30) 또는 실내 열교환기(40)에서 증발된 냉매가 절환밸브(80)를 통해 유입된다. 따라서 기액분리기(70)는 대략 0~5도 정도의 온도를 유지하며, 외부로 냉열이 방열될 수 있다. 기액분리기(70)의 표면온도는 냉방운전시 실외 열교환기(30)에서 응축된 냉매의 온도보다 낮다. 기액분리기(70)는 길이방향으로 긴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b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블럭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실외기 및 실내기는 원격제어기기의 유무선 통신 방법으로 연결될 수 있다. 물론, 실내기는 실외기와 유무선 통신 방법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원격제어기기(2)와 실외기(1)는 상호 양방향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통신 방법은 근거리 무선통신 방법 중의 하나인 블루투스를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원격제어기기(2)와 실외기(1)가 상호 양방향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원격제어기기(2)와 실외기(1) 각각은 통신모듈(250)을 포함한다.
원격제어기기(2)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입력을 받은 경우, 그에 따른 신호를 통신모듈(250)를 이용하여 실외기(1)에 송신한다. 실외기의 컨트롤러는 원격제어기기의 제어명령에 따라 실외기를 제어한다.
원격제어기기(2)는 실외기(1)를 제어하기 위한 소프트웨어가 설치된 이동 단말기나 리모트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실외기(1)는 원격제어기기(2)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모듈(190)이 구비되어 있다. 통신모듈(190)은 상기 원격제어기기(2)에서 사용하는 통신 규격과 같은 블루투스 저 에너지 규격을 사용하는 통신모듈일 수 있다.
실외기(1)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공기조화기(1)의 실외기는 저면을 형성하는 실외기 저면부(110)와, 실외기 저면부(110)와 결합되며 둘레면에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홀이 형성되고 상면에 토출홀(143)이 형성된 실외기 본체(100)와, 실외기 본체(100) 내에 흡입구와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실외 열교환기(30)와, 실외기 본체(100)의 토출홀(143)에 구비되며 수직방향으로 공기를 유동하는 토출팬(148)과 실외기 본체(100) 하부에 구비되며 수평방향으로 공기를 유동하는 흡입팬(198)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하방향은 중력방향인 수직방향을 의미하며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은 상하방향과 수직인 수평방향이다.
케이스는 실외기 저면부(110)와 실외기 본체(100)를 포함하여 실외기의 외관을 형성한다. 실외기 저면부(110)는 케이스의 저면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상면에 압축기(20), 오일분리기(25), 기액분리기(70), 실외 열교환기(30) 등이 설치된다.
실외기 본체(100)는 실외기 저면부(110)에 결합된다. 실외기 본체(100)는 하면이 개구된 직육면체로 형성된다. 실외기 본체(100)는 둘레면에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홀이 형성된다. 실외기 본체(100)는 상면에 토출홀(143)이 형성된다. 흡입홀은 실외기 본체(100)의 둘레면 중 삼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실외기 본체(100)의 후면, 좌측면, 우측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흡입홀은 좌측 흡입홀(123), 우측 흡입홀(133), 및 후방 흡입홀(163)를 포함한다.
실외기 본체(100)는 좌측면을 형성하는 좌측 패널(120)과 우측면을 형성하는 우측 패널(130)과, 상면을 형성하는 탑 패널(140)과, 전면을 형성하는 프론트 패널(150)과, 후면을 형성하는 리어 패널(160)을 포함한다.
좌측 패널(120)은 실외기의 좌측면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실외기 저면부(110)의 좌측과 결합된다. 좌측 패널(120)에는 실외 공기가 실외기 본체(100) 내부로 흡입될 수 있도록 우측 그릴(122)이 구비된다. 우측 그릴(122)은 좌측에서 실외 공기가 흡입되는 좌측 흡입구를 형성한다.
우측 패널(130)은 실외기의 우측면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실외기 저면부(110)의 우측과 결합된다. 우측 패널(130)에는 실외 공기가 실외기 본체(100) 내부로 흡입될 수 있도록 우측 그릴(132)이 구비된다. 우측 그릴(132)은 우측에서 실외 공기가 흡입되는 우측 흡입홀(133)을 형성한다.
탑 패널(140)은 실외기의 상면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좌측 패널(120)과 우측 패널(130) 상측에 결합되고, 토출홀(143)이 형성된다. 탑 패널(140)에는 토출홀(143) 상측에 위치되는 토출 그릴이 구비될 수 있다.
프론트 패널(150)은 실외기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실외기 저면부(110)와 좌측 패널(120)과 우측 패널(130)과 탑 패널(140)의 사이 전방에 배치된다.
리어 패널(160)은 실외기의 후면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좌측 패널(120)과 우측 패널(130)과 탑 패널(140)의 사이 후방에 배치된다. 리어 패널(160)에는 실외 공기가 실외기 본체(100) 내부로 흡입될 수 있도록 리어 그릴(162)이 구비된다. 리어 그릴(162)은 후방에서 실외 공기가 흡입되는 후방 흡입홀(163)을 형성한다.
실외 열교환기(30)는 실외기 본체(100) 내부에 흡입홀과 대응되도록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흡입홀은 좌측 흡입홀(123), 우측 흡입홀(133), 및 후방 흡입홀(163)로 형성되는 바, 실외 열교환기(30)는 수평방향 단면이 ⊃ 형상으로 절곡되어 삼면으로 형성된다. 삼면으로 형성되는 실외 열교환기(30)는 실외기 저면부(110)의 상면에 설치되는 압축기(20), 오일분리기(25), 및 기액분리기(70)를 둘러쌓도록 배치된다.
실외 열교환기(30)의 삼면 중 좌측면은 우측 그릴(122)에 형성된 좌측 흡입홀(123)에 대응되게 배치되고, 우측면은 우측 그릴(132)에 형성된 우측 흡입홀(133)에 대응되게 배치되며, 가운데 면인 후면은 리어 그릴(162)에 형성된 후방 흡입홀(163)에 대응되게 배치된다.
토출팬(148)은 실외기 본체의 토출홀(143)에 구비되어 수직방향으로 공기를 유동한다. 토출팬(148)은 탑 패널의 하측에 토출홀(143)에 대응되도록 배치된다. 토출팬(148)은 프론트 패널(150) 및 리어 패널(160)과 연결되는 토출 브래킷(147)에 의해 지지된다.
토출팬(148)은 토출모터(146)에 의하여 회전되며, 토출모터(146)는 토출 브래킷(147)에 설치된다. 토출팬(148)의 주위에는 유로를 형성하는 오리피스(149)가 구비된다. 오리피스(149)는 프론트 패널(150) 및 리어 패널(160)과 연결되어 탑 패널(140) 하측에 배치된다.
토출팬(148)은 실외 공기를 유동하여 실외 열교환기(30)에서 실외 공기와 냉매가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토출팬(148)은 실외기 본체(100) 내부의 실외 공기를 외부로 토출하도록 축이 수직방향(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축류팬인 것이 바람직하다. 토출팬(148)은 흡입홀(123,133,163)로 흡입된 외부 공기를 상측으로 토출한다.
흡입팬(198)은 실외기 본체(100) 하부에 구비되며 수평방향으로 공기를 유동한다. 흡입팬(198)은 실외기 저면부(110)의 상측에 배치된다. 흡입팬(198)은 실외기 저면부(110)의 상면과 연결되는 흡입 브래킷(197)에 의해 지지된다. 흡입팬(198)은 흡입모터(196)에 의하여 회전되며, 흡입모터(196)는 흡입 브래킷(197)에 설치된다.
흡입팬(198)은 송풍장치(200)과 함께 실외 공기를 유동하여 실외 열교환기(30)에서 실외 공기와 냉매가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따라서, 흡입팬(198)이 없이 토출팬(148)만으로 실외 공기를 유동하여 실외 열교환기(30)에 열교환이 발생시키는 것 보다. 토출팬(148)과 흡입팬(198)이 함께 실외 공기를 유동시킬 경우 냉/난방 운전시 공기조화기의 효율이 더 높아진다.
흡입팬(198)은 실외기 본체(100) 외부의 실외 공기를 내부로 흡입하도록 축이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축류팬인 것이 바람직하다. 흡입팬(198)은 축이 전후방향으로 형성되어 전후방향으로 공기를 유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컨트롤러(240)는 냉난방 성능 요구에 따라 압축기(20), 실외 팽창밸브(50), 실내 팽창밸브(60), 절환밸브(80), 흡입모터(196) 및 토출모터(146) 등을 제어하는 부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의 측단면도이다.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실외기와 안테나의 배치를 보여주는 평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프론트 패널(150)과 리어 패널(160) 사이에는 프론트 패널(150)과 리어 패널(160)을 연결하는 토출 브래킷(147)이 설치된다. 토출 브래킷(147)은 실외기(케이스) 내부를 상측 공간과 하측 공간으로 구획한다. 즉 압축기(20), 실외 열교환기(30), 흡입팬(198) 및 컨트롤러(240) 등이 설치되는 하측과 오리피스, 토출팬(148) 등이 설치되는 상측을 구획한다.
본 발명은 원격제어기기(2)와 실외기 사이의 무선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안테나(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외기의 케이스는 강성을 위해 금속재질을 포함한다. 안테나(200)가 케이스와 직접 접촉하게 되면, 안테나(200)가 차지하는 공간을 줄일 수 있지만, 전파의 송수신에 장애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실시예의 안테나(200)는 전파의 송수신 효율을 향상시키면서, 실외기의 케이스에 쉽게 설치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면, 안테나(200)는 절연 재질의 베이스(201); 및 베이스(201)에 배치되는 도전성 재질의 송수신 부재(203)를 포함한다.
베이스(201)는 절연 재질로써, 송수신 부재(203)가 배치되는 공간을 정의하고, 송수신 부재(203)를 케이스와 절연시키고, 송수신 부재(203)를 케이스에 설치하는 역할을 한다. 베이스(201)는 절연 재질의 다양한 재질이 선택될 수 있다. 베이스(201)는 합성 수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베이스(201)는 케이스에 접착되거나, 베이스(201)는 케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베이스(201)는 서로 마주보는 하면과 상면, 상면과 하면을 연결하고, 상면 및 하면 보다 작은 면적의 사이드 면들을 포함하고, 하면은 케이스의 일면과 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201)가 낮은 높이를 가지고 가장 넓은 면이 케이스와 접촉되면, 안테나(200)가 케이스의 일면에서 돌출되는 높이가 작아져서 다른 구성품과 간섭되는 것을 줄일 수 있고, 접촉 면적이 커서 접착력이 우수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베이스(201)의 하면은 케이스의 일면과 접착제에 의해 접착될 수 있다.
송수신 부재(203)는 송신할 때는 송신기에 의해 변조된 교류전압을 전자기파로서 대기 중에 방사(emitting)하고, 반대로 수신할 때는 전자기파를 수신기에 의해 평가된 교류전압으로 변환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송수신 부재(203)는 도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g, Au, Cu, Al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 부재(203)는 통신모듈과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송수신 부재(203)는 케이블(205)과 커넥터(207)에 의해 통신모듈과 연결될 수 있다.
송수신 부재(203)는 다양한 패턴을 가지고, 베이스(201)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송수신 부재(203)는 필름 형상으로 베이스(201)의 상면에 배치되거나, 베이스(201)의 상면에서 하부로 내삽될 수도 있다. 또한, 송수신 부재(203)의 상면은 베이스(201)의 상면 보다 상부로 돌출되거나, 베이스(201)의 상면과 돌일 높이에 위치되거나, 베이스(201)의 상면 보다 더 낮은 위치에 위치될 수도 있다.
안테나(200)는 실외기의 외부에 배치되는 경우, 외기의 환경 변화에 의해 파손되거나, 실외기의 설치 시에 파손되거나, 다른 사용자가 고의로 파손할 수 있으므로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케이스는, 서로 마주보는 바닥면과 상부면 및 바닥면과 상부면을 연결하는 적어도 4개의 측면을 포함하고, 안테나(200)는 케이스의 측면 들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안테나(200)는 프론트 패널(150), 리어 패널(160), 좌측 패널(120), 우측 패널(130)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안테나(200)는 프론트 패널(150), 리어 패널(160), 좌측 패널(120), 우측 패널(130) 중 적어도 2군데에 배치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 안테나(200)는 서로 마주보는 프론트 패널(150)과 리어 패널(160)에 각각 배치되거나, 좌측 패널(120)과 우측 패널(130)에 각각 배치되어서, 전파 송수신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안테나(200)는 케이스의 내측면에 배치된다. 여기서, 케이스의 내측면은 케이스의 측면중 케이스의 내부와 마주보는 면이다. 구체적으로, 안테나(200)는 프론트 패널(150)의 내면, 리어 패널(160)의 내면, 좌측 패널(120)의 내면, 우측 패널(130)의 패면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케이스는 토출팬(148)과 오리피스(149)가 배치되는 상부영역(S1)과 상부영역(S1)의 하부에 배치되고, 압축기, 컨트롤러, 실외 열교환기, 냉매 배관이 배치되는 하부영역(S2)으로 구분된다.
상부영역(S1)과 하부영역(S2)은 토출 브래킷(147)에 의해 구분될 수 있다. 하부영역(S2)에는 여러 부품이 배치되고, 특히 실외 열교환기가 케이스의 측면을 따라 배치되어서 안테나(200)를 설치할 공간이 없고, 설치할 공간이 있더라도 안테나(200) 설치 작업할 공간을 부족하게 된다.
상부영역(S1)의 경우, 사각형의 케이스 내부에 원형의 오리피스(149)가 배치되므로, 오리피스(149)와 케이스의 측면 사이에 충분한 공간이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안테나(200)는 케이스의 측면에서 케이스의 상부면과 인접한 상부영역(S1)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안테나(200)는 케이스의 측면에서 케이스의 상부면과 인접한 상부영역(S1)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안테나(200)는 토출팬과 수평적으로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물론, 안테나(200)는 상부영역(S1)에서 각 케이스의 일면에서 중앙 또는 양단에 위치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안테나(200)는 도 8에서도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오리피스(149)와 케이스의 일측면 사이에 가장 큰 공간이 형성되는 코너에 배치될 수 있다. 이는 후술한다.
컨트롤러(240)는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고, 공기조화기의 각종 부품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240)는 공기조화기의 성능, 종류에 따라 케이스 내부의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컨트롤러(240)는 케이스의 프론트 패널(150), 우측 패널(130) 및 좌측 패널(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결합하여 케이스의 중간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컨트롤러(240)는 프론트 패널(150)의 중간부분에 설치된다. 또한, 컨트롤러(240)는 케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기 위해 볼트 결합될 수 있다. 컨트롤러(240)는 방열부재(400)와 연결되어 컨트롤러(240)에서 발생한 열을 방열하여 컨트롤러(240)의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컨트롤러(240)는 후방에 방열부재(400)가 연결된다.
컨트롤러(240)는 방열부재(400)가 연결되는 일측에 지지부재(30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컨트롤러(240)의 고장이 발생한 경우, 컨트롤러(240)를 지지부재(300)로부터 분리하는 것이 용이할 수 있다.
컨트롤박스(220)는 컨트롤러(240)의 외관을 형성하며, 내부에 인쇄회로기판 등의 부품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방열부재(400)는 컨트롤러(240)와 연결되어 컨트롤러(240)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열한다. 상세히 설명하면, 방열부재(400)는 컨트롤박스(220)의 연결홀(221)을 통해 컨트롤박스(220) 내부에 구비된 인쇄회로기판(210)과 연결된다. 따라서, 인쇄회로기판(210)에 구비된 파워소자에서 발생한 열을 방열하여 인쇄회로기판(210)을 냉각시킨다. 이로써, 인쇄회로기판(210)에 구비된 파워소자는 동작 가능한 온도로 유지될 수 있다.
방열부재(400)는 지지부재(300)를 기준으로 컨트롤러(240)와 대향되게 배치된다.
방열부재(400)의 일부 영역은 삽입홀(310)을 관통하여 컨트롤러(240)와 접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방열부재(400)는 컨트롤러(240)(구체적으로, 인쇄회로기판(210))과 접촉되는 접촉부(410)와 지지부재(300)와 결합되는 결합부(420)를 포함한다.
방열부재(400)는 일측에 컨트롤러(24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측과 대향된 타측에 냉매가 흐르는 냉매배관(500)이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방열부재(400)는 전방측에 컨트롤러(240)가 결합되고, 후방측에 냉매배관(500)이 결합된다.
냉매배관(500)은 방열부재(400)의 후방부에 결합된다. 냉매배관(500)에는 실외 열교환기(30) 또는 실내 열교환기를 통과한 냉매의 일부를 바이패스한 냉매가 흐른다. 냉매배관(500)은 U자형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냉매배관(500) 내에 흐르는 냉매는 상측으로 유동하면서 한번 열을 흡수하고, 하측으로 유동하면서 또 한번 열을 흡수할 수 있어 방열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지지부재(300)는 방열부재(400)와 결합하여 방열부재(400)의 위치를 고정한다. 지지부재(300)는 케이스에 내부에 배치되며, 컨트롤러(240)의 위치와 대응되는 곳에 배치된다. 지지부재(300)는 길이방향으로 긴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재(300)는 상부가 토출 브래킷(147) 결합되거나 또는 측면부가 우측 패널(130) 및 좌측 패널(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결합되어 케이스에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부재(300)는 컨트롤러(240)와 함께 케이스의 중간부분에 설치된다.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실외기와 안테나(200)의 배치를 보여주는 평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8의 실시예는 도 5의 실시예와 비교하면, 안테나(200)의 결합방법에 차이가 존재한다.
실시예에 안테나(200)는 케이스에 설치된 결합부재(157)에 의해 케이스에 결합될 수 있다. 물론, 안테나(200)는 케이스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결합부재(157)는 베이스(201)의 테두리가 억지 끼움 될 수 있는 공간을 가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체결 스쿠류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외기와 안테나(200)의 결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7을 참조하면, 도 6의 실시예는 도 5의 실시예와 비교하면, 안테나(200)의 위치에 차이가 존재한다.
케이스는 베이스(201)가 수용되는 수용홈(15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용홈(159)은 안테나(200)의 설치위치를 가이드하고, 안테나(200)가 케이스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며, 안테나(200)와 다른 부품을 간섭을 방지하게 된다.
베이스(201)의 하면 및 사이드면은 수용홈(159)과 접착될 수 있다. 베이스(201)의 높이는 베이스(201)의 높이는 수용홈(159)의 높이 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베이스(201)의 상면은 케이스 일면의 상면 보다 아래에 위치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외기와 안테나(200)의 결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도 8의 실시예는 도 5의 실시예와 비교하면, 안테나(200)의 위치에 차이가 존재한다.
실시예의 안테나(200)는 안테나(200)는 서로 인접한 케이스의 측면들을 연결하는 코너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안테나(200)는, 프론트 패널(150)과 우측 패널(130)이 만나는 코너(C1) 및 좌측 패널(120)과 리어 패널(160)이 만나는 코너(C2)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안테나(200)는 코너의 형상에 대응되게 라운드지게 형성되거나, 밴딩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외기와 안테나(200)의 결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을 참조하면, 도 9의 실시예는 도 5의 실시예와 비교하면, 결합방법에 차이가 존재한다.
실시예의 안테나(200)는 스크류(220)를 통해 케이스의 일면에 체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크류(220)는 케이스의 일면에 형성된 나사홀(150a)을 관통하여서, 베이스(201)의 하면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안테나(200)는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되고 스크류(220)의 일부는 케이스의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 공기조화기 100: 실외기 본체
110: 실외기 베이스 120: 좌측 패널
130: 우측 패널 140: 탑 패널
147: 토출 브래킷 150: 프론트 패널
160: 리어 패널 200: 안테나

Claims (14)

  1.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
    무선신호를 송수신하고 상기 케이스에 배치되는 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는,
    절연 재질의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에 배치되는 도전성 재질의 송수신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는 상기 베이스가 수용되는 수용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의 높이는 수용홈의 높이 보다 작거나 같으며,
    상기 베이스는,
    서로 마주보는 하면과 상면, 상기 상면과 하면을 연결하고, 상기 상면 및 상기 하면 보다 작은 면적의 사이드 면들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의 하면 및 사이드면은 상기 수용홈과 접착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금속 재질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서로 마주보는 바닥면과 상부면 및 바닥면과 상부면을 연결하는 적어도 4개의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는 상기 케이스의 측면 들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는 상기 케이스의 측면에서 상기 케이스의 상부면과 인접한 상부 영역에 배치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는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에 배치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서로 마주보는 바닥면과 상부면 및 바닥면과 상부면을 연결하는 적어도 4개의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는 서로 인접한 상기 케이스의 측면들을 연결하는 코너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어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냉매와 실외 공기를 열교환하는 실외 열교환기; 및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어 공기에 유동력을 제공하는 토출팬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는 상기 토출팬과 수평적으로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와 연결되어 원격제어기와 통신하는 통신모듈;
    통신모듈에서 전달되는 데이터를 바탕으로 상기 실외기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14. 제1항 내지 제6항, 제12항 및 제13항 중 어느 한 항의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KR1020190003228A 2019-01-10 2019-01-10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1026435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3228A KR102643590B1 (ko) 2019-01-10 2019-01-10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DE112020000390.6T DE112020000390T5 (de) 2019-01-10 2020-01-10 Außeneinheit einer Klimaanlage
US17/421,784 US11965661B2 (en) 2019-01-10 2020-01-10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PCT/KR2020/000483 WO2020145731A1 (ko) 2019-01-10 2020-01-10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3228A KR102643590B1 (ko) 2019-01-10 2019-01-10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6890A KR20200086890A (ko) 2020-07-20
KR102643590B1 true KR102643590B1 (ko) 2024-03-04

Family

ID=71521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3228A KR102643590B1 (ko) 2019-01-10 2019-01-10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965661B2 (ko)
KR (1) KR102643590B1 (ko)
DE (1) DE112020000390T5 (ko)
WO (1) WO2020145731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20035A (ja) * 2011-12-08 2013-06-17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
JP6417476B2 (ja) * 2015-06-25 2018-11-07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室外機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2795A (en) * 1980-06-09 1982-01-08 Dainippon Printing Co Ltd Ink composition
JPS6417476U (ko) 1988-06-28 1989-01-27
KR100239490B1 (ko) * 1997-11-21 2000-01-15 구자홍 공기조화기
ATE530861T1 (de) * 2004-03-09 2011-11-15 Mitsubishi Electric Corp Klimaanlage
DE102006027528B3 (de) * 2006-06-14 2008-02-21 Danfoss A/S Temperiereinrichtung
JP6081193B2 (ja) * 2012-12-26 2017-02-15 株式会社東芝 メモリデバイス、保守作業支援プログラム、メモリシステムおよび保守システム
KR20150080833A (ko) * 2014-01-02 2015-07-1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20170003206A (ko) * 2015-06-30 2017-01-09 삼성전기주식회사 전자장치 어셈블리
JP6292288B1 (ja) * 2016-12-09 2018-03-14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
CN110362159A (zh) * 2019-08-12 2019-10-22 广东虹勤通讯技术有限公司 笔记本电脑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20035A (ja) * 2011-12-08 2013-06-17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
JP6417476B2 (ja) * 2015-06-25 2018-11-07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室外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12020000390T5 (de) 2021-09-23
US20220090799A1 (en) 2022-03-24
US11965661B2 (en) 2024-04-23
KR20200086890A (ko) 2020-07-20
WO2020145731A1 (ko) 2020-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4536B1 (ko) 방열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CN107076433B (zh) 室外机
US10480799B2 (en) Outdoor unit
US11493213B2 (en) Outdoor unit for refrigeration apparatus
US20210207894A1 (en) Outdoor unit for refrigeration apparatus
KR102643590B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100370014B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의 소음 저감구조
KR20030062872A (ko) 공기조화기의 어큐뮬레이터/리시버 결합체
KR20100081849A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CN214536548U (zh) 空调器
CN213841138U (zh) 空调室外机
EP3534089A1 (en) Air-conditioning system
KR20150080833A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CN219014680U (zh) 热泵设备及热泵系统
KR100413072B1 (ko) 에어컨 실내기용 배플의 응축수 안내구조
KR20020015916A (ko) 에어 컨디셔너
KR20150056034A (ko) 압축기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CN215175502U (zh) 天花机及空调器
KR100436928B1 (ko) 적층수단을 구비한 에어컨 실외기
CN220083195U (zh) 电控箱部件、室外机及空调
US20240085052A1 (en) Air conditioning unit and air conditioning system
CN213480419U (zh) 一种空调器
CN216114392U (zh) 电控盒组件及具有其的空调器
CN220648593U (zh) 一种装配式壳体的热泵外机
CN113757821A (zh) 空调室外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