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3206A - 전자장치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전자장치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3206A
KR20170003206A KR1020150093581A KR20150093581A KR20170003206A KR 20170003206 A KR20170003206 A KR 20170003206A KR 1020150093581 A KR1020150093581 A KR 1020150093581A KR 20150093581 A KR20150093581 A KR 20150093581A KR 20170003206 A KR20170003206 A KR 201700032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communication
main body
insertion groove
insertion port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35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준
이계원
손혜현
강철민
권우찬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935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3206A/ko
Publication of KR201700032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32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L29/02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 어셈블리는 단자 삽입포트가 배치되는 장치 삽입홈이 구비된 본체, 상기 단자 삽입포트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장치 삽입홈 내부에 배치되는 무선통신 지원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통신 지원장치는 상기 본체에 밀착 결합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장치 어셈블리{Electronic Device Assembly}
본 발명은 동글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장치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사물 인터넷이 발달하고 스마트 홈이 구현됨에 따라 각종 전자기기에는 무선통신 기능이 구비되는 추세이다.
이러한 기능을 충족시키고 각종 정보를 송/수신 하기 위해 전자장치에는 WiFi(Wireless Fidelity) 장치가 내장되어 있거나, 동글(Dongle)이 사용가능하도록 별도의 단자포트가 구비되어 있다.
한편, 동글(Dongle)을 사용하여 무선통신하는 경우 별도의 동글 모듈(Dongle module)을 전자장치의 단자포트에 결합시켜 사용하게 되는데, 외부 충격에 의해 동글 모듈(Dongle module)이 파손되기 쉬우며 외관상 보기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동글 모듈의 결합신뢰성이 향상되고 외관이 개선된 전자장치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 어셈블리는 단자 삽입포트가 배치되는 장치 삽입홈이 구비된 본체, 상기 단자 삽입포트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장치 삽입홈 내부에 배치되는 무선통신 지원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통신 지원장치는 상기 본체에 밀착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 어셈블리는 단자 삽입포트가 배치되는 장치 삽입홈이 구비된 본체 및 일단부에 상기 단자 삽입포트에 결합되는 커넥터부가 구비된 무선통신 지원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부가 상기 단자 삽입포트에 결합되면 상기 무선통신 지원장치가 상기 장치 삽입홈을 밀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 어셈블리는 동글 모듈의 결합신뢰성을 향상시키고, 외관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 어셈블리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지원장치와 본체의 결합 전 개략 사시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지원장치와 본체의 결합후 개략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지원장치의 개략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지원장치와 본체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지원장치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지원장치와 본체의 결합 전 측면 단면도이고,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지원장치와 본체의 결합 후 측면 단면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지원장치와 본체의 결합 전 평면 단면도이고,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지원장치와 본체의 결합 후 평면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측, 하측, 측면 등의 표현은 도면에 도시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며, 해당 대상의 방향이 변경되면 다르게 표현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 어셈블리(10)의 개략 사시도이고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지원장치와 본체의 결합 전 개략 사시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지원장치와 본체의 결합 후 개략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 어셈블리(10)는 단자 삽입포트(120)가 배치되는 장치 삽입홈(110)이 구비되는 본체(100), 상기 단자 삽입포트(12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장치 삽입홈(110) 내부에 배치되는 무선통신 지원장치(200)를 포함한다.
본체(100)는 무선통신 지원장치(200)가 결합되는 전자기기(11)의 외관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상기 본체(100)는 무선통신 지원장치(200)가 결합되는 전자기기(11)의 케이스 또는 하우징에 해당될 수 있다.
여기서, 무선통신 지원장치(200)가 결합되는 전자기기(11)는 무선통신 지원장치(200)가 결합됨으로써 무선통신 기능 및 정보의 송수신이 가능한 전자기기에 해당하며, 예를 들어, 노트북, 타블렛 PC,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 네비게이션, 공기청정기, 에어컨, 등 무선통신 기능이 수반되는 모든 전자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기기(11)에 무선통신 지원장치(200)가 결합되는 경우 사용자는 원격으로 전가기기(11)의 각종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본체(100)는 합성수지를 사출 성형하여 구비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재질을 사용하여 구비될 수 있다.
본체(100)의 일면에는 무선통신 지원장치(200)가 삽입되는 장치 삽입홈(110)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장치 삽입홈(110)은 본체(100)의 일면에서 내측으로 인입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장치 삽입홈(110)은 사용자의 사용편의를 고려하여 전자기기(11)의 상부 또는 측부에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전자기기(11)의 전면부, 후면부 등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장치 삽입홈(110)은 본체(100)의 일면이 인입되어 구비될 수 있으며, 장치 삽입홈(110)에는 단자 삽입포트(120)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단자 삽입포트(120)는 장치 삽입홈(110)을 형성하는 본체(100)의 내측면, 다시 말해, 본체(100)의 인입된 내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단자 삽입포트(120)에는 후술할 무선통신 지원장치(200)의 커넥터부(210)가 삽입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단자 삽입포트(120)는 일 예로서, USB(Universal Serial Bus) 삽입포트로 구비될 수 있다.
장치 삽입홈(110)의 내측면에는 무선통신 지원장치(200)의 안정적인 결합을 위해 장치 삽입홈(110)의 내부공간을 향해 돌출 구비된 걸림 돌기(111)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걸림돌기(111)는 장치 삽입홈(110)의 내측면에서 무선통신 지원장치(200)가 구비되는 방향으로 돌출 구비될 수 있다.
걸림돌기(111)의 돌출된 단부는 무선통신 지원장치(200)와의 결합을 위해 후크(hook)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걸림돌기(111)는 단자 삽입포트(120)의 양측에서 돌출구비될 수 있다.
이와 대응하여, 무선통신 지원장치(200)에는 상기 걸림돌기(111)가 탈착가능하게 삽입결합되는 걸림홈(221a, 도 7a참조)이 구비될 수 있다.
걸림홈(221a)은 걸림돌기(111)에 대향하는 무선통신 지원장치(200)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걸림돌기(111)에 대응하는 개수로 무선통신 지원장치(200)의 일면에서 인입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체(100)의 장치 삽입홈(110)의 내측면에 걸림돌기(111)가 구비되고, 무선통신 지원장치(200)에 상기 걸림돌기(111)가 삽입되는 걸림홈(221a)이 구비된 구성만을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본체(100)의 장치 삽입홈(110)의 내측면에 걸림홈을 구비하고 이에 대응하여, 무선통신 지원장치(200)에 걸림돌기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장치 삽입홈(110)의 내측면은 무선통신 지원장치(200)의 외측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 삽입홈(110)의 내측면 중 단자 삽입포트(120)가 구비된 일면은 무선통신 지원장치(200)의 커넥터부(210)가 구비된 외면의 형상에 대응하여 소정의 곡률(R1, 도 7a 참조)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무선통신 지원장치(200)의 커넥터부(210)가 구비된 외면의 곡률(R2, 도 7a 참조)와 단자 삽입포트(120)가 구비된 장치 삽입홈(110) 내측면의 곡률(R1)은 동일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지원장치(200)의 개략 측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3을 더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지원장치(200)의 세부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지원장치(200)는 전자기기(11)의 무선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장치로서, 예를 들어 동글(dongle) 모듈에 해당할 수 있다.
동글(dongle) 모듈은 무선통신이 지원되지 않는 전자기기(11)에 결합되어 사용자와 전자기기(11) 간의 일방향 또는 쌍방향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어, 동글(dongle) 모듈은 방송 통신 모듈, 이동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모듈, 위치정보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무선통신 지원장치(200)가 결합되는 전자기기(11)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노트북, 타블렛 PC,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 네비게이션, 공기청정기, 에어컨, 등 무선통신 기능이 수반되는 모든 전자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통신 지원장치(200)는 외관을 형성하고 본체(100)에 밀착되는 바디부(220)와 상기 바디부(220)의 일단부에 구비되고 단자 삽입포트(120)에 삽입 결합되는 커넥터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부(210)는 무선통신 지원장치(200)의 바디부(220)의 일단부에서 돌출 구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USB 단자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부(210)는 단자 삽입포트(120)에 삽입되어 전자기기(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커넥터부(210)는 외부 신호를 전송 받아 전자기기(11)에 전달하거나 전자기기(11)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전송 받아 외부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바디부(220)는 무선통신 지원장치(200)의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무선통신 지원장치(200)의 케이스 또는 하우징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바디부(220)는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상기 바디부(220)를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바디부(220)는 커넥터부(210)가 구비되고 본체(100)의 장치 삽입홈(110)에 삽입되는 제1 바디(221)와 상기 제1 바디(221)에서 연장되어 상기 장치 삽입홈(110)이 구비된 본체(100)의 일면을 따라 연장된 제2 바디(2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디(221)에는 커넥터부(21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1 바디(221)는 제2 바디(222)에 비해 상대적으로 하측에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바디(221)는 제2 바디(222)의 저면에서 돌출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1 바디(221)는 무선통신 지원장치(200)가 본체(100)에 결합될 때 장치 삽입홈(110)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제1 바디(221)의 두께(T1, 도 6a 참조)는 장치 삽입홈(110)의 깊이(T2, 도 6b 참조)와 동일하게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무선통신 지원장치(200)가 본체(100)에 결합한 후에는 상기 제1 바디(221)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제1 바디(221)의 커넥터부(210)가 구비된 일측에는 걸림홈(221a)이 구비될 수 있다.
걸림홈(221a)은 제1 바디(221)의 일면에서 내측으로 인입되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걸림홈(221a)에는 장치 삽입홈(110)의 내측면에 구비되는 걸림돌기(111)가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걸림돌기(111)는 후크(hook) 형상으로 구비되고, 걸림홈(221a)은 상기 걸림돌기(111)의 외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걸림홈(221a)은 커넥터부(210)의 양측에 이격되게 구비될 수 있다. 걸림홈(221a)의 형상 및 개수는 걸림돌기(111)에 대응하여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전술한 바와 같이, 걸림홈(221a)이 구비되는 위치가 제1 바디(221)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본체(100)의 장치 삽입홈(110)의 내측면에 걸림홈을 구비하고 이에 대응하여, 제1 바디(221)에 걸림돌기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 바디(222)는 제1 바디(221)의 상부에서 연장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바디(222)는 제1 바디(221)의 상부에서 장치 삽입홈(110)이 구비된 본체(100)의 일면을 따라 연장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1 바디(221)의 두께(T1)는 장치 삽입홈(110)의 깊이(T2)와 동일하게 구비되므로, 무선통신 지원장치(200)가 본체(100)에 결합되는 경우, 제1 바디(221)의 상부에서 연장된 제2 바디(222)만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제2 바디(222)에 의해 장치 삽입홈(110)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밀폐될 수 있다.
한편, 제2 바디(222)의 양측 단부는 단부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감소하도록 하향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바디(222)의 저면은 본체(100)의 장치 삽입홈(110)이 구비된 일면에 밀착되게 구비되고, 제2 바디(222)의 상면은 단부측으로 갈수록 하향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지원장치와 본체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지원장치의 저면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4 및 도 5를 더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지원장치(200)의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지원장치(200)는 제2 바디(222)의 저면에 구비되는 마그넷(222a) 및 본체(100)에 구비되는 금속부재(130) 구성을 제외하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무선통신 지원장치(200) 및 본체(100)와 다른 구성은 모두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상기한 설명에 갈음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무선통신 지원장치(200)의 제2 바디(222)의 저면에는 마그넷(222a)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이에 대응하여, 상기 제2 바디(222)의 저면과 대향하는 본체(100)의 일면에는 금속부재(130)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무선통신 지원장치(200)가 본체(100)에 결합하는 경우 마그넷(222a)과 금속부재(130)간의 자기력으로 인해 무선통신 지원장치(200)의 결합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때, 마그넷(222a)가 금속부재(130)가 구비되는 위치는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2 바디(222)의 저면에 금속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바디(222)의 저면과 대향하는 본체(100)의 일면에 마그넷을 구비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바디(222)의 저면 및 제2 바디(222)의 저면과 대향하는 본체(100)의 일면 중 어느 하나에는 마그넷을 구비하고, 상기 마그넷이 구비되지 않은 다른 일면에는 금속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지원장치와 본체의 결합 전 측면 단면도이고,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지원장치와 본체의 결합 후 측면 단면도이고,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지원장치와 본체의 결합 전 평면 단면도이고,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지원장치와 본체의 결합 후 평면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6 및 도 7을 더 참조하여, 무선통신 지원장치와 본체의 결합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무선통신 지원장치(200)는 본체(100)에 삽입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지원장치(200)의 제1 바디부(221)가 본체(100)의 장치 삽입홈(110)에 삽입되어 슬라이드 이동함으로써 무선통신 지원장치(200)의 커넥터부(210)가 장치 삽입홈(110)에 배치되는 단자 삽입포트(120)에 삽입 결합된다.
이때, 제1 바디부(221)의 두께(T1)는 장치 삽입홈(110)의 깊이(T2)와 동일하게 구비되므로, 무선통신 지원장치(200)의 제2 바디부(222)만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장시 삽입홈(110)은 제2 바디부(222)에 의해 가려져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밀폐될 수 있다.
한편, 장치 삽입홈(110)의 내측면에는 걸림돌기(111)가 돌출구비되고, 제1 바디부(221)에는 상기 걸림돌기(111)가 걸림되는 걸림홈(221a)이 구비되어 무선통신 지원장치(200)와 본체(100)의 결합력이 강화될 수 있다.
더하여, 제1 바디부(221)의 두께(T1)와 장치 삽입홈(110)의 깊이(T2)가 동일하게 구비되므로, 제2 바디부(222)의 저면은 본체(100)의 장치 삽입홈(110)이 구비된 일면과 밀착결합된다.
결과적으로, 무선통신 지원장치(200)의 바디부(220)를 본체(100)의 일면에 밀착결합시킴으로써, 외부 충격에 의해 무선통신 지원장치(200)가 파손되거나, 접촉이 불량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 전자장치 어셈블리 100: 본체
110: 장치 삽입홈 120: 단자 삽입포트
130: 금속부재 200: 무선통신 지원장치
210: 커넥터부 220: 바디부

Claims (16)

  1. 단자 삽입포트가 배치되는 장치 삽입홈이 구비된 본체;
    상기 단자 삽입포트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장치 삽입홈 내부에 배치되는 무선통신 지원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통신 지원장치는 상기 본체에 밀착 결합되는 전자장치 어셈블리.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삽입홈은 상기 본체의 일면에서 내측으로 인입되어 구비되고, 상기 단자 삽입포트는 상기 본체의 인입된 내측면에 구비되는 전자장치 어셈블리.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삽입홈의 내측면에는 상기 무선통신 지원장치가 구비되는 방향으로 돌출된 걸림돌기가 구비되는 전자장치 어셈블리.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 지원장치의 상기 걸림돌기와 대응되는 부분에는 상기 걸림돌기가 탈착 가능하게 삽입결합되는 걸림홈이 구비되는 전자장치 어셈블리.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단자 삽입포트 양측에 구비되는 전자장치 어셈블리.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 지원장치는 외관을 형성하고 상기 본체에 밀착되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일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단자 삽입포트에 삽입결합하는 커넥터부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어셈블리.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커넥터부가 구비되고, 상기 장치 삽입홈에 삽입되는 제1 바디 및 상기 제1 바디에서 연장되어 상기 장치 삽입홈이 구비된 상기 본체의 일면을 따라 연장된 제2 바디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어셈블리.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의 두께는 상기 장치 삽입홈의 깊이와 동일하게 구비되는 전자장치 어셈블리.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삽입홈을 형성하는 상기 본체의 내측면에는 걸림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제1 바디의 상기 걸림돌기에 대향하는 부분에는 상기 걸림돌기가 탈착 가능하게 삽입결합되는 걸림홈이 구비되는 전자장치 어셈블리.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는 복수개가 이격되게 구비되는 전자장치 어셈블리.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의 양측 단부는 단부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감소하도록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는 전자장치 어셈블리.
  12.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제2 바디의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 단부가 대칭형상으로 구비되는 전자장치 어셈블리.
  13.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의 저면 및 상기 제2 바디의 저면과 대향하는 본체의 일면 중 어느 하나에는 마그넷이 구비되고, 상기 마그넷이 구비되지 않은 다른 일면에는 금속부재가 구비되는 전자장치 어셈블리.
  14. 단자 삽입포트가 배치되는 장치 삽입홈이 구비된 본체; 및
    일단부에 상기 단자 삽입포트에 결합되는 커넥터부가 구비된 무선통신 지원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부가 상기 단자 삽입포트에 결합되면 상기 무선통신 지원장치가 상기 장치 삽입홈을 밀폐시키는 전자장치 어셈블리.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 지원장치 또는 상기 본체 중 어느 하나에는 마그넷이 구비되고 상기 마그넷이 구비되지 않은 다른 하나의 상기 마그넷과 대향하는 부분에는 금속부재가 구비되는 전자장치 어셈블리.
  16. 제1 항 내지 제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 지원 장치는 동글 모듈로 구비되는 전자장치 어셈블리.
KR1020150093581A 2015-06-30 2015-06-30 전자장치 어셈블리 KR201700032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3581A KR20170003206A (ko) 2015-06-30 2015-06-30 전자장치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3581A KR20170003206A (ko) 2015-06-30 2015-06-30 전자장치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206A true KR20170003206A (ko) 2017-01-09

Family

ID=57811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3581A KR20170003206A (ko) 2015-06-30 2015-06-30 전자장치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320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6890A (ko) * 2019-01-10 2020-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6890A (ko) * 2019-01-10 2020-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US11965661B2 (en) 2019-01-10 2024-04-23 Lg Electronics Inc.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71319B2 (en) Dual orientation connector with external contacts
US9391391B2 (en) Waterproof electrical connector
US9331421B2 (en) Waterproof electric connector module and its waterproof housing
US9660373B2 (en) Waterproof electrical receptacle connector
US20160359269A1 (en) Card holding member and card connector set
EP2779319B1 (en) Waterproof Ear Jack Socke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140113497A1 (en) Waterproof connector
KR101301982B1 (ko) 방수형 리셉터클 커넥터
US9076025B2 (en) Card connector
JP2014207140A (ja) 防水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US9363343B2 (en) Audio jack connector integrated into enclosure
US9350833B2 (en) Electronic device and tray unit thereof
EP2595464A2 (en) USB appl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assembling USB application device
US10468749B2 (en) Mobile display terminal
US9425542B1 (en) Water-proof connector
JP2012155873A (ja) ジャックの防水構造
KR20210045379A (ko) 전기 커넥터 및 전자 디바이스
KR20170003206A (ko) 전자장치 어셈블리
KR101348141B1 (ko) 멀티형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에 적용되는 플러그 커넥터
US20070128942A1 (en) Smart card connector with a holding structure
KR20150024127A (ko) 무선 마우스
KR101412888B1 (ko) 안테나 패턴이 매립되는 방사체 프레임, 이를 포함하는 안테나 패턴 프레임,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및 방사체 프레임 제조 금형
KR20150098541A (ko) 리셉터클 어셈블리
KR101671397B1 (ko) 마이크로usb커넥터와 라이트닝usb커넥터의 공용 usb커넥터
US20110195594A1 (en) Rj-45 connector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