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2843B1 - 보행형 관리기 - Google Patents

보행형 관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2843B1
KR102642843B1 KR1020180071324A KR20180071324A KR102642843B1 KR 102642843 B1 KR102642843 B1 KR 102642843B1 KR 1020180071324 A KR1020180071324 A KR 1020180071324A KR 20180071324 A KR20180071324 A KR 20180071324A KR 102642843 B1 KR102642843 B1 KR 1026428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body
cover
slide
guide hole
right direc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13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1532A (ko
Inventor
신지 마에다
즈요시 와타리
사다오 야마나카
마사히로 나카시마
마사루 우치타니
게이이치 세자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7125315A external-priority patent/JP681168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7125314A external-priority patent/JP6925885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1900015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15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28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28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3/00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 A01B33/02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with tools on horizontal shaft transverse to direction of travel
    • A01B33/028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with tools on horizontal shaft transverse to direction of travel of the walk-behind typ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3/00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 A01B33/08Tools; Details, e.g. adaptations of transmissions or gearing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기단부 커버체에 대한 슬라이드 커버체의 자세 변화를 억제하여, 비틀림을 발생할 우려가 적은 원활한 가로 폭 변경 조작을 행하기 쉽게 한다. 또한, 측부 커버의 가로 외측으로의 돌출량을 가능한 한 삭감하여, 타물과의 접촉 가능성을 저감하기 쉽게 한다.
로터리 경운 장치의 외주부 커버(3A)로서, 중앙부측에 위치하는 기단부 커버체(31)와, 기체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하여 위치 변경 가능한 슬라이드 커버체(32)를 구비하고, 외주부 커버(3A)의 둘레 방향 복수 개소에, 슬라이드 커버체(32)의 슬라이드 이동을 허용하면서 슬라이드 커버체(32)를 기단부 커버체(31)에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 기구(5)가 분산 배치되고, 위치 결정 기구(5)와는 별도로, 슬라이드 커버체(32)의 기단부 커버체(31)에 대한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기구(6)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로터리 경운 갈고리의 회전 궤적의 외주측에 위치하는 원호 형상의 외주부 커버(3A)와, 가로 측방에 위치하는 측부 커버(3B)를 구비하고, 측부 커버(3B)는, 외주부 커버(3A)의 기체 좌우 방향에서의 외측 단부 위치에서, 지지점 축(70)의 둘레에서, 하단측을 가로 외측으로 들어올린 상승 자세와, 하단측을 수하시킨 하강 자세에 걸쳐 상하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측부 커버(3B)의 상단부에, 상승 자세와 하강 자세의 사이에서, 지지점 축(70)을 상대 회전 가능하게 보유 지지하는 축 보유 지지부(72)가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보행형 관리기{WALK-BEHIND TYPE MANAGING MACHINE}
본 발명은, 로터리 경운 갈고리를 덮는 로터리 커버로서, 그 로터리 커버의 기체 좌우 방향에서의 가로 폭을 변경 가능하게 구성된 보행형 관리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로터리 경운 갈고리를 덮는 로터리 커버로서, 로터리 경운 갈고리의 회전 궤적의 외주측에 위치하는 원호 형상의 외주부 커버와, 로터리 경운 갈고리의 가로 측방에 위치하는 측부 커버를 구비한 보행형 관리기에 관한 것이다.
하기 특허문헌 1에, 종래의 보행형 관리기가 기재되어 있다.
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보행형 관리기에서는, 로터리 커버의 기체 좌우 방향에서의 가로 폭을 변경 가능하게 하는 수단으로서, 기체 좌우 방향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기단측의 기단부 커버체(인용 문헌에서는 「사이드 커버 2」)와, 기단부 커버체에 대해서 기체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하여 위치 변경 가능한 슬라이드 커버체(인용 문헌에서는 「슬라이드 커버 3」)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기단부 커버체와 슬라이드 커버체에는, 슬라이드 커버체의 위치 이동을 허용하기 위한, 좌우 방향으로 가늘고 긴 슬라이드 긴 구멍과 볼트 고정 구멍이 마련되고, 이 슬라이드 긴 구멍과 볼트 고정 구멍, 및 이들을 관통하는 볼트가 위치 결정 기구(인용 문헌에서는 「슬라이드 고정부(6)」)로서 구비되어 있다(특허문헌 1 참조).
또한, 하기 특허문헌 2에, 종래의 보행형 관리기가 기재되어 있다.
이 특허문헌 2에 기재된 보행형 관리기에서는, 로터리 경운 갈고리의 가로 측방에 위치하는 측부 커버(특허문헌 2에서는 「측판(53)」)가, 단부 힌지를 통해 외주부 커버(특허문헌 2에서는 「가로 슬라이드부(52)」)에 지지되어 있다(특허문헌 2 참조).
실용신안 등록 제3207476호 공보(단락 「0018」, 「0027」 및 「도 2」 내지 「도 4」 참조) 일본 특허출원 제2014-134866호 공보(단락 「0029」, 「도 3」 및 「도 4」 참조)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구조에는, 위치 결정 기구에 상당하는, 슬라이드 긴 구멍과 볼트 고정 구멍, 및 이들을 관통하는 볼트가, 기단부 커버체와 슬라이드 커버체로 구성되는 로터리 커버의 전후 2개소에, 즉 전방측의 거의 중간 부위, 및 후방측의 거의 중간 부위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2개소의 가이드 기구에 의해 슬라이드 커버체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기단부 커버체에 대해서 슬라이드 조작할 수 있는 점에서는 유용한 것이다. 그러나, 슬라이드 긴 구멍이나 볼트 고정 구멍이, 전후 2개소임으로써, 기단부 커버체에 대해서 슬라이드 커버체가 조금 기울면 비틀림이 발생하기 쉬워, 원활한 슬라이드 조작을 행하기 어려워질 우려가 있는 점에서 개선의 여지가 있다.
본 발명은, 로터리 커버의 기체 좌우 방향에서의 가로 폭을 변경할 때, 기단부 커버체에 대한 슬라이드 커버체의 자세 변화를 억제하여, 비틀림을 발생할 우려가 적은 원활한 변경 조작을 행하기 쉬운 보행형 관리기를 제공하려고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특허문헌 2에 기재된 구조에는, 단부 힌지가 외주부 커버에 설치되어 있으며, 측부 커버의 요동 축심은, 외주부 커버의 가로 외측 단부 테두리보다도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이 종래 구조의 것으로, 측부 커버를 상하 요동시키면, 측부 커버의 요동 반경은, 외주부 커버의 가로 외측 단부 테두리보다도 외측에 위치하는 단부 힌지의 요동 축심이기 때문에, 비교적 크게 가로 외측으로 돌출되는 경향이 있다. 특히, 외주부 커버가 기체 좌우 방향에서 신축하여 가로 폭을 변경 가능하게 구성된 것이면, 좌우 방향에서의 기체 중심 위치로부터 측부 커버의 외측 단부까지의 돌출량이 커지는 경우가 있어, 타물과의 접촉의 기회가 늘어나므로, 이 점에서 개선의 여지가 있다.
본 발명은, 측부 커버를 가로 외측으로 요동 개방시킬 때, 그 측부 커버의 가로 외측으로의 돌출량을 가능한 한 삭감하여, 타물과의 접촉 가능성을 저감하려고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의 보행형 관리기는, 기체 좌우 방향을 따르는 회전 축심을 갖는 로터리 경운 갈고리 및 상기 로터리 경운 갈고리를 덮는 로터리 커버를 가진 로터리 경운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로터리 커버가, 상기 로터리 경운 갈고리의 회전 궤적의 외주측에 위치해 상부에 돌곡하는 원호 형상의 외주부 커버와, 상기 로터리 경운 갈고리의 가로 측방에 위치하는 측부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외주부 커버는, 기체 좌우 방향에서의 중앙부측에 위치하는 기단부 커버체와, 상기 기단부 커버체에 대해서 기체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하여 위치 변경 가능한 슬라이드 커버체를 구비하여, 기체 좌우 방향에서의 가로 폭을 변경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외주부 커버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상기 로터리 경운 갈고리의 회전 축심의 바로 윗쪽보다 기체 전후 방향에서의 전측 부분과 후측 부분의 2 개소로 나누어, 상기 슬라이드 커버체의 슬라이드 이동을 허용하면서 상기 슬라이드 커버체를 상기 기단부 커버체에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 기구가 분산 배치되고, 상기 위치 결정 기구와는 별도로, 상기 슬라이드 커버체의 상기 기단부 커버체에 대한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기구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 기구가, 상기 위치 결정 기구에 대하여 상기 위치 결정 기구끼리의 전후 방향 간격보다도 좁은 간격을 두고, 상기 위치 결정 기구보다 둘레방향 단부측에 배치되고, 상기 위치 결정 기구 및 상기 가이드 기구에, 상기 기단부 커버체 및 상기 슬라이드 커버체 중 하나에 형성되고, 기체 좌우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긴 구멍 형상의 제1 가이드 구멍과, 상기 기단부 커버체 및 상기 슬라이드 커버체 중 다른 쪽에 형성되고, 긴 구멍 또는 둥근 구멍 형상의 제2 가이드 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위치 결정 기구에는 상기 제1 가이드 구멍 및 상기 제2 가이드 구멍을 관통하는 노브 볼트가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 기구에는 상기 노브 볼트보다 소경의 머리 직경을 구비하고, 상기 제1 가이드 구멍 및 상기 제2 가이드 구멍을 관통하는 연결 볼트가 구비되어 있다는 특징 구성을 갖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외주부 커버의 둘레 방향 복수 개소에 위치 결정 기구가 분산 배치되고, 그 위치 결정 기구와는 별도로 슬라이드 커버체의 기단부 커버체에 대한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기구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복수 개소의 위치 결정 기구에 의한 슬라이드 커버체의 슬라이드 이동에 대한 안내 작용에, 또한 가이드 기구에 의한 안내 작용도 부가되므로, 슬라이드 커버체는 3개소 이상에서의 안내 작용을 받아, 비틀림이 발생하기 어려운 상황을 유지하면서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로터리 커버의 기체 좌우 방향에서의 가로 폭을 변경할 때, 기단부 커버체에 대해서 슬라이드 커버체를 원활하게 위치 변경하고, 원활한 위치 변경 조작을 행하기 쉽다는 이점이 있다.
게다가, 가이드 기구는 안내를 행하는 것만으로, 위치 결정의 기능은 필요 없는 것이기 때문에, 가이드 기구 대신에 위치 결정 기구를 가이드 기구와 동일 수만큼 구비한 경우에 비하여, 전체 구조의 간소화를 도모하기 쉽다.
또한, 상기 구성에 의하면, 위치 결정 기구보다도 둘레방향 단부측에 가이드 기구가 배치됨으로써, 그 가이드 기구와, 가이드 기구가 배치된 측과는 반대측에 위치 하는 위치 결정 기구와의 거리가, 위치 결정 기구끼리의 간격보다 필연적으로 커진다.
이 때문에 기단부 커버체에 대해서 슬라이드 커버체가 조금 기울어 비틀림이 발생하려고 했을 때, 한쪽의 위치 결정 기구를 기준으로 했을 경우에 다른 쪽의 위치 결정 기구 부분에서의 슬라이드 커버체의 변위량보다도, 상기 한쪽의 위치 결정 기구를 기준으로 한 가이드 기구 부분에서의 슬라이드 커버체의 변위량이 커진다.
따라서, 예를 들면, 가이드 기구에서 가이드공과 핀 부재와의 융통을, 위치 결정 기구에서 가이드공과 핀 부재와의 융통과 동일한 정도로 하면, 가이드 기구측에서 변위량이 최대가 되었을 경우라도, 위치 결정 기구에서 가이드공과 핀 부재와의 융통은 아직도 조금 여유가 있는 상태로 유지된다. 그 결과, 기단부 커버체에 대한 슬라이드 커버체의 기울기는 이 가이드 기구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보다도 적은 범위로 제한되고 비틀림이 생길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구성에 의하면, 긴 구멍 형상의 제1 가이드 구멍, 및 긴 구멍 또는 둥근 구멍 형상의 제2 가이드 구멍과, 제1 가이드 구멍 및 제2 가이드 구멍을 관통하는 핀 부재를 사용하여, 가이드 기구를 구조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 구멍과 상기 제2 가이드 구멍의 주변부에, 상기 기단부 커버체와 상기 슬라이드 커버체의 평면 형상의 미끄럼 접촉면이 형성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서로 미끄럼 접촉하여 좌우 방향으로 상대 이동하는 제1 가이드 구멍과 제2 가이드 구멍의 주변부가, 평면 형상의 미끄럼 접촉면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둘레 방향에서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기단부 커버체와 슬라이드 커버체의 원호 형상 둘레면의 곡률이, 서로 고정밀도로 합치하도록 형성된 것이 아니라, 제작 오차 등으로 다소의 곡률의 차이가 있더라도, 주변부의 평면 형상 미끄럼 접촉면에서 넓은 접촉 면적을 유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둘레 방향에서의 곡률의 차이에 의한 영향이 적은 상태에서, 원활한 슬라이드 조작을 행할 수 있다. 또한, 기단부 커버체와 슬라이드 커버체를 노브 볼트 등으로 체결하여 연결 고정할 때에도, 넓은 접촉면에서 밀착시키기 쉬워, 견고하게 고정되기 쉽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 구멍과 상기 제2 가이드 구멍의 연장 설치 방향을 따르는 종벽이, 상기 미끄럼 접촉면 중, 상기 연장 설치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의 양 측부에 설치되고, 상기 종벽 중, 상기 기단부 커버체 및 상기 슬라이드 커버체 중 한쪽에 형성되는 상기 종벽이, 상기 제1 가이드 구멍의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되고, 상기 기단부 커버체 및 상기 슬라이드 커버체 중 다른 쪽에 형성되는 상기 종벽이, 상기 한쪽에 형성되는 종벽보다도 짧으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제1 가이드 구멍과 상기 제2 가이드 구멍의 연장 설치 방향을 따르는 종벽이, 미끄럼 접촉면 중, 상기 연장 설치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의 양 측부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양 측부의 종벽도 미끄럼 접촉면의 일부로서 이용할 수 있고, 상기 연장 설치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의 미끄럼 접촉면의 면적으로서는 비교적 좁게 콤팩트하게 구성되기 쉬운 것이면서, 필요한 미끄럼 접촉 면적을 확보하기 적절한 안내 작용을 얻기 쉽다. 게다가, 종벽은 가이드 구멍의 연장 설치 방향을 따르고 있으므로, 슬라이드 커버체의 가이드로서도 기능한다. 그리고, 이 종벽의 가이드 기능에 관해서도, 슬라이드 커버체의 좌우 방향에서의 이동 범위의 전체에 걸쳐 거의 일정한 상태를 확보하기 쉬워, 가이드 기능의 큰 변화에 의해 비틀림이 발생하기 쉬워질 우려도 적다.
즉, 기단부 커버체 및 슬라이드 커버체 중 한쪽에 형성되는 곳의, 제1 가이드 구멍의 연장 설치 방향을 따르는 종벽이 제1 가이드 구멍의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되고, 다른 쪽에 형성되는 종벽이, 상기 한쪽에 형성되는 종벽보다도 짧다. 이에 의해, 짧은 쪽인 다른 쪽의 종벽은, 긴 쪽인 한쪽의 종벽에 대한 접촉 면적의 변화를 적게 한 상태에서 안내된다. 그 결과, 예를 들어 다른 쪽의 종벽측에서도 제1 가이드 구멍의 전체 길이에 걸칠수록 길게 형성된 종벽을 구비한 경우에는, 기단부 커버체 및 슬라이드 커버체의 종벽끼리가 실제로 접촉하고 있는 상태의 접촉 면적이, 좌우 방향 폭을 짧게 한 경우에는 가장 커지게 되어, 좌우 방향 폭을 길게 할수록 감소하지만, 본 발명의 구성에서는, 이와 같이 좌우 방향의 이동 도중에 접촉 면적이 크게 변화하는 일은 없다. 그로 인해, 슬라이드 조작이 접촉 면적의 큰 변화에 수반되어 무거워지거나, 비틀림이 발생하기 쉬워지거나 할 가능성이 적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외주부 커버에 있어서, 기체 전후 방향에서의 전반측 부분, 또는 후반측 부분, 혹은 전반측 부분 및 후반측 부분의 양쪽에, 상기 위치 결정 기구보다도 둘레 방향 단부측에 상기 가이드 기구가 배치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위치 결정 기구보다도 둘레 방향 단부측에 가이드 기구가 배치됨으로써, 그 가이드 기구와, 가이드 기구가 배치된 측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위치 결정 기구의 거리가, 위치 결정 기구끼리의 간격보다도 필연적으로 커지게 된다.
이로 인해, 기단부 커버체에 대해서 슬라이드 커버체가 조금 기울어 비틀림이 발생하려고 했을 때, 한쪽의 위치 결정 기구를 기준으로 한 경우에서의 다른 쪽의 위치 결정 기구 부분에서의 슬라이드 커버체의 변위량보다도, 상기 한쪽의 위치 결정 기구를 기준으로 한 가이드 기구 부분에서의 슬라이드 커버체의 변위량이 커지게 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가이드 기구에서의 가이드 구멍과 핀 부재의 융통을, 위치 결정 기구에서의 가이드 구멍과 핀 부재의 융통과 동일 정도로 하면, 가이드 기구측에서 변위량이 최대로 된 경우라도, 위치 결정 기구에서의 가이드 구멍과 핀 부재의 융통은, 아직 조금 여유가 있는 상태로 유지된다. 그 결과, 기단부 커버체에 대한 슬라이드 커버체의 기울기는, 이 가이드 기구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보다도 적은 범위로 제한되고, 비틀림이 발생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보행형 관리기는, 기체 좌우 방향을 따르는 로터리 경운 갈고리 및 상기 로터리 경운 갈고리를 덮는 로터리 커버를 가진 로터리 경운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로터리 커버가, 상기 로터리 경운 갈고리의 회전 궤적의 외주측에 위치하는 원호 형상의 외주부 커버와, 상기 로터리 경운 갈고리의 가로 측방에 위치하는 측부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측부 커버는, 상기 외주부 커버의 기체 좌우 방향에서의 외측 단부 위치에서, 또한 상기 외주부 커버의 상단부 개소에 있어서 전후 방향을 따라서 배치된 지지점 축의 둘레에서, 하단측을 가로 외측으로 올린 상승 자세와, 하단측을 수하시킨 하강 자세에 걸쳐 상하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측부 커버의 상단부에, 상기 상승 자세와 상기 하강 자세의 사이에서, 상기 지지점 축을 상대 회전 가능하게 보유 지지하는 축 보유 지지부가 설치되어 있다는 특징 구성을 갖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측부 커버의 지지점 축을 상대 회전 가능하게 보유 지지하는 축 보유 지지부가, 측부 커버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있다는 것이기 때문에, 지지점 축을 상대 회전 가능하게 보유 지지하는 축 보유 지지부가 측부 커버의 상단부보다도 가로 외측에 위치하는 경우에 비하여, 기체 중심 위치로부터 측부 커버의 가로 외측으로의 돌출량을 삭감할 수 있다. 그리고, 외주부 커버가 기체 좌우 방향으로 신축하여 가로 폭을 변경 가능한 것인 경우에는, 축 보유 지지부가 외주부 커버측에는 존재하지 않으므로, 그 축 보유 지지부의 지지 구조가 방해가 되어, 외주부 커버를 충분히 수축할 수 없다는 우려도 없다. 바꾸어 말하면, 외주부 커버의 신축 범위가, 축 보유 지지부의 지지 구조의 존재에 의해 삭감될 우려가 없으므로, 신축값을 크게 확보하기 쉽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지지점 축을 축선 방향의 복수 개소에서 고정 지지하는 축 지지용 브래킷과, 상기 축 지지용 브래킷에 의한 복수의 고정 지지 개소끼리의 사이에서 상기 지지점 축을 보유 지지하는 상기 축 보유 지지부의 조합으로, 상기 측부 커버를 상기 외주부 커버에 대해서 상하 요동 가능하게 장착하는 힌지부가 구성되고, 상기 축 보유 지지부가, 상기 지지점 축을 직경 방향으로부터 둘러싸인 상태에서 상대 회동 가능하게 피봇하는 탄성 지지체로 구성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힌지부를 구성하는 축 보유 지지부가, 지지점 축을 직경 방향으로부터 둘러싼 상태에서 상대 회동 가능하게 피봇하는 탄성 지지체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축 보유 지지부를 구조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는 것임과 함께, 지지점 축에 대한 축 보유 지지부의 탈착 조작을 간편하게 행하기 쉬운 점에서 유리하다.
즉, 탄성 지지체의 둘러쌈에 의한 탈착을 행할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지지점 축을 벗어나서 축 보유 지지부에 삽입하는 등의, 많은 부품의 분해 조립 등의 수고를 생략할 수 있어, 간단하게 탈착 조작을 행하기 쉬운 것이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지지점 축이, 상기 외주부 커버의 기체 좌우 방향에서의 외측 단부 위치보다도 기체 좌우 방향에서의 중앙부측 근처의 개소에 설치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외주부 커버의 기체 좌우 방향에서의 외측 단부 위치보다도 기체 좌우 방향에서의 중앙부측 근처의 개소에 지지점 축이 존재하므로, 외주부 커버의 외측 단부 위치로부터 중앙부측 근처의 개소까지의 거리 분만큼, 기체 중심 위치로부터 측부 커버의 외측으로의 돌출 위치까지의 거리를 삭감할 수 있어, 보다 한층, 외측으로의 측부 커버의 돌출량을 삭감하기 쉬운 것이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외주부 커버는, 기체 좌우 방향에서의 중앙부측에 위치하는 기단부 커버체와, 상기 기단부 커버체에 대해서 기체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하여 위치 변경 가능한 슬라이드 커버체를 구비하여, 기체 좌우 방향에서의 가로 폭을 변경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슬라이드 커버체의 기체 좌우 방향에서의 외측 단부에 상기 힌지부를 통해 상기 측부 커버가 연결되고, 상기 기단부 커버체의 기체 좌우 방향에서의 외측 단부 위치에, 상기 슬라이드 커버체를 가장 기체 좌우 방향의 중앙부측으로 인입시킨 상기 외주부 커버의 최수축 자세로, 상기 축 보유 지지부가 기체 좌우 방향에서 들어가기 가능한 노치부가 형성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기단부 커버체의 기체 좌우 방향에서의 외측 단부 위치에, 축 보유 지지부가 기체 좌우 방향에서 들어가기 가능한 노치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신축 조작 가능한 외주부 커버를 최수축 위치까지 확실하게 수축시켜 콤팩트하게 격납하기 쉬워진다.
도 1은, 보행형 관리기의 전체 측면도이다.
도 2는, 로터리 커버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로터리 커버의 배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의 IV-IV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로터리 커버의 위치 결정 기구, 및 가이드 기구에서의 공통 부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로터리 커버의 좌측의 기단부 커버체에 대해서 슬라이드 커버체를 수축 자세로 한 상태에서의, 도 2에서의 VI-VI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로터리 커버의 좌측의 기단부 커버체에 대해서 슬라이드 커버체를 신장 자세로 한 상태에서의, 도 2에서의 VI-VI선 단면도이다.
도 8은, 단부 힌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단부 힌지의 상하 방향에서의 단면을 배면에서 볼 때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로터리 커버의 슬라이드 커버체를 최대한 기단부 커버체 내에 격납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1은, 로터리 커버의 우측의 기단부 커버체 및 슬라이드 커버체를 상향으로 요동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의 기재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의 설명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은, 특단의 설명이 없는 한, 다음과 같이 기재하고 있다. 즉, 본 발명을 적용한 보행형 관리기의 작업 주행 시에서의 전진측의 진행 방향(도 1에서의 화살표 F 참조)이 「전」, 후진측으로의 진행 방향(도 1에서의 화살표 B 참조)이 「후」, 그 전후 방향에서의 정면 자세를 기준으로 하여 우측에 상당하는 방향(도 2에서의 화살표 R 참조)이 「우」, 마찬가지로 좌측에 상당하는 방향(도 2에서의 화살표 L 참조)이 「좌」이다.
〔전체 구성〕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행형 관리기의 주행 기체(기체에 상당함)에는, 기체 프레임(1)의 일부를 구성하는 엔진 프레임(10) 위에, 구동원으로 되는 엔진(11)이 탑재되어 있다. 엔진 프레임(10)의 후방측에, 엔진 프레임(10)과 함께 기체 프레임(1)을 구성하는 미션 케이스(12)가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엔진(11)과 미션 케이스(12)는 벨트 전동 기구(13)를 통해 동력 전달 가능하게 연동 연결되어 있다.
엔진(11)의 동력이 입력되는 미션 케이스(12)는, 아래쪽으로 연장 돌출된 전방부 케이스(12A)와, 경사 후방 아래쪽으로 연장 돌출된 후부 케이스(12B)를 구비하여 두 갈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전방부 케이스(12A)의 하부에 주행륜(14)이 차축(14a)을 통해 지지되고, 후부 케이스(12B)에 구동축(20)을 통해 로터리 경운 장치(2)가 지지되어 있다.
미션 케이스(12)의 상부로부터 경사 후방 위쪽으로 주 변속 레버(15)가 연장 돌출되어 있으며, 이 주 변속 레버(15)를 조작함으로써, 주행륜(14)의 변속 조작 및 정역회전 조작, 및 로터리 경운 장치(2)의 정역회전 조작을 행할 수 있다.
기체 프레임(1)을 겸하는 상기 미션 케이스(12)의 후부로부터 기체 후방을 향해서 조종 핸들(16)이 연장 돌출되어 있다.
조종 핸들(16)의 우측에 작업 클러치 레버(17)가 배치되고, 또한 조종 핸들(16)의 후단부측에 상하 요동 가능하게 텐션 클러치 레버(18)가 배치되어 있다.
작업 클러치 레버(17)는, 미션 케이스(12) 내에 설치된 로터리 경운 장치(2)용 클러치(도시생략)를 절단 및 접속 조작하기 위한 것이다. 텐션 클러치 레버(18)는, 엔진(11)으로부터 미션 케이스(12)로의 벨트 전동 기구(13)에 의한 동력 전달을 단속 가능하게 구성된 것이다.
〔로터리 경운 장치〕
로터리 경운 장치(2)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터리 경운 장치(2)는, 기체 전후 방향에 있어서 주행륜(14)의 후방 위치에 배치되고, 미션 케이스(12)의 후부 케이스(12B)에 구동축(20)을 통해 지지되어 있다.
로터리 경운 장치(2)는, 경운 갈고리축(21)(로터리 경운 갈고리에 상당함)과, 로터리 커버(3)와, 저항 막대(22)와, 후방 커버(23)를 장비하고 있다.
경운 갈고리축(21)은, 미션 케이스(12)의 후부 케이스(12B)에 지지된 구동축(20) 중, 미션 케이스(12)의 좌우 양측으로 돌출되는 축 부분에 다수의 날붙이 형상의 경운 갈고리(21a)가 심어 설치된 것이다. 경운 갈고리축(21)은, 구동축(20)의 회전에 수반되어 경운 갈고리(21a)에 의한 토양의 경작 작용을 행한다.
로터리 커버(3)는, 경운 갈고리축(21)의 상반측을 덮어, 경운 갈고리축(21)의 회전에 수반되어 튕겨오르는 진흙의 상방측 및 가로 측방으로의 비산을 제한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저항 막대(22)는, 로터리 커버(3)의 후단측 중앙부에 설치되고, 상하 위치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후방 커버(23)는, 로터리 커버(3)의 후단측 하부로부터 아래쪽으로 수직 설치된 복수 매의 고무제 가요판으로 구성되고, 경운토의 후방측으로의 비산을 제한하고 있다.
〔로터리 커버〕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터리 커버(3)는, 상기 경운 갈고리축(21)의 회전 궤적의 외측에 위치하는 원호 형상의 외주부 커버(3A)와, 상기 경운 갈고리축(21)의 가로 측방에 위치하는 측부 커버(3B)를 구비하고 있다.
외주부 커버(3A)는, 미션 케이스(12)에 고정된 중앙부 커버체(30)와, 그 중앙부 커버체(30)의 좌우 양측에, 상하 요동 가능하게 설치된 기단부 커버체(31)와, 그 기단부 커버체(31)에 대해서 좌우 방향에서 상대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드 커버체(32)를 구비하고 있다.
기단부 커버체(31)에 대해서 슬라이드 커버체(32)를 좌우 방향에서 상대 미끄럼 이동시킴으로써, 외주부 커버(3A)의 기체 좌우 방향에서의 가로 폭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 커버체(32)의 가로 외측 단부 위치에는, 측부 커버(3B)가 단부 힌지(7)(힌지부에 상당함)를 통해 요동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중앙부 커버체(30)는, 미션 케이스(12)의 후부 케이스(12B)가 끼워지는 오목부(30a)를 구비하여, 후부 케이스(12B)에 고정되어 있다. 중앙부 커버체(30)의 후부에는, 경운 갈고리(21a)에 의한 경운 깊이를 설정하는 저항 막대(22)가 지지되어 있다.
이 중앙부 커버체(30)의 좌우 양측이며, 또한 전후 방향에서의 중간부 개소에는, 기단부 커버체(31)를 연결하기 위한 힌지(30b)가 설치되어 있다.
〔기단부 커버체〕
중앙부 커버체(30)와 좌우의 기단부 커버체(31)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동 조절 기구(4)를 통해 연결되고, 좌우의 기단부 커버체(31)가 중앙부 커버체(30)에 대해서 상하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요동 조절 기구(4)는, 중앙부 커버체(30)에 설치한 지지 브래킷(40)과, 좌우의 기단부 커버체(31)에 설치한 훅(41)과, 그 훅(41)과 지지 브래킷(40)에 걸쳐 걸쳐진 좌우 한 쌍의 조절판(42)을 구비하고 있다.
좌우의 조절판(42)의 각각에는, 부분 원호 형상의 조절 구멍(43)이 형성되어 있다. 그 조절 구멍(43)끼리를 중합시킨 상태에서 노브 볼트(44)를 삽입 관통하고, 지지 브래킷(40)에 구비한 볼트 구멍(도시생략)에 대해서 노브 볼트(44)를 조임으로써, 좌우의 조절판(42)을 체결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노브 볼트(44)를 느슨하게 하면, 좌우의 조절판(42)이 조절 구멍(43)의 범위 내에서 길이 조절되고, 중앙부 커버체(30)에 대한 좌우의 기단부 커버체(31)의 상하 요동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좌우의 조절판(42)은, 훅(41)과 지지 브래킷(40)의 간격이, 좌우에서 균등 길이를 유지하도록 조절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에서 상이하도록 조절하여도 된다. 이 도 11에 도시한 상태에서는, 한쪽의 조절판(42)은, 훅(41)과 지지 브래킷(40)의 간격이 가장 길도록 조절되고, 다른 쪽은 그보다도 짧게 조절함으로써, 좌우의 기단부 커버체(31) 중 한쪽만을 들어올리는 자세로 하고 있다.
이 경우에는, 들어올리는 자세로 한쪽 측에만 진흙을 많이 배출할 수 있다. 좌우의 조절판(42)의 양쪽을 최단측으로 조작하여, 좌우의 기단부 커버체(31)의 양쪽을 들어올리면, 고랑 내를 주행하면서, 좌우 양측의 이랑으로 진흙을 튕기듯이, 배출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슬라이드 커버체〕
기단부 커버체(31)의 가로 외측에는, 기체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하여 위치 변경 가능한 슬라이드 커버체(32)가 설치되어 있다. 이 슬라이드 커버체(32)는, 기단부 커버체(31)의 아래쪽에, 기단부 커버체(31)와 상하로 중첩되는 상태에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드 커버체(32)는, 기단부 커버체(31)에 대해서, 위치 결정 기구(5)와 가이드 기구(6)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또한, 슬라이드 이동한 위치에서 위치 결정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위치 결정 기구(5)는, 슬라이드 커버체(32) 및 기단부 커버체(31)로 구성되는 외주부 커버(3A)에 있어서, 기체 전후 방향에서의 전반측 부분과, 후반측 부분의 양쪽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가이드 기구(6)는, 외주부 커버(3A)의 기체 전후 방향에서의 후반측 부분에 있어서, 위치 결정 기구(5)보다도 둘레 방향 단부측에 설치되어 있다.
〔위치 결정 기구에 대하여〕
위치 결정 기구(5)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기체 전후 방향에서의 전반측 부분에 위치하는 위치 결정 기구(5)와, 후반측 부분에 위치하는 위치 결정 기구(5)는 동일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치 결정 기구(5)는, 기단부 커버체(31)의 가로 외측 단부 근처에 형성된 제1 가이드 구멍(50)과, 슬라이드 커버체(32)의 제2 가이드 구멍(51)과, 제1 가이드 구멍(50) 및 제2 가이드 구멍(51)을 관통하는 노브 볼트(52)와, 차폐판(53)을 구비하고 있다.
기단부 커버체(31)에 형성된 제1 가이드 구멍(50)은, 기체 좌우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긴 구멍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드 커버체(32)에 형성된 제2 가이드 구멍(51)도, 기체 좌우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긴 구멍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제2 가이드 구멍(51)이 제1 가이드 구멍(50)보다도 조금 짧은 긴 구멍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4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단부 커버체(31) 중, 제1 가이드 구멍(50)이 형성된 개소의 주변부에는, 평면 형상의 미끄럼 접촉면(50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슬라이드 커버체(32)에 있어서도, 제2 가이드 구멍(51)이 형성된 개소의 주변부에는, 평면 형상의 미끄럼 접촉면(51a)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위치 결정 기구(5)가 존재하는 개소에서는, 기단부 커버체(31)와 슬라이드 커버체(32)가 서로 평면 형상의 미끄럼 접촉면(50a, 51a)끼리를 미끄럼 접촉시켜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드 커버체(32)의 내면측에 미끄럼 접촉하는 차폐판(53)도, 편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제1 가이드 구멍(50) 및 제2 가이드 구멍(51)의 하방측을 덮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부 커버체(30)의 일부는, 기단부 커버체(31)의 좌우 폭 방향에서 부분적으로 중복되고, 차폐판(53)보다도 경운 갈고리축(21)측 근처의 위치에서, 제1 가이드 구멍(50)의 일부를 아래쪽으로부터 덮도록, 가로 외측으로 연장 돌출되어 있다.
기단부 커버체(31)의 제1 가이드 구멍(50)이 형성된 개소의 주변부에는, 제1 가이드 구멍(50)의 연장 설치 방향을 따르는 종벽(54)이, 미끄럼 접촉면(50a) 중, 상기 연장 설치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의 양 측부에 설치되어 있다.
슬라이드 커버체(32)의 제2 가이드 구멍(51)이 형성된 개소의 주변부에는, 제2 가이드 구멍(51)의 연장 설치 방향을 따르는 종벽(55)이, 미끄럼 접촉면(51a) 중, 상기 연장 설치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의 양 측부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종벽(54, 55) 중, 슬라이드 커버체(32)에 형성되는 종벽(55)이, 제2 가이드 구멍(51)의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되고, 기단부 커버체(31)에 형성되는 종벽(54)이, 슬라이드 커버체(32)에 형성되는 종벽(55)보다도 짧게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종벽(54, 55)은, 그 슬라이드 이동 범위 중에서, 양쪽 종벽(54, 55)이 중복되는 범위 w1에서 항상 중복된 상태에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도 5 참조).
〔가이드 기구에 대하여〕
가이드 기구(6)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 기구(6)는, 기단부 커버체(31)의 가로 외측 단부 근처에 형성된 제1 가이드 구멍(60)과, 슬라이드 커버체(32)의 제2 가이드 구멍(61)과, 제1 가이드 구멍(60) 및 제2 가이드 구멍(61)을 관통하는 연결 볼트(62)(핀 부재에 상당함)와, 차폐판(63)을 구비하고 있다.
즉, 가이드 기구(6)는, 기본적으로는 위치 결정 기구(5)와는 동일한 구조이지만, 제1 가이드 구멍(60) 및 제2 가이드 구멍(61)을 관통하는 부재가, 노브 볼트(52)가 아니라 연결 볼트(62)인 점이 상위하다.
기단부 커버체(31)에 형성된 제1 가이드 구멍(60)은, 기체 좌우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긴 구멍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드 커버체(32)에 형성된 제2 가이드 구멍(61)도, 기체 좌우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긴 구멍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제2 가이드 구멍(61)이 제1 가이드 구멍(60)보다도 조금 짧은 긴 구멍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5는, 위치 결정 기구(5)와 가이드 기구(6)의 공통 부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단부 커버체(31) 중, 제1 가이드 구멍(60)이 형성된 개소의 주변부에는, 평면 형상의 미끄럼 접촉면(60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슬라이드 커버체(32)에 있어서도, 제2 가이드 구멍(61)이 형성된 개소의 주변부에는, 평면 형상의 미끄럼 접촉면(61a)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가이드 기구(6)가 존재하는 개소에서는, 기단부 커버체(31)와 슬라이드 커버체(32)가 서로 평면 형상의 미끄럼 접촉면(60a, 61a)끼리를 미끄럼 접촉시켜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드 커버체(32)의 내면측에 미끄럼 접촉하는 차폐판(63)도, 편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제1 가이드 구멍(60) 및 제2 가이드 구멍(61)의 하방측을 덮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가이드 기구(6)의 존재 개소에 있어서도, 중앙부 커버체(30)의 일부는, 기단부 커버체(31)의 좌우 폭 방향에서 부분적으로 중복되고, 차폐판(63)보다도 경운 갈고리축(21)측 근처의 위치에서, 제1 가이드 구멍(60)의 일부를 아래쪽으로부터 덮도록, 가로 외측으로 연장 돌출되어 있다.
기단부 커버체(31)의 제1 가이드 구멍(60)이 형성된 개소의 주변부에는, 제1 가이드 구멍(60)의 연장 설치 방향을 따르는 종벽(64)이, 미끄럼 접촉면(60a) 중, 상기 연장 설치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의 양 측부에 설치되어 있다.
슬라이드 커버체(32)의 제2 가이드 구멍(61)이 형성된 개소의 주변부에는, 제2 가이드 구멍(61)의 연장 설치 방향을 따르는 종벽(66)이, 미끄럼 접촉면(61a) 중, 상기 연장 설치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의 양 측부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종벽(64, 65) 중, 슬라이드 커버체(32)에 형성되는 종벽(65)이, 제2 가이드 구멍(61)의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되고, 기단부 커버체(31)에 형성되는 종벽(64)이, 슬라이드 커버체(32)에 형성되는 종벽(65)보다도 짧게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종벽(64, 65)은, 그 슬라이드 이동 범위 중에서, 양쪽 종벽(64, 65)이 중복되는 범위 w1에서 항상 중복된 상태에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도 5 참조).
〔단부 힌지에 대하여〕
단부 힌지(7)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슬라이드 커버체(32)의 가로 외측 단부 위치에서, 측부 커버(3B)를 요동 개폐 가능하게 설치하기 위한 단부 힌지(7)는, 전후 방향의 회동 중심 p1을 구비한 지지점 축(70)과, 그 지지점 축(70)을 축선 방향의 복수 개소에서 고정 지지하는 축 지지용 브래킷(71)과, 지지점 축(70)을 상대 회전 가능하게 보유 지지하는 축 보유 지지부(72)를 구비하고, 이들 조합으로 구성되어 있다.
지지점 축(70)은, 그 양단부가 축 지지용 브래킷(71)에 용접 고정되어 있으며, 축 지지용 브래킷(71)은, 슬라이드 커버체(32)의 가로 외측 단부 가까이에 구비한 평탄면 형상으로 용접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점 축(70)의 중간부가, 지지점 축(70)을 직경 방향으로부터 둘러싼 상태에서 상대 회동 가능하게 피봇하는 축 보유 지지부(72)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축 보유 지지부(72)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둘로 접은 형상으로 굴곡된 스프링 강재제의 탄성 지지체로 구성되고, 굴곡 개소로부터 이격된 부위에, 지지점 축(70)을 둘러싼 분할 통형상 만곡부(72a)가 형성되고, 지지점 축(70)을 상대 회동 가능하게 유지하고 있다.
측부 커버(3B)의 상부 외주 부분에 구비한 플랜지 형상 부분(33)의 상측에 문형의 받침대 브래킷(34)이 용접 고정되고, 축 보유 지지부(72)는, 이 받침대 브래킷(34)의 상면측에 올려진 상태에서 설치되어 있다.
즉, 받침대 브래킷(34)의 하면측에 헤드부를 용접 고정한 멈춤 볼트(73)가 받침대 브래킷(34)의 상면측으로 돌출되고, 그 멈춤 볼트(73)가 관통하는 구멍부(도시생략)를 축 보유 지지부(72)에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축 보유 지지부(72)의 구멍부에 멈춤 볼트(73)를 삽입 관통하고, 축 보유 지지부(72)의 상측으로부터, 멈춤 볼트(73)에 나사 결합하는 로크 너트(74) 및 시트판(75)에 의해 압박 고정하여, 축 보유 지지부(72)를 받침대 브래킷(34)에 고정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측부 커버(3B)의 상승 자세와 하강 자세의 사이에서, 지지점 축(70)을 상대 회전 가능하게 보유 지지하는 축 보유 지지부(72)가, 측부 커버(3B)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지지점 축(70)은, 외주부 커버(3A)의 기체 좌우 방향에서의 외측 단부 위치인 곳의, 슬라이드 커버체(32)의 외측 단부 위치보다도 기체 좌우 방향에서의 중앙부측 근처의 개소에 설치되어 있다.
즉, 도 6 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점 축(70)은, 명백하게 슬라이드 커버체(32)의 외측 단부 위치보다도 기체 좌우 방향에서의 중앙부측 근처의 개소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그 회동 중심 p1은, 슬라이드 커버체(32)의 외측 단부 위치보다도 기체 좌우 방향에서의 중앙부측 근처에 위치하도록 굴곡된 측부 커버(3B)의 상부 외주 부분에 구비한 플랜지 형상 부분(33)의, 기체 좌우 방향에서의 중앙부측 근처의 단부 테두리의 위치와 거의 합치하는 위치에 있다.
따라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부 커버(3B)를 가로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개방시켰을 때, 그 가로 외측으로의 돌출량이 비교적 적어도 된다. 즉, 회동 중심 p1의 위치가, 슬라이드 커버체(32)의 외측 단부 위치, 혹은 그보다도 외측이면, 그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돌출되는 측부 커버(3B)의 돌출량도 당연히 커지게 되지만, 회동 중심 p1의 위치가 슬라이드 커버체(32)의 외측 단부 위치보다도 기체 좌우 방향에서의 중앙부측 근처임으로써, 그와 같은 문제점이 없다.
측부 커버(3B)의 상부 외주 부분에 구비한 플랜지 형상 부분(33) 중, 문형의 받침대 브래킷(34)을 설치하고 있는 개소는, 다른 부위보다도 기체 좌우 방향에서의 중앙부측 근처에 위치하도록, 부분적으로 중앙부측 근처에 돌출된 돌출 플랜지부(33a)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돌출 플랜지부(33a)에 대향하는 위치의 기단부 커버체(31)의 기체 좌우 방향에서의 가로 외측 단부 테두리 부분에, 평면에서 볼 때 돌출 플랜지부(33a)가 끼워지는 것을 허용하도록 오목하게 들어간 노치부(31a)가 형성되어 있다. 이 노치부(31a)가 존재함으로써, 슬라이드 커버체(32)를 가장 기체 좌우 방향의 중앙부측으로 인입시킨 자세인 부분의, 외주부 커버(3A)의 최수축 자세로, 축 보유 지지부(72) 중 기체 좌우 방향에서의 중앙부측 근처에 위치하는 부분이 기체 좌우 방향에서 들어가기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른 실시 형태 1〕
실시 형태에서는, 외주부 커버(3A)의 둘레 방향 복수 개소에 설치되는 위치 결정 기구(5)가, 기체 전후 방향에서의 전반측 부분과, 후반측 부분의 양쪽에 할당하여 2개소에 설치되어 있는 구조의 것을 예시하였지만, 반드시 이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기체 전후 방향에서의 전반측 부분만의 복수 개소에, 혹은 후반측 부분만의 복수 개소에 설치한 것이어도 된다. 또한, 2개소로 한정되지 않고, 3 개소 이상의 복수 개소에 설치한 것이어도 된다.
그 밖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채용하면 된다.
〔다른 실시 형태 2〕
실시 형태에서는, 가이드 기구(6)로서, 외주부 커버(3A)의 기체 전후 방향에서의 후반측 부분에 있어서, 위치 결정 기구(5)보다도 둘레 방향 단부측의 1개소에 설치되어 있는 구조의 것을 예시하였지만, 이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외주부 커버(3A)의 기체 전후 방향에서의 전반측 부분의 위치 결정 기구(5)보다도 둘레 방향 단부측의 1개소에 설치한 것이어도 되며, 전반측 부분의 위치 결정 기구(5)보다도 둘레 방향 단부측과, 후반측 부분의 위치 결정 기구(5)보다도 둘레 방향 단부측의 복수 개소에 설치한 것이어도 된다.
또한, 위치 결정 기구(5)보다도 둘레 방향 단부측이 아니라, 전후의 위치 결정 기구(5)끼리의 사이에 설치한 것이어도 된다.
그 밖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채용하면 된다.
〔다른 실시 형태 3〕
실시 형태에서는, 위치 결정 기구(5)로서, 기단부 커버체(31)에 형성된 제1 가이드 구멍(50)이, 기체 좌우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긴 구멍 형상으로 형성되고, 슬라이드 커버체(32)에 형성된 제2 가이드 구멍(51)도, 기체 좌우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긴 구멍 형상으로 형성된 구조의 것을 예시하였지만, 반드시 이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가이드 구멍(50)과 제2 가이드 구멍(51) 중, 어느 한쪽을 둥근 구멍으로 형성하여도 된다.
또한, 제2 가이드 구멍(51)을 긴 구멍으로 형성한 경우에, 그 기체 좌우 방향에서의 길이를, 제1 가이드 구멍(50)보다도 긴 긴 구멍 형상으로 형성한 것이어도 된다.
그 밖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채용하면 된다.
〔다른 실시 형태 4〕
실시 형태에서는, 가이드 기구(6)로서, 기단부 커버체(31)에 형성된 제1 가이드 구멍(60)이, 기체 좌우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긴 구멍 형상으로 형성되고, 슬라이드 커버체(32)에 형성된 제2 가이드 구멍(61)도, 기체 좌우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긴 구멍 형상으로 형성된 구조의 것을 예시하였지만, 반드시 이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가이드 구멍(60)과 제2 가이드 구멍(61) 중, 어느 한쪽을 둥근 구멍으로 형성하여도 된다.
또한, 제2 가이드 구멍(61)을 긴 구멍으로 형성한 경우에, 그 기체 좌우 방향에서의 길이를, 제1 가이드 구멍(60)보다도 긴 긴 구멍 형상으로 형성한 것이어도 된다.
그 밖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채용하면 된다.
〔다른 실시 형태 5〕
실시 형태에서는, 위치 결정 기구(5)에서 제1 가이드 구멍(50) 및 제2 가이드 구멍(51)을 관통하는 노브 볼트(52)를 사용하여, 가이드 기구(6)에서는, 제1 가이드 구멍(60) 및 제2 가이드 구멍(61)을 관통하는 부재가, 노브 볼트(52)가 아니라 연결 볼트(62)로 구성된 구조의 것을 예시하였지만, 반드시 이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위치 결정 기구(5)여도 가이드 기구(6)여도, 제1 가이드 구멍(50, 60) 및 제2 가이드 구멍(51, 61)을 관통하는 부재가 노브 볼트(52)여도 되며, 또한, 연결 볼트(62)여도 지장은 없다.
그 밖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채용하면 된다.
〔다른 실시 형태 6〕
실시 형태에서는, 측부 커버(3B)를 요동 개폐 가능하게 설치하기 위한 단부 힌지(7)에 있어서, 전후 방향의 회동 중심 p1을 구비한 지지점 축(70)을, 축 지지용 브래킷(71)으로 고정한 구조의 것을 예시하였지만, 이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지지점 축(70)을 축 지지용 브래킷(71)에 회동 가능하게 피봇시키고, 그 지지점 축(70)에 측부 커버(3B)를 지지시키도록 한 구조여도 된다.
그 밖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채용하면 된다.
〔다른 실시 형태 7〕
실시 형태에서는, 측부 커버(3B)를 요동 개폐 가능하게 설치하기 위한 단부 힌지(7)에 있어서, 전후 방향의 회동 중심 p1을 구비한 지지점 축(70)을 상대 회동 가능하게 피봇하는 축 보유 지지부(72)가, 둘로 접은 형상으로 굴곡된 스프링 강재제의 탄성 지지체로 구성된 구조의 것을 예시하였지만, 이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축 보유 지지부(72)를 단순한 통 형상 보스 부재 등으로 구성한 것이어도 된다.
그 밖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채용하면 된다.
〔다른 실시 형태 8〕
실시 형태에서는, 측부 커버(3B)를 요동 개폐 가능하게 설치한 구조의 것을 예시하였지만, 이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측부 커버(3B)가 외주부 커버(3A)에 고정된 구조의 것이어도 된다.
그 밖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채용하면 된다.
〔다른 실시 형태 9〕
실시 형태에서는, 외주부 커버(3A)가 기단부 커버체(31)와 슬라이드 커버체(32)의 조합으로 구성된 구조의 것을 예시하였지만, 반드시 이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외주부 커버(3A)가 가로 폭 변경 가능하지 않은 한 장으로 구성된 것이어도 된다.
그 밖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채용하면 된다.
본 발명의 보행형 관리기로서는, 주행륜(14)과 로터리 경운 장치(2)를 제각각 구비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주행륜(14)을 구비하지 않고 로터리 경운 장치(2)의 구동 회전으로 주행하도록 구성된 보행형 관리기에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2: 로터리 경운 장치
3: 로터리 커버
3A: 외주부 커버
3B: 측부 커버
5: 위치 결정 기구
6: 가이드 기구
7: 단부 힌지(힌지부)
21: 로터리 경운 갈고리
31: 기단부 커버체
31a: 노치부
32: 슬라이드 커버체
60: 제1 가이드 구멍
61: 제2 가이드 구멍
62: 핀 부재
70: 지지점 축
71: 축 지지용 브래킷
72: 축 보유 지지부

Claims (5)

  1. 기체 좌우 방향을 따르는 회전 축심을 갖는 로터리 경운 갈고리 및 상기 로터리 경운 갈고리를 덮는 로터리 커버를 가진 로터리 경운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로터리 커버가, 상기 로터리 경운 갈고리의 회전 궤적의 외주측에 위치해 상부에 돌곡하는 원호 형상의 외주부 커버와, 상기 로터리 경운 갈고리의 가로 측방에 위치하는 측부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외주부 커버는, 기체 좌우 방향에서의 중앙부측에 위치하는 기단부 커버체와, 상기 기단부 커버체에 대해서 기체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하여 위치 변경 가능한 슬라이드 커버체를 구비하여, 기체 좌우 방향에서의 가로 폭을 변경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외주부 커버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상기 로터리 경운 갈고리의 회전 축심의 바로 윗쪽보다 기체 전후 방향에서의 전측 부분과 후측 부분의 2 개소로 나누어, 상기 슬라이드 커버체의 슬라이드 이동을 허용하면서 상기 슬라이드 커버체를 상기 기단부 커버체에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 기구가 분산 배치되고,
    상기 위치 결정 기구와는 별도로, 상기 슬라이드 커버체의 상기 기단부 커버체에 대한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기구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 기구가, 상기 위치 결정 기구에 대하여 상기 위치 결정 기구끼리의 전후 방향 간격보다도 좁은 간격을 두고, 상기 위치 결정 기구보다 둘레방향 단부측에 배치되고,
    상기 위치 결정 기구 및 상기 가이드 기구에, 상기 기단부 커버체 및 상기 슬라이드 커버체 중 하나에 형성되고, 기체 좌우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긴 구멍 형상의 제1 가이드 구멍과, 상기 기단부 커버체 및 상기 슬라이드 커버체 중 다른 쪽에 형성되고, 긴 구멍 또는 둥근 구멍 형상의 제2 가이드 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위치 결정 기구에는 상기 제1 가이드 구멍 및 상기 제2 가이드 구멍을 관통하는 노브 볼트가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 기구에는 상기 노브 볼트보다 소경의 머리 직경을 구비하고, 상기 제1 가이드 구멍 및 상기 제2 가이드 구멍을 관통하는 연결 볼트가 구비된,
    보행형 관리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 구멍과 상기 제2 가이드 구멍의 주변부에, 상기 기단부 커버체와 상기 슬라이드 커버체의 평면 형상의 미끄럼 접촉면이 형성되어 있는, 보행형 관리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 구멍과 상기 제2 가이드 구멍의 연장 설치 방향을 따르는 종벽이, 상기 미끄럼 접촉면 중, 상기 연장 설치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의 양 측부에 설치되고,
    상기 종벽 중, 상기 기단부 커버체 및 상기 슬라이드 커버체 중 한쪽에 형성되는 상기 종벽이, 상기 제1 가이드 구멍의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되고, 상기 기단부 커버체 및 상기 슬라이드 커버체 중 다른 쪽에 형성되는 상기 종벽이, 상기 한쪽에 형성되는 종벽보다도 짧은, 보행형 관리기.
  4. 삭제
  5. 삭제
KR1020180071324A 2017-06-27 2018-06-21 보행형 관리기 KR1026428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125315A JP6811686B2 (ja) 2017-06-27 2017-06-27 歩行型管理機
JPJP-P-2017-125315 2017-06-27
JPJP-P-2017-125314 2017-06-27
JP2017125314A JP6925885B2 (ja) 2017-06-27 2017-06-27 歩行型管理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532A KR20190001532A (ko) 2019-01-04
KR102642843B1 true KR102642843B1 (ko) 2024-03-05

Family

ID=65018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1324A KR102642843B1 (ko) 2017-06-27 2018-06-21 보행형 관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28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1081B1 (ko) 2023-01-09 2023-05-10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2차 변속기를 구비하는 보행행 전동 관리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07476B2 (ja) * 1991-12-20 2001-09-10 株式会社東芝 二分子膜作製基板
JP2016010384A (ja) 2014-06-30 2016-01-21 株式会社クボタ 歩行型作業機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42221U (ko) * 1974-09-25 1976-03-29
JPS57177401U (ko) * 1981-05-07 1982-11-10
IT1398651B1 (it) * 2009-06-08 2013-03-08 Guerrieri Gonzaga Attrezzo agricolo atto alla trinciatura di tappeti erbosi interfilari specie di vigneti e frutteti aventi varie dimensioni ed alla contemporanea pacciamatura vegetale bilaterale
JP2014134866A (ja) 2013-01-08 2014-07-24 New Japan Radio Co Ltd 通信システム
JP3207476U (ja) * 2016-09-02 2016-11-10 関東農機株式会社 ロータリカバー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07476B2 (ja) * 1991-12-20 2001-09-10 株式会社東芝 二分子膜作製基板
JP2016010384A (ja) 2014-06-30 2016-01-21 株式会社クボタ 歩行型作業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532A (ko) 2019-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91997B2 (en) Pivoting gauge wheel
JP4746416B2 (ja) クローラ走行装置のクローラ緊張装置
KR102642843B1 (ko) 보행형 관리기
JP2016168007A (ja) 草刈機
JPH09205849A (ja) 作業車両用の作業装置
JP6796939B2 (ja) 作業機
JP7199077B2 (ja) 作業機
JP6811686B2 (ja) 歩行型管理機
JP6925885B2 (ja) 歩行型管理機
US20130032364A1 (en) Gas tiller
JP2017225418A (ja) 作業機
JP5647886B2 (ja) ロータリー作業機
JP7449598B2 (ja) 作業機
JP5806585B2 (ja) 作業車両
JP2007068427A (ja) 農機具の反転アシスト装置
JP7100873B2 (ja) 農作業機
JP4849293B2 (ja) コンバイン
JP2016136897A (ja) 作業機
JP3572846B2 (ja) ロータリ耕耘具のリヤカバー連結支持装置
JP5844426B2 (ja) 作業車両
JP2019010069A (ja) 農作業機
JP6689181B2 (ja) 耕耘作業機
JPS6115696Y2 (ko)
JP2019010068A (ja) 農作業機
JP2019010067A (ja) 農作業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