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2481B1 - 콘크리트 믹싱 장치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믹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2481B1
KR102642481B1 KR1020210189642A KR20210189642A KR102642481B1 KR 102642481 B1 KR102642481 B1 KR 102642481B1 KR 1020210189642 A KR1020210189642 A KR 1020210189642A KR 20210189642 A KR20210189642 A KR 20210189642A KR 102642481 B1 KR102642481 B1 KR 1026424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lo
gear
peripheral surface
rotating shaft
m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9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00068A (ko
Inventor
이정배
Original Assignee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1896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2481B1/ko
Publication of KR202301000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00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24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24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5/00Apparatus or methods for producing mixtures of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e.g. slurries, mortars, porous or fibrous compositions
    • B28C5/08Apparatus or methods for producing mixtures of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e.g. slurries, mortars, porous or fibrous compositions using driven mechanical means affecting the mixing
    • B28C5/10Mixing in containers not actuated to effect the mixing
    • B28C5/12Mixing in containers not actuated to effect the mixing with stirrers sweeping through the materials, e.g. with incorporated feeding or discharging means or with oscillating stirrers
    • B28C5/1238Mixing in containers not actuated to effect the mixing with stirrers sweeping through the materials, e.g. with incorporated feeding or discharging means or with oscillating stirrers for materials flowing continuously through the mixing device and with incorporated feeding or discharging devices
    • B28C5/1292Mixing in containers not actuated to effect the mixing with stirrers sweeping through the materials, e.g. with incorporated feeding or discharging means or with oscillating stirrers for materials flowing continuously through the mixing device and with incorporated feeding or discharging devices with rotating stirring and feeding or discharging means fixed on the same axis, e.g. in an inclined container fed at its lower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5/00Apparatus or methods for producing mixtures of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e.g. slurries, mortars, porous or fibrous compositions
    • B28C5/08Apparatus or methods for producing mixtures of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e.g. slurries, mortars, porous or fibrous compositions using driven mechanical means affecting the mixing
    • B28C5/10Mixing in containers not actuated to effect the mixing
    • B28C5/12Mixing in containers not actuated to effect the mixing with stirrers sweeping through the materials, e.g. with incorporated feeding or discharging means or with oscillating stirrers
    • B28C5/1238Mixing in containers not actuated to effect the mixing with stirrers sweeping through the materials, e.g. with incorporated feeding or discharging means or with oscillating stirrers for materials flowing continuously through the mixing device and with incorporated feeding or discharging devices
    • B28C5/1276Mixing in containers not actuated to effect the mixing with stirrers sweeping through the materials, e.g. with incorporated feeding or discharging means or with oscillating stirrers for materials flowing continuously through the mixing device and with incorporated feeding or discharging devices with consecutive separate containers with rotating stirring and feeding or discharg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5/00Apparatus or methods for producing mixtures of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e.g. slurries, mortars, porous or fibrous compositions
    • B28C5/08Apparatus or methods for producing mixtures of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e.g. slurries, mortars, porous or fibrous compositions using driven mechanical means affecting the mixing
    • B28C5/10Mixing in containers not actuated to effect the mixing
    • B28C5/12Mixing in containers not actuated to effect the mixing with stirrers sweeping through the materials, e.g. with incorporated feeding or discharging means or with oscillating stirrers
    • B28C5/14Mixing in containers not actuated to effect the mixing with stirrers sweeping through the materials, e.g. with incorporated feeding or discharging means or with oscillating stirrers the stirrers having motion about a horizontal or substantially horizontal ax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reparation Of Clay, And Manufacture Of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일로 어느 일 면에 형성된 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원자재를 상기 투입구와 연통하는 상기 사일로 내부의 수용공간을 통해 수용하는 수용부; 상기 사일로의 상기 수용공간 내하부에 배치되되, 외주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선 블레이드가 형성된 회전축의 일 방향 회전을 통해 상기 원자재를 혼합하여 상기 사일로 일 면에 형성된 배출구를 향해 유동시키는 혼합부; 상기 회전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사일로의 상기 배출구로부터 외부로 이어지게 배치되되, 내주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선홈이 형성된 관체의 일 방향 회전을 통해 상기 원자재의 혼합물을 상기 사일로 외측으로 배출하는 배출부; 및 상기 사일로 외측에서 상기 회전축과 상기 관체 사이에 연결 설치되되, 상기 회전축과 연동하여 회전하는 연결축을 통해 상기 회전축의 회전력을 전달하여 상기 관체를 회전시키는 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믹싱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콘크리트 믹싱 장치{concret mixing apparatus}
본 발명은 콘크리트 믹싱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간단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제조 및 유지보수가 용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원자재의 혼합 및 원자재 혼합물의 배출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원자재의 혼합 및 원자재 혼합물의 배출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하고, 원자재 혼합물의 배출이 신속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원자재 혼합물의 배출 정체로 인한 생산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콘크리트 믹싱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토목 공사 및 건축 공사 진행시의 주재료 중 하나로 콘크리트가 있다.
콘크리트는, 시멘트, 골재 및 물 등을 혼합한 것으로서, 제조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내구성이 상당한 장점을 갖는바, 강재와 더불어 토목 공사 및 건축 공사의 주재료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한편, 콘크리트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037073호 등에 개시된 바와 같은 '콘크리트 믹서'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통상의 콘크리트 믹서는, 통상 원자재 투입부, 원자재 혼합부 및 혼합물 배출부를 포함하는바, 원자재 투입부, 원자재 혼합부 및 혼합물 배출부에 의해 원자재, 즉 시멘트, 골재 및 물의 혼합 및 배출이 비교적 간단히 이루어질 있으므로 이를 이용함으로써 콘크리트의 제조가 간단히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종래 콘크리트 믹서는 그 규모가 상당할 뿐만 아니라 구조가 복잡하였던바, 제조에 상당한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 및 유지보수에 곤란함이 따르게 되고, 원자재의 혼합 및 원자재 혼합물의 배출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즉, 종래 콘크리트 믹서는 원자재 투입부, 원자재 혼합부 및 혼합물 배출부가 서로 별개로 설치되어 있어 이들 각각의 구동을 위해서 별개의 구동부가 마련되는 등 전체 구조가 크고 복잡해질 수밖에 없어 제조 비용이 상승하게 될 뿐만 아니라 제조 및 유지보수가 곤란해지고, 원자재의 혼합 및 원자재 혼합물의 배출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고자 원자재 혼합부 및 혼합물 배출부가 일직선 형태로 연결된 개선된 형태의 콘크리트 믹서가 제안된바 있다.
재료 혼합부 및 혼합물 배출부가 일직선 형태로 연결된 콘크리트 믹서의 경우 그 구조가 비교적 간소하므로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 및 유지보수가 용이할 수 있고, 원자재의 혼합 및 원자재 혼합물의 배출에 소요되는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그러나 재료 혼합부 및 혼합물 배출부가 일직선 형태로 연결된 콘크리트 믹서의 경우 혼합물의 배출 속도가 기대에 미치지 못하여 재료 배출이 정체되는 경우가 빈번하였던바, 이로 인하여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의 이유로 해당 분야에서는 간단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제조 및 유지보수가 용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원자재의 혼합 및 원자재 혼합물의 배출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원자재의 혼합 및 원자재 혼합물의 배출에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고, 원자재 혼합물의 배출이 신속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원자재 혼합물의 배출 정체로 인한 생산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콘크리트 믹싱 장치의 개발을 시도하고 있으나, 현재까지는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03707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간단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제조 및 유지보수가 용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원자재의 혼합 및 원자재 혼합물의 배출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원자재의 혼합 및 원자재 혼합물의 배출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하고, 원자재 혼합물의 배출이 신속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원자재 혼합물의 배출 정체로 인한 생산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콘크리트 믹싱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일로 어느 일 면에 형성된 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원자재를 상기 투입구와 연통하는 상기 사일로 내부의 수용공간을 통해 수용하는 수용부; 상기 사일로의 상기 수용공간 내하부에 배치되되, 외주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선 블레이드가 형성된 회전축의 일 방향 회전을 통해 상기 원자재를 혼합하여 상기 사일로 일 면에 형성된 배출구를 향해 유동시키는 혼합부; 상기 회전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사일로의 상기 배출구로부터 외부로 이어지게 배치되되, 내주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선홈이 형성된 관체의 일 방향 회전을 통해 상기 원자재의 혼합물을 상기 사일로 외측으로 배출하는 배출부; 및 상기 사일로 외측에서 상기 회전축과 상기 관체 사이에 연결 설치되되, 상기 회전축과 연동하여 회전하는 연결축을 통해 상기 회전축의 회전력을 전달하여 상기 관체를 회전시키는 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믹싱 장치를 제안한다.
상기 사일로는 상기 배출구 내주면 둘레를 따라 장착되는 베어링을 포함한다.
상기 혼합부는 상기 사일로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회전축 선단에 연결되는 모터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축은 상기 배출부로부터 상대적으로 원거리에 위치하는 선단부 외주면에 배치되는 제1기어를 포함한다.
상기 관체는 상기 나선홈에 전후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 개의 돌출편을 포함한다.
상기 관체는 상기 혼합부에 인접하는 선단부 외주면에 배치되는 제2기어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축에 인접하는 상기 관체 전방 구간의 상기 나선홈은 이외 구간의 상기 나선홈에 비해 더 작은 피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축은, 상기 배출부로부터 상대적으로 원거리에 위치하는 선단부 외주면에 배치되는 제3기어; 및 상기 배출부에 인접하는 말단부 외주면에 배치되는 제4기어;를 포함한다.
상기 제4기어는 기어비를 달리하는 복수 개의 기어가 치합된 증속 기어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믹싱 장치는, 수용부, 혼합부, 배출부 및 작동부로 이루어지는바, 그 구조가 비교적 간단하므로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 및 유지보수가 용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믹싱 장치는, 혼합부 및 배출부가 일직선 형태로 이어지는바, 원자재의 혼합 및 원자재 혼합물의 배출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원자재의 혼합 및 원자재 혼합물의 배출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믹싱 장치는, 배출부의 관체가 별도의 구동수단 없이 작동부의 연결축을 통한 회전력 전달에 의해 회전하되, 특히 혼합부의 회전축에 비해 증속 회전하는바, 원자재의 혼합에 비해 원자재 혼합물의 배출이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어 원자재 혼합물의 배출 정체가 방지될 수 있으므로 원자재 혼합물의 배출 정체로 인한 생산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믹싱 장치의 구조를 보인 일 방향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믹싱 장치에서 탱크 내부로의 원자재 투입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믹싱 장치에서 혼합부에 의한 원자재 혼합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믹싱 장치에서 배출부에 의한 혼합물 배출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믹싱 장치에서 혼합부의 회전축과 작동부의 연결축 간의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믹싱 장치에서 배출부의 관체와 작동부의 연결축 간의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믹싱 장치(A)는, 수용부(100); 혼합부(200); 배출부(300); 및 작동부(4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수용부(100)는 사일로(110) 어느 일 면에 형성된 투입구(111)를 통해 투입되는 원자재를 투입구(111)와 연통하는 사일로(110) 내부의 수용공간(112)을 통해 수용한다.
이때, 사일로(110)는 어느 일 면에 수용공간(112)과 연통하는 배출구(113)를 포함함으로써 배출구(113)를 통해 원자재 혼합물의 배출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사일로(110)는 배출구(113) 내주면 둘레를 따라 장착되는 베어링(114)을 포함함으로써 아래에서 설명하는 배출부(300)의 관체(310) 선단부가 베어링(114)에 삽입 설치됨에 따라 관체(310)의 회전이 원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혼합부(200)는, 사일로(110)의 수용공간(112) 내하부에 배치되되, 외주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선 블레이드(211)가 형성된 회전축(210)의 일 방향 회전을 통해 원자재를 혼합하여 사일로(110) 일 면에 형성된 배출구(113)를 향해 유동시킨다.
이때, 혼합부(200)는 사일로(110) 외부로 노출되는 회전축(210) 선단에 연결되는 모터(220)를 포함함으로써 모터(220) 구동에 의해 회전축(210)의 일방향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혼합부(200)의 회전축(210)은 배출부(300)로부터 상대적으로 원거리에 위치하는 선단부 외주면에 배치되는 제1기어(212)를 포함함으로써 제1기어(212)가 아래에서 설명하는 작동부(400)의 연결축(410)에 배치되는 제3기어(411)와 치합함에 따라 회전축(210) 회전과 연동하여 연결축(410)의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혼합부(200)의 나선 블레이드(211)는 전후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 개의 돌출편(도면부호 미표시)을 포함함으로써 원자재가 나선 블레이드(211)와 접촉하며 혼합될 뿐만 아니라 돌출편과 접촉함에 의해서도 혼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출부(300)는, 회전축(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사일로(110)의 배출구(113)로부터 외부로 이어지게 배치되되, 내주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선홈(311)이 형성된 관체(310)의 일 방향 회전을 통해 원자재의 혼합물을 사일로(110) 외측으로 배출한다.
이때, 관체(310)는 나선홈(311)에 전후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 개의 돌출편(312)을 포함함으로써 관체(310)를 따라 진행하는 원자재의 혼합물이 돌출편(312)과 접촉함에 따라 추가로 혼합될 수 있다.
그리고 관체(310)는 혼합부(200)에 인접하는 선단부 외주면에 배치되는 제2기어(313)를 포함함으로써 제2기어(313)가 아래에서 설명하는 작동의 연결축(410)에 배치되는 제4기어(412)와 치합함에 따라 연결축(410) 회전과 연동하여 관체(310)의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관체(310) 전방 구간(회전축 말단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구간)의 나선홈(311)은 이외 구간의 나선홈(311)에 비해 더 작은 피치로 형성됨으로써 관체(310) 전방 구간 내측으로 유입되는 원자재 혼합물이 전방 구간의 나선홈(311)과 접촉함에 따라 추가로 혼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작동부(400)는, 사일로(110) 외측에서 회전축(210)과 관체(310) 사이에 연결 설치되되, 회전축(210)과 연동하여 회전하는 연결축(410)을 통해 회전축(210)의 회전력을 전달하여 관체(310)를 회전시킨다.
이때, 연결축(410)은, 배출부(300)로부터 상대적으로 원거리에 위치하는 선단부 외주면에 배치되는 제3기어(411); 및 배출부(300)에 인접하는 말단부 외주면에 배치되는 제4기어(412);를 포함함으로써 제3기어(411)가 회전축(210)에 배치되는 제1기어(212)와 치합함에 따라 회전축(210) 회전과 연동하여 연결축(410)의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고, 제4기어(412)가 관체(310)에 배치되는 제2기어(313)와 치함함에 따라 연결축(410) 회전과 연동하여 관체(310)의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제4기어(412)는 기어비를 달리하는 복수 개의 기어가 치합된 증속 기어임으로써 연결축(410)과 연동하여 회전하는 관체(310)가 회전축(210)에 비해 빠른 속도로 회전, 즉 증속 회전할 수 있다.
한편, 증속 기어는 관체(310)에 배치되는 제2기어(313)와 치합하여 관체(310)를 회전시키되, 관체(310)의 증속 회전, 즉 회전축(210)에 비해 빠른 속도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면 통상의 어떠한 구조 및 방식의 것이어도 무방한바, 증속 기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믹싱 장치(A)에서의 원자재 혼합 및 원자재 혼합물의 배출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수용부(100)를 이루는 사일로(110)의 일 면에는 투입구(111)가 형성되는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입구(111)에 의해 사일로(110) 내부로 시멘트, 골재 및 물을 포함하는 원자재의 투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사일로(110) 내에는 투입구(111)와 연통하는 수용공간(112)이 형성되는바, 수용공간(112)에 의해 원자재의 수용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수용공간(112) 내하부에는 외주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선 블레이드(211)가 형성된 회전축(210)을 포함하는 혼합부(200)가 배치되는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210)의 회전이 이루어짐에 따라 수용공간(112) 내부에 수용된 원자재의 혼합이 이루어지며 사일로(110) 일 면에 형성되는 배출구(113)를 향해 유동할 수 있다.
이때, 혼합부(200)는 사일로(110) 외부로 노출되는 회전축(210) 선단에 연결되는 모터(220)를 포함하는바, 모터(220) 구동이 이루어짐에 따라 회전축(210)의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내주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선홈(311)이 형성된 관체(310)를 포함하는 배출부(300)는 회전축(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사일로(110)의 배출구(113)로부터 외부로 이어지게 배치, 다시 말해 혼합부(200)와 배출부(300)가 일직선 형태로 연결되는바, 그 구조가 간소화될 수 있어 제조 및 유지보수가 용이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혼합부(200)에서의 원자재 혼합과 배출부(300)에서의 원자재 혼합물의 배출이 연속적으로 진행,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체(310)의 회전이 이루어짐에 따라 배출구(113)를 거쳐 관체(310) 내부로 유입되는 원자재의 혼합물이 사일로(110)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되므로 원자재의 혼합 및 원자재 혼합물의 배출에 소요되는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이때, 관체(310)는 나선홈(311)에 전후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 개의 돌출편(312)을 포함하는바, 관체(310)를 따라 진행하는 원자재의 혼합물이 돌출편(312)과 접촉함에 따라 추가로 혼합될 수 있다.
더불어, 관체(310) 전방 구간의 나선홈(311)은 이외 구간의 나선홈(311)에 비해 더 작은 피치로 형성되는바, 관체(310) 전방 구간 내측으로 유입되는 원자재 혼합물이 전방 구간의 나선홈(311)과 접촉함에 따라 추가로 혼합될 수 있다.
다만, 혼합부(200)의 회전축(210)과 배출부(300)의 관체(310)가 별도의 구동수단 구동에 의해 각각 회전하게 되면 구동수단 마련으로 인한 비용이 추가로 소요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구조가 복잡해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사일로(110) 외측에서 회전축(210)과 관체(310) 사이에 연결 설치되되, 회전축(210)과 연동하여 회전하는 연결축(410)을 통해 회전축(210)의 회전력을 전달하여 관체(310)를 회전시키는 작동부(400);를 포함하는바, 모터(220) 구동에 의한 회전축(210)의 회전에 의해 관체(310)의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가 간소화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연결축(410)은, 배출부(300)로부터 상대적으로 원거리에 위치하는 선단부 외주면에 배치되는 제3기어(411); 및 배출부(300)에 인접하는 말단부 외주면에 배치되는 제4기어(412);를 포함하는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기어(411)가 회전축(210) 선단부 외주면에 배치되는 제1기어(212)와 치합하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기어(412)가 관체(310) 선단부 외주면에 배치되는 제2기어(313)와 치합함으로써 모터(220) 구동에 의한 회전축(210) 회전에 의해 연결축(410)의 회전이 이루어지고, 연결축(410) 회전에 의해 관체(310) 회전이 이루어지므로 단일 모터(220)를 통해 회전축(210) 및 관체(310)의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어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가 간소화될 수 있다.
이때, 연결축(410)의 제4기어(412)는 특히 기어비를 달리하는 복수 개의 기어가 치합된 증속 기어일 수 있는바, 증속 기어에 의해 관체(310)가 회전축(210)에 비해 빠른 속도로 회전, 다시 말해 증속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관체(310)의 증속 회전에 의해 혼합부(200)에서의 원자재 혼합에 비해 배출부(300)에서의 원자재 혼합물의 배출이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므로 이에 의해 원자재 혼합물의 배출 정체가 방지될 수 있어 원자재 혼합물의 배출 정체로 인한 생산성 저하가 방지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므로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경은 이하 청구범위 기재에 의하여 정의되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수용부 110 : 사일로
111 : 투입구 112 : 수용공간
113 : 배출구 200 : 혼합부
210 : 회전축 211 : 나선 블레이드
212 : 제1기어 220 : 모터
300 : 배출부 310 : 관체
311 : 나선홈 312 : 돌출편
313 : 제2기어 400 : 작동부
410 : 연결축 411 : 제3기어
412 : 제4기어 A : 콘크리트 믹서

Claims (6)

  1. 사일로 어느 일 면에 형성된 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원자재를 상기 투입구와 연통하는 상기 사일로 내부의 수용공간을 통해 수용하는 수용부;
    상기 사일로의 상기 수용공간 내하부에 배치되되, 외주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선 블레이드가 형성된 회전축의 일 방향 회전을 통해 상기 원자재를 혼합하여 상기 사일로 일 면에 형성된 배출구를 향해 유동시키는 혼합부;
    상기 회전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사일로의 상기 배출구로부터 외부로 이어지게 배치되되, 내주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선홈이 형성된 관체의 일 방향 회전을 통해 상기 원자재의 혼합물을 상기 사일로 외측으로 배출하는 배출부; 및
    상기 사일로 외측에서 상기 회전축과 상기 관체 사이에 연결 설치되되, 상기 회전축과 연동하여 회전하는 연결축을 통해 상기 회전축의 회전력을 전달하여 상기 관체를 회전시키는 작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혼합부는 상기 사일로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회전축 선단에 연결되는 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부로부터 상대적으로 원거리에 위치하는 상기 회전축 선단부 외주면의 제1기어가 상기 배출부로부터 상대적으로 원거리에 위치하는 상기 연결축 선단부 외주면의 제3기어와 치합 및 상기 혼합부에 인접하는 상기 관체 선단부 외주면의 제2기어가 상기 배출부에 인접하는 상기 연결축 말단부 외주면에 배치되는 제4기어와 치합함에 따라 상기 모터 구동에 의해 상기 회전축, 연결축 및 관체가 함께 회전하고,
    상기 관체의 상기 나선홈은 상기 관체 전방 구간에서의 피치가 이외 구간에서의 피치에 비해 더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믹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일로는 상기 배출구 내주면 둘레를 따라 장착되는 베어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믹싱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체는 상기 나선홈에 전후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 개의 돌출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믹싱 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기어는 기어비를 달리하는 복수 개의 기어가 치합된 증속 기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믹싱 장치.
KR1020210189642A 2021-12-28 2021-12-28 콘크리트 믹싱 장치 KR1026424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9642A KR102642481B1 (ko) 2021-12-28 2021-12-28 콘크리트 믹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9642A KR102642481B1 (ko) 2021-12-28 2021-12-28 콘크리트 믹싱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0068A KR20230100068A (ko) 2023-07-05
KR102642481B1 true KR102642481B1 (ko) 2024-02-29

Family

ID=87158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9642A KR102642481B1 (ko) 2021-12-28 2021-12-28 콘크리트 믹싱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248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5038B1 (ko) 2007-09-20 2009-09-02 영어조합법인보전수산 사료용 믹서기
KR101555299B1 (ko) * 2015-02-12 2015-09-25 (주) 태흥산업 가열교반장치
KR101575109B1 (ko) 2014-05-02 2015-12-07 주식회사 흥진정밀 콘크리트 트윈 샤프트 믹서
KR101844947B1 (ko) * 2017-11-09 2018-04-03 (주)지에프시알엔디 연속혼합 방식의 오거형 믹서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방법
KR101846452B1 (ko) * 2017-07-18 2018-04-06 중앙크리텍 주식회사 건습식 겸용 모르타르분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보강 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7073B1 (ko) 2011-03-17 2011-05-26 (주)포크리트 순환골재를 이용한 고내화성 모르타르 조성물 및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5038B1 (ko) 2007-09-20 2009-09-02 영어조합법인보전수산 사료용 믹서기
KR101575109B1 (ko) 2014-05-02 2015-12-07 주식회사 흥진정밀 콘크리트 트윈 샤프트 믹서
KR101555299B1 (ko) * 2015-02-12 2015-09-25 (주) 태흥산업 가열교반장치
KR101846452B1 (ko) * 2017-07-18 2018-04-06 중앙크리텍 주식회사 건습식 겸용 모르타르분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보강 시공방법
KR101844947B1 (ko) * 2017-11-09 2018-04-03 (주)지에프시알엔디 연속혼합 방식의 오거형 믹서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0068A (ko) 2023-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4346181B2 (en) Mine foam slurry mixer
CN108214913A (zh) 一种高效对流式建筑混凝土搅拌装置
JP2008212888A (ja) 粘性流体混練用2軸ミキサ
RU2216260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нкрустирования наполнителя
CN212948431U (zh) 一种透水砖生产用混料装置
KR102642481B1 (ko) 콘크리트 믹싱 장치
CN110815550A (zh) 一种建筑上专用的卧式混泥土高效搅拌装置
CN110201621B (zh) 一种管式改性沥青混料机
CN114570317A (zh) 一种交联剂生产用基于空气加压投料的反应釜
CN108466365A (zh) 一种搅拌均匀的混凝土搅拌机
CN218875862U (zh) 再生混凝土强化装置
CN111300653A (zh) 一种混凝土混合生产的设备
KR101863175B1 (ko) 이액형 그라우트의 혼합 공급장치
CN208084659U (zh) 一种便于出料的混凝土搅拌装置
CN210752194U (zh) 一种卧式搅拌机
CN209736555U (zh) 双臂连续式混砂机
CN210332678U (zh) 一种管式改性沥青混料机
CN209063294U (zh) 一种混凝土混合装置
CN110341040A (zh) 一种房屋建筑施工用砂浆搅拌机
KR20150130943A (ko) 콘크리트 믹서 및 그것을 이용한 생콘크리트 제조 장치
JPH11221819A (ja) 二軸コンクリートミキサ
CN221048738U (zh) 一种纤维掺量砂浆用辅助分散搅拌机构
CN218429101U (zh) 一种规避搅拌死角的双轴搅拌机
CN217614228U (zh) 一种石料生产用矿浆搅拌桶
JP4424738B2 (ja) 混練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