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3175B1 - 이액형 그라우트의 혼합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이액형 그라우트의 혼합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3175B1
KR101863175B1 KR1020160051601A KR20160051601A KR101863175B1 KR 101863175 B1 KR101863175 B1 KR 101863175B1 KR 1020160051601 A KR1020160051601 A KR 1020160051601A KR 20160051601 A KR20160051601 A KR 20160051601A KR 101863175 B1 KR101863175 B1 KR 1018631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chamber
main material
additive
m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1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2523A (ko
Inventor
정재형
황성필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600516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3175B1/ko
Publication of KR201701225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25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31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31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12Consolidating by placing solidifying or pore-filling substances in the soi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6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B01F27/71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with propellers
    • B01F7/0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28Mixing cement, mortar, clay, plaster or concrete ingredients
    • B01F2215/0047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ixers Of The Rotary Stirring Ty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과 시멘트를 혼합한 그라우트 주재료에 액상형 또는 분말형 첨가제를 설정된 비율로 정확하게 혼합하여 이액형 그라우트를 제조하면서 타설 위치로 공급할 수 있는 이액형 그라우트의 혼합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이액형 그라우트의 혼합 공급장치는, 물에 시멘트가 혼합된 주재료가 유입되는 주재료챔버와; 상기 주재료챔버와 분리되게 설치되며, 첨가제가 유입되는 첨가제챔버와; 상기 주재료챔버 내부에 주재료챔버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운동하도록 설치되어 주재료를 주재료챔버의 축방향으로 이송하는 제1스크류와; 상기 첨가제챔버 내부에 첨가제챔버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운동하도록 설치되어 첨가제를 첨가제챔버의 축방향으로 이송하는 제2스크류와; 상기 제1스크류와 제2스크류를 서로 다른 회전 속도로 회전시키는 스크류 구동기와; 상기 주재료챔버의 배출구와 상기 첨가제챔버의 배출구에 연결된 믹싱챔버와; 상기 믹싱챔버 내측에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주재료와 첨가제를 혼합하면서 이송하는 프로펠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액형 그라우트의 혼합 공급장치{Apparatus for Mixing And Supply Two Components Type Grout}
본 발명은 그라우트에 첨가제를 혼합하여 공급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과 시멘트를 혼합한 그라우트 주재료에 액상형 또는 분말형 첨가제를 설정된 비율로 혼합하여 이액형 그라우트를 제조하면서 타설 위치로 공급하는 이액형 그라우트의 혼합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구조물의 보수·보강, 도로, 터널 등을 건설하는 토목공사 등에서 지반의 강도가 약할 경우 지반이 침하되거나 붕괴하여 인명이나 재산상의 피해가 발생하는데, 이러한 연약한 지반을 보강하는 가장 보편적인 방법으로 그라우팅 공법이 이용된다.
그라우팅(Grouting) 공법은 지반의 고결화, 지지력 증가, 투수성 감소, 지반과 구조물과의 일체화 등을 목적으로 기초지반이나 구조물 주변 및 구조물 내부에 그라우트(각종 시멘트나, 모르타르, 약제)를 주입하는 것이다.
또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이나 파손 부위의 보수·보강 등에도 그라우트를 주입하는 그라우팅 공법이 시행되고 있다.
이러한 그라우팅 공법을 시행할 때 물에 일반 포틀랜드 시멘트를 혼합한 그라우트를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지만, 물에 일반 포틀랜드 시멘트를 혼합한 주재료에 강도, 고결시간 등의 조절을 위한 첨가제를 설정된 비율로 혼합한 이액형 그라우트를 지반이나 콘크리트 구조물에 주입하는 방식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종래에는 주재료(물에 일반 포틀랜드 시멘트를 혼합한 용액)와 첨가제를 1:1의 비율(중량비)로 혼합하였으나, 첨가제의 성능이 향상되면서 첨가제의 혼합 비율이 점차적으로 감소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주재료와 첨가제를 9:1의 비율로 혼합하는 정도로 향상되었다.
그런데, 주재료와 첨가제를 설정된 비율로 혼합하여 이액형 그라우트를 제조할 때 혼합된 비율이 설정된 비율에서 10% 이상 벗어나게 되면 최초 요구되었던 성질과 다른 성질을 갖는 그라우트 재료가 되어 요구한 성능을 발휘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특히 종래의 혼합방법인 관경과 압력을 이용한 방법으로는 주재료와 첨가제의 혼합비율을 정확하게 맞추기 매우 어렵고, 실제로 혼합비율의 오차가 10% 이상 발생하는 것으로 조사되어 현장에서 그라우트의 성능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더욱 정밀하게 혼합하여 공급할 수 있는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등록특허 제10-0918139호(2009.09.11. 등록) 등록특허 제10-0415764호(2004.01.07. 등록) 등록특허 제10-0890456호(2009.03.18.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물에 시멘트를 혼합한 주재료와, 첨가제를 설정된 비율로 정확하게 혼합하면서 타설 위치로 공급할 수 있는 이액형 그라우트의 혼합 공급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액형 그라우트의 혼합 공급장치는, 물에 시멘트가 혼합된 주재료가 유입되는 주재료챔버와; 상기 주재료챔버와 분리되게 설치되며, 첨가제가 유입되는 첨가제챔버와; 상기 주재료챔버 내부에 주재료챔버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운동하도록 설치되어 주재료를 주재료챔버의 축방향으로 이송하는 제1스크류와; 상기 첨가제챔버 내부에 첨가제챔버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운동하도록 설치되어 첨가제를 첨가제챔버의 축방향으로 이송하는 제2스크류와; 상기 제1스크류와 제2스크류를 서로 다른 회전 속도로 회전시키는 스크류 구동기와; 상기 주재료챔버의 배출구와 상기 첨가제챔버의 배출구에 연결된 믹싱챔버와; 상기 믹싱챔버 내측에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주재료와 첨가제를 혼합하면서 이송하는 프로펠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한 형태에 따른 이액형 그라우트의 혼합 공급장치는, 물에 시멘트가 혼합된 주재료가 유입되는 주재료챔버와; 상기 주재료챔버와 분리되게 설치되며, 첨가제가 유입되는 첨가제챔버와; 상기 주재료챔버 내부에 주재료챔버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운동하도록 설치되어 주재료를 주재료챔버의 축방향으로 이송하는 제1스크류와; 상기 첨가제챔버 내부에 첨가제챔버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운동하도록 설치되어 첨가제를 첨가제챔버의 축방향으로 이송하는 제2스크류와; 상기 제1스크류와 제2스크류를 서로 다른 회전 속도로 회전시키는 스크류 구동기와; 상기 주재료챔버의 배출구와 상기 첨가제챔버의 배출구에 연결되는 통형상의 믹싱챔버와; 상기 믹싱챔버 내측에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주재료와 첨가제를 혼합하면서 믹싱챔버의 축방향으로 이송하는 제3스크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주재료와 첨가제가 서로 분리된 주재료챔버 및 첨가제챔버에 공급된 후, 배합비에 따라 정해진 속도로 회전하는 제1스크류와 제2스크류에 의해 이송되어 믹싱챔버 내로 정해진 배합비로 공급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주재료와 첨가제를 믹싱챔버 내에서 정해진 배합비로 정확하게 혼합하여 현장에 타설할 수 있게 되므로 그라우트의 성능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액형 그라우트의 혼합 공급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액형 그라우트의 혼합 공급장치의 변형례를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액형 그라우트의 혼합 공급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이액형 그라우트의 혼합 공급장치의 측면에서 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액형 그라우트의 혼합 공급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액형 그라우트의 혼합 공급장치는 물에 시멘트가 혼합된 주재료가 유입되는 주재료챔버(10)와, 상기 주재료챔버(10)와 분리되게 설치되며 첨가제가 유입되는 첨가제챔버(20)와, 상기 주재료챔버(10) 내부에 주재료챔버(10)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운동하도록 설치되어 주재료를 주재료챔버(10)의 축방향으로 이송하는 제1스크류(30)와, 상기 첨가제챔버(20) 내부에 첨가제챔버(20)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운동하도록 설치되어 첨가제를 첨가제챔버(20)의 축방향으로 이송하는 제2스크류(40)와, 상기 제1스크류(30)와 제2스크류(40)를 서로 다른 회전 속도로 회전시키는 스크류 구동기와, 상기 주재료챔버(10)의 주재료 배출구(12)와 상기 첨가제챔버(20)의 첨가제 배출구(22)에 연결된 믹싱챔버(50)와, 상기 믹싱챔버(50) 내측에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주재료와 첨가제를 혼합하면서 이송하는 복수의 프로펠러(60)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주재료챔버(10)는 기다란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후단부 일측면에 물에 시멘트가 설정된 비율로 혼합된 주재료가 유입되는 주재료 유입구(11)가 형성되고, 전단부에 주재료가 배출되는 주재료 배출구(12)가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주재료챔버(10)의 내경은 제1스크류(30)의 외경보다 약간 큰 크기를 갖는다.
상기 첨가제챔버(20)는 주재료챔버(10)의 일측에 주재료챔버(10)와 서로 연접하면서 나란하게 배치된다. 상기 첨가제챔버(20)는 상기 제2스크류(40)의 외경보다 약간 큰 내경을 갖는 기다란 원통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첨가제챔버(20)의 후단부 일측에 첨가제가 유입되는 첨가제 유입구(21)가 형성되고, 전단부에는 첨가제가 배출되는 첨가제 배출구(2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스크류(30)는 원형 단면을 갖는 몸체의 외주면에 주재료를 이송하는 나선형 블레이드(31)가 축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주재료 유입구(11)를 통해 주재료챔버(10) 내부로 유입된 주재료를 후방에서 전방으로 이송한다. 상기 제1스크류(30)의 후단부는 주재료챔버(10)의 후방면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스크류 구동기와 연결된다.
상기 제2스크류(40) 역시 원형 단면을 갖는 몸체의 외주면에 주재료를 이송하는 나선형 블레이드(41)가 축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첨가제 유입구(21)를 통해 첨가제챔버(20) 내부로 유입된 주재료를 후방에서 전방으로 이송한다. 상기 제2스크류(40)의 후단부는 첨가제챔버(20)의 후방면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스크류 구동기와 연결되어 회전한다.
상기 제1스크류(30)와 제2스크류(40)는 혼합하고자 하는 주재료와 첨가제의 배합비에 따라 그 회전 속도가 결정된다. 예를 들어, 주재료와 첨가제의 배합비를 9:1 의 비율로 배합하고자 할 때 제1스크류(30)의 회전 속도를 제2스크류(40)의 회전 속도보다 훨씬 빠르게, 예를 들어 9:1의 속도비로 회전시켜 믹싱챔버(50) 내부로 공급되는 주재료와 첨가제의 배합비를 설정된 비율인 9:1로 맞춰서 배합할 수 있다.
상기 믹싱챔버(50)는 상기 주재료챔버(10)의 주재료 배출구(12)와 연결되는 제1도입관(51)과, 상기 제1도입관(51)과 분리되어 상기 첨가제챔버(20)의 첨가제 배출구(22)와 연결되는 제2도입관(52)을 통하여 주재료챔버(10) 및 첨가제챔버(20)와 연결된다. 상기 제1도입관(51)과 제2도입관(52)은 Y자로 분기된 분기관 구조로 되어 각각 주재료챔버(10)에서 배출된 주재료와 첨가제챔버(20)에서 배출된 첨가제를 믹싱챔버(50) 내부로 유도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믹싱챔버(50)는 후단부가 상기 제1도입관(51)과 제2도입관(52)을 통해서 주재료챔버(10) 및 첨가제챔버(20)와 동시에 연결되어 주재료로 첨가제를 혼합된 비율을 공급받으며, 내부에서 상기 프로펠러(60)에 의해 주재료와 첨가제의 혼합이 이루어진다. 상기 믹싱챔버(50)는 대략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전단부는 그라우트 타설을 위한 그라우트 이송유닛과 연결된다.
상기 프로펠러(60)는 믹싱챔버(50) 내부에서 모터(미도시)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믹싱챔버(50) 내로 유입된 주재료와 첨가제를 혼합하면서 전방으로 이송한다. 상기 프로펠러(60)는 선풍기 날개와 같이 모터(미도시)에 연결된 원통형의 허브(61)와 상기 허브(61)의 외면에 나선형으로 비틀리게 형성된 복수의 블레이드(62)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펠러(60)는 복수가 상기 믹싱챔버(50) 내측에서 축방향으로 직렬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크류 구동기는 상기 제1스크류(30)에 연결되어 제1스크류(30)를 회전시키는 제1구동모터(71)를 구비한 제1구동부와, 상기 제2스크류(40)에 연결되어 제2스크류를 회전시키는 제2구동모터(72)를 구비한 제2구동부와, 상기 제1구동모터(71)와 제2구동모터(72)로 인가되는 제어신호를 통해 제1스크류(30)와 제2스크류(40)의 회전속도를 다르게 제어하는 제어부(7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73)는 배합하고자 하는 주재료와 첨가제의 배합비에 따라 제1구동모터(71)와 제2구동모터(72)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여 제1스크류(30)와 제2스크류(40)의 회전 속도를 제어한다.
상기 제1구동모터(71)와 제2구동모터(72)는 각각 제1스크류(30)와 제2스크류(40)의 후단부에 직접 연결되어 제1스크류(30)와 제2스크류(40)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도 있지만, 동력전달용 벨트나 체인, 기어 등의 동력전달부재를 통해서 제1스크류(30)와 제2스크류(40)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할 수도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2개의 모터, 즉 제1구동모터(71)와 제2구동모터(72)를 사용하여 제1스크류(30)와 제2스크류(40)를 독립적으로 회전시키도록 스크류 구동기를 구성하였으나, 하나의 모터와 동력전달부재를 이용하여 제1스크류(30)와 제2스크류(40)에 동시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게 스크류 구동기를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스크류 구동기를 하나의 구동모터(75)와, 상기 구동모터(75)와 상기 제1스크류(30) 및 제2스크류(40) 사이에 설치되어 구동모터(75)의 동력을 제1스크류(30) 및 제2스크류(40)로 전달하는 기어박스(76)와, 상기 구동모터(75)에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제어부(77)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기어박스(76) 내부에는 구동모터(75)의 동력을 서로 다른 기어비 또는 서로 동일한 기어비로 제1스크류(30)와 제2스크류(40)로 전달할 수 있도록 소정의 기어잇수를 갖는 복수의 기어들이 치합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첫번째 실시예의 이액형 그라우트의 혼합 공급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주재료 유입구(11)를 통해 물에 시멘트가 혼합된 주재료를 투입하고, 첨가제 유입구(21)를 통해 첨가제를 투입한다. 상기 첨가제는 그라우트의 특성, 예를 들어 유동도나 팽창성 등의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공지의 그라우트용 첨가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 실시예에서는 액상의 첨가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주재료 유입구(11)를 통해 주재료챔버(10) 내부로 유입된 주재료는 주재료챔버(10) 내부에서 회전하는 제1스크류(30)에 의해 점차적으로 전방으로 한 다음 전방의 주재료 배출구(12)를 통해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첨가제 유입구(21)를 통해 첨가제챔버(20) 내부로 유입된 첨가제는 첨가제챔버(20) 내부에서 회전하는 제2스크류(40)에 의해 점차적으로 전방으로 이동한 후 전방의 첨가제 배출구(22)를 통해 배출된다.
이 때 제1스크류(30)와 제2스크류(40)의 회전 속도는 믹싱챔버(50) 내에서 배합하고자 하는 주재료와 첨가제의 배합비에 따라 결정되어, 제1스크류(30)에 의해 주재료챔버(10)에서 배출되는 주재료와 제2스크류(40)에 의해 첨가제챔버(20)에서 배출되는 첨가제의 중량비는 상기 배합비와 거의 동일한 비율이 된다.
상기 주재료 배출구(12) 및 첨가제 배출구(22)를 통해 배출되는 주재료와 첨가제는 각각 제1도입관(51)과 제2도입관(52)을 통해서 믹싱챔버(50) 내부로 유입된 다음, 복수의 프로펠러(60)에 의해 혼합되면서 전방으로 이송된 후 타설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의 이액형 그라우트 혼합 공급장치는 액상의 첨가제를 혼합하여 이액형 그라우트를 제조하는데 적합한 구조이다. 첨가제로서 분말형의 첨가제를 혼합하여 공급하고자 할 경우 좀 더 높은 압력으로 주재료와 첨가제를 혼합하여 공급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것과 같이 이액형 그라우트 혼합 공급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두번째 실시예에 따른 이액형 그라우트 혼합 공급장치는, 주재료챔버(10)와 첨가제챔버(20), 제1스크류(30), 제2스크류(40), 스크류 구동기, 믹싱챔버(80), 제3스크류(90)를 포함한다.
상기 주재료챔버(10)와 첨가제챔버(20), 제1스크류(30), 제2스크류(40), 스크류 구동기는 전술한 첫번째 실시예의 주재료챔버(10)와 첨가제챔버(20), 제1스크류(30), 제2스크류(40), 스크류 구동기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믹싱챔버(80)는 상기 주재료챔버(10) 및 첨가제챔버(20) 보다 큰 직경을 갖는 원통체로 이루어지며, 후단부가 상기 주재료챔버(10)의 주재료 배출구(12)와 상기 첨가제챔버(20)의 첨가제 배출구(22)에 바로 연결된다. 상기 믹싱챔버(80)는 상기 주재료챔버(10) 및 첨가제챔버(20)와 동축상으로 배치되어 주재료챔버(10) 및 첨가제챔버(20)로부터 일정한 중량비로 주재료와 첨가제를 공급받는다.
상기 주재료챔버(10)의 주재료 배출구(12)와 첨가제챔버(20)의 첨가제 배출구(22)는 믹싱챔버(80)의 후단부의 중심보다 상측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주재료 배출구(12)와 첨가제 배출구(22)를 통해서 배출되는 주재료와 첨가제가 중력에 의해 믹싱챔버(80)의 후단에서 낙하하여 원활하게 믹싱챔버(80) 내부로 유입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제3스크류(90)는 상기 믹싱챔버(50)의 내측에서 별도의 스크류 구동기(미도시)에 의해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주재료와 첨가제를 혼합하면서 믹싱챔버(80)의 축방향 전방으로 이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3스크류(90)는 제1스크류(30) 및 제2스크류(40)와 동일하게 원형 단면을 갖는 몸체의 외주면에 나선형 블레이드(91)가 축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주재료와 첨가제를 혼합하면서 전방으로 이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3스크류(90)는 상기 제1스크류(30) 및 제2스크류(40)보다 큰 직경을 갖는데, 제3스크류(90)의 외경은 믹싱챔버(80)의 내경보다 약간 작다.
이와 같이 구성된 두번째 실시예의 이액형 그라우트 혼합 공급장치는 주재료챔버(10)와 첨가제챔버(20)를 통해서 설정된 중량비로 주재료와 첨가제가 믹싱챔버(80)로 공급되고, 믹싱챔버(80) 내부로 공급된 주재료와 첨가제는 제3스크류(90)에 의해 혼합되면서 점차적으로 전방으로 이송되어 타설용 배관을 통해 현장에 타설된다.
이러한 두번째 실시예의 이액형 그라우트 혼합 공급장치는 주재료챔버(10)와 첨가제챔버(20)로부터 설정된 비율로 배출된 주재료와 첨가제를 주재료챔버(10) 및 첨가제챔버(20)보다 큰 직경의 믹싱챔버(80) 내에서 제3스크류(90)로 이송하므로, 액상보다 상대적으로 큰 압력이 필요한 분말형의 첨가제를 주재료와 혼합하여 이송하는 경우에 적합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이액형 그라우트 혼합 공급장치는, 주재료와 첨가제가 서로 분리된 주재료챔버(10) 및 첨가제챔버(20)에 공급된 후, 배합비에 따라 정해진 속도로 회전하는 제1스크류(30)와 제2스크류(40)에 의해 이송되어 믹싱챔버(80) 내로 정해진 배합비로 공급된다. 따라서, 주재료와 첨가제를 믹싱챔버(80) 내에서 정해진 배합비로 정확하게 혼합하여 현장에 타설할 수 있게 되므로 그라우트의 성능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에서 설명된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부가 및 변형이 가능할 것임은 당연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형태들 역시 아래에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10 : 주재료챔버 11 : 주재료 유입구
12 : 주재료 배출구 20 : 첨가제챔버
21 : 첨가제 유입구 22 : 첨가제 배출구
30 : 제1스크류 40 : 제2스크류
50 : 믹싱챔버 60 : 프로펠러
71: 제1구동모터 72 : 제2구동모터
73 : 제어부 75 : 구동모터
76 : 기어박스 77 : 제어부
80 : 믹싱챔버 90 : 제3스크류

Claims (13)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물에 시멘트가 혼합된 주재료가 유입되는 주재료챔버와;
    상기 주재료챔버와 분리되게 설치되며, 첨가제가 유입되는 첨가제챔버와;
    상기 주재료챔버 내부에 주재료챔버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운동하도록 설치되어 주재료를 주재료챔버의 축방향으로 이송하는 제1스크류와;
    상기 첨가제챔버 내부에 첨가제챔버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운동하도록 설치되어 첨가제를 첨가제챔버의 축방향으로 이송하는 제2스크류와;
    상기 주재료와 첨가제의 배합비에 따라 상기 제1스크류와 제2스크류를 서로 다른 회전 속도로 회전시키는 스크류 구동기와;
    일단부가 상기 주재료챔버의 배출구와 상기 첨가제챔버의 배출구에 직접 연결되는 통형상의 믹싱챔버와;
    상기 믹싱챔버 내측에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주재료와 첨가제를 혼합하면서 믹싱챔버의 축방향으로 이송하는 제3스크류;
    를 포함하며,
    상기 믹싱챔버는 상기 주재료챔버와 첨가제챔버의 내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며, 상기 제3스크류는 상기 제1스크류 및 제2스크류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상기 주재료챔버의 배출구와 첨가제챔버의 배출구는 믹싱챔버의 일단부의 중심보다 상측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액형 그라우트의 혼합 공급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 구동기는,
    상기 제1스크류에 연결되어 제1스크류를 회전시키는 제1구동모터를 구비한 제1구동부와;
    상기 제2스크류에 연결되어 제2스크류를 회전시키는 제2구동모터를 구비한 제2구동부와;
    상기 제1구동모터와 제2구동모터로 인가되는 제어신호를 통해 제1스크류와 제2스크류의 회전속도를 다르게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액형 그라우트의 혼합 공급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 구동기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와 상기 제1스크류 및 제2스크류 사이에 설치되어 구동모터의 동력을 제1스크류 및 제2스크류로 전달하는 기어박스와;
    상기 구동모터에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액형 그라우트의 혼합 공급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박스는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을 제1스크류와 제2스크류에 서로 다른 기어비로 전달하여 제1스크류와 제2스크류의 회전 속도를 다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액형 그라우트의 혼합 공급장치.
KR1020160051601A 2016-04-27 2016-04-27 이액형 그라우트의 혼합 공급장치 KR1018631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1601A KR101863175B1 (ko) 2016-04-27 2016-04-27 이액형 그라우트의 혼합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1601A KR101863175B1 (ko) 2016-04-27 2016-04-27 이액형 그라우트의 혼합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2523A KR20170122523A (ko) 2017-11-06
KR101863175B1 true KR101863175B1 (ko) 2018-06-01

Family

ID=60384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1601A KR101863175B1 (ko) 2016-04-27 2016-04-27 이액형 그라우트의 혼합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317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90655B1 (en) * 2016-03-28 2017-10-17 Polymer Technologies Worldwide, Inc. System and method of stabilizing soil
KR102306281B1 (ko) * 2020-11-12 2021-09-29 주식회사 더드림이앤씨 초음파를 이용한 그라우트 주입 시스템
CN115770507B (zh) * 2022-12-02 2024-05-28 重庆大学 一种注浆的双液浆混料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05980A (ja) 2000-10-02 2002-04-10 Sumitomo (Shi) Construction Machinery Manufacturing Co Ltd 連続固化処理装置
KR200381995Y1 (ko) 2005-01-26 2005-04-19 김동환 재생골재 연속세척장치
JP2014509240A (ja) * 2010-10-19 2014-04-17 アイ2アイシー コーポレイション 粒子の濃度に変化があるオブジェクト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5764B1 (ko) 2000-09-26 2004-01-24 유창열 콘크리트 균열부의 이액형 약액 주입용 펌핑장치
KR100890456B1 (ko) 2007-09-05 2009-03-26 삼원특수(주) 오버잇 기능을 구비한 그라우트 인젝션 펌프
KR100918139B1 (ko) 2009-02-23 2009-09-17 (주)두루하이텍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보수 및 보강을 위한 이액형 주입재의 주입 장치
KR101221347B1 (ko) * 2010-07-14 2013-01-11 현대엠코 주식회사 제관기의 몰탈 주입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05980A (ja) 2000-10-02 2002-04-10 Sumitomo (Shi) Construction Machinery Manufacturing Co Ltd 連続固化処理装置
KR200381995Y1 (ko) 2005-01-26 2005-04-19 김동환 재생골재 연속세척장치
JP2014509240A (ja) * 2010-10-19 2014-04-17 アイ2アイシー コーポレイション 粒子の濃度に変化があるオブジェクト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2523A (ko) 2017-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698001B (zh) 混合器、用于施加建造材料的系统和用于由建筑材料制造结构的方法
US5122038A (en) High density grout pump
KR101863175B1 (ko) 이액형 그라우트의 혼합 공급장치
KR102028565B1 (ko) 몰타르 연속 믹서기
KR101738297B1 (ko) 시멘트 혼합장치
KR101215784B1 (ko) 레미콘 믹서트럭의 믹싱장치
JP6626144B2 (ja) 管路ミキサ及びこれを用いた混合物の製造供給方法
CN106179018B (zh) 一种高效拌合装置
EP2586581A1 (en)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of a cement agglomerate and corresponding method
CN107020692A (zh) 一种制备可固化土的成套设备
CN108214913A (zh) 一种高效对流式建筑混凝土搅拌装置
HU215376B (hu) Berendezés szivattyúzható habarcs és hasonló anyagok építkezési helyszínen történő előállítására
SE525017C2 (sv) Anordning och förfarande för kontinuerlig tillblandning av lättbetong samt användning av en kombinerad transport- och blandningsskruv i en sådan anordning
JP5797939B2 (ja) 既設管の更生方法、圧送ポンプ、及び裏込め材供給装置
CN110201621B (zh) 一种管式改性沥青混料机
CN108466365A (zh) 一种搅拌均匀的混凝土搅拌机
CN108247836A (zh) 一种自循环式混凝土搅拌装置
JP2003191224A (ja) 生コンクリート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CN206108442U (zh) 防堵塞二次构造柱细石混凝土输送机
CN214136658U (zh) 一种透水混凝土现场搅拌装置
CN207359348U (zh) 一种可以自动投料的混凝土搅拌机
KR20180088546A (ko) 혼합처리장비에 설치되어 연약지반개량용 분체 고화제를 1.5 shot 방식으로 공급하여 교반하는 교반축 및 그 교반축을 이용한 혼합처리공법
CN212554462U (zh) 混凝土搅拌投料装置
CN211306841U (zh) 一种用于建筑工程的搅拌装置
EP0733451A2 (en) A concrete mixer, in particular for the building tra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