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0456B1 - 오버잇 기능을 구비한 그라우트 인젝션 펌프 - Google Patents

오버잇 기능을 구비한 그라우트 인젝션 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0456B1
KR100890456B1 KR1020070090101A KR20070090101A KR100890456B1 KR 100890456 B1 KR100890456 B1 KR 100890456B1 KR 1020070090101 A KR1020070090101 A KR 1020070090101A KR 20070090101 A KR20070090101 A KR 20070090101A KR 100890456 B1 KR100890456 B1 KR 1008904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ver
hardener
main body
injection
injection p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0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5055A (ko
Inventor
김동일
Original Assignee
삼원특수(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원특수(주) filed Critical 삼원특수(주)
Priority to KR10200700901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0456B1/ko
Publication of KR200900250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50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04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04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19/00Machines or pumps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17/00
    • F04B19/04Pumps for special us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15/00Pumps adapted to handle specific fluids, e.g. by 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for pumps or pump parts
    • F04B15/02Pumps adapted to handle specific fluids, e.g. by 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for pumps or pump parts the fluids being viscous or non-homogeneo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17/00Pump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 F04B17/03Pump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driven by electric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53/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23/00 or F04B39/00 - F04B47/00
    • F04B53/10Valves; Arrangement o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10/00Working fluid
    • F05B2210/10Kind or type
    • F05B2210/11Kind or type liquid, i.e. incompres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60/00Function
    • F05B2260/60Fluid transf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7/00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균열이 발생한 각종 구조물 및 건축물의 콘크리트 벽체에 발생된 균열 틈새에 에폭시와 경화제 등의 약품을 충입/경화시켜 벽체를 보수/보강시킬 때 사용되는 균열된 콘크리트 벽체 보수/보강용 그라우트 인젝션 펌프에 관련된 것이다. 아울러,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에 전동력에 의한 펌프 작용에 의하여 약액을 주입시키는 이액형 주입용 펌프에 관련된 것이다. 특히, 실린더 일측과 연결되며 상기 오버잇 기능을 수행하는 오버잇 밸브와 상기 경화제가 투입되는 약액용기 하부를 볼트 지지하는 브라켓 일측을 연결하여 구성하는 튜브 형상의 오버잇 라인을 포함하는 오버잇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할 경우에는, 약액의 주입 완료시 또는 약액 주입 과정 중 사용자가 잠시 자리를 비울 경우, 혼합된 약액이 특성상 수분 이내에 굳어짐에 따라 빠른 시간내에 주입건을 해체시킨 후 혼합실 내부를 세척해야 하는 인젝션 작업시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인젝션, 펌프, 이액형, 노즐, 실린더

Description

오버잇 기능을 구비한 그라우트 인젝션 펌프 {Double type grout injection pump having the function of over-eat }
본 발명은 균열이 발생한 각종 구조물 및 건축물의 콘크리트 벽체에 발생된 균열 틈새에 에폭시와 경화제 등의 약품을 충입/경화시켜 벽체를 보수/보강시킬 때 사용되는 균열된 콘크리트 벽체 보수/보강용 그라우트 인젝션 펌프에 관련된 것이다. 아울러,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에 전동력에 의한 펌프 작용에 의하여 약액을 주입시키는 이액형 주입용 펌프에 관련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벽체는 눈, 비, 바람 등과 같은 자연 환경은 물론, 하중이나 진동 및 충격과 같은 인위적인 여러 원인에 의해 손상을 입거나 노후되면서 균열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며, 이와 같이 손상되고 노후화된 콘크리트 벽체는 시간의 흐름에 비례하여 구조내력, 내구성, 방수성 등 모든 기능이 현저하게 저하된다.
따라서, 모든 콘크리트 벽체는 그 신축 단계에서부터 철거에 이르기까지 그 사용 상태가 유지되는 동안에는 균열 방지를 위한 모든 대책과 보수/보강 작업이 지속되어야 하며, 이와 같은 균열 벽체를 보수/보강하는 방안의 하나로써 벽체의 균열 부위를 따라 약품 주입기를 소정 간격으로 박아놓고 이를 이용하여 에폭시와 경화제 등 2종류의 약품을 고르게 혼합하여 균열 틈새에 충입/경화시키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상기 벽체의 균열 틈새에 약품을 충입하고 경화시키는 보수 공법에 있어서 그라우트 인젝션 펌프가 널리 쓰이는데, 그라우트 인젝션 펌프는 주제와 경화제가 혼합된 상태에서 사용하는 에폭시나 지수제를 고압으로 인젝션하여 균열 부위로 약액을 주입할 때 사용하는 펌프를 말한다.
따라서, 건물의 벽 천장 또는 다리 구조물에 발생되눈 균열 부위의 틈새에 주제와 경화제가 혼합된 에폭시를 강제 투입시켜 에폭시의 응고시 균열 틈새를 밀봉 또는 점착력으로 방수 및 더 이상의 균열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인젝션 펌프는 주제와 경화제를 한 개의 약액통에 혼합된 상태에서 주입하는 일액형과 주제와 경화제를 별 개의 약액통에 저장 후 주입건으로 유입시 혼합이 되도록 구성한 이액형으로 나뉘어진다.
이 중, 이액형 기기에 대한 종래 기술을 살펴보면, 도 1에서와 같이, 이액형 약액 주입용기에 있어서, 펌핑장치(P)를 고정하는 본체(90) 일측에, 내측에 제공된 피스톤 부재(12)의 수평 왕복 이동시 전방단에 수직하게 결합된 펌프(20)를 작동시켜 펌프(20) 하단과 공급관체(40)를 통해 연결된 세척통(30)의 세척액을 펌프(20)의 상측단과 연결된 세척라인(70)을 통해 세척액을 주입건(60)으로 공급하도록 하는 실린더(10)와, 실린더(10)의 후방에서 일단이 본체(90)에 힌지(52) 고정되고, 그 윗쪽이 상기 피스톤부재(12)의 후단부와 힌지(54)되어 전후방 조작시 피스톤부재(12)를 전후진시키게 되는 회동레버(50)를 구비하고, 상기 주입건(60) 회동시 주 입건(60)의 혼합실 통로와 세척라인(70)이 연통되도록 하는 밸브(80)를 제공하는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이 같은 이액형 약액 주입용 펌핑장치는, 주제와 경화제가 주입건의 몸체 내에서 혼합됨과 동시에 노즐을 통해 콘크리트 균열 틈새로 주입되게 되는데, 이 때 약액의 주입이 완료되게 되면 혼합된 약액이 특성상 수분 이내에 굳어짐에 따라 빠른 시간내에 주입건을 해체시킨 후 혼합실 내부를 세척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또한 종래에는 사용자가 이액형 기기 사용중 화장실에 간다든지 전화를 받는 등의 용무로 잠깐 자리를 비울 경우에는 주입되는 약액을 바닥에 방사하는 등의 작업이 필요했었다. 또는 굳어버린 건 내부 및 실린더와 같은 경화된 부분 내부로 신나를 뿌려서 세척하는 등의 추가 작업이 필요했었다.
상기한 도 1 구조에서는 이를 위하여 세척라인을 형성하였으나, 이를 위하여는 별도의 혼합실, 세척라인 및 세척 밸브 등을 구비하여야 하므로 장치의 복잡성이 커진다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또한, 약액 용기 및 호스라인을 본체 좌우측으로 배치 구성함에 따라 전체 사이즈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어 협소한 공간에서의 작업시 불편함이 수반될 수 밖에 없었다.
또한, 펌핑모터를 펌프 기기의 내측으로 안치하기 위한 공간의 확대 및 이를 지지하고 보호하기 위한 커버를 구비하여야 하므로 전체 펌프 기기 사이즈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약액의 주입 완료시 혼합된 약액이 특성상 수분 이내에 굳어짐에 따라 빠른 시간내에 주입건을 해체시킨 후 혼합실 내부를 세척해야 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경화를 억제할 수 있는 기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약액 용기 및 호스라인을 본체 전면부에 나란히 배치 구성함에 따라 전체 사이즈가 커지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협소한 공간에서의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펌핑모터를 펌프 기기의 내측으로 안치하기 위한 공간의 확대 및 이를 지지하고 보호하기 위한 커버 구성이 필요없어 제작 간편성을 꾀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본체에 구비되는 펌핑장치에 의하여 펌핑시켜 각기 실린더를 통하여 유입되는 주제와 경화제를 호스라인을 통해 주입건에서 혼합시킴과 동시에 혼합된 약액을 보수를 요하는 콘크리트 균열 틈새로 토출시키는 이액형 그라우팅 인젝션 펌프에 있어서, 상기 펌핑장치 중 구동기어에 맞물린 두 개의 캠 연결부재에 각각 연결되며 본체 내부로 구성되어 내부로는 상기 주제와 경화제 각각의 이동유로를 형성하는 두 개의 실린더를 일정 간격을 유지한 채 수평 방향으로 나란하게 하여 구성하고, 상기 두 개의 실린더와 연결되며 본체 일측과 연결되는 두 개의 노즐 연결부를 본체 전방면 외측으로 구성하며, 상기 본체 선단부 상면에는 주제와 경화제 공급, 세척 및 오버잇(over-eat)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다수개의 밸브를 형성하고, 상기 두 개의 실린더 중 경화제가 유동하는 실린더 일측과 상기 오버잇 기능을 수행하는 오버잇 밸브를 연결하는 튜브 형상의 오버잇 라인을 포함하는 오버잇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두 개의 실린더 선단에는 주제와 경화제 혼합 및 외부 방사를 위하여 노즐로 약액을 공급하기 위한 주입건을 구비하고, 상기 주입건 몸체 양측으로는 볼 및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주제 및 경화제 체크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입건 몸체 선단면에는 수평 방향으로 나란히 두 개의 홀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홀 전방면으로는 주제와 경화제가 혼합되는 혼합부재를 구성하고, 상기 혼합부재 내부로는 스크류 형상의 혼합기구를 더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혼합기구는 10㎝ 내지 30㎝ 길이로 구성하며 합성 플라스틱 재질의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이액형 기기 사용시에는, 약액의 주입 완료시 혼합된 약액이 특성상 수분 이내에 굳어짐에 따라 빠른 시간내에 주입건을 해체시킨 후 혼합실 내부를 세척해야 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주제와 경화제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일액형 장비의 단점인 펌핑 작업 중 약액의 경화로 작업이 중단되는 문제점이 없으며 주입압과 토출량을 자유 자재로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약액 용기 및 호스라인을 본체 전면부에 나란히 배치 구성함에 따라 전체 사이즈가 커지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협소한 공간에서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펌핑모터를 펌프 기기의 내측으로 안치하기 위한 공간의 확대 및 이를 지지하고 보호하기 위한 커버 구성이 필요없어 제작 간편성을 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상세한 설명 및 자세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그라우트 인젝션 펌프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그라우트 인젝션 펌프의 하부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오버잇 부재를 포함한 인젝션 펌프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주입건 및 혼합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6a는 주입건 몸체부 유입관 내부에 인입되는 체크밸브 구성도, 도 6b는 혼합부재 내부로 인입하는 혼합기구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그라우트 인젝션 펌프 동작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그라우트 인젝션 펌프 동작의 다른 일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그라우트 인젝션 펌 프(100)의 구성은 본체(200), 구동부 및 노즐부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200)는 펌프(100)를 구성하는 다수개의 부품을 연결하며 이를 지지하는 구조체인 베이스 프레임(210) 및 이를 지지 연결하는 지지체를 말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본체(200) 수평면 또는 수직면으로는 다수개의 부재를 상호 기능적으로 연결시키는 다수개의 홀(미도시됨)이 형성되어 있다.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구동부(300)는 상기 본체(200) 상면 일측에 설치되며 외부 전기 전원에 연결되어 작동되는 구동모터(310)와, 상기 구동모터(310)의 구동축(311)과 캠 샤프트(330)를 서로 맞물리게 하여 캠의 회전력을 생성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210) 내부에 안치되는 구동기어(320)와, 상기 구동기어(320)에 연결되고 상기 캠의 회전력에 연동되어 수평 방향의 왕복 직선 운동을 수행하는 캠 연동부재(340),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210) 내부에 안치되는 피스톤부재(352) 및 실린더(362)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실린더(362)는 본체(200) 일측에 제공된 브래킷에 의하여 고정되며, 내측에는 피스톤부재(352)가 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게 되고, 후방단은 수직한 상기 펌프(100)의 외측 중앙부가 연통되어 고정된다.
상기 노즐부는 상기 실린더(362)와 연결되며 출력되는 약액의 양과 분사압을 조절하기 위한 다수개의 체크밸브를 포함하는 노즐연결부(500)와, 상기 본체(200)의 어느 일측면 프레임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노즐연결부(500)로 약액을 공급하는 약액용기(620)를 수용하고 고정하기 위한 약액 용기 결합부(600)와, 상기 약액 용기(620)로부터 유입되어 노즐부 끝단인 끝단인 오리피스 형상의 노즐체로 분사되는 혼합액을 형성하기 위한 약액 혼합부재(71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외부 구동 모터, 구동 방법 및 노즐 구성은 이미 공지되어 있는 부분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간단하게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인젝션 펌프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이액형 기기이므로 캠 부재, 피스톤부재, 실린더, 노즐연결부, 약액용기 등이 두 개로 구성되어 주제 및 경화제가 혼합되기 전에는 각각 별도의 실린더 및 이동유로를 따라서 유동하게 된다.
먼저, 구동모터(310)를 외부 전원에 인가, 즉 펌프 스위치를 온(ON),하여 펌프(100)를 동작시킨다. 이에 따라서 구동모터(310)가 작동하게 되고, 이와 맞물린 구동기어(320)가 연동하여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서 상기 구동기어(320)에 맞물린 캠샤프트(330)를 구동축(321)을 기준으로 하여 본체(200) 내부 양단면에 설치된 캠 샤프트(330) 및 캠 연동부재(340)가 동시에 바깥 방향으로 회전하여 구동한다.
이에 따라서, 피스톤부재(351, 352) 및 실린더(361, 362)의 수평직선 운동이 매개된다. 이와 동시에 주제와 경화제 주입을 위한 체크밸브(510, 520)를 열어주면 주제(670)와 경화제(680)가 각기 실린더(361, 362) 내부로 유입된다. 유입된 주제(670)와 경화제(680)는 이동유로(690)를 따라서 주입건(900) 몸체부(910) 내부로 유입되고 유입된 주제(670)와 경화제(680)는 고속으로 유입된 유체 흐름 특성상 서로 만나는 지점에서 강한 난류 및 와류 흐름을 생성하게 되고 생성된 와류는 주입건(900) 선단면에 형성된 혼합부재(710) 내부로 유동하여 노즐로 유입된다.
상기 주입건(900) 몸체부(910)로 좌우 방향에서 유입되는 주제와 경화제 흐름이 만나게 되고 고압 유체 특성상 서로 부딪히는 주제(670)와 경화제(680)가 강 한 와류를 형성하여 혼합부재(710)를 거치면서 신속하게 서로 혼합이 된다. 이 경우, 주제와 경화제가 굳는 시간은 30초 내지 60초 사이이므로 최대한 빠른 시간 내 서로 완전하게 혼합이 되도록 하여야 한다.
이 경우, 상기 혼합부재(710) 내부로는 혼합 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합성플라스틱으로 형성하는 스크류 형상의 혼합기구(711)를 인입하여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서 소정 길이를 갖는 노즐 끝단인 노즐체에서 외부로 방사하게 된다. 사용자가 보수 작업을 완료하게 되면 펌프 스위치를 off하여 동작을 멈추게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주입건 몸체부(910) 선단의 혼합부재(710) 내부로 스크류 형상의 혼합기구(711)를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흐르는 유체의 난류 흐름을 유도하여 주제(670)와 경화제(680)가 완전하게 섞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며, 상기 스크류 형상의 혼합기구(711)는 합성 플라스틱으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서 주제와 경화제가 섞이는 강도를 높일 수 있게 되므로 주입건(900) 선단부를 구성하는 혼합부재(710) 길이도 기존 구성보다 작게 하여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주입건(900) 몸체부(910) 좌우측으로 형성된 유입관(930) 내부로 이동유로(690)를 따라서 주제와 경화제가 밀려 들어오는데, 이 경우 유입관(930) 내부홀 구조인 유입구 내측면으로는 볼(941) 및 스프링(942)으로 구성된 체크밸브(940)를 구성하여 주제(670)와 경화제(680)가 별도로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주입건(900) 몸체부(910) 내부에서 약액이 경화되는 문제를 방지한다.
또한, 상기 혼합부재(710) 일측의 나사산(712) 연결부와 연결되는 몸체 부(910) 선단면 형상은 두 개의 홀(920)을 수평 방향으로 형성하여 주제와 경화제가 섞여서 굳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오버잇 기능을 갖는 그라우트 인젝션 펌프의 오버잇 동작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체(200) 선단부 상면으로는 다수개의 밸브가 형성된다. 상기 밸브 중 좌측 및 우측 밸브는 주제와 경화제를 각각의 실린더(361, 362)에 공급하기 위한 체크밸브(미도시됨)이며, 중앙으로 형성된 밸브 중 하나는 경화제의 오버잇(Over-eat) 밸브(233)이다.
오버잇 기능을 위한 밸브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노즐연결부(500) 일단 상면에 형성된 주제와 경화제 주입밸브(510, 520)가 열린 상황에서는 경화제 주입밸브(520)를 닫힘 상태로 하여 돌려놓고 오버잇 밸브(233)를 열어준다. 이에 따라서 상기 주입건(900)으로 유입되는 경화제(680) 흐름이 차단되고 주제(670)만이 실린더(361)를 통하여 공급되어 주입건(900)으로 유입되어 남아있는 경화제(680)와 함께 혼합되어 노즐을 통하여 콘크리트 균열 틈새와 같은 필요 부위에 공급된다. 이와 같은 원리를 응용하면, 이액형 기기이면서도 오버잇 밸브(233)를 열어주고 경화제 주입용 밸브(520)를 닫음(off) 상태로 유지한 채 일핵형 용도로도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오버잇 부재(800)는 상기한 오버잇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실린더 중 경화제가 유동하는 실린더(362) 일측과 상기 오버잇 기능을 수행하는 오버잇 밸브(233)를 연결하여 구성하는 튜브 형상의 오버잇 라인(810)을 포함한 다.
상기 오버잇 부재(800) 동작은 다음과 같다. 먼저 경화제 주입용 밸브(520)를 닫고 오버잇 밸브(233)를 열어준다. 이에 따라서 상기 주입건(900) 내부로는 이미 유입된 경화제와 계속 유입되는 주제 흐름만이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유입되는 주제의 압에 따른 흐름에 따라서 남아있는 경화제와 혼합되거나 주제만의 방사가 가능하도록 하여 주입건(900) 및 혼합부재(710) 내부에서 주제와 경화제 혼합에 따른 약액의 경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즉, 종래처럼 약액의 경화에 따라서 주입건(900) 분해 후 세척 및 별도의 세척부재를 사용하지 않고도 필요에 따라서 편리하게 이액형 인젝션 펌핑 작업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다른 이액형 인젝션 펌프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그라우트 인젝션 펌프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그라우트 인젝션 펌프의 하부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오버잇 부재를 포함한 인젝션 펌프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주입건 및 혼합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6a는 주입건 몸체부 유입관 내부에 인입되는 체크밸브 구성도.
도 6b는 혼합부재 내부로 인입하는 혼합기구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그라우트 인젝션 펌프 동작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그라우트 인젝션 펌프 동작의 다른 일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
100: 인젝션 펌프 200: 본체
210: 베이스 프레임 233: 오버잇밸브
310: 구동모터
311: 구동축 320: 구동기어
330: 캠샤프트 340: 캠 연동부재
351, 352: 피스톤부재 361, 362: 실린더
500: 노즐 연결부 510: 주제 주입용 밸브
520: 경화제 주입용 밸브 600: 약액용기 결합부
610, 620: 약액용기 670: 주제
680: 경화제 690: 이동유로
710: 혼합부재 711: 혼합기구
800: 오버잇 부재 810: 오버잇 라인
900: 주입건 910: 몸체부
920: 홀 930: 유입관
940: 체크밸브

Claims (5)

  1. 본체에 구비되는 펌핑장치에 의하여 펌핑시켜 각기 실린더를 통하여 유입되는 주제와 경화제를 호스라인을 통해 주입건에서 혼합시킴과 동시에 혼합된 약액을 보수를 요하는 콘크리트 균열 틈새로 토출시키는 이액형 그라우팅 인젝션 펌프에 있어서,
    상기 펌핑장치 중 구동기어에 맞물린 두 개의 캠 연결부재에 각각 연결되며 본체 내부로 구성되어 내부로는 상기 주제와 경화제 각각의 이동유로를 형성하는 두 개의 실린더를 일정 간격을 유지한 채 수평 방향으로 나란하게 하여 구성하고, 상기 두 개의 실린더와 연결되며 본체 일측과 연결되는 두 개의 노즐 연결부를 본체 전방면 외측으로 구성하며, 상기 본체 선단부 상면에는 주제와 경화제 공급, 세척 및 오버잇(over-eat)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다수개의 밸브를 형성하고, 상기 두 개의 실린더 중 경화제가 유동하는 실린더 일측과 상기 오버잇 기능을 수행하는 오버잇 밸브를 연결하는 튜브 형상의 오버잇 라인을 포함하는 오버잇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두 개의 실린더 선단에는 주제와 경화제 혼합 및 외부 방사를 위하여 노즐로 약액을 공급하기 위한 주입건을 구비하고, 상기 주입건 몸체 양측으로는 볼 및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주제 및 경화제 체크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주입건 몸체 선단면에는 수평 방향으로 나란히 두 개의 홀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잇 기능을 갖는 이액형 그라우트 인젝션 펌프.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홀 전방면으로는 주제와 경화제가 혼합되는 혼합부재를 구성하고, 상기 혼합부재 내부로는 스크류 형상의 혼합기구를 더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잇 기능을 갖는 이액형 그라우트 인젝션 펌프.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기구는 10㎝ 내지 30㎝ 길이로 구성하며 합성 플라스틱 재질의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잇 기능을 갖는 이액형 그라우트 인젝션 펌프.
KR1020070090101A 2007-09-05 2007-09-05 오버잇 기능을 구비한 그라우트 인젝션 펌프 KR1008904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0101A KR100890456B1 (ko) 2007-09-05 2007-09-05 오버잇 기능을 구비한 그라우트 인젝션 펌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0101A KR100890456B1 (ko) 2007-09-05 2007-09-05 오버잇 기능을 구비한 그라우트 인젝션 펌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5055A KR20090025055A (ko) 2009-03-10
KR100890456B1 true KR100890456B1 (ko) 2009-03-26

Family

ID=40693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0101A KR100890456B1 (ko) 2007-09-05 2007-09-05 오버잇 기능을 구비한 그라우트 인젝션 펌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045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2523A (ko) 2016-04-27 2017-11-0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이액형 그라우트의 혼합 공급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81538A (zh) * 2018-05-31 2018-09-04 广西宏发重工机械有限公司 一种注浆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09578A (ja) * 1996-02-02 1997-08-12 Japan Found Eng Co Ltd 構築体のクラックに対する補修システム
KR20000012271A (ko) * 1999-11-11 2000-03-06 유성권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보수용 에폭시수지 주입장치
KR20010000393A (ko) * 2000-09-26 2001-01-05 유창열 콘크리트 균열부의 이액형 약액 주입용 펌핑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09578A (ja) * 1996-02-02 1997-08-12 Japan Found Eng Co Ltd 構築体のクラックに対する補修システム
KR20000012271A (ko) * 1999-11-11 2000-03-06 유성권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보수용 에폭시수지 주입장치
KR20010000393A (ko) * 2000-09-26 2001-01-05 유창열 콘크리트 균열부의 이액형 약액 주입용 펌핑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2523A (ko) 2016-04-27 2017-11-0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이액형 그라우트의 혼합 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5055A (ko) 2009-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8139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보수 및 보강을 위한 이액형 주입재의 주입 장치
KR100890456B1 (ko) 오버잇 기능을 구비한 그라우트 인젝션 펌프
CA2838882C (en) System of tying, cleaning and re-cementing masonry using port anchors
KR102259049B1 (ko) 시멘트용 방수액 제조장치
KR20100009968A (ko) 초음파를 이용한 그라우팅 장치
KR102283332B1 (ko) 이액형 아크릴 약액 주입기
KR20010104427A (ko) 이액형 수지 토출기
KR100415764B1 (ko) 콘크리트 균열부의 이액형 약액 주입용 펌핑장치
KR102539653B1 (ko) 이동식 콘크리트 보수재 주입장치
CN109072697B (zh) 用于岩石加固的方法和设备
KR101179241B1 (ko) 회전식 주입재 진동 주입장치
KR200352499Y1 (ko) 균열된 콘크리트 벽체 보수/보강용 약품 주입기
KR101342897B1 (ko) 방수액 공급용 인젝션 펌프
KR20010107911A (ko) 균열부 보수 및 보강용 이액형 약액 주입기
JP2018038948A (ja) 止水液混合注入システム、止水液混合注入プラグ及びセメント系組成体構造物の止水工法
KR200267891Y1 (ko) 세척기가 구비된 이액형 약액 주입용 펌핑장치
KR20090007750U (ko) 소형 시멘트 그라우팅 장치
JP3340977B2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補修箇所に補修材を注入する方法及び注入プラグ
KR102524279B1 (ko) 황산염부식 및 중성화가 진행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 공법
KR20110125692A (ko) 약액로 세척 가능한 그라우트 인젝션 펌핑기
KR102344570B1 (ko) 현장시공용 거품단열재 발포장치
KR102238513B1 (ko) 그라우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그라우팅 공법
CN117127838A (zh) 一种既有混凝土结构体修补材料注入装置
KR200238556Y1 (ko) 세척기능을 갖는 이액형 약액 주입기
CN214725284U (zh) 一种建筑施工混凝土混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