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9653B1 - 이동식 콘크리트 보수재 주입장치 - Google Patents

이동식 콘크리트 보수재 주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9653B1
KR102539653B1 KR1020210082182A KR20210082182A KR102539653B1 KR 102539653 B1 KR102539653 B1 KR 102539653B1 KR 1020210082182 A KR1020210082182 A KR 1020210082182A KR 20210082182 A KR20210082182 A KR 20210082182A KR 102539653 B1 KR102539653 B1 KR 1025396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pair material
transfer
pressure regulator
tank
injection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21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00145A (ko
Inventor
이향동
이종우
Original Assignee
이향동
이종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향동, 이종우 filed Critical 이향동
Priority to KR10202100821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9653B1/ko
Priority to US17/386,874 priority patent/US11732491B2/en
Priority to JP2021129452A priority patent/JP2023004792A/ja
Priority to EP21191510.3A priority patent/EP4108853A1/en
Priority to CN202110959621.2A priority patent/CN115522758A/zh
Publication of KR202300001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01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96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96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03Arrangements for filling cracks or cavities in building constructions
    • E04G23/0211Arrangements for filling cracks or cavities in building constructions using inj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03Arrangements for filling cracks or cavities in build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04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comprising sensors for monitoring the delivery, e.g. by displaying the sensed value or generating an alarm
    • B05B12/006Pressure or flow rate sensors
    • B05B12/008Pressure or flow rate sensors integrated in or attached to a discharge apparatus, e.g. a spray gu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093At least a part of the apparatus, e.g. a container, being provided with means, e.g. wheels or casters for allowing its displacement relative to the grou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2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 B05B7/04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efore discharge
    • B05B7/0408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efore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two or more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2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means, e.g. a container,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discharge device
    • B05B7/26Apparatus in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different sources are brought together before entering the discharge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9/00
    • B05C11/10Storage, supply or control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Recovery of excess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C11/1002Means for controlling supply, i.e. flow or pressure,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the applying apparatus, e.g.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3/00Means for manipulating or holding work, e.g. for separate articles
    • B05C13/02Means for manipulating or holding work, e.g. for separate articles for particula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 B05C5/02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9/00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 B05C9/06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for applying two different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r the sam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wice, to the same side of the wor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1/00Multi-cylinder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1/005Pumps with cylinder axis arranged substantially tangentially to a circle centred on main shaft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1/00Multi-cylinder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1/02Multi-cylinder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two cylin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15/00Pumps adapted to handle specific fluids, e.g. by 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for pumps or pump parts
    • F04B15/02Pumps adapted to handle specific fluids, e.g. by 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for pumps or pump parts the fluids being viscous or non-homogeneo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17/00Pump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 F04B17/03Pump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driven by electric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17/00Pump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 F04B17/06Mobile combin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9/00Piston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or driven means to or from their working members
    • F04B9/02Piston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or driven means to or from their working members the means being mechanical
    • F04B9/04Piston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or driven means to or from their working members the means being mechanical the means being cams, eccentrics or pin-and-slot mechanisms
    • F04B9/045Piston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or driven means to or from their working members the means being mechanical the means being cams, eccentrics or pin-and-slot mechanisms the means being eccentr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02Manually-actuated controlling means, e.g. push buttons, levers or trig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에 주제와 경화재의 혼합물인 보수재를 일정하게 원활히 주입할 수 있고, 사용 모터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이동식 콘크리트 보수재 주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동식 바퀴와 손잡이가 구성되는 차대 프레임과; 상기 차대 프레임에 각각 탑재되며 약액인 주제와 경화제가 각각 저장되는 탱크와; 상기 탱크에 각각 저장된 약액인 주제와 경화제를 모터의 구동부 의해 펌핑하는 펌핑수단과; 상기 펌핑수단에 의해 약액인 주제와 경화제를 보수재로 믹싱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에 보수재를 주입하는 주입 노즐을 포함하는 이동식 콘크리트 보수재 주입장치에 있어서, 상기 펑핌수단과 주입 노즐의 사이에 양측으로 각각 분리 설치되어 상기 탱크로부터 약액을 공급받아 주입 노즐로 이송하는 약액 공급수단을 구성하되, 상기 펌핑수단에 연결되어 약액을 토출 작동시키는 실린더와 피스톤으로 구성되는 제1,2 작동블럭과; 상기 제1,2 작동블럭의 일측으로 연결 설치되어 탱크로부터 약액을 공급하는 제1,2 공급관과; 상기 제1.2 작동 블럭의 전방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주입 노즐로 약액을 이송하는 제1,2 이송관과; 상기 제1,2 이송관 중, 하나의 이송관에 접속 설치되어 약액의 토출압을 조절하도록 설치되는 압력조절기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2 이송관 내측에 설치되는 각각의 역류방지용 제1,2 체크밸브와, 상기 압력조절기와 연동 설치되는 제3 체크밸브의 조정으로 약액의 토출량을 조절하면서 보수재 주입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콘크리트 보수재 주입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이동식 콘크리트 보수재 주입장치{Removable Concrete reinforcement injecting device}
본 발명은 이동식 콘크리트 보수재 주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에 주제와 경화재의 혼합물인 보수재를 일정하게 원활히 주입할 수 있고, 사용 모터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이동식 콘크리트 보수재 주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의 건축물과 토목 구조물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균열이 발생하게 되며, 상기한 균열에 빗물 등의 이물질이 침투하게 되면 빗물이 모세관 현상에 의해 건축물 내부로 더욱 침투되어 온도변화 또는 압력 차이에 따른 부피 팽창으로 틈새를 더욱 확장시키거나 내부의 기초 구조물인 철근 등을 부식시키게 되어 심한 경우 구조물의 붕괴를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균열을 보수하기 위해 보수액을 주입하게 되며, 통상적으로 보수액 주입장치를 이용하여 보수액을 균열 안에 주입하여 보수하고 있다. 즉, 보수액 주입장치는, 예를 들어 주제와 경화제가 혼합된 에폭시를 강제 투입하여 에폭시가 응고하면서 균열을 밀봉하고 또는 에폭시가 점착력으로 방수 및 더 이상의 균열이 방지하도록 사용한다.
종래의 에폭시 주입 장치는 피스톤이 실린더 내부를 직선 왕복 이동하는 과정에서 주제와 경화제가 누출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의 해결을 위하여 피스톤에 다수의 고무나 실리콘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 지수링을 결합하여 사용하고 있지만 지수링의 재질의 특성상 마모가 발생되어 경시적으로 주제와 경화제의 누출이 발생되고 지수링의 이탈도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특허문헌으로 본 출원인에 의해 특허받은 등록특허 제10-2020009호가 있다. 상기 특허문헌은 이동식 바퀴와 손잡이가 구성되는 차대 프레임과; 상기 차대 프레임에 각각 탑재되며 내부에 주제와 경화제가 각각 저장되는 탱크와; 상기 탱크에 각각 저장된 주제와 경화제를 펌핑하는 펌핑수단과; 상기 펌핑수단에 의해 펌핑되는 주제와 경화제를 보수재로 믹싱하여 이 보수재를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에 주입하는 주입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펌핑수단은, 상기 차대 프레임에 각각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탱크와 배관으로 연결되어 상기 탱크에 저장된 주제와 경화제를 공급받는 제1,2실린더, 구동부를 구동원으로 하여 상기 제1,2실린더 내부를 직선 왕복 이동하여 상기 주제와 경화제를 각각 펌핑하는 제1,2피스톤, 상기 제1,2피스톤의 앞에 제1,2복귀스프링을 통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2피스톤의 전진시 주제와 경화제의 액압에 의해 전진하면서 둘레부를 통해 주제와 경화제를 각각 상기 주입 노즐에 공급하는 한편 상기 제1,2피스톤의 후진 시 주제와 경화제가 토출되는 토출홀을 막는 제1,2역류방지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1,2역류방지 밸브는 상기 토출홀을 개폐하는 제1,2밸브 몸체, 상기 제1,2밸브 몸체의 일측에 상기 제1,2 밸브 몸체보다 작은 외경으로 형성되는 제1,2코어부, 상기 제1,2코어부에 상기 제1,2코어부보다 작은 외경으로 형성되며 둘레부에 상기 제1,2복귀스프링의 일측이 결합되는 제1,2스프링 고정부, 상기 제1,2스프링 고정부의 내부에 상기 주입 노즐을 향해 개방 형성되며 상기 제1,2피스톤의 후진 시 주제와 경화제가 유입되어 상기 제1,2밸브 몸체의 후진을 도와주는 제1,2유도홈, 상기 제1,2코어부의 내부에 둘레부를 향해 개방되는 방사형으로 배열되면서 상기 제1,2유도홈과 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주제와 경화제의 정체로 인한 오염을 막아주는 제1,2유도공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이동식 이액형 보수재 주입 장치이며, 콘크리트 구조물을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보수가 필요한 균열부에 보수재를 주입하여 보수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보수재가 피스톤 및 실린더 내부에서 누출 문제 및, 지속적으로 작동되는 모터 출력 한계로 모터의 잔고장이 자주 발생하였으며, 보수재의 토출량의 조절이 일정치 않은 문제점이 있엇다.
이에 보수재의 토출량과 모터 구동 한계에 따른 조절이 가능한 개량형 보수재 주입장치를 필요로 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B1 10-2020009호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콘크리트 구조물을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균열부에서 피스톤의 펌핑 운동으로 주제와 경화제를 균열부에 주입하여 보수하고, 주제와 경화재의 확실한 역류 방지를 통해 주제와 경화제의 누출로 인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오염을 막고 장비의 손상도 방지하는 이동식 콘크리트 보수재 주입 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약액이 이동하는 경로상에 제1,2 체크밸브 및 제3 체크밸브와 연결된 압력조절기를 각각 구비케하여 일정한 약액의 토출량을 조절 할 뿐만 아니라, 모터 용량과 회전수에 따른 모터의 손상을 방지하는 이동식 콘크리트 보수재 주입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동식 바퀴와 손잡이가 구성되는 차대 프레임과; 상기 차대 프레임에 각각 탑재되며 약액인 주제와 경화제가 각각 저장되는 탱크와; 상기 탱크에 각각 저장된 약액인 주제와 경화제를 모터의 구동부 의해 펌핑하는 펌핑수단과; 상기 펌핑수단에 의해 약액인 주제와 경화제를 보수재로 믹싱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에 보수재를 주입하는 주입 노즐을 포함하는 이동식 콘크리트 보수재 주입장치에 있어서, 상기 펑핌수단과 주입 노즐의 사이에 양측으로 각각 분리 설치되어 상기 탱크로부터 약액을 공급받아 주입 노즐로 이송하는 약액 공급수단을 구성하되, 상기 펌핑수단에 연결되어 약액을 토출 작동시키는 실린더와 피스톤으로 구성되는 제1,2 작동블럭과; 상기 제1,2 작동블럭의 일측으로 연결 설치되어 탱크로부터 약액을 공급하는 제1,2 공급관과; 상기 제1.2 작동블럭의 전방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주입 노즐로 약액을 이송하는 제1,2 이송관과; 상기 제1,2 이송관 중, 하나의 이송관에 접속 설치되어 약액의 토출압을 조절하도록 설치되는 압력조절기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2 이송관 내측에 설치되는 각각의 역류방지용 제1,2 체크밸브와, 상기 압력조절기와 연동 설치되는 제3 체크밸브의 조정으로 약액의 토출량을 조절하면서 보수재 주입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콘크리트 보수재 주입장치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제1,2 작동블럭은 상기 펌핑수단과 핀 결합되는 제1,2 피스톤 로드와; 상기 제1,2 피스톤 로드가 결합되며, 길이방향의 양측이 각각 개방된 제1,2 실린더와; 제1,2 실린더의 후방에 끼움 결합되어 약액의 누출을 방지하는 오일씰과; 상기 제1,2 피스톤 로드가 관통되며, 오일씰의 바로 후방을 마감하도록 나사 결합되는 소켓을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제1,2 피스톤 로드는 그 일단 외주면에 오링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제1,2 피스톤 로드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오링은 제1,2 피스톤 로드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결합되는 적어도 3개의 오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2 이송관은 이송관 본체와; 약액이 이송되는 이송 통로와; 상기 이송 통로에는 통로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으로 형성되는 밸브 안착턱을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밸브 안착턱에는 통로를 개폐하는 역류방지 밸브와; 상기 역류방지 밸브와 밀착 연결되는 탄성스프링으로 구성되는 제1 체크밸브 및 제2 체크밸브로 각각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역류방지 밸브는 밸브 안착턱에 지지되어 이송 통로를 개폐하는 밸브 헤드부와; 밸브 헤드부의 연장된 일측에 작은 외경으로 형성되는 코어부와; 코어부에서 코어부 보다 더 작은 외경으로 형성되어 탄성스프링이 연결되는 스프링 고정부를 포함하고, 제1,2 체크밸브에 의한 역류방지 효과를 높이기 위한 구성으로, 스프링 고정부의 내부에 이동 통로를 향해 향해 개방되는 유도홈; 및 코어부의 내부에 형성되어 유도홈과 통하도록 형성되는 유도공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력조절기는 제1,2 이송관과 연결 접속하도록 연결되는 관 접속부와; 관 접속부의 후방으로 일정길이 방향 연장되는 관 연결부와; 차대 프레임 상부 일측으로 위치 고정되며, 상기 관 연결부와 연결 설치되어 상측으로 조절 스위치용 압력조절노브를 갖는 압력조절기 본체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력조절기가 연결되는 제1,2 이송관의 내측에는 이송관을 따라 이송되는 약액을 압력 차에 따라 약액을 조절하기 위한 제3 체크밸브를 더 구성하되, 제3 체크밸브는 상기 압력조절기의 조정으로 내부 밸브 개폐가 이루어지며, 보수재가 토출되는 주입 노즐의 일측에는 압력게이지를 더 설치하여 사용자가 압력게이지를 확인하면서 압력조절기를 조절하여 주입 노즐을 통한 보수재의 투입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탱크는 하부 바닥부에 적어도 4개 정도 돌출되는 돌출 연장부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 연장부는 내측으로 홈으로 형성되어 차대 프레임에 돌출 형성되는 돌기부에 대응하여 걸릴 수 있도록 하는 내부 안내홈이 더 형성되어 차대 프레임의 상부로 위치되는 탱크를 안정되게 거치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을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균열부에서 피스톤의 펌핑 운동으로 주제와 경화제를 균열부에 주입하여 보수하고, 주제와 경화재의 확실한 역류 방지를 통해 주제와 경화제의 누출로 인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오염을 막고 장비의 손상도 방지하는 이동식 콘크리트 보수재 주입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소형과 이동식의 특성을 이용하여 작업자가 주입장치를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로 자유롭게 운반하여 보수 현장에서 균열부에 보수재를 주입함으로써 보수가 매우 용이하고, 피스톤의 펌핑 과정에서 체크밸브가 신속하게 대응(복귀)하여 주제와 경화제의 역류를 확실하게 막아줌으로써 주제와 경화제의 누출로 인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오염과 장비의 손상을 방지하며 주재와 경화제의 손실도 막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피스톤 축에 수개의 오링 구조를 제공하여 마찰력을 최소화하면서 지속적이고 원활한 작동이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약액이 이동하는 경로상에 제1,2 체크밸브 및 제3 체크밸브와 연결된 압력조절기를 각각 구비케하여 일정한 약액의 토출량을 조절 할 뿐만 아니라, 압력조절기를 통하여 모터 용량과 회전수에 따른 모터의 손상을 방지하는 이동식 콘크리트 보수재 주입 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도 1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콘크리트 보소재 주입장치를 보인 실시 예로서,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콘크리트 보수재 주입장치를 보인 전체 사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콘크리트 보수재 주입장치에 따른 펌핑수단 및 약액 공급수단을 보인 개략 측면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콘크리트 보수재 주입장치에 따른 펌핑수단 및 약액 공급수단을 보인 개략 평면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콘크리트 보수재 주입장치에 따른 펌핑수단과 연결된 제1,2 피스톤 로드가 설치된 것을 보인 개략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콘크리트 보수재 주입장치에 따른 약액 공급수단에서 제1,2 작동블럭을 보인 요부 확대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콘크리트 보수재 주입장치에 따른 제1,2 작동블럿에서 제1,2 피스톤 로드를 보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콘크리트 보수재 주입장치에 따른 약액 공급수단에서 제1,2 이송관에 설치되는 제1,2 체크밸브의 요부를 보인 확대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콘크리트 보수재 주입장치에 따른 약액 공급수단에서 제1,2 체크밸브의 역류방지 밸브를 보인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콘크리트 보수재 주입장치에 따른 차대 프레임에 상부에서 탱크의 연결을 보인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콘크리트 보수재 주입장치에 따른 차대 프레임 후방에 설치되는 전원 및 연결코드부 접속포트를 보인 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10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콘크리트 보수재 주입장치를 보인 실시 예이다.
도 1 내지 도 7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콘크리트 보수재 주입장치는, 차대 프레임(10)와; 주제와 경화제가 각각 저장되어 주제와 경화제를 각각 공급하는 탱크(20)와; 탱크(20) 내부의 주제와 경화제를 분사하기 위하여 펌핑하는 펌핑수단(50)과; 펌핑수단(50)에 의해 펌핑되는 주제와 경화제를 믹싱하여 분사하는 주입 노즐(60)로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펌핑수단(50)과 주입 노즐(60)의 사이에 양측으로 각각 분리 설치되어 상기 탱크(20)로부터 약액을 공급받아 주입 노즐(60)로 이송하는 약액 공급수단(100)을 구성하게 된다.
차대 프레임(10)은 베이스 프레임(11)과, 베이스 프레임(11)의 바닥에서 설치되어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바퀴(13)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프레임(11)은 바닥부와 둘레부의 벽부에 의해 상부를 향해 개방되는 구조이며 내부에 펌핑수단(50)인 모터와 구동부가 설치된다.
또한, 바퀴(13)는 보수재의 주입 중에 본 발명의 장치가 이동하지 않도록 스토퍼를 함께 적용할 수 있다.
탱크(20)는 중앙의 탱크 프레임(21)과, 탱크 프레임(21)의 양쪽에 각각 형성되며 각각 주제와 경화제를 저장 및 공급하는 제1,2탱크(22)(23)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탱크 프레임(21)은 그 상측으로 손잡이(24)가 더 포함되어 탱크 프레임(21)과 제1,2탱크(22)(23)를 단일 작업으로 취급할 수 있다.
또한, 제1,2탱크(22)(23)는 탱크 프레임(21)의 좌우 양쪽에 각각 배치되며 내부에 주제와 경화제가 각각 저장되는 구조이면서 주제와 경화제의 보충을 위한 탱크 덮개가 구성되고, 탱크 덮개를 열지 않고 주제와 경화제의 저장량을 바로 확인할 수 있는 투명의 확인창(25)을 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2탱크(22)(23)는 탱크 프레임(21)에 고정 타입으로 구성되거나 탱크 프레임(21)에 분리 가능한 수납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제1,2탱크(22)(23)는 주제와 경화제를 각각 펌핑수단(50)에 공급하기 위한 제1,2공급호스(26)(27)가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제1,2공급호스는 각각 수동 밸브(미도시)가 구성되어 개폐된다.
한편, 상기 탱크(20)은 차대 프레임(10)의 상부에 올려지면서 조립하도록 구성하되, 상기 탱크(20))의 하부 바닥부에는 적어도 4개 정도 돌출되는 돌출 연장부(28)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 연장부(28)는 내측으로 홈으로 형성되어 차대 프레임에 돌출 형성되는 돌기부(14)에 대응하여 걸릴 수 있도록 하는 내부 안내홈(29)을 형성할 수 있다. 이로써 차대 프레임(10)의 상부로 위치되는 탱크(20)를 안정되게 거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장착(설치) 또한 용이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대 프레임(10)은 그 일측 후방에 전원을 접속하기 위한 전원코드부(15)와 압력조절기를 접속하기 위한 조절스위치 접속부(16)를 구비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전원코드부(15)와 조절스위치 접속부(16)는 모두 동일한 2구 접속포트 구성으로, 그 접속포트 위치에 상관없이 자유 접속이 가능하도록 하여 초보자라도 전기 사고 없이 아무 접속포트에 자유롭게 접속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펌핑수단(50)은 모터(51)와, 모터(51)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기어((52)와, 구동기어(52)와 치합되어 회전하는 종동기어(53)와, 종동기어(53)에 일측이 연결되어 회전하며 회전운동을 직선 왕복운동으로 전환하는 크랭크축(54)과, 크랭크축(54)에 의해 직선 왕복 운동하는 직선이동 작동축(55) 및 모터(51)의 온오프를 조작하는 스위치로 구성하게 된다.
또한, 모터(51)는 차대 프레임(10)에 탑재되며 구동축이 차대 프레임(10)의 내부에 삽입되어 구동기어(52)에 연결된다.
또한, 본 발명은 공사 현장에서 작업자가 휴대하는 전동 공구를 모터 대신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구동기어(52), 종동기어(53), 크랭크축(54), 직선이동 작동축(55)은 차대 프레임(10)의 베이스 프레임(11) 안에 동력 전달 또는 전환(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구동기어(52)는 모터(51)의 회전축이 연결되는 소켓이 구성된다.
주입 노즐(60)은 펌핑수단(50)의 니플과 각각 연결되는 제1,2주입호스(61)(62), 제1,2주입호스(61)(62)와 각각 연결되며 주제와 경화제를 믹싱하는 믹싱부(63), 믹싱부(63)에서 믹싱된 보수재를 분사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에 주입하는 노즐(64), 보수재의 분사와 차단을 제어하고 분사량도 제어하는 주입 조절밸브(65)로 구성된다.
또한, 제1,2주입호스(61)(62)는 제1, 각각 주제와 경화제를 혼합부(63)까지 공급하는 모든 형태의 구성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혼합부(63)는 제1,2주입호스(61)(62)에서 각각 공급되는 주제와 경화제를 혼합한 후 노즐(64)에 공급하는 구성이며, 예를 들어 제1,2주입호스(61)(62)와 각각 연결되어 주제와 경화제를 각각 공급받는 2개 및 상기 유입 부들이 합류하여 주제와 경화제를 믹싱하는 하나의 합류부로 구성된다.
또한, 노즐(64)은 혼합부(63)의 합류부에 분리 가능하게 조립되어 보수재를 분사하고, 주입 제어 밸브(65)는 예를 들어 버터플라이밸브로서 노즐(64)을 개폐하여 보수 재의 주입을 개폐 제어하며 작업자에 의해 조작되는 노부와 연결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약액 공급수단(100)은 상기 연결되어 약액을 토 출 작동시키는 실린더와 피스톤으로 구성되는 제1,2 작동블록(110)(120)과; 상기 제1,2 작동블록(110)(120)의 한 부분으로 연결 설치되어 탱크(20)로부터 약액을 공급하는 제1,2 공급관(130)(140)과; 상기 제1.2 작동블록(110)(120)의 전방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주입 노즐(60)로 약액을 이송하는 제1,2 이송관(150)(160)과; 상기 제1,2 이송관(150)(160) 중, 하나의 이송관에 접속되어 약액의 조절 하도록 설치되는 압력조절기(17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도 2 내지도 4를 참조하면, 제1,2 작동블록(110)(120)은 상기 핀(P) 결합하는 제1,2 피스톤 로드(111)(121)와; 상기 제1,2 피스톤 로드(111)(121)가 결합하며, 길이방향의 양측이 각각 개방된 제1,2 실린더(112)(122)와; 제1,2 실린더(112)(122)의 후방에 끼움 결합하여 약액의 누출을 방지하는 오일씰((113)(123); 상기 제1,2 피스톤 로드(111)(121)가 관통 되며, 오일씰(113)(123)의 바로 후방을 마감하도록 나사 결합하는 소켓(114)(12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오일씰(113)(123)은, 내측 날개와 외 측 날개가 연결되어 외력에 의해 탄성 변형되면서 제1,2 피스톤 로드(111)(121)의 둘레부와 제1,2 실린더(112)(122) 사이를 수밀하게 조성이 가능한 리데나이다.
바람직하게는, 제1,2 작동블록(110)(120)은 상기 직선이동 작동축(55)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고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 피스톤 로드(111)(121)를 통해 핀 결합으로 연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2 피스톤 로드(111)(121)는 그 일단 외주면세 오링(111a)(121a)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제1,2 피스톤 로드(111)(121)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오링(111a)(121a)은 제1,2 피스톤 로드(111)(1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결합되는 적어도 3개의 오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로써 오링(111a)(121a)에 의해 실리더 내벽인 보어 통로를 직선 왕복하는 피스톤 로드와 실린더의 상호 마찰력을 최소화하면서 그리스(윤활유) 주입에 따른 마찰력을 최소화하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제1,2 실린더(112)(122)는 제1,2 피스톤 로드(111)(121)가 왕복 이동하는 내측 제1,2 보어 통로(112a)(122a)와; 제1,2 보어 통로(112a)(122a)와 연통하도록 형성되며 제1,2 이송관(150)(160)과 연결되는 나사 연결부(112b)(122b)와; 제1,2 보어 통로(112a)(122a)의 한 부분에 관통 구멍으로 형성되어 탱크(20)로부터 약액을 공급받는 제, 2 공급 커넥터(112c)(122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2 공급관(130)(140)은 상기 제1,2 작동블록(110)(120)의 한 부분으로 연결 설치되어 탱크(20)로부터 약액을 공급하는 것으로, 상기 탱크(20)의 주입호스(26)(27)가 연결되는 공급관 본체(131)(141)와; 상기 제1,2 작동블록(110)(120)과 연결 고정되는 소켓(132)(142)으로 구성된다.
제1,2 이송관(150)(160)은 상기 제1.2 작동블록(110)(120)의 전방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주입 노즐(60)로 약액을 이송하는 것으로서, 이송관 본체(151)(161)와 약액이 이송되는 이송 통로(152)(162)와, 보수재가 이송되는 이송 통로(152)(162)의 전방으로 결합되는 관통된 소켓(154)(16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이송관 본체(151)(161)는 이송 통로(152)(162) 상에 역류방지용 제1,2 체크밸브(170)(170A)가 각각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이하 제1.2 체크밸브는 동일한 구성으로 제1 체크밸브(170)의 구성으로만 설명한다. 도면 3에서는 내부에 도시된 체크밸브의 위치를 부호 170으로 표기하였다.
이때 상기 이송통로(152)(162)는 통로의 구경보다 작은 구경으로 형성되는 밸브 안착턱(153)(163)을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밸브 안착턱(153)(163)에는 통로를 개폐하는 역류방지 밸브(171)와; 역류방지 밸브와 밀착 연결되는 탄성 스프링(173)으로 이루어지는 제1 체크밸브(170) 및 제2 체크밸브(170A)로 각각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송관(150)(160)은 한 부분으로 관통된 소켓(154)(164)을 연결 조립하여 상기 탄성 스프링(173)의 끝 부분을 지지하면서 약액을 이송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역류방지 밸브(171)는 통로 홀을 밀폐하는 크기이면서 주제와 경화제가 배출되도록 구경보다는 작은 크기이고, 또한 주제와 경화제가 자연스럽게 분사되도록 외주면이 곡선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역류방지 밸브(171)는 상기 밸브 안착턱(153)(163)에 지지가 되어 이송 통로(152)(162)를 개폐하는 밸브 헤드부(171a)와, 밸브 헤드부(171a)의 연장된 한 부분에 작은 외경으로 형성되는 코어부(171b)와. 상기 코어부(171b)에서 보다 더 작은 외경으로 형성되어 탄성스프링(173)이 연결되는 스프링 고정부(171c)와, 제1,2 체크밸브(170)(170A)에 의한 역류방지 효과를 높이기 위한 구성을로 스프링 고정부(171c)의 내부에 이동 통로를 향해 개방되는 유도홈(171d), 및 코어 부(171b)의 내부에 형성되어 유도홈(171d)과 통하도록 형성되는 유도공(171e)을 추가로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코어부(171b)와 스프링 고정부(171c)는 밸브 헤드부(171a)의 외경 보다 작은 외경으로 형성되어 이송 통로(152)(162)의 사이에 간격이 넓어짐으로써 주제와 경화제의 신속한 배출을 유도하기 위하여 외경이 작아지는 것이며, 또한, 코어부(171b)와 스프링 고정부(171c) 사이의 턱은 탄성스프링(173)의 끝 부분을 지지하는데 사용된다.
한편, 유도홈(171d)은 제1,2 피스톤 로드(111)(121) 이 후진할 때 이송 통로(152)(162) 안에 있는 주제와 경화제가 유입되어 안에 유입된 주제와 경화제를 이용하여 제1,2 체크 밸브(170)(170A)를 더 빠르게 후진시키고 더 큰 압력으로 이송 통로인 토출홀을 막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유도공(171e)은 코어부(171b)의 내부에 둘레 부를 향해 개방되는 방사형으로 배열되면서 유도홈(171d)과 통하도록 형성되어 유도홈(171d)을 통해 유입된 주제와 경화제의 정체로 인한 오염을 막아준다.
이때, 주제와 경화제의 주입 시 주제와 경화제는 유도공(171e) 및 유도 홈(171d)을 통해 흐를 수 있다.
또한, 탄성스프링(173)은 코일스프링이며 길이방향의 한 부분이 각각 스프링 고정부(171c)의 둘레 부에 끼워지면서 코어부(171b)에 지지가 되는 한편 다른 쪽이 소켓(154)(164)의 내주면에 지지된다.
압력조절기(180)는 상기 제1,2 이송관(150)(160) 중, 하나의 이송관(150)에 접속 결합하여 약액의 조절 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1 이송관(150)과 연결 접속하도록 연결되는 관 접속부(181)와; 상기 관 접속부(181)위 후방으로 일정길이방향 연장되는 관 연결부(182)와; 차대 프레임(10) 상부 한 부분으로 위치 고정되며, 상기 관 연결부(182)와 연결 설치되어 상측으로 압력조절노브(183a)를 갖는 압력조절기 본체(183)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압력조절기(180)가 연결되는 제1 이송관(150)의 내측에는 이송관을 따라 이송되는 약액을 압력차에 따라 약액을 조절하기 위한 제3 체크밸브(19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제3 체크밸브(190)는 상기 압력조절기(180)의 조정으로 내부 밸브 개폐가 이루어지는 일반적인 배관용 리츠용 체크 밸브로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도면 3에서는 내부에 도시된 제3 체크밸브의 위치를 도면 부호 190으로 표기하였다.
한편, 보수재가 노출되는 주입 노즐(60)의 한 부분에는 설치되는 압력게이지(70)를 더 설치하여 사용자가 게이지를 확인하면서 압력조절기(180)를 조절하여 주입 노즐(60)을 통한 보수재의 원활한 투입을 진행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보수재 주입장치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과정(고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콘크리트 보수재 주입장치를 보수 위치로 이동시킨 후 주입 노즐(60)을 균열부에 놓고 온 제어하면, 펑핑수단(50)에 의해 탱크(20) 안에 있는 주제와 경화제가 다음과 같이 주입 노즐(60)을 통해 분사되어 균열부에 충진된다.
구동부인 모터(51)는 전원을 인가받아 회전력을 발생하고, 이 회전력은 구동기어(52)를 통해 정동기어(53)에 전달되며, 정동기어(53)의 회전력은 크랭크축(54)에 의해 직선 왕복운동으로 전환되어 약액 공급수단(100)인 제1,2 작동블록(110)(120)에 전달된다.
제1,2 작동블록(110)(120)의 직선 왕복운동은 제1,2 피스톤 로드(111)(121)로 전달되어 제1,2 피스톤 로드(111)(121)가 제1,2 실린더(112)(122) 안에서 왕복 운동하게 되고, 후진 시 주제와 경화제를 제1,2 실린더(112)(122) 안으로 흡입하며 전진 시 제1,2 이송관(150)(160) 쪽으로 압송하여 최종 주입 노즐(60)을 통해 배출되도록 한다.
아울러, 압력조절기(180)를 통하여 보수재의 압력 배출량을 압력 단계로 조절하는 것으로, 모터의 회전수를 늦추는 제어 역할을 하여 빈번한 회전에 의한 모터의 잔고장을 방지하여 장치의 내구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약액 공급수단에 설치되는 제1,2 체크밸브에 따르면, 주제와 경화제의 주입 시 주제와 경화제가 각각 제1,2 체크밸브를 밀어 탄성스프링을 압축시키게 되고, 이때, 개방되어 주제와 경화제가 제1,2 체크밸브의 둘레부를 통과하면서 배출로에 노출되고 일부의 주제와 경화제가 유도공을 통해 유입된 후 유도홈을 통해 배출되며, 따라서, 주제와 경화제가 제1,2 체크밸브의 둘레부만을 따라 흐를 때보다 주제와 경화제의 흐름성이 좋아지고, 유도홈을 통해 배출될 때 둘레 부를 따라 흐르는 주제와 경화제의 속도를 가속하는 효과도 있으며 주제와 경화제의 순환장애를 방지한다.
또한, 압력조절기에 의한 제3 체크밸브에 의하여 일정량으로 배출되는 보수 재의 노출량을 조절함은 물론, 보수재의 노출량의 조절을 통해 모터의 회전수를 조절케하여 모터의 수명을 또한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 : 약액 공급수단
110, 120 : 제1,2 작동블록
111, 121: 제1,2 피스톤 로드
112, 122 : 실린더
113, 123 : 오일씰
114, 124 : 소켓
130, 140 : 제1,2 공급과
131, 141 : 공급관 본체
132, 142 : 소켓
150, 160 : 제1,2 이송관
151, 161 : 이송관 본체
152, 162 : 이송 통로
153, 163 : 안착턱
154, 164 : 소켓
170, 170A : 제1,2 체크밸브
180 : 압력조절기
190 : 제3 체크밸브

Claims (8)

  1. 이동식 바퀴와 손잡이가 구성되는 차대 프레임과; 상기 차대 프레임에 탑재되며 약액인 주제와 경화제가 각각 저장되는 탱크와; 상기 탱크에 각각 저장된 약액인 주제와 경화제를 모터의 구동부 의해 펌핑하는 펌핑수단과; 상기 펌핑수단에 의해 약액인 주제와 경화제를 보수재로 믹싱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에 보수재를 주입하는 주입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펌핑수단과 주입 노즐의 사이에 양측으로 각각 분리 설치되어 상기 탱크로부터 약액을 공급받아 주입 노즐로 이송하는 약액 공급수단을 구성하되, 상기 펌핑수단에 연결되어 약액을 토출 작동시키는 실린더와 피스톤으로 구성되는 제1,2 작동블럭과; 상기 제1,2 작동블럭의 일측으로 연결 설치되어 탱크로부터 약액을 공급하는 제1,2 공급관과; 상기 제1.2 작동블럭의 전방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주입 노즐로 약액을 이송하는 제1,2 이송관과; 상기 제1,2 이송관 중, 하나의 이송관에 접속 설치되어 약액의 토출압을 조절하도록 설치되는 압력조절기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동식 콘크리트 보수재 주입장치에 있어서,
    상기 압력 조절기는 상기 제1,2 이송관 중, 하나의 이송관에 접속 결합하여 약액의 조절 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1 이송관과 연결 접속하도록 연결되는 관 접속부와; 상기 관 접속부 후방으로 일정길이방향 연장되는 관 연결부와; 차대 프레임 상부 한 부분으로 위치 고정되며, 상기 관 연결부와 연결 설치되어 상측으로 압력조절노브를 갖는 압력조절기 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압력조절기가 연결되는 제1 이송관의 내측에는 이송관을 따라 이송되는 약액을 압력차에 따라 약액을 조절하기 위한 제3 체크밸브를 더 구비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1,2 이송관 내측에 설치되는 각각의 역류방지용 제1,2 체크밸브와, 상기 압력조절기와 연동 설치되는 제3 체크밸브의 조정으로 약액의 토출량을 조절하면서 보수재 주입이 이루어지며,
    상기 제3 체크밸브는 상기 압력조절기의 조정으로 내부 밸브 개폐가 이루어지며, 보수재가 토출되는 주입 노즐의 일측에는 압력게이지를 더 설치하여 사용자가 압력게이지를 확인하면서 압력조절기를 조절하여 주입 노즐을 통한 보수재의 투입이 이루어지고,
    상기 압력조절기에 의한 제3 체크밸브에 의하여 일정량으로 배출되는 보수재의 압력 단계로 조절하여 모터의 회전수를 늦추는 제어 역할을 하여 빈번한 회전에 의한 모터의 잔고장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콘크리트 보수재 주입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210082182A 2021-06-24 2021-06-24 이동식 콘크리트 보수재 주입장치 KR1025396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2182A KR102539653B1 (ko) 2021-06-24 2021-06-24 이동식 콘크리트 보수재 주입장치
US17/386,874 US11732491B2 (en) 2021-06-24 2021-07-28 Portable device for injecting concrete repair material
JP2021129452A JP2023004792A (ja) 2021-06-24 2021-08-06 移動式コンクリート補修材注入装置
EP21191510.3A EP4108853A1 (en) 2021-06-24 2021-08-16 Portable device for injecting concrete repair material
CN202110959621.2A CN115522758A (zh) 2021-06-24 2021-08-20 移动式混凝土维修材料注入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2182A KR102539653B1 (ko) 2021-06-24 2021-06-24 이동식 콘크리트 보수재 주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0145A KR20230000145A (ko) 2023-01-02
KR102539653B1 true KR102539653B1 (ko) 2023-06-07

Family

ID=77640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2182A KR102539653B1 (ko) 2021-06-24 2021-06-24 이동식 콘크리트 보수재 주입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732491B2 (ko)
EP (1) EP4108853A1 (ko)
JP (1) JP2023004792A (ko)
KR (1) KR102539653B1 (ko)
CN (1) CN11552275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356962A (zh) * 2023-04-25 2023-06-30 中国十七冶集团有限公司 一种新型的混凝土墙体一体式螺杆眼封堵装置及使用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09193A (ja) * 1999-04-27 2000-11-07 Sailor Pen Co Ltd:The 塗布具
KR102020009B1 (ko) * 2019-03-28 2019-09-10 이향동 이동식 콘크리트 보수재 주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15588B4 (de) * 2001-03-29 2006-08-31 Neoperl Gmbh Rückflußverhinderer
WO2011079395A1 (en) * 2009-12-29 2011-07-07 Kimco Pte. Inc. Resin distributor, reservoir bag to be used therewith, vehicle provided with such a system, kit for assembung the same, and methods of assembling and of operating associated thereto
KR101848234B1 (ko) * 2016-04-26 2018-04-12 삼화페인트공업주식회사 속건형 무용제 에폭시 도장 장치
KR102040603B1 (ko) * 2017-12-12 2019-11-05 유장빈 이액형 분사장치
KR102283332B1 (ko) * 2019-11-22 2021-07-28 김선구 이액형 아크릴 약액 주입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09193A (ja) * 1999-04-27 2000-11-07 Sailor Pen Co Ltd:The 塗布具
KR102020009B1 (ko) * 2019-03-28 2019-09-10 이향동 이동식 콘크리트 보수재 주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522758A (zh) 2022-12-27
US20220412109A1 (en) 2022-12-29
US11732491B2 (en) 2023-08-22
JP2023004792A (ja) 2023-01-17
EP4108853A1 (en) 2022-12-28
KR20230000145A (ko) 2023-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0009B1 (ko) 이동식 콘크리트 보수재 주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방법
KR102539653B1 (ko) 이동식 콘크리트 보수재 주입장치
KR100918139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보수 및 보강을 위한 이액형 주입재의 주입 장치
CN203018246U (zh) 涂料喷涂器
KR101656828B1 (ko)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이동식 이액형 보수재 주입 장치 및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방법
CA2785710C (en) Resin distributor, reservoir bag to be used therewith, vehicle provided with such a system, kit for assembling the same,and methods of assembling and of operating associated thereto
WO2012071876A1 (zh) 集中润滑装置及包含该装置的搅泮机
JP6818271B2 (ja) 止水液混合注入システム、止水液混合注入プラグ及びセメント系組成体構造物の止水工法
US704434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ptimally mixing and applying a two part epoxy
KR100968124B1 (ko) 관 코팅제 공급용 펌핑 장치
KR101885115B1 (ko) 그라우팅 장치
KR200288297Y1 (ko) 균열부 보수 및 보강용 이액형 약액 주입기
KR20010000393A (ko) 콘크리트 균열부의 이액형 약액 주입용 펌핑장치
JP2011212609A (ja) 塗膜防水材供給装置、塗膜防水工法
JP6557929B1 (ja) ピンニング工法用の注入ノズル、ピンニング工法用の接着剤注入器およびこれを用いたピンニング工法
KR101640246B1 (ko) 유체 혼합장치
KR20090025055A (ko) 오버잇 기능을 구비한 그라우트 인젝션 펌프
KR200256758Y1 (ko) 다액형 유체 주입펌프장치
JP2008036556A (ja) 流体吐出装置及び流体収容装置
JP2007044631A (ja) 水性二液ウレタン塗料の供給方法
JP2007303086A (ja) エポキシ樹脂系二液型接着剤の硬化工法とエポキシ樹脂系二液型接着剤の供給装置
KR200237684Y1 (ko) 이액형 약액 주입용 펌핑기
KR0169051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보수약액 주입기구
KR101342897B1 (ko) 방수액 공급용 인젝션 펌프
KR20200012092A (ko) 유압펌프 및 이에 사용되는 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