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1040B1 - 응원용 풍선 - Google Patents

응원용 풍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1040B1
KR102641040B1 KR1020210120294A KR20210120294A KR102641040B1 KR 102641040 B1 KR102641040 B1 KR 102641040B1 KR 1020210120294 A KR1020210120294 A KR 1020210120294A KR 20210120294 A KR20210120294 A KR 20210120294A KR 102641040 B1 KR102641040 B1 KR 1026410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eering
concave portion
diaphragm
balloon
vibrating membr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02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37238A (ko
Inventor
조민선
장상훈
Original Assignee
조민선
장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민선, 장상훈 filed Critical 조민선
Priority to KR10202101202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1040B1/ko
Publication of KR202300372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72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10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10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7/00Jokes; Confetti, streamers, or other dance favours ; Cracker bonbon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7/00Toy aircraft; Other flying toys
    • A63H27/10Ballo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7/00Toy aircraft; Other flying toys
    • A63H27/10Balloons
    • A63H2027/1075Special shapes or construc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Toys (AREA)

Abstract

명세서는 몸체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여 사용하는 응원용 풍선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일 측에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중심축 방향으로 소정 깊이 파인 하나 이상의 오목부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오목부 내측 바닥면에 형성되는 진동막을 포함하는 응원용 풍선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응원용 풍선{Cheering balloon}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오목부 및 진동막이 포함된 응원용 풍선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는 일과 생활의 밸런스가 중요하게 여겨지면서, 어떻게 여가시간을 즐겁게 보내는 방법들이 늘어가고 있다. 그 중 하나로 스포츠 경기의 관람이 있다.
그리고 스포츠 경기를 관람하는 팬층이 늘어가면서 자신이 좋아하는 특정 팀, 특정 선수를 응원하기 위한 여러 도구들이 제조되고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05399호 에서는 타격부를 포함하는 응원용 도구를 소개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26608호 에서는 두드려서 소리를 내는 응원 도구를 소개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15516호 에서는 공기홀을 이용하여 소리를 내는 응원 도구를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의 도구들은 단순히 두드리거나 때려서 소리를 내는 도구들만 개시되어 있을 뿐, 발생된 소리를 증폭하는 기능은 개시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자체적으로 소리를 증폭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응원도구가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05399호 (2014.06.02.)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26608호(2006.09.08.)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15516호(2018.10.31.)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진동막을 통해 소리를 발생시키고, 발생된 소리를 오목부를 통해 증폭하는 응원용 풍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몸체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여 사용하는 응원용 풍선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일 측에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중심축 방향으로 소정 깊이 파인 하나 이상의 오목부;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오목부 내측 바닥면에 형성되는 진동막을 포함하는 응원용 풍선에 관한 것이다.
상기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상기 몸체의 일 측면에 형성된 제1 오목부; 및 상기 제1 오목부가 형성된 면의 배면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오목부와 동일한 높이와 깊이로 형성되는 제2 오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오목부와 상기 제2 오목부는, 동일한 진동막을 공유하며, 상기 동일한 진동막을 중심으로 서로 반대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응원용 풍선은 상기 제1 오목부의 내측 바닥면에 형성되는 제1 진동막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오목부의 내측 바닥면에 형성되는 제2 진동막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진동막과 상기 제2 진동막은 0.1 내지 1㎜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진동막과 상기 제2 진동막의 중심부가 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진동막과 상기 제2 진동막의 굴곡으로 인해 상기 제1 진동막과 상기 제2 진동막 사이에 공기 충돌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상기 몸체의 중심축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따.
상기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진동막은 폴리이미드(PI), 폴리에틸렌테레프 탈레이트(PET),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폴리에테르이미드(PEI),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 및 폴리아미드이미드(PAI)로 이루어진 군에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고분자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응원용 풍선은 소리를 발생시키는 진동막 및, 상기 진동막에서 발생한 소리를 증폭하는 오목부를 포함함으로써, 응원시 발생하는 소리를 증폭하여 응원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응원석의 분위기를 고조하여 경기를 더욱 흥미롭게 관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응원용 풍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라 형성된 응원용 풍선의 A-A` 단면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라 형성된 응원용 풍선의 소리 증폭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라 형성된 응원용 풍선의 A-A` 단면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라 형성된 응원용 풍선의 A-A` 단면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응원용 풍선(100)의 보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응원용 풍선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으며,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의 사상을 명확히 하기 위해 과장되어 도시될 수 있다. 이 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응원용 풍선에 관한 것으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의 일 측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오목부가 형성되며, 상기 오목부의 내측 바닥면에 진동막이 형성된 응원용 풍선에 관한 것이다.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응원용 풍선을 타격하거나 움켜 쥐었을 때, 상기 몸통이 부딛히면서 발생하는 소리에 더하여, 상기 타격으로 인해 진동막이 진동하여 추가적인 소리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동막에 의해 발생된 소리는 상기 오목부를 통해 증폭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응원시 발생하는 소리를 증폭하여 응원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응원석의 분위기를 고조하여 경기를 더욱 흥미롭게 관전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응원용 풍선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응원용 풍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라 형성된 응원용 풍선의 A-A` 단면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라 형성된 응원용 풍선의 소리 증폭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라 형성된 응원용 풍선의 A-A` 단면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라 형성된 응원용 풍선의 A-A` 단면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응원용 풍선(100)은 몸체(110), 오목부(130) 및 진동막(1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110)는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며, 상기 주입된 공기를 보관할 수 있다. 상기 몸체(110)는 육면체 상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원기둥, 원통, 다각기둥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방망이, 망치 특정 기호, 문자, 동물 및 캐릭터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오목부(130)는 상기 몸체(110)의 일 측에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몸체(110)의 중심축 방향을 향해 소정 깊이로 파일 수 있다. 즉, 상기 오목부(130)는 상기 몸체(110)의 일 면에서 상기 몸체(110)의 중심축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오목부(130)는 상기 몸체(110)의 중심축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진동막(150)은 상기 오목부(130) 내측 바닥면에 형성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진동막(150)은 유연성을 가지며, 높은 진동을 견뎌낼 수 있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필름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폴리이미드(PI), 폴리에틸렌테레프 탈레이트(PET),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폴리에테르이미드(PEI),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 열가소성폴리우레탄(TPU) 및 폴리아미드이미드(PAI)로 이루어진 군에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고분자 물질로 제공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진동막(150)은 30 내지 100㎛의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으로 이루어진 필름 일 면에 150 내지 200㎛의 열가소성폴리우레탄(TPU)으로 이루어진 필름을 접합한 이층 필름 또는 상기 이층 필름을 다층으로 접합한 다층 필름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PEEK로 이루어진 필름과 상기 TPU로 이루어진 필름의 두께가 상술한 범위 미만이면, 상기 진동막(150)의 내구도가 감소하여 쉽게 찢어지거나 파손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PEEK로 이루어진 필름과 상기 TPU로 이루어진 필름의 두께가 상술한 범위를 초과하면 상기 필름의 진동으로 인해 발생되는 소리의 주파수가 지나치게 감소되어 청량하고 높은 소리를 발생시키기 어렵다. 이븐 본 발명이 응원 도구임을 감안하였을 때 응원 효과가 반감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오목부(130)는 상기 몸체(110)의 일 측면에 형성된 제1 오목부(130a) 및 상기 제1 오목부(130a)와 대응하는 제2 오목부(130b)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오목부(130a)는 상기 제1 오목부(130a)가 형성된 면의 배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오목부(130a)와 동일한 높이와 깊이를 가질 수 있다.
도면에는 개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몸체(110)의 일면,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110)의 바닥면에는 상기 몸체(110) 내부로 공기를 주입할 수 있는 공기 주입 튜브가 형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응원용 풍선은 상기 진동막(150)을 중심으로 상기 제1 오목부(130a)와 상기 제2 오목부(130b)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응원용 풍선(110)은 상기 제1 오목부(130a)와 상기 제2 오목부(130b)가 동일한 진동막(150)을 공유하는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상기 응원용 풍선(100)을 맞부딪 치거나 상기 몸체(110)에 외력을 가하면 상기 몸체(110)와 상기 오목부(130a, 130b)를 통해 상기 진동막(150)에 외력이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외력으로 인하여 상기 진동막(150)이 진동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상기 응원용 풍선(100)을 강하게 짓눌러 상기 몸체(110) 내부에 있는 공기 분자(O)가 상기 상기 오목부(130a, 130b)를 가격할 수 있으며, 이 때의 운동 에너지를 사익 진동막(150)에 전달하여 상기 진동막(150)이 진동할 수 있다.
상기 진동막(150)이 진동하면, 상기 진동으로 인하여 소리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동막(150)의 진동으로 인해 발생된 소리는 상기 제1 오목부(130a) 및 제2 오목부(130b)를 통해 증폭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하였다싶이 상기 제1 오목부(130a) 및 상기 제2 오목부(130b)는 테이퍼 형상으로 제조되어 확성기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진동막(150)의 진동으로 인해 발생된 소리가 증폭되어 멀리 퍼저나갈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응원용 풍선(100)은 상기 제1 실시 예와는 다르게, 상기 제1 오목부(130a)와 상기 제2 오목부(130b)가 서로 다른 진동막을 가질 수 있으며, 서로 이격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응원용 풍선(100)은 상기 제1 오목부(130a)의 내측 바닥면에 형성되는 제1 진동막(150a)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오목부(130b)의 내측 바닥면에 형성되는 제2 진동막(150b)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진동막(150a)과 상기 제2 진동막(150b)은 0.1 내지 1㎜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이격 공간을 통해, 상기 제1 진동막(150a)과 상기 제2 진동막(150b)사이로 공기 분자(O)들이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공기 분자(O)가 상기 제1 진동막(150a)과 상기 제2 진동막(150b)을 직접 가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진동막(150a, 150b)에 더 많은 운동 에너지를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진동막(150a, 150b)의 진동으로 발생하는 소리를 더욱 키울 수 있다.
상기 제1 진동막(150a)과 제2 진동막(150b) 사이 거리(H)가 0.1㎜ 미만이면, 상기 진동막(150a, 150b) 사이로 충분한 양의 공기 분자(O)가 이동하지 않아서 충분한 효과가 구현되지 않을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제1 진동막(150a)과 제2 진동막(150b) 사이 거리(H)가 1㎜를 초과하면, 상대적으로 상기 제1 오목부(130a) 및 상기 제2 오목부(130b)의 거리가 감소하여 소리 증폭 효과가 감소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제1 진동막(150a)과 제2 진동막(150b) 사이 거리(H)는 0.1 내지 1㎜로 제공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0.8㎜로 제공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응원용 풍선(100)은 상기 제2 실시 예와는 다르게, 상기 제1 진동막(150a)과 상기 제2 진동막(150b)의 중심부가 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진동막(150a)과 상기 제2 진동막(150b)이 형성하는 굴곡(R)으로 인하여 상기 제1 진동막(150b)과 상기 제2 진동막(150b) 사이에 공기 충돌 공간(S)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응원용 풍선(100)은 상기 공기 충돌 공간(S)에 공기를 더욱 많이 위치시킴으로써, 상기 제1 진동막(150a)과 상기 제2 진동막(150b)과 충돌하는 공기 분자(O)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진동막(150a)과 상기 제2 진동막(150b)의 면적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상기 진동막(150a, 150b)의 진동으로 발생하는 소리를 더욱 키울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응원용 풍선(100)의 보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응원용 풍선(100)은 상기 공기 주입 튜브(미도시)를 통해 몸체(110) 내부에 주입된 공기를 모두 배출한 후, 상기 몸체(11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양 면을 가압(P)하여 접힘 상태로 변형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응원용 풍선(100)은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접힘 상태로 보관하여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사용시에는 상기 몸체(110)내부로 공기를 주입하여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0: 응원용 풍선
110: 몸체
130: 오목부
150: 진동막

Claims (7)

  1. 몸체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여 사용하는 응원용 풍선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일 측에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중심축 방향으로 소정 깊이 파인 하나 이상의 오목부;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오목부 내측 바닥면에 형성되는 진동막;을 포함하고,
    상기 오목부는 상기 몸체의 중심축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원용 풍선.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상기 몸체의 일 측면에 형성된 제1 오목부; 및
    상기 제1 오목부가 형성된 면의 배면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오목부와 동일한 높이와 깊이로 형성되는 제2 오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원용 풍선.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오목부와 상기 제2 오목부는, 동일한 진동막을 공유하며,
    상기 동일한 진동막을 중심으로 서로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원용 풍선.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응원용 풍선은,
    상기 제1 오목부의 내측 바닥면에 형성되는 제1 진동막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오목부의 내측 바닥면에 형성되는 제2 진동막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진동막과 상기 제2 진동막은 0.1 내지 1㎜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원용 풍선.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진동막과 상기 제2 진동막의 중심부가 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진동막과 상기 제2 진동막의 굴곡으로 인해 상기 제1 진동막과 상기 제2 진동막 사이에 공기 충돌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원용 풍선.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막은 폴리이미드(PI), 폴리에틸렌테레프 탈레이트(PET),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폴리에테르이미드(PEI),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 및 폴리아미드이미드(PAI)로 이루어진 군에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고분자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원용 풍선.
KR1020210120294A 2021-09-09 2021-09-09 응원용 풍선 KR1026410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0294A KR102641040B1 (ko) 2021-09-09 2021-09-09 응원용 풍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0294A KR102641040B1 (ko) 2021-09-09 2021-09-09 응원용 풍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7238A KR20230037238A (ko) 2023-03-16
KR102641040B1 true KR102641040B1 (ko) 2024-02-27

Family

ID=85985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0294A KR102641040B1 (ko) 2021-09-09 2021-09-09 응원용 풍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104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256218A1 (en) * 2013-03-11 2014-09-11 Spyridon Kasdas Kazoo devices producing a pleasing musical sound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7968Y1 (ko) * 1998-09-04 2001-11-22 강의윤 응원용기구
KR200426608Y1 (ko) 2006-05-02 2006-09-19 이진복 응원 도구
KR101405399B1 (ko) 2013-02-04 2014-06-11 송우진 응원용 도구
KR101915516B1 (ko) 2017-05-23 2018-11-08 김하영 막대형 응원 도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256218A1 (en) * 2013-03-11 2014-09-11 Spyridon Kasdas Kazoo devices producing a pleasing musical soun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7238A (ko) 2023-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55066B2 (en) Set of golf club irons
JP2010046498A (ja) 減衰部材を組み込んだゴルフ・クラブ
KR102641040B1 (ko) 응원용 풍선
US9821197B2 (en) System and method for a game racquet including a grommet actuator
US9320946B2 (en) System and method for a game racquet including an actuator
JPH09168613A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
US20090007753A1 (en) Practice mute for string instruments
WO2003057322A3 (de) Racket zur beaufschlagung von tennisbällen und ähnlichen spielkörpern
JP6731824B2 (ja) 卓球用ラケット
US20060276278A1 (en) Irregular bounce ball and game
US10234246B1 (en) Rear cover of a dartboard and a noise attenuation structure thereof
JP4524200B2 (ja) ゴルフクラブ用グリップ及びこれを用いたゴルフクラブ
JP3335745B2 (ja) メガホン
JP6111927B2 (ja) 打撃用パッド
JP3240114U (ja) 素振り用バット
JP2015055667A (ja) 鍵盤楽器
KR102308685B1 (ko) 타격음 강화 캡이 구비된 알루미늄 야구배트
US20170213536A1 (en) Whistle
KR101812479B1 (ko) 색소폰용 공명 마우스피스
JP2011156072A (ja) ゴルフクラブ
KR102081000B1 (ko) 소리발생부에 가이드 돌부를 갖는 오카리나
US20060046870A1 (en) Golf club head with acoustic adjuster
JP6528337B2 (ja) 打楽器
JP3114735U (ja) 熱可塑性樹脂の発泡体からなるメガホン
USRE10183E (en) Egbert 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