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0640B1 - 작업 로드에 따른 보디의 선택적 텐션을 제공하여 절삭 대상물과 밀착성을 유지하는 절삭 가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작업 로드에 따른 보디의 선택적 텐션을 제공하여 절삭 대상물과 밀착성을 유지하는 절삭 가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0640B1
KR102640640B1 KR1020230146295A KR20230146295A KR102640640B1 KR 102640640 B1 KR102640640 B1 KR 102640640B1 KR 1020230146295 A KR1020230146295 A KR 1020230146295A KR 20230146295 A KR20230146295 A KR 20230146295A KR 102640640 B1 KR102640640 B1 KR 1026406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unit
tension
cutting object
work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462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상섭
Original Assignee
백상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상섭 filed Critical 백상섭
Priority to KR10202301462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06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06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06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7/00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 B23Q17/22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for indicating or measuring existing or desired position of tool or work
    • B23Q17/2233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for indicating or measuring existing or desired position of tool or work for adjusting the tool relative to the workpie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 B23Q3/06Work-clamping means
    • B23Q3/062Work-clamping means adapted for holding workpieces having a special form or being made from a special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삭 대상물에 대하여 인식하며, 회전을 통해 절삭 대상물을 목적하는 형상에 따라 절삭 가공하는 몸체를 형성하는 보디 유닛; 보디 유닛과 이격되어 형성되고, 절삭 대상물과 보디 유닛의 밀착성을 유지하도록 전후방 텐션을 유지하며, 절삭 대상물의 작업 로드 발생에 따라 상기 전후방 텐션을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무브먼트 유닛; 및 보디 유닛과 이격되어 형성되고, 절삭 대상물을 선택적으로 고정하며, 상기 절삭 대상물의 상부와 하부를 고정하여 절삭 대상물의 이탈을 방지하는 홀딩 유닛을 포함하는 기술적 사상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작업 로드에 따른 보디의 선택적 텐션을 제공하여 절삭 대상물과 밀착성을 유지하는 절삭 가공 시스템{System of cutting processing with providing selective tension of the body according to the working load of object}
본 발명은 대상물과의 밀착성을 유지하기 위한 절삭 가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절삭 대상물에 의하여 작업 로드가 발생되면, 작업 로드를 감지하여 장치와 절삭 대상물의 밀착성이 유지되도록 텐션을 제공하며, 텐션의 더해짐과 빠짐을 통하여 목적하는 절삭 대상물과의 텐션이 유지되어 절삭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작업 로드에 따른 보디의 선택적 텐션을 제공하여 절삭 대상물과 밀착성을 유지하는 절삭 가공 시스템에 관한 기술분야이다.
일반적으로 다양한 제조형태에 따라 생산되는 각종 가공품은 최초 양산시 모서리 부분이 날카로운 구조적 형상을 취하게 된다.
성형품의 모서리는 응력이 집중되며, 이러한 응력을 분산시키기 위하여 모서리에 라운딩을 작업을 실시하여 성형품의 변형을 방지한다.
또한, 날카로운 모서리 부분은 취급자에게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제공할 수 있는바, 이러한 가공품들은 필수적으로 마무리 공정시 모서리 부분을 절삭 가공하여 라운딩(rounding) 처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라운딩된 표면은 성형품에 대한 완성도와 함께, 심미적 측면에서도 제품의 둔탁함으로부터 세련됨으로 전체적인 느낌을 변화시킨다.
가공 제품에 대한 표면 절삭 가공은 정확하면서도 빠른 가공을 통해 가공 제품에 대한 제조 비용을 감소시키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가공 분야에 있어서, 표면에 대한 절삭 가공의 성능 향상을 위한 장치와 자동화에 대한 시스템과 방법에 대한 지속적인 발전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에 대한 선행 특헌문헌으로는 "절삭 인서트 및 이를 장착한 절삭 공구(등록번호 제10-1677716호, 이하 특허문헌1이라 한다.)"가 존재한다.
특허문헌1에 따르면, 절삭 가공이 진행되는 동안 절삭 인서트가 절삭 공구의 시트면으로부터 들어 올려지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음과 함께 절삭 인서트와 절삭 공구 간의 체결되는 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는 절삭 인서트를 제공하는 것이 그 기술적 과제이다.
이를 위해, 특허문헌1은, 주표면과, 주표면의 반대되는 면으로 절삭공구의 시트면에 놓이기 위한 체결면과, 절삭 공구와 체결되기 위해 주표면과 체결면의 각 중심 부를 관통하여 스크류를 통과시키는 스크류 통과홀을 포함하는 절삭 인서트에 있어서, 체결면에 가로 질러 길게 형성되는 제1 및 제2 장홈을 포함하고, 제1 및 제2 장홈 각각은, 체결면의 제1 인접 체결부에 접하며 제1 인접 체결부와 예각을 이루는 선단 측벽; 체결면의 제2 인접 체결부에 접하며 제2 인접 체결부와 각을 이루는 말단 측벽; 및 선단 측벽과 말단 측벽을 연결하는 천장벽을 포함하고, 선 단 측벽은 말단 측벽보다 스크류 통과홀에 더 가까이 위치된다.
또한, "절삭 인서트 및 회전형 절삭 공구(등록번호 제10-1701543호, 이하 특허문헌 2라 한다.)"가 존재한다.
특허문헌 2의 경우, 인덱스 가능한 절삭 인서트는 제1 및 제2 측면과 그 사이에서 연장되는 주연표면을 가진다. 주연표면은 동일한 주연면들을 가지며, 각각은 두 개의 동일한 제1 및 제2 절삭 섹션으로 나뉜다. 각각의 절삭 섹션은 제1 절삭 에지, 제2 절삭 에지, 제1 절삭 에지와 제2 절삭 에지 사이에서 연장되는 모서리 절삭 에지, 결합면을 형성하는 평평한 레이크면 플랫을 가지는 레이크면을 가진다. 레이크면은 제1 절삭 에지에서 제1 측면과 만난다. 레이크면 플랫은 레이크면 개방 에지에서 제2 측면과 만난다. 각각의 주연면에서, 두 개의 절삭 섹션은 동일 평면 상에 있지 않다. 제1 절삭 섹션과 관련된 각각의 두 개의 레이크면 플랫들은 인서트 축을 따른 방향으로 수렴하고, 절삭 에지는 레이크면 플랫 위로 상승되어 있다.
아울러, "모서리 가공용 절삭장치(공개번호 제10-2000-0040565호, 이하 특허문헌3이라 한다.)"도 존재한다.
특허문헌3의 경우, 모서리 가공용 절삭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가공품에 있어, 모서리의 형태 및 위치에 구애받음없이 가공부위에 따라 광범위하게 적용되도록하여 편리하고 간편하게 모서리의 절삭(일명 모따기) 작업을 행하도록 함과 동시에 가공위치에 따른 선택적인 높이(치수)조절과 가공면을 안내하는 가이드기능에 의해 모서리의 가공 정밀도를 향상시킬수 있도록 한 모서리 가공용 절삭장치를 제공함에 있으며, 또 다른 목적으로는 부품의 분해, 조립관계를 편리화 할수 있도록, 그 결합구성을 간소화 시키므로서, 사용중 이상 발생에 따른 장치의 점검 및 부품 수리작업을 용이하게 하도록 함과 동시에, 특히 소모품으로서 주기적인 교환사용을 필요로 하는 바이트의 설치작업을 손쉽게 행할수 있도록 한 모서리 가공용 절삭장치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특허문헌3에 따른 발명은, 손잡이 형상을 취하는 공지의 전동모터와 전동축으로된 동력수단에 있어서, 전동모터의 전면 방향으로 고정편과 수나사부를 이루는 조립관과 바이트 교환홈을 구비한 고정프레임을 고정설치하고, 이와같이 설치된 조립관의 내경으로는 복수개의 베어링에 의해 고정되며 회전가능하게 전동축과 연결되는 구조로서, 가이드베어링과, 바이트체결홈과 체결공을 갖는 회전축을 결합시키며, 조립관의 수나사부로는 높이조절눈금을 갖는 스톱퍼와, 클램프링을 갖는 안내판을 순차적으로 나사체결되게 하므로서 달성된다.
상술한 종래의 절삭 공구의 경우, 모서리 가공을 위한 블레이드 또는 장치에 대해 전반적인 내용을 가지고 있으나 절삭 가공물에 대한 형상에 따라 가공의 성능과 완성도를 높이기 위한 발전이 필요한 실정이다.
등록번호 제10-1677716호 등록번호 제10-1701543호 공개번호 제10-2000-0040565호
본 발명에 따른 작업 로드에 따른 보디의 선택적 텐션을 제공하여 절삭 대상물과 밀착성을 유지하는 절삭 가공 시스템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제시한다.
첫째, 절삭 대상물에 대한 작업 로드에 따라 절삭과 가공을 위하여 절삭 대상물과 장치 사이에 텐션이 가해지도록 장치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둘째, 절삭 대상물의 형상에 따른 작업 로드의 확인이 가능하도록 하며, 절삭 대상물의 외측면에 대한 형상에 따라 텐션 정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유연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해결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작업 로드에 따른 보디의 선택적 텐션을 제공하여 절삭 대상물과 밀착성을 유지하는 절삭 가공 시스템은 상기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과제 해결 수단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작업 로드에 따른 보디의 선택적 텐션을 제공하여 절삭 대상물과 밀착성을 유지하는 절삭 가공 시스템은 상기 절삭 대상물에 대하여 인식하며, 회전을 통해 상기 절삭 대상물을 목적하는 형상에 따라 절삭 가공하는 몸체를 형성하는 보디 유닛; 상기 보디 유닛과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절삭 대상물과 보디 유닛의 밀착성을 유지하도록 전후방 텐션을 유지하며, 상기 절삭 대상물의 작업 로드 발생에 따라 상기 전후방 텐션을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무브먼트 유닛; 및 상기 보디 유닛과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절삭 대상물을 선택적으로 고정하며, 상기 절삭 대상물의 상부와 하부를 고정하여 상기 절삭 대상물의 이탈을 방지하는 홀딩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작업 로드에 따른 보디의 선택적 텐션을 제공하여 절삭 대상물과 밀착성을 유지하는 절삭 가공 시스템의 상기 무브먼트 유닛은, 상기 보디 유닛에 텐션을 제공하는 몸체를 형성하는 보디부; 상기 보디부와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보디부의 전후방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 상기 보디부와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보디 유닛과 연장되어 제공되어, 상기 보디부가 제공하는 텐션에 따라 상기 보디 유닛에 텐션을 제공하는 푸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작업 로드에 따른 보디의 선택적 텐션을 제공하여 절삭 대상물과 밀착성을 유지하는 절삭 가공 시스템의 상기 보디 유닛은, 상기 절삭 가공물의 상부와 하부에 제공되어 회전을 제공하는 로테이션부; 상기 로테이션부에 복수 개로 제공되며, 소정의 날을 형성하여 상기 절삭 가공물의 외측면을 목적에 따라 가공하고 절삭하는 블레이드부; 상기 절삭 가공물의 외측면과 접촉하며, 상기 절삭 가공물과 텐션을 유지하며, 상기 절삭 가공물이 선택적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컨트롤부; 상기 컨트롤부와 이격되어 형성되고, 소정의 팁을 제공하여 상기 소정의 팁을 통해 상기 절삭 가공물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접촉하여 상기 절삭 가공물을 인식하고 두께를 산출하는 프로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작업 로드에 따른 보디의 선택적 텐션을 제공하여 절삭 대상물과 밀착성을 유지하는 절삭 가공 시스템의 상기 무브먼트 유닛은, 상기 가이드부에 제공되며, 상기 보디부의 전후방 이동을 가이드하는 레일부; 상기 보디부와 상기 푸싱부에 제공되어 상기 보디부로부터 제공되는 텐션에 따라 상기 푸싱부에 텐션을 전달하여 상기 푸싱부의 전후방 이동이 형성되도록 하는 커넥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작업 로드에 따른 보디의 선택적 텐션을 제공하여 절삭 대상물과 밀착성을 유지하는 절삭 가공 시스템의 상기 무브먼트 유닛은, 상기 컨트롤부의 상기 절삭 가공물에 대한 밀착성에 따라 상기 보디부의 텐션이 선택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컨트롤부와 상기 절삭 가공물의 외측면의 밀착성을 유지하도록 상기 보디부의 전후방 이동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작업 로드에 따른 보디의 선택적 텐션을 제공하여 절삭 대상물과 밀착성을 유지하는 절삭 가공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절삭 대상물에 대한 작업 로드를 인식하고 대상물에 대한 형상에 따라 장치의 텐션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
둘째, 절삭 대상물과 밀착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보디의 유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외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력에 대한 지속적인 밀착성은 유지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 로드에 따른 보디의 선택적 텐션을 제공하여 절삭 대상물과 밀착성을 유지하는 절삭 가공 시스템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 로드에 따른 보디의 선택적 텐션을 제공하여 절삭 대상물과 밀착성을 유지하는 절삭 가공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절삭 대상물을 절삭하고 가공하는 절삭 장치에 대한 전체적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 로드에 따른 보디의 선택적 텐션을 제공하여 절삭 대상물과 밀착성을 유지하는 절삭 가공 시스템의 보디 유닛과 무브먼트 유닛을 도시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 로드에 따른 보디의 선택적 텐션을 제공하여 절삭 대상물과 밀착성을 유지하는 절삭 가공 시스템의 움직임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 로드에 따른 보디의 선택적 텐션을 제공하여 절삭 대상물과 밀착성을 유지하는 절삭 가공 시스템의 보디 유닛과 홀딩 유닛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 로드에 따른 보디의 선택적 텐션을 제공하여 절삭 대상물과 밀착성을 유지하는 절삭 가공 시스템의 무브먼트 유닛의 움직임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 로드에 따른 보디의 선택적 텐션을 제공하여 절삭 대상물과 밀착성을 유지하는 절삭 가공 시스템의 인디케이트부를 도시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 로드에 따른 보디의 선택적 텐션을 제공하여 절삭 대상물과 밀착성을 유지하는 절삭 가공 시스템의 인디케이트부의 하부 구성을 도시한 부분 확대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작업 로드에 따른 보디의 선택적 텐션을 제공하여 절삭 대상물과 밀착성을 유지하는 절삭 가공 시스템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 로드에 따른 보디의 선택적 텐션을 제공하여 절삭 대상물과 밀착성을 유지하는 절삭 가공 시스템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 로드에 따른 보디의 선택적 텐션을 제공하여 절삭 대상물과 밀착성을 유지하는 절삭 가공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절삭 대상물을 절삭하고 가공하는 절삭 장치에 대한 전체적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 로드에 따른 보디의 선택적 텐션을 제공하여 절삭 대상물과 밀착성을 유지하는 절삭 가공 시스템의 보디 유닛과 무브먼트 유닛을 도시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 로드에 따른 보디의 선택적 텐션을 제공하여 절삭 대상물과 밀착성을 유지하는 절삭 가공 시스템의 움직임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 로드에 따른 보디의 선택적 텐션을 제공하여 절삭 대상물과 밀착성을 유지하는 절삭 가공 시스템의 보디 유닛과 홀딩 유닛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 로드에 따른 보디의 선택적 텐션을 제공하여 절삭 대상물과 밀착성을 유지하는 절삭 가공 시스템의 무브먼트 유닛의 움직임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 로드에 따른 보디의 선택적 텐션을 제공하여 절삭 대상물과 밀착성을 유지하는 절삭 가공 시스템의 인디케이트부를 도시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 로드에 따른 보디의 선택적 텐션을 제공하여 절삭 대상물과 밀착성을 유지하는 절삭 가공 시스템의 인디케이트부의 하부 구성을 도시한 부분 확대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작업 로드에 따른 보디의 선택적 텐션을 제공하여 절삭 대상물과 밀착성을 유지하는 절삭 가공 시스템은 보디 유닛(100), 무브먼트 유닛(200), 홀딩 유닛(300)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보디 유닛(100)은 절삭 대상물에 대하여 인식하며, 회전을 통해 절삭 대상물을 목적하는 형상에 따라 절삭 가공하는 몸체를 형성한다.
절삭 대상물의 경우, 금형, 주물 등을 통해 성형된 것에 해당할 수 있으며, 소정의 오브젝트는 플라스틱 수지, 금속 수지 등의 재료를 통해 제작된 것일 수 있으나, 성형된 방법과 재료에 대해서는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보디 유닛(100)은 절삭 대상물의 외측면에 대한 엣지 절삭 및 가공을 제공하는 영역과 함께, 틸팅을 제공하는 영역으로 구성될 수 있다.
무브먼트 유닛(200)은 보디 유닛(100)과 이격되어 형성되고, 절삭 대상물과 보디 유닛(100)의 밀착성을 유지하도록 전후방 텐션을 유지하며, 절삭 대상물의 작업 로드 발생에 따라 전후방 텐션을 선택적으로 제공한다.
작업 로드의 경우, 작업에 대한 내역을 의미할 수 있으며, 절삭 대상물에 대한 작업이 시작됨을 통하여 로드가 발생될 수 있다.
작업 로드의 경우, 절삭 대상물에 대한 외측면의 절삭과 가공을 위하여 절삭 대상물과 블레이드가 일정한 밀착성을 유지하도록 무브먼트 유닛(200)의 텐션이 제공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홀딩 유닛(300)의 경우, 보디 유닛(100)과 이격되어 형성되고, 절삭 대상물을 선택적으로 고정하며, 절삭 대상물의 상부와 하부를 고정하여 절삭 대상물의 이탈을 방지한다.
홀딩 유닛(300)은 절삭 대상물의 상부와 하부에 텐션을 제공함을 통해 선택적인 고정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한다.
홀딩 유닛(300)은 제1그립부(310), 제2그립부(320), 프레싱부(330), 모터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그립부(310)는 절삭 대상물의 상부면에 접촉하고, 제2그립부(320)는 절삭 대상물의 하부면에 접촉한다.
프레싱부(330)의 경우, 제1그립부(310)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고, 절삭 대상물의 상부면에 압력을 제공하는 구성이다.
제1그립부(310)와 제2그립부(320)는 타측이 연장되며, 제1그립부(310)와 제2그립부(320)의 일측은 절삭 대상물을 선택적으로 고정하게 된다.
프레싱부(330)는 제1그립부(310)로부터 연장되어 제공되되, 제1그립부(3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틸팅을 통하여 제1그립부(310)에 절삭 대상물을 압박하는 텐션을 제공하게 된다.
프레싱부(330)는 자체적으로 절삭 대상물의 상부면에 압력을 제공하지 않으나, 제1그립부(310)의 각도를 조절함을 통하여 절삭 대상물의 두께에 따라 상부면을 압박하는 압력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모터부(340)는 제2그립부(320)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프레싱부(330)의 하부에 제공되어 소정의 오브젝트의 하부면으로부터 소정의 오브젝트를 이동하는 동력을 제공한다.
모터부(340)의 경우, 제2그립부(320)를 통해 소정의 오브젝트의 하부면을 지지함과 함께, 모터의 동력을 통하여 소정의 오브젝트를 목적에 따라 이동시키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작업 로드에 따른 보디의 선택적 텐션을 제공하여 절삭 대상물과 밀착성을 유지하는 절삭 가공 시스템의 무브먼트 유닛(200)은 보디부(210), 가이드부(220), 푸싱부(23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보디부(210)의 경우, 보디 유닛(100)에 텐션을 제공하는 몸체를 형성한다.
보디부(210)는 전후방으로 이동함을 통하여 보디 유닛(100)에 텐션을 제공한다.
또한, 보디부(210)는 위치 유지를 통하여 지속적으로 보디 유닛(100)에 텐션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가이드부(220)의 경우, 보디부(210)와 이격되어 형성되며, 보디부(210)의 전후방 이동을 가이드한다.
푸싱부(230)는 보디부(210)와 이격되어 형성되며, 보디 유닛(100)과 연장되어 제공되고, 보디부(210)가 제공하는 텐션에 따라 보디 유닛(100)에 텐션을 제공한다.
푸싱부(230)는 보디 유닛(100)에 실질적인 푸싱 텐션을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작업 로드에 따른 보디의 선택적 텐션을 제공하여 절삭 대상물과 밀착성을 유지하는 절삭 가공 시스템의 보디 유닛(100)은 로테이션부(110), 블레이드부(120), 컨트롤부(130), 프로브부(14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로테이션부(110)의 경우, 절삭 가공물의 상부와 하부에 제공되어 회전을 제공한다.
로테이션부(110)의 경우, 회전하는 보디를 형성하며, 절삭 대상물의 절삭과 가공을 위한 회전을 제공한다.
로테이션부(110)의 경우, 절삭 가공물의 상부에 형성되어 회전을 제공하는 제1로테이션부(110-1)와 절삭 가공물의 하부에 형성되어 회전을 제공하는 제2로테이션부(110-2)로 형성된다.
제1로테이션부(110-1)와 제2로테이션부(110-2)는 자체적인 회전을 제공하며, 절삭 가공물의 두께에 따라 그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블레이드부(120)는 로테이션부(110)에 복수 개로 제공되며, 소정의 날을 형성하여 절삭 가공물의 외측면을 목적에 따라 가공하고 절삭한다.
블레이드부(120)의 경우, 복수 개의 블레이드가 절삭 가공물을 목적하는 형상으로 절삭한다.
블레이드부(120)의 소정의 날은 오브젝트에 대한 외측면을 목적에 따라 가공하고 절삭하게 된다.
복수 개의 블레이드부(120)는 상이한 각도로 제공되며, 오브젝트의 외측면을 상이한 각도로 절삭 또는 가공되도록 한다.
컨트롤부(130)는 절삭 가공물의 외측면과 접촉하며, 절삭 가공물과 텐션을 유지하며, 절삭 가공물이 선택적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컨트롤부(130)는 절삭 가공물의 절삭 또는 가공되는 과정 중 이탈되지 않도록 함과 함께, 절삭 가공물에 대한 목적하는 방향과 위치로의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자체적인 회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부(130)의 경우, 절삭 가공물에 대한 소정의 로드에 절삭 가공물과 접촉이 이루어지며, 절삭 가공물에 대한 소정의 로드가 개시됨과 함께 자체적인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컨트롤부(130)의 회전과 컨트롤부(123)에 제공되는 절삭 가공물과의 접촉 여부에 따라 소정의 로드에 대한 시작과 소정에 로드에 대한 연속성을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컨트롤부(130)가 절삭 가공물과 접촉하도록 하며 절삭 가공물에 대한 이탈을 방지함과 함께, 절삭 가공물의 절삭 회전이 가능할 수 있도록 보디 유닛(100)에 텐션이 가해지거나 텐션이 빠지도록 함을 통해 컨트롤부(130)와 절삭 가공물의 접촉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프로브부(140)의 경우, 컨트롤부(130)와 이격되어 형성되고, 소정의 팁을 제공하여 소정의 팁을 통해 절삭 가공물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접촉하여 절삭 가공물을 인식하고 두께를 산출한다.
프로브부(140)는 절삭 가공물의 상부와 접촉하도록 제공되는 제1프로브부(140-1)와 절삭 가공물의 하부와 접촉하도록 제공되는 제2프로브부(140-2)로 형성된다.
제1프로브부(140-1)는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프로브부(140-2) 또한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소정의 팁의 경우, 각각의 말단에 형성되며, 소정의 팁은 절삭 가공물과 접촉함을 통하여 절삭 가공물을 인식한다.
소정의 팁은 제1프로브부(140-1)와 제2프로브부(140-2)의 말단에 볼의 형태로 형성되며, 볼의 움직임을 통하여 절삭 가공물에 대한 형상과 두께를 인식한다.
또한, 보디 유닛(100)은 보디 유닛(100)의 몸체와 푸싱부(230)의 연결을 위하여 링크부(15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작업 로드에 따른 보디의 선택적 텐션을 제공하여 절삭 대상물과 밀착성을 유지하는 절삭 가공 시스템의 무브먼트 유닛(200)의 경우, 레일부(240)와 커넥팅부(25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레일부(240)의 경우, 가이드부(220)에 제공되며, 보디부(210)의 전후방 이동을 가이드한다.
레일부(240)의 경우, 제1레일부(240-1)와 제2레일부(240-2)로 제공될 수 있으며, 각각이 이격된 레일을 형성함을 통하여 보디부(210)가 전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커넥팅부(250)는 보디부(210)와 푸싱부(230)에 제공되어 보디부(210)로부터 제공되는 텐션에 따라 푸싱부(230)에 텐션을 전달하여 푸싱부(230)의 전후방 이동이 형성되도록 한다.
커넥팅부(250)의 경우, 컬럼부(251), 서포팅부(252), 인디케이터부(253)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컬럼부(25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디부(210)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되며, 보디부(210)의 몸체와 푸싱부(230)를 연결하고, 푸싱부(230)의 전후방 움직임에 대한 텐션을 제공한다.
컬럼부(251)는 보디부(210)의 몸체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되며, 장방향으로 제공된다.
서포팅부(252)는 컬럼부(251)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제공되고 보디부(210)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제공되어 컬럼부(251)를 고정한다.
컬럼부(251)는 상단부와 하단부가 서포팅부(252)를 통해 보디부(210)에 고정된다.
인디케이터부(253)의 경우, 보디 유닛(100)와 선택적으로 접촉하며, 보디 유닛(100)로부터 제공되는 소정의 로드(예컨대, 작업에 대한 로드)를 인식한다.
인디케이터부(253)는 말단에 푸싱부(230)의 텐션을 인식하여 소정의 로드를 인식하는 센싱부(254)를 포함한다.
인디케이터부(253)는 센싱부(254)에 해당하는 상부에 볼부(10), 스트레인부(11), 페러럴 와이어부(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볼부(10)의 경우, 오브젝트로부터 제공되는 압력을 통하여 상하 좌우의 움직임을 제공한다.
스트레인부(11)의 경우, 볼부(10)의 하부에 형성되며, 볼부(10)의 상하 좌우 움직임에 따라 눌림이 형성된다.
페러럴 와이어부(12)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러럴한 전선으로 구성되며, 서로 병렬적으로 이격되어 제공된다.
페러럴 와이어부(12)의 경우, 전선으로서 연속적 또는 주기적인 전류가 제공된다.
페러럴 와이어부(12)는 상이한 양극과 음극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페러럴 와이어부(12) 중 오른쪽에 형성된 전선의 경우, 양극을 왼쪽에 형성된 전선의 경우 음극을 형성할 수 있다.
스트레인부(11)의 경우, 연질의 재료로 제공되며, 도체의 성질을 가질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레인부(11)가 볼부(10)에 의하여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스트레인부(11)는 페러럴 와이어부(12)를 압박하게 되며, 이격되어 제공된 페러럴 와이어부(12)는 스트레인부(11)의 압박을 통해 압박된 부분에서의 전류의 흐름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전류의 흐름을 통하여 볼부(10)가 인식하는 보디부(210)에 대한 텐션에 대한 정도를 인식하게 되며, 복수 개의 인디케이터부(253)에 구비된 각각의 센싱부(254-1, 254-2)를 통하여 텐션이 가해지는 방향에 대한 정보를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인디케이터부(253)에 이격되어 제공되며, 인디케이터부(253)의 하부에 제공되고 보디부(210)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됨을 통하여 푸싱부(230)의 텐션을 인식하는 인식부(255)를 포함할 수 있다.
인식부(255)의 경우, 텐션이 가해지는 방향에 대한 인식이 가능하며, 각각의 인디케이터부(253)와 각각의 인식부(255)의 텐션에 대한 센싱의 차이를 통하여 텐션에 대한 방향과 텐션의 크기를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작업 로드에 따른 보디의 선택적 텐션을 제공하여 절삭 대상물과 밀착성을 유지하는 절삭 가공 시스템의 무브먼트 유닛(200)은 컨트롤부(130)의 절삭 가공물에 대한 밀착성에 따라 보디부(210)의 텐션이 선택적으로 형성되며, 컨트롤부(130)와 절삭 가공물의 외측면의 밀착성을 유지하도록 보디부(210)의 전후방 이동을 제공한다.
예컨대, 절삭 대상물(예컨대, 가공 대상물)은 절삭을 위하여 컨트롤부(130)와 지속적인 외측면의 접촉이 이루어지며, 외측면에 대한 접촉은 소정의 로드에 대하여 확인 가능하도록 한다.
컨트롤부(130)의 측면과 절삭 대상물에 대한 밀착성이 유지됨을 통하여 로테이션부(110)의 회전을 통한 블레이드부(120)의 작동이 가능하며, 블레이드부(120)를 통한 절삭과 가공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컨트롤부(130)의 측면과 절삭 대상물은 밀착성이 유지될 수 있도록 무브먼트 유닛(200)의 전방 이동과 후방 이동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보디부(210)의 전방 이동과 후방 이동을 통하여 푸싱부(230)는 지속적으로 컨트롤부(130)와 절삭 대상물이 접촉을 유지하며 밀착성을 유지하도록 하며, 밀착이 강하게 이루어진 경우에는 보디부(210)의 후방 이동을 통하여 밀착성에 대한 정도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결정되며, 특허 청구범위에 사용된 괄호는 선택적 한정을 위해 기재된 것이 아니라, 명확한 구성요소를 위해 사용되었으며, 괄호 내의 기재도 필수적 구성요소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절삭 장치
100: 보디 유닛
110: 로테이션부
120: 블레이드부
130: 컨트롤부
140: 프로브부
200: 무브먼트 유닛
210: 보디부
220: 가이드부
230: 푸싱부
240: 레일부
250: 커넥팅부
300: 홀딩 유닛
310: 제1그립부
320: 제2그립부
330: 프레싱부
340: 모터부

Claims (5)

  1. 절삭 대상물에 대하여 인식하며, 회전을 통해 상기 절삭 대상물을 목적하는 형상에 따라 절삭 가공하는 몸체를 형성하는 보디 유닛;
    상기 보디 유닛과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절삭 대상물과 보디 유닛의 밀착성을 유지하도록 전후방 텐션을 유지하며, 상기 절삭 대상물의 작업 로드 발생에 따라 상기 전후방 텐션을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무브먼트 유닛; 및
    상기 보디 유닛과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절삭 대상물을 선택적으로 고정하며, 상기 절삭 대상물의 상부와 하부를 고정하여 상기 절삭 대상물의 이탈을 방지하는 홀딩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무브먼트 유닛은,
    상기 보디 유닛에 텐션을 제공하는 몸체를 형성하는 보디부;
    상기 보디부와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보디부의 전후방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
    상기 보디부와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보디 유닛과 연장되어 제공되어, 상기 보디부가 제공하는 텐션에 따라 상기 보디 유닛에 텐션을 제공하는 푸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로드에 따른 보디의 선택적 텐션을 제공하여 절삭 대상물과 밀착성을 유지하는 절삭 가공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디 유닛은,
    상기 절삭 가공물의 상부와 하부에 제공되어 회전을 제공하는 로테이션부;
    상기 로테이션부에 복수 개로 제공되며, 소정의 날을 형성하여 상기 절삭 가공물의 외측면을 목적에 따라 가공하고 절삭하는 블레이드부;
    상기 절삭 가공물의 외측면과 접촉하며, 상기 절삭 가공물과 텐션을 유지하며, 상기 절삭 가공물이 선택적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컨트롤부;
    상기 컨트롤부와 이격되어 형성되고, 소정의 팁을 제공하여 상기 소정의 팁을 통해 상기 절삭 가공물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접촉하여 상기 절삭 가공물을 인식하고 두께를 산출하는 프로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로드에 따른 보디의 선택적 텐션을 제공하여 절삭 대상물과 밀착성을 유지하는 절삭 가공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무브먼트 유닛은,
    상기 가이드부에 제공되며, 상기 보디부의 전후방 이동을 가이드하는 레일부;
    상기 보디부와 상기 푸싱부에 제공되어 상기 보디부로부터 제공되는 텐션에 따라 상기 푸싱부에 텐션을 전달하여 상기 푸싱부의 전후방 이동이 형성되도록 하는 커넥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로드에 따른 보디의 선택적 텐션을 제공하여 절삭 대상물과 밀착성을 유지하는 절삭 가공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무브먼트 유닛은,
    상기 컨트롤부의 상기 절삭 가공물에 대한 밀착성에 따라 상기 보디부의 텐션이 선택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컨트롤부와 상기 절삭 가공물의 외측면의 밀착성을 유지하도록 상기 보디부의 전후방 이동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로드에 따른 보디의 선택적 텐션을 제공하여 절삭 대상물과 밀착성을 유지하는 절삭 가공 시스템.

KR1020230146295A 2023-10-30 2023-10-30 작업 로드에 따른 보디의 선택적 텐션을 제공하여 절삭 대상물과 밀착성을 유지하는 절삭 가공 시스템 KR1026406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46295A KR102640640B1 (ko) 2023-10-30 2023-10-30 작업 로드에 따른 보디의 선택적 텐션을 제공하여 절삭 대상물과 밀착성을 유지하는 절삭 가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46295A KR102640640B1 (ko) 2023-10-30 2023-10-30 작업 로드에 따른 보디의 선택적 텐션을 제공하여 절삭 대상물과 밀착성을 유지하는 절삭 가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0640B1 true KR102640640B1 (ko) 2024-02-23

Family

ID=90041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46295A KR102640640B1 (ko) 2023-10-30 2023-10-30 작업 로드에 따른 보디의 선택적 텐션을 제공하여 절삭 대상물과 밀착성을 유지하는 절삭 가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0640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7108A (ko) * 1992-09-23 1994-04-26 전성원 자동차 도어스위치 캡용 고무조성물
KR20000040565A (ko) 1998-12-18 2000-07-05 한상구 모서리 가공용 절삭장치
KR20090045475A (ko) * 2007-11-02 2009-05-08 주식회사 포스코 소재 절단장치
KR101677716B1 (ko) 2016-01-12 2016-11-18 한국야금 주식회사 절삭 인서트 및 이를 장착한 절삭 공구
KR101701543B1 (ko) 2009-07-26 2017-02-01 이스카 엘티디. 절삭 인서트 및 회전형 절삭 공구
KR101721693B1 (ko) * 2016-09-21 2017-03-30 정태영 파이프 커팅장치 및 방법
KR20200034181A (ko) * 2018-09-21 2020-03-31 김중삼 장구형 워엄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장구형 워엄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7108A (ko) * 1992-09-23 1994-04-26 전성원 자동차 도어스위치 캡용 고무조성물
KR20000040565A (ko) 1998-12-18 2000-07-05 한상구 모서리 가공용 절삭장치
KR20090045475A (ko) * 2007-11-02 2009-05-08 주식회사 포스코 소재 절단장치
KR101701543B1 (ko) 2009-07-26 2017-02-01 이스카 엘티디. 절삭 인서트 및 회전형 절삭 공구
KR101677716B1 (ko) 2016-01-12 2016-11-18 한국야금 주식회사 절삭 인서트 및 이를 장착한 절삭 공구
KR101721693B1 (ko) * 2016-09-21 2017-03-30 정태영 파이프 커팅장치 및 방법
KR20200034181A (ko) * 2018-09-21 2020-03-31 김중삼 장구형 워엄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장구형 워엄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53578B1 (ja) 加工装置
KR102640640B1 (ko) 작업 로드에 따른 보디의 선택적 텐션을 제공하여 절삭 대상물과 밀착성을 유지하는 절삭 가공 시스템
KR102640637B1 (ko) 오브젝트의 선택적 감지를 통한 오브젝트 절삭 시스템
KR102640638B1 (ko) 오브젝트의 두께에 다른 높이 조절 기능을 구비하는 코너 절삭 어드저스트 시스템
KR102640639B1 (ko) 절삭 대상물의 작업 로드에 따른 보디의 선택적 틸팅을 제공하는 밸런싱 시스템
EP2471638A1 (en) Copying apparatus
CN211991133U (zh) 曲线型成型铣刀
CN211840443U (zh) 用于铣床的刮刀
CN215200848U (zh) 一种可加工异型件的机加工高精度钻孔设备
CN210305920U (zh) 数控牛头刨床
CN107160181A (zh) 一种母排自动成型流水线
CN216850701U (zh) 一种多适用的铆接机夹具
CN205851991U (zh) 一种刻3d检测线的弯刀
CN212824409U (zh) 一种智能高精度弯刀机
CN211071870U (zh) 一种用于加工异型产品倒锥面的刀具
CN219648723U (zh) 一种用于加工连续多曲面的复合刀具
CN211028333U (zh) 一种自定心拉刀前导结构
CN214236443U (zh) 板材拉槽加工设备
CN204817785U (zh) 钥匙牙花冲齿机用夹紧机构
CN210307419U (zh) 一种工程机械用颚式夹钳
CN215746471U (zh) 一种用于端脚加工的一体式刀具
CN212096031U (zh) 一种铍青铜棒加工用固定装置
CN220944274U (zh) 一种防弧面加工变形夹紧工装
CN215598981U (zh) 一种五金冲压件检测装置
CN208195705U (zh) 一种新型驱动机械卡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