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0446B1 - A method for planting vertical gardens - Google Patents

A method for planting vertical garden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0446B1
KR102640446B1 KR1020220148297A KR20220148297A KR102640446B1 KR 102640446 B1 KR102640446 B1 KR 102640446B1 KR 1020220148297 A KR1020220148297 A KR 1020220148297A KR 20220148297 A KR20220148297 A KR 20220148297A KR 102640446 B1 KR102640446 B1 KR 1026404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nts
soil
planting
evergreen
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829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공영
Original Assignee
박공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공영 filed Critical 박공영
Priority to KR10202201482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044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04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0446B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1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
    • A01G24/12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 containing soil miner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1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
    • A01G24/12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 containing soil minerals
    • A01G24/15Calcined rock, e.g. perlite, vermiculite or clay aggregat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2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 A01G24/22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containing plant material
    • A01G24/25Dry fruit hulls or husks, e.g. chaff or coi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2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 A01G24/28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containing peat, moss or sphagnu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5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ontained within a flexible envelo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겨울에는 전체 상록이 유지되고 봄여름 가을 동안은 다양하고 아름다운 꽃을 피우는 수직정원의 조성 및 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P1) 수직정원 조성에 있어 토양의 물리적, 화학적 특성을 구분하여 각각의 토양을 혼합하는 단계; (P2) 토양의 물리적, 화학적 특성을 구분하여 혼합된 토양을 산성토양(Ph 3.5~6)은 황색 티백 모양의 토낭에 담는 단계, 표준(중성) 토양(pH 6.5~7)은 무색 티백 모양의 토낭에 담는 단계, 알칼리토양(pH 7~8)은 녹색 티백 모양의 토낭에 담는 단계, 건식토양(pH 6.5~7)은 빨강색 티백 모양의 토낭에 담는 단계, 습식 토양(pH 5.5~6)은 푸른색 티백 모양의 토낭에 담는 단계; (S1) 대상 벽면에 식물의 식생 기반이 되는 식생 기반 부재를 설치하는 단계: (S2) 상기 (S1)을 수행한 식생 기반 부재 위에 디자인에 맞게 직접 락카 등을 이용 식재지도를 그리는 단계; (S3) 벽면 전체가 녹색이 되도록 선정된 상록성 식물의 가지가 겹쳐질 정도로 심어가는 단계; (S4) 상기 단계 (S3)를 수행 중에 선정된 식물에 알맞은 토양(P2)을 이용하여 식물을 흔들리거나 바람에 뽑히지 않도록 단단히 고정 식재하는 단계; (S5) 상기 단계 (S3)을 수행 중에 디자인 때문에 상록성 식물 사이에 꽃 피는 식물을 교차 혼성 식재하는 단계; (S6) 상기 단계 (S3)을 수행 중에 식재도면에 맞추어 다시 다른 식물을 심는 단계; (S7) 상기 단계 (S3)~(S6)의 단계에서 좌에서 우로 위에서 아래로 진행하며 심어가는 단계를 포함, 혼성 식재를 완성하는 단계; (S8) 상기 단계 (S7) 단계로 전체가 심어진 상록성 식물 및 계절성 꽃식물이 심어진 상태에서 상록성 식물을 기준으로 단정되고 안정되게 전체 높이를 맞추어서 커팅하는 단계; (S9) 매년 혹은 2~3년을 주기로 겨울 혹은 이른 봄 필요에 의해서 상기 (S8)의 단계를 반복하고 필요한 영양분을 추가 공급하는 단계; 및 (S10) 매년 계절에 따라 각 식물의 특성에 맞게 데드헤딩을 통하여 꽃을 더욱 풍성하고 지속해서 피어나게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사계절 상록이 유지되는 수직정원의 식물 식재방법에 따르면, 수직정원에서 상록성 식물을 벽면이 보이지 않게 배치하여 심고 그 사이사이에 꽃이 피는 계절성 식물을 배치하여 심음으로써 사계절 내내 상록이 유지되면서도 계절별로 다양한 꽃을 피워 내는 아름다운 수직정원을 연출할 수 있다. 또한, 겨울철에 잎이 떨어져 흉물스럽던 수직정원의 벽면을 상록성 식물로 빈틈없이 푸르게 조성함으로써 외관상 예술 장식품으로서의 가치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환경을 자연 친화적이고 쾌적하게 조성할 수 있어 당 분야에서 매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creating and managing a vertical garden that maintains all evergreens in winter and blooms diverse and beautiful flowers during spring, summer, and fall. (P1) In creating a vertical garden, the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the soil are distinguished and each mixing the soil; (P2) Differentiating the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the soil, the mixed soil is placed in a yellow teabag-shaped bag for acidic soil (Ph 3.5~6), and a colorless teabag-shaped bag for standard (neutral) soil (pH 6.5~7). Step of putting into a tote bag, alkaline soil (pH 7-8) step of putting into a green tea bag-shaped tote bag, dry soil (pH 6.5-7) step of putting into a red tea bag-shaped tote bag, wet soil (pH 5.5-6) Step of putting it in a blue tea bag-shaped bag; (S1) Installing a vegetation base member that serves as the basis for plant vegetation on the target wall: (S2) Drawing a planting map directly on the vegetation base member for which (S1) was performed using a lacquer, etc. according to the design; (S3) Planting the branches of selected evergreen plants so that they overlap so that the entire wall becomes green; (S4) planting the plants using soil (P2) suitable for the plants selected during the step (S3), firmly fixing them so that they are not shaken or pulled out by the wind; (S5) cross-planting flowering plants between evergreen plants due to the design while performing step (S3); (S6) planting another plant again according to the planting plan while performing the step (S3); (S7) completing mixed planting, including planting from top to bottom from left to right in the steps (S3) to (S6); (S8) cutting the evergreen plants and seasonal flowering plants planted in their entirety in step (S7) to the overall height in a neat and stable manner based on the evergreen plants; (S9) repeating the step of (S8) every year or every 2 to 3 years as needed in winter or early spring and supplying additional nutrients; And (S10) according to the plant planting method for a vertical garden in which evergreens are maintained in all seaso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ncludes the step of managing flowers to bloom more abundantly and continuously through deadheading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lant according to the season each year. , by planting evergreen plants in a vertical garden so that the walls are not visible, and planting seasonal plants with flowers in between, you can create a beautiful vertical garden that maintains evergreen all year round and blooms various flowers depending on the season. In addition, by making the walls of the vertical garden, which used to lose its leaves and become ugly during the winter, green without gaps with evergreen plants, not only can it increase its value as an art decoration, but it can also create a nature-friendly and comfortable environment, making it very useful in the field. It is expected that it can be used.

Description

수직정원의 식물 식재방법 {A method for planting vertical gardens}{A method for planting vertical gardens}

본 발명은 수직정윈의 식물 식재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수직 정원의 조성에 있어 식물특성에 기반을 둔 식생 토양조성으로 수직정원에 도입되는 여러 가지의 식물특성에 알맞은 맞춤형 식생 토양을 제공하여 각 각의 식물마다 최적의 생육환경을 조성함으로써 다양한 식물의 생육을 개선하여 겨울에는 전체벽면이 상록성이 유지되면서도 봄, 여름, 가을에는 다양한 꽃을 피우는 수직 정원의 조성 및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planting plants in vertical gardening, and more specifically, to providing customized vegetation soil suitable for various plant characteristics introduced into vertical gardens by creating vegetation soil based on plant characteristics in the creation of vertical gardens. This relates to a method of creating and managing a vertical garden that improves the growth of various plants by creating an optimal growth environment for each plant, so that the entire wall remains evergreen in winter and blooms various flowers in spring, summer, and fall.

인구의 증가와 산업화 등으로 대도시의 주거형태나 사무형태가 단독 및 다세대 주택에서 고층의 아파트나 고층 빌딩으로 전환됨에 따라 아파트 혹은 대형 빌딩의 베란다나 실내에서 식물을 수직의 틀 속에 키워 공간은 줄이면서 식물의 양은 널려 실내공기 정화 및 장식용으로 활용하는 사람들이 점차 늘어나고 있다.As the residential and office types of large cities are changing from single-family and multi-family houses to high-rise apartments and high-rise buildings due to population growth and industrialization, plants are grown in vertical frames on verandas or indoors of apartments or large buildings to reduce space. The amount of plants is widespread, and the number of people using them to purify indoor air and for decoration is gradually increasing.

농업진흥청 원예특작과원 도시농업과와 각 대학의 생활원예실험실 등에서 실내에서 식물의 공기정화 능력에 대한 여러 가지 연구결과로 보면 부피 면적에 2% 이상의 식물이 적용되면 환경 유해 물질인 톨루엔이나 포름알데히드와 같은 초미세먼지를 4시간 후 50% 이상 낮추는 효과를 제시하고 있다. According to the results of various studies on the air purifying ability of plants indoors by the Urban Agriculture Department of the Horticultural and Special Crop Division of the Agricultural Promotion Agency and the Living Horticulture Laboratory of each university, if more than 2% of the plants are applied to the volume area, toluene or formaldehyde, which are environmentally harmful substances, are reduced. It suggests the effect of reducing ultrafine dust by more than 50% after 4 hours.

또한, 최근 미세먼지와 열섬현상은 도시에서 대부분 시간을 보내는 도시민들의 건강의 위험용인이 되고 있어 정부의 적극적인 개선 노력이 요구되고 있다.In addition, fine dust and the heat island phenomenon have recently become a risk to the health of city residents who spend most of their time in the city, requiring active improvement efforts from the government.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시 숲 조성과 공원 조성 등에 큰 비용이 투자되고 있으나 식재면적이 매우 부족한 대도심에는 녹지량을 늘린다는 게 한계가 있다. To solve these problems, large amounts of money are being invested in creating urban forests and parks, but there are limits to increasing the amount of green space in large cities where planting areas are very limited.

그래서 최근에는 생육기반체 혹은 모듈을 벽에 직접 부착하여 벽면녹화 또는 수직정원을 연출하고 있는 기술이 제안되어 수직정원 혹은 벽면녹화가 다양하게 시도되고 있다. Therefore, recently, a technology has been proposed to create wall greening or vertical gardens by directly attaching growth substrates or modules to the wall, and various attempts have been made to create vertical gardens or wall greening.

초기의 벽면녹화는 주로 덩굴식물에 의한 한 종의 식물을 대상으로 하였다가 최근엔 다양한 식물들을 구간을 나누어 심는 혼합 식재방법이 대세를 이루고 있다. 이런 혼합식재 수직정원은 프랑스의 식물학자 패트락블랑에 의해 제안되었고 본 발명자에 의해서도 시도되었다.In the early days, wall greening mainly targeted one type of plant, vines, but recently, mixed planting methods of planting various plants in separate sections have become popular. This mixed planting vertical garden was proposed by French botanist Patrac Blanc and was also attempted by the present inventor.

국내에도 패트락블랑의 작품이 시도되어 부산현대미술관은 총사업비 430억 원으로 2018년 6월 정식 개관했다. 벽면녹화의 세계적인 거장이라 불리는 패트릭 블랑이 1300㎡ 넓이의 부산현대미술관 외벽 콘크리트에 175종의 식물을 심어 2018년 4월 조성됐다. 이 수직정원에는 9억 4000여만 원의 예산이 투입됐다.Patrac Blanc's works were also tried in Korea, and the Busan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was officially opened in June 2018 with a total project cost of 43 billion won. Patrick Blanc, known as a world-renowned master of wall greening, planted 175 species of plants on the concrete exterior wall of the 1,300㎡ Busan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which was created in April 2018. A budget of 940 million won was invested in this vertical garden.

구간을 나누어 식재하는 혼합식재 수직정원은 다양한 식물을 적용할 수 있어 봄부터 가을까지 다른 식물에 의해 지속적인 개화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Mixed planting vertical gardens, which are planted in sections, have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apply a variety of plants, allowing continuous flowering by other plants from spring to fall.

그러나 패트락 블랑이 조성한 부산현대미술관의 수직정원은 1년 후 50%이상의 식물이 고사했고 매년 하자가 증가하고 있어 미술관 측은 작가와 동의 없이 특별 대책을 수립했다. 그 대책은 매년 보식을 하는 것이 전부다.However, in the vertical garden of the Busan Museum of Modern Art created by Patrac Blanc, more than 50% of the plants had died after one year, and defects were increasing every year, so the museum established special measures without consent from the artist. The only solution is to supplement your diet every year.

이 사례에서 보듯, 패트락블랑의 다양한 식물을 단순 혼합식재에 의한 수직정원은 겨울이 따듯하고 여름이 시원한 프랑스에서는 성공했지만, 기후가 완전히 다른 한국에서는 실패했다. As seen in this case, vertical gardening by simply mixing various plants of Patrac Blanc was successful in France, where winters are warm and summers are cool, but failed in Korea, where the climate is completely different.

특히 170여 종의 식물 대부분은 낙엽이 지는 식물을 사용했고 따라서 겨울에는 더욱 흉물이 되었다.In particular, most of the 170 or so species of plants used were plants that shed deciduous leaves, making them even more unsightly in the winter.

본 발명자에 의해 2009년 조성된 남산 1호터널의 수직정원은 일부 식물의 고사로 보식하는 문제가 있었고 겨울 낙엽으로 인한 식생 기반의 노출은 있지만, 적용식물이 10년이 지난 현재까지도 잘 생육되고 있다.The vertical garden of Namsan Tunnel No. 1, created by the present inventor in 2009, had a problem with the death of some plants and the vegetation base was exposed due to fallen leaves in winter, but the applied plants are still growing well 10 years later. .

식물들은 경쟁을 피하기 위한 전략으로 생활공간을 달리하여 진화해 왔다. 그 주요수단으로 빛과 수분 그리고 온도 및 토양의 조건에 맞추어 오랜 기간 적응, 진화해 왔다.Plants have evolved different living spaces as a strategy to avoid competition. As its main means, it has adapted and evolved over a long period of time to suit light, moisture, temperature, and soil conditions.

그러나 지금까지의 수직정원에는 여러 가지 다양한 방법이 시도되고 있었지만 각 각의 식물특성에 주목하지 않고 똑같은 양의 물과 동일한 성분으로 구성된 토양을 공급했다.However, although many different methods have been attempted in vertical gardens so far, the same amount of water and soil composed of the same ingredients were supplied without paying attention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lant.

즉, 각각 다른 식물의 생육환경이나 수분 요구 혹은 산도 요구 등을 무시한 결과에 의해 많은 식물이 적응하지 못하고 고사하거나 생육이 불량한 결과를 낳았다.In other words, as a result of ignoring the growth environment, moisture requirements, or acidity requirements of each plant, many plants were unable to adapt and died or had poor growth.

따라서, 한 종류의 식물로 벽면을 녹화한다면 그 식물에 알맞도록 같은 양의 수분과 같은 성질의 토양을 공급하면 실패를 줄이고 벽면녹화를 유지할 수 있다. Therefore, if you are greening a wall with one type of plant, you can reduce failure and maintain greening of the wall by supplying the same amount of moisture and soil with the same properties as appropriate for the plant.

그러나 수직 정원 조성에 있어 다양한 식물을 적용하여 종 다양성을 늘리고 심미적 아름다움과 예술적 디자인도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각각의 특성이 다른 식물을 함께 적용하기 위한 다양한 도전을 시도하는 것이다. 그리고 또다른 문제는 겨울철 식물낙엽 후 벽면이 노출되는 문제이다.However, when creating vertical gardens, various plants are applied to increase species diversity, and aesthetic beauty and artistic design are also required. Therefore, we are attempting various challenges to apply plants with different characteristics together. Another problem is that the wall surface is exposed after plant leaves fall in winter.

따라서 본 특허에서는 적용되는 식물의 생육환경에 알맞도록 토양의 물리성과 화학성을 구분하여 적용함으로써 각각의 식물생육 요구특성에 부합하게 조성, 관리하여 다양하고 아름다운 식물을 적용한 수직정원을 완성하는 기술이다. Therefore, in this patent, the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the soil are differentiated and applied to suit the growth environment of the plants to which they are applied, thereby creating and managing a vertical garden in accordance with the requirements for the growth of each plant, thereby completing a vertical garden with diverse and beautiful plants.

또한, 우리나라의 추운 겨울철 많은 식물은 낙엽을 떨구고 휴면에 들어 식생기반체 혹은 벽에 부착된 모듈이 노출되는 한계가 있어 최근 몇 년사이 벽면녹화에 사철나무 혹은 향나무 등 상록성 관목식재가 그 대안으로 시도되고 있다.In addition, during the cold winter in Korea, many plants shed their leaves and go dormant, limiting the exposure of the vegetation base or modules attached to the wall. In recent years, planting of evergreen shrubs such as perennial trees or junipers has been attempted as an alternative to wall greening. It is becoming.

그러나 우리나라의 겨울 상록성 식물은 대체로 아름다운 꽃을 피우지 않는다. 일반적인 정원은 계절이 바뀌면서 다양한 꽃이 피고 지는 계절감이 있어야 한다. However, our country's winter evergreen plants generally do not bloom beautiful flowers. A typical garden should have a seasonal feel, with various flowers blooming and falling as the seasons change.

따라서 이러한 문제에 대하여 본 발명자에 의해 등록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726567호에서는, 수직정원에 다양한 식물을 심는 방법으로 각각의 식물특성에 따라 토양의 화학적 성질과 물리적 성질이 다른 각각의 식생 기반 부재를 제공하여 식재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식물을 적용, 가능하게 하였다.Therefore, in response to this problem, in 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726567 registered by the present inventor, a method of planting various plants in a vertical garden is used to create a vegetation-based member with different chemical and physical properties of the soil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lant. It was possible to apply and plant various types of plants by providing and planting them.

그러나 이 특허에서 제안하고 있는 생육기반 부재를 더욱 명확하게 구분하고 다양한 식물에게 적용 가능하게 개발하여 겨울철에 노출되는 식생 기반 부재를 가리고 다양한 꽃을 피우기 위해 구체성을 더욱 정확하게 하였다.However, the growth-based members proposed in this patent were developed to be more clearly distinguished and applicable to a variety of plants, and the specificity was made more accurate to cover the vegetation-based members exposed in the winter and to allow various flowers to bloom.

물론 회양목, 사철나무, 향나무, 측백나무, 맥문동 등 겨울 상록성 식물만을 혼합하여 일부 문양을 나타내는 아름다움은 연출할 수 있겠지만 봄, 여름, 가을 계절을 바꾸어 가며 더욱 풍성하고 다양한 꽃이 피는 연출에는 한계가 있었다.Of course, it is possible to create the beauty of some patterns by mixing only winter evergreen plants such as boxwood, cypress, juniper, arborvitae, and cypress, but there are limits to the ability to produce more abundant and diverse flowers by changing the seasons of spring, summer, and fall.

이에 본 발명자는 겨울에는 상록을 유지할 수 있고 봄부터 가을까지는 다양한 꽃을 피우는 수직정원 조성 기술을 개발하기 위하여 계속 연구를 진행하여 식물 각각의 생육환경에 알맞은 토양조성과 공급방법을 고안 함으로써 다양한 식물을 적용할 수 있게 되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or has continued research to develop a vertical garden construction technology that can maintain evergreens in the winter and bloom a variety of flowers from spring to fall, and has developed a soil composition and supply method suitable for the growth environment of each plant to grow a variety of plants. It was possible to apply it.

특히, 이를 바탕으로 상록성 식물과 계절성 꽃 피는 식물을 특정하게 배치하여 심고 관리 함으로써 사계절 내내 싱그러운 상록의 수직정원을 연출하면서도 계절별로 다양한 꽃을 피워 내는 아름다운 수직정원을 연출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In particular, based on this, it was discovered that by specifically arranging, planting, and managing evergreen plants and seasonal flowering plants, it is possible to create a beautiful vertical garden that blooms a variety of flowers by season while creating a refreshing evergreen vertical garden all year round, and the present invention was completed.

1011105230000 (2012.01.19.)1011105230000 (2012.01.19.)

1013314040000 (2013.11.14.)1013314040000 (2013.11.14.)

1017265670000 (2017.04.07)1017265670000 (2017.04.07)

따라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함으로써 다양한 식물을 적용하더라도 각각의 식물 생육환경을 맞추어 줄 수 있는 맞춤형 토양의 혼합 제조 및 포장방법과 적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refore, 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ixing manufacturing and packaging method and application method of customized soil that can suit the growth environment of each plant even when applying various plants by solving the above problems.

그리고 이 맞춤형 토양을 이용한 다양한 식물 적용 방법 중 사계절 내내 상록의 수직정원을 연출하면서도 계절별로 다양한 꽃을 피워 내는 아름다운 수직 정원을 연출할 수 있는 식물의 혼성식재 및 관리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mong the various plant application methods using this customized soil, the purpose is to provide mixed planting and management methods of plants that can create a beautiful vertical garden that blooms various flowers according to the season while creating an evergreen vertical garden all year round.

위와 같은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직물, 펠트 또는 부직포 혹은 플라스틱 모듈 등 어떠한 형태의 수직정원 시스템이 되었든지 간에,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자의 특허 등록번호 : 1017265670000호 형태의 수직정원 조성에 있어 상기 포켓에 담기는 토양을 5가지로 나누어 제조하는 생육기반 부재에 있어 알칼리성 토양, 산성토양, 배양토(중성)토양 및 건식토양, 습식토양 등 5가지로 구분되어 혼합 제조되고 티백형으로 각각 포장되어 구분되게 상자 포장되어 공급된다. 이때 알칼리토양은 녹색, 중성토양은 무색, 산성토양은 노랑색, 건식토양은 빨강색, 습식토양은 푸른색으로 구분되어 포장된다. 물론 이들을 담은 상자 포장의 색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purpose, regardless of the type of vertical garden system such as fabric, felt, non-woven fabric, or plastic module, preferably, in the construction of a vertical garden in the form of the present inventor's patent registration number: 1017265670000, the pocket is installed. In the growth base material that is manufactured by dividing the soil into 5 types, it is divided into 5 types such as alkaline soil, acidic soil, cultured soil (neutral) soil, dry soil, and wet soil, and is mixed and manufactured, and each is packaged in tea bag type and boxed separately. It is supplied packaged. At this time, alkaline soil is colored green, neutral soil is colorless, acidic soil is yellow, dry soil is red, and wet soil is blue. Of course, the color of the box packaging that contains them also applies.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상기 토양의 종류 및 비율은; 중성배양토의 제조에 있어 기본 모제의 경우 이천지역에서 채취되는 마사토 50~70%, 피트모스 10~20%, 코코피트 10~20%, 완전 부숙 우분퇴비 10~20%와 유박1~2% 비율로 조성된 중성배양토의 표준 산도는 Ph 6~7을 기준으로 조성된다. 각각의 토양을 구분하기 쉽고 식재의 편리성을 위하여 티백과 같은 형상의 무색 토낭에 50~300g 내외로 담겨져 동일한 색상의 박스에 담아 공급된다.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ype and ratio of the soil are; In the production of neutral culture soil, the basic base material is 50-70% basil collected in the Icheon area, 10-20% peat moss, 10-20% coco peat, 10-20% fully composted cow manure, and 1-2% oil cake. The standard acidity of the neutral culture soil is based on Ph 6-7. To make it easy to distinguish between each type of soil and to make planting more convenient, it is supplied in a colorless bag shaped like a tea bag weighing about 50 to 300 g and placed in a box of the same color.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상기 알칼리토양의 종류 및 비율은; 상기 중성토양 90~99%에 재 및 숯 1~5%, 소석회 1~5%를 첨가하여 산도는 Ph 7~8을 기준으로 하여 제조되고 티백과 같은 형상의 녹색 토낭에 50~300g 내외로 담겨 같은 색상의 상자에 담아 공급된다.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ype and ratio of the alkaline soil are; It is manufactured by adding 1 to 5% of ash and charcoal and 1 to 5% of slaked lime to 90 to 99% of the above neutral soil to produce an acidity of Ph 7 to 8. It is placed in a green bag shaped like a tea bag and weighs about 50 to 300 g. It is supplied in a box of the same color.

상기 산성토양의 종류 및 비율은; 상기 중성토양 70~90%에 피트모스 10~30%, 유황 0.1~1%를 첨가하여 산도는 Ph 3.5~6을 기준으로 하여 제조되고 티백과 같은 형상의 노랑색 토낭에 50~300g 내외로 담겨져 동일한 색상의 박스에 담아 공급된다. The type and ratio of the acidic soil are; 10-30% of peat moss and 0.1-1% of sulfur are added to 70-90% of the above neutral soil to produce an acidity of Ph 3.5-6. It is placed in a yellow bag of the same shape as a tea bag in an amount of about 50-300 g and has the same color. Supplied in a box.

상기 건식토양의 종류 및 비율은; 상기 건식토양의 경우 물 빠짐이 빠르고 통기성이 극대화되어야 하므로 화산석 일종의 난 석 50~90%에 코코피트 10~30%, 펄라이트 10~30%에 의해 만들어지며 산도는 Ph 6.5~7을 기준으로 하여 제조되고 티백과 같은 형상의 빨강색 토낭에 30~200g씩 담겨져 동일한 색상의 박스에 담아 공급된다. The type and ratio of the dry soil are; In the case of the above dry soil, water drainage must be rapid and ventilation must be maximized, so it is made with 50-90% volcanic orchid, 10-30% coco peat, and 10-30% perlite, and the acidity is based on Ph 6.5-7. It is supplied in 30~200g each in a red tote bag of the same shape as a tea bag and in a box of the same color.

상기 습식토양의 종류 및 비율은; 상기 습식토양의 경우 물 빠짐이 느리게 작동되고 물을 많이 흡수해야 하므로 수태 일종의 피트모스 50~90%에 이천지역의 마사토 20~30% 그리고 토양 산도를 맞추기 위하여 훈탄왕계 10~30%에 의해 만들어 지며 산도는 Ph 5.5~6.5를 기준으로 하여 제조되고 티백과 같은 형상의 푸른색 토낭에 30~200g씩 담겨져 동일한 색상의 박스에 담아 공급된다. The type and ratio of the wet soil are; In the case of the above wet soil, water drains slowly and a lot of water must be absorbed, so it is made with 50 to 90% of impregnated peat moss, 20 to 30% of basil from the Icheon area, and 10 to 30% of Huntanwanggye to adjust the soil acidity. is manufactured based on Ph 5.5~6.5 and is supplied in 30~200g each in blue tote bags shaped like tea bags and in boxes of the same color.

상기 식물 종류에 따른 적정 토양 산도는 작물별 적정 토양 산도에 관한 연구는 거의 모든 재배식물에 대하여 완료되었다. Research on the optimal soil acidity for each plant type has been completed for almost all cultivated plants.

그러나, 상기 식물 종류에 따른 적정 토양 산도는 일반적인 식물 대부분은 Ph 6.5~7의 약산성과 중성에서 잘 자라게 된다. However, most general plants grow well in slightly acidic and neutral pH ranges of 6.5 to 7.

상기 식물 종류에 따른 적정 토양 산도 중 산성토양에 적응된 식물; Ph 5~6 정도의 산성토양에서 적응한 식물은 감나무, 귤나무, 고사리, 난, 노간주, 스킨답스서, 인삼, 자작나무, 참나무, 치자, 편백나무, 향나무, 등이 대표적인 산성토양 선호 식물이다. 그리고 이보다 더 산성을 요구하는 식물도 많은데 Ph 4~5의 강산성 요구 식물은 주로 진달래과의 식물이 차지한다. 즉, 블루베리, 철쭉, 만병초, 진달래, 등이고 소나무도 여기에 속하는 식물이다. Plants adapted to acidic soil among the appropriate soil acidity levels for the plant type; Plants adapted to acidic soil with a pH of around 5 to 6 include persimmon trees, tangerine trees, ferns, orchids, junipers, skin dabs, ginseng, birch trees, oak trees, gardenias, cypress trees, and juniper trees. . There are also many plants that require more acidity than this, and plants that require strong acidity of Ph 4-5 are mainly plants of the Rhododendron family. That is, blueberries, azaleas, rhododendrons, azaleas, etc., and pine trees also belong to these plants.

상기 식물 종류에 따른 적정 토양 산도 중 알칼리토양에 적응된 식물; Ph 7~8 정도의 알칼리토양에서 적응한 식물은 라벤더, 산세베리아, 민트, 소코라코, 아스파라거스, 올리브, 플록스, 파스타 치오, 피칸, 회양목 등이 여기에 속하는 식물이다.Plants adapted to alkaline soil among the appropriate soil acidity levels for the plant type; Plants adapted to alkaline soil with a pH of about 7 to 8 include lavender, sansevieria, mint, socoraco, asparagus, olive, phlox, pastachio, pecan, and boxwood.

상기 건식토양에서 적응한 식물은; 두송, 회양목, 소나무, 향나무, 측백나무, 새덤류, 백리향, 꽃잔디, 블루훼스큐, 코레옵시스, 라벤더 등이 대표적이다. Plants adapted to the dry soil are: Representative examples include pine, boxwood, pine, juniper, arborvitae, cedar, thyme, flowering grass, blue fescue, coreopsis, and lavender.

상기 습식토양에서 적응한 식물은; 대체로 물을 많이 요구하는 식물은 포플러, 버드나무, 자작나무, 메타세쿼이아, 물푸레나무, 석창포, 부처꽃, 벌개미취, 등의 자생식물과 우리가 주로 실내에 많이 심는 열대성의 관엽식물은 대체로 물을 많이 요구한다.Plants adapted to the wet soil are: In general, plants that require a lot of water are native plants such as poplar, willow, birch, metasequoia, ash, iris, Buddha's flower, antler, and tropical foliage plants that we usually plant indoors generally require a lot of water. .

상기 준비된 식생 기반 재를 이용하면 식물을 수직정원에 적용했을 때 각각의 식물들의 생육환경에 맞는 기본적 식재환경은 거의 해결된다. 즉, 물을 좋아하는 식물에는 무색봉지의 표준토양과 물을 많이 가지는 푸른색 봉지의 토양을 공급하고 물 빠짐이 좋아야 하는 식물은 건식토양인 빨간 봉지와 표준토양인 무색봉지의 토낭공급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산성토양을 좋아하면서 물 빠짐이 좋은 토양을 원하는 철쭉은 노랑 봉지와 빨강 봉지를 제공하여 뿌리를 눌러주면 쉽게 해결된다. Using the prepared vegetation-based material, the basic planting environment suitable for the growth environment of each plant is almost solved when plants are applied to a vertical garden. In other words, plants that like water are supplied with standard colorless bag soil and blue bag soil with a lot of water, and plants that need good water drainage are supplied with red bag, which is dry soil, and colorless bag, which is standard soil, to solve the problem. This problem can be easily solved by providing yellow and red bags to press on the roots of azaleas that like acidic soil and require well-draining soil.

상기 예를 들지 않은 식물의 특성에 알맞은 토양제공의 예를 일일이 열거하지 않더라도 이미 밝혀진 식물의 수분 요구도와 토양산도에 따라 심을 수 있다. Even if we do not list examples of providing soil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plants other than those mentioned above, plants can be planted according to the water requirements and soil acidity of the plants that have already been revealed.

따라서 1회 물을 주는 양은 전체 식물에 같은 시간 동안 주더라도 각 식물에 맞게끔 토양이 함유하는 양이 달라 각의 식물들은 산도와 수분이 각자의 식물에 알맞게 적용됨이 기술적 진일보이다. Therefore, even if the amount of water given to all plants is the same for the same amount of time, the amount of water contained in the soil is different for each plant, so the acidity and moisture are applied appropriately to each plant, which is a technological advancement.

이 토양 제조 및 적용 방법은 대한민국의 상차림과 식사문화에서 아이디어를 얻었음을 부인하지 않는다. There is no denying that this soil manufacturing and application method was inspired by Korea's table setting and dining culture.

우리나라는 3대가 같이 밥을 먹어도 모두 각기 다른 식사를 하는 아주 특별한 식사문화를 가졌다. 할아버지와 함께 3대가 겸상을 하여도 할아버지는 국으로 입을 헹구고 밥과 김치를 먹으면서 기타의 젓갈 등의 반찬을 먹고 다시 국으로 입을 헹구고 또 다른 반찬을 먹는 아주 혁신적 식사문화는 한 숟갈의 밥을 먹을 때마다 다른 맛을 느끼고 또 손녀는 자기의 입맛에 맞는 소시지나 김, 그리고 다른 기호의 반찬으로 한 끼를 잘 해결하는 문화이다. 세계 어디를 다녀도 한국의 이 식사법과 같은 곳은 없다. 유럽의 식사문화에서 온 가족이 똑같은 음식을 먹는 것이 전부다. 가까운 일본이나 중국도 조금의 찬거리는 있지만, 우리의 식사문화와는 비교된다. 따라서 본 발명자에 의해 고안된 이 발명의 식물 토양공급 법은 우리의 식사문화에서 발견한 독자적 기술로 식물을 행복하게 하는 수직정원 방법이다. Our country has a very special dining culture where even if three generations eat together, everyone eats a different meal. Even though three generations of grandfathers are sick, the grandfather rinses his mouth with soup, eats rice and kimchi, eats other side dishes such as salted seafood, rinses his mouth with soup again, and eats another side dish. This is a very innovative eating culture. When eating a spoonful of rice, It is a culture where each person tastes different things and each granddaughter prepares a meal with sausages, seaweed, and other side dishes that suit her taste. No matter where you go in the world, there is no place like this Korean way of eating. In European dining culture, the whole family eats the same food. Although there is a bit of a cold atmosphere in nearby Japan and China, it is compared to our dining culture. Therefore, the plant soil supply method of this invention, designed by the present inventor, is a vertical gardening method that makes plants happy using a unique technology discovered in our eating culture.

또한, 본 발명에 있어 또 한 가지의 기술적 문제를 해결 하려는 방법으로;In addition, as a method to solve another technical problem in the present invention;

겨울에는 벽면 전체가 상록성으로 보이고 봄부터 여름 가을에는 수직정원 전체가 설계자의 의도 대로 봄부터 가을까지 꽃이 피고 지게 하는 것이다.In winter, the entire wall appears as evergreen, and from spring to summer and fall, the entire vertical garden blooms and withers from spring to fall as the designer intended.

우리나라의 중부이북지방에 있어 겨울철 상록을 이루는 상록수는 그 종류가 다양하지는 않다. 하지만 회양목, 철쭉, 향나무, 소나무, 주목, 두송, 측백나무 등 몇몇 종류는 겨울에도 파란 상록을 이룬다.There are not many different types of evergreen trees that grow evergreen in winter in the central and northern regions of Korea. However, some species, such as boxwood, azalea, juniper, pine, yew, dupine, and arborvitae, are evergreen even in winter.

그러나 이들은 주로 잎이 파란 상록이지만 봄과 여름에 아름다운 꽃을 피우지는 않는다. 따라서 겨울에는 상록으로서 좋지만 봄부터 가을까지 너무 단조로운 경관연출의 문제가 있다. However, although they are mainly evergreens with blue leaves, they do not produce beautiful flowers in spring and summer. Therefore, it is good as an evergreen in winter, but it has the problem of creating a very monotonous landscape from spring to fall.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수국, 철쭉, 조팝나무, 무궁화, 병꽃나무 등 계절별로 꽃이 아름다운 나무를 심어야 하는데 또 이들은 겨울이 되면 모두 잎을 떨구게 되어 삭막한 겨울과 수직정원의 베이스가 되는 벽면을 노출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겨울에도 상록을 이루면서 봄부터 가을까지 꽃을 피우기 위해서는 이들의 식물특성에 맞는 식재방법을 개선함으로써 겨울에는 파란 상록의 벽면과 봄부터 가을까지는 아름다운 꽃을 피우는 수직정원조성에 관한 기술이다.To solve that problem, we need to plant trees with beautiful flowers for each season, such as hydrangeas, azaleas, spirea, Rose of Sharon, and bottlebrush trees, but these all shed their leaves in winter, exposing the bleak winter and the wall that serves as the base for the vertical garden. There is a problem with doing this. Therefore, in order to achieve evergreens in winter and bloom from spring to fall, it is a technology for creating vertical gardens that have blue evergreen walls in winter and beautiful flowers from spring to fall by improving planting methods sui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plants.

좀더 자세하게는 지금까지 행하여 지는 혼합식재 즉, 구간 구간을 나누어 각각 다른 식물을 심어 봄부터 가을까지 꽃을 피우는 방법을 개선한 것이다.More specifically, it is an improvement on the method of mixed planting, that is, dividing sections into sections and planting different plants in each section to make flowers bloom from spring to fall.

본 발명의 식물 식재방법은 같은 자리에 함께심는 수직정원의 혼성식재방법이다. The plant plant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hybrid planting method of a vertical garden in which plants are planted together in the same location.

수직정원의 혼성식재방법은 상록이 되는 기본 식물과 함께 심고 구간을 나누어 꽃피는 다양한 식물 종류를 점식, 열실 혹은 군식하는 방법이다. The mixed planting method of a vertical garden is to plant basic evergreen plants together, divide them into sections, and plant various types of flowering plants in spots, rows, or groups.

그러나 점식, 열식 혹은 군식의 방법을 이용하더라도 반드시 상록의 기본식물과 병형하여 심는 혼성식재 방법이어야 한다.However, even if the method of spot planting, row planting, or group planting is used, it must be a mixed planting method in which plants are planted in parallel with basic evergreen plants.

상기 혼성식재 식물종류 및 비율로는; 상기 준비된 각기 다른 5종류의 토양을 이용 회양목, 사철나무, 향나무, 측백나무, 주목 등으로 이루어지는 상록수 70~90%, 꽃이 아름다운 관목 중 수국, 장미, 조팝나무, 철쭉, 층꽃나무, 병꽃나무 등 꽃피는 낙엽수의 다양한 식물 종류를 10~30%를 식재하는 방법이다. 이때 낙엽수 중 봄에 피는 식물은 30~50%로 좀 더 많이 하고 여름 식물은 20~40% 그리고 가을 식물은 10~30%^의 비율로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은 관리방법 중 봄에 피는 식물의 생육이 제한적일 수 있기 때문이다.The types and proportions of mixed planting plants include; Using the five different types of soil prepared above, 70 to 90% of evergreen trees are made up of boxwood, cypress, juniper, arborvitae, yew, etc. Among shrubs with beautiful flowers, hydrangeas, roses, spirea, azaleas, dogwood, and bottlebrush, etc. This is a method of planting 10 to 30% of various flowering deciduous plants. At this time, among deciduous trees, plants blooming in spring are applied at a higher rate of 30-50%, summer plants are applied at a rate of 20-40%, and fall plants are applied at a rate of 10-30%^. This is because, among management methods, the growth of plants blooming in spring may be limited.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디자인 적용 방법은; 우선 수직정원의 베이스가 되는 식재기반 위에 적용식물 디자인에 따른 모양을 락카 혹은 펜을 이용 선으로 구획을 나누거나 점을 찍어 식재지도를 그린다. 이후 그 그림을 바탕으로 식물을 심는다.The method of applying the above design is; First, on the planting base that becomes the base of the vertical garden, draw a planting map by using a lacquer or pen to divide the shape according to the applied plant design with lines or dots. Afterwards, plants are planted based on the picture.

상기 식재방법은; 상록의 기본이 되는 관목, 예를 들어 회양목을 이용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이후 다른 상록성 식물을 적용하더라도 같은 방법임은 당연하다.The planting method is; I would like to explain this using a basic evergreen shrub, for example, boxwood.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same method is used even if other evergreen plants are applied later.

회양목은 잎이 작고 절간이 짧은 상록성 식물로 흔하게 구할 수 있다.Boxwood is a commonly available evergreen plant with small leaves and short internodes.

회양목을 기본 상록수로 하여 식재 시, 벽면 전체가 회양목으로 보이는 것은 당연하다. 따라서 회양목이 잘 자라는 물 빠짐이 좋은 빨간색 토낭 봉지와 알칼리토양 봉지인 녹색 토낭 봉지를 이용, 회양목이 손으로도 뽑아도 잘 뽑히지 않도록 플랙시블한 토낭을 이용, 뿌리를 감싸거나 눌러가며 식재한다. 이때 회양목의 줄기와 줄기가 완전히 겹치도록 심어가되 디자인에 따라 표시된 식재지도에 꽃이 피어날 식물 구간이 나타나고 예를 들면, 수국이 표시되었다면 회양목을 심고 그다음은 수국을 심게 되는데 이때 수국은 물을 좋아하니까 푸른색 토낭 봉지와 중성토양의 무색 토낭 봉지를 이용 뿌리를 완벽하게 고정한다. 이후 다시 회양목을 심게 되는데 이때 먼저 심어진 회양목과 겹치게 가까이 붙여 심어야 한다. 다음 또 수국을 심고 그다음 또 회양목을 붙여서 심어 수국 구간이 끝날 때까지 반복해서 같은 방법으로 식재를 하게 된다. 이후 다시 회양목만을 심어가고 이후 다시 다른 식재식물이 표시된 구간이 나오면 예를 들면, 찔레 장미가 표시된 구간이라면 회양목과 회양목 사이에 장미에 알맞은 색상의 토낭 봉지를 이용 심고 반복해서 같은 방법으로 식재를 하게 된다. 이런 형태로 심어가되 순서는 좌에서 우로 위에서 아래로 순서로 심는 것이 좋은데 이유는 심는 와중에 이물질과 토양의 일부 부스러기 등이 밑으로 계속해서 떨어지기 때문이다.When planting boxwood as the basic evergreen tree, it is natural that the entire wall appears to be boxwood. Therefore, plant by using well-draining red ton bags, where boxwood grows well, and green ton bags, which are alkaline soil bags, and using flexible ton bags to prevent boxwood from being pulled out even when pulled out by hand, and wrapping or pressing the roots. At this time, plant the boxwood so that its stems completely overlap, but the plant section where flowers will bloom appears on the planting map marked according to the design, and for example, if hydrangeas are indicated, plant the boxwood and then hydrangeas. At this time, the hydrangeas are watered. Because I like it, I use a blue ton bag and a colorless ton bag in neutral soil to perfectly fix the roots. Afterwards, boxwoods are planted again, and at this time, they must be planted close together so that they overlap with the boxwoods planted earlier. Next, hydrangeas are planted again, and then boxwoods are planted again, and planting is repeated in the same manner until the hydrangea section is completed. Afterwards, only boxwoods are planted again, and when there is a section marked with other planting plants again, for example, if it is a section marked with roses and boxwoods, planting is carried out between boxwoods and boxwoods using a tote bag of a color appropriate for the rose, and planting is repeated in the same manner. . It is better to plant in this form, from left to right and from top to bottom, because foreign substances and some soil debris continue to fall to the bottom during planting.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중 식물을 정기적으로 잘라주고 안정되게 하는 방법에 따르면,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regularly cutting and stabilizing plants,

상기 식물 커팅 방법은; 우리나라 중부 이북에서 겨울에 상록으로 지내는 상록성 식물과 활엽수 식물의 성장 차이는 매우 많이 나타난다. 예를 들면 회양목의 경우 1년에 아주 잘 자란다 해도 20cm를 넘기지 못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꽃 피는 관목들은 작게는 30cm에서 많게는 2~3m를 넘게 자란다.The plant cutting method is; In the northern part of Korea's central region,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growth between evergreen plants and broad-leaved plants that remain evergreen in winter. For example, in the case of boxwood, even if it grows very well in a year, it cannot exceed 20cm. However, most flowering shrubs grow from as small as 30 cm to over 2 to 3 m.

즉, 회양목 사이에 심어진 꽃 피는 식물은 자라는 속도가 회양목이 자라는 속도보다 매우 빠르게 성장하게 된다. 따라서 식물 식재 후 혹은 이른 봄 새순이 나기 전에 회양목을 기준으로 일정한 길이로 잘라 단정하게 해주는 관리방법에 따라 많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In other words, flowering plants planted between boxwoods grow much faster than the growth rate of the boxwoods. Therefore, many problems can be solved by following the management method of trimming the boxwood by cutting it to a certain length after planting or before new shoots appear in early spring.

아주 단정되게 잘린 수직정원에서 회양목(상록수)은 천천히 자라지만 다른 꽃 피는 식물(낙엽수)들은 매우 빨리 성장, 수량을 조금만 심더라도 꽃피는 최성기가 오면 회양목을 덮어버리고 풍성한 꽃을 피운다. In a very neatly cut vertical garden, boxwood (evergreen) grows slowly, but other flowering plants (deciduous trees) grow very quickly, and even if planted in small quantities, when the peak flowering period comes, they will cover the boxwood and produce abundant flowers.

그러나 수직정원에 적용될 수 있는 상록수 식물들은 대부분 음지 내성이 있어 봄 이후 성장해서 꽃피는 식물들에게 가려질 수 있지만, 가을이 되고 꽃이 피는 식물들이 잎을 떨구면 자신들의 존재감을 나타내며 겨우내 벽면을 상록으로 보호하게 되어 기술적 보완이 되게 하는 것이다.However, most evergreen plants that can be applied to vertical gardens are shade-tolerant, so they grow after spring and can be overshadowed by flowering plants. However, when fall comes and flowering plants drop their leaves, they make their presence known and keep the walls green throughout the winter. It is protected and provides technical supplementation.

따라서 매년 봄 혹은 2~3년마다 회양목 및 꽃 피는 식물을 단정하게 깎아 주어 겨울에는 상록의 수직정원을 연출하고 봄부터 가을까지는 꽃이 아름다운 수직정원을 연출할 수 있다.Therefore, by trimming boxwood and flowering plants neatly every spring or every two to three years, you can create an evergreen vertical garden in winter and a vertical garden with beautiful flowers from spring to fall.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정원 조성과 식물 식재 및 관리방법을 제시하여 수직정원에 적용되는 식물들에 맞는 각각의 다른 생육환경을 제공하여 지속 가능한 생육과 사계절 상록이 유지되면서 봄부터 가을까지 아름다운 꽃이 피는 수직정원의 조성에 있어 식물 식재, 관리방법을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vertical garden construction and plant planting and management method comprising the following steps to provide different growth environments suitable for plants applied to the vertical garden. Provides plant planting and management methods for creating a vertical garden that maintains sustainable growth, maintains evergreens in all seasons, and blooms beautiful flowers from spring to fall:

(P1) 수직정원 조성에 있어 토양의 물리적, 화학적 특성을 구분하여 각각의 토양을 혼합하는 단계;(P1) In creating a vertical garden, mixing each soil by distinguishing the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the soil;

(P2) 토양의 물리적, 화학적 특성을 구분하여 혼합된 토양을 산성토양(Ph 3.5~6)은 황색 티백 모양의 토낭에 담는 단계, 표준(중성) 토양(pH 6.5~7)은 무색 티백 모양의 토낭에 담는 단계, 알칼리토양(pH 7~8)은 녹색 티백 모양의 토낭에 담는 단계, 건식토양(pH 6.5~7)은 빨강색 티백 모양의 토낭에 담는 단계, 습식 토양(pH 5.5~6)은 푸른색 티백 모양의 토낭에 담는 단계;(P2) Differentiating the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the soil, the mixed soil is placed in a yellow teabag-shaped bag for acidic soil (Ph 3.5~6), and a colorless teabag-shaped bag for standard (neutral) soil (pH 6.5~7). Step of putting into a tote bag, alkaline soil (pH 7-8) step of putting into a green tea bag-shaped tote bag, dry soil (pH 6.5-7) step of putting into a red tea bag-shaped tote bag, wet soil (pH 5.5-6) Step of putting it in a blue tea bag-shaped bag;

(S1) 대상 벽면에 식물의 식생 기반이 되는 식생 기반 부재를 설치하는 단계:(S1) Step of installing a vegetation base member that serves as a vegetation base for plants on the target wall:

(S2) 상기 (S1)을 수행한 식생 기반 부재 위에 디자인에 맞게 직접 락카 등을 이용 식재지도를 그리는 단계;(S2) drawing a planting map directly on the vegetation base member performed in (S1) using a lacquer, etc. according to the design;

(S3) 벽면 전체가 녹색이 되도록 선정된 상록성 식물의 가지가 겹쳐질 정도로 심어가는 단계;(S3) Planting the branches of selected evergreen plants so that they overlap so that the entire wall becomes green;

(S4) 상기 단계 (S3)를 수행 중에 선정된 식물에 알맞은 토양(P2)을 이용하여 식물을 흔들리거나 바람에 뽑히지 않도록 단단히 고정 식재하는 단계;(S4) planting the plants using soil (P2) suitable for the plants selected during the step (S3), firmly fixing them so that they are not shaken or pulled out by the wind;

(S5) 상기 단계 (S3)을 수행 중에 디자인 때문에 상록성 식물 사이에 꽃 피는 식물을 교차 혼성 식재하는 단계; (S5) cross-planting flowering plants between evergreen plants due to the design while performing step (S3);

(S6) 상기 단계 (S3)을 수행 중에 식재도면에 맞추어 다시 다른 식물을 심는 단계;(S6) planting another plant again according to the planting plan while performing the step (S3);

(S7) 상기 단계 (S3)~(S6)의 단계에서 좌에서 우로 위에서 아래로 진행하며 심어가는 단계를 포함, 혼성 식재를 완성하는 단계;(S7) completing mixed planting, including planting from top to bottom from left to right in the steps (S3) to (S6);

(S8) 상기 단계 (S7) 단계로 전체가 심어진 상록성 식물 및 계절성 꽃식물이 심어진 상태에서 상록성 식물을 기준으로 단정되고 안정되게 전체 높이를 맞추어서 커팅하는 단계;(S8) cutting the evergreen plants and seasonal flowering plants planted in their entirety in step (S7) to the overall height in a neat and stable manner based on the evergreen plants;

(S9) 매년 혹은 2~3년을 주기로 겨울 혹은 이른 봄 필요에 의해서 상기 (S8)의 단계를 반복하고 필요한 영양분을 추가 공급하는 단계; 및(S9) repeating the step of (S8) every year or every 2 to 3 years as needed in winter or early spring and supplying additional nutrients; and

(S10) 매년 계절에 따라 각 식물의 특성에 맞게 데드헤딩을 통하여 꽃을 더욱 풍성하고 지속해서 피어나게 관리하는 단계.(S10) A step in which flowers are managed to bloom more abundantly and continuously through deadheading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lant each year according to the season.

바람직하게, 상기 상록성 식물은 회양목, 철쭉, 사철나무, 주목, 향나무, 측백나무, 로니세나 및 꽝꽝나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evergreen plant is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boxwood, azalea, cypress, yew, juniper, arborvitae, Lonicena, and holly.

바람직하게, 상기 선정되어 혼성식재되는 식물의 생육특성에 따라 산성토양, 중성토양, 알칼리토양, 혹은 물 빠짐이 좋은 건식토양, 물을 많이 오래 가지고 있는 습식토양으로 색상이 구분되어 포장된 토낭을 각 식물의 특성에 맞게 하나 이상 사용하여 뿌리를 고정, 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according to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the plants selected and mixedly planted, the colored soil is divided into acidic soil, neutral soil, alkaline soil, well-drained dry soil, and wet soil that retains a lot of water for a long time. It is characterized by fixing and planting the roots using more than on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lant.

바람직하게, 상기 상록성 식물은 잎들이 벽면을 모두 가릴 수 있도록 촘촘하게 배치되어 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evergreen plants are planted in dense arrangements so that the leaves cover the entire wall surface.

바람직하게, 상기 계절성 꽃 피는 식물은 철쭉, 조팝류, 층꽃류, 병꽃, 말발도리, 장미 등을 디자인에 따라 계절별로 피고 질 수 있게 2종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seasonal flowering plants are characterized by two or more types such as azaleas, spirea, layered flowers, bottle flowers, marigolds, roses, etc. that can bloom and bloom seasonally according to the design.

바람직하게, 상기 계절성 꽃 피는 식물의 비율은 봄 식물을 좀 더 많이 하고 여름 식물을 두 번째로 가을 식물들은 좀 더 줄여서 디자인에 따라 계절별로 피고 질 수 있게 5개 이상의 식물을 적용하여 혼성식재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proportion of seasonal flowering plants is mixed planting with more spring plants, second summer plants, and fewer autumn plants, so that five or more plants can bloom seasonally according to the design. It is characterized by

바람직하게, 적용되는 상록성 식물의 가지가 겹쳐져 벽면의 식생 기반 부가 보이지 않게 배치되어 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branches of the applied evergreen plants are planted so that they overlap so that the vegetation base of the wall is not visible.

바람직하게, 상기 커팅은 매 1년 내지 매 2~3년에 1회 이상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cutting is performed at least once every 1 to 2 to 3 years.

바람직하게, 상기 커팅은 상록성 식물의 새로운 싹이 나오기 전후인 매년 겨울에서 봄에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the cutting is performed from winter to spring every year before or after new shoots of evergreen plants appear.

바람직하게, 상기 계절성 식물은 데드헤딩(deadheading)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seasonal plant is characterized by deadheading.

이처럼, 본 발명에 따라 수직정원에서 각기 다른 식물의 생태적 생육환경에 알맞게 물과, 통기성 그리고 토양 산도가 각각 다른 5가지의 토양을 구분하여 색을 달리함으로써 각기 다른 식물의 식재작업에서도 그 편리성을 개선하였다. In this w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ve types of soil with different water, permeability, and soil acidity are differentiated and colored to suit the ecological growth environment of different plants in a vertical garden, thereby increasing the convenience in planting different plants. Improved.

이를 통하여 적용되는 각 식물의 생육요구 토양을 산성, 알칼리, 중성, 물 빠짐이 좋은, 물을 지속해서 가지고 있는 등의 각각의 다른 성질의 토양을 티백 형태의 토낭으로 제작 각기 다른 식물특성에 알맞게 토양의 화학적, 물리적 성질을 맞추어 줌으로써 획기적 생육 개선을 이룰 수 있다.Through this, soils with different characteristics such as acidic, alkaline, neutral, well-drained, and continuously retaining water are produced into tea bag-shaped bags to suit the different plant characteristics. By adjusting the chemical and physical properties of plants, groundbreaking improvements in growth can be achieved.

수직정원 전체 바탕이 되는 상록성 식물을 주로 심어 겨울 동안 벽면이 보이지 않게 함과 동시에 디자인에 따라 다양한 계절성 꽃 피는 식물을 상록의 식물 사이에 배치하여 혼성 식재 하고 같은 키로 단정하게 자르더라도 상록성 식물보다 빨리 자라 나와 다층을 이루어 사계절 내내 상록이 유지되면서도 계절별로 다양한 꽃을 피우는 아름다운 수직정원을 연출할 수 있다. Plant mainly evergreen plants, which form the basis of the entire vertical garden, so that the wall is not visible during the winter. At the same time, depending on the design, various seasonal flowering plants are placed between evergreen plants for mixed planting. Even if they are neatly cut to the same height, they grow faster than evergreen plants. By forming multiple layers, you can create a beautiful vertical garden that maintains evergreens all year round and blooms various flowers depending on the season.

특히, 매년 관리를 통하여 상록성 식물을 기준으로 단정하게 정리하여 자르더라도 각각의 식물특성에 따른 성장 속도의 차이로 인해 다층의 아름다운 수직 정원을 연출할 수 있다.In particular, even if you neatly organize and cut down evergreen plants through annual management, you can create a multi-layered, beautiful vertical garden due to differences in growth spe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lant.

또한, 겨울철에 잎이 떨어지면 흉물스럽게 노출되던 수직정원의 벽면을 상록성 식물이 빈틈없이 푸르게 성장하여 외관상 심미적 아름답고 예술성 있는 장식으로서의 가치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시의 미세먼지와 열섬현상을 줄이고 환경을 자연 친화적이고 쾌적하게 조성할 수 있어 당 분야에서 매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n addition, evergreen plants grow green on the wall of the vertical garden, which was once exposed when the leaves fall in the winter, not only increasing its value as an aesthetically beautiful and artistic decoration, but also reducing fine dust and the heat island phenomenon in the city and conserving the environment. Since it can be created in a friendly and comfortable manner, it is expected to be very useful in the field.

본 도면과 사진은 전술한 발명의 내용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계절 상록이 유지되고 화려한 꽃을 피우는 수직정원의 식물 식재방법 중 각 식물의 특성에 따라 적정 토양의 화학적 물리적으로 5가지로 구분되는 각기 다른 토양 혼합물을 티백 형태의 토낭을 특정 색으로 구분하여 포장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계절 상록이 유지되고 화려한 꽃을 피우는 수직정원의 조성에 있어 식물 식재와 관리방법의 공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계절 상록이 유지되고 화려한 꽃을 피우는 수직정원 조성에 있어 상록성 식물 사이에 꽃 피는 식물이 혼성 배치되어 각기 다른 색깔의 티백 형태의 토낭에 의해 심어진 것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계절 상록이 유지되고 화려한 꽃을 피우는 수직정원 조성에 있어 상록성 식물 사이에 꽃 피는 식물이 혼성배치되어 모두 심어진 후 상록성 식물의 키에 맞추어 단정하게 잘라낸 후의 사진과 입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사계절 상록이 유지되고 화려한 꽃을 피우는 수직정원 조성에 있어 상록성 식물 사이에 꽃 피는 식물 식재와 잘린 후 성장 속도가 다르게 자라는 생육중인 입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사계절 상록이 유지되고 화려한 꽃을 피우는 수직정원 조성에 있어 상록성 식물 사이에 꽃 피는 식물이 식재되어 잘린 후 성장 속도가 다르게 자라서 꽃을 피우고 단풍이 든 가을 사진과 잎을 떨군 겨울 모습의 입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사계절 상록이 유지되고 화려한 꽃을 피우는 수직정원에서 겨울이 되어 잎이 모두 떨어졌지만, 상록의 식물로 인해 겨울에도 파란 상록의 수직정원이 유지되고 있는 모습의 사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상록의 수직정원이 유지되고 있는 모습의 사진이다.
Since these drawings and photographs serve to further underst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long with the contents of the above-described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matters described in such drawings.
Figure 1 is a method of planting plants in a vertical garden that maintains evergreens and blooms colorful flowers in all four seaso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ing different soil mixtures that are chemically and physically divided into five typ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lant, using ton bags in the form of tea bags. It is a concept map that is categorized and packaged in specific colors.
Figure 2 shows the process of planting and managing plants in creating a vertical garden that maintains evergreens and blooms colorful flowers in all seaso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lan view showing that in the vertical garden in which evergreens are maintained in all seasons and bloom colorful flow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lowering plants are mixed among evergreen plants and planted with tea bag-shaped bags of different colors.
Figure 4 is a photograph and elevation view of a vertical garden in which evergreens are maintained in all seasons and bloom colorful flow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flowering plants are mixed and planted among evergreen plants, and then neatly cut to match the height of the evergreen plants.
Figure 5 is an elevation view of growing plants growing at different growth rates after planting and cutting flowering plants between evergreen plants in a vertical garden in which evergreens are maintained in all seasons and bloom colorful flow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shows a photo of a vertical garden in which evergreens are maintained in all seasons and blooms colorful flow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flowering plants are planted between evergreen plants and grow at different growth rates after being cut, blooming flowers, and fall leaves. This is a winter elevation view.
Figure 7 is a photo of a vertical garden in which evergreens are maintained in all four seasons and bloom colorful flow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ut all the leaves have fallen in winter, but the blue evergreen vertical garden is maintained even in winter due to evergreen plants.
Figure 8 is a photograph of an evergreen vertical garden being maintain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을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본 발명에서는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계절 상록이 유지되고 화려한 꽃을 피우는 수직정원에 있어 식물을 혼성하는 식재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lanting method for mixing plants in a vertical garden that maintains evergreens in all seasons and blooms colorful flowers, comprising the following steps:

(P1) 수직정원 조성에 있어 토양의 물리적, 화학적 특성을 구분하여 각각의 토양을 혼합하는 단계;(P1) In creating a vertical garden, mixing each soil by distinguishing the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the soil;

(P2) 토양의 물리적, 화학적 특성을 구분하여 혼합된 토양을 산성토양(Ph 3.5~6)은 황색 티백 모양의 토낭에 담는 단계, 표준(중성) 토양(pH 6.5~7)은 무색 티백 모양의 토낭에 담는 단계, 알칼리토양(pH 7~8)은 녹색 티백 모양의 토낭에 담는 단계, 물 빠짐이 매우 좋은 토양을 선호하는 식물의 종류를 심기 위하여 만들어지는 pH 6.5~7의 건식토양은 빨강색 티백 모양의 토낭에 담는 단계, 물을 매우 좋아하는 식물의 종류를 심기 위하여 만들어지는 pH 5.5~6의 습식토양은 푸른색 티백 모양의 토낭에 담는 단계;(P2) Differentiating the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the soil, the mixed soil is placed in a yellow teabag-shaped bag for acidic soil (Ph 3.5~6), and a colorless teabag-shaped bag for standard (neutral) soil (pH 6.5~7). Step of placing in a tong bag. Alkaline soil (pH 7-8) is placed in a green tea bag-shaped tong. Dry soil with a pH of 6.5 to 7, which is made to plant types of plants that prefer well-draining soil, is red. A step of putting it in a tea bag-shaped bag; a step of putting wet soil with a pH of 5.5 to 6, which is created for planting types of plants that love water, in a blue tea bag-shaped bag;

(S1) 대상 벽면에 식물의 식생 기반이 되는 식생 기반 부재를 설치하는 단계:(S1) Step of installing a vegetation base member that serves as a vegetation base for plants on the target wall:

(S2) 상기 (S1)을 수행한 식생 기반 부재 위에 디자인에 맞게 직접 락카 등을 이용 식재지도를 그리는 단계;(S2) drawing a planting map directly on the vegetation base member performed in (S1) using a lacquer, etc. according to the design;

(S3) 벽면 전체가 녹색이 되도록 선정된 상록성 식물의 가지가 겹쳐질 정도로 심어가는 단계;(S3) Planting the branches of selected evergreen plants so that they overlap so that the entire wall becomes green;

(S4) 상기 단계 (S3)를 수행 중에 선정된 식물에 알맞은 토양(P2)을 이용하여 식물을 흔들리거나 바람에 뽑히지 않도록 단단히 고정 식재하는 단계;(S4) planting the plants using soil (P2) suitable for the plants selected during the step (S3), firmly fixing them so that they are not shaken or pulled out by the wind;

(S5) 상기 단계 (S3)을 수행 중에 디자인 때문에 상록성 식물 사이에 꽃 피는 식물을 교차 혼성 식재하는 단계; (S5) cross-planting flowering plants between evergreen plants due to the design while performing step (S3);

(S6) 상기 단계 (S3)을 수행 중에 식재도면에 맞추어 다시 다른 식물을 심는 단계;(S6) planting another plant again according to the planting plan while performing the step (S3);

(S7) 상기 단계 (S3)~(S6)의 단계에서 좌에서 우로 위에서 아래로 진행하며 심어가는 단계를 포함, 혼성 식재를 완성하는 단계;(S7) completing mixed planting, including planting from top to bottom from left to right in the steps (S3) to (S6);

(S8) 상기 단계 (S7) 단계로 전체가 심어진 상록성 식물 및 계절성 꽃식물이 심어진 상태에서 상록성 식물을 기준으로 단정되고 안정되게 전체 높이를 맞추어서 커팅하는 단계;(S8) cutting the evergreen plants and seasonal flowering plants planted in their entirety in step (S7) to the overall height in a neat and stable manner based on the evergreen plants;

(S9) 매년 혹은 2~3년을 주기로 겨울 혹은 이른 봄 필요에 의해서 상기 (S8)의 단계를 반복하고 필요한 영양분을 추가 공급하는 단계; 및(S9) repeating the step of (S8) every year or every 2 to 3 years as needed in winter or early spring and supplying additional nutrients; and

(S10) 매년 계절에 따라 각 식물의 특성에 맞게 데드헤딩을 통하여 꽃을 더욱 풍성하고 지속해서 피어나게 관리하는 단계.(S10) A step in which flowers are managed to bloom more abundantly and continuously through deadheading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lant each year according to the season.

바람직하게, 상기 상록성 식물은 회양목, 철쭉, 사철나무, 주목, 향나무, 측백나무, 로니세나 및 꽝꽝나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evergreen plant is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boxwood, azalea, cypress, yew, juniper, arborvitae, Lonicena, and holly.

바람직하게, 상기 선정되어 심어지는 식물의 생육특성에 따라 산성토양, 중성토양, 알칼리토양, 혹은 물 빠짐이 좋은 건식토양, 물을 많이 오래 가지고 있는 습식토양으로 색상이 구분되어 포장된 토낭을 각 식물의 특성에 맞게 하나 이상 사용하여 뿌리를 고정, 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according to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the selected and planted plants, the color-coded sacks are divided into acidic soil, neutral soil, alkaline soil, well-draining dry soil, or wet soil that retains a lot of water for a long time, and each plant It is characterized by fixing and planting roots using more than on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바람직하게, 상기 상록성 식물은 잎들이 벽면을 모두 가릴 수 있도록 촘촘하게 배치되어 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evergreen plants are planted in dense arrangements so that the leaves cover the entire wall surface.

바람직하게, 상기 계절성 꽃 피는 식물은 철쭉, 조팝류, 층꽃류, 병꽃, 말발도리, 장미 등을 디자인에 따라 계절별로 피고 질 수 있게 2종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seasonal flowering plants are characterized by two or more types such as azaleas, spirea, layered flowers, bottle flowers, marigolds, roses, etc. that can bloom and bloom seasonally according to the design.

바람직하게, 상기 계절성 꽃 피는 식물의 비율은 봄 식물을 좀 더 많이 하고 여름 식물을 두 번째로 가을 식물들은 좀 더 줄여서 디자인에 따라 계절별로 피고 질 수 있게 5개 이상의 식물을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ratio of seasonal flowering plants is characterized by applying more spring plants, second summer plants, and fewer autumn plants so that they can bloom and bloom seasonally according to the design. .

바람직하게, 적용되는 상록성 식물의 가지가 겹쳐져 벽면의 식생 기반 부가 보이지 않게 배치되어 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branches of the applied evergreen plants are planted so that they overlap so that the vegetation base of the wall is not visible.

바람직하게, 상기 커팅은 매 1년 내지 매 2~3년에 1회 이상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cutting is performed at least once every 1 to 2 to 3 years.

바람직하게, 상기 커팅은 상록성 식물의 새로운 싹이 나오기 전후인 매년 겨울에서 봄에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the cutting is performed from winter to spring every year before or after new shoots of evergreen plants appear.

바람직하게, 상기 계절성 식물은 데드헤딩(deadheading)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seasonal plant is characterized by deadheading.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계절 상록이 유지되고 화려한 꽃을 피우는 수직정원의 식물 식재방법 중 각 식물의 특성에 따라 적정 토양의 화학적 물리적으로 5가지로 구분되는 각기 다른 토양 혼합물을 티백 형태의 토낭을 특정 색으로 구분하여 포장한 개념도이다. Figure 1 is a method of planting plants in a vertical garden that maintains evergreens and blooms colorful flowers in all four seaso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ing different soil mixtures that are chemically and physically divided into five typ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lant, using ton bags in the form of tea bags. It is a concept map that is categorized and packaged in specific colors.

도 1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사계절 상록이 유지되는 수직정원에서 각각의 식물특성에 맞는 토양을 혼합하고 구성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With reference to Figure 1, the method of mixing and configuring soil suitable for each plant characteristic in the vertical garden in which evergreens are maintained in all four seas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각각의 식물의 특성에 맞춤형 토양 제조하기Create soil tailored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lant

본 발명에 따른 사계절 상록이 유지되고 화려한 꽃을 피우는 수직정원의 식물 식재방법은 다양한 식물을 적용하게 되므로 식물마다 토양산도 및 양분공급 요구와 수분공급 요구가 다르다. The method of planting plants in a vertical garden that maintains evergreens in all seasons and blooms colorful flow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variety of plants, so soil acidity, nutrient supply requirements, and moisture supply requirements are different for each plant.

어떠한 형태의 수직정원 시스템이 되었든지 간에,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자의 특허 등록번호 : 1017265670000호 형태의 수직정원 조성에 있어 상기 포켓에 담기는 토양을 5가지로 나누어 제조하는 생육기반 부재에 있어 알칼리성 토양, 산성토양, 배양토(중성)토양 및 건식토양, 습식토양 등 5가지로 구분되어 혼합 제조되고 티백형으로 각각 포장되어 구분되게 상자 포장되어 공급된다. 이때 알칼리토양은 녹색, 중성토양은 무색, 산성토양은 노랑색, 건식토양은 빨강색, 습식토양은 푸른색으로 구분되어 포장된다. 물론 이들을 담은 상자 포장의 색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No matter what type of vertical garden system i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present inventor's patent registration number: 1017265670000 When creating a vertical garden in the form of alkaline soil in the growth base member manufactured by dividing the soil contained in the pocket into 5 types , acidic soil, cultured soil (neutral) soil, dry soil, and wet soil, etc., are mixed and manufactured, and each is packaged in tea bag type and supplied in separate box packaging. At this time, alkaline soil is colored green, neutral soil is colorless, acidic soil is yellow, dry soil is red, and wet soil is blue. Of course, the color of the box packaging that contains them also applies.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상기 토양의 종류 및 비율은; 중성배양토의 제조에 있어 기본 모제의 경우 이천 지역에서 채취되는 마사토 50~70중량%, 피트모스 10~20중량%, 코코피트 10~20중량%, 완전 부숙 우분퇴비 10~20중량%와 유박1~2중량% 비율로 조성된 중성배양토의 표준 산도는 Ph 6~7을 기준으로 조성된다. 각각의 토양을 구분하기 쉽고 식재의 편리성을 위하여 티백과 같은 형상의 무색 토낭에 50~300g 내외로 담겨져 동일한 색상의 박스에 담아 공급된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ype and ratio of the soil are; In the production of neutral culture soil, the basic base material is 50-70% by weight of basil collected in the Icheon area, 10-20% by weight of peat moss, 10-20% by weight of coco peat, 10-20% by weight of fully composted cow manure and 1~1% of oil cake. The standard acidity of neutral culture soil created at a ratio of 2% by weight is based on Ph 6-7. To make it easy to distinguish between each type of soil and to make planting more convenient, it is supplied in a colorless bag shaped like a tea bag weighing about 50 to 300 g and placed in a box of the same color.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상기 알칼리토양의 종류 및 비율은; 상기 중성토양 90~99중량%에 재 및 숯 1~5중량%, 소석회 1~5중량%를 첨가하여 산도는 Ph 7~8을 기준으로 하여 제조되고 티백과 같은 형상의 녹색 토낭에 50~300g 내외로 담겨 같은 색상의 상자에 담아 공급된다.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ype and ratio of the alkaline soil are; It is prepared by adding 1 to 5% by weight of ash and charcoal and 1 to 5% by weight of slaked lime to 90 to 99% by weight of the neutral soil to produce an acidity of Ph 7 to 8, and 50 to 300 g in a green bag shaped like a tea bag. It is supplied inside and outside in boxes of the same color.

상기 산성토양의 종류 및 비율은; 상기 중성토양 70~90중량%에 피트모스 10~30중량%, 유황 0.1~1중량%를 첨가하여 산도는 Ph 3.5~6을 기준으로 하여 제조되고 티백과 같은 형상의 노랑색 토낭에 50~300g 내외로 담겨 같은 색상의 상자에 담아 공급된다. The type and ratio of the acidic soil are; It is prepared by adding 10-30% by weight of peat moss and 0.1-1% by weight of sulfur to 70-90% by weight of the above neutral soil, and the acidity is produced based on Ph 3.5-6. It is distributed in a yellow bag of the same shape as a tea bag, weighing about 50-300g. It is supplied in a box of the same color.

상기 건식토양의 종류 및 비율은; 상기 건식토양의 경우 물 빠짐이 빠르고 통기성이 극대화되어야 하므로 화산석 일종의 난 석 50~90중량%에 코코피트 10~30중량%, 펄라이트 10~30중량%에 의해 만들어지며 산도는 Ph 6.5~7을 기준으로 하여 제조되고 티백과 같은 형상의 빨강색 토낭에 30~200g씩 담겨 같은 색상의 상자에 담아 공급된다. The type and ratio of the dry soil are; In the case of the above dry soil, water drainage must be rapid and breathability must be maximized, so it is made of 50-90% by weight of volcanic stone, 10-30% by weight of coco peat, and 10-30% by weight of perlite, and the acidity is based on Ph 6.5-7. It is manufactured and supplied in 30~200g each in red tote bags of the same shape as tea bags and in boxes of the same color.

상기 습식토양의 종류 및 비율은; 상기 습식토양의 경우 물 빠짐이 느리게 작동되고 물을 많이 흡수해야 하므로 수태 일종의 피트모스 50~90중량%에 이천지역의 마사토 20~30중량% 그리고 토양 산도를 맞추기 위하여 훈탄왕계 10~30중량%에 의해 만들어 지며 산도는 Ph 5.5~6.5를 기준으로 하여 제조되고 티백과 같은 형상의 푸른색 토낭에 30~200g씩 담겨 동일한 색상의 상자에 담아 공급된다. The type and ratio of the wet soil are; In the case of the above wet soil, water drains slowly and a lot of water must be absorbed, so 50-90% by weight of impregnated peat moss, 20-30% by weight of masato from the Icheon area, and 10-30% by weight of Huntanwanggye to adjust the soil acidity. It is manufactured with an acidity of Ph 5.5~6.5 as the standard, and is supplied in 30~200g each in blue tea bags shaped like tea bags and in boxes of the same color.

상기 식물 종류에 따른 적정 토양 산도는 작물별 적정 토양 산도에 대한 연구는 거의 모든 재배식물에 대하여 완료되었다. Research on the optimal soil acidity for each plant type has been completed for almost all cultivated plants.

그러나, 상기 식물 종류에 따른 적정 토양 산도는 일반적인 대부분 식물은 Ph 6.5~7의 약산성과 중성에서 잘 자라게 된다. However, the appropriate soil acidity according to the plant type is general, and most plants grow well in mildly acidic and neutral pH of 6.5 to 7.

상기 식물 종류에 따른 적정 토양 산도 중 산성토양에 적응된 식물; Ph 5~6 정도의 산성토양에서 적응한 식물은 감나무, 귤나무, 고사리, 난, 노간주, 스킨답스서, 인삼, 자작나무, 참나무, 치자, 편백나무, 향나무, 등이 대표적인 산성토양 선호 식물이다. 그리고 이보다 더 산성을 요구하는 식물도 많은데 Ph 4~5의 강산성 요구 식물은 주로 진달래과의 식물이 차지한다. 즉, 블루베리, 철쭉, 만병초, 진달래, 등이고 소나무도 여기에 속하는 식물이다. Plants adapted to acidic soil among the appropriate soil acidity levels for the plant type; Plants adapted to acidic soil with a pH of around 5 to 6 include persimmon trees, tangerine trees, ferns, orchids, junipers, skin dabs, ginseng, birch trees, oak trees, gardenias, cypress trees, and juniper trees. . There are also many plants that require more acidity than this, and plants that require strong acidity of Ph 4-5 are mainly plants of the Rhododendron family. That is, blueberries, azaleas, rhododendrons, azaleas, etc., and pine trees also belong to these plants.

상기 식물 종류에 따른 적정 토양 산도 중 알칼리토양에 적응된 식물; Ph 7~8 정도의 알칼리토양에서 적응한 식물은 라벤더, 산세베리아, 민트, 소코라코, 아스파라거스, 올리브, 플록스, 파스타 치오, 페칸, 회양목 등이 여기에 속하는 식물이다.Plants adapted to alkaline soil among the appropriate soil acidity levels for the plant type; Plants adapted to alkaline soil with a pH of about 7 to 8 include lavender, sansevieria, mint, socoraco, asparagus, olive, phlox, pastachio, pecan, and boxwood.

상기 건식토양에서 적응한 식물은; 두송, 회양목, 소나무, 향나무, 측백나무, 새덤류, 백리향, 꽃잔디, 블루훼스큐, 코레옵시스, 라벤더 등이 대표적이다. Plants adapted to the dry soil are: Representative examples include pine, boxwood, pine, juniper, arborvitae, cedar, thyme, flowering grass, blue fescue, coreopsis, and lavender.

상기 습식토양에서 적응한 식물은; 대체로 물을 많이 요구하는 식물은 포플러, 버드나무, 자작나무, 메타세쿼이아, 물푸레나무, 석창포, 부처꽃, 벌개미취, 등의 자생식물과 우리가 주로 실내에 많이 심는 열대성의 관엽식물은 대체로 물을 많이 요구한다.Plants adapted to the wet soil are: In general, plants that require a lot of water are native plants such as poplar, willow, birch, metasequoia, ash, iris, Buddha's flower, antler, and tropical foliage plants that we usually plant indoors generally require a lot of water. .

상기 준비된 식생 기반 재를 이용하면 식물을 수직정원에 적용했을 때 각각의 식물들의 생육환경에 맞는 기본적 식재환경은 거의 해결된다. 즉, 물을 좋아하는 식물에는 무색봉지의 표준토양과 물을 많이 가지는 푸른색 봉지의 토양을 공급하고 물 빠짐이 좋아야 하는 식물은 건식토양인 빨간 봉지와 표준토양인 무색봉지의 토낭 공급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산성토양을 좋아하면서 물 빠짐이 좋은 토양을 원하는 철쭉은 노랑 봉지와 빨강 봉지를 제공하여 뿌리를 눌러주면 쉽게 해결된다. Using the prepared vegetation-based material, the basic planting environment suitable for the growth environment of each plant is almost solved when plants are applied to a vertical garden. In other words, plants that like water are supplied with standard colorless bag soil and blue bag soil with a lot of water, and plants that need good drainage are supplied with red bag, which is dry soil, and colorless bag, which is standard soil, to solve the problem. This problem can be easily solved by providing yellow and red bags to press on the roots of azaleas that like acidic soil and require well-draining soil.

상기 예를 들지 않은 식물의 특성에 알맞은 토양제공의 예를 일일이 열거하지 않더라도 이미 밝혀진 식물의 수분 요구도와 토양산도에 따라 식재 할 수 있다. Even if we do not list examples of providing soil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plants other than those mentioned above, planting can be done according to the already known water requirements and soil acidity of the plants.

따라서 1회 물을 주는 양은 전체 식물에 동일한 시간 동안 주더라도 각 식물에 맞게끔 토양이 함유하는 양이 달라 각의 식물들은 산도와 수분이 각자의 식물에 알맞게 적용됨이 기술적 진일보이다. Therefore, even if the amount of water given once is the same for all plants, the amount of soil contained is different for each plant, so the acidity and moisture are applied appropriately to each plant, which is a technological advancement.

각각의 식물의 특성에 맞춤형 토양공급 하기Supply soil tailored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lant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계절 상록이 유지되고 화려한 꽃을 피우는 수직정원 조성에 있어 상록성 식물 사이에 꽃 피는 식물이 배치되어 각기 다른 색깔의 티백 형태의 토낭에 의해 심어진 것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Figure 3 is a plan view showing that flowering plants are arranged between evergreen plants and planted with tea bag-shaped bags of different colors in a vertical garden in which evergreens are maintained in all seasons and bloom colorful flow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우선 상록을 이루는 기본 식물이 선정되고 나면 그 식물에 대한 토양특성을 파악해야 한다. 예를 들면 회양목은 알칼리토양을 선호하고 철쭉을 그 반대로 강산성을 좋아한다. 또, 층꽃나무는 물 빠짐이 좋은 토양을 좋아하고 삼색 키버들 종류는 토양에 풍부한 물을 좋아한다. 따라서 식물이 선정되면 그에 맞는 토양을 준비하는 단계가 필요하다. 이후 상록성 식물을 심고 사이에 꽃피는 계절성 식물을 심는 혼성식재는 식재도면에 따라 반복하는 것이다. 이때 주의할 점은 상록성의 식물에 꽃 피는 식물이 들어가더라도 상록성 식물의 잎줄기가 겹쳐져야 겨울에 계절성 식물이 잎을 떨구더라도 벽면이 노출 뒤는 상황을 피할 수 있다. 식재는 좌에서 우로 위에서 아래로 좌에서 우로 행하여 진행한다.First, once the basic evergreen plants are selected, the soil characteristics for those plants must be identified. For example, boxwood prefers alkaline soil, while azalea prefers highly acidic soil. Also, the dogwood tree likes well-drained soil, and the calico tree likes plenty of water in the soil. Therefore, once a plant is selected, it is necessary to prepare the appropriate soil. Afterwards, mixed planting, in which evergreen plants are planted and seasonal flowering plants are planted in between, is repeated according to the planting plan. One thing to keep in mind at this time is that even if flowering plants are included in the evergreen plants, the leaf stems of the evergreen plants must overlap to avoid a situation where the wall surface is exposed even if seasonal plants drop their leaves in winter. Planting proceeds from left to right, top to bottom, and left to right.

식재가 완료되면 꽃피는 나무는 고려하지 말고 상록성 식물을 기준으로 단정하게 커팅을 실시하는 단계, 그 단계 이후 상록성은 천천히 자라고 반대로 꽃피는 낙엽수는 급속하게 자라고 꽃을 피우게 된다. 따라서 생육 중 꽃 피는 식물들의 특성에 맞게 커팅하거나 데드헤딩하는 다계를 거칠 수 있다. 이후 매년 혹은 2~3년 마다 커팅으로 안정되고 깔끔한 수직정원을 관리하는 단계를 가진다.Once planting is complete, cutting is done neatly based on evergreen plants without considering flowering trees. After that step, evergreen trees grow slowly, and conversely, flowering deciduous trees grow and bloom rapidly. Therefore, you can go through multiple stages of cutting or deadheading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flowering plants during growth. Afterwards, there is a stage of maintaining a stable and neat vertical garden by cutting every year or every 2-3 years.

도 4 그림과 사진은 본 발명에 따른 사계절 상록이 유지되고 화려한 꽃을 피우는 수직정원에 상록성 식물 사이에 꽃 피는 식물이 배치되어 심어진 후 단정되게 커팅되어진 모습이다. The figure and photo in Figure 4 show a vertical garden in which evergreens are maintained in all seasons and bloom colorful flow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lowering plants are arranged and planted between evergreen plants and then neatly cut.

이때 상록성 식물 간의 배치 간격은 상록성 식물의 잎의 크기 및 줄기의 크기에 따라 벽면이 보이지 않도록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그러나 전체 면적을 기준으로 상록성 식물을 전체 필요식물의 70~90% 정도로 하고 사계절 꽃 피는 식물의 비율을 10~30%로 했을 때 가장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arrangement spacing between evergreen plants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so that the wall is not visible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leaves and stems of the evergreen plants. However, based on the total area, it is most desirable to have evergreen plants at 70 to 90% of the total required plants and the ratio of plants blooming all year round to be 10 to 30%.

여기에서 보듯이, 상록성 식물(10)의 잎에 의해 벽면(30)이 전혀 보이지 않도록 상록성 식물(10)을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seen here, the evergreen plant 10 is arranged so that the wall surface 30 is not visible at all due to the leaves of the evergreen plant 10.

꽃 피는 식물(20)의 생육 중에는 상록수의 자람보다 월등해 큰 군락을 이루는 특성이 있다.The growth of flowering plants (20) is superior to that of evergreen trees and has the characteristic of forming large colonies.

우선 상록이 되는 기본 식물이 선정되면 식물 전체의 수량이 대략 정해진다. 왜냐하면, 상록성의 기본 식물이 벽면에 심어질 때 우선 좌우의 상록성 식물의 줄기와 잎이 겹쳐져 벽면 노출이 없어야 하기 때문이고 꽃피는 계절성 식물은 심어진 이후 상록성 식물에 맞추어 싹둑 잘려져 줄기만 남게 되어 언뜻 보기에는 식물체를 전혀 몰라볼 수도 있다. First, once the basic evergreen plants are selected, the total quantity of plants is roughly determined. This is because, when basic evergreen plants are planted on a wall, the stems and leaves of the evergreen plants on the left and right must overlap so that the wall is not exposed, and after planting, flowering seasonal plants are cut down to match the evergreen plants, leaving only the stems, so at first glance it looks like You may not know the plant at all.

대체로 상록성 식물은 낙엽수보다 자람이 더딘 경향이 있고 특히 다양한 상록의 관목은 장기간의 기간을 제외한 단시간 내에는 기타의 낙엽수 관목 혹은 야생화보다 생육이 더디다. In general, evergreen plants tend to grow more slowly than deciduous trees, and in particular, various evergreen shrubs grow more slowly than other deciduous shrubs or wildflowers in short periods of time, except for long periods of time.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상록성 식물은 회양목, 철쭉, 사철나무, 눈향나무, 눈주목, 로니세라 및 꽝꽝나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evergreen plant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be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boxwood, azalea, cypress, juniper, yew, Lonicera, and holly.

상기 회양목은 입이 조밀한 상록의 식물이다. 키 작은 상록성의 활엽수이지만 때로는 7m 정도의 높이로 자라는 것도 있다. 푸르고 모진 잔가지를 많이 쳐서 흔히 더부룩한 외모를 보인다. 잎은 마디마다 2장이 마주 자리하는데 워낙 마디 사이가 좁으므로 잎이 잔가지들을 완전히 덮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잎의 길이는 1cm 안팎인데 가죽처럼 빳빳하고 윤기가 난다. 타원 모양으로 생긴 잎은 끝이 약간 패여 있다. 잎 가장자리에는 톱니가 없이 밋밋하며 뒷면 쪽으로 약간 말려든다. 꽃은 가지 끝이나 그에 가까운 잎겨드랑이에 수꽃과 암꽃이 함께 몇 송이씩 뭉쳐 피는데 한가운데에 암꽃이 자리한다. 꽃의 지름은 3mm도 채 안 되며 빛깔은 연한 노란빛이다.The boxwood is an evergreen plant with dense mouth. It is a short evergreen broad-leaved tree, but sometimes grows to a height of about 7 m. It often has a bloated appearance because it grows many green and rough twigs. There are two leaves facing each other at each node, and the space between the nodes is so narrow that it appears as if the leaves are completely covering the twigs. The leaves are about 1cm long and are stiff and shiny like leather. The oval-shaped leaves have slightly dented ends. The edge of the leaf is plain without teeth and curls slightly toward the back. Flowers bloom in clusters of several male and female flowers at the tips of branches or in the leaf axils close to them, with the female flower located in the center. The diameter of the flower is less than 3 mm and the color is light yellow.

본 발명에서 수직정원을 이루기 위한 벽면에 사용되는 기술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화분을 사용한 수직정원용 벽면 또는 그물을 사용한 수직정원용 벽면, 걸이식 시스템을 사용한 수직적원용 벽면뿐만 아니라 당분야에서 수직정원용 벽면으로 사용되는 모든 기술의 벽면이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on the technology used on the wall to form a vertical garden. For example, walls for vertical gardens using flower pots, walls for vertical gardens using nets, and walls for vertical gardens using hanging systems, as well as walls of all technologies used as walls for vertical gardens in the art can be used without limitation.

본 발명에 따른 수직정원의 식물 식재방법에서 기본적인 바탕은 상록성 식물로서 모두 회양목으로 심고, 그 회양목 사이에 일부 다른 꽃 피는 식물을 심더라도 좌우의 회양목 잎이 벽면을 가리고, 그사이에 꽃피는 종류의 낙엽수가 자라서 꽃을 피우는 방식이다.In the method of planting plants in a vertical gard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ic basis is evergreen plants, which are all planted as boxwood, and even if some other flowering plants are planted between the boxwood, the boxwood leaves on the left and right cover the wall, and flowering deciduous trees are placed in between. This is how it grows and blooms.

계절성 식물의 배치 및 심기Placement and planting of seasonal plants

본 발명 하나의 구현 예에 따르면, 상기 벽면이 보이지 않도록 배치되어 심는 상록성 식물 사이 사이에 꽃이 피는 계절성 식물을 심는 혼성 식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characterized as a mixed planting in which seasonal plants with flowers are planted between evergreen plants that are arranged so that the wall surface is not visible.

구체적으로, 상기 식물의 식재는 좌에서 우로 위에서 아래로 식재를 진행한다. 상록성을 심는 과정에서 디자인에 따라 계절성 식물을 심게 되는 데 상록성 식물을 심고 디자인에 따른 계절성 식물을 심고 다시 상록성 식물이 겹치도록 심는 것을 반복하며 혼성 식재하여 벽면이 겨울에도 노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Specifically, the plants are planted from left to right and from top to bottom. In the process of planting evergreens, seasonal plants are planted according to the design. Planting evergreen plants, planting seasonal plants according to the design, and then planting evergreen plants overlapping are repeated. This is characterized by mixed planting, so that the wall is not exposed even in winter.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사계절 상록이 유지되고 화려한 꽃을 피우는 수직정원에 상록성 식물과 낙엽 계절성 식물이 각 식물의 생육특성에 맞게 자라난 모양이고 색깔이 다른 토낭을 이용해 심어진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at evergreen plants and deciduous seasonal plants are planted in a vertical garden in which evergreens are maintained in all seasons and bloom colorful flow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ing bags of different colors and shapes grown to suit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each plant.

식물 커팅 plant cutting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 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수직정원의 식물 식재방법에서는 상기에서 심은 상록성 식물 및 계절성 식물을 모두 심고 나면 상록성 식물에 맞추어 단정되게 전체 높이를 맞추어서 커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커팅 길이는 원하는 길이에 맞춰서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이때 벽면이 보이지 않는 정도에서 커팅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of planting plants in a vertical gard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fter all the evergreen plants and seasonal plants planted above are planted, the entire height is neatly cut to match the evergreen plants. At this time, the cutting length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to the desired length, and it is desirable to perform the cutting at a level where the wall is not visible.

상기 커팅은 매 1년 내지 매 2~3년에 1회 이상씩 수행하여 식물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벽면이 노출되지 않고 안정되게 경관을 유지 관리되도록 해야 한다.The cutting should be performed at least once every 1 to 2 to 3 years to adjust the length of the plant so that the wall is not exposed and the landscape is maintained stably.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양태에 따르면, 상기 커팅은 상록성 식물의 새로운 싹이 나오기 전후인 매년 겨울에서 봄까지 수행함으로써 항상 깔끔하고 안정된 상록을 이루며 계절별로 아름답게 꽃을 피우는 수직정원이 연출되고 겨울에도 벽면이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utting is performed every year from winter to spring before and after new shoots of evergreen plants emerge, thereby creating a vertical garden that always has neat and stable evergreens and blooms beautifully each season, and the wall is exposed even in winter. It may not work.

또한, 필요에 따라, 상기 계절성 식물은 데드헤딩(deadheading)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데드헤딩은 재개화를 촉진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하는 것이다. Additionally, if necessary, the seasonal plants are characterized by deadheading. This deadheading is performed for the purpose of promoting re-blooming.

도 4, 도 5, 도 6,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사계절 상록이 유지되고 화려한 꽃을 피우는 수직정원의 실례를 단계적으로 보여주는 사진이다. Figures 4, 5, 6, 7, and 8 are photographs showing step by step an example of a vertical garden in which evergreens are maintained in all seasons and colorful flowers bloo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처럼, 본 발명에 따라 수직정원에서 상록성 식물을 벽면이 보이지 않게 배치하여 심고 그 사이사이에 꽃이 피는 계절성 식물을 배치하여 혼성식재 함으로써 사계절 내내 상록이 유지되면서도 계절별로 다양한 꽃을 피워 내는 아름다운 수직정원을 연출할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다양하고 아름다운 식물을 적용함으로써 미세먼지 저감과 도시의 환경문제를 극복하는 자연 친화적이고 쾌적한 생활 환경을 조성할 수 있어 당 분야에서 매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n this w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vertical garden, evergreen plants are planted so that the walls are not visible, and seasonal plants with flowers are placed in between them for mixed planting, creating a beautiful vertical garden that maintains evergreen throughout the four seasons and blooms various flowers according to the season. can be produced. In addition, by applying diverse and beautiful plants,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very useful in the field as it can create a nature-friendly and comfortable living environment that reduces fine dust and overcomes urban environmental problems.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 업계의 통상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 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As the specific par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it is clear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se specific techniques are merely preferred implementation examples and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substanti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10 : 상록성 식물
20 : 계절성 식물
30 : 벽면
40 : 각각의 물리적, 화학적 성질을 가진 혼합토양이 각기 다른 색으로 구분되어 담긴 티백형의 토낭
10: Evergreen plants
20: Seasonal plants
30: wall
40: A tea bag-type tote bag containing mixed soil with different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divided into different colors.

Claims (13)

(P1) 수직정원 조성에 있어 토양의 물리적, 화학적 특성을 구분하여 각각의 토양을 혼합하는 단계;
(P2) 토양의 물리적, 화학적 특성을 구분하여 혼합된 토양을 산도가 pH 3.5~6인 산성토양은 황색 티백 모양의 토낭에 담는 단계, 산도가 pH 6.5~7인 표준 토양은 무색 티백 모양의 토낭에 담는 단계, 산도가 pH 7~8인 알칼리토양은 녹색 티백 모양의 토낭에 담는 단계, 물 빠짐이 매우 좋은 토양을 선호하는 식물의 종류를 심기 위하여 만들어지는 pH 6.5~7의 건식토양은 빨강색 티백 모양의 토낭에 담는 단계, 물을 매우 좋아하는 식물의 종류를 심기 위하여 만들어지는 pH 5.5~6의 습식토양은 푸른색 티백 모양의 토낭에 담는 단계;
(S1) 대상 벽면에 식물의 식생 기반이 되는 식생 기반 부재를 설치하는 단계:
(S2) 상기 (S1)을 수행한 식생 기반 부재 위에 디자인에 맞게 직접 락카 등을 이용 식재지도를 그리는 단계;
(S3) 벽면 전체가 녹색이 되도록 선정된 상록성 식물의 가지가 겹쳐질 정도로 심어가는 단계;
(S4) 상기 단계 (S3)를 수행 중에 선정된 식물에 알맞은 토양(P2)을 이용하여 식물을 흔들리거나 바람에 뽑히지 않도록 단단히 고정 식재하는 단계;
(S5) 상기 단계 (S3)을 수행 중에 디자인 때문에 상록성 식물 사이에 꽃 피는 식물을 교차 혼성 식재하는 단계;
(S6) 상기 단계 (S3)을 수행 중에 식재도면에 맞추어 다시 다른 식물을 심는 단계;
(S7) 상기 단계 (S3)~(S6)의 단계에서 좌에서 우로 위에서 아래로 진행하며 심어가는 단계를 포함, 혼성 식재를 완성하는 단계;
(S8) 상기 단계 (S7) 단계로 전체가 심어진 상록성 식물 및 계절성 꽃식물이 심어진 상태에서 상록성 식물을 기준으로 단정되고 안정되게 전체 높이를 맞추어서 커팅하는 단계;
(S9) 매년 혹은 2~3년을 주기로 겨울 혹은 이른 봄 필요에 의해서 상기 (S8)의 단계를 반복하고 필요한 영양분을 추가 공급하는 단계; 및
(S10) 매년 계절에 따라 각 식물의 특성에 맞게 데드헤딩을 통하여 꽃을 더욱 풍성하고 지속해서 피어나게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정원에 사용되는 각각의 식물의 생육특성에 맞는 토양을 제공하고 식물을 심기 위하여 만들어지는 5가지의 혼합토양을 담은 토낭을 이용하여 식물의 특성에 맞게 선택되어 심어지며,
상기 상록성 식물은 회양목, 철쭉, 사철나무, 눈향나무, 주목, 측백나무, 로니세나 및 꽝꽝나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 70~90%의 비율이 되도록 적용되고,
상기 상록성 식물은 잎들이 벽면을 모두 가릴 수 있도록 줄기와 잎이 포개지도록 촘촘하게 배치되어 심으며,
상기 계절성 꽃 피는 식물은 10~30%의 비율로 상록성 식물의 사이에 배치되어 혼성 식재되고,
상기 커팅은 매 1년 내지 매 2~3년에 1회 이상 수행하며, 상기 커팅은 상록성 식물의 새로운 싹이 나오기 전후인 매년 겨울에서 봄에 수행하고,
상기 수직정원의 일반적인 표준식물을 심기 위하여 만들어지는 토낭 중 중성배양토의 제조에 있어 기본 모제의 경우 마사토 50~70%, 피트모스 10~20%, 코코피트 10~20%, 완전 부숙 우분퇴비 10~20%와 유박 1~2% 비율로 조성되며 표준 산도는 pH 6~7을 기준으로 조성되고, 티백과 같은 형상의 무색 토낭에 50~300g 내외로 담겨 같은 색상의 상자에 담아 공급되고 일반 표준식물을 심는 데 이용되는 토양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직정원의 식물 식재에 있어서 알칼리토양을 선호하는 식물의 종류를 심기 위하여 만들어지는 알칼리토양은 상기 중성배양토 90~99%에 재 및 숯 1~5%, 소석회 1~5%를 첨가하여 산도는 pH 7~8을 기준으로 하여 제조되고 티백과 같은 형상의 녹색 토낭에 50~300g 내외로 담겨 같은 색상의 상자에 담아 공급되고 알칼리성 토양을 선호하는 식물을 심는 데 이용되는 토양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직정원의 식물 식재에 있어서 산성토양을 선호하는 식물의 종류를 심기 위하여 만들어지는 산성토양의 종류 및 비율은 상기 중성배양토 70~90중량%에 피트모스 10~30중량%, 유황 0.1~1중량%를 첨가하여 산도는 pH 3.5~6을 기준으로 하여 제조되고 티백과 같은 형상의 노랑색 토낭에 50~300g 내외로 담겨 같은 색상의 상자에 담아 공급되고 산성토양을 선호하는 식물을 심는 데 이용되는 토양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직정원의 식물 식재에 있어서 물 빠짐이 매우 좋은 토양을 선호하는 식물의 종류를 심기 위하여 만들어지는 상기 건식토양의 종류 및 비율은 물 빠짐이 빠르고 통기성이 극대화되어야 하므로 화산석 일종의 난 석 50~90중량%에 코코피트 10~30중량%, 펄라이트 10~30중량%에 의해 만들어지며 산도는 pH 6.5~7을 기준으로 하여 제조되고 티백과 같은 형상의 빨강색 토낭에 30~200g씩 담겨져 동일한 색상의 박스에 담아 공급되어 물빠짐을 극도로 선호하는 식물을 식재하는 데 이용되는 토양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직정원의 식물 식재에 있어서 물을 매우 좋아하는 식물의 종류를 심기 위하여 만들어지는 상기 습식토양의 종류 및 비율은 물 빠짐이 느리게 작동되고 물을 많이 흡수해야 하므로 수태 일종의 피트모스 50~90중량%에 이천지역의 마사토 20~30중량% 그리고 토양 산도를 맞추기 위하여 훈탄 왕계 10~30중량%에 의해 만들어지며 산도는 pH 5.5~6.5를 기준으로 하여 제조되고 티백과 같은 형상의 푸른색 토낭에 30~200g씩 담겨 같은 색상의 상자에 담아 공급되고 물을 선호하는 식물을 심는 데 이용되는 토양으로 이루어지는 사계절 상록이 유지되는 수직정원의 식물 식재방법.
(P1) In creating a vertical garden, mixing each soil by distinguishing the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the soil;
(P2) By classifying the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the soil, the mixed soil is placed in a yellow tea bag-shaped bag for acidic soil with an acidity of pH 3.5 to 6, and a colorless tea bag-shaped bag for standard soil with an acidity of pH 6.5 to 7. The alkaline soil with an acidity of pH 7 to 8 is placed in a green tea bag-shaped bag. The dry soil with a pH of 6.5 to 7, which is made to plant types of plants that prefer well-draining soil, is red. A step of putting it in a tea bag-shaped bag; a step of putting wet soil with a pH of 5.5 to 6, which is created for planting types of plants that love water, in a blue tea bag-shaped bag;
(S1) Step of installing a vegetation base member that serves as a vegetation base for plants on the target wall:
(S2) drawing a planting map directly on the vegetation base member performed in (S1) using a lacquer, etc. according to the design;
(S3) Planting the branches of selected evergreen plants so that they overlap so that the entire wall becomes green;
(S4) planting the plants using soil (P2) suitable for the plants selected during the step (S3), firmly fixing them so that they are not shaken or pulled out by the wind;
(S5) cross-planting flowering plants between evergreen plants due to the design while performing step (S3);
(S6) planting another plant again according to the planting plan while performing the step (S3);
(S7) completing mixed planting, including planting from top to bottom from left to right in the steps (S3) to (S6);
(S8) cutting the evergreen plants and seasonal flowering plants planted in their entirety in step (S7) to the overall height in a neat and stable manner based on the evergreen plants;
(S9) repeating the step of (S8) every year or every 2 to 3 years as needed in winter or early spring and supplying additional nutrients; and
(S10) managing the flowers to bloom more abundantly and continuously through deadheading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lant each year according to the season;
Soil suitable for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each plant used in the vertical garden is provided, and plants are selected and plant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lants using a bag containing five mixed soils made for planting the plants,
The evergreen plants ar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boxwood, azalea, cypress, juniper, yew, arborvitae, Lonicena and holly at a ratio of 70 to 90%,
The evergreen plants are planted so that the stems and leaves overlap so that the leaves cover the entire wall,
The seasonal flowering plants are mixed and placed between evergreen plants at a rate of 10 to 30%,
The cutting is performed at least once every 1 to 2 to 3 years, and the cutting is performed from winter to spring every year before and after new shoots of evergreen plants appear,
In the production of neutral culture soil among the soil bags made to plant the general standard plants in the vertical garden, the basic parent material is 50-70% basil soil, 10-20% peat moss, 10-20% coco peat, and 10-20% fully decomposed cow manure compost. It is composed of 1% to 2% oil and the standard acidity is based on pH 6 to 7. It is supplied in a colorless tote bag of about 50 to 300 g in the same shape as a tea bag and placed in a box of the same color, and contains general standard plants. It consists of soil used for planting,
In planting plants in the vertical garden, alkaline soil, which is created to plant types of plants that prefer alkaline soil, is made by adding 1 to 5% of ash and charcoal and 1 to 5% of slaked lime to 90 to 99% of the neutral culture soil, and the acidity is adjusted to 90 to 99%. It is manufactured based on pH 7 to 8, is supplied in a green bag shaped like a tea bag weighing about 50 to 300 g, and is supplied in a box of the same color. It is made of soil used for planting plants that prefer alkaline soil.
In planting plants in the vertical garden, the type and ratio of acidic soil created to plant types of plants that prefer acidic soil are 70 to 90% by weight of the neutral culture soil, 10 to 30% by weight of peat moss, and 0.1 to 1% by weight of sulfur. It is manufactured based on pH 3.5~6 by adding acidity. It is supplied in a yellow bag shaped like a tea bag weighing about 50~300g and placed in a box of the same color. It is used as soil for planting plants that prefer acidic soil. It comes true,
In planting plants in the vertical garden, the type and ratio of the dry soil, which is made to plant types of plants that prefer soil with very good drainage, must have rapid water drainage and maximize breathability, so 50 to 90 weight of orchids of a type of volcanic stone are used. It is made with 10 to 30% by weight of coco peat and 10 to 30% by weight of perlite, and the acidity is manufactured based on pH 6.5 to 7. 30 to 200 g are placed in red tote bags of the same shape as tea bags and boxed in the same color. It is made up of soil that is supplied in a container and used for planting plants that extremely prefer water drainage.
In planting plants in the vertical garden, the type and ratio of the wet soil created for planting types of plants that like water very much are 50 to 90% by weight of a type of peat moss because the water drains slowly and must absorb a lot of water. It is made with 20-30% by weight of basil from the Icheon area and 10-30% by weight of dried king's chicken to adjust the soil acidity. The acidity is manufactured based on pH 5.5-6.5 and is packaged in a blue ton bag shaped like a tea bag (30-200g). A method of planting plants in a vertical garden that maintains evergreens in all seasons, supplied individually in boxes of the same color, and made with soil used for planting plants that prefer wat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20148297A 2022-11-09 2022-11-09 A method for planting vertical gardens KR10264044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8297A KR102640446B1 (en) 2022-11-09 2022-11-09 A method for planting vertical garde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8297A KR102640446B1 (en) 2022-11-09 2022-11-09 A method for planting vertical garden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0446B1 true KR102640446B1 (en) 2024-02-29

Family

ID=90041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8297A KR102640446B1 (en) 2022-11-09 2022-11-09 A method for planting vertical garden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0446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8070A (en) * 2010-03-26 2011-10-05 국경수 The display method using a plants
KR101110523B1 (en) 2009-02-16 2012-02-06 박공영 Wall greening system
KR101331404B1 (en) 2011-10-04 2013-11-20 박공영 Vertical plant cultivating apparatus
KR20140004547U (en) * 2013-01-24 2014-08-01 김규철 Three-dimensional Greening System Including Soil Pack
KR101726567B1 (en) 2016-07-08 2017-04-13 박공영 Vertical Typed Apparatus For Cultivating Plant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0523B1 (en) 2009-02-16 2012-02-06 박공영 Wall greening system
KR20110108070A (en) * 2010-03-26 2011-10-05 국경수 The display method using a plants
KR101331404B1 (en) 2011-10-04 2013-11-20 박공영 Vertical plant cultivating apparatus
KR20140004547U (en) * 2013-01-24 2014-08-01 김규철 Three-dimensional Greening System Including Soil Pack
KR101726567B1 (en) 2016-07-08 2017-04-13 박공영 Vertical Typed Apparatus For Cultivating Pla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095399B (en) Protogenic alpine azalea introduction and acclimatization method
Randhawa et al. Floriculture in India
CN1969603A (en) Method for cultivating a bonsai by engrafting multiple kinds of roses with China rose
CN105309207A (en) Colorful rose and Chinese rose bonsai cultivation method
CN105850481B (en) A kind of method of camellia cuttage Rapid Rooting
KR100509732B1 (en) Production method for White Rhododendron mucronulatum seedling
Hessayon The house plant expert
De Good agricultural practices of commercial orchids
CN102349430A (en) Method for breeding seedlings of grapes by using containers
CN106212026A (en) The method of Folium Rhododendri Simsii plantation
JPS61500001A (en) Cultivation and transportation method of transplanted epiphytes
Ranil et al. Ornamental pteridophytes: an underexploited opportunity for the Sri Lankan floriculture industry
KR102640446B1 (en) A method for planting vertical gardens
CN104335797A (en) Pot culture method of edible and medicinal lily magnolia with decorative function
CN106942000A (en) The method for cultivating the wooden container nursery stock of red fetters for stock with white fetters wood
Husain et al. Orchids: A Wonderful Ornamental Plant
Rao Textbook of horticulture
Harper et al. Perennials: how to select, grow & enjoy
Chaudhary Garden Up: Your One Stop Guide to Growing Plants at Home
Lokare et al. Plant Nursery Development & Management: An Innovative Way of Self Employment
CN102939854A (en) Rapid cultivation method and new applications of sedum kamtschaticum color-changed lawn grasses
De et al. Year Round Production of Orchids
Magar et al. Climatic Requirements
Talukdar Advances in floriculture research in Assam
Pohajda et al. Contemporary production of annual flowers in continental and Mediterranean Croat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