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0432B1 - 터빈 볼트 세정장치 - Google Patents

터빈 볼트 세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0432B1
KR102640432B1 KR1020230135510A KR20230135510A KR102640432B1 KR 102640432 B1 KR102640432 B1 KR 102640432B1 KR 1020230135510 A KR1020230135510 A KR 1020230135510A KR 20230135510 A KR20230135510 A KR 20230135510A KR 102640432 B1 KR102640432 B1 KR 1026404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cleaning
turbine
seating
clean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35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민석
Original Assignee
세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세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1355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04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04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04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2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3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 B08B1/32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using rotary clean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10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 B08B3/14Removing waste, e.g. labels, from cleaning liquid; Regenerating cleaning liquids

Landscapes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빈 볼트 세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볼트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는 안착블록; 안착홈에 위치한 볼트의 일단을 베어링이 구비된 가압부로 가압하여 볼트의 타단이 구동축에 밀착되어 볼트를 회전가능하게 고정시키는 클램프; 안착홈에 위치한 볼트의 상측에서 하강한 이후 볼트에 밀착된 상태로 브러싱하는 브러쉬부; 및 구동축을 회전시켜 안착홈에서 클램프에 의해 고정된 볼트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터빈 볼트 세정장치{Apparatus for cleaning turbine bolt}
본 발명은 터빈 볼트 세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터빈 볼트 세정시 발생되는 환경오염을 최소화하며 작업자의 유해화학물질 노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터빈 볼트 세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전소의 계획예방정비를 진행하게 되면, 터빈을 분해한 부품 중에 케이싱 볼트, 커플링 볼트, 배관 입출구 볼트 등 여러 종류의 볼트가 분해되어 나오게 되는데, 이러한 볼트들은 세정 단계를 거친 후 비파괴검사로 건전성을 확인하고 재사용하게 된다.
터빈에 사용된 볼트를 재사용하기 위해서는 볼트의 나사산 등에 생성된 스케일과 이물질을 제거해야 한다. 종래에는 볼트에 부착된 스케일 및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그라인더에 동브러쉬를 장착하여 제거하는 방법, 볼트를 세척액에 침지하여 스케일을 부드럽게 한 이후 칫솔형 브러쉬를 사용하여 제거하는 방법 등이 주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스케일 및 이물질 제거방법들은 제거작업시 작업장에서 발생되는 유해 화학물질에 의해 환경 오염 문제가 발생될 뿐만 아니라, 모두 수작업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작업자가 유해 화학물질에 직접적으로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 10-122047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특히 터빈 볼트 세정시 발생되는 환경오염을 최소화하며 작업자의 유해화학물질 노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터빈 볼트 세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빈 볼트 세정장치는, 볼트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는 안착블록; 안착홈에 위치한 볼트의 일단을 베어링이 구비된 가압부로 가압하여 볼트의 타단이 구동축에 밀착되어 볼트를 회전가능하게 고정시키는 클램프; 안착홈에 위치한 볼트의 상측에서 하강한 이후 볼트에 밀착된 상태로 브러싱하는 브러쉬부; 및 구동축을 회전시켜 안착홈에서 클램프에 의해 고정된 볼트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안착홈은 단면이 'V'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안착블록은 복수개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클램프에는 가압부의 길이를 조절하는 조절 볼트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빈 볼트 세정장치는,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투명창을 더 포함하되, 투명창의 폐쇄위치에서 안착블록과 브러쉬부를 감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빈 볼트 세정장치는, 바닥면이 경사지게 형성되고 서로 다른 높이에 복수개의 배출밸브가 구비되는 세척액 수집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터빈 볼트를 세척액에 침지한 상태로 볼트 세정작업을 수행함으로써 분진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브러쉬를 통한 세정작업이 수행되는 부분을 감싸도록 투명창을 배치함으로써 세척액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V'형 단면을 갖는 안착홈이 구비된 안착블록을 포함함으로써 다양한 크기를 갖는 터빈 볼트를 세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빈 볼트 세정장치의 사시도로서, 투명창이 개방 또는 폐쇄된 상태를 각각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빈 볼트 세정장치의 하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빈 볼트 세정장치에 구비된 볼트 세정부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클램프에 의해 볼트가 체결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빈 볼트 세정장치에 구비된 볼트 세정부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클램프에 의해 볼트가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부"와 "기", "모듈"과 "부", "유닛"과 "부", "장치"와 "시스템"등은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 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빈 볼트 세정장치의 사시도로서, 투명창이 개방 또는 폐쇄된 상태를 각각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빈 볼트 세정장치의 하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빈 볼트 세정장치(100)는, 세정될 볼트(101)가 안착되는 안착블록(110)과, 안착블록(110)에 배치된 볼트(101)를 고정시키는 클램프(120)와, 볼트(101)를 브러싱(brushing)하는 브러쉬부(130)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클램프(120) 및 안착블록(110)를 감싸도록 구성되는 투명창(150)과, 볼트(101)를 침지하도록 공급된 세척액을 세정공정 이후에 수집하도록 안착블록(110)의 하측에 설치되는 세척액 수집부(160)를 포함한다.
안착블록(110)은 다양한 종류의 볼트(101), 일례로 터빈 볼트가 안착되도록 안착홈이 형성된 것으로, 복수개가 나란하게 배치되어 한번의 세정공정에서 다수개의 볼트(101)를 세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클램프(120)는 막대형으로 길게 연장되는 부품으로, 작업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게 상측에는 손잡이부(121)가 형성되고, 하측에는 기울어진 상태의 손잡이부(121)를 파지한 작업자가 손잡이부(121)를 전방으로 밀어서 직립상태로 조작할 경우 가압력을 발생시키는 힌지부(123)를 포함한다. 또한, 힌지부(123)의 작동에 의해 발생된 가압력을 전달받아 볼트(101)의 일단을 가압하도록 가압부(125)를 구비한다. 클램프(120)의 구체적인 동작은 후술한다.
브러쉬부(130)는 클램프(120)에 의해 안착블록(110)에 고정된 볼트(101)를 브러싱하는 구성으로, 판재형 부재의 하부에 칫솔형의 동브러쉬(미도시)가 구비되어 있으며, 브러쉬부(130)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상하 이동부(135)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하 이동부(135)는 안착블록(110)에 안착되는 볼트(101)의 직경이나 브러쉬부(130)의 마모 정도에 따라 하강 높이가 조절될 수 있는데, 이는 작업자가 미리 세정할 볼트(101)의 직경 정보를 입력하는 방식이나 볼트 무게 측정 등 다양한 방식을 통해 볼트 직경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빈 볼트 세정장치(100)은, 브러쉬부(130)가 하강하여 볼트(101)에 밀착된 상태에서 클램프(120)에 의해 고정된 볼트(101)를 회전시키며 세정작업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 고정된 볼트(101)를 회전시키는 구동부(115)를 더 포함한다.
구동부(115)는 터빈 볼트 세정장치(100)의 전면부에 위치한 다수의 조작스위치를 포함하는 조작부(170)에 의해 정회전/역회전/정지 등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구동부(115)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은 후술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빈 볼트 세정장치(100)는, 폐쇄위치에서 안착블록(110)과 브러쉬부(130)를 감싸도록 일측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투명창(150)을 포함할 수 있다. 투명창(150)을 통해 세척액의 오염정도를 확인하는 등 세정작업의 진행과정을 모니터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정작업시 발생되는 세척액이나 비산물이 외측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빈 볼트 세정장치(100)는, 브러쉬부(130)와 볼트(101)의 마찰에 의한 세정작업시에 먼지 발생을 발생하며 발생된 스케일을 연화시켜 세정작업을 보다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볼트(101)가 세척액(미도시)에 침지된 상태로 세정작업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세정작업 이후 공급된 세척액(미도시)를 회수할 수 있도록 안착블록(110)의 하측에 세척액 수집부(160)가 설치된다.
여기서, 세척액 수집부(160)는 바닥면에 경사부(161)가 형성되는데, 세척액(미도시)에 포함되는 세정작업을 통해 제거된 이물질, 브러쉬부(130)에서 탈락된 칩 등이 경사부(161)를 통해 중력에 의해 소정위치에 모여 수집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경사부(161)를 통해 낙하되어 수집된 이물질 등을 제거하기 용이하도록 상기 소정위치에 필터(미도시)를 설치하여 이물질 등이 걸러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이물질 등이 수집된 필터(미도시)를 용이하게 제거하도록 세척액 수집부(16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며, 일측은 필터(미도시)가 고정되도록 필터(미도시)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타측은 작업자가 파지가능하게 상측으로 연장되는 손잡이부(미도시)가 구비된 필터 캐리어(미도시)가 포함될 수도 있다. 일례로, 상기 필터 캐리어(미도시)는 국자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필터 캐리어(미도시)의 하측에는 필터(미도시)에서 걸러지지 않고 통과한 이물질 등을 청소할 수 있도록 하부 배출밸브(164)를 구비한다.
또한, 세척액 수집부(160)는, 서로 다른 높이에 복수개의 측면 배출밸브(163)가 구비되어 일부 세척액(미도시)를 재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일실시예로서, 3개의 측면 배출밸브(163)로 구성할 경우, 상부 2개 측면 배출밸브(163)를 통해 배출되는 세척액은 재사용할 수 있으며, 최하단의 측면 배출밸브(163)를 통해 배출되는 세척액은 폐기하게 된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빈 볼트 세정장치에 구비된 볼트 세정부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클램프에 의해 볼트가 체결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빈 볼트 세정장치에 구비된 볼트 세정부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클램프에 의해 볼트가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빈 볼트 세정장치(100)은, 세정작업이 수행되는 세정공간(180a)을 형성하는 세정블록(180)이 포함되는데, 세정블록(180)에 형성된 세정공간(180a)에는 세척액(미도시)가 공급되어 볼트(101)가 침지 상태로 설치되도록 구성되며, 볼트(101)가 안착되는 안착홈(111)이 형성되는 안착블록(110)이 복수개가 나란하게 배치되어 복수개의 볼트(101)의 세정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안착홈(111)은 다양한 크기의 볼트(101)가 안착될 수 있도록 단면이 'V'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클램프(130)는 안착홈(111)에 위치한 볼트(101)를 고정시키는 구성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작업자가 파지하는 손잡이부(121)와, 손잡이부(121)의 조작에 따라 가압력을 발생시키는 힌지부(123)와, 힌지부(123)의 작동에 의해 발생된 가압력을 전달받아 볼트(101)의 일단을 가압하는 가압부(125)를 포함하여 손잡이부(121)의 회전 운동에 의해 볼트(101)를 가압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클램프(130)에 의해 볼트(101)가 고정될 때, 볼트(101)는 안착블록(110)의 안착홈(111)에 위치하게 되는데, 특히 볼트(101)의 나사산부(101a)에는 이물질이 존재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나사산부(101a)가 안착홈(111)에 위치하지 않도록 배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볼트(101)를 배치함으로써 브러쉬부(130)가 하강하여 볼트(101)와 밀착시 나사산부(101a)가 안착블록(110)에 의한 간섭을 받지 않고 긴밀하게 브러쉬부(130)와 밀착됨으로써 이물질 제거가 보다 효과적으로 진행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볼트(101)의 일단이 클램프(130)의 가압부(125)에 의해 가압될 때 볼트(101)의 타단은 구동축(127)에 밀착된다. 이와 같이 볼트(101)가 구동축(127)에 밀착된 상태에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115)의 회전력이 벨트(116)를 통해 전달 기어들(117)로 전달되고, 이후 구동축(127)으로 회전력이 전달되면 볼트(101)가 저속으로 회전하게 되고, 볼트(101)가 밀착된 브러쉬부(130)와 세척액 속에서 마찰되면서 스케일, 구리스, 오일과 같은 이물질 등이 볼트(101)로부터 이탈되게 된다.
여기서, 클램프(130)의 가압부(125)는 베어링(미도시), 바람직하게는 볼베어링을 내장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가압부(125)와 볼트(101)의 일단이 베어링 지지된 상태로 밀착되고, 가압부(125)에 의해 볼트(101)의 타단이 구동축(127)에 접촉된 상태에서 볼트(101)가 구동축(127)과의 밀착 마찰력으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이때, 볼트(101)는 저속으로 회전되기 때문에 세척액 유동성이 최소화되며 세척액이 세정공간(180a) 외측으로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클램프(130)에는 가압부(125)의 길이를 조절하는 조절 볼트(126)가 포함될 수 있다. 조절 볼트(126)는 소정방향으로 회전시 일정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진하여 가압부(125)의 길이가 짧아지거나 길어지게 구성되는 부품으로, 조절 볼트(126)에 의해 가압부(125)의 가압력을 조절하거나 세정될 볼트(101)의 길이에 맞게 가압부(125)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터빈 볼트 세정장치
101: 볼트
110: 안착블록
120: 클램프
125: 가압부
126: 조절 볼트
130: 브러쉬부
150: 투명창
160: 세척액 수집부

Claims (6)

  1. 볼트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는 안착블록;
    안착홈에 위치한 볼트의 일단을 베어링이 구비된 가압부로 가압하여 볼트의 타단이 구동축에 밀착되어 볼트를 회전가능하게 고정시키는 클램프;
    안착홈에 위치한 볼트의 상측에서 하강한 이후 볼트에 밀착된 상태로 브러싱하는 브러쉬부;
    구동축을 회전시켜 안착홈에서 클램프에 의해 고정된 볼트를 회전시키는 구동부; 및
    세정작업 이후 세척액을 수집하는 세척액 수집부;를 포함하되,
    브러쉬부는,
    안착블록에 안착되는 볼트의 직경이나 브러쉬부의 마모 정도에 따라 하강 높이를 조절하는 상하 이동부를 구비하고,
    세척액 수집부는,
    세정작업을 통해 볼트에서 제거된 이물질이 중력에 의해 소정위치에 모이도록 바닥면에 형성되는 경사부와,
    경사부를 통해 낙하되어 수집되는 이물질 중 일부가 걸러지도록 소정위치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필터와,
    서로 다른 높이에 복수개가 설치되는 측면 배출밸브들을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상부 측면 배출밸브를 통해 배출되는 세척액은 회수하여 재사용하도록 구성되는, 터빈 볼트 세정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안착홈은 단면이 'V'형으로 형성되는, 터빈 볼트 세정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안착블록은 복수개가 나란하게 배치되는, 터빈 볼트 세정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클램프에는 가압부의 길이를 조절하는 조절 볼트가 포함되는, 터빈 볼트 세정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투명창을 더 포함하되,
    투명창의 폐쇄위치에서 안착블록과 브러쉬부를 감싸도록 구성되는, 터빈 볼트 세정장치.
  6. 삭제
KR1020230135510A 2023-10-12 2023-10-12 터빈 볼트 세정장치 KR1026404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35510A KR102640432B1 (ko) 2023-10-12 2023-10-12 터빈 볼트 세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35510A KR102640432B1 (ko) 2023-10-12 2023-10-12 터빈 볼트 세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0432B1 true KR102640432B1 (ko) 2024-02-23

Family

ID=90041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35510A KR102640432B1 (ko) 2023-10-12 2023-10-12 터빈 볼트 세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043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0474B1 (ko) 2009-12-11 2013-01-10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윤활코팅을 위한 볼트 표면 가공장치
KR20130105155A (ko) * 2012-03-16 2013-09-25 주식회사 포스코 롤러 청소 장치
CN217120972U (zh) * 2022-03-18 2022-08-05 国网新源控股有限公司 螺栓清洗机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0474B1 (ko) 2009-12-11 2013-01-10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윤활코팅을 위한 볼트 표면 가공장치
KR20130105155A (ko) * 2012-03-16 2013-09-25 주식회사 포스코 롤러 청소 장치
CN217120972U (zh) * 2022-03-18 2022-08-05 国网新源控股有限公司 螺栓清洗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744395B (zh) 一种具有废料收集装置的磨床
CN108568696B (zh) 用于齿轮加工的废屑收集装置
JP5896188B2 (ja) モジュール型インラインマイクロドリルビット再研磨装置
EP2067570A1 (en) Robotic cell for loading and unloading cutting tools
CN113370015B (zh) 一种弹簧端面磨床
KR100874987B1 (ko) 자동연마기
CN115464517B (zh) 一种用于管道的供料加工一体设备
KR102640432B1 (ko) 터빈 볼트 세정장치
NO20110857A1 (no) Renseapparat
CN209737167U (zh) 一种数控加工中心废料收集装置
JPH0442137B2 (ko)
US6202657B1 (en) Safety and environmental workbench
CN108500404B (zh) 一种螺纹加工机
KR19990028227A (ko) 기어 시험기용 콤파운드 적용장치 및 방법
CN209986330U (zh) 一种拉刀清屑装置
CN210060635U (zh) 带有防护罩的高精度平面磨床
CN218782124U (zh) 一种混凝土强度检测装置
CN220637479U (zh) 一种uv底漆砂光机碎屑处理装置
CN213380600U (zh) 钝化设备
CN110509071A (zh) 一种可清除边缘上的熔物和飞溅物的钢材切割机
KR101613286B1 (ko) 케이싱 볼트 및 너트의 나사산 클리닝장치
CN117405661B (zh) 一种金属用化学药剂的检测设备及工艺
CN113618597B (zh) 一种用于笔记本抛光打磨的设备
CN217172156U (zh) 切削油处理系统
KR101992435B1 (ko) 필터드럼과 스크레이퍼를 이용한 미세칩 분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