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9712B1 - 모빌리티의 바디 - Google Patents

모빌리티의 바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9712B1
KR102639712B1 KR1020210193122A KR20210193122A KR102639712B1 KR 102639712 B1 KR102639712 B1 KR 102639712B1 KR 1020210193122 A KR1020210193122 A KR 1020210193122A KR 20210193122 A KR20210193122 A KR 20210193122A KR 102639712 B1 KR102639712 B1 KR 1026397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surface
base part
mobility
longitudinal direction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31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02750A (ko
Inventor
김도회
리코 하세
프랭크 쉬크
안드레 알버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931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9712B1/ko
Priority to US17/888,896 priority patent/US20230211253A1/en
Priority to DE102022122706.5A priority patent/DE102022122706A1/de
Publication of KR202301027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27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97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97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10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 A63H33/10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with ho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10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 A63H33/12Perforated strips or the like assembled by rods, bolt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7/00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 B62D27/02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rigid
    • B62D27/023Assembly of structural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7/00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 B62D27/06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readily releasable
    • B62D27/065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readily releasable using screwthrea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10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 A63H33/107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using screws, bolts, nails, rivets, c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3Reducing w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Abstract

제1장착면이 형성된 베이스파트; 베이스파트에 슬라이딩 결합되며, 제1장착면에 매칭되는 제2장착면이 형성되고, 일측으로 개방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삽입홈이 형성된 고정파트; 및 일단이 고정파트의 삽입홈에 삽입되어 고정파트와 결합되고, 타단이 절곡되며 연장되어 캐빈룸의 필러 파트를 구성하는 필러멤버;를 포함하는 모빌리티의 바디가 소개된다.

Description

모빌리티의 바디 {BODY OF MOBILITY}
본 발명은 다양한 재질의 적용이 가능하여 경량화가 가능하고, 구조적인 설계를 통해 강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볼팅 등을 통하여 조립식으로 조립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바디 디자인 구현이 가능하고, 캐빈룸을 별도로 교체하여 조립도 가능한 모빌리티의 바디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율주행 기술과 전동화 기술이 발전됨에 따라 모빌리티의 종류도 다양해지고, 전통적인 차량의 형태에서 벗어난 바디 구조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전통적인 차량의 차체의 경우 모노코크 또는 프레임 바디가 주를 이룸으로써 다양한 차체의 생산에 큰 제약이 되었다. 이러한 종래의 모노코크 또는 프레임 바디의 경우 스틸 재질로 성형되어 강성 확보에는 용이하나 무게가 많이 나가는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용접 등을 통하여 바디가 제작되기 때문에 다양한 종류의 바디 제작을 위해서는 그 만큼의 다양한 부품이 필요하여 실질적으로 차종의 확대에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신규 개념의 모빌리티들은 캐빈룸을 교체하도록 함으로써 바디의 전방부와 후방부를 유지한 채로 다른 종류의 캐빈룸을 결합하거나, 동일한 캐빈룸을 다른 형태의 전방부 또는 후방부 또는 플로어와 결합함으로써 차량의 용도에 맞게 다양한 종류의 모빌리티를 재조합할 수 있도록 하는 개념이 필요하다.
그러나 종래의 모노코크 또는 프레임 바디 형식에서는 이러한 바디의 교체가 어렵기 때문에 한계가 있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015-0063854 A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다양한 재질의 적용이 가능하여 경량화가 가능하고, 구조적인 설계를 통해 강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볼팅 등을 통하여 조립식으로 조립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바디 디자인 구현이 가능하고, 캐빈룸을 별도로 교체하여 조립도 가능한 모빌리티의 바디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모빌리티의 바디는, 캐빈룸 외측에 마련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이고, 제1장착면이 형성된 베이스파트;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이고, 베이스파트에 슬라이딩 결합되며, 제1장착면에 매칭되는 제2장착면이 형성되고, 일측으로 개방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삽입홈이 형성된 고정파트; 및 일단이 고정파트의 삽입홈에 삽입되어 고정파트와 결합되고, 타단이 절곡되며 연장되어 캐빈룸의 필러 파트를 구성하는 필러멤버;를 포함한다.
베이스파트와 고정파트는 압출 공법에 의해 성형되어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이며 상호 슬라이딩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베이스파트는 캐빈룸 외측 전방의 전방바디 또는 캐빈룸 외측 후방의 후방바디의 캐빈룸측 연결부일 수 있다.
베이스파트와 고정파트는 체결된 상태에서 모빌리티의 필러 에이프런 멤버를 구성할 수 있다.
베이스파트는 제1장착면이 수직면과 수평면으로 구성되고, 베이스파트는 제1장착면을 통해 고정파트의 일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고정파트와 체결될 수 있다.
베이스파트의 제1장착면 및 고정파트의 제2장착면에는 상호 매칭되는 돌출부 및 홈부가 각각 형성되고, 돌출부가 홈부에 삽입됨으로써 베이스파트와 고정파트가 체결될 수 있다.
돌출부와 홈부는 각각 목부분과 헤드부분으로 구성됨으로써 돌출부가 슬라이딩에 의해 홈부에 끼워진 후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돌출부와 홈부는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레일 형상으로써 상호 슬라이딩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베이스파트의 제1장착면 및 고정파트의 제2장착면에는 상호 마주하는 만입부가 각각 형성되고, 제1장착면과 제2장착면의 만입부가 모여 하나의 끼움홈을 이루며, 끼움홈에 로드가 삽입됨으로써 베이스파트와 고정파트가 체결될 수 있다.
끼움홈과 로드는 각각 목부분과 헤드부분으로 구성되고 로드가 끼움홈에 슬라이딩되어 삽입됨으로써 베이스파트와 고정파트의 분리가 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베이스파트 또는 고정파트를 관통한 후 로드에 체결되는 볼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장착면 또는 제2장착면에는 강성보강부가 마련되고 강성보강부는 제1장착면 또는 제2장착면에 형성된 슬라이딩홈에 끼워져 결합되며, 강성보강부는 바닥면이 제1장착면 또는 제2장착면의 일부를 구성하고, 강성보강부의 바닥면에 만입부가 형성될 수 있다.
로드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로드파트로 구성되고, 각 로드파트의 사이 지점에 체결핀이 삽입됨으로써 체결핀에 의해 로드파트가 각각 만입부측으로 가압될 수 있다.
필러멤버 일단의 외주면에는 플라스틱 재질의 부쉬가 마련되고, 부쉬는 필러멤버 일단과 고정파트 삽입홈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필러멤버는 파이프 형상이며 일단이 직관 형상으로써 고정파트의 삽입홈에 슬라이딩되어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모빌리티의 바디에 따르면, 다양한 재질의 적용이 가능하여 경량화가 가능하고, 구조적인 설계를 통해 강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볼팅 등을 통하여 조립식으로 조립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바디 디자인 구현이 가능하고, 캐빈룸을 별도로 교체하여 조립도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빌리티의 바디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빌리티의 바디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빌리티의 고정파트를 나타낸 도면.
도 4 내지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빌리티의 바디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빌리티의 바디에 패널이 결합된 사시도.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빌리티의 바디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빌리티의 바디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빌리티의 고정파트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 내지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빌리티의 바디의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빌리티의 바디에 패널이 결합된 사시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빌리티의 바디의 사시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모빌리티의 바디는, 캐빈룸 외측에 마련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이고, 제1장착면(101)이 형성된 베이스파트(100);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이고, 베이스파트(100)에 슬라이딩 결합되며, 제1장착면(101)에 매칭되는 제2장착면(301)이 형성되고, 일측으로 개방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삽입홈(W)이 형성된 고정파트(300); 및 일단이 고정파트(300)의 삽입홈(W)에 삽입되어 고정파트(300)와 결합되고, 타단이 절곡되며 연장되어 캐빈룸의 필러 파트를 구성하는 필러멤버(5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조립식 바디를 구현하고자 하는 것이며, 볼팅 등을 통하여 조립이 가능하기 때문에 캐빈룸과 바디 전방부 또는 후방부와의 분리/조립이 가능하다. 그에 따라 캐빈룸의 교체 또는 차량의 구동부나 적재부의 교체 등이 용이하여 다양한 종류의 바디 구현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러한 조립식을 채용함에 있어 소재 역시 플라스틱 소재를 적용함으로써 경량화가 가능하고, 소재의 경량화 및 조립식 구조임에도 불구하고 필요한 강성을 확보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데 발명의 주된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바디의 캐빈룸은 그 상부가 A필러, 루프, C필러 등을 통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경우 이러한 바디의 A필러 또는 C필러와 바디 전방부 또는 후방부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그 연결구조를 조립식으로 교체함으로써 A필러와 C필러가 차량의 전방부(엔진룸 부분) 또는 후방부(트렁크 부분) 또는 플랫폼(플로어)와 분리 및 체결이 가능하여 캐빈룸의 교체가 가능해지는 것이다.
이를 위해 바디의 전방부 또는 후방부에는 베이스파트(100)가 마련된다. 베이스파트(100)는 캐빈룸의 외측에서 바디의 전방부 또는 후방부에 마련된다. 그리고 베이스파트(100)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으로써 슬라이딩에 의해 상대 물체와의 체결이 가능하다. 또한 베이스파트(100)에는 제1장착면(101)이 형성되고, 그 제1장착면(101) 상에서 슬라이딩에 의해 상대 물체와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한편, 캐빈룸측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이고, 베이스파트(100)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고정파트(300)가 마련된다. 고정파트(300)는 제1장착면(101)에 매칭되는 제2장착면(301)이 형성되고, 일측으로 개방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삽입홈(W)이 형성된다. 그리고 고정파트(300)의 삽입홈(W)에 개방된 부분을 통하여 필러멤버(500)가 삽입된다.
필러멤버(500)는 일단이 고정파트(300)의 삽입홈(W)에 삽입되어 고정파트(300)와 결합되고, 타단이 절곡되며 연장되어 캐빈룸의 필러 파트를 구성하는 것이다.
따라서, 캐빈룸의 필러멤버(500)는 고정파트(300)에 삽입되어 결합됨으로써 다양한 필러멤버(500)의 형상에도 고정파트(300)의 부품 공유가 가능하여 제조 원가가 절감된다. 그리고 고정파트(300)는 바디 전방부 또는 후방부의 베이스파트(100)와 슬라이딩 결합됨으로써 다양한 캐빈룸과 바디 전방부 또는 후방부 또는 플랫폼과의 조합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즉, 캐빈룸 또는 바디 전방부 또는 후방부 또는 플랫폼의 형상이 다양하더라도 그들이 공통적으로 공용되는 고정파트(300)와 베이스파트(100)를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부품의 공유가 가능하고, 상호간의 재조합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또한, 바디의 길이방향으로의 슬라이딩을 통한 체결에 의하여 필요한 바디 강성의 확보도 가능해진다.
구체적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빌리티의 바디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빌리티의 바디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베이스파트(100)와 고정파트(300)는 압출 공법에 의해 성형되어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이며 상호 슬라이딩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베이스파트(100)와 고정파트(300)는 알루미늄 또는 플라스틱 소재를 사용함으로써 경량화가 가능하고, 또한 압출 공법을 사용함으로써 다이캐스팅 내지 주조 공법에 비해 소재의 강성을 더욱 크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호간에 슬라이딩 체결 역시 압출공법을 통해 단면이 일정하게 형성함으로써 가능해지는 것이다.
또한, 베이스파트(100)는 캐빈룸 외측 전방의 전방바디 또는 캐빈룸 외측 후방의 후방바디의 캐빈룸측 연결부일 수 있다. 즉, 베이스파트(100)는 캐빈룸 외측의 바디에 마련되는 것이며, 캐빈룸과 연결되는 연결 부분의 역할을 수행한다.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는 이를 통하여 베이스파트(100)와 고정파트(300)는 체결된 상태에서 모빌리티의 필러 에이프런 멤버를 구성하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한편, 베이스파트(100)는 제1장착면(101)이 수직면(A)과 수평면(V)으로 구성되고, 베이스파트(100)는 제1장착면(101)을 통해 고정파트(300)의 일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고정파트(300)와 체결될 수 있다. 즉, 도시된 것과 같이 베이스파트(100)는 수직면(A)과 수평면(V)이 연결되어 절곡된 형태를 나타내며, 고정파트(300)가 슬라이딩되어 이에 안착되며 감싸지는 형상을 갖게 된다. 그에 따라 모빌리티에 외부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베이스파트(100)가 내측에서 고정파트(300)를 지지함으로써 필요한 충돌 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 X방향과 Y방향 모두에서 지지력을 확보함으로써 모빌리티의 주행 강성 역시 확보할 수 있도록 하며, 양 방향에서의 위치 규제를 통하여 조립 공차의 관리 역시 수월하도록 한다.
또한 베이스파트(100)의 제1장착면(101) 및 고정파트(300)의 제2장착면(301)에는 상호 매칭되는 돌출부(120) 및 홈부(320)가 각각 형성되고, 돌출부(120)가 홈부(320)에 삽입됨으로써 베이스파트(100)와 고정파트(300)가 체결될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베이스파트(100)에는 돌출부(120)가 형성되고, 고정파트(300)에는 홈부(320)가 형성되며, 돌출부(120)가 홈부(320)에 슬라이딩 결합됨으로써 베이스파트(100)와 고정파트(300)의 체결을 수행한다.
특히, 돌출부(120)와 홈부(320)는 각각 목부분(122)과 헤드부분(124)으로 구성됨으로써 돌출부(120)가 슬라이딩에 의해 홈부(320)에 끼워진 후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즉, 돌출부(120)의 헤드(124)가 홈부(320)의 목부에 걸려 이탈이 방지되는 것이다. 그리고 돌출부(120)와 홈부(320)는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레일 형상으로써 압출 공법에 의해 자연스럽게 일체로 형성되며 상호 슬라이딩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파트(100)의 제1장착면(101) 및 고정파트(300)의 제2장착면(301)에는 상호 마주하는 만입부(150,350)가 각각 형성되고, 제1장착면(101)과 제2장착면(301)의 만입부(150,350)가 모여 하나의 끼움홈(H)을 이루며, 끼움홈(H)에 로드(700)가 삽입됨으로써 베이스파트(100)와 고정파트(300)가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끼움홈(H)과 로드(700) 역시 각각 목부분(702)과 헤드부분(704)으로 구성되고 로드(700)가 끼움홈(H)에 슬라이딩되어 삽입됨으로써 베이스파트(100)와 고정파트(300)의 분리가 저지될 수 있다. 즉, 돌출부(120) 및 홈부(320)와는 별도로 로드(700)를 삽입함으로써 조립시 발생되는 공차 내지 유격을 제거할 수 있게 한다. 베이스파트(100)와 고정파트(300)는 상호 슬라이딩을 통한 체결이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일정한 유격을 갖도록 설계된다. 그리고 슬라이딩 체결 후 별도의 로드(700)를 삽입하여 가압함으로써 설계상의 유격의 제거가 가능하고, 이를 통해 체결력과 강성을 유지하고 충격시의 로드패스를 완벽히 구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유격에 의한 주행소음 역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은 베이스파트(100) 또는 고정파트(300)를 관통한 후 로드(700)에 체결되는 볼팅부(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로드(700)가 끼움홈에 삽입된 후 외부에서 볼팅부(B)가 베이스파트(100)를 관통한 후 로드(700)에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로드(700)가 베이스파트(100)측으로 당겨질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자연스럽게 고정파트(300) 역시 당겨지며 각 파트 사이의 유격이 제거되는 원리이다.
한편, 도 5의 경우와 같이 별도의 강성보강부(900)를 활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는 추가적인 경량화를 위해 고정파트(300)를 플라스틱으로 제조할 경우 고정파트(300)에 강성보강부(900)를 설치하는 것을 나타낸다. 즉, 강성보강부(900)는 제1장착면(101) 또는 제2장착면(301)에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강성보강부(900)는 제1장착면(101) 또는 제2장착면(301)에 형성된 슬라이딩홈(390)에 끼워져 결합되며, 강성보강부(900)는 바닥면이 제1장착면(101) 또는 제2장착면(301)의 일부를 구성하고, 강성보강부(900)의 바닥면에 만입부(150,350)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만입부(150,350)에 로드(700)가 삽입되는 것이다.
이러한 강성보강부(900)의 재질은 금속 재질로 함으로써 베이스파트(100) 또는 고정파트(300)를 플라스틱으로 제조하더라도 경량화와 필요한 강성을 모두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특히 강성보강부(900)의 외측에 쐐기 내지 요철 모양을 형성하고 슬라이딩홈(390) 역시 동일한 쐐기 내지 요철 모양을 형성함으로써 상호간에 슬라이딩 체결이 가능하도록 하고 결합력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4의 경우와 같이 로드(700)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로드파트(710)로 구성되고, 각 로드파트(710)의 사이 지점에 체결핀(P)이 삽입됨으로써 체결핀(P)에 의해 로드파트(710)가 각각 만입부측으로 가압될 수 있다. 즉, 이 경우는 로드(700)를 복수의 로드파트(710)로 구성하고, 각 로드파트(710)의 사이에 체결핀(P)을 볼팅 결합 방식으로 삽입함으로써 체결핀(P)에 의해 각각의 로드파트(710)가 외측으로 가압되도록 하고, 이를 통하여 베이스파트(100)와 고정파트(300) 및 로드(700) 간의 유격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역으로 체결핀(P)을 분리할 경우에는 다시 유격이 존재함으로써 베이스파트(100)와 고정파트(300)의 슬라이딩을 통한 분리가 용이해지도록 한다.
한편, 도 2 내지 3의 경우와 같이 필러멤버(500) 일단의 외주면에는 플라스틱 재질의 부쉬(K)가 마련되고, 부쉬(K)는 필러멤버(500) 일단과 고정파트(300) 삽입홈(W)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부쉬를 통하여 필러멤버(500) 일단과 고정파트(300) 사이의 유격의 제거가 가능하고, 필러멤버(500)를 압입을 통하여 고정파트(300)와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3과 같이 고정파트(300)의 외곽 모서리(310)를 곡면으로 성형할 경우에는 필요한 모빌리티의 곡면 에이프런 디자인 역시 구현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그리고 필러멤버(500)는 다양한 단면 형상의 파이프이며 일단은 직관 형상으로써 고정파트(300)의 삽입홈(W)에 슬라이딩되어 삽입될 수 있도록 하고, 나머지 부분은 필요한 만큼 절곡하여 멤버 형상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참고로, 도 6의 경우는 이러한 필러멤버(500)에 이너패널(10)과 아우터패널(30)이 결합되어 도어플랜지 등이 구현되고 바디의 마감이 이루어지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구현할 경우에는 본 발명의 필러 구조가 기존의 모노코크 바디에도 적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모빌리티의 바디에 따르면, 다양한 재질의 적용이 가능하여 경량화가 가능하고, 구조적인 설계를 통해 강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볼팅 등을 통하여 조립식으로 조립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바디 디자인 구현이 가능하고, 캐빈룸을 별도로 교체하여 조립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 : 베이스파트 300 : 고정파트
500 : 필러멤버 700 : 로드

Claims (15)

  1. 캐빈룸 외측에 마련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이고, 제1장착면이 형성된 베이스파트;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이고, 베이스파트에 결합되며, 제1장착면에 매칭되는 제2장착면이 형성되고, 일측으로 개방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삽입홈이 형성된 고정파트; 및
    일단이 고정파트의 삽입홈에 삽입되어 고정파트와 결합되고, 타단이 절곡되며 연장된 필러멤버;를 포함하고,
    베이스파트의 제1장착면 및 고정파트의 제2장착면에는 상호 마주하는 만입부가 각각 형성되고, 제1장착면과 제2장착면의 만입부가 모여 하나의 끼움홈을 이루며, 끼움홈에 로드가 삽입됨으로써 베이스파트와 고정파트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리티의 바디.
  2. 청구항 1에 있어서,
    베이스파트와 고정파트는 압출 공법에 의해 성형되어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이며 상호 슬라이딩에 의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리티의 바디.
  3. 청구항 1에 있어서,
    베이스파트는 캐빈룸 외측 전방의 전방바디 또는 캐빈룸 외측 후방의 후방바디의 캐빈룸측 연결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리티의 바디.
  4. 청구항 1에 있어서,
    베이스파트와 고정파트는 체결된 상태에서 모빌리티의 필러 에이프런 멤버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리티의 바디.
  5. 청구항 1에 있어서,
    베이스파트는 제1장착면이 수직면과 수평면으로 구성되고, 베이스파트는 제1장착면을 통해 고정파트의 일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고정파트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리티의 바디.
  6. 청구항 1에 있어서,
    베이스파트의 제1장착면 및 고정파트의 제2장착면에는 상호 매칭되는 돌출부 및 홈부가 각각 형성되고, 돌출부가 홈부에 삽입됨으로써 베이스파트와 고정파트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리티의 바디.
  7. 청구항 6에 있어서,
    돌출부와 홈부는 각각 목부분과 헤드부분으로 구성됨으로써 돌출부가 슬라이딩에 의해 홈부에 끼워진 후 이탈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리티의 바디.
  8. 청구항 6에 있어서,
    돌출부와 홈부는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레일 형상으로써 상호 슬라이딩에 의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리티의 바디.
  9. 삭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끼움홈과 로드는 각각 목부분과 헤드부분으로 구성되고 로드가 끼움홈에 슬라이딩되어 삽입됨으로써 베이스파트와 고정파트의 분리가 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리티의 바디.
  11. 청구항 1에 있어서,
    베이스파트 또는 고정파트를 관통한 후 로드에 체결되는 볼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리티의 바디.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장착면 또는 제2장착면에는 강성보강부가 마련되고 강성보강부는 제1장착면 또는 제2장착면에 형성된 슬라이딩홈에 끼워져 결합되며, 강성보강부는 바닥면이 제1장착면 또는 제2장착면의 일부를 구성하고, 강성보강부의 바닥면에 만입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리티의 바디.
  13. 청구항 1에 있어서,
    로드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로드파트로 구성되고, 각 로드파트의 사이 지점에 체결핀이 삽입됨으로써 체결핀에 의해 로드파트가 각각 만입부측으로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리티의 바디.
  14. 캐빈룸 외측에 마련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이고, 제1장착면이 형성된 베이스파트;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이고, 베이스파트에 결합되며, 제1장착면에 매칭되는 제2장착면이 형성되고, 일측으로 개방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삽입홈이 형성된 고정파트; 및
    일단이 고정파트의 삽입홈에 삽입되어 고정파트와 결합되고, 타단이 절곡되며 연장된 필러멤버;를 포함하고,
    필러멤버 일단의 외주면에는 부쉬가 마련되고, 부쉬는 필러멤버 일단과 고정파트 삽입홈의 사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리티의 바디.
  15. 청구항 1에 있어서,
    필러멤버는 파이프 형상이며 일단이 직관 형상으로써 고정파트의 삽입홈에 슬라이딩되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리티의 바디.
KR1020210193122A 2021-12-30 2021-12-30 모빌리티의 바디 KR1026397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3122A KR102639712B1 (ko) 2021-12-30 2021-12-30 모빌리티의 바디
US17/888,896 US20230211253A1 (en) 2021-12-30 2022-08-16 Body of mobility
DE102022122706.5A DE102022122706A1 (de) 2021-12-30 2022-09-07 Fahrzeugkarosseri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3122A KR102639712B1 (ko) 2021-12-30 2021-12-30 모빌리티의 바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2750A KR20230102750A (ko) 2023-07-07
KR102639712B1 true KR102639712B1 (ko) 2024-02-21

Family

ID=86766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3122A KR102639712B1 (ko) 2021-12-30 2021-12-30 모빌리티의 바디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211253A1 (ko)
KR (1) KR102639712B1 (ko)
DE (1) DE10202212270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1394B1 (ko) * 2019-08-22 2020-05-18 주식회사 한국창의교육 플레이트 연결 조립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6722B1 (ko) * 2016-07-05 2017-1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충격흡수 유닛 및 그 제조방법, 멤버 연결구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6829B1 (ko) 2013-12-02 2019-07-05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중공 폐단면을 갖는 차체 전방 강성 보강 구조
KR20210077367A (ko) * 2019-12-17 2021-06-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체 조립 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6722B1 (ko) * 2016-07-05 2017-1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충격흡수 유닛 및 그 제조방법, 멤버 연결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22122706A1 (de) 2023-07-06
KR20230102750A (ko) 2023-07-07
US20230211253A1 (en) 2023-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65484B2 (en) Vehicle member attachment structure and rear spoiler attachment structure
JP5927187B2 (ja) 自動車の中柱補強体
KR20010060370A (ko) 자동차의 센터 필라 조립체
US20080111397A1 (en) Vehicle body structure
WO2015146902A1 (ja) 車体側部構造
WO2015146903A1 (ja) 車体側部構造
KR102371245B1 (ko) 차량의 센터 필러 구조
US20120261950A1 (en) Vehicle roof support assembly
KR102639712B1 (ko) 모빌리티의 바디
JP2001322563A (ja) 車両の前部車体構造
US6073993A (en) Body structure for a motor vehicle
JP3610927B2 (ja) 自動車の車体上部構造
WO2010146690A1 (ja) 車両構造体
CN111284564A (zh) 车身结构
JP2003127901A (ja) 自動車の側部車体構造
CN107953846B (zh) 保险杠强化部与纵梁的联结结构
CN112092913B (zh) 上部车身构造
JP2002145124A (ja) 車両の下部車体構造
JPH06506418A (ja) 乗用車の車体の支持構造
US5269583A (en) Front end structure of vehicle body
JP2002144871A (ja) 車両のドア構造
JPH06171442A (ja) バンパーの取付構造
JP3437754B2 (ja) 自動車のフロントドア構造
US20240066959A1 (en) Panel door for vehicle having improved stiffness
KR102567561B1 (ko) 전기차용 경량 센터플로어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