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9445B1 - 전기 분배 조립체 - Google Patents

전기 분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9445B1
KR102639445B1 KR1020180157878A KR20180157878A KR102639445B1 KR 102639445 B1 KR102639445 B1 KR 102639445B1 KR 1020180157878 A KR1020180157878 A KR 1020180157878A KR 20180157878 A KR20180157878 A KR 20180157878A KR 102639445 B1 KR102639445 B1 KR 1026394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terminal
distribution assembly
electrical
block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78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0866A (ko
Inventor
에르왕 귀양똥
아이메릭 뻬로
Original Assignee
앱티브 테크놀러지스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앱티브 테크놀러지스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앱티브 테크놀러지스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900708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08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94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94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contact members with insulating base, case or slee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8Electrical distribution cen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025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one or more pieces being of resilient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003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the coupling part being secured only to wires or cabl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26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6/0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 B60K6/2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 B60K6/22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characterised by apparatus, components or means specially adapted for HEV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2Hybrid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engaging or disengaging the two parts of a coupling devi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상자 하우징(22)을 갖는 배선 상자(20)를 포함하는, 전기 차량 또는 하이브리드 차량에서 고전압을 분배하기 위한 전기 분배 조립체(10)이며, 상자 하우징(22)은 전기 연결부(100)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플러그 부분(30)을 포함하고, 전기 연결부(100)는 연결부 하우징(102)을 갖고, 연결부 하우징은 복수의 공동(110)을 포함하고, 각각의 공동은 단자(150)를 수용 및 유지하도록 구성되며, 플러그 부분(30)은, 교합 축(M)을 따라서 상자 하우징(22) 외측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제1 차단 수단을 포함하고, 복수의 공동(110)의 각각은, 공동(110)을 따라, 교합 축(M)을 따라 연장되는 제2 차단 수단을 포함하며, 제1 차단 수단의 각각은, 상응하는 공동이 비었을 때, 차단 위치(B)에서 상응하는 제2 차단 수단을 차단하고, 그에 의해서 연결부 하우징(102)이 교합 축(M)을 따라 상자 하우징(22)을 향해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며, 조립체는 외향 위치로부터 삽입 위치까지 이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단자(150)를 더 포함하고, 공동(110) 내에 삽입된 각각의 단자(150)는 상응하는 제1 차단 수단 또는 상응하는 제2 차단 수단을 재배치하여 차단을 해제하고, 그에 의해서 연결부 하우징(102)이 교합 축(M)을 따라 상자 하우징(22)을 향해서 이동될 수 있게 하는, 전기 분배 조립체(10).

Description

전기 분배 조립체{ELECTRICAL DISTRIBUTION ASSEMBLY}
전기 차량 또는 하이브리드 차량에서 고전압을 분배하기 위한 전기 분배 조립체.
전기 신호 및 전기 에너지를 분배하기 위한 전기 분배 조립체가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다. 이러한 분배 조립체는 서로 연결되는 전기 연결부 및 전기 배선 상자를 이용한다. 전기 연결부는 일반적으로 전기 단자를 포함한다. 전기 연결부 내측에 위치된 전기 단자는 전기 와이어의 단부에 부착된다. 배선 상자는 배선 상자 내측의 상호연결을 제공하기 위한 버스 바를 포함한다.
몇 년 전에, 하이브리드 또는 전기 구동부를 갖는 차량의 일련의 생산이 시작되었다. 이러한 구동 기술은 고전압 및 고전류를 고객의 차량에 공급한다. 이는 안전 요건을 크게 높였다. 이러한 이유로, 예를 들어 전기 분배 조립체가 일-방향 접촉 가능 시스템으로 설계되어야 한다. 이는, 전기 연결부가 배선 상자에 일단 플러깅되면, 전기 연결부는 더 이상 언플러깅될(unplugged)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만약 전기 연결부가 어떠한 이유로든지 언플러깅될 필요가 있다면, 이는 파괴되어야 한다.
전기 연결부 및 배선 상자를 포함하는 전기 하니스(harness)는 하니스 제조자의 공장에서 미리 조립되고 차량 제조자에게 선적된다. 선적하는 동안 미리 조립된 전기 하니스가 손상될 수 있거나 부품이 변위될 수 있다. 차량 제조자의 공장에서 최종적으로 조립될 때, 검출되지 못한 손상 또는 변위는, 추후에 필요한 고정과 관련된 많은 비용을 생성할 수 있다. 일-방향 연결의 경우에, 특히 분실되거나 잘못된 전기 단자는, 전기 연결부가 상응하는 배선 상자에 일단 플러깅될 때, 큰 문제를 유발한다.
따라서, 당업계에서, 종래 기술의 전술한 단점을 극복하고, 전기 연결부가 정확한 위치의 필요 단자를 구비하지 않은 경우에 전기 연결부가 전기 배선 상자에 연결되는 것을 신뢰 가능하게 방지하는 전기 분배 조립체를 제공하는, 전기 차량 또는 하이브리드 차량에서 고전압을 분배하기 위한 전기 분배 조립체의 제공이 요구되고 있다.
제1항에 따른 전기 분배 조립체는 이러한 그리고 다른 목적을 해결하며, 이는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진다.
본원은 전기 차량 또는 하이브리드 차량에서 고전압을 분배하기 위한 전기 분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전기 분배 조립체는 상자 하우징을 갖는 배선 상자를 포함한다. 상자 하우징은 전기 연결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플러그 부분을 포함한다. 전기 분배 조립체의 전기 연결부는 연결부 하우징을 갖고, 연결부 하우징은 복수의 공동을 포함하고, 각각의 공동은 단자를 수용 및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플러그 부분은, 교합 축을 따라서 상자 하우징 외측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제1 차단 수단을 포함한다. 복수의 공동의 각각은, 공동을 따라, 교합 축을 따라 연장되는 제2 차단 수단을 포함한다. 제1 차단 수단의 각각은, 상응하는 공동이 비었을 때, 차단된 위치에서 상응하는 제2 차단 수단을 차단하고, 그에 의해서 연결부 하우징이 교합 축을 따라 상자 하우징을 향해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조립체는 외향 위치로부터 삽입된 위치까지 이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단자를 더 포함한다. 공동 내에 삽입된 각각의 단자는 상응하는 제1 차단 수단 또는 상응하는 제2 차단 수단을 재배치하여 차단을 해제하고, 그에 의해서 연결부 하우징이 교합 축을 따라 상자 하우징을 향해서 이동될 수 있게 한다.
개시된 발명은 전기 연결부의 각각의 공동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한다. 단지 하나만이 분실되거나 적절하게 삽입되지 않은 단자도, 연결부가 배선 상자에 교합되는 것을 차단한다. 모든 하나의 차단 수단이 상응하는 단자에 의해서 해제되어야 한다. 이러한 기능은, 전기 연결부가 정확한 위치에서 필요 단자를 구비하지 않는 경우에, 전기 연결부가 전기 배선 상자에 연결되는 것을 신뢰 가능하게 방지하는 전기 조립체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제1 차단 수단은 강성 랜스(rigid lance)를 포함하고, 제2 차단 수단은 가요성 아암을 포함한다. 가요성 아암은 교합 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가요성이다. 가요성 아암은, 배선 상자를 향한 전기 연결부의 작은 삽입력만으로 초래되는 작은 힘으로 굽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강성 랜스는 랜스 단부를 갖고, 가요성 아암은 아암 단부를 갖는다. 랜스 단부 및 아암 단부는 서로를 차단하도록 구성되고, 그에 의해서, 차단 위치에서, 서로를 향해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부적절하게 구비된 연결부가 전기 배선 상자를 향해서 이동될 때, 랜스 단부뿐만 아니라, 아암 단부는 교합 축을 따라 서로에 대해서 가압하도록 구성된다. 가장 단순한 실시예가, 교합 축에 수직으로 배열된, 2개의 단부 상의 2개의 편평한 표면으로서 설명될 수 있다.
유리하게, 아암 단부는 공동 내측으로 돌출되는 해제 돌출부를 갖는다. 단자는 단자 해제 표면을 포함한다. 단자가 공동 내에 수용될 때, 단자 해제 표면은 해제 돌출부에 대해서 압박함으로써 아암 단부를 변위시키고, 아암 단부는 차단 해제 위치에 배치되어, 교합 축을 따른 이동을 허용한다. 적절히 삽입된 단자만이 상응하는 차단 수단을 차단 해제한다.
유리하게, 제1 차단 수단은 가요성 하우징 랜스를 포함하고, 제2 차단 수단은 공동 내로 교합 축에 수직으로 돌출되는 강성 공동 돌출부를 포함한다. 가요성 하우징 랜스는 교합 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가요성이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가요성 차단 수단은 상자 하우징 상에 배열되고, 이는 일부 설계에서 장점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가요성 하우징 랜스는 하우징 랜스 단부를 갖고, 강성 공동 돌출부는 차단 연부를 갖는다. 하우징 랜스 단부 및 차단 연부는 서로를 차단하도록 구성되고, 그에 의해서, 차단 위치에서, 서로를 향해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요건에 따라, 강건한 특성을 갖도록, 차단 수단의 치수가 구성될 수 있다.
유리하게, 하우징 랜스 단부는 단자를 향해서 교합 축에 수직으로 돌출되는 하우징 랜스 해제 돌출부를 갖고, 단자는 단자 해제 표면을 포함하고, 단자 해제 표면은, 단자가 공동 내에 수용될 때 하우징 랜스 해제 돌출부에 대해서 압박함으로써 하우징 랜스 단부를 변위시키고, 하우징 랜스 단부는 차단 해제 위치에 배치되어, 교합 축을 따른 이동을 허용한다. 변위된 하우징 랜스 단부는, 해제 돌출부의 경사 지역과 협력하는 하우징 랜스 해제 돌출부에 위치되는 경사 지역을 갖는다. 전기 연결부가 교합 축을 따라서 배선 상자를 향해 이동되는 동안, 하우징 랜스 해제 돌출부는 해제 돌출부를 따라서 활주된다. 완전 교합 위치에서, 가요성 하우징 랜스는 이완 위치로 복귀된다.
바람직하게, 완전 교합 위치까지의 상자 하우징을 향한 연결부 하우징의 이동은, 연결부 하우징의 모든 공동이 의도된 단자를 정확하게 구비하고, 그에 의해서 각각의 단자가 각각의 상응하는 제1 차단 수단을 변위시킬 때에만 가능하다. 이는, 각각의 공동이 단자를 정확하게 구비하도록 보장한다.
바람직하게, 배선 상자는 제1 최종 잠금 수단을 포함하고, 전기 연결부는 제2 최종 잠금 수단을 포함한다. 제1 최종 잠금 수단 및 제2 최종 잠금 수단은, 배선 상자 및 전기 연결부가 완전 교합 위치에 도달되었을 때에, 배선 상자 및 전기 연결부를 분리 불가능하게 함께 유지한다. 이는 차량에서의 고전압 적용예에 대한 안전 요건을 만족시킨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배선 상자는 복수의 플러그 부분을 포함한다. 복수의 플러그 부분은 버스 바에 의해서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된다. 이는 고전압 및 고전류 적용예를 위한 강건한 설계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연결부 하우징은 플러그 부분을 향해서 교합 축을 따라 연장되는 안내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자 하우징은, 완전 교합 위치에서 안내 돌출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안내 개구부를 포함한다. 전기 연결부와 전기 배선 상자 개구부의 교합 프로세스의 시작에서 안내 돌출부가 안내 개구부 내로 삽입되어, 전기 연결부를 교합 축을 따라 안내한다. 이는 조립 중의 취급을 개선한다.
바람직하게, 전기 분배 조립체는 약 400 볼트의 전압을 이용하는 고전압 적용예를 위해서 설계된다. 고전압 적용예를 위한 요건을 만족시키도록, 조립체의 치수 및 재료가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전기 와이어 하니스가 분배 조립체, 및 단자에 부착된 전기 와이어를 포함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예시적으로 설명된다.
도 1은 전기 차량 또는 하이브리드 차량에서 고전압을 분배하기 위한 전기 분배 조립체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종래 기술에서 공지된 전기 분배 조립체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빈 공동과 함께, 절취선 C를 따른 전기 분배 조립체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3의 상세도를 도시한다.
도 5는 차단 해제 위치에서 상세 부분을 확대한, 절취선 C를 따른 전기 분배 조립체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6은 완전 교합 위치에서 상세 부분을 확대한, 절취선 C를 따른 전기 분배 조립체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7은 차단 해제 위치에서 상세 부분을 확대한, 절취선 C를 따른 전기 분배 조립체의 제2 실시예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8은 완전 교합 위치에서 상세 부분을 확대한, 절취선 C를 따른 전기 분배 조립체의 제2 실시예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은 전기 차량 또는 하이브리드 차량에서 고전압을 분배하기 위한 전기 분배 조립체(10)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조립체는 또한 와이어 하니스를 형성하는 전기 단자(150)(미도시)에 부착된 전기 와이어(200)를 보여준다. 전기 분배 조립체는 상자 하우징(22)을 갖는 배선 상자(20)를 포함한다. 상자 하우징(22)은 전기 연결부(100)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플러그 부분(30)을 포함한다. 전기 분배 조립체의 전기 연결부(100)는 연결부 하우징(102)을 갖는다. 전기 연결부는 교합 축(M)을 따라 배열된다.
도 2는 종래 기술에서 공지된 전기 분배 조립체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전기 분배 조립체는 상자 하우징(22)을 갖는 배선 상자(20)를 포함한다. 상자 하우징(22)은 전기 연결부(100)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플러그 부분(30)을 포함한다. 전기 분배 조립체의 전기 연결부(100)는 연결부 하우징(102)을 갖는다. 전기 연결부(100)는 교합 축(M)을 따라 플러깅된다. 전기 연결부(100)는 복수의 공동(110)을 포함하고, 각각의 공동은 단자(150)를 수용 및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각각의 공동(110)은 아암 단부(124)를 갖는 가요성 아암(120)을 포함한다. 아암 단부(124)는, 전기 연결부(100)가 완전 교합 위치(V)에 있을 때 공동(110) 내에서 단자를 잠금하도록 구성된 단자 잠금 돌출부를 포함한다.
도 3은 절취선 C를 따라서 절취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분배 조립체(10)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전기 분배 조립체(10)는 빈 공동(110)과 함께 차단 위치(B)에서 도시되어 있다. 전기 분배 조립체(10)는 상자 하우징(22)을 갖는 배선 상자(20)를 포함한다. 상자 하우징(22)은 전기 연결부(100)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플러그 부분(30)을 포함한다. 전기 분배 조립체의 전기 연결부(100)는 연결부 하우징(102)을 갖는다. 전기 연결부(100)는 교합 축(M)을 따라 플러깅된다. 전기 연결부(100)는 복수의 공동(110)을 포함하고, 각각의 공동은 단자(150)를 수용 및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플러그 부분(30)은, 교합 축(M)을 따라서 상자 하우징(22) 외측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제1 차단 수단을 포함한다. 복수의 공동(110)의 각각은, 공동(110)을 따라, 교합 축(M)을 따라 연장되는 제2 차단 수단을 포함한다. 제1 차단 수단의 각각은, 상응하는 공동이 비었을 때, 차단 위치(B)에서 상응하는 제2 차단 수단을 차단하고, 그에 의해서 연결부 하우징(102)이 교합 축(M)을 따라 상자 하우징(22)을 향해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연결부 하우징(102)은 플러그 부분(30)을 향해서 연장되는 안내 돌출부(170)를 포함한다. 상자 하우징(22)은, 완전 교합 위치(V)에서 안내 돌출부(170)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안내 개구부(70)를 포함한다.
도 4는 도 3의 상세도를 도시한다. 제1 차단 수단은 강성 랜스(32)를 포함하고, 제2 차단 수단은 가요성 아암(120)을 포함한다. 가요성 아암(120)은 교합 축(M)에 수직인 방향으로 가요성이다. 강성 랜스(32)는 랜스 단부(34)를 갖고, 가요성 아암(120)은 아암 단부(124)를 갖는다. 랜스 단부(34) 및 아암 단부(124)는 서로를 차단하도록 구성되고, 그에 의해서, 차단 위치(B)에서, 서로를 향해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5는 차단 해제 위치(U)에서 상세 부분을 확대한, 절취선 C를 따른 전기 분배 조립체(10)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조립체(10)는 외향 위치로부터 삽입된 위치까지 이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단자(150)를 더 포함한다. 배선 상자(20)는 복수의 플러그 부분(30)을 포함하고, 복수의 플러그 부분(30)은 버스 바(160)에 의해서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된다. 공동(110) 내에 삽입된 각각의 단자(150)는 상응하는 제1 차단 수단 또는 상응하는 제2 차단 수단을 재배치하여 차단을 해제하고, 그에 의해서 연결부 하우징(102)이 교합 축(M)을 따라 상자 하우징(22)을 향해서 이동될 수 있게 한다. 아암 단부(124)는 공동(110) 내측으로 돌출되는 해제 돌출부(126)를 갖는다. 단자(150)는 단자 해제 표면(156)을 포함한다. 단자 해제 표면(156)은, 단자가 공동(110) 내에 수용될 때, 해제 돌출부(126)에 대해서 압박함으로써 아암 단부(124)를 변위시킨다. 아암 단부(124)가 차단 해제 위치(U) 내에 배치되어, 교합 축(M)을 따른 이동을 허용한다.
도 6은 완전 교합 위치(V)에서 상세 부분을 확대한, 절취선 C를 따른 전기 분배 조립체(10)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완전 교합 위치(V)까지의 상자 하우징(22)을 향한 연결부 하우징(102)의 이동은, 연결부 하우징(102)의 모든 공동(110)이 의도된 단자(150)를 정확하게 구비하고, 그에 의해서 각각의 단자(150)가 각각의 상응하는 제1 차단 수단을 변위시킬 때에만 가능하다.
도 7은 차단 해제 위치(U)에서 상세 부분을 확대한, 절취선 C를 따른 전기 분배 조립체(10)의 제2 실시예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제1 차단 수단은 가요성 하우징 랜스(40)를 포함하고, 제2 차단 수단은 공동(110) 내로 교합 축(M)에 수직으로 돌출되는 강성 공동 돌출부(140)를 포함한다. 가요성 하우징 랜스(40)는 교합 축(M)에 수직인 방향으로 가요성이다. 가요성 하우징 랜스(40)는 하우징 랜스 단부(44)를 갖고, 강성 공동 돌출부(140)는 차단 연부(144)를 갖는다. 하우징 랜스 단부(44) 및 차단 연부(144)는 서로를 차단하도록 구성되고, 그에 의해서, 차단 위치(B)에서, 서로를 향해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하우징 랜스 단부(44)는 단자(150)를 향해서 교합 축(M)에 수직으로 돌출되는 하우징 랜스 해제 돌출부(46)를 갖는다. 단자는 단자 해제 표면(156)을 포함한다. 단자 해제 표면(156)은, 단자가 공동(110) 내에 수용될 때, 하우징 랜스 해제 돌출부(46)에 대해서 압박함으로써 하우징 랜스 단부(44)를 변위시킨다. 하우징 랜스 단부(44)가 차단 해제 위치(U) 내에 배치되어, 교합 축(M)을 따른 이동을 허용한다.
도 8은 완전 교합 위치에서 상세 부분을 확대한, 절취선 C를 따른 전기 분배 조립체의 제2 실시예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바람직하게, 완전 교합 위치(V)까지의 상자 하우징(22)을 향한 연결부 하우징(102)의 이동은, 연결부 하우징(102)의 모든 공동(110)이 의도된 단자(150)를 정확하게 구비하고, 그에 의해서 각각의 단자(150)가 각각의 상응하는 제1 차단 수단을 변위시킬 때에만 가능하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1 차단 수단 및 제2 차단 수단은, 전기 연결부(100)가 그 완전 교합 위치(V)에 도달하였을 때, 이완 위치에 있는다.

Claims (13)

  1. 상자 하우징(22)을 갖는 배선 상자(20)를 포함하는, 전기 차량 또는 하이브리드 차량에서 고전압을 분배하기 위한 전기 분배 조립체(10)이며, 상자 하우징(22)은 전기 연결부(100)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플러그 부분(30)을 포함하고, 전기 연결부(100)는 연결부 하우징(102)을 갖고, 연결부 하우징은 복수의 공동(110)을 포함하고, 각각의 공동은 단자(150)를 수용 및 유지하도록 구성되며, 플러그 부분(30)은, 교합 축(M)을 따라서 상자 하우징(22) 외측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제1 차단 수단을 포함하고, 복수의 공동(110)의 각각은, 공동(110)을 따라, 교합 축(M)을 따라 연장되는 제2 차단 수단을 포함하며, 제1 차단 수단의 각각은, 상응하는 공동이 비었을 때, 차단 위치(B)에서 상응하는 제2 차단 수단을 차단하고, 그에 의해서 연결부 하우징(102)이 교합 축(M)을 따라 상자 하우징(22)을 향해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며, 조립체는 외향 위치로부터 삽입 위치까지 이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단자(150)를 더 포함하고, 공동(110) 내에 삽입된 각각의 단자(150)는 상응하는 제1 차단 수단 또는 상응하는 제2 차단 수단을 재배치하여 차단을 해제하고, 그에 의해서 연결부 하우징(102)이 교합 축(M)을 따라 상자 하우징(22)을 향해서 이동될 수 있게 하는, 전기 분배 조립체(10).
  2. 제1항에 있어서,
    제1 차단 수단이 강성 랜스(32)를 포함하고, 제2 차단 수단이 가요성 아암(120)을 포함하고, 가요성 아암(120)은 교합 축(M)에 수직인 방향으로 가요성인, 전기 분배 조립체(10).
  3. 제2항에 있어서,
    강성 랜스(32)가 랜스 단부(34)를 갖고, 가요성 아암(120)은 아암 단부(124)를 갖고, 랜스 단부(34) 및 아암 단부(124)는, 차단 위치(B)에서, 서로를 차단하도록 구성되며, 그에 의해서 서로를 향해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전기 분배 조립체(10).
  4. 제3항에 있어서,
    아암 단부(124)는 공동(110) 내측으로 돌출되는 해제 돌출부(126)를 갖고, 단자(150)는 단자 해제 표면(156)를 포함하고, 단자 해제 표면(156)은, 단자가 공동(110) 내에 수용될 때, 해제 돌출부(126)에 대해서 압박함으로써 아암 단부(124)를 변위시키고, 아암 단부(124)가 차단 해제 위치(U)에 배치되어, 교합 축(M)을 따른 이동을 허용하는, 전기 분배 조립체(10).
  5. 제1항에 있어서,
    제1 차단 수단은 가요성 하우징 랜스(40)를 포함하고, 제2 차단 수단은 공동(110) 내로 교합 축(M)에 수직으로 돌출되는 강성 공동 돌출부(140)를 포함하고, 가요성 하우징 랜스(40)는 교합 축(M)에 수직인 방향으로 가요성인, 전기 분배 조립체(10).
  6. 제5항에 있어서,
    가요성 하우징 랜스(40)가 하우징 랜스 단부(44)를 갖고, 강성 공동 돌출부(140)는 차단 연부(144)를 갖고, 하우징 랜스 단부(44) 및 차단 연부(144)는, 차단 위치(B)에서, 서로를 차단하도록 구성되며, 그에 의해서 서로를 향해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전기 분배 조립체(10).
  7. 제6항에 있어서,
    하우징 랜스 단부(44)는 단자(150)를 향해서 교합 축(M)에 수직으로 돌출되는 하우징 랜스 해제 돌출부(46)를 갖고, 단자는 단자 해제 표면(156)을 포함하고, 단자 해제 표면(156)은, 단자가 공동(110) 내에 수용될 때 하우징 랜스 해제 돌출부(46)에 대해서 압박함으로써 하우징 랜스 단부(44)를 변위시키고, 하우징 랜스 단부(44)는 차단 해제 위치(U)에 배치되어, 교합 축(M)을 따른 이동을 허용하는, 전기 분배 조립체(10).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완전 교합 위치(V)까지의 상자 하우징(22)을 향한 연결부 하우징(102)의 이동은, 연결부 하우징(102)의 모든 공동(110)이 의도된 단자(150)를 정확하게 구비하고 그에 의해서 각각의 단자(150)가 각각의 상응하는 제1 차단 수단을 변위시킬 때에만, 가능한, 전기 분배 조립체(10).
  9. 제8항에 있어서,
    배선 상자(20)가 제1 최종 잠금 수단을 포함하고, 전기 연결부(100)는 제2 최종 잠금 수단을 포함하며, 제1 최종 잠금 수단 및 제2 최종 잠금 수단은, 배선 상자 및 전기 연결부가 완전 교합 위치(V)에 도달되었을 때, 배선 상자(20) 및 전기 연결부(100)를 분리 불가능하게 함께 유지하는, 전기 분배 조립체(10).
  10. 제9항에 있어서,
    배선 상자(20)가 복수의 플러그 부분(30)을 포함하고, 복수의 플러그 부분(30)은 버스 바(160)에 의해서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되는, 전기 분배 조립체(10).
  11.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기 분배 조립체가 400 볼트의 전압을 이용하는 고전압 적용예를 위해서 설계되는, 전기 분배 조립체(10).
  12.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결부 하우징(102)은 플러그 부분(30)을 향해서 연장되는 안내 돌출부(170)를 포함하고, 상자 하우징(22)은, 완전 교합 위치(V)에서 안내 돌출부(170)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안내 개구부(70)를 포함하는, 전기 분배 조립체(10).
  13.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분배 조립체(10)를 포함하는 전기 와이어 하니스이며, 단자(150)에 부착된 전기 와이어(200)를 포함하는, 전기 와이어 하니스.
KR1020180157878A 2017-12-13 2018-12-10 전기 분배 조립체 KR1026394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7207125.0A EP3499654B1 (en) 2017-12-13 2017-12-13 Electrical distribution assembly
EP17207125.0 2017-12-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0866A KR20190070866A (ko) 2019-06-21
KR102639445B1 true KR102639445B1 (ko) 2024-02-23

Family

ID=60673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7878A KR102639445B1 (ko) 2017-12-13 2018-12-10 전기 분배 조립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476207B2 (ko)
EP (1) EP3499654B1 (ko)
JP (1) JP7408279B2 (ko)
KR (1) KR102639445B1 (ko)
CN (1) CN11001112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9282467U (zh) * 2018-11-30 2019-08-20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端子保持架、连接器壳体、连接器、及连接器组件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87942A (ja) * 2001-09-05 2003-03-20 Sumitomo Wiring Syst Ltd ジャンクションボックスと電線の接続構造
JP2010088195A (ja) * 2008-09-30 2010-04-15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電力変換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06123B1 (en) * 1987-02-03 1997-12-23 Furukawa Electric Co Ltd Electrical connector device with a number of terminals
US4973268A (en) * 1989-10-10 1990-11-27 Amp Incorporated Multi-contact electrical connector with secondary lock
JP2797928B2 (ja) * 1993-10-15 1998-09-17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検査装置
JP3440581B2 (ja) * 1994-10-13 2003-08-25 住友電装株式会社 リテーナ付きコネクタ
JP3253050B2 (ja) * 1995-05-22 2002-02-04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半挿入検知用コネクタ
DE19540247C2 (de) * 1995-10-28 1999-11-04 Delphi Automotive Systems Gmbh Mehrpoliger elektrischer Steckverbinder
JP3286195B2 (ja) * 1997-01-17 2002-05-27 矢崎総業株式会社 ハウジングへのフロントホルダの係止構造
JP3470026B2 (ja) * 1997-11-28 2003-11-25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構造
JP3542710B2 (ja) * 1998-02-20 2004-07-14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GB2337877B (en) * 1998-05-28 2000-10-04 Yazaki Corp Connector fitting structure
EP1030411A1 (en) * 1999-02-16 2000-08-23 Sumitomo Wiring Systems, Ltd. A joint connector
JP2001155810A (ja) * 1999-11-29 2001-06-08 Yazaki Corp コネクタ
BRPI0412639A (pt) * 2003-06-18 2006-09-26 Ryosei Electro Circuit Sys Ltd conector elétrico
CN101199086B (zh) 2005-06-09 2011-02-09 Fci公司 顺序闭合的密封连接器
JP4941244B2 (ja) * 2007-03-28 2012-05-30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CN201307664Y (zh) * 2008-10-20 2009-09-09 张家港友诚科技机电有限公司 快速连接头
CN101728706B (zh) * 2008-10-20 2011-08-10 张家港友诚科技机电有限公司 快速连接头
JP5440453B2 (ja) * 2010-09-01 2014-03-12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5609734B2 (ja) * 2011-03-24 2014-10-22 日立金属株式会社 コネクタ
JP5656121B2 (ja) * 2011-06-02 2015-01-21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5747858B2 (ja) * 2012-04-10 2015-07-15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5754412B2 (ja) * 2012-04-26 2015-07-29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6138428B2 (ja) * 2012-05-29 2017-05-31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CN203596462U (zh) * 2013-10-23 2014-05-14 深圳市得润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防呆型电连接器
JP6150174B2 (ja) * 2014-05-16 2017-06-21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CN106058577B (zh) * 2015-04-15 2020-07-28 安普泰科电子韩国有限公司 连接器组件
JP6191661B2 (ja) * 2015-07-30 2017-09-06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CN107221811B (zh) * 2017-07-03 2023-06-02 凡甲电子(苏州)有限公司 电连接器及具有该电连接器的电连接器组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87942A (ja) * 2001-09-05 2003-03-20 Sumitomo Wiring Syst Ltd ジャンクションボックスと電線の接続構造
JP2010088195A (ja) * 2008-09-30 2010-04-15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電力変換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9106373A (ja) 2019-06-27
KR20190070866A (ko) 2019-06-21
EP3499654A1 (en) 2019-06-19
US20190181589A1 (en) 2019-06-13
US10476207B2 (en) 2019-11-12
JP7408279B2 (ja) 2024-01-05
EP3499654B1 (en) 2023-09-06
CN110011126A (zh) 2019-07-12
CN110011126B (zh) 2021-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64425B2 (ja) 端子位置保証装置を有する電気コネクタ
US7121867B2 (en) Electrical pin-and-socket connector
CN104779467B (zh) 带有端子位置保证的电连接器
EP3220490B1 (en)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device, connector housing and electrical connector system
EP3171459A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a terminal position assurance device
EP3133702B1 (en) Connector system with disconnection evident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feature
US10236629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retractable terminal-stabilizer
US10446969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terminal position assurance member
CN206195069U (zh) 电插接器及配备有该电插接器的电插接装置
US9843132B2 (en) Cable strain relief
US20130330956A1 (en) Joint Connector
KR102639445B1 (ko) 전기 분배 조립체
EP1378970A1 (en) Connecting structure of connectors
JP2006004901A (ja) コネクタ装置
US9923303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terminal centering system
CN109196729B (zh) 连接器
KR102342226B1 (ko) 자동차용 커넥터 및 이 커넥터 장착 방법
WO2008003383A1 (en) Activatable electrical plug connection for an airbag connection
KR20140063793A (ko) 커넥터 유닛
KR102666089B1 (ko) 억제 리브를 갖는 리셉터클 커넥터 하우징
CN108336610B (zh) 线束插接组件
KR20230084892A (ko)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